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8655B1 - 터미널 단자 - Google Patents

터미널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8655B1
KR102338655B1 KR1020190176541A KR20190176541A KR102338655B1 KR 102338655 B1 KR102338655 B1 KR 102338655B1 KR 1020190176541 A KR1020190176541 A KR 1020190176541A KR 20190176541 A KR20190176541 A KR 20190176541A KR 102338655 B1 KR102338655 B1 KR 102338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ent
plate
body portion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3847A (ko
Inventor
이민하
고건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Priority to KR1020190176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8655B1/ko
Publication of KR20210083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15Terminal blocks providing connections to wir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Abstract

터미널 단자가 개시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는 중공의 바디부와, 각각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서 상기 바디부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며,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접촉부와,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마련되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는 플레이트부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터미널 단자{TERMINAL SOCKET}
본 발명은 터미널 단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회로기판과 결합 강성이 확보되는 터미널 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의 인쇄회로기판에는 전기적 접속을 위한 터미널 단자가 필요하다. 터미널 단자는 전자기기의 인쇄회로기판에 도전성의 소재로 솔더링 등을 통해 고정 결합되며, 외부전장부품의 핀 또는 전원선이 삽입되어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 전기적 신호는 인쇄회로기판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터미널 단자는 인쇄회로기판에 삽입되기 위하여 셀렉티브 솔더링 공법이 수행되었다. 우선, 터미널 단자의 가이드 핀 등이 인쇄회로기판의 트루홀(Through hole)에 압입되는 방식으로 삽입되며, 가이드 핀과 트루홀 사이는 솔더링 등을 통해 결합되는 방식으로 터미널 단자가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었다.
종래의 터미널 단자는 인쇄회로기판에 압입되는 과정에서 구조적으로 손상이 발생되거나 가이드 핀과 트루홀 사이에 솔더링 공정시 터미널 단자 내부로 솔더링 물질이 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외부전장부품의 핀 또는 전원선이 터미널 단자로 삽입되어도 고정력이 충분하지 않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037965호(2016년 04월 06일, 공개)
본 실시 예는 인쇄회로기판과 결합강성이 충분히 확보되는 터미널 단자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실시 예는 가이드부가 마련되어 인쇄회로기판과 정위치에서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패널부가 마련되어 별도의 캡 또는 테이핑 없이 표면실장장치의 노즐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중공의 바디부; 각각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서 상기 바디부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며,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접촉부;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마련되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는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바디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적층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바디부의 외측을 향해 절곡되는 제1 플레이트부와, 상기 제1 플레이트부와 분리 마련되어 상기 바디부의 내측을 향해 절곡되는 제2 플레이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복수의 트루홀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에 마련되며, 상기 플레이트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바디부의 하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바디부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패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접촉부는 상기 바디부의 상단부에서 내측을 향해 절곡된 후 하방을 향해 절곡되어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접촉부는 상단에서 하단까지 서로 이격거리가 감소하도록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접촉부는 상기 바디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부는 상기 바디부의 하단부의 중앙부에서 상기 바디부의 외측을 향해 절곡되며, 상기 제2 플레이트부는 한 쌍이 구비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부의 양측에서 각각 상기 바디부의 내측을 향해 절곡될 수 있다.
서로 이격된 제1 면 및 제2 면과, 상기 제1 면 및 제2 면을 연결하는 측면이 구비되는 바디부; 상기 제1 면 및 제2 면에 각각 마련되며,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접촉부; 및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마련되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는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제1 면 및 제2 면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바디부의 외측을 향해 절곡되는 제1 플레이트부와, 상기 제1 플레이트부와 분리 마련되며 상기 바디부의 내측을 향해 절곡되는 제2 플레이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터미널 단자는 결합 면적이 충분히 확보되어 터미널 단자의 유동(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터미널 단자는 간단한 구조를 통해 인쇄회로기판 및 연결부품과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터미널 단자는 인쇄회로기판과 솔더링 결합되는 면적이 충분히 확보되어 전기적으로 통전 능력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의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와 인쇄회로기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부와 인쇄회로기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접촉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전자기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PCB)에는 다양한 성능 동작을 위한 여러 전장부품들이 인쇄회로기판의 패턴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일례로 전장부품들은 전원을 공급하거나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외부 접촉핀(미도시)를 포함하고 있으며, 외부 접촉핀과 핀 결합을 하기 위해 인쇄회로기판에는 트루홀(Through hole)이 마련될 수 있다.
