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7787B1 -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촉단자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촉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7787B1
KR101527787B1 KR1020130165781A KR20130165781A KR101527787B1 KR 101527787 B1 KR101527787 B1 KR 101527787B1 KR 1020130165781 A KR1020130165781 A KR 1020130165781A KR 20130165781 A KR20130165781 A KR 20130165781A KR 101527787 B1 KR101527787 B1 KR 101527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bottom plate
elastic
contact portion
elastic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5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우
Original Assignee
협진커넥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협진커넥터(주) filed Critical 협진커넥터(주)
Priority to KR1020130165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77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6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 H01R13/249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multiple contact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촉단자의 좌우 방향으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변형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상하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줄이면서 접촉단자의 전체 높이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기판에 고정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후면으로부터 일정 곡률을 가지면서 위로 둥글게 구부러진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끝에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대상물과 접점을 이루는 접점부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부의 가운데에는 탄성부의 곡률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절개부와 상기 접점부 바로 아래의 바닥판에도 길이 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촉단자{CONTACTING TERMINAL FOR MOBILE COMMUNICATOR}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촉단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PCB 등과 같은 기판에 실장되어 전자 부품 간에 전기적 접속을 유지해주는 표면 실장형 접촉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면 실장형 접촉단자는 접촉단자가 PCB 등과 같은 기판에 실장되어 2개 이상의 전자부품을 전기적으로 접촉 내지는 신호 전달의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다.
일 예로서, 휴대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휴대폰 본체의 내부에 PCB가 설치되는 동시에 휴대폰 본체의 후면에 안테나 또는 배터리가 구비되고 후면 커버로 마감되면서, 상기 PCB의 일측에 형성된 PCB 접점부와 상기 안테나, 배터리 그리고 후면 커버 사이에는 탄력적으로 접촉 가능한 접촉단자가 각각 실장된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촉단자는 판 형상의 도전성 금속을 프레스 및 포밍 가공을 통해 제작되는 것으로, 기판 측에 고정되는 바닥판과, 외부 단자와 직접 접속하는 접점부와, 접점부에 접속이 가해지는 경우에 접점부에 탄성을 부여해주는 탄성부가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일체형으로 제작된다.
한편, 최근 휴대폰은 두께가 얇으면서도 좌우 또는 상하로 휘어지게 개발되는 추세이며, 이에 맞추어 휴대폰의 후면을 덮는 후면 커버 역시 얇고 부드러운 재질을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접촉단자는 PCB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접촉단자의 좌우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으로부터 쉽게 변형되지 않기 위해서는 일정한 크기(폭)를 가져야한다. 이와 같이 바닥판, 탄성부 및 접점부가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접촉단자가 어느 정도의 폭을 유지해야 함에 따라 탄성부의 폭도 어느 정도의 폭을 유지해야 하고 이는 결국 탄성부의 탄성력을 어느 정도 이상으로 줄이기 어려운 한계로 이어지게 된다.
