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631B1 - 동축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동축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631B1
KR101616631B1 KR1020140125730A KR20140125730A KR101616631B1 KR 101616631 B1 KR101616631 B1 KR 101616631B1 KR 1020140125730 A KR1020140125730 A KR 1020140125730A KR 20140125730 A KR20140125730 A KR 20140125730A KR 101616631 B1 KR101616631 B1 KR 101616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contact
signal
contact conductor
grou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5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2131A (ko
Inventor
다케시 히라카와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42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2Connections to an additional grounding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금형 구조를 간소화할 수가 있는 하에서,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절연기체와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 및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를 일체화하여 형성할 수가 있는 동축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16)의 본체부(15)가 상대방 커넥터의 신호용 도체에 맞닿는 맞닿음 볼록부(21)가 설치된 맞닿음 접촉부(22)와, 그것으로부터 뻗어 절연기체(12)에 매설되는 기부(23)를 가지고, 맞닿음 접촉부(22)의 맞닿음 볼록부(21)를 포함한 두께 치수가 기부(23)의 최대 두께 치수 이하로 됨과 아울러,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18)의 환상부(17)가 상대방 커넥터의 접지용 도체에 계합하는 계합 볼록부(31)가 설치된 계합 접촉부(32)와, 그것으로부터 뻗어 절연기체(12)에 매설되는 기부(33)를 가지고, 계합 접촉부(32)의 계합 볼록부(31)를 포함한 두께 치수가 기부(33)의 최대 두께 치수 이하로 된다.

Description

동축 커넥터 장치{ELECTRICAL COAXIAL CONNECTOR}
본원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은, 회로 기판 등에 장착되어 당해 회로 기판 등으로부터 그 외부로의, 혹은 당해 회로 기판 등으로의 그 외부로부터의 전자파 쉴드(shield)가 필요하게 되는 신호의 전달에 제공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회로 기판에 배치된 도체를 흐르는 고주파 신호는 당해 회로 기판으로부터 그 외부로 전송되는데 즈음하여, 혹은 당해 회로 기판에 그 외부로부터 전송되는데 즈음하여 외부로부터의 잡음의 혼입 방지, 외부로의 누설 방지 등을 위해 전자파 쉴드(shield)가 필요한 신호로서 다루어지는 것이 많다. 이러한 전자파 쉴드가 필요한 신호에 대해서의 특정의 회로 기판으로부터 그 외부, 예를 들면, 다른 회로 기판으로의 전송, 혹은 특정의 회로 기판으로의 그 외부, 예를 들면, 다른 회로 기판으로부터의 전송을 하는데 즈음해서는, 당해 특정의 회로 기판에 장착되게 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가 이용된다.
회로 기판에 장착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는 통상적으로 절연기체에 신호의 전달에 제공되는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와,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에 공급되는 신호에 대한 전자파 쉴드 작용을 가줘올 수 있도록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를 포위하게 되어 접지 전위를 전달하는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가 배치되어 구성되고, 회로 기판에 장착되었을 때에는,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가 회로 기판에 설치된 신호 단자에 접속됨과 아울러,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가 회로 기판에 설치된 접지 단자에 접속된다. 그리고, 그 사용에 즈음해서는, 예를 들면, 다른 회로 기판에 장착된 다른 동축 커넥터 장치인 상대방 커넥터와 감합 접속되는 상태에 놓여지고, 그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가 상대방 커넥터에 있어서의 신호용 도체에 접촉 접속됨과 아울러, 그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가 상대방 커넥터에 있어서의 접지용 도체에 접촉 접속된다. 이에 의해 전송되는데 즈음하여 전자파 쉴드가 필요하게 되는 신호의 회로 기판 사이에 있어서의 전송이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를 포위하는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에 의한 전자파 쉴드가 이루어지는 하에서 행해진다.
이러한 동축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그것이 장착되는 회로 기판을 내장하는 전자기기 등의 소형화 및 경량화에 수반하여 다른 전기/전자 부품과 함께 소형화와 회로 기판 상의 두께 치수를 가능한 한 작게 하는 박형화가 도모되는 것이 요구되고, 이에 더하여 그 제조 과정에 있어서 조립 공정수의 저감과 조립 정밀도의 향상이 도모되고, 제조비용이 저감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요구 및 요망이 만족된 하에서 상대방 커넥터에 감합 접속되었을 때,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 및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가 상대방 커넥터에 있어서의 신호용 도체 및 접지용 도체에 각각 적정하게 접촉 접속된 상태가 안정하게 유지되는 것도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있어서, 절연기체에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와,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를 포위하게 된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가 배치되어 구성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로서, 소형화와 어느 정도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고, 또한 그 제조 과정에 있어서 조립 공정수의 저감과 조립 정밀도의 향상이 도모되고, 제조비용이 저감되게 되는 것이 의도된 것이 종래에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에 나타난 종래에 제안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 장치(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21))는 상대방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11))에 있어서의 신호용 도체(핀(pin) 형상 중심 도체(12))에 접촉 접속되는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소켓 형상 중심 도체(22))와, 그 중앙부분에 있어서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를 보유하여 회로 기판(제2 기판(2))에 배치되는 절연기체(제2 절연 하우징(24))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를 보유한 절연기체를 그 외주를 포위하여 수용하는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제2 통형상 외측 도체(2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하에서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가 금속관에 의해 형성된 선단부를 가지게 되어 있어,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가 상대방 커넥터에 있어서의 신호용 도체에 접촉 접속될 때에는 당해 선단부가 상대방 커넥터에 있어서의 신호용 도체에 그것이 삽입되는 상태를 가지고 감합한다.
