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688B1 - 열전도성 접착제 - Google Patents

열전도성 접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688B1
KR101625688B1 KR1020100033603A KR20100033603A KR101625688B1 KR 101625688 B1 KR101625688 B1 KR 101625688B1 KR 1020100033603 A KR1020100033603 A KR 1020100033603A KR 20100033603 A KR20100033603 A KR 20100033603A KR 101625688 B1 KR101625688 B1 KR 101625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ally conductive
group
conductive adhesive
mass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3985A (ko
Inventor
요시노리 요네다
미찌히로 스고
Original Assignee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13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3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6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3/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9/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9J161/00 - C09J177/00
    • C09J1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9J1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 Die 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열전도성을 갖고, 발열 부재 및 방열 부재에 대하여 우수한 접착성을 갖는 전기적 절연성의 열전도성 접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A)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중량 평균 분자량 5,000 내지 150,000의 폴리이미드 실리콘 수지 100 질량부,
(B) 전기적 절연성의 열전도성 충전재 100 내지 10,000 질량부 및
(C) 유기 용제
를 함유하는 열전도성 접착제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0023340478-pat00017

(화학식 1 중, W는 4가의 유기기이고, X는 2가의 유기기이고, Y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2가의 실리콘 잔기이며, 0.05≤m≤0.8이고, 0.2≤n≤0.95이고, m+n=1임)
<화학식 2>
Figure 112010023340478-pat00018

(화학식 2 중, R1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8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1가의 탄화수소기이고, R2는 라디칼 중합성기이고, a 및 b는 각각 1 내지 20의 정수이며, a+b는 2 내지 21임).

Description

열전도성 접착제 {THERMAL CONDUCTIVE ADHESIVE}
본 발명은 열전도성 접착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 소자와 방열 부재 또는 발열 부재를 접착하기에 적합한 열전도성 접착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전자 소자, 예를 들면 컴퓨터의 중앙 연산 처리 장치(CPU) 및 칩세트의 고성능화, 소형화 및 고밀도화에 수반하여, 전자 소자 및 상기 전자 소자를 실장한 부재의 발열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전자 소자의 냉각이 전자 소자 및 상기 전자 소자를 실장한 부재의 성능을 유지하는 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기술이 되고 있다.  전자 소자의 방열 효율은 일반적으로 전자 소자에 열전도성이 좋은 물질을 접촉시킴으로써 높이고 있다.  그 때문에, 우수한 열전도성을 갖는 방열 재료(TIM)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방열 재료는, 예를 들면 전자 소자와 냉각 시스템(예를 들면 히트싱크) 사이에 두어져서, 전자 소자로부터 발열한 열을 효과적으로 냉각 시스템에 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방열 재료는 그 형상 또는 사용 방법으로부터, 시트상 성형물 및 페이스트상 조성물로 분류된다.  시트상 성형물은, 예를 들면 엘라스토머(탄성이 있는 고분자 물질) 타입의 방열 시트 및 열연화 타입의 페이즈 체인지 시트(온도에 따라 상변화하는 방열 재료를 이용한 시트)로 분류된다.  페이스트상 조성물은, 예를 들면 비경화 타입의 방열 그리스, 및 도포 시에는 페이스트이면서, 예를 들면 열 처리에 의해서 겔화 또는 엘라스토머화하는 방열 겔 또는 방열성 접착제로 분류된다.
이들 방열 재료는 일반적으로 유기 중합체 재료 중에 열전도 물질을 고밀도로 충전한 복합 재료이다.  유기 중합체 재료의 열전도율은 일반적으로 작고, 유기 중합체 재료의 종류에 따라서 큰 차이가 없다.  따라서, 방열 재료의 열전도율은 열전도 물질의 유기 중합체 재료 중에의 부피 충전율에 크게 의존한다.  따라서, 유기 중합체 재료 중에 열전도 물질을 얼마나 많이 충전할지가 중요하였다.
방열성 접착제는 높은 열전도성을 가짐과 동시에, 여러가지 환경 또는 응력 하에서 접착력을 가질 것이 요구된다.  유기 중합체 재료 중에 열전도 물질을 고밀도로 충전하면 할수록 방열 재료의 방열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유기 중합체 재료 중에 열전도 물질을 고밀도로 충전하면 할수록 방열 재료 그 자체가 취약해져서, 가요성 또는 피착체와의 접착력이 나빠진다.
방열성 접착제의 유기 중합체 재료로서 에폭시 수지, 실리콘 중합체, 폴리이미드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에폭시 수지는 접착성은 양호하지만, 내열, 내구성에 결점이 있다.  따라서, 열전도 물질에 대한 습윤성 또는 경화 후의 유연성 또는 열 안정성 등 면에서 실리콘 중합체가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1 및 2를 참조).  그러나, 실리콘 중합체를 이용한 방열 재료로는 접착성 및 방열성 둘 다가 만족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내열성을 개량한 폴리이미드를 이용한 경우에는, 폴리이미드 수지가 고체이기 때문에 열전도 물질을 충전할 수가 없어, 용제 등에 용해하여 충전해야만 하였다.  그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전구체가 되는 폴리아믹산 용액에서 열전도 물질을 충전할 필요가 있고, 그의 경화에는 통상 300℃ 이상의 가열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주위에 대한 열적인 부하를 피할 수 없다.
