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9218B1 - 영상 사격 게임 장치 및 영상 사격 게임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사격 게임 장치 및 영상 사격 게임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9218B1
KR101179218B1 KR1020090049916A KR20090049916A KR101179218B1 KR 101179218 B1 KR101179218 B1 KR 101179218B1 KR 1020090049916 A KR1020090049916 A KR 1020090049916A KR 20090049916 A KR20090049916 A KR 20090049916A KR 101179218 B1 KR101179218 B1 KR 101179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model
image
video shooting
shooting g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9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1162A (ko
Inventor
강기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퍼니
Priority to KR1020090049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9218B1/ko
Publication of KR20100131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1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21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9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aiming at specific areas on the display, e.g. light-gu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comprising photodetecting means, e.g. cameras, photodiodes or infrared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37Shooting of targe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2Shooting or hurling games
    • A63F9/0252Shooting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영상 사격 게임에서 실제 사격의 느낌을 구현할 수 있도록, 실제 화약을 이용하여 모형 탄피를 배출하는 모형 총기를 적용한 영상 사격 게임 장치 및 영상 사격 게임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영상 사격 게임을 진행하는 게임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프로젝터; 게임자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프로젝터에서 출력하는 상기 게임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 상에서 소정 주파수의 레이저에 의한 스폿광만을 촬영하여 생성한 좌표 인식용 영상을 지속적으로 출력하는 좌표 인식용 카메라; 상기 주파수의 레이저를 총구의 방향과 일치하도록 지속적으로 발사하고, 게임자의 방아쇠 조작에 따라 전기적인 격발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실제 총기와 동일한 동작 원리로 동작하여 모형 탄피를 배출하는 모형 총기; 영상 사격 게임을 진행하는 운영 컴퓨터;를 포함하는 영상 사격 게임 장치를 제공한다.
영상 사격 게임, 모형 총기, 모형 탄피

Description

영상 사격 게임 장치 및 영상 사격 게임 제공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VIRTUAL SHOOTING GAME}
본 발명은 영상 사격 게임 장치 및 영상 사격 게임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제 화약을 사용하는 모형 탄피를 배출하는 기능이 있는 모형 총기를 이용하여 스크린에 표시되는 게임을 진행하는 영상 사격 게임 장치 및 영상 사격 게임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멀티미디어 기술과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기술 발달로, 실제와 비슷한 가상 공간 내에서 실제 상황에서와 동일한 느낌을 가지면서 실제 상황에서 구현하기 어려운 상황을 연출한 가상 영상 사격 게임 등이 많은 인기를 모으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영상 사격 게임에 사용되는 모형 총기는, 압축 공기, 특수 가스, 모터 구동 방식 등으로 게임자의 방아쇠 격발과 동시에 블로우백 효과를 실행하고, 스피커 등에 의해 탄약의 화약이 폭발함에 의해 발생하는 격발음 및 탄환이 물체에 충돌하여 발생하는 사격 효과음을 출력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모형 총기는 실제 사격하는 느낌을 제대로 구현하기 어려웠으며, 특히, 사격시 발생하는 격발음, 화약의 폭발에 의한 불꽃 및 연기, 탄피 배출 등의 효과는 전혀 구현할 수 없 어서 사격의 사실감이 떨어졌다.
따라서, 비록 가상 공간 내에서 영상 사격 게임을 실시하고 있지만, 실제 현장에서 실제 총기를 이용하여 실제 전투를 행하고 있는 것과 같은 임장감을 높일 수 있는 영상 사격 게임을 행하고자 하는 게임자들의 욕구가 항상 존재하여 왔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상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영상 사격 게임에서 실제 사격의 느낌을 구현할 수 있도록, 실제 화약을 이용하여 모형 탄피를 배출하는 모형 총기를 적용한 영상 사격 게임 장치 및 영상 사격 게임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영상 사격 게임에 복수의 게임자가 동시에 참여하여도 각 게임자의 사격 결과를 정확하게 식별하여 게임을 진행할 수 있는 영상 사격 게임 장치 및 영상 사격 게임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제 사격의 느낌을 재현한 영상 사격 게임 장치로서, 영상 사격 게임을 진행하는 게임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프로젝터; 게임자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프로젝터에서 출력하는 상기 게임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 상에서 소정 주파수의 레이저에 의한 스폿광만을 촬영하여 생성한 좌표 인식용 영상을 지속적으로 출력하는 좌표 인식용 카메라; 상기 주파수의 레이저를 총구의 방향과 일치하도록 지속적으로 발사하고, 게임자의 방아쇠 조작에 따라 전기적인 격발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실제 총기와 동일한 동작 원리로 동작하여 모형 탄피를 배출하는 모형 총기; 상기 좌표 인식용 영상을 지속적으로 입력받으며, 상기 격발 신호가 입력된 순간에 상기 좌표 인식용 영상에서 상기 스폿광의 