이러한 종래의 동축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그 소형화와 박형화를 현저하게 저해하는 구조는 보여지지 않는 상황 하에서, 그 제조 과정에 있어서, 인서트 성형에 의해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와 절연기체를 일체화하여 형성하는 성형 공정과,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화된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와 절연기체를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의 내측에 계합시켜 장착하는 설치 공정이 실시된다. 즉, 특허 문헌 1에 나타나듯이, 절연기체에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와,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를 포위하게 된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가 배치되어 구성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는, 먼저,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와 절연기체가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화되고, 그 후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화된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와 절연기체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의 내측에 장착됨으로써 제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인서트 성형에 의해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와 절연기체를 일체화하는 수법이 취해짐으로써,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가 절연기체에 배치되는 구성을 얻는데 즈음해서는, 조립 공정수의 저감과 조립 정밀도의 향상이 도모되고, 이에 의해 제조비용이 저감되게 되는 작용 효과가 기대된다. 다만,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가 절연기체에 배치되는 구성을 얻는데 즈음해서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화된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와 절연기체를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의 내측에 장착하는 수법이 취해지므로, 조립 공정수의 저감과 조립 정밀도의 향상이 도모되고, 이에 의해 제조비용이 저감되게 되는 작용 효과는 얻어지지 않는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9-104836호 공보(단락 0036~0038, 0043~0046, 도 1~4)
상술과 같이, 먼저,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와 절연기체가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화되고, 그 후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화된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와 절연기체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의 내측에 장착됨으로써 제조되는 종래에 제안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와 절연기체가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화됨으로써,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가 상대방 커넥터에 있어서의 신호용 도체에 맞닿음 접촉하는 접점으로 되는 볼록부가 설치된 것으로는 되어 있지 않고,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의 상대방 커넥터에 있어서의 신호용 도체와의 접촉 접속은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에 있어서의 금속관에 의해 형성된 선단부가 상대방 커넥터에 있어서의 신호용 도체에 그것이 삽입되는 상태를 가지고 감합함으로써 행해진다. 이와 같이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의 상대방 커넥터에 있어서의 신호용 도체와의 맞닿음 접촉이 접점으로 되는 볼록부가 이용되는 일 없이 행해지는 종래에 제안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상대방 커넥터에 감합 접속되었을 때,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가 상대방 커넥터에 있어서의 신호용 도체에 적정하게 접촉 접속된 상태가 안정하게 유지되지 않게 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상술의 종래에 제안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가 상대방 커넥터에 있어서의 신호용 도체에 맞닿음 접촉하는 접점으로 되는 볼록부가 설치되지 않은 것으로 되어 있는 것은,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가 상대방 커넥터에 있어서의 신호용 도체에 맞닿음 접촉하는 접점으로 되는 볼록부가 설치된 것으로 되면, 그 볼록부의 존재에 의해 인서트 성형에 의한 절연기체 성형 후의 형(型) 빼기가 곤란하게 되는 사태가 초래되어,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와 절연기체를 일체화하는 인서트 성형 자체가 곤란하게 되어 버리거나, 혹은 인서트 성형에 이용되는 금형의 형상 및 구조가 현저하게 복잡하게 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또한 상술의 종래에 제안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가 절연기체에 배치되는 구성은,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와 절연기체를 일체화하는 인서트 성형에 의한 것이 아니고,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화된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와 절연기체를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의 내측에 장착함으로써 얻어지고 있으므로,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가 절연기체에 배치되는 구성을 얻는데 즈음해서는, 조립 공정수의 저감과 조립 정밀도의 향상이 도모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또 제조비용이 저감되는 것으로는 되지 않는다. 따라서, 장치 전체에 대해 보면, 그 제조 과정에 있어서의 조립 공정수의 저감과 조립 정밀도의 향상, 또 제조비용의 저감이 효과적으로 도모되어 있는 것으로는 되지 않는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원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은, 상대방 커넥터의 신호용 도체에 접촉 접속되는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와,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의 주위에 배치된 부분을 가지고 상대방 커넥터의 접지용 도체에 접촉 접속되는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와,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와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를 서로 절연된 상태를 가지고 보유하는 절연기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금형 구조를 간소화할 수가 있는 하에서,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절연기체와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 및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를 일체화하여 형성할 수가 있어, 제조 과정에 있어서의 조립 공정수의 저감과 조립 정밀도의 향상 또 제조비용의 저감을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가 있는 동축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본원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이하, 본원 발명이라고 함)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는, 상대방 커넥터의 신호용 도체에 접촉 접속되는 본체부와, 그것으로부터 뻗는 신호용 접속 단자부를 가진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와,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의 본체부의 주위에 배치되어 상대방 커넥터의 접지용 도체에 접촉 접속되는 환상부와, 그것으로부터 뻗는 접지용 접속 단자부를 가진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와,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의 신호용 접속 단자부 및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의 접지용 접속 단자부의 각각이 부분적으로 매설된 하에서,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와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를 서로 절연된 상태를 가지고 보유하는 절연기체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의 본체부가 상대방 커넥터의 신호용 도체에 맞닿는 맞닿음 볼록부가 설치된 맞닿음 접촉부와, 그것으로부터 뻗어 절연기체에 매설되는 제1의 기부를 가지고, 맞닿음 접촉부의 맞닿음 볼록부를 포함한 두께 치수가 제1의 기부의 최대 두께 치수 이하로 됨과 아울러,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의 환상부가 상대방 커넥터의 접지용 도체에 계합하는 계합 볼록부가 설치된 계합 접촉부와, 그것으로부터 뻗어 절연기체에 매설되는 제2의 기부를 가지고, 계합 접촉부의 계합 볼록부를 포함한 두께 치수가 제2의 기부의 최대 두께 치수 이하로 된다.
특히, 본원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의 본체부가 전체적으로 통형상을 이루고, 그 본체부에 있어서의 맞닿음 접촉부에 설치된 맞닿음 볼록부가 본체부의 내측을 향해 돌출하게 됨과 아울러,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의 환상부에 있어서의 계합 접촉부에 설치된 계합 볼록부가 환상부의 내측을 향해 돌출하게 된다.
또한, 본원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7에 기재된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절연기체가 인서트 성형에 의해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의 본체부에 있어서의 제1의 기부, 신호용 접속 단자부의 부분,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의 환상부에 있어서의 제2의 기부 및 접지용 접속 단자부의 부분과 일체화되어 형성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는, 예를 들면, 회로 기판의 면 상에 절연기체가 배치되고,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의 신호용 접속 단자부가 회로 기판에 설치된 신호 단자에 접속됨과 아울러,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의 접지용 접속 단자부가 회로 기판에 설치된 접지 단자에 접속되어, 회로 기판에 장착된 하에서 다른 동축 커넥터 장치인 상대방 커넥터와의 감합 접속이 이루어져 사용된다. 그리고, 상대방 커넥터와의 감합 접속이 이루어질 때에는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의 본체부가 상대방 커넥터에 있어서의 신호용 도체에 접촉 접속됨과 아울러,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의 환상부가 상대방 커넥터에 있어서의 접지용 도체에 감합하여 접촉 접속된다.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의 본체부는 상대방 커넥터의 신호용 도체에 맞닿는 맞닿음 볼록부가 설치된 맞닿음 접촉부와, 그것으로부터 뻗어 절연기체에 매설되는 제1의 기부를 가지게 되고, 맞닿음 접촉부의 맞닿음 볼록부를 포함한 두께 치수가 제1의 기부의 최대 두께 치수 이하로 선정되어 있다. 또,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의 환상부는 상대방 커넥터의 접지용 도체에 계합하는 계합 볼록부가 설치된 계합 접촉부와, 그것으로부터 뻗어 절연기체에 매설되는 제2의 기부를 가지게 되고, 계합 접촉부의 계합 볼록부를 포함한 두께 치수가 제2의 기부의 최대 두께 치수 이하로 선정되어 있다.