또한, 반도체 소자 및 인쇄 기판 등의 배선 부분의 표면 보호를 위해 폴리이미드 실리콘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고, 실리콘 고무에 비하여 고습조건 하에서의 기재에 대한 밀착성 및 내구성이 높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3을 참조).  이 폴리이미드 실리콘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반도체의 접착제로서 이용하는 것도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4를 참조).  그러나, 이들 폴리이미드 실리콘 수지를 이용한 열전도성의 접착제, 특히 전기적 절연성이 요구되는 열전도성 접착제의 검토는 되어 있지 않았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6-34220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고 (소)61-367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01266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6-005159호 공보
본 발명은 우수한 열전도성을 갖고, 또한 피접착물, 예를 들면 발열 부재 및 방열 부재에 대하여 우수한 접착성을 갖는 전기적 절연성의 열전도성 접착제(방열페이스트라고도 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열전도성 접착제이다.
(A)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중량 평균 분자량 5,000 내지 150,000의 폴리이미드 실리콘 수지 100 질량부,
(B) 전기적 절연성의 열전도성 충전재 100 내지 10,000 질량부 및
(C) 유기 용제
를 함유하는 열전도성 접착제.
Figure 112010023340478-pat00001
(화학식 1 중, W는 4가의 유기기이고, X는 2가의 유기기이고, Y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2가의 실리콘 잔기이며, 0.05≤m≤0.8이고, 0.2≤n≤0.95이고, m+n=1임)
Figure 112010023340478-pat00002
(화학식 2 중, R1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8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1가의 탄화수소기이고, R2는 라디칼 중합성기이고, a 및 b는 각각 1 내지 20의 정수이며, a+b는 2 내지 21임)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양태에서는 상기 열전도성 접착제는 (D) 퍼옥시카보네이트 0.1 내지 10 질량부를 더 포함한다.  퍼옥시카보네이트는 라디칼 중합성기의 중합 경화를 촉진하는 경화제로서 기능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양태에서는 R2가 비닐기, 프로페닐기, (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기, (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기, (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기 또는 스티릴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비닐기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양태에서는 상기 열전도성 접착제는 구리판에 대한 접착 강도가 3 Mpa 이상,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Mpa이다.
본 발명의 열전도성 접착제를 구리판의 위에 두고 가열하면, 상기 열전도성 접착제가 흘러 구리판의 표면 상에 습윤하여 퍼진다.  따라서, 열 처리에 의해서, 구리판과 밀착하여 양호한 접착을 가져온다.
본 발명의 열전도성 접착제를 피착체에 시여(施與)하고, 경화시키기 위해서 가열하면, 접착제가 흘러 피착체의 표면을 습윤시켜서 퍼지고 또한 용제가 휘발하기 때문에, 열전도성 충전재가 접착제 경화물의 표면에 노출된다.  따라서, 양호한 열전도성이 얻어진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열전도성 접착제를 경화하여 얻어진 물질에 의해 방열 부재 또는 발열 부재에 접착된 전자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열전도성 접착제는 특정 구조의 폴리이미드 실리콘 수지, 열전도성 충전재 및 유기 용매를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열전도성을 갖고, 또한 피접착물에 대하여 우수한 접착성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열전도성 접착제에 대해서 또한 자세히 설명한다.
(A) 폴리이미드 실리콘 수지
폴리이미드 실리콘 수지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다.
<화학식 1>
Figure 112010023340478-pat00003
화학식 1 중의 W는 4가의 유기기이다.  W는, 예를 들면 피로멜리트산이무수물, 2,3,3',4'-비페닐테트라카르복실산이무수물, 3,3',4,4'-비페닐테트라카르복실산이무수물, 3,3',4,4'-디페닐에테르테트라카르복실산이무수물, 3,3',4,4'-디페닐술폰테트라카르복실산이무수물, 3,3',4,4'-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실산이무수물, 에틸렌글리콜비스트리멜리트산이무수물, 4,4'-헥사플루오로프로필리덴비스프탈산이무수물, 2,2-비스〔4-(3,4-페녹시디카르복실산)페닐〕프로판산이무수물의 잔기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화학식 1 중의 X는 2가의 유기기이다.  X는, 예를 들면 관용의 폴리이미드 수지에 이용되고 있는 디아민으로부터 유도되는 기이다.  상기 디아민은, 예를 들면 지방족 디아민 및 방향족 디아민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이다. 지방족 디아민은, 예를 들면 테트라메틸렌디아민, 1,4-디아미노시클로헥산, 4,4'-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이다.  방향족 디아민은, 예를 들면 페닐렌디아민, 4,4'-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 2,2-비스(4-아미노페닐)프로판이다.  X는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방향족 디아민으로부터 유도되는 기이다.
