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2119A - 자동차용 전자식 킥 다운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전자식 킥 다운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2119A
KR20110022119A KR1020090079529A KR20090079529A KR20110022119A KR 20110022119 A KR20110022119 A KR 20110022119A KR 1020090079529 A KR1020090079529 A KR 1020090079529A KR 20090079529 A KR20090079529 A KR 20090079529A KR 20110022119 A KR20110022119 A KR 20110022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housing
cover
switch housing
k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9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7393B1 (ko
Inventor
이광혁
김병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희산업
(주) 디에이치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희산업, (주) 디에이치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희산업
Priority to KR1020090079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393B1/ko
Publication of KR20110022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2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전자식 킥 다운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페달암(3)의 회전각에 따라 운전자에게 킥 다운(kick down) 조작감을 부여할 수 있게 됨으로써, 조작감 향상 및 피로감을 경감시킬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안정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으며, 스로틀밸브의 개도량이 터미널부재(70)의 (ON)/오프(OFF) 동작에 의해 이루어지는 구성이므로 보다 신속한 킥 다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가속 페달, 킥 다운 스위치, 전자식

Description

자동차용 전자식 킥 다운 스위치 장치{Apparatus of electronic kick down switch for vehicle}
본 발명은 운전자에게 킥 다운 조작감을 부여하도록 하여 조작감 향상 및 피로감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안정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전자식 킥 다운 스위치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차량에서의 킥 다운(kick down)은 고속도로 진입 전 빠르게 정상속도를 필요로 할 때나 또는 앞 차량의 추월하고자 할 때, 즉 급속하게 가속이 이루어져야 할 상황에서 보다 신속한 주행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힘껏 밟아(kick) 스로틀 밸브가 활짝 개방되면 이후의 변속이 저단으로 자동 변속(자동변속기 차량)되면서 빠른 시간내에 가속이 이루어지게 되며, 수동변속기 차량은 시프트 다운(shift down)으로 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최근의 모든 자동변속기 차량에는 상기와 같은 킥 다운 기능이 부여되어 있는 반면, 가속페달을 통해 운전자에게 킥 다운 조작감을 부여하는 기능은 미비하여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발명은 주행중 발생하는 킥 다운 조작감을 운전자에게 부여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운전자의 조작감 향상 및 피로감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안정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전자식 킥 다운 스위치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킥 다운 스위치 장치는, 일단이 개구된 수용공간을 구비한 원통형 스위치하우징과; 상기 스위치하우징의 개구된 일단을 덧대여지면서 상기 스위치하우징에 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하우징속에 위치한 끝단에 다수개의 커버돌기와 커버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한 개씩 교대로 배치되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커버돌기의 끝면이 시계 및 반 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따라 경사면으로 형성된 하우징커버와; 상기 스위치하우징속에 수납되어서 일단이 상기 하우징커버를 관통하여 밖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스위치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스위치하우징속에 위치한 끝면이 산과 골의 모양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진 작동면으로 형성된 푸시로드와; 상기 스위치하우징속에서 상기 스위치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른 이동 및 원주방향을 따른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바깥 둘레면에는 상기 푸시로드의 작동면과 접촉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커버의 커버홈으로 삽입되는 다수개의 캐리어돌기가 원주향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푸시로드의 작동면과 접촉하는 상기 캐리어돌기의 면이 상기 커버돌기의 경사면과 동일한 방향의 경사면으로 형성된 캐리어와; 상기 스위치하우징속에 수납되어서 일단은 상기 스위치하우징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캐리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캐리어스프링과; 상기 캐리어스프링속에 위치한 상태에서 일단은 상기 스위치하우징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캐리어와 접촉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캐리어가 상기 캐리어스프링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탄력적으로 오므라들면서 수축하는 마찰플레이트와; 상기 마찰플레이트에 구비되어서 상기 마찰플레이트가 오므라들면서 수축할 때와 복원될 때 온(ON)/오프(OFF) 동작을 함과 동시에 온(ON)/오프(OFF) 동작시의 신호를 엔진제어유니트로 전달하는 터미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식 킥 다운 스위치 장치는, 페달암의 조작에 따라 운전자에게 킥 다운(kick down) 조작감을 부여할 수 있게 됨으로써, 조작감 향상 및 피로감을 경감시킬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안정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로틀밸브의 개도량이 터미널부재(70)의 (ON)/오프(OFF) 동작에 의해 이루어지는 구성이므로, 보다 신속한 킥 다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킥 다운 스위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킥 다운 스위치(5)는 가속페달 장치에 장착되는데, 필요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암(3)에 장착되거나 또는 하우징플레이트(1a)에 장착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서는 전자식 킥 다운 스위치(5)가 페달암(3)에 장착된 경우를 일례로서 설명한다.
