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6030B1 - 탄성 전기접촉단자 - Google Patents

탄성 전기접촉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6030B1
KR101626030B1 KR1020140194834A KR20140194834A KR101626030B1 KR 101626030 B1 KR101626030 B1 KR 101626030B1 KR 1020140194834 A KR1020140194834 A KR 1020140194834A KR 20140194834 A KR20140194834 A KR 20140194834A KR 101626030 B1 KR101626030 B1 KR 101626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contact
spring portion
contact terminal
electrical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4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1729A (ko
Inventor
강태만
김선기
Original Assignee
조인셋 주식회사
김선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인셋 주식회사, 김선기 filed Critical 조인셋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41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8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meander springs

Abstract

판 형상의 접촉부; 판 형상의 고정부; 하방을 향하여 제1방향으로 직경이 감소하면서 권회하는 제1스프링부; 하방을 향하여 상기 제1방향에 반대인 제2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면서 권회하는 제2스프링부; 및 상기 제1스프링부와 상기 제2스프링부가 각각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스프링부와 상기 제2스프링부에 의해 둘러싸이고, 상기 제1방향으로 말려 타단이 개방된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 부분은 금속 재질로 구성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탄성 전기접촉단자{Elastic Electric Connecting Terminal}
본 발명은 전기접촉단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향하는 도전성 대상물 사이에 개재되어 신뢰성 있게 대상물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탄성 전기접촉단자에 관련한다.
안테나와 같은 도전성 대상물과 회로기판의 도전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정전기나 전자파 장애(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를 제거하기 위해 그라운드(Ground)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회로기판의 도전 패턴에 솔더링 등에 의해 실장된 탄성을 갖는 전기접촉단자가 사용된다.
이들 전기접촉단자가 상하 방향으로 전기를 연결해주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전기적으로 연결하려는 회로기판과 전기전도성 대상물의 상하 방향의 치수 공차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가능한 상하 방향으로 작동거리가 크고 탄성 조절이 용이한 구조와 재질이 요구된다. 가령,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전도성 대상물 간의 기구적 공차가 클수록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전기접촉단자의 작동거리가 큰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자에 의한 국내특허등록 제1437935호를 보면,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일단이 개구된 통 형상으로 개구 가장자리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걸림턱이 형성된 금속 재질의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끼워져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이 개구된 통 형상으로 개구 가장자리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플랜지가 형성된 금속 재질의 가동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수납되어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의 바닥에 접촉하고 타단이 상기 가동부재의 바닥에 접촉하여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탄성적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하는 전기전도성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스프링에 의해 항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을 받아 상기 플랜지가 상기 걸림턱에 걸려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며, 상기 플랜지의 두께는 상기 가동부재의 두께에 대응하고, 상기 가동부재의 상면에는 진공픽업을 위해 수평방향으로 편평한 면이 마련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하면은 솔더크림에 의한 리플로우 솔더링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대상물에 의해 가동부재가 눌려 고정부재로부터 떨어지는 순간부터 가동부재와 고정부재의 전기적인 연결은 대부분 스프링을 통해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가동부재가 원활하고 매끄럽게 승강하기 위해서는 고정부재와의 접촉이 가능한 없어야 하는데, 이는 역설적으로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이를 위해 가동부재와 고정부재를 판 형상으로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지만, 측방향에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힘에 의해 쉽게 구부러지거나 휘어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동부재의 바닥과 고정부재의 바닥에만 접촉하는 스프링을 통하여 전기가 흐르기 때문에 전기 저항이 비교적 크고, 특히 스프링이 많이 감길수록 인덕턴스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동부재, 고정부재 및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높이가 매우 낮으면서 매우 작은 치수를 갖는 제품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고 또한 이의 제조 