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2956B1 -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2956B1
KR101642956B1 KR1020150144937A KR20150144937A KR101642956B1 KR 101642956 B1 KR101642956 B1 KR 101642956B1 KR 1020150144937 A KR1020150144937 A KR 1020150144937A KR 20150144937 A KR20150144937 A KR 20150144937A KR 101642956 B1 KR101642956 B1 KR 101642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player
shooting
map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4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퍼니
김기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퍼니, 김기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퍼니
Priority to KR1020150144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29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956B1/ko
Priority to CN201610902182.0A priority patent/CN106964157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2Shooting or hurl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37Shooting of targe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comprising photodetecting means, e.g. cameras, photodiodes or infrared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for interfacing with the game device, e.g. specific interfaces between game controller and console
    • A63F13/235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for interfacing with the game device, e.g. specific interfaces between game controller and console using a wireless connection, e.g. infrared or picon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4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7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a large display in a public venue, e.g. in a movie theatre, stadium or game aren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8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responding to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game device for affecting ambient conditions, e.g. for vibrating players' seats, activating scent dispensers or affecting temperature o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2Shooting or hurling games
    • A63F9/0204Targe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2Shooting or hurling games
    • A63F9/0252Shoot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2Shooting or hurling games
    • A63F9/0291Shooting or hurling games with a simulated projectile, e.g. an image on a scre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F41A33/02Light- or radiation-emitting guns ; Light- or radiation-sensitive guns; Cartridges carrying light emitting sources, e.g. la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2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 별 게임 실력에 따라 다양한 사격 시뮬레이션 콘텐츠에 대한 게임 난이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물리적인 체감 보조 장치를 통해 현실감이 극대화시키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에 대한 게임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빔을 출력하는 다수의 프로젝터; 다수의 게임자의 전방을 둘러싸도록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프로젝터로부터 출력된 게임 영상을 다중 투사 방식으로 표시하는 스크린; 상기 다수의 게임자에 의하여 총구가 이동되는 조준 신호와, 상기 스크린 상의 타겟에 대한 격발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격발 신호의 발생 시 모의 탄환을 발화 및 폭발시켜 반동이 가해지는 모의 총기; 상기 조준 신호와 격발 신호가 발생된 스크린의 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 및 상기 다수의 프로젝터, 상기 스크린, 상기 모의 총기, 상기 제1 카메라 및 상기 모의 총기와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출력 정보를 기초로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을 진행 및 관리하고, 다수의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콘텐츠와 게임 미션에 따른 게임 모드, 게임 맵, 상기 게임 맵의 크기 및 상기 게임 맵의 환경모드를 각각 선택하기 위한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게임 모드, 상기 게임 맵 및 상기 게임 맵의 크기의 조합에 따라 게임 난이도가 상이해지도록 설정된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A SYSTEM FOR SHOOTING SIMULATION G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형 총으로 표적을 겨냥하여 탄알을 발사하는 사격 게임이나 모형 총으로 적과 전투하는 전투 게임 등의 모형 총을 이용하는 게임은 종래부터 인기가 있는 게임으로서 잘 알려져 있다.
특히, 실제의 총을 모방한 게임기용 모형 총을 이용하는 대형 게임 장치는 게임 센터에 있어서 중요한 지위를 점하고 있다.
이러한 모형 총을 이용하는 게임 장치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모형 총과, 모형 총에서 본 게임 화면을 형성하는 게임 제어부와, 게임 제어부에 형성된 게임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모형 총에 대향하여 배치된 디스플레이부에는 게임의 배경과 함께 적 또는 표적이 등장하는 게임 화면이 표시된다.
최근 들어, 모형 총을 이용한 사격 게임은 더욱 실제와 같은 상황이 요구되고 있으며, 사격시에 발생하는 사격음이나 사격 결과를 연출하는 화상이 실제와 더욱 동일하게 출력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사격 게임기는 사용자의 시각과 청각에 대한 효과만을 제공함으로써 실제 사격을 하는 느낌을 제공하지 못하여 사용자의 재미가 향상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사격 게임기는 게임 중에 예를 들면, 표적으로부터 발사된 총알에 사용자가 맞은 경우 패널티로써, 사용자의 에너지 레벨이 감소하는 것뿐 사용자가 패널티를 체감할 수 있는 구성이 제공되지 못하여 게임의 재미가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사격 게임기는 게임의 시나리오가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출력되어 게임의 재미와 만족도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사격 게임기는 게임의 난이도가 정해져 있어 게임 실력이 상당수준에 도달한 사용자는 사용자의 게임 실력에 상관없이 낮은 난이도의 게임과 중간 난이도의 게임을 수행한 다음 높은 난이도의 게임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어 사용자가 흥미를 갖고 있는 높은 난이도의 게임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낮은 난이도의 게임을 반복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79218호(2012.08.28.) ‘영상 사격 게임 장치 및 영상 사격 게임 제공 방법’ 등록특허공보 제10-1034367호(2011.05.03.) ‘체감형 사격 게임 장치와 이의 제어 방법’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6019호(2011.05.26.) ‘스크린 사격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 별 게임 실력에 따라 다양한 사격 시뮬레이션 콘텐츠에 대한 게임 난이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물리적인 체감 보조 장치를 통해 현실감이 극대화된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은,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에 대한 게임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빔을 출력하는 다수의 프로젝터; 다수의 게임자의 전방을 둘러싸도록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프로젝터로부터 출력된 게임 영상을 다중 투사 방식으로 표시하는 스크린; 상기 다수의 게임자에 의하여 총구가 이동되는 조준 신호와, 상기 스크린 상의 타겟에 대한 격발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격발 신호의 발생 시 모의 탄환을 발화 및 폭발시켜 반동이 가해지는 모의 총기; 상기 조준 신호와 격발 신호가 발생된 스크린의 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 및 상기 다수의 프로젝터, 상기 스크린, 상기 모의 총기, 상기 제1 카메라 및 상기 모의 총기와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출력 정보를 기초로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을 진행 및 관리하고, 다수의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콘텐츠와 게임 미션에 따른 게임 모드, 게임 맵, 상기 게임 맵의 크기 및 상기 게임 맵의 환경모드를 각각 선택하기 위한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게임 모드, 상기 게임 맵 및 상기 게임 맵의 크기의 조합에 따라 게임 난이도가 상이해지도록 설정된다.
