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3746B1 -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 - Google Patents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3746B1
KR101603746B1 KR1020157001608A KR20157001608A KR101603746B1 KR 101603746 B1 KR101603746 B1 KR 101603746B1 KR 1020157001608 A KR1020157001608 A KR 1020157001608A KR 20157001608 A KR20157001608 A KR 20157001608A KR 101603746 B1 KR101603746 B1 KR 101603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sleeve
heater
pressing
pres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1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8893A (ko
Inventor
노리유키 가와니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ublication of KR20150018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8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3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3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8Reinforcement of splice joi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3Splicing machines, e.g. optical fibre fusion splic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1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using thermal methods, e.g. fusion welding by arc discharge, laser beam, plasma torc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5Alignment or adjustment devices for aligning prior to splic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3Industrial applic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는, 제2 가압 부재(42)에 의한 슬리브에 대한 압압력이, 제1 가압 부재(41)에 의한 광섬유에 대한 인장력보다 크게 설정되고, 제1 가압 부재(41)에 의해 광섬유에 인장력을 부가한 상태에 있어서, 인장력을 부가하는 한쪽의 클램프부(2A)가, 광섬유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히터(3)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의 후퇴 가동 범위가 확보되어 있는 동시에, 히터(3) 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전진 가동 범위가 확보되어 있으므로, 제2 가압 부재(42)에 의해 히터(3)로 슬리브를 압압함으로써 부가되는 광섬유에 대한 인장력을 감쇄하는 방향으로 한쪽의 클램프부를 이동시킨다.

Description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OPTICAL-FIBER-SPLICED PORTION REINFORCING HEATING DEVICE}
본 발명은,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3년 3월 25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원 2013―063014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광섬유의 융착 접속을 행할 때는, 일반적으로, 하기와 같은 작업 수순으로 행해진다.
(1) 광섬유 케이블로부터 광섬유 심선(心線)을 인출한다.
(2) 인출된 광섬유 심선을 덮는 수지 피복(선단부)을 광섬유 피복 제거 공구에 의해 제거한다.
(3) 선단부의 피복이 제거된 광섬유 심선의 유리(누드 광섬유) 표면에 남는 수지 피복 칩을 알코올로 적신 천이나 종이로 제거한다.
(4) 청소된 광섬유 심선을 광섬유 절단기에 의해 절단한다.
(5) 절단된 광섬유 심선을 광섬유 융착 접속기에 의해 융착 접속한다.
(6) 융착 접속된 광섬유 심선에 열수축성의 보강 슬리브를 씌워 융착 접속기의 가열기에 의해 가열 보강한다.
(7) 가열 보강된 광섬유 심선을 접속부 수납 케이스의 수납 트레이에 수납한다.
상기 (6)공정에 있어서, 광섬유의 접속부의 보강에 사용되는 슬리브는, 외측이 열수축 튜브로 이루어지고, 내측에 배치된 핫멜트로 광섬유 주위를 성형함으로써 접속점을 보호하는 것이다. 외측의 열수축 튜브와 내측의 핫멜트로 이루어지는 슬리브는, 다양한 광섬유의 피복 직경에 따라 가열 수축이 가능하다. 또한, 슬리브 길이 방향 대략 중앙으로부터 가열 수축시킴으로써, 슬리브 내의 공기를, 슬리브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압출(押出)하면서 성형된다. 이와 같은 슬리브로 보강된 광섬유의 접속부는, 광섬유에 있어 유해한 수분 등, 외부로부터의 물질을 차단하는 역할도 가진다. 외측의 열수축 튜브와 내측의 핫멜트의 사이에는, 단심(單心) 광섬유의 경우에는 스테인레스 항장력체(抗張力體)가, 다심(多心) 테이프의 경우에는 유리 항장력체가, 미리 슬리브 내에 삽통(揷通)되어 있어, 휨이나 장력에 견디는 구조가 실현된다. 또한, 종래부터 광섬유 융착 접속기에 탑재되어 있는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대략 30초 전후에서 고속 수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슬리브를 가열 수축하기 위해,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이하, 보강 가열 장치라고 하는 경우도 있음)에 구비되는 히터로서는, 최근, 금속판에 폴리이미드 필름 히터가 접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하게 되어 있고, 예를 들면, 1개의 평판형(平板型) 히터에, 2개 이상의 가열 회로 패턴이 매립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2를 참조). 이와 같이, 평판형의 히터에, 복수의 가열 회로 패턴을 매립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되어 있다. 또한, 평판형의 히터를 U자형으로 가공하여 가열하는 기술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3을 참조).
또한, 일반적으로, 보강 가열 장치에는, 슬리브의 가열 수축 전에 광섬유에 외부로부터 장력이 걸렸을 때, 슬리브와 광섬유 접속부와의 위치가 어긋나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클램프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클램프부로서는, 장력을 가지는 기구를 탑재하고 있는 것이 있고, 이로써, 슬리브 중에서 광섬유가 이완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광섬유가 이완된 상태로 슬리브가 수축되면, 슬리브 중의 광섬유에 응력이 잔류하여, 광섬유의 장기 신뢰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어, 특히 테이프 심선을 가열 보강하는 보강 가열 장치에 있어서는, 배열된 누드 광섬유끼리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서도 클램프부는 중요하며 필수적인 구성이다. 섬유에 장력을 부여하지 않으면, 인접하는 광섬유끼리가 접촉된 상태로 수축되어, 양쪽의 광섬유에 손상을 주게 되므로, 광섬유의 장기 신뢰성을 저하시킨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심 테이프 섬유용의 보강 가열 장치에 있어서는, 광섬유의 길이 방향에서 히터의 양측에 클램프부가 배치되고, 이들 내의 한쪽의 클램프부가 광섬유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되고, 압축 코일 스프링을 구비한 구성의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4를 참조). 특허 문헌 4에서는, 이하에 나타낸 수순으로, 클램프부를 사용하여 광섬유에 인장력(引張力)을 인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먼저, 1번째 방법으로서, 좌우의 클램프부가 개방한 상태에서 광섬유를 세팅하고, 가동(可動)으로 된 좌측의 클램프부만을 닫고, 이어서, 광섬유를 우측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압축 코일 스프링을 축소한 상태에서 우측의 클램프부를 폐쇄한다. 이 때, 가동의 좌측 클램프부가 가동 범위의 우측단에 부딪친 위치에 있어서, 압축 코일 스프링의 수축량은, 광섬유에 최적인 인장력을 발생시키도록 설계되어 광섬유로는, 압축 코일 스프링의 최적 장력이 항상 인가되도록 된다.
또한, 2번째 방법으로서, 좌우의 클램프부가 개방한 상태에서 가동측의 클램프부의 좌측면을 손가락으로 우측 방향으로 가압하고, 이 좌측 클램프부가 우측 방향으로 부딪친 위치에 있어서, 압축 코일 스프링의 수축량은, 광섬유에 최적인 인장력을 발생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 후, 손가락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광섬유를 클램프부에 세팅하고, 가동의 좌측 클램프부와 고정된 우측 클램프부를 폐쇄한다. 그리고, 가동의 좌측 클램프부로부터 손가락을 떼어 놓으면, 광섬유로는, 압축 코일 스프링의 최적인 인장력이 항상 인가되도록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특허 문헌 4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광섬유를 이완되지 않도록 손가락으로 인장시켜 클램프부에 세팅하고, 좌우의 클램프부가 닫힌 후의 상태에서는, 가동의 좌측 클램프부에는 히터측으로 더 이동시키기 위한 전진 가동 범위는 거의 남겨져 있지 않고, 후퇴 가동 범위만이 확보되어 있는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광섬유에 과대한 측압을 가한 경우에는, 광섬유의 장기 신뢰성을 현저하게 손상시킬 수 있는 잔류 인장력이 광섬유에 부가(付加)되거나, 또는 즉시 광섬유가 단선(斷線)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압축 코일 스프링 대신에, 자력(磁力)을 이용하여 인장력을 광섬유에 부가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5를 참조). 특허 문헌 5의 도 1 등에 있어서는, 우측의 클램프부가 가동으로 되고, 좌측의 클램프부가 고정으로 되어 있다. 가동측의 클램프부는, 통상은 인장 코일 스프링에 의해, 히터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그리고, 광섬유가 파지[把持; 클램프(clamp)]되어, 히터의 커버부가 닫히면, 자석 사이에 반발력이 발생하여 광섬유에 인장력을 부여한다. 이로써, 전술한 특허 문헌 4에 기재된 2가지 방법과 같은 번거로운 수순이 불필요해지므로, 클램프부나 커버부를 닫는 것만으로, 광섬유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특허 문헌 5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역시, 광섬유가 이완되지 않도록 손가락으로 인장시켜 클램프부에 세팅하고, 좌우의 클램프부가 닫힌 후의 상태에서는, 가동측의 클램프부에는, 히터측으로 더 이동시키기 위한 가동역(可動域)은 거의 남지 않고, 후퇴 가동 범위만이 확보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광섬유에 과대한 측압(側壓)을 가했을 경우에는, 광섬유의 장기 신뢰성을 현저하게 손상시킬 수 있는 잔류 인장력이 광섬유에 부가되어 버리거나, 또는 즉시 광섬유가 단선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단심의 광섬유용의 보강 가열 장치에서는, 인장력의 부가 기구(機構)를 구비하는 장치는 거의 없다. 이것은, 단심의 광섬유의 경우에는, 인접하는 광섬유끼리가 접촉하는 경우가 없으므로, 장치 비용 삭감을 위해 탑재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즉, 이들 광섬유의 인장 부가 기구는, 주로 다심의 광섬유용의 보강 가열 장치에 탑재되어 있다.