이러한 접촉단자를 재질이 얇고 부드러운 후면 커버가 적용된 휴대폰에 사용하게 되면 접촉단자의 접점부가 큰 탄성력으로 후면 커버와 접촉함으로써 후면 커버의 국부적인 찍힘 및 들림 등의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접촉단자는 그 높이가 높아서 최근 슬림화되는 휴대폰에 적용하기에도 한계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0-0011834호(2010.02.03. 공개)
본 발명은 최근 슬림화되면서 휘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발 추세에 맞추어 접촉단자가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으로부터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크기(폭)를 가지면서도 탄성부의 탄성력을 줄일 수 있음과 아울러 접촉단자의 전체 높이를 줄일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촉단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판에 고정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후면으로부터 일정 곡률을 가지면서 위로 둥글게 구부러진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끝에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대상물과 접점을 이루는 접점부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부의 가운데에는 탄성부의 곡률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접점부는 상기 탄성부의 끝에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다가 일정 곡률을 가지면서 상기 바닥판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접점부의 끝부분은 일정 곡률을 가지면서 상기 바닥판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는 선단 절곡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접점부의 끝 부분이 위치하는 상기 바닥판까지 연속적으로 절개되며, 상기 접점부의 상향 경사진 부분의 길이 방향 중간까지 연속적으로 절개된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의 전면에는 바닥판의 전면으로부터 수직 연장되어 상기 접점부의 전면을 보호하는 수직벽체가 구비되며, 이때의 수직벽체는 바닥판의 양쪽 측면에서 수직 연장되어 일정 높이로 접점부의 측면을 막아주는 측면벽체와, 각 측면의 앞쪽 측단부에서 직각으로 꺽이면서 연장되어 전면을 막아주는 전면벽체가 좌우로 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접점부 바로 아래의 바닥판에는 상기 접점부와 접촉하여 상기 접점부의 눌림 정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접점부의 끝부분에는 상기 스토퍼가 위치하여 상기 접점부의 좌우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촉단자는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접촉단자의 좌우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쉽게 변형되지 않는 크기를 가지면서도 탄성부의 탄성력은 종래 보다 줄어들게 되어 부드럽고 얇은 재질의 후면 커버와 접촉이 발생하더라도 종래와 같이 후면 커버의 국부적인 찍힘 및 들림 등과 같은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촉단자의 전체 높이를 소재의 두께만큼 줄일 수 있고, 결국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체 두께를 줄이는데 일조할 수 있다.
그리고 접촉단자의 가동 중에 접접부의 좌우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으로부터 접점부의 좌우 유동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촉단자의 후면 방향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촉단자의 위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제 1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촉단자의 아래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촉단자의 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촉단자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동작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촉단자의 전면 방향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촉단자의 저면 방향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촉단자에서 측면벽체가 절개된 상태의 측면 사이도
본 발명을 상세하기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앞쪽', '뒤쪽', '전면' 및 '후면'의 방향 기준은 접속단자에서 접점부의 끝부분이 향하는 방향을 '앞쪽' 및 '전면'으로 정한 것이며 그 반대 방향을 '뒤쪽' 또는 '후면'으로 정한 것임을 미리 밝혀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촉단자의 후면 사시도, 평면 사시도, 저면 사시도 및 측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촉단자는 바닥판(10), 탄성부(20) 및 접점부(30)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면서 기존의 접촉단자와 비교하여 전체 크기(폭)는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탄성부의 탄성력을 줄이고 전체 높이 역시 줄일 수 있는 경박단소형이다.
상기 바닥판(10)은 평판 형태로 납땜 등을 통해 PCB 기판 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수직벽체(50)가 형성되는 경계 부위의 바닥판(10)에는 내측으로 일부 절개된 노치부(11)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납땜 시에 노치부(11)에 납땜이 차오르도록 하여 기판에 접촉단자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바닥판(10)은 상기 접점부(30)보다 앞으로 더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다.
상기 탄성부(20)는 바닥판(10)의 후면에서 일정 곡률 반경을 가지면서 위로 둥글게 구부러진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 형태를 이루면서 접점부(30)에 대상물이 접점 시에 탄력적으로 변형되고, 접점 해제시 접점부(30)를 복원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접점부(30)는 대상물과 직접 접속하는 부분으로서, 탄성부(20)의 끝에서 상향 경사지게 일정 길이로 연장되다가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지면서 상단이 위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도록 바닥판(1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길게 연장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접점부(30)의 상향 경사진 부분에서는 탄성부(20)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에서부터 그 중간부까지 탄성부(20)와 동일한 폭으로 연장되다가, 전면으로 갈수록 그 폭이 작아지는 형태를 갖으면서, 이후에는 일정한 폭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접점부(30)의 하향 경사진 끝부분에는 바닥판의 반대방향으로 절곡되는 선단 절곡부(32)가 형성된다. 이때의 선단 절곡부(32)는 후술하는 바닥판(10)의 절개부(40)를 통과하여 PCB 기판과 접촉 가능하게 되고, 결국 접점부(30)다 눌려질 때 접점부(30)의 과도한 눌림을 막아줄 수 있다.
