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130B1 - 폐경기 치료용 dhea 조성물 - Google Patents

폐경기 치료용 dhea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130B1
KR101638130B1 KR1020137020819A KR20137020819A KR101638130B1 KR 101638130 B1 KR101638130 B1 KR 101638130B1 KR 1020137020819 A KR1020137020819 A KR 1020137020819A KR 20137020819 A KR20137020819 A KR 20137020819A KR 101638130 B1 KR101638130 B1 KR 101638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hea
vaginal
serum
pharmaceutical composition
wom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0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3805A (ko
Inventor
페르난드 라브리에
Original Assignee
앙도르쉐르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앙도르쉐르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앙도르쉐르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103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3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6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not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arbon atom, e.g. estrane, estradiol
    • A61K31/568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not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arbon atom, e.g. estrane, estradiol substituted in positions 10 and 13 by a chain having at least one carbon atom, e.g. androstanes, e.g. testosterone
    • A61K31/568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not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arbon atom, e.g. estrane, estradiol substituted in positions 10 and 13 by a chain having at least one carbon atom, e.g. androstanes, e.g. testosterone having an oxo group in position 17, e.g. androste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61K31/4523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53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with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34Urogenital system, e.g. vagina, uterus, cervix, penis, scrotum, urethra, bladder; Personal lubric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blad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02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disorders of the vagi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1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impot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12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climacter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14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lactation disorders, e.g. galactorrho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4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non-specific disorders of the connective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61P19/1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for osteopo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24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sex horm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24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sex hormones
    • A61P5/26Andro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24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sex hormones
    • A61P5/32Antioestro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48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pancreatic hormones
    • A61P5/5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pancreatic hormones for increasing or potentiating the activity of insu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12Antidiuretics, e.g. drugs for diabetes insipid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Diabetes (AREA)
  • Endocri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Obesity (AREA)
  • Der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Abstract

폐경기 후 여성의 폐경기로 인한 증상 또는 질병, 특히 인간을 포함하는 민감한 온혈 동물에 있어, 골다공증, 질 위축증과 질 건조증, 성선 기능 저하증, 성욕 감소, 피부 위축, 결합 조직 질환, 요실금, 유방암, 자궁내막암, 난소암, 자궁암, 안면 홍조, 근육량의 감소, 인슐린 저항, 피로, 에너지의 감소, 노화, 폐경기의 물리적 증상의 획득 가능성을 감소시키거나 치료하기 위하여 성스테로이드 전구체의 투여를 포함하는 새로운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방법은 유방암과 난소암 위험을 차단하기 위하여 불필요한 전신적인 에스트로겐 효과를 야기하는 일이 없이, 질의 고유판층 및/또는 질 근육층 내의 긍정적인 안드로겐 효과를 이용하기 위하여 디히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 (DHEA)를 투여 및 투약하는 새로운 방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폐경기 치료용 DHEA 조성물 {DHEA COMPOSITIONS FOR TREATING MENOPAUSE}
본 발명은 불필요한 전신적인 에스트로겐 효과를 야기하지 않고, 긍정적인 안드로겐 효과를 이용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질의 고유판층 및/또는 질 근육층 내에) 디히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 (DHEA) 투여·투약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한다. DHEA 외에, 다른 성스테로이드 전구체 (예컨대, 디히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 설페이트, 안드로스트-5-엔-3β,17β-디올 및 4-안드로스텐-3,17-디온)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수의 호르몬 관련 치료법들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많은 성스테로이드 에스트로겐 또는 안드로겐이 전신적 및/또는 표적 조직에 제공된다. 안드로겐 및/또는 에스트로겐의 직접 투여 외에, 투여된 조직 내에서 에스트로겐 및/또는 안드로겐으로 전환될 수 있는 성스테로이드 전구체도 다양한 질환에 사용되어 왔다. 안드로겐과 에스트로겐은 모두 어떤 맥락에서는 유리할 수 있고 다른 맥락에서는 해로울 수 있다. 이는 그 중에서도 표적이 되는 조직, 환자에 의해 나타나는 특정 필요, 그리고 표적화 되지 않은 조직이 영향을 받는 정도에 따라 좌우된다. 몇몇 치료법에 의하면, 표적화 되더라도 신체 내의 다른 곳에서 불필요한 활성 (예컨대, 약제를 국부 투여하였으나 약제나 그의 대사 산물이 전신적으로 증가하여 존재하는 결과)을 여전히 가질 수 있다. 또한, 활성의 메커니즘, 특히 안드로겐과 에스트로겐의 상대적 기여가 완전히 파악되고 있지는 않다.
본 발명은 불필요한 부작용은 피하면서, 성스테로이드 전구체의 유리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특정의 투여량, 제형 및 투여 방법을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가지 구체예로, 본 발명은 폐경기 후 여성의 호르몬 불균형과 관련한 질 관련 질환 또는 증상(예컨대, 질 위축증, 외음부질 건조증, 성선기능 저하증, 성욕 감퇴, 피부 위축증, 연결조직 질환, 요실금, 안면 홍조, 근육량 감소, 인슐린 내성, 피로, 에너지 감소, 노화 및 폐경의 물리적 증상과 징후 등)을 얻을 가능성을 치료 및/또는 경감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상기 방법은 상기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디히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 디히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 설페이트, 안드로스트-5-엔-3β,17β-디올 및 4-안드로스텐-3,17-디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성스테로이드 전구체를 투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성스테로이드 전구체는 정상적인 폐경기 후 여성에서 발견할 수 있는 수치보다 에스트라디올의 농도의 증가 없이 안드로겐 대사 산물의 순환 농도를 증가시키는 치료량으로 투여되는 것이다.
또 다른 구체예로, 본 발명은 폐경기 후 여성의 폐경기로 인한 증상 또는 질환을 얻을 가능성을 치료 및/또는 경감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상기 방법은 상기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디히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 디히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 설페이트, 안드로스트-5-엔-3β,17β-디올 및 4-안드로스텐-3,17-디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성스테로이드 전구체를 투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성스테로이드 전구체는 유방암과 자궁암의 위험을 차단하기 위하여 정상적인 폐경기 후 여성에서 발견할 수 있는 수치보다 에스트라디올 농도를 증가시키지 않고 안드로겐 대사 산물의 순환 농도를 증가시키는 치료량으로 투여되는 것이다.
또 다른 구체예로, 본 발명은 폐경기 후 여성의 폐경기로 인한 증상 또는 질환을 얻을 가능성을 치료 및/또는 경감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상기 방법은 상기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디히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 디히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 설페이트, 안드로스트-5-엔-3β,17β-디올 및 4-안드로스텐-3,17-디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성스테로이드 전구체를 투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성스테로이드 전구체는 안드로겐 대사 산물의 순환 농도를 증가시키는 치료량으로 투여되며, 더 나아가 폐경기 후 여성에게서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유방암과 자궁암의 위험을 차단하고 뼈 손실, 지방 축적과 제2형 당뇨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병용 치료의 일부로서 유효 치료량의 선택적인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자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에스트로겐 수용체를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자로서 다음 화학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투여할 수 있다.
Figure 112015052819724-pat00049
또 다른 구체예로, 본 발명은 DHEA를 1일 3-13 mg의 투여량으로 질 내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질의 고유판층 또는 질 근육층 내의 질 질환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구체예로, 본 발명은 디히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 디히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 설페이트, 안드로스트-5-엔-3β,17β-디올 및 4-안드로스텐-3,17-디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성스테로이드 전구체를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과, 부분적으로 글리세리드에 해당하는 가변 부분을 갖는 포화 지방산 C12-C18 (경화지방, 위텝솔)의 트리글리세리드, 버터, 올레인산, 팔미트산, 그리고 스테아르산의 혼합 트리글리세리드 (코코아 버터), 부분 경화된 면실유 (Cotomar), 경화된 지방 알콜과 에스테르 (디하이댁 기제Ⅰ, 기제 Ⅱ 또는 기제 Ⅲ도 포화 지방산 C12-16의 글리세리드를 포함할 수 있다), 팜 오일, 팜 커널 오일의 트리글리세리드, 그리고 자가 유화형 글리세릴 모노스테레이트와 폴리옥시 스테아르산을 갖는 코코넛 오일 (Fattibase), 헥사리드 베이스 95, 더 높게 용해된 코코넛과 팜 커널 오일의 일부 (Hydrokote), 재배열된 경화된 식물성 오일 (S-70-XX95와 S-070-XXA), 천연 식물성 오일에서 유래한 모노-, 디-, 트리글리세리드의 공융 혼합물 (슈포시레), 티제스터 트리글리세리드 (Tegester Triglycerides), 트윈 61, 코코넛 오일에서 유래된 트리글리세리드 (웨코비), 테오브로마 오일, 반합성 글리세리드(자포시레, 오부시레), 포화 지방산의 트리, 디- 및 모노글리세리드의 혼합물 (마사 에스타리늄)과 전술한 것들의 조합 (Allen et al. 2008 참조)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부터 선택되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희석제 또는 담체를 더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DHEA 및 다른 전구체가 가용성인 액체를 포함하는 임의의 비히클이 본 발명에 의하여 포함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DHEA를 좌약의 총중량 대비 0.25 내지 2.00 중량%, 특히 0.5 중량%로 포함하고, 친유성 부형제를 더 포함하는 질 좌약을 제공한다. 특히 적절한 부형제는 위텝솔 (Witepsol) H-15이다.
전신적인 에스트로겐 효과 없이 목적하는 안드로겐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현재 에스트로겐에 기반한 국부 및 전신적 에스트로겐 대체 치료 (Labrie, Cusan et al. Menopause, 언론 보도)에서 발견되는 유방암과 자궁 내막암의 위험도 증가 등의 전신적인 에스트로겐 부작용을 피할 수 있다.
투여 전구체의 다른 형태 외에, 본 발명은 양호한 부형제와 양호한 전구체의 농도로 제형화된 질 좌약과 질 연고를 제공한다.
질 내 투여는 훨씬 낮은 투여량으로도 국소적 작용이 목적하는 질 층에서 목적하는 안드로겐 효과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투여 방식보다 바람직하다. 투여 방법 중에서 알려진 변형으로서, 전술한 투여량과 농도를 변경한 다른 투여 수단에 의한 투여를 활용할 수도 있다. 주치 임상의는 각 환자의 반응에 따라 적절히 투약량을 변경하여야 한다.
양호한 실시 상태에 있어서, 성스테로이드 전구체는 DHEA이다.
본 발명은 폐경기 후 여성의 호르몬 불균형과 관련한 질 관련 질환 또는 증상을 얻을 가능성을 치료 및/또는 경감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0%, 0.5%, 1.0% 또는 1.8%의 DHEA를 포함하는 질 좌약을 40 내지 75세의 폐경기 후 여성에게 매일 투여하고, 1일째 또는 7일째의 DHEA와 5-디올의 혈청 농도를 표시한 것이다. 데이터는 ±SEM (n=9 또는 10) 방법으로 표시하였다.
도 2는 0%, 0.5%, 1.0% 또는 1.8%의 DHEA (n=8)를 포함하는 질 좌약을 40 내지 75세의 폐경기 후 여성에게 매일 투여하고 1일째 또는 7일째의 Testo와 DHT의 혈청 농도를 표시한 것이다. 데이터는 ±SEM (n=8 또는 9) 방법으로 표시하였다. 위약군 내의 한 환자의 Testo 농도는 어떤 다른 스테로이드에서도 나타나지 않은 설명되지 않는 높은 Testo 농도 때문에 배제하였다.
도 3은 0%, 0.5%, 1.0% 또는 1.8%의 DHEA를 포함하는 질 좌약을 40 내지 75세의 폐경기 후 여성에게 매일 투여하고 1일째 또는 7일째의 E1과 E2의 혈청 농도를 표시한 것이다. 데이터는 ±SEM (n=9 또는 10) 방법으로 표시하였다.
도 4는 0%, 0.5%, 1.0% 또는 1.8%의 DHEA를 포함하는 질 좌약을 40 내지 75세의 폐경기 후 여성에게 매일 투여하고 1일째 또는 7일째의 E1-S와 DHEA-S의 혈청 농도를 표시한 것이다. 데이터는 ±SEM (n=9 또는 10) 방법으로 표시하였다.
도 5는 0%, 0.5%, 1.0% 또는 1.8%의 DHEA를 포함하는 질 좌약을 40 내지 75세의 폐경기 후 여성에게 매일 투여하고 1일째 또는 7일째의 4-디온과 ADT-G의 혈청 농도를 표시한 것이다. 데이터는 ±SEM (n=9 또는 10) 방법으로 표시하였다.
도 6은 0%, 0.5%, 1.0% 또는 1.8%의 DHEA를 포함하는 질 좌약을 40 내지 75세의 폐경기 후 여성에게 매일 투여하고 1일째 또는 7일째의 3α-디올-3G와 3α-디올-17G의 혈청 농도를 표시한 것이다. 데이터는 ±SEM (n=9 또는 10) 방법으로서 표시하였다.
도 7은 0%, 0.5%, 1.0% 또는 1.8%의 DHEA를 포함하는 질 좌약을 매일 투여한 후, 1일째 또는 7일째의 DHEA, 5-디올, DHEA-S, 4-디온, Testo 및 DHT의 평균 24시 혈청 농도 (AUC0 -24시/24)를 나타낸 것이다. 데이터는 ±SEM (n=8 내지 10) 방법으로 표시하였다. 위약군 내의 한 환자의 Testo 농도는 배제하였다 (군 내에서 n=8). 폐경기 전 30세 내지 35세 여성에게서 측정한 혈청 스테로이드 농도를 참고로 추가하였다. 데이터는 평균 (n=47) 으로서 표시되어 있으나, 제5 및 제95 백분위수 (점선)가 나타나 있다. *, p<0.05, **, p<0.01 실험 (7일째) 대 위약군 (7일째).
도 8은 0%, 0.5%, 1.0% 또는 1.8%의 DHEA를 포함하는 질 좌약을 매일 투여하고 1일째 또는 7일째의 ADT-G, 3α-디올-3G, 3α-디올-17G, E1, E2 및 E1-S의 평균 24시 혈청 농도 (AUC0 -24시/24)를 표시한 것이다. 데이터는 ±SEM (n=9 또는 10) 방법으로 표시하였다. 폐경기 전 30세 내지 35세 여성에게서 측정한 혈청 스테로이드 농도를 참고로 추가하였다. 데이터는 평균 (n=47)로 표시되어 있으나 제5 및 제95 백분위수 (점선)가 나타나 있다. *, p<0.05, **, p<0.01 실험 (7일째) 대 위약군 (7일째).
도 9는 DHEA의 투약량을 증가시키면서 질 내 투여한 다음, 질 위축증을 갖는 폐경기 후 여성의 안드로겐 대사 산물 ADT-G, 3α-디올-17G의 혈청 농도 총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데이터는 순환 폐경 전의 젊은 성인 (30세 내지 35세) 여성에서 관찰되는 동일한 스테로이드 대사 산물의 혈청 농도를 백분율로 표시되어 있다. 변환 농도는 폐경기 전의 여성들에서 발견되는 값으로 0.5%, 1.0% 및 1.8%의 DHEA 투약량을 투여받은 여성들의 ADT-G, 3α-디올-3G 및 3α-디올-17G의 혈청 농도의 총계를 나누어서 구한다 (Labrie et al., 2006 로부터의 데이터). 정상적인 폐경기 전 여성에 비교한 혈청 DHEA 변화도 역시 변환 효율 (ο------ο)을 나타내기 위한 비교로서 나타나 있다. _ _ _ _; 와 ________는 각각 안드로겐 대사 산물과 DHEA의 기저 농도이다.
도 10은 0%, 0.5%, 1.0% 또는 1.8%의 DHEA를 포함하는 질 좌약을 40 내지 75세의 폐경기 후 여성에게 매일 투여하고 1일째 또는 7일째의 성숙 지수 (A)와 질 내 pH (B)를 표시한 것이다. 데이터는 ±SEM (n=9 또는 10) 방법으로 표시하였다. *, p<0.05, **, p<0.01의 7일째 데이터 대 1일째 데이터.
도 11은 폐경기 후 여성에게 2개의 50 mg DHEA 캡슐을 단회 경구 투여 또는 4g의 10% DHEA 크림 또는 겔을 적용한 다음, 혈청 디하이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DHEA) (A)와 안드로스트-5-엔-3β,17β-디올(5-디올) (B)의 시간적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폐경기 후 여성에게 2개의 50 mg DHEA 캡슐을 단회 경구 투여 또는 4g의 10% DHEA 크림 또는 겔을 적용한 다음, 혈청 안드로스텐디온(4-디온) (A)과 테스토스테론 (B)의 시간적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폐경기 후 여성에게 2개의 50 mg DHEA 캡슐을 단회 경구 투여 또는 4g의 10% DHEA 크림 또는 겔을 적용한 다음, 혈청 에스트론 (E1) (A)과 17β-에스트라디올 (E2) (B)의 시간적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폐경기 후 여성에게 2개의 50 mg DHEA 캡슐을 단회 경구 투여 또는 4g의 10% DHEA 크림 또는 겔을 적용한 다음, 혈청 디하이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 설페이트(DHEA-S) (A)와 에스트론 설페이트 (E1-S) (B)의 시간적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폐경기 후 여성에게 2개의 50 mg DHEA 캡슐을 매일 경구 투여 또는 4g의 10% DHEA 크림 또는 겔을 적용한 다음, 혈청 안드로스테론 글루쿠로니드 (ADT-G) (A)와 안드로스톤 3α-17β-디올-글루쿠로니드 (3α-디올-G) (B)의 시간적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폐경기 후 여성에게 2개의 50 mg DHEA 캡슐을 매일 경구 투여 또는 4g의 10% DHEA 크림 또는 겔을 적용한 다음, 혈청 혈청 디하이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 (A)과 안드로스트-5-엔-3β,17β-디올(5-디올) (B)의 시간적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측정은 투약 14일째에 수행하였다.
도 17은 폐경기 후 여성에게 2개의 50 mg DHEA 캡슐을 매일 경구 투여 또는 4g의 10% DHEA 크림 또는 겔을 적용한 다음, 혈청 안드로스텐디온(4-디온) (A)과 테스토스테론 (B)의 시간적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측정은 투약 14일째에 수행하였다.
도 18은 폐경기 후 여성에게 2개의 50 mg DHEA 캡슐을 매일 경구 투여 또는 4g의 10% DHEA 크림 또는 겔을 적용한 다음, 혈청 에스트론 (E1) (A)과 17-에스트라디올 (E2) (B)의 시간적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측정은 투약 14일째에 수행하였다.
도 19는 폐경기 후 여성에게 2개의 50 mg DHEA 캡슐을 매일 경구 투여 또는 4g의 10% DHEA 크림 또는 겔을 적용한 다음, 혈청 디하이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 설페이트(DHEA-S) (A)와 에스트론 설페이트 (E1-S) (B)의 시간적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측정은 투약 14일째에 수행하였다.
도 20은 폐경기 후 여성에게 2개의 50 mg DHEA 캡슐을 매일 경구 투여 또는 4g의 10% DHEA 크림 또는 겔을 적용한 다음, 혈청 안드로스테론 글루쿠로니드 (ADT-G) (A)와 안드로스톤 3α-17β-디올-글루쿠로니드 (3α-디올-G) (B)의 시간적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측정은 투약 14일째에 수행하였다.
도 21은 투약 14일째의 DHEA와 그의 대사 산물의 (AUC0 -24시) 값의 비율을 처리 전 기준치에 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해당 데이터 값은 표 5에서 찾을 수 있다.
도 22는 폐경기 후 여성의 질 부기저 세포의 백분율에 대한, 0.0%, 0.25%, 0.5% 및 1.0% DHEA (프라스테론)를 2, 4, 8 및 12 주 매일 질 내 투여한 효과를 표시한 것이다. 데이터는 ±SEM 방법으로 표시하였다.
도 23은 폐경기 후 여성의 질 표면 세포의 백분율에 대한, 0.0%, 0.25%, 0.5% 및 1.0% DHEA (프라스테론)를 2, 4, 8 및 12 주 매일 질 내 투여한 효과를 표시한 것이다. 데이터는 ±SEM 방법으로 표시하였다.
도 24는 폐경기 후 여성의 질 내 pH에 대한, 0.0%, 0.25%, 0.5% 및 1.0% DHEA (프라스테론)를 2, 4, 8 및 12 주 매일 질 내 투여한 효과를 표시한 것이다. 데이터는 ±SEM 방법으로 표시하였다.
도 25는 여성들이 스스로 가장 성가시다고 판단한 질 위축증의 증상에 대한 강도의 변화에 대한, 0.00%, 0.25%, 0.5% 및 1.0% DHEA (프라스테론)를 2, 4, 8 및 12 주 매일 질 내 투여한 효과를 표시한 것이다. 1일에 비한 데이터는 ±SEM 방법으로 표시하였다.
도 26은 질 검사에서 측정한 질 분비물의 변화에 대한, 0.0%, 0.25%, 0.5% 및 1.0% DHEA (프라스테론)를 2, 4, 8 및 12 주 매일 질 내 투여한 효과를 표시한 것이다. 데이터는 ±SEM 방법으로 표시하였다.
도 27은 질 검사에서 측정한 질 색상의 변화에 대한, 0.0%, 0.25%, 0.5% 및 1.0% DHEA (프라스테론)를 2, 4, 8 및 12 주 매일 질 내 투여한 효과를 표시한 것이다. 데이터는 ±SEM 방법으로 표시하였다.
도 28은 질 검사에서 측정한 질 상피층의 보존성의 변화에 대한, 0.0%, 0.25%, 0.5% 및 1.0% DHEA (프라스테론)를 2, 4, 8 및 12 주 매일 질 내 투여한 효과를 표시한 것이다. 데이터는 ±SEM 방법으로 표시하였다.
도 29는 질 검사에서 측정한 질 상피층의 두께 변화에 대한, 0.0%, 0.25%, 0.5% 및 1.0% DHEA (프라스테론)를 2, 4, 8 및 12 주 매일 질 내 투여한 효과를 표시한 것이다. 데이터는 ±SEM 방법으로 표시하였다.
도 30은 0.5%의 DHEA를 포함하는 질 좌약을 매일 1회 투여하고, 1일째 또는 7일째의 DHEA, 5-디올, DHEA-S, E1, E2 및 E1-S의 평균 24시 혈청 농도 (AUC0 -24시/24)를 표시한 것이다. 데이터는 ±SEM (n=10) 방법으로 표시하였다. 30 내지 35세 폐경기 전 여성 (n=47)뿐 아니라, 55 내지 65세 폐경기 후 여성 (n=369)에게서 측정한 혈청 스테로이드 농도를 참고 데이터로 추가하였고, 데이터는 제5 및 제95 백분위수 (점선)가 나타나 있다. *, p<0.05, **, p<0.01, 실험값 대 기준치 (Labrie, Cusan et al. 2008 로부터의 데이터).
도 31은 0.5%의 DHEA를 포함하는 질 좌약을 매일 1회 투여하고, 1일째 또는 7일째의 4-디온, 테스토스테론, DHT, ADT-G, 3α-디올-3G 및 3α-디올-17G의 평균 24시 혈청 농도 (AUC0 -24시/24)를 표시한 것이다. 데이터는 ±SEM (n=10) 방법으로 표시하였다. 30 내지 35세 폐경기 전 여성 (n=47)뿐 아니라, 55 내지 65세 폐경기 후 여성 (n=369)에게서 측정한 혈청 스테로이드 농도를 참고 데이터로 추가하였고, 데이터는 제5 및 제95 백분위수 (점선)가 나타나 있다. *, p<0.05, 실험값 대 기준치 (Labrie, Cusan et al. 2008 로부터의 데이터).
하기에는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기사 목록을 짧은 인용 형태로 개시하였다.
Allen, Loyd V Jr, Worthe Dennis B, and Mink Bill, in Suppositories, Chaper 3 pages 27-49, Published by the Pharmaceutical Press, London, UK, 2008.
Archer, D. F. (2007). "Drospirenone-containing hormone therapy for postmenopausal women. Perspective on current data." J Reprod Med 52(2 Suppl): 159-64.
Ayton, R. A., G. M. Darling, et al. (1996). "A comparative study of safety and efficacy of continuous low dose oestradiol released from a vaginal ring compared with conjugated equine oestrogen vaginal cream in the treatment of postmenopausal urogenital atrophy." Br J Obstet Gynaecol 103(4): 351-8.
Bachmann, G., R. A. Lobo, et al. (2008). "Efficacy of low-dose estradiol vaginal tablets in the treatment of atrophic vaginiti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bstet Gynecol 111(1): 67-76.
Bachmann, G. A., M. Notelovitz, et al. (1992). "Long-term non-hormonal treatment of vagina dryness." J Clin Pract Sex 8.
Baker, V. L. and R. B. Jaffe (1996). "Clinical uses of antiestrogens." Obstet Gynecol Surv 51: 45-59.
E. E. Baulieu, G. Thomas, S. Legrain, N. Lahlou, M. Roger, B. Debuire, V. Faucounau, L. Girard, M.P. Hervy, F. Latour, M.C. Leaud, A. Mokrane, H. Pitti-Ferrandi, C. Trivalle, O. de Lacharriere, S. Nouveau, B. Rakoto-Arison, J.C. Souberbielle, J. Raison, Y. Le Bouc, A. Raynaud, X. Girerd and F. Forette, Dehydroepiandrosterone (DHEA), DHEA sulfate, and aging: contribution of the DHEAge Study to a sociobiomedical issue, Proc. Natl . Acad . Sci . U.S.A. 97 (2000), pp. 4279-4284.
Baxendale, P. M., M. J. Reed, et al. (1981). "Inability of human endometrium or myometrium to aromatize androstenedione." J Steroid Biochem 14(3): 305-6.
Belanger, B. Candas, A. Dupont, L. Cusan, P. Diamond, J.L. Gomez and F. Labrie, Changes in serum concentrations of conjugated and unconjugated steroids in 40- to 80- year-old men, J. CHn . Endocrinol . Metab . 79 (1994), pp. 1086-1090.