여기서, 광섬유에 인장력을 부가한 상태에서 슬리브를 수축시켰을 경우, 광섬유에 잔류 장력이 남는다. 표면에 상흔 등이 없는 통상의 광섬유의 경우, 100gf 이하의 잔류 장력으로는 장기 신뢰성이 저하되지는 않고, 종래에 있어서도, 광섬유의 잔류 장력을 100gf 이하로 하는 것이 추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6을 참조). 단, 융착 접속한 광섬유에는, 그 작업 등에 의한 상흔이 생기고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예를 들면, 광섬유 융착 후의 파단(破斷) 확인 시험의 장력이 200gf의 경우에 있어서, 대략 30gf 이하인 것이 추천된다.
일반적으로, 광섬유를 접속하는 경우, 융착 접속 시간은 10초 이내이지만, 가열 수축에는 25초 이상의 시간을 요한다. 예를 들면, 보강 가열 장치에 대한 광섬유 세팅 시간이나 인출 시간을 포함하여 40초가 필요한 것으로 가정한다. 일반적으로, 1개의 광섬유 케이블에는 수십 개의 광섬유가 들어가 있으므로, 예를 들면, 96개의 광섬유를 접속하는 경우에는, 96개×40초=3840초≒1시간으로 되고, 1개의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해서는, 슬리브의 가열 보강 작업만으로 1시간을 요하는 것으로부터도, 가열 수축 시간의 단축은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광섬유의 접속부의 보강 가열 장치에서는, 히터를 슬리브에 압압(押壓)하여 슬리브를 변형시킴으로써, 히터와 슬리브의 접촉 면적을 펼쳐 열이 전달되기 쉬운 상태로 가열함으로써, 가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지금까지, 히터와 슬리브를 적극적으로 접촉시킴으로써, 가열 시간의 단축을 도모하는 기술이 다수 제안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특허 문헌 6에서는, 압축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여 히터를 슬리브에 가압하여, 항상 접촉을 얻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6에서는, 히터로 압압함으로써 광섬유에 장력을 인가했을 때, 압축 코일 스프링에 의해 장력을 완화하는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광섬유에는, 좌측의 슬라이딩 클램프부와 압축 코일 스프링에 의해, 통상의 가열 장치와 마찬가지로 이완 방지의 장력이 부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6에서는, 좌측의 슬라이딩 클램프부에는, 먼저 설명한 후퇴 가동 범위는 확보되어 있지만, 전진 가동 범위가 없다. 광섬유의 허용 잔류 장력을 10∼100gf로 한 경우, 히터에 의한 압압력(押壓力)의 합계는 10∼100gf 이하일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광섬유 융착 후의 파단 확인 시험의 장력이 200gf의 경우에 있어서는, 허용 인장력은 대략 30gf 이하이며, 히터에 의한 압압력은 30gf 이하일 필요가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30gf에서는 슬리브를 충분히 변형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만일, 히터에 수백gf의 압압력을 측면으로부터 가한 경우, 30gf의 인장력을 부가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은 순간적으로 줄어들어, 광섬유에 수백gf의 강력한 장력이 부가되어, 보강 후의 광섬유의 장기 신뢰성이 손상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특허 문헌 6에 있어서는, 히터의 압압력을, 광섬유의 허용 잔류 장력보다 크게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여기서, 슬리브 내의 경심(硬心)을 자석으로 밀착시킴으로써, 항상 히터와 슬리브와의 접촉을 얻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7을 참조). 그러나, 특허 문헌 7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슬리브 내부의 경심과 히터가 자석 또는 자력으로 당기는 것뿐, 슬리브 전체를 잡아 변형시키도록 한 압압력은 슬리브의 구조 상 부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히터와 슬리브와의 접촉은 유지할 수 있지만,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는 효과는 거의 없다. 또한 경심이 유리의 경우에는 기능하지 않는다. 또한, 영구 자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 자석이 히터의 옆에 배치되므로, 고온에 기인하는 자력 열화가 문제로 된다.
또한, 광섬유 접속부의 보강 가열 장치로서, 히터를 모터 등으로 구동하는 수단과, 히터가 소정 위치, 즉 슬리브가 수축한 위치로 전진한 것을 검지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히터가 슬리브 위치까지 전진하고, 히터가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후퇴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8을 참조). 특허 문헌 8에 의하면, 2개의 히터로 슬리브를 압압하고, 슬리브와 히터와의 접촉 면적을 넓혀, 슬리브의 가열 수축을 고속화할 수 있다. 즉, 히터로부터의 열전도 효율이 높아, 슬리브의 열수축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방식이면, 슬리브를 충분히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슬리브를 어느 정도의 압압력으로 변형시키면 열수축 시간이 최단으로 되는지, 본 발명자가 예의(銳意) 검토했는 데, 슬리브를 가열 수축시킬 때, 히터에 의한 슬리브에 대한 압압력을 대략 500gf로 할 필요가 있는 것이 명백해 지고 있다.
도 30의 그래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히터에 의한 슬리브의 압압력이 높을수록, 히터와 슬리브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고 슬리브의 수축 시간은 짧아진다. 도 30은, 일반적인 단심용 60㎜ 슬리브를 2개의 히터로 협지하고, 양측 2개의 히터의 온도를 230℃로서 가열한 경우의 그래프이며, 한쪽의 히터는 고정으로 하고, 다른 쪽의 히터는 가동으로 한 경우이다. 이 그래프로부터는, 압압력이 500gf를 넘으면, 압압의 효과는 감소하여, 슬리브의 수축 시간은 그다지 단축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압압력 대략 500gf라는 변화점은, 슬리브의 구조에 의해 변화되는 것이며, 압압력이 대략 500gf를 넘으면 수축 시간의 변화가 작아지는 것은, 어디까지나 일반적인 단심용 60㎜ 슬리브의 경우이다.
그러나, 특허 문헌 8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문제가 있다. 먼저 제1 문제로 되는 것이, 히터의 이동 제어에 의한 슬리브의 압압이다. 히터는 마이크로미터를 통한 모터에 의해 전진하지만, 이 전진량과 전진 속도는, 슬리브의 수축 상황에 따라서 제어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슬리브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고, 예를 들면, 직경이나 재질의 상위에 따라 전진량과 전진 속도는 상이하다. 또한, 슬리브의 수축 속도는, 외기 온도나 내장(內藏) 배터리의 전압에 의해서도 변화한다. 또한, 슬리브는, 일반적으로, 그 길이 방향에 있어서, 중앙부와 외측 에지부에서는 수축 속도가 상이하다. 그러므로, 만일, 히터가 과잉으로 전진하는 경우에는, 과대한 압압이 내부의 광섬유에 도달하여 광섬유를 손상시켜 버린다. 또는, 히터의 전진이 늦으면, 히터와 슬리브의 사이에 간극이 생겨, 슬리브가 단시간에 수축하지 않는다는 문제도 발생한다.
히터를 일정한 압압력으로 하기 위해서는, 탄성 부재를 사용하여 히터를 슬리브에 가압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만, 특허 문헌 8에 있어서는, 탄성 부재와 캠을 사용하여 히터를 슬리브에 가압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즉, 특허 문헌 8에서는, 좌우에 배치한 히터의 사이에 캠을 배치하고, 각각의 히터를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로 압압하고, 모터에 의해 캠을 회전시킴으로써, 히터를 열수축 슬리브에 압압하는 구성도 기재되어 있다.
