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0842B1 -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0842B1
KR102490842B1 KR1020220151262A KR20220151262A KR102490842B1 KR 102490842 B1 KR102490842 B1 KR 102490842B1 KR 1020220151262 A KR1020220151262 A KR 1020220151262A KR 20220151262 A KR20220151262 A KR 20220151262A KR 102490842 B1 KR102490842 B1 KR 102490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ipment
image
user
serv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1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석
Original Assignee
최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준석 filed Critical 최준석
Priority to KR1020220151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08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03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military purposes and tac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모의 전투장비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가 준비된 공간에서 영상정보를 보며, 가상전투를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가상전투시스템에 있어서, 서버(100)에서 전송 받은 배경영상 및 타겟영상을 디스플레이(210)로 출력하는 영상출력단계(S200); 영상출력단계 중, 서버가 사용자(400) 움직임 및/또는 장비(300)의 작동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는 액션수신단계(S300); 액션수신단계 후, 서버에 의해 사용자의 움직임 및 장비 작동여부에 따른 타겟의 결과를 판정하는 판정단계(S400); 판정단계 후, 판정결과에 다른 영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는 결과출력단계(S5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Virtual combat system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사용자가 모의 전투장비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가 준비된 공간에서 영상정보를 보며, 가상전투를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허발명 001 내지 004는 본 발명과 기술적 관련성이 존재하며, 특히 특허발명 001은 스크린골프용 연습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특허발명 002는 다중사용자 가상환경 기반의 간호 교육 장치 및 간호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특허발명 003은 전투체계와 통합연동이 가능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발명이며, 특허발명 004는 가상 전투 환경을 통한 개인별 전투 역량 측정 시스템에 대한 기술적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발명 001 내지 004는 본 발명의 다중사용자 환경 및 실전장비와 동일한 모의장비를 활용한 기술적 사항을 기재하거나 내재하지 않은 차이가 존재한다.
(특허발명 001) KR 10-2052870 B1 (등록일자 2019년12월01일) (특허발명 002) KR 10-2021-0032786 A (공개일자 2021년03월25일) (특허발명 003) KR 10-2018-0078572 A (공개일자 2018년07월10일) (특허발명 004) KR 10-1782897 B1 (등록일자 2017년09월22일)
본 발명은 사용자가 모의 전투장비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가 준비된 공간에서 영상정보를 보며, 가상전투를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대한 발명이며, 구체적으로 서버(100)에서 전송 받은 배경영상 및 타겟영상을 디스플레이(210)로 출력하는 영상출력단계(S200); 상기 영상출력단계 중, 서버가 사용자(400) 움직임 및/또는 장비(300)의 작동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는 액션수신단계(S300); 상기 액션수신단계 후, 서버에 의해 사용자의 움직임 및 장비 작동여부에 따른 타겟의 결과를 판정하는 판정단계(S400); 상기 판정단계 후, 판정결과에 다른 영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는 결과출력단계(S5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영상출력단계 중, 배경사운드를 스피커(220)로 출력하는 사운드출력단계(S2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액션수신단계 중, 장비의 작동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비정보수신단계(S3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액션수신단계 중, 사용자 움직임을 데이터를 수신하는 모션정보수신단계(S3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영상출력단계 전, 사용자가 인증기(500)를 통해 서버에 접속하는 인증단계(S100);를 포함한다.한다.