Belanger, G. Pelletier, F. Labrie, O. Barbier and S. Chouinard, Inactivation of androgens by UDP-glucuronosyltransferase enzymes in humans, Trends Endocrinol . Metnb . 14 (2003), pp. 473-479.
Beral, V. (2003). "Breast cancer and hormone-replacement therapy in the Million Women Study." Lancet 362(9382): 419-27.
Beral, V., D. Bull, et al. (2005). "Endometrial cancer and hormone-replacement therapy in the Million Women Study." Lancet 365(9470): 1543-51.
Berger, L., M. El-Alfy, et al. (2005). "Effects of dehydroepiandrosterone, Premarin and Acolbifene on histomorphology and sex steroid receptors in the rat vagina." J Steroid Biochem MoI Biol 96(2): 201-15.
Bulun, S. E., Z. Lin, et al. (2005). "Regulation of aromatase expression in estrogen-responsive breast and uterine disease: from bench to treatment." Pharmacol Rev 57(3): 359-83.
J.E. Buster, P.R. Casson, A. B. Straughn, D. Dale, E. S. Umstot, N. Chiamori and G. E. Abraham, Postmenopausal steroid replacement with micronized dehydroepiandrosterone: preliminary oral bioavailability and dose proportionality studies, Am . J. Obstet . Gynecol . 166 (1992), pp. 1163-1168 discussion 1168-1170. Chlebowski, R. T., S. L. Hendrix, et al. (2003). "Influence of estrogen plus progestin on breast cancer and mammography in healthy postmenopausal women: the Women's Health Initiative Randomized Trial." Jama 289(24): 3243-53.
D. L. Coleman, E.H. Leiter and R.W. Schwizer, Therapeutic effects of dehydroepiandrosterone (DHEA) in diabetic mice, Diabetes 31 (1982), pp. 830-833. Colditz, G. A., K. M. Egn, et al. (1993). "Hormone replacement thrapy and riks of breast cancer: results from epidemiologic studies." Am . J. Obstet. Gynecol . 168: 1473-1480.
Colditz, G. A., S. E. Hankinson, et al. (1995). "The use of estrogens and progestins and the risk of breast cancer in postmenopausal women." N. Engl. J. Med . 332: 1589-1593.
Collaborative Group on Hormonal Factors in Breast Cancer (1997). "Breast cancer and hormone replacement therapy: collaborative reanalysis of data from 51 epidemiological studies of 52,705 women with breast cancer and 108,4H women without breast cancer." Lancet 350(9084): 1047-59.
Corrao, G., A. Zambon, et al. (2008). "Menopause hormone replacement therapy and cancer risk: an Italian record linkage investigation." Ann Oncol 19(1): 150-5.
Coughlin, S. S., A. Giustozzi, et al. (2000). "A meta-analysis of estrogen replacement therapy and risk of epithelial ovarian cancer." J Clin Epidemiol 53(4): 367-75.
Deutsch, S., R. Ossowski, et al. (1981). "Comparison between degree of systemic absorption of vaginally and orally administered estrogens at different dose levels in postmenopausal women." Am J Obstet Gynecol 139(8): 967-8.
Dew, J. E., B. G. Wren, et al. (2003). "A cohort study of topical vaginal estrogen therapy in women previously treated for breast cancer." Climacteric 6(1): 45-52.
P. Diamond, L. Cusan, J.L. Gomez, A. Belanger and F. Labrie, Metabolic effects of 12- month percutaneous DHEA replacement therapy in postmenopausal women, J. Endocrinol. 150 (1996), pp. S43-S50.
Dugal, R., K. Hesla, et al. (2000). "Comparison of usefulness of estradiol vaginal tablets and estriol vagitories for treatment of vaginal atrophy." Acta Obstet Gynecol Scand 79(4): 293-7.
Englund, D. E. and E. D. Johansson (1978). "Plasma levels of oestrone, oestradiol and gonadotrophins in postmenopausal women after oral and vaginal administration of conjugated equine oestrogens (Premarin)." Br T Obstet Gynaecol 85(12): 957-64.
Fallowfield, L., D. Cella, et al. (2004). "Quality of life of postmenopausal women in the Arimidex, Tamoxifen, Alone or in Combination (ATAC) Adjuvant Breast Cancer Trial." J Clin Oncol 22(21): 4261-71.
Feeley, K. M. and M. Wells (2001). "Hormone replacement therapy and the endometrium." J Clin Pathol 54(6): 435-40.
Furuhjelm, M., E. Karlgren, et al. (1980). "Intravaginal administration of conjugated estrogens in pre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Int T Gynaecol Obstet 17(4): 335-9.
Galhardo, C. L., J. M. Soares, Jr., et al. (2006). "Estrogen effects on the vaginal pH, flora and cytology in late postmenopause after a long period without hormone therapy." Clin Exp Obstet Gynecol 33(2): 85-9.
Gambrell, R. D., Jr., F. M. Massey, et al. (1980). "Use of the progestogen challenge test to reduce the risk of endometrial cancer." Obstet Gynecol 55(6): 732-8.
Garg, P. P., K. Kerlikowske, et al. (1998). "Hormone replacement therapy and the risk of epithelial ovarian carcinoma: a meta-analysis." Obstet Gynecol 92(3): 472-9.
Grady, D., T. Gebretsadik, et al. (1995). "Hormone replacement therapy and endometrial cancer risk: a meta-analysis." Obstet Gynecol 85(2): 304-13.
Gupta, P., B. Ozel, et al. (2008). "The effect of transdermal and vaginal estrogen therapy on markers of postmenopausal estrogen status." Menopause 15(1): 94-7.
Holmberg, L. and H. Anderson (2004). "HABITS (hormonal replacement therapy after breast cancer--is it safe?), a randomised comparison: trial stopped." Lancet 363(9407): 453-5.
Holmberg, L., O. E. Iversen, et al. (2008). "Increased risk of recurrence after hormone replacement therapy in breast cancer survivors." J Natl Cancer Inst 100(7): 475-82.
Holmgren, P. A., M. Lindskog, et al. (1989). "Vaginal rings for continuous low-dose release of oestradiol in the treatment of urogenital atrophy." Maturitas 11(1): 55-63.
Hulley, S. B. (2002). "Noncardiovascular disease outcomes during 6.8 years of hormone therapy: Heart and estrogen/ progestin replacement study follow-up (HERS H)." JAMA 288: 58-66.
Jick, S. S., A. M. Walker, et al. (1993). "Estrogens, progesterone, and endometrial cancer." Epidemiology 4(1): 20-4.
CC. Johnston Jr., S.L. Hui, R.M. Witt, R. Appledorn, R.S. Baker and C. Longcope, Early menopausal changes in bone mass and sex steroids, J. Clin . Endocrinol. Metab . 61 (1985), pp. 905-911.
D. W. Hum, A. Belanger, E. Levesque, O. Barbier, M. Beaulieu, C. Albert, M. Vallee, C. Guillemette, A. Tchernof, D. Turgeon and S. Dubois, Characterization of UDP- glucuronosyltransferases active on steroid hormones, J. Steroid Biochem . MoI . Biol . 69 (1999), pp. 413-423.
H. Kawano, H. Yasue, A. Kitagawa, N. Hirai, T. Yoshida, H. Soejima, S. Miyamoto, M. Nakano and H. Ogawa, Dehydroepiandrosterone supplementation improves endothelial function and insulin sensitivity in men, J. CHn . Endocrinol. Metab . 88 (2003), pp. 3190-3195.
Kendall, A., M. Dowsett, et al. (2006). "Caution: Vaginal estradiol appears to be contraindicated in postmenopausal women on adjuvant aromatase inhibitors." Ann Oncol 17(4): 584-7.
Kvorning, J. D. N. and H. K. Jensen (1986). Pharmaceutical development of lose-dose estradiol vagitories. International Workshop, Copenhagen.
Labrie, C, A. Belanger, et al. (1988). "Androgenic activity of dehydroepiandrosterone and androstenedione in the rat ventral prostate." Endocrinology 123: 1412-1417.
Labrie, F. (1991). "Intracrinology." MoI . Cell . Endocrinol. 78: C113-C118.
F. Labrie, Future perspectives of SERMs used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DHEA, Endocr . Relat . Cancer 13 (2006), pp. 335-355.
Labrie, F. (2007). "Drug Insight: breast cancer prevention and tissue-targeted hormone replacement therapy." Nature Clinical Practice , Endocrinology & Metabolism 3(8): 584-593.
F. Labrie, A. Belanger, J. Simard, V. Luu-The and C. Labrie, DHEA and peripheral androgen and estrogen formation: intracrinology, Ann . N. Y. Acad . Sci. 774 (1995), pp.16-28.
Labrie, F., A. Belanger, et al. (2007). "Metabolism of DHEA in postmenopausal women following percutaneous administration." J Steroid Biochem MoI Biol 103(2): 178-88.
Labrie, F., A. Belanger, et al. (2007) "Bioavailability and metabolism of oral and percutaneous dehydroepiandrosterone in postmenopausal women" J Steroid Biochem MoI Biol. Oct;107(l-2):57-69..
Labrie, F., A. Belanger, et al. (2006). "Androgen glucuronides, instead of testosterone, as the new markers of androgenic activity in women." Journal Ster Biochem & MoI Biol 99: 182-188.
Labrie, F., A. Belanger, et al. (2005). "GnRH agonists in the treatment of prostate cancer." Endocrine Reviews 26(3): 361-379.
Labrie, F., A. Belanger, et al. (1997). "Marked decline in serum concentrations of adrenal C19 sex steroid precursors and conjugated androgen metabolites during aging." J Clin Endocrinol Metab 82: 2396-2402.
Labrie, F., A. Belanger, et al. (2007a). "Bioavailability and metabolism of oral and percutaneous dehydroepiandrosterone in postmenopausal women." J Steroid Biochem MoI Biol 107(1-2): 57-69.
F. Labrie, A. Belanger, P. Belanger, R. Berube, C. Martel, L. Cusan, J. Gomez, B. Candas, V. Chaussade, I. Castiel, C. Deloche and J. Leclaire, Metabolism of DHEA in postmenopausal women following percutaneous administration, J. Steroid Biochem . MoL Biol . 103 (2) (2007b), pp. 178-188.
Labrie, F., L. Cusan, et al. (2008). "Effect of Intravaginal DHEA on Serum DHEA and Eleven of its Metabolites in Postmenopausal Women." Journal Ster Biochem & MoI Biol: In press.
Labrie, F., L. Cusan, et al. (2008). "Effect of One-Week Treatment with Vaginal Estrogen Preparations on Serum Estrogen Levels in Postmenopausal Women." Menopause In press.
Labrie, F., L. Cusan, et al. (2008). "Changes in serum DHEA and eleven of its metabolites during 12-month percutaneous administration of DHEA." J Steroid Biochem MoI Biol 110(1-2): 1-9.
Labrie, F., P. Diamond, et al. (1997). "Effect of 12-month dehydroepiandrosterone replacement therapy on bone, vagina, and endometrium in postmenopausal women." J Clin Endocrinol Metab 82(10): 3498-505.
Labrie, F., A. Dupont, et al. (1985). Complete androgen blockade for the treatment of prostate cancer. Important Advances in Oncology. V. T. de Vita, S. Hellman and S. A. Rosenberg. Philadelphia, J.B. Lippincott: 193-217.
F. Labrie, V. Luu-The, S.X. Lin, C. Labrie, T. Simard, R. Breton and A. Belanger, The key role of 17β-HSDs in sex steroid biology, Steroids 62 (1997), pp. 148-158.
Labrie, V. Luu-The, S.-X. Lin, J. Simard, C. Labrie, M. El-Alfy, G. Pelletier and A. Belanger, Intracrinology: role of the family of 17β-hydroxysteroid dehydrogenases in human physiology and disease, J. MoI . Endocrinol. 25 (2000), pp. 1-16. Labrie, F., V. Luu-The, et al. (2005). "Is DHEA a hormone? Starling Review." J Endocrinol 187: 169-196.
Labrie, F., V. Luu-The, et al. (2003). "Endocrine and intracrine sources of androgens in women: inhibition of breast cancer and other roles of androgens and their precursor dehydroepiandrosterone." Endocrine Reviews 24(2): 152-182.
Labrie, F., V. Luu-The, et al. (2006). "Dehydroepiandrosterone (DHEA) is an anabolic steroid like dihydrotestosterone (DHT), the most potent natural androgen, and tetrahydrogestrinone (THG)." J Steroid Biochem MoI Biol 100(1-3): 52-8.
F. Labrie, J. Simard, V. Luu-The, A. Belanger, G. Pelletier, Y. Morel, F. Mebarki, R. Sanchez, F. Durocher, C. Turgeon, Y. Labrie, E. Rheaume, C. Labrie and Y. Lachance, The 3 β-hydroxy steroid dehydrogenase/isomerase gene family: lessons from type II 3β- HSD congenital deficiency. In: V. Hansson, F.O. Levy and K. Tasken, Editors, Signal Transduction in Testicular Cells . Ernst Schering Research Foundation Workshop , vol Suppl . 2, Springer- Verlag, Berlin (1996), pp. 185-218.
Labrie, J. Simard, V. Luu-The, A. Belanger and G. Pelletier, Structure, function and tissue-specific gene expression of 3β-hydroxysteroid dehydrogenase/ 5-ene-4-ene isomerase enzymes in classical and peripheral intracrine steroidogenic tissues, J. Steroid Biochem . MoI . Biol . 43 (1992), pp. 805-826.
F. Labrie, R. Poulin, J. Simard, V. Luu-The, C. Labrie and A. Belanger, Androgens, DHEA and breast cancer. In: T. GeIf and, Editor, Androgens and Reproductive Aging, Taylor and Francis, Oxsfordshire, UK (2006), pp. 113-135.
Labrie, Y. Sugimoto, V. Luu-The, J. Simard, Y. Lachance, D. Bachvarov, G. Leblanc, F. Durocher and N. Paquet, Structure of human type II 5*-reductase, Endocrinology 131 (1992), pp. 1571-1573.
Y. Labrie, F. Durocher, Y. Lachance, C. Turgeon, J. Simard, C. Labrie and F. Labrie, The human type II 17β-hydroxy steroid dehydrogenase gene encodes two alternatively- spliced messenger RNA species, DNA Cell Biol . 14 (1995), pp. 849-861. Lacey, J. V., P. J. Mink, et al. (2002). "Menopausal hormone replacement therapy and risk of ovarian cancer." JAMA 288: 334-341.
Li, L., S. J. Plummer, et al. (2008). "A common 8q24 variant and the risk of colon cancer: a population-based case-control study."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17(2): 339- 42.
C.H. Liu, G.A. Laughlin, U.G. Fischer and S.S. Yen, Marked attenuation of ultradian and circadian rhythms of dehydroepiandrosterone in postmenopausal women: evidence for a reduced 17,20-desmolase enzymatic activity, J. Clin . Endocrinol . Metab . 71 (1990), pp. 900-906.
Long, C. Y., C. M. Liu, et al. (2006). "A randomized comparative study of the effects of oral and topical estrogen therapy on the vaginal vascularization and sexual function in hysterectomized postmenopausal women." Menopause 13(5): 737-43.
V. Luu-The, I. Dufort, N. Paquet, G. Reimnitz and F. Labrie, Structural characterization and expression of the human dehydroepiandrosterone sulfotransferase gene, DNA Cell Biol . 14 (1995), pp. 511-518.
V. Luu-The, Y. Zhang, D. Poirier and F. Labrie, Characteristics of human types 1, 2 and 3 17β-hydroxy steroid dehydrogenase activities: oxidation- reduction and inhibition, J. Steroid Biochem . MoI . Biol . 55 (1995), pp. 581-58
Lyytinen, H., E. Pukkala, et al. (2006). "Breast cancer risk in postmenopausal women using estrogen-only therapy." Obstet Gynecol 108(6): 1354-60.
E.G. MacEwen and I.D. Kurzman, Obesity in the dog: role of the adrenal steroid dehydroepiandrosterone (DHEA), J. Nutr. 121 (1991), pp. S51-S55.
Mandel, F. P., F. L. Geola, et al. (1983). "Biological effects of various doses of vaginally administered conjugated equine estrogens in postmenopausal women." J Clin Endocrinol Metab 57(1): 133-9.
Manonai, J., U. Theppisai, et al. (2001). "The effect of estradiol vaginal tablet and conjugated estrogen cream on urogenital symptoms in postmenopausal women: a comparative study." J Obstet Gynaecol Res 27(5): 255-60.
Martin, P. L., S. S. Yen, et al. (1979). "Systemic absorption and sustained effects of vaginal estrogen creams." Jama 242(24): 2699-700.
Marx, P., G. Schade, et al. (2004). "Low-dose (0.3 mg) synthetic conjugated estrogens A is effective for managing atrophic vaginitis." Maturitas 47(1): 47-54.
Mattson, L. A., G. Culberg, et al. (1989). "Vaginal administration of low dose estradiol- effects on endometrium and vaginal cytology." Maturitas 11: 217-222.
R.B. Mazess, On aging bone loss, Clin. Orthop. 165 (1982), pp. 239-252. Meisels, A. (1967). "The maturation value." Acta Cytol 11: 249.
Mertens, H. ]., M. J. Heineman, et al. (1996). "Androgen receptor content in human endometrium." Eur J Obstet Gynecol Reprod Biol 70(1): 11-3.
Mettler, L. and P. G. Olsen (1991). "Long-term treatment of atrophic vaginitis with low- dose oestradiol vaginal tablets." Maturitas 14(1): 23-31.
C.J. Migeon, A. R. Keller, B. Lawrence and T.H. Shepart IL, Dehydroepiandrosterone and androsterone levels in human plasma. Effect of age and sex: day-to-day and diurnal variations, J. Clin . Endocrinol . Metab . 17 (1957), pp. 1051-1062.
A.J. Morales, JJ. Nolan, J.C. Nelson and S.S. Yen, Effects of replacement dose of dehydroepiandrosterone in men and women of advancing age, J. Clin . Endocrinol . Metab . 78 (1994), pp. 1360-1367.
Morales, L., P. Neven, et al. (2004). "Acute effects of tamoxifen and third-generation aromatase inhibitors on menopausal symptoms of breast cancer patients." Anticancer Drugs 15(8): 753-60.
N.A.M.S. (2007). "Position Statement of the North American Menopause Society." Menopause 14: 357-69.
Nachtigall, L. E. (1995). "Clinical trial of the estradiol vaginal ring in the U.S." Maturitas 22 Suppl: S43-7.
Naessen, T., K. Rodriguez-Macias, et al. (2001). "Serum lipid profile improved by ultra- low doses of 17 beta-estradiol in elderly women." J Clin Endocrinol Metab 86(6): 2757- 62.
Nelson, H. D., K. K. Vesco, et al. (2006). "Nonhormonal therapies for menopausal hot flashe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ama 295(17): 2057-71.
J.E. Nestler, CO. Barlascini, J.N. Clore and W.G. Blackard, Dehydroepiandrosterone reduces serum low density lipoprotein levels and body fat but does not alter insulin sensitivity in normal men, J. Clin . Endocrinol. Metab . 66 (1988), pp. 57-61. Nilsson, K. and G. Heimer (1992). "Low-dose oestradiol in the treatment of urogenital oestrogen deficiency? a pharmacokinetic and pharmacodynamic study." Maturitas 15(2): 121-7.
Notelovitz, M., S. Funk, et al. (2002). "Estradiol absorption from vaginal tablets in postmenopausal women." Obstet Gynecol 99(4): 556-62.
Orentreich, N., J. L. Brind, et al. (1984). "Age changes and sex differences in serum dehydroepiandrosterone sulfate concentrations throughout adulthood." T. Clin. Endocrinol . Metab . 59: 551-555.
Pandit, L. and J. G. Ouslander (1997). "Postmenopausal vaginal atrophy and atrophic vaginitis." Am J Med Sci 314(4): 228-31.
Persson, L, H. O. Adami, et al. (1989). "Risk of endometrial cancer after treatment with oestrogens alone or in conjunction with progestogens: results of a prospective study." Bmj 298(6667): 147-51.
Ponzone, R., N. Biglia, et al. (2005). "Vaginal oestrogen therapy after breast cancer: is it safe?" Eur T Cancer 41(17): 2673-81.
Rigg, L. A., H. Hermann, et al. (1978). "Absorption of estrogens from vaginal creams." N Engl J Med 298(4): 195-7.
B.L. Riggs, H.W. Wahner, W.L. Dunn, R.B. Mazess, K.P. Offord and LJ. Melton, Differential changes in bone mineral density of the appendicular and axial skeleton with aging: relationship to spinal osteoporosis, J. Clin , Invest. 67 (1981), pp. 328-335.
Riman, T., P. W. Dickman, et al. (2002). "Hormone replacement therapy and the risk of invasive epithelial ovarian cacner in Swedish women." J Natl Cancer Inst 94: 497-504.
Rinaldi, S., H. Dechaud, et al. (2001). "Reliability and validity of commercially available, direct radioimmunoassays for measurement of blood androgens and estrogens in postmenopausal women."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10(7): 757-65.
Rioux, J. E., C. Devlin, et al. (2000). "17beta-estradiol vaginal tablet versus conjugated equine estrogen vaginal cream to relieve menopausal atrophic vaginitis." Menopause 7(3): 156-61.
Rodriguez, C, A. V. Patel, et al. (2002). "Estrogen replacement therapy and ovarian cancer mortality in a large prospective study of US women." JAMA 285: 1460-1465.
Rosenberg, L. U., C. Magnusson, et al. (2006). "Menopausal hormone therapy and other breast cancer risk factors in relation to the risk of different histological subtypes of breast cancer: a case-control study." Breast Cancer Res 8(1): RIl.
Rossouw, J. E., G. L. Anderson, et al. (2002). "Risks and benefits of estrogen plus progestin in healthy postmenopausal women: principal results From the Women's Health Initia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88(3): 321-33.
Salminen, H. S., M. E. Saaf, et al. (2007). "The effect of transvaginal estradiol on bone in aged women: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Maturitas 57(4): 370-81.
Schiff, L, D. Tulchinsky, et al. (1977). "Vaginal absorption of estrone and 17beta- estradiol." Fertil Steril 28(10): 1063-6.
Schmidt, G., S. B. Andersson, et al. (1994). "Release of 17-beta-oestradiol from a vaginal ring in postmenopausal women: pharmacokinetic evaluation." Gynecol Obstet Invest 38(4): 253-60.
E.D. Schriock, CK. Buffington, G.D. Hubert, B.R. Kurtz, A.E. Kitabchi, J.E. Buster and J. R. Givens, Divergent correlations of circulating dehydroepiandrosterone sulfate and testosterone with insulin levels and insulin receptor binding, J. CHn . Endocrinol . Metab . 66 (1988), pp. 1329-1331.
Sillero-Arenas, M., M. Delgado-Rodriguez, et al. (1992). "Menopausal hormone replacement therapy and breast cancer: a meta-analysis." Obstet . Gynecol. 79: 286-294.
Simon, J. A., K. Z. Reape, et al. (2007). "Randomized, multicenter,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synthetic conjugated estrogens B for the treatment of vulvovaginal atrophy in healty postmenopausal women." Fertil Steril In press.
E.R. Simpson, Role of aromatase in sex steroid action, J. MoI . Endocrinol. 25 (2000), pp.149-156.
Simunic, V., I. Banovic, et al. (2003). "Local estrogen treatment in patients with urogenital symptoms." Int J Gynaecol Obstet 82(2): 187-97.
Smith, D. C, R. Prentice, et al. (1975). "Association of exogenous estrogen and endometrial carcinoma." N. Engl . J. Med . 293: 1164-1167.
Smith, P., G. Heimer, et al. (1993). "Oestradiol-releasing vaginal ring for treatment of postmenopausal urogenital atrophy." Maturitas 16(2): 145-54.
Sourla, A., M. Flamand, et al. (1998). "Effect of dehydroepiandrosterone on vaginal and uterine histomorphology in the rat." J. Steroid Biochem . MoI . Biol. 66(3): 137-149.
Steinberg, K. K., S. B. Thacker, et al. (1991). "A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estrogen replacement therapy on the risk of breast cancer." JAMA 265: 1985-1990.
K.K. Steinberg, L.W. Freni-Titulaer, E.G. DePuey, D.T. Miller, D.S. Sgoutas, C.H. Coralli, D. L. Phillips, T.N. Rogers and R.V. Clark, Sex steroids and bone density in premenopausal and perimenopausal women, J. Clin . Endocrinol. Metab. 69 (1989), pp.533-539.
Suckling, J., A. Lethaby, et al. (2006). "Local oestrogen for vaginal atrophy in postmenopausal women." Cochrane Database System Rev 18(4): CD001500.
Swanson, M. Lorentzon, L. Vandenput, D. Mellstrδm, F. Labrie, A. Rane, J. Jakobsson, C. Ohlsson, UGT2B7 H268Y polymorphism is associated with serum sex sterυid levels and cortical bone size in young adult men, JCEM (2007), in press.
Tchernof, J.P. Despres, A. Belanger, A. Dupont, D. Prud'homme, S. Moorjani, PJ. Lupien and F. Labrie, Reduced testosterone and adrenal C19 steroid levels in obese men, Metabolism 44 (1995), pp. 513-519.
Turgeon, J.S. Carrier, E. Levesque, D.W. Hum and A. Belanger, Relative enzymatic activity, protein stability, and tissue distribution of human steroid-metabolizing UGT2B subfamily members, Endocrinology 142 (2001), pp. 778-787.
Utian, W. H., D. Shoupe, et al. (2001). "Relief of vasomotor symptoms and vaginal atrophy with lower doses of conjugated equine estrogens and medroxyprogesterone acetate." Fertil Steril 75(6): 1065-79.