이하에, 도 32의 (a)∼(c)를 참조하면서, 전술한 바와 같은, 2개의 히터를 스프링으로 압압하면서, 그 사이에 삽입한 캠으로 히터를 구동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2의 (a)는, 슬리브(312)를, 2개의 히터(321, 322) 사이에 세팅한 직후로서 가열 개시 전의 상태이다. 도면 중에 있어서, 슬리브(312) 내에 있는 광섬유(311)는,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중심선(S) 상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 광섬유(311)의 위치는, 히터(321, 322)의 바로 앞과 안쪽에 배치되는, 도시하지 않은 클램프부에 의해 파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 3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323)을 회전시켜 2개의 히터(321, 322)를 압축 코일 스프링(324, 325)의 힘으로 슬리브(312)에 가압하고, 히터(321, 322)로 가열을 개시한다. 도면 중에 있어서, 캠(323)과 히터 가동대(321A, 322A)는 접촉하지 않고, 압축 코일 스프링(324, 325)의 힘으로 슬리브(312)에 가압되고 있다.
이 때, 광섬유(311)의 위치가,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중심선(S) 상에 위치하고 있으면, 광섬유(311)에 과대한 장력이 부가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대로 슬리브(312)가 수축하여 가서, 완전히 수축한 후, 가열 보강이 종료하지만, 이 때, 상기한 바와 같이, 광섬유(311)의 위치가 중심선(S)으로부터 어긋나지 않으면, 광섬유(311)에 과대한 장력이 걸리지 않는다.
그러나, 실제로는, 도면 중 좌우에 배치된 압축 코일 스프링(324, 325)의 압압력이 같으며, 또한 슬리브(312)가 중심선(S)에 머무르지는 않고, 장기간에 걸쳐, 2개의 압축 코일 스프링(324, 325)이 항상 같은 위치에서 균형을 계속 유지하는 것은 어렵다. 예를 들면, 도 3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축 코일 스프링(324, 325)의 힘의 차이에 의해, 어느 한쪽의 측으로 치우친 상태가 되는 것이 통상이다. 도 32의 (c)에 있어서는, 도면 중 좌측에 배치된 히터 가동대(321A)가, 좌측의 하우징에 접촉되어 정지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도 32의 (c)에서는, 광섬유(311)의 위치가 중심선(S)보다도 어긋나 있지만, 광섬유(311)는 도시하지 않은 클램프부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어긋남이 조금이라도 발생하면, 압축 코일 스프링(324, 325)의 과대한 장력이 광섬유(311)에 부가되게 된다.
특허 문헌 8에 기재된 기술로 제2 문제로 되는 것이, 광섬유에 부가되는 과대한 압압력이다. 슬리브를 압압하는 대략 500gf라는 힘은, 전술한 융착 접속 후의 광섬유에 대하여 부가할 수 있는 대략 30gf의 장력보다 매우 크고, 파단 확인 시험의 장력 200gf의 2배 이상의 힘이므로, 압압력이 부가된 순간에 광섬유가 파단될 우려가 있다. 만일 파단되지 않았다고 해도, 보강 후의 광섬유의 장기 신뢰성은 손상되어 있다.
특허 문헌 8에 기재된 기술로 제3 문제로 되는 것이, 광섬유에 장력을 부가하는 기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슬리브(312)를 양측으로부터 압압하는 방법에서는, 히터(321, 322)에 의해 압압하기 전에, 인장력을 부가한 광섬유(311)에 의해 슬리브(312)가 매달린 상태로서 둘 필요가 있다. 그러나, 도 33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섬유(311)에 인장력을 부가하지 않는 상태에서 클램프부(326, 327)에 의한 파지(클램프)를 행한 경우에는, 클램프 직후에 광섬유(311)에 이완이 생겨, 슬리브(312)가 아래쪽의 위치로 어긋나 버린다. 이와 같은 경우, 도 33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리브(312)가 히터(321, 322)의 적절한 위치에서 압압되지 않아, 수축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이 종료될 우려가 있다.
이 경우, 슬리브(312)가 아래쪽의 위치로 어긋나 버릴 경우를 고려하여, 히터(321, 322)를 상하 방향으로 길게 구성한다는 대책도 생각할 수 있지만, 히터(321, 322)가 대형화됨으로써 열용량이 증가하여, 승온(昇溫) 스피드가 지연된다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광섬유의 이완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 또는 자석 등의 자력 부재에 의해, 광섬유를 파지한 클램프부에 일정한 장력을 부가하는 것이 요구된다. 즉, 전술한 특허 문헌 4의 설명에서 기재된 2가지 방법이나, 특허 문헌 5에 기재된 자력을 사용한 방법, 특허 문헌 6의 방법으로, 광섬유에 인장력을 부가할 필요가 있다.
특허 문헌 8에 기재된 기술에서 제4 문제로 되는 것이, 장치의 크기이다. 히터의 구동 방식으로서, 마이크로미터나 나사 기구를 이용하면, 500gf를 초과하는 압압력을 발휘할 수 있다. 그러나, 광섬유를 접속하는 융착 접속기는, 전주 위나 좁은 맨홀 안 등의 좁은 공간에서 사용되므로, 또한 짧은 여유 길이의 광섬유라도 접속할 필요가 있으므로, 장치의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므로, 융착 접속기 중에, 모터 2개와 마이크로미터 2개 또는 나사 기구 2개를 탑재한 경우에는, 장치가 대형화되어, 작업 환경에 적합하지 않거나, 또는 짧은 여유 길이의 광섬유를 접속할 수 없다는 문제가 생긴다. 이 결과, 상기 압압력을 얻을 수 있는 구동 기구를 탑재한 융착 접속기는 실용화되어 있지 않다.
일본 특허 제3293594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제2010―249887호 공보 일본 특허 제4165375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제2000―321462호 공보 일본 특허 제3337874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1998―332979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제2010―217271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제2004―042317호 공보
광섬유에 인장력이 부가하기 위해, 전술한 특허 문헌 4, 5, 6에 기재된 어느 기술을 이용한 경우라도, 광섬유를 클램핑(clamping)한 후에는 가동측 클램프부가 히터 방향으로의 전진 이동이 불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그 결과, 히터의 압압에 의해 광섬유에 큰 장력이 부가되었을 때, 가동측의 클램프부가 이 장력을 흡수할 수 없었다. 그러므로, 광섬유에 과잉으로 부가되는 장력을 해방할 수 없어, 광섬유의 파단이나 장기 신뢰성의 저하를 일으켜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의 보강 가열 장치에 있어서는, 광섬유의 장기 신뢰성의 문제에 의해, 슬리브를 변형시키도록 한 압압을 행할 수 없었다.