상기 접점부(30)의 윗면에는 대상물과 충분한 접촉면적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일정 면적을 가지면서 평탄한 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엠보싱(31)이 길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접촉단자가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으로부터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크기(폭)을 가지면서도 탄성부(20)의 탄성력을 줄일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즉 탄성부(20)의 전체 폭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탄성력을 줄일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상기 탄성부(20)의 폭 방향의 가운데 부분에는 일정한 폭을 가지면서 탄성부(20)의 곡률 반경을 따라 길게 절개된 절개부(40)가 마련된다. 즉, 탄성부(20)는 폭 방향의 가운데에서 탄성부(20)의 곡률 반경을 따라 둥글게 터진 절개부(40)를 사이에 두고 좌우 측에 각각 일정한 폭(대략 탄성부 전체 폭의 1/4 정도)을 갖으면서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좌우 각각 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접촉단자의 전체 크기(폭)는 기존과 동일한 크기(폭)로 기판에 실장되므로 접촉단자의 좌우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으로부터 쉽게 변형이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탄성부의 폭은 기존에 비해 대략 반으로 줄어들게 됨으로써 탄성력 역시 기존에 비해 반으로 줄어들고, 결국 접점부가 재질이 얇고 부드러운 후면 커버와 접촉을 하더라도 탄성부의 탄성 복원력에 의한 접점부의 후면 커버 눌림력이 작기 때문에 후면 커버의 눌림 등으로 인한 손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 절개부(40)는 접점부(30)의 상향 경사진 부분의 길이 방향 중간까지, 즉 탄성부(20)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연장되는 접점부(30)까지 연속적으로 절개된 형태를 갖는다. 즉 접촉단자의 위에서 볼 때 절개부(40)가 형성된 탄성부(20)와 접점부(30)의 형상은 대략 'Y'자 형태를 갖는다(도 2 참조).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접촉단자는 절개부(40)가 탄성부(20) 뿐만 아니라 탄성부(20)로부터 연장되는 부위의 접점부(30)의 일부까지 형성되어 있어 탄성부의 탄성 변형이 쉽게 일어나며, 또한 최근 개발되고 있는 휘어지는 휴대폰에 보다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접촉단자의 가동 거리를 종래와 같이 유지하면서도 전체 높이를 줄일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접점부(30) 바로 아래의 바닥판(10)에는 접점부(30)의 가동 시에 접점부(30)의 끝 부분, 즉 선단 절곡부(32)가 통과되어 PCB 기판과 접촉 가능하도록 직사각 형태로 터진 절개부 마련된다. 이때의 절개부는 탄성부(20)의 절개부(40)와 연속적으로 이어지게 절개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이 접점부(30)의 가동 시에 접점부(30)가 바닥판(10)에 형성된 절개부(40)로 통과되게 가동함으로써 접촉단자의 전체 높이를 바닥판(10)의 두께, 즉 소재의 두께만큼 최대한 낮출 수 있게 되고, 결국 접촉단자의 슬림화에 일조할 수 있게 된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절개부(40)는 탄성부(20)와 경계를 이루는 접점부(30)일부에서부터 탄성부(20) 전체를 경유하여 접점부(30)의 끝 부분이 위치하는 바닥판(10)까지 연속적으로 길게 이어지는 형태로 접촉단자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어, 접촉단자의 전체 폭을 유지하면서 탄성부의 탄성력을 줄이면서 접촉단자의 전체 높이를 낮출 수 있으면서 휴대폰의 휘어짐에 보다 유연하게 추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외부의 충격이나 간섭으로부터 접점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바닥판(10)의 전면에는 일정 높이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접점부의 앞쪽으로부터의 충격이나 간섭을 차단할 수 있는 수직벽체(50)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직벽체(50)가 접점부(30)의 앞쪽을 막고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장갑 또는 핀셋과 같은 뾰족한 부분이 접점부(30)와 바닥판(10) 사이로 끼이는 것으로부터 접점부(3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직벽체(50)는 바닥판(10)으로부터 일체형으로 절곡 