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8218B1 -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218B1
KR101618218B1 KR1020140129587A KR20140129587A KR101618218B1 KR 101618218 B1 KR101618218 B1 KR 101618218B1 KR 1020140129587 A KR1020140129587 A KR 1020140129587A KR 20140129587 A KR20140129587 A KR 20140129587A KR 101618218 B1 KR101618218 B1 KR 101618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resent
electrochemical device
lithium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9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7380A (ko
Inventor
이선영
이상영
최근호
전상진
박상범
최돈하
조성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40129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218B1/ko
Priority to PCT/KR2014/009124 priority patent/WO2016047835A1/ko
Priority to US15/514,519 priority patent/US11251459B2/en
Priority to JP2017536501A priority patent/JP6374117B2/ja
Publication of KR20160037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7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1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4Electrodes based on metals, Si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6Electrodes based on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1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5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metals, Si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7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H01M4/625Carbon or graphi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H01M4/626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29Natural polymers
    • H01M50/4295Natural cotton, cellulose or woo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31Inorganic material
    • H01M50/434Ceram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Fibrous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3Particulat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01M50/491Poros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Cel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물질 및 나노섬유 구조의 도전재의 복합체를 포함하는 전극; 및 상기 전극과 합체된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기화학소자는 별도의 바인더 및 전극 집전체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분리막 및 전극이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있어 계면이 매우 안정하고, 우수한 기계적 물성 확보가 가능하며, 다양한 외력에 의한 형태 변형에도 안정적인 전지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An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Nano-Fiber Membrane Cellulos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롤-업 디스플레이, 입을 수 있는 전자소자 등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한 플렉서블 리튬이온이차전지(flexible lithium-ion batteries)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종류의 전기화학소자에 적용할 수 있는 유연한 재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리튬이온이차전지는 크게 애노드(anode)전극, 분리막(separator), 캐소드(cathode)전극 및 전해질 (electrolytes)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리튬이온이차전지는 정형화된 구조의 케이스에 필름 형태의 양극/분리막/음극을 순차적으로 포개어 모은 후 전해액을 주입하여 제조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정형화된 구조의 전지는 물리적 유연성이 매우 부족하기 때문에 플렉서블 전지에서 요구되는 디자인 다양성을 충족시키기에 많은 한계점을 갖고 있다.
특히 기존 리튬이온이차전지 구성 요소 중 전극(양극 및 음극)은, 전극 활물질을 도전재 및 바인더와 함께 바인더를 녹일 수 있는 용매 (주로, N-메틸피롤리돈)에 분산시킨 전극 혼합물을 집전체에 도포하여 제조된다. 이때, 바인더는 집전체-활물질, 활물질-활물질, 활물질-도전재 간의 접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지만, 전극의 전자전도도 감소, 에너지 밀도 감소, 고비용 공정과 상대적으로 낮은 생산성을 갖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차세대 이차전지에서는 바인더 감소 또는 제거를 통한 종래 기술 대비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며, 전자전도도 증가로 인한 고출력 특성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필수적이다.
또한, 금속 집전체 위에 전극 혼합물을 도포하는 방식은, 전지 구부림 시 전극 층이 금속 집전체에서 탈리가 일어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어, 플렉서블 이차전지 구현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전극 구조로 인해 전지 구부림시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시도들 중에서 3차원 구조의 집전체를 기반으로 하는 기술이 있지만, 기존과 마찬가지로 전극 혼합물을 도포하는 공정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전지 구부림 시 전극 층의 탈리 현상을 억제하기에 한계가 있다.
한편, 기존 전지에는 열에 취약한 분리막이 사용되기 때문에 발열 또는 폭발이 발생하는 등 안전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전지는 별도의 공정을 통해 제조된 양극/분리막/음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플렉서블 전지 적용 시에 물리적 변형에 따라 분리막과 전극 간 계면 접촉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전지 내부 단락을 야기할 수 있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연구가 필수적인 상황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072696호.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바인더 및 전극 집전체 없이 제조 가능하며, 이온전도도 및 전자전도도가 우수하며, 고용량 및 고출력 특성을 구현이 가능한 전기화학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활물질 및 나노섬유 구조의 도전재의 복합체를 포함하는 전극; 및
상기 전극과 합체된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 분리막 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극-분리막 합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활물질, 나노섬유 구조의 도전재, 용매 및 분산제를 혼합하여 전극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전극 혼합물을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분리막에 여과하여 전극과 합체된 구조의 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화학소자는 분리막 및 전극이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있어 계면이 매우 안정하며, 우수한 기계적 물성 확보가 가능하고, 다양한 외력에 의한 형태 변형에도 안정적인 전지 성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지의 형태 변형으로부터 유발될 수 있는 전지발화 및 폭발 등의 위험을 억제시키고, 별도의 바인더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이온전도도 및 전자전도도가 우수하며 바인더 및 전극 집전체 제거를 통해 고용량 및 고출력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극-분리막 합체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극-분리막 합체의 단면 SEM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극-분리막 합체의 전극 표면 SEM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극-분리막 합체의 계면안정성을 평가한 사진이며, A는 실시예, B는 비교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극-분리막 합체의 유연성을 평가한 사진이다.
