KR101956500B1 - 차량용 페달의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페달의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6500B1
KR101956500B1 KR1020180036304A KR20180036304A KR101956500B1 KR 101956500 B1 KR101956500 B1 KR 101956500B1 KR 1020180036304 A KR1020180036304 A KR 1020180036304A KR 20180036304 A KR20180036304 A KR 20180036304A KR 101956500 B1 KR101956500 B1 KR 101956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rod
reaction force
spring
guide rod
curv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주용
이재원
장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평화발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평화발레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평화발레오
Priority to KR1020180036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5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in transmission clutch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3Means for enhancing the operator's awareness of arrival of the controlling member at a command or datum position; Providing feel, e.g. means for creating a counterfor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5Means for returning or tending to return controlling members to an inoperative or neutral position, e.g. by providing return springs or resilient end-s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러치 바이 와이어(Clutch by Wire) 시스템이 적용되는 차량에서 복수의 스프링과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매개로 하는 상시적 접촉 관계의 유지를 통해 페달 아암의 이동 변위 대비 실제와 유사한 비선형적 반력을 생성할 수 있는 차량용 페달의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차량용 페달의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는 페달 아암(1)과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설정하는 굴곡면(112)을 구비하는 푸시 로드(110), 상기 푸시 로드(110)에 대해 복원위치를 향한 선형적 반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제1스프링(130), 상기 푸시 로드(110)의 굴곡면(112)과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로드(120), 및 상기 가이드 로드(120)에 대해 상기 굴곡면(112)을 향한 선형적 반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제2스프링(14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페달의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Device for generating nonlinear reaction force of vehicle's pedal}
본 발명은 차량용 페달의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클러치 바이 와이어(Clutch by Wire) 시스템에서 페달 아암의 이동 변위 대비 실제와 유사한 비선형적 반력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페달의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러치 장치는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변속기의 입력축으로 전달하는 동력의 전달경로 중에 설치되어 변속시 엔진과 변속기 사이의 동력 전달을 단절시킴으로써 원활한 변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클러치장치는 차실내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러치 페달을 운전자가 답입함에 따라 발생되는 가압력을 클러치의 해제계통에 위치한 릴리스 베어링에 대해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기계식 시스템과, 별도의 액츄에이터를 통해 클러치의 해제계통으로 간접적으로 제공하는 클러치 바이 와이어(Clutch by Wire) 시스템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런데, 클러치 바이 와이어(Clutch by Wire) 시스템의 경우에는 클러치 작동 입력값이 되는 페달 스트로크 신호를 만드는 동시에 운전자에게 실제로 클러치를 밟을 때와 유사한 반력을 제공할 수 있는 반력 생성장치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데, 이러한 종래 반력 생성장치는 그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레이 아웃상 기존의 기계식 클러치 장치에서 마스터 실린더의 설치위치로 장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어 왔다.
일본공개특허 제2009-222068호의 클러치 바이 와이어 시스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클러치 바이 와이어(Clutch by Wire) 시스템이 적용되는 차량에서 복수의 스프링과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매개로 하는 상시적 접촉 관계의 유지를 통해 페달 아암의 이동 변위 대비 실제와 유사한 비선형적 반력을 생성할 수 있는 차량용 페달의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페달 아암과 연결되고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설정하는 굴곡면을 구비하는 푸시 로드, 상기 푸시 로드에 대해 복원위치를 향한 선형적 반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제1스프링, 상기 푸시 로드의 굴곡면과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로드, 및 상기 가이드 로드에 대해 상기 굴곡면을 향한 선형적 반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제2스프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푸시 로드와 상기 가이드 로드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푸시 로드의 이동을 허용하는 관통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구멍의 둘레에는 상기 제1스프링에 대한 고정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한 돌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1스프링은 상기 푸시 로드의 걸림턱과 상기 하우징의 관통구멍의 둘레면 사이에 양단부가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스프링은 상기 하우징의 저면부에 대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푸시 로드를 중심으로 상기 가이드 로드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푸시 로드와 접촉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푸시 로드는 상기 굴곡면의 반대측에 상기 스토퍼와의 접촉을 위한 