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249B1 - 실탄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실탄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1249B1
KR101921249B1 KR1020160134788A KR20160134788A KR101921249B1 KR 101921249 B1 KR101921249 B1 KR 101921249B1 KR 1020160134788 A KR1020160134788 A KR 1020160134788A KR 20160134788 A KR20160134788 A KR 20160134788A KR 101921249 B1 KR101921249 B1 KR 101921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oting
information
simulation
image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4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2540A (ko
Inventor
함윤록
김정호
김의석
Original Assignee
함윤록
김정호
김의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윤록, 김정호, 김의석 filed Critical 함윤록
Priority to KR1020160134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249B1/ko
Priority to PCT/KR2017/008026 priority patent/WO2018074709A1/ko
Publication of KR20180042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249B1/ko
Priority to US16/359,170 priority patent/US2019021936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2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 F41G3/261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 F41G3/2622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for simulating the firing of a gun or the trajectory of a projectile
    • F41G3/2627Cooperating with a motion picture projector
    • F41G3/2633Cooperating with a motion picture projector using a TV type screen, e.g. a CRT, displaying a simulated targ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2Shooting or hurl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4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 A63F13/245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game, e.g. steer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7Simulating properties, behaviour or motion of objects in the game world, e.g. computing tyre load in a car race game
    • A63F13/573Simulating properties, behaviour or motion of objects in the game world, e.g. computing tyre load in a car race game using trajectories of game objects, e.g. of a golf ball according to the point of impac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5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utomatically by game devices or servers from real world data, e.g. measurement in live racing compet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37Shooting of targe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2Shooting or hurling games
    • A63F9/0291Shooting or hurling games with a simulated projectile, e.g. an image on a scre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2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2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 F41G3/261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 F41G3/2622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for simulating the firing of a gun or the trajectory of a projectile
    • F41G3/2627Cooperating with a motion picture projec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2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 F41G3/261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 F41G3/2622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for simulating the firing of a gun or the trajectory of a projectile
    • F41G3/2644Displaying the trajectory or the impact point of a simulated projectile in the gunner's s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2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 F41G3/261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 F41G3/2694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for simulating a targ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3/00Targets for arrows or darts, e.g. for sporting or amusement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5/00Target indicating systems; Target-hit or score detecting systems
    • F41J5/02Photo-electric hit-detect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9/00Moving targets, i.e. moving when fired at
    • F41J9/14Cinematographic targets, e.g. moving-picture targe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01Detail of input, input devices
    • A63F2009/2436Characteristics of the input
    • A63F2009/2442Sensors or det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실탄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제공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실탄사격 연습실에 설치된 영상 스크린 각각에 시뮬레이션 영상을 출력하고, 출력된 시뮬레이션 영상에 따라 사격자가 격발한 실탄위치를 센싱하여 산출된 실탄의 탄착점 및 시뮬레이션 영상에 포함된 타겟의 위치를 비교하여 사격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실탄을 이용한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탄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Live Round Shooting Simulation}
본 실시예는 실탄사격 시뮬레이션 제공 게임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실탄 사격 시스템의 경우, 일반적으로 사격 사로 내에서 소정의 거리에 위치한 과녁을 목표로 사격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야외에 구현된 실탄 사격 시스템의 경우, 넓은 면적을 필요로 하며, 사격에 의한 소음으로 인해 설치를 위한 위치조건이 까다롭다.
따라서, 사격자(Shooter)가 실제 이동하는 중에 움직이는 타겟, 다양한 거리에 있는 타겟 및 복수의 타겟에 대한 사격 연습을 위한 시스템은 구현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실탄을 사용하지 않는 레이저 총기(게임용 총기)를 이용한 가상 사격 시뮬레이션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가상 사격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오락실, 게임방 등에서 체험할 수 있는 게임과 유사하며 실제 사격을 하는 시스템과는 여러모로 상이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형 구조물(예: 건물, 시가지, 세트장 등)을 이용하여 실탄 사격 연습 구조물을 만드는 경우, 광대한 면적을 필요로 하며 정해진 실탄 사격 연습 구조에서만 사격 연습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상황에서 사격 연습 또는 게임을 진행할 수 없다. 또한, 실탄을 사용하기 때문에 복수의 사격자가 동시에 사격 연습을 참여할 수 없고, 고정되거나 단순하게 움직이는 타겟만을 이용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실시예는 실탄사격 연습실에 설치된 영상 스크린 각각에 시뮬레이션 영상을 출력하고, 출력된 시뮬레이션 영상에 따라 사격자(Shooter)가 격발한 실탄위치를 센싱하여 산출된 실탄의 탄착점과 시뮬레이션 영상에 포함된 타겟의 위치를 비교하여 사격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실탄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가 실탄을 이용한 사격 연습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실탄사격 연습실 내에 기 설치된 프로젝터로 시뮬레이션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시뮬레이션 영상이 특정영역에 출력되도록 하는 시뮬레이션 영상 출력과정; 상기 특정영역에 기 설치된 센서로부터 사격자의 실탄 격발에 따른 실탄위치를 센싱한 센싱정보를 획득하는 센싱 처리과정; 상기 센싱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실탄의 탄착점을 산출하는 탄착점 산출과정; 상기 시뮬레이션 영상에 포함된 타겟에 대한 타겟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타겟 위치 산출과정; 및 상기 탄착점 및 상기 타겟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사격 정확도를 측정하고, 상기 사격 정확도를 기초로 사격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결과 산출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탄을 