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4524B1 - 가속페달의 반력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가속페달의 반력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4524B1
KR100614524B1 KR1020050076690A KR20050076690A KR100614524B1 KR 100614524 B1 KR100614524 B1 KR 100614524B1 KR 1020050076690 A KR1020050076690 A KR 1020050076690A KR 20050076690 A KR20050076690 A KR 20050076690A KR 100614524 B1 KR100614524 B1 KR 100614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lerator pedal
plunger
arm
lever
reaction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6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민
옥충석
Original Assignee
(주) 동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동희산업 filed Critical (주) 동희산업
Priority to KR1020050076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4524B1/ko
Priority to US11/495,561 priority patent/US2007003940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4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4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4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means connecting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to propulsion uni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60K26/021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with means for providing feel, e.g. by changing pedal force characteristic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3Means for enhancing the operator's awareness of arrival of the controlling member at a command or datum position; Providing feel, e.g. means for creating a counterfo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59/18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dependent on the posi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 F16H59/20Kickdow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28Foot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최대 스트로크로 밟으면, 가속페달을 리턴시키기 위해 장착된 리턴스프링이 제공하는 선형적인 탄성력의 변화 이외에 턴오버스프링이 제공하는 별도의 순간적인 힘의 증감이 가속페달을 통해 운전자에게 전달되도록 하여,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최대 스트로크로 밟을 때 절도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가속페달의 반력 조절 장치{adjusting apparatus with a reaction force of an accelerator pedal}
도 1은 본 발명이 달성하고자 하는 가속페달의 반력 조절 장치의 작동 특성을 설명하는 그래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속페달의 반력 조절 장치가 적용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 가속페달의 반력 조절 장치의 작동을 설명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두 실시예를 비교 설명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가속페달 3; 제1아암
5; 제2아암 7; 턴오버스프링
9; 바디 11; 플런져
13; 지지스프링 15; 레버
17; 페달유닛하우징 19; 가이드로드
21; 내측가이드 23; 외측가이드
25; 핀 27; 장공
29; 제1브랜치 31; 제2브랜치
본 발명은 가속페달의 반력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서 가속페달이 최대 스트로크로 밟힐 때 운전자가 이를 가속페달을 통해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속페달은 통상 차체에 대하여 힌지축으로 지지되고, 단순한 코일스프링 형태의 리턴스프링에 의해 탄성력을 받도록 되어 있어서,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밟으면, 상기 리턴스프링이 제공하는 선형적인 탄성력의 증가가 가속페달을 통해 운전자에게 전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달되는 선형적인 힘은 가속페달이 최대 스트로크로 밟혀서 더 이상 회동이 억제되는 순간까지 지속되므로, 운전자는 가속페달이 더 이상 밟히지 않는 상태에 이르러서야 확실하게 가속페달이 최대의 스트로크로 밟혔다는 사실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종래에 가속페달과 스로틀밸브가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차량에서는 상기 가속페달이 밟힘에 따라 스로틀밸브의 기계적인 작동에서 비롯되는 힘의 변화 및 가속페달과 스로틀밸브 사이를 연결하는 기구적 구성의 작동에서 비롯되는 힘의 변화가 가속페달을 통해 운전자에게 전달되어, 민감한 운전자의 경우 가속페달의 스트로크 변화를 어느 정도 감지할 수도 있지만, 최근에 사용되고 있는 전자식 스로틀 장치와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는 이러한 힘의 변화를 전달할 기구적인 연결이 없어서 운전자가 느끼는 가속페달의 조작감은 매우 단순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최대 스트로크로 밟으면, 가속페달을 리턴시키기 위해 장착된 리턴스프링이 제공하는 선형적인 탄성력의 변화 이외에 별도의 순간적인 힘의 증감이 가속페달을 통해 운전자에게 전달되도록 하여,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최대 스트로크로 밟을 때 절도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가속페달의 반력 조절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가속페달의 반력 조절 장치는