평탄면을 구비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푸시 로드의 평탄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가이드 로드는 상기 푸시 로드의 굴곡면과의 접촉부위에 구름 접촉을 위한 아이들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로드는 상기 아이들 롤러의 장착을 위해 양측으로 분지되는 요크부를 구비하며, 상기 요크부는 상기 아이들 롤러의 회전 지지를 위한 핀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페달 아암의 이동 변위를 검출하는 스트로크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트로크 센서는 상기 푸시 로드와 상기 가이드 로드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 변위를 검출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페달의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는 클러치 바이 와이어(Clutch by Wire) 시스템이 적용되는 차량에서 클러치 페달에 탑재되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설정하는 굴곡면을 갖춘 푸시 로드와 굴곡면과의 접촉하는 가이드 로드 및 푸시 로드와 가이드 로드에 대해 선형적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푸시 로드의 굴곡면과 가이드 로드 사이의 상시적 접촉 관계를 통해 페달 아암의 이동 변위 대비 실제와 유사한 비선형적 반력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실제 기계식 클러치 장치에서와 동일한 히스테리시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페달의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는 기존 기계식 클러치 장치에 적용되는 설계 사양의 변경없이 마스터 실린더의 장착 위치에 클러치 페달을 직접 설치할 수 있으므로, 클러치 바이 와이어(Clutch by Wire) 시스템으로의 적용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페달의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는 실제 클러치 하중에 무관하게 운전자가 편하게 느낄 수 있는 클러치 페달의 하중 구현을 가능하게 하고, 특히 클러치 마모에 따른 페달 하중의 변화와 무관하게 페달의 답력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페달의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가 클러치 페달에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주요 구성부위에 해당하는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에 대한 내부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에 대한 세부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에 대한 세부 구성을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에서 푸시 로드의 이동 변위 대비 가이드 로드의 연동 관계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에서 페달의 스트로크 대비 하중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페달의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가 클러치 페달에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주요 구성부위에 해당하는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에 대한 내부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100)는 클러치 페달의 페달 아암(1)과 클러치 마스터실린더 사이에 설치되는 푸시 로드(110), 상기 푸시 로드(110)와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로드(120), 상기 푸시 로드(110)에 대해 복원위치를 향한 방향으로 선형적 반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제1스프링(130), 상기 가이드 로드(120)에 대해 상기 푸시 로드(110)를 향한 방향으로 선형적 반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제2스프링(140), 및 상기 푸시 로드(110)와 상기 가이드 로드(120)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하우징(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푸시 로드(110)는 차실내와 엔진룸 공간을 구획하는 차체패널을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고, 일단부는 상기 페달 아암(1)과 결합되고 타단부는 클러치 마스터실린더의 가압측과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페달 아암(1)의 상단부에는 차체패널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힌지지점(3)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푸시 로드(110)는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설정하는 굴곡면(112)을 갖추도록 형성되고, 상기 굴곡면(112)이 설정하는 변곡점의 위치와 곡률은 실제 기계식 클러치 장치의 페달에서 구현할 수 있는 비선형적 반력을 제공하는데 적합한 최적의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굴곡면(112)이 설정하는 변곡점의 위치는 도 3에서 (가)와 (나) 및 (다)로 각각 구분되는 영역을 가질 수 있는 데, 이 경우 (가)는 상기 제2스프링(140)을 압축하는 구간이고, (나)는 상기 제2스프링(140)을 팽창하는 구간이며, (다)는 상기 제2스프링(140)을 다시 압축하는 구간에 해당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하고 있는 상기 굴곡면(112)이 설정하는 변곡점의 위치는 다양한 변형 실시예로 구현 가능함은 물론일 것이다.
또한, 상기 굴곡면(112)이 설정하는 변곡점의 곡률은 도 7의 페달 스트로크 대비 하중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에서 "B"로 예시하고 있는 곡선을 추종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데, 이때에도 변곡점의 곡률과 그에 따른 그래프의 곡선은 다양한 변형 실시예로 구현 가능함은 물론일 것이다.
상기 가이드 로드(120)는 상기 푸시 로드(110)의 굴곡면(112)과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50)의 내부에서 상기 푸시 로드(110)의 이동 변위와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다만, 상기 가이드 로드(120)의 배치 방향은 자유단부가 상기 푸시 로드(110)의 굴곡면(112)과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면 어느 방향이라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 로드(120)는 상기 푸시 로드(110)의 굴곡면(112)과의 접촉부위에 구름 접촉을 위한 아이들 롤러(122)를 구비한다. 특히, 상기 가이드 로드(120)는 상기 아이들 롤러(122)의 장착을 위해 양측으로 분지되는 요크부(124)를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요크부(124)는 상기 아이들 롤러(122)의 회전 지지를 위한 핀 결합부(126)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핀 결합부(126)는 상기 요크부(124)에 형성되는 관통구멍, 및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아이들 롤러(12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핀을 포함함은 물론이다.