도 6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내열성을 평가한 사진이며, A는 실시예, B는 비교예이다.
도 7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면적당 무게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8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면적당 용량을 비교한 그래프이며, A는 실시예, B는 비교예이다.
도 9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기공도를 평가한 그래프이며, A1은 실시예의 양극, A2는 실시예의 음극, B1은 비교예의 양극, B2는 비교예의 분리막, B3는 비교예의 음극이다.
도 10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전자전도도를 평가한 그래프이며, A1은 실시예의 양극, A2는 실시예의 음극, B1은 비교예의 양극, B3는 비교예의 음극이다.
도 11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구부림에 따른 충방전 특성을 평가한 그래프이며, b는 전지를 구부린 지점을 나타내고, I는 충전 시 실시예의 전압, II는 충전 시 비교예의 전압, III는 방전 시 실시예의 전압, IV는 방전 시 비교예의 전압이다.
도 12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사이클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A는 실시예, B는 비교예이다.
도 13은 실시예의 사이클 측정 후 전극 표면을 관찰한 SEM 사진이다.
도 14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율별 충방전 특성을 평가한 그래프이며, CR은 충전 시의 율별 특성을 나타내고, DR은 방전 시의 율별 특성을 나타낸다.
도 15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고온 노출에 따른 치수안전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며, AI 및 AII는 고온 노출 전 및 고온 노출 후의 실시예이고, BI 및 BII는 고온 노출 전 및 고온 노출 후의 비교예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전극-분리막 합체의 고온 노출 전후의 사진이며, I는 고온 노출 전을 나타내고, II는 고온 노출 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극-분리막 합체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극-분리막 합체는 활물질 및 나노섬유 구조의 도전재의 복합체를 포함하는 전극; 및
상기 전극과 합체된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분리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극-분리막 합체는 별도의 바인더 및 전극 집전체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1차원 구조의 나노섬유 도전재 및 활물질이 혼합되어 형성된 다공성 전극 층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극은 활물질, 나노섬유 구조의 도전재 및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 및 분리막은 여과공정을 통해 중첩되어 물리적으로 결합되므로, 계면안정성이 우수하며, 전지에 물리적 변형을 가했을 때에도 전극층이 탈리되거나 전지의 내부가 단락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전극- 분리막 합체는 이온전도도 및 전자전도도가 우수한 특성이 있다.
하나의 예로서, 본 발명에 의한 전극-분리막 합체는, 단위 면적당 무게가 30 mg/cm2 이하 또는 12 mg/cm2 이하 또는 5 내지 10 mg/cm2 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8 내지 10 mg/cm2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극-분리막 합체는 별도의 바인더 및 금속 집전체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의 전극-분리막 합체와 비교하여 면적당 무게가 현저히 낮은 값을 유지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7에 실시예 및 비교예의 면적당 무게를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내었다. 또한, 도 8에는 면적당 용량을 비교하여 나타내었으며, 실시예인 A의 면적당 용량이 비교예인 B 보다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예로서, 본 발명에 의한 분리막의 평균 두께는, 0.01 내지 500 ㎛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리막의 평균 두께는 0.5 내지 200 ㎛ 또는 1 내지 100 ㎛ 또는 5 내지 50 ㎛ 일 수 있다. 분리막의 평균 두께가 상기 범위일 경우, 전극-분리막 합체 형성 시에 전극과의 물리적인 결합이 용이하며, 뛰어난 유연성 등의 우수한 기계적 물성이 구현 가능하다.
또 다른 하나의 예로서, 본 발명에 의한 전극의 평균 두께는, 0.01 내지 500 ㎛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극의 평균 두께는 0.5 내지 300 ㎛ 또는 1 내지 200 ㎛ 또는 5 내지 80 ㎛ 또는 10 내지 50 ㎛ 일 수 있다. 전극의 평균 두께가 상기 범위일 경우, 전극-분리막 합체 형성 시에 전극과의 물리적인 결합이 용이하며, 뛰어난 유연성 등의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구현하게 된다.