성형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바닥판(10)의 양쪽 측면에서 수직 연장되어 일정 높이로 접점부(30)의 측면을 막아주는 측면벽체(51)와, 각 측면벽체(51)의 앞쪽 측단부에서 직각으로 꺽이면서 연장되어 전면을 막아주는 전면벽체(52)가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좌,우로 각각 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직벽체(50)는 접점부(30)와 대상물 간의 정상적인 접속상태에서 외부 충격 등이 가해질 때 대상물을 밑에서 받쳐주어 접점부(30)의 과도한 눌림을 방지해주는 스토퍼의 역할을 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촉단자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동작 상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단자는 바닥판(10)을 통해 PCB 기판(70)에 납땜으로 접착 고정되고, 접점부(30)에는 안테나 또는 배터리와 같은 대상물(60)과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진다. 한편 일부 접촉단자는 휴대폰의 후면에서 접점(30)부가 후면 커버를 향하는 방향으로 장착되어 후면 커버와 접촉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PCB 기판에 실장된 접촉단자는 접점부(30)에 대상물(60)이 접속되면 접점부(30)는 탄성부(20)의 탄성 변형에 의해 일정 높이 아래로 방향으로 가동하여 대상물(60)과 접속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접점부(30)의 끝 부분을 이루는 선단 절곡부(32)는 바닥판(10)에 형성된 절개부(30)를 통과하면서 PCB 기판의 윗면과 접촉이 이루어져 접점부(30)의 과도한 눌림을 막아주게 된다.
한편, 접점부(30)에 충격 등의 규정 이상의 하중이 가해져서 접점부(30)가 최대로 가동하는 경우에 수직벽체(50)가 대상물(60)을 밑에서 받치고 있어 접점부(30)의 하강 높이가 제한된다. 여기서, 접점부(30)의 최대 가동이라 함은 탄성부(20)의 탄성 한계를 넘어서지 않아 탄성부(20) 복원력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의 가동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촉단자는 좌우 방향으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으로부터 변형이 쉽게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상하 방향으로의 자체 탄성력은 줄어들게 되어 매우 얇고 소프트한 대상물과 접촉이 이루어지더라도 누림 등으로 인한 대상물에 손상을 주지 않게 되고, 더욱이 최근의 개발되는 휘어지는 단말기에 보다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촉단자의 전면 방향, 저면 방향 및 측면 방향(측면 벽체가 절개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촉단자는 크게 기판에 고정되는 바닥판(10)과, 대상물과 접속이 이루어지는 접점부(30) 및 접점부(30)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20)와, 바닥판(10)의 전면에는 접점부의 전면 및 측면을 보호해주는 수직벽체(50)으로 구성되며, 탄성부(20)에 절개부(40)를 구비한 점에서 제 1 실시예의 접속촉단자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 1 실시예의 접촉단자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접촉단자는 접점부(30)의 과도한 눌림을 제한할 수 있는 스토퍼(80)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스토퍼(80)는 접점부(30)를 밑에서 받쳐주는 부분으로서, 접점부(30)에 충격 등의 규정 이상의 하중이 가해짐으로 인해 탄성부(20)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스토퍼(80)는 접점부(30)의 바로 아래의 바닥판(10)에서 접점부(30)를 향하는 방향으로 위로 돌출된 구조를 가지면서 접점부(30)의 하강 높이를 제한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스토퍼(80)는 바닥판(10)에서 일체로 절곡 성형되면서 일정 높이로 세워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2개의 서로 마주보는 수직부재, 즉 전면 수직부재(81)와 후면 수직부재(82)와 이를 연결하는 반원형의 아치부재(83)를 포함한다. 즉, 상기 스토퍼(80)는 전체적으로 볼 때 "∩" 모양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접촉단자는 접점부(30)에 접점부(30)가 대상물과 접점이 유지된 상태에서 좌우 방향에서 가해지는 외력으로부터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접점부(30)의 끝부분, 즉 선단 절곡부(32)에는 접점부(30)의 폭 방향 가운데 부분에서 일정 폭(스토퍼(80)의 폭보다 약간 넓은 폭)으로 터진 형태를 갖는 선단 절개부(33)가 마련된다.
