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3878B1 - 발포 폴리올레핀 조성물 - Google Patents

발포 폴리올레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3878B1
KR101643878B1 KR1020117013719A KR20117013719A KR101643878B1 KR 101643878 B1 KR101643878 B1 KR 101643878B1 KR 1020117013719 A KR1020117013719 A KR 1020117013719A KR 20117013719 A KR20117013719 A KR 20117013719A KR 101643878 B1 KR101643878 B1 KR 101643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ene
polyolefin composition
propylene
foamed polyolefin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3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1156A (ko
Inventor
루카 룬기
알레산드로 메드리
Original Assignee
바셀 폴리올레핀 이탈리아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셀 폴리올레핀 이탈리아 에스.알.엘 filed Critical 바셀 폴리올레핀 이탈리아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110101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1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8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1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everal polymeric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1/00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 C08J2201/02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pre- or post-treatments
    • C08J2201/03Extrusion of the foamable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3/00Foams characterized by the expanding agent
    • C08J2203/06CO2, N2 or noble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A) 50% 내지 90% 의 폴리프로필렌 성분; 및 B) 10% 내지 50% 의, 에틸렌 및 하나 이상의 C3-C10 α-올레핀의 공중합체 성분 (상기 공중합체는 15% 내지 50% 의 에틸렌, 및 임의로 미량의 디엔을 함유함) 을 포함하는 (모든 % 양은 중량 기준임) 발포 폴리올레핀 조성물로서; 상기 (A) 및 (B) 의 양이 (A) 와 (B) 의 총 중량에 대한 것이며; 상기 조성물이 이하의 특징 i) 및 ii) 중 하나 이상 또는 둘 모두를 갖는 발포 폴리올레핀 조성물: i) 4 이상의, 성분 (A) 의 다분산 지수; ii) 3.5 dl/g 이상의, 실온에서의 자일렌 중 가용분의 점도 [η] 의 값.

Description

발포 폴리올레핀 조성물 {FOAMED POLYOLEFIN COMPOSITION}
본 발명은 낮은 밀도 값을 갖고 따라서 높은 팽창도 및 상당한 함량의 밀폐 셀을 갖는 발포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발포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특히 포장, 단열 및 방음재, 와이어 및 케이블 코팅 및 충격-흡수 부품 (예컨대 자동차 범퍼에서) 의 제조와 같이 많은 응용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폴리올레핀 발포체는 압출/발포 공정으로부터 직접 수득된 발포 시트 또는 파이프의 경우와 같이 제조와 동시에 최종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거나, 또는 발포 비드의 제조에서와 같이 여러 가공 단계를 거친 후 소결함으로써 최종 제품을 수득할 수 있다.
이에, 당 분야에서는 고품질을 갖는, 특히 매우 낮은 밀도를 갖는 발포 폴리올레핀 조성물로서 생산 및 가공이 용이할 수 있는 발포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공하려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특히, 넓은 분자량 분포를 갖는 프로필렌 중합체 및 탄성 특성을 갖는 올레핀 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발포시킴으로써 기계적 특성과 가공성 간의 매우 우수한 균형이 얻어질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WO2007/003523 에 따르면, 이러한 종류의 조성물은, 양호한 발포성을 달성하기 위해, 매우 넓은 분자량 분포, 즉 15 초과의 다분산 지수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성분의 존재를 필요로 한다. 이 예에서는, 30.3 의 다분산 지수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성분, 및 66.6 중량% 의 에틸렌을 함유하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18 중량% 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발포시킴으로써 양호한 발포 거동이 얻어진다.