또 다른 하나의 예로서, 본 발명에 의한 활물질은 0.001 내지 20 ㎛ 범위의 평균입도를 갖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1 내지 1500 nm 또는 50 내지 1000 nm 범위의 평균입도를 갖는 것일 수 있다. 그 종류로는 예를 들어, 리튬니켈계 산화물, 리튬코발트계 산화물, 리튬니켈망간계 산화물, 리튬니켈코발트망간계 산화물, 리튬니켈코발트알루미늄계 산화물, 리튬인산철계 산화물, 리튬 이온을 가역적으로 인터칼레이션/디인터칼레이션할 수 있는 물질, 리튬 금속, 리튬 금속의 합금, 리튬을 도프 및 탈도프할 수 있는 물질, 전이 금속 산화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예로서, 나노섬유 구조의 도전재는, 0.001 내지 100 ㎛ 범위의 평균 직경을 갖는 1차원구조의 물질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탄소섬유등의 탄소계물질; 구리, 니켈, 알루미늄, 은 등의 금속섬유등의 금속계물질; 폴리페닐렌유도체 등의 도전성폴리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예로서, 상기 셀룰로오스 나노섬유는 평균 직경이 10 내지 1000 nm 일 수 있다. 셀룰로오스 나노섬유의 평균 직경이 상기 범위일 경우 섬유가 용이하게 형성되며, 시트 표면의 불균일로 전극과 계면이 나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 나노섬유는 평균 직경이 10 내지 1000 nm인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나노 크기의 목질 재료로부터 분리된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해조류 나노섬유, 균을 배양하여 얻은 박테리아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나노섬유들의 유도체 및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예로서, 본 발명에 의한 분리막은 무기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막에 무기입자를 첨가할 경우, 나노섬유의 응집을 억제하여 셀룰로오스 단독으로 형성된 막에 비해 효과적으로 다공성 기공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무기입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SiO2, Al2O3, TiO2, BaTiO3, Li2O, LiF, LiOH, Li3N, BaO, Na2O, Li2CO3, CaCO3, LiAlO2, SrTiO3, SnO2, CeO2, MgO, NiO, CaO, ZnO, ZrO2 및 SiC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예로서, 본 발명에 의한 전극은 분산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전극 혼합물을 균일하게 분산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전극 혼합물을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소듐도데실설포네이트(SDS), 소듐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SDBS), 세트리마이드(CTAB) 등의 계면활성제; 폴리벤지미다졸(PBI), 및 폴리비닐피롤리돈(PVP) 등의 고분자계 분산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기화학소자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화학소자는 상술한 전극-분리막 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본 발명에 의한 전기화학소자는, 충전시에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수학식 1]
|Vc1-Vc2|≤0.02
여기서, Vc1은 전지를 구부린 곡률반경이 2.5 mm 일 때의 전압이고,
Vc2 는 전지를 구부리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한 전압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전기화학소자는, 방전시에 하기 수학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수학식 2]
|Vdc1-Vdc2|≤0.01
여기서, Vdc1은 전지를 구부린 곡률반경이 2.5 mm 일 때의 전압이고,
Vdc2 는 전지를 구부리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한 전압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화학소자는, 전극 및 분리막이 안정적으로 결합되어있어, 전지 작동 중 물리적인 변화를 주어도 전압의 변화가 매우 작으며 안정적인 충방전 거동을 보이게 된다. 이에 관해, 도 11에 실험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11을 참조하면, b는 전지를 구부린 지점을 나타내고, I는 충전 시 실시예의 전압, II는 충전 시 비교예의 전압, III는 방전 시 실시예의 전압, IV는 방전 시 비교예의 전압을 나타낸다. 실시예인 II 및 III는 충방전 시에 전지를 구부렸을 때, 전압의 차가 0.02 미만으로 아주 작게 나타났지만, 비교예인 I 및 IV의 경우 전지를 구부렸을 때 충전 시에는 0.04 정도, 방전 시에는 0.09 정도로 접압의 차가 크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전기화학소자는 전극-분리막의 계면안정성 및 우수한 기계적 물성으로 인해 전지에 물리적 변형을 가해도 안정적인 충방전 거동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기화학소자 제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활물질, 나노섬유 구조의 도전재, 용매 및 분산제를 혼합하여 전극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전극 혼합물을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분리막에 여과하여 전극과 합체된 구조의 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화학소자 제조방법에서, 상기 전극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활물질, 탄소나노섬유 및 용매를 혼합하여 전극 혼합물을 제조한 후, 상기 활물질과 탄소나노섬유의 균일한 분산을 위해 분산제를 더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분산체를 첨가한 후, 전극 혼합물의 균일한 분산 상태를 위해 전극 혼합물을 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전극 혼합물을 분산하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초음파 처리(sonication), 볼 밀링(ball milling)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극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활물질은 0.001 내지 20 ㎛ 범위의 평균입도를 갖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1 내지 1500 nm 또는 50 내지 1000 nm 범위의 평균입도를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있다. 