이용한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실탄사격 연습실 내에 기 설치된 프로젝터로 시뮬레이션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시뮬레이션 영상이 특정영역에 출력되도록 하는 시뮬레이션 영상 제어부; 상기 특정영역에 기 설치된 센서로부터 사격자의 실탄 격발에 따른 실탄위치를 센싱한 센싱정보를 획득하는 센싱 처리부; 상기 센싱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실탄의 탄착점을 산출하는 탄착점 산출부; 상기 시뮬레이션 영상에 포함된 타겟에 대한 타겟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타겟 위치 산출부; 및 상기 탄착점 및 상기 타겟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사격 정확도를 측정하고, 상기 사격 정확도를 기초로 사격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결과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탄을 이용한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실탄을 이용한 사격 연습을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실탄사격 연습실의 특정 영역으로 시뮬레이션 영상을 조사하는 프로젝터; 상기 실탄사격 연습실의 적어도 3 개의 내측 벽면과 일정거리를 갖도록 평행하게 각각 설치되어 상기 시뮬레이션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스크린; 사격자가 바라보는 시선위치 또는 방향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사격자에게 상기 시뮬레이션 영상에 대한 음향을 제공하는 헤드셋; 상기 영상 스크린의 각각에 부착되며, 상기 사격자의 실탄 격발에 따른 실탄위치를 센싱하여 센싱정보를 생성하는 실탄센서; 및
상기 프로젝터로 시뮬레이션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시뮬레이션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며, 상기 센싱정보에 근거하여 산출된 상기 실탄의 탄착점 및 상기 시뮬레이션 영상에 포함된 타겟에 대한 타겟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사격 정확도를 측정하고, 상기 사격 정확도를 기초로 사격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격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실탄을 이용하여 실제 상황과 동일한 조건에서 게임, 훈련, 작전 등의 실탄 사격연습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창 교체와 같은 사격자(Shooter)의 동작, 이동 간 움직임 등에 대해 실제 상황과 동일한 조건에서 실탄 사격연습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탄사격 연습실 내에서 모든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으며, 실탄을 이용한 사격결과 및 전체 사격 시뮬레이션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실탄 사격장보다 적은 면적을 사용하면서, 이동하는 타겟, 복수의 타겟, 사격연습 테마에 대응하는 타겟 등에 대해 실탄으로 사격 연습 또는 게임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실탄 사격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실탄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실탄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실탄 사격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사격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 실탄 격발에 따른 실탄위치를 센싱하기 위한 센서의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사격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 사격 정확도를 산출하기 위한 방법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사격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 시뮬레이션 결과를 산출하기 위한 사격자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실탄사격 연습실과 연동하는 사격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실탄 사격 시뮬레이션은 실탄을 이용한 사격 연습, 사격 게임 등과 같이 실탄을 이용한 스포츠 또는 게임에 적용 가능한 시스템인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군사작전, 테러훈련, 인질구조 등과 같이 군용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실탄 사격 시뮬레이션은 다양한 형태의 타켓을 대상으로 실탄 사격이 가능한 시뮬레이션 게임을 제공하며, 대상 타겟은 사람, 동물, 물건 등의 현실적인 타겟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좀비, 외계인 등의 비현실적인 타겟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실탄 사격 시뮬레이션은 사격자(게임 참여자)가 스크린에 출력되는 게임화면을 바라보며 사격을 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격자(게임 참여자)에게 3D 안경, 스마트 안경 등을 착용시켜 입체화면이 출력되는 게임화면에 사격을 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실탄 사격 시뮬레이션에서 사용되는 실탄은 일반적인 실탄일 수 있으나, 관통력이 감소되도록 조절되거나 실탄의 장약을 감소시켜 실탄 사격 시뮬레이션용으로 제작된 게임용 실탄일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실탄 사격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실탄 사격 시뮬레이션 시스템(Live Round Shooting Simulation System)은 프로젝터(110, Projector), 영상 스크린(120, Image Screen), 센서(130, Sensor), 음향기기(140) 및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영상 스크린(120), 센서(130) 및 음향기기(140)는 실탄사격 연습실 내에 구비되고,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150)는 실탄사격 연습실 외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탄사격 연습실의 내부의 일측에 방탄소재의 커버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프로젝터(110)는 실탄사격 연습실 내에 구비되어 시뮬레이션 영상을 출력하는 장치이다. 프로젝터(110)는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150)로부터 수신된 시뮬레이션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영상을 출력한다. 시뮬레이션 영상은 실탄사격 연습실에 설치된 영상 스크린(120)에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스크린(120)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시뮬레이션 영상은 적어도 3 개의 내측 벽면에 출력될 수도 있다.
프로젝터(110)는 적어도 3 개의 내측 벽면에 설치된 영상 스크린(120) 각각에 시뮬레이션 영상을 투사하기 위한 적어도 3 개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3 개의 프로젝터가 연결된 영상 투사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시뮬레이션 영상은 사격자(Shooter)가 영상 내에서 타겟, 배경 등을 바라보면서 사격 연습, 사격 훈련, 사격 게임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일인칭 시점의 영상이며, 슈팅게임(Shooting Game), FPS(First-Person Shooter) 등과 유사한 방식의 영상일 수 있다. 시뮬레이션 영상은 특정 사격연습 프로그램에 맞게 제작된 영상일 수 있다.
영상 스크린(120)은 프로젝터(110)가 출력한 시뮬레이션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영상 스크린(120)은 실탄사격 연습실의 적어도 3 개의 내측 벽면 각각과 일정거리를 갖도록 평행하게 설치된 복수의 스크린을 포함한다. 여기서, 영상 스크린(120)은 적어도 3 개의 벽면 각각에 분리된 스크린 형태 또는 연결된 하나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실탄사격 연습실을 위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 영상 스크린(120)은 실탄사격 연습실의 각 벽면과 평행하게 설치(사각형 형태)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탄사격 연습실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형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영상 스크린(120)의 일측에는 복수의 센서(130) 중 일부가 설치될 수 있다. 영상 스크린(120)에는 사격자의 총기를 통해 격발된 실탄위치를 감지하는 실탄센서(136)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영상 스크린(120) 내에 소정의 간격을 갖는 격자형으로 실탄센서(136)가 배치되거나 각각의 영상 스크린(120)의 테두리 중 일부 위치에 실탄센서(136)가 배치될 수 있다.
센서(130)는 사격자의 시선 및 움직임, 사격자의 총기상태, 사격자의 총기를 통해 격발된 실탄위치 등을 센싱하는 장치를 말한다. 센서(130)는 사격자의 시선을 감지하기 위한 시선센서(132), 사격자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움직임센서(134), 격발된 실탄을 감지하기 위한 실탄센서(136) 등을 포함한다.
시선센서(132)는 시뮬레이션 영상에 따라 사격자의 시선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사격자의 몸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시선센서(132)는 사격자의 모자, 사격자가 착용하는 음향기기(140) 예컨대, 헤드셋 등에 장착될 수 있으며, 사격자가 바라보는 시선위치 또는 이동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면 사격자의 조끼, 모자, 단독 군장, 전투조끼 등 다양한 위치에 장착될 수도 있다.
시선센서(132)는 사격자의 시선을 감지하기 위한 레이더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외선 센서, 자이로센서 등 복수의 센서가 결합된 복합 센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선센서(132)는 사격자의 시선에 대한 시선 센싱정보를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150)로 전송한다. 여기서, 시선 센싱정보는 기 설정된 기준 시선을 기준으로 상하좌우로 변경된 시선의 변화값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탄사격 연습실의 벽면 또는 영상 스크린(120)에 대해 기 설정된 좌표값이 설정된 경우 시선에 해당하는 좌표값을 포함할 수 있다. 기 설정된 기준 시선은 사격자 또는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시선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영상의 초기에 설정된 임계 시선좌표 예컨대, 영상 스크린(120)의 중앙 좌표를 의미한다.