특히 낮은 값의 밀도가, 상당량의 고도로 개질된 에틸렌 공중합체의 존재에서 유래하는 매력적인 기계적 특성과 함께, 폴리프로필렌 성분과, 특정 에틸렌 함량을 갖는 에틸렌 공중합체가 적절히 선택된 양으로 존재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발포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A)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3% 이하의 에틸렌을 함유하는 프로필렌의 랜덤 공중합체, 6% 이하의 하나 이상의 C4-C10 α-올레핀 및 임의로 3% 이하의 에틸렌을 함유하는 프로필렌의 랜덤 공중합체, 및 임의의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5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75% 의 폴리프로필렌 성분; 및
B) 1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5%,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5% 의, 에틸렌 및 하나 이상의 C3-C10 α-올레핀의 공중합체 성분 (상기 공중합체는 15%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8%,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8% 의 에틸렌, 및 임의로 미량의 디엔을 함유함)
을 포함하는 (모든 % 양은 중량 기준임) 발포 폴리올레핀 조성물로서,
상기 (A) 및 (B) 의 양이 (A) 와 (B) 의 총 중량에 대한 것이며; 상기 조성물이 이하의 특징 i) 및 ii) 중 하나 이상, 또는 둘 모두를 갖는 발포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공한다:
i) 4 이상의, 성분 (A) 의 다분산 지수;
ii) 3.5 dl/g 이상의, 실온 (약 25 ℃) 에서의 자일렌 중 가용분의 점도 [η] 의 값.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발포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성분 (A) 는
AI) 용융 유속 MFRI 이 0.1 내지 10 g/10 분,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g/10 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 g/10 분인, 25% 내지 75%,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의 프로필렌 중합체; 및
AII) 용융 유속 MFRII 이 100 g/10 분 이하, 특히 5 내지 100 g/10 분, 바람직하게 10 내지 100 g/10 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75 g/10 분인, 25% 내지 75%,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의 프로필렌 중합체
를 포함하고 (모든 % 양은 중량 기준임),
여기서, MFRII/MFRI 비 (즉, (AI) 의 MFR 값에 대한 (AII) 의 MFR 값의 비의 값) 는 5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5 이고, 프로필렌 중합체 (AI) 및 (AII) 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3% 이하의 에틸렌을 함유하는 프로필렌의 랜덤 공중합체, 및 6% 이하의 하나 이상의 C4-C10 α-올레핀 및 임의로 3% 이하의 에틸렌을 함유하는 프로필렌의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상기 (AI) 및 (AII) 의 양은 (AI) 와 (AII) 의 총 중량에 대한 것이다.
용어 "발포" 란,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이, 최종 발포 제품과 동일한 구성성분 및 특징을 갖는, 즉 상기한 성분 (A) 및 (B), 바람직하게는 (AI) 및 (AII) 를 상기에서 언급한 양으로 포함하고, 상기에서 언급한 특징 i) 및 ii) 를 하나 이상 갖는 폴리올레핀 조성물 (이하, 폴리올레핀 조성물 (I) 이라 함) 에 통상적인 발포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수득되는 것을 말한다.
이후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발포 가공은 일반적으로 발포제의 존재 하, 압출과 같은, 폴리올레핀 조성물 (I) 의 용융 상태 처리를 포함한다. MFR 값은 ASTM-D 1238, 조건 L (230 ℃, 2.16 kg 하중) 에 따라 측정된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 (I) 및 발포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MFR 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g/10 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g/10 분의 범위일 수 있다.
직설적으로, (A), (AI) 및/또는 (AII) 중의 에틸렌 및 C4-C10 α-올레핀의 하한치는 C4-C10 α-올레핀의 경우 0.1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다.
직설적으로, (A), (AI) 및/또는 (AII) 에 존재할 수 있는 C4-C10 α-올레핀은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 및 1-옥텐을 포함하며, 1-부텐이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A) 및 (AI) 와 (AII) 둘다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이다.
공중합체 성분 (B) 중에 존재하는 C3-C10 α-올레핀 중에서, 프로필렌이 바람직하다. 상기 α-올레핀의 다른 예는 (A) 에 관해 앞서 제공한 것과 동일하다.
