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6185B1 - 자동 체결 커넥터 - Google Patents

자동 체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6185B1
KR101806185B1 KR1020160095687A KR20160095687A KR101806185B1 KR 101806185 B1 KR101806185 B1 KR 101806185B1 KR 1020160095687 A KR1020160095687 A KR 1020160095687A KR 20160095687 A KR20160095687 A KR 20160095687A KR 101806185 B1 KR101806185 B1 KR 101806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lug connector
arm
bracke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성원
조우재
지운집
변정혁
조계현
이원영
Original Assignee
케이유엠 유한회사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유엠 유한회사,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유엠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5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6185B1/ko
Priority to PCT/KR2017/006266 priority patent/WO201802168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체결 시 위치 보정 암에 인가되는 응력을 분산시켜 특정 위치에서 크랙이 발생하거나 파손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 체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커넥터 어셈블리 설치용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의 일단 양측에 마련된 한 쌍으로 구성되고 탄성을 갖도록 굴절되되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위치 보정 암과, 상기 위치 보정 암의 선단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는 수용공간이 내부에 마련된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 보정 암은, 상기 브래킷의 일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제1직선부재와, 상기 제1직선부재의 선단에서 연장된 S자 형상을 가진 굴절부재와, 상기 굴절부재의 선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직선부재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된 제2직선부재와, 상기 제2직선부재의 선단에 연장되고 상기 제1직선부재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결합부재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동 체결 커넥터{SELF ALIGNMENT CONNECTOR}
본 발명은 자동 체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자동 체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전원과 기기, 기기와 기기, 기기의 내부 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기구이다. 이러한 커넥터는 서로 체결 가능한 한 쌍, 즉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와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로 구성된다.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내부에는 전류 및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터미널이 마련된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12-0006307호(2012.01.18.)에는 제1커넥터(플러그 커넥터)와 제2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를 쉽게 체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커넥터 조립체(커넥터 어셈블리)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커넥터 조립체(50,70)는, 터미널삽입부(54)가 마련된 제1하우징(52)이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는 제1커넥터(50)와, 제1하우징(52)이 내부로 삽입되도록 선단이 개방되고 터미널삽입부(74)가 마련된 제2하우징(72)이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는 제2커넥터(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커넥터(50)의 제1하우징(52)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우 외벽에는 제1커넥터(50)와 제2커넥터(70)의 체결방향으로 연장된 제1가이드요철(63)이 마련된다. 또한, 제2커넥터(70)의 제2하우징(72)은 제1커넥터(5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74)이 마련된 육면체로 형성되고, 좌우 내벽에는 제1가이드요철(63)과 대응되는 제2가이드요철(80)이 형성된다.
상술한 구조에 따르면, 가이드요철(63,80)의 일측이 커넥터 조립체(50,70)의 체결 및 분리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커넥터 조립체(50,70)의 체결 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분리 시 분리 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져 커넥터 조립체(50,70)의 동작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커넥터 조립체(50,70)는 제1커넥터(50)의 선단이 제2커넥터(70)의 수용공간(74)에 삽입된 후 가이드요철(63,80)에 의해 안내되는 구조이므로, 제1커넥터(50)와 제2커넥터(70)의 방향이 어긋날 경우 체결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작업자가 육안 또는 촉감으로 확인한 후 체결해야하므로 효율 및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 및 등록된 '커넥터 어셈블리'가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497367호(2015.02.24.)에 개시되어 있다.
커넥터 어셈블리는, 플러그 커넥터 유닛과, 리셉터클 커넥터 유닛으로 구성된다. 플러그 커넥터 유닛은, 플러그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기기에 설치하기 위한 브래킷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브래킷의 일단에는 소정의 탄성을 갖도록 굴절(bending)된 한 쌍의 위치 보정 암이 마련되어, 플러그 커넥터가 상하방향, 좌우방향, 전후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체결방향이 다소 어긋나더라도 위치 보정 암과 가이드를 통해 보정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커넥터 어셈블리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위치 보정 암의 특정 위치에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일례로, 커넥터의 중심이 일치된 상태에서 체결할 경우 위치 보정 암의 직선부에 응력이 집중되고, 커넥터의 중심이 어긋난 상태에서 체결할 경우 위치 보정 암의 굴절부에 응력이 집중됨을 알 수 있다(도 9 및 도 10 참조).