좌표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좌표를 게임자의 사격에 의한 탄착점으로 하여 영상 사격 게임에 반영함으로써 상기 게임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게임 영상을 상기 프로젝터에 제공하는 운영 컴퓨터;를 포함하는 영상 사격 게임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좌표 인식용 카메라는, 상기 스크린의 전체 범위를 촬영 영역으로 하여 상기 좌표 인식용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운영 컴퓨터는 상기 스크린을 좌표 평면으로 하여 상기 스폿광의 좌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이저는, 파장이 600 내지 1100 nm의 비가시 레이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형 총기는 상기 격발 신호를 지그비 통신,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RFID 통신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운영 컴퓨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형 탄피는, 실제 탄약의 탄두를 포함하는 앞쪽 부분에 대응하는 외형을 가지며 내부가 전방 및 후방으로 개방된 튜브 형태의 전방 몸체부; 실제 탄약의 뒤쪽 부분에 대응하는 외형을 가지며 내부가 전방 및 후방으로 개방된 튜브 형태이고, 상기 전방 몸체부와 결합하여 실제 탄약의 외형을 나타내며 내부가 전방 및 후방으로 개방된 튜브 형태가 되는 후방 몸체부, 상기 전방 몸체부와 후방 몸체부 사이의 내부 공간에 고정되도록 삽입되는 화약 고정부, 상기 화약 고정부에 고정되며 화약을 저장하고 있는 화약 저장부, 상기 전방 몸체부와 후방 몸체부 사이의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노출되고, 외부로부터의 타격에 의해 전 진하여 상기 화약 저장부를 타격함으로써 상기 화약을 발화시키는 격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형 총기는, 상기 모형 탄피의 화약의 폭발에 의한 특정 주파수의 폭발음, 폭발에 의한 특정 주파수의 진동, 폭발에 의한 상기 모형 총기의 반동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감지한 경우에 상기 격발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형 총기는, 고유 발광 특성을 갖는 레이저를 발사하고, 또한 고유 식별 특성을 갖는 격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운영 컴퓨터는, 복수 개의 상기 모형 총기가 영상 사격 게임에 적용된 상태에서, 상기 좌표 인식용 영상에서 상기 고유 발광 특성에 따른 스폿광에 따라 복수 개의 상기 모형 총기 각각의 탄착점을 구분하고, 또한 상기 고유 식별 특성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모형 총기 각각의 격발 신호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유 발광 특성은, 상기 스폿광의 색깔, 레이저의 점멸 주파수 및 스폿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고유 식별 특성은, 상기 격발 신호의 출력 주파수 및 포함하는 디지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게임을 수행하는 게임자를 촬영하는 게임자 촬영용 카메라를 더 구비하고, 영상 사격 게임이 종료한 후 게임자를 촬영한 영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제 총기와 동일한 작동 원 리로 동작하여 모형 탄피를 배출하는 모형 총기를 이용하여 실제 사격의 느낌을 재현한 영상 사격 게임 제공 방법으로서: 영상 사격 게임을 진행하기 위한 게임 영상을 출력하여 스크린에 표시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게임 영상이 표시되는 스크린을 촬영하여 상기 스크린상에서 모형 총기로부터 지속적으로 발사되는 소정 주파수의 레이저에 의해 생성된 스폿광만이 촬영된 연속적인 좌표 인식용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게임자의 방아쇠 격발에 의한 상기 모형 탄피 내의 화약 발화 및 상기 모형 탄피의 배출과 동시에 상기 모형 총기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인 격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격발 신호를 수신한 시점의 상기 좌표 인식용 영상에서 상기 스폿광의 좌표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좌표를 상기 게임자의 사격에 의한 탄착점으로 하여 영상 사격 게임에 반영하는 단계; 상기 탄착점이 반영되어 생성된 게임 영상을 상기 출력하여 스크린에 표시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사격 게임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모형 총기는, 상기 스폿광을 각각 구분할 수 있도록 고유 발광 특성을 갖는 레이저를 발사하고 및 상기 격발 신호를 각각 구분할 수 있도록 고유 식별 특성을 갖는 상기 격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고유 발광 특성 및 상기 고유 식별 특성에 의해, 복수의 상기 모형 총기 중 어느 하나의 총기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영상 사격 게임을 진행하는 게임자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한 영상을 게임자에게 전자 파일 또는 인쇄물의 형태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사격 게임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실제 화약을 발화시키는 모형 탄피와 실제 총기와 동일한 작동 구조를 갖는 모형 총기를 이용하여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가상 사격 게임을 진행하게 되므로, 게임자는 실제 전투 현장에 투입된 것과 같은 임장감을 최대로 느낄 수 있게 된다.
또한, 모형 탄피의 화약이 폭발했을 경우에만 사격이 행해진 것으로 간주하도록 하여, 실제 탄약에 의한 사격이 이루어진 것과 같은 게임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영상 사격 게임에 복수의 게임자가 동시에 참여하더라도, 각 게임자의 사격 결과를 정확하게 식별하여 영상 사격 게임에 반영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사격 게임 장치 및 영상 사격 게임 제공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사격 게임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 사격 게임 장치는, 프로젝터(10)와, 스크린(20)과, 좌표 인식용 카메라(30)와, 모형 총기(50)와, 운영 컴퓨터(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프로젝터(10)는 영상 사격 게임을 진행하는 게임 영상을 시각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빔을 출력한다.