가속페달과;
원형으로 권선된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로부터 양쪽으로 각각 연장된 제1아암 및 제2아암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아암 및 제2아암은 상기 코일부의 중심축과 평행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된 회동축을 각각 구비한 턴오버스프링과;
상기 가속페달의 전체 회동스트로크 중 일부 구간에서 상기 가속페달의 회동운동을 상기 턴오버스프링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턴오버스프링은 상기 가속페달로부터 상기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한 방향으로 연속되게 전달된 힘에 의해, 상기 턴오버스프링의 제1아암 및 제2아암 중 어느 한 아암의 회동축이 다른 아암의 회동축에 접근하였다가 이격되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는 가속페달(1)과; 원형으로 권선된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로부터 양쪽으로 각각 연장된 제1아암(3) 및 제2아암(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아암(3) 및 제2아암(5)은 상기 코일부의 중심축과 평행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된 회동축을 각각 구비한 턴오버스프링(7)과; 상기 가속페달(1)의 전체 회동스트로크 중 일부 구간에서 상기 가속페달(1)의 회동운동을 상기 턴오버스프링(7)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턴오버스프링(7)은 상기 가속페달(1)로부터 상기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한 방향으로 연속되게 전달된 힘에 의해, 상기 턴오버스프링(7)의 제1아암(3) 및 제2아암(5) 중 어느 한 아암의 회동축이 다른 아암의 회동축에 접근하였다가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가속페달(1)의 움직임에 대하여 일정하게 고정된 바디(9)와, 회동하는 가속페달(1)에 의해 직선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9)에 설치된 플런져(11)와, 상기 플런져(11)가 가속페달(1)을 향해 밀리도 록 탄성 지지하는 지지스프링(13)과, 상기 플런져(11)의 직선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9)에 설치된 레버(15)를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상기 바디(9)는 도 2와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전자식 가속페달(1) 장치의 경우에는 가속페달(1)이 설치되는 페달유닛하우징(17)에 대하여 일정하게 고정되거나 차체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가속페달(1)의 움직임에 대하여 일정하게 고정된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종래의 기계식 가속페달 장치에도 사용될 수 있는바, 이 경우에는 상기 바디(9)가 가속페달(1)이 고정되는 페달마운팅브라켓 또는 차체에 고정됨으로써, 역시 가속페달(1)의 움직임에 대하여 일정하게 고정된 상태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플런져(11)가 가속페달(1)에 의해 직선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바디(9) 설치되기 위해서는, 상기 플런져(11)의 직선슬라이딩 방향이 대체로 상기 가속페달(1)이 회동하면서 그리는 원호의 접선방향과 평행하게 설정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9) 및 플런져(11)의 가속페달(1)에 대한 설치위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가속페달(1)의 전체 회동스트로크 중 일부 구간에서 상기 가속페달(1)의 회동운동을 상기 턴오버스프링(7)에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야 하는 바, 구체적으로는 상기 가속페달(1)이 최대한으로 밟히기 직전의 일부 구간에서 상기 가속페달(1)이 회동하면서 상기 플런져(11)를 가압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바디(9) 및 플런져(11)가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본 발명이 목적하는 바와 같이 가속페달(1)이 최대 스트로크로 밟히기 직전에 가속페달(1)에서 느껴지는 힘의 급격한 변화가 발생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턴오버스프링(7)은 상기 제1아암(3)이 상기 바디(9)에 설치되고 상기 제2아암(5)이 상기 레버(15)에 설치되어, 상기 레버(15)의 회동각도에 따라 상기 바디(9)와 레버(15) 사이에 작용하는 탄성력이 증감되도록 설치되었다.
즉, 상기 턴오버스프링(7)은 상기 플런져(11)가 가속페달(1)에 의해 눌리지 않을 때, 상기 제2아암(5)의 회동축이 상기 제1아암(3)의 회동축과 상기 레버(15)의 회동축을 연결하는 직선의 일측으로 치우쳐진 상태를 이루고;
상기 플런져(11)가 가속페달(1)에 의해 최대 스트로크로 눌렸을 때, 상기 제2아암(5)의 회동축이 상기 제1아암(3)의 회동축과 상기 레버(15)의 회동축을 연결하는 직선의 타측으로 치우쳐진 상태를 이루도록 설치된 구조이다.