도 1 내지 4와 같이 본 발명의 터미널 단자(10)는 중공의 바디부(100)와, 각각 바디부(100)의 상부에서 바디부(100)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며,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접촉부(110)와, 바디부(100)의 하부에 마련되며, 인쇄회로기판(200)에 결합되는 플레이트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부(120)는 바디부(100)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며, 인쇄회로기판(200)과 적층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바디부(100)는 중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바디부(10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며, 상하부가 관통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바디부(100)는 도전성을 갖는 금속재로 마련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00)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삽입되는 접촉핀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기둥 또는 다각형 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바디부(100)는 서로 이격된 제1 면(101) 및 제2 면(102)과, 제1 면(101) 및 제2 면(102)을 연결하는 복수의 측면(103)이 마련될 수 있다. 바디부(100)의 제1 면(101), 제2 면(102) 및 복수의 측면(103)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다른 다각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 쌍의 접촉부(110)는 바디부(10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한 쌍의 접촉부(110)는 각각 바디부(100)의 제1 면(101) 및 제2 면(102)에서 바디부(100)의 내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접촉부(110)는 서로 이격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한 쌍의 접촉부(110) 사이에 외부전장부품의 핀이나 전원선(이하, 연결부품(P))이 삽입될 수 있는 접촉공간(C)이 형성된다. 한 쌍의 접촉부(110)는 도전성을 갖는 금속재로 바디부(100)와 일체로 마련되거나 또는 분리 마련된 후 결합될 수 있다.
플레이트부(120)는 바디부(10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플레이트부(120)는 도전성을 갖는 금속재로 바디부(100)와 일체로 마련되거나 또는 분리 마련된 후 결합될 수 있다. 플레이트부(120)는 바디부(100)의 하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며, 인쇄회로기판(200)과 적층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터미널 단자(10)는 인쇄회로기판(200)에 결합시 플레이트부(120)와 인쇄회로기판(200)이 적층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터미널 단자(10)와 인쇄회로기판(200)의 접촉 면적이 충분히 확보되며, 솔더링 결합시 더 많은 솔더 필릿(Solder fillet)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솔더링 결합의 강도가 증대되며, 솔더링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플레이트부(120)는 제1 플레이트부(121)와 제2 플레이트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부(121)는 바디부(100)의 제1 면(101) 및 제2 면(102)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플레이트부(121)는 바디부(100)의 하부에서 바디부(100)의 외측을 향해 절곡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부(121)는 본 발명의 터미널 단자(10)가 바디부(100)의 외측에서 인쇄회로기판(200)과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부(122)는 바디부(100)의 제1 면(101) 및 제2 면(102)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플레이트부(122)는 바디부(100)의 하부에서 바디부(100)의 내측을 향해 절곡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부(122)는 본 발명의 터미널 단자가 바디부(100)의 내측에서 인쇄회로기판(200)과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 플레이트부(121)는 바디부(100)의 제1 면(101) 및 제2 면(102)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플레이트부(121)는 바디부(100)의 제1 면(101) 및 제2 면(102)의 하단부 중 중앙부에 배치되며, 바디부(100)의 외측을 향해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제2 플레이트부(122)는 제1 면(101) 및 제2 면(102)에 각각 한 쌍씩 마련될 수 있고, 제1 플레이트부(121)의 양측에서 각각 바디부(100)의 내측을 향해 절곡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면(101) 및 제2 면(102)에 각각 한 개의 제1 플레이트부(121)와 두 개의 제2 플레이트부(122)가 마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 플레이트부(121)와 제2 플레이트부(122)의 개수는 설계에 따라서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터미널 단자(10)는 제1, 2 플레이트부(121, 122)를 통해 바디부(100)의 내측 및 외측에서 인쇄회로기판(200)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 단자(10)는 인쇄회로기판(200)에 안정적으로 실장될 수 있으며, 터미널 단자(10)와 인쇄회로기판(200) 상호간에 고정력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터미널 단자(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123)는 인쇄회로기판(200)에 형성된 복수의 트루홀(210)에 체결될 수 있다. 가이드부(123)는 터미널 단자(10)의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해 인쇄회로기판(200)에 결합되는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가이드부(123)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핀(Pin)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터미널 단자(10)는 표면실장장치(미도시)의 노즐(미도시)을 통해 후술하는 패널부(130)가 진공 흡착될 수 있다. 그리고 표면실장장치는 터미널 단자(10)를 인쇄회로기판(200) 중 결합 위치로 이송시키며, 표면실장장치는 가이드부(123)와 트루홀(210)이 정위치에 위치된 경우 터미널 단자(10)를 인쇄회로기판에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가이드부(123)는 플레이트부(120)에 마련되며, 플레이트부(120)에서 절곡되어 바디부(100)의 하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즉, 가이드부(123)는 플레이트부(120)에서 바디부(100)의 하방을 향해 연장되어 인쇄회로기판(200)의 트루홀(210)에 삽입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123)는 제2 플레이트부(122)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제1 플레이트부(121)의 일측에 마련될 수도 있다.