움직임센서(134)는 시뮬레이션 영상에 따라 사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의미한다. 움직임센서(134)는 이동을 위한 사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며, 사격자의 움직임에 대한 이동 센싱정보를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150)로 전송한다. 여기서, 이동 센싱정보는 사격자의 걸음 수, 이동거리 등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움직임센서(134)는 사격자의 다리의 일측(예: 무릎, 발목 등)에 장착된 센서의 형태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격자의 다리 움직임을 위한 이동 페달이 존재하는 경우 이동 페달에 장착되어 페달의 움직임 횟수에 따른 사격자의 걸음 수, 이동거리 등을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여기서, 이동 페달은 엘립티컬 머신(Elliptical Machine)의 발판, 런닝 머신(Tread Mill)의 발판 등과 유사 또는 동일한 형태의 페달일 수 있다.
실탄센서(136)는 사격자의 총기를 통해 격발된 실탄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를 의미한다. 실탄위치는 실탄센서(136)가 설치된 위치에 따라 스크린 통과점, 실탄의 궤적 등을 센싱한 정보를 의미한다. 실탄센서(136)는 실탄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며, 실탄사격 연습실 내에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실탄센서(136)는 영상 스크린(120)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일 수 있다. 예컨대, 실탄센서(136)는 각각의 영상 스크린(120) 내에 소정의 간격을 갖는 격자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실탄센서(136)는 영상 스크린(120)을 통과한 실탄 통과점을 센싱한 실탄 센싱정보를 생성한다.
한편, 실탄센서(136)는 각각의 영상 스크린(120)의 테두리 중 일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실탄센서(136)는 영상 스크린(120)을 통과하는 실탄의 궤적을 센싱한 실탄 센싱정보를 생성한다.
실탄센서(136)는 영상 스크린(120)에 설치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탄사격 연습실의 벽면에 소정의 간격을 갖는 격자형 또는 벽면의 테두리 중 일부 위치에 배치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실탄센서(136)가 벽면에 설치된 경우, 실탄의 궤적 또는 실탄이 박힌 벽면의 위치 등을 센싱한 실탄 센싱정보를 생성한다.
실탄센서(136)는 생성된 실탄 센싱정보를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150)로 전송할 수 있다.
센서(130)는 사격자의 총기의 지향점, 조준점 등을 추가로 센싱할 수 있는 레이저 조준센서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총기의 격발 시점을 센싱하기 위한 방아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레이저 조준센서 및 방아쇠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 사격자는 실탄 대신에 공포탄을 사용하여 사격 시뮬레이션을 진행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사격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사격자가 실제 총기를 이용하여 사격 연습에 참여함에 따라 사격자가 가상이 아닌 실제로 총기의 탄창을 교체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사격 시뮬레이션 시스템에는 탄창 교환을 인식하기 위한 별도의 센서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즉, 사격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실제 환경과 동일한 환견에서 사격 연습을 수행할 수 있다.
음향기기(140)는 시뮬레이션 영상의 음향을 사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를 말한다. 음향기기(140)는 사격자가 착용 가능한 헤드셋(Headset)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탄사격 연습실 내에 구비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장치(미도시)일 수 있다.
음향기기(140)는 스피커를 포함하며, 헤드셋의 형태인 경우 사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와 사격자의 시선을 센싱하기 위한 시선 센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150)는 실탄사격 연습실에 포함된 각종 장치들과 연동하여 실탄사격 시뮬레이션을 제공 및 제어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150)는 프로젝터(110)로 시뮬레이션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시뮬레이션 영상이 실탄사격 연습실 내부의 특정영역 예컨대 영상 스크린(12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150)는 사격자의 모자, 사격자가 착용하는 헤드셋 등에 장착된 시선센서(132)로부터 획득한 시선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사격자의 시선 위치(사격자가 바라보는 지점)를 판단하고, 시선 센싱정보를 기초로 판단된 시선 위치정보를 기초로 시뮬레이션 영상을 제어한다.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150)는 시뮬레이션 영상이 출력되는 영상 스크린(120)에 설치된 실탄센서(136)로부터 사격자의 실탄 격발에 따른 실탄위치를 센싱한 실탄 센싱정보를 획득하며, 실탄 센싱정보를 기초로 실탄의 탄착점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탄착점은 실탄 센싱정보에 포함된 센싱정보를 영상 스크린(120)에 기 설정된 좌표 맵에 매칭시켜 산출될 수 있다.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150)는 시뮬레이션 영상에 포함된 사격 연습용 타겟에 대한 타겟 위치정보를 산출하며, 탄착점 및 타겟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사격 정확도를 측정하고, 사격 정확도를 기초로 사격 결과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사격 결과정보는 사격 정확도에 대응하는 점수를 포함하는 결과정보를 의미하며, 사격 연습용 타겟 각각에 대하여 생성될 수 있으나, 시뮬레이션 영상에 따른 구간별로 해당 구간에 포함된 복수의 사격 연습용 타겟의 점수들을 합산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또한,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150)는 사격연습 테마에 대응하는 평가 기준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평가 기준정보를 기준으로 사격연습 테마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정보를 생성한다. 다시 말해,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150)는 시뮬레이션 영상을 기반으로 사격 연습의 내용에 따라 출발(시뮬레이션 시작) 지점에서 도착(시뮬레이션 종료) 지점까지의 이동 경로에 대한 이동 경로정보를 산출하며, 이동 경로정보 및 사격 결과정보를 이용하여 사격연습 테마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시뮬레이션 결과정보는 시뮬레이션 영상에 대해 기 설정된 최단 경로와 사격자가 이동한 이동 경로정보를 비교하여 산출된 점수와 사격 결과정보의 점수를 기반으로 생성된 정보를 의미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실탄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실탄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150)는 시뮬레이션 영상 제어부(210), 시선 판단부(212), 센싱 처리부(220), 탄착점 산출부(230), 타겟위치 산출부(240), 이동경로 산출부(250) 및 결과 산출부(26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150)는 실탄을 이용하여 사격 연습이 가능하도록 사격 시뮬레이션을 제공하는 하드웨어 모듈로 구현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정의 사격 제어장치에 탑재되어 하드웨어를 이용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시뮬레이션 영상 제어부(210)는 실탄사격 연습실 내에 기 설치된 프로젝터(110)로 시뮬레이션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시뮬레이션 영상이 실탄사격 연습실 내부의 특정영역에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시뮬레이션 영상은 1 인칭 시점으로 사격자가 영상 내에서 타겟, 배경 등을 바라보면서 사격 연습, 사격 훈련, 사격 게임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이며, 슈팅게임(Shooting Game), FPS(First-Person Shooter) 등과 유사한 방식의 영상일 수 있다. 시뮬레이션 영상은 프로젝터(110)에 의해 실탄사격 연습실의 적어도 3 개의 내측 벽면 또는 적어도 3 개의 내측 벽면과 일정거리를 갖도록 평행하게 설치된 영상 스크린(120)에 출력될 수 있다.