가속페달 장치는 운전석 하부의 대시패널 또는 플로어패널에 하우징플레이트(1a)를 매개로 고정 장착되는 페달암하우징(1)과, 상기 페달암하우징(1)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는 페달(3a)이 일체로 구비된 페달암(3)이 외관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가속페달 장치가 펜던트 타입(pendant type)인지 또는 오르간 타입(organ type)인지에 따라 상기 페달암하우징(1)은 대시패널 또는 플로어패널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페달암(3)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전자식 킥 다운 스위치(5)는 크게 스위치하우징(10), 하우징커버(20), 푸시로드(30), 캐리어(40), 캐리어스프링(50), 마찰플레이트(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은 일단이 개구된 수용공간(11)이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11)과 외부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결합구멍(12)이 바깥 둘레면에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커버(20)는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의 개구된 일단을 덧대여지면서 상기 스위치하우징(10)에 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하우징(10)속에 위치한 끝단에 다수개의 커버돌기(22b)와 커버홈(22c)이 원주방향을 따라 한 개씩 교대로 배치되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커버돌기(22b)의 끝면이 시계 및 반 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따라 경사면(22d)으로 형성된 구성이다.
즉, 상기 하우징커버(20)는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의 개구된 일단에 덧대여지고 중앙에 로드구멍(21a)이 형성된 덮개부(21)와, 상기 로드구멍(21a)보다 큰 직경을 갖는 내경을 구비하도록 상기 덮개부(21)로부터 연장되어서 상기 덮개부(21)가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의 개구된 일단에 덧대여질 때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의 수용공간(11)속으로 삽입되어 설치되고 바깥 둘레면에는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의 결합구멍(12)으로 삽입되어서 결합되는 후크형상으로 된 다수개의 결합돌기(22a)가 형성되며 끝단에는 상기 커버돌기(22b)와 상기 커버홈(22c)이 원주방향을 따라 한 개씩 교대로 배치되도록 형성된 구성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커버(20)는 상기 덮개부(21)와 상기 원통부(22)를 연결하는 안쪽의 경계면에 이탈방지턱면(23)을 구비하도록 형성된 구성이다.
상기 푸시로드(30)는 상기 스위치하우징(10)속에 수납되어서 일단이 상기 하우징커버(20)를 관통하여 밖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스위치하우징(10)속에 위치한 끝면이 산과 골의 모양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진 작동면()을 구비한 구성이다.
즉, 상기 푸시로드(30)는 상기 하우징커버(20)의 덮개부(21)의 로드구멍(21a)을 관통하는 소직경부(31)와, 상기 소직경부(31)로부터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하우징커버(20)의 원통부(22)속에 위치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끝면이 산과 골의 모양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진 작동면(32a)으로 형성된 대직경 부(32)와, 상기 소직경부(31)와 상기 대직경부(32)를 연결하는 바깥쪽의 경계면에 형성되면서 상기 하우징커버(20)의 이탈방지턱면(23)과 접촉하는 걸림턱면(33)을 구비한 구성이다.
상기 캐리어(40)는 상기 스위치하우징(10)속에서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른 이동 및 원주방향을 따른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바깥 둘레면에는 상기 푸시로드(30)의 작동면(32a)과 접촉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커버(20)의 커버홈(22c)으로 삽입되는 다수개의 캐리어돌기(41)가 원주향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푸시로드(30)의 작동면(32a)과 접촉하는 상기 캐리어돌기(41)의 면이 상기 하우징커버(20)에서 커버돌기(22b)의 경사면(22d)과 동일한 방향성을 갖는 경사면(41a)으로 형성된 구성이다.