파단 확인 시험의 장력을 초과하는 힘으로 슬리브를 압압하기 위해, 전술한 특허 문헌 8에 기재된 기술을 이용하면 실현 가능하지만, 모터 외에도 다양한 기구 부품이 필요하며, 그 결과, 장치가 대형화되어 버렸다. 즉, 종래의 보강 가열 장치에 있어서는, 장치 크기의 제약에 의해, 슬리브를 변형시키도록 한 압압을 행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광섬유에 과잉의 장력이 부가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광섬유의 파단이나 장기 신뢰성의 저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장치가 대형화되는 것을 방지한 것에 더하여, 조작성이 우수하고, 또한 단시간에 슬리브를 가열 수축시키는 것이 가능한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피복부가 제거된 광섬유끼리가 융착 접속되고, 또한 상기 융착시킨 접속부의 피복 제거 부분 및 상기 피복부가 이 슬리브로 덮힌 상기 광섬유의, 상기 슬리브로부터 노출된 상기 피복부의 한쪽 및 다른 쪽을 파지하는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와, 상기 광섬유 또는 슬리브를 협지하여 대향 배치된 적어도 2개 이상의 히터와, 상기 클램프부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광섬유에 대하여 탄성 부재 또는 자력 부재에 의해 인장력을 부가하도록 가압하는 제1 가압 부재와, 상기 슬리브를 협지하여 대향 배치된 상기 히터 중 적어도 1개 이상에, 구동원에 의한 제어에 따라, 상기 슬리브를 협지하여 탄성 부재 또는 자력 부재에 의해 압압력을 부가하는 제2 가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가압 부재에 의한 상기 슬리브에 대한 압압력은, 상기 제1 가압 부재에 의한 상기 광섬유에 대한 인장력보다 크게 설정되고, 상기 제1 가압 부재에 의해 상기 광섬유에 인장력을 부가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인장력을 부가하는 상기 한쪽의 클램프부가, 상기 광섬유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히터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의 후퇴 가동 범위가 확보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히터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전진 가동 범위가 확보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 가압 부재에 의해 상기 히터로 상기 슬리브를 압압함으로써 부가되는 상기 광섬유에 대한 인장력을 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클램프부가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슬리브를 협지하여 대향 배치된 한쪽이 가동으로 되고, 다른 쪽의 측이 고정으로 되어 있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히터에 의한 상기 슬리브에 대한 압압력은, 상기 광섬유의 융착 접속부의 파단 확인 시험의 장력을 상회하는 압압력인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슬리브를 협지하여 대향하는 압압면(押壓面)이 대략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슬리브 중에 삽통된 항장력체의 중량을 이용하여 항상 상기 항장력체를 대략 하방향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슬리브의 방향을 일정화시키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슬리브의 가열이 종료한 후, 즉시 상기 슬리브로부터 이격시켜 상기 슬리브로의 열전도를 차단하고, 상기 슬리브의 주위에 외기를 도입하여 상기 슬리브를 급냉시키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클램프부는, 상기 광섬유를 파지하기 전에, 상기 제1 가압 부재에 의해 상기 히터로부터 이격되어 후퇴 스토퍼와 맞닿고, 전진 방향으로만 가동 범위를 확보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로 상기 광섬유를 파지하고, 상기 광섬유로는 상기 인장력이 부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를 파지한 직후, 또는 상기 히터의 상기 슬리브에 대한 압압 구동 개시 시 또는 압압 구동 개시 전후에, 상기 후퇴 스토퍼를 퇴피시킴으로써, 상기 광섬유에 상기 인장력을 부가한 상태에서, 상기 한쪽의 클램프부의 후퇴 가동 범위에 더하여 전진 가동 범위를 확보한 후, 상기 히터로 상기 슬리브를 압압하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클램프부는, 상기 광섬유를 파지하기 전에, 상기 제1 가압 부재에 의해 상기 히터로부터 이격되어 후퇴 스토퍼와 맞닿은 상태로부터, 전진 스토퍼와 맞닿기까지 전진 이동시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로 상기 광섬유를 파지하고, 상기 광섬유로는 상기 인장력이 부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를 파지한 직후, 또는 상기 히터의 상기 슬리브에 대한 압압 구동 개시 시 또는 압압 구동 개시 전후에, 상기 한쪽의 클램프부를 상기 전진 스토퍼에 대한 맞닿은 상태로부터 개방하고, 또한 상기 전진 스토퍼를 퇴피시킴으로써, 상기 광섬유에 상기 인장력을 부가한 상태에서, 상기 한쪽의 클램프부의 후퇴 가동 범위에 더하여 전진 가동 범위를 확보한 후, 상기 히터로 상기 슬리브를 압압하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클램프부는, 상기 광섬유를 파지하기 전에, 상기 제1 가압 부재에 의해 상기 히터로부터 이격되는 후퇴 방향의 가압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또한 상기 한쪽의 클램프부를 전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탄성 부재 또는 자력 부재로 이루어지는 제3 가압 부재에 의해, 상기 한쪽의 클램프부의 가동 범위에서의 단부(端部)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정지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로 상기 광섬유를 파지하고, 상기 광섬유로는 상기 인장력이 부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를 파지한 직후, 또는 상기 히터의 상기 슬리브에 대한 압압 구동 개시 시 또는 압압 구동 개시 전후에, 제3 가압 부재에 의한 상기 한쪽의 클램프부의 전진 방향의 가압력을 약하게 하거나, 또는 상기 제1 가압 부재에 의한 후퇴 방향의 가압력을 강하게 하거나, 또는 상기 제3 가압 부재를 퇴피시킴으로써, 상기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가 상기 광섬유에 대하여 인장력을 부가한 상태에서, 상기 한쪽의 클램프부의 후퇴 가동 범위에 더하여 전진 가동 범위를 확보한 후, 상기 히터로 상기 슬리브를 압압하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 모두가, 상기 광섬유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전후로 가동으로 되어 있고, 상기 한쪽의 클램프부가, 상기 광섬유를 파지하기 전에, 상기 제1 가압 부재에 의해 상기 히터로부터 이격되어 후퇴 스토퍼와 맞닿고, 전진 방향으로만 가동 범위를 확보한 상태에서, 또한 상기 다른 쪽의 클램프부가, 상기 광섬유를 파지하기 전에, 상기 히터측으로 전진하여 정지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로 상기 광섬유를 파지하고, 상기 광섬유로는 상기 인장력이 부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다른 쪽의 클램프부가 상기 히터측으로부터 이격되는 후퇴 방향으로 이동을 개시하고, 상기 광섬유를 통한 인장력에 의해 상기 한쪽의 클램프부가 전진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한쪽의 클램프부의 가동 범위에서의 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다른 쪽의 클램프부의 이동이 정지되는 것에 의해, 상기 광섬유에 상기 인장력을 부가한 상태에서, 상기 한쪽의 클램프부의 후퇴 가동 범위에 더하여 전진 가동 범위를 확보한 후, 상기 히터로 상기 슬리브를 압압하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클램프부가, 상기 광섬유를 파지하기 전에, 상기 제1 가압 부재에 의해 상기 히터로부터 이격되어 후퇴 스토퍼와 맞닿고, 전진 방향으로만 가동 범위를 확보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로 상기 광섬유를 파지하고, 상기 광섬유로는 인장력이 부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 부재에 의한 상기 광섬유에 대한 인장력보다 큰 상기 제2 가압 부재에 의한 압압력에 의해, 상기 히터가 상기 슬리브를 압압하고, 압압 개시 후의 상기 슬리브의 이동 또는 상기 슬리브의 형상 변형에 의해, 상기 광섬유가 압압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한쪽의 클램프가 상기 광섬유의 이동에 의한 인장력에 의해 전진 방향으로 끌여들여지고, 상기 한쪽의 클램프부는 가동 범위에서의 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광섬유에 상기 제1 가압 부재에 의한 인장력이 부가된 상태에서, 상기 한쪽의 클램프부의 후퇴 가동 범위에 더하여 전진 가동 범위를 확보한 후에, 상기 히터로 상기 슬리브를 가열하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피복부가 제거된 광섬유끼리가 융착 접속되고, 또한 상기 융착시킨 접속부의 피복 제거 부분이 슬리브로 덮힌 상기 광섬유의, 상기 슬리브로부터 노출된 상기 피복부의 한쪽 및 다른 쪽을 파지하는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와, 상기 광섬유를 협지하여 대향 배치된 상기 클램프부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고, 탄성 부재 또는 자력 부재에 의해 상기 광섬유를 협지하여 압압력을 부가하는 제5 가압 부재와 모터의 제어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1 캠 기구와, 상기 제1 캠 기구의 변위가, 상기 클램프부의 상기 제5 가압 부재의 압압력에 의한 상기 광섬유의 파지를 제어하는 기구와, 상기 광섬유 또는 슬리브를 협지하여 대향 배치된 적어도 2개 이상의 히터와, 상기 슬리브를 협지하여 대향 배치된 상기 히터 중 적어도 1개 이상에, 상기 슬리브를 협지하여 탄성 부재 또는 자력 부재에 의해 압압력을 부가하는 제2 가압 부재와, 상기 제1 캠 기구가 설치되는 상기 캠샤프트 상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캠샤프트에 평행한 다른 캠샤프트 상에 배치된, 상기 모터의 제어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3 캠 기구와, 상기 제3 캠 기구의 변위가, 상기 히터의 상기 제2 가압 부재의 압압력에 의한 상기 슬리브의 압압을 제어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동일한 상기 모터가, 상기 제1 캠 기구 및 상기 제3 캠 기구에 의해, 상기 클램프부와 상기 히터를 상기 각각의 가압 부재의 힘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일한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상기 제1 캠 기구와 상기 제3 캠 기구로 사용되는 2개 이상의 캠 기구에 있어서, 회전 구동 토크를 필요로 하는 플러스 구동과 토크를 받는 마이너스 구동을 조합시켜 감쇄하는 타이밍으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구동원에 의한 회전 구동력을 저감시키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 캠 기구 및 상기 제3 캠 기구로 사용되는 2개 이상의 캠 기구 중 적어도 일부의 캠 기구에 있어서, 상기 캠샤프트를 협지하여 상기 각각의 작동 부재의 반대측에 보조 가동 부재를 배치하고, 상기 각각의 작동 부재와 상기 보조 가동 부재를 탄성 부재 또는 자력 부재로 연결하고, 상기 작동 부재 대신에 상기 보조 가동 부재를 상기 각 캠 기구에 의해 종동하여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각 캠 기구의 회전 구동 토크를 플러스 구동으로부터 마이너스 구동으로 반전시킴으로써, 상기 2개 이상의 캠 기구에 있어서, 상기 플러스 구동과 상기 마이너스 구동을 조합시켜 감쇄하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 및 상기 히터는, 각각, 한쪽이 가동으로 되는 동시에, 다른 쪽의 측이 고정으로 되어 있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광섬유에 