디엔은 존재하는 경우 (B) 의 중량에 대해 통상적으로 0.5 내지 10 중량% 의 양으로 존재하다. 디엔의 예는 부타디엔, 1,4-헥사디엔, 1,5-헥사디엔 및 에틸리덴-노르보르넨-1 이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 (I) 및 발포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관한 기타 바람직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 3.5 내지 9 dl/g,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 dl/g 의, 실온에서의 자일렌 중 가용분의 고유 점도 [η];
- 4 내지 7 의 (A) 의 P.I. (다분산 지수);
- 9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 및 특히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경우, 95% 이상 (상한은 99% 임) 의, 실온에서의 자일렌 중 불용분으로서 측정한 (A) 및 (AI) 와 (AII) 둘다의 이소택틱 지수;
- 4 초과,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초과, 특히 5 초과의, (A) 및 (AI) 와 (AII) 둘다에 대한 Mw/Mn 값 (135 ℃ 의 트리클로로벤젠에서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
- 35 중량% 미만의, 전체 조성물의 실온에서의 자일렌 중 가용분의 양.
상기 폴리올레핀 조성물 (I) 은 적어도 2 개의 순차적인 단계를 포함하는 순차 중합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여기서 성분 (A) 및 (B) 는 이전 단계에서 사용된 촉매 및 형성된 중합체의 존재 하에, 첫번째 단계를 제외한, 각 단계에서 조작되는 별도의 후속 단계에서 제조된다. 촉매는 첫번째 단계에서만 첨가되나, 그 활성은 모든 후속 단계에 대해 여전히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특히, 성분 (A) 는 2 개의 후속 단계를 필요로 할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분획 (AI) 을 제조하기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분획 (AII) 를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성분 (A) 는 성분 (B) 보다 이전에 제조된다.
분획 (AI) 및 (AII) 이 제조되는 순서는 중요하지 않다.
중합은 연속 또는 배치식일 수 있으며, 공지된 기술에 따라 액상에서, 불활성 희석제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또는 기상에서 조작하여, 또는 액체-기체 혼합 기술에 의해서 실시된다. 기상에서 중합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 단계와 관련한 반응 시간, 압력 및 온도는 중요하지 않지만, 온도가 50 내지 100 ℃ 인 경우가 가장 좋다. 압력은 주위 압력 또는 그 보다 높은 압력일 수 있다.
분자량 조절은 공지된 조절제, 특히 수소를 이용하여 실시된다.
조성물은 또한 2 이상의 상호연결된 중합 구역에서 실시되는 기상 중합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유형의 공정은 유럽특허출원 782 587 에 예시되어 있다.
상기 중합은 바람직하게는 입체특이적 지글러-나타 촉매의 존재 하에 실시된다. 상기 촉매의 필수 성분은 하나 이상의 티탄-할로겐 결합을 갖는 티탄 화합물, 및 전자-공여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체 촉매 성분으로, 상기 두 화합물이 모두 마그네슘 할라이드 상에 활성 형태로 지지되어 있는 것이다. 다른 필수 성분 (공-촉매) 은 유기알루미늄 화합물, 예컨대 알루미늄 알킬 화합물이다.
외부 공여체가 임의로 첨가된다.
중합 공정에 통상 사용되는 촉매는 90% 초과, 바람직하게는 95% 초과의 이소택틱 지수를 갖는 폴리프로필렌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특징들을 갖는 촉매는 특허 문헌에 잘 공지되어 있으며; US 특허 4,399,054, EP-A-45977 및 EP-A-728769 에 기재된 촉매가 특히 유리하다.
중합 공정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촉매로는 USP 5,324,800 및 EP-A-0 129 368 에 기재된 바와 같은 메탈로센형 촉매가 있으며; 예컨대 USP 5,145,819 및 EP-A-0 485 823 에 기재된 바와 같은 가교 비스-인데닐 메탈로센이 특히 유리하다.
다른 부류의 적합한 촉매는 EP-A-0 416 815 (Dow), EP-A-0 420 436 (Exxon), EP-A-0 671 404, EP-A-0 643 066 및 WO 91/04257 에 기재된 바와 같은 소위 속박 기하구조 촉매이다. 이들 메탈로센 화합물은 특히 성분 (B) 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중합체 조성물 (I) 및 그의 제조 방법의 예는 WO2004/087805 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발포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가요성 및 연질성을 갖는다. 상기 특성에 의해 상기 발포 조성물을 많은 용도로, 예컨대 자동차 분야에, 또는 다른 분야, 예컨대 유모차용 바퀴, 충격 흡수 구조물, 와이어 및 케이블 코팅 등의 제조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발포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0 kg/m3,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kg/m3 범위이다.