Vermeulen and L. Verdonck, Radioimmunoassays of 17β-hydroxy-5*-androstan-3-one, 4-androstene-3,17-dione, dehydroepiandrosterone, 17β-hydroxyprogesterone and progesterone and its application to human male plasma, J. Steroid Biochem . 7 (1976), pp.1-10.
D.T. Villareal and J.O. Holloszy, Effect of DHEA on abdominal fat and insulin action in elderly women and me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92 (2004), pp. 2243-2248.
Voigt, L. F., N. S. Weiss, et al. (1991). "Progestagen supplementation of exogenous oestrogens and risk of endometrial cancer." Lancet 338(8762): 274-7.
Weisberg, E., R. Ayton, et al. (2005). "Endometrial and vaginal effects of low-dose estradiol delivered by vaginal ring or vaginal tablet." Climacteric 8(1): 83-92.
Wied, G. L. (1993). "Industrial developments in automated cytology as submitted by their developers." Anal Quant Cytol Histol 15(5): 358-70.
Wines, N. and E. Willsteed (2001). "Menopause and the skin." Australas T Dermatol 42(3): 149-8; quiz 159.
Zang, H., L. Sahlin, et al. (2007). "Effects of testosterone treatment on endometrial proliferation in postmenopausal women." J Clin Endocrinol Metab 92(6): 2169-75. B. Zumoff, G.W. Strain, L.K. Miller and W. Rosner, Twenty-four-hour mean plasma testosterone concentration declines with age in normal premenopausal women, J. Clin . Endocrinol . Metab . 80 (1995), pp. 1429-1430.
질 건조증은 폐경기 후 여성의 75%에서 발견된다 (Wines and Willsteed 2001; N.A.M.S. 2007). 여러 가지 이유로, 특히 에스트로겐에 의한 합병증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질 위축 증상을 보이는 여성 중 오직 20 내지 25%만이 의학적 치료를 받는다 (Pandit and Ouslander 1997; N.A.M.S. 2007). 따라서, 일생 중 많은 시간을 질 위축증으로 고통받는 나머지 여성들 대부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분명한 의학적 필요와 주요한 요구가 있다. 안면 홍조는 경시적으로 자연스럽게 약화되는 반면, 질 위축증 증상, 즉 질 건조증, 음문 염증/가려움증 및 성 교통은 일반적으로 치료하지 않으면 경시적으로 증상이 심해지는 것을 언급할 수 있다.
폐경기에는 난소에 의한 에스트로겐 분비가 중단된다는 잘 알려진 사실에 기반하여, 전신적 그리고 국부적 에스트로겐은 지금까지 질 위축증 치료에 있어서 독점적인 접근법이었다. 그러나, 전신적 에스트로겐 + 프로게스틴 (HRT)과 에스트로겐 단독 (ERT) 처리는 자궁내막암 (에스트로겐 단독 처리) (Gambrell, Massey et al.1980; Persson, Adami et al.1989; Voigt, Weiss et al.1991; Jick, Walker et al.1993; Grady, Gebretsadik et al.1995; Beral, Bull et al.2005) 뿐만 아니라 유방암 (Steinberg, Thacker et al. 1991; Sillero-Arenas, Delgado-Rodriguez et al. 1992; Colditz, Egn et al. 1993; Colditz, Hankinson et al. 1995; Collaborative Group on Hormonal Factors in Breast Cancer 1997; Hulley 2002; Beral 2003; Chlebowski, Hendrix et al. 2003; Holmberg and Anderson 2004; Lyytinen, Pukkala et al. 2006; Corrao, Zambon et al. 2008; Holmberg, Iversen et al. 2008; Li, Plummer et al. 2008)과 난소암 (Garg, Kerlikowske et al. 1998; Coughlin, Giustozzi et al. 2000; Lacey, Mink et al. 2002; Riman, Dickman et al. 2002; Rodriguez, Patel et al. 2002; Rossouw, Anderson et al. 2002; Lyytinen, Pukkala et al. 2006)의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것이 밝혀졌다. 여성 건강 기구 연구 (Rossouw, Anderson et al.2002)의 언론 홍보는 엄청난 충격이었기에, 폐경기 증상에 가능한 치료의 안전성에 의심을 갖게 하였다(Archer 2007).
비록, 질 내 제형은 전신적인 에스트로겐 노출을 피하도록 개발되었지만, 오랜 연속적인 연구는 모든 질 내 에스트로겐 제형이, 직접적으로 또는 그들의 전신적 효과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혈청 에스트로겐 농도를 초래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Englund and Johansson 1978; Rigg/ Hermann et al. 1978; Martin, Yen et al. 1979; Furuhjelm, Karlgren et al. 1980; Deutsch, Ossowski et al. 1981; Mandel, Geola et al. 1983; Nilsson and Heimer 1992; Nachtigall 1995; Ayton, Darling et al. 1996; Dugal, Hesla et al. 2000; Rioux, Devlin et al. 2000; Manonai, Theppisai et al. 2001; Notelovitz, Funk et al. 2002; Ponzone, Biglia et al. 2005; Weisberg, Ayton et al. 2005; Galhardo, Soares et al. 2006; Kendall, Dowsett et al. 2006; Long, Liu et al. 2006; Bachmann, Lobo et al. 2008). 혈청 에스트로겐 농도의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는 이러한 데이터는 질 내 에스트로겐 제형의 사용이 유방암과 자궁암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과도 잠재적으로 관련된다는 것을 명백하게 나타낸다 (Kvorning and Jensen 1986; Mattson, Culberg et al. 1989; Rosenberg, Magnusson et al.2006; N.A.M.S.2007). 사실상 자궁 내막에서의 질 내 에스트로겐 제형의 자극적인 효과에 대한 우려가 공식적으로 제기되었다 (N.A.M.S.2007).
에스트로겐의 질 내 투여 후의 혈청 에스트라디올 (E2) 농도에 대한 대부분의 종전 측정은 방사 면역 측정법, 특이도, 정확도, 확실성 및 감수성이 부족한 기술을 사용하였다 (Rinaldi, Dechaud et al. 2001). 우리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2개의 에스트로겐 제형(Labrie, Cusan et al. 2008)을 질 내 투여한 다음, GLP (Good Laboratory Practice)-승인된 질량 분광법 분석을 사용하여 혈청 에스트로겐을 측정하였다. 이 연구는, E2 알약 (25 ㎍ E2/일)과 복합 에스트로겐 크림 (복합 에스트로겐이 0.625 mg 인 1g/일) 둘 다를, 매일 1주간 치료한 후, 폐경기 후 여성에게서 혈청 E2의 대략 5배 증가를 야기한다는 것을 최종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그러한 데이터는 질 내에 국부적으로 적용된 에스트로겐의 효과가 질에만 한정적이지 않다는 것과 앞서 제시한 바와 같이 전신적 활성이 예상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Englund and Johansson 1978; Rigg, Hermann et al. 1978; Martin, Yen et al. 1979; Furuhjelm, Karlgren et al. 1980; Deutsch, Ossowski et al. 1981; Mandel, Geola et al. 1983; Nilsson and Heimer 1992; Nachtigall 1995; Ayton, Darling et al. 1996; Dugal, Hesla et al. 2000; Rioux, Devlin et al. 2000; Manonai, Theppisai et al. 2001; Notelovitz, Funk et al. 2002; Ponzone, Biglia et al. 2005; Weisberg, Ayton et al. 2005; Galhardo, Soares et al. 2006; Kendall, Dowsett et al. 2006; Long, Liu et al. 2006; Bachmann, Lobo et al. 2008).
전술한 전신 투여와 국부 투여된 에스트로겐의 안전성 문제점 외에, 최근의 데이터에 의하면 여성들도 폐경기시에 에스트로겐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여성들은 30세부터 디히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DHEA)이 안드로겐 및/또는 에스트로겐으로 인트라크라인 변형에 의하여 특정의 말초 표적 조직 내에서 만들어지는 안드로겐이 점차로 감소된다는 것이 명백하게 증명되어 있다 (Labrie, Belanger et al. 1998; Labrie 1999; Labrie, Luu-The et al. 2003; Labrie, Luu-The et al. 2005). 사실상, 혈청 DHEA와 DHEA-설페이트는 30세에 나타나는 정점으로부터 점차 감소하여 (Orentreich, Brind et al.1984; Labrie, Belanger et al. 1997; Labrie, Luu-The et al. 2003) 폐경기시에는 60% 값으로 저하된다 (Labrie, Belanger et al. 2006).
여성에게 있어서의 안드로겐의 역할을 고려시, 여성이 남성에게서 발견되는 안드로겐의 50% 만큼의 안드로겐을 분비한다는 것을 언급하는 것이 중요하다 (Labrie, Belanger et al.1997; Labrie, Luu-The et al. 2005). 혈청 DHEA는 여성에서 생리적으로 연속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안드로겐의 우세한 공급원이기 때문에(Labrie, Luu-The et al.2003: Labrie 2007), 폐경기시에 발견되는 순환 DHEA의 60%로의 감소는 글루코오스, 인슐린 및 지질 대사 산물뿐만 아니라 (Labrie, Luu-The et al.2003; Labrie 2007) 뼈, 근육, 피부, 유선, 질, 뇌 내의 저남성화 효과(hypoandrogenicity)의 가능성 있는 징후와 증상을 갖는 총 안드로겐 풀(pool) 내에도 60%와 유사한 감소를 초래한다 (Labrie, Belanger et al. 2006). 최근 데이터는 안드로겐 표적 조직 중에서 질은 안드로겐에 민감하여, 쥐 내의 DHEA의 투여는 질 상피층 뿐만 아니라 고유판층과 근육층에서의 콜라겐 섬유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초래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Berger, El-Alfy et al. 2005).
경피 또는 국부적으로 질 내 투여된 DHEA의 이로운 효과를 나타내는 우리의 임상 전 데이터 (Sourla, Flamand et al.1998; Berger, El-Alfy et al. 2005)와 임상 연구 (Labrie, Diamond et al.1997; Labrie, Cusan et al. 2008)에 기반하여, 본 임상 실험은 12주간 매일, 3가지 투여량의 질 내 DHEA의 투여에 의한 효과를 최초 대상자의 상피 세포와 기저 세포, 질 내 pH, 그리고 질 위축증의 가장 성가신 증상에 대한 변화에 대한 전향적 시험, 무작위 추출 시험, 위약 효과 통제 시험이다. 상기 데이터는 국부적으로 투여된 DHEA는 매우 효과적이고 신속하게 질 위축증의 모든 징후와 증상을 교정하고, 혈청 에스트로겐 또는 안드로겐의 유의한 변화를 야기하는 일이 없이, 다른 스테로이드도 정상적인 폐경기 후 여성에게서 발견할 수 있는 범위 이내이거나 변화없이 유지되면서, 거의 최대 효과가 DHEA의 2주 투약 시점에서 달성될 수 있음을 명백히 나타낸다.
질 내에 DHEA를 국부적으로 투여시, 질 내에서 국부적으로 제조되는 에스트로겐과 안드로겐의 긍정적인 효과는 혈액 내로 에스트라디올 또는 테스토스테론의 상당한 방출 없이도 수행될 수 있다(Labrie, Cusan et al. J.Ster. Biochem. Mol.Biol. In press). 내분비학의 공정에 의한 DHEA로부터의 안드로겐 및/또는 에스트로겐의 형성은, 어떠한 조직인지 예측이 불가한데 이는 반응이 각 조직의 각 세포에 존재하는 효소의 조직적이고 특이적인 활성에 따라 좌우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 조직 내의 DHEA로부터 생성되는 안드로겐과 에스트로겐이 다른 조직 내에서 생성될 수 있는 안드로겐과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정도인지는 예측할 수 없다.
임상 실험 ERC-210 (실시예 3)의 결과는 호르몬 전구체 대체 치료 (HPRT)로서 최초 DHEA의 국부 투여는 폐경기 후 여성의 질 위축증의 모든 증상과 징후를 고도로 효과적이고 신속하게 교정한다는 것을 증명한다. 가장 중요하게도, DHEA의 투여 (0.5%)는 활성 에스트로겐 또는 안드로겐의 혈청 농도를 증가시키지 않고, 혈청 DHEA 내의 변화가 전혀 없거나 최소한이며, 그것의 대사 산물 모두가 정상적인 폐경기 후 여성에게서 발견될 수 있는 데이터 범위 내로 잘 유지되도록 수행되었다 (Labrie, Cusan et al.2008).
질 위축증으로 고통받고 따라서 그들의 일생의 대부분 동안 삶의 질에 영향을 받는 폐경기 후 여성이 75%이지만 (Wines and Willsteed 2001; N.A.M.S.2007), 단지 20%만 치료를 받는다 (Pandit and Ouslander 1997). 에스트로겐의 증가된 혈중 농도와 관련된 유방암에 대한 두려움이 주요한 원인이다. 따라서, 전신적 순환으로의 에스트로겐 분비는 폐경기에 난소 기원과 중단에 배타적이고, 폐경기 후 여성에 대한 에스트로겐의 투여는 생리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WHI의 여파로, 과학적 과제는 여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위험을 최소화하고, 장점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폐경기의 에스트로겐의 장점은 제공할 수 있는 대체 호르몬 치료 종류와 제형을 탐구하는 것이다 (Archer 2007). 비에스트로겐에 기반한 치료는 확실한 효능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Nelson, Vesco et al.2006; Suckling, Lethaby et a.2006), 여성들과 그들의 의사는 질 위축증에 대한 어떠한 안전한 치료도 갖지 못하고 있다.
에스트로겐의 다양한 형태는 음문 위축증에 대한 치료에 효과적이다 (Pandit and Ouslander 1997; Utian, Shoupe et al.2001). 사실상, 질 E2 정제는 복합 에스트로겐 크림 (Rioux, Devlin et al.2000; Manonai, Theppisai et al.2001) 뿐만 아니라 E2 환에도 유사한 효능을 나타낸다 (Weisberg, Ayton et al.2005).
이 신규한 HPRT는 질 내 E2 또는 복합 에스트로겐으로 치료한 후, 질량 분석으로 측정한 혈청 E2가 5배 증가하여 확연히 달라졌음을 나타냈다 (Labrie, Cusan et al.2008). 이러한 혈청 에스트로겐 내의 변화에 대한 최근 데이터는 모든 질 내 에스트로겐 제형은 방사선 면역 분석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측정되거나 전신적 효과를 통하여 측정된 혈청 에스트로겐 농도의 증가를 초래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여러 연구를 확증한다 (Englund and Johansson 1978; Rigg, Hermann et al. 1978; Martin, Yen et al. 1979; Furuhjelm, Karlgren et al. 1980; Deutsch, Ossowski et al. 1981; Mandel, Geola et al. 1983; Nilsson and Heimer 1992; Nachtigall 1995; Ayton, Darling et al. 1996; Dugal, Hesla et al. 2000; Rioux, Devlin et al. 2000; Manonai, Theppisai et al. 2001; Notelovitz, Funk et al. 2002; Ponzone, Biglia et al. 2005; Weisberg, Ayton et al. 2005; Galhardo, Soares et al. 2006; Kendall, Dowsett et al. 2006; Long, Liu et al. 2006; Bachmann, Lobo et al. 2008).
질 내 에스트로겐에 대하여 보고되고 있는 대부분의 불리한 사건들은 질 내 출혈과 유방 통증, 부차적으로 증가된 혈청 에스트로겐 (Suckling, Lethaby et al.2006)이다. 이러한 부작용은 E2 정제뿐 아니라, E2 환, 복합 에스트로겐 크림에 대해서도 보고되어 왔다 (Ayton, Darling et al.1996; Weisberg, Ayton et al. 2005). 전술한 바와 같이, 자궁 내막에서의 질 내 에스트로겐의 즉각적인 영향에 대한 우려도 존재한다 (N.A.M.S. 2007). 24주 동안 질 내 정제를 투여받은 여성의 경우, 9%가 자궁 출혈, 유방 통증과 회음부 통증이 보고되고, 질 내 복합 에스트로겐 크림을 적용한 군 내에서는 34%가 동일한 증상을 호소하여 (Rioux. Devlin et al. 2000), 서로 다른 질 내 에스트로겐 제제 사이에 전혀 차이가 없다고 보고되었다 (Suckling, Lethaby et al. 2006).
폐경기 후 여성의 위축성 질염은, 유방암의 치료에 사용되는 아로마타제 억제제를 사용하여 악화 또는 유도될 수 있음은 잘 알려져 있다. 사실상, 이러한 약제는 모든 조직 내의 E2 생합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유방암에 대하여 약제의 이로움이 가해지고, 따라서 폐경기 증상의 빈도와 심각성을 증가시킨다(Fallowfield, Cella et al.2004; Morales, Neven et al.2004). 최근 연구에서, 2주 동안 매일, 그리고 이어서 주 2회 동안 25 ㎍의 투약량으로 배지펨 (Vagifem)이 포함된 아로마타제 억제제로 치료받은 7명의 유방암 환자의 혈청 E2가, 2주 시점에서는 3 pmol/l에서 72 pmol/l의 중간값으로 증가(3 내지 232 범위)하였다 (Kendall, Dowsett et al.2006). 그 후, 혈청 E2 농도는 일반적으로 40 pmol/l 이하 값으로 감소되고, 7주 내지 10주 시점에서는 137와 219 pmol/l 였다. 프레마린 (Premarin) 크림을 처치한 환자는 2주 시점에서는 혈청 E2 농도가 83 pmol/l이었다. E2 측정을 위한 혈청 샘플 추출은 환자의 방문시 수행하였고, 시기 선택은 배지펨 (Vagifem) 투여 후의 가장 높은 혈청 E2 농도와 일치할 것 같지는 않음을 언급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보고된 데이터가 알려지지 않은 규모까지 더 과소평가된 것 같고 (Kendall, Dowsett et al.2006), 사실은 질 내 배지펨 (Vagifem) 알약 또는 프레마린 (Premarin) 크림 투여 후의 혈청 E2가 증가한다. 저자들은 아로마타제 억제제와 배지펨을 함께 사용하는 것은 금기라고 결론 내렸다. 아로마타제 억제제로 치료된 유방암 여성에서 얻은 이러한 결과는 폐경기 후 여성에 있어서의 임의의 경구 또는 경피 에스트로겐 조제뿐만 아니라 임의의 질 내 사용에 대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유방암 위험의 증가를 초래하는 다양한 질 내 에스트로겐 제형으로의 치료에 따른 혈청 E2의 상대적으로 높은 상승은 잘 알려진 사안이다 (Rosenberg, Magnusson et al.2006). 비록 적은 수의 사건과 짧은 후속 조치 (1472 여성 중 4.7% 하위 그룹) 연구는 질 내 에스트로겐을 사용한 여성의 하위 그룹에서 질병 없이 생존한 이들과의 명확한 차이를 통계적으로 발견하지는 못하였는데 (Dew, Wren et al.2003), 이는 아로마타제 억제제의 치료 목적이 정확하게 E2 생합성의 최대한의 억제를 수행하는 것일 때, 유방암 치료 동안에 혈청 E2 농도를 증가시키기에 타당하거나 수용가능한 것임을 나타내는 것 같지는 않다.
배지펨 (Vagifem), E2 정제에 대한 초기 연구에서는, 25 ㎍ 투약량으로 투여될 때, 80 pmol/l의 혈청 E2 농도가 14시 이후의 시점에서는 50 pmol/l 미만의 값을 초래하였다 (Kvorning and Jensen 1986). 배지펨 (Vagifem)에 대한 더욱 최근의 연구에서는, 최대 그리고 평균 24시 혈청 E2 농도는 10 ㎍ 투약량의 경우에는 각각 81 ± 62 pmol/l와 40 pmol/l인 반면, 25 ㎍ 투약량의 경우에는 각각 180 ± 99 pmol/l와 84 pmol/l으로 측정되었다 (Notelovitz, Funk et al.2002). 다른 질 내 에스트로겐 정제와 크림은 더 높은 혈청 에스트로겐 농도를 초래한다 (Schiff, Tulchinsky et al.1997; Rioux Devlin et al.2000)
10 ㎍과 25 ㎍의 E2 질 내 정제로, 혈청 E2는 대략 35 pmol/l의 기준값으로부터 최대값이 대략 90, 그리고 160 pmol/l으로 각각 증가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Nilsson and Heimer 1992). 배지펨 (Vagifem)으로 혈청 E2는 1일째에는 51±34 pg/㎖의 Cmax 값이 보고되었는데, 상기 값은 14일째 (47±21 pg/㎖)와 84일째 (49±27 pg/㎖)에서도 사실상 변화하지 않은 것이다 (Vagifem, Physician Package Insert 1999).
다른 연구에서, 25 ㎍의 배지펨으로 52주간 치료한 후, E2의 혈청 농도는 10.3±21.5 pg/㎖에서 9.9 pg/㎖으로 거의 변화하지 않고 유지되었음이 보고되었다 (Bachmann, Lobo et al.2008). 그러한 데이터는 혈청 샘플 시료가 배지펨 적용 후 3일 또는 4일에 가장 수행되었을 것 같은 사실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이는 본 연구에서 증가된 처리 전 혈청 E2 농도는 사용된 면역 기반 분석의 정확성 결손과 가장 관련이 있을 것으로 언급함에 있어서 중요한데, 왜냐하면 질량 분광계로 측정된 폐경기 후 여성의 정상 E2 혈청 농도는 2배 내지 3배 낮기 때문이다 (Labrie, Belanger et al.2006).
초기의 연구에서, 1.25 mg의 프레마린 (Premarin)의 경구와 질 내 투여는, E2와 에스트론의 혈청 농도를 각각 최소 100 pg/㎖와 1000 pg/㎖로 증가시키고, 질 내 투여 후 24시간 동안, 상기 농도는 다소 높아진다. 혈청 성선자극 호르몬 농도는 대부분의 대상에서 감소되었다 (Englund and Johansson 1978). 유사한 데이터가 보고되었다 (Rigg, Hermann et al.1978). 최근 연구에서, 매일 3달 동안 경구 또는 질 내 0.625 mg의 프레마린 투여 후, 혈청 E2 농도는 83.1 pg/㎖와 58.6 pg/㎖로 각각 증가하였고 (Long, Liu et al.2006), 따라서 질 내 및 경구 에스트로겐 투여 모두는 전신적 노출에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설명하는데, 이는 혈청 E2가 복합 에스트로겐의 경구 투여에 비하여 질 내 투여 후 단지 36% 낮아졌기 때문이다. 2 g의 1일 투약량으로 프레마린 (Premarin) 질 내 크림으로 주 3회, 12주 동안 처치한 연구에서, 프로게스토겐 시험 후 21%의 여성이 출혈을 경험하였다 (Nachtigall 1995). 더욱이, 이러한 여성들의 12%가 초음파 검사(echography)에서 자궁 내막 두께의 증가를 나타냈다.
질 환의 사용으로 인한 혈청 E1, E2 또는 E1S 농도의 어떠한 증가도 없었던 것으로 보고되었다 (Nachtigall 1995; Gupta, Ozel et al.2008). 다만, 60세 이상 여성의 경우에는 E1S와 E2에서의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Naessen, Rodriguez-Macias et al.2001). 최근 연구의 EST환에 있어서, 24주 시점에서 16±22 pmol/l에서 49±64 pmol/l으로 혈청 E2가 증가하였다 (Weisberg, Ayton et al.2005). 반면, 배지펨 (Vagiferm) 군에서는 혈청 E2가 15±33 pmol/l에서 36±51 pmol/l으로 증가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자들은 정상적인 폐경기 후 여성에서 발견되는 값 이내 또는 유사한 혈청 E2가 존재한다고 보고하였다. EST환 또는 배지펨 (Vagifem)으로 치료한 48주 시점에서는, 30% 내지 32%의 여성이 잦은 소변으로, 36% 내지 39%의 여성이 요 절박, 그리고 18% 내지 33%가 성교통으로 인한 불편을 호소하였다 (Weisberg, Ayton et al. 2005).
3 가지 연구는 E2 질 내 환이 90일 기간 동안, 정상적인 순환 여성에서 발견되는 낮은 지역에 도달하는 혈청 에스트로겐이 급증된 경우, 또는 환의 주입 후 최초 0.5 내지 8 시간 동안 100 내지 200 pmoles/L인 것을 제외하고는, 낮은 혈청 E2를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Holmgren, Lindskog et al.1989; Schmidt, Andersson et al.1994) (Baker and Jaffe 1996). 질 내 경로를 통하여 7.5 ㎍의 E2를 매일 전달하면 전신적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은, 그러한 E2의 질 내 투약으로 2년간 치료한 후의 둔부와 요추의 총 골밀도의 유의한 증가의 관찰로 나타났다 (Salminen, Saaf et al.2007).
전술한 바와 같이, 자궁 내막으로의 질 내 에스트로겐의 자극적 효과에 대한 염려가 존재한다 (N.A.M.S. 2007). 25 ㎍의 질 내 E2 (Vagifem)으로 12주 동안 32명의 여성을 치료한 후, 한 명의 환자가 비정형 (atypia)이 없는 간단한 증식증을 나타냈다 (Bachmann, Lobo et al.2008). 80명의 여성이 참여한 24주의 연구에서, 1명에게서 자궁내막 증식이 발견되었고 (Rioux, Devlin et al.2000), 31명의 여성에 대한 52주 간의 다른 연구에서는 2명에게서 자궁내막 증식이 발견되었다 (Mettler and Olsen 1991).
주 3회, 2 g의 프레마린 (Premarin) 질 내 크림을 12주 바른 경우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21%의 여성이 프로게스토겐 시험 후 출혈을 경험하였다 (Nachtigall 1995). 이 중에서, 12%는 초음파 검사에서 자궁 내막 두께의 증가를 보였다. 복합 에스트로겐을 0.3 mg의 투약량으로 주 3회, 질 내 투여한 경우, 20 케이스 중 단 하나의 경우에서 자궁내막 증식이 발견되므로, 비록 드물지만 자궁내막 증식이 유도될 수 있다 (Nachtigall 1995).