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이가 낮고 치수가 작으면서 제조가 간단하고 제조원가가 저렴한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측방향에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힘에 의해 구부러지거나 휘어지는 것이 어려운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하방향으로의 전기저항을 감소시키면서 스프링에 의한 인덕턴스가 감쇄된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일의 몸체로 구성되고 진공 픽업에 의한 표면실장으로 리플로우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판 형상의 접촉부; 판 형상의 고정부; 하방을 향하여 제1방향으로 직경이 감소하면서 권회하는 제1스프링부; 하방을 향하여 상기 제1방향에 반대인 제2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면서 권회하는 제2스프링부; 및 상기 제1스프링부와 상기 제2스프링부가 각각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스프링부와 상기 제2스프링부에 의해 둘러싸이고, 상기 제1방향으로 말려 타단이 개방된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 부분은 금속 재질로 구성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상기 제2스프링부 각각은 상기 접촉부의 하면 가장자리와 상기 고정부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일체로 돌출하고 상기 제1 및 상기 제2스프링부의 폭보다 큰 높이를 갖는 간격유지부 각각의 측면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각 간격유지부에 의해 상기 접촉부와 상기 제1스프링부, 그리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제2스프링부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와 상기 고정부 각각에 텐션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부의 일단과 타단은 서로 중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스프링부와 상기 제2스프링부는 각각 상기 지지부의 상단과 하단 일부와 중첩하면서 권회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에는 솔더 크림에 의한 솔더링이 가능한 금속층이 도금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기접촉단자는 적어도 높이의 30% 이상 눌릴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기접촉단자는 캐리어에 릴 테이핑되거나 팔레트에 정렬되어 공급되고, 상기 접촉부의 상면에서 진공픽업되며, 상기 고정부의 하면이 회로 기판에 솔더 크림으로 리플로우 솔더링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기접촉단자는 프레스 금형에 의해 연속적으로 작업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의 면적은 상기 접촉부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의 하면 중앙에는 홈이 패이고 이에 대응하는 상면에는 엠보스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촉부의 상면 중앙에는 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기접촉단자는 상기 접촉부에서 상기 고정부로 갈수록 각 부분의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접촉부와 고정부 및 스프링부가 시트 형상의 금속 스트립(metal strip)이 프레스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전기저항을 감소시키면서 스프링에 의한 인덕턴스가 감쇄된다.
또한, 제1 및 제2스프링부에 측방향으로부터 힘이 가해질 때, 지지부가 제1 및 제2스프링부와 중첩되면서 제1 및 제2스프링부의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대항하여 제1 및 제2스프링부를 지지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힘에 의해 잘 구부러지지 않고 휘어지지 않는다.
또한, 단일의 몸체로 구성되면서 진공 픽업에 의한 표면실장으로 리플로우 솔더링이 가능하다.
또한, 어느 경우에도 상하간 확실한 전기적 연결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일체형으로 제작됨으로써 이에 따라 높이가 매우 작고 치수가 매우 작게 제공할 수 있으며 제조가 간단하고 제조원가가 저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나타낸다.
도 2는 전기접촉단자의 동작을 보여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나타낸다.
탄성 전기접촉단자(100)는 금속 재질의 단일 몸체로 구성되며, 접촉부(110), 고정부(150), 스프링부(120, 130), 및 지지부(140)로 구성된다.
전기접촉단자(10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 형상의 금속을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가동하는 입체 형상으로 제작되며, 대향하는 전도성 대상물 사이에 위치하여 탄성을 갖고 대상물을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시킨다.
대향하는 전도성 대상물로는, 가령 회로기판과 안테나가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고정부(150)의 하면이 회로기판에 솔더링 등에 의해 고정되고 안테나가 접촉부(110)를 가압하여 탄성적으로 회로기판과 안테나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전기접촉단자(100)는, 가령 두께가 0.04㎜ 내지 0.1㎜ 정도인 베릴륨 동 등의 탄성을 갖는 스프링 강을 프로그레시브 프레스(Progeressive Press)에 의해 형성한 후 열처리 공정과 솔더링이 가능한 주석(Tin) 등이 도금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금속 판을 재단하고 프레스하여 형성함으로써 대량 생산이 용이하며 작업성이 좋고 제조가 용이하여 수율이 향상되며, 제조 원가가 작다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을 참조하면, 접촉부(110)는 원형 판으로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접촉부(110)의 상면은 진공픽업을 위해 적어도 평탄한 수평면이 제공될 수 있는데, 이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상면이 편평하게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다만, 접촉부(110)의 상면을 평탄한 수평면으로 함으로써, 대상물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줌으로써 상하방향으로의 전기저항이나 접촉저항을 더욱 줄일 수 있다.