이로 인해, 접점부(30)에 대상물이 접속되어 접점부(30)가 일정 높이 아래로 방향으로 가동하여 대상물과 접속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에서는 선단 절개부(33) 사이로 스토퍼(80)가 위치하여, 접점부(30)에 좌우 방향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선단 절개부(16)의 좌,우 안쪽 측면이 스토퍼(80)의 양 측면에 걸리면서 좌우 방향의 유동이 방지되고, 결국 접점부(30)의 변형도 방지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접촉단자는 상향 경사진 접점부(30)가 탄성부(20)로부터 바로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탄성부(20)의 끝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연장부(90)로부터 연장되는 구조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접촉단자는 수직벽체(50)에서 측면벽체(52)가 탄성부(20)까지 연장되는 길이를 갖게 되어 접촉단자의 전체 측면을 커버하게 된다.
이때, 측면벽체(52)는 전면벽체(51)의 하단보다 아래로 더 연장되는, 즉 바닥판(10) 까지 더 연장되는 측면 연장부(52a)가 구비된다. 수직벽체(50)는 측면 연장부(52a)를 통해 PCB 기판에 납땜 고정됨으로써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음과 아울러 접촉단자 전체가 PCB 기판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측면벽체(52)의 아래에는 위쪽으로 일부 절개되어 납땜 고정 시에 납땜이 일부 차올라서 공간을 메우는 노치부(11)가 형성된다.

10 : 바닥판 20 : 탄성부
30 : 접점부 31 : 엠보싱
32 : 선단 절곡부 40 : 절개부
50 : 수직벽체 51 : 측면벽체
52 : 전면벽체 60 : 대상물
70 : 기판 80 : 스토퍼

Claims (11)

  1. 기판에 고정되는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의 후면으로부터 일정 곡률을 가지면서 위로 둥글게 구부러진 탄성부(20)와, 상기 탄성부(20)의 끝에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대상물과 접점을 이루는 접점부(30)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20)에는 탄성부(20)의 폭 방향 가운데에 탄성부(20)의 곡률 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절개부(40)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40)는 상기 접점부(30)의 상향 경사진 부분의 길이 방향 중간까지 연속적으로 절개되고, 상기 접점부(30)의 상향 경사진 끝 부분이 위치하는 상기 바닥판까지 연속적으로 절개되고,
    상기 접점부(30)는 상기 절개부(40)까지는 상기 탄성부(20)와 동일한 폭을 가지면서 상향 경사진 끝부분으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는 형태로 연장되며, 상기 상향 경사진 접점부(30)의 끝부분에서 일정 곡률로 상기 탄성부(20) 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상기 상향 경사진 접점부(30)와 나란하게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하향 경사진 접점부(30)의 끝부분은 일정 곡률을 가지면서 상기 바닥판(10)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는 선단 절곡부(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촉단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0)의 전면에는 바닥판(10)의 전면으로부터 수직 연장되어 상기 접점부(30)의 전면을 보호하는 수직벽체(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촉단자.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직벽체(50)의 측면에서 수직 연장되어 일정 높이로 접점부의 측면을 막아주는 측면벽체(51)와, 각 측면의 앞쪽 측단부에서 직각으로 꺽이면서 연장되어 전면을 막아주는 전면벽체(52)가 좌우로 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촉단자.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30165781A 2013-12-27 2013-12-27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촉단자 KR101527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781A KR101527787B1 (ko) 2013-12-27 2013-12-27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촉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781A KR101527787B1 (ko) 2013-12-27 2013-12-27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촉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7787B1 true KR101527787B1 (ko) 2015-06-12