서방형 에스트라디올 환 (EST환)은, 1.25 mg의 프레마린 크림에 비하여는 적지만 (Nachtigall 1995), 0.625 mg의 프레마린 크림과 유사한 정도로 자궁내막 증식을 유도하였다 (Ayton, Darling et al. 1996). 사실상, 질 내 환 (EST환)과 복합 에스트로겐 크림 (프로메린 크림) 모두는 자궁내막 증식을 유도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Nachtigall 1995; Ayton, Darling et al. 1996). E2 정제에 대한 복합 에스트로겐 크림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적당한 자궁내막 증식 또는 자궁내막 폴립 내의 증식, 2가지 케이스가 E2환 치료에서 발견된 반면에 (Nachtigall 1995), 증식의 2 케이스 (하나는 간단하고 하나는 복잡한 것으로 비정형은 없음)는 복합 에스트로겐 크림 치료에서 발견되었다 (Rioux, Devlin et al.2000). E2 질 내 정제는 복합 에스트로겐 크림 보다는 적지만 (Manonai, Theppisai et al.2001), 에스트리올 질 내 정제와는 유사한 자궁내막 증식과 관련되었다 (Dugal, Hesla et al.2000; Manonai, Theppisai et al. 2001).
비록, 경구 또는 경피 HRT 또는 ERT에 대한 국부 질 내 투여에 따른 낮은 정도의 혈청 에스트로겐 농도가 증가되었지만, 유방암의 위험 쟁점은 여전하고, 질 내 에스트로겐의 안전성은 의심의 여지가 있다 (Suckling, Lethaby et al. 2006; N.A.M.S. 2007). 사실상, 비록 혈청 에스트로겐 내의 증가는 경구 또는 경피 투여 경로에 비하여 질 내 투여 후 더 낮지만, 모든 질 내 에스트로겐 제형에 대한 정상적인 폐경기 후 농도보다는 확연히 높다 (Ponzone, Biglia et al. 2005).
에스트로겐의 투여와 관련하여 증가되는 유방암의 위험 외에, 질 위축증으로 고통받지 않는 폐경기 후의 여성 (폐경기 후 집단의 25%로 추정됨)과 질 위축증으로 고통받는 폐경기 후 여성의 나머지 75% (Wines and Willsteed 2001; N.A.M.S. 2007) 사이의 정확한 호르몬 차이는 전신적 순환 내의 에스트로겐의 분비와 관련되지 않는데, 난소 에스트로겐 분비는 폐경 시에 모든 여성에게서 중단되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에스트로겐 분비의 부족은 대다수의 폐경기 후 여성의 질 위축증의 증상이 발생하는 것에 대한 타당한 이유가 되지 못한다.
그러나 성스테로이드 형성은 폐경 시의 난소 기능의 중단과 함께 중단되지 않는다. 여성의 내분비 생리학에 대한 우리의 해석에서 최근 진행은, 폐경기 후 부신에서 분비되는 DHEA가 표적 조직 내에서 독점적으로 만들어지는 성스테로이드의 유일한 재료이다 (Labrie 1991). 측정될 수 있는 곳이면 전반적인 순환 내에서 분비되는 난소 기원의 에스트로겐과는 다르게, DHEA는 각 조직 내의 스테로이드 생성 효소의 발현 농도에 따른 다양한 비율로 말초 조직 내에서 전환되는 불활성 전구체이다. 내분비학의 과정은 활성 성스테로이드의 국부적인 조직 내의 형성을, 순환 내의 활성 스테로이드의 상당한 방출 없이도 가능하게 한다 (Labrie, Dupont et al. 1985; Labrie, Belanger et al.1998; Labrei 1991; Labrie, Luu-The et al. 2005).
그러나, DHEA의 분비는 나이에 따라 감소되고, 폐경 시점에는 벌써 60%가 감소된다 (Labrie, Luu-The et al. 2003; Labrie, Belanger et al. 2005; Labrie, Luu-The et al. 2005; Labrie, Belanger et al. 2006; Labrie, Luu-The et al. 2006; Labrie 2007). 증상을 보이는 폐경기 후 여성과 증상이 없는 폐경기 후 여성의 유일한 차이는 부신에서 분비되는 DHEA의 양 또는 DHEA에 대한 질 조직의 민감도이다. 서로 다른 여성의 민감도 차이는 각 조직 내의 각 세포 타입에 대하여 특이적인 효소 시스템의 정도와 활성 농도와 관련이 있는 것 같다 (Labrie 1991; Labrie Belanger et al. 2005). 이러한 지식에 근거하여, DHEA와 에스트로겐이 아닌 것은 폐경기 후 여성에 대한 생리적인 호르몬 대체 치료이다.
우리의 이전 연구에서 잘 입증되고 있는 바와 같이 (Labrie 1991; Labrie Luu-The et al. 2003; Luu-The et al. 2005; Labrie Belanger et al. 2007), 생리적인 양의 외생 DHEA의 보충은 내분비학에서 요구되는 스테로이드 생성 효소를 포함하는 오직 적절한 표적 조직 내의 안드로겐 및/또는 에스트로겐의 생합성을 가능하게 한다 (Labrie, Luu-The et al. 2005). 말초 표적 조직 내에서 DHEA로부터 국부적으로 생합성된 활성 안드로겐과 에스트로겐은 그들이 형성된 세포 내에서 활성을 나타낸다. 가장 중요하게는, 활성 성스테로이드의 순환으로의 누출은 거의 없어서, 순환 에스트로겐 또는 안드로겐 내의 상당한 변화 없이도 질 내에서 확연히 긍정적인 효과가 관찰되는 것이 설명된다 (Labrie, Cusan et al. 2008). 이러한 국부적인 생합성, 표적 조직 내의 에스트로겐과 안드로겐의 활성과 비활성은 과도한 성스테로이드에 다른 조직이 노출되는 것을 제거하고, 따라서 유방암, 난소암 및 자궁암을 포함하는 증가된 에스트로겐 노출에 의한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의 증가된 위험을 제거한다 (Gambrell, Massey et al. 1980; Persson, Adami et al. 1989; Steinberg, Thacker et al. 1991; Voigt, Weiss et al. 1991; Sillero-Arenas, Delgado- Rodriguez et al. 1992; Colditz, Egn et al. 1993; Jick, Walker et al. 1993; Colditz, Hankinson et al. 1995; Grady, Gebretsadik et al. 1995; Collaborative Group on Hormonal Factors in Breast Cancer 1997; Garg, Kerlikowske et al. 1998; Coughlin, Giustozzi et al. 2000; Hulley 2002; Lacey, Mink et al. 2002; Riman, Dickman et al. 2002; Rodriguez, Patel et al. 2002; Rossouw, Anderson et al. 2002; Beral 2003; Chlebowski, Hendrix et al. 2003; Holmberg and Anderson 2004; Beral, Bull et al. 2005; Lyytinen, Pukkala et al. 2006; Corrao, Zambon et al. 2008; Holmberg, Iversen et al. 2008; Li, Plummer et al. 2008).
현재, pH의 변화는 질 위축증 치료의 긍정적인 효과를 반영하는 유효한 매개 변수로서 인식된다. 25 ㎍의 E2로 12주 동안 질 내 치료한 후, pH가 5.0 미만인 환자는 위약군의 경우는 21%인데 비하여 51%였다 (Bachmann, Lobo et al. 2008). 그러나 기준치에서는, 2개의 상응하는 군 내에서는 11.2%와 13%의 여성이 pH가 5.0 미만이었다. ERC-210 임상 실험에서 (실시예 3), 치료의 시작 시점에서는 pH가 5.0 미만인 환자는 없었고, 12주 시점에서는 0%, 0.25%, 0.5% 및 1.0%의 DHEA 군으로 치료한 경우에는 pH가 5.0 미만인 환자가 각각 12%, 36%, 46%, 그리고 48%였다.
ERC-210 임상 실험에서 (실시예 3), 질 내 상피 세포의 성숙에서 DHEA의 효과는 특히 신속한데; 0.5% DHEA 오뷸: 2주 시점에서 기저 세포에서는 최대 79%에서 효과가 관찰되었고, 동일한 시간 간격에서 표면 세포에서는 최대 48%가 자극적으로 효과를 받았음이 관찰되었다. 반면, 표면 세포의 비율 중 0.5% DHEA의 85%의 최대 효과가 4주 시점에서 달성되었다. 유사하게도, 가장 성가신 증상에 있어서는, 0.5% DHEA의 63%의 최대 효과가 2주 시점에서 관찰되었고, 4주 시점에서는 87%로 도달하였다. 더구나, 12주 시점에서 위약군 내에서는 48.8%인 것에 비하여 0.5% DHEA 군 내에서는 17.8%의 여성이 그들의 가장 성가신 증상에 있어서 어떠한 변화도 없다고 보고되었다.
기저 세포의 %는 3 가지의 DHEA 투약량 사용시 1 개월에 20% 미만으로 감소되므로, 기저 세포에 대한 DHEA의 효과는 신속하다. 표면 세포의 %에 대한 효과 역시 매우 신속하여, DHEA 투약량이 많은 때 (1%), 2주 째에 100%의 효과가 나타난다. 질 에스트로겐 크림 또는 정제를 사용한 연구에서는, 12주 째에 측정된 대략 50%의 효과가 2주 째에 관찰되었다 (Rioux, Devlin et al. 2000). 그러한 데이터는 DHEA 효과의 신속성은 질 E2 및 복합 에스트로겐 제형의 효과보다 열등하지 않고, 그보다 더 우수할 수도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71명의 폐경기 후 여성에 대한 경구 에스트로겐의 효과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매일 0.3 mg의 경구 합성 복합 에스트로겐의 투여는 표면 세포에서는 2.1%에서 15.9%로 증가된 반면, 기저 세포에서는 23%에서 2.3%으로 감소되었다 (Marx, Schade et al. 2004). 컨쥬게이트된 말의 에스트로겐 0.3 mg과 0.625 mg의 투약을 비교하는 연구에 있어서 (Utian, Shoupe et al. 2001), 0.625 mg 투약은 표면 세포의 %에서 더 높은 효과를 나타냈다.
최근 연구에서, 에스트로겐으로 치료된 군에서는 질 성숙치 (VMV)가 기준치 27.45로부터 56.85 (p<0.0001)까지 증가하였다 (Simon, Reape et al. 2007). 에스트로겐으로 치료받은 군 내에서 41.66% 까지의 기저 세포의 비율이 감소되는 반면, 표면 세포의 비율은 기준치에서 17.5까지 증가하였다. 동일한 연구에서, 질 pH는 6.74에서 기준치 5.05 (1.69 또는 24%의 감소)까지 감소되었다 (에스트로겐 군). 가장 성가신 증상의 심각도는, 위약군 내에서는 2.59에서 1.84 (-0.75)로 감소한 것에 비하여 에스트로겐 군 내에서는 2.58에서 1.04 (-1.54)로 감소하였다. 에스트로겐으로 관찰된 그러한 데이터는, 0.5% DHEA 군 내에서는 12주 시점에서 가장 성가신 증상의 정도가 1.56 감소한 것, ERC-210 임상 실험 (실시예 3) 내에서 관찰된 위약군 내에서의 0.67 감소한 것과 비슷하다.
12주 시점에서, EST환 대상의 11%와 배지펨 (Vagifem) 대상자의 24%에서는 상피 위축이 지속되었다. 48주 시점에서는, 각각의 데이터는 8%와 14%였다 (Weisberg, Ayton et al. 2005). 배지펨 (Vagifem) 또는 EST환으로 치료한 48주 시점에서, 질 건조는 여성의 33%에서 여전히 존재하였다 (Weisberg, Ayton et al. 2005). 반면, 음문 가려움증은 EST환과 배지펨 (Vagifem)으로 치료한 후 15%, 20%의 여성에게 여전히 남아있었고, EST환과 배지펨 (Vagifem)으로 치료한 후 각각 33%와 28%의 여성은 여전히 성교통이 있었다. 프로게스토겐 시험 후, 출혈은 배지펨 (Vagifem)군 내에서는 7%, EST환 군 내에서는 0% 였다.
0.625 mg의 프레마린을 경구적으로 또는 질 내 (크림)을 매일 3개월 투여한 후, 각각 70.6%, 75%로부터 성교통이 호전되었음이 관찰되었다 (Long, Liu et al. 2006). 이 연구에서는, 1 g의 0.625 mg의 프레마린이 성교통의 치료를 위한 최소 투약량이라고 판단하였다.
25 ㎍의 E2를 질 내로 투여받은 여성의 경우, 치료 12 개월 후 12.4%의 경우에 있어서 성교통이 지속되었다 (Simunic, Banovic et al. 2003). 국부 E2 정제 치료의 성공은 환자에 의해서는 84.5%로 추정되고, 의사에 의해서는 86.1%로 추정되었다 (Simunic, Banovic et al. 2003). Bachman et al, 1992 (Bachman, Notelovitz et al. 1992)는 경구 에스트로겐 대체 치료를 받은 여성의 40 내지 50%에서 질 건조증의 불편이 지속된다고 보고하였다.
DHEA로 12 개월 치료한 후, 전에 보고한 바와 같이 (Labrie, Diamond et al. 1997), 임상 실험 ERC-210 (실시예 3)은 치료의 전과 12주 후에 얻은 자궁내막 생체 검사의 조직병리학 검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호르몬 전구체 DHEA의 질 내 투여의 3개월 후, 자궁내막 조직에 어떠한 효과도 나타나지 않는다. 이러한 결과는 인간의 자궁 내막의 아로마타아제 활성의 부재와 일치한다 (Baxendale, Reed et al. 1981; Bulun, Lin et al. 2005). 이러한 결과는 또한, 자궁내막 위축은 일생에 걸쳐 DHEA가 계속적으로 분비됨에도 불구하고 폐경기 후의 특성이라는 임상적 관찰로 잘 알려진 사실을 강하게 뒷받침한다 (Labrie, Luu-The et al. 2005; Labrei, Belanger et al. 2006). DHEA를 에스트로겐으로 전환하는데 필요한 스테로이드 생성 효소의 인간 자궁내막 내의 결손은, 난소와 태반 기원의 호르몬에 의하여 그 기능이 필수적으로 조절되는 생식해 동안 활성이 독점적으로 자궁내막의 생리적인 역할과 일치한다. 페경기 후, 난소에 의해 분비되는 에스트로겐의 중단 후 에스트로겐의 임의의 계속적인 활성을 정당화하는 자궁내막의 생리적인 역할은 없다. 따라서, 난소 기원의 에스트로겐에 전적으로 좌우되는 조직인 자궁 내막에서는 DHEA로부터 에스트로겐의 합성에 요구되는 효소는 발현되지 않는다.
에스트로겐과 프로제스틴의 복합 투여는 에스트로겐의 자극적인 효과를 저해하는 반면 (Feeley and Wells 2001), 단독으로 투여된 에스트로겐은 자궁내막 증식을 자극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Smith, Prentice et al. 1975). 안드로겐 수용체는 인간 자궁내막과 기질 (Stroma) 내에서 발현되기 때문에 (Mertens, Heineman et al. 1996), 그것은 폐경기 후 여성의 상대적으로 높은 테스토스테론 투약량 (테스토스테론 운데카노산, 매 2일마다 40 mg) 에도 자궁 내막에서 어떠한 효과도 나타나지 않은 안드로겐의 효과가 조사된 임상 실험을 언급하는데 있어서 관심사이다 (Zang, Sahlin et al. 2007). 에스트라디올 발레이트 (2 mg/일), 테스토스테론의 동시 투여는 28% 까지 증식을 감소시킨 반면, Ki67 표시(labeling)는 3개월의 치료 시점에서 50%까지 증가하였다. Ki67 표시는 에스트로겐을 투여받은 2 군에서만 증가하였지만, 기질 (Stroma) 내에서는 테스토스테론의 첨가에 의하여 감소하였다. 여성의 자궁내막 증식에 있어서 어떠한 자극적인 효과도 없는 반면, 테스토스테론은 자궁내막 내에 항여성호르몬 효과를 다소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것 같다.
FDA 지침은 가장 낮은 투약량을 개발하고 에스트로겐과 프로제스틴 모두에 대한 노출을 위하여 후원업체들을 고무하고 있지만, 우리는 비록 에스트로겐이 질 위축증과 혈관 운동성 장애의 증상을 교정하는데 효과적이고, 전신적 에스트로겐은 질 위축증의 중증 (中症) 내지 중증(重症) 증상을 피하기 위한 폐경기 후 여성의 25%에게 허용된 생리적인 호르몬이 아니라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이러한 여성들은 모든 그들의 폐경기 후 기간 동안 상대적으로 증상이 없는 채로 유지된다. 폐경기 후 여성 내의 성스테로이드의 유일한 공급원이기 때문에, 증상이 있거나 증상이 없는 모든 경우에서 부신 DHEA로부터의 국부 에스트로겐과 안드로겐 생합성은 내분비 메커니즘에 의한다. DHEA로의 대체는 단지 폐경기 후 증상으로 고통받는 여성은 그들의 증상에 대한 원인이 되는 DHEA의 누락된 양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유일한 생리학적 접근이다. 호르몬 전구체 대체 치료 (HPRT)라고 불리는 접근으로, DHEA와 내분비 과정에서 세포 내에서 제조된 성 스테로이드에 대한 더 높은 노출로 말미암은 질 위축증 증상이 없는 폐경기 후 여성 동료보다 질 위축증과 혈관 운동성 장애는 어떠한 위험 없이 교정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라 투여된 성스테로이드 전구체는 (1) 질 내 투여시, 좋기로는 1일 0.5 내지 100 mg (좋기로는 1일 3 내지 50 mg, 가장 좋기로는 1일 3 내지 13 mg), (2) 경피 투여시, 1일 15 내지 200 mg (좋기로는 1일 30 내지 100 mg), (3) 경구 투여시, 1일 10 내지 200 mg의 범위로 (좋기로는 1일 25 mg 내지 100 mg), 예컨대, 1일 75 mg, (4) 비경구적 (즉, 근육내 또는 피하)으로 투여시, 1일 1.0 내지 25 mg 사이의 범위 (좋기로는 1일 3.25 내지 20 mg)의 투약량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질 내 투여를 위한 제약 조성물에 있어서, DHEA 또는 다른 전구체는 좋기로는 조성물 총중량 대비 0.1 내지 10% 사이의 농도, 더 좋기로는 0.2 내지 3.0%, 특히 0.25 내지 2.0%로 존재하는 것이 좋다. 예컨대, 0.5% DHEA (총 조성물 중량 대비)를 갖는 1.3 밀리리터 (mL) 질 좌약을 매일 1회, 좋기로는 6.5 mg/일의 DHEA를 제공하는 것이 좋다. 목적 범위 내의 투약량을 유지하면서 서로 다른 농도를 갖는 더 많거나 적은 좌약을 사용할 수 있다.
경피 투여를 위한 제약 조성물에 있어서, DHEA 또는 다른 전구체는 총중량 대비 0.1 내지 10% 사이의 농도, 더 좋기로는 0.2 내지 2.0%, 특히 0.3 내지 1.5%로 존재하는 것이 좋다.
경구 투여를 위한 제약 조성물에 있어서, DHEA 또는 다른 전구체는 총중량 대비 5 내지 98% 사이의 농도, 더 좋기로는 10 내지 50%, 특히 15 내지 40%로 존재하는 것이 좋다.
비경구 투여 (근육내 또는 피하)를 위한 제약 조성물에 있어서, DHEA 또는 다른 전구체는 0.2 mg/mL 내지 25 mg/mL, 더 좋기로는 0.65 내지 15 mg/mL, 특히 2 mg/mL 내지 10 mg/mL인 것이 좋다.
실시예 1
ERC -213 임상 실험
무작위로 추출한 질 위축증 단계Ⅰ을 갖는 폐경기 후 여성의 위약 대조군 질 좌약 투여에 따른 DHEA 생물학적 이용 가능성
1주 동안 DHEA 질 좌약을 매일 투여한 경우의 약동학과 국부 활성
연구의 주요 목적은 서로 다른 4가지의 DHEA 농도를 갖는 좌약을 매일 질 내 투여한 다음 DHEA와 그의 대사 산물의 전신적 생물학적 이용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10명의 대상자에게 무작위 추출 시험, 위약 효과 통제 시험, 그리고 이중 맹검 시험을 하였다. 임의로 추출된 40명의 폐경기 후 여성은 0.0%, 0.5% (6.5 mg의 DHEA/좌약), 1.0% (13 mg의 DHEA/좌약) 또는 1.8% (23.4 mg의 DHEA/좌약) 농도의 DHEA 좌약을 매일 하나씩 투여받았다.
짧은 기간 동안의 DHEA의 국부적 효과에 대한 징후를 얻기 위하여, 질 내 pH뿐만 아니라 성숙 지수를 치료 전과 치료 후 7일째 시점에서 측정하였다.
도 1B, 표 1 및 표 2에 기술한 바와 같이, 매일 0.5%, 1.0%, 01.8%의 DHEA를 포함하는 1.3 ml의 좌약의 질 내 투여로 각각 24.8±4.8 ng.h/ml, 56.2±8.9 ng.h/ml (p<0.05), 76.2±10.3 ng.h/ml (p<0.01), 그리고 114.3±9.97 ng.h/ml (p<0.01)의 AUC0 - 24시값을 갖는 혈청 DHEA의 점진적인 증가가 초래되었다. 따라서, 0.5%, 1.0%, 1.8%의 DHEA의 각각의 투약에 있어서 조절군에 대하여 127%, 207% 및 361%의 증가가 있었다. 모든 다른 스테로이드에 대하여 관찰된 바와 같이, AUC0 -24시의 유사값이 1일째와 7일째에 관찰되었다.
사실상, 가장 높은 투약량으로 치료한 (표 2) 후의 DHEA의 4.76±0.42 ng/ml 평균 혈청값은 47명의 30 내지 35세의 정상적인 폐경기 전 여성에게서 발견되는 4.47±2.19 ng.h/ml 값과 유사하다 (Labrie, Belanger et al. 2006). 임의의 DHEA의 투약량 사용에 따른 혈청 DHEA는 정상적인 폐경기 전의 여성의 한도 범위 내를 유지한다는 것이 도 7A에 잘 설명되어 있다.
이전에 DHEA의 경구 또는 경피 투여 이전에 관찰된 바와 같이 (Labrie, Belanger et al. 2007), 비록 나타나는 농도는 훨씬 낮지만, 혈청 5-디올 패턴은 DHEA와 거의 유사한 패턴이다. 사실상, AUC0 - 24시값은 위약군 내에서는 7일째 5.60±0.60 ng.h/ml, 0.5%, 1.0%, 1.8%의 DHEA를 각각 투약한 경우에는 9.83±1.14 (p<0.05), 13.8±1.87 (p<0.01) 및 21.0±1.667 (p<0.01)이다 (ID, 표 1). 75%, 147% 및 276%에 상응한 그러한 변화는 조절군보다 증가한다. 오직 1.8% DHEA 투약량만, 매일 DHEA를 질 내 투여하고 7일째, 혈청 5-디올 내에서 24 시간 동안 정상적인 폐경 전 여성에서 발견되는 값을 상당히 초과하는 증가를 유발한다 (도 7B).
혈청 Testo의 AUC 0-24시값은 0.5% 투약량에서는 어떠한 유의한 변화도 나타내지 않았다 (위약군 2.58±0.33 ng.h/ml에 대해 32.79±0.0 ng.h/ml) (도 2B). 1.0%와 1.8%의 투약량에서는, 4.54±0.91 ng.h/ml (p<0.05), 5.97±0.69 ng.h/ml (p<0.01)의 AUC 0-24시 값이 나타났다 (표 1). 이러한 데이터는 각각 0.11±0.01 (N.S), 0.12±0.01 (N.S), 0.19±0.04 (p<0.05), 그리고 0.25±0.03 (p<0.01)의 평균 혈청 Testo 농도로 변환된다. 심지어 가장 높은 1.8% DHEA 투약량을 사용한 경우에도, 혈청 Testo 농도는 정상적인 폐경기 전 여성에게서 측정되는 0.18±0.07 ng.h/ml (0.06 내지 0.31, 제5 내지 제95 백분위수)에서 유지된다 (Labrie, Belanger et al. 2006) (도 7E). 반면, 1.0%의 투약량 (0.18±0.07 ng/ml)은 정상적인 폐경 전 여성에게서 발견되는 값, 즉 0.19±0.4의 데이터에 정확하게 상응한다 (도 7E).
도 2C와 D, 혈청 DHT는 7일째 위약군에서 0.58±0.07 ng.h/ml의 AUC0 - 24시값이 0.5%, 1.0%, 1.8%의 DHEA 군 내에서 각각 0.93±0.11 (N.S), 1.31±0.26 (p<0.05), 그리고 1.93±0.23 (p<0.01)ng.h/ml로 증가하였다 (표 2). 상기 값은 평균 혈청 DHT 농도 0.02±0.01, 0.04±0.01, 0.05±0.01 및 0.08±0.01 ng/ml에 상응하고 (표 2), 따라서 가장 높은 DHEA 투약 시에는, 폐경기 전 여성에서 관찰되는 정상적인 혈청 DHT 농도인 0.07±0.03 ng.h/ml에 도달한다 (Labrie, Belanger et al. 2006) (도 7F).
위약군에서의 7일째 평균 혈청 E2 농도는 12.6±1.41 ng/ml인 반면 (표 2) 0.5%의 DHEA 투약 시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15.4±2.04 ng/ml). 1.0%와 1.5%의 DHEA 투약시, 각각 24.1±3.54 ng/ml (p<0.01)와 25.0±2.85 ng/ml (p<0.01)로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상응하는 AUC0 - 24시값을 도 3B에 도시하고 표 1에 나타냈다.