또한, 상기 모의 총기는, 상기 게임자에 따라 특정 대역폭의 주파수를 가지는 적외선 레이저를 총구의 방향과 일치하도록 지속적으로 발사하여 상기 총구가 이동되는 조준 신호와 상기 게임자의 방아쇠 조작에 따른 격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조준 신호 및 격발 신호는 고유 식별 정보를 가지며, 상기 모의 탄환의 화약의 폭발에 의한 특정 주파수의 폭발음, 화약의 폭발에 의한 특정 주파수의 진동, 폭발에 의한 모의 총기의 반동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감지한 경우에 상기 격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의 총기에는 솔레노이드 밸브 및 솔레노이드 코일 중 하나가 설치되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설치되는 경우, 에어 콤프레셔로부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공압을 공급하여 상기 모의 총기에 사격 반동을 제공하기 위한 공압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이 설치되는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로부터 발생되는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상기 모의 총기에 사격 반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의 탄환은, 실제 탄약의 탄두를 포함하는 앞쪽 부분에 대응하는 외형을 가지며 내부가 전방 및 후방으로 개방된 튜브 형태의 전방 몸체부; 실제 탄약의 뒤쪽 부분에 대응하는 외형을 가지며 내부가 전방 및 후방으로 개방된 튜브 형태이고, 상기 전방 몸체부와 결합하여 실제 탄약의 외형을 나타내며 내부가 전방 및 후방으로 개방된 튜브 형태가 되는 후방 몸체부; 상기 전방 몸체부와 후방 몸체부 사이의 내부 공간에 고정되도록 삽입되는 화약 고정부; 상기 화약 고정부에 고정되며 화약을 저장하고 있는 화약 저장부; 및 상기 전방 몸체부와 후방 몸체부 사이의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노출되고, 외부로부터의 타격에 의해 전진하여 상기 화약 저장부를 타격함으로써 상기 화약을 발화시키는 격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을 수행하는 게임자의 동작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카메라는 상기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이 수행 중 또는 수행 완료 후의 촬영 영상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다수의 프로젝터, 스크린, 모의 총기, 제1 카메라 및 모의 총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 모듈; 다수의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콘텐츠와 미션에 따른 게임 모드, 게임 맵, 상기 게임 맵의 크기, 상기 게임 맵의 환경모드를 각각 설정하기 위한 콘텐츠 제공 모듈; 상기 제1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게임 영상을 기초로 상기 스크린 상에 스폿되는 조준 신호 및 격발 신호의 좌표를 검출하는 좌표 인식 모듈; 상기 제2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게임자의 영상을 기초로 상기 게임자의 타겟 반응 속도, 손떨림 또는 총기 흔들림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 정보와 비교하는 자세 판정 모듈; 상기 스크린 상에 스폿되는 격발 신호의 좌표 정보와 상기 격발 신호에 포함되는 고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타겟에 대한 명중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된 명중 여부의 결과에 따라 게임자별 명중률 정보를 분석하는 명중 판정 및 명중률 분석 모듈; 상기 자세 판정 모듈에 의한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게임자의 자세 교정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교정 정보 제공 모듈; 상기 다수의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콘텐츠, 상기 제1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게임 영상, 상기 제2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게임자의 영상, 상기 조준 신호 및 격발 신호, 상기 조준 신호 및 격발 신호의 고유 식별 정보와 좌표 정보, 상기 게임자별 명중률 정보, 상기 게임자의 자세 교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 상기 관리 서버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레이저 수신 결과에 따라 게임자별 사격 훈련 기록 정보를 생성하는 저격 훈련 기록 생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제공 모듈은, 다수의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콘텐츠와 게임 미션에 따른 다수의 게임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게임 모드 선택부; 다수의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콘텐츠와 게임 미션에 따른 다수의 게임 맵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게임 맵 선택부; 다수의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콘텐츠와 게임 미션에 따른 상기 게임 맵의 크기를 선택하기 위한 게임 맵 크기 선택부; 및 다수의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콘텐츠와 게임 미션에 따른 상기 게임 맵의 환경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게임 맵 환경모드 선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게임 모드 선택부는, 고정 및 이동식 타겟을 사격하여 점수를 얻는 방식으로 게임자가 과녁, 저격 및 연사 트레이닝을 하기 위한 트레이닝 모드; NPC(non-player character)들과 함께 소정의 미션을 클리어하는 방식으로 다수의 게임자가 소규모 게임 맵을 단계 별로 진행하기 위한 스토리 모드; 및 다수의 팀을 구성하여 서로 공격하는 방식으로 각 팀에게 할당된 소규모 맵을 단계 별로 점령하기 위한 배틀 모드 중 하나를 선택 가능하도록 제공하고, 상기 게임 맵 선택부는, 도심, 산악, 초원, 해안 및 사막지역을 포함하는 일반지역; 카지노, 지하철, 지하벙커, 창고 및 레이더 기지를 포함하는 건물내부; 및 비무장지대, 땅굴 및 경기장을 포함하는 특수지역을 포함하는 게임 맵 중 하나를 선택 가능하도록 제공하고, 상기 게임 맵 크기 선택부는, 상기 게임 맵에 대하여 소규모, 중규모 및 대규모의 맵 중 하나를 선택 가능하도록 제공하고, 상기 게임 맵 환경모드 선택부는, 상기 게임 맵에 대하여 계절, 날씨 및 시간대를 포함하는 환경모드 중 하나를 선택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세 판정 모듈은, 상기 스크린 상의 조준 신호와 격발 신호의 좌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게임자의 타겟 반응 속도를 측정한 후 게임자별 타겟 반응 속도 정보를 생성하는 타겟 사격 반응 속도 측정부; 상기 제2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게임자의 게임 영상과 상기 스크린 상의 조준 신호와 격발 신호의 좌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게임자의 손떨림 및 총기 흔들림 정보를 파악한 후, 게임자별 손떨림 및 총기 흔들림 정보를 생성하는 손떨림 및 총기 흔들림 판단부; 상기 제2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게임자의 게임 영상을 기초로 상기 게임자의 총알 소비 습관 정보를 파악한 후, 게임자별 총알 소비 습관 정보를 생성하는 습관 정보 판단부; 상기 게임자의 신체에 착용되고, 상기 관리 서버와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관리 서버의 제어에 의해 기계적으로 동작하여 상기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중에 총알을 맞는 느낌을 제공하도록 내장된 솔레노이드 스위치, 다른 게임자의 모의 총구로부터 출력된 레이저를 수신하는 레이저 수신부, 및 상기 게임자의 심장 박동수 및 혈압 상태 정보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모의 조끼; 및 상기 좌표 인식 모듈에 의하여 검출된 조준 신호 및 격발 신호의 좌표 정보와 상기 생체정보 감지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심장 박동수 및 혈압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게임자별 생체 정보를 생성하는 생체정보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임자의 전방에는 상기 게임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감지 장치와, 상기 게임자의 눈동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아이트래킹 장치가 더 배치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모션 감지 장치 및 아이트래킹 장치에 의하여 감지된 게임자 및 눈동자의 움직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게임 영상의 화면을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화면 전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음향 신호를 받아 고출력 앰프와 스피커를 통해 상기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에 대한 효과음을 재생하여 실감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은, 사용자 별 게임 실력에 따라 다양한 사격 시뮬레이션 콘텐츠에 대한 게임 난이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물리적인 체감 보조 장치를 통해 현실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의 총기와 모의 탄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모듈을 통해 설정되는 다양한 게임 콘텐츠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 모드의 게임 진행 방식에 대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틀 모드의 게임 진행 방식에 대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1000)은 프로젝터(100), 스크린(200), 모의 총기(300), 제1 카메라(310), 제2 카메라(500), 관리 서버(600), 모션 감지 장치(700), 아이트래킹 장치(800) 및 음향 장치(900)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젝터(100)는 다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에 대한 게임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빔을 출력한다.