300 kg/m3 이하의 밀도 값은 특히 비교적 대량의 다른 중합체 성분이 존재하는 경우 및/또는 사용된 발포제가 화학적 유형의 것 (추가로 설명함) 인 경우에 수득된다.
본 발명의 발포 폴리올레핀 조성물 중에 존재할 수 있는 다른 중합체 성분은 일반적으로 2 내지 10 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종래의 α-올레핀의 중합체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중합체의 구현예는 다음과 같다:
1) 결정성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특히 이소택틱 또는 주된 이소택틱 단독중합체;
2) 에틸렌 및/또는 C4-C10 α-올레핀과의 결정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여기서 총 공단량체 함량은 공중합체의 중량에 대해 0.05 내지 20 중량% 범위이고, 바람직한 α-올레핀은 1-부텐; 1-헥센; 4-메틸-1-펜텐 및 1-옥텐임);
3) 결정성 에틸렌 단독중합체 및 프로필렌 및/또는 C4-C10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 예컨대 HDPE 또는 LLDPE;
4) 임의적으로 미량의 디엔, 예컨대 부타디엔 1,4-헥사디엔, 1,5-헥사디엔 및 에틸리덴-1-노르보르넨을 함유하는, 프로필렌 및/또는 C4-C10 α-올레핀과의 에틸렌의 탄성 공중합체 (여기서 디엔 함량은 통상 1 내지 10 중량% 임);
5) 하나 이상의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또는 항목 2) 의 공중합체, 및 항목 4) 의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탄성 부분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탄성 조성물 (이는 통상 공지된 방법에 따라 용융 상태로 성분을 혼합함으로써 또는 순차 중합에 의해 제조되고, 통상 상기 탄성 부분을 5 내지 80 중량% 의 양으로 함유함).
일반적으로, 다른 중합체 성분은 발포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7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포 폴리올레핀 조성물 및 발포 제품을 수득하기 위해, 당 분야의 통상적으로 공지된 방법 및 발포제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발포제는 화학적 및 물리적 유형 둘 다이다. 전자의 경우, 그 분해 온도는 대략 100 내지 220 ℃ 의 범위이다.
적합하게 사용되는 화학적 발포제는 열 분해 또는 화학 반응에 의해 기체를 발생시킨다. 상기 발포제의 예는 다음과 같다: 아조디카르본아미드, 술포닐히드라지드, 디니트로펜타메틸렌테트라민, p-톨루엔술포닐 세미카르바지드, 트리히드라진-트리아진, 바륨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 나트륨 보로히드라이드, 페닐술폰, 석고 및 알루미나 트리히드레이트, 중탄산나트륨 또는 그의 시트르산과의 조성물, 및 일반적으로 분해 온도가 적어도 중합체의 연화 온도와 동일한 이러한 목적으로 당 분야에 사용되는 모든 제품.
공지된 모든 물리적 발포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25 ℃ 보다 높은 비점을 갖는, 임의로 불화 및 염화된, 경질 지방족 탄화수소, 예컨대 펜탄, 헥산, 디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탄, 염화메틸렌; 또는 25 ℃ 보다 낮은 비점을 갖는 기체 또는 액체 화합물, 예컨대 공기, 질소, 이산화탄소, 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프로판, 부탄 및 이소부탄이 있다.
발포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당 분야에 통용되는 압출기, 예컨대 단축 및 2 축 압출기를 사용할 수 있다.
물리적 발포제는, 상기 중합체가 용융 및 균질한 상태로 발견되는, 고체 중합체가 공급되는 지점과 떨어져 있는 압출기에 용융 중합체 덩어리로 주입 또는 도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적 발포제는 압출 단계 이전에 고체 중합체와 기계적으로 배합될 수 있다. 이렇게 수득한 건식 배합물은 이후 온도가 130 내지 230 ℃ 범위인, 압출기의 제 1 주입 영역에 도입된다. 적절한 다이, 예컨대 플랫 다이 또는 원형 구멍을 갖는 것이 구비된 압출기의 출구에서 중합체의 형성에 가장 적합한 온도를 유지한다. 상기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25 내지 200 ℃ 범위이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해 제공된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및 설명에 기록된 특성에 대한 데이터를 수득하는데 사용된 방법을 이하에 나열한다.