상기 활물질의 종류로는 예를 들어, 리튬니켈계 산화물, 리튬코발트계 산화물, 리튬니켈망간계 산화물, 리튬니켈코발트망간계 산화물, 리튬니켈코발트알루미늄계 산화물, 리튬인산철계 산화물, 리튬 이온을 가역적으로 인터칼레이션/디인터칼레이션할 수 있는 물질, 리튬 금속, 리튬 금속의 합금, 리튬을 도프 및 탈도프할 수 있는 물질, 전이 금속 산화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극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나노섬유 구조의 도전재는, 평균 직경이 0.001 내지 100 ㎛ 범위인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그 종류로는 예를 들어, 탄소섬유등의 탄소계물질; 구리, 니켈, 알루미늄, 은 등의 금속섬유등의 금속계물질; 폴리페닐렌유도체 등의 도전성폴리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극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용매는 전극 혼합물을 제조하는데 적절한 용매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증류수, 물, 알코올 예컨대 에탄올, 프로판올 또는 부탄올, N-메틸피롤리돈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극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분산제는 전극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부 또는 0.5 내지 5 중량부 포함할 수 있고, 그 종류로는 전극 혼합물을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소듐도데실설포네이트(SDS), 소듐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SDBS), 세트리마이드(CTAB) 등의 계면활성제; 폴리벤지미다졸(PBI), 및 폴리비닐피롤리돈(PVP) 등의 고분자계 분산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극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활물질과 나노섬유 구조의 도전제의 혼합 비율은 50:50 내지 60:40 또는 99:1 내지 70:30 또는 90:10 내지 80:20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화학소자 제조방법에서, 상기 전극과 합체된 구조의 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셀룰로오스 나노섬유를 분산시킨 용액을 제조한 후, 그 용액을 여과하여 분리막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셀룰로오스 나노섬유를 분산시킨 용액에 무기입자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전극과 합체된 구조의 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본 발명에 의한 전극 혼합물을 상기 분리막 위에 여과하여 얻은 시트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입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SiO2, Al2O3, TiO2, BaTiO3, Li2O, LiF, LiOH, Li3N, BaO, Na2O, Li2CO3, CaCO3, LiAlO2, SrTiO3, SnO2, CeO2, MgO, NiO, CaO, ZnO, ZrO2 및 SiC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극과 합체된 구조의 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셀룰로오스 나노섬유는 평균 직경이 10 내지 1000 nm인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나노 크기의 목질 재료로부터 분리된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해조류 나노섬유, 균을 배양하여 얻은 박테리아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나노섬유들의 유도체 및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전기화학소자는 순차적인 여과공정으로 통해 별도의 바인더를 필요로 하지 않아 제조비용이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극 및 분리막이 중첩되어 물리적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전극-분리막 합체의 계면이 매우 안정하여, 우수한 기계적 물성 확보다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전극-분리막 합체를 적용한 전기화학소자는 다양한 외력에 의한 형태 변형에도 안정적인 전지 성능을 구현하며, 전지의 형태 변형으로부터 유발될 수 있는 전지 발화 및 폭발 등의 위험을 방지한다.
이하, 상기 서술한 내용을 바탕으로,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전극 혼합물 제조
양극 활물질로는 평균 입도 500 nm 크기의 LiFePO4, 음극 활물질로는 평균 입도 300 nm 크기의 Li4Ti5O12, 나노섬유 형태의 도전재로는 탄소나노섬유를 사용하였다. 탄소나노섬유의 균일한 분산을 위한 분산제로 SDBS(sodium dodecylbenzene sulfonate)를 사용하였다. 먼저 증류수에 1 중량%의 분산제를 첨가한 용액을 제조하고, 양극 또는 음극 활물질과 카본나노튜브를 85:15 중량비로 상기 용액에 첨가하여 전극(양극 또는 음극)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균일한 분산 효과를 위해, 상기 전극 혼합물을 1시간 동안 초음파 처리를 통해 분산하여, 전극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2) 분리막 제조
셀룰로오스 분말 (평균 입도 ~45㎛, KC flock, Nippon Paper Chemials)을 2 중량%의 수산화나트륨 (NaOH) 수용액에 넣고, 1시간 동안 강하게 교반시킨 후, 호모지나이저(M-1100EH-30, Microfluidics, USA)를 12회 통과시켜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분산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분산용액을 자제 부후너 깔대기 (pcelain Buchner funnel) 위에 얹은 거름종이 위에 부은 후, 진공펌프로 감압 여과하여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3) 전극-분리막 합체 제조
제조한 분리막 위에 상기 1)에서 제조된 전극 혼합물을 부은 후 감압 여과하고, 에탄올과 아세톤으로 번갈아 감압 여과 후,­95℃, 5x10-3 torr 조건에서 동결 건조 후에 100℃에서 12 시간 동안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여 분리막-전극 합체를 제조하였다.