대하여 탄성 부재 또는 자력 부재에 의해 인장력을 부가하도록 가압하는 제1 가압 부재와, 상기 제1 캠 기구 및 상기 제3 캠 기구와 동일한 상기 캠샤프트 상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캠샤프트에 평행한 다른 캠샤프트 상에 배치된, 상기 모터 제어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2 캠 기구와, 상기 제2 캠 기구의 변위가, 상기 클램프부의 상기 제1 가압 부재의 인장력에 의한 상기 광섬유의 인장력을 제어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동일한 상기 모터가, 상기 제1 캠 기구∼제3 캠 기구에 의해, 상기 클램프부, 상기 인장력 기구, 및 상기 히터를 상기 각각의 가압 부재의 힘으로 제어하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또한 상기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 중 적어도 한쪽의 전진 가동 범위 또는 후퇴 가동 범위를 제한하거나 하기 위한 전진 스토퍼, 또는 후퇴 스토퍼로 이루어지는 위치 제한 부재와, 상기 제1 캠 기구∼제3 캠 기구와 동일한 캠샤프트 상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캠샤프트에 평행한 다른 캠샤프트 상에 배치된, 상기 모터 제어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5 캠 기구와, 상기 제5 캠 기구의 변위가 상기 위치 제어부재의 이동을 제어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동일한 상기 모터가, 상기 제1∼제3 및 제5 캠 기구와, 상기 제5 캠 기구의 변위가 상기 위치 제한 부재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5 캠 기구에 의해, 상기 클램프부, 상기 인장력 기구, 상기 히터, 및 상기 위치 제한 부재를 제어하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또한 상기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 중 적어도 한쪽의 전진 가동 범위 또는 후퇴 가동 범위를 제한하거나 하기 위한 상기 제1 가압 부재, 또는 상기 제1 가압 부재와는 반대 방향의 인장력을 부가하는 상기 제3 가압 부재와, 상기 제1 캠 기구∼제3 캠 기구와 동일한 상기 캠샤프트 상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캠샤프트에 평행한 다른 캠샤프트 상에 배치된, 상기 모터 제어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6 캠 기구와, 상기 제6 캠 기구의 변위가, 상기 제1 가압 부재, 또는 상기 제3 가압 부재의 가압력을 강하게 하도록 제어하는 기구, 또는 약하게 하도록 제어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동일한 상기 모터가, 상기 제1∼제3 및 상기 제6 캠 기구에 의해, 상기 클램프부, 상기 인장 기구, 상기 히터,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3 가압 부재를 제어하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를 개폐하는 커버부와, 탄성 부재 또는 자력 부재에 의해 상기 커버부를 닫는 힘을 부가하는 제6 가압 부재와, 상기 제1 캠 기구∼제3 캠 기구와 동일한 상기 캠샤프트 상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캠샤프트에 평행한 다른 캠샤프트 상에 배치된 제4 캠 기구와, 상기 제4 캠 기구의 변위가, 상기 커버부의 상기 제6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의한 개폐하도록 제어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동일한 상기 모터가, 상기 제1∼제4 및 제6 캠 기구에 의해, 상기 클램프부, 상기 인장 기구, 상기 히터, 및 상기 커버부에 상기 각각의 가압 부재를 제어하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 상기 인장력 기구, 상기 히터, 상기 커버부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광섬유 및 상기 슬리브와 평행한 회전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 운동하는 레버형 부재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레버형 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히터를 가압하는 상기 제2 가압 부재, 상기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에서의 상기 광섬유를 파지하는 가압 부재, 및 상기 커버부의 가압 부재에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고, 상기 회전 지점과 상기 코일 스프링을 동축으로 배치하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캠샤프트가, 장치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회전 지점과 장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 상기 히터 및 상기 커버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압 부재에 의한 상기 슬리브에 대한 압압력은, 상기 제1 가압 부재에 의한 상기 광섬유에 대한 인장력보다 크게 설정되고, 상기 제1 가압 부재에 의해 상기 광섬유에 인장력을 부가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인장력을 부가하는 상기 한쪽의 클램프부가, 상기 광섬유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히터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의 후퇴 가동 범위가 확보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히터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전진 가동 범위가 확보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 가압 부재에 의해 상기 히터로 상기 슬리브를 압압함으로써 부가되는 상기 광섬유에 대한 인장력을 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클램프부가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피복부가 제거된 광섬유끼리가 융착 접속되고, 또한 상기 융착시킨 접속부의 피복 제거 부분 및 상기 피복부가 슬리브로 덮힌 상기 광섬유의, 상기 슬리브로부터 노출된 상기 피복부의 한쪽 및 다른 쪽을 파지하는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와, 상기 광섬유를 협지(sandwich)하여 대향 배치된 상기 클램프부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고, 탄성 부재 또는 자력 부재에 의해 상기 광섬유를 협지하여 압압력을 부가하는 제5 가압 부재와 모터의 제어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1 캠 기구와,
상기 제1 캠 기구의 변위가, 상기 클램프부의 상기 제5 가압 부재의 압압력에 의한 상기 광섬유의 파지를 제어하는 기구와, 상기 광섬유 또는 슬리브를 협지하여 대향 배치된 적어도 2개 이상의 히터와, 상기 슬리브를 협지하여 대향 배치된 상기 히터 중 적어도 1개 이상에, 상기 슬리브를 협지하여 탄성 부재 또는 자력 부재에 의해 압압력을 부가하는 제2 가압 부재와, 상기 제1 캠 기구가 설치되는 캠샤프트 상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캠샤프트에 평행한 다른 캠샤프트 상에 배치된, 상기 모터의 제어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3 캠 기구와, 상기 제3 캠 기구의 변위가, 상기 히터의 상기 제2 가압 부재의 압압력에 의한 상기 슬리브의 압압을 제어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동일한 상기 모터가, 상기 제1 캠 기구 및 상기 제3 캠 기구에 의해, 상기 클램프부와 상기 히터의 상기 각각의 가압 부재의 힘을 제어하는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일한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상기 제1 캠 기구와 상기 제3 캠 기구로 사용되는 2개 이상의 캠 기구에 있어서, 회전 구동 토크(torque)를 필요로 하는 플러스 구동과 토크를 받는 마이너스 구동을 조합시켜 감쇄(減殺)하는 타이밍으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구동원에 의한 회전 구동력을 저감시키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 캠 기구 및 상기 제3 캠 기구로 사용되는 2개 이상의 캠 기구 중 적어도 일부의 캠 기구에 있어서, 상기 캠샤프트를 협지하여 상기 각각의 작동 부재의 반대측에 보조 가동 부재를 배치하고, 상기 각각의 작동 부재와 상기 보조 가동 부재를 탄성 부재 또는 자력 부재로 연결하고, 상기 각각의 작동 부재 대신에 상기 보조 가동 부재를 상기 각 캠 기구에 의해 종동(從動)하여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각 캠 기구의 회전 구동 토크를 플러스 구동으로부터 마이너스 구동으로 반전시킴으로써, 상기 2개 이상의 캠 기구에 있어서, 상기 플러스 구동과 상기 마이너스 구동을 조합시켜 감쇄하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 및 상기 히터는, 각각, 한쪽이 가동으로 되는 동시에, 다른 쪽의 측이 고정으로 되어 있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광섬유에 대하여 탄성 부재 또는 자력 부재에 의해 인장력을 부가하도록 가압하는 제1 가압 부재와, 상기 클램프부에 의한 상기 광섬유의 파지 동작 또는 상기 히터에 의한 상기 슬리브의 압압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클램프부의 상기 제1 가압 부재의 인장력에 의한 상기 광섬유의 인장을 제어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동일한 상기 모터가, 상기 제1 캠 기구 및 상기 제3 캠 기구에 의해, 상기 클램프부 또는 상기 히터를 상기 각각의 가압 부재의 힘으로 제어하고, 제어된 상기 클램프부 또는 상기 히터의 동작에 의해, 상기 인장 기구를 제어하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광섬유에 대하여 탄성 부재 또는 자력 부재에 의해 인장력을 부가하도록 가압하는 제1 가압 부재와, 상기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 중 적어도 한쪽의 전진 가동 범위 또는 후퇴 가동 범위를 제한하거나 하기 위한 전진 스토퍼, 또는 후퇴 스토퍼로 이루어지는 위치 제한 부재와, 상기 제1 캠 기구 및 상기 제3 캠 기구와 동일한 캠샤프트 상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캠샤프트에 평행한 다른 캠샤프트 상에 배치된, 상기 모터 제어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2 캠 기구와, 상기 제2 캠 기구의 변위가, 상기 클램프부의 상기 제1 가압 부재의 인장력에 의한 상기 광섬유의 인장을 제어하는 기구와, 상기 제2 캠 기구의 변위가, 상기 위치 제한 부재의 이동을 제어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동일한 상기 모터가, 상기 제1 캠 기구∼제3 캠 기구에 의해, 상기 클램프부, 및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광섬유에 대하여 탄성 부재 또는 자력 부재에 의해 인장력을 부가하도록 가압하는 제1 가압 부재와, 상기 제1 가압 부재와는 반대 방향의 인장력을 부가하도록 가압하는 제3 가압 부재와, 상기 제1 캠 기구 및 상기 제3 캠 기구와 동일한 상기 캠샤프트 상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캠샤프트에 평행한 다른 캠샤프트 상에 배치된, 상기 모터 제어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6 캠 기구와, 상기 제6 캠 기구의 변위가, 상기 제1 가압 부재, 또는 상기 제3 가압 부재의 가압력을 제어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가압 부재 및 상기 제3 가압 부재의 각각은, 상기 클램프부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광섬유에 대하여 탄성 부재 또는 자력 부재에 의해 인장력을 부가하도록 가압하고, 동일한 상기 모터가, 상기 제1, 제3, 및 제6 캠 기구에 의해, 상기 클램프부, 상기 히터, 및 상기 가압력 제어 기구를 제어하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를 개폐하는 커버부와, 탄성 부재 