즉, 상기 다수개의 캐리어돌기(41)는 상기 하우징커버(20)의 원통부(22)속으로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 원판형상 몸체부(42)에서 상기 몸체부(42)의 원주향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게 형성되는데, 상기 다수개의 캐리어돌기(41)는 기역자 단면모양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푸시로드(30)를 향하는 상기 몸체부(42)의 한쪽 면과 상기 몸체부(42)의 바깥 둘레면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캐리어돌기(41)는 상기 몸체부(42)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부(42)로부터 돌출된 부위가 상기 하우징커버(20)의 커버홈(22c)으로 삽입되며, 상기 다수개의 캐리어돌기(41)는 상기 푸시로드(30)를 향하는 면이 상기 하우징커버(20)의 경사면(22d) 및 상기 푸시로드(30)의 작동면(32a)과 접촉하는 경사면(41a)으로 형성된 구성인 것이다.
한편, 상기 하우징커버(20)에 구비된 상기 경사면(22d)의 경사각과 상기 캐리어(40)에 구비된 상기 경사면(41a)의 경사각은 서로 동일한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캐리어(40)의 경사면(41a)이 상기 하우징커버(20)의 경사면(22d)과 접촉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상기 캐리어(40)가 시계 및 반 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따라 원활히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캐리어(40)는 상기 캐리어스프링(50)과 접촉하는 상기 몸체부(42)의 반대쪽 면에 상기 캐리어스프링(50)이 삽입되는 스프링홈(43)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홈(44)의 중앙부에는 상기 푸시로드(30)를 향하는 방향으로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사다리꼴 단면모양의 마찰플레이트삽입홈(4)이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상기 캐리어스프링(50)의 일단은 상기 스위치하우징(10)속에 수납되어서 상기 스위치하우징(10)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캐리어(40)에 형성된 스프링홈(43)으로 삽입되어서 상기 캐리어(40)에 지지되어 설치된다.
상기 마찰플레이트(60)는 상기 캐리어스프링(50)속에 위치한 상태에서 일단은 상기 스위치하우징(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캐리어(40)와 접촉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캐리어(40)가 상기 캐리어스프링(50)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탄력적으로 오므라들면서 수축하게 되고 이러한 수축력은 상기 캐리어(40)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캐리어(40)에 복원력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즉, 상기 마찰플레이트(60)는 상기 캐리어스프링(50)속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하우징(10)에 밀착 설치되는 밀착면부(61)와, 상기 밀착면부(61)의 일 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서 상기 스위치하우징(10)과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62)와, 상기 밀착면부(61)의 타면으로부터 두 개로 갈라진 상태로 연장되어서 서로 마주 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40)의 직선 이동시 상기 마찰플레이트삽입홈(44)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탄력적으로 오므라들면서 수축되는 플레이트돌기(63)를 구비한 구성이다.
상기 터미널부재(70)는 마찰플레이트(60)에 심어진 상태로 상기 마찰플레이트(60)에 결합되어 설치되는데, 일단은 상기 마찰플레이트(60)의 고정부(62)를 통해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을 관통하여 돌출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플레이트돌기(63)에 서로 마주 대하는 형태로 고정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터미널부재(70)는 상기 플레이트돌기(63)가 상기 마찰플레이트삽입홈(44)속으로 삽입되어서 서로 오므라드는 수축 작용을 할 때에 서로 접촉하게 되고, 반대로 상기 플레이트돌기(63)가 상기 마찰플레이트삽입홈(44)속으로부터 빠져나감에 따라 서로 벌어지는 동작을 할 때에 단락된 상태가 된다.
상기 터미널부재(70)는 서로 접촉하는 동작 및 단락되는 동작에 따라 온(ON)/오프(OFF) 동작으로 구분되고, 상기 터미널부재(70)의 온(ON)/오프(OFF) 동작은 전기적인 신호로서 엔진제어유니트로 전달되며, 상기 엔진제어유니트는 스로틀포지션센서(TPS)로 신호를 보내 스로틀밸브의 개도를 제어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과 도 9 및 도 10의 상태는 페달(3a)에 답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이고 아울러 페달암(3)이 페달암하우징(1)에 대해 회동하지 않는 상태이다.
이때, 캐리어스프링(50)은 최대로 인장된 상태이고, 캐리어돌기(41)는 하우징커버(20)의 커버홈(22c)으로 삽입된 상태이며, 캐리어(40)에 지지된 푸시로드(30)는 소직경부(31)가 하우징커버(20)의 로드구멍(21a)을 통해 최대로 돌출된 상태이다.
또한, 마찰플레이트(60)의 플레이트돌기(63)가 캐리어(40)의 마찰플레이트삽입홈(44)속으로 삽입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터미널부재(70)는 서로 접촉하지 않은 상태인 오프(OFF) 상태로 존재하는 상태이다.