이러한 하에서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의 본체부는, 예를 들면, 본원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와 같이 전체적으로 통형상을 이루게 되고, 그 본체부에 있어서의 맞닿음 접촉부에 설치된 맞닿음 볼록부가 본체부의 내측을 향해 돌출하게 되고, 또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의 환상부에 있어서의 계합 접촉부에 설치된 계합 볼록부는, 예를 들면, 본원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와 같이 환상부의 내측을 향해 돌출하게 된다.
또, 절연기체는, 예를 들면, 본원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7에 기재된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와 같이 인서트 성형에 의해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의 본체부에 있어서의 제1의 기부, 신호용 접속 단자부의 부분,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의 환상부에 있어서의 제2의 기부 및 접지용 접속 단자부의 부분과 일체화되어 형성된다.
상술의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상대방 커넥터와의 감합 접속이 이루어질 때에 상대방 커넥터에 있어서의 신호용 도체에 접촉 접속되는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의 본체부가 상대방 커넥터의 신호용 도체에 맞닿는 맞닿음 볼록부가 설치된 맞닿음 접촉부와, 그것으로부터 뻗어 절연기체에 매설되는 제1의 기부를 가지게 되고, 맞닿음 접촉부의 맞닿음 볼록부를 포함한 두께 치수가 제1의 기부의 최대 두께 치수 이하로 선정됨과 아울러, 상대방 커넥터와의 감합 접속이 이루어질 때에 상대방 커넥터에 있어서의 접지용 도체에 접촉 접속되는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의 환상부가 상대방 커넥터의 접지용 도체에 계합하는 계합 볼록부가 설치된 계합 접촉부와, 그것으로부터 뻗어 절연기체에 매설되는 제2의 기부를 가지게 되고, 계합 접촉부의 계합 볼록부를 포함한 두께 치수가 제2의 기부의 최대 두께 치수 이하로 선정된다.
이와 같이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의 본체부에 있어서의 맞닿음 접촉부의 맞닿음 볼록부를 포함한 두께 치수가 제1의 기부의 최대 두께 치수 이하로 선정되어 있음과 아울러,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의 환상부에 있어서의 계합 접촉부의 계합 볼록부를 포함한 두께 치수가 제2의 기부의 최대 두께 치수 이하로 선정되어 있음으로써, 간소화된 금형 구조를 이용하여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와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를 서로 절연된 상태를 가지고 보유하는 절연기체를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 및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와 일체화하여 형성하는 인서트 성형을 절연기체 성형 후의 형(型) 빼기가 곤란하게 되는 사태를 초래하는 일이 없이 행할 수가 있다. 이러한 때에 있어서의 인서트 성형은, 예를 들면, 본원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7에 기재된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와 같이 절연기체가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의 본체부에 있어서의 제1의 기부, 신호용 접속 단자부의 부분,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의 환상부에 있어서의 제2의 기부 및 접지용 접속 단자부의 부분과 일체화되어 형성되게 된다.
이에 의해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에 의하면 금형 구조를 간소화할 수가 있는 하에서,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절연기체와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 및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를 일체화하여 형성할 수가 있고, 이에 의해 제조 과정에 있어서의 조립 공정수의 저감과 조립 정밀도의 향상 또 제조비용의 저감을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원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의 본체부가 전체적으로 통형상을 이루고, 그 본체부에 있어서의 맞닿음 접촉부에 설치된 맞닿음 볼록부가 본체부의 내측을 향해 돌출하게 되고, 또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의 환상부에 있어서의 계합 접촉부에 설치된 계합 볼록부가 환상부의 내측을 향해 돌출하게 되고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의 본체부가 그것에 있어서의 맞닿음 접촉부에 상대방 커넥터의 신호용 도체가 삽입되는 하에서, 맞닿음 접촉부에 설치된 맞닿음 볼록부를 상대방 커넥터의 신호용 도체에 맞닿게 하여, 상대방 커넥터의 신호용 도체와의 접촉 접속을 취하고, 또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의 환상부가 그것에 상대방 커넥터의 접지용 도체가 삽입되는 하에서, 계합 접촉부에 설치된 계합 볼록부를 상대방 커넥터의 접지용 도체에 계합시켜, 상대방 커넥터의 접지용 도체와의 접촉 접속을 취한다. 그 결과로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의 본체부가 상대방 커넥터에 있어서의 신호용 도체에 적정하게 접촉 접속된 상태가 안정하게 유지됨과 아울러,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의 환상부가 상대방 커넥터에 있어서의 접지용 도체에 적정하게 접촉 접속된 상태가 안정하게 유지되게 된다.
도 1은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있어서의 IV-IV선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의 일례에 구비되는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를 나타낸 배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의 일례에 구비되는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를 나타낸 정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의 일례에 구비되는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있어서의 VIII-VIII선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있어서의 IX-IX선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의 일례에 구비되는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의 일례에 구비되는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의 일례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의 한 공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의 일례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의 한 공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의 일례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의 한 공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의 일례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의 한 공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의 일례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의 한 공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의 일례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의 한 공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의 일례가 상대방 커넥터에 감합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9는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의 일례가 상대방 커넥터에 감합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원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는 이하에 서술되는 본원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가지고 설명된다.
도 1(사시도), 도 2(평면도) 및 도 3(정면도)은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이루는 동축 커넥터 장치(11)는 회로 기판에 장착된 하에서 다른 동축 커넥터 장치인 상대방 커넥터와의 감합 접속이 이루어져 사용되게 된다. 그리고, 동축 커넥터 장치(11)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재에 의해 형성되고, 동축 커넥터 장치(11)가 장착되는 회로 기판(도시 생략)의 면 상에 배치되게 되는 절연기체(12)를 구비하고 있다. 절연기체(12)는 도 2에 있어서의 IV-IV선 단면을 나타낸 도 4에도 나타나듯이 평판 모양부(13)와 평판 모양부(13)의 중앙 부분에 설치된 전체적으로 원통형을 이루는 환상 돌출부(14)를 가지게 되어 있다.