또는 자력 부재에 의해 상기 커버부를 닫는 힘을 부가하는 제6 가압 부재와, 상기 제1 캠 기구 및 상기 제3 캠 기구와 동일한 상기 캠샤프트 상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캠샤프트에 평행한 다른 캠샤프트 상에 배치된 제4 캠 기구와, 상기 제4 캠 기구의 변위가, 상기 커버부를 상기 제6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개폐하도록 제어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동일한 상기 모터가, 상기 제1 캠 기구∼제4 캠 기구에 의해, 상기 클램프부, 상기 히터, 및 상기 커버부를, 상기 각각의 가압 부재의 힘으로 제어하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 상기 히터, 상기 커버부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광섬유 및 상기 슬리브와 평행한 회전 지점(支点)을 중심으로 회동(回動) 운동하는 레버형 부재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레버형 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히터를 가압하는 상기 제2 가압 부재, 상기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에서의 상기 광섬유를 파지하는 가압 부재, 및 상기 커버부의 가압 부재에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고, 상기 회전 지점과 상기 코일 스프링을 동축(同軸)으로 배치하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캠샤프트가, 장치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회전 지점과 장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 상기 히터 및 상기 커버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압 부재에 의한 상기 슬리브에 대한 압압력은, 상기 제1 가압 부재에 의한 상기 광섬유에 대한 인장력보다 크게 설정되고, 상기 제1 가압 부재에 의해 상기 광섬유에 인장력을 부가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인장력을 부가하는 상기 한쪽의 클램프부가, 상기 광섬유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히터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의 후퇴 가동 범위가 확보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히터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전진 가동 범위가 확보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 가압 부재에 의해 상기 히터로 상기 슬리브를 압압함으로써 부가되는 상기 광섬유에 대한 인장력을 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클램프부가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에 의하면, 슬리브를 히터로 협지하여 가열시킬 때, 광섬유에 부가되는 과잉의 장력을 해방함으로써, 광섬유의 파단이나 장기 신뢰성의 저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장치가 대형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신뢰성이 높고, 단시간에 슬리브를 가열 수축시킬 수 있는 동시에, 조작성이 우수한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를 구비한 융착 접속기의 일례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를 구비한 융착 접속기의 일례를 나타낸 외관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의 내부 구조의 일례를 설명하는 파단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를 사용하여 가열 수축되는, 광섬유 접속부 보강용의 슬리브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모식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14는, (a)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의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b) 퇴피 가능한 후퇴 스토퍼를 가지는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c) 퇴피 가능한 전진 스토퍼를 가지는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의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의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의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의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9는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에 있어서의 일련의 동작 타이밍을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20은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에 있어서의 일련의 동작 타이밍을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의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의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의 일례를 설명하는 외관 정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며, 도 23 중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며, 도 23 중의 B―B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며, 도 23 중의 C―C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며, 도 23 중의 D―D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며, 도 23 중의 E―E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의 주요부를 설명하는 부분 파단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의 주요부를 설명하는 부분 파단도면이다.
도 31은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를 사용하여, 광섬유 접속부의 보강용 슬리브를 가열하면서 가압했을 때의, 압압력과 수축 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2는 종래의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를 사용하여, 광섬유 접속부의 보강용 슬리브를 가열하면서 가압했을 때의, 일련의 동작을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3은 종래의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를 사용하여, 광섬유 접속부의 보강용 슬리브를 가열하면서 가압했을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며, (a)는 광섬유의 이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b)는 히터로 슬리브를 협지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35는 전도의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36은 전번의 도면에 계속되는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37은 전번의 도면에 계속되는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38은 전번의 도면에 계속되는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39는 전번의 도면에 계속되는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41은 도 34의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42는 전번의 도면에 계속되는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43은 전번의 도면에 계속되는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44는 전번의 도면에 계속되는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46은 전도의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들어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광섬유의 융착 접속기>
도 1에, 본 발명에 관한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1)를 구비하는 융착 접속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융착 접속기(A)는, 광섬유의 융착 접속을 행하는 융착 접속부(110)와, 융착 접속 후의 광섬유에 피복시킨 보강용의 슬리브를 가열 수축시키기 위한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보강 가열 장치)(1)(도 2도 참조)를 구비한다. 또한, 이 융착 접속기(A)는, 상기한 보강 가열 장치(1) 및 융착 접속부(110)에 더하여, 작업자를 향해 각종 정보 등을 표시하는 표시기(120), 조건 설정 등에 사용하는 조작부(130) 등을 구비한다. 또한, 도시한 예의 융착 접속기(A)는, 대략 입방체형의 본체부(101)에, 보강 가열 장치(1)나 융착 접속부(110)에 더하여, 이들을 총합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이나 제어부 등의 내장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101)의 하부에 복수(도시한 예에서는 4개소)의 다리부(102)(일부, 도시하지 않음)를 가진다. 표시기(120)에는, 액정, 유기 EL, 전광식 등, 각종 표시 방식을 채용 가능하다.
또한, 융착 접속기(A)는, 본체부(101)의 앞쪽에 가동식의 패널부(103)를 구비하고, 패널부(103) 상에 표시기(120)나 조작부(130)가 배치되어 있다. 이 패널부(103)는, 본체부(101)의 상부에 설치된 수평 방향의 회동축(101a)을 통하여 본체부(101)에 연결되어 있고, 상세한 도시하지 않지만, 패널부(103)를 이동시켜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표시기(120)를 향할 수 있다. 작업자는, 표시기(120)가 보기 쉬운 방향으로 패널부(103)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의 사시도 및 도 3의 측면도에 나타낸 예에서는, 보강 가열 장치(1)는, 융착 접속기(A)에 있어서 뒤쪽의 위치에 배치되고, 융착 접속부(110)가 보강 가열 장치(1)보다 앞쪽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전후좌우란, 상기한 보강 가열 장치(1)를 구비하는 융착 접속기(A)를 작업자가 사용하는 데 있어서, 상기 작업자가 대면하는 측(도 3 중에서의 좌측)을 앞쪽으로 하고, 작업자가 볼 때 융착 접속기(A)의 뒤쪽(도 3 중에서의 우측)을 뒤쪽으로 하고, 작업자의 좌우를 좌우로 한다.
<광섬유의 접속부 보강용의 슬리브>
도 5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보강 가열 장치(1)에 있어서 가열 수축되어 광섬유의 접속부를 보강하는 슬리브(12)는, 광섬유(11)의 심선끼리를 융착 접속한 접속부(11A)의 위치에 있어서, 항장력체(13A, 13b)와 광섬유(11)[접속부(11A)]를 피복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슬리브(12)는, 일반적으로, 광섬유 보강 부재, 열수축 튜브, 열수축 슬리브, 보강 슬리브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고 있지만, 모두 공통의 기능을 가진 것이다. 그리고, 도 5의 (a), (b)에 있어서는, 편의 상, 어느 슬리브에도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5의 (a)에 나타낸 예와 같이, 슬리브(12)는, 단심의 광섬유의 접속부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열수축 튜브로 이루어지는 외측 튜브(12a) 중에, 원통형의 핫멜트 튜브로 이루어지고 광섬유(11)의 접속부(11A)를 피복한 상태의 내측 튜브(12b)와 SUS 등의 원기둥형 경심으로 이루어지는 항장력체(13A)가 배치된 상태로 된다.