또한, 접촉부(110)의 상면에는 대상물과의 전기적 접촉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돌기(112)가 돌출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돌기(112)를 제외한 부분에서 진공픽업이 수행될 수 있다.
접촉부(110)의 최외부층은 부식 방지 및 전기전도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금이 도금될 수 있다.
스프링부(120, 130)는 제1스프링부(120)와 제2스프링부(130)로 구성되는데, 제1스프링부(120)의 일단은 접촉부(110)의 하면에 연결된다.
바람직한 일 예로, 제1스프링부(120)의 일단은 간격유지부(122)를 통하여 접촉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간격유지부(122)는 제1스프링부(120)의 폭보다 큰 높이로 접촉부(110)의 하면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고, 간격유지부(122)의 측면에 제1스프링부(120)의 일단이 일체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간격유지부(122)의 높이가 제1스프링부(120)의 폭보다 크기 때문에 접촉부(110)와 제1스프링부(120) 사이에 항상 일정한 간격(124)이 형성되도록 하여 접촉부(110)에 텐션을 제공할 수 있다.
제1스프링부(120)는 하방으로 경사를 이루면서 가령 시계방향으로 권회하는데, 이 예에서는 1턴(turn)을 권회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만, 낮은 인덕턴스와 낮은 전기 저항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턴 수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전체적으로, 스프링부(120, 130)의 턴 수는 전기접촉단자(100)의 높이와 제1 및 제2스프링부(120, 130)의 폭 등에 의해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접촉단자(100)의 높이와 직경은 각각 1.0㎜ 이하로 제한될 수 있다.
제1스프링부(120)는 권회하면서 턴 직경이 감소하는데, 위에서 내려다 볼 때 제1스프링부(120)의 타단이 간격유지부(122)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후술하는 것처럼, 접촉부(110)가 외부의 힘에 의해 가압되어 눌리면 제1스프링부(120)도 눌리는데, 이때 제1스프링부(120)의 타단이 간격유지부(122)의 내측에 위치하여 수용됨으로써 간격유지부(122)가 제1스프링부(120)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눌리게 된다.
제1스프링부(120)의 타단은 지지부(140)의 일단 상부에 일체로 연결되는데, 지지부(140)는 원통형으로 말린 형상으로 제1 및 제2스프링부(120, 130)의 폭을 합친 것 이상의 높이를 갖는다.
지지부(140)의 타단은 어느 것에도 연결되지 않고 개방된 상태에 놓이는데, 바람직하게 지지부(140)의 양단은 서로 중첩되어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지부(140)가 원통형을 이루도록 제1스프링부(120)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말리면서 지지부(140)의 상단 일부는 제1스프링부(120)와 중첩됨으로써 제1스프링부(120)에 측방향으로부터 힘이 인가될 때 지지부(140)가 제1스프링부(120)와 접촉하여 인가되는 힘에 대항하여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부(140)는, 후술하는 것처럼, 대상물에 의한 가압으로 간격유지부(122, 132)가 서로 맞닿을 때 간격유지부(122, 132)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는 직경은 구비한다.
지지부(140)의 일단 하부에는 제2스프링부(130)의 타단이 일체로 연결되는데, 제1스프링부(120)와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하방으로 경사를 이루면서 반시계방향으로 권회한다. 그 결과, 지지부(140)는 제1 및 제2스프링부(120, 130)에 의해 둘러 쌓이게 된다.