시뮬레이션 영상 제어부(210)는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150)에 기 저장된 시뮬레이션 영상 데이터를 프로젝터(110)로 전송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150)는 외부 서버로부터 사격연습 테마에 대응하는 시뮬레이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미도시)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서버는 사격게임, 기초 사격연습, 사격 스포츠 연습, 군사작전, 테러훈련, 인질구조 등의 사격연습 테마에 대응하는 시뮬레이션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시뮬레이션 영상 제어부(210)는 사격연습 테마에 대응하는 시뮬레이션 영상 데이터를 프로젝터(110)로 전송하여 사격연습 테마에 대한 시뮬레이션 영상이 출력되도록 한다.
시뮬레이션 영상 제어부(210)는 시선 판단부(212), 센싱 처리부(220) 등과 연동하여 프로젝터(110)로 전송하는 시뮬레이션 영상 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시뮬레이션 영상 제어부(210)는 센서(130)로부터 수신된 센싱정보에 근거하여 실탄사격 연습실 내에서 발생하는 사격 연습 상황을 시뮬레이션 영상에 실시간으로 반영하도록 시뮬레이션 영상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시선 판단부(212)는 센서(130)로부터 획득한 시선 센싱정보를 기초로 사격자의 시선 위치를 판단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시선 판단부(212)는 사격자의 모자, 사격자가 착용하는 음향기기(140) 예컨대, 헤드셋 등에 장착된 시선센서(132)로부터 획득한 시선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사격자의 시선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시선 판단부(212)는 시선 센싱정보를 기초로 사격자의 시선 방향, 시선 해당 스크린, 시선 높낮이, 시선 이동 등의 시선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시선 센싱정보는 기 설정된 기준 시선을 기준으로 상하좌우로 변경된 시선의 변화값 또는 실탄사격 연습실의 벽면 또는 영상 스크린(120)에 대해 기 설정된 좌표값 중 사격자의 시선이 감지된 좌표값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시선 판단부(212)는 시선 센싱정보를 기초로 판단된 시선 위치정보를 시뮬레이션 영상 제어부(210)로 전송하여 시뮬레이션 영상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시선 판단부(212)는 사격자의 시선위치를 판단하고, 시선위치에 대응하여 시뮬레이션 영상이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영상의 변경은 시선 센싱정보를 기초로 판단된 사격자의 시선 위치정보만을 이용하여 변경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동 센싱정보를 추가로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영상이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센싱정보는 사격자의 걸음 수, 이동거리, 다리 움직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선 판단부(212)는 사격 연습 중 사격자의 전진, 후퇴 등의 움직임은 이동 페달의 움직임 또는 사격자의 다리 움직임에 의해 판단하며, 시선을 돌림과 동시에 움직임이 존재하면 시선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시뮬레이션 영상의 화면을 제어하고, 움직임은 없으면서 시선 돌림이 존재하면 정지상태에서 시선 방향만 움직이도록 시뮬레이션 영상의 화면을 제어한다.
센싱 처리부(220)는 실탄사격 연습실 내에 구비된 센서(130)로부터 실탄 센싱정보를 획득하여 처리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센싱 처리부(220)는 시뮬레이션 영상이 출력되는 특정영역에 설치된 실탄센서(136)로부터 사격자의 실탄 격발에 따른 실탄위치를 센싱한 실탄 센싱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실탄 센싱정보는 실탄사격 연습실의 영상 스크린(120)에 설치된 실탄센서(136) 또는 실탄사격 연습실의 벽면에 설치된 실탄센서(136)로부터 획득한 센싱정보일 수 있다. 센싱 처리부(220)는 실탄센서(136)의 종류 및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실탄 센싱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실탄 센싱정보는 실탄이 통과한 영상 스크린(120)의 지점, 실탄이 박힌 벽면 지점, 실탄의 궤적을 추적한 지점 등에 대한 센싱정보를 포함한다.
센싱 처리부(220)는 획득한 실탄 센싱정보에 복수의 센싱정보가 포함된 경우,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정확도가 가장 높은 센싱정보를 선택하고, 선택된 센싱정보가 포함된 실탄 센싱정보를 탄착점 산출부(23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실탄 센싱정보는 복수의 영상 스크린 각각의 식별정보, 실탄을 감지한 센서 식별정보, 실탄의 센싱 좌표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탄착점 산출부(230)는 센싱 처리부(220)로부터 수신된 실탄 센싱정보에 근거하여 실탄의 탄착점을 산출한다. 다시 말해, 탄착점 산출부(230)는 실탄 센싱정보에 포함된 센싱정보를 영상 스크린(120)에 기 설정된 좌표 맵에 매칭시켜 실탄에 대한 탄착점을 산출한다. 여기서, 영상 스크린(120)에 기 설정된 좌표 맵이란, 영상 스크린(120)의 위치를 구분하기 위해 기 설정된 좌표값을 포함하는 맵 또는 테이블을 의미한다.
탄착점 산출부(230)는 실탄의 탄착점을 시뮬레이션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스크린(120)을 기준으로 (x, y) 좌표 형태로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 차원의 시뮬레이션 영상의 장면을 적용하여 (x, y, z)와 같이 3 차원 좌표 형태로 산출될 수도 있다.
타겟위치 산출부(240)는 시뮬레이션 영상에 포함된 사격 연습용 타겟에 대한 타겟 위치정보를 산출한다. 타겟위치 산출부(240)는 시뮬레이션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타겟정보를 실탄사격 연습실의 영상 스크린(120)에 기 설정된 좌표 맵에 매칭시켜 타겟 위치정보를 산출한다. 여기서, 시뮬레이션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타겟정보는 시뮬레이션 영상의 전체 화면을 기준으로 타겟이 출력되는 영역에 대한 범위정보, 무게중심 정보, 기 설정된 타겟좌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타겟 위치정보는 영상 스크린(120)에 적용된 사격 연습용 타겟의 실제 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경로 산출부(250)는 시뮬레이션 영상을 기반으로 사격 연습 내용에 따라 출발(시뮬레이션 시작) 지점에서 도착(시뮬레이션 종료) 지점까지의 이동 경로에 대한 이동 경로정보를 산출한다.