상기의 상태에서 페달(3a)에 답력이 가해지고 이때의 답력에 의해 페달암(3)이 페달암하우징(1)에 대해 회동하여, 푸시로드(30)의 소직경부(31)가 하우징플레이트(1a)와 접촉을 하게 되면, 이때부터 상기 푸시로드(30)는 가압력을 전달받아서 마찰플레이트(60)가 있는 스위치하우징(10)의 수용공간(11)속으로 삽입되는 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 푸시로드(30)가 스위치하우징(10)의 수용공간(11)속으로 삽입되는 이동을 하게 되면, 캐리어스프링(50)은 압축 변형되고, 캐리어(40)의 마찰플레이트삽입홈(44)속으로는 마찰플레이트(60)의 플레이트돌기(63)가 삽입된다.
마찰플레이트삽입홈(44)속으로 삽입되기 전의 플레이트돌기(63)는 서로 벌어진 상태인데, 캐리어(40)가 이동하여 상기 마찰플레이트삽입홈(44)으로 상기 플레이트돌기(63)가 삽입되면 상기 플레이트돌기(63)는 탄력적으로 오므라들게 된다.
따라서, 플레이트돌기(63)는 마찰플레이트삽입홈(44)에 삽입된 상태에서 복원력에 의해 벌어지려는 힘을 갖게 되고, 이러한 반력의 힘은 캐리어(40)로 전달된 다.
또한, 캐리어(40)가 이동하여 캐리어스프링(50)이 압축되면, 상기 캐리어스프링(50)도 복원되려는 힘을 갖게 되고, 이러한 상기 캐리어스프링(50)의 반력도 상기 캐리어(40)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상기 캐리어스프링(50)의 반력과 상기 플레이트돌기(63)의 반력이 캐리어(40)로 전달되면, 이 반력의 힘은 푸시로드(30)를 통해 페달암(3)으로 전달되고, 상기 페달암(3)을 통해 운전자에게로 전달됨으로써, 운전자는 이때부터 킥 다운(kick down) 시작 시점임을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플레이트돌기(63)가 마찰플레이트삽입홈(44)으로 삽입되면서 서로 오므라드는 수축작용을 하게 되면, 단락되어 있던 터미널부재(70)는 어느 시점부터 서로 접촉하여 온(ON)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터미널부재(70)가 온(ON) 상태가 되면 이때의 신호는 엔진제어유니트를 통해 스로틀포지션센서(TPS)로 전달됨으로써 스로틀밸브의 개도량은 급격히 증가하게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운전자가 페달(3a)을 더 밟아서 상기 페달(3a)에 가해지는 답력이 더 커지게 되면 페달암(3)의 회전각은 더욱 커지게 되며, 마찰플레이트(60)를 향한 푸시로드(30)의 이동양은 더욱 커지게 된다.
푸시로드(30)가 최대의 가압력을 받아서 이동 양이 최대가 되면, 커버홈(22c)속에 위치하고 있던 캐리어돌기(41)는 도 11과 같이 상기 커버홈(22c)속으로부터 빠지게 되고, 캐리어스프링(50)은 도 12와 같이 최대로 압축 변형되고, 플 레이트돌기(63)는 마찰플레이트삽입홈(44)속으로 최대로 삽입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캐리어스프링(50)의 반력과 상기 플레이트돌기(63)의 반력은 최대가 되고, 이러한 반력의 힘은 페달암(3)을 통해 운전자에게로 전달됨으로써, 운전자는 이때부터 킥 다운(kick down) 최대 시점임을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푸시로드(30)를 통해 캐리어(40)가 최대의 가압력을 전달받고 있는 상태에서 도 11과 같이 캐리어돌기(41)가 커버홈(22c)속으로부터 빠지게 되면, 상기 푸시로드(30)의 작동면(32a)은 도 11의 상태에서 상기 캐리어(40)의 경사면(41a)을 따라 반 시계방향(우측)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갖게 되는데, 상기 푸시로드(30)는 상기 경사면(41a)을 따라 회전할 수 없는 고정 상태이므로, 대신 상기 캐리어(40)의 경사면(41a)이 경사진 상기 푸시로드(30)의 작동면(32a)을 타고 도 11의 상태에서 시계방향(좌측)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캐리어(40)의 경사면(41a)이 푸시로드(30)의 작동면(32a)을 타고 도 11의 상태에서 시계방향(좌측)으로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캐리어(40)의 경사면(41a)은 도 13과 같이 하우징커버(20)의 경사면(22d)을 타고 계속해서 이동을 하게 되므로 상기 캐리어(40)는 시계방향 회전을 하면서 상승 이동하게 되는 바, 운전자는 상기 캐리어(40)의 동작을 통해 킥 다운 작동에 대한 절도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페달(3a)로부터 답력을 제거하여 주면, 캐리어(40)는 캐리어스프링(50)과 플레이트돌기(63)의 복원력을 전달받아서 하우징커버(20)가 있는 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해 1클릭 회전한 캐리어돌기(41)는 다음 번에 위치한 상기 하우징커버(20)의 커버홈(22c)속으로 재차 삽입됨으로써, 다음 번의 킥 다운 동작을 준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서로 접촉하여 온(ON) 상태에 있던 터미널부재(70)는 단락되어 오프(OFF) 상태로 전환되고, 이때의 신호는 엔진제어유니트를 통해 스로틀포지션센서(TPS)로 전달됨으로써 스로틀밸브의 개도량은 킥 다운 이전의 상태로 감소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 실시예의 전자식 킥 다운 스위치 장치는, 운전자에게 조작감 향상을 부여할 수 있게 되고, 또한 페달암(3)의 조작에 따른 피로감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되며, 아울러 안정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킥 다운 스위치 장치는 스로틀밸브의 개도량이 터미널부재(70)의 (ON)/오프(OFF) 동작에 의해 이루어지는 구성이므로, 보다 신속한 킥 다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킥 다운 스위치 장치(5)에서 스위치하우징(10)이 가속페달 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플레이트(1a)에 고정 설치되는 구성이면, 푸시로드(30)는 페달암(3)의 회전시 상기 페달암(3)에 의해 가압되는 구성을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킥 다운 스위치 장치가 가속페달 장치의 페달암에 구비된 도면,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킥 다운 스위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 및 결합상태 단면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킥 다운 스위치 장치의 하우징커버와 푸시로드의 정면도,