상기 스크린(200)은 게임자(10)의 전방을 둘러싸도록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프로젝터(100)로부터 출력된 게임 영상을 다중 투사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100)와 스크린(200)은 게임 영상 표시 수단이 된다. 본 발명의 시예에 있어서는, 게임영상 표시 수단으로 프로젝터(100)와 스크린(200)을 적용하였으나, 시각적인 표시가 가능한 다양한 표시 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즉, PDP/LCD 디스플레이어, 반사경을 이용한 대형 브라운관, 안경형 디스플레이 등이 이용될 수도 있으며, 특정의 표시 수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후술하는 포인팅용 레이저의 상이 맺혀 스폿광을 생성할 수 있는 형태의 디스플레이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의 총기와 모의 탄환이 도시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 2의 (a)는 모의 총기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2의 (b)는 모의 탄환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모의 총기(300)는 상기 게임자(10)에 의하여 총구가 이동되는 조준 신호와, 상기 스크린 상의 타겟에 대한 격발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격발 신호의 발생 시 모의 탄환을 발화 및 폭발시켜 반동이 가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모의 총기(300)는 상기 게임자(10)에 따라 특정 대역폭의 주파수를 가지는 적외선 레이저를 총구의 방향과 일치하도록 지속적으로 발사하여 상기 총구가 이동되는 조준 신호와 상기 게임자(10)의 방아쇠 조작에 따른 격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준 신호 및 격발 신호는 고유 식별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의 총기(300)는, 모의 탄환(310)의 화약의 폭발에 의한 특정 주파수의 폭발음, 화약의 폭발에 의한 특정 주파수의 진동, 폭발에 의한 모의 총기(300)의 반동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감지한 경우에 상기 격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의 총기(300)는 상기 게임자(1)의 방아쇠 격발을 감지하여 전기적인 격발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후술하는 상기 관리 서버(600)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상기 모의 총기(300)는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1000)의 다른 구성 요소와는 별도의 유선 연결되지 않는 것이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의 임장감(Presence)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기 때문에, 상기의 격발 신호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의 총기(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발사부(301), 사격 기능부(302), 탄창(303), 격발 신호 전송부(305), 전원부(30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레이저 발사부(301)는, 총구 방향 또는 조준선 방향으로 레이저를 발사한다. 이 레이저는 전방의 스크린(20)에 도달하여 스폿광을 형성하게 된다. 더욱, 이때 발사되는 레이저는 파장이 600 내지 1100 nm의 비가시 레이저인 것이 바람직하고, 800 내지 950 nm 대역의 파장을 갖는 비가시 레이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이저 발사부(301)는, 영상 사격 게임의 실행과 동시에 지속적으로 레이저를 발사하여 스크린(20)을 포인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격 기능부(302)는 실제 총기와 동일한 기계적 구조를 가지며 동일한 원리로 작동함으로써, 탄창(303)으로부터 공급되는 모의 탄환(310)를 게임자(10)의 방아쇠 조작에 의해 타격하고, 타격에 의해 내장된 화약을 발화시킴과 동시에 화약이 발화된 모의 탄환(310)를 배출한다.
상기 격발 신호 전송부(305)는, 상기 사격 기능부(302)의 방아쇠 격발을 감지하여 게임자(10)에 의한 격발을 표시하기 위한 전기적인 격발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격발 신호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전송될 수 있는데,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격발 신호 전송부(305)는 무선 전송 안테나(도시하지 않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용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는, zigbee 통신,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RFID 통신 등을 다양하게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의 탄환(310)는 방아쇠(304)의 동작으로부터 격발을 감지하는 방법 외에도, 별도의 격발 감지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즉, 모의 총기(50)에서 격발이 이루어지면, 상기 모의 탄환(310)의 화약이 발화 및 폭발하게 되는데, 이러한 폭발을 감지하여 게임자(10)에 의한 사격이 행해졌는지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격발 감지 수단으로는, 상기 모의 탄환(310)의 화약의 폭발에 의해 발생하는 특정 주파수의 폭발음을 감지하기 위한 폭음 감지용 센서 또는 상기 모의 탄환(310)의 폭발에 의한 상기 모의 총기(310)의 반동 또는 진동, 화약의 폭발에 의한 게임자(10) 신체의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진동 감지용 센서 또는 가속도 감지용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의 탄환(310)는 상기 모의 총기(300)의 방아쇠 동작으로부터 격발을 감지하는 방법 외에도, 별도의 격발 감지 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모의 총기(300)에서 격발이 이루어지면, 상기 모의 탄환(310)의 화약이 발화 및 폭발하게 되는데, 이러한 폭발을 감지하여 게임자(10)에 의한 사격이 행해졌는지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격발 감지 수단으로는, 모의 탄환(310)의 화약의 폭발에 의해 발생하는 특정 주파수의 폭발음을 감지하기 위한 폭음 감지용 센서 또는 모의 탄환(310)의 폭발에 의한 모의 총기(300)의 반동 또는 진동, 화약의 폭발에 의한 게임자(10) 신체의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진동 감지용 센서 또는 가속도 감지용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실제로 모의 탄환(310)에 의한 사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관리 서버(600)에서 사격이 행해진 것으로 오인식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게임자(10)에 의해 모의 총기(300)의 방아쇠가 격발되더라도 탄창에 모의 탄환(310)이 없어서 모의 탄환(310)에 의한 사격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격발 신호가 전송되지 않기 때문에, 모의 탄환(310)이 없어서 사격이 행해지지 못하는 상황을 정확하게 감지해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탄창에 저장된 모의 탄환(310)가 모두 소진된 경우에는, 또 다른 탄창으로 교체하여 새로운 모의 탄환(310)에 의한 사격을 행하도록 하므로, 실제 탄약에 의한 사격과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원부(306)는, 충전식 또는 비충전식 배터리 또는 외부 상용 전원 연결 수단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의 총기(300)에서 구동 전력을 필요로 하는 각 요소에 전력을 공급한다. 즉, 상기 레이저 발사부(301)와 격발 신호 전송부(305)에 구동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모의 탄환(310)은 실제 총기에 쓰이는 실제 탄약과 유사한 외관을 가지며, 내부에 화약을 내장한다. 그리고 상기 모의 총기(300)의 방아쇠 격발에 의해 공이치기 및 공이에 의해 모의 탄환(310)의 후방 부분에 충격이 가해지고, 이에 의해 내장된 화약이 발화된다. 화약이 발화되면, 화약에 의한 화염이 상기 모의 탄환(310)의 전방으로 배출되고 그 반동에 의해 상기 모의 탄환(310)이 후퇴하여 노리쇠 및 공이 치기를 후퇴시킴과 동시에 상기 모의 탄환(310)의 탄피는 상기 모의 총기(3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모의 탄환(3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몸체부(311), 후방 몸체부(312), 화약 고정부(313), 화약 저장부(315), 격발부(316)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 몸체부(311)와 후방 몸체부(312)는 서로 나사 결합 등에 의해 결합되며, 결합된 후에는 실제 탄약과 유사한 외형을 나타낸다. 이러한 상기 전방 몸체부(311) 및 후방 몸체부(312)가 결합된 내부에는 상기 화약 고정부(313), 화약 저장부(315)와 격발부(316)를 내장하기 위한 공동인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 몸체부(311) 및 후방 몸체부(312)는 전방 및 후방으로 각각 개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전방 몸체부(311)의 개방된 부분으로는 화약의 화염이 배출되고 상기 후방 몸체부(312)의 개방된 부분으로는 후술하는 격발부(316)가 노출되어 공이로부터의 충격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화약 고정부(313)는 상기 전방 몸체부(311)와 후방 몸체부(312) 사이의 내부 공간 중 가장 앞쪽에 배치되며, 상기 전방 몸체부(311)에 고무링(314) 등에 의해 탄성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화약 고정부(313)의 내부에는 상기 화약 저장부(315)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전방으로는 화약에 의한 화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전방 몸체부(311)의 개방된 부분과 연통하도록 개방되어 있다.