이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체결 시 위치 보정 암의 특정 위치에 응력이 집중되면 해당 부분의 강도가 저하되고, 심할 경우 크랙이 발생하거나 파손이 될 수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12-0006307호(2012.01.18.)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497367호(2015.02.24.)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체결 시 위치 보정 암에 인가되는 응력을 분산시켜 특정 위치에서 크랙이 발생하거나 파손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 체결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 보정 암의 이격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플러그 커넥터와의 결합 시 체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 체결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체결 커넥터는, 커넥터 어셈블리 설치용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의 일단 양측에 마련된 한 쌍으로 구성되고 탄성을 갖도록 굴절되되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위치 보정 암과, 상기 위치 보정 암의 선단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는 수용공간이 내부에 마련된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 보정 암은, 상기 브래킷의 일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제1직선부재와, 상기 제1직선부재의 선단에서 연장된 S자 형상을 가진 굴절부재와, 상기 굴절부재의 선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직선부재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된 제2직선부재와, 상기 제2직선부재의 선단에 연장되고 상기 제1직선부재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결합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굴절부재는, 일 방향으로 굴절된 호 형상의 제1굴절부와, 상기 제1굴절부의 반대방향으로 굴절된 호 형상의 제2굴절부로 이루어진 S자 형상이다.
상기 위치 보정 암에는 상기 제1직선부재에서 상기 제2직선부재까지 연장된 슬롯이 형성된다.
상기 위치 보정 암은 상기 제1직선부재의 후단에서 상기 결합부재 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보조부재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보조부재의 선단은 상기 결합부재의 후단에서 이격된다.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상기 한 쌍의 위치 보정 암 사이에 마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위치 보정 암은, 복수의 직선부재 사이에 S자 형상의 굴절부재가 마련되어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체결 시 인가되는 응력을 위치 보정 암에 전체적으로 분산시켜 특정 위치에서 크랙이 발생하거나 파손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위치 보정 암은 제1직선부재의 후단에서 결합부재 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보조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조부재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체결 시 결합부재를 지지하여 위치 보정 암의 변형을 제한함으로써 크랙이나 파손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한 쌍의 결합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통해 위치 보정 암의 이격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와의 체결 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체결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체결 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체결 커넥터의 플러그 커넥터 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체결 커넥터의 브래킷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체결 커넥터의 리셉터클 커넥터 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체결 커넥터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체결 커넥터의 응력 변화를 도시한 도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체결 커넥터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등에 설치되어 전류 및 신호를 전달하는 커넥터이다. 그 구조를 살펴보면, 차량용 램프 하우징(미도시) 측에 설치되는 플러그 커넥터 유닛(100,200)과, 차량용 램프 렌즈(미도시) 측에 설치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유닛(300,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1 참조).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 유닛(100,200)은, 플러그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100)를 차량용 램프 하우징 측에 설치하기 위한 브래킷(200)으로 구성된다.