스크린(20)은 게임자(1)의 전방에 배치되며 프로젝터(10)에서 출력하는 빔에 의한 게임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이와 같은 프로젝터(10)와 스크린(20)은 게임 영상 표시 수단이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게임 영상 표시 수단으로 프로젝터(10)와 스크린(20)을 적용하였으나, 시각적인 표시가 가능한 다양한 표시 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즉, PDP/LCD 디스플레이어, 반사경을 이용한 대형 브라운관, 안경형 디스플레이 등이 이용될 수도 있으며, 특정의 표시 수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후술하는 포인팅용 레이저의 상이 맺혀 스폿광을 생성할 수 있는 형태의 디스플레이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표 인식용 카메라(30)는, 게임 영상이 표시되고 있는 스크린(20) 상에서 특정의 주파수를 갖는 레이저에 의한 스폿광을 촬영하여 좌표 인식용 영상을 생성한다.
이때, 레이저로는 스크린(20)에 의해 광의 진행이 차단되어 생성되는 스폿광이 게임자(1)의 육안에 보여지는 가시 주파수의 레이저가 적용될 수도 있고, 육안으로 볼 수 없는 파장이 600 내지 1100 nm 대역의 비가시 레이저가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사격 게임 장치는, 실제와 동일한 임장감을 부여하기 위하여, 비가시 레이저를 포인팅용 레이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
따라서, 좌표 인식용 카메라(30)는 적용된 레이저의 주파수에 대응하여 영상 처리 또는 입사광 필터링 등을 수행함으로써, 스크린(20)상에 형성되는 프로젝터(10)에 의한 게임 영상을 제거하고 레이저에 의한 스폿광만을 촬영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게임 영상을 포함하지 않고, 단지 스폿광만을 촬영한 영상을 좌표 인식용 영상으로 한다.
한편, 좌표 인식용 카메라(30)는 촬영되는 좌표 인식용 영상과 영상 사격 게임을 진행하는 사격 영상과의 포인팅 위치를 일치시켜야 한다. 이를 위하여, 좌표 인식용 카메라(30)는 스크린(20)의 소정 위치를 기준 위치로 하기 위한 특정의 기준점을 촬영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스크린(20)의 일측에는 좌표 인식용 카메라(30)를 향하여 기준점이 되는 레이저 등을 배출하는 기준점 표시 수단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영상 사격 게임을 진행하기 전에 좌표 인식용 카메라(30)를 스크린(20)에 표시되는 게임 영상에 대하여 기준 위치로 위치 조정 및 고정시킴으로써 촬영된 좌표 인식용 영상과 게임 영상의 포인팅 위치가 일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좌표 인식용 카메라(30)는 영상 사격 게임이 진행되는 동안 게임 영상이 표시되고 있는 스크린(20)을 지속적으로 촬영하여 좌표 인식용 영상을 연속적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형 총기(50)는, 육안에 대한 비가시 영역의 주파수를 갖는 레이저를 모형 총기 총구의 방향과 일치하도록, 또는 모형 총기(50)의 조준선 방향과 일치하도록 발사하여, 게임자(1)의 포인팅 위치가 좌표 인식용 카메라(30)에 의해 촬영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레이저는 영상 사격 게임이 진행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발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형 총기(50)는 실제 총기와 동일한 기계적 구조로 이루어지며, 탄약으로는 실제 화약을 내장한 모형 탄피(40)를 사용한다. 그리하여 게임자가 모형 총기(50)의 방아쇠(56)를 당기면 모형 탄피(40)의 화약이 발화함으로써 실제 사격과 유사한 총성과 사격 반동을 발생하면서 모형 탄피(40)가 모형 총기(50)의 외부로 배출되는 상황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모형 총기(50)는 게임자(1)의 방아쇠 격발을 감지하여 전기적인 격발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후술하는 운영 컴퓨터(60)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모형 총기(50)는 영상 사격 게임 장치의 다른 구성 요소와는 별도의 유선 연결되지 않는 것이 영상 사격 게임의 임장감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기 때문에, 상기의 격발 신호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사격 게임 장치에 적용되는 모형 탄피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모형 탄피(40)는 실제 총기에 쓰이는 실제 탄약과 유사한 외관을 가지며, 내부에 화약을 내장한다. 그리고 모형 총기(50)의 방아쇠 격발에 의해 공이치기(도시하지 않음) 및 공이(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모형 탄피(40)의 후방 부분에 충격이 가해지고, 이에 의해 내장된 화약이 발화된다. 화약이 발화되면, 화약에 의한 화염이 모형 탄피(40)의 전방으로 배출되고 그 반동에 의해 모형 탄피(40)가 후퇴하여 노리쇠(도시하지 않음) 및 공이치기를 후퇴시킴과 동시에 모형 탄피(40)는 모형 총기(5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동작하는 모형 탄피(40)의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몸체부(41), 후방 몸체부(42), 화약 고정부(43), 화약 저장부(45), 격발부(46)를 포함한다.
