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7367B1 -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7367B1
KR101497367B1 KR20140002729A KR20140002729A KR101497367B1 KR 101497367 B1 KR101497367 B1 KR 101497367B1 KR 20140002729 A KR20140002729 A KR 20140002729A KR 20140002729 A KR20140002729 A KR 20140002729A KR 101497367 B1 KR101497367 B1 KR 101497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lug connector
receptacle connector
position correction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02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성원
최정욱
김민준
Original Assignee
케이유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유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유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40002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73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2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position or shape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H01R13/6215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using one or more bolt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며,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결합방향이 다소 어긋나더라도 보정이 가능한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플러그 커넥터 설치용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의 일단 양측에 마련된 한 쌍으로 구성되고 탄성을 갖도록 굴절(bending)되되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위치 보정 암(arm)과, 상기 위치 보정 암의 선단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는 수용공간이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상기 수용공간의 입구 측에 형성된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위치 보정 암은 이중으로 굴절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위치 보정 암은 N자 형상으로 굴절된 형태이거나 S자 형상으로 굴절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이중으로 굴절되되 굴절부의 내각이 90°이상인 형태일 수 있다. 또한, 가이드는 상기 수용공간의 입구 측 각 모서리에 형성된 앵글 형상이고, 가이드의 내벽은 상기 수용공간 측으로 갈수록 축소되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다.

Description

커넥터 어셈블리{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connector)는 전원과 기기, 기기와 기기, 기기의 내부 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부품이다. 커넥터는, 케이블의 단부에 설치된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와, 기기의 패널 또는 케이블의 단부에 설치되는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각의 커넥터 내부에는 전류 및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핀(pin) 단자와 소켓(socket) 단자가 구비된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12-0006307호(2012.01.18.)에는 제1커넥터(플러그 커넥터)와 제2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를 쉽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커넥터 조립체(커넥터 어셈블리)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커넥터 조립체(50,70)는, 터미널삽입부(54)가 마련된 제1하우징(52)이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는 제1커넥터(50)와, 제1하우징(52)이 내부로 삽입되도록 선단이 개방되고 터미널삽입부(74)가 마련된 제2하우징(72)이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는 제2커넥터(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커넥터(50)의 제1하우징(52)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우 외벽에는 제1커넥터(50)와 제2커넥터(70)의 결합방향으로 연장된 제1가이드요철(63)이 마련된다. 또한, 제2커넥터(70)의 제2하우징(72)은 제1커넥터(5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74)이 마련된 육면체로 형성되고, 좌우 내벽에는 제1가이드요철(63)과 대응되는 제2가이드요철(80)이 형성된다.
상술한 구조에 따르면, 가이드요철(63,80)의 일측이 커넥터 조립체(50,70)의 결합 및 분리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커넥터 조립체(50,70)의 결합 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분리 시 분리 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져 커넥터 조립체(50,70)의 동작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커넥터 조립체(50,70)는 제1커넥터(50)의 선단이 제2커넥터(70)의 수용공간(74)에 삽입된 후 가이드요철(63,80)에 의해 안내되는 구조이므로, 제1커넥터(50)와 제2커넥터(70)의 결합방향이 어긋날 경우 결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제1커넥터(50)와 제2커넥터(70)의 결합 시 작업자가 육안 또는 촉감으로 확인한 후 결합해야하므로 결합 효율 및 결합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12-0006307호(2012.01.18.)