또, 동축 커넥터 장치(11)는 절연기체(12)의 환상 돌출부(14)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대방 커넥터의 신호용 도체에 접촉 접속되는 본체부(15)를 가진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16)와,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16)의 본체부(15)를 포위하는 절연기체(12)의 환상 돌출부(14)의 주위에 배치되어 상대방 커넥터의 접지용 도체에 접촉 접속되는 환상부(17)를 가진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18)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16) 및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18)는 절연기체(12)에 의해 서로 절연된 상태를 가지고 보유되어 있다.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16)는, 예를 들면, 합금 판재로 되는 탄성을 가진 도전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도 5(사시도), 도 6(사시도) 및 도 7(평면도)에 나타나듯이 본체부(15)에 더하여 본체부(15)의 일단부로부터 뻗는 신호용 접속 단자부(20)를 가지고 있다.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16)의 본체부(15)는 전체적으로 통상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본체부(15)는 상대방 커넥터의 신호용 도체에 맞닿는 맞닿음 볼록부(21)가 설치된 맞닿음 접촉부(22)와 맞닿음 접촉부(22)로부터 뻗어 절연기체(12)의 평판 모양부(13)에 매설되는 기부(23)를 가지고 있다.
본체부(15)에 있어서의 맞닿음 접촉부(22)는 본체부(15)가 이루는 통상체의 가상 중심축을 포위하는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환상으로 배치된 복수, 예를 들면, 3개의 탄성 맞닿음 편부(24)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탄성 맞닿음 편부(24)의 각각에 맞닿음 볼록부(21)가 통상체를 이루는 본체부(15)의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것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15)에 있어서의 기부(23)에는 본체부(15)가 이루는 통상체의 가상 중심축을 포위하는 방향으로 뻗는 오목부(25)가 설치되어 있고, 오목부(25)는, 도 4에 나타나듯이 그것에 절연기체(12)의 일부가 들어가게 되어 있다. 또, 기부(23)는 그것으로부터 신호용 접속 단자부(20)가 뻗는 본체부(15)의 일단부를 포함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도 7에 있어서의 VIII-VIII선 단면을 나타낸 도 8에도 명료하게 나타나듯이 신호용 접속 단자부(20)는 본체부(15)에 있어서의 기부(23)로부터 뻗어 있게 된다.
또한, 본체부(15)에 있어서는, 도 7에 있어서의 IX-IX선 단면을 나타낸 도 9에 나타나듯이 맞닿음 접촉부(22)를 구성하는 3개의 탄성 맞닿음 편부(24)의 각각에 있어서의 맞닿음 볼록부(21)를 포함한 두께 치수 t1이 기부(23)의 최대 두께 치수 t2 이하로 선정된다. 즉, 본체부(15)에 있어서의 맞닿음 접촉부(22)의 맞닿음 볼록부(21)를 포함한 두께 치수 t1이 본체부(15)에 있어서의 기부(23)의 최대 두께 치수 t2 이하로 선정되는 것이다.
또,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18)는, 예를 들면,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16)와 마찬가지로 합금 판재로 되는 탄성을 가진 도전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도 10(사시도) 및 도 11(평면도)에 나타나듯이 환상부(17)에 더하여 각각이 환상부(17)의 일단부로부터 뻗어 절연기체(12)의 평판 모양부(13)로부터 그 외부로 도출되게 된 복수의 접지용 접속 단자부(30)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거기로부터 복수의 접지용 접속 단자부(30)가 뻗는 환상부(17)의 일단부 및 복수의 접지용 접속 단자부(30)의 각각은 절연기체(12)의 평판 모양부(13)에 부분적으로 매설된다. 복수의 접지용 접속 단자부(30)의 각각은 절연기체(12)가 배치된 회로 기판에 있어서의 접지 단자에 접속된다.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18)의 환상부(17)는 전체적으로 통상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환상부(17)는 상대방 커넥터의 접지용 도체에 계합하는 계합 볼록부(31)가 설치된 계합 접촉부(32)와 계합 접촉부(32)로부터 뻗어 절연기체(12)의 평판 모양부(13)에 매설되는 기부(33)를 가지고 있다.
환상부(17)에 있어서의 계합 접촉부(32)는 환상부(17)가 이루는 통상체의 가상 중심축을 포위하는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환상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탄성 계합 편부(34)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탄성 계합 편부(片部)(34)의 각각에 계합 볼록부(31)가 통상체를 이루는 환상부(17)의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것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환상부(17)에 있어서의 기부(33)는 그것으로부터 복수의 접지용 접속 단자부(30)가 뻗는 환상부(17)의 일단부를 포함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도 10에도 나타나듯이 복수의 접지용 접속 단자부(30)의 각각은 환상부(17)에 있어서의 기부(33)로부터 뻗어 있게 된다.
또한, 환상부(17)에 있어서는, 도 4에 나타나듯이 계합 접촉부(32)를 구성하는 복수의 탄성 계합 편부(34)의 각각에 있어서의 계합 볼록부(31)를 포함한 두께 치수 u1이 기부(33)의 최대 두께 치수 u2 이하로 선정된다. 즉, 환상부(17)에 있어서의 계합 접촉부(32)의 계합 볼록부(31)를 포함한 두께 치수 u1이 환상부(17)에 있어서의 기부(33)의 최대 두께 치수 u2 이하로 선정되는 것이다.
상술과 같은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16)와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18)와 그것들을 서로 절연된 상태를 가지고 보유하는 절연기체(12)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동축 커넥터(11)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금형 구조를 이용한 인서트(insert) 성형에 의해 절연기체(12)가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16) 및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18)와 일체화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금형 구조를 이용한 인서트 성형을 하는데 즈음해서는, 먼저, 금형 구조내에,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16)와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18)가 도 12에 나타난 상태를 가지고 배치된다.
도 12에 있어서는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16)와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18)가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16)에 있어서의 본체부(15)가 이루는 통상체의 가상 중심축과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18)에 있어서의 환상부(17)가 이루는 통상체의 가상 중심축이 실질적으로 일치하게 되고, 또한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16)에 있어서의 신호용 접속 단자부(20)와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18)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지용 접속 단자부(30) 중의 하나가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16)에 있어서의 본체부(15)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난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16)에 있어서의 신호용 접속 단자부(20) 및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18)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지용 접속 단자부(30) 중의 하나의 각각은 마무리 절단 처리가 이루어지는 전단계 상태에 놓여진다.
