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0753B1 - C 클립 - Google Patents

C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0753B1
KR101770753B1 KR1020160031728A KR20160031728A KR101770753B1 KR 101770753 B1 KR101770753 B1 KR 101770753B1 KR 1020160031728 A KR1020160031728 A KR 1020160031728A KR 20160031728 A KR20160031728 A KR 20160031728A KR 101770753 B1 KR101770753 B1 KR 101770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auxiliary
base
round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1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권구
Original Assignee
이권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권구 filed Critical 이권구
Priority to KR1020160031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07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8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meander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기판에 배치되는 베이스부에, 컨택부에 의해 눌려지는 보조부의 일부분 및 상기 컨택부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C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C 클립은, 기판에 고정되는 베이스부; 부품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컨택부; 탄성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컨택부를 연결시키는 탄성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상기 컨택부 및 상기 탄성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컨택부의 하단에 배치되는 보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택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컨택부는, 상기 탄성부와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부와 반대방향으로 볼록한, 속이 비어 있는 반구 형상을 갖는 라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보조부의 일부 및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C 클립{C CLIP}
본 발명은 핸드폰에 적용되어 전자부품들 간의 전기적 접속을 유지시켜 주는 C 클립에 관한 것이다.
C 클립은 핸드폰에 배치되는 전자부품들 간의 전기적 접속을 유지시켜주는 커넥터(Connector)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안테나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C 클립의 두께에 의해 핸드폰의 두께가 결정될 수 있기 때문에, C 클립은 핸드폰에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은 종래의 C 클립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특히, 외부로부터 압력이 없는 경우의 C 클립의 구조와, 외부로부터 압력을 받는 경우의 C 클립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종래의 C 클립은, 외부로부터 압력이 없는 경우, 1.1mm 이상의 높이를 갖는다.
종래의 C 클립에서는, C 클립의 컨택부(30)가 눌려질 때, 상기 컨택부(3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 또는 핸드폰 케이스에 장착되는 C 클립의 베이스부(10)가 ∩자 형태로 벤딩되어져 있다.
∩자 형태로 벤딩되어져 있는 부분으로 인해, 종래의 C 클립은 0.5mm 이하로는 제조되기 어렵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인해, 외부로부터 압력이 없는 경우에도, 종래의 C 클립의 높이는 1mm 이하로 구현되기 어렵다.
상기한 바와 같이, C 클립의 높이에 따라, 핸드폰의 두께가 좌우되므로, 종래의 C 클립에 의해서는, 핸드폰의 두께가 더욱 감소되기 어렵다.
특허공개번호 10-2015-0096986 등의 문헌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이 게시되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판에 배치되는 베이스부에, 컨택부에 의해 눌려지는 보조부의 일부분 및 상기 컨택부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C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C 클립은, 기판에 고정되는 베이스부; 부품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컨택부; 탄성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컨택부를 연결시키는 탄성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상기 컨택부 및 상기 탄성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컨택부의 하단에 배치되는 보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택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컨택부는, 상기 탄성부와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부와 반대방향으로 볼록한, 속이 비어 있는 반구 형상을 갖는 라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보조부의 일부 및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C 클립의 높이가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C 클립이 배치되는 핸드폰의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C 클립의 컨택부의 처짐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컨택부가 보조부에 의해 지지되므로, 컨택부의 처짐이 방지될 수 있으며, 컨택부와 컨택 대상물 간의 전기접인 접촉력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부의 평면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차단부에 의해, 컨택 대상물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택부 및 보조부가 컨택 대상물에 의해 심하게 눌려지지 않을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컨택부 및 상기 보조부가 처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C 클립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C 클립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C 클립의 측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C 클립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C 클립이 컨택 대상물에 의해 눌려지기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C 클립이 컨택 대상물에 의해 최대로 눌려진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C 클립이 기판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C 클립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C 클립의 측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C 클립의 배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C 클립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에 고정되는 베이스부(100), 부품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컨택부(300), 탄성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부(100)와 상기 컨택부(300)를 연결시키는 탄성부(200) 및 상기 베이스부(100)에 상기 컨택부(300) 및 상기 탄성부(20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컨택부(300)의 하단에 배치되는 보조부(500)를 포함한다.