용융 유속
ASTM D-1238, 조건 L 에 따라, 즉 230 ℃ 에서 2.16 kg 의 하중으로 측정.
고유 점도
135 ℃ 의 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 중에서 측정.
밀도
ISO 1183 에 따라 측정.
다분산 지수 (P.I.)
0.1 rad/초 내지 100 rad/초로 증가하는 진동 주기에서 조작하는, RHEOMETRICS (USA) 에 의해 시판되는 평행판 레오미터 모델 RMS-800 을 사용함으로써 200 ℃ 의 온도에서 측정. 교차 탄성률 (crossover modulus) 로부터 하기 수학식에 의해 P.I. 를 얻을 수 있다:
P.I. = 105/Gc
[식 중, Gc 는 G' = G" (여기서 G' 는 저장 탄성률이고, G" 는 손실 탄성률임) 에서의 값으로서 정의된 교차 탄성률 (Pa 로 나타냄) 이다].
자일렌 가용분 불용분
2.5 g 의 중합체 및 250 cm3 의 자일렌을 응축장치 및 자석 교반기가 구비된 유리 플라스크에 넣는다. 온도를 30 분 내에 용매의 비점까지 올린다. 이렇게 수득한 투명 용액을 이후 환류하에서 유지하여 추가 30 분간 교반한다. 밀폐 플라스크를 이후 30 분간 얼음과 물의 배쓰에 그리고 또한 30 분간 25 ℃ 로 자동 온도 조절된 수조에 놓아둔다. 이렇게 형성된 고체를 재빨리 여과지 상에서 여과한다. 100 cm3 의 여과된 액체를 질소 흐름 하에 가열 플레이트 위에서 가열된 미리 중량을 측정한 알루미늄 용기에 부어, 증발에 의해 용매를 제거한다. 이후 용기를 일정한 중량이 얻어질 때까지 진공 하에 80 ℃ 의 오븐에 놓아둔다. 이후 실온에서의 자일렌 중에 가용성인 중합체의 중량% 를 산출한다.
실온에서의 자일렌 중에 불용성인 중합체의 중량% 를 중합체의 이소택틱 지수로 하였다. 이 값은 실질적으로 비등 n-헵탄으로 추출함으로써 측정된 이소택틱 지수에 해당하며, 이는 정의상 폴리프로필렌의 이소택틱 지수를 구성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사용된 중합체 성분
1) 하기를 포함하는 (중량%) 헤테로상 조성물 (I) 으로서:
A) 하기를 포함하는 67% 의 폴리프로필렌 성분:
AI) 용융 유속 MFRI 이 1.5 g/10 분인, 50% 의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
AII) 용융 유속 MFRII 이 70 g/10 분인, 50% 의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B) 38% 의 에틸렌을 함유하는, 33% 의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상기 조성물이 6.5 의 (A) 의 P.I., 98% 의 이소택틱 지수 (A), 0.8 g/10 분의 MFR 을 갖고, 29% 의 실온에서의 자일렌 중 가용분을 함유하고, 7 dl/g 의 고유 점도 [η] 를 갖는 헤테로상 조성물.
상기 조성물은 WO2004/087805 호의 실시예 4 에 기재된 촉매 및 방법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순차 중합에 의해 수득된다. 특히, 단독중합체 AII) 이 제조되는 중합 단계에서의 프로필렌에 대한 수소의 몰비는 0.16 이다.
2) 하기를 포함하는 (중량%), MFR 이 0.6 g/10 분인 헤테로상 조성물 (II):
A) 3.5% 의 에틸렌 및 약 6% 의 실온에서의 자일렌 중 가용분을 함유하고, 1.5 dl/g 의 고유 점도 [η] 를 갖는, 32% 의 결정성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B) 27% 의 에틸렌을 함유하고, 89 중량% 의 실온에서의 자일렌 중 가용성을 갖는, 68% 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전체 조성물의 실온에서의 자일렌 중 가용분의 고유 점도는 3.2 dl/g 이다.