터미널 단자(10)는 가이드부(123)가 인쇄회로기판(200)의 트루홀(210)에 삽입됨으로써 상호간에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와 트루홀의 사이에 솔더링 물질이 도포되어 상호간에 전기적 통전 능력이 보강될 수 있으며, 결합 강성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또한, 터미널 단자(10)가 인쇄회로기판(2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됨으로써 터미널 단자(10)의 유동(움직임)이 방지되어 구조적인 안정감이 향상된다.
도 2와 같이 가이드부(123)는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으며, 바디부(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가이드부(12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면(101)의 한 쌍의 제2 플레이트부(122)와, 제2 면(102)의 한 쌍의 제2 플레이트부(122)에 각각 마련되어 4개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부(123)는 4개가 마련된 것에 한정하지 않으며, 이와 달리 설계에 따라서 다양하게 그 개수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123)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부(120)에 마련될 수도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가이드부(123)는 바디부의 측면(103)의 하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이드부(123)는 플레이트부(120)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터미널 단자(10)의 가이드부(123)가 인쇄회로기판(200)의 트루홀(210)에 삽입되며 솔더링(S) 결합된 지점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터미널 단자(10)의 제1, 2 플레이트부(121, 122)가 인쇄회로기판(200)의 상면에 솔더링(S) 결합된 지점의 단면도이다. 즉, 본 발명의 터미널 단자(10)는 제1, 2 플레이트부(121, 122)가 인쇄회로기판(200)의 상면에 면 접촉되며, 가이드부(123)가 인쇄회로기판(200)의 트루홀(210)의 삽입되어 결합되므로 결합면적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터미널 단자(10)는 패널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널부(130)는 바디부(10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패널부(130)는 바디부(100)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패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패널부(130)는 바디부(100) 중 측면(103)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바디부(100)의 제1 면(101) 및 제2 면(102)은 접촉부(110)가 구비되며, 측면(103)은 패널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패널부(130)는 바디부(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분리 마련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패널부(130)는 SMT(Surface Mount Technology) 공정 중에서 터미널 단자(10) 이송을 위해 노즐과 흡착 결합되는 부위이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10)는 노즐과 흡착되는 부위를 확보하기 위해 별도로 흡착용 캡(Suction Cap)이나, 테이프(Tape)등 이 불필요하다.
한편, 도 1 및 5와 같이 한 쌍의 접촉부(110)는 바디부(100)의 상단부에서 내측을 향해 절곡된 후 하방을 향해 절곡되어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면(101)의 접촉부(110)는 제1 면(101)의 상단부에서 내측을 향해 절곡된 후 하방을 향해 절곡되어 연장되며, 제2 면(102)의 접촉부(110)는 제2 면(102)의 상단부에서 내측을 향해 절곡된 후 하방을 향해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접촉부(110)는 절곡되어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한 쌍의 접촉부(110)는 각각 제1, 2면(101, 102)과 상단부가 연결된 한 쌍의 제1 절곡면(110a)과, 제1 절곡면(110a)의 하단부와 연결되며 외측을 향해 절곡되는 제2 절곡면(110b)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절곡면(110a)와 제2 절곡면(110b)이 연결된 부위가 굴곡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품(P)이 삽입되는 경우 연결부품(P)의 외면에 스크래치(표면결함)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접촉부(110)는 제2 절곡면(110b)의 하단부와 연결되며 내측을 향해 절곡되는 제3 절곡면(110c)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품(P)이 삽입되는 경우 제2 절곡면(110b)과 제3 절곡면(110c)이 연결된 부위가 제1, 2 면(101, 10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품(P)이 삽입되는 경우 한 쌍의 접촉부(110)는 서로 사이가 벌어지며 탄성 변형되며, 제1, 2면(101, 102)에 의해 지지되어 탄성복원력이 삽입된 연결부품(P)을 양측에서 가압함으로써 연결부품(P)이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품(P)이 접촉공간(C)에 삽입되는 경우, 한 쌍의 접촉부(110)는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접촉부(110)는 삽입된 연결부품(P)을 양측에서 가압함으로써 연결부품(P)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접촉부(110)는 상단에서 하단까지 서로 이격거리가 감소하도록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품(P)이 접촉공간(C)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접촉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111)이 마련될 수 있다. 슬릿은 바디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접촉부(11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슬릿(111)은 연결부품(P)이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접촉부(110)는 슬릿(111)이 형성됨으로써 탄성 변형률이 증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는 플레이트부를 통해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므로 공정이 효율적이고 전기적 신호를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는 가이드부를 통해 결합 위치에 정확히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는 패널부를 통해 표면실장장치의 노즐과 결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터미널 단자 100 : 바디부
110 : 한 쌍의 접촉부 111 : 슬릿
120 : 플레이트부 130 : 패널부
200 : 인쇄회로기판 210 : 트루홀

Claims (10)

  1. 중공의 바디부;
    각각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서 상기 바디부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며,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접촉부;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마련되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복수의 트루홀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바디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적층 구조로 배치되고, 상기 바디부의 외측을 향해 절곡되는 제1 플레이트부와, 상기 제1 플레이트부와 분리 마련되어 상기 바디부의 내측을 향해 절곡되는 제2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바디부의 상단부에서 내측을 향해 절곡된 후 하방을 향해 절곡되는 제1 절곡면과, 상기 제1 절곡면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외측을 향해 절곡되는 제2 절곡면과, 상기 제2 절곡면의 하단부와 연결되며 내측을 향해 절곡되는 제3 절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부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고, 상기 바디부의 하방을 향해 절곡 연장되며, 상기 바디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터미널 단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바디부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패널부;를 더 포함하는 터미널 단자.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촉부는
    상기 바디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이 마련된 터미널 단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부는
    상기 바디부의 하단부의 중앙부에서 상기 바디부의 외측을 향해 절곡되며,
    상기 제2 플레이트부는
    한 쌍이 구비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부의 양측에서 각각 상기 바디부의 내측을 향해 절곡되는 터미널 단자.