평균 혈청 E2 농도는 위약군과 0.5% DHEA 군에서, 각각 2.77±0.29 pg/ml와 4.04±0.69 pg/ml (N.S.)로 측정되었다 (표 2). 평균 혈청 E2 농도는 1.0%와 1.8%의 DHEA 투약량을 투여한 여성의 경우, 7일째 평균 혈청 E2 농도는 위약군보다 각각 3.18과 2.85 pg/ml 확연히 증가한 6.01±1.31 pg/ml (p<0.05)와 5.68±0.84 pg/ml (p<0.05)로 측정되었다. 위약군과 0.5%의 DHEA 군 내에서는 각각 0.12±0.02 ng/ml와 0.13 ng/ml (N.S.)의 평균 혈청 농도를 갖는 혈청 E1-S에 대하여 비슷한 결과가 관찰되었다 (표 2). 1.0%와 1.8%의 DHEA 군 내에서 0.18±0.03 ng/ml와 0.25±0.25 ng/ml의 값이 각각 측정되었다. 단지 1.8%의 DHEA 군에서만 위약군에 대해서 통계적인 차이(p<0.01)를 나타냈다.
4B와 4D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E1-S와 DHEA-S 둘 다 비슷한 패턴이 나타났다. 혈청 DHEA-S의 AUC 0-24값은 위약군 내에서는 8.35±2.22 ng.h/ml, 0.5% DHEA 군 (N.S.) 내에서는 13.3±3.16 ng.h/ml으로 측정되었다. 2개의 더 높은 DHEA 투약으로, AUC0 - 24시값은 각각 16.5±2.71 ng.h/ml (N.S.)와 19.3±3.59 ng.h/ml (p<0.05)으로 측정되었다 (도 4D, 표 1). 모든 DHEA 투약량에서 DHEA-S의 이 데이터들은 폐경기 전 여성에게서 관찰할 수 있는 혈청 DHEA-S 농도인 평균 1.27±0.62 ng.h/ml (7C) 이하를 유지한다.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DHEA 투여 후 7일째의 혈청 4-디온의 AUC0 - 24시값은 위약군과 0.5% DHEA 내에서 각각 6.34±0.80과 8.71±0.84 ng.h/ml (N.S.)로 측정되었다. 2개의 더 높은 DHEA 투약량에서는, 4-디온의 AUC0 - 24시값이 각각 11.1±1.51 (p<0.01)와 11.9±0.81 (p<0.01) ng.h/ml로 약간 증가하였다. 7D와 표 2에서 볼 수 있는 것 같이, 혈청 4-디온의 모든 이러한 데이터가 정상적인 폐경기 전 여성에게서 관찰될 수 있는 평균 혈청 4-디온 농도 이하로 잘 유지되었다. 사실상, 평균 혈청 4-디온 농도는 30 내지 35세의 순환 여성 내에서는 평균 값이 0.96±0.35 ng/ml인데, 가장 높은 DHEA 투약량에서는 0.50±0.03 ng/ml 농도를 초래하여 (Labrei, Belanger et al. 2006) (부록 2), 폐경기 전 여성의 혈청 4-디온 농도의 단지 50%에 도달한다.
ADT-G, 3α-디올-3G와 3α-디올-17G의 혈청 농도 측정의 결정적인 역할을 고려하면 (Labrie, Belanger et al. 2006), 5D와 표 2 내의 위약군 내에서의 평균 농도가 6.97±1.20 ng/ml인데, 0.5% DHEA 군 (p<0.01) 내에서는 19.2±3.99 ng.h/ml로 증가된 ADT-G의 혈청 농도에 관심이 있다. 1.0%와 1.8%의 DHEA 군에서 각각 19.7±2.48과 25.7±2.88 ng.h/ml의 값이 측정되었다 (양쪽 다 DHEA로 치료한 군에서 위약군에 대하여 p<0.01). 작은 안드로겐 대사 산물 3α-디올-3G와 3α-디올-17G에 대하여 약간의 변화를 볼 수 있다 (6B, 6D, 8B, 8C, 표 1 및 표 2).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장 높은 DHEA의 투약량을 사용한 경우라도 ADT-G 3α-디올-3G와 3α-디올-17G의 평균 혈청 농도는 폐경기 전 여성에게서 발견되는 평균 혈청 농도 이하인 36%, 11% 그리고 6%로 유지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 중요하다.
표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1.8% DHEA (23.4 mg DHEA)를 포함하는 1.3 ml 좌약을 투여시 7일째 24 시간 기간에 걸쳐 측정된 안드로겐 대사 산물 글루쿠로니드의 총계는 단지 28.2 ng/ml인 반면, 30 내지 35세의 폐경기 전 여성 내에서 동일한 대사 산물의 평균 혈청 농도는 42.8 ng/ml 였다 (Labrie, Belanger et al. 2006) (부록 2). 따라서, 가장 높은 DHEA 투약량을 사용하면, 정상적으로 순환하는 어린 여성에게서 발견되는 총 안드로겐 대사 산물에 대응하는 값의 단지 65.7%를 초래한다. 반면, 0.5%와 1.0%의 DHEA 투약량은 각각 21.02 ng/ml와 21.53 ng/ml의 안드로겐 대사 산물의 총계를 초래하므로, 폐경기 전 여성에게서 관찰되는 값의 단지 49.0%와 50.2%에 상응한다 (도 9). 우리는 이전에, 매일 100 mg의 DHEA 경구 투여가 페경기 전 여성에게서 발견되는 농도의 74%를 초래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Labrie, Belanger et al. 2007).
우리는 이전에 DHEA의 경구 또는 경피 투여 후, 혈청 DHEA의 변화는 혈청 ADT-G, 3α-디올-3G와 3α-디올-17G 내에서의 변화로 나타나는 스테로이드 형성 내의 변화의 대략 100% 과대 평가임을 관찰하였다 (Labrie, Belanger et al. 2007). 도 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평균 혈청 DHEA 농도는 위약군의 폐경기 전 여성의 23%에서, 0.5%, 1.0%, 1.8%의 DHEA 투약량을 투여받은 여성에서는 각각 52%, 71% 및 106%로 관찰되었다. 도 9의 데이터는 질 내 DHEA 투여 후의 혈청 DHEA 내의 변화는 안드로겐 형성과 아마도 혈청 E1-S 내에서의 더욱 적은 변화에 의하여 도시된 더욱 큰 에스트로겐 형성 변화의 과대평가이다 (표 1). 사실상, 1.0% 투약량에서는, 혈청 안드로겐 대사 산물은 폐경기 전 여성에서 발견되는 값의 31.6%까지 증가하는 반면, 혈청 DHEA는 49.1%까지 증가하였다 (55% 과대평가). 가장 높은 DHEA의 투약량에 있어서, 혈청 안드로겐 대사 산물은 47.1%까지 증가하는 반면, 혈청 DHEA는 83.5%까지 증가하였다 (77% 과대평가).
Figure 112013071278272-pat00001
Figure 112015052819724-pat00050
그러나, 표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위약군 내에서는 다양한 스테로이드에 대한 치료 전 값이 더 낮은 강한 경향이 있었다. 이는 DHEA, DHEA-S, 4-디온, Testo, DHT, E2, ADT-G 및 3α-디올-17G에 대한 위약군 내에서의 낮은 데이터와 특히 관련이 있다. 0.5%와 1.0%의 DHEA 투약량의 투여 후에 관찰되는 모든 평균 혈청 스테로이드 데이터는 정상적인 폐경기 전 여성에서 관찰되는 값 이내 또는 이하로 유지되기 때문에, 이러한 명백한 성향을 바로잡기 위한 어떠한 시도도 없었다. 0.5%의 DHEA 좌약을 매일 투여하여 7일째에 측정한 모든 스테로이드의 평균 24시 혈청 농도는 정상적인 55 내지 65세 여성에서 측정되는 값과 거의 일치하는 반면, 1.0%의 DHEA 좌약은 정상적인 55 내지 65세 여성에서 관찰되는 범위 이내의 값을 초래한다는 것은 흥미롭다 (Labrie, Belanger et al. 2006).
안드로겐 대사 산물이 외인성 DHEA의 활성 안드로겐으로의 전환의 가장 믿을만한 척도이기 때문에, 현재 연구 내에서 사용되는 현재 데이터는 가장 높은 DHEA의 투약량은 정상적인 폐경기 전 여성 내에서 발견되는 정상적인 범위 이내로 유지되는 혈청 스테로이드 농도의 FDA 요구를 충족한다.
Figure 112013071278272-pat00003
DHEA 좌약을 매일 1주간 투여한 후, 0.5%, 1.0% 및 1.8%의 DHEA 군 내에서의 성숙 지수가 각각 107% (p<0.01), 75% (p<0.05), 그리고 150% (p<0.01)까지 증가하였다 (도 10A). 1일과 7일 사이의 위약군 내에서는 어떠한 변화도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 질 내 pH는 0.5%, 1.0% 및 1.8% DHEA 군 내에서 각각 6.29±0.21에서 5.75±0.27 (p<0.05), 6.47±0.23에서 5.76±0.22 (p<0.01), 6.53±0.25에서 5.86±0.28 (p<0.05)로 각각 감소하였다 (도 10B). 위약군에서는 질 내 pH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2
폐경기 후 여성의 경구 및 경피 디히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의 생물학적 이용 가능성과 신진 대사
1. 도입
다른 몇몇 영장류의 동물과 함께 인간은, 말초 조직 내에서 활성 안드로겐 및/또는 에스트로겐으로 전환되는 비활성 전구체 스테로이드 DHEA와 특히 DHEA-S을 다량으로 분비하는 부신을 갖는 점에서 독특하다 (Labrie, 1991; Labrie, Belanger et al. 1995; Labrie, Luu-The et al., 1997; Labrie, Simard et al., 1996; Labrie, Luu-The et al., 2005; Labrie, Poulin et al., 2006 and Simpson 2000). 사실상, 성인 남성 및 여성 내의 혈장 DHEA-S는 테스토스테론의 농도의 100 내지 500배이고, 에스트로다올의 1000 내지 10,000배이므로, 활성 성스테로이드로 DHEA가 전환되기 위하여 필요한 효소 기구를 지니는 말초 인트라크라인 조직 내의 안드로겐 및/또는 에스트로겐으로의 전환을 위하여 다량의 기질을 비축하는 것이 제공된다 (Labrie 1991, and Labrie, Luu-The et al., 2005). 사실상, 내분비라는 용어는, 1988년에 처음으로 만들어지고 (Labrie, Belanger et al.1988) 비활성화되기 전에는 세포 외 공간과 일반적인 순환 내로 방출이 없거나 최소한이고, 활성을 행사하는 세포와 동일한 세포 내에서 제조된 활성 스테로이드의 합성을 기술하기 위하여 만들어졌다 (Labrie, 1991).
* 노화 동안의 부신에 의한 DHEA-S 형성의 현저한 감소는 말초 표적 조직 내의 안드로겐과 에스트로겐 형성을 상당히 감소시키고, 그러한 상황은 인슐린 저항성 (Schriock et al. 1988 and Coleman et al. 1982)과 비만(Nestler et al. 1988; MacEwen and Kurman, 1991, and Tchernof et al. 1995) 등과 같은 노화와 관련된 질병과 잠재적으로 관련된다. 더욱이, 경구 (Villareal and Holloszy, 2004; Baulieu et al., 2000; Morales, et al. 1994; and Kawano et al. 2003)와 경피 (Diamond et al. 1996 and Labrie Diamond et al. 1997) 투여 후와 마찬가지로, 폐경기 후 여성에게 투여되는 DHEA로 주어지는 유익함, 특히 뼈, 피부, 질, 글루코오스와 인슐린 대사 산물, 체지방에 많은 관심이 있다. 따라서, 2개의 투여 경로 후 DHEA의 생물학적 이용가능성, 약물 동력학과 신진대사에 대하여 더욱 정확한 지식을 얻는 것이 특히 중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우리가 이미 나타낸 바와 같이, 2주간 경피로 투여된 DHEA의 약학적 투약을 사용하되, 혈청 테스토스테론 (testo)과 에스트라디올 (E2) 농도의 측정은 안드로겐과 에스트로겐의 정확학 세포 내 풀의 믿을만한 평가를 제공하지 않고 (Lbrie, Belanger et al., 1997; Labrie, Belanger et al., 2006 and Labrie, Belanger, et al, 2007), 우리는 DHEA의 혈청 농도와 활성 안드로겐과 에스트로겐과 그들의 대사 산물과 가장 근접하게 관련된 것으로 알려진 9개의 스테로이드의 혈청 농도를 비교하였다. DHEA 크림 또는 겔을 사용한 경피 뿐 아니라 경구 투여로 DHEA를 매일 투여한 첫째 날과 2주 후, 혈청 스테로이드 농도의 24시 변화의 상세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2. 대상자와 방법
IRB 승인과 미리 알려준 동의에 대한 서명을 받은 후, 36명의 건강한 60 내지 70세의 폐경기 후 여성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체중은 Metropolitan Life Tables에 따른 정상 체중의 ±20% 이내였다.
심각한 대사 경로 또는 내분비 질환, 관상동맥 질병 또는 고혈압을 앓고 있는 대상자는 없었다. 검사를 위한 방문 6개월 이내에 안드로겐 또는 아나볼릭 스테로이드로 치료받은 여성은 없었다. 모든 참가자는 프로토콜의 검사 단계 동안, 병력을 갖고, 신체 검사와 지질을 포함하는 혈청 생화학 양상을 완료하고, 혈구 데이터, 소변 분석을 완료하고, 혈청 호르몬 측정을 상세히 하였다.
3. 연구 설계, 치료 및 측정
이 연구는 12명의 대상자의 치료군에 공개 시험을 무작위로 하였다. 미리 알려준 동의를 얻은 후, 적격의 여성을 찾고, 각 대상자에게 무작위로 DHEA를 크림, 겔 또는 경구로 투여하였다 매일, 아침 식사 전, 14일 동안, 대상자에게 연구 클리닉에서, 4g의 10% DHEA 겔 또는 4g의 10% DHEA 크림을 허벅지의 총 30 cm × 30 cm 면적에 적용하거나 2개의 50 mg의 DHEA 캡슐을 아침 식사 전에 경구로 투여하였다.
2, 4, 7, 10 그리고 14일째뿐만 아니라 투여 첫째 날에, DHEA의 적용 전과 검사 시점 08:00 내지 09:00시에 혈액 채취를 수행하였다. 첫째 날과 14일째, DHEA 투여 후 0.5시, 1시, 1.5시, 2시, 3시, 4시, 5시, 6시, 7시, 8시, 12시 그리고 24시에 혈액을 채취하였다
4. 혈청 스테로이드 분석
DHEA, DHEA-S, 안드로스트-5-엔-3β,17β-디올 (5-디올), 테스토스테론, 안드로스테네디온 (4-디온), 17β-에스트라디올 (E2), 에스트론 (E1), 에스트론 설페이트 (E1-S), 안드로스테론 글루쿠로니드 (ADT-G), 그리고 안드로스탄-3,17β-디올 글루쿠로니드 (3α-디올-G)를, 기술된 바와 같이 (Labrie, Belanger et al., 2006; Belanger et al. 2007 and Swanson et al. 2007) 전자 충격 또는 화학적 이온화를 이용하는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기 (DHEA, 5-디올, 4-디온, 테스토스테론, E1 및 E2)와 터보 이온 스프레이 (turboionspray)를 사용하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연속된 질량 분석기(tandem mass spectrometry)를 사용하여 (DHEA-S, E1-S, ADT-G, 3α-디올-G)측정하였다.
5. 산출과 통계 분석
1일째와 14일째, 각 스테로이드의 혈청 농도의 곡선 아래 면적을 0시와 24시에 측정하였다 (AUC0 -24시). 곡선 아래 면적은 직선 사다리꼴 방법 (model-independent)으로 계산하였다. DHEA 겔, DHEA 크림과 DHEA 캡슐의 상대적인 생합성 이용 가능성은 로그 변환 AUC 값 내의 평균 차이에 기초한다. 모든 계산은 SAS 소프트웨어 (SAS Institute, Cary, NC, USA)로 수행하였다.
*6. 결과
2개의 50 mg의 DHEA 캡슐의 경구 투여는, 1시간 시점에서는 2.3±0.3 ng/ml에서 최대값 15.6±2.5 ng/ml까지 혈청 DHEA가 증가하였고,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이후 6시간 시점에서는 5.7±0.5 ng/ml, 뒤이어 24시간까지는 정체기였다 (도 11A). 4 g의 10% DHEA 겔 또는 크림을 허벅지의 총 30 cm × 30 cm 면적에 도포하였을 때, 혈청 DHEA 농도는 12시간 시점에서 증가하기 시작하여, 24시 시점에서 각각 8.2±2.0, 8.0±1.2 nmol/l의 값에 도달하였다 (도 11A). 피부에 전구체 스테로이드를 처음 적용한 후 24 시간까지 계획된 임의의 시간 간격에서의 DHEA 혈청 농도에 있어서, 크림 또는 겔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DHEA의 첫 경구 투여 후에 혈청 5-디올을 측정시, 5-디올의 농도는 치료 전 농도인 0.31±0.03 ng/ml에서 천천히 증가하여 1시간 시점에서 1.19±0.13 ng/ml이고, 이후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24 시간 시점에서는 0.79±0.05 ng/ml였다 (도 11B). 동일한 도면 내에서 크림 또는 겔에 의한 DHEA 경피 투여 후 훨씬 천천히 증가된 5-디올의 혈청 농도는, 24 시간 시점에서 크림의 경우에는 1.00±0.14 ng/ml이고 겔의 경우에는 0.72±0.14 ng/ml로 첫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에 도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경구 DHEA 후, 혈청 4-디온은 1시간 시점에서는 0.6±0.1 ng/ml에서 최대값 9.5±2.2 ng/ml까지 증가하였고, 이후 급격히 감소하여 8시간 내지 24 시간 사이 시점에서는 약 1.2 ng/ml의 값으로 정체를 유지하였다 (도 12A). 반면, 크림 또는 겔에 의한 DHEA 투여 후, 혈청 4-디온의 유의한 증가가 24시 시점에서 크림과 겔 각각에 대하여 0.9±0.1, 0.8±0.1의 값으로 관찰되었다.
혈청 테스토스테론에 대하여도 비슷한 양상이 관찰되었다. 사실상, 2개의 50 mg의 DHEA 캡슐을 경구 투여 후, 혈청 테스토스테론은 1시간 시점에서 0.38±0.03 ng/ml에서 최대값 0.79±0.14 ng/ml까지 증가하였다. 6시간 시점에서 0.30±0.08 ng/ml로 급격히 감소하고, 이후 24시 시점까지는 정체하였다 (도 12B). DHEA를 크림 또는 겔로 투여시, 첫번째 증가가 24시 시점에서 대략 0.45 ng/ml의 값으로 관찰되었다. 도 13A, 13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경구 또는 경피 경로에 의한 DHEA의 첫 투여는 첫 24 시간 동안의 E1 또는 E2의 혈청 농도에는 통계적으로 어떤 유의한 영향도 없었다.
반면, 혈청 DHEA-S의 패턴은 비록 약간 지연되었지만, 2개의 50 mg의 DHEA 캡슐의 경구 투여 후 DHEA와 5-디올에 대한 패턴과 유사하였다 (도 14A). 따라서, 혈청 DHEA-S는 1시간 시점에서는 0.4±0.1 ㎍/ml에서 7.7±1.0 ㎍/ml로, 2시간 시점에서는 최대값 8.4±0.6 ㎍/ml로 증가하고, 24 시간 시점에서는 2.7±0.3 ㎍/ml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크림 또는 겔 형태의 DHEA 투여 후, 첫 24 시간 동안에는 혈청 DHEA-S의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혈청 E1-S는 첫 24 시간 이후 동안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안드로겐의 주요 대사 산물인 혈청 ADT-G는 1시간 시점에서 14±3 ng/ml에서 760±150 ng/ml, 2시간 시점에서 790±140 ng/ml으로 증가하고, 이어서 12시간 시점에서는 92±5 ng/ml, 24 시간 시점에서는 70±5 ng/ml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도 15A). 반면, 혈청 3α-디올-G는 2시간 시점에서는 2.2±0.5 ng/ml에서 14.5±2.0 ng/ml으로 증가하였다 (도 15B). 이후, 3α-디올-G에 대해서는 감소가 관찰되었지만, ADT-G 보다는 훨씬 느리게 감소하고, 경구 DHEA의 투여 후 2시간 내지 24 시간 사이에서는 약 40%의 감소만 관찰되었다. 피부에 대한 4g의 10% DHEA의 도포 후, 24 시간 시점에서는 혈청 ADT-G 또는 3α-디올-G에 대한 어떠한 유의한 변화도 없었다 (도 15B).
매일 투약시의 14일째 날에 동일한 반응 속도 상수로 반복하여 측정 시, 2개의 50 mg DHEA 캡슐의 투여가 투약 전 값인 4.2±0.4 ng/ml에서 1시간 시점에서는 최대 농도 14.8±4.4 ng/ml까지 증가하고, 이후에는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24 시간 시점에서는 4.5±0.4 ng/ml임을 볼 수 있다 (도 16A). 반면, DHEA 크림 또는 겔 투여시, 24 시간 동안에는 어떠한 변화도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고, 크림 도포 후에는 혈청 DHEA는 10 ng/ml 내지 15 ng/ml로 유지되고, 겔 도포 후에는 7 ng/ml 내지 11 ng/ml이다.
유사하게도, 치료 14일째에 혈청 5-디올을 측정할 때, 이 스테로이드의 혈청 농도는 1시간 시점에서는 0.46±0.04 ng/ml에서 1.37±0.21 ng/ml으로 증가하였고, 이후 천천히 감소하여 24 시간 시점에서는 0.64±0.06 ng/ml에 도달하였다 (도 16B). DHEA에 대하여, 혈청 5-디올은 상기 크림을 바른 후의 상기 24 시간의 기간 중에는 약 1.5 내지 1.9 ng/ml으로, 겔을 바른 후에는 1.0 내지 1.3 ng/ml으로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투약 14일째 혈청4-디온을 측정시,이 스테로이드의 혈청 농도는 1시간 시점에서 1.3±0.2 ng/ml에서 최대값 9.8±1.7 ng/ml까지 증가하였고, 6시간 시점에서는 1.5±0.1 ng/ml까지 감소하고, 24 시간 시점에서는 1.2±0.1 ng/ml 값으로 측정되었다 (도 17A). 크림 또는 겔 형태의 DHEA를 피부에 도포 후, 2시간 시점에서는 혈청4-디온이 대략 2.5 ng/ml으로 확연한 증가는 없었고, 이어서 24 시간 시점에서는 1.0 내지 1.6 ng/ml 에서 정체를 유지하였다 (도 17A).
100 mg의 DHEA를 경구 투여 후, 14일째 혈청 테스토스테론이 1시간 시점에서 0.31±0.04 ng/ml에서 최대값 0.83±0.11 ng/ml으로 증가하였고, 24 시간 시점에서는 0.37±0.04 ng/ml으로 점차 감소하였다 (도 17B). 크림 또는 겔 형태로 DHEA를 적용 후, 24시 기간 동안에는 대략 0.3 ng/ml으로 테스토스테론의 혈청 농도가 변화없이 유지되었고, 상기 값은 치료 전과 확연히 다른 것은 아니다. 경구 또는 경피 경로에 의하여 DHEA가 매일 투여된 14일째 후의 관찰 첫째 날, 24 시간 동안 E1 (도 18A) 또는 E2 (도 18B)의 혈청 농도에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투약 전 농도 1.95±0.15 ㎍/ml에서, 혈청 DHEA-S는 1시간 시점에서 8.3±0.4㎍/ml로 증가하고, 24 시간 시점에서는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2.6±0.3㎍/ml이었다 (도 19A). DHEA를 피부에 적용 후, 혈청 DHEA-S에서 어떠한 변화도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 혈청 E1-S는 경구 또는 경피 경로에 의하여 DHEA가 매일 투여된 14일째 후의 24 시간 동안 변화가 없었다 (도 19B).
14일째는 1일째보다 시작 농도가 더 높은 반면, 혈청 ADT-G는 1시간 시점에서 66±1 ng/ml에서 996±105 ng/ml까지 급격히 증가하였고, 12시간 시점에서는 116 ng/ml로, 24 시간 시점에서는 91±15 ng/ml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도 20A). 피부에 DHEA를 도포한 후, 혈청 ADT-G 농도에는 유의한 변화가 발생하지 않았다. 반면, 혈청 3α-디올-G는 100 mg DHEA를 매일 경구 투여 14일 후, 2시간 시점에서 12±2.5 ng/ml에서 29.4±5.5 ng/ml으로 증가하고, 이후 24 시간 시점에서는 13±3.0 ng/ml으로 천천히 감소되었다. DHEA의 경피 투여 후의 혈청 3α-디올-G에서도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도 20B).
DHEA 축적와 그것의 대사 산물 축적의 더 정확한 측정을 얻기 위하여, 투여의 1일째, 14일째에 측정된 혈청 스테로이드 농도의 곡선 아래 면적(AUC0 - 24시값)을 비교하였다. 도 11, 도 12, 도 13, 도 14, 도 15, 도 16, 도 17, 도 18, 도 19도 20에서 예측 가능한 바와 같이, 에스트로겐 (E1-S)과 안드로겐 (ADT-G와 3α-디올-G)의 대사 산물을 제외하고는 상기 모든 스테로이드에 대한 AUC0 - 24시값은 이러한 스테로이드의 축적 때문에, DHEA의 경구 경로 투여의 1일째, 14일째와 유사하다 (표 4). 반면, DHEA의 경피 투여 후에는, 크림 또는 겔의 형태로 DHEA를 적용하면 느린 흡수 때문에, 각각 155%와 86%으로 투약 1일째에 비하여 14일째에서 관찰된 DHEA AUC0 -24시의 값이 더 높았다. 또한 더 높은 값이, 아무것도 나타나지 않은 E1, E2 및 테스토스테론을 제외한 모든 다른 스테로이드에 대하여 관찰되었다.
Figure 112015052819724-pat00051
삽입 어구 내의 데이터는 변이 계수 %를 나타낸 것이다. DHEA는 경구 투여 (2×50 mg 캡슐)에 의해 투여되거나 4g의 10% DHEA 크림 또는 4g의 10% 겔로 피부에 적용된다.