Figure 112010023340478-pat00004
화학식 3 중의 B는 하기 화학식 4, 5 및 6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내어지는 기이다.
Figure 112010023340478-pat00005
Figure 112010023340478-pat00006
Figure 112010023340478-pat00007
화학식 1 중의 Y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2가의 실리콘 잔기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10023340478-pat00008
화학식 2 중의 R1은 탄소수 1 내지 8,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1가의 탄화수소기이다.  R1은,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이다.
화학식 2 중의 R2는 라디칼 중합성기이다.  R2는, 예를 들면 비닐기, 프로페닐기, (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기, (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기, (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기, 또는 스티릴기이다.  바람직하게는, R2는 원료의 입수가 용이함 측면에서 비닐기이다.  상기 라디칼 중합성기는 폴리이미드 실리콘 수지의 실리콘 부분이면, 예를 들면 단부 및 중앙부 중의 어느 부위에 있어도 된다.
화학식 2 중의 a 및 b는 각각 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의 정수이다.  a+b의 합계는 2 이상 또한 21 이하이다.  여기서, a, b의 각각이 20보다 크거나, 또는 a+b가 21보다 큰 경우, 피접착체에 대한 접착력이 약해지게 된다.
화학식 1 중의 m 및 n은 해당 반복 단위에서 유래되는 효과를 발현하기 때문에, 0.05≤m≤0.8, 0.2≤n≤0.95, 바람직하게는 0.05≤m≤0.5, 0.5<n≤0.95이다.  이 범위에 있으면 피접착체에 대한 양호한 접착성이 얻어진다.
화학식 1 중의 m+n의 합계는 1이다.
폴리이미드 실리콘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000 내지 150,000이고, 바람직하게는 20,000 내지 150,000이다.  이 이유는 분자량이 상기 하한보다 작으면 수지로서의 강인성이 발현하지 않기 때문이고, 한편 분자량이 상기 상한보다 크면 후술하는 열전도성 충전재와의 혼합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상기 폴리이미드 실리콘 수지는, 예를 들면 하기에 진술하는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처음에, W를 유도하기 위한 테트라카르복실산이무수물, X를 유도하기 위한 디아민 및 Y를 유도하기 위한 디아미노폴리실록산을 용제 중에 투입하고, 저온, 예를 들면 0 내지 50℃에서 반응시킨다.  상기 용제는, 예를 들면 N-메틸-2-피롤리돈(NMP), 시클로헥사논, γ-부티로락톤 및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조합이다. 또한, 이미드화 시에 생성되는 물을 공비에 의해 제거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방향족 탄화수소류, 예를 들면 톨루엔, 크실렌을 병용할 수 있다.  상기 반응에 의해서 폴리이미드 수지의 전구체인 폴리아믹산이 제조된다.  다음으로, 상기 폴리아믹산의 용액을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200℃, 특히 바람직하게는 140 내지 180℃의 온도로 승온한다.  상기 승온에 의해서 폴리아믹산의 산아미드가 탈수 폐환 반응하여, 폴리이미드 실리콘 수지의 용액이 얻어진다.  상기 용액을 용제, 예를 들면 물, 메탄올, 에탄올 또는 아세토니트릴 중에 투입하면 침전물이 생긴다.  상기 생성된 침전물을 건조하여 폴리이미드 실리콘 수지가 얻어진다.
테트라카르복실산이무수물에 대한 디아민과 디아미노폴리실록산과의 합계의 몰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95 내지 1.05, 특히 바람직하게는 0.98 내지 1.02의 범위이다.
폴리이미드 실리콘 수지의 분자량을 조정하기 위해서 이관능성의 카르복실산, 예를 들면 무수프탈산 및 일관능성의 아민, 예를 들면 아닐린이 상기 용액 내에 첨가될 수도 있다.  이들 화합물의 첨가량은 각각 테트라카르복실산 및 디아민에 대하여, 예를 들면 2몰% 이하이다.
이미드화 과정에서 탈수제 및 이미드화 촉매를 첨가하고, 필요에 따라서 50℃ 전후로 가열함으로써 이미드화시키는 것도 할 수 있다.  탈수제는, 예를 들면 산무수물이고, 예를 들면 무수아세트산, 무수프로피온산 및 무수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이다.  탈수제의 사용량은 디아민 1몰에 대하여, 예를 들면 1 내지 10몰이다.  이미드화 촉매는, 예를 들면 제3급 아민이고, 예를 들면 피리딘, 콜리딘, 루티딘 및 트리에틸아민이다.  이미드화 촉매의 사용량은 사용되는 탈수제 1몰에 대하여, 예를 들면 0.5 내지 10몰이다.