이동경로 산출부(250)는 시뮬레이션 영상에 의해 사격 연습이 시작된 시점부터 사격자의 시선 센싱정보 및 이동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사격자의 이동 방향, 이동 속도, 이동 시간 등을 고려하여 이동 경로정보를 산출한다. 여기서, 이동 경로정보를 산출하는 동작은 결과 산출부(260)에서 시뮬레이션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경우에만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격 결과정보만을 생성하는 경우에도 이동 경로와 타겟의 위치를 결합하여 표시하기 위해 이동 경로정보를 산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결과 산출부(260)는 사격자의 실탄 사격에 대한 사격 결과정보를 생성한다. 결과 산출부(260)는 탄착점 산출부(230)에서 산출된 탄착점 및 타겟위치 산출부(240)에서 산출된 타겟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사격 정확도를 측정하고, 사격 정확도를 기초로 사격 결과정보를 생성한다.
결과 산출부(260)는 탄착점과 타겟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산출된 차이값 크기에 따라 사격 정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탄착점의 좌표가 (4, 4)이고 타겟 위치정보에 포함된 타겟 좌표가 (3, 3)인 경우, 결과 산출부(260)는 탄착점 및 타겟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차이값을 제곱근 2로 산출하고, 차이값에 해당하는 사격 정확도(예: 레벨 3)를 측정한다. 여기서, 사격 정확도는 차이값을 기 설정된 기준 테이블에 적용시켜 측정된 값일 수 있으며, 기준 테이블은 [표 1]과 같다.
차이값 크기(cm) 사격 정확도(레벨) 점수
1 ~ 2 레벨 3 10
3 ~ 4 레벨 2 5
5 ~ 6 레벨 1 1
[표 1]에서 타겟은 타겟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6 cm 범위 내에 포함되는 크기인 것으로 가정된 것으로 타겟의 크기에 따라 기준 테이블은 변경될 수 있다. [표 1]은 3 개의 레벨로 사격 정확도가 3 개의 레벨로 구분된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 1]의 차이값의 크기, 사격 정확도, 점수 등에 대한 변수는 변경될 수 있다.
결과 산출부(260)는 측정된 사격 정확도에 대응하는 점수를 포함하는 사격 결과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사격 결과정보는 사격 연습용 타겟 각각에 대하여 생성될 수 있으나, 시뮬레이션 영상에 따른 구간별로 해당 구간에 포함된 복수의 사격 연습용 타겟의 점수들을 합산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결과 산출부(260)는 사격연습 테마에 대응하는 평가 기준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평가 기준정보를 기준으로 사격연습 테마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결과 산출부(260)는 이동경로 산출부(250)에서 산출된 이동 경로정보 및 사격 결과정보를 이용하여 사격연습 테마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결과 산출부(260)는 시뮬레이션 영상에 대해 기 설정된 최단 경로와 사격자가 이동한 이동 경로정보를 비교하여 산출된 점수와 사격 결과정보의 점수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결과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이동 경로에 대한 점수는 이동 경로정보에 포함된 경로 길이에서 기 설정된 최단 경로를 뺀 차이값에 근거하여 산출된 점수를 의미하며, [표 2]을 기반으로 산출될 수 있다.
이동 경로정보(km) 최단 경로(km) 점수
10 ~ 20
10
10
21 ~ 30 5
31 ~ 40 1
[표 2]에서 이동 경로정보는 최대 경로가 40 km이고, 최단 경로가 10 km인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격자 또는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결과 산출부(260)는 이동 경로에 대한 점수와 사격 결과정보에 대한 점수를 합산하여 시뮬레이션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결과 산출부(260)는 이동 경로정보를 기초로 전체 경로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결과 산출부(260)는 이동 경로정보를 기초로 전체 경로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복수의 구간 각각에 포함된 타겟들에 대한 사격 결과정보 및 복수의 구간 각각에 대한 이동 경로정보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결과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하여 시뮬레이션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결과 산출부(260)는 복수의 구간 각각마다 난이도를 설정하고, 설정된 난이도를 기초로 복수의 구간마다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결과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실탄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150)는 사격연습 테마에 대응하는 시뮬레이션 영상 데이터를 실탄사격 연습실 내에 구비된 프로젝터(110)로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한다(S310).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150)는 기 저장된 시뮬레이션 영상 데이터를 프로젝터(110)로 전송할 수 있으나 외부 지휘소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사격연습 테마에 대응하는 시뮬레이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여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격연습 테마는 사격게임, 기초 사격연습, 사격 스포츠 연습, 군사작전, 테러훈련, 인질구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150)는 프로젝터(110)를 통해 시뮬레이션 영상을 실탄사격 연습실 내부에 출력하여 사격 연습을 시작한다(S312).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150)는 시뮬레이션 영상에 따라 사격자의 방향전환 및 이동위치를 감지한 정보를 기초로 시뮬레이션 영상을 제어한다(S320). 예컨대,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150)는 사격자의 모자, 사격자가 착용하는 음향기기(140) 등에 장착된 시선센서(132)로부터 획득한 시선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사격자의 시선 위치, 방향 등을 판단하고, 시선 센싱정보 및 사격자의 움직임을 기초로 판단된 시선 위치정보를 기초로 시뮬레이션 영상을 제어한다.