전방 몸체부(41)와 후방 몸체부(42)는 서로 나사 결합 등에 의해 결합되며, 결합된 후에는 실제 탄약과 유사한 외형을 나타낸다. 이러한 전방 몸체부(41) 및 후방 몸체부(42)가 결합된 내부에는 화약 고정부(43)와 화약 저장부(45)와 격발부(46)를 내장하기 위한 공동인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더욱 전방 몸체부(41) 및 후방 몸체부(42)는 전방 및 후방으로 각각 개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방 몸체부(41)의 개방된 부분으로는 화약의 화염이 배출되고 후방 몸체부(42)의 개방된 부분으로는 후술하는 격발부(46)가 노출되어 공이로부터의 충격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화약 고정부(43)는 전방 몸체부(41)와 후방 몸체부(42) 사이의 내부 공간 중 가장 앞쪽에 배치되며, 전방 몸체부(41)에 고무링(44) 등에 의해 탄성적으로 고정된다. 화약 고정부(43)의 내부에는 화약 저장부(45)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전방으로는 화약에 의한 화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전방 몸체부(41)의 개방된 부분과 연통하도록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화약 고정부(43)는 화약 저장부(45)를 손쉽게 모형 탄피(40)의 내부 공간에서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역할을 한다.
화약 저장부(45)는 외부 충격에 의해 발화하는 화약이 저장되어 있으며, 화약 고정부(43)의 내부에 삽입 고정된다.
격발부(46)는 일측은 후방 몸체부(42)의 개방된 부분에 삽입되어 후방 몸체부(42)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반대측은 화약 고정부(43)에 삽입된 화약 저장부(45)와 맞닿는(또는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형태로 이루어진 부재이다. 이러한 구조에서 모형 총기(50)의 방아쇠 격발에 의해 공이가 격발부(46)를 타격하게 되면, 이 충격이 격발부(46)를 통해 화약 저장부(45)에 도달하여 화약을 발화시키게 된다.
다음은 이와 같은 모형 탄피(40)를 이용하여 실제 사격과 유사한 효과를 실현하며, 동시에 영상 사격 게임에서 포인팅 수단으로 동작하는 모형 총기(50)의 구성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모형 총기(50)는, 레이저 발사부(52), 사격 기능부(54), 격발 신호 전송부(58), 전원부(5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레이저 발사부(52)는, 총구 방향 또는 조준선 방향으로 레이저를 발사한다. 이 레이저는 전방의 스크린(20)에 도달하여 스폿광을 형성하게 된다. 더욱, 이때 발사되는 레이저는 파장이 600 내지 1100 nm의 비가시 레이저인 것이 바람직하고, 800 내지 950 nm 대역의 파장을 갖는 비가시 레이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레이저 발사부(52)는, 영상 사격 게임의 실행과 동시에 지속적으로 레이저를 발사하여 스크린(20)을 포인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격 기능부(54)는 실제 총기와 동일한 기계적 구조를 가지며 동일한 원리로 작동함으로써, 탄창(55)으로부터 공급되는 모형 탄피(40)를 게임자(1)의 방아쇠 조작에 의해 타격하고, 타격에 의해 내장된 화약을 발화시킴과 동시에 화약이 발화된 모형 탄피(40)를 배출한다.
격발 신호 전송부(58)는, 사격 기능부(54)의 방아쇠 격발을 감지하여 게임자(1)에 의한 격발을 표시하기 위한 전기적인 격발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격발 신호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전송될 수 있는데,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격발 신호 전송부(58)는 무선 전송 안테나(도시하지 않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용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는, zigbee 통신,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RFID 통신 등을 다양하게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한편, 격발 신호 모형 탄피(40)는 방아쇠(56)의 동작으로부터 격발을 감지하는 방법 외에도, 별도의 격발 감지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즉, 모형 총기(50)에서 격발이 이루어지면, 모형 탄피(40)의 화약이 발화 및 폭발하게 되는데, 이러한 폭발을 감지하여 게임자(1)에 의한 사격이 행해졌는지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격발 감지 수단으로는, 모형 탄피(40)의 화약의 폭발에 의해 발 생하는 특정 주파수의 폭발음을 감지하기 위한 폭음 감지용 센서 또는 모형 탄피(40)의 폭발에 의한 모형 총기(40)의 반동 또는 진동, 화약의 폭발에 의한 게임자(1) 신체의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진동 감지용 센서 또는 가속도 감지용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실제로 모형 탄피(40)에 의한 사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운영 컴퓨터(60)에서 사격이 행해진 것으로 오인식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게임자(1)에 의해 모형 총기(50)의 방아쇠(56)가 격발되더라도 탄창(55)에 모형 탄피(40)가 없어서 모형 탄피(40)에 의한 사격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격발 신호가 전송되지 않기 때문에, 모형 탄피(40)가 없어서 사격이 행해지지 못하는 상황을 정확하게 감지해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탄창(55)에 저장된 모형 탄피(40)가 모두 소진된 경우에는, 또다른 탄창(55)으로 교체하여 새로운 모형 탄피(40)에 의한 사격을 행하도록 하므로, 실제 탄약에 의한 사격과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전원부(59)는, 충전식 또는 비충전식 배터리 또는 외부 상용 전원 연결 수단 등으로 이루어지며, 모형 총기(50)에서 구동 전력을 필요로 하는 각 요소에 전력을 공급한다. 즉, 레이저 발사부(52), 격발 신호 전송부(58)에 구동 전력을 공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프로젝터(10)와 스크린(20), 좌표 인식용 카메라(30), 모형 총기(50) 등의 구성 요소는 운영 컴퓨터(60)에 의해 제어되어 게임자(1)가 실제 사격의 느낌을 느끼면서 임장감 넘치는 영상 사격 게임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운영 컴퓨터(60)는 프로젝터(10) 및 스크린(20)에 의해 게임 영상을 표시하도록 하고, 좌표 인식용 카메라(30)로부터 좌표 인식용 영상을 지속적으로 입력받으며, 모형 총기(50)로부터 전송되는 격발 신호를 입력받은 순간에 좌표 인식용 영상에서 레이저에 의한 스폿광의 좌표를 검출하고, 검출된 좌표를 게임자가 모형 총기(50)로 스크린을 사격한 탄착점으로 감지하여 영상 사격 게임의 진행에 반영하고, 탄착점이 반영된 영상 사격 게임의 게임 영상을 생성하여 프로젝터(10) 및 스크린(20)으로 출력한다.