본 발명은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영상출력단계, 액션수신단계, 판정단계, 결과산출단계 중, 데이터를 서버에 저장하는 저장단계(S6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영상출력단계 전, 사용자에게 난이도 및 환경에 대한 사용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단계(S7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실시예들을 운영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공간내부에서 실제 총기와 동일한 크기 및 모양의 모의 총기를 휴대하며, 공간에 투사된 영상 속에서 자신이 소지한 총기를 가지고, 전투를 수행하므로 가상환경 속에서 실질훈련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원거리에 떨어진 타사용자와 동시간에 훈련을 구현하므로, 팀훈련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다양한 전투환경 및 배경, 무기조건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사용자가 체험한 결과를 빅데이터로 활용하며, 새로운 환경을 인공지능으로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사용결과를 아바타로 제작하여, 가상공간의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상전투시스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가상전투시스템에 사용되는 장비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가상전투시스템에서 사용자와 카메라에 따른 사용자모션 감지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의 인용번호는 지정번호에 한정하지 않으며, 모든 번호를 인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제시된 구성은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으로 확대될 수 있다. 실시예에 제시된 구성의 하위개념은 직접기재 하지 않아도 내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대한 발명이며, 구체적으로 서버(100)에서 전송 받은 배경영상 및 타겟영상을 디스플레이(210)로 출력하는 영상출력단계(S200); 상기 영상출력단계 중, 서버가 사용자(400) 움직임 및/또는 장비(300)의 작동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는 액션수신단계(S300); 상기 액션수신단계 후, 서버에 의해 사용자의 움직임 및 장비 작동여부에 따른 타겟의 결과를 판정하는 판정단계(S400); 상기 판정단계 후, 판정결과에 다른 영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는 결과출력단계(S500);를 포함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은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배경영상 및 타겟영상은 오버랩 데이터로 출력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은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배경영상 및 타겟영상은 각각의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은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타겟영상은 서버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5] 본 발명은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타겟영상은 타사용자의 실시간 데이터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6] 본 발명은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배경영상은 서버에서 미리 저장된 데이터로 출력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7] 본 발명은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배경영상은 2차원 또는 3차원 데이터로 저장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8] 본 발명은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모니터(211) 또는 스크린(212)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9] 본 발명은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3차원 홀로그램장비(213)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발명(실시예 1-1 내지 1-9)는 가상전투방법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영상출력단계, 액션수신단계, 판정단계, 결과출력단계의 시계열적 절차로 이루어진다.
군인은 총기를 주요무기로 활용하고 있으나, 비용 및 위험성 때문에 제한된 조건에서 훈련을 한다. 그러나, 제한된 조건 때문에 다양한 전투환경을 훈련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실내공간에서 사용자(군인 등)가 모의총기(실제총기와 동일한 크기, 형상, 무게, 작동)를 소지하며 훈련할 수 있다.
영상출력단계는 서버에서 영상을 제공한다. 제공된 영상은 공간내부에 출력된다. 공간내부에는 다수의 면에 출력되는 영상정보에 의해 3차원 공간을 재현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3차원 홀로그램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출력영상은 이원화되며, 배경영상 및 타겟영상으로 구분된다. 상기 배경영상은 실내 및 실외로 구분된다. 실외는 산간지역, 평야지역, 시가지지역 등으로 구분되며, 실내는 건물 또는 운송장비(항공기 선박, 잠수함, 자동차, 우주선) 내부로 구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실외사격연습장, 사냥터를 배경으로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타겟영상은 사람, 동물, 외계인, 물건을 대상으로 특정할 수 있다. 상기 영상정보 및 타겟정보는 서버에 제공된 프로그램 데이터에 의해 공급될 수 있으며, 또는 타공간에서 타사용자의 데이터가 공급될 수 있다. 타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동일팀 또는 대응팀으로 구분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사용자가 복수의 팀으로 구분하여, 동시에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사용자는 원거리 독립된 공간에서 개별적인 훈련이 가능하다. 필요에 따라서는 환경영상을 설정할 수 있다.
기 환경영상은 주간 및 야간, 안개 및 연무지역의 자연적 환경을 선택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야간에 월광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전투환경의 경우, 상대방의 병력 수 및 무장정도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사용자는 다양한 조건의 환경에서 전투경험을 실전과 같이 체험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영상출력단계 중, 배경사운드를 스피커(220)로 출력하는 사운드출력단계(S220);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은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2-1 및 2-2)은 영상출력과 동시에 사운드출력단계를 부가한다. 실전과 동일한 사운드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가 활동하는 공간에는 보수의 스피커를 장착하며, 각각의 스피커는 다양한 크기와 다양한 종류의 전투환경을 모사시킨다.
