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0282B1 - 전기접촉단자 - Google Patents

전기접촉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0282B1
KR101740282B1 KR1020150140511A KR20150140511A KR101740282B1 KR 101740282 B1 KR101740282 B1 KR 101740282B1 KR 1020150140511 A KR1020150140511 A KR 1020150140511A KR 20150140511 A KR20150140511 A KR 20150140511A KR 101740282 B1 KR101740282 B1 KR 101740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elastic moving
fixing
elastic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0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1052A (ko
Inventor
박영일
Original Assignee
박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일 filed Critical 박영일
Priority to KR1020150140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0282B1/ko
Publication of KR20170041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1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8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meander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접촉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제1 도체의 일측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 제2 도체의 일측이 접촉되어 하방으로 가압되는 접촉부와, 일단부가 상기 제1 고정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 고정부의 일측으로부터 대각선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접촉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탄성가동부 및 일단부가 상기 제2 고정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고정부의 일측으로부터 대각선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연장형성되며, 상기 접촉부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탄성가동부가 상기 접촉부의 일측을 가압하는 가압력과 균형을 이루는 상기 접촉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2 탄성가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탄성가동부 및 상기 제2 탄성가동부는 상기 접촉부를 통해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접촉부에 제2 도체가 접촉되어 상기 접촉부가 하방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제1 탄성가동부 및 상기 제2 탄성가동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압축되어 상기 접촉부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대향되는 접촉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탄성가동부가 각각 고정부로부터 대각선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연장형성되도록 하여 탄성가동부가 대각선방향으로 가동되도록 함으로써 탄성가동부의 가동거리가 유지 또는 증대되어 전기접촉신뢰도를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초소형으로 제작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접촉단자{Electric contact terminal}
본 발명은 전기접촉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고를 낮추면서도 탄성가동부가 대각선방향으로 가동되도록 하여 탄성가동부의 가동거리가 유지 또는 증대되도록 함으로써 전기접촉신뢰도를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초소형으로 제작될 수 있는 전기접촉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체와 도체간 전기적인 접속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도체와 도체 사이에 소정의 전기접촉단자를 개재하여 전기접촉단자에 의해 도체와 도체간 전기적인 접속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전기접촉단자는 스마트폰, 태블릿등과 같은 전자기기등에 설치되어 안테나와,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도1은 종래의 접촉단자가 제1 도체와, 제2 도체 사이에 개재된 상태를 도시함 도면이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전기접촉단자(100)는 일측이 제1 도체(P1) 일측에 접촉되는 고정플레이트(110)와, 고정플레이트(110)의 일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탄성력제공부(120) 및 탄성력제공부(120)로부터 고정플레이트(110)의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탄성을 갖고 일측이 상방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제2 도체(P2) 일측에 접촉되는 탄성접촉부(13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기접촉단자(100)는 탄성접촉부(130)가 연장부(12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상태에서 제2 도체(P2)에 탄성접촉되어 제1 도체(P1)와 제2 도체(P2)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최근 전자기기가 초소형화됨에 따라 전기접촉단자의 초소형화가 요구되는 환경에서 종래의 전기접촉단자(100)는 각 도체들과의 접촉신뢰도를 유지하기 위해 고정플레이트(110), 탄성력제공부(120) 및 탄성접촉부(130)가 일정 높이로 형성되어야 하는 바 종래의 전기접촉단자(100)는 도체들과의 접촉신뢰도를 유지하면서도 전고를 낮추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도체들과의 접촉신뢰도를 유지하면서도 전고를 낮추고자 하는 노력이 시도된 바 있다.