제1스프링부(120)와 마찬가지로 이 예에서는 제2스프링부(130)가 1턴(turn)을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한 것처럼, 전기접촉단자(100)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1 및 제2스프링부(120, 130)는 지지부(140)의 높이방향 중간에서 Y-컷으로 절개되어 점차 간극(144)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스프링부(130)의 일단은 고정부(150)의 상면에 일체로 연결되는데, 제1스프링부(120)의 일단과 같이 간격유지부(132)를 통하여 고정부(150)에 연결될 수 있다. 간격유지부(132)는 제2스프링부(130)의 폭보다 큰 높이로 고정부(150)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고, 측면에서 제2스프링부(130)의 일단이 일체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간격유지부(132)의 높이가 제2스프링부(130)의 폭보다 크기 때문에 고정부(150)와 제2스프링부(130) 사이에 항상 일정한 간격(134)이 형성되도록 하여 고정부(150)에 텐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간격유지부(122, 132)의 높이를 조절하여 간격(124, 134)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접촉단자(100)의 높이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제2스프링부(130)는 권회하면서 턴 직경이 증가하는데, 위에서 내려다 볼 때 제2스프링부(130)의 타단은 지지부(140)에 연결됨으로써 결과적으로 간격유지부(132)의 내측에 수용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후술하는 것처럼, 접촉부(110)가 외부의 힘에 의해 가압되어 눌리면 지지부(140)와 함께 제2스프링부(130)도 눌리는데, 이때 제2스프링부(130)의 타단이 간격유지부(132)의 내측에 수용된다.
제2스프링부(130)는 지지부(140)의 하단을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권회하면서 지지부(140)와 중첩됨으로써, 제2스프링부(130)에 측방향으로부터 힘이 인가될 때 지지부(140)가 제2스프링부(130)와 접촉하여 인가되는 힘에 대항하여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그 결과, 제1 및 제2스프링부(120, 130)에 측방향으로부터 힘이 가해질 때, 지지부(140)는 제1 및 제2스프링부(120, 130)의 내부에 위치하여 제1 및 제2스프링부(120, 130)와 중첩되어 접촉됨으로써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대항하여 제1 및 제2스프링부(120, 130)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힘에 의해 잘 구부러지지 않고 휘어지지 않는다.
고정부(150)는 원판 형상으로 하면이 회로기판의 도전패턴에 솔더 크림에 의해 리플로우 솔더링된다.
고정부(150)는 접촉부(110)에 비해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무게 중심이 아래에 있어 리플로우 솔더링 시 흔들림이 적어 신뢰성 있는 솔더링을 제공하고 솔더링 후에도 외부의 충격에 의해 쓰러지는 현상이 작아지게 된다.
또한, 고정부(150)의 하면 중앙에는 홈이 패이고 이에 대응하는 상면에는 엠보스(152)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전기접촉단자(100)를 솔더링으로 고정할 때 솔더링 강도를 향상시켜 준다.
이와 같이 전기접촉단자(100)는 높이가 낮고 치수가 작으면서 하나의 금속 스트립이 연속 프레스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누르는 범위가 넓고, 전기저항 및 인덕턴스가 적고 또한 신뢰성 있는 전기접촉을 제공해주며 경제성 있게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촉단자(10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며, 설명의 편의상 전기접촉단자(100)가 표면실장에 의해 리플로우 솔더링되는 경우를 예로 든다.
도 2는 전기접촉단자의 동작을 보여준다.
전기접촉단자(100)가 캐리어에 릴 테이핑되거나 팔레트에 정렬되어 공급되면, 접촉부(110)의 상면을 진공픽업하여 회로기판의 도전패턴 위에 배치되고 솔더크림에 의한 리플로우 솔더링에 의해 실장된다.
도 2(a)를 참조하면, 최대 높이로 신장된 상태에서, 외부의 힘이 측면으로부터 제1 및 제2스프링부(120, 130)에 가해지더라도 제1 및 제2스프링부(120, 130) 내부에 원통형상으로 말리면서 제1 및 제2스프링부(120, 130)와 중첩된 지지부(140)에 의해 쉽게 구부러지거나 휘어지지 않는다.
실장된 전기접촉단자(100)의 상면에 안테나 등과 같은 전기전도성 대상물이 접촉하여 가압하면, 접촉부(110)는 대상물로부터 인가되는 가압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는데, 스프링부(120, 130)에 의해 탄성을 받으면서 이동하고 스프링부(120, 130)는 탄성 변형되어 하방으로 압축되어 도 2(b)와 같이 눌린다.