예를 들면, 차량 및 항공기의 의 엔진소리, 포탄의 폭발소리, 사람의 신음소리 등을 발산한다. 필요에 따라 자연소리를 추가로 공급할 수 있다. 파도소리, 새소리, 바람소리, 동물소리 등을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소리의 종류와 크기는 사용자가 사전에 선정할 수 있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액션수신단계 중, 장비의 작동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비정보수신단계(S310);를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은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장비에 장착되며, 복수로 형성되며, 작동상태를 계측하는 장비센서(310); 상기 센서의 신호를 실시간으로 서버에 제공하는 무장송신부(320);를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은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장비센서는 격발스위치 작동을 감지하는 격발감지센서(311);를 포함한다.
[실시예 3-4] 본 발명은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장비센서는 격발방향을 감지하는 방향감지센서(312);를 포함한다.
[실시예 3-5] 본 발명은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장비센서는 탄약수량을 감지하는 무장감지센서(313);를 포함한다.
[실시예 3-6] 본 발명은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장비에 부착되며, 사운드를 출력하는 무장스피커(331);를 포함한다.
[실시예 3-7] 본 발명은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장비에 부착되며, 충격력을 발휘하는 충격장치(332);를 포함한다.
[실시예 3-8] 본 발명은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장비에 부착되며, 연기를 발산하는 연무장치(333);를 포함한다.
[실시예 3-9] 본 발명은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장비에 부착되며, 섬광을 발산하는 플레시장치(334);를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3-1 내지 3-9)은 사용자가 지참하는 장비의 정보를 서버가 수신하는 장비정보수신단계를 구체화한다. 전투공간에 들어가기에 앞서서,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한 장비를 선택하게 된다. 상기 장비는 공격용 장비 및 방어용 장비로 구분되며, 공격용 장비는 총기류, 휴대용미사일, 탄약 등이 사용된다. 방어용 장비는 방탄모, 방탄의류, 방패 등을 선정할 수 있다.
상기 장비들은 다양한 센서와 장치를 장착하고 있으나, 모의용 장비이며, 실제사용장비와 동일한 형태, 동일한 작동상태를 구현해야 된다. 특히 총기류의 경우, 총열내부에 자이로스코프와 같은 위치센서를 장착하여, 총열의 지시방향을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어야 된다. 또한, 사용자가 방아쇠를 작동할 경우, 탄약의 결박에 의한 충격음과 충격력을 모사하기 위해 장비의 내부에 스피커 및 충격장치를 내장한다. 또한, 총기의 격발 시 빛과 연기를 구현하기 위해, 연무장치 및 플레시장치를 내장한다. 따라서, 실제총과 동일한 작동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실제총기와 동일성을 구현하기 위해, 모의탄을 탄창에 장착하며, 탄창의 배출을 구현하며, 장탄 수량만 사용 가능하게 제한한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액션수신단계 중, 사용자 움직임을 데이터를 수신하는 모션정보수신단계(S320);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은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전신을 촬영하는 카메라(230);를 포함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은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4] 본 발명은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몸에 부착하는 마커(410);를 포함한다.
[실시예 4-5] 본 발명은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몸에 부착하는 위치발신기(4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4-1 내지 4-5)은 사용자의 움직임을 구체화한다. 실전 전투환경에서, 사용자는 속보, 구보, 경계보행 등 다양한 모션을 취하게 되며, 앉아쏴, 엎드려쏴 등 다양한 격발자세를 취하게 된다.
이러한 사용자의 자세를 감지하기 위해, 공간 내부에는 복수의 센서를 장착하며, 상기 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움직임 및 상태를 확인하며, 이러한 정보를 서버에 전송해야 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카메라, 마커, 위치 발신기 등의 센서가 활용될 수 있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영상출력단계 전, 사용자가 인증기(500)를 통해 서버에 접속하는 인증단계(S100);를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은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인증단계는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인증단계(S110);를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은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인증단계는 사용자의 장비를 인증하는 장비인증단계(S120);를 포함한다.
[실시예 5-4] 본 발명은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3에 있어서, 상기 장비인증단계는 무장장비인증단계(S121);를 포함한다.