이러한 도 12에 나타난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16) 및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18)는 도 13에 나타나듯이 금형 구조를 구성하는 하형(下型)(40)과 상형(上型)(41)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형(41)에는 합성 수지재가 주입되는 성형 캐비티(42)와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16)의 본체부(15)에 있어서의 맞닿음 접촉부(22)를 수용하기 위한 제1의 수용 캐비티(43) 및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18)의 환상부(17)에 있어서의 계합 접촉부(32)를 수용하기 위한 제2의 수용 캐비티(44)가 하형(40)에 대향하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14에 나타나듯이 하형(40)과 상형(41)이 상호 근접시켜져 상형(41)이 하형(40)에 밀접하는 상태에 놓여진다. 이 때에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16)의 본체부(15)에 있어서의 맞닿음 접촉부(22)를 구성하는 복수의 탄성 맞닿음 편부(24)의 각각이 상형(41)에 형성된 제1의 수용 캐비티(43)에 수용됨과 아울러,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18)의 환상부(17)에 있어서의 계합 접촉부(32)를 구성하는 복수의 탄성 계합 편부(34)의 각각이 상형(41)에 형성된 제2의 수용 캐비티(44)에 수용된다. 이 때에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16)의 본체부(15)에 있어서의 맞닿음 접촉부(22)를 구성하는 복수의 탄성 맞닿음 편부(片部)(24)의 각각에 있어서의 맞닿음 볼록부(21)를 포함한 두께 치수 t1이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16)의 본체부(15)에 있어서의 기부(23)의 최대 두께 치수 t2 이하로 선정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탄성 맞닿음 편부(24)의 각각을 수용하는 제1의 수용 캐비티(43)는, 예를 들면, 기부(23)의 최대 두께 치수 t2에 상당하는 개구 폭을 가진 매우 간단한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충분하고, 또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18)의 환상부(17)에 있어서의 계합 접촉부(32)를 구성하는 복수의 탄성 계합 편부(34)의 각각에 있어서의 계합 볼록부(31)를 포함한 두께 치수 u1이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18)의 환상부(17)에 있어서의 기부(33)의 최대 두께 치수 u2 이하로 선정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탄성 계합 편부(34)의 각각을 수용하는 제2의 수용 캐비티(44)는, 예를 들면, 기부(33)의 최대 두께 치수 u2에 상당하는 개구 폭을 가진 매우 간단한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충분하게 된다.
이어서, 도 15에 나타나듯이 상형(41)에 형성된 성형 캐비티(42) 내에 합성 수지재가 주입되어 성형 캐비티(42)가 합성 수지재에 의해 충전되는 인서트 성형을 한다. 그리고, 성형 캐비티(42)에 충전된 합성 수지제가 고체화됨으로써 합성 수지제로 된 절연기체(12)가 그 평판 모양부(13)에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16)의 본체부(15)에 있어서의 기부(23)와 신호용 접속 단자부(20)의 부분, 및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18)의 환상부(17)에 있어서의 기부(33)와 접지용 접속 단자부(30)의 부분이 매설됨과 아울러, 그 평판 모양부(13)의 중앙 부분에 환상 돌출부(14)가 형성된 것으로서 얻어진다. 이에 의해 하형(40)과 상형(41)에 의해 구성되는 금형 구조를 이용한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절연기체(12)가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16) 및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18)와 일체화되어 형성되게 된다.
그 후에 도 16에 나타나듯이 하형(40)과 상형(41)이 상호 이격시켜지고, 인서트 성형에 의해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16) 및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18)와 일체화되어 형성된 절연기체(12)를 구비한 동축 커넥터 장치(11)가, 도 17에 나타난 상태를 가지고 하형(40)과 상형(41)과의 사이부터 취출된다. 도 17에 나타난 동축 커넥터 장치(11)에 있어서는,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16)에 있어서의 신호용 접속 단자부(20) 및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18)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지용 접속 단자부(30) 중의 하나의 각각이 마무리 절단 처리가 이루어지는 전단계 상태에 놓여지지만, 이러한 신호용 접속 단자부(20) 및 복수의 접지용 접속 단자부(30) 중의 하나의 각각에 마무리 절단 처리가 이루어짐으로써 도 1에 나타난 동축 커넥터 장치(11)가 얻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도 1에 나타난 동축 커넥터 장치(11)에 있어서는,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16)의 신호용 접속 단자부(20)가, 그 일단부가 절연기체(12)의 평판 모양부(13)로부터 그 외부로 도출되어, 절연기체(12)가 배치된 회로 기판에 있어서의 신호 단자에 접속된다. 또,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16)의 본체부(15)에 있어서의 맞닿음 접촉부(22)가, 절연기체(12)의 환상 돌출부(14)의 내측에 있어서 절연기체(12)의 평판 모양부(13)로부터 돌출하여, 그것을 형성하는 복수의 탄성 맞닿음 편부(24) 내에 상대방 커넥터에 있어서의 신호용 도체가 삽입되는 상태를 가지고 상대방 커넥터에 있어서의 신호용 도체에 감합하고, 복수의 탄성 맞닿음 편부(24)의 각각에 설치된 맞닿음 볼록부(21)를 상대방 커넥터의 신호용 도체에 맞닿게 한다. 이에 의해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16)가 상대방 커넥터의 신호용 도체에 접촉 접속된 상태가 얻어진다.
또한, 도 1에 나타난 동축 커넥터 장치(11)에 있어서는, 복수의 접지용 접속 단자부(30)의 각각이, 그 일단부가 절연기체(12)의 평판 모양부(13)로부터 그 외부로 도출되어, 절연기체(12)가 배치된 회로 기판에 있어서의 접지 단자에 접속된다. 또,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18)의 환상부(17)에 있어서의 계합 접촉부(32)가, 절연기체(12)의 환상 돌출부(14)의 외측에 있어서 절연기체(12)의 평판 모양부(13)로부터 돌출하여, 그것을 형성하는 복수의 탄성 계합 편부(34) 내에 상대방 커넥터에 있어서의 접지용 도체가 삽입되는 상태를 가지고 상대방 커넥터에 있어서의 접지용 도체에 감합하고, 복수의 탄성 계합 편부(34)의 각각에 설치된 계합 볼록부(31)를 상대방 커넥터의 접지용 도체에 계합시킨다. 이에 의해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18)가 상대방 커넥터의 접지용 도체에 접촉 접속된 상태가 얻어진다.