상기 제1스프링(130)은 상기 푸시 로드(110)에 대해 복원위치를 향한 선형적 반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제1스프링(130)은 상기 푸시 로드(110)와 상기 하우징(150) 사이에서 푸시 로드(110)에 대해 복원위치를 향한 방향으로 선형적 반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푸시 로드(110)는 상기 페달 아암(1)과 인접한 부위에 외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제1스프링(130)의 일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걸림턱(114)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스프링(140)은 상기 가이드 로드(120)에 대해 상기 굴곡면(112)을 향한 선형적 반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하우징(150)의 내부 저면부에 대해 일단부가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가이드 로드(120)의 요크부(124)에 대해 직접적으로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로드(120)는 상기 하우징(150)의 내부에서 하우징(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에 대한 세부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에 대한 세부 구성을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로 하면, 상기 하우징(150)은 차체측에 고정되어 상기 푸시 로드(110)와 상기 가이드 로드(120)를 각각 이동 가능한 상태로 수용하는 바, 즉 상기 하우징(150)은 상기 푸시 로드(110)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푸시 로드(110)의 이동 변위를 따라 형성되는 관통구멍(152)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스프링(130)은 상기 푸시 로드(110)의 걸림턱(114)과 상기 하우징(150)의 관통구멍(152)의 둘레면 사이에 양단부가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50)은 상기 관통구멍(152)의 둘레에 상기 제1스프링(130)의 타단부에 대한 고정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해 외부로 돌출되는 돌기부(154)를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돌기부(154)는 상기 관통구멍(152)의 전 둘레부위에 걸쳐 다수의 수량으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1스프링(130)의 내부로 삽입되어 안정적인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특히, 상기 돌기부(154)는 상기 관통구멍(152)의 중심에 대해 방사상으로 적정의 거리를 두고 상호 이격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150)은 내부에 상기 가이드 로드(120)와 상기 제2스프링(140)의 수용을 위해 조립 가능한 형태의 마운팅 플레이트(156)를 더 포함하는 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56)는 상기 가이드 로드(120)와 상기 제2스프링(140)의 조립과 함께 엔진룸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150)의 고정 장착을 위한 용도로 활용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100)는 상기 푸시 로드(110)를 중심으로 상기 가이드 로드(120)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푸시 로드(110)와 상시적으로 접촉되는 스토퍼(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푸시 로드(110)는 상기 굴곡면(112)의 반대측에 상기 스토퍼(160)와의 접촉을 위한 평탄면(116)을 구비한다. 이 결과, 상기 스토퍼(160)는 상기 하우징(150)을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50)의 내부에서 상기 푸시 로드(110)의 평탄면(116)과 상시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상기 푸시 로드(110)의 이동 변위에 따라 히스테리시스의 조성에 필요로 하는 지속적인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스토퍼(160)의 단부면에는 상기 푸시 로드(110)와의 접촉시 마찰력의 발생 정도를 높이기 위해 별도의 마찰재를 부가적으로 장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마찰재의 경우, 상기 푸시 로드(110)의 가압방향과 복원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 한정하여 푸시 로드(110)에 대해 저항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일방향의 미세 경사돌기를 갖추도록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100)는 상기 페달 아암(1)의 이동 변위를 검출하는 스트로크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상기 스트로크 센서는 상기 푸시 로드(110)와 상기 가이드 로드(120)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 변위를 검출하도록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스트로크 센서는 상기 푸시 로드(110)와 상기 가이드 로드(120)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 변위를 다양한 방식으로 검출할 수 있는 센서류라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에서 푸시 로드의 이동 변위 대비 가이드 로드의 연동 관계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에서 페달의 스트로크 대비 하중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로 하면, 상기 페달 아암(1)의 답입과 해제시 상기 푸시 로드(110)는 도면 기준 우측에서 좌측을 향해 수평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가이드 로드(120)는 도면 기준 아래에서 위를 향한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1스프링(130)은 상기 푸시 로드(110)에 대해 선형적 반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반면에서 상기 제2스프링(140)은 상기 푸시 로드(110)의 굴곡면(112)과 상기 가이드 로드(120) 사이의 접촉에 의해 상기 가이드 로드(120)에 대해 비선형적 반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7을 참조로 하면, 상기 페달 아암(1)의 답입과 해제시 스트로크 대비 하중의 변화는 다음과 같이 수반된다.