복수의 디아민 및/또는 복수의 테트라카르복실산이무수물이 사용되는 경우, 예를 들면 원료를 미리 전부 혼합한 후에 공중축합시키는 방법, 2종 이상의 디아민 또는 테트라카르복실산이무수물을 개별로 반응시키면서 순차 첨가할 수 있다.  그러나, 반응 방법은 이 예시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B) 전기적 절연성의 열전도성 충전재
전기적 절연성의 열전도성 충전재는, 예를 들면 금속 산화물 및 세라믹 분체이다.  상기 금속 분체는, 예를 들면 산화아연 가루, 알루미나 가루이다.  세라믹 분체는, 예를 들면 탄화규소 가루, 질화규소 가루, 질화붕소 가루, 질화알루미늄 가루이다.  열전도성 충전재는 안정성 또는 비용의 면에서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열전도성 충전재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입상, 나무가지상, 플레이크상 및 부정형상이다.  이들 형상을 갖는 열전도성 충전재 분말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열전도성 충전재의 입경 분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0.05 내지 100 ㎛의 범위에 9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5 중량% 이상이 들어간다.  열전도성 충전재의 평균 입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 내지 50 ㎛의 범위이다.  열전도성 충전재로서, 예를 들면 단일 분포(단봉성)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열전도성 충전재를 접착제 내에 고밀도로 균일하게 분산하기 위해서, 형상 및 입경이 서로 다른 복수의 열전도성 충전재를 조합하여 다봉성 분포로 하는 것이 단일 분포의 열전도성 충전재를 이용하는 것보다도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열전도성 접착제에 있어서의 상기 열전도성 충전재의 배합량의 비율은 폴리이미드 실리콘 수지 100 질량부당 100 내지 10,000 질량부,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6,000 질량부이다.  상기 열전도성 충전재의 배합량의 비율이 상기 하한 미만이면 본 발명의 열전도성 접착제를 사용했을 때에 충분한 열전도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상기 열전도성 충전재의 배합량의 비율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본 발명의 열전도성 접착제를 사용했을 때에, 피접착체와의 사이에서 충분한 접착 강도가 얻어지지 않는다.
(C) 유기 용제
유기 용제는 (A) 성분과 상용성이 있고, (B) 성분의 표면 상태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용제는, 예를 들면 에테르류, 케톤류, 에스테르류, 셀로솔브류, 아미드류 및 방향족 탄화수소류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조합이다. 에테르류는, 예를 들면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아니솔을 포함한다.  케톤류는, 예를 들면 시클로헥사논, 2-부타논, 메틸이소부틸케톤, 2-헵타논, 2-옥타논 및 아세토페논을 포함한다.  에스테르류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부틸, 벤조산메틸 및 γ-부티로락톤을 포함한다.  셀로솔브류는, 예를 들면 부틸카르비톨아세테이트, 부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및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를 포함한다.  아미드류는, 예를 들면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및 N-메틸-2-피롤리돈을 포함한다.  방향족 탄화수소류, 예를 들면 톨루엔, 크실렌을 포함한다.  유기 용제는, 바람직하게는 케톤류, 에스테르류, 셀로솔브류 및 아미드류로부터 선택된다.  유기 용제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부틸카르비톨아세테이트, γ-부티로락톤,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및 N-메틸-2-피롤리돈이다.  이들 용제는 단독으로나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유기 용제의 양은,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 실리콘 수지의 용해성, 열전도성 접착제의 도포 시의 작업성 또는 피막의 두께를 고려하여, 통상 폴리이미드 실리콘 수지의 양이 이 수지와 용제의 합계에 대하여 10 내지 60 질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질량%가 되는 범위 내에서 사용된다.  조성물의 보존 시에는 비교적 고농도로 제조하여 두고, 사용 시에 원하는 농도로 희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열전도성 접착제는 (D) 퍼옥시카보네이트를 추가로 임의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도 있다.  퍼옥시카보네이트의 존재 하에서는 비교적 저온에서도 폴리이미드 실리콘 수지 중의 규소 원자에 결합한 라디칼 중합성기가 빠르게 경화하여, 내용제성 등의 성능이 향상된다.  퍼옥시카보네이트는, 예를 들면 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2-에틸헥실카보네이트, t-아밀퍼옥시2-에틸헥실카보네이트 등의 모노퍼옥시카보네이트; 디(2-에틸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 1,6-비스(t-부틸퍼옥시카르보닐옥시)헥산, 비스(4-t-부틸시클로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2-에톡시에틸)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n-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이소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퍼옥시카보네이트는 경화성, 폴리이미드 실리콘 수지와의 상용성 및 접착제의 보존 안정성 등 면에서, 바람직하게는 t-부틸퍼옥시2-에틸헥실카보네이트, t-아밀퍼옥시2-에틸헥실카보네이트, 1,6-비스(t-부틸퍼옥시카르보닐옥시)헥산, 비스(4-t-부틸시클로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이다.