상술의 동축 커넥터(11)가 상대방 커넥터와의 감합 접속 상태에 놓여질 때에는, 절연기체(12)에 있어서의 환상 돌출부(14)의 환상 단연부(端緣部), 절연기체(12)에 의해 보유된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16)의 본체부(15)의 환상 단연부, 및 절연기체(12)에 의해 보유된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18)의 환상부(17)의 환상 단연부가 상대방 커넥터에 대향하게 되도록 배치된 동축 커넥터(11)가 상대방 커넥터에 근접시켜지게 된다. 이러한 때에 있어서의 상대방 커넥터는, 예를 들면,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난 상대방 커넥터(51)로 된다.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난 상대방 커넥터(51)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재에 의해 형성되어, 상대방 커넥터(51)가 장착되는 회로 기판(도시 생략)의 면 상에 배치되게 되는 절연기체(52)와, 절연기체(52)의 중앙 부분에 원기둥 형상의 외관을 가지는 것으로서 세워서 설치된 신호용 도체(53)와, 신호용 도체(53)를 포위하는 환상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절연기체(52)에 의해 보유된 접지용 도체(54)를 구비하고 있다. 신호용 도체(53)는 절연기체(52)가 배치된 회로 기판에 있어서의 신호 단자에 접속되고, 또 접지용 도체(54)는 절연기체(52)가 배치된 회로 기판에 있어서의 접지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동축 커넥터(11)가 상대방 커넥터(51)와의 감합 접속 상태에 놓여진 하에 있어서는,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나듯이 동축 커넥터 장치(11)에 있어서의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16)의 본체부(15)에 있어서의 맞닿음 접촉부(22)가 그것을 형성하는 복수의 탄성 맞닿음 편부(24) 내에 상대방 커넥터(51)에 있어서의 신호용 도체(53)가 삽입되는 상태를 가지고 상대방 커넥터(51)에 있어서의 신호용 도체(53)에 감합 접촉하고, 또 동축 커넥터 장치(11)에 있어서의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18)의 환상부(17)에 있어서의 계합 접촉부(32)가 그것을 형성하는 복수의 탄성 계합 편부(34) 내에 상대방 커넥터(51)에 있어서의 접지용 도체(54)가 삽입되는 상태를 가지고 상대방 커넥터(51)에 있어서의 접지용 도체(54)에 감합 계합한다.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16)의 본체부(15)에 있어서의 맞닿음 접촉부(22)가 상대방 커넥터(51)의 신호용 도체(53)에 감합 접촉할 때에는 맞닿음 접촉부(22)를 형성하는 복수의 탄성 맞닿음 편부(24)의 각각에 설치된 맞닿음 볼록부(21)를 상대방 커넥터(51)의 신호용 도체(53)의 외면부에 맞닿게 한다. 이에 의해 복수의 탄성 맞닿음 편부(24)의 각각에 설치된 맞닿음 볼록부(21)가 상대방 커넥터(51)의 신호용 도체(53)에 그 주위로부터 비교적 큰 탄성 압압력을 작용시킨다. 그 결과로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16)가 상대방 커넥터(51)의 신호용 도체(53)에 그것에 그 주위로부터 비교적 큰 탄성 압압력을 작용시키는 상태를 가지고 접촉 접속되게 되어, 동축 커넥터 장치(11)에 있어서의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16)가 상대방 커넥터(51)에 있어서의 신호용 도체(53)에 적정하고 또한 확실하게 접촉 접속된 상태가 안정하게 유지된다.
또,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18)의 환상부(17)에 있어서의 계합 접촉부(32)가 상대방 커넥터(51)의 접지용 도체(54)에 감합 접촉할 때에는 계합 접촉부(32)를 형성하는 복수의 탄성 계합 편부(34)의 각각에 설치된 계합 볼록부(31)를 상대방 커넥터(51)의 접지용 도체(54)의 외면부에 설치된 환상 홈(ring shape groove)(55)에 계합시킨다. 이에 의해 복수의 탄성 계합 편부(34)의 각각에 설치된 계합 볼록부(31)가 상대방 커넥터(51)의 접지용 도체(54)에 그 주위로부터 비교적 큰 탄성 압압력을 작용시킨다. 그 결과로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18)가 상대방 커넥터(51)의 접지용 도체(54)에 그것에 그 주위로부터 비교적 큰 탄성 압압력을 작용시키는 상태를 가지고 접촉 접속되게 되어, 동축 커넥터 장치(11)에 있어서의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18)가 상대방 커넥터(51)에 있어서의 접지용 도체(54)에 적정하고 또한 확실하게 접촉 접속된 상태가 안정하게 유지된다.
상술의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이루는 동축 커넥터 장치(11)에 있어서는, 상대방 커넥터(51)와의 감합 접속이 이루어질 때에 상대방 커넥터(51)에 있어서의 신호용 도체(53)에 접촉 접속되는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16)의 본체부(15)가, 상대방 커넥터(51)의 신호용 도체(53)에 맞닿는 맞닿음 볼록부(21)가 설치된 맞닿음 접촉부(22)와 그것으로부터 뻗어 절연기체(12)에 매설되는 기부(23)를 가지게 되고, 맞닿음 접촉부(22)의 맞닿음 볼록부(21)를 포함한 두께 치수 t1이 기부(23)의 최대 두께 치수 t2 이하로 선정됨과 아울러, 상대방 커넥터(51)와의 감합 접속이 이루어질 때에 상대방 커넥터(51)에 있어서의 접지용 도체(54)에 접촉 접속되는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18)의 환상부(17)가, 상대방 커넥터(51)의 접지용 도체(54)에 계합하는 계합 볼록부(31)가 설치된 계합 접촉부(32)와 그것으로부터 뻗어 절연기체(12)에 매설되는 기부(33)를 가지게 되고, 계합 접촉부(32)의 계합 볼록부(31)를 포함한 두께 치수 u1이 기부(33)의 최대 두께 치수 u2 이하로 선정된다.
이와 같이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16)의 본체부(15)에 있어서의 맞닿음 접촉부(22)의 맞닿음 볼록부(21)를 포함한 두께 치수 t1이 기부(23)의 최대 두께 치수 t2 이하로 선정되어 있음과 아울러,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18)의 환상부(17)에 있어서의 계합 접촉부(32)의 계합 볼록부(31)를 포함한 두께 치수 u1이 기부(33)의 최대 두께 치수 u2 이하로 선정되어 있음으로써, 예를 들면, 하형(40)과 상형(41)에 의해 구성되는 간소화된 금형 구조를 이용하여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16)와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18)를 서로 절연된 상태를 가지고 보유하는 절연기체(12)를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16) 및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18)와 일체화하여 형성하는 인서트 성형을 절연기체(12)의 성형 후의 형(型) 빼기가 곤란하게 되는 사태를 초래하는 일이 없이 행할 수가 있다. 이러한 때에 있어서의 인서트 성형은, 예를 들면, 절연기체(12)가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16)의 본체부(15)에 있어서의 기부(23), 신호용 접속 단자부(20)의 부분,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18)의 환상부(17)에 있어서의 기부(33) 및 접지용 접속 단자부(30)의 부분과 일체화되어 형성되게 된다.