도 1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극-분리막 합체의 모식도를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면, 활물질(10) 과 탄소나노섬유(20)가 혼합된 전극 혼합물이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분리막(30)과 합체된 구조를 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양극-분리막 합체의 단면 및 음극-분리막 합체의 단면에 대한 SEM 사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전극-분리막 합체의 전극층의 높이는 약 30 내지 40 ㎛ 로 형성되고, 분리막층의 높이는 약 20 ㎛ 로 형성된 것을 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양극-분리막 합체 및 음극-분리막 합체의 전극 표면 SEM 사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활물질과 탄소나노섬유가 균일하게 잘 분산되어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4) 리튬이차전지 제조
상기1) 내지 3)을 통해 제조된 분리막-양극합체 및 분리막-음극합체를 포개고, 액체전해액(1M LiPF6 in EC/DEC (1/1 v/v))를 주입하여 전극과 합체된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분리막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전극 혼합물 제조
양극 활물질로는 평균 입도 500 nm 크기의 LiFePO4, 음극 활물질로는 평균 입도 300 nm 크기의 Li4Ti5O12, 도전재로는 카본 블랙 사용하였다. 바인더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VDF)를 용제인N-메틸-2 피롤리돈(NMP)에 첨가하여 전극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이때, 양극 및 음극 슬러리 의 고형분의 조성은 중량비로 양극 활물질: 도전재: 바인더 = 80:10:10, 음극 활물질: 도전재: 바인더 = 88:2:10으로 하였다. 상기 전극 슬러리를 두께가 20 ㎛인 알루미늄 집전체에 도포 및 건조를 통하여 양극을 제조한 후 롤프레스(roll press)를 실시하여 전극을 제조하였다.
2) 리튬이차전지 제조
상기와 같이 제조된 양극, 음극과 폴리올레핀계열 분리막인 폴리에틸렌 분리막 및 액체전해액(1M LiPF6 in EC/DEC (1/1 v/v))을 이용하여 리튬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계면안정성 평가
본 발명에 의한 전극-분리막 합체의 계면안정성, 유연성, 기공도 및 전자전도도를 평가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시예로부터 제조된 전극-분리막 합체 및 비교예를 대상으로 테이핑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테이프는 너비가 25mm 이고 43±6 g/mm의 접착력을 갖는 3M사의 스카치 테이프(Scotch brand #600)를 사용하였으며, 상기 테이프를 전극 분리막 합체에 부착한 후, 떼어내는 속도는 0.5 cm/sec였다. 그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으며,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 A의 경우 분리가 일어나지 않았으나, 비교예 B의 경우 전극과 분리막의 분리가 일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전극-분리막 합체는 여과공정을 통한 물리적 결합으로 인해 계면이 매우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유연성 평가
본 발명에 의한 전극-분리막 합체의 유연성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를 대상으로 다양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전극-분리막 합체는 매듭을 지을 수 있을 정도록 우수한 수준의 유연성을 나타내며, 액체 전해액 (1M LiPF6 in EC/DEC (1/1 v/v))에 잠긴 상태에서도 반복적이 구부림이 가능한 수준의 유연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전극-분리막 합체는 별도의 바인더 또는 집전체 없이도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내열성 평가
본 발명에 의한 전극-분리막 합체의 내열성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전지에 각각 충전 상태에서 램프를 연결하고 30분 동안 150 ℃ 의 온도에 노출시켰다. 그 결과는 도 6에 사진으로 나타내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한 실시예 A는 램프가 꺼지지 않고 작동을 하였으나, 비교예 B는 작동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전극-분리막 합체는 내열성이 우수한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분리막을 포함함으로써, 고온에 노출되어도 치수안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기공도 및 전자전도도 평가
본 발명에 의한 전극-분리막 합체의 기공도 및 전자전도도를 평가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부탄올 (n-butanol)에 함침 전후 무게 변화를 측정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기공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전자전도도는 4침법(4-point probe)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는 도 9 및 10에 나타내었다. 도 9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기공도를 평가한 그래프이며, A1은 실시예의 양극, A2는 실시예의 음극, B1은 비교예의 양극, B2는 비교예의 분리막, B3는 비교예의 음극이다.