상기 플런져(11)는 가속페달(1)과 접촉하는 맞은편에 플런져(11)의 단면보다 작은 일정한 단면의 가이드로드(19)가 일체로 돌출되고; 상기 바디(9)에는 상기 가이드로드(19)가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내측가이드(21)와, 상기 플런져(11)의 외주를 가이드하는 외측가이드(23)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스프링(13)은 상기 내측가이드(21)와 외측가이드(23)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된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내측가이드(21)와 외측가이드(23)에 의해 상기 플런져(11)의 직선 슬라이딩 운동이 더욱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내구성 및 작동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내측가이드(21)와 외측가이드(23)는 상기 바디(9)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레버(15)와 상기 플런져(11)는 핀(25)과 장공(27)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상기 플런져(11)의 직선슬라이딩 운동을 상기 레버(15)의 회동운동으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바,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레버(15)에 장공(27)이 형성되고, 상기 플런져(11)에 상기 장공(27) 내에 삽입되는 핀(25)을 설치한 구조를 취하였으며, 물론, 상기 장공(27)과 핀(25)의 설치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
상기 레버(15)는 서로 분지된 제1브랜치(29)와 제2브랜치(31)를 구비하여; 상기 제1브랜치(29)는 상기 플런져(11)에 연결되고; 상기 제2브랜치(31)는 상기 턴오버스프링(7)에 연결되도록 하였는바, 결국 상기 제1브랜치(29)에 상기 장공(27)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의 작용을 살펴보면, 운전자가 가속페달(1)을 밟으면, 가속페달(1)은 가속페달(1)을 초기상태로 탄성 지지하도록 설치된 리턴 스프링의 변형이 증가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되는 반력을 받게 되는 보통영역의 작동영역을 가지며, 상기 가속페달(1)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반력 조절 장치의 플런져(11)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턴오버스프링(7)이 제공하는 탄성력을 추가로 받게 되는 반력 조절 영역의 작동영역을 함께 가지게 된다(도 1참조).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은 바디(9)의 설치 위치의 특정에 의해 상기 반력 조절 영역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속페달(1)의 회동각도가 최대 스트로크에 이르는 부근에 설정되어 있다.
상기 플런져(11)가 상기 가속페달(1)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지지스프링(13)을 압축시키면서 직선슬라이딩운동을 하게 되고, 이 운동은 상기 레버(15)를 통해 상기 턴오버스프링(7)에 전달된다.
상기 턴오버스프링(7)은 제1아암(3)이 바디(9)에 고정된 회동축을 형성하므로, 상기 레버(15)의 회동축에 대하여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고, 상기 플런져(11)의 직선 슬라이딩운동이 상기 장공(27)과 핀(25)에 의해 상기 레버(15)의 회동운동으로 변환되어 제공되면, 상기 제2아암(5)의 회동축은 상기 레버(15)와 함께 상기 제1아암(3)의 회동축 및 상기 레버(15)의 회동축에 대하여 이동되어,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아암(3)의 회동축과 상기 레버(15)의 회동축을 잇는 직선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되게 된다.
즉, 도 4의 (가) 상태에는 상기 제2아암(5)의 회동축이 상기 제1아암(3)과 레버(15)의 회동축들을 잇는 직선의 일측에 치우져진 상태이고, 상기 가속페달(1) 이 상기 플런져(11)를 가압하여 상기 레버(15)가 회동되면, 도 4의 (나)의 상태를 지나 도 4의 (다)의 상태로 변화되어, 상기 제2아암(5)의 회동축은 상기 제1아암(3)과 레버(15)의 회동축들을 잇는 직선의 타측으로 치우쳐진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턴오버스프링(7)은 상기 도 4의 (나)의 상태가 도 4의 (가) 또는 (다)의 상태 보다 상기 제1아암(3)에 대한 제2아암(5)의 직선거리가 더 가깝기 때문에, 도 4의 (가) 또는 (다)의 상태 보다 더 큰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작용하는 턴오버스프링(7)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이 도 1의 반력 조절 영역과 같은 가속페달(1)에 작용하는 반력을 형성하게 되며, 도 4의 (나)의 상태가 도 1의 피크포인트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반력 조절 영역의 반력에는 상기 지지스프링(13)의 탄성력도 포함되며, 상기 지지스프링(13)은 상기 가속페달(1)이 상기 플런져(1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즉 가속페달(1)이 반대방향으로 움직일 때, 상기 플런져(11)와 레버(15)를 원위치시킴으로써, 상기 턴오버스프링(7)도 초기의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스프링(13)의 탄성력은 다른 외력의 도움 없이 상기 플런져(11)와 레버(15)를 원위치시키고, 상기 턴오버스프링(7)의 제2아암(5)의 회동축이 도 4의 (다)의 상태로부터 (나)의 상태를 지나갈 수 있는 이상의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가속페달(1)이 상기 플런져(1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플런져(11)와 레버(15) 및 턴오버스프링(7)은 도 4의 (다)의 상태로부터 (나)의 상태를 거쳐 (라)의 상태로 복귀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가속페달(1)을 최대 스트로크로 밟게 되면, 최대 스크로크 근처에서 상기 턴오버스프링(7)에 의해 제공되는 급격한 반력의 증감이 상기 가속페달(1)의 반력으로 운전자에게 전달되어, 운전자는 가속페달(1)로부터 직접 절도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개시하고 있는바, 도 2 내지 도 3에 개시된 상기 실시예에 비추어, 상기 레버(15)의 구성이 생략된 것이다.