Family

ID=53503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5781A KR101527787B1 (ko) 2013-12-27 2013-12-27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촉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778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185B1 (ko) * 2016-07-27 2017-12-07 케이유엠 유한회사 자동 체결 커넥터
JP2018101544A (ja) * 2016-12-20 2018-06-28 矢崎総業株式会社 接続装置、及び、中継コネクタ
KR20200052639A (ko) 2018-11-07 2020-05-15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안테나 모듈
KR102117264B1 (ko) * 2018-12-28 2020-06-01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안테나 접속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3216A (ja) * 1999-05-07 2000-11-24 Kyoshin Kogyo Co Ltd 接続用端子及びテーピング接続用端子
KR20100008686U (ko) * 2009-02-24 2010-09-02 주식회사 협진아이엔씨 휴대폰용 안테나 접속단자
KR101001673B1 (ko) * 2010-04-05 2010-12-15 박진우 안테나 접속장치
KR20120022314A (ko) * 2010-09-02 2012-03-12 에더트로닉스코리아 (주) 휴대폰용 접속단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3216A (ja) * 1999-05-07 2000-11-24 Kyoshin Kogyo Co Ltd 接続用端子及びテーピング接続用端子
KR20100008686U (ko) * 2009-02-24 2010-09-02 주식회사 협진아이엔씨 휴대폰용 안테나 접속단자
KR101001673B1 (ko) * 2010-04-05 2010-12-15 박진우 안테나 접속장치
KR20120022314A (ko) * 2010-09-02 2012-03-12 에더트로닉스코리아 (주) 휴대폰용 접속단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185B1 (ko) * 2016-07-27 2017-12-07 케이유엠 유한회사 자동 체결 커넥터
WO2018021686A1 (ko) * 2016-07-27 2018-02-01 케이유엠 유한회사 자동 정렬 컨넥터 어셈블리
JP2018101544A (ja) * 2016-12-20 2018-06-28 矢崎総業株式会社 接続装置、及び、中継コネクタ
KR20200052639A (ko) 2018-11-07 2020-05-15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안테나 모듈
KR102117264B1 (ko) * 2018-12-28 2020-06-01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안테나 접속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6188B1 (en) Connector terminal
US20060276085A1 (en) Electrical contact element
US8926338B2 (en) Contact member
US8298021B2 (en) Contacting terminal
KR10152778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촉단자
KR101372079B1 (ko) Pcb 컷 타입 접속장치
EP1381116B1 (en) Sprung electrical terminal
KR20150096986A (ko)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
EP3414798B1 (en) Connecting element with a spring tab
KR101433217B1 (ko) Pcb 컷 타입 접속장치
CN208674449U (zh) 防溃端子、卡座及移动设备
KR20160110074A (ko) 접속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회로기판 모듈
KR20150089257A (ko) 측방향 변형방지를 위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
KR101190016B1 (ko) 탄성 전기 접촉단자
KR20150076996A (ko) 다방면 변형방지를 위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
KR20150097360A (ko) 접속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 모듈
KR20150024760A (ko) Pcb 컷 타입 접속장치
KR101453678B1 (ko) 표면 실장용 접속장치
KR200462952Y1 (ko) 접속단자
KR101443526B1 (ko) 표면 실장용 접속장치
KR101370175B1 (ko) 표면 실장용 접속장치
KR101398159B1 (ko) 변형 방지 기능을 강화한 단말기용 인테나 클립
US9865947B2 (en) SIM connector
KR20150095371A (ko) 표면 실장형 이중 접속단자
KR101443525B1 (ko) 표면 실장용 접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