퍼옥시카보네이트의 양은 폴리이미드 실리콘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질량부이다.  배합량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본 발명의 열전도성 접착제의 보존 안정성 및 경화물의 내고온고습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폴리이미드 실리콘 수지는 열 경화함으로써 우수한 내열성, 기계 강도, 내용제성, 각종 기재에 대한 밀착성을 발휘한다.
본 발명의 접착제의 경화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80℃ 이상 30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200℃ 이하의 범위이다.  상기 하한 미만에서 경화한 경우에는 열 경화에 너무 시간이 걸려서 실용적이지 않다.  상기 하한 미만의 저온에서 경화하도록 성분 및 조성을 선택한 경우에는 접착제의 보존 안정성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전도성 접착제는 종래의 폴리아믹산 용액과 달리, 경화를 위해 300℃ 이상이라는 고온에서 또한 장시간의 가열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기재의 열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전도성 접착제는 상술한 성분 외에, 예를 들면 노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접착성 개량제, 난연제, 계면활성제, 보존 안정 개량제, 오존 열화 방지제, 광 안정제, 증점제, 가소제, 실란 커플링제, 산화 방지제, 열 안정제, 방사선 차단제, 핵제, 윤활제, 안료 및 물성 조정제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을 본 발명의 목적 및 열전도성 접착제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열전도성 접착제는 25℃에서,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00 Pa·s,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0 Pa·s의 점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열전도성 접착제의 열전도율(W/mK)은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 이상이다.
본 발명의 열전도성 접착제의 구리판에 대한 접착 강도(MPa)는 바람직하게는 3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6 이상이다.  80℃, 95 RH의 고온고습 분위기에 240시간 둔 후의 접착 강도(MPa)는 바람직하게는 상기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열전도성 접착제는, 예를 들면 고휘도를 위해 발열량이 큰 LED 칩의 접착제나, 소형화, 경량화에 수반하는 단위 면적당의 발열량이 큰 반도체 소자의 접착제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폴리이미드 실리콘 수지의 합성
하기 합성예 1 내지 4에 나타낸 바와 같이하여 4 종류의 폴리이미드 실리콘 수지를 제조하였다.
합성예 1
교반기, 온도계 및 질소 치환 장치를 구비한 플라스크 내에 4,4'-헥사플루오로프로필리덴비스프탈산이무수물 88.8 g(0.2몰) 및 n-메틸-2-피롤리돈 500 g을 투입하였다.  다음으로, 화학식 7로 표시되는 디아미노실록산 142.2 g(0.16몰) 및 2,2-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프로판 16.4 g(0.04몰)을 n-메틸-2-피롤리돈 100 g에 용해한 용액을 준비하였다.  상기 용액을 상기 플라스크 내에 적하하였다.  적하 동안, 반응계의 온도를 50℃를 넘지 않도록 조절하였다.  적하 종료 후, 실온에서 10시간 추가로 교반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플라스크에 수분 수용기가 있는 환류 냉각기를 부착한 후, 크실렌 50 g을 가하고, 150℃로 승온하고, 상기 온도를 6 시간 유지하였다.  그 결과, 황갈색의 용액을 얻었다.
Figure 112010023340478-pat00009
상기 얻어진 황갈색의 용액을 실온(25℃)까지 냉각하고, 메탄올 중에 투입하여 재침전하였다.  얻어진 침강물 190 g을 건조하고, 그의 선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미반응된 폴리아믹산에 기초하는 흡수(1,640 cm-1)는 나타나지 않고, 1,780 cm-1 및 1,720 cm-1에 이미드기에 기초하는 흡수가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용매로 하는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중량 평균 분자량(폴리스티렌 환산)을 측정한 결과, 33,000이었다.  생성물을 폴리이미드 실리콘 수지 (Ⅰ)이라고 부른다. 
합성예 2
교반기, 온도계 및 질소 치환 장치를 구비한 플라스크 내에 4,4'-헥사플루오로프로필리덴비스프탈산이무수물 88.8 g(0.2몰) 및 n-메틸-2-피롤리돈 500 g을 투입하였다.  다음으로, 화학식 8로 표시되는 디아미노실록산 165.3 g(0.1몰) 및 2,2-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프로판 41.1 g(0.1몰)을 n-메틸-2-피롤리돈 100 g에 용해한 용액을 준비하였다.  상기 용액을 상기 플라스크 내에 적하하였다.  적하 동안, 반응계의 온도를 50℃를 넘지 않도록 조절하였다.  적하 종료 후, 실온에서 10시간 추가로 교반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플라스크에 수분 수용기가 있는 환류 냉각기를 부착한 후, 크실렌 50 g을 가하고, 150℃로 승온하고, 상기 온도를 6 시간 유지하였다.  그 결과, 황갈색의 용액이 얻어졌다.