플러그 커넥터(100)는,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소켓 단자(12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리셉터클 커넥터(도 2의 300)에 삽입 가능한 크기의 직육면체 형상이다.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소켓 단자(120)의 설치를 위한 장착공간(112)이 형성된다. 하우징(110)의 양측에는 브래킷(200)의 위치 보정 암(arm, 220)이 삽입, 고정되는 결합구(114)가 형성된다. 하우징(110)의 상면에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잠금레버(116)가 마련되고, 잠금레버(116)의 상면에는 잠금돌기(118)가 형성된다. 잠금레버(116)와 잠금돌기(118)는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30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록킹수단이다. 즉,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300)의 체결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외력이 인가될 경우 변형되어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300)가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결합구(114)의 내부에는 오조립 방지턱과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오조립 방지턱은 결합구(114)에 삽입되는 위치 보정 암(220)이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고정돌기는 결합구(114)에 삽입된 위치 보정 암(220)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소켓 단자(120)는, 핀 단자(320)가 삽입되는 몸체(122)와, 케이블(미도시)이 고정되는 고정부(124)로 이루어진 통상의 소켓 단자이다.
브래킷(200)은, 차량용 램프 하우징 측에 장착되는 플레이트(210)와, 플레이트(210)의 선단에 마련된 위치 보정 암(22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위치 보정 암(220)에는 플러그 커넥터(100)가 결합된다.
플레이트(2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판재 형상이다. 플레이트(210)의 후단은 램프 하우징 측에 쉽게 장착될 수 테이퍼 형상을 갖는다. 플레이트(210)의 상면에는 소켓 단자(120)의 고정부(124)에 고정되는 다수의 케이블(미도시)을 묶어 정리하기 위한 후크(212)가 형성된다.
위치 보정 암(220)은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300)의 체결 시 체결방향이 어긋날 경우 플러그 커넥터(100)의 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수단이다. 위치 보정 암(220)은 플레이트(210)의 선단 양측에 마련된 한 쌍으로 구성되고, 한 쌍의 위치 보정 암(220)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위치 보정 암(220)은 플러그 커넥터(100)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도록 상하, 전후, 좌우로 변형이 가능한 소정의 탄성을 가진 형태로 제작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위치 보정 암(220)은, 한 쌍의 직선부재(230,250)와, 한 쌍의 직선부재(230,250)를 연결하는 굴절부재(240)를 포함하는 대략 R자 형상을 가진다. 또한, 위치 보정 암(220)은, 플러그 커넥터(100)가 결합되는 결합부재(260)와, 한 쌍의 결합부재(26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270)와, 결합부재(260)를 지지하는 보조부재(280)를 더 포함한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위치 보정 암(220)의 각 부재(220~280)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제1직선부재(230)는 플레이트(210)의 선단에는 전방으로 연장된다. 굴절부재(240)는 제1직선부재(230)의 선단에서 연장된 S자 형상이되 사선방향으로 배치된다. 굴절부재(240)는, 제1직선부재(230)의 선단에서 일방향으로 굴절된 호 형상의 제1굴절부(242)와, 제1굴절부(242)에 선단에서 제1굴절부(242)의 반대방향으로 굴절된 호 형상의 제2굴절부(244)로 이루어진다.
제2직선부재(250)는 굴절부재(240)의 선단에서 연장되고 제1직선부재(230)와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결합부재(260)는 제2직선부재(250)의 선단에서 연장되되 제1직선부재(230)와 평행을 이루고 제2직선부재(250)와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형상(대략 R자 형상)의 제1 및 제2직선부재(230,250) 및 굴절부재(240)는,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체결 시 인가되는 응력을 위치 보정 암(220)에 전체적으로 분산시켜 특정 위치에서 크랙이 발생하거나 파손이 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위치 보정 암(220)에는 제1직선부재(230)에서 제2직선부재(250)까지 연장된 슬롯(도 3의 290)이 형성되어, 응력이 특정 위치에서 집중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결합부재(260)는 연결부재(27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한 쌍의 위치 보정 암(220)의 이격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300)의 체결 시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한편, 보조부재(280)는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300)의 체결 시 결합부재(260)를 지지하여 위치 보정 암(220)의 변형을 제한함으로써 크랙이나 파손의 문제를 해결한다. 이러한 보조부재(280)는 제1직선부재(230)의 후단에서 결합부재(260) 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되 그 선단은 결합부재(260)의 후단에서 이격된다.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 유닛(300,400)은, 리셉터클 커넥터(300)와, 리셉터클 커넥터(300)를 차량용 램프 렌즈 측에 설치하기 위한 지지대(400)로 구성된다.