도 10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전자전도도를 평가한 그래프이며, A1은 실시예의 양극, A2는 실시예의 음극, B1은 비교예의 양극, B3는 비교예의 음극이다.
도 9 및 도 10의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기공도는 65 % 이상으로 높게 나타나지만, 비교예의 기공도는 50 % 미만으로 적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고, 전자전도도에서도 실시예가 비교예에 비해 현저히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구부림에 따른 충방전 특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전지의 반복적인 구부림에 따른 전지의 충방전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1 C의 충전 및 방전 조건 하에서 전지 작동 중 3분 마다 곡률반경 2.5 mm으로 전지를 구부렸을 때의 전압 및 구부리지 않았을 때의 전압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11에 나타난 것과 같이 분리막-전극 합체는 앞서 확인한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전극과 분리막의 계면안정성으로 인해 비교예에 비해 안정적인 충방전 거동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도 11을 참조하면, b는 전지를 구부린 지점을 나타내고, I는 충전 시 실시예의 전압, II는 충전 시 비교예의 전압, III는 방전 시 실시예의 전압, IV는 방전 시 비교예의 전압을 나타낸다. 실시예인 II 및 III는 충방전 시에 전지를 구부렸을 때, 전압의 차가 0.02 미만으로 아주 작게 나타났지만, 비교예인 I 및 IV의 경우 전지를 구부렸을 때 충전 시에는 0.04 정도, 방전 시에는 0.09 정도로 접압의 차가 크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전기화학소자는 전극-분리막의 계면안정성 및 우수한 기계적 물성으로 인해 전지에 물리적 변형을 가해도 안정적인 충방전 거동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사이클 특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로부터 제조된 전지의 사이클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전지사이클특성은, 200 사이클까지 2.0 C의 전류속도로 충전 및 방전을 진행하고, 이후 10 C의 충전 및 방전 전류속도로 300 사이클을 진행하였다.
결과는 도 12에 나타내었으며, A는 실시예, B는 비교예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극과 분리막의 계면안정성이 우수하고, 또한 별도의 바인더가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이온전도도 및 전자전도도의 향상으로, 사이클특성이 비교예에 비해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3는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전극 분리막 합체의 사이클 특정 후 전극 표면 SEM 사진이다. 도 13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전극-분리막 합체는 사이클 측정 후에도 원래 구조를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전극-분리막 합체를 적용한 전기화학소자는 바인더 및 전극 집전체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사이클 특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7: 전지의 율별 충방전 특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로부터 제조된 전지의 율별 충방전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율별 충전 특성은 0.5 ~ 20 C 의 전류속도로 충전한 후 0.5 C의 전류속도로 방전하여 전지의 방전 용량을 평가하고, 율별 방전 특성은 0.5 C의 일정한 충전 전류 하에서, 0.5 ~ 50 C 의 전류속도로 방전하여 전지의 방전 용량을 평가하였다. 결과는 도 14에 나타내었다. 도 14에서 CR은 충전 시의 율별 특성이며, DR은 방전 시의 율별 특성이다. 도 14를 통해 실시예의 율별 방전 및 충전 특성이 비교예에 비해 현저히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전극-분리막 합체를 적용한 전지는, 전극과 분리막의 계면안정성이 우수하고, 또한 별도의 바인더가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이온전도도 및 전자전도도의 향상으로, 율별 방전 및 충전 특성이 비교예에 비해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8: 고온 노출에 따른 치수안전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고온 노출 전후에 따른 외관 및 치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전지에 램프를 연결한 후, 30분 동안 150 ℃ 의 고온에 방치하였다. 그 결과는 도 15에 나타내었다. 도 15에서, AI 및 AII는 고온 노출 전 및 고온 노출 후의 실시예이고, BI 및 BII는 고온 노출 전 및 고온 노출 후의 비교예이다. 도 15를 보면, 비교예에 적용된 폴리올레핀계 분리막의 경우 고온에서 극심한 열수축 현상이 일어났으나, 실시예에 적용된 전극-분리막 합체의 경우 고온 노출 전과 후 모두 치수 안정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전극 분리막-합체의 양극 및 음극의 고온 노출 전후의 치수안정성을 평가한 사진이다. 도 16에서, I는 고온 노출 전을 나타내고, II는 고온 노출 후를 나타낸다. 도 16을 참조하면, 고온에 의한 열수축 현상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전극-분리막 합체를 적용한 전기화학소자는 내열성이 우수한 셀룰로오스 나노섬유를 포함함으로써, 고온에서도 우수한 치수 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을 통해 본 발명에 의한 전극-분리막 합체를 적용한 전기화학소자는 뛰어난 유연성, 고용량, 고출력특성 및 고안정성을 동시에 구현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 활물질
20: 탄소나노섬유
30: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분리막

Claims (12)

  1. 활물질 및 나노섬유 구조의 도전재의 복합체를 포함하되, 바인더를 포함하지 않는 전극; 및
    상기 전극과 합체된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분리막 합체를 포함하며,
    충전시에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전기화학소자:
    [수학식 1]
    |Vc1-Vc2|≤0.02
    여기서, Vc1은 전지를 구부린 곡률반경이 2.5 mm 일 때의 전압이고,
    Vc2 는 전지를 구부리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한 전압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전극-분리막 합체는, 단위 면적당 무게가 30 mg/cm2 이하인 전기화학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전극-분리막 합체는, 분리막의 평균 두께가 0.01 내지 500 ㎛ 인 전기화학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전극-분리막 합체는, 전극의 평균 두께가 0.01 내지 500 ㎛ 인 전기화학소자.