즉, 상기 동력전달수단을 가속페달(1)의 움직임에 대하여 일정하게 고정된 바디(9)와, 회동하는 가속페달(1)에 의해 직선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9)에 설치된 플런져(11)와, 상기 플런져(11)가 가속페달(1)을 향해 밀리도록 탄성 지지하는 지지스프링(13)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턴오버스프링(7)은 상기 바디(9)와 플런져(1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플런져(11)의 직선 이동량에 따라 상기 바디(9)와 플런져(11) 사이에 작용하는 탄성력이 증감되도록 설치한 것이다.
상기 턴오버스프링(7)은 상기 플런져(11)가 가속페달(1)에 의해 눌리지 않을 때, 도 5의 (가)와 같이 상기 제2아암(5)의 회동축이 상기 제1아암(3)의 회동축으로부터 상기 플런져(11)의 직선 이동 방향에 수직하게 연결된 직선의 일측으로 치우쳐진 상태를 이루고;
상기 플런져(11)가 가속페달(1)에 의해 최대 스트로크로 눌렸을 때, 도 5의 (다)와 같이 상기 제2아암(5)의 회동축이 상기 제1아암(3)의 회동축으로부터 상기 플런져(11)의 직선 이동 방향에 수직하게 연결된 직선의 타측으로 치우쳐진 상태를 이루도록 설치되었다.
물론, 상기 플런져(11)는 상기 (가)의 상태로부터 (다)의 상태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나)의 상태를 거쳐야 하며, (나)의 상태는 (가) 또는 (다)의 상태에 비하여, 상기 제1아암(3)의 회동축에 대한 상기 제2아암(5)의 회동축까지의 직선거리가 짧아서, 더 큰 탄성력을 상기 플런져(11)를 통해 가속페달(1)로 반력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되어, 도 1에 개시된 반력 조절 영역과 유사한 그래프를 그리게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플런져(11)와 턴오버스프링(7) 사이를 매개하는 레버(15)가 없어도 운전자는 가속페달(1)의 최대스크로크 근처에서 가속페달(1)을 통해 제공되는 반력의 급격한 증감에 의해 절도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도 6은 상기한 바와 같은 두 실시예의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즉, 도 6의 직선경로는 레버(15)가 배제된 실시예에서 플런져(11)의 직선이동에 따른 턴오버스프링(7)의 제1아암(3)의 회동축에 대한 제2아암(5)의 회동축의 변화를 표현하고 있는 것이며, 원호형경로는 플런져(11)가 가속페달(1)에 의해 눌리지 않은 초기상태에서 제1아암(3)과 제2아암(5) 사이의 직선거리가 상기 직선경 로의 경우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레버(15)를 사용한 실시예의 레버(15)의 회동에 따른 턴오버스프링(7)의 제1아암(3)의 회동축에 대한 제2아암(5)의 회동축의 변화를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직선경로와 곡선경로를 비교할 때, 상기 곡선경로의 경우에는 직선경로의 경우에 비하여 제2아암(5)의 회동축이 보다 급격하게 제1아암(3)의 회동축에 가까워졌다가 멀어진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바, 이는 턴오버스프링(7)이 제공하는 탄성력의 변화가 보다 급격하게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레버(15)를 사용하는 실시예의 경우에는 레버(15)를 사용하지 않는 실시예의 경우에 비하여 보다 급격하고 확실한 절도감의 생성이 가능하고, 상기 레버(15)의 회동축으로부터 상기 플런져(11)가 연결된 길이와 상기 턴오버스프링(7)이 연결된 길이의 비를 조절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턴오버스프링(7)의 탄성력 변화 특성을 얻을 수 있어서, 원하는 반력 특성을 형성하기 위한 반력 조절 장치의 설계 자유도를 높여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상기 레버(15)를 사용하지 않는 실시예의 경우에는 부품수의 축소에 따른 비용저감 등의 상대적인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최대 스트로크로 밟으면, 가속페달을 리턴시키기 위해 장착된 리턴스프링이 제공하는 선형적인 탄성력의 변화 이외에 별도의 순간적인 힘의 증감이 가속페달을 통해 운전자에게 전달되도록 하여,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최대 스트로크로 밟을 때 절도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가속페달의 반력 조절 장치를 제공하여 차량의 품질을 고급화시킬 수 있다.