Figure 112010023340478-pat00010
상기 얻어진 황갈색의 용액을 실온(25℃)까지 냉각하고, 메탄올 중에 투입하여 재침전하였다.  얻어진 침강물 240 g을 건조하고, 그의 선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미반응된 폴리아믹산에 기초하는 흡수(1,640 cm-1)는 나타나지 않고, 1,780 cm-1 및 1,720 cm-1에 이미드기에 기초하는 흡수가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용매로 하는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중량 평균 분자량(폴리스티렌 환산)을 측정한 결과, 33,000이었다.  생성물을 폴리이미드 실리콘 수지 (Ⅱ)라고 부른다.
합성예 3 (비교용)
교반기, 온도계 및 질소 치환 장치를 구비한 플라스크 내에 4,4'-헥사플루오로프로필리덴비스프탈산이무수물 88.8 g(0.2몰) 및 n-메틸-2-피롤리돈 500 g을 투입하였다.  다음으로, 화학식 9로 표시되는 디아미노실록산 263.1 g(0.08몰) 및 2,2-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프로판 49.3 g(0.12몰)을 n-메틸-2-피롤리돈 100 g에 용해한 용액을 준비하였다.  상기 용액을 상기 플라스크 내에 적하하였다.  적하 동안, 반응계의 온도를 50℃를 넘지 않도록 조절하였다.  적하 종료 후, 실온에서 10시간 추가로 교반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플라스크에 수분 수용기가 있는 환류 냉각기를 부착한 후, 크실렌 50 g을 가하고, 150℃로 승온하고, 상기 온도를 6 시간 유지하였다.  그 결과, 황갈색의 용액을 얻었다.
Figure 112010023340478-pat00011
상기 얻어진 황갈색의 용액을 실온(25℃)까지 냉각하고, 메탄올 중에 투입하여 재침전하였다.  얻어진 침강물 330 g을 건조하고, 그의 선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미반응된 폴리아믹산에 기초하는 흡수(1,640 cm-1)는 나타나지 않고, 1,780 cm-1 및 1,720 cm-1에 이미드기에 기초하는 흡수가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용매로 하는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중량 평균 분자량(폴리스티렌 환산)을 측정한 결과, 35,000이었다.  생성물을 폴리이미드 실리콘 수지 (Ⅲ)이라고 부른다.
합성예 4 (비교용)
교반기, 온도계 및 질소 치환 장치를 구비한 플라스크 내에 4,4'-헥사플루오로프로필리덴비스프탈산이무수물 88.8 g(0.2몰) 및 n-메틸-2-피롤리돈 500 g을 투입하였다.  다음으로,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디아미노실록산 244.8 g(0.08몰) 및 2,2-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프로판 49.3 g(0.12몰)을 n-메틸-2-피롤리돈 100 g에 용해한 용액을 준비하였다.  상기 용액을 상기 플라스크 내에 적하하였다.  적하 동안, 반응계의 온도를 50℃를 넘지 않도록 조절하였다.  적하 종료 후, 실온에서 10시간 추가로 교반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플라스크에 수분 수용기가 있는 환류 냉각기를 부착한 후, 크실렌 50 g을 가하고, 150℃로 승온하고, 상기 온도를 6 시간 유지하였다.  그 결과, 황갈색의 용액을 얻었다.
Figure 112010023340478-pat00012
상기 얻어진 황갈색의 용액을 실온(25℃)까지 냉각하고, 메탄올 중에 투입하여 재침전하였다.  얻어진 침강물 340 g을 건조하고, 그의 선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미반응된 폴리아믹산에 기초하는 흡수(1,640 cm-1)는 나타나지 않고, 1,780 cm-1 및 1,720 cm-1에 이미드기에 기초하는 흡수가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용매로 하는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중량 평균 분자량(폴리스티렌 환산)을 측정한 결과, 35,000이었다.  생성물을 폴리이미드 실리콘 수지 (Ⅳ)라고 부른다.
2. 접착제의 제조
하기의 원료를 이용하였다.
(A) 폴리이미드 실리콘 수지: 상기 합성예 1 내지 4로 얻어진 폴리이미드 실리콘 수지 (Ⅰ), (Ⅱ), (Ⅲ) 또는 (Ⅳ)를 사용하였다.
(B) 전기적 절연성의 열전도성 충전재:
(B1) 열전도성 충전재 A: 평균 입경 10 ㎛의 알루미나 (비중 3.98)
(B2) 열전도성 충전재 B: 평균 입경 1 ㎛의 알루미나 (비중 3.98)
(C) 유기 용제: 부틸카르비톨아세테이트(BCA)
(D) 퍼옥시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2-에틸헥실카보네이트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2]
(A) 폴리이미드 실리콘 수지 (Ⅰ) 내지 (Ⅳ)의 각각, (B) 전기적 절연성의 열전도성 충전재(B1 및 B2), (C) 유기 용제 및 (D) 퍼옥시카보네이트를 표 1에 나타내는 질량 비율로 자전 공전 믹서에 투입하고, 균일하게 되도록 교반하고, 탈포하여 접착제를 얻었다.