접촉부(110)가 압축되는 거리는 길수록 좋지만, 전체 높이에 대비하여 적어도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과정에서, 간격유지부(122, 132)는 서로 맞닿아 더 이상 스프링부(120, 130)가 하방으로 압축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제1 및 제2스프링부(120, 130)는 서로 맞닿거나 맞닿지 않을 수 있다.
상기한 것처럼, 제1 및 제2스프링부(120, 130)와 지지부(140)는 모두 간격유지부(122, 132)의 내측에 수용된다.
도 2(b)의 상태에서, 접촉부(110)와 제1 및 제2스프링부(120, 130), 그리고 고정부(150)가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어 있어 종래 와이어(wire)로 된 별도의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보다 상하방향의 전기저항이 크게 감소할 뿐만 아니라 인덕턴스도 감소하게 된다.
한편, 접촉부(110)에 대한 가압력이 제거되면 접촉부(110)는 제1 및 제2스프링부(120, 1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최초 위치로 복귀한다.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전기접촉단자(100)가 표면실장에 의해 리플로우 솔더링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프링을 필요로 하는 다른 구성, 가령 국내특허등록 제1437935호에 개시된 전기전도성 스프링 대신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접촉부(110)에서 고정부(150)까지 동일하거나 유사한 직경을 갖는 것을 예로 들었지만, 접촉부(110)에서 고정부(150)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여 전체적으로 테이퍼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될 수 없으며,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전기접촉단자
110: 접촉부
120, 130: 스프링부
140: 지지부
150: 고정부

Claims (13)

  1. 판 형상의 접촉부;
    판 형상의 고정부;
    하방을 향하여 제1방향으로 직경이 감소하면서 권회하는 제1스프링부;
    하방을 향하여 상기 제1방향에 반대인 제2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면서 권회하는 제2스프링부; 및
    상기 제1스프링부와 상기 제2스프링부가 각각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스프링부와 상기 제2스프링부에 의해 둘러싸이고, 상기 제1방향으로 말려 타단이 개방된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 부분은 금속 재질로 구성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상기 제2스프링부 각각은 상기 접촉부의 하면 가장자리와 상기 고정부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일체로 돌출하고 상기 제1 및 상기 제2스프링부의 폭보다 큰 높이를 갖는 간격유지부 각각의 측면에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 간격유지부에 의해 상기 접촉부와 상기 제1스프링부, 그리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제2스프링부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와 상기 고정부 각각에 텐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일단과 타단은 서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링부와 상기 제2스프링부는 각각 상기 지지부의 상단과 하단 일부와 중첩하면서 권회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솔더 크림에 의한 솔더링이 가능한 금속층이 도금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접촉단자는 적어도 높이의 30% 이상 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접촉단자는 캐리어에 릴 테이핑되거나 팔레트에 정렬되어 공급되고, 상기 접촉부의 상면에서 진공픽업되며, 상기 고정부의 하면이 회로 기판에 솔더 크림으로 리플로우 솔더링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접촉단자는 프레스 금형에 의해 연속적으로 작업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면적은 상기 접촉부의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하면 중앙에는 홈이 패이고 이에 대응하는 상면에는 엠보스(emboss)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상면 중앙에는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접촉단자는 상기 접촉부에서 상기 고정부로 갈수록 각 부분의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 형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20140194834A 2014-10-07 2014-12-31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16260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5327 2014-10-07
KR1020140135327 2014-10-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729A KR20160041729A (ko) 2016-04-18
KR101626030B1 true KR101626030B1 (ko) 2016-05-31

Family