또한,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리브(12)를, 다심의 광섬유(다심 테이프)의 접속부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열수축 튜브로 이루어지는 외측 튜브(12a) 중에, 광섬유(11)의 접속부(11A)를 피복한 상태의 타원통형의 핫멜트 튜브로 이루어지는 내측 튜브(12b)와 유리 등의 반원 기둥형 경심으로 이루어지는 항장력체(13B)가 배치된 상태로 된다.
여기서,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심의 광섬유의 접속부의 보강에 있어서, 슬리브(12) 중에 삽통시키는 항장력체(13B)로서 유리 경심이 사용되는 이유로서는, 다음과 같은 이유를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융착 접속기에 있어서는, 광섬유의 접속 후에 상기 광섬유의 인장 시험을 행하고, 신뢰성(예를 들면, 유리의 상흔의 유무)을 확인하고 있다. 단심의 광섬유에서는, 이 인장 시험에 의해 신뢰성이 확인되므로, 신축이 크고, 또한 저렴한 SUS를 항장력체에 사용한 경우라도 문제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다심 테이프의 광섬유에서는, 이들 다심의 광섬유 중 가장 짧은 1개밖에 장력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신뢰성이 확보된 것이라고 볼 수 없다. 그러므로, 다심의 광섬유의 접속부의 보강에 있어서는, 다소 고가일뿐, 항장력체로서 신축이 광섬유와 마찬가지로 작은 유리 재료를 사용한다.
그리고, 이하에 있어서는,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외측 튜브와 내측 튜브를 구별하지 않고, 단지 슬리브(12)라고 하여 설명하고, 또한 도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한다.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 [제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에 대하여, 주로 도 5∼도 17의 모식도를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도 5∼도 17의 모식도에 있어서 나타나 있지 않은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 관한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도 4의 파단도 등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세를 후술하는 제2 실시형태의 보강 가열 장치와 공통의 구성에 대해서는, 적절히, 도 4 등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고, 또한 각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구성의 배치 위치 등이 상이하게 되어 있는 경우라도, 기능이 같은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참조하는 각각의 도면은, 보강 가열 장치를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것이므로, 도면 중에서의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의 위치 관계가, 각각의 도면 사이에서 상이한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의 보강 가열 장치(1)는, 도 6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일부, 도 4도 참조), 피복부가 제거된 광섬유(11)끼리가 융착 접속되고, 또한 상기 융착시킨 접속부(11A)의 피복 제거 부분 및 피복부가 슬리브(12)로 덮힌 광섬유(11)의, 슬리브(12)로부터 노출된 피복부의 한쪽 및 다른 쪽을 파지하는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2A, 2B]와, 광섬유(11) 또는 슬리브(12)를 협지하여 대향 배치된 2개의 히터(3)[3A, 3B]와, 클램프부(2) 중 적어도 한편, 도시한 예에서는 클램프부(2A)를, 광섬유(11)에 대하여 탄성 부재 또는 자력 부재에 의해 인장력을 부가하도록 가압하는 제1 가압 부재(41)와, 슬리브(12)를 협지하여 대향 배치된 한 쌍의 히터(3A, 3B) 중 적어도 1개 이상에, 구동원인 모터(6)에 의한 제어에 따라, 슬리브(12)를 협지하여 탄성 부재 또는 자력 부재에 의해 압압력을 부가하는 제2 가압 부재(4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보강 가열 장치(1)는, 제2 가압 부재(42)에 의한 슬리브(12)에 대한 압압력이, 제1 가압 부재(41)에 의한 광섬유(11)의 인장력보다 크게 설정되고, 제1 가압 부재(41)에 의해 광섬유(11)에 인장력을 부가한 상태에 있어서, 인장력을 부가하는 한쪽의 클램프부(2A)가, 광섬유(1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히터(3)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의 후퇴 가동 범위(K)가 확보되어 있는 동시에, 히터(3) 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전진 가동 범위(Z)가 확보되어 있다.
그리고, 보강 가열 장치(1)에 있어서는, 제2 가압 부재(42)에 의해 히터(3)로 슬리브(12)를 압압함으로써 부가되는 광섬유(11)에 대한 인장력을 감쇄하는 방향으로 클램프부(2A)가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보강 가열 장치(1)에는, 이 보강 가열 장치에 광섬유(11)를 세팅할 때 장치 내부의 개폐를 행하는 커버부(1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구성은, 하우징(5)에 장착되거나, 또는 하우징(5)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슬리브(12)는, 광섬유(11)의 피복 제거 부분 및 피복부를 덮고 있어도 되고, 피복 제거 부분만을 덮고 있어도 된다.
클램프부(2)[2A, 2B]는, 도 6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섬유(11)의 한쪽을 파지하는 클램프부(2A)와, 광섬유(11)의 다른 쪽을 파지하는 클램프부(2B)로 이루어지는,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이다. 클램프부(2)는, 예를 들면, 토션 코일 스프링이나 더블 토션 스프링 등의 가압 부재[예를 들면, 도 34의 가압 부재(2a)]에 의해, 광섬유(11)를 끼워넣어 파지(클램프)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도시한 예와 같이, 광섬유(11)의 길이 방향에서 히터(3)의 양측에 배치된다.
또한, 도 6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프부(2)는, 좌우 한 쌍으로 배치된 한쪽의 클램프부(2A) 중 한쪽이 개폐 가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다른 쪽의 클램프부(2B)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클램프부(2)는, 한쪽의 클램프부(2A)가, 광섬유(11)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되고, 도 6 등에 나타낸 예에서는, 영구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제1 가압 부재(41)에 의해, 광섬유(11)에 인장력을 부가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클램프부(2)는, 가열 수축 전에 광섬유(11)에 장력이 가해진 경우에, 슬리브(12)의 위치와, 광섬유(11)의 접속부(11A)의 위치가 어긋나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고, 통상, 히터(3)의 양측의 2개소(箇所)에 배치된다.
또한,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의 각각에는, 도 6 등에 있어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그 표면에, 광섬유(11)를 직접 파지하기 위한 파지용 고무가 설치되어 있다.
(도 29 참조).
히터(3)[3A, 3B]는, 슬리브(12)를 압압하여 가열 수축시키는 것이며, 일반적으로, 가열 히터나 발열부, 발열원, 발열체, 열원, 가열부, 가열원, 가열체 등의 각 명칭으로 한다.
히터(3)는, 광섬유(11) 또는 슬리브(12)를 협지하여 대향하도록, 2개의 히터(3A, 3B)로서 배치되고, 한쪽의 히터(3A)가 개폐 가동으로 되는 동시에, 다른 쪽의 히터(3B)가 고정으로 됨으로써, 슬리브(12)를 끼워넣어 압압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개폐 가동으로 된 한쪽의 히터(3A)는, 도 4 중에 나타낸 바와 같은 더블 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제2 가압 부재(42)에 의해, 슬리브(12)를 협지하여 압압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6 등에 나타낸 예와 같이, 2개의 히터(3A, 3B)는, 각각, 히터 장착대(31A, 31b)의 표면에 장착되어 있다.
히터(3)는, 상세한 도시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복수의 히터 회로 패턴을 가지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히터(3)는, 예를 들면, 금속판에 세라믹 히터를 접착한 것 외에, 금속판에 폴리이미드 필름 히터가 접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전체면의 절곡 가공이 가능하므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평판형의 금속판에, 폴리이미드 필름 히터의 회로 패턴을 2 또는 3 이상으로 매립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쪽의 히터(3A)만을 구동하여 슬리브(12)를 협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에는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2개의 히터의 양쪽을 구동함으로써, 또한 강력한 압압력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2개의 히터의 양쪽을 구동한 경우에는, 기구적으로 복잡하게 되어 비용 상승으로 될 염려도 있으므로, 결코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같은, 한쪽의 히터(3A)만을 구동하는 구성이라도 슬리브(12)에 대하여 충분한 압압력을 얻을 수 있고, 또한 다음과 같은 장점도 있으므로,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한쪽의 히터(3A)만을 개폐 가동으로 한 경우에는, 다른 쪽의 히터(3B)용의 구동 기구가 불필요하므로, 이 위치에 있어서, 상세를 후술하는 히터 장착대나, 슬리브(12)를 가압하기 위한 더블 토션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가 불필요해져, 부품수의 삭감·비용 다운이 가능해진다.