첫째, 상기 베이스부(100)는 핸드폰 또는 각종 전자제품들에 구비되는 기판,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에, 납땜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00) 뿐만 아니라, 상기 탄성부(200)와 상기 컨택부(300)가 도전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컨택부(300)를 통해 접촉되는 안테나, 베터리 또는 각종 전자 부품들(이하, 간단히 컨택 대상물이라 함)은, 상기 C 클립을 통해, 상기 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전기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00)에는 삽입홀(1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홀(110)에는 상기 보조부(500)의 일부, 즉, 상기 보조부(500)를 구성하는 보조 라운드부(510) 및 상기 컨택부(300)의 일부, 즉, 상기 컨택부(300)를 구성하는 연결부(350)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홀(110)에는 상기 컨택부(300)를 구성하며, 상기 연결부(350)와 연결되는 라운드부(330)의 일부가 더 삽입될 수도 있다.
둘째, 상기 탄성부(200)는 상기 베이스부(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의 일측 끝단은, 상기 베이스부(100)의 일측 끝단에서 상기 베이스부(100)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100)로부터 라운드진 형태로 절곡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200)의 타측 끝단은 상기 베이스부(100)의 타측 끝단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200)는 일정간 간격을 두고 상기 베이스부(100)와 인접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단면을 커버한다.
상기 탄성부(200)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200)에는 원형 또는 타원형 등의 절개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개부(210)는 상기 탄성부(200)의 재료를 절감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탄성부(200)의 탄성력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셋째, 상기 베이스부(100)의 전면에는 상기 탄성부(200)의 전면 방향의 외력으로부터 상기 탄성부(2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차단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40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평면의 전면에서 상기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차단부(4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200)의 전면 방향 뿐만 아니라, 측면 방향에도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차단부(40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평면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차단부(400)는 상기 컨택부(300)의 전면, 좌측면 및 우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400)는 상기 컨택부(300)가 상기 차단부(400)의 높이 이하로 눌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컨택 대상물이 상기 컨택부(300)를 누를때, 상기 컨택 대상물의 저면이 상기 차단부(400)의 상단면에 걸쳐지며, 이에 따라 상기 컨택부(300) 및 상기 보조부(500)가 더 이상 눌려지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컨택부(300) 및 상기 보조부(500)가 처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넷째, 상기 컨택부(300)는 상기 컨택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며, 이에 따라, 상기 컨택 대상물은 상기 기판에 형성된 전기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컨택부(30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단부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컨택부(300)는, 상기 탄성부(200)와 연결되는 연결부(350) 및 상기 연결부(350)에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부(100)와 반대방향으로 볼록한, 속이 비어 있는 반구 형상을 갖는 라운드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350)는, 상기 연결부(350)의 상단면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200)의 상단면과 135도 이상의 각도(A)를 갖도록, 상기 탄성부(2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컨택부(300), 특히, 상기 라운드부(330)가 상기 베이스부(100) 방향으로 압력을 받는 경우, 상기 연결부(350)의 하단면은 상기 삽입홀(110)에 삽입되어 상기 기판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컨택부(300) 또는 상기 탄성부(200)의 처짐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라운드부(330)는 상기 베이스부(100)와 반대방향으로 볼록한, 속이 비어 있는 반구 형상을 갖는다.
상기 라운드부(330)는 상기 연결부(350)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100)와 반대방향,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 또는 ∩자 형태로 절곡되어 있다.
상기 라운드부(33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 형상을 갖는다. 이 경우, 상기 라운드부(330)는 속이 비어있을 수 있으나, 속이 차있을 수도 있다.