Figure 112010023340478-pat00013
3. 평가 시험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얻어진 접착제에 대해서 점도, 열전도율 및 접착 강도의 평가 시험을 하기 방법에 따라서 행하였다.  또한, 가열 경화성 일액 타입의 실리콘 고무 C(시판품) 및 D(시판품)에 대해서 상기와 동일 절차로 평가 시험을 행하였다(각각, 비교예 3 및 비교예 4).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1) 점도
각 접착제의 점도는 BH형 회전 점도계를 이용하여 25℃에서 측정한다. 
(2) 열전도율
각 접착제를 테플론(상표)(듀퐁사 제조)판의 홈에 유입시키고, 80℃에서 30분간 건조하고, 계속해서 상기 접착제를 150℃에서 1 시간 가열하여, 10 mmφ×1 mm의 시험편을 제조한다.  레이저 플래시법 열상수 측정 장치(LFA447(NETZSCH사 제조))를 이용하여, 상기 시험편의 열 확산율 및 비열 용량을 측정하여 열전도율을 구한다.
(3) 접착 강도
각 접착제를 구리판(100 mm×25 mm×1 mm)에 도포 면적 20 mm×20 mm로 도포하고, 동일 크기의 또하나의 구리판과 접합시킨다.  상기 접합시킨 구리판을 80℃에서 30분간 건조하고, 계속해서 4 MPa의 압력 하에서 150℃, 2분간 더 건조하고, 150℃에서 1 시간 가열하여 시험편을 얻는다.  시험편의 전단 접착 강도를 오토그래프(STROGRAPH V10-D(도요 세이끼사 제조))를 사용하여 5 mm/분의 스피드로 측정한다.
또한,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얻은 시험편을 80℃/95% RH에 240시간 노출 하고(고온고습 시험),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전단 접착 강도(고온고습 시험 후)를 측정한다.
Figure 112010023340478-pat00014
상기 결과로부터, 접착제 Ⅰ 내지 Ⅳ는 적절한 점도를 갖고, 열전도율이 1.1 내지 3.1 W/mK로 양호하고, 접착 강도는 6 내지 11 MPa로 양호하고, 고온고습 시험 전후에서의 접착 강도의 저하는 거의 보이지 않았다.

Claims (5)

  1. (A)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중량 평균 분자량 5,000 내지 150,000의 폴리이미드 실리콘 수지 100 질량부,
    (B) 전기적 절연성의 열전도성 충전재 100 내지 10,000 질량부 및
    (C) 유기 용제
    를 함유하는 열전도성 접착제(단, 열전도성 접착제는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지 않음).
    <화학식 1>
    Figure 112016004838329-pat00015

    (화학식 1 중, W는 4가의 유기기이고, X는 2가의 유기기이고, Y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2가의 실리콘 잔기이며, 0.05≤m≤0.8이고, 0.2≤n≤0.95이고, m+n=1임)
    <화학식 2>
    Figure 112016004838329-pat00016

    (화학식 2 중, R1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8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1가의 탄화수소기이고, R2는 라디칼 중합성기이고, a 및 b는 각각 1 내지 20의 정수이며, a+b는 2 내지 21임)
  2. 제1항에 있어서, R2가 비닐기, 프로페닐기, (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기, (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기, (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기 및 스티릴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열전도성 접착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D) 퍼옥시카보네이트 0.1 내지 10 질량부를 더 함유하는 열전도성 접착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구리편에 대한 접착 강도가 3 Mpa 이상인 열전도성 접착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열전도성 접착제를 경화하여 얻어진 물질에 의해 방열 부재 또는 발열 부재에 접착된 전자 소자를 포함하는 전자 부재.