이에 의해 동축 커넥터 장치(11)에 의하면 금형 구조를 간소화할 수가 있는 하에서,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절연기체(12)와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16) 및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18)를 일체화하여 형성할 수가 있고, 이에 의해 제조 과정에 있어서의 조립 공정수의 저감과 조립 정밀도의 향상 또 제조비용의 저감을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동축 커넥터 장치(11)에 있어서는,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16)의 본체부(15)가 전체적으로 통형상을 이루고, 그 본체부(15)에 있어서의 맞닿음 접촉부(22)에 설치된 맞닿음 볼록부(21)가 본체부의 내측을 향해 돌출하게 되고, 또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18)의 환상부(17)에 있어서의 계합 접촉부(32)에 설치된 계합 볼록부(31)가 환상부(17)의 내측을 향해 돌출하게 되고,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16)의 본체부(15)가 그것에 있어서의 맞닿음 접촉부(22)에 상대방 커넥터(51)의 신호용 도체(53)가 삽입되는 하에서, 맞닿음 접촉부(22)에 설치된 맞닿음 볼록부(21)를 상대방 커넥터(51)의 신호용 도체(53)에 맞닿게 하여, 상대방 커넥터(51)의 신호용 도체(53)와의 접촉 접속을 취하고, 또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18)의 환상부(17)가 그것에 상대방 커넥터(51)의 접지용 도체(54)가 삽입되는 하에서, 계합 접촉부(32)에 설치된 계합 볼록부(31)를 상대방 커넥터(51)의 접지용 도체(54)에 설치된 환상 홈(55)에 계합시켜, 상대방 커넥터(51)의 접지용 도체(54)와의 접촉 접속을 취한다. 그 결과로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16)의 본체부(15)가 상대방 커넥터(51)에 있어서의 신호용 도체(53)에 적정하게 접촉 접속된 상태가 안정하게 유지됨과 아울러,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18)의 환상부(17)가 상대방 커넥터(51)에 있어서의 접지용 도체(54)에 적정하게 접촉 접속된 상태가 안정하게 유지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원 발명과 관련되는 동축 커넥터 장치는, 상대방 커넥터의 신호용 도체에 접촉 접속되는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와,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의 주위에 배치된 부분을 가지고 상대방 커넥터의 접지용 도체에 접촉 접속되는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와,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와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를 서로 절연된 상태를 가지고 보유하는 절연기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금형 구조를 간소화할 수가 있는 하에서,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절연기체와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 및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를 일체화하여 형성할 수가 있어, 제조 과정에 있어서의 조립 공정수의 저감과 조립 정밀도의 향상 또 제조비용의 저감을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가 있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전자기기 등에 널리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11 동축 커넥터 장치 12, 52 절연기체
13 평판 모양부 14 환상 돌출부
15 본체부
16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 17 환상부(環狀部)
18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
20 신호용 접속 단자부
21 맞닿음 볼록부 22 맞닿음 접촉부
23, 33 기부(base part)
24 탄성 맞닿음 편부 25 오목부
30 접지용 접속 단자부
31 계합 볼록부 32 계합 접촉부
34 탄성 계합 편부(片部)
40 하형(lower mold) 41 상형(upper mold)
42 성형 캐비티(molding cavity)
43 제1의 수용 캐비티(cavity) 44 제2의 수용 캐비티(cavity)
51 상대방 커넥터
53 신호용 도체 54 접지용 도체
55 환상 홈(ring shape groove)

Claims (7)

  1. 상대방 커넥터의 신호용 도체에 접촉 접속되는 본체부와, 이 본체부로부터 뻗는 신호용 접속 단자부를 가진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와,
    이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의 본체부의 주위에 배치되어 상기 상대방 커넥터의 접지용 도체에 접촉 접속되는 환상부와, 이 환상부로부터 뻗는 접지용 접속 단자부를 가진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와,
    상기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의 신호용 접속 단자부 및 상기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의 접지용 접속 단자부의 각각이 부분적으로 매설된 하에서, 상기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와 상기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를 서로 절연된 상태를 가지고 보유하는 절연기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의 본체부가 전체적으로 통상체를 이루고 있고, 상기 상대방 커넥터의 신호용 도체에 맞닿는 맞닿음 볼록부가 설치된 맞닿음 접촉부와, 이 맞닿음 접촉부로부터 상기 본체부가 이루는 통상체의 가상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뻗어 상기 절연기체에 매설되는 제1의 기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맞닿음 접촉부에 있어서의 상기 본체부가 이루는 통상체의 가상 중심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상기 맞닿음 볼록부를 포함한 치수인 두께 치수가, 상기 제1의 기부에 있어서의 상기 본체부가 이루는 통상체의 가상 중심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최대 치수인 최대 두께 치수 이하로 되고,
    상기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의 환상부가 전체적으로 통상체를 이루고 있고, 상기 상대방 커넥터의 접지용 도체에 계합하는 계합 볼록부가 설치된 계합 접촉부와, 이 계합 접촉부로부터 상기 환상부가 이루는 통상체의 가상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뻗어 상기 절연기체에 매설되는 제2의 기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계합 접촉부에 있어서의 상기 환상부가 이루는 통상체의 가상 중심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상기 계합 볼록부를 포함한 치수인 두께 치수가, 상기 제2의 기부에 있어서의 상기 환상부가 이루는 통상체의 가상 중심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최대 치수인 최대 두께 치수 이하로 되고,
    상기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의 본체부가 이루는 통상체의 가상 중심축과 상기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의 환상부가 이루는 통상체의 가상 중심축이 일치하는 것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의 본체부에 있어서의 제1의 기부가, 상기 절연기체의 일부가 들어가는 오목부가 설치된 것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에 있어서의 신호용 접속 단자부가 상기 본체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1의 기부로부터 뻗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에 있어서의 접지용 접속 단자부가 상기 환상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2의 기부로부터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의 본체부가 전체적으로 통형상을 이루고, 상기 본체부에 있어서의 맞닿음 접촉부에 설치된 맞닿음 볼록부가 상기 본체부의 내측을 향해 돌출하게 됨과 아울러, 상기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의 환상부에 있어서의 계합 접촉부에 설치된 계합 볼록부가 상기 환상부의 내측을 향해 돌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의 본체부에 있어서의 맞닿음 접촉부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환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탄성 맞닿음 편부를 가지고, 이 복수의 탄성 맞닿음 편부에 상기 맞닿음 볼록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의 환상부에 있어서의 계합 접촉부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환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탄성 계합 편부를 가지고, 이 복수의 탄성 계합 편부에 상기 계합 볼록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기체가 인서트 성형에 의해 상기 신호 접속용 접촉도체의 본체부에 있어서의 제1의 기부, 상기 신호용 접속 단자부의 부분, 상기 접지 접속용 접촉도체의 환상부에 있어서의 제2의 기부 및 상기 접지용 접속 단자부의 부분과 일체화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장치.