[실시예 5-5] 본 발명은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4에 있어서, 상기 무장장비인증단계는 총기류인증단계(S121a);를 포함한다.
[실시예 5-6] 본 발명은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4에 있어서, 상기 무장장비인증단계는 탄약인증단계(S121b);를 포함한다.
[실시예 5-7] 본 발명은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3에 있어서, 상기 장비인증단계는 방호장비인증단계(S122);를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5-1 내지 5-7)은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기에 앞서서 사용자 및 장비를 인증하는 방법을 구체화한다. 사용공간에 들어가기에 앞서서, 사용자는 자신의 정보를 인증하며, 인증방법은 지문, 홍채, 얼굴, 카드, 비밀번호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복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장비에 대하여 장비에 부착된 식별장치로 장비를 인증할 수 있다. 장비에 부착된 식별장치는 RFID칩, 바코드라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영상출력단계, 액션수신단계, 판정단계, 결과산출단계 중, 데이터를 서버에 저장하는 저장단계(S600);를 포함한다.
[실시예 6-2] 본 발명은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저장단계 후, 사용자의 능력값을 분석하는 분석단계(S710);를 포함한다.
[실시예 6-3] 본 발명은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6-2에 있어서, 상기 분석단계 후, 사용자에게 지정된 계급을 부여하는 계급부여단계(S7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6-1 내지 6-3)은 저장단계를 구체화한다. 본 발명의 저장단계는 상기 영상출력단계, 액션수행단계, 판정단계, 결과산출단계 중 사용자의 모션, 환경, 타겟, 장비의 모든 작동상태를 저장한다. 저장된 데이터는 원본데이터로 저장되며, 상기 원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새로운 환경개발의 빅데이터로 활용한다. 또한, 더욱 개선된 환경을 스스로 개발하는 인공지능 프로그램과 연계되어 새로운 시뮬레이션 환경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사용빈도 및 사용능력을 계측하여, 계급을 부여할 수 있다.
계급이 부여될 경우, 팀으로 구성된 훈련에서 계급에 따른 지휘력을 프로그램으로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일정능력 이상을 발휘할 경우, 포인트를 제공하며, 제공된 포인트에 의해 가상계급의 진급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설정된 수준에 도달할 경우, 실제 군복 및 계급장을 사용자의 주소지로 배송 시켜주며, 신분증을 제공하여, 사회적 모임에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포인트는 공간 활용 시 비용을 차감용으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저장단계는 스토리저장단계를 부가한다. 스토리저장단계에 앞서서, 자신의 인상과 유사한 아바타를 제작하는 아바타 제작단계를 포함한다. 스토리저장단계는 3차원 영상공간에서 자신이 수행한 결과를 출력시켜, 영상으로 제작하며, 제작된 영상은 사용자가 출력할 수 있으며, 타인에게 공유할 수 있다.
[실시예 7-1] 본 발명은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영상출력단계 전, 사용자에게 난이도 및 환경에 대한 사용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단계(S730);를 포함한다.
[실시예 7-2] 본 발명은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단계 후, 사용자가 정보를 선택하는 정보선택단계(S7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7-1 및 7-2)는 정보제공단계를 구체화한다. 상기 정보제공단계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원하는 장소, 환경, 팀을 선정하게 한다. 다만, 사용자의 능력값에 맞게 제한된 조건만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증 후, 출력되는 선택사항으로부터 자신이 훈련하고 싶은 대상 및 난이도를 선정하여 훈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우주선에서 괴능력의 외계인과 광선총으로 전투환경을 선택할 경우, 디스플레이는 우주선 환경이 출력되며, 타겟은 외계인이 나타나며, 자신의 장비는 광선통이 된다.
른 예로서, 다수의 좀비와 전투하는 환경을 모사하거나, 항공기 내부에서 테러범과 전투하는 환경을 모사하거나, 적의 지휘부에 투입되어 건물내부에서 경호원을 상대하며, 지휘관을 사살하는 환경을 모사할 수 있다.