  5. 제 1 항에 있어서,
    활물질은,
    리튬니켈계 산화물, 리튬코발트계 산화물, 리튬니켈망간계 산화물, 리튬니켈코발트망간계 산화물, 리튬니켈코발트알루미늄계 산화물, 리튬인산철계 산화물, 리튬 금속, 리튬 금속의 합금 및 전이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6. 제 1 항에 있어서,
    나노섬유 구조의 도전재는,
    탄소나노섬유, 탄소나노튜브, 구리, 니켈, 알루미늄, 은 폴리페닐렌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7. 제 1 항에 있어서,
    분리막은, 무기입자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8. 제 7 항에 있어서,
    무기입자는,
    SiO2, Al2O3, TiO2, BaTiO3, Li2O, LiF, LiOH, Li3N, BaO, Na2O, Li2CO3, CaCO3, LiAlO2, SrTiO3, SnO2, CeO2, MgO, NiO, CaO, ZnO, ZrO2 및 SiC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9. 제 1 항에 있어서,
    방전시에 하기 수학식 2를 만족하는 전기화학소자:
    [수학식 2]
    |Vdc1-Vdc2|≤0.01
    여기서, Vdc1은 전지를 구부린 곡률반경이 2.5 mm 일 때의 전압이고,
    Vdc2 는 전지를 구부리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한 전압이다.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40129587A 2014-09-26 2014-09-26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18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587A KR101618218B1 (ko) 2014-09-26 2014-09-26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14/009124 WO2016047835A1 (ko) 2014-09-26 2014-09-29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US15/514,519 US11251459B2 (en) 2014-09-26 2014-09-29 Electrochemical element comprising cellulose nanofiber separato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2017536501A JP6374117B2 (ja) 2014-09-26 2014-09-29 セルロースナノ繊維分離膜を含む電気化学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587A KR101618218B1 (ko) 2014-09-26 2014-09-26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380A KR20160037380A (ko) 2016-04-06
KR101618218B1 true KR101618218B1 (ko) 2016-05-09

Family

ID=55581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9587A KR101618218B1 (ko) 2014-09-26 2014-09-26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251459B2 (ko)
JP (1) JP6374117B2 (ko)
KR (1) KR101618218B1 (ko)
WO (1) WO201604783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9202A1 (ko) * 2019-01-28 2020-08-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8218B1 (ko) 2014-09-26 2016-05-09 대한민국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050369A (zh) * 2016-12-06 2019-07-23 大韩民国(山林厅国立山林科学院长) 纸质集流体、其制造方法和包含纸质集流体的电化学装置
CN107104229B (zh) * 2017-06-15 2020-04-14 中南大学 锂离子电池负极材料氧化硅掺杂氧化锰/碳管及制备方法
CN108281592B (zh) * 2017-12-29 2022-01-25 深圳中兴新材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耐高温的复合电池隔膜及其制备方法
KR102051213B1 (ko) * 2018-04-11 2019-12-03 울산과학기술원 기능성 종이 분리막을 포함한 리튬-황 전지용 종이 전극
KR102051212B1 (ko) * 2018-04-11 2019-12-03 울산과학기술원 리튬-황 전지용 종이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CN109065808B (zh) * 2018-08-07 2021-09-10 河北工业大学 一种用于锂硫电池的功能性隔层的制备方法
KR102617871B1 (ko) * 2018-08-27 2023-12-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911731B (zh) * 2018-09-14 2021-01-19 江苏师范大学 一种复合型锂电池制备方法
CN109980214B (zh) * 2019-04-26 2021-10-01 四川昆仑云熙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碳纳米管-石墨复合电极材料的制备方法及锂离子电池
CN114039169B (zh) * 2021-11-15 2023-01-06 中南大学 一种复合隔膜及其制备方法和在水系金属离子电池中的应用
WO2024042693A1 (ja) * 2022-08-25 2024-02-29 国立大学法人山形大学 二次電池用電極、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10970A (ja) * 2012-06-28 2014-01-20 Panasonic Corp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セパレータ、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の電極−セパレータ接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リチウムイオン電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821B1 (ko) * 2004-02-07 2007-01-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무기 복합 다공성 코팅층이 형성된 전극 및 이를포함하는 전기 화학 소자
EP1784876B1 (en) * 2004-09-02 2018-01-24 LG Chem, Ltd. Organic/inorganic composite porous film and electrochemical device prepared thereby
KR100845239B1 (ko) * 2006-08-07 2008-07-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내열성 초극세 섬유층을 지닌 분리막 및 이를 이용한이차전지