상기 화약 고정부(313)는 상기 화약 저장부(315)를 손쉽게 상기 모의 탄환(310)의 내부 공간에서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역할을 한다.
상기 화약 저장부(315)는 외부 충격에 의해 발화하는 화약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화약 고정부(313)의 내부에 삽입 고정된다.
상기 격발부(316)는 일측은 상기 후방 몸체부(312)의 개방된 부분에 삽입되어 상기 후방 몸체부(312)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반대측은 상기 화약 고정부(313)에 삽입된 상기 화약 저장부(315)와 맞닿는(또는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형태로 이루어진 부재이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모의 총기(50)의 방아쇠 격발에 의해 공이가 상기 격발부(316)를 타격하게 되면, 이 충격이 상기 격발부(316)를 통해 상기 화약 저장부(315)에 도달하여 화약을 발화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모의 탄환(310)을 적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모의 총기(300)에 사격 반동을 제공하기 위한 두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첫 번째, 상기 모의 총기(300)에 공압 장치(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공압 장치는 에어 콤푸레셔(air compressor)에서 나오는 공압을 상기 모의 총기(300) 내 총기반동용 솔레노이드 밸브(공압용)에 공급하여 상기 모의 총기(300)의 반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모의 총기(300)는, 소정 횟수의 격발이 완료된 후 상기 모의 총기(300)의 총열이 소정 각도 이상 개방되면 별도의 총기 제어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상기 에어 콤푸레셔에서 나오는 공압을 상기 모의 총기(300) 내 빈 탄피 배출용 솔레노이드 밸브에 공급하여 상기 모의 총기(300)에 장전되었던 소정 탄피를 배출시킬 수도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더욱 실감나는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을 체험할 수 있다. 더불어, 압축공기에 탄약향을 첨가시켜 사격 시 탄약 냄새가 나도록 하여 현장감을 더욱 고조시킬 수 있다.
두 번째, 상기 모의 총기(300)에 솔레노이드 장치(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 장치는 솔레노이드 코일로부터 발생되는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상기 모의 총기(300)의 반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카메라(400)는 상기 조준 신호와 격발 신호가 발생된 스크린의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버(600)에 전송한다.
상기 제2 카메라(500)는 상기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을 수행하는 게임자(10)의 동작을 촬영하고, 상기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이 수행 중 또는 수행 완료 후의 촬영 영상을 상기 관리 서버(600)로 전송한다.
상기 관리 서버(600)는, 상기 프로젝터(100), 상기 스크린(200), 상기 모의 총기(300), 상기 제1 카메라(400), 상기 제2 카메라(500), 상기 모션 감지 장치(700), 상기 아이트래킹 장치(800) 및 상기 음향 장치(900)와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출력 정보를 기초로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을 진행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600)는, 게임자(10)가 다수의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콘텐츠와 게임 미션에 따른 게임 모드, 게임 맵, 상기 게임 맵의 크기 및 상기 게임 맵의 환경모드를 각각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관리 서버(600)에는 상기 게임 모드, 상기 게임 맵 및 상기 게임 맵의 크기의 선택에 따라 게임 난이도가 상이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600)의 구성을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 서버(600)는, 통신 모듈(601), 콘텐츠 제공 모듈(602), 좌표 인식 모듈(603), 자세 판정 모듈(604), 명중 판정 및 명중률 분석 모듈(605), 교정 정보 제공 모듈(606), 저장 모듈(607), 제어 모듈(608), 저격 훈련 기록 생성 모듈(609) 및 화면 전환 모듈(6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601)은 상기 프로젝터(100), 상기 스크린(200), 상기 모의 총기(300), 상기 제1 카메라(400), 상기 제2 카메라(500), 상기 모션 감지 장치(700), 상기 아이트래킹 장치(800) 및 상기 음향 장치(9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콘텐츠 제공 모듈(602)은 다수의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콘텐츠를 제공하고, 게임 콘텐츠와 미션에 따른 게임 모드, 게임 맵, 상기 게임 맵의 크기, 상기 게임 맵의 환경모드를 각각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콘텐츠 제공 모듈(602)은, 게임 모드 선택부(602a), 게임 맵 선택부(602b), 게임 맵 크기 선택부(602c), 및 게임 맵 환경모드 선택부(602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모듈을 통해 설정되는 다양한 게임 콘텐츠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게임 모드 선택부(602a)는, 다수의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콘텐츠와 게임 미션에 따른 다수의 게임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구성으로, 트레이닝 모드, 스토리 모드, 배틀 모드를 제공하며, 이러한 모드 중 하나가 선택되도록 한다.