이와 같은 작용을 하는 운영 컴퓨터의 구성을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운영 컴퓨터(60)는 격발 신호 수신부(62), 탄착점 인식부(64), 게임 진행부(66), 영상 출력부(6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격발 신호 수신부(62)는, 모형 총기(50)의 격발 신호 전송부(58)에서 유무선으로 전송하는 격발 신호를 수신하고, 격발 신호의 수신을 탄착점 인식부(64)에 알린다.
탄착점 인식부(64)는 좌표 인식용 카메라(30)에서 촬영하여 출력하는 좌표 인식용 영상을 수신한다. 또한, 격발 신호 수신부(62)에서 격발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수신한 좌표 인식용 영상에서 촬영한 스폿광의 좌표를 산출하여 게임자가 모형 총기(50)로 스크린(20)을 사격한 위치를 나타내는 탄착점 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탄착점 정보는 게임 진행부(66)에 제공된다.
게임 진행부(66)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사격 게임 장치에서 진행하는 영상 사격 게임 구동용 소프트웨어를 내장하고, 게임의 진행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게임 영상을 생성하여 영상 출력부(68)에 제공한다. 또한, 게임자(1)가 모형 총기(50)에 의해 스크린(20)에 모형 탄피(40)를 이용하여 사격을 행하여 생성된 탄착점 정보를 수신하고, 탄착점을 게임에 반영하고 대응하는 음향 또는 영상을 생성한다. 이때 생성된 음향은 별도의 음향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도록 하고, 생성된 영상은 게임 영상으로서 영상 출력부(68)에 제공된다.
영상 출력부(68)는 게임 진행부(66)에서 제공하는 게임 영상을 프로젝터(10) 등으로 출력함으로써 스크린(20)에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사격 게임 장치에 의하면, 실제 화약을 발화시켜 화염과 폭음이 발생하고 동시에 모형 탄피(40)를 배출하는 모형 총기(50)를 이용하여 스크린(20) 상에 표시되는 영상 사격 게임을 진행할 수 있게 되므로, 게임자(1)는 실제 총기를 사용하여 실제 전투 현장에 투입된 듯한 임장감을 최대한으로 느끼면서 게임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영상 사격 게임 장치에 의하면, 다수의 게임자가 각자의 모형 총기를 사용하여 하나의 영상 사격 게임에 동시에 참여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각각의 모형 총기(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스폿광을 형성하도록 레이저를 발사하고, 운영 컴퓨터(60)의 탄착점 인식부(64) 에서는 각 스폿광의 좌표를 인식한다. 도 5는 레이저에 의해 형성되는 다양한 형태를 갖는 스폿광의 예시를 나타낸다.
또한, 각 모형 총기(50)의 격발 신호 전송부(58)에서는 각 모형 총기(50)마다 부여된 고유의 식별 특성을 갖는 격발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운영 컴퓨터(60)의 탄착점 인식부(64)에서는 입력된 격발 신호에 대응하는 스폿광을 좌표를 인식함으로써, 어느 모형 총기(50)에서 어느 지점으로의 사격이 발생했는지를 판정하게 되고, 게임 진행부(66)에서는 해당 사격 결과를 사격 게임에 반영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격발 신호를 구별하기 위한 식별 특성으로는, 격발 신호의 무선 출력 주파수 및/또는 격발 신호를 구성하는 디지털 정보가 있을 수 있다.