삭제
표 5도 21에서 명백히 나타난 바와 같이, 투약의 14일째 측정한 혈청 E1, E2 또는 테스토스테론 AUC0 -24시 값은 투약 전 농도에 비하여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2개의 다른 스테로이드에 대해서는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2주 동안 100 mg DHEA를 매일 경구 투여한 후, 스테로이드의 투여 후 24 시간 동안 측정된 DHEA의 농도 곡선 아래 면적은 처리 전 값에 비하여 167% 증가하였다. 반면, 5-디올, 4-디온, DHEA-S, E1-S, ADT-G 및 3α-디올-G에 대해서는 각각 138%, 238%, 873%, 60%, 1820% 및 874%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Figure 112015052819724-pat00052
DHEA는 경구 경로 또는 경피를 통하여 크림 또는 겔로 도포된다. 기저 AUC0 -24시 값은 검사를 포함한 치료 전 기저 혈청 스테로이드 농도에 24시를 곱하여 계산하였다.
DHEA와 5-디올을 제외하고는, DHEA 크림 또는 겔의 투여 후 낮은 증가가 관찰되었다. 사실상, DHEA 크림의 도포 후, DHEA-S AUC0 -24시 값은 104%까지만 증가한 반면, 4-디온, E1-S, ADT-G 및 3α-디올-G AUC0 -24시 값은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77%, 72%, 234% 및 145%까지 증가하였다. 반면, DHEA와 5-디올의 AUC 값은 각각 406%와 363%까지 증가하였다 (표 5, 도 21). DHEA 겔의 경우에는 비슷하지만 다소 낮은 증가가 관찰되었는데, DHEA와 5-디올에 대한 AUC0 -24시 값은 각각 249%와 238%까지 증가한 반면, 혈청 4-디온, DHEA-S, E1-S, ADT-G 및 3α-디올-G AUC0 -24시 값은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65%, 91%, 96%, 56% 및 30%까지 증가하였다.
우리의 최근 결과물 (Labrie, Belanger et al. 2007b)은 외인성 DHEA 투여에 따라 관찰된 혈청 DHEA 변화는 성스테로이드 형성의 정확한 변화의 최소 100% 과대 평가된다는 것을 나타냈다. 이러한 데이터를 뒷받침하는 것으로서, 도 21은 크림 또는 겔 형태의 DHEA 투여 후, 혈청 DHEA 내의 변화가 5-디올, DHEA의 즉각적인 대사 산물을 제외하여 측정된 모든 스테로이드의 혈청 농도 내의 변화가 뚜렷하게도 과대 평가됨을 나타낸다. DHEA 크림에 있어서, 혈청 4-디온, DHEA-S, E1-S, ADT-G 및 3α-디올-G의 AUC0 -24시 값은 혈청 DHEA에서 관찰된 처리 전 농도에 대한 406% 증가에 대하여서 단지 77%, 104%, 72%, 234% 및 145% 증가했다.
안드로겐에 있어서, 우리딘 글루코로노실 트랜스퍼라아제 2B7 (UGT 2B7), UGT 2B15와 UGT 2B17은 인간 내의 모든 안드로겐과 그들의 대사 산물의 글루쿠로닐화의 역할을 하는 3가지 효소이다 (Belanger et al. 2003). 모든 인간 UDT-글루쿠로노실 트랜스퍼라아제의 동정과 특성에 대한 최근의 완성은, 여성과 남성 모두에 있어서의 총 안드로겐 활성의 표적으로서 안드로겐의 글루쿠로니드 유도체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Labrie, Belanger et al. 2006; Labrie, Belanger et al. 2007b and Swanson et al. 2007). 따라서, 모든 안드로겐이 ADT-G와 3α-디올-G로 대사되기 때문에, 활성 안드로겐으로의 전환을 위한 경피 DHEA의 효율 비율의 측정은 ADT-G와 3α-디올-G 내에서의 변화를 추가할 때 52%로 측정된다 (406%의 DHEA 변화에 비하여 편중된 211% 값). 유사하게, DHEA 겔 투여 후 혈청 DHEA 내의 249% 증가는 각각 혈청 4-디온, DHEA-S, E1-S1, ADT-G 및 3α-디올-G의 AUC0 -24시 값 내에서는 단지 65%, 91%, 96%, 56% 및 30% 증가로 전환된다.
창자와 간 내에서의 높은 농도의 글루쿠로닐화 때문에, 경구 DHEA의 투여 후 ADT-G와 3α-디올-G의 높은 혈청 농도가 설명되는데(Belanger et al. 2003), 경구 DHEA 후의 혈청 DHEA 내에서 167% 증가하는 것에 비하여 혈청 E1-S 내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증가 (60%)인 에스트로겐으로의 상대적 전환 효율 36%를 나타낸다. 일찍이 나타낸 바와 같이 (Labrie, Belanger et al., 1997; Labrie, Belanger et al., 2006; Labrie, Belanger et al., 2007b), 본 데이터는 폐경기 후 여성에게 투여된 DHEA는 지배적으로 에스트로겐 보다는 안드로겐으로 전환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고찰
현 데이타는 명확하게 크림 또는 겔 형태의 DHEA로 만성 치료하는 동안, 모든 스테로이드의 농도는 피부에 매일 DHEA를 도포하는 동안 측정된 임의의 스테로이드의 혈청 농도 내에서의 발견할 수 있는 어떠한 변화 없이, 신속하게 정체기에 도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DHEA 경피의 첫 도포 후 24 시간부터, 모든 스테로이드의 농도는 동일한 농도에서 유지되고, 따라서 매일 DHEA의 피부로의 도포는 DHEA와 그것의 대사 산물의 혈청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폐경기 후 여성에 있어서, 혈청 DHEA의 일중 변화는 정상적으로 순환하는 폐경기 전 여성의 상황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다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다 (Lui and Laughlin, 1990).
또한, 본 데이터는 DHEA의 매일의 경구 투여 후, DHEA 또는 그것의 대사 산물의 상당한 축적이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더욱이, 경구 또는 경피 경로로 투여된 후의 DHEA의 대사 산물은 양적으로 유사한데, 경구 투여 후의 장간 신진 대사에 의하여 그 양적인 차이가 설명된다.
경피 투여에 비하여 경구 투여 후, DHEA와 5-디올의 더 낮은 AUC0 -24시 값과 더불어 혈청 DHEA-S, ADT-G 및 3α-디올-G의 더 높은 AUC0 -24시 값은, 위장관 및/또는 간을 통과하는 첫 통로를 통하는 신진 대사가, DHEA-술포트랜스퍼라아제의 활성을 통한 DHEA의 DHEA-S로의 더 높은 전환 농도 (Luu-The et al., 1995)뿐만 아니라, 간 글루쿠로노실트랜스퍼라아제의 활성을 통한 안드로겐과 그들의 불활성으로의 DHEA의 증가된 신진 산물 (Belanger et al. 2003; Turgeon et al., 2001 and Hum et al., 1999)을 초래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사실상, 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100 mg의 DHEA의 경구 투여의 14일째에서 144 ng h/ml (AUC0 -24시)의 DHEA로의 노출은 ADT-G와 3α-디올-G 각각에 대하여 5607 ng h/ml와 453 ng h/ml의 AUC0 -24시 값을 초래한다. 반면, 10% DHEA 크림의 경피 투여 후, DHEA, ADT-G 및 3α-디올-G에 대한 AUC 값은 각각 273 ng h/ml, 977 ng h/ml, 그리고 114 ng h/ml이다. 따라서, 1 ng h/ml의 DHEA의 경구 투여 후에는 2개의 안드로겐 대사 산물의 조합 (ADT-G + 3α-디올-G)에 대한 42.1 ng h/ml의 AUC 값에 해당하는 반면, DHEA 크림의 적용 후, 1 ng h/ml의 DHEA 노출은 2개의 안드로겐 대사 산물의 총계에 대한 4.0 ng h/ml에 대응한다. 그러한 데이터는 경구 경로에 의한 DHEA의 투여는 최소한의 투약량을 사용하였을 때, 경피 투여에 비하여 대략 10배 높은 DHEA의 ADT-G 와 3α-디올-G으로의 전환 농도를 초래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DHEA 겔 투여 후 얻어진 데이터에 대하여 동일한 계산을 하였을 때, 1 ng h/ml의 DHEA에 대한 노출은 ADT-G + 3α-디올-G에 대한 2.7 ng h/ml의 AUC0 -24시 값을 수반하고, 따라서 경구와 경피 투여 사이에 일정하게 더 높은 비율을 나타낸다.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1 ng h/ml의 AUC0 -24시 값이 DHEA의 경구 투여 후 DHEA-S에 대한 660 ng h/ml의 AUC0 -24시 값을 초래하는 반면, 크림 또는 겔 형태의 전구체 스테로이드의 도포 후에는 73 ng h/m와 99 ng h/ml의 상응하는 값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시험된 질환 하에서, DHEA의 경피 투여에 비하여 경구 투여 후, 순환 DHEA에 대한 동일한 노출 (혈청 AUC0 -24시 값) 후의 순환 내의 DHEA-S의 양이 6.7배 내지 9.0배 더 높다. 현 데이터는, 혈청 DHEA-S, ADT-G 및 3α-디올-G 농도에서의 위 창자관과 간을 통한 DHEA의 통과와 비슷한 영향을 보인다.
비록 더 낮은 차이를 보였지만, 전구체 스테로이드의 경피 투여에 비하여 DHEA의 경구 투여한 경우에 혈청 4-디온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DHEA의 경구 투여 후, DHEA AUC0 -24시의 1 ng h/ml 값은 0.3 ng h/ml 4-디온 AUC0 -24시 값을 초래하는 반면, 크림 또는 겔 형태의 DHEA의 적용 후에는 각각 0.08 ng h/ml와 0.11 ng h/ml의 값이 관찰되었다. 순환 내에서 관찰된 바와 같이, 따라서 DHEA의 4-디온으로의 전환은 DHEA의 경피 적용에 비하여 경구 투여시에 2.70 내지 3.76배 더 높다.
표 5의 데이터는, 4 g의 10% DHEA 크림과 겔을 매일 경피 투여할 때에는 혈청 DHEA 농도가 각각 406%와 249%까지 증가한 반면, 100 mg DHEA를 매일 경구 투여한 후에는 치료 전 기본 농도에 비하여 대조군에 비하여 167%까지 DHEA AUC0 -24시 값이 증가하였음을 나타낸다. 100 mg은 경구 투여된 것에 비하여 400 mg의 DHEA는 피부에 도포하였기 때문에, 직선으로 가정하면, 현 데이터는 경구 투여가 DHEA 크림과 겔 제형을 사용한 것에 비하여 각각 2.9, 4.8배 더 효과적임을 나타낸다.
또한, 폐경기 후 여성 내에서 수행한 본 연구는, 150 mg와 300 mg의 미분화된 DHEA의 경구 투여는, 300 mg 투약 후에는 대략 1.5 mg/ml, 15 ng/ml 및 2.75 ng/ml, 150 mg DHEA 투약 후에는 각각 10 ㎍/ml, 12 ㎍/ml 및 1.6 ng/ml의 최대 혈청 DHEA-S, DHEa와 테스토스테론을 야기한다 (Buster et al. 1992). 이러한 초기의 결과물의 검토는, 혈청 DHEA-S 내에서의 20배 증가는 혈청 테스토스테론 내의 단지 6.9배 증가를 초래한 반면, 혈청 DHEA는 11.6배 증가하였음을 나타낸다. 더욱이, 방사면역측정법 내에서 비특이적 결합이 3분의 2인 것을 고려하여 측정된 혈청 테스토스테론 값은 3분의 1로 조정할 때, 150 mg DHEA 투약량의 투여 후 12시간 동안 혈청 테스토스테론 농도가 생리학적 농도 내에 유지되었다 (Buster et al. 1992).
혈청 DHEA에 대한 경구와 경피 경로 사이에서 관찰된 유사한 차이가 17β-수산화스테로이드 탈수소효소에 의하여 DHEA에서 직접적으로 전환되는 5-디올에 대하여도 나타났다 (Labrie, Luu-The, et al. 2000). 사실상, 5-디올 AUC0 -24시 값은 100 mg DHEA의 경구 투여 후, 대조군에 비하여 대략 138%까지 증가한 반면, 400 mg의 DHEA 크림과 겔의 투여 후에는 각각 363%와 218%까지의 증가가 측정되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른 몇몇 영장류의 동물과 함께 인간은, 4-디온으로 전환되고, 이어서 말초 인트라크라인 조직 내의 강한 안드로겐 및/또는 에스트로겐으로 전환되는 전구체 스테로이드 DHEA와 DHEA-S를 다량으로 분비하는 부신을 갖는 점에서 독특하다 (Labrie, 1991; Labrie, Belanger et al. 1995; Labie et al. 1996; Labrie, Luu-The et al., 1997; Simpson, 2000; Labrie, Luu-The et al., 2005; Labrie, Poulin et al., 2006 and Labrie, Belanger et al. 1998). 따라서, 정교한 내분비와 인접 분비를 보유하는 것에 더하여, 주로 말초 조직 내에서 확립된 성스테로이드 형성을 갖는 인간은 주목할 만하다 (Labrie, 1999 and Belanger, et al. 1998). 사실상, 난소와 고환은 하위 포유류 내의 안드로겐과 에스트로겐의 독점적인 원천인 반면, 환경은 사람과 고위 포유류 내에서는 서로 매우 달라서, 활성 성스테로이드는 말초 조직 내에서 많은 부분 또는 국부적으로 완전히 합성되고, 따라서 국부적으로 필요한 성스테로이드의 형성과 대사 산물의 조정이 조절되는 표적 조직을 제공한다.
6 내지 8세의 어린이의 아드레날키(부신의 남성 호르몬) 동안에 DHEA와 DHEA-S의 부신 분비는 증가하고, 순환 DHEA-S는 20 내지 30세 사이에서 최대값에 도달한다. 따라서, 혈청 DHEA와 DHEA-S 농도는 뚜렷하게 감소한다 (Belanger et al. 1994). 사실상, 70세에는 혈청 DHEA-S 농도가 그것의 최고 값의 대략 20%로 감소하는 반면, 85 내지 90세에는 95%까지 감소될 수 있다 (Belanger et al. 1994)와 (Migeon et al., 1957). 노화 중 부신에 의한 DHEA와 DHEA-S의 형성의 70-95% 감소는 말초 표적 조직 내의 안드로겐과 에스트로겐의 형성의 급격한 감소를 야기한다 (Labrie, Belanger et al., 2006). 말초 조직 내의 성스테로이드의 형성의 뚜렷한 감소는 노화와 관련된 연속의 질병의 발병 내에 잘 포함될 수도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말초 표적 조직 내에서의 DHEA와 DHEA-S의 활성 안드로겐 및/또는 에스트로겐으로의 전환은 각 세포 종류 내의 다양한 스테로이드 생성과 대사 작용 효소의 발현 농도에 좌우된다 (Labrie, 1991). DHEA와 DHEA-S의 안드로겐 및/또는 에스트로겐으로의 전환을 담당하는 스테로이드 생성 효소를 코딩하는 대부분의 조직 특이적인 유전자 구조의 설명은 이 영역 내에서의 급격한 진행을 가능하게 한다 (Labrie, Belanger et al, 1995; Labrie, Luu-The et al., 1997; Labrie, Simard et al., 1996; Labrie, Luu-The et al., 2005; Labrie, Poulin et al., Labrie, Luu-The, et al. 2000, Labrie, Sugimoto, et al. 1992, Labrie, Simard et al, 1992; Luu-The, et al. 1995; and Labrie, Durocher et al. 1995).
정상적인 여성에 있어서 안드로겐 대사 산물의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의 존재를 보여주는 데이터 (Labrie, Belanger et al. 1997; Labrie, Belanger et al. 2006; Labrie, and Belanger, et al, 2007)는 안드로겐이 주요한 생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강하게 제시하지만, 여전히 여성 내에서의 역할은 과소평가되고 있다. 여성에 있어서 20 내지 30세에서 40 내지 50세로의 혈청 DHEA 내에서 일어나는 44.5%의 하락 (Belanger et al., 2006)은 폐경기가 진행되면서 뼈 손실을 잘 설명할 수 있다. 사실상, 나이와 관련된 뼈 손실은 40대에 시작하고 골 교체의 변화는 폐경기 훨씬 전에 발견된다고 보고되어 있다 (Mazess 1982; Riggs, et al. 1981, and Johnston et al. 1985). 이러한 결과물과 일치하게, 폐경기 전에 대하여 폐경기 전후기로 분류되는 여성에서 관찰되는 모든 지점에서 골밀도가 더 낮았다 (Steinberg, et al., 1989). 이러한 결과물과 일치하게, 폐경기 시에 갑자기 중단되는 난소 에스트로겐 분비의 감소보다 부신에 의하여 분비되는 전구체 안드로겐 내의 변화가 10년 내지 20년까지 앞선다 (Labrie, Belanger et al. 2006).
혈청 DHEA와 DHEA-S가 21세와 50세 사이에서 50%까지 감소되는 것뿐 아니라 혈청 테스토스테론에 대해서도 유사한 감소가 관찰된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Zumoff et al. 1995). 그러한 데이터는, 부신의 안드로겐 전구체의 분비의 이른 감소와 혈청 테스토스테론 내의 유사한 감소를 보상하기 위하여 폐경기 초기에 안드로겐 또는 그들의 전구체(들)로의 호르몬 대체 치료를 시작하여야 한다는 것을 잘 제안할 수 있다 (Labrie, 2006).
말초 표적 조직 내에서 합성된 활성 안드로겐과 에스트로겐은 기원 세포 내에서 그들의 활성을 행사하고, 활성 성스테로이드의 확산은 거의 일어나지 않으며, 따라서 결과적으로 순환 내에서는 농도가 매우 낮다. 사실상, 이전에 관찰하고 (Labrie, Belanger et al., 1997) 본 연구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테스토스테론, E1 또는 E2의 혈청 농도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거나 최소한의 변화가 나타나는 반면, DHEA 투여의 가장 두드러진 효과는 DHT의 대사 산물의 글루쿠로나이드 유도체, 즉 ADT-G와 3α-디올-G의 순환 농도에서 나타난다. 이러한 활성 스테로이드는, 아드레날 전구체 DHEA와 DHEA-S로부터 DHT를 합성하는 적절한 스테로이드 생성 효소뿐 아니라 DHT에서 비활성 대사 산물 ADT와 3α-디올로 전환하고 추가로 글루쿠로닐화에 의하여 변경되는 효소를 지니는 말초 인트라크라인 조직 내에서 국부적으로 생성된다 (Belanger et al. 2003).
최근 연구에서, 매일 50 mg의 DHEA를 경구 투여하면 DHEA와 ADT-G는 유사한 정도 (80-90%)까지 증가한 반면, 혈청 테스토스테론 또는 DHT에서는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Arlt et al. 2001). 다른 연구에서, 매일 25 mg의 DHEA를 6개월 동안 투여한 경우, 폐경기 후 여성의 투약 전 DHEA-S의 혈청 농도는 0.55 ㎍/ml에서 약 1.4 ㎍/ml로 증가하였다 (Casson et al. 1998). 그러나 DHEA의 마지막 투여 후 23시 시점에서 측정된 혈청 DHEA와 테스토스테론 농도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다른 연구에서는, 매일 50 mg의 DHEA의 경구 투약은 폐경기 전 범위 이내의 혈청 안드로겐 농도를 초래한다는 것을 나타냈다 (Buster et al. 1992).
본 데이터는, 특정 말초 인트라크라인 조직 내에서 DHEA와 DHEA-S가 그들이 합성된 장소에서 생물학적 효과를 행사할 수 있고 순환 중에 활성 스테로이드의 방출이 없거나 적은 활성 안드로겐 및/또는 에스트로겐으로 전환된다는 것을 명확하게 증명한다. 따라서, 테스토스테론, E1 또는 E2의 혈청 농도 내의 변화는 DHEA에서의 안드로겐 또는 에스트로겐의 형성의 매개 변수로서 사용될 수 없다 (Labrie, Belanger et al., 2006). 사실상, 활성 스테로이드는 그들이 합성되고 그들의 활성을 비활성 글루쿠로닐화 및 황산화하고 마침내 세포 밖의 구획으로 확산되고 순환 중에 측정될 수 있는 동일한 세포 내에서 대사 작용을 한다 (Labrie, Belanger et al. 2006; Labrie, Belanger et al. 1997 and Labrie, Belanger et al. 2007). 안드로겐의 복합 대사 산물의 측정은 여성의 총 안드로겐 풀의 정확한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유일한 접근법이다. 비록 에스트로겐 대사 산물과 그들의 대사 산물의 동정의 정확한 평가를 확립하는 것이 남아있지만, 에스트로겐에 대하여 유사한 상황이 존재한다.
실시예 3
ERC -210 임상 실험
질 내 DHEA , 질 위축증의 생리적 치료
대상자와 방법
이 연구는 50명의 대상자의 치료군 (총 200명 대상자에 대한)의 3상 시험, 전향적 시험, 다기관 시험, 무작위 추출 시험, 위약 효과 통제 시험, 그리고 이중 맹검 시험이다. 200명의 폐경기 후 여성들에게 무작위로 0.0%, 0.25% (3.25 mg DHEA), 0.5% (6.5 mg DHEA) 또는 1.0% (13 mg DHEA) 농도의 DHEA 오뷸을 도포용 도구로 매일 질 내에 적용하였다. 이 연구는 2 단계, 즉 검사단계와 12주 동안의 치료 단계로 구분된다.
포함 기준은 다음과 같다:
- a 또는 b 또는 C를 만족하는 폐경기 후 여성:
a. 최소 1년간 생리가 없음, 또는
b. 6개월 이상(≥) 12개월 미만(<) 생리가 없고 FSH 농도는 ≥ 40 mlU/mL (Day 1 이전 60일 이내)이거나, 자궁 절제술 당시 폐경기 전인 자궁이 적출된 여성, 또는
c. 양쪽 난소 절제술 후 6주 이상(방문 검사시).
- 하기의 증상 중 최소 하나가 중증 (中症) 내지 중증 (重症) 정도라고 스스로 인정한 여성:
·질 건조증 (증상 없음, 경증 (輕症), 중증 (中症) 또는 중증 (重症)).
·질 및/또는 외음부 염증/가려움 (증상 없음, 경증, 중증 또는 중증).
·성행위와 관련된 질 고통 (증상 없음, 경증, 중증 또는 중증).
여성은 치료 시작 시점에서 자신에게 가장 성가신 증상을 확인하여야 한다. 이 증상의 변화가 수반될 것이고 치료 효과를 평가하는데 제공될 것이다.
- 40 내지 75세의 여성.
- 연구에 참여할 의지가 있고 미리 알려준 합의 사항에 서명.
- 낮은 성숙 지수를 갖는 여성 (질 도말 표본에서 상피 세포의 5% 보다 유도부분이 크지 않음).
- 질 내 pH가 5를 넘는 여성
- 연구 시작의 9개월 이내에 정상적인 유방 조영술.
- 정상 유방 검사.
- 최소 12개월 이내(1일째)의 정상 PAP 도말 표본 (염증 변화를 포함하는). 자궁이 절제된 여성이 경우에는, PAP 도말 표본은 최소 하나의 슬라이드로 구성될 것이다.
- 이전 또는 현재 마약 중독 또는 알콜 중독이 없음.
- 체질량지수 (BWI) (WHO)에 따른 이상적인 체중의 18.5 내지 35의 범위 이내인 체중.
- 간 또는 신장 장애가 없거나 약 또는 스테로이드 대사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진 질환이 없음.
- 정상적인 기준치 혈액학, 임상화학, 그리고 요검사.
- HIV1/HIV2와 간염 B와 C에 대한 혈청 테스트가 음성.
배제 기준은 다음과 같다:
- 진단 미확정의 비정상적인 생식기 출혈.
- 피부암(흑색종이 없는)을 제외한 암의 조기 진단.
- 검사에서 수행된 생체 검사에서 자궁 내막 비후 또는 자궁 내막 암.
- 혈전색전증 질병의 활성 또는 병력.
- 유의한 대사 또는 내분비 질병.
- 임상적으로 유의한 위장, 간 또는 쓸개 질병.
- 종래 치료에 의하여 조절되지 않는 재발 편두통.
- 종래 치료에 의하여 조절되지 않는 당뇨병.
- 이전의 호르몬 치료에서 유의한 합병증.
- 연구 시작 전의 3개월 이내 (검사 방문)의 에스트로겐 단독 주사약 치료 또는 프로게스틴 이식의 사용.
- 연구 시작 전 6개월 이내의 에스트로겐 펠렛 또는 프로게스틴 주사약의 사용.
- 기준 평가 전 8주 내에 경구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틴 또는 DHEA 노출 또는 자궁 내의 프로게스틴 치료.
- 기준 평가 전 4주 이내의 질 호르몬 상품 (환, 크림 또는 겔) 또는 경피 에스트로겐 단독 또는 에스트로겐/프로게스틴 상품.
환자들은 하기와 같이 휴약할 수 있지만, 질 위축증에 대한 설문은 필수 휴약 기간 이후에도 응답해야 한다:
·경구 에스트로겐, DHEA 및 또는 프로게스틴 치료를 위한 최소 8주간의 휴약 기간.
· 경피 호르몬 치료 전, 최소 4주 휴약 기간.
· 질 건조증에 국부적으로 전달되는 호르몬 대체 치료를 위한 최소 4주의 휴약 기간.
· 에스트로겐 펠렛 치료 또는 프로게스틴 주사약 치료 이전 6달.
· 자궁 내의 프로게스틴 치료 이전 8주 이상.
· 프로게스틴 주입과 에스트로겐 단독 주사약 치료 이전 6개월 이상.
- 방문 검사 전 3개월 이내에 안드로겐 또는 아나볼릭 스테로이드로 종래 치료.
- 연구 시작 6주 이내에 경구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치료.