KR1020100033603A 2009-04-14 2010-04-13 열전도성 접착제 KR1016256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98418A JP5489261B2 (ja) 2009-04-14 2009-04-14 熱伝導性接着剤
JPJP-P-2009-098418 2009-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985A KR20100113985A (ko) 2010-10-22
KR101625688B1 true KR101625688B1 (ko) 2016-05-30

Family

ID=42956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603A KR101625688B1 (ko) 2009-04-14 2010-04-13 열전도성 접착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489261B2 (ko)
KR (1) KR101625688B1 (ko)
CN (1) CN101864269B (ko)
TW (1) TWI4762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62574B2 (ja) * 2009-04-14 2014-07-30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熱伝導性接着剤
CN103074029B (zh) * 2011-10-25 2016-06-08 上海本诺电子材料有限公司 Led用有机硅聚酰亚胺导电胶粘剂
FR3060601B1 (fr) * 2016-12-20 2018-12-07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Et Aux Energies Alternatives Composition adhesive et son utilisation dans l'electronique
JP6810677B2 (ja) * 2017-12-05 2021-01-06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新規テトラカルボン酸二無水物、ポリイミド樹脂及びその製造方法、感光性樹脂組成物、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硬化被膜形成方法、層間絶縁膜、表面保護膜、電子部品
JP2019172894A (ja) * 2018-03-29 2019-10-10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シリコーン変性ポリイミド樹脂組成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8618A (ja) * 2007-06-15 2008-12-25 Shin Etsu Chem Co Ltd 接着剤組成物及び接着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168A (zh) * 1988-09-26 1990-05-16 M&T化学有限公司 聚酰亚胺薄膜模片固定粘合剂
JPH04222889A (ja) * 1990-12-25 1992-08-12 Sumitomo Bakelite Co Ltd 導電性樹脂ペースト
JPH04345682A (ja) * 1991-05-21 1992-12-01 Sumitomo Bakelite Co Ltd 気密封止用接着剤
JP2716611B2 (ja) * 1991-10-29 1998-02-18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熱圧着可能な高熱伝導性フィルム状接着剤
JPH05335354A (ja) * 1992-06-02 1993-12-17 Sumitomo Bakelite Co Ltd 接着剤付半導体素子
US6218496B1 (en) * 1994-03-31 2001-04-17 Occidental Chemical Corporation Polyimidesiloxane adhesive
JPH08283692A (ja) * 1995-04-17 1996-10-29 Kanegafuchi Chem Ind Co Ltd 電子モジュール
US5773561A (en) * 1996-08-02 1998-06-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lymer sealants/adhesives and use thereof in electronic package assembly
JP2000212518A (ja) * 1999-01-26 2000-08-02 Nitto Denko Corp 熱接着シ―ト
JP2003138241A (ja) * 2001-08-21 2003-05-14 Hitachi Chem Co Ltd 耐熱性接着剤並びにこの接着剤を用いた積層物、接着剤付き放熱板、接着剤付金属箔
JP2004137411A (ja) * 2002-10-18 2004-05-13 Sumitomo Bakelite Co Ltd 半導体用接着フィルム、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4535245B2 (ja) * 2004-05-21 2010-09-01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部分ブロックポリイミド−ポリシロキサン共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共重合体を含む樹脂組成物
KR20090051250A (ko) * 2006-08-31 2009-05-21 니폰 쇼쿠바이 컴파니 리미티드 근적외선 흡수성 조성물용 및 근적외선 흡수성 감압 접착제조성물용 염
JP4590443B2 (ja) * 2007-09-05 2010-12-01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熱硬化性ポリイミドシリコーン樹脂組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8618A (ja) * 2007-06-15 2008-12-25 Shin Etsu Chem Co Ltd 接着剤組成物及び接着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89261B2 (ja) 2014-05-14
TW201102417A (en) 2011-01-16
TWI476261B (zh) 2015-03-11
JP2010248348A (ja) 2010-11-04
KR20100113985A (ko) 2010-10-22
CN101864269B (zh) 2014-05-21
CN101864269A (zh) 2010-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5687B1 (ko) 열전도성 접착제
JP6299607B2 (ja) 接着剤組成物、接着剤シートならびにこれらを用いた硬化物および半導体装置
KR101957532B1 (ko) 접착제 조성물, 접착제 시트 및 이들을 사용한 반도체 장치
JP4548855B2 (ja) 熱硬化性ポリイミドシリコーン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皮膜
WO2015048575A1 (en) Low dielectric constant, low dielectric dissipation factor coatings, films and adhesives
JP2009062429A (ja) 熱硬化性ポリイミドシリコーン樹脂組成物
KR101625688B1 (ko) 열전도성 접착제
JP2008248114A (ja) 接着剤組成物
JP5648617B2 (ja) 熱伝導性接着剤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接着用シート及び熱伝導性ダイシング・ダイアタッチフィルム
JP2005272814A (ja) 熱伝導性組成物及び熱伝導性フィルム
JP5183076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4137411A (ja) 半導体用接着フィルム、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4530126B2 (ja) 接着剤組成物及び接着フイルム
JP7144182B2 (ja) 硬化性樹脂組成物、硬化物、接着剤、及び、接着フィルム
JPH0834969A (ja) 低温加工性の優れた耐熱性フィルム接着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132830A (ja) 接着剤組成物およびダイシング・ダイアタッチフィルム
JPH0834968A (ja) 低温加工性の優れた耐熱性フィルム接着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27429A (ja) 耐熱性フィルム接着剤及びその製造方法
CN113785008A (zh) 多官能活性酯化合物、树脂组合物、固化物、及积层膜
JP2020125380A (ja) 樹脂組成物、硬化物、及び、ビルドアップフィルム
JPH0827432A (ja) 高温時の物性が改良されたフィルム接着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34851A (ja) 低温加工性の優れた耐熱性フィルム接着剤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