시뮬레이션 영상에 따라 사격자가 사격을 수행하고,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150)는 시뮬레이션 영상에 출력되는 타겟에 대한 사격자의 실탄 격발을 인지한다(S322).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150)는 사격자의 총기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 실탄 격발을 인지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격발 사운드를 센싱하여 실탄 격발을 인지할 수도 있다. 단계 S322는 실탄의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부수적인 센싱 정보로서 관리자의 설정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150)는 실탄사격 연습실 내에 구비된 센서(130)로부터 실탄 위치를 센싱한 실탄 센싱정보를 획득하고(S330), 실탄 센싱정보에 근거하여 실탄의 탄착점을 산출한다(S340).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150)는 시뮬레이션 영상이 출력되는 특정영역에 설치된 실탄센서(136)로부터 사격자의 실탄 격발에 따른 실탄위치를 센싱한 실탄 센싱정보를 획득하며, 실탄 센싱정보를 기초로 실탄의 탄착점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탄착점은 실탄 센싱정보에 포함된 센싱정보를 영상 스크린(120)에 기 설정된 좌표 맵에 매칭시켜 산출될 수 있다.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150)는 시뮬레이션 영상에 포함된 타겟에 대한 타겟 위치정보 산출한다(S350).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150)는 탄착점 및 타겟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사격 정확도 측정하고(S360), 사격 정확도를 기초로 사격 결과정보를 생성한다(S370). 여기서, 사격 결과정보는 사격 정확도에 대응하는 점수를 포함하는 결과정보를 의미하며, 사격 연습용 타겟 각각에 대하여 생성될 수 있으나, 시뮬레이션 영상에 따른 구간별로 해당 구간에 포함된 복수의 사격 연습용 타겟의 점수들을 합산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150)는 사격자의 이동 경로정보를 추가로 획득하고, 이동 경로정보 및 사격 결과정보를 이용하여 사격연습 테마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정보를 생성한다(S380).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150)는 시뮬레이션 영상을 기반으로 사격 연습 내용에 따라 출발(시뮬레이션 시작) 지점에서 도착(시뮬레이션 종료) 지점까지의 이동 경로에 대한 이동 경로정보를 산출하며, 이동 경로정보 및 사격 결과정보를 이용하여 사격연습 테마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시뮬레이션 결과정보는 시뮬레이션 영상에 대해 기 설정된 최단 경로와 사격자가 이동한 이동 경로정보를 비교하여 산출된 점수와 사격 결과정보의 점수를 기반으로 생성된 정보를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에 기재된 본 실시예에 따른 실탄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제공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실탄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실탄 사격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탄을 이용한 사격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실탄사격 연습실 및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150)를 포함한다.
도 4a는 사격자가 실탄사격 연습실의 기 설정된 이동 영역(410) 내에서 시뮬레이션 영상에 따라 이동하며 사격 연습을 수행하는 예시도이다. 여기서, 기 설정된 이동 영역(410)은 실탄사격 연습실의 바닥 중앙을 기준으로 사각 또는 원형의 영역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탄사격 연습실의 바닥 전체일 수 있다.
도 4b는 사격자가 실탄사격 연습실의 바닥에 설치된 이동 페달(412)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영상에 따라 이동하며 사격 연습을 수행하는 예시도이다. 여기서, 이동 페달(412)은 일립티컬 머신(Elliptical Machine)의 발판, 런닝 머신(Tread Mill)의 발판 등과 유사 또는 동일한 형태의 페달일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사격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 실탄 격발에 따른 실탄위치를 센싱하기 위한 센서의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의 (a)는 실탄사격 연습실의 위(천장)에서 아래(바닥)로 바라본 상태의 벽면(510) 및 영상 스크린(120)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스크린(120)은 실탄사격 연습실의 벽면(510)과 일정거리를 갖도록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영상 스크린(120) 또는 벽면(510)에는 사격자에 의해 격발된 실탄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5의 (a)에서는 사각 형태의 벽면(510)의 내측에 평행하게 영상 스크린(120)이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사각 형태의 벽면(510)의 내측에 원 형태의 영상 스크린(120)이 설치되거나 원 형태의 벽면(510)의 내측에 원 형태의 영상 스크린(120)이 설치될 수도 있다.
도 5의 (b) 및 (c)는 영상 스크린(120)에 설치된 실탄 감지센서(510, 520)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를 나타낸다. 도 5의 (b) 및 (c)는 사격자가 실탄사격 연습실 내부에서 각각의 영상 스크린(120)을 바라본 형태를 도시한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탄 감지센서(510)는 영상 스크린(120) 내에 소정의 간격을 갖는 격자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탄 감지센서(510)는 5 * 4 크기의 격자 형태로 영상 스크린(120) 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실탄 감지센서(510) 중 사격자의 실탄 격발에 의해 생성된 실탄 통과점(512)과 인접한 일부 센서를 이용하여 실탄 통과점(512)을 센싱할 수 있다. 여기서, 실탄 통과점(512)은 실탄 통과점(512)과 인접한 4 개의 제1 실탄 감지센서(510)에 의해 감지될 수 있으며, 실탄 통과점(512)에 대한 센싱정보는 4 개의 제1 실탄 감지센서(510) 각각의 식별정보, 4 개의 제1 실탄 감지센서(510) 각각과 실탄 통과점(512) 간의 거리, 실탄 개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탄 감지센서(520)는 영상 스크린(120)의 테두리 중 일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탄 감지센서(520)는 영상 스크린(120)의 4 개의 모서리 각각에 설치되어 레이더 방식을 이용하여 실탄의 궤적을 감지하여 실탄 통과점(512)을 센싱할 수 있다. 실탄 통과점(512)에 대한 센싱정보는 4 개의 제2 실탄 감지센서(520) 각각의 식별정보, 4 개의 제2 실탄 감지센서(520) 각각에서 감지된 실탄 궤적정보, 4 개의 제2 실탄 감지센서(520) 각각과 실탄 궤적과의 거리, 실탄 개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b) 및 (c)에서는 제1 실탄 감지센서(510) 및 제2 실탄 감지센서(520)가 영상 스크린(120)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동일한 위치 동일한 방식으로 실탄사격 연습실의 벽면(5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사격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 사격 정확도를 산출하기 위한 방법의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스크린(120) 내에 사격 연습용 타겟(600)이 존재하는 경우, 사격자는 실탄을 사격하여 제1 탄착점(620), 제2 탄착점(622)을 생성한다.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150)는 사격 연습용 타겟(600)의 기 설정된 소정의 좌표 또는 타겟의 무게중심좌표 등을 포함하는 타겟 위치정보(610)를 탄착점(620, 622)과 비교하여 사격 정확도를 측정(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150)는 타겟 위치정보(610)의 좌표가 (15, 12)이고, 제1 탄착점(620)의 좌표가 (16, 15)인 경우, 타겟 위치정보(610) 및 제1 탄착점(620)을 비교하여 산출된 차이값을 이용하여 사격 정확도를 측정한다. 여기서, 사격 정확도는 기 설정된 개수의 레벨로 구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150)는 측정된 사격 정확도에 대응하는 점수를 계산하여 사격자의 사격에 대한 사격 결과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사격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 시뮬레이션 결과를 산출하기 위한 사격자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의 (a)는 시뮬레이션 영상에 대한 제1 사격자가 출발 지점(710)에서 도착 지점(730)까지 이동한 제1 이동 경로(72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b)는 시뮬레이션 영상에 대한 제2 사격자가 출발 지점(710)에서 도착 지점(730)까지 이동한 제2 이동 경로(722)를 나타낸 도면이다.