[실시예 7-3] 본 발명은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영상출력단계 전, 사용자가 타 사용자의 접근을 허용하는 공유자선정단계(S7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7-3)은 다수의 사용자와 함께 사용하는 것을 구체화 한다. 사용자는 단독으로 컴퓨터 프로그램과 본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으나,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간에 서버에 접속하여 훈련할 수 있다. 훈련에 앞서서, 사용자는 자신과 함께 훈련한 팀을 구성하거나, 상대방 팀과 지정된 환경에서 대항전을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 8-1] 본 발명은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7-1의 가상전투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100 : 서버
210 : 디스플레이 211 : 모니터
212 : 스크린 213 : 3차원 홀로그램장비
220 : 스피커 230 : 카메라
300 : 장비 310 : 장비센서
311 : 격발감지센서 312 : 방향감지센서
313 : 무장감지센서 320 : 무장송신부
331 : 무장스피커 332 : 충격장치
333 : 연무장치 334 : 플레시장치
400 : 사용자 410 : 마커
420 : 위치발신기
500 : 인증기

Claims (7)

  1. 서버(100)에서 전송받은 배경영상 및 타겟영상을 디스플레이(210)로 출력하는 영상출력단계(S200);
    상기 영상출력단계 중, 서버가 사용자(400) 움직임 및/또는 장비(300)의 작동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는 액션수신단계(S300);
    상기 액션수신단계 후, 서버에 의해 사용자의 움직임 및 장비 작동여부에 따른 타겟의 결과를 판정하는 판정단계(S400);
    상기 판정단계 후, 판정결과에 다른 영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는 결과출력단계(S500);
    를 포함하는 가상전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액션수신단계 중, 장비의 작동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비정보수신단계(S310);
    상기 타겟영상은 서버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으로 형성되는 것;
    상기 장비에 장착되며, 복수로 형성되며, 작동상태를 계측하는 장비센서(310);
    상기 장비센서의 신호를 실시간으로 서버에 제공하는 무장송신부(320);
    상기 장비센서는 격발스위치 작동을 감지하는 격발감지센서(311);

    상기 배경영상 및 타겟영상은 오버랩 데이터로 출력하는 것;
    상기 타겟영상은 서버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으로 형성되는 것;
    상기 타겟영상은 타사용자의 실시간 데이터로 형성되는 것;
    상기 배경영상은 2차원 또는 3차원 데이터로 저장되는 것;
    상기 디스플레이는 모니터(211), 스크린(212) 또는 3차원 홀로그램장비(213)로 형성되는 것;
    를 포함하는 가상전투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출력단계 중, 배경사운드를 스피커(220)로 출력하는 사운드출력단계(S220);를 포함하는 가상전투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션수신단계 중, 사용자 움직임을 데이터를 수신하는 모션정보수신단계(S320);를 포함하는 가상전투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영상출력단계 전, 사용자가 인증기(500)를 통해 서버에 접속하는 인증단계(S100);를 포함하는 가상전투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출력단계, 액션수신단계, 판정단계, 결과산출단계 중, 데이터를 서버에 저장하는 저장단계(S600);를 포함하는 가상전투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출력단계 전, 사용자에게 난이도 및 환경에 대한 사용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단계(S730);를 포함하는 가상전투시스템.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시스템을 구현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20151262A 2022-10-05 2022-11-14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 KR102490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1262A KR102490842B1 (ko) 2022-10-05 2022-11-14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871A KR102469485B1 (ko) 2022-10-05 2022-10-05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
KR1020220151262A KR102490842B1 (ko) 2022-10-05 2022-11-14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6871A Division KR102469485B1 (ko) 2022-10-05 2022-10-05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0842B1 true KR102490842B1 (ko) 2023-01-19

Family

ID=8423373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6871A KR102469485B1 (ko) 2022-10-05 2022-10-05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
KR1020220151262A KR102490842B1 (ko) 2022-10-05 2022-11-14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6871A KR102469485B1 (ko) 2022-10-05 2022-10-05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694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0632B1 (ko) * 2023-03-24 2024-02-28 (주)뉴작 Xr컨트롤러가 부착된 실총기를 이용한 확장현실(xr) 기반의 초실감 전투 훈련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2077A (ko) * 2012-02-10 2013-08-2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실시간 상호 연동 가능한 가상 사격 시스템
KR20150063610A (ko) * 2013-11-27 2015-06-10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헬멧 시현 장비의 표적 획득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20150118281A (ko) * 2014-04-11 2015-10-22 에이알비전 (주) 모의수류탄, 모의크레모어 및 이벤트 컨트롤용 키패드부를 이용한 모의전투훈련 시스템