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며,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결합방향이 다소 어긋나더라도 보정이 가능한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는, 플러그 커넥터 설치용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의 일단 양측에 마련된 한 쌍으로 구성되고 탄성을 갖도록 굴절(bending)되되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위치 보정 암(arm)과, 상기 위치 보정 암의 선단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는 수용공간이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상기 수용공간의 입구 측에 형성된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 보정 암은 이중으로 굴절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위치 보정 암은 N자 형상으로 굴절된 형태이거나 S자 형상으로 굴절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이중으로 굴절되되 굴절부의 내각이 90°이상인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다각형의 단면을 가진 파이프 형상이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입구, 즉 상기 수용공간의 입구 측 각 모서리에는 상기 가이드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의 내벽은 상기 수용공간 측으로 갈수록 축소되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는 잠금레버가 마련되고, 상기 잠금레버에는 잠금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는 상기 잠금레버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간의 내벽에는 상기 잠금돌기가 삽입되는 잠금홀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결합 시 상기 잠금레버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노출된 상기 잠금레버를 조작할 경우 상기 잠금돌기가 상기 잠금홀에서 이탈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위치 보정 암이 굴절된 형태로 제작되어 소정의 탄성을 가지므로 플러그 커넥터가 상하방향, 좌우방향, 전후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즉,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결합방향이 다소 어긋나더라도 위치 보정 암과 가이드를 통해 보정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고, 이를 통해 결합 효율 및 결합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 중 플러그 커넥터 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4와 도 5는 도 3의 A-A 단면도와 B-B 단면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 중 위치 보정 암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 중 리셉터클 커넥터 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 중 리셉터클 커넥터 유닛의 단면도.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도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1)는 플러그 커넥터 유닛(100,200)과 리셉터클 커넥터 유닛(300,400)으로 구분된다. 상기 유닛 중 플러그 커넥터 유닛(100,200)은, 플러그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100)를 기기(미도시)에 설치하기 위한 브래킷(200)으로 구성된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 유닛(300,400)은, 리셉터클 커넥터(300)와, 리셉터클 커넥터(300)를 서브 어셈블리(미도시)에 설치하기 위한 지지대(400)로 구성된다. 이때, 플러그 커넥터(100)가 설치되는 기기(미도시)는 차량의 램프 하우징일 수 있고, 리셉터클 커넥터(300)가 설치되는 서브 어셈블리(미도시)는 차량의 램프 렌즈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 중 플러그 커넥터 유닛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B-B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플러그 커넥터 유닛(100,200)에 대해 먼저 살펴보도록 한다.
플러그 커넥터(100)는,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소켓 단자(12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후술할 리셉터클 커넥터(도 9의 300)의 하우징(도 9의 310)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진 직육면체 형상이다.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소켓 단자(120)의 설치를 위한 장착공간(112)이 형성되고, 장착공간(112)의 양측에는 후술할 위치 보정 암(arm, 220)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간(114)이 형성되며, 결합공간(114)의 내벽에는 위치 보정 암(220)의 제1결합돌기(226)와 대응되는 제2결합돌기(115)가 형성된다. 하우징(110)의 상면에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잠금레버(116)가 마련되고, 잠금레버(116)의 상면에는 잠금돌기(117)가 형성된다.
상기 제2결합돌기(115)는 플러그 커넥터(100)와 브래킷(20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록킹(locking)수단이고, 잠금레버(116)와 잠금돌기(117)는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30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록킹수단이다. 이때, 플러그 커넥터(100)에 결합된 브래킷(200)은 위치 보정 암(220)의 탄성 변형에 의해 분리될 수 있고, 리셉터클 커넥터(300)에 결합된 플러그 커넥터(100)는 잠금레버(116)의 탄성 변형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한편, 결합공간(114)의 내벽 중 제2결합돌기(115)가 형성된 벽면의 반대쪽 벽면에는 오조립 방지턱(118)이 형성된다. 오조립 방지턱(118)은 위치 보정 암(220)의 결합 시 상하가 바뀌는 것을 방기하기 위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오조립 방지턱(118)을 결합공간(114)의 중앙보다 약간 위쪽에 형성할 경우 오조립 방지턱(118)의 상부 공간이 오조립 방지턱(118)의 하부 공간보다 작아지므로 위치 보정 암(220)의 결합 시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소켓 단자(120)는, 핀 단자(320)가 삽입되는 몸체(122)와, 케이블(미도시)이 고정되는 고정부(124)로 이루어진 통상의 소켓 단자이다.
브래킷(200)은 플러그 커넥터(100)의 설치를 위해 램프 하우징(미도시)에 장착되는 플레이트(210)를 포함한다. 플레이트(2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판재 형상이다. 플레이트(210)의 후단은 램프 하우징(미도시)에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테이퍼 형상을 갖는다. 플레이트(210)의 중앙에는 고정홀(212)이 형성되고, 고정홀(212)의 일측에는 후크(214)가 형성된다.
고정홀(212)은 램프 하우징(미도시)에 결합된 브래킷(200)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램프 하우징(미도시)에 형성된 고정돌기(미도시)가 삽입된다. 또한, 후크(214)는 소켓 단자(120)의 고정부(124)에 고정되는 다수의 케이블(미도시)을 묶어 정리하기 위한 것이다.