일예로, 한국공개특허 2011-0090077호 및 미국등록특허 7364477호에서는 인쇄회로기판에 홀을 형성하고, 전기접촉단자를 인쇄회로기판의 홀에 삽입설치함으로써 전기접촉신뢰도를 유지하면서 전고를 낮추고자 하였으나, 이러한 한국공개특허 2011-009077호 및 미국등록특허 7364477호는 인쇄회로기판에 홀을 형성하는 고정이 추가적으로 요구되고, 이에 따라 생산성이 낮아질 뿐 아니라 제조단가가 상승하며, 인쇄회로기판의 내구도가 저하되는 새로운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 다른 예로 한국등록특허 122242호에서 'ㄹ'자 형상의 전기접촉단자를 제안하면서 두 개의 탄성부를 통해 도체들과의 접촉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으나, 상기한 한국등록특허 1222242호의 전기접촉단자는 세 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된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재료의 두께에 의해 기본적으로 높이가 높게 형성될 수 밖에 없을 뿐 아니라 2개의 탄성부 높이에 의해 전고가 보다 높아지면서 기존 전기접촉단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90077호 "인쇄회로 기판용 접촉 단자" 미국등록특허 제7364477호 "Low profile circuit board connector" 한국등록특허 제1222242호 "컨텍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고를 낮추면서도 탄성가동부가 대각선방향으로 가동되도록 하여 탄성가동부의 가동거리가 유지 또는 증대되도록 함으로써 전기접촉신뢰도를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초소형으로 제작될 수 있는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제1 도체의 일측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 제2 도체의 일측이 접촉되어 하방으로 가압되는 접촉부와, 일단부가 상기 제1 고정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 고정부의 일측으로부터 대각선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접촉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탄성가동부 및 일단부가 상기 제2 고정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고정부의 일측으로부터 대각선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연장형성되며, 상기 접촉부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탄성가동부가 상기 접촉부의 일측을 가압하는 가압력과 균형을 이루는 상기 접촉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2 탄성가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탄성가동부 및 상기 제2 탄성가동부는 상기 접촉부를 통해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접촉부에 제2 도체가 접촉되어 상기 접촉부가 하방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제1 탄성가동부 및 상기 제2 탄성가동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압축되어 상기 접촉부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1 고정부, 상기 제2 고정부, 상기 제1 탄성가동부, 상기 제2 탄성가동부 및 상기 접촉부는 연속 프레스 금형을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접촉부가 미리 설정된 깊이를 초과하여 하강하는 경우 상기 제2 도체가 형성된 기판의 일측, 상기 제1 탄성가동부 또는 제2 탄성가동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이 지지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탄성가동부 및 상기 제2 탄성가동부는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의 일측으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 및 제2 탄성부 및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탄성부로부터 나선형상으로 연장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접촉부의 일측 중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가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는 외부의 픽업유닛이 흡착할 수 있도록 일측에 미리 설정된 크기의 단면적을 갖는 픽업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는 각각 상기 제1 탄성가동부 및 상기 제2 탄성가동부의 내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대향되는 접촉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탄성가동부가 각각 고정부로부터 대각선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연장형성되도록 하여 탄성가동부가 대각선방향으로 가동되도록 함으로써 탄성가동부의 가동거리가 유지 또는 증대되어 전기접촉신뢰도를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초소형으로 제작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접촉단자가 제1 도체와, 제2 도체 사이에 개재된 상태를 도시함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의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의 정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의 측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토퍼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촉부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가동부가 압축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토퍼에 안테나기판 또는 탄성가동부가 지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의 사시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의 평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의 정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의 측단면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토퍼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 내지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1)는 제1 고정부(10) 및 제2 고정부(20)와, 제1 탄성가동부(30)와, 제2 탄성가동부(40)와, 접촉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고정부(10) 및 제2 고정부(20)는 대략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도체인 인쇄회로기판 일측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되, 인쇄회로기판에 견고하게 고정설치되도록 함과 아울러 회로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인쇄회로기판에 솔더링된다.
이러한 제1 고정부(10) 및 제2 고정부(20)는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일측과 타측에 제1 탄성가동부(30) 또는 제2 탄성가동부(40)가 연결됨으로서 접촉부(50)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1 탄성가동부(30) 또는 제2 탄성가동부(40)의 일측을 지지함으로써 제1 탄성가동부(30) 및 제2 탄성가동부(40)에 탄성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1 고정부(10) 및 제2 고정부(20)는 접촉부(50)가 과도한 깊이로 하강하여 접촉부(50)가 하강함에 따라 제1 및 제2 탄성가동부(30,40)가 변형되면서 탄성한계점을 초과하려고 하는 경우 안테나 기판 또는 제1 및 제2 탄성가동부(30,40)의 일측을 지지함으로써 제1 탄성가동부(30) 및 제2 탄성가동부(40)의 소성변형을 미연에 방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토퍼가 2가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첫번째 형태의 스토퍼는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고정부(10) 및 제2 고정부(20)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안테나기판의 일측을 지지함으로써 후술하는 접촉부(50)가 미리 설정된 깊이를 초과하여 하강하는 것을 방지한다.