  10. 서로 이격된 제1 면 및 제2 면과, 상기 제1 면 및 제2 면을 연결하는 측면이 구비되는 바디부;
    상기 제1 면 및 제2 면에 각각 마련되며,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접촉부;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마련되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복수의 트루홀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제1 면 및 제2 면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바디부의 외측을 향해 절곡되는 제1 플레이트부와, 상기 제1 플레이트부와 분리 마련되며 상기 바디부의 내측을 향해 절곡되는 제2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바디부의 상단부에서 내측을 향해 절곡된 후 하방을 향해 절곡되는 제1 절곡면과, 상기 제1 절곡면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외측을 향해 절곡되는 제2 절곡면과, 상기 제2 절곡면의 하단부와 연결되며 내측을 향해 절곡되는 제3 절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부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고, 상기 바디부의 하방을 향해 절곡 연장되며, 상기 바디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터미널 단자.
KR1020190176541A 2019-12-27 2019-12-27 터미널 단자 KR102338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541A KR102338655B1 (ko) 2019-12-27 2019-12-27 터미널 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541A KR102338655B1 (ko) 2019-12-27 2019-12-27 터미널 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847A KR20210083847A (ko) 2021-07-07
KR102338655B1 true KR102338655B1 (ko) 2021-12-14

Family

ID=76862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541A KR102338655B1 (ko) 2019-12-27 2019-12-27 터미널 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865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3956A (ja) 2007-10-10 2009-04-30 Asmo Co Ltd 雌型端子の固定構造及びモータ装置
JP2016027536A (ja) * 2014-06-27 2016-02-18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付プリント基板
JP2016091767A (ja) * 2014-11-04 2016-05-2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012251A1 (de) 2013-07-24 2015-01-29 Erni Production Gmbh & Co. Kg Terminal zur Kontaktierung eines elektrischen Leiters
KR101644123B1 (ko) * 2014-10-07 2016-07-29 조인셋 주식회사 탄성 전기접촉단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3956A (ja) 2007-10-10 2009-04-30 Asmo Co Ltd 雌型端子の固定構造及びモータ装置
JP2016027536A (ja) * 2014-06-27 2016-02-18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付プリント基板
JP2016091767A (ja) * 2014-11-04 2016-05-2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847A (ko) 202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0951B2 (en) Electrical connector
US9203171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having simple wiring arrangement between two end connectors
US8821191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8641449B2 (en) Electrical connector
JPH08124637A (ja) 表面実装型電気コネクタ
US8425263B2 (en) Electrical connector
US20100112832A1 (en) Connector
US20170077627A1 (en) Electronic device
JP2017103223A (ja) リジッド−フレックス回路コネクタ
US7549874B2 (en) Socket mounted to printed circuit board
US9414491B2 (en) Jumper module mounting circuit board and circuit board assembly
US9118150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ed thereof
KR102338655B1 (ko) 터미널 단자
US9668359B2 (en) Circuit module having surface-mount pads on a lateral surface for connecting with a circuit board
KR200227957Y1 (ko) 연결단자를 갖는 인쇄회로기판 적층 정션박스
KR102006853B1 (ko) 전원 공급용 터미널 단자
JP2017022043A (ja) コネクタ実装基板
JPH08186339A (ja) 配線基板
JP6287977B2 (ja) コネクタ
JP2015207475A (ja) 回路基板接続用ターミナル
KR102651162B1 (ko) 탄성을 갖는 전기접촉단자 및 그 실장 구조
KR102497452B1 (ko) 터미널 단자
CN1115749C (zh) 电连接器组合
US9437992B2 (en) Busbar
KR101344935B1 (ko) 컨넥터용 콘택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