도 6과 도 7은 캐리어의 정면도와 저면도,
도 8은 마찰플레이트와 터미널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와 도 10은 푸시로드가 가압되기 전 상태의 도면,
도 11과 도 12는 킥 다운 최대 시점 상태의 도면,
도 13은 킥 다운의 절도감을 부여하는 동작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페달암하우징 1a - 하우징플레이트
3 - 페달암 3a - 페달
10 - 스위치하우징 11- 수용공간
20 - 하우징커버 30 - 푸시로드
40 - 캐리어 50 - 캐리어스프링
60 - 마찰플레이트 70 - 터미널부재

Claims (11)

  1. 일단이 개구된 수용공간(11)을 구비한 원통형 스위치하우징(10)과;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의 개구된 일단을 덧대여지면서 상기 스위치하우징(10)에 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하우징(10)속에 위치한 끝단에 다수개의 커버돌기(22b)와 커버홈(22c)이 원주방향을 따라 한 개씩 교대로 배치되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커버돌기(22b)의 끝면이 시계 및 반 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따라 경사면(22d)으로 형성된 하우징커버(20)와;
    상기 스위치하우징(10)속에 수납되어서 일단이 상기 하우징커버(20)를 관통하여 밖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스위치하우징(10)속에 위치한 끝면이 산과 골의 모양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진 작동면(32a)으로 형성된 푸시로드(30)와;
    상기 스위치하우징(10)속에서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른 이동 및 원주방향을 따른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바깥 둘레면에는 상기 푸시로드(30)의 작동면(32a)과 접촉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커버(20)의 커버홈(22c)으로 삽입되는 다수개의 캐리어돌기(41)가 원주향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푸시로드(30)의 작동면(32a)과 접촉하는 상기 캐리어돌기(41)의 면이 상기 커버돌기(22b)의 경사면(22d)과 동일한 방향의 경사면(41a)으로 형성된 캐리어(40)와;
    상기 스위치하우징(10)속에 수납되어서 일단은 상기 스위치하우징(10)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캐리어(40)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캐리어스프링(50)과;
    상기 캐리어스프링(50)속에 위치한 상태에서 일단은 상기 스위치하우징(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캐리어(40)와 접촉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캐리어(40)가 상기 캐리어스프링(50)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탄력적으로 오므라들면서 수축하는 마찰플레이트(60)와;
    상기 마찰플레이트(60)에 구비되어서 상기 마찰플레이트(60)가 오므라들면서 수축할 때와 복원될 때 온(ON)/오프(OFF) 동작을 함과 동시에 온(ON)/오프(OFF) 동작시의 신호를 엔진제어유니트로 전달하는 터미널부재(70);
    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전자식 킥 다운 스위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하우징(10)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결합구멍(12)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커버(20)에는 상기 결합구멍(12)으로 삽입되어서 결합되는 결합돌기(22a)가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자식 킥 다운 스위치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커버(20)는,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의 개구된 일단에 덧대여지고 중앙에 로드구멍(21a)이 형성된 덮개부(21)와;
    상기 로드구멍(21a)보다 큰 직경을 갖는 내경을 구비하도록 상기 덮개부(21)로부터 연장되어서 상기 덮개부(21)가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의 개구된 일단에 덧 대여질 때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의 수용공간(11)속으로 삽입되어 설치되고, 바깥 둘레면에는 상기 결합돌기(22a)가 형성되며, 끝단에는 상기 커버돌기(22b)와 상기 커버홈(22c)이 원주방향을 따라 한 개씩 교대로 배치되도록 형성된 원통부(22)와;
    상기 덮개부(21)와 상기 원통부(22)를 연결하는 안쪽의 경계면에 형성된 이탈방지턱면(23);