상기 조성물은 MgCl2 상에 담지된 고수율 및 고도의 입체특이적 지글러-나타 촉매의 존재 하에 순차 중합에 의해 수득된다.
실시예 1
상기 기재된 헤테로상 조성물 (I) 을, 중량측정식 작동 공급기에 의해 주입되는, 스크류 직경 27 mm 및 스크류 길이 1080 mm 인 Leistritz twin-screw Extruder Micro 27 을 이용한 압출에 의해 발포시킨다.
발포체를 수득하기 위해, CO2 를 Maximator GSD 500 주입기를 이용해 투입한다.
압출을 하기 조건 하에 실시한다.
압출기 온도: 처음 2 회 구역에서는 220 ℃, 이후 구역에서는 160 - 180 ℃;
다이 온도: 155 ℃;
CO2 양: 0.1 g/초; 9 중량%;
CO2 압력: 11 MPa;
압출기 처리량: 4 kg/h;
스크류 회전 속도: 75 rpm;
중합체 벌크 온도: 170 ℃;
중합체 벌크 압력: 26.8 MPa.
이와 같이 스트랜드 형태의 발포 조성물이 수득된다.
이러한 발포 조성물의 밀도는 33 kg/m3 이다.
실시예 2
50 중량% 의 헤테로상 조성물 (I) 과 50 중량% 의 헤테로상 조성물 (II) 의 배합물을 용융 상태로 종래의 압출 공정에 의해 제조한다.
이러한 배합물을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한 장치를 이용하여 CO2 에 의해 하기 조건 하에서 조작하여 발포시킨다.
압출기 온도: 처음 2 회 구역에서는 220 ℃, 이후 구역에서는 170 - 180 ℃;
다이 온도: 165 ℃;
CO2 양: 0.1 g/초; 9 중량%;
CO2 압력: 10.2 MPa;
압출기 처리량: 4 kg/h;
스크류 회전 속도: 75 rpm;
중합체 벌크 온도: 177 ℃;
중합체 벌크 압력: 26 MPa.
이와 같이 스트랜드 형태의 발포 조성물이 수득된다.
이러한 발포 조성물의 밀도는 179 kg/m3 이다.

Claims (8)

  1. A)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3% 이하의 에틸렌을 함유하는 프로필렌의 랜덤 공중합체, 6% 이하의 하나 이상의 C4-C10 α-올레핀 및 임의로 3% 이하의 에틸렌을 함유하는 프로필렌의 랜덤 공중합체, 및 임의의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50% 내지 90% 의 폴리프로필렌 성분; 및
    B) 10% 내지 50% 의, 에틸렌 및 하나 이상의 C3-C10 α-올레핀의 공중합체 성분 (상기 공중합체는 15% 내지 50% 의 에틸렌, 및 임의로 미량의 디엔을 함유함)
    을 포함하는 (모든 % 양은 중량 기준임) 발포 폴리올레핀 조성물로서,
    상기 (A) 및 (B) 의 양이 (A) 와 (B) 의 총 중량에 대한 것이며; 상기 조성물이 이하의 특징 i) 및 ii) 중 하나 이상을 갖는 발포 폴리올레핀 조성물:
    i) 4 이상의, 성분 (A) 의 다분산 지수;
    ii) 3.5 dl/g 이상의, 실온에서의 자일렌 중 가용분의 점도 [η] 의 값.
  2.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 (A) 가
    AI) 용융 유속 MFRI 이 0.1 내지 10 g/10 분인, 25% 내지 75% 의 프로필렌 중합체; 및
    AII) 용융 유속 값 MFRII 이 100 g/10 분 이하인, 25% 내지 75% 의 프로필렌 중합체
    를 포함하고 (모든 % 양은 중량 기준임),
    여기서, MFRII/MFRI 비가 5 내지 60 이고, 프로필렌 중합체 (AI) 및 (AII) 가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3% 이하의 에틸렌을 함유하는 프로필렌의 랜덤 공중합체, 및 6% 이하의 하나 이상의 C4-C10 α-올레핀 및 임의로 3% 이하의 에틸렌을 함유하는 프로필렌의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상기 (AI) 및 (AII) 의 양이 (AI) 와 (AII) 의 총 중량에 대한 것인 발포 폴리올레핀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MFR 값이 0.1 내지 10 g/10 분인 발포 폴리올레핀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밀도가 20 내지 300 kg/m3 인 발포 폴리올레핀 조성물.