리셉터클 커넥터(300)는,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310)과, 하우징(3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핀 단자(320)를 포함한다.
하우징(310)은 플러그 커넥터(도 3의 100)의 하우징(도 3의 1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311)이 마련된 직육면체 단면의 파이프 형상이다. 즉, 하우징(310)은 선단면이 개방되고 후단면이 밀폐된 파이프 형상이다. 하우징(310)의 개방된 선단면에는 플러그 커넥터(100)의 결합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312)가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310)의 밀폐된 후단면에는 돌출부(313)가 형성되고, 돌출부(313)의 내부에는 핀 단자(320)의 설치를 위한 장착공간(314)이 형성된다.
가이드(312)는 하우징(310)의 선단면 각 모서리마다 형성된 4개로 구성된다. 가이드(312)는 하우징(310)의 선단면 각 모서리를 따라 굴절된 앵글 형상이되, 그 내벽은 수용공간(311) 측으로 갈수록 축소되는 테이퍼 형상이다. 이처럼 가이드(312)의 내벽을 축소되는 형상으로 제작할 경우,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300)의 결합방향이 다소 어긋나더라도 가이드(312)에 의해 보정될 수 있다. 특히, 가이드(312)가 앵글 형상으로 형성되어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300)의 결합방향을 상하 및 좌우로 보정할 수 있다.
수용공간(311)의 상부에는 잠금레버(도 3의 116)가 삽입되는 삽입공간(315)이 형성되고, 삽입공간(315)의 내벽에는 잠금돌기(도 3의 118)가 삽입되는 잠금홀(316)이 형성된다. 삽입공간(315) 및 잠금홀(316)은 잠금레버(116) 및 잠금돌기(118)와 함께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30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다.
삽입공간(315), 잠금홀(316) 및 잠금레버(116), 잠금돌기(118)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300)의 잠금 및 잠금해제 과정을 살펴보면,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300)의 결합 시 잠금레버(116)가 삽입공간(315)에 삽입되고 잠금돌기(118)가 잠금홀(316)에 삽입되어 잠금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잠금레버(116)는 그 일부가 삽입공간(315)의 외부로 노출되므로, 노출된 잠금레버(116)를 조작할 경우 잠금돌기(118)가 잠금홀(316)에서 이탈하며 잠금해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300)에 결합된 플러그 커넥터(10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310)의 양측에는 리셉터클 커넥터(300)를 지지대(400)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구(317)가 형성된다. 설치구(317)는 지지대(400)의 장착봉(4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선단면이 밀폐된 컵 형상으로 형성되고, 밀폐된 선단면에는 체결볼트(330)가 관통되는 체결공(318)이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설치구(317) 중 하나에는 리셉터클 커넥터(300)와 지지대(400)의 결합 시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한 키홈(319)이 형성된다.