한편, 각각의 모형 총기(50)로부터의 스폿광는 더욱 다양한 발광 특성에 의해 구분 지을 수 있는데, 스폿광의 형태뿐만 아니라, 스폿광의 색깔을 달리할 수도 있으며, 레이저의 주파수 대역, 또는 발사 주파수를 달리하여 각각의 스폿광을 구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영상 사격 게임 장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게임자 촬영용 카메라(9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게임자 촬영용 카메라(90)는 스크린(20)에 대하여 사격을 행하는 게임자(1)를 촬영하여 게임자 영상을 생성한다. 그리고,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영상 사격 게임 내의 가상 게임자의 자세로서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게임을 진행하는 게임자(1)를 촬영한 영상을 운영 컴퓨터(60)의 메모 리(도시하지 않음) 등에 저장하여 둔 후, 게임 종료 후 해당 게임자(1)에게 인터넷을 통한 전자 파일 형태로 또는 별도의 프린터에 의한 출력물로 제공하여 줄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사격 게임 장치에 있어서는, 모형 총기의 레이저를 지속적으로 발사하도록 하고 있으나, 방아쇠의 격발과 동시에(또는 격발 감지 수단에 의해 모형 탄피의 화약의 폭발을 감지한 경우에) 레이저를 발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좌표 인식용 카메라로 지속적으로 스크린을 촬영하도록 하다가, 발사된 레이저에 의한 스폿광이 생성된 경우 이 스폿광의 좌표를 탄착점으로 하게 된다. 또는 카메라의 촬영 시점조차도 방아쇠의 격발과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다음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영상 사격 게임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 사격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사격 게임을 제공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프로젝터(10)와, 스크린(20)과, 좌표 인식용 카메라(30)와, 모형 총기(50)와, 운영 컴퓨터(60)를 포함한 영상 사격 게임 장치를 구비한 상태에서, 게임자(1)가 영상 사격 게임을 시작하면(S10), 운영 컴퓨터(60)에서는, 영상 사격 게임을 진행하기 위한 게임 영상을 생성하여 프로젝터(10)를 통해 스크린(20)에 표시 되도록 한다(S20).
게임 영상이 표시되면 게임자(1)는 레이저를 발사하고 있는 모형 총기(50)를 이용하여 스크린(20)에 표시되는 게임 영상의 일측을 포인팅하게 되고, 좌표 인식용 카메라(30)에서는 스크린(20) 상에서 레이저에 의한 스폿광을 촬영하여 좌표 인식용 영상으로 출력하고, 운영 컴퓨터(60)에서는 좌표 인식용 영상을 수신한다(S30).
이때, 게임자(1)가 모형 총기(50)의 방아쇠(56)를 격발하게 되면, 모형 탄피(40)의 화약이 발화하여 총성이 발생하고 모형 탄피(40)가 모형 총기(50)의 외부로 배출되며, 동시에 전기적인 격발 신호가 생성되어 출력된다. 출력된 격발 신호는 운영 컴퓨터(60)에서 수신하게 되며, 운영 컴퓨터(60)는 격발 신호를 수신한 순간에 동시에 수신된 좌표 인식용 영상의 스폿광으로부터 탄착점이 되는 좌표를 인식한다(S40).
인식된 탄착점의 좌표는 진행중인 영상 사격 게임에 반영되고, 대응하는 효과음 및 게임 영상이 생성된다(S50).
생성된 게임 영상은 프로젝터(10) 및 스크린(20)을 통해 표시되며, 게임자(1)는 계속 영상 사격 게임을 진행하게 된다(S60).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위와 같은 영상 사격 게임에 있어서, 하나의 영상 사격 게임에 다수의 게임자가 각각의 모형 총기를 이용하여 참여하는 경우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각각의 모형 총기(50)는 서로 구분될 수 있는 고유 특성을 갖는다. 즉, 서로 다른 고유의 발광 특성을 갖는 레이저를 포인팅용으로 발사하게 되고, 서로 다른 고유의 식별 특성을 갖는 격발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고유 특성은 미리 운영 컴퓨터(60)에 등록되어 구분되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설정된 상태에서, 동시에 다수의 모형 총기(50)가 사격을 행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해 각각을 구분할 수 있게 된다.
먼저, 제1 게임자의 조작에 의해 제1 모형 총기로부터 제1 격발 신호가 수신되면(S71), 운영 컴퓨터(60)는 수신되는 좌표 인식용 영상에 표시된 스폿광 중에서 제1 모형 총기에 의한 제1 스폿광을 식별하고, 이 제1 스폿광의 좌표를 인식한다(S72). 그리고 제1 스폿광의 좌표를 제1 게임자의 사격에 의한 탄착점으로 하고, 이 탄착점의 좌표를 영상 사격 게임에 반영하게 된다(S73).