JP2010192255A (ja) * 2009-02-18 2010-09-02 Nissan Motor Co Ltd 電極構造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101164650B1 (ko) * 2011-11-30 2012-07-27 대한민국 셀룰로오스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다공성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US8974960B2 (en) * 2011-12-22 2015-03-10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Binder-free sulfur—carbon nanotube composite cathodes for rechargeable lithium—sulfur batteri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101705305B1 (ko) * 2012-10-22 2017-02-09 주식회사 엘지화학 균일한 기공 배열을 갖는 다공성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1423296B1 (ko) * 2012-12-05 2014-07-24 대한민국 셀룰로오스 섬유와 실리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다공성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KR101634144B1 (ko) * 2013-02-27 2016-06-28 코오롱패션머티리얼(주) 다공성 지지체, 이의 제조방법, 분리막 및 전기화학소자
JP6256855B2 (ja) * 2014-07-15 2018-01-10 川上 総一郎 二次電池用負極材料、電極構造体、二次電池、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KR101618218B1 (ko) 2014-09-26 2016-05-09 대한민국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10970A (ja) * 2012-06-28 2014-01-20 Panasonic Corp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セパレータ、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の電極−セパレータ接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リチウムイオン電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9202A1 (ko) * 2019-01-28 2020-08-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US11876229B2 (en) 2019-01-28 2024-01-16 Lg Energy Solution, Ltd. Negative electrod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22252A1 (en) 2017-08-03
KR20160037380A (ko) 2016-04-06
US11251459B2 (en) 2022-02-15
JP2017535931A (ja) 2017-11-30
WO2016047835A1 (ko) 2016-03-31
JP6374117B2 (ja) 2018-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8218B1 (ko)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EP3297074B1 (en) Three-dimensional mesh structure form electrode for electrochemical device,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same
JP5163439B2 (ja) 繊維含有高分子膜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気化学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042467A (ja) 多孔性コーティング層を含む電極、前記電極の製造方法、及び前記電極を含む電気化学素子
JP6972000B2 (ja) 非多孔質セパレータ及びその使用
KR20100051710A (ko)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비수전해액 전지
KR20180049401A (ko)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와 전극의 제조방법
CN112467308B (zh) 一种隔膜及其制备方法、锂离子电池
KR101834482B1 (ko)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여 안정성 및 성능이 향상된 전기화학소자
KR20100135955A (ko) 세퍼레이터용 다공질막, 전지용 세퍼레이터, 전지용 전극 및 그것들의 제조방법, 및 리튬 2차전지
KR101874159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KR101894134B1 (ko) 셀룰로오스계 다층 분리막
KR20170015149A (ko) 선택적 이온 흡착성 세퍼레이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화학 전지
KR20160133275A (ko)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코팅된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30085915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US20220311093A1 (en) Composite Separator and Electrochemical Device Using the Same
CN105794032B (zh) 具有改善的寿命特性的二次电池
KR102264546B1 (ko)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KR101705306B1 (ko)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
BR112013033882B1 (pt) acumulador de lítio
EP4415107A2 (en) Secondary battery separator having no separator substrate
KR102654826B1 (ko)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와 전극의 제조방법
JP2016207583A (ja) 二次電池電極用のシート状活物質粒子含有成形体、二次電池用電極、およびそれを用いた二次電池。
US12021258B2 (en) Separator having inorganic composite layer including inorganic particles and one-dimensional inorganic material and electrochemical device using the same
KR20140018029A (ko)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 및 그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