지지대(400)는, 차량의 램프 렌즈 등과 같은 서브 어셈블리(미도시)에 고정되는 플레이트(410)와, 플레이트(410)의 일면에서 돌출되고 서로 이격된 한 쌍으로 이루어진 장착봉(420)으로 구성된다. 이때, 한 쌍의 장착봉(420) 중 어느 하나에는 장착봉(4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키(422)가 형성된다. 키(422)는 리셉터클 커넥터(300)와 지지대(400)의 결합 시 설치구(317)의 키홈(319)에 삽입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체결 커넥터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자동 체결 커넥터(1)의 결합과정은 차량의 램프 렌즈(미도시)에 고정된 리셉터클 커넥터 유닛(300,400)에 플러그 커넥터 유닛(100,200)을 결합시키는 과정이다. 이때, 작업자는 육안 또는 촉감으로 결합위치를 확인한 후 결합해야하므로 플러그 커넥터(100)의 결합방향과 리셉터클 커넥터(300)의 결합방향이 어긋나기 쉽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플러그 커넥터(100)의 결합방향이 우측으로 편의된 상태에서 리셉터클 커넥터(300)에 결합시키면, 플러그 커넥터(100)의 하우징(110) 선단이 리셉터클 커넥터(300)의 가이드(312)에 접촉하게 된다. 가이드(312)에 접촉된 플러그 커넥터(100)의 하우징(110)은 테이퍼 진 가이드(312)의 내벽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며 결합방향이 보정된다. 이때, 좌측에 마련된 위치 보정 암(220L)이 수축되고, 우측에 마련된 위치 보정 암(220R)이 신장되며 결합방향이 보정되는 것을 돕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플러그 커넥터(100)의 결합방향이 좌우방향으로 편의된 것에 대해서만 예시하고 있으나, 상하방향 뿐만 아니라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으로 편의될 경우에도 보정이 가능하다. 이는 가이드(312)가 리셉터클 커넥터(300)의 하우징(310) 각 모서리를 따라 굴절된 앵글 형상이며, 위치 보정 암(220L,220R)이 상하방향, 좌우방향, 전후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9와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체결 커넥터의 응력 변화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9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체결방향이 일치할 때의 응력변화를, 도 10은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체결방향이 일치할 때의 응력변화를 각각 도시한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커넥터 어셈블리는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체결할 경우 위치 보정 암(220′)이 브래킷(210′) 측으로 밀리며 위치 보정 암(220′)의 직선부재(230′,240′)에 응력이 집중됨을 알 수 있다. 즉, 응력이 위치 보정 암(220′)의 특정 위치(직선부재(230′,230′))에 집중되어 크랙이 발생하거나 파손될 우려가 크다.
반면, 도 9의 (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체결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체결 시 인가되는 응력이 위치 보정 암(220)에 전체적으로 분산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응력이 위치 보정 암(220)에 골고루 분산되므로 크랙이나 파손의 우려가 없다. 특히, 보조부재(280)가 위치 보정 암(220)을 지지하여 변형을 제한함으로써 크랙이나 파손의 문제를 좀 더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커넥터 어셈블리는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체결할 경우 위치 보정 암(220′)이 일측으로 밀리며 위치 보정 암(220′)의 굴절부재(250′,260′)에 응력이 집중되고 해당 부위에서 크랙이 발생하거나 파손될 우려가 크다.
반면, 10의 (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체결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체결 시 인가되는 응력이 위치 보정 암(220)에 전체적으로 분산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응력이 위치 보정 암(220)에 골고루 분산되므로 크랙이나 파손의 우려가 없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자동 체결 커넥터 100: 플러그 커넥터
110: 하우징 120: 소켓 단자
200: 브래킷 210: 플레이트
220: 위치 보정 암 300: 리셉터클 커넥터
310: 하우징 320: 핀 단자
330: 체결볼트 400: 지지대

Claims (6)

  1. 커넥터 어셈블리 설치용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의 일단 양측에 마련된 한 쌍으로 구성되고 탄성을 갖도록 굴절(bending)되되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위치 보정 암(arm)과, 상기 위치 보정 암의 선단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는 수용공간이 내부에 마련된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는 자동 체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위치 보정 암은,
    상기 브래킷의 일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제1직선부재;
    상기 제1직선부재의 선단에서 일 방향으로 굴절된 호 형상의 제1굴절부와, 상기 제1굴절부의 선단에서 상기 제1굴절부의 반대방향으로 굴절된 호 형상의 제2굴절부로 구성된 S자 형상을 가진 굴절부재;
    상기 굴절부재의 선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직선부재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된 제2직선부재;
    상기 제2직선부재의 선단에 연장되고 상기 제1직선부재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결합부재; 및
    상기 위치 보정 암에는 상기 제1직선부재에서 상기 제2직선부재까지 연장된 슬롯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직선부재와 상기 굴절부재가 R자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체결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 보정 암은 상기 제1직선부재의 후단에서 상기 결합부재 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보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부재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결합 시 상기 결합부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체결 커넥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재의 선단은 상기 결합부재의 후단에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체결 커넥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상기 한 쌍의 위치 보정 암 사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체결 커넥터.