    을 구비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자식 킥 다운 스위치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30)는,
    상기 덮개부(21)의 로드구멍(21a)을 관통하는 소직경부(31)와;
    상기 소직경부(31)로부터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원통부(22)속에 위치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끝면이 산과 골의 모양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진 작동면(32a)으로 형성된 대직경부(32)와;
    상기 소직경부(31)와 상기 대직경부(32)를 연결하는 바깥쪽의 경계면에 형성되면서 상기 이탈방지턱면(23)과 접촉하는 걸림턱면(33);
    을 구비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자식 킥 다운 스위치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캐리어돌기(41)는 상기 하우징커버(20)의 원통부(22)속으로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 원판형상 몸체부(42)에서 상기 몸체 부(42)의 원주향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게 형성되는데;
    상기 다수개의 캐리어돌기(41)는 기역자 단면모양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푸시로드(30)를 향하는 상기 몸체부(42)의 한쪽 면과 상기 몸체부(42)의 바깥 둘레면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캐리어돌기(41)는 상기 몸체부(42)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부(42)로부터 돌출된 부위가 상기 하우징커버(20)의 커버홈(22c)으로 삽입되며;
    상기 다수개의 캐리어돌기(41)는 상기 푸시로드(30)를 향하는 면이 상기 하우징커버(20)의 경사면(22d) 및 상기 푸시로드(30)의 작동면(32a)과 접촉하도록 형성된 경사면(41a)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자식 킥 다운 스위치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스프링(50)과 접촉하는 상기 몸체부(42)의 반대쪽 면에는 상기 캐리어스프링(50)이 삽입되는 스프링홈(43)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홈(43)의 중앙부에는 상기 푸시로드(30)를 향하는 방향으로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사다리꼴 단면모양의 마찰플레이트삽입홈(44)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자식 킥 다운 스위치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마찰플레이트(60)는,
    상기 캐리어스프링(50)속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하우징(10)에 밀착 설치되는 밀착면부(61)와;
    상기 밀착면부(61)의 일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서 상기 스위치하우징(10)과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62)와;
    상기 밀착면부(61)의 타면으로부터 두 개로 갈라진 상태로 연장되어서 서로 마주 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40)의 직선 이동시 상기 마찰플레이트삽입홈(44)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탄력적으로 오므라들면서 수축되는 플레이트돌기(63);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자식 킥 다운 스위치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부재(70)는 상기 마찰플레이트(60)에 심어진 상태로 상기 마찰플레이트(60)에 결합되어 설치되면서, 일단은 상기 마찰플레이트(60)의 고정부(62)를 통해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을 관통하여 돌출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플레이트돌기(63)에 서로 마주 대하는 형태로 고정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자식 킥 다운 스위치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커버(20)에 구비된 상기 경사면(22d)의 경사각과 상기 캐리어(40)에 구비된 상기 경사면(41a)의 경사각은 서로 동일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자식 킥 다운 스위치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은 가속페달 장치를 구성하는 페달암(3)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푸시로드(30)는 상기 페달암(3)의 회전시 하우징플레이트(1a)에 접촉하여 가압되는 구성을 갖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자식 킥 다운 스위치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은 가속페달 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플레이트(1a)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푸시로드(30)는 페달암(3)의 회전시 상기 페달암(3)에 의해 가압되는 구성을 갖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자식 킥 다운 스위치 장치.