상기 트레이닝 모드는 1인 또는 2인의 게임자가 고정 및 이동식 타겟을 사격하여 점수를 얻는 방식으로 게임자가 과녁, 저격 및 연사 트레이닝을 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상기 트레이닝 모드는 과녁 사격, 저격 사격, 연사 훈련 등의 하위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토리 모드는 2인 또는 3인의 게임자자들이 NPC(non-player character)들과 함께 소정의 미션을 클리어하는 방식으로 다수의 게임자가 소규모 게임 맵을 단계 별로 진행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상기 스토리 모드는 소, 중, 대규모의 게임 맵 크기로 분류되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배틀 모드는, 5인 또는 6인의 게임자들이 다수의 팀을 구성하여 서로 공격하는 방식으로 각 팀에게 할당된 소규모 맵을 단계 별로 점령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상기 배틀 모드는 소, 중, 대규모의 게임 맵 크기로 분류되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스토리 모드와 배틀 모드에 대한 게임 맵 선택은 상기 게임 맵 선택부(602b)을 통해 진행할 수 있다.
상기 게임 맵 선택부(602b)는, 다수의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콘텐츠와 게임 미션에 따른 상기 게임 맵의 크기를 선택하기 위한 구성으로, 일반지역, 건물내부, 특수지역 등과 같은 상위 맵을 제공하며, 상기 상위 맵은 각각 하위 맵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일반지역은 도심, 산악, 초원, 해안 및 사막지역 등과 같은 하위 맵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건물내부는 카지노, 지하철, 지하벙커, 창고 및 레이더 기지 등과 같은 하위 맵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특수지역은 비무장지대, 땅굴 및 경기장 등과 같은 하위 맵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게임 맵 크기 선택부(602c)는, 다수의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콘텐츠와 게임 미션에 따른 다수의 게임 맵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구성으로, 게임자가 선택한 상기 스토리 모드, 배틀 모드 및 게임 맵에 대한 소, 중, 대규모와 같은 맵 크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스토리 모드와 배틀 모드에 대한 소, 중, 대규모와 같은 맵 크기를 선택할 수 있으며, 다양한 게임 맵에 대하여 소, 중, 대규모 앱으로 카테고리를 분류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규모 앱으로는 지하벙커, 지하철, 시가전과 같은 게임 맵을 선택할 수 있고, 중규모 앱으로는 북한, 카지노 시가전과 같은 게임 맵을 선택할 수 있으며, 대규모 앱으로는 시가전, 사막, 산악지대와 같은 게임 맵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게임 맵 환경모드 선택부(602d)는, 다수의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콘텐츠와 게임 미션에 따른 상기 게임 맵의 환경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게임 맵에 대하여 계절, 날씨 및 시간대를 포함하는 환경모드 중 하나가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계절로는 봄, 여름, 가을, 겨울과 같은 환경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고, 날씨로는 비/번개, 눈, 안개와 같은 환경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시간대로는 새벽, 주간, 석양, 야간과 같은 환경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씨와 같은 환경모드 설정 시 풍향과 풍속을 설정하도록 하여 사격과 탄도 비행 시 설정된 풍향과 풍속에 영향을 받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제공 모듈(602)은 선택된 상기 게임 모드, 상기 게임 맵 및 상기 게임 맵의 크기의 조합에 따라 게임 난이도가 상이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 모드에서 트레이닝 모드, 스토리 모드, 배틀 모드 순으로 난이도가 높아지도록 설정되고, 게임 맵에서 일반지역, 건물내부, 특수지역 순으로 난이도가 높아지도록 설정되고, 게임 맵의 크기에서 소, 중, 대규모의 맵 순으로 난이도가 높아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어떠한 게임 모드, 게임 맵, 게임 맵 크기를 선택했는냐에 따라 게임 난이도가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콘텐츠 제공 모듈(602)은 게임 콘텐츠와 난이도를 게임자(10)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낮은 게임 난이도에서 높은 게임 난이도로 진행할 필요 없이, 자신의 게임 능력에 맞는 게임 난이도를 선택하여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 모드의 게임 진행 방식에 대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고, 도 6에는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틀 모드의 게임 진행 방식에 대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스토리 모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팀 또는 여러 팀(예를 들어 A팀, 팀)이 1에서 5번까지의 스토리를 따라 해당 스토리들을 단계적으로 클리어하며 진행될 수 있다. 이때, 현재 스토리를 클리어하지 못할 경우 그 전 단계의 스토리를 진행하도록 되돌아 갈 수 있다. 예를 들어, A팀 또는 B팀이 3번 스토리에 대한 클리어를 실패할 경우 다시 2번 스토리로 돌아가 게임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배틀 모드는, 여러 팀(예를 들어 A팀, B팀)이 1번 내지 5번 진영 중 중간 진영(예를 들어 3번 진영)에서 배틀을 시작하고, 어느 한 팀이 전멸할 때가지 서로 공격하며 승패를 가릴 수 있다. 제1 게임의 결과, A팀이 승리할 경우, A팀과 B팀은 B팀의 진영으로 한 단계 이동한 후 제2 게임을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식으로 계속하여 A팀이 모든 게임에서 승리한 경우 최종 승리하게 된다.