플레이트(210)의 선단에는 위치 보정 암(220)이 마련된다. 위치 보정 암(220)은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300)의 결합 시 결합방향이 어긋날 경우 플러그 커넥터(100)의 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수단이다. 위치 보정 암(220)은 플레이트(210)의 선단 양측에 마련된 한 쌍으로 구성되며, 한 쌍의 위치 보정 암(220)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또한, 위치 보정 암(220)은 플러그 커넥터(100)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을 가질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된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 중 위치 보정 암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위치 보정 암(220)은, 직사각형 단면의 봉이 이중으로 굴절된 형상을 가진다. 즉,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직선부(222a,222b)와, 한 쌍의 직선부(222a,222b) 사이에 위치된 경사부(222c)로 이루어진다. 이때, 직선부(222a,222b)와 경사부(222c)가 이루는 굴절부(224)의 내각(a)이 90°미만인바, 위치 보정 암(220)은 전체적으로 N자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형상의 위치 보정 암(220)은, 일단이 플레이트(2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로운 외팔보 구조로서, N자 형상으로 굴절됨에 따른 형상탄성에 의한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의 위치 보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굴절부(224)를 중심점으로 발생하는 탄성을 이용한 전후방향의 위치 보정 또한 가능하다.
도 7에 도시된 위치 보정암(230)은,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직선부(232a,232b)와, 한 쌍의 직선부(232a,232b) 사이에 위치된 경사부(232c)로 이루어진다. 직선부(232a,232b)와 경사부(232c)가 이루는 굴절부(234)의 내각(b)이 90°미만이되 굴절부(234)가 곡선으로 굴절된바, 위치 보정 암(230)은 전체적으로 S자 형상을 갖는다.
S자형 위치 보정암(230)은, 형상탄성에 의한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의 위치 보정 및 굴절부(234)에 의한 전후방향의 위치 보정이 가능하다. 특히, 굴절부(234)의 내각(b)이 N자형 위치 보정암(도 6의 220)의 내각(b)보다 크므로, N자형 위치 보정암(도 6의 220)에 비해 넓은 범위로 유동할 수 있어 위치 보정 범위가 상대적으로 넓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된 위치 보정암(240,250)은 2개의 굴절부(244,254)를 가지며, 굴절부(244,254)의 내각(c,d)이 90°이거나 그 이상의 형태를 갖는다.
상술한 형상의 위치 보정암(240,250)은, 굴절부(244,254)의 내각(c,d)이 90°이상이므로 전후방향 위치 보정에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210)의 선단 외측에는 제1결합돌기(226)가 형성되고, 선단 내측에는 오조립 방지돌기(228)가 형성된다. 제1결합돌기(226)는 제2결합돌기(도 5의 115)와 함께 플러그 커넥터(100)와 브래킷(200)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오조립 방지돌기(228)는 오조립 방지턱(도 4의 118)과 함께 플러그 커넥터(100)와 브래킷(200)의 결합 시 오조립을 방지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 중 리셉터클 커넥터 유닛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 중 리셉터클 커넥터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리셉터클 커넥터(300)는,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310)과, 하우징(3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핀 단자(320)를 포함한다.
하우징(310)은 플러그 커넥터(도 3의 100)의 하우징(도 3의 1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311)이 마련된 직육면체 단면의 파이프 형상이다. 즉, 하우징(310)은 선단면이 개방되고 후단면이 밀폐된 파이프 형상이다. 하우징(310)의 개방된 선단면에는 플러그 커넥터(100)의 결합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312)가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310)의 밀폐된 후단면에는 돌출부(313)가 형성되고, 돌출부(313)의 내부에는 핀 단자(320)의 설치를 위한 장착공간(314)이 형성된다.
가이드(312)는 하우징(310)의 선단면 각 모서리마다 형성된 4개로 구성된다. 가이드(312)는 하우징(310)의 선단면 각 모서리를 따라 굴절된 앵글 형상이되, 그 내벽은 수용공간(311) 측으로 갈수록 축소되는 테이퍼 형상이다. 이처럼 가이드(312)의 내벽을 축소되는 형상으로 제작할 경우,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300)의 결합방향이 다소 어긋나더라도 가이드(312)에 의해 보정될 수 있다. 특히, 가이드(312)가 앵글 형상으로 형성되어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300)의 결합방향을 상하 및 좌우로 보정할 수 있다.