- 어떤 만성적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사용도 허용되지 않는다 (간헐적 코 스프레이 또는 피부, 눈 또는 귀의 국부 사용은 허용)
- 심부전 또는 분명한 관상 동맥 심장 질병.
- 160/95 mm Hg 이상 또는 표준 치료로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
- 임상적으로 유의한 우울증의 확인 또는 심각한 정신적 방해 병력의 확인.
- 검사 방문 30일 이내에 임의의 조사 약의 투여.
- 임상적으로 관련 있는 이상 혈청 생화학 또는 혈액학.
- 저등급 편평 상피내 병변 또는 그보다 나쁜 것을 나타내는 기준치 자궁 경부 세포학.
- 1일 10개피 이상의 흡연.
- 에스트로겐의 대사를 간섭하는 약 (예컨대, 케토콘아졸, 스테로이드 형성 또는 활성 저해제).
- SERM 또는 스테로이드 수용체에 간섭하는 약.
- 산부인과 검사에서 자궁 섬유종의 존재가 알려졌거나 감지할 수 있는 경우.
- 응고 장애 또는 항응혈제 약 치료.
실험실 조사
보통의 실험실 조사, 즉 혈액 검사 (완전한 혈액 혈구 데이터와 응고물을 포함), 혈액의 화학적 분석과 요검사를 모든 방문자에게 수행하였다. 혈청 FSH는 6개월 이상 12개월 미만 동안 생리가 없는 여성 또는 자궁절제술 시점에서 폐경기 전인 여성들에 대해서만 측정하였다. DHEA, DHEA-S, 안드로스트-5-엔-3β,17β-디올 (5-디올),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 (DHT), 테스토스테론 (testo), 안드로스테네디온 (4-디온), 에스트론 (E1), 에스트라디올 (E2), E1-S, 안드로스테론 글루쿠로니드 (ADT-G), 안드로스탄-3α,17β-디올 3G (3α-디올-3G) 및 3α-디올-17G의 혈청 스테로이드 농도를, 기술한 바와 같이 질량 분석계의 CHUL Research Center, 분자 내분비학의 실험실 (Laboratory of Molecular Endocrinology)에서 측정하였다 (Labrie, Belanger et al. 2006; Labrie, Belanger et al. 2007; Cusan et al. 2008).
질 내 pH 와 세포
성숙 지수와 파파니콜라우 (PAP) 도말을 위하여, 모든 시료를 섭생 치료에 대해서는 알지 못하는 동일한 세포 병리학자 (Dr. Robert Dube, Department of cytology pathology, Enfant-Jesus Hospital, Quebec City, Canada)가 검사하였다. 100개의 세포를 상피 (S), 중간 (I), 기저 (P), 편평 상피 세포 종류로 분류하였다 (Meisels 1967; Wied 1993).
질 도말은 Ayre spatula 도구의 둥근 가장자리로 질의 가장자리 벽의 3분의 1 지점에서 긁어서 얻는다. 이어서, 상기 물질을 유리 슬라이드에 도포하고 즉시 Spray-Cyte로 고정시킨다. 성숙 지수의 측정을 위하여 이 시료를 central laboratory로 보냈다.
질 내 pH는 겸자로 질의 외측에 직접적으로 pH 지시 스트립을 적용하여 측정하였다. 파파니콜라우 (PAP) 도말을 위하여- 12개월 내로 유지되지 않으면, 경관 내부, 경관 외부와 질 둥근 천장으로부터 시료를 얻고 cytospray로 즉시 고정하였다. 시료는 Ayre spatula로 수집하였다.
자궁내막 생검
자궁내막 생검은 검사, 그리고 연구의 마지막 3개월에 수행하였다. 모든 생검은 central laboratory에서 동일한 병리학자에 의하여 관찰되었다 (Dr. Robert Dube, Department of cytology pathology, Enfant-Jesus Hospital, Quebec City, Canada).
질 검사
2, 4, 8 그리고 12주의 동일한 시간 간격에서, 각 부위를 당당하는 부인과 전문의 또는 내과의가 질 위축증의 주요 증상, 즉 질 분비물, 질 색깔, 질 상피 상태와 질 상피 표면 두께에 대하여 증상의 정도 (각각 0, 1, 2 및 3의 값을 사용하여 증상 없음, 경증 (輕症), 중증 (中症) 또는 중증 (重症)으로 분석)를 측정하였다. 도 26 내지 도 29에서 볼 수 있는 것 같이, 질 위축증의 4가지 증상 모두에 대하여 시간 의존 투약 관련 그리고 통계적으로 확연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사실상 부인과 전문의 또는 내과 전문의에 의하여 관찰된 유리한 효과는, 여성들이 가장 성가신 증상이라고 그들 스스로 진단하여 보고한 것과 거의 겹칠수 있다.
검사 시, 이어서 1일째, 2주, 4주, 8주, 그리고 12주에 질 검사를 수행하였다. 질 분비물, 질 색깔, 질 상피 상태와 질 상피 표면 두께를 증상의 정도에 따라 증상 없음, 경증, 중증 또는 중증으로 측정하였다. 괴로움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a) 질 분비물
위축 없음: 질벽의 정상적인 투명한 분비물에 주목.
경증: 분비물로 표피가 덮혀져서, 질경 삽입이 어려움.
중증 (中症): 질 둥근 천장 전체를 덮지 않은 것이 거의 없어서, 고통 없이 질경을 삽입하려면 윤활유가 필요할 수 있다.
중증 (重症): 분비물이 없음, 염증, 궤양에 주의, 고통 없이 질경을 삽입하려면 윤활유가 필요하다.
b) 질 상피 상태
위축 없음: 정상.
경증: 긁으면 질 표면에서 출혈.
중증: 가벼운 접촉에도 질 표면에서 출혈.
중증: 접촉 전에 질 표면이 점상 출혈을 가지며, 가벼운 접촉에 출혈.
c) 질 상피 표면 두께
위축 없음: 질 둥근 천장의 주름과 탄성.
경증: 질 둥근 천장의 다소 탄성이 있는 열악한 주름.
중증: 매끈함, 질 둥근 천장의 다소 탄성.
중증: 매끈함, 탄성 없음, 질의 상부 1/3의 수축 또는 질 탄력의 결손 (방광류와 직장류).
d) 질 색깔
위축 없음: 분홍.
경증: 밝은 색.
중증: 옅은 색.
중증: 투명함, 색이 없거나 염증이 있음.
통계학
관찰 횟수, 평균 또는 타당한 경우 기하학적 평균, 표준 편차, 상기 평균의 표준 오차, 95% 양측 신뢰 구간 (CI), 연속 변수에 대한 중앙값, 최소값과 최대값, 유형별 데이터에 대한 유형당 수와 백분율을 나타낼 요약표가 작성되게 된다. 통계학적 분석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0.05의 양측의 유의성 농도로 수행되게 된다. 요약 범주는 일반적으로 DHEA 치료의 투약 농도, 즉 0% (위약), 0.25%, 0.5% 및 1.0%의 DHEA로 구성된다.
분석용 초기 종말점은 다음의 것으로 구성되게 된다.
대상자에 의해서 대상자가 본인을 가장 성가시게 하는 것으로 확인된 중증 (中症) 내지 중증 (重症)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개선. 그 증상의 정도는 그 증상의 심각성의 증가, 증상 없음, 경증 (輕症), 중증 (中症) 또는 중증 (重症)에 기초한다. 이들 등급은 각각 0, 1, 2 및 3의 값을 사용하여 분석하게 된다. 모든 대상자들은 2 또는 3으로 등급된 최소한 1개의 기준치기준치 가져야 한다. 관심 증상은 질 건조증, 질 및/또는 음문 염증/가려움, 성행위와 관련된 질 고통이다.
통계적으로 기저 세포 내에서는 상당히 감소하고, 통계적으로 표면 세포 내에서는 상당히 증가한다. 데이터는 백분율로 측정하였다. 또한, 성숙값이 계산될 것이다.
질 pH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저하.
분석 집단
치료 목적 (ITT)의 집단은 기준치와 최소한 1개의 후기준치 효험 평가가 된 치료 환자로 구성되게 된다. 잘못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대상자는 무작위로 분석되게 된다. 이 분석 집단은 최초 분석 집단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후기준치 관찰을 놓친 이 집단 중의 대상자는 효능 분석용으로 이월시킨 최종값을 갖게 된다.
시험을 완료한 (PP) 집단은, 효험 데이터를 손상시킬 것으로 고려된 주요 프로토콜의 방해 없이 12주의 시간 시점을 통한 연구를 완료한 치료 개체군의 부분 집단으로 구성된다. 프로토콜 편차의 데이터 목록과 모니터링 보고의 검토에 기초하여, 맹목적인 연구로 끝나기 이전에 주요한 프로토콜 방해를 결정할 수 있다. PP 집단 내의 대상자는 대상자에 대한 프로토콜로 분류된 기간 내의 연구 치료에 필요한 지원자의 최소 90%가, 환자의 일지 데이터에 근거하여 치료받아야 한다. PP 개체군 내의 대상자는, 14일 동안에는 ±3일, 4주, 8주, 그리고 12주 동안에는 ±7일인 방문 공백 일정을 준수하여야 한다. 명백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잘못된 치료를 받았지만, 치료를 받은 대상자는 치료된 것 같이 PP 집단 내에서 분석될 것이고, 그들의 데이터를 손상시키는 다른 방해가 주어지지 않는다. PP 집단은 효과적인 데이터 분석을 위한 지원 집단이 될 것이다.
안전 집단은 시험 항목 (DHEA 또는 Placebo의 임의의 투약량) 중 하나가 투여된 모든 대상자와 임의의 안전성 정보를 갖는 대상자를 정의하는 것이다. 모든 안전성 데이터 분석은 이 집단에 기초할 것이다. 분석은 사실상 투여받은 치료에 기초할 것이다.
효능 평가
효능 분석은 ITT 집단에 주로 수행되고, Per-Protocol 집단은 효능 분석의 지지를 제공할 것이다. 주된 연구 목적은 질 위축증으로 고통받는 폐경기 후 여성의 DHEA의 국부적 활성에 대한 질 점막 매개 변수의 용량 반응을 평가하는 것, 특히 질 점막에서 최대 효과를 생성하는 DHEA의 최소 투약량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다루기 위한 공동으로 주요한 효능 종점은 기저 세포의 감소, 질 pH의 감소, 표면 세포의 증가 (총괄하여, 이러한 종점은 생리적 매개 변수로서 나타낼 수 있다)와 질 건조증, 질 및/또는 음문 염증/가려움, 성행위와 관련된 질 고통을 포함하는 대상자에 의해서 대상자가 스스로 보고한 가장 성가신 증상 (총괄하여, 이러한 종점은 증상 등급 매개변수로 나타낼 수 있다)이다. 이러한 주요 종점에 더하여, 성숙값이 또한 계산될 수 있다. 자가 보고한 증상은 다음 값, 각각 0, 1, 2 및 3의 값을 사용하여, 증상 없음, 경증 (輕症), 중증 (中症) 또는 중증 (重症)으로 분석된 값으로 등급을 매길 수 있다. 모든 종점은 위약군에 관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증명해야하고, 따라서 다수의 종점에서 요구되는 통계학적 조정이 없다.
분석을 위한 주요 시간위치는, 2, 4 그리고 8주에 대한 데이터의 추가 발표와 12주 평가일 것이다. 기준치로부터 기춘지 이후의 (후기준치) 변화 측정은 위약군 내에서의 차이뿐 아니라 분석을 위해 사용될 것이다.
결과
기저 세포는 보통 질 위축증의 최소 중간 내지 심각한 증상으로 고통받는 폐경기 후 여성의 질 도말에 있어서 지배적인 범주이기 때문에, 도 22와 표 6에서 치료 2주 시점에서, 가장 낮은 DHEA 투약량 (0.25%)이 56.0에서 26.5%로 29.5±0.51%까지 기저세포의 %를 감소시키는 반면, 동일한 시간 간격에서 0.5%와 1.0% DHEA 투약으로는 각각 37.8±0.46%와 36.6%의 감소를 볼 수 있다. 12주의 치료 표준 기간에서, 0.25%, 0.5%와 1.0% DHEA 투약에서 각각 39.5±0.57% (p<0.000001의 감소), 45.6±0.55% (p<0.000001)와 45.2±0.53% (p<0.000001)가 관찰된 반면, 임의의 시간 간격 시점에서 위약군 내에서는 유의한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표면 세포 내에서의 % 변화에 대한 위약군 내의 12주 시점에서는 유의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표 6), 0.25%, 0.5%와 1.0%의 DHEA 투약에서는 각각 3.96±0.10% (p=0.0002), 6.71±0.14% (p=0.00001)와 5.92±0.12% (p=0.00001)의 증가가 측정되었다. 또한, 0.5%의 DHEA 투약시, 2주 시점에서 48.0%의 최대 효과에 도달한 반면, 4주와 8주 시점에서는 84.8%와 99.0%의 최대 효과가 달성되었음을 볼 수 있다. 1.0%의 DHEA 투약시, 2주 시점에서 이미 최대 효과가 도달하였다. 도 23은 서로 다른 DHEA 투약과 시간 간격에서의 표면 세포의 %의 절대값을 도시한다.
질 pH는 12주 시점에서, 위약군 내에서는 6.52±0.13 유닛에서 0.47±0.11까지 감소한 반면 (표 6, 도 24), 0.25%, 0.5%와 1.0%의 DHEA로 치료된 군에서는 각각 6.49±0.12 유닛에서 1.12±0.11 (p=0.0005)까지, 6.56±0.13 pH 유닛에서 1.35±0.3까지, 6.34±0.3 pH 유닛에서 1.39±0.14까지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표 7). 동일한 표 내에서, 0.5%의 DHEA 투약시점에서, pH에 대한 최대 효과(1.36 pH 유닛의 감소)가 70.6%와 94.1%로 각각 2주, 4주 치료시 달성되었다. 반면, 낮은 0.25%의 DHEA 투약시, 12주 시점에서 0.5%의 DHEA의 최대 효과의 오직 83.0% 도달하였다. 0.50%와 1.0%의 DHEA 투약 사이에서의 4, 8, 그리고 12주 시점에서의 pH의 변화에서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표 7). 도 24는 서로 다른 DHEA 투약시와 시간 간격에서의 pH 절대값을 도시한다.
모든 여성들은 스스로 중증 (中症) 내지 중증 (重症)이라고 측정한 질 위축증의 다음 증상, 건조증, 질 또는 음문 염증/가려움 또는 성행위 시의 질 고통 중 1개 이상 등록 시에 갖는 것이 요구된다. 증상 없음, 경증, 중증 (中症) 또는 중증 (重症)으로 보고되는 스스로 확인한 증상은 각각 0, 1, 2 그리고 3의 값을 사용하여 분석된다. 표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주 간격 시점에서, 가장 성가신 증상의 심한 정도는 위약군 내에서는 0.67±0.15까지, 0.25%의 DHEA 군 (p=0.004 대 위약군) 내에서는 1.27±0.16, 0.5% DHEA를 투여(p<0.0001 대 위약군)한 군 내에서는 1.56±0.14, 그리고 더 높은 1.0 DHEA 투약량 (p=0.0008 대 위약군)을 투여받은 군 내에서는 1.37±0.14로 감소하였다. 도 25는 서로 다른 DHEA 투약과 시간 간격에 있어서의 가장 성가신 증상의 상승 정도를 도시한다. 질 건조증, 성행위와 관련된 고통과 질 및/또는 음문 염증/가려움은 가장 성가신 증상으로서 기준치로 확인하였다. 위약군 내에서는, 질 건조증은 참여자에 의하여 보고된 증가 %로 설명된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성가신 증상의 증가는 0.25%의 DHEA 투약 시점에서 이미 매우 상당히 차이가 났다 (p=0.004). 12주 시점에서 변화가 없거나 1점 더 나빠진 여성의 비율은 위약군 내에서의 53.5%에서 0.25%, 0.5% 그리고 1.0% 군 내에서 각각 27.5%, 17.8% 그리고 19.6%였다 (표 9). 증상의 2 또는 3 범주의 증가는 위약군 내에서는 치료받은 여성의 21.8%에서 관찰된 반면, 0.25%, 0.5%, 1.0% DHEA 제형을 투여받은 여성에서는 50.0%, 53.3%, 그리고 47.9%에서 그러한 증가가 보고되었다. 위약군 내에서는 단지 4.6%의 여성만 중증 (重症)에서 증상 없음으로 증상이 감소되어, 동일한 DHEA로 치료한 군 내에서는 7.5%, 20% 그리고 10.9%인 것과 비교된다.
각 연구 부위에서 임상 실험을 담당하는 부인과 전문의 또는 내과 전문의가 질 위축증의 주요 증상, 즉 질 분비물, 질 색깔, 질 상피 상태와 질 상피 표면 두께에 대한 증상의 정도 (증상 없음, 경증, 중증 (中症) 또는 중증 (重症)을 각각 0, 1, 2, 그리고 3의 값을 사용하여 분석함)를 측정하기 위한 질 검사를, 2, 4, 8 그리고 12주의 동일한 시간 간격 시점에서 수행하였다. 도 26 내지 도 29에서 볼 수 있는 것 같이, 질 위축증의 4가지 증상 모두에 대하여 시간 의존, 투약량 관련 그리고 통계적으로 확연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사실상 부인과 전문의 또는 내과 전문의에 의하여 관찰된 유리한 효과는, 여성들이 가장 성가신 증상이라고 그들 스스로 진단하여 보고한 것과 거의 겹칠 수 있을뿐 아니라 질 기저 세포와 표면 세포와 pH에 대한 효과는 DHEA 활성의 목적 매개 변수이다.
도 30과 도 31은 평균 24시 (치료의 1일과 7일에서 측정된 AUC0 -24시 값으로부터 계산) DHEA와 최근 연구 (Labrie, Cusan et al. 2008)에서 얻은 그것의 11개의 대사 산물의 혈청 스테로이드 농도를 도시한다. 오직 혈청 DHEA와 5-디올 (그리고 1일에서 4-디온)에서만 폐경기 후 여성 내에서 발견되는 값의 제한 내에서 상당하게 증가하였다 (Labrie, Belanger et al. 2006). 혈청 에스트로겐 (E1, E2, 및 E1-S) 뿐만 아니라 혈청 안드로겐 (testo 및 DHT)에는 유의한 영향이 없었다.
Figure 112013071278272-pat00007
Figure 112013071278272-pat00008
Figure 112013071278272-pat00009
Figure 112013071278272-pat00010
제약 조성물 실시예
하기의 제시는 실시예의 방법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고, 몇몇 제약 조성물은 좋기로는 활성 성스테로이드 전구체 DHEA를 이용한다. 활성 성분의 농도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넓은 범위에 걸쳐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성분의 양과 종류는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것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 A
Figure 112013071278272-pat00011
실시예 B
Figure 112013071278272-pat00012
DHEA 좌약은 위텝솔 (Whitepsol) H-15 기제 (Medisca, Nontreal, Canada에서 구입 가능)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었다. 다른 친유성 기제로서,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버터, 코코아 버터, 코토마, 디하이댁 기제, 파티기제 (Fattibase), 헥사리드 베이스 95, 하이드로코트 (Hydrokote), 슈포시레 (Suppocire), 웨코비 (Wecobee), 테오브로마 오일, 자포시레 (Japocire), 오부시레 (Ovucire), 모노글리세 또는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C
Figure 112013071278272-pat00013
질 또는 경구 젤라틴 캡슐
DHEA에 대한 다른 성스테로이드 전구체는 상기 제형 내에서 대체될 수 있다. 복합 중량%의 경우에 포함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전구체는 좋기로는 상기 실시예 내에서 주어진 단일 전구체에 대한 중량%이다.
본 발명은 좋기로는 구체예와 실시예에서 기술하였으나, 그로 인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청구된 특허에 의하여 본 발명의 넓은 적용 가능성과 범위가 축소되지 않는다는 것을 손쉽게 알 수 있다.

Claims (29)

  1. 폐경 후 여성의 폐경으로 인한 증상 또는 질환의 치료 또는 발생 가능성의 감소를 위한 약학 조성물로서, 에스트로겐을 포함하지 않고, 디하이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 디하이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 설페이트, 안드로스트-5-엔-3β,17β-디올 및 4-안드로스텐-3,17-디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성스테로이드 전구체를 포함하며,
    상기 폐경으로 인한 증상 또는 질환은 질 위축증, 외음부질 건조증, 성선기능 저하증, 성욕 감퇴, 피부 위축증, 연결조직 질환, 요실금, 안면 홍조, 근육량 감소, 인슐린 내성, 피로, 에너지 감소, 노화 및 폐경의 물리적 증상과 징후로 이루어지는 질병의 군에서 선택되며,
    상기 약학 조성물은 상기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성스테로이드 전구체를, 안드로스테론 글루쿠로디드 (ADT-G), 안드로스탄-3α,17β-디올-3-글루쿠로니드 (3α-디올-3G) 및 안드로스탄-α,17β-디올-17-글루쿠로니드 (3α-디올-17G)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순환 안드로겐 대사물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치료량으로 질 내 투여하기 위해 제제화되는데, 상기 치료량은 환자에게 1일 13 mg 초과 내지 200 mg 이하의 양이며,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은 폐경 후 여성에게서 통상 나타나는 유방암과 자궁암의 위험을 감소시키고 골 손실, 지방 축적 및 2형 당뇨병을 예방하기 위해 복합 치료의 일부로서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자의 치료적 유효량과 함께 제제화되는 것으로서, 상기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자로 원치 않는 전신 에스트로겐 효과를 상쇄시키면서 안드로겐 효과를 얻기 위한 것인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자는 다음 화학구조를 갖는 것인 약학 조성물.
    Figure 112013071278272-pat00014
  3. 제1항에 있어서, 폐경으로 인한 증상 또는 질환은 질 위축증, 외음부질 건조증, 성욕 감퇴, 요실금 및 안면 홍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약학 조성물.
  4. 폐경기 여성의 질 질환 또는 증상을 치료 또는 발생 가능성의 감소를 위한 약학 조성물로서, 에스트로겐을 포함하지 않고, 디하이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 디하이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 설페이트, 안드로스트-5-엔-3β,17β-디올 및 4-안드로스텐-3,17-디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성스테로이드 전구체를 포함하며,
    상기 질 질환은 질 건조증, 외음부질 건조증, 질 가려움증, 질 위축증, 위축성 질염, 성교 통증, 성교시 질 출혈, 성기능 장애, 성욕 상실, 질벽 콜라겐섬유의 압축성 상실 및 질벽 근층 두께 저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며,
    상기 약학 조성물은 상기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상기 성스테로이드 전구체를, 안드로스테론 글루쿠로디드 (ADT-G), 안드로스탄-3α,17β-디올-3-글루쿠로니드 (3α-디올-3G) 및 안드로스탄-3α,17β-디올-17-글루쿠로니드 (3α-디올-17G)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순환 안드로겐 대사물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치료량으로 질 내 투여하기 위해 제제화되는데, 상기 치료량은 환자에게 1일 13 mg 초과 내지 200 mg 이하의 양이며,
    또한 폐경후 여성에게서 통상 발생하는 유방암 및 자궁암의 위험을 감소시키고 골손실, 지방 축적 및 2형 당뇨병을 방지하기 위해 복합 치료의 일부로서 치료적 유효량의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자와 함께 제제화되는 것으로서, 상기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자로 원치 않는 전신 에스트로겐 효과를 상쇄시키면서 안드로겐 효과를 얻기 위한 것인 약학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자는 다음 화학 구조를 갖는 것인 약학 조성물.
    Figure 112013071278272-pat00015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질 질환은 질 건조증, 질 위축증, 위축성 질염, 성교통증 및 성기능 장애로 이루어지는 질환의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약학 조성물.
  7. 삭제
  8.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투여될 때 질 내에 투여되는 것인 약학 조성물.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성스테로이드 전구체의 치료량은 하루에 200mg 이하인 것인 약학 조성물.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성스테로이드 전구체의 치료량은 하루에 100mg 이하인 것인 약학 조성물.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성스테로이드 전구체의 치료량은 하루에 50mg 이하인 것인 약학 조성물.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성스테로이드 전구체의 치료량은 하루에 25mg 이하인 것인 약학 조성물.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성스테로이드 전구체의 치료량은 하루에 100mg 이하 또는 13mg 보다 많은 것인 약학 조성물.
  19. 삭제
  20. 삭제
  2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크림, 로션, 젤, 연고, 오뷸, 좌약 및 링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내 제제로서 투여되고, 상기 제제는 10% 이하의 성스테로이드 전구체를 함유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2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크림, 로션, 젤, 연고, 오뷸, 좌약, 링 으로부터 선택되는 질내 제제로서 투여되고, 상기 제제는 2.0% 이하의 성스테로이드 전구체를 함유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23. 삭제
  24.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성스테로이드 전구체는 디하이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인 것인 약학 조성물.
  2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희석제 또는 담체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성스테로이드 전구체는 디하이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이고, 상기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자는 하기 화학 구조의 아콜비펜인 것인약학 조성물.
    Figure 112013071278272-pat00016
  27. 질 위축증, 외음부질 건조증, 성선기능 저하증, 성욕감퇴, 피부 위축증, 연결조직 질환, 요실금, 안면 홍조, 근육량 감소, 인슐린 내성, 피로, 에너지 상실, 노화 및 폐경의 물리적 증상과 징후로 이루어지는 질병의 군에서 선택되는 폐경후 여성의 폐경으로 인한 증상 또는 질병의 치료 또는 발생 가능성의 감소를 위해 질 내 사용되는 에스트로겐을 포함하지 않는 키트로서,
    a) 디하이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 디하이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 설페이트, 안드로스트-5-엔-3β,17β-디올 및 4-안드로스텐-3,17-디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성스테로이드 전구체의 치료적 유효량을 함유하는 제1 용기, 여기서 상기 치료적 유효량은 환자에게 1일 13 mg 초과 내지 200 mg 이하의 양이다; 및
    b)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자의 치료적 유효량을 함유하는 제2 용기;
    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자로 원치 않는 전신 에스트로겐 효과를 상쇄시키면서 안드로겐 효과를 얻기 위한 것인 키트.