상기 좌표 인식 모듈(603)은 상기 제1 카메라(400)에 의하여 촬영된 게임 영상을 기초로 상기 스크린(200) 상에 스폿되는 조준 신호 및 격발 신호의 좌표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자세 판정 모듈(604)은 상기 제2 카메라(500)에 의하여 촬영된 게임자(10)의 영상을 기초로 상기 게임자(10)의 타겟 반응 속도, 손떨림 또는 총기 흔들림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이러한 자세 판정 모듈(604)은, 타겟 사격 반응 속도 측정부(604a), 손떨림 및 총기 흔들림 판단부(604b), 습관 정보 판단부(604c), 모의 조끼(604d) 및 생체정보 생성부(604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겟 사격 반응 속도 측정부(604a)은 상기 스크린(200) 상의 조준 신호와 격발 신호의 좌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게임자(10)의 타겟 반응 속도를 측정한 후 게임자별 타겟 반응 속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손떨림 및 총기 흔들림 판단부(604b)는, 상기 제2 카메라(500)에 의하여 촬영된 게임자(10)의 게임 영상과 상기 스크린 상의 조준 신호와 격발 신호의 좌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게임자의 손떨림 및 총기 흔들림 정보를 파악한 후, 게임자별 손떨림 및 총기 흔들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습관 정보 판단부(604c)는, 상기 제2 카메라(500)에 의하여 촬영된 게임자의 게임 영상을 기초로 상기 게임자의 총알 소비 습관 정보를 파악한 후, 게임자별 총알 소비 습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모의 조끼(604d)는, 상기 게임자(10)의 신체에 착용되고, 상기 관리 서버(600)와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솔레노이드 스위치(604da), 레이저 수신부(604db) 및 생체정보 감지센서(604d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 스위치(604da)는 상기 관리 서버(600)의 제어에 의해 기계적으로 동작하여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중에 총알을 맞는 느낌을 제공하도록 상기 모의 조끼(604d)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수신부(604db)는, 다른 게임자의 모의 총구로부터 출력된 레이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생체정보 감지센서(604dc)는 상기 게임자(10)의 심장 박동수 및 혈압 상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생체정보 생성부(604e)는, 상기 좌표 인식 모듈(603)에 의하여 검출된 조준 신호 및 격발 신호의 좌표 정보와 상기 생체정보 감지센서(604dc)에 의하여 감지된 심장 박동수 및 혈압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게임자별 생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의 조끼(604d)와 상기 생체정보 생성부(604e)를 응용하여, 적의 공격에 의한 상기 게임자(10)가 부위별로 데미지를 차등적으로 입게 함으로써, 적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보다 현실감 있는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상기 명중 판정 및 명중률 분석 모듈(605)은 상기 스크린 상에 스폿되는 격발 신호의 좌표 정보와 상기 격발 신호에 포함되는 고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타겟에 대한 명중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된 명중 여부의 결과에 따라 게임자별 명중률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교정 정보 제공 모듈(606)은 상기 자세 판정 모듈(604)에 의한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게임자(10)의 자세 교정 정보를 생성하여 별도의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모듈(607)은 상기 다수의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콘텐츠, 상기 제1 카메라(400)에 의하여 촬영된 게임 영상, 상기 제2 카메라(500)에 의하여 촬영된 게임자의 영상, 상기 조준 신호 및 격발 신호, 상기 조준 신호 및 격발 신호의 고유 식별 정보와 좌표 정보, 상기 게임자별 명중률 정보, 상기 게임자의 자세 교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608)은 상기 관리 서버(6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저격 훈련 기록 생성 모듈(609)은 상기 레이저 수신 결과에 따라 게임자별 사격 훈련 기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화면 전환 모듈(610)은 상기 모션 감지 장치(700) 및 아이트래킹 장치(800)에 의하여 감지된 게임자 및 눈동자의 움직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게임 영상의 화면을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음향 장치(900)는 상기 관리 서버(60)로부터 음향 신호를 받아 고출력 앰프와 스피커를 통해 상기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에 대한 효과음을 재생하여 실감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효과음은, 실제 전장처럼 총소리뿐 아니라, 전우를 소리치며 부르는 소리, 위생병 부르는 소리, 비명소리 등을 상황에 맞게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향 장치(900)는 음성 채팅을 통해 각 지역간의 커뮤니케이션이 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0: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100: 프로젝터
200: 스크린 300: 모의 총기
310: 모의 탄환 311: 전방 몸체부
312: 후방 몸체부 313: 화약 고정부
314: 화약 저장부 315: 격발부
400: 제1 카메라 500: 제2 카메라
600: 관리 서버 601: 통신 모듈
602: 콘텐츠 제공 모듈 602a: 게임 모드 선택부
602b: 게임 맵 선택부 602c: 게임 맵 크기 선택부
602d: 게임 맵 환경모드 선택부 603: 좌표 인식 모듈
604: 자세 판정 모듈 604a: 타겟 사격 반응 속도 측정부
604b: 손떨림 및 총기 흔들림 판단부 604c: 습관 정보 판단부
604d: 모의 조끼 604da: 솔레노이드 스위치
604db: 레이저 수신부 604dc: 생체정보 감지센서
604e: 생체정보 생성부 605: 명중 판정 및 명중률 분석 모듈
606: 교정 정보 제공 모듈 607: 저장 모듈
608: 제어 모듈 609: 저격 훈련 기록 생성 모듈
610: 화면 전환 모듈 700: 모션 감지 장치
800: 아이트래킹 장치 900: 음향 장치

Claims (10)

  1.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에 대한 게임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빔을 출력하는 다수의 프로젝터;
    다수의 게임자의 전방을 둘러싸도록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프로젝터로부터 출력된 게임 영상을 다중 투사 방식으로 표시하는 스크린;
    상기 다수의 게임자에 의하여 총구가 이동되는 조준 신호와, 상기 스크린 상의 타겟에 대한 격발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격발 신호의 발생 시 솔레노이드 코일로부터 발생되는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사격 반동을 발생시키며, 총구 방향 또는 조준선 방향으로 600nm 내지 1100nm 파장의 비가시 레이저를 발사하는 모의 총기;
    상기 조준 신호와 격발 신호가 발생된 스크린의 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
    상기 다수의 프로젝터, 상기 스크린, 상기 모의 총기, 상기 제1 카메라 및 상기 모의 총기와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출력 정보를 기초로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을 진행 및 관리하고, 다수의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콘텐츠와 게임 미션에 따른 게임 모드, 게임 맵, 상기 게임 맵의 크기 및 상기 게임 맵의 환경모드를 각각 선택하기 위한 관리 서버; 및
    상기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을 수행하는 게임자의 동작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게임 모드, 상기 게임 맵 및 상기 게임 맵의 크기의 조합에 따라 게임 난이도가 상이해지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 카메라는 상기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이 수행 중 또는 수행 완료 후의 촬영 영상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다수의 프로젝터, 스크린, 모의 총기, 제1 카메라 및 모의 총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 모듈;
    다수의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콘텐츠와 미션에 따른 게임 모드, 게임 맵, 상기 게임 맵의 크기, 상기 게임 맵의 환경모드를 각각 설정하기 위한 콘텐츠 제공모듈;
    상기 제1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게임 영상을 기초로 상기 스크린 상에 스폿되는 조준 신호 및 격발 신호의 좌표를 검출하는 좌표 인식 모듈;
    상기 제2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게임자의 영상을 기초로 상기 게임자의 타겟 반응 속도, 손떨림 또는 총기 흔들림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 정보와 비교하는 자세 판정 모듈;
    상기 스크린 상에 스폿되는 격발 신호의 좌표 정보와 상기 격발 신호에 포함되는 고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타겟에 대한 명중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된 명중 여부의 결과에 따라 게임자별 명중률 정보를 분석하는 명중 판정 및 명중률 분석 모듈;