  5. A)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3% 이하의 에틸렌을 함유하는 프로필렌의 랜덤 공중합체, 6% 이하의 하나 이상의 C4-C10 α-올레핀 및 임의로 3% 이하의 에틸렌을 함유하는 프로필렌의 랜덤 공중합체, 및 임의의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50% 내지 90% 의 폴리프로필렌 성분; 및
    B) 10% 내지 50% 의, 에틸렌 및 하나 이상의 C3-C10 α-올레핀의 공중합체 성분 (상기 공중합체는 15% 내지 50% 의 에틸렌, 및 임의로 미량의 디엔을 함유함)
    을 포함하는 (모든 % 양은 중량 기준임) 폴리올레핀 조성물 (I) 을 발포제의 존재 하에 압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제 1 항의 발포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A) 및 (B) 의 양이 (A) 와 (B) 의 총 중량에 대한 것이며; 상기 조성물이 이하의 특징 i) 및 ii) 중 하나 이상, 또는 둘 모두를 갖는 발포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제조 방법:
    i) 4 이상의, 성분 (A) 의 다분산 지수;
    ii) 3.5 dl/g 이상의, 실온에서의 자일렌 중 가용분의 점도 [η] 의 값.
  6. 제 1 항의 발포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포함하는 와이어 또는 케이블 코팅재.
  7. 제 1 항의 발포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포함하는 충격-흡수 부품.
  8. 제 1 항의 발포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포함하는 단열재 또는 방음재.
KR1020117013719A 2008-12-17 2009-11-16 발포 폴리올레핀 조성물 KR1016438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171912 2008-12-17
EP08171912.2 2008-12-17
US20466209P 2009-01-09 2009-01-09
US61/204,662 2009-0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156A KR20110101156A (ko) 2011-09-15
KR101643878B1 true KR101643878B1 (ko) 2016-07-29

Family

ID=41395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3719A KR101643878B1 (ko) 2008-12-17 2009-11-16 발포 폴리올레핀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623932B2 (ko)
EP (1) EP2358796B1 (ko)
JP (1) JP5917916B2 (ko)
KR (1) KR101643878B1 (ko)
CN (1) CN102257046B (ko)
BR (1) BRPI0922928B1 (ko)
MX (1) MX2011006470A (ko)
SG (1) SG171320A1 (ko)
WO (1) WO20100696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7524A1 (ja) * 2009-05-25 2010-12-0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シール材、及びその製造方法
BR112013001644A2 (pt) * 2010-07-23 2016-05-24 Basell Poliolefine Srl composições de polímero de propileno.
US9416207B2 (en) 2012-02-27 2016-08-16 Borealis Ag Polypropylene composition combining softness, toughness, low haze and high thermal resistance
CN110498973B (zh) * 2018-05-16 2023-09-01 北欧化工公司 发泡聚丙烯组合物
MX2020013515A (es) * 2018-06-14 2022-07-11 Lyondellbasell Advanced Polymers Inc Composiciones de poliolefinas espumosas y métodos para producir las misma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79249A2 (en) 1992-07-17 1994-01-19 Montell North America Inc. Process for repairing plastic coatings on metal pipes
WO2004087805A1 (en) 2003-04-02 2004-10-14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Polyolefin masterbatch and composition suitable for injection molding
EP1801155B1 (en) 2005-12-22 2009-12-09 Borealis Technology Oy Polypropylene composition comprising a propylene homopolymer componen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098272B (it) 1978-08-22 1985-09-07 Montedison Spa Componenti,di catalizzatori e catalizzatori per la polimerizzazione delle alfa-olefine
IT1209255B (it) 1980-08-13 1989-07-16 Montedison Spa Catalizzatori per la polimerizzazione di olefine.