마찬가지로, 제2 또는 제3 게임자에 의한 사격을 식별하여 영상 사격 게임에 반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사격 게임 제공 방법에 있어서는, 구비된 게임자 촬영용 카메라에 의해 게임을 진행하는 게임자를 1회 또는 복수 회 촬영하고, 영상 사격 게임이 종료한 후 이를 인쇄물을 통해 또는 전자적인 영상 파일 등으로서 게임자에게 제공하여줄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사격 게임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모형 탄피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모형 총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운영 컴퓨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레이저에 의해 형성되는 다양한 스폿광의 형태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사격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하나의 영상 사격 게임에 다수의 게임자가 각각의 모형 총기를 이용하여 참여하는 경우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Claims (12)

  1. 실제 사격의 느낌을 재현한 영상 사격 게임 장치로서,
    영상 사격 게임을 진행하는 게임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프로젝터;
    게임자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프로젝터에서 출력하는 상기 게임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 상에서 소정 주파수의 레이저에 의한 스폿광만을 촬영하여 생성한 좌표 인식용 영상을 지속적으로 출력하는 좌표 인식용 카메라;
    상기 스폿광의 색깔, 레이저의 점멸 주파수 및 스폿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고유 발광 특성을 갖는 상기 소정 주파수의 레이저를 총구의 방향과 일치하도록 지속적으로 발사하고, 게임자의 방아쇠 조작에 따라 출력 주파수 및 포함하는 디지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고유 식별 특성을 갖는 전기적인 격발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실제 총기와 동일한 동작 원리로 동작하여 모형 탄피를 배출하는 모형 총기;
    복수 개의 상기 모형 총기가 영상 사격 게임에 참가하는 상태에서, 상기 좌표 인식용 영상을 지속적으로 입력받으며, 상기 격발 신호가 입력된 순간에 상기 좌표 인식용 영상에서 상기 스폿광의 좌표를 검출하고, 상기 좌표 인식용 영상에서 상기 스폿광의 상기 고유 발광 특성에 따라 복수 개의 상기 모형 총기 각각의 탄착점을 구분하고, 또한 상기 격발 신호의 상기 고유 식별 특성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모형 총기 각각을 구분하여, 상기 검출된 스폿광의 좌표가 어느 게임자의 사격에 의한 탄착점인지 판정하여 영상 사격 게임에 반영함으로써 상기 게임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게임 영상을 상기 프로젝터에 제공하는 운영 컴퓨터를 포함하는 영상 사격 게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 인식용 카메라는,
    상기 스크린의 전체 범위를 촬영 영역으로 하여 상기 좌표 인식용 영상을 생 성하고, 상기 운영 컴퓨터는 상기 스크린을 좌표 평면으로 하여 상기 스폿광의 좌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사격 게임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는,
    파장이 600 내지 1100 nm의 비가시 레이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사격 게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형 총기는,
    상기 격발 신호를 지그비 통신,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RFID 통신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운영 컴퓨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사격 게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형 탄피는,
    실제 탄약의 탄두를 포함하는 앞쪽 부분에 대응하는 외형을 가지며 내부가 전방 및 후방으로 개방된 튜브 형태의 전방 몸체부;
    실제 탄약의 뒤쪽 부분에 대응하는 외형을 가지며 내부가 전방 및 후방으로 개방된 튜브 형태이고, 상기 전방 몸체부와 결합하여 실제 탄약의 외형을 나타내며 내부가 전방 및 후방으로 개방된 튜브 형태가 되는 후방 몸체부,
    상기 전방 몸체부와 후방 몸체부 사이의 내부 공간에 고정되도록 삽입되는 화약 고정부,
    상기 화약 고정부에 고정되며 화약을 저장하고 있는 화약 저장부,
    상기 전방 몸체부와 후방 몸체부 사이의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노출되고, 외부로부터의 타격에 의해 전진하여 상기 화약 저장부를 타격함으로써 상기 화약을 발화시키는 격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사격 게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형 총기는,
    상기 모형 탄피의 화약의 폭발에 의한 특정 주파수의 폭발음, 화약의 폭발에 의한 특정 주파수의 진동, 폭발에 의한 상기 모형 총기의 반동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감지한 경우에 상기 격발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사격 게임 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사격 게임을 수행하는 상기 게임자를 촬영하는 게임자 촬영용 카메라를 더 구비하고,
    상기 영상 사격 게임이 종료한 후 상기 게임자를 촬영한 영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사격 게임 장치.
  10. 실제 총기와 동일한 작동 원리로 동작하여 모형 탄피를 배출하는 모형 총기를 이용하여 실제 사격의 느낌을 재현한 영상 사격 게임 제공 방법으로서:
    영상 사격 게임을 진행하기 위한 게임 영상을 출력하여 스크린에 표시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게임 영상이 표시되는 스크린을 촬영하여 상기 스크린상에서 복수 개의 모형 총기로부터 지속적으로 발사되며 각각 스폿광의 색깔, 레이저의 점멸 주파수 및 스폿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고유 발광 특성을 갖는 소정 주파수의 레이저에 의해 생성된 스폿광만이 촬영된 연속적인 좌표 인식용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복수의 게임자 각각의 방아쇠 격발에 의한 상기 모형 탄피 내의 화약 발화 및 상기 모형 탄피의 배출과 동시에 상기 모형 총기로부터 출력 주파수 및 포함하는 디지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고유 식별 특성을 갖는 각각의 전기적인 격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격발 신호를 수신한 시점의 상기 좌표 인식용 영상에서 상기 스폿광의 좌표를 탄착점으로서 검출하고 상기 스폿광의 고유 발광 특성 및 상기 격발 신호의 상기 고유 식별 특성에 따라 복수 개의 상기 모형 총기 중 어느 총기가 상기 탄착점에 사격했는지 판정하는 단계;
    상기 탄착점을 상기 판정된 모형 총기의 게임자의 사격에 의한 탄착점인 것으로 하여 영상 사격 게임에 반영하는 단계;
    상기 탄착점이 반영되어 생성된 게임 영상을 상기 출력하여 스크린에 표시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사격 게임 제공 방법.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영상 사격 게임을 진행하는 게임자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한 영상을 게임자에게 전자 파일 또는 인쇄물의 형태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사격 게임 제공 방법.