상기 라운드부(330)는 상기 컨택부(300)의 처짐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컨택부(300), 특히, 상기 라운드부(330)가 상기 베이스부(100) 방향으로 압력을 받는 경우, 상기 라운드부(330)는 상기 보조부(500)를 누르며, 이에 따라, 상기 보조부(500)의 일부가 상기 삽입홀(110)에 삽입되어 상기 기판에 지지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조부(500)의 일부, 즉, 상기 보조부(500)를 구성하는 보조 라운드부(510) 및 상기 연결부(350)가 상기 삽입홀(110)에 삽입되어 상기 기판에 지지된다. 그러나, 상기 삽입홀(110)은 상기 보조 라운드부(510)만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연결부(350)는 상기 베이스부(110)의 상단면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운드부(330)의 상단면에는 상기 라운드부(330)의 상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일정한 영역을 형성하는 접촉부(34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340)에 의해 상기 컨택 대상물과 상기 컨택부(300)가 전기적으로 더 잘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00), 상기 탄성부(200) 및 상기 컨택부(300)는 전기 전도성을 갖는 물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컨택부(300)가 상기 베이스부(100) 방향으로 압력을 받는 경우, 상기 컨택부(300)가 상기 보조부(500)의 상기 보조 라운드부(510)를 누르며, 이에 따라, 상기 보조 라운드부(510) 및 및 상기 연결부(350)는 상기 삽입홀(110)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택부(300)가 최대 가압을 받을 때, 상기 C 클립의 전체 높이(Z)는 0.3mm 내지 0.4mm로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택부(300)가 외부로부터 가압을 받지 않을 때, 상기 탄성부(200)의 탄성에 의해 증가될 수 있는 C 클립의 높이(Y)는 대략, 0.45mm 내지 0.6mm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택부(300)의 전체 높이(X)는 0.3mm 내지 1.0mm가 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베이스부(100)에 상기 삽입홀(1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컨택부(300)가 컨택 대상물에 의해 눌려질 때, 상기 보조 라운드부(510) 및 상기 연결부(350)가 상기 삽입홀(110)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C 클립의 최소 높이(Z)가 종래보다 감소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도 3은 상기 컨택부(300)가 압력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의 C 클립의 최대 높이(X)와, 상기 컨택부(300)가 최대 압력으로 눌려진 상태에서의 C 클립의 최소 높이(Z)를 나타낸다. 이 경우, 상기 최대 높이(X)는 1.0mm 보다 작을 수 있으며, 상기 최소 높이(Z)는 0.3mm 내지 0.4mm가 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400)의 높이는, 상기 상기 컨택부(300)가 최대 가압을 받을 때, 상기 C 클립의 전체 높이(Z) 보다 클 수도 있고, 작을 수도 있으며, 또는 동일할 수도 있다.
다섯째, 상기 보조부(500)는 상기 베이스부(100)에 상기 컨택부(300) 및 상기 탄성부(20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컨택부(300)의 하단에 배치된다.
상기 보조부(500)는, 상기 컨택부(300)의 하단에 배치되는 보조 라운드부(510) 및 상기 탄성부(200)와 마주보도록 상기 베이스부(100)에 연결되고, 탄성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부(100)와 상기 보조 라운드부(510)를 연결시키는 보조 탄성부(520)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부(500)와 상기 베이스부(1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부(500), 상기 베이스부(100), 상기 탄성부(200) 및 상기 컨택부(3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택부(300), 특히, 상기 컨택부(300)를 구성하는 상기 라운드부(330)가 상기 베이스부(100) 방향으로 압력을 받는 경우, 상기 라운드부(330)에 의해 눌려지는 상기 보조 라운드부(510) 및 상기 연결부(350)는 상기 삽입홀(110)에 삽입되어 상기 기판에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조 탄성부(520) 중 상기 보조 라운드부(510)와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보조 라운드부(510)가 상기 라운드부(330)에 의해 눌려질 때, 상기 삽입홀(11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C 클립이 컨택 대상물에 의해 눌려지기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C 클립이 컨택 대상물에 의해 최대로 눌려진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C 클립이 기판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컨택 대상물(800)은, 핸드폰 또는 각종 전자제품에 적용되는 안테나, 베터리 또는 각종 전자 부품들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컨택 대상물(800)은 상기 C 클립을 통해, 상기 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전기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컨택 대상물(8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택부(300)의 상단면에 배치되어 상기 컨택부(300)를 가압한다.
이 경우, 상기 컨택부(300)의 상기 라운드부(330) 및 상기 접촉부(340)의 상단면이 상기 컨택 대상물(8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라운드부(330)가 상기 컨택 대상물(800)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100) 방향으로 눌려지면, 상기 라운드부(330)에 의해 상기 보조 라운드부(510)가 상기 베이스부(100) 방향으로 눌려지며, 이에 따라, 상기 라운드부(330)의 저면(320)이 상기 보조 라운드부(510)의 상단면에 밀착된다. 상기 보조 라운드부(510)가 상기 라운드부(330)에 의해 눌려지기 때문에, 상기 보조 라운드부(510) 및 상기 연결부(3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100)에 형성된 상기 삽입홀(110)로 삽입된다.