ZA844157B (en) 1983-06-06 1986-01-29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Process and catalyst for polyolefin density and molecular weight control
US5324800A (en) 1983-06-06 1994-06-28 Exxon Chemical Patents Inc. Process and catalyst for polyolefin density and molecular weight control
US5055438A (en) 1989-09-13 1991-10-08 Exxon Chemical Patents, Inc. Olefin polymerization catalysts
NZ235032A (en) 1989-08-31 1993-04-28 Dow Chemical Co Constrained geometry complexes of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comprising a substituted cyclopentadiene ligand; use as olefin polymerisation catalyst component
DE59104869D1 (de) 1990-11-12 1995-04-13 Hoechst Ag 2-Substituierte Bisindenylmetallocen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Katalysatoren bei der Olefinpolymerisation.
IL117114A (en) 1995-02-21 2000-02-17 Montell North America Inc Components and catalysts for the polymerization ofolefins
IT1275573B (it) 1995-07-20 1997-08-07 Spherilene Spa Processo ed apparecchiatura per la pomimerizzazione in fase gas delle alfa-olefine
FI973816A0 (fi) * 1997-09-26 1997-09-26 Borealis As Polypropen med hoeg smaeltstyrka
JP2000053726A (ja) * 1998-08-05 2000-02-22 Nippon Polyolefin Kk シート成形用プロピレン系樹脂および樹脂組成物
JP2000336129A (ja) * 1999-05-25 2000-12-05 Nippon Polyolefin Kk 押出発泡成形用エチレン−プロピレンブロック共重合体
BRPI0615488B1 (pt) * 2005-07-01 2017-07-04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Polymers of propylene having a large distribution of molecular weigh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79249A2 (en) 1992-07-17 1994-01-19 Montell North America Inc. Process for repairing plastic coatings on metal pipes
WO2004087805A1 (en) 2003-04-02 2004-10-14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Polyolefin masterbatch and composition suitable for injection molding
EP1801155B1 (en) 2005-12-22 2009-12-09 Borealis Technology Oy Polypropylene composition comprising a propylene homopolymer compon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57046A (zh) 2011-11-23
JP5917916B2 (ja) 2016-05-18
CN102257046B (zh) 2014-07-16
US20110233449A1 (en) 2011-09-29
MX2011006470A (es) 2011-07-13
BRPI0922928B1 (pt) 2020-01-07
SG171320A1 (en) 2011-07-28
EP2358796A1 (en) 2011-08-24
KR20110101156A (ko) 2011-09-15
BRPI0922928A2 (pt) 2016-10-18
US8623932B2 (en) 2014-01-07
EP2358796B1 (en) 2012-12-19
WO2010069687A1 (en) 2010-06-24
JP2012512292A (ja) 201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90571A1 (en) Expanded bead foams from propylene-diene copolymers and their use
EP1899415B1 (en) Propylene polymers having broad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EP1226206B1 (en) Propylene copolymer foams and their use
KR101643878B1 (ko) 발포 폴리올레핀 조성물
KR20070088707A (ko) 프로필렌계 수지 압출 발포체
JP7300839B2 (ja) プロピレン系重合体組成物およびその発泡成形体
KR100554534B1 (ko) 프로필렌 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한 팽창된 과립의 조성물, 이를얻는 방법과 이의 용도
JP2003253084A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発泡成形体
JP2010024353A (ja) スチレン改質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粒子、発泡性樹脂粒子、予備発泡粒子及び発泡成形体
EP1438355B1 (en) Use of a polypropylene based composition for expanded beads
JP2006045268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被覆用発泡体
WO2002032985A1 (en) Foamed blends of propylene-based polymers
CN114585668A (zh) 硅烷交联的乙烯/α-烯烃嵌段共聚物珠泡沫
JP2501667B2 (ja) 発泡シ―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3057023A (ja) 発泡容器
JP2537306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発泡シ―トの製造方法
JP2009221356A (ja) 発泡成形体用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発泡成形体
JPH09227707A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
JP3647611B2 (ja) 発泡性ゴム変性スチレン系樹脂粒子
JPH11349724A (ja) 発泡性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粒子、それから得られる発泡粒子および発泡成形体
JPH11279346A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粒子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から得られる発泡粒子ならびに発泡成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