먼저, 상기 제1스프링(130)은 상기 푸시 로드(11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선형적 반력을 제공함에 따라, 스트로크 대비 하중의 변화가 도 6에서 "A"로 표시된 직선의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스프링(140)은 상기 가이드 로드(12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선형적 반력을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푸시 로드(110)의 굴곡면(112)면과의 상시적인 접촉으로 인해 도 6에서 "B"로 표시된 곡선의 형태로 스트로크 대비 하중의 변화를 수반하게 된다.
이 결과, 상기 페달 아암(1)의 답입과 해제시 상기 제1스프링(130)에 의한 선형적 반력의 제공과 상기 제2스프링(140)에 의한 선형적 반력의 제공에도 불구하고, 상기 페달 아암(1)에서 수반되는 최종적인 스트로크 대비 하중의 변화는 도 6에서 "C"로 표시된 곡선 형태를 설정하는 조합 하중의 변화를 추종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100)는 상기 제1스프링(130)과 제2스프링(140)이 각각 구현하는 선형적 반력과 상기 푸시 로드(110)의 굴곡면(112)이 가지는 변곡점에 의한 상기 가이드 로드(120)와의 상시적 접촉에 의한 조합을 통해 최종적으로 상기 페달 아암(1)에 대해 비선형적 반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페달 아암(1)의 답입과 해제시 적정의 히스테리시스를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100)는 클러치 바이 와이어(Clutch by Wire) 시스템이 적용되는 차량에서 클러치 페달에 적용될 수 있고, 특히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설정하는 굴곡면(112)을 갖춘 푸시 로드(110), 상기 굴곡면(112)과의 상시적으로 접촉하는 가이드 로드(120), 및 상기 푸시 로드(110)와 가이드 로드(120)에 대해 각각 선형적인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제1스프링(130)과 제2스프링(140)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푸시 로드(110)의 굴곡면(112)과 상기 가이드 로드(120) 사이의 상시적 접촉 관계를 통해 페달 아암(1)의 이동 변위 대비 실제와 유사한 비선형적 반력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실제 기계식 클러치 장치에서와 동일한 히스테리시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 결과, 상기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100)는 기존 기계식 클러치 장치에 적용되는 설계 사양의 변경없이 마스터 실린더의 장착 위치에 클러치 페달을 직접 설치할 수 있으므로, 클러치 바이 와이어(Clutch by Wire) 시스템으로의 적용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100)는 실제 클러치 하중에 무관하게 운전자가 편하게 느낄 수 있는 클러치 페달의 하중 구현을 가능하게 하고, 특히 클러치 마모에 따른 페달 하중의 변화와 무관하게 페달의 답력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시한 차량용 페달의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는 클러치 바이 와이어(Clutch by Wire) 시스템에 한정하였으나, 브레이크 페달 등에 대해서도 동일한 구조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1-페달 아암 3-힌지지점
100-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 110-푸시 로드
112-굴곡면 114-걸림턱
116-평탄면
120-가이드 로드 122-아이들 롤러
124-요크부 126-핀 결합부
130-제1스프링 140-제2스프링
150-하우징 152-관통구멍
154-돌기부 156-마운팅 플레이트
160-스토퍼

Claims (10)

  1. 페달 아암과 연결되고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설정하는 굴곡면을 구비하는 푸시 로드;
    상기 푸시 로드에 대해 복원위치를 향한 선형적 반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제1스프링;
    상기 푸시 로드의 굴곡면과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로드; 및
    상기 가이드 로드에 대해 상기 굴곡면을 향한 선형적 반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제2스프링을 포함하는 차량용 페달의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푸시 로드와 상기 가이드 로드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의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푸시 로드의 이동을 허용하는 관통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구멍의 둘레에는 상기 제1스프링에 대한 고정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한 돌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의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링은 상기 푸시 로드의 걸림턱과 상기 하우징의 관통구멍의 둘레면 사이에 양단부가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스프링은 상기 하우징의 저면부에 대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의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푸시 로드를 중심으로 상기 가이드 로드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푸시 로드와 접촉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의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푸시 로드는 상기 굴곡면의 반대측에 상기 스토퍼와의 접촉을 위한 평탄면을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는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푸시 로드의 