두번째 형태의 스토퍼는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고정부(10) 및 제2 고정부(20)의 일측으로부터 각각 제1 탄성가동부(30) 및 제2 탄성가동부(40)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단부가 상방으로 절곡형성되어 제1 탄성가동부(30) 및 제2 탄성가동부(40)의 일측을 지지함으로써 후술하는 접촉부(50)가 미리 설정된 깊이를 초과하여 하강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탄성가동부(30)는 일단부가 제1 고정부(10)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 탄성부(31)와, 제1 탄성부(31)로부터 나선형상으로 연장형성되고 일단부가 접촉부(50)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가동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탄성가동부(40)는 일단부가 제2 고정부(20)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 탄성부(41)와, 제2 탄성부(41)로부터 나선형상으로 연장형성되고 일단부가 접촉부(50) 중 제1 가동부(32)와 대향되는 위치에 연결되는 제2 가동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제1 탄성가동부(30) 및 제2 탄성가동부(40)는 일단부가 각각 제1 고정부(10) 및 제2 고정부(20)에 지지된 상태에서 접촉부(50)가 제2 도체인 안테나에 의해 가압되어 하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1 가동부(32) 및 제2 가동부(42)가 길이방향, 즉 나선방향으로 압축되어 일측이 휘어짐에 따라 접촉부(50)에 상방으로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접촉부(50)가 제2 도체인 안테나 일측에 안정적으로 탄성접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제1 탄성가동부(30) 및 제2 탄성가동부(40)가 접촉부(5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동작은 후술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접촉부(50)는 대략 정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부(51)와, 플레이트부(51)의 상면 중앙에 상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안테나의 일측이 접촉되는 엠보부(5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안테나에 의해 가압되어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제1 고정부(10) 및 제2 고정부(20), 제1 탄성가동부(30) 및 제2 탄성가동부(40)를 통해 안테나와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촉단(1)를 설치위치로 이송하기 위해 픽업유닛이 흡착하기 위한 단면적을 갖는 픽업영역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플레이트부(51)는 일측에 제1 탄성가동부(30)의 타단부가 연결되고, 제1 탄성가동부(30)가 연결된 일측과 대각선으로 대향되는 일측에 제2 탄성가동부(40)의 타단부가 연결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접촉부(50)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1 탄성가동부(30) 및 제2 탄성가동부(40)가 접촉부(50)를 가압하는 일측 중 접촉부(50)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균형을 이루는 일측에 연결됨에 따라 접촉부(50)가 하방으로 이동되면, 제1 제1 탄성가동부(30) 및 제2 탄성가동부(40)가 압축된다.
그리고, 엠보부(5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테나의 일측이 접촉되는 것으로서, 안테나의 일측이 접촉되는 경우 마찰에 의한 안테나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접촉부(50)는 엠보부(52)에 안테나가 접촉됨에 따라 안테나에 의해 가압되어 하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1 탄성가동부(30) 및 제2 탄성가동부(40)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력을 제공받아 안테나와 안정적으로 탄성접촉된다.
한편, 상기한 제1 고정부(10), 제2 고정부(20), 제1 탄성가동부(30), 제2 탄성가동부(40) 및 접촉부(50)는 제조공정 감소, 제조단가 절감, 내구성 향상등의 효과를 얻기 위해 하나의 강판을 연속 프레스 금형을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촉부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가동부가 압축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토퍼에 안테나기판 또는 탄성가동부가 지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1)의 동작을 첨부된 도7 및 도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전기접촉단자(1)를 설치하기 위해 픽업유닛(미도시)이 접촉부(50)의 일측을 흡착하여 픽업하고, 이를 설치위치로 이송한다.
전기접촉단자(1)가 설치위치로 이송되면, 제1 고정부(10) 및 제2 고정부(20)를 인쇄회로기판(T)의 일측에 솔더링(D)하여 제1 고정부(10) 및 제2 고정부(20)를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후, 안테나가 형성된 안테나기판(A)의 일측이 접촉부(50)의 접촉부(52)에 접촉되어 접촉부(50)를 하방으로 가압하면, 접촉부(50)는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테나기판(A)의 가압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1 탄성가동부(30) 및 제2 탄성가동부(40)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서 접촉부(50)를 가압하여 제1 탄성가동부(30) 및 제2 탄성가동부(40)의 양측단부가 각각 제1 및 제2 고정부(10,20)와, 접촉부(50)에 지지되면서 도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가동부(32,42)의 일측이 휘어지게 되고, 제1 탄성가동부(30) 및 제2 탄성가동부(40)가 압축된다.
여기서, 압축되는 제1 및 제2 가동부(32,42)의 일측이 길이방향, 즉 나선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1 및 제2 가동부(32,42)가 압축되면서 제1 탄성가동부(30) 및 제2 탄성가동부(40)의 가동거리가 증대되는 특징이 있다.