  28. 질 건조증, 외음부질 건조증, 질 가려움증, 질 위축증, 위축성 질염, 성교 통증, 성교시 질 출혈, 성기능 장애, 성욕 상실, 질벽 콜라겐섬유의 압축성 상실 및 질벽 근층 두께 저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폐경기 여성의 질 질환 또는 증상을 치료 또는 발생 가능성의 감소를 위해 질 내 사용되는, 에스트로겐을 포함하지 않는 키트로서,
    a) 디하이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 디하이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 설페이트, 안드로스트-5-엔-3β,17β-디올 및 4-안드로스텐-3,17-디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성스테로이드 전구체의 치료적 유효량을 함유하는 제1 용기, 여기서 상기 치료적 유효량은 환자에게 1일 13 mg 초과 내지 200 mg 이하의 양이다; 및
    b)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자의 치료적 유효량을 함유하는 제2 용기:
    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자로 원치 않는 전신 에스트로겐 효과를 상쇄시키면서 안드로겐 효과를 얻기 위한 것인 키트.
  29.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성스테로이드 전구체는 디하이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이고, 상기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자는 하기 화학식의 아콜비펜인 것인 키트.
    Figure 112013071278272-pat00017
KR1020137020819A 2007-08-10 2008-08-08 폐경기 치료용 dhea 조성물 KR1016381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6427007P 2007-08-10 2007-08-10
US60/964,270 2007-08-10
US96467307P 2007-08-13 2007-08-13
US60/964,673 2007-08-13
PCT/CA2008/001444 WO2009021323A1 (en) 2007-08-10 2008-08-08 Dhea compositions for treating menopaus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5355A Division KR101680287B1 (ko) 2007-08-10 2008-08-08 폐경기 치료용 dhea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805A KR20130103805A (ko) 2013-09-24
KR101638130B1 true KR101638130B1 (ko) 2016-07-08

Family

ID=4035031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5355A KR101680287B1 (ko) 2007-08-10 2008-08-08 폐경기 치료용 dhea 조성물
KR1020137020819A KR101638130B1 (ko) 2007-08-10 2008-08-08 폐경기 치료용 dhea 조성물
KR1020167005962A KR101850125B1 (ko) 2007-08-10 2008-08-08 폐경기 치료용 dhea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5355A KR101680287B1 (ko) 2007-08-10 2008-08-08 폐경기 치료용 dhea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5962A KR101850125B1 (ko) 2007-08-10 2008-08-08 폐경기 치료용 dhea 조성물

Country Status (28)

Country Link
US (5) US8268806B2 (ko)
EP (2) EP2185157B1 (ko)
JP (2) JP5725283B2 (ko)
KR (3) KR101680287B1 (ko)
CN (4) CN109893526A (ko)
AR (2) AR068702A1 (ko)
AU (1) AU2008286651B2 (ko)
BR (1) BRPI0815353A2 (ko)
CA (2) CA2696127C (ko)
CO (1) CO6260084A2 (ko)
DK (1) DK2185157T3 (ko)
EA (2) EA201200369A1 (ko)
EC (1) ECSP10010016A (ko)
ES (1) ES2888104T3 (ko)
HK (1) HK1217639A1 (ko)
IL (1) IL203747A (ko)
MA (1) MA31694B1 (ko)
MX (1) MX2010001627A (ko)
NO (1) NO20100300L (ko)
NZ (2) NZ583147A (ko)
PE (2) PE20140925A1 (ko)
PH (1) PH12013502291B1 (ko)
PT (1) PT2185157T (ko)
SA (2) SA111320726B1 (ko)
SG (3) SG10201601242TA (ko)
TN (1) TN2010000065A1 (ko)
TW (3) TWI565468B (ko)
WO (1) WO20090213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13390A (ja) * 1995-10-06 1999-11-16 アーチ デベロップメント コーポレイション 細胞殺傷のウイルス増強の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US6465445B1 (en) * 1998-06-11 2002-10-15 Endorecherche, Inc. Medical uses of a 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 in combination with sex steroid precursors
AP2365A (en) 2004-10-20 2012-02-20 Endorech Inc Sex steroid precursors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 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 and/or with estrogens and/or a type 5 CGMP phosphodiesterase inhibitor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vaginal dryness and sexual dysfunction in postmenopausal women.
KR20090029237A (ko) 2006-06-02 2009-03-20 피어 트리 파머슈티칼스 인코포레이티드 위축성 질염을 치료하는 방법
US9284345B2 (en) * 2007-04-12 2016-03-15 Endorecherche, Inc. 17alpha-substituted steroids as systemic antiandrogens and selective androgen receptor modulators
US8268806B2 (en) * 2007-08-10 2012-09-18 Endorecherche,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US20120071401A1 (en) * 2009-04-10 2012-03-22 Amylin Pharamaceuticals, Inc. Amylin agonist compounds for estrogen-deficient mammals
US20100317635A1 (en) * 2009-06-16 2010-12-16 Endorecherche, Inc. Treatment of hot flushes, vasomotor symptoms, and night sweats with sex steroid precursors in combination with 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s
US8580294B2 (en) 2010-10-19 2013-11-12 International Partnership For Microbicides Platinum-catalyzed intravaginal rings
BR112014012444B1 (pt) 2011-11-23 2021-12-14 Therapeuticsmd, Inc Composição farmacêutica compreendendo estradiol solubilizado, progesterona e um agente de solubilização, bem como usos desta para tratar um sintoma relacionado à menopausa em uma mulher
US9301920B2 (en) 2012-06-18 2016-04-05 Therapeuticsmd, Inc. Natural combination hormone replacement formulations and therapies
EP2799042A4 (en) * 2011-12-29 2015-02-11 Univ Chile VAGINAL RING WITH DHEA OR DHEA-SULPHATE AND, IF APPROPRIATE, A MEANS FOR MODULATING THE ACTIVE INFUSION TO INCREASE OVARIUM RESERVE IN WOMEN AND TO TREAT MENOPAUSAL SYMPTOMS
US20150196640A1 (en) 2012-06-18 2015-07-16 Therapeuticsmd, Inc. Progesterone formulations having a desirable pk profile
US10806740B2 (en) 2012-06-18 2020-10-20 Therapeuticsmd, Inc. Natural combination hormone replacement formulations and therapies
US20130338122A1 (en) 2012-06-18 2013-12-19 Therapeuticsmd, Inc. Transdermal hormone replacement therapies
US10806697B2 (en) 2012-12-21 2020-10-20 Therapeuticsmd, Inc. Vaginal inserted estradio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US20140045806A1 (en) * 2012-07-25 2014-02-13 Fernand Labrie Sexual arousal, sexual desire, orgasm and/or pleasure following intravaginal prasterone (dhea) administration in women not suffering or independently from dyspareunia or other symptoms of vulvo-vaginal atrophy
US11246875B2 (en) 2012-12-21 2022-02-15 Therapeuticsmd, Inc. Vaginal inserted estradio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US10568891B2 (en) 2012-12-21 2020-02-25 Therapeuticsmd, Inc. Vaginal inserted estradio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US10471072B2 (en) 2012-12-21 2019-11-12 Therapeuticsmd, Inc. Vaginal inserted estradio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US10537581B2 (en) 2012-12-21 2020-01-21 Therapeuticsmd, Inc. Vaginal inserted estradio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US9180091B2 (en) 2012-12-21 2015-11-10 Therapeuticsmd, Inc. Soluble estradiol capsule for vaginal insertion
US11266661B2 (en) 2012-12-21 2022-03-08 Therapeuticsmd, Inc. Vaginal inserted estradio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US10137031B2 (en) 2013-11-14 2018-11-27 International Partnership For Microbicides, Inc. Combination therapy intravaginal rings
US9744177B2 (en) 2014-03-10 2017-08-29 Endorecherche, Inc. Treatment of male androgen deficiency symptoms or diseases with sex steroid precursor combined with SERM
AU2015264003A1 (en) 2014-05-22 2016-11-17 Therapeuticsmd, Inc. Natural combination hormone replacement formulations and therapies
MX2016013693A (es) 2014-07-29 2017-10-31 Therapeuticsmd Inc Crema transdermica.
BR112017007916A2 (pt) * 2014-10-16 2018-01-23 Gtx Inc compostos sarms para tratamento de distúrbios urológicos
US10328087B2 (en) 2015-07-23 2019-06-25 Therapeuticsmd, Inc. Formulations for solubilizing hormones
US9862101B2 (en) 2015-12-22 2018-01-09 Varian Semiconductor Equipment Associats, Inc. Self-damping end effector
RU2618428C1 (ru) * 2016-03-24 2017-05-03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Лаборатория Матрикс" Комплексное косме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WO2017173044A1 (en) 2016-04-01 2017-10-05 Therapeuticsmd Inc. Steroid hormone compositions in medium chain oils
BR112018070199A2 (pt) 2016-04-01 2019-01-29 Therapeuticsmd Inc composição farmacêutica de hormônio esteroide
US10285998B1 (en) 2018-04-04 2019-05-14 The Menopause Method, Inc. Composition and method to aid in hormone replacement therapy
CN109350624A (zh) * 2018-05-25 2019-02-19 泓博元生命科技(深圳)有限公司 含有nmn和dhea的女性保健组合物、制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9364171A (zh) * 2018-05-25 2019-02-22 泓博元生命科技(深圳)有限公司 含有nadh和dhea的卵巢保养组合物、制剂及其制备方法
AU2020252104A1 (en) * 2019-03-29 2021-11-18 Martin DOORBAR Segmented eva intravaginal rings
JP6945874B2 (ja) * 2019-12-24 2021-10-06 一般財団法人バイオダイナミックス研究所 経口投与用医薬組成物
US11633405B2 (en) 2020-02-07 2023-04-25 Therapeuticsmd, Inc. Steroid hormone pharmaceutical formulations
WO2024068968A1 (en) * 2022-09-29 2024-04-04 Rigshospitalet Inhibition of luteinizing hormone (lh) action as treatment of peri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symptoms and complicatio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1484A (ja) * 1998-06-11 2007-08-02 Endorecherche Inc 選択的エストロゲン受容体モジュレーターと性ステロイド前駆体の組合せの医学的使用

Family Cites Families (8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4924A (ja) * 1986-10-20 1988-05-10 Kanebo Ltd 膣坐剤
US4835147A (en) 1987-05-06 1989-05-30 City Of Hope Dehydroepiandrosterone therapy for ameleoration of prostate hypertrophy and sexual dysfunction
US5395842A (en) * 1988-10-31 1995-03-07 Endorecherche Inc. Anti-estrogenic compounds and compositions
US5407684A (en) * 1988-12-30 1995-04-18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Use of DHEA as a medicinal
US5246704A (en) * 1989-01-23 1993-09-21 Kanebo, Ltd. Vaginal suppository
AU5281990A (en) 1989-03-10 1990-10-09 Endorecherche Inc. Combination therapy for treatment of estrogen sensitive diseases
ES2222633T3 (es) 1989-07-07 2005-02-01 Endorecherche Inc. Terapia combinada para la profilaxis y/o el tratamiento de la hiperplasia prostatica benigna.
CA2062792C (en) 1989-07-07 2006-03-21 Fernard Labrie Treatment of androgen-related diseases
HU222501B1 (hu) 1991-06-28 2003-07-28 Endorecherche Inc. MPA-t vagy MGA-t tartalmazó nyújtott hatóanyag-felszabadulású gyógyászati készítmény és eljárás előállítására
US6060503A (en) 1991-12-02 2000-05-09 Endorecherche, Inc. Benzopyran-containing compounds and method for their use
HU228385B1 (en) * 1993-01-19 2013-03-28 Endorech Inc Use of dehydroepiandrosterone for the preparation of a medicament for the treatment of sexual disordes
US5776923A (en) * 1993-01-19 1998-07-07 Endorecherche, Inc. Method of treating or preventing osteoporosis by adminstering dehydropiandrosterone
JP2698865B2 (ja) * 1994-08-08 1998-01-19 仲昭 大澤 筋緊張性ジストロフィー症治療剤
US5660835A (en) * 1995-02-24 1997-08-26 East Carolina University Method of treating adenosine depletion
US20020032160A1 (en) * 1995-02-24 2002-03-14 Nyce Jonathan W. Compositions & formulations with an epiandrosterone or a ubiquinone & kits & their use for treatment of asthma symptoms & for reducing adenosine/adenosine receptor levels
US5726202A (en) 1996-01-11 1998-03-10 Novo Nordisk A/S Benign prostatic hypertrophy
US5747059A (en) 1996-01-11 1998-05-05 Novo Nordisk A/S Atrophy of skin/mucous membrane
IL124881A0 (en) 1996-01-11 1999-01-26 Novo Nordisk As Use of the l-enantiomer of centchroman for the manufacture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r prophylaxis of breast cancer
US5883118A (en) 1996-01-11 1999-03-16 Nova Nordisk A/S Prostatic carcinoma
PL327831A1 (en) 1996-01-11 1999-01-04 Novo Nordisk As Application of 3,4-diphenylchromanes in production of a pharmaceutic agent for treating or preventing menopause symptoms
TW397821B (en) 1996-04-19 2000-07-11 American Home Produits Corp 3-[4-(2-phenyl-indole-1-ylmethyl)-phenyl]-acrylamides and 2-phenyl-1-[4-(amino-1-yl-alk-1-ynyl)-benzyl]-1H-indol-5-ol as well a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estrogenic agents thereof
ES2162198T3 (es) 1996-04-19 2001-12-16 American Home Prod Agentes estrogenos.
JP2001520999A (ja) 1997-10-28 2001-11-06 アシビ, エルエルシー 女性の性的機能不全の処置
US20040014761A1 (en) * 1997-10-28 2004-01-22 Place Virgil A. Treatment of female sexual dysfunction with phosphodiesterase inhibitors
US20050070516A1 (en) * 1997-10-28 2005-03-31 Vivus Inc. As-needed administration of an androgenic agent to enhance female desire and responsiveness
US20020013304A1 (en) * 1997-10-28 2002-01-31 Wilson Leland F. As-needed administration of an androgenic agent to enhance female sexual desire and responsiveness
US20040044080A1 (en) * 1997-10-28 2004-03-04 Place Virgil A. Treatment of dyspareunia with topically administered nitroglycerin formulations
US20020099003A1 (en) * 1997-10-28 2002-07-25 Wilson Leland F. Treatment of female sexual dysfunction with vasoactive agents, particularly vasoactive intestinal polypeptide and agonists thereof
US6013665A (en) * 1997-12-16 2000-01-11 Abbott Laboratories Method for enhancing the absorption and transport of lipid soluble compounds using structured glycerides
EP1083904A2 (en) 1998-06-11 2001-03-21 Endorecherche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uses for androst-5-ene-3 beta,17 beta-diol
US7005428B1 (en) * 1998-06-11 2006-02-28 Endorecherche, Inc. Medical uses of a 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 in combination with sex steroid precursors
US6007824A (en) * 1998-07-09 1999-12-28 Duckett; Melvin J. Natur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sexual dysfunction
US20030181353A1 (en) * 1998-08-03 2003-09-25 Nyce Jonathan W. Composition & use as analgesic, anti-inflammatory, wound healing agent, for treatment of heart conditions, assessment of heart function & tissue & cell protection & healing & reperfusion, mood disorders & symptoms & sequelae of menopause & for inducing unconsciousness, sleep & anesthesia
IT1304190B1 (it) * 1998-12-18 2001-03-08 Euphar Group Srl Clatrati di deidroepiandrosterone e relative composizionifarmaceutiche
US6248363B1 (en) * 1999-11-23 2001-06-19 Lipocine, Inc. Solid carriers for improved delivery of active ingredients i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US6087362A (en) * 1999-03-16 2000-07-11 Pentech Pharmaceuticals, Inc. Apomorphine and sildenafil composition
US7045513B1 (en) * 1999-03-18 2006-05-16 Genelabs Technologies, Inc. DHEA composition and method
TWI281398B (en) * 1999-06-11 2007-05-21 Watson Pharmaceuticals Inc Administration of non-oral androgenic steroids to women
US6335023B1 (en) * 1999-06-30 2002-01-01 Ruey J. Yu Oligosaccharide aldonic acids and their topical use
US7452545B2 (en) * 2001-11-13 2008-11-18 Yu Ruey J Oligosaccharide aldonic acids and their topical use
US20070042060A1 (en) * 1999-07-01 2007-02-22 Thompson Ronald J Methods to treat one or all of the defined etiologies of female sexual Dysfunction
US20050245494A1 (en) * 1999-07-01 2005-11-03 40 J's Llc Methods to treat one or all of the defined etiologies of female sexual dysfunction
US20020165429A1 (en) * 1999-07-01 2002-11-07 40 J's Llc Clitoral sensitizing arrangements
EP1196163B1 (en) 1999-07-06 2009-11-11 Endorecherche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insulin resistance
EP1251855A1 (en) 2000-01-28 2002-10-30 Endorecherche, Inc. 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s in combination with estrogens
US20020022052A1 (en) * 2000-04-06 2002-02-21 Dransfield Charles William Transdermal delivery system
US20040198706A1 (en) 2003-03-11 2004-10-07 Carrara Dario Norberto R. Methods and formulations for transdermal or transmucosal application of active agents
IL145838A (en) * 2000-10-16 2008-11-03 Pfizer Prod Inc Use of an estrogen agonist / antagonist to produce a drug for the treatment of vaginitis
US20020107230A1 (en) * 2000-12-22 2002-08-08 Waldon R. Forrest Methods and formulations for the treatment of female sexual dysfunction
US20040092583A1 (en) * 2001-01-02 2004-05-13 Elizabeth Shanahan-Prendergast Treatment for inhibiting neoplastic lesions
AU2002303427A1 (en) * 2001-04-24 2002-11-05 East Carolina University Compositions and formulations with a non-glucocorticoid steroid and/or a ubiquinone and kit for treatment of respiratory and lung disease
US20030216329A1 (en) * 2001-04-24 2003-11-20 Robinson Cynthia B. Composition, formulations & kit for treatment of respiratory & lung disease with dehydroepiandrosterone(s) steroid & an anti-muscarinic agent(s)
AU2002256359A1 (en) 2001-04-24 2002-11-05 Epigenesis Pharmaceuticals, Inc. Antisense and anti-inflammatory based compositions to treat respiratory disorders
WO2002085296A2 (en) * 2001-04-24 2002-10-31 Epigenesis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 formulations and kit for treatment of respiratory and lung disease with non-glucocorticoid steroids and/or ubiquinone and a bronchodilating agent
WO2002092102A2 (en) 2001-05-16 2002-11-21 Endeavor Pharmaceuticals Treatment of conditions relating to hormone deficiencies by administration of progestins
US20030022875A1 (en) 2001-07-27 2003-01-30 Wilson Leland F. As-needed administration of orally active androgenic agents to enhance female sexual desire and responsiveness
FR2828100B1 (fr) 2001-08-02 2004-09-24 Galderma Res & Dev Composition de type emulsion inverse contenant de la dhea et/ou ses precurseurs ou derives, et ses utilisations en cosmetique et en dermatologie
US20030138434A1 (en) * 2001-08-13 2003-07-24 Campbell Robert L. Agents for enhancing the immune response
US7348352B2 (en) * 2001-10-23 2008-03-25 Bioresponse L.L.C. Diindolylmethane for the treatment of HPV infection
WO2003037334A1 (en) * 2001-10-31 2003-05-08 Merck & Co., Inc. Method for treating or preventing symptoms of hormonal variation including hot flashes
US6824786B2 (en) * 2001-11-27 2004-11-30 Ruey J. Yu Compositions comprising phenyl-glycine derivatives
US20040214898A1 (en) * 2001-11-29 2004-10-28 Steiner Mitchell S. Methods for treating hot flashes
FR2834212B1 (fr) * 2001-12-27 2004-07-09 Besins Int Belgique Utilisation d'une poudre a liberation immediate dans des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et nutraceutiques
EP1492486A2 (en) * 2002-04-10 2005-01-05 Ruey J. Dr. Yu Urea compositions
US20060018937A1 (en) * 2002-10-25 2006-01-26 Foamix Ltd. Steroid kit and foamable composition and uses thereof
US20080206161A1 (en) 2002-10-25 2008-08-28 Dov Tamarkin Quiescent foamable compositions, steroids, kits and uses thereof
US20050020552A1 (en) * 2003-07-16 2005-01-27 Chaim Aschkenasy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ansdermal drug delivery
EP1704161A4 (en) 2004-01-07 2011-06-08 Endorech Inc ON HELIX 12 OBJECTIVE STEROIDAL PHARMACEUTICAL PRODUCTS
US20050181057A1 (en) * 2004-02-13 2005-08-18 Rosenberg Paul K. Vaginal lubricant
US20080119445A1 (en) * 2004-09-08 2008-05-22 Woodward John R Methods of female sexual enhancement
US20060252734A1 (en) * 2004-09-08 2006-11-09 Woodward John R Methods of female sexual enhancement
US20060276442A1 (en) * 2004-09-08 2006-12-07 Woodward John R Methods of female sexual enhancement
AP2365A (en) * 2004-10-20 2012-02-20 Endorech Inc Sex steroid precursors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 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 and/or with estrogens and/or a type 5 CGMP phosphodiesterase inhibitor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vaginal dryness and sexual dysfunction in postmenopausal women.
BRPI0517950A (pt) 2004-11-01 2008-10-21 Endorech Inc uso de andrógenos para reduzir a probabilidade de adquirir ou para o tratamento do envelhecimento da pele
US7709516B2 (en) 2005-06-17 2010-05-04 Endorecherche, Inc. Helix 12 directed non-steroidal antiandrogens
JP2009519926A (ja) 2005-12-16 2009-05-21 ライル コーポレート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エストロゲンの非全身性膣投与による膣組織の再生
US8021659B2 (en) * 2006-04-28 2011-09-20 Naidu Lp Coenzyme Q10, lactoferrin and angiogenin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JP4179624B2 (ja) * 2006-07-18 2008-11-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US8268806B2 (en) * 2007-08-10 2012-09-18 Endorecherche,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US20100317635A1 (en) 2009-06-16 2010-12-16 Endorecherche, Inc. Treatment of hot flushes, vasomotor symptoms, and night sweats with sex steroid precursors in combination with 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1484A (ja) * 1998-06-11 2007-08-02 Endorecherche Inc 選択的エストロゲン受容体モジュレーターと性ステロイド前駆体の組合せの医学的使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535717A (ja) 2010-11-25
JP5725283B2 (ja) 2015-05-27
AR114051A2 (es) 2020-07-15
TWI388328B (zh) 2013-03-11
SG10201902375XA (en) 2019-04-29
SG10201601242TA (en) 2016-03-30
SA08290494B1 (ar) 2013-04-20
AU2008286651A1 (en) 2009-02-19
ES2888104T3 (es) 2021-12-30
US20130005700A1 (en) 2013-01-03
KR20160032257A (ko) 2016-03-23
US20210069169A1 (en) 2021-03-11
US8268806B2 (en) 2012-09-18
TW201634051A (zh) 2016-10-01
AR068702A1 (es) 2009-12-02
CA2820566C (en) 2016-09-13
PH12013502291A1 (en) 2015-09-07
SA111320726B1 (ar) 2015-08-10
AU2008286651B2 (en) 2012-11-22
TWI609688B (zh) 2018-01-01
US8629129B2 (en) 2014-01-14
PH12013502291B1 (en) 2015-09-07
CA2820566A1 (en) 2009-02-19
EA201000312A1 (ru) 2010-08-30
TW201212922A (en) 2012-04-01
TW200927136A (en) 2009-07-01
HK1217639A1 (zh) 2017-01-20
EP2185157B1 (en) 2020-12-16
CA2696127C (en) 2017-06-06
CA2696127A1 (en) 2009-02-19
CN101861152A (zh) 2010-10-13
US8957054B2 (en) 2015-02-17
PE20140925A1 (es) 2014-08-09
EP2185157A1 (en) 2010-05-19
EP2441456A1 (en) 2012-04-18
KR20100061671A (ko) 2010-06-08
PT2185157T (pt) 2021-03-15
MA31694B1 (fr) 2010-09-01
IL203747A (en) 2016-09-29
WO2009021323A1 (en) 2009-02-19
CN105412121A (zh) 2016-03-23
EP2185157A4 (en) 2010-11-03
KR20130103805A (ko) 2013-09-24
NZ583147A (en) 2012-04-27
PE20090945A1 (es) 2009-07-08
EA020683B1 (ru) 2015-01-30
EA201200369A1 (ru) 2012-09-28
KR101850125B1 (ko) 2018-04-19
MX2010001627A (es) 2010-09-14
NO20100300L (no) 2010-04-29
BRPI0815353A2 (pt) 2015-06-16
SG183702A1 (en) 2012-09-27
ECSP10010016A (es) 2010-07-30
NZ598270A (en) 2013-08-30
TWI565468B (zh) 2017-01-11
US20120283230A1 (en) 2012-11-08
US20120322778A1 (en) 2012-12-20
CO6260084A2 (es) 2011-03-22
US10881650B2 (en) 2021-01-05
KR101680287B1 (ko) 2016-11-28
US20090054383A1 (en) 2009-02-26
JP6197292B2 (ja) 2017-09-20
TN2010000065A1 (en) 2011-09-26
EP2441456B1 (en) 2021-10-06
DK2185157T3 (da) 2021-03-08
CN109893526A (zh) 2019-06-18
CN102861335A (zh) 2013-01-09
JP2013060475A (ja) 201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8130B1 (ko) 폐경기 치료용 dhea 조성물
AU2012204083B2 (en) DHEA compositions for treating menopause
EA041509B1 (ru) Применение предшественников половых стероидных гормонов в комбинации с селективным модулятором эстрогеновых рецепторов для лечения заболеваний и состояний у постменопаузных женщи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