수용공간(311)의 상부에는 잠금레버(도 3의 116)가 삽입되는 삽입공간(315)이 형성되고, 삽입공간(315)의 내벽에는 잠금돌기(도 3의 117)가 삽입되는 잠금홀(316)이 형성된다. 삽입공간(315) 및 잠금홀(316)은 잠금레버(116) 및 잠금돌기(117)와 함께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30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다.
삽입공간(315), 잠금홀(316) 및 잠금레버(116), 잠금돌기(117)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300)의 잠금 및 잠금해제 과정을 살펴보면,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300)의 결합 시 잠금레버(116)가 삽입공간(315)에 삽입되고 잠금돌기(117)가 잠금홀(316)에 삽입되어 잠금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잠금레버(116)는 그 일부가 삽입공간(315)의 외부로 노출되므로, 노출된 잠금레버(116)를 조작할 경우 잠금돌기(117)가 잠금홀(316)에서 이탈하며 잠금해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300)에 결합된 플러그 커넥터(10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310)의 양측에는 리셉터클 커넥터(300)를 지지대(400)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구(317)가 형성된다. 설치구(317)는 지지대(400)의 장착봉(4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선단면이 밀폐된 컵 형상으로 형성되고, 밀폐된 선단면에는 체결볼트(330)가 관통되는 체결공(318)이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설치구(317) 중 하나에는 리셉터클 커넥터(300)와 지지대(400)의 결합 시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한 키홈(319)이 형성된다.
지지대(400)는, 차량의 램프 렌즈 등과 같은 서브 어셈블리(미도시)에 고정되는 플레이트(410)와, 플레이트(410)의 일면에서 돌출되고 서로 이격된 한 쌍으로 이루어진 장착봉(420)으로 구성된다. 이때, 한 쌍의 장착봉(420) 중 어느 하나에는 장착봉(4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키(422)가 형성된다. 키(422)는 리셉터클 커넥터(300)와 지지대(400)의 결합 시 설치구(317)의 키홈(319)에 삽입된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커넥터 어셈블리(1)의 결합과정은 차량의 램프 렌즈(미도시)에 고정된 리셉터클 커넥터 유닛(300,400)에 플러그 커넥터 유닛(100,200)을 결합시키는 과정이다. 이때, 작업자는 육안 또는 촉감으로 결합위치를 확인한 후 결합해야하므로 플러그 커넥터(100)의 결합방향과 리셉터클 커넥터(300)의 결합방향이 어긋나기 쉽다.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플러그 커넥터(100)의 결합방향이 우측으로 편의된 상태에서 리셉터클 커넥터(300)에 결합시키면, 플러그 커넥터(100)의 하우징(110) 선단이 리셉터클 커넥터(300)의 가이드(312)에 접촉하게 된다. 가이드(312)에 접촉된 플러그 커넥터(100)의 하우징(110)은 테이퍼 진 가이드(312)의 내벽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며 결합방향이 보정된다. 이때, 좌측에 마련된 위치 보정 암(220L)이 수축되고, 우측에 마련된 위치 보정 암(220R)이 신장되며 결합방향이 보정되는 것을 돕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플러그 커넥터(100)의 결합방향이 좌우방향으로 편의된 것에 대해서만 예시하고 있으나, 상하방향 뿐만 아니라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으로 편의될 경우에도 보정이 가능하다. 이는 가이드(312)가 리셉터클 커넥터(300)의 하우징(310) 각 모서리를 따라 굴절된 앵글 형상이며, 위치 보정 암(220L,220R)이 상하방향, 좌우방향, 전후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커넥터 어셈블리 100: 플러그 커넥터
110: 하우징 112: 장착공간
114: 결합공간 115: 제2결합돌기
116: 잠금레버 117: 잠금돌기
118: 오조립 방지턱 120: 소켓 단자
122: 몸체 124: 고정부
200: 브래킷 210: 플레이트
212: 고정홀 214: 후크
220: 위치 보정 암 222a,222b: 직선부
222c: 경사부 224: 굴절부
226: 제1결합돌기 228: 오조립 방지돌기
300: 리셉터클 커넥터 310: 하우징
311: 수용공간 312: 가이드
313: 돌출부 314: 장착공간
315: 삽입공간 316: 잠금홀
317: 설치구 318: 체결공
319: 키홈 320: 핀 단자
330: 체결볼트 400: 지지대

Claims (10)

  1. 플러그 커넥터 설치용 브래킷;
    상기 브래킷의 일단 양측에 마련된 한 쌍으로 구성되고, 탄성을 갖도록 굴절(bending)되되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위치 보정 암(arm);
    상기 위치 보정 암의 선단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는 수용공간이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상기 수용공간의 입구 측에 형성된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결합 시 상기 위치 보정 암에 의해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하방향, 좌우방향, 전후방향으로 유동되며 결합방향이 보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 보정 암은 이중으로 굴절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위치 보정 암은, N자 형상으로 굴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위치 보정 암은, S자 형상으로 굴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위치 보정 암은, 굴절부의 내각이 9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다각형의 단면을 가진 파이프 형상이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수용공간의 입구 측 각 모서리에 형성된 앵글 형상이며,