이에 접촉부(50)는 하방으로 이동하면서도 안테나가 형성된 안테나기판(A)의 일측에 안정적으로 탄성접촉되어 안테나와 인쇄회로기판(I)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접촉부(50)가 미리 설정된 깊이를 초과하는 하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도9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테나기판(A)이 스토퍼의 일측에 지지되거나 도9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탄성가동부(30,40)의 일측에 지지되어 제1 및 제2 탄성가동부(30,40)가 소성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고정플레이트(10,20)가 제1 및 제2 탄성가동부(30,40)의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고정플레이트(10,20)가 제1 및 제2 탄성가동부(30,4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는데, 도10에 따른 전기접촉단자(1)는 솔더링되는 제1 및 제2 고정플레이트(10,20)가 제1 및 제2 탄성가동부(30,40)의 내측에 배치됨에 따라 전체적인 크기가 작아지면서 보다 소형화될 뿐 아니라 솔더링부위가 제1 및 제2 탄성가동부(30,40)에 의해 외부손상요인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 제1 고정부 20 : 제2 고정부
S : 스토퍼 30 : 제1 탄성가동부
31 : 제1 탄성부 32 : 제1 가동부
40 : 제2 탄성가동부 41 : 제2 탄성부
42 : 제2 가동부 50 : 접촉부
51 : 플레이트부 52 : 접촉부

Claims (6)

  1. 제1 도체의 일측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 제2 도체의 일측이 접촉되어 하방으로 가압되는 접촉부와;
    일단부가 상기 제1 고정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 고정부의 일측으로부터 대각선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접촉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탄성가동부; 및
    일단부가 상기 제2 고정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고정부의 일측으로부터 대각선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연장형성되며, 상기 접촉부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탄성가동부가 상기 접촉부의 일측을 가압하는 가압력과 균형을 이루는 상기 접촉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2 탄성가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탄성가동부 및 상기 제2 탄성가동부는 상기 접촉부를 통해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접촉부에 제2 도체가 접촉되어 상기 접촉부가 하방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제1 탄성가동부 및 상기 제2 탄성가동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압축되어 상기 접촉부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촉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 상기 제2 고정부, 상기 제1 탄성가동부, 상기 제2 탄성가동부 및 상기 접촉부는 연속 프레스 금형을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촉단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접촉부가 미리 설정된 깊이를 초과하여 하강하는 경우 상기 제2 도체가 형성된 기판의 일측, 상기 제1 탄성가동부 또는 제2 탄성가동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이 지지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촉단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가동부 및 상기 제2 탄성가동부는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의 일측으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 및 제2 탄성부; 및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탄성부로부터 나선형상으로 연장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접촉부의 일측 중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가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촉단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외부의 픽업유닛이 흡착할 수 있도록 일측에 미리 설정된 크기의 단면적을 갖는 픽업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촉단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는 각각 상기 제1 탄성가동부 및 상기 제2 탄성가동부의 내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촉단자.
KR1020150140511A 2015-10-06 2015-10-06 전기접촉단자 KR101740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511A KR101740282B1 (ko) 2015-10-06 2015-10-06 전기접촉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511A KR101740282B1 (ko) 2015-10-06 2015-10-06 전기접촉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052A KR20170041052A (ko) 2017-04-14
KR101740282B1 true KR101740282B1 (ko) 2017-05-26

Family

ID=58579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0511A KR101740282B1 (ko) 2015-10-06 2015-10-06 전기접촉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028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836408Y (zh) * 2005-08-26 2006-11-08 陈惟诚 侧壁延伸有弹臂之止高弹片
KR101449613B1 (ko) * 2014-05-22 2014-10-13 (주)세윤 스프링 핑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64477B2 (en) 2004-11-12 2008-04-2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Low profile circuit board connector
KR101589972B1 (ko) 2010-02-02 2016-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모터보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KR101222242B1 (ko) 2011-05-03 2013-01-16 박진우 컨텍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836408Y (zh) * 2005-08-26 2006-11-08 陈惟诚 侧壁延伸有弹臂之止高弹片
KR101449613B1 (ko) * 2014-05-22 2014-10-13 (주)세윤 스프링 핑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052A (ko) 2017-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1191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8888525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dual arm contact
US7201584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 chip module
US9240657B2 (en) Socket connector with shielding structure
US20110009007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contacts
US8821192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e a grounding terminal with a tongue for improving mechanical stability
KR20150056032A (ko)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
CN103579812A (zh) 电连接器
KR101415306B1 (ko) 표면실장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1626030B1 (ko) 탄성 전기접촉단자
US8628340B2 (en) Connector mounted vertically through a hole in a printed circuit board
US20190045657A1 (en) Resilient contact terminal
KR101397284B1 (ko) 인쇄회로기판에 삽입되는 컨텍트와 그 결합구조
KR101740282B1 (ko) 전기접촉단자
KR101600510B1 (ko) 리플로우 솔더링에 의한 표면실장이 가능한 포켓형 전기접촉단자
US20140335705A1 (en) Electrical connector
US7950933B1 (en) Electrical socket having contact terminals floatably arranged therein
KR101904166B1 (ko) 가이드몰드의 내측에 경사 탄성전도판을 구비한 센서용 신호전달 조립체
CN210723469U (zh) 电连接器
KR101770753B1 (ko) C 클립
KR20150095371A (ko) 표면 실장형 이중 접속단자
KR101443526B1 (ko) 표면 실장용 접속장치
CN108493669B (zh) 电连接器
KR102039511B1 (ko) 다접점 다방향 컨텍트
KR20170095629A (ko) C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