Claims (9)

  1. 가속페달과;
    원형으로 권선된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로부터 양쪽으로 각각 연장된 제1아암 및 제2아암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아암 및 제2아암은 상기 코일부의 중심축과 평행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된 회동축을 각각 구비한 턴오버스프링과;
    상기 가속페달의 전체 회동스트로크 중 일부 구간에서 상기 가속페달의 회동운동을 상기 턴오버스프링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턴오버스프링은 상기 가속페달로부터 상기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한 방향으로 연속되게 전달된 힘에 의해, 상기 턴오버스프링의 제1아암 및 제2아암 중 어느 한 아암의 회동축이 다른 아암의 회동축에 접근하였다가 이격되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의 반력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가속페달의 움직임에 대하여 일정하게 고정된 바디와;
    회동하는 가속페달에 의해 직선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에 설치된 플런져와;
    상기 플런져가 가속페달을 향해 밀리도록 탄성 지지하는 지지스프링과;
    상기 플런져의 직선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에 설치된 레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턴오버스프링은 상기 바디와 레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레버의 회동각도에 따라 상기 바디와 레버 사이에 작용하는 탄성력이 증감되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의 반력 조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져는 가속페달과 접촉하는 맞은편에 플런져의 단면보다 작은 일정한 단면의 가이드로드가 일체로 돌출되고;
    상기 바디에는 상기 가이드로드가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내측가이드와, 상기 플런져의 외주를 가이드하는 외측가이드가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의 반력 조절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스프링은 상기 내측가이드와 외측가이드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된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의 반력 조절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와 상기 플런져는 핀과 장공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상기 플런져의 직선슬라이딩 운동을 상기 레버의 회동운동으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의 반력 조절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서로 분지된 제1브랜치와 제2브랜치를 구비하여;
    상기 제1브랜치는 상기 플런져에 연결되고;
    상기 제2브랜치는 상기 턴오버스프링에 연결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의 반력 조절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턴오버스프링은
    상기 플런져가 가속페달에 의해 눌리지 않을 때, 상기 제2아암의 회동축이 상기 제1아암의 회동축과 상기 레버의 회동축을 연결하는 직선의 일측으로 치우쳐진 상태를 이루고;
    상기 플런져가 가속페달에 의해 최대 스트로크로 눌렸을 때, 상기 제2아암의 회동축이 상기 제1아암의 회동축과 상기 레버의 회동축을 연결하는 직선의 타측으로 치우쳐진 상태를 이루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의 반력 조절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가속페달의 움직임에 대하여 일정하게 고정된 바디와;
    회동하는 가속페달에 의해 직선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에 설치된 플런져와;
    상기 플런져가 가속페달을 향해 밀리도록 탄성 지지하는 지지스프링;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턴오버스프링은 상기 바디와 플런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플런져의 직선 이동량에 따라 상기 바디와 플런져 사이에 작용하는 탄성력이 증감되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의 반력 조절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턴오버스프링은
    상기 플런져가 가속페달에 의해 눌리지 않을 때, 상기 제2아암의 회동축이 상기 제1아암의 회동축으로부터 상기 플런져의 직선 이동 방향에 수직하게 연결된 직선의 일측으로 치우쳐진 상태를 이루고;
    상기 플런져가 가속페달에 의해 최대 스트로크로 눌렸을 때, 상기 제2아암의 회동축이 상기 제1아암의 회동축으로부터 상기 플런져의 직선 이동 방향에 수직하게 연결된 직선의 타측으로 치우쳐진 상태를 이루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의 반력 조절 장치.