    상기 가이드의 내벽은 상기 수용공간 측으로 갈수록 축소되는 테이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는 잠금레버가 마련되고, 상기 잠금레버에는 잠금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는 상기 잠금레버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간의 내벽에는 상기 잠금돌기가 삽입되는 잠금홀이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결합 시 상기 잠금레버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노출된 상기 잠금레버를 조작할 경우 상기 잠금돌기가 상기 잠금홀에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는 상기 위치 보정 암이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위치 보정 암의 선단에는 제1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간의 내벽에는 상기 제1결합돌기와 대응되는 제2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에는 상기 브래킷의 설치를 위한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의 일면에는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후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양측에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설치를 위한 컵 형상의 설치구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설치구 중 하나에는 키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20140002729A 2014-01-09 2014-01-09 커넥터 어셈블리 KR101497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2729A KR101497367B1 (ko) 2014-01-09 2014-01-09 커넥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2729A KR101497367B1 (ko) 2014-01-09 2014-01-09 커넥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7367B1 true KR101497367B1 (ko) 2015-03-05

Family

ID=53025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2729A KR101497367B1 (ko) 2014-01-09 2014-01-09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736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185B1 (ko) * 2016-07-27 2017-12-07 케이유엠 유한회사 자동 체결 커넥터
CN111189269A (zh) * 2020-01-21 2020-05-22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一种制冰机及冰箱
CN113036478A (zh) * 2019-12-24 2021-06-25 达昌电子科技(苏州)有限公司 导引插入连接器
KR20230048816A (ko) * 2021-10-05 2023-04-12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위치 보정 기능을 갖는 커넥터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6307A (ko) * 2010-07-12 2012-01-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6307A (ko) * 2010-07-12 2012-01-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조립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185B1 (ko) * 2016-07-27 2017-12-07 케이유엠 유한회사 자동 체결 커넥터
WO2018021686A1 (ko) * 2016-07-27 2018-02-01 케이유엠 유한회사 자동 정렬 컨넥터 어셈블리
CN113036478A (zh) * 2019-12-24 2021-06-25 达昌电子科技(苏州)有限公司 导引插入连接器
CN111189269A (zh) * 2020-01-21 2020-05-22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一种制冰机及冰箱
KR20230048816A (ko) * 2021-10-05 2023-04-12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위치 보정 기능을 갖는 커넥터 시스템
KR102603402B1 (ko) 2021-10-05 2023-11-17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위치 보정 기능을 갖는 커넥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0862B2 (en) Terminal and charging connector
WO2018163788A1 (ja) シールド端子及びシールドコネクタ
KR101928630B1 (ko) 커넥터 장치
US9209582B2 (en) Connector
US9509076B2 (en) Connector with front backlash preventing portions and rear backlash preventing portion that are offset circumferentially with respect to the front backlash preventing portions
US8845349B2 (en) Connector
US9941630B2 (en) Power source connector device
KR101665271B1 (ko) 커넥터
KR101497367B1 (ko) 커넥터 어셈블리
JP2015179591A (ja) コネクタ
KR20160026746A (ko) 커넥터 조립체
US7611370B2 (en) Connector
JP6158770B2 (ja) コネクタ
CN103081249B (zh) 连接器的错误插入防止结构
US9819123B2 (en) Connector with a housing having wings displaceably mounted in surrounding portions of a support to facilitate alignment with a mating housing
US20180191099A1 (en) Waterproof structure for connector
WO2012111572A1 (ja) コネクタ及び該コネクタの組立用治具
KR101806185B1 (ko) 자동 체결 커넥터
JP2010040366A (ja) コネクタ
JP2014220060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5692598B2 (ja) 嵌合検知構造
US20170170599A1 (en) Connector
JP4871628B2 (ja) コネクタ
KR20140063793A (ko) 커넥터 유닛
JP6004539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