평탄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의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로드는 상기 푸시 로드의 굴곡면과의 접촉부위에 구름 접촉을 위한 아이들 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의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로드는 상기 아이들 롤러의 장착을 위해 양측으로 분지되는 요크부를 구비하고, 상기 요크부는 상기 아이들 롤러의 회전 지지를 위한 핀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의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페달 아암의 이동 변위를 검출하는 스트로크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의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크 센서는 상기 푸시 로드와 상기 가이드 로드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 변위를 검출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의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
KR1020180036304A 2018-03-29 2018-03-29 차량용 페달의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 KR101956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304A KR101956500B1 (ko) 2018-03-29 2018-03-29 차량용 페달의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304A KR101956500B1 (ko) 2018-03-29 2018-03-29 차량용 페달의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6500B1 true KR101956500B1 (ko) 2019-06-24

Family

ID=67055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304A KR101956500B1 (ko) 2018-03-29 2018-03-29 차량용 페달의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65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82594A (zh) * 2019-12-31 2020-04-28 中国科学院空间应用工程与技术中心 一种空间直线运动机构和在轨巡检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34233A (ja) * 1990-02-08 1991-10-18 Daikin Ind Ltd 食器洗浄機
KR20020083787A (ko) * 2001-04-30 2002-1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클러치 페달 어셈블리
JP2009222068A (ja) 2008-03-13 2009-10-01 Aisin Seiki Co Ltd クラッチバイワイヤシステム
KR20100032129A (ko) * 2008-09-17 2010-03-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히스테리시스 특성 구현 타입 전자 페달 장치
KR20140073514A (ko) * 2011-10-07 2014-06-16 시티에스 코포레이션 히스테리시스 조립체를 갖는 차량 페달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34233A (ja) * 1990-02-08 1991-10-18 Daikin Ind Ltd 食器洗浄機
KR20020083787A (ko) * 2001-04-30 2002-1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클러치 페달 어셈블리
JP2009222068A (ja) 2008-03-13 2009-10-01 Aisin Seiki Co Ltd クラッチバイワイヤシステム
KR20100032129A (ko) * 2008-09-17 2010-03-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히스테리시스 특성 구현 타입 전자 페달 장치
KR20140073514A (ko) * 2011-10-07 2014-06-16 시티에스 코포레이션 히스테리시스 조립체를 갖는 차량 페달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82594A (zh) * 2019-12-31 2020-04-28 中国科学院空间应用工程与技术中心 一种空间直线运动机构和在轨巡检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18740B (zh) 用于机动车辆的踏板仿真器
KR101765562B1 (ko) 능동형 제동 장치의 페달 시뮬레이터
US6250176B1 (en) Pedal
ATE429671T1 (de) Elektronisches drosselklappensteuersystem für ein fahrpedalmodul mit hysteresis- anbieter
KR101734039B1 (ko) 능동형 제동 장치의 페달 시뮬레이터
US20170227047A1 (en) Bearing structure for vehicle pedal device and flanged bushing
US20190278318A1 (en) Pedal effort generator using cam
JP2009262682A (ja) ストロークシミュレータ
KR101956500B1 (ko) 차량용 페달의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
JP2017509937A (ja) 車両用ペダルの抵抗及びキックダウンアセンブリ
US9141128B2 (en) Pedal valve sensor arrangement
JP2005014896A (ja) アクセルペダル装置
KR20180094274A (ko) 페달감 모사 장치
JP6229703B2 (ja) 車両用ペダル装置
KR20110022119A (ko) 자동차용 전자식 킥 다운 스위치 장치
JPH11217029A (ja) 電子式レバー機構
KR101526377B1 (ko) 페달비 가변형 브레이크 페달유닛
KR100614525B1 (ko) 가속페달의 반력 조절 장치
KR102003718B1 (ko) 히스테리시스 발생 구조를 갖는 차량용 가속 페달
KR100551082B1 (ko)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기구
JP2023009890A (ja) クラッチ操作反力発生装置
KR20210090363A (ko) 전자식 가속 페달장치
KR100499536B1 (ko) 차량의클러치또는브레이크용조작장치
KR20190114868A (ko) 제어 페달용 힘 발생 시스템
KR101272926B1 (ko) 가속페달의 답력 조절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