    상기 자세 판정 모듈에 의한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게임자의 자세 교정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게임자의 자세 교정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별도의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교정 정보 제공 모듈;
    상기 다수의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콘텐츠, 상기 제1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게임 영상, 상기 제2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게임자의 영상, 상기 조준신호 및 격발 신호, 상기 조준 신호 및 격발 신호의 고유 식별 정보와 좌표 정보, 상기 게임자별 명중률 정보, 상기 게임자의 자세 교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
    상기 관리 서버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모의 총구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의 수신 결과에 따라 게임자별 사격 훈련 기록 정보를 생성하는 저격 훈련 기록 생성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자세 판정 모듈은,
    상기 스크린 상의 조준 신호와 격발 신호의 좌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게임자의 타겟 반응 속도를 측정한 후 게임자별 타겟 반응 속도 정보를 생성하는 타겟 사격 반응 속도 측정부;
    상기 제2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게임자의 게임 영상과 상기 스크린 상의 조준 신호와 격발 신호의 좌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게임자의 손떨림 및 총기 흔들림 정보를 파악한 후, 게임자별 손떨림 및 총기 흔들림 정보를 생성하는 손떨림 및 총기 흔들림 판단부;
    상기 제2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게임자의 게임 영상을 기초로 상기 게임자의 총알 소비 습관 정보를 파악한 후, 게임자별 총알 소비 습관 정보를 생성하는 습관 정보 판단부;
    상기 게임자의 신체에 착용되고, 상기 관리 서버와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관리 서버의 제어에 의해 기계적으로 동작하여 상기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중에 총알을 맞는 느낌을 제공하도록 내장된 솔레노이드 스위치, 다른 게임자의 모의 총구로부터 출력된 레이저를 수신하는 레이저 수신부, 및 상기 게임자의 심장 박동수 및 혈압 상태 정보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모의 조끼; 및
    상기 좌표 인식 모듈에 의하여 검출된 조준 신호 및 격발 신호의 좌표 정보와 상기 생체정보 감지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심장 박동수 및 혈압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게임자별 생체 정보를 생성하는 생체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의 총기는,
    상기 게임자에 따라 특정 대역폭의 주파수를 가지는 적외선 레이저를 총구의 방향과 일치하도록 지속적으로 발사하여 상기 총구가 이동되는 조준 신호와 상기 게임자의 방아쇠 조작에 따른 격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조준 신호 및 격발 신호는 고유 식별 정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의 총기에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더 설치되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설치되는 경우, 에어 콤프레셔로부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공압을 공급하여 상기 모의 총기에 사격 반동을 제공하기 위한 공압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모듈은,
    다수의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콘텐츠와 게임 미션에 따른 다수의 게임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게임 모드 선택부;
    다수의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콘텐츠와 게임 미션에 따른 다수의 게임 맵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게임 맵 선택부;
    다수의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콘텐츠와 게임 미션에 따른 상기 게임 맵의 크기를 선택하기 위한 게임 맵 크기 선택부; 및
    다수의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콘텐츠와 게임 미션에 따른 상기 게임 맵의 환경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게임 맵 환경모드 선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게임 모드 선택부는,
    고정 및 이동식 타겟을 사격하여 점수를 얻는 방식으로 게임자가 과녁, 저격 및 연사 트레이닝을 하기 위한 트레이닝 모드;
    NPC(non-player character)들과 함께 소정의 미션을 클리어하는 방식으로 다수의 게임자가 소규모 게임 맵을 단계 별로 진행하기 위한 스토리 모드; 및
    다수의 팀을 구성하여 서로 공격하는 방식으로 각 팀에게 할당된 소규모 맵을 단계 별로 점령하기 위한 배틀 모드 중 하나를 선택 가능하도록 제공하고,
    상기 게임 맵 선택부는,
    도심, 산악, 초원, 해안 및 사막지역을 포함하는 일반지역;
    카지노, 지하철, 지하벙커, 창고 및 레이더 기지를 포함하는 건물내부; 및
    비무장지대, 땅굴 및 경기장을 포함하는 특수지역을 포함하는 게임 맵 중 하나를 선택 가능하도록 제공하고,
    상기 게임 맵 크기 선택부는,
    상기 게임 맵에 대하여 소규모, 중규모 및 대규모의 맵 중 하나를 선택 가능하도록 제공하고,
    상기 게임 맵 환경모드 선택부는,
    상기 게임 맵에 대하여 계절, 날씨 및 시간대를 포함하는 환경모드 중 하나를 선택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격 시뮬레이션 시스템.
  8. 삭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자의 전방에는 상기 게임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감지 장치와, 상기 게임자의 눈동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아이트래킹 장치가 더 배치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모션 감지 장치 및 아이트래킹 장치에 의하여 감지된 게임자 및 눈동자의 움직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게임 영상의 화면을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화면 전환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음향 신호를 받아 고출력 앰프와 스피커를 통해 상기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에 대한 효과음을 재생하여 실감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KR1020150144937A 2015-10-16 2015-10-16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KR101642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937A KR101642956B1 (ko) 2015-10-16 2015-10-16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CN201610902182.0A CN106964157A (zh) 2015-10-16 2016-10-17 射击模拟游戏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937A KR101642956B1 (ko) 2015-10-16 2015-10-16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2956B1 true KR101642956B1 (ko) 2016-07-26

Family

ID=56681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4937A KR101642956B1 (ko) 2015-10-16 2015-10-16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42956B1 (ko)
CN (1) CN106964157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4709A1 (ko) * 2016-10-18 2018-04-26 함윤록 실탄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8458627A (zh) * 2018-03-22 2018-08-28 军鹏特种装备股份公司 通用型多功能射击显示装置
CN108721882A (zh) * 2018-05-15 2018-11-02 宇欢锋 一种激光模拟发射对抗装备及控制系统
KR20190142584A (ko) 2018-06-18 2019-12-27 이해명 드론을 이용한 사격 게임 장치
WO2020183041A1 (es) * 2019-03-14 2020-09-17 Caballero Janina Manuel Dispositivo electrónico simulador del sonido de armas de fuego
KR102183374B1 (ko) * 2020-07-13 2020-11-26 (주)피닉스스튜디오 사격술 자동분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214678B1 (ko) * 2020-06-23 2021-02-10 박노선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스크린 사격장 및 스크린 사격 게임 방법
KR20210092386A (ko) * 2020-01-16 2021-07-26 (주)크래프톤 게임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30028004A (ko) * 2021-08-20 2023-02-28 김유리 스크린 사격 시스템
KR20230077083A (ko) * 2021-11-25 2023-06-01 신원섭 맞춤형 온오프라인 사격 교육 시스템
KR102612660B1 (ko) * 2023-03-07 2023-12-13 주식회사 동연네트웍스 레이저 사격을 이용한 교육 장치