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150)는 도 7의 (a) 및 (b)에 근거하여 제1 사격자 및 제2 사격자 각각에 대한 이동 경로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150)는 시뮬레이션 영상에 의해 사격 연습이 시작된 시점부터 사격자의 시선 센싱정보 및 이동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사격자의 이동 방향, 이동 속도, 이동 시간 등을 고려하여 이동 경로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동 경로(720)는 제2 이동 경로(722)보다 짧은 경로를 갖으므로, 기 설정된 최단 경로와 사격자가 이동한 이동 경로정보를 비교하여 제2 사격자가 제1 사격자보다 좋은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획득한 점수는 사격 결과정보와 결합하여 시뮬레이션 결과정보를 생성하는데 반영된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실탄사격 연습실과 연동하는 사격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150)는 복수의 사격자가 동시에 실탄을 이용하여 사격 연습을 할 수 있도록 복수의 실탄사격 연습실과 연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150)는 복수의 실탄사격 연습실에 동일한 시뮬레이션 영상을 출력하고, 이에 따른 복수의 사격자 각각에 대한 사격 결과정보 또는 시뮬레이션 결과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실탄사격 연습실 각각에 진입해 있는 각각의 사격자는 하나의 팀(게임 또는 훈련 상의 같은 편)에 소속된 형태로 사격 연습을 수행할 수 있으나, 서로 다른 팀(게임 또는 훈련 상의 상대방 팀)에 소속된 형태로 사격 연습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프로젝터 120: 영상 스크린
130: 센서 132: 시선센서
134: 움직임센서 136: 실탄센서
140: 음향기기 150: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
210: 시뮬레이션 영상 제어부 212: 시선 판단부
220: 센싱 처리부 230: 탄착점 산출부
240: 타겟위치 산출부 250: 이동경로 산출부
260: 결과 산출부

Claims (18)

  1.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를 이용하여 실탄 사격 시뮬레이션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실탄사격 연습실 내에 기 설치된 프로젝터로 시뮬레이션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시뮬레이션 영상이 특정영역에 출력되도록 하는 시뮬레이션 영상 출력과정;
    상기 특정영역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사격자의 실탄 격발에 따른 상기 실탄사격 연습실의 내측 벽면 또는 영상 스크린에서의 실탄위치를 센싱한 센싱정보를 획득하는 센싱 처리과정;
    상기 센싱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실탄의 탄착점을 산출하는 탄착점 산출과정;
    상기 시뮬레이션 영상에 포함된 타겟에 대한 타겟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타겟 위치 산출과정; 및
    상기 탄착점 및 상기 타겟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사격 정확도를 측정하고, 상기 사격 정확도를 기초로 사격 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격 결과정보의 점수 및 상기 시뮬레이션 영상에 대응하는 평가 기준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시뮬레이션 영상에 대해 기 설정된 최단 경로와 상기 시뮬레이션 영상에 의해 사격 연습이 시작된 시점부터 종료 시점까지 사격자의 시선 센싱정보 및 이동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한 이동 경로정보를 비교하여 산출된 점수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결과 산출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탄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는 외부 지휘소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사격게임, 기초 사격연습, 사격 스포츠 연습, 군사작전, 테러훈련, 인질구조 중 하나의 사격연습 테마에 대응하는 상기 시뮬레이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시뮬레이션 영상 출력과정은, 상기 사격연습 테마에 대응하는 상기 시뮬레이션 영상 데이터를 상기 프로젝터로 전송하여 상기 사격연습 테마에 대한 상기 시뮬레이션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탄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제공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산출과정은,
    상기 사격연습 테마에 대응하는 평가 기준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평가 기준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사격자의 이동 경로정보 및 상기 사격 결과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격연습 테마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탄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제공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산출과정은,
    상기 이동 경로정보를 기초로 전체 경로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의 구간마다 포함된 타겟 각각에 대한 상기 사격 결과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복수의 구간 각각에 대한 난이도를 설정하고, 상기 난이도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구간마다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탄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제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영상은,
    상기 실탄사격 연습실의 적어도 3 개의 내측 벽면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탄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제공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처리과정은,
    상기 실탄사격 연습실의 상기 내측 벽면 각각에 부착된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센싱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탄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제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정보는,
    상기 실탄이 상기 내측 벽면에 박힌 지점을 센싱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탄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제공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영상은,
    상기 실탄사격 연습실의 적어도 3 개의 내측 벽면과 일정거리를 갖도록 평행하게 설치된 영상 스크린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탄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제공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처리과정은,
    상기 실탄사격 연습실의 상기 영상 스크린 각각에 부착된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센싱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탄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제공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정보는,
    상기 실탄이 상기 영상 스크린을 관통한 지점을 센싱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탄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제공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착점 산출과정은,
    상기 실탄사격 연습실의 내측 벽면 또는 상기 내측 벽면에 평행하게 설치된 영상 스크린에 대해 기 설정된 좌표 맵에 상기 센싱정보를 매칭시켜 상기 탄착점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탄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제공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위치 산출과정은,
    상기 실탄사격 연습실의 내측 벽면 또는 상기 내측 벽면에 평행하게 설치된 영상 스크린에 대해 기 설정된 좌표 맵에 상기 시뮬레이션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타겟정보를 매칭시켜 상기 타겟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탄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제공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산출과정은,
    상기 탄착점과 상기 타겟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차이값을 산출하고, 상기 차이값의 크기에 따라 측정된 상기 사격 정확도를 이용하여 상기 사격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탄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제공방법.