ID=5591678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2556A KR101644123B1 (ko) 2014-10-07 2014-11-20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20140194834A KR101626030B1 (ko) 2014-10-07 2014-12-31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20150055250A KR101644119B1 (ko) 2014-10-07 2015-04-20 표면실장형 탄성 전기접촉단자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2556A KR101644123B1 (ko) 2014-10-07 2014-11-20 탄성 전기접촉단자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250A KR101644119B1 (ko) 2014-10-07 2015-04-20 표면실장형 탄성 전기접촉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16441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3198A (ko) * 2018-04-23 2019-10-31 조인셋 주식회사 전기접촉단자와 그 장착 구조,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95675B (zh) * 2015-04-27 2018-08-31 深圳龙友科技股份有限公司 垂直运动不偏摆的连接端子
JP6783606B2 (ja) * 2016-09-29 2020-11-1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接続端子組立体、及びこの接続端子組立体を使用した回路基板
JP6766752B2 (ja) * 2017-05-26 2020-10-1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モジュール
KR102338655B1 (ko) * 2019-12-27 2021-12-14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터미널 단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68667A1 (en) 2007-04-24 2008-10-30 Singatron Enterprise Co., Ltd. Elastic terminal structure
US20110114366A1 (en) 2009-11-13 2011-05-19 Lane Daniel Dicken Spring with Multiple Conducting Coils
JP2013055035A (ja) 2011-08-09 2013-03-21 Yokowo Co Ltd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9428A (ja) * 2003-10-27 2005-05-19 Sumitomo Electric Ind Ltd 竹の子状コンタクトの製造方法、その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コンタクトおよびそのコンタクトを備える検査装置または電子機器
CN201025643Y (zh) 2007-03-28 2008-02-20 信音企业股份有限公司 弹性端子结构改良
US7695285B2 (en) 2008-05-29 2010-04-13 Yokowo Co., Ltd. Spring connector and connector
KR101415306B1 (ko) 2013-05-24 2014-07-04 김선기 표면실장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1437935B1 (ko) 2013-11-14 2014-09-12 조인셋 주식회사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
KR101397284B1 (ko) 2013-12-30 2014-06-27 강태석 인쇄회로기판에 삽입되는 컨텍트와 그 결합구조
JP6224551B2 (ja) * 2014-05-23 2017-11-0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圧接コネクタと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68667A1 (en) 2007-04-24 2008-10-30 Singatron Enterprise Co., Ltd. Elastic terminal structure
US20110114366A1 (en) 2009-11-13 2011-05-19 Lane Daniel Dicken Spring with Multiple Conducting Coils
JP2013055035A (ja) 2011-08-09 2013-03-21 Yokowo Co Ltd コネク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3198A (ko) * 2018-04-23 2019-10-31 조인셋 주식회사 전기접촉단자와 그 장착 구조, 방법, 및 장치
KR102118021B1 (ko) * 2018-04-23 2020-06-02 조인셋 주식회사 전기접촉단자와 그 장착 구조,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726A (ko) 2016-04-18
KR101644119B1 (ko) 2016-07-29
KR101644123B1 (ko) 2016-07-29
KR20160041742A (ko) 2016-04-18
KR20160041729A (ko) 2016-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6030B1 (ko)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1517840B1 (ko) 전기접속단자
JP5869055B2 (ja) 表面実装型電気接続端子及びそれを具備する電子モジュールユニット,回路基板
US7989045B2 (en) Elastic sheet structure and array type elastic sheet device using the same
CN105490053B (zh) 表面贴装型弹性电接触端子
US8742272B2 (en) Electrical contacts with laser defined geometries
EP2833481B1 (en) Contact
US9240657B2 (en) Socket connector with shielding structure
KR101415306B1 (ko) 표면실장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JP6214053B2 (ja) 圧接コネクタ
KR101870842B1 (ko) 탄성 전기접촉단자
CN107017494B (zh) 压接连接器、压接连接器的制造方法
US20160120024A1 (en) Linear Conductor Connection Terminal
WO2016013363A1 (ja) 回路構成体
JP6020509B2 (ja) 回路基板接続用ターミナル
KR20160110074A (ko) 접속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회로기판 모듈
US20100261359A1 (en) Emi shield spring device
JP2015220188A (ja) 端子、端子固定構造及び回路遮断器
KR102129911B1 (ko) 탄성 접촉단자
KR101740282B1 (ko) 전기접촉단자
EP3471139B1 (en) Mounting device on a circuit board and method for mounting an object on a circuit board
KR101525581B1 (ko) 터미널 콘택트
JP2019125478A (ja) コンタクト
KR20170061917A (ko) 표면실장형 접속단자
TWM484811U (zh) 單片式表面安裝伸縮彈片及具該彈片的表面安裝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