KR1020090079529A 2009-08-27 2009-08-27 자동차용 전자식 킥 다운 스위치 장치 KR101047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529A KR101047393B1 (ko) 2009-08-27 2009-08-27 자동차용 전자식 킥 다운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529A KR101047393B1 (ko) 2009-08-27 2009-08-27 자동차용 전자식 킥 다운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119A true KR20110022119A (ko) 2011-03-07
KR101047393B1 KR101047393B1 (ko) 2011-07-07

Family

ID=43930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9529A KR101047393B1 (ko) 2009-08-27 2009-08-27 자동차용 전자식 킥 다운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739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776B1 (ko) * 2012-02-29 2013-09-23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회전형 킥다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킥다운 페달 구조체
KR101637810B1 (ko) * 2015-02-06 2016-07-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속페달용 킥 다운 스위치
KR101646448B1 (ko) * 2015-02-11 2016-08-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속페달용 킥 다운 스위치
KR20160143131A (ko) * 2015-06-04 2016-1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속페달용 킥 다운 스위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62354B (zh) * 2012-12-28 2015-09-02 华南理工大学 一种双向间歇运动机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3871A (ja) 2001-03-23 2002-10-03 Aisin Seiki Co Ltd アクセルペダル装置
WO2003022616A1 (de) 2001-08-31 2003-03-20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schleissfreier fahrpedal-kick-down-schalter
DE102005038750A1 (de) * 2005-08-17 2007-02-22 Robert Bosch Gmbh Kick-Down-Einrichtung eines Fahrpedalmoduls
JP2007095420A (ja) 2005-09-28 2007-04-12 Denso Corp アクセル装置のキックダウンスイッチ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776B1 (ko) * 2012-02-29 2013-09-23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회전형 킥다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킥다운 페달 구조체
KR101637810B1 (ko) * 2015-02-06 2016-07-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속페달용 킥 다운 스위치
KR101646448B1 (ko) * 2015-02-11 2016-08-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속페달용 킥 다운 스위치
KR20160143131A (ko) * 2015-06-04 2016-1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속페달용 킥 다운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7393B1 (ko)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2430B2 (en) Accelerator pedal for a vehicle
KR101047393B1 (ko) 자동차용 전자식 킥 다운 스위치 장치
EP2390752B1 (en) Accelerator Pedal For A Vehicle
US20060185469A1 (en) Pedal for motorized vehicle
US20090064816A1 (en) Kick down switch of accelerator pedal apparatus
US9849780B2 (en) Safety apparatus of accelerator pedal for vehicle
EP0748958A2 (en) Shift lock mechanism for shift lever device
JP2572256Y2 (ja) 多段ロータリースイッチ
US6167778B1 (en) Gas pedal for a motor vehicle
US20200254874A1 (en) Vehicle accelerator pedal having dual hysteresis generating structure
KR101109417B1 (ko) 자동차용 기계식 킥 다운 스위치 장치
CN108027626B (zh) 具有致动阻尼的踏板装置
JP2007095420A (ja) アクセル装置のキックダウンスイッチ
JPH1083224A (ja) 車両用アクセルペダル装置
WO1996038682A1 (en) Electronically actuated auxiliary throttle control system
KR101427822B1 (ko) 가속페달 모듈용 킥 다운 스위치
KR100614524B1 (ko) 가속페달의 반력 조절 장치
JP3902436B2 (ja) 車載用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
KR101459427B1 (ko) 차량 가속 페달용 킥다운 스위치
JP4105268B2 (ja) 操作レバーの支点構造
JP3805915B2 (ja) 多方向入力装置
KR100494791B1 (ko) 작동력 가변 가속페달 시스템
JP2917101B2 (ja) 自動変速機用シフトレバー装置
JP7359644B2 (ja) レンジ選択機構
JP3869665B2 (ja) 樹脂ペダルのロッド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