KR1020090049916A 2009-06-05 2009-06-05 영상 사격 게임 장치 및 영상 사격 게임 제공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179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916A KR101179218B1 (ko) 2009-06-05 2009-06-05 영상 사격 게임 장치 및 영상 사격 게임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916A KR101179218B1 (ko) 2009-06-05 2009-06-05 영상 사격 게임 장치 및 영상 사격 게임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162A KR20100131162A (ko) 2010-12-15
KR101179218B1 true KR101179218B1 (ko) 2012-09-04

Family

ID=43507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9916A Expired - Fee Related KR101179218B1 (ko) 2009-06-05 2009-06-05 영상 사격 게임 장치 및 영상 사격 게임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921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005B1 (ko) 2015-06-25 2015-10-02 주식회사 알지에스전자 사격총의 가스 충전장치
KR101642956B1 (ko) 2015-10-16 2016-07-26 주식회사 인퍼니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US20180065034A1 (en) * 2016-05-03 2018-03-08 Performance Designed Products Llc Video gam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US10207178B2 (en) 2016-05-03 2019-02-19 Performance Designed Products Llc Method of calibration for a video gaming system
KR20190142584A (ko) 2018-06-18 2019-12-27 이해명 드론을 이용한 사격 게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536B1 (ko) * 2015-09-02 2016-01-22 (주)벤포트 레이져 모듈 홀더가 구비된 사격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0998A (ja) 1997-02-07 1998-08-21 Babcock Hitachi Kk 射撃訓練装置
JP2007071403A (ja) * 2005-09-02 2007-03-22 Realviz:Kk 射撃模擬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0998A (ja) 1997-02-07 1998-08-21 Babcock Hitachi Kk 射撃訓練装置
JP2007071403A (ja) * 2005-09-02 2007-03-22 Realviz:Kk 射撃模擬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005B1 (ko) 2015-06-25 2015-10-02 주식회사 알지에스전자 사격총의 가스 충전장치
KR101642956B1 (ko) 2015-10-16 2016-07-26 주식회사 인퍼니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CN106964157A (zh) * 2015-10-16 2017-07-21 因福尼电子科技有限公司 射击模拟游戏系统
US20180065034A1 (en) * 2016-05-03 2018-03-08 Performance Designed Products Llc Video gam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US10118092B2 (en) * 2016-05-03 2018-11-06 Performance Designed Products Llc Video gam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US10207178B2 (en) 2016-05-03 2019-02-19 Performance Designed Products Llc Method of calibration for a video gaming system
US10245506B2 (en) 2016-05-03 2019-04-02 Performance Designed Products Llc Video gam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US10500482B2 (en) 2016-05-03 2019-12-10 Performance Designed Products Llc Method of operating a video gaming system
KR20190142584A (ko) 2018-06-18 2019-12-27 이해명 드론을 이용한 사격 게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162A (ko) 201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2956B1 (ko)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KR101179218B1 (ko) 영상 사격 게임 장치 및 영상 사격 게임 제공 방법
KR100816389B1 (ko) 모의 탄창 및 이를 이용한 총기 모사 시스템
US5947738A (en) Simulated weapon with gas cartridge
KR100914270B1 (ko) 레이저 발사형 모의 화기
US8312814B2 (en) Simulated hand grenade having a multiple integrated laser engagement system
US20100227298A1 (en) Training aid
WO2018176724A1 (zh) 一种模拟实战的游戏系统
GB2259559A (en) Simulated weapon system
JP3771234B2 (ja) 交戦射撃訓練システム
KR101234277B1 (ko) 서바이벌 게임용 모의 화기
US20070287132A1 (en) System and method of simulating firing of immobilization weapons
KR101912754B1 (ko) 사격용 표적 표시 시스템
KR20100136274A (ko) 공압 감지를 이용한 레이저 발사형 모의 화기
KR101695172B1 (ko) 모의총의 발사모드 조절 시스템
KR101301350B1 (ko) 무선통신기반으로 레이저저격피격인지기능 및 레이저발사횟수의 제어를 가능하도록 한 마일즈시스템.
KR102583169B1 (ko) 드론을 이용한 사격 게임 장치
JP3193261U (ja) 赤外線発射装置
KR20160043248A (ko) 서바이벌 게임용 모의화기의 독립적 발사장치
KR101592501B1 (ko) 비비탄용 사격 시스템
JPH10244073A (ja) 射撃ビデオゲーム装置
KR20050072353A (ko) 총기 모사시스템
KR101151853B1 (ko) 서바이벌 게임용 구조물
TW200413690A (en) Digital pistol
KR20170133180A (ko) 탈/장착 형 적외선 광탄 발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107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8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8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