WO2024090689A1 (ko) * 2022-10-28 2024-05-02 드로닉 주식회사 무인 비행체를 이용하는 온라인 슈팅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45302A (zh) * 2017-10-23 2018-03-27 武汉市晋升科技有限公司 执法情景仿真系统及方法
CN109432768A (zh) * 2018-10-16 2019-03-08 深圳市眼界科技有限公司 曲面屏幕坐标的畸变校正方法及装置
CN109821238B (zh) * 2019-03-29 2022-10-28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游戏中的瞄准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装置
CN110075515A (zh) * 2019-04-01 2019-08-02 南京华捷艾米软件科技有限公司 体感设备的交互方法和体感设备
KR102304445B1 (ko) * 2019-08-23 2021-09-17 박노선 대전게임 운영 시스템 및 방법
CN112595170A (zh) * 2020-12-07 2021-04-02 道和安邦(天津)安防科技有限公司 一种实感射击训练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1162A (ko) * 2009-06-05 2010-12-15 옥철식 영상 사격 게임 장치 및 영상 사격 게임 제공 방법
KR101034367B1 (ko) 2008-06-20 2011-05-23 안홍기 체감형 사격 게임 장치와 이의 제어 방법
KR20110056019A (ko) 2009-11-20 2011-05-26 이지프로젝터서비스(주) 스크린 사격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12117A (ko) * 2012-12-20 2014-09-23 (주)창진인터내셔널 무선 실내 사격 시뮬레이션 시스템
KR20140127934A (ko) * 2013-04-08 2014-11-05 여명숙 증강 현실 및 뇌파를 이용한 사격 게임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모바일 기기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57101B (en) * 1996-12-17 1999-05-01 Konami Co Ltd Shooting video game machine and shooting result presentation method
US20100273130A1 (en) * 2009-04-22 2010-10-28 Integrated Digital Technologies, Inc. Shooting training systems using an embedded photo sensing panel
CN202032940U (zh) * 2011-04-21 2011-11-09 大连民族学院 一种实弹射击辅助训练系统
CN103106340B (zh) * 2013-01-21 2015-09-30 天津大学 基于数据挖掘和数据融合的游戏关卡自动生成系统及方法
CN103322856B (zh) * 2013-03-06 2015-04-22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基于偏振光/mimu的射击定姿与微动测量系统
CN104815436B (zh) * 2015-04-30 2016-05-11 山东大学 带有后坐力反馈系统的互动射击影院仿真枪系统及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367B1 (ko) 2008-06-20 2011-05-23 안홍기 체감형 사격 게임 장치와 이의 제어 방법
KR20100131162A (ko) * 2009-06-05 2010-12-15 옥철식 영상 사격 게임 장치 및 영상 사격 게임 제공 방법
KR101179218B1 (ko) 2009-06-05 2012-09-04 주식회사 인퍼니 영상 사격 게임 장치 및 영상 사격 게임 제공 방법
KR20110056019A (ko) 2009-11-20 2011-05-26 이지프로젝터서비스(주) 스크린 사격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12117A (ko) * 2012-12-20 2014-09-23 (주)창진인터내셔널 무선 실내 사격 시뮬레이션 시스템
KR20140127934A (ko) * 2013-04-08 2014-11-05 여명숙 증강 현실 및 뇌파를 이용한 사격 게임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모바일 기기와 시스템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4709A1 (ko) * 2016-10-18 2018-04-26 함윤록 실탄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921249B1 (ko) * 2016-10-18 2018-11-22 함윤록 실탄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8458627A (zh) * 2018-03-22 2018-08-28 军鹏特种装备股份公司 通用型多功能射击显示装置
CN108721882A (zh) * 2018-05-15 2018-11-02 宇欢锋 一种激光模拟发射对抗装备及控制系统
KR20190142584A (ko) 2018-06-18 2019-12-27 이해명 드론을 이용한 사격 게임 장치
WO2020183041A1 (es) * 2019-03-14 2020-09-17 Caballero Janina Manuel Dispositivo electrónico simulador del sonido de armas de fuego
KR20210092386A (ko) * 2020-01-16 2021-07-26 (주)크래프톤 게임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485181B1 (ko) * 2020-01-16 2023-01-06 (주)크래프톤 게임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602693B2 (en) 2020-01-16 2023-03-14 Kraft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game with enhanced unexpectedness
KR102214678B1 (ko) * 2020-06-23 2021-02-10 박노선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스크린 사격장 및 스크린 사격 게임 방법
CN113827949A (zh) * 2020-06-23 2021-12-24 朴鲁先 利用人工智能技术的屏幕射击场以及屏幕射击游戏方法
US11707668B2 (en) 2020-06-23 2023-07-25 Nspark Inc. Screen shooting range and method of playing screen shooting gam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KR102183374B1 (ko) * 2020-07-13 2020-11-26 (주)피닉스스튜디오 사격술 자동분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230028004A (ko) * 2021-08-20 2023-02-28 김유리 스크린 사격 시스템
KR102577519B1 (ko) * 2021-08-20 2023-09-11 김유리 스크린 사격 시스템
KR20230077083A (ko) * 2021-11-25 2023-06-01 신원섭 맞춤형 온오프라인 사격 교육 시스템
KR102661130B1 (ko) * 2021-11-25 2024-04-26 신성찬 맞춤형 온오프라인 사격 교육 시스템
WO2024090689A1 (ko) * 2022-10-28 2024-05-02 드로닉 주식회사 무인 비행체를 이용하는 온라인 슈팅 시스템
KR102612660B1 (ko) * 2023-03-07 2023-12-13 주식회사 동연네트웍스 레이저 사격을 이용한 교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964157A (zh) 2017-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2956B1 (ko)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US20210234747A1 (en) Augmented reality gaming system
US7140962B2 (en) Video game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11589149B (zh) 虚拟道具的使用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0538459A (zh) 在虚拟环境中投掷虚拟爆炸物的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1179679B (zh) 射击训练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TW201038912A (en) Shooting training systems using an embedded photo sensing panel
KR101247213B1 (ko) 전투 게임용 로봇 및 이를 이용한 전투 게임 시스템과 방법
US11707668B2 (en) Screen shooting range and method of playing screen shooting gam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CN112717410B (zh) 虚拟对象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2361694B1 (ko) 드론 기반의 서바이벌 사격 게임 제공 시스템
KR102490842B1 (ko)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
KR101617357B1 (ko) 실내 훈련용 곡사화기 사격술 모의 훈련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706170B1 (ko) 서바이벌 스마트 활쏘기 게임 시스템
US10625147B1 (en) System and method of marksmanship training utilizing an optical system
US11813536B2 (en) Extended-reality projectile-firing gaming system and method
CN111659102B (zh) 一种模拟射击的方法、装置及系统
US11662178B1 (en) System and method of marksmanship training utilizing a drone and an optical system
US9782667B1 (en) System and method of assigning a target profile for a simulation shooting system
US20230356095A1 (en) Smart target co-witnessing hit attribution system and method
WO2024015238A1 (en) Smart target co-witnessing hit attribution system and method
KR20220061434A (ko) 증강 현실을 이용한 활용 서바이벌 게임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45306A (ko) 사냥 드론 및 사냥 드론을 이용한 드론 사냥 게임 시스템
KR20180019333A (ko) 비콘 모의폭탄을 이용한 서바이벌 전투게임 시스템
CN114353581A (zh) 一种便携式导弹模拟训练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