  14. 실탄사격 연습실 내에 기 설치된 프로젝터로 시뮬레이션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시뮬레이션 영상이 특정영역에 출력되도록 하는 시뮬레이션 영상 제어부;
    상기 특정영역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사격자의 실탄 격발에 따른 상기 실탄사격 연습실의 내측 벽면 또는 영상 스크린에서의 실탄위치를 센싱한 센싱정보를 획득하는 센싱 처리부;
    상기 센싱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실탄의 탄착점을 산출하는 탄착점 산출부;
    상기 시뮬레이션 영상에 포함된 타겟에 대한 타겟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타겟 위치 산출부; 및
    상기 탄착점 및 상기 타겟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사격 정확도를 측정하고, 상기 사격 정확도를 기초로 사격 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격 결과정보의 점수 및 상기 시뮬레이션 영상에 대응하는 평가 기준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시뮬레이션 영상에 대해 기 설정된 최단 경로와 상기 시뮬레이션 영상에 의해 사격 연습이 시작된 시점부터 종료 시점까지 사격자의 시선 센싱정보 및 이동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한 이동 경로정보를 비교하여 산출된 점수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결과 산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탄을 이용한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산출부는,
    사격게임, 기초 사격연습, 사격 스포츠 연습, 군사작전, 테러훈련, 인질구조 중 하나의 사격연습 테마에 대응하는 평가 기준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평가 기준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사격자의 이동 경로정보 및 상기 사격 결과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격연습 테마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탄을 이용한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산출부는,
    상기 이동 경로정보를 기초로 전체 경로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의 구간마다 포함된 타겟 각각에 대한 상기 사격 결과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복수의 구간 각각에 대한 난이도를 설정하고, 상기 난이도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구간마다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탄을 이용한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
  17. 실탄을 이용한 사격 연습을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실탄사격 연습실의 특정 영역으로 시뮬레이션 영상을 조사하는 프로젝터;
    상기 실탄사격 연습실의 적어도 3 개의 내측 벽면과 일정거리를 갖도록 평행하게 각각 설치되어 상기 시뮬레이션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스크린;
    사격자가 바라보는 시선위치 또는 방향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사격자에게 상기 시뮬레이션 영상에 대한 음향을 제공하는 헤드셋;
    상기 영상 스크린에 부착되며, 상기 사격자의 실탄 격발에 따른 상기 실탄사격 연습실의 내측 벽면 또는 상기 영상 스크린에서의 실탄위치를 센싱하여 센싱정보를 생성하는 실탄센서; 및
    상기 프로젝터로 시뮬레이션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시뮬레이션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며, 상기 센싱정보에 근거하여 산출된 상기 실탄의 탄착점 및 상기 시뮬레이션 영상에 포함된 타겟에 대한 타겟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사격 정확도를 측정하고, 상기 사격 정확도를 기초로 사격 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격 결과정보의 점수 및 상기 시뮬레이션 영상에 대응하는 평가 기준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시뮬레이션 영상에 대해 기 설정된 최단 경로와 상기 시뮬레이션 영상에 의해 사격 연습이 시작된 시점부터 종료 시점까지 사격자의 시선 센싱정보 및 이동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한 이동 경로정보를 비교하여 산출된 점수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탄을 이용한 사격 시뮬레이션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사격 시뮬레이션 제공장치는,
    사격연습 테마에 대응하는 평가 기준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평가 기준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사격자의 이동 경로정보 및 상기 사격 결과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격연습 테마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정보는 상기 이동 경로정보를 기초로 전체 경로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한 구간 각각에 대해 설정된 난이도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구간마다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탄을 이용한 사격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20160134788A 2016-10-18 2016-10-18 실탄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921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788A KR101921249B1 (ko) 2016-10-18 2016-10-18 실탄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제공 방법 및 장치
PCT/KR2017/008026 WO2018074709A1 (ko) 2016-10-18 2017-07-26 실탄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제공 방법 및 장치
US16/359,170 US20190219364A1 (en) 2016-10-18 2019-03-20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ive-Fire Simulation G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788A KR101921249B1 (ko) 2016-10-18 2016-10-18 실탄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540A KR20180042540A (ko) 2018-04-26
KR101921249B1 true KR101921249B1 (ko) 2018-11-22

Family

ID=62018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788A KR101921249B1 (ko) 2016-10-18 2016-10-18 실탄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90219364A1 (ko)
KR (1) KR101921249B1 (ko)
WO (1) WO20180747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98049B (zh) * 2018-04-28 2023-12-26 上海亿湾特训练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联网互战式投影对抗射击训练系统
KR102195083B1 (ko) * 2019-03-26 2020-12-24 오용 레이저 사격과 시선 추적을 이용한 주의력 향상 시스템 및 방법
CN110280011A (zh) * 2019-07-02 2019-09-27 武汉热火体育运动有限公司 一种基于场地游戏的平台系统
KR102469485B1 (ko) * 2022-10-05 2022-11-21 최준석 가상전투시스템 및 기록매체
CN116531765B (zh) * 2023-05-16 2023-12-08 成都航天凯特机电科技有限公司 靶场射击训练射击结果生成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KR102596258B1 (ko) * 2023-06-08 2023-11-01 옵티머스시스템 주식회사 포탄 모의사격 시뮬레이션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956B1 (ko) * 2015-10-16 2016-07-26 주식회사 인퍼니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5279B2 (ja) * 1995-09-08 2005-02-02 バブコック日立株式会社 実弾射撃訓練装置
KR101067544B1 (ko) * 2009-09-11 2011-09-27 박주현 스크린 상의 타격 위치 감지 장치
KR101421113B1 (ko) * 2012-06-26 2014-07-24 대한민국 자동 감지 사격 시스템
KR20150137261A (ko) * 2014-05-29 2015-12-09 (주)이인텍 이미지 트래킹을 이용한 표적생성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956B1 (ko) * 2015-10-16 2016-07-26 주식회사 인퍼니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19364A1 (en) 2019-07-18
WO2018074709A1 (ko) 2018-04-26
KR20180042540A (ko) 2018-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1249B1 (ko) 실탄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6225556B (zh) 一种基于精确位置跟踪的多人射击仿真训练系统
US7722465B2 (en) Image generation device, image display method and program product
KR101744042B1 (ko) 야구 연습 장치에 이용되는 센싱장치 및 센싱방법과, 이를 이용한 야구 연습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10234247B2 (en) Projectile weapon training apparatus using visual display to determine targeting, accuracy, and/or reaction timing
KR101938257B1 (ko)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
KR101366444B1 (ko) 실시간 상호 연동 가능한 가상 사격 시스템
US201502763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rksmanship training
JPH11510245A (ja) 通常射撃もしくは模擬射撃のための着弾位置マーカー
KR20110056019A (ko) 스크린 사격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00350B1 (ko) 사격 시스템
CN113834373B (zh) 真人演绎虚拟现实室内室外攻防对抗作战训练系统及方法
JP5342855B2 (ja) 射撃訓練用模擬対抗装置
US11707668B2 (en) Screen shooting range and method of playing screen shooting gam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KR20170092929A (ko) 야구 연습 장치에 이용되는 센싱장치 및 센싱방법과, 이를 이용한 야구 연습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664770B1 (ko) 오프라인 서바이벌 게임 시스템 및 이의 사살자 탐지 방법
KR101185068B1 (ko) 양궁 전자표적 시스템
KR20170085460A (ko) 야구 연습 장치에 이용되는 센싱장치 및 센싱방법과, 이를 이용한 야구 연습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6905409B2 (ja) 射撃訓練システム
KR101542926B1 (ko) 비비탄용 모의사격 시스템
KR101332741B1 (ko) 아케이드 건 인터렉션 시스템
JP5342854B2 (ja) 射撃訓練用模擬対抗装置
KR101865579B1 (ko)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 및 이에 의한 가상 야구 게임 제어방법
US20140309036A1 (en) Set of body motions and methods to control game play using a laser gun in Computer Games.
KR20200008776A (ko) 레이더 전자사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