KR1020050076690A 2005-08-22 2005-08-22 가속페달의 반력 조절 장치 KR100614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6690A KR100614524B1 (ko) 2005-08-22 2005-08-22 가속페달의 반력 조절 장치
US11/495,561 US20070039405A1 (en) 2005-08-22 2006-07-31 Reacting force controller for accelerator ped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6690A KR100614524B1 (ko) 2005-08-22 2005-08-22 가속페달의 반력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4524B1 true KR100614524B1 (ko) 2006-08-25

Family

ID=37601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6690A KR100614524B1 (ko) 2005-08-22 2005-08-22 가속페달의 반력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70039405A1 (ko)
KR (1) KR1006145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333B1 (ko) 2007-01-09 2008-06-04 주식회사 동희산업 오르간 타입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스위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200B1 (ko) * 2007-09-11 2009-01-07 주식회사 동희산업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 스위치
JP6702157B2 (ja) * 2016-11-25 2020-05-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アクセルペダルの反力付与装置
KR102692360B1 (ko) * 2019-12-12 2024-08-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가속 페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50228U (ko) 1986-03-18 1987-09-22
JPS6350732U (ko) 1986-09-22 1988-04-06
JPH04148211A (ja) * 1990-10-08 1992-05-21 Nissan Motor Co Ltd クラッチ操作装置
JPH04216113A (ja) * 1990-12-17 1992-08-06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クラッチペダル用ターンオーバー機構
KR20060053407A (ko) * 2004-11-15 2006-05-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킥 다운 스위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6733U (ko) * 1986-02-27 1987-12-14
US4907468A (en) * 1986-11-14 1990-03-13 Topre Corporation Pedal effort-reduction apparatus
NL8701503A (nl) * 1987-06-26 1989-01-16 Timotheus Theodorus Van Der Vl Gecombineerd gas- rempedaal systeem.
JPH0640510Y2 (ja) * 1988-05-21 1994-10-2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クラッチペダル
US5555774A (en) * 1995-03-06 1996-09-17 Ford Motor Company Control pedal effort reduction and return assist
DE19531735C1 (de) * 1995-08-29 1997-02-13 Daimler Benz Ag Fahrpedaleinheit für Fahrzeuge
GB9721723D0 (en) * 1997-10-15 1997-12-10 Rover Group Vehicle brake systems
US6240801B1 (en) * 1998-03-20 2001-06-05 Oiles Corporation Friction damper and pedal device for vehicle having the friction damper
DE10007743A1 (de) * 2000-02-19 2001-08-23 Mannesmann Vdo Ag Pedal
US7540218B2 (en) * 2004-04-19 2009-06-02 Intier Automotive Closures, Inc. Brake assembl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50228U (ko) 1986-03-18 1987-09-22
JPS6350732U (ko) 1986-09-22 1988-04-06
JPH04148211A (ja) * 1990-10-08 1992-05-21 Nissan Motor Co Ltd クラッチ操作装置
JPH04216113A (ja) * 1990-12-17 1992-08-06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クラッチペダル用ターンオーバー機構
KR20060053407A (ko) * 2004-11-15 2006-05-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킥 다운 스위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333B1 (ko) 2007-01-09 2008-06-04 주식회사 동희산업 오르간 타입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39405A1 (en) 200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95641B1 (en) An electronic foot pedal having improved biasing arrangement
CN113302572B (zh) 用于车辆的踏板仿真器
US7926384B2 (en) Accelerator pedal for motorized vehicle
US9457660B2 (en) Accelerator pedal apparatus
US20020100341A1 (en) Accelerator pedal assembly
JP5492360B2 (ja) ペダル操作量検出装置
WO2006091347A1 (en) Pedal for motorized vehicle
KR101401403B1 (ko) 히스테리시스 발생 페달 장치
US6718845B2 (en) Pedal assembly with radially overlying sensor and hysteresis
CN104185573B (zh) 用于机动车辆的转向柱开关系统的复位装置和机动车辆
US20090071285A1 (en) Pedal arrangement for operating a clutch
KR100614524B1 (ko) 가속페달의 반력 조절 장치
US6263758B1 (en) Accelerator pedal mechanism for vehicle
KR20110061512A (ko) 수평축 주위로 선회하는 스탠딩 페달을 구비하는 페달 장치
US20060112931A1 (en) Accelerator pedal device
CN108027626B (zh) 具有致动阻尼的踏板装置
KR101050775B1 (ko) 차량용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
JPH1083224A (ja) 車両用アクセルペダル装置
KR20110022119A (ko) 자동차용 전자식 킥 다운 스위치 장치
KR100614525B1 (ko) 가속페달의 반력 조절 장치
KR20000029163A (ko) 작동 요소를 위한 베어링 모듈
JP2004169656A (ja) アクセルペダル装置
KR100421811B1 (ko) 스위치, 특히 자동차 브레이크등 스위치
JP5806126B2 (ja) トラニオン軸の回転位置検出機構
KR100494791B1 (ko) 작동력 가변 가속페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