이 경우, 상기 보조 라운드부(510) 및 상기 연결부(3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판(900)의 상단면에 밀착되어 상기 기판(900)에 의해 지지된다. 특히, 상기 보조 라운드부(510)의 저면은 상기 기판(900)에 밀착되며, 상기 기판(90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보조 라운드부(510) 및 상기 연결부(350)가 상기 기판(900)에 지지되고, 상기 라운드부(330)가 상기 보조 라운드부(510)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상기 컨택부(300)가 일정한 압력 이상으로 눌려지더라도 상기 컨택부(300)가 더 이상 눌려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컨택부(300) 및 상기 탄성부(200)가 변형되어 처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350)는 상기 삽입홀(110)에 삽입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연결부(350)는 상기 베이스부(110)의 상단면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압력을 받지 않는 경우의 C 클립의 높이가 1.0mm 이하, 예를 들어, 0.8mm 또는 0.9mm로 형성될 수 있으며, 컨택부(300) 및 탄성부(200)가 높은 가압력에 의해 처지거나 변형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택부(300)가 상기 보조부(500)에 의해 지지되므로, 상기 컨택부(300)의 처짐이 방지될 수 있으며, 상기 컨택부(300)와 상기 컨택 대상물(800) 간의 전기접인 접촉력이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컨택 대상물(800)이 상기 차단부(400)에 의해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할 경우, 상기 보조 라운드부(510)가 상기 라운드부(330)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라운드부(330)가 상기 컨택 대상물(800)에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컨택부(300)와 상기 컨택 대상물(800) 간의 전기접인 접촉력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베이스부 200: 탄성부
300: 컨택부 800: 컨택 대상물
900: 기판 500: 보조부

Claims (4)

  1. 기판에 고정되는 베이스부;
    부품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컨택부;
    탄성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컨택부를 연결시키는 탄성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상기 컨택부 및 상기 탄성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컨택부의 하단에 배치되는 보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택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컨택부는,
    상기 탄성부와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부와 반대방향으로 볼록한, 속이 비어 있는 반구 형상을 갖는 라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보조부의 일부 및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부는,
    상기 컨택부의 하단에 배치되는 보조 라운드부; 및
    상기 탄성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고, 탄성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보조 라운드부를 연결시키는 보조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택부가 상기 베이스부 방향으로 압력을 받는 경우, 상기 라운드부에 의해 눌려지는 상기 보조 라운드부 및 상기 연결부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기판에 지지되는 C 클립.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탄성부 중 상기 보조 라운드부와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보조 라운드부가 상기 라운드부에 의해 눌려질 때,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C 클립.




KR1020160031728A 2016-03-16 2016-03-16 C 클립 KR101770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728A KR101770753B1 (ko) 2016-03-16 2016-03-16 C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728A KR101770753B1 (ko) 2016-03-16 2016-03-16 C 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0753B1 true KR101770753B1 (ko) 2017-08-23

Family

ID=59759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1728A KR101770753B1 (ko) 2016-03-16 2016-03-16 C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075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179Y1 (ko) * 2009-12-31 2010-06-22 주식회사 협진아이엔씨 휴대폰용 접속단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179Y1 (ko) * 2009-12-31 2010-06-22 주식회사 협진아이엔씨 휴대폰용 접속단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5228B2 (en) Connector
US7261568B2 (en) Electrical connector
US9033743B2 (en) Electric connection terminal and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US7201584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 chip module
JP2018113163A (ja) 可動コネクタ
US7402082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taining shell
US9543681B2 (en) Terminal for an antenna connector
JP5124789B2 (ja) 表面実装コンタクト
US7625221B1 (en) Elastic contact
US7445506B2 (en) Shielded connector
US6843688B2 (en) Connector in which movement of contact portion of contact is guided by insulator
KR101415306B1 (ko) 표면실장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1572971B1 (ko)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
US9887480B2 (en) Contact including deformation preventer for preventing deformation of connector support
KR101372079B1 (ko) Pcb 컷 타입 접속장치
KR10152778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촉단자
KR101770753B1 (ko) C 클립
KR101433217B1 (ko) Pcb 컷 타입 접속장치
KR100567587B1 (ko) 접지 연결용 홀드다운을 갖춘 전기 커넥터
KR20160110074A (ko) 접속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회로기판 모듈
US9865947B2 (en) SIM connector
KR20170096496A (ko) C 클립
KR20170095629A (ko) C 클립
CN109256631B (zh) 电接触端子
KR101812421B1 (ko) 전자부품 접속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