KR1020160095687A 2016-07-27 2016-07-27 자동 체결 커넥터 KR101806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687A KR101806185B1 (ko) 2016-07-27 2016-07-27 자동 체결 커넥터
PCT/KR2017/006266 WO2018021686A1 (ko) 2016-07-27 2017-06-15 자동 정렬 컨넥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687A KR101806185B1 (ko) 2016-07-27 2016-07-27 자동 체결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6185B1 true KR101806185B1 (ko) 2017-12-07

Family

ID=60920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687A KR101806185B1 (ko) 2016-07-27 2016-07-27 자동 체결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06185B1 (ko)
WO (1) WO201802168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8816A (ko) * 2021-10-05 2023-04-12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위치 보정 기능을 갖는 커넥터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367B1 (ko) * 2014-01-09 2015-03-05 케이유엠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KR101527787B1 (ko) * 2013-12-27 2015-06-12 협진커넥터(주)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촉단자
KR101595188B1 (ko) * 2014-10-29 2016-02-17 델피 인터내셔널 오퍼레이션즈 룩셈부르크 에스.에이 알.엘. 자가 정렬 가능한 전기 접속 장치 및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6349A (ja) * 2003-12-01 2005-06-23 Fujikura Ltd 自己調芯型コネクタ
KR20150100164A (ko) * 2014-02-24 2015-09-0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자동조립용 탄성클립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787B1 (ko) * 2013-12-27 2015-06-12 협진커넥터(주)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촉단자
KR101497367B1 (ko) * 2014-01-09 2015-03-05 케이유엠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KR101595188B1 (ko) * 2014-10-29 2016-02-17 델피 인터내셔널 오퍼레이션즈 룩셈부르크 에스.에이 알.엘. 자가 정렬 가능한 전기 접속 장치 및 커넥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8816A (ko) * 2021-10-05 2023-04-12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위치 보정 기능을 갖는 커넥터 시스템
KR102603402B1 (ko) * 2021-10-05 2023-11-17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위치 보정 기능을 갖는 커넥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21686A1 (ko) 2018-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8630B1 (ko) 커넥터 장치
US6592266B1 (en) Fiber optic cable connector clip
CN102222831B (zh) 能够以优良空间效率实现电路板之间连接的连接器
US4832613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movable guide member
US20100009565A1 (en) Antenna Connector Assembly
US20040229490A1 (en) Plug connector, consisting of a plug-in jack and a plug part
US20120295470A1 (en) Connector and jig for connector
JP2021514525A (ja) Cpaを備えた電気コネクタ
US10103462B1 (en) Card-edge connector assembly having card guide modules
US9997881B2 (en) Electric connector
KR20120093370A (ko) 플러그 연결을 위한 전기 접촉부
US10498077B2 (en) Power connector and power connector device
US20190006782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alignment plate and secondary lock detection
US20170104288A1 (en) Conductive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P2321878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rotection and centering device
US7442064B2 (en) Board connecting body
US9431760B2 (en) Electrical connector capable of connecting a plurality of electric wires to a connection object
KR101806185B1 (ko) 자동 체결 커넥터
KR20110128310A (ko) 래치를 구비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US733182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n anti-splay ferrule
TWI723724B (zh) 高功率型板對板浮動連接器
CN108352656B (zh) 连接器装置
KR101497367B1 (ko) 커넥터 어셈블리
US20160036149A1 (en) Connector
WO2015072153A1 (ja) コネクタ及びこれを備えるコネ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