KR20160017916A (ko) * 2014-08-07 2016-02-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 훈련 시뮬레이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782897B1 (ko) 2015-10-27 2017-09-28 김창수 가상 전투 환경을 통한 개인별 전투 역량 측정 시스템
KR20180042540A (ko) * 2016-10-18 2018-04-26 함윤록 실탄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80078572A (ko) 2016-12-30 2018-07-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투체계와 통합연동이 가능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102052870B1 (ko) 2018-03-12 2020-01-08 김영준 스크린골프용 연습시스템
KR20210032786A (ko) 2019-09-17 2021-03-2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사용자 가상환경 기반의 간호 교육 장치 및 간호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2077A (ko) * 2012-02-10 2013-08-2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실시간 상호 연동 가능한 가상 사격 시스템
KR20150063610A (ko) * 2013-11-27 2015-06-10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헬멧 시현 장비의 표적 획득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20150118281A (ko) * 2014-04-11 2015-10-22 에이알비전 (주) 모의수류탄, 모의크레모어 및 이벤트 컨트롤용 키패드부를 이용한 모의전투훈련 시스템
KR20160017916A (ko) * 2014-08-07 2016-02-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 훈련 시뮬레이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782897B1 (ko) 2015-10-27 2017-09-28 김창수 가상 전투 환경을 통한 개인별 전투 역량 측정 시스템
KR20180042540A (ko) * 2016-10-18 2018-04-26 함윤록 실탄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80078572A (ko) 2016-12-30 2018-07-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투체계와 통합연동이 가능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102052870B1 (ko) 2018-03-12 2020-01-08 김영준 스크린골프용 연습시스템
KR20210032786A (ko) 2019-09-17 2021-03-2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사용자 가상환경 기반의 간호 교육 장치 및 간호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0632B1 (ko) * 2023-03-24 2024-02-28 (주)뉴작 Xr컨트롤러가 부착된 실총기를 이용한 확장현실(xr) 기반의 초실감 전투 훈련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9485B1 (ko) 202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34747A1 (en) Augmented reality gaming system
US11325036B2 (en)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10584940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rksmanship training
US8920172B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hardware in a motion capture environment
US100309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rksmanship training
US8459997B2 (en) Shooting simulation system and method
US110159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rksmanship training
CN109654945A (zh) 具有弹道表现能力和毁伤多样性的对抗射击模拟技术
KR101498610B1 (ko) 가상환경 내 캐릭터와 훈련자 동작연동을 통한 전술 모의훈련 장치, 모의훈련 연동방법 및 모의훈련 모니터링 방법
CN113041622B (zh) 虚拟环境中虚拟投掷物的投放方法、终端及存储介质
US202201611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virtual prop,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0523080A (zh) 基于虚拟环境的射击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23516879A (ja) 仮想アイテムの表示方法と装置、機器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1659116A (zh) 虚拟载具的控制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2490842B1 (ko)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
KR101247213B1 (ko) 전투 게임용 로봇 및 이를 이용한 전투 게임 시스템과 방법
US20230113472A1 (en)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shooting systems and methods
AU2013254684B2 (en) 3D scenario recording with weapon effect simulation
CN111389000A (zh) 虚拟道具的使用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1470805B1 (ko) 실내 훈련용 곡사화기 사격술 모의 훈련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N108883340A (zh) 改进的激光游戏系统
US11359887B1 (en) System and method of marksmanship training utilizing an optical system
Pleban Functional capabilities of four virtual individual combatant (VIC) simulator technologies: An independent assessment
US11662178B1 (en) System and method of marksmanship training utilizing a drone and an optical system
US20230169881A1 (en) Virtual reality shooter trai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