KR1020140125730A 2013-10-10 2014-09-22 동축 커넥터 장치 KR1016166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12587 2013-10-10
JP2013212587A JP5748111B2 (ja) 2013-10-10 2013-10-10 同軸コネク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131A KR20150042131A (ko) 2015-04-20
KR101616631B1 true KR101616631B1 (ko) 2016-04-28

Family

ID=52810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5730A KR101616631B1 (ko) 2013-10-10 2014-09-22 동축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57761B2 (ko)
JP (1) JP5748111B2 (ko)
KR (1) KR101616631B1 (ko)
CN (1) CN104577394B (ko)
TW (1) TWI55528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528470S (ko) * 2014-11-20 2015-07-13
EP3240116B1 (en) * 2016-04-25 2021-03-31 Aptiv Technologies Limited Plug connector
JP6677295B2 (ja) * 2016-06-10 2020-04-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ネクタ、コネクタセット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6688696B2 (ja) * 2016-06-28 2020-04-2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システム
TWI648922B (zh) 2016-10-18 2019-01-21 日商村田製作所股份有限公司 Coaxial connector
JP6738714B2 (ja) * 2016-11-09 2020-08-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システム
CN211238575U (zh) * 2017-06-12 2020-08-11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基板安装型同轴连接器
JP7185998B2 (ja) * 2017-08-10 2022-12-0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環状の嵌合部を有するシェルを備えた同軸コネクタ、及び、同軸コネクタ装置
EP3499652B1 (en) * 2017-12-18 2021-08-18 Tyco Electronics AMP Korea Co., Ltd. Connector assembly
JP7282449B2 (ja) * 2019-01-31 2023-05-2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プラグおよびレセプタクル
WO2020162374A1 (ja) * 2019-02-04 2020-08-13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
JP7196670B2 (ja) * 2019-02-04 2022-12-27 I-Pex株式会社 コネクタ
US11967789B2 (en) 2019-02-04 2024-04-23 I-Pex Inc.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with clamping feature for connecting to a cabl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4805A (en) * 1990-01-03 1990-10-23 Amp Incorporated Microcoxial connector having bipartite outer shell
JPH06314580A (ja) * 1992-08-05 1994-11-08 Amp Japan Ltd 二基板接続用同軸コネクタ
US6074217A (en) * 1995-05-25 2000-06-13 Murata Manufacturing Co., Ltd. Coaxial connector receptacle
JP3761501B2 (ja) * 2002-07-31 2006-03-29 本多通信工業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及びそれが実装されるグランドパッド
US7018216B1 (en) * 2005-06-06 2006-03-28 Harris Corporation Coaxi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s
JP2009104836A (ja) * 2007-10-22 2009-05-14 Kuurii Components Kk コネクタプラグ
WO2009061022A1 (en) * 2007-11-06 2009-05-14 Gigalane Co. Ltd. Connector capable of coupling to printed circuit board
JP5131455B2 (ja) * 2007-12-05 2013-01-30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装置
CN102017331B (zh) * 2008-04-23 2014-02-12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同轴连接器用插座
CN102282727B (zh) 2009-01-30 2014-04-23 株式会社藤仓 Rf用插头式连接器、rf用插座式连接器以及rf用连接器
JP5191568B2 (ja) * 2009-07-31 2013-05-08 株式会社フジクラ 同軸コネクタ
JP5218490B2 (ja) 2010-07-26 2013-06-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プラグ
JP2012230820A (ja) * 2011-04-26 2012-11-22 Daiichi Seiko Co Ltd 同軸型電気コネクタ
WO2013046829A1 (ja) 2011-09-28 2013-04-0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プラグ及び同軸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
JP5533838B2 (ja) 2011-11-04 2014-06-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プラグ
JP5472272B2 (ja) 2011-12-05 2014-04-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プラグ及びその製造方法
CN202759104U (zh) * 2012-07-18 2013-02-27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131A (ko) 2015-04-20
CN104577394B (zh) 2017-04-12
CN104577394A (zh) 2015-04-29
JP2015076312A (ja) 2015-04-20
US9257761B2 (en) 2016-02-09
JP5748111B2 (ja) 2015-07-15
US20150104974A1 (en) 2015-04-16
TWI555287B (zh) 2016-10-21
TW201517417A (zh) 2015-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6631B1 (ko) 동축 커넥터 장치
US9960522B2 (en) Connector
TWI652861B (zh) 電連接器
JP5696698B2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US8747153B2 (en) Electrical coaxial connector
KR20170036529A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및 rf 커넥터 일체형 커넥터 조립체
EP2946444B1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with backplane connector and daughtercard connector
US10593716B2 (en) Electronic component and imaging device comprising an external device connection having a case portion connection portion and an external conductor connection portion
KR101607760B1 (ko) 동축 커넥터 장치
KR20130137026A (ko) 실드 커넥터
US9490582B2 (en) Insulation body of a plug-in connector
CN106025681B (zh) 连接器及其制造方法
JP2018041691A (ja) 同軸コネクタ
US8925189B2 (en) Method for assembling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WO2003028169A1 (ja) 高速伝送用コネクタ
US10403995B2 (en) Electrical connector, electronic component, and assembly method
US11201437B2 (en) Insulating connector for an electrical cable
JP2007234463A (ja) 電気機器用ケースとその製造方法
KR20160101520A (ko) 리셉터클 커넥터
JP2019079621A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101310396B1 (ko) 커넥터
JP2023068262A (ja) 端子及びコネクタ
JP6252969B2 (ja) 電気コネクタ
JP2022153116A (ja) 電気コネクタ
JP2015046351A (ja) 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