또한, 히터(3)로 슬리브(12)를 가압했을 때의, 광섬유(11)의 중심선(S)으로부터의 이동량을 저감할 수 있다. 이것은, 다른 쪽의 히터(3B)가 고정이며, 양측의 히터를 개폐 가동으로 한 경우에 비교하여, 탄성 부재의 가압력을 균형시킬 필요가 없고, 특히, 슬리브(12)를 고정측인 다른 쪽의 히터(3B)에 대어 세팅하면, 광섬유(11)의 이동량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6 중에 나타낸 바와 같은 광섬유(11) 및 슬리브(12)를, 예를 들면, 슬리브(12)가 고정측의 히터(3B)에 접하는 정도로 대고, 이 상태에서 광섬유(11)를 클램프부(2)로 파지하면, 히터(3)에 의한 압압 시의 광섬유(11)의 이동량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 때, 슬리브(12)의 열수축이 시작되면, 광섬유(11) 및 슬리브(12)의 위치는 서서히 고정측의 히터(3B) 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슬리브(12)가 완전히 열 수축되면, 광섬유(11)의 위치는 중심선(S)보다 다른 쪽의 히터(3B) 측으로 어긋나는 것은 회피할 수 없다. 그러나, 이 경우의 광섬유(11)의 이동량은, 대략, 슬리브(12)의 직경이 열수축으로 감소한 분의, 대략 절반 정도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예시하는 보강 가열 장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한 한 쌍의 히터(3) 및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를, 동일한 구동원인 모터(6)에 의해, 동일(동축)의 캠샤프트(7)를 사용하여, 한쪽의 히터(3A)의 구동에 의한 개폐와, 한쪽의 클램프부(2A)의 구동에 의한 개폐를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의 개폐에 의한 광섬유(11)의 파지 및 분리나, 광섬유(11)에 부가하는 인장력의 제어, 한 쌍의 히터(3)의 압압에 의한 슬리브(12)의 가열 수축이라는 일련의 제어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샤프트(7)에 구비되는 제1 캠 기구(71)에 의해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의 개폐 동작의 구동 제어를 행하는 동시에, 제3 캠 기구(73)에 의해 개폐 가동으로 된 한쪽의 히터(3A)의 구동 제어를 행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캠샤프트(7)에 구비된 제2 캠 기구(72)가, 광섬유(11)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된 한쪽의 클램프부(2A)의, 후퇴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후퇴 스토퍼로서 기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캠 기구는, 단지 「캠」또는 「캠 부재」라고 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한쪽의 클램프부(2A)는, 예를 들면, 스프링이나 고무, 스펀지 등의 탄성 부재, 또는 영구 자석이나 전자석 등의 자력 부재로 이루어지는 제1 가압 부재(41)에 의해, 광섬유(11)의 길이 방향에서 후퇴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고, 광섬유(11)에 인장력을 부가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섬유(11)의 이완을 제거하는 후퇴 가동 범위(K)를 가지는 동시에, 한쪽의 히터(3A)에 압압됨으로써 광섬유(11)에 과대한 장력이 가해진 경우라도, 그 장력을 흡수할 수 있는 전진 가동 범위(Z)를 가진다.
또한, 보강 가열 장치(1)에 있어서는, 상기한 모터(6)나 각 캠 기구로부터 직접 전해지는 구동력에 의해,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나 한쪽의 히터(3A)가 파지 개폐 동작이나 압압 동작을 행하지 않고, 예를 들면, 스프링이나 고무, 스펀지 등의 탄성 부재, 또는 영구 자석이나 전자석 등의 자력 부재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가압 부재에 의해, 광섬유(11)나 슬리브(12)를 압압한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는, 한쪽의 히터(3A)를 가압하는 제2 가압 부재(42)로서 더블 토션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고, 또한 도 29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는,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의 개폐 가동측을 가압하는 제5 가압 부재(45)로서 토션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다.
(보강 가열 장치의 동작의 일례)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보강 가열 장치(1)는, 한쪽의 히터(3A)를 가압하는 제2 가압 부재(42)의 가압력이, 이 제2 가압 부재(42) 및 히터(3A)에 의해 슬리브(12)를 압압했을 때, 제1 가압 부재(41)에 의해 인장된 광섬유(11)의 중심축선(S)(도 12 등 참조)으로부터, 상기 광섬유(11)를 변위시키도록 한, 큰 압압력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1 가압 부재(41)에 의해 광섬유(11)에 인장력을 부가한 상태에 있어서, 인장력을 부가하는 한쪽의 클램프부(2A)가, 광섬유(1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히터(3)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의 후퇴 가동 범위(K)가 확보되어 있는 동시에, 히터(3) 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전진 가동 범위(Z)가 확보되어 있다. 그리고, 제2 가압 부재(42)에 의해 히터(3)로 슬리브(12)를 압압함으로써 부가되는 광섬유(11)에 대한 인장력을 감쇄하는 방향으로 클램프부(2A)가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보강 가열 장치(1)를 사용하여, 광섬유(11)의 접속부(11A)를 피복한 상태의 슬리브(12)를 가열 수축시키는 경우의 수순, 및 인장력을 감쇄·해방할 수 있는 작용에 대하여, 주로, 도 4, 및 도 6∼도 11을 참조하고, 이하에 설명한다.
도 6∼도 11은, 보강 가열 장치(1)를 위쪽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그리고, 도 6∼도 11에 있어서는,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도 4에 나타낸 파단도에 대하여, 일부의 구성을 생략하여 기재하고 있고,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리브(12) 중에 광섬유(11)가 삽통되고, 광섬유(11)의 아래쪽(도면 중에 있어서 안길이 방향)으로 캠샤프트(7)가 배치되어 있다. 도 6 중의 대략 중앙에는, 슬리브(12)를 압압하기 위한 2개의 히터(3A, 3B)가 배치되어 있고, 뒤쪽(도 6 중의 위쪽)이 개폐 가동측의 히터(3A)로서 구동되고, 앞쪽(도 6 중의 아래쪽)이 고정측의 히터(3B)이다.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는, 뒤쪽(도 6 중의 위쪽)이 개폐 가동측의 클램프부로서 구동되고, 앞쪽(도 6 중의 아래쪽)이 고정측의 클램프부이다. 한쪽의 클램프부(2A)는, 예를 들면, 베어링 등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기구(21)에 의해, 광섬유(11)의 길이 방향에서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 있어서는, 클램프부(2A)의 바로 앞쪽의 클램프부에 슬라이딩 기구(21)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전후의 측이 연동하면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한 예에 있어서는, 한쪽의 클램프부(2A)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기구(21)의 근방에, 합계 4개의 자석(자력 부재)이 배치됨으로써, 제1 가압 부재(41)가 형성되어 있고, 도면 중의 좌측 방향, 즉 광섬유(11)에 인장력을 부가할 수 있는 후퇴 방향으로, 클램프부(2A)는 인장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인장력은,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십gf 정도의 약한 힘이다. 한편,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의 개폐 가동측과 한쪽의 히터(3A)는, 각각, 제5 가압 부재(45)(도 29 참조)와 제2 가압 부재(42)에 의해 수백gf 정도의 강한 힘이 가해져 있지만, 도 6에 있어서는, 캠샤프트(7)에 구비되는 제1 캠 기구(71)와 제3 캠 기구(73)에 의해, 각각, 가압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캠 기구(71)나 제3 캠 기구(73) 등의, 각각의 캠 기구의 형상은 상이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샤프트(7)의 회전이 개시되면, 먼저,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의 개폐 가동측의 클램프부가 닫히고, 제1 캠 기구(71)와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가 비접촉의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제1 캠 기구(71)와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의 개폐 가동측이 비접촉의 상태로 되므로,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는, 제5 가압 부재(45)에 의해 수백gf 정도의 압압으로 광섬유(11)를 파지한다.
다음에,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샤프트(7)가 더 회전하면, 한쪽의 클램프부(2A) 가까이에 배치된 제2 캠 기구(72)가, 한쪽의 클램프부(2A)의 고정측 및 개폐 가동측의 어느 것과도 비접촉의 상태로 되어, 한쪽의 클램프부(2A) 전체가 후퇴 방향(도면 중의 좌측)으로 이동 가능해지므로, 제1 가압 부재(41)에 의한 인장력이 광섬유(11)에 가해진다. 이 때, 광섬유(11)의 이완, 즉 슬리브(12)의 위치의 연직 방향으로의 하강에 대해서는, 한쪽의 클램프부(2A)가 후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한쪽의 클램프부(2A)에는, 전진 가동 범위(Z)에 더하여 후퇴 가동 범위(K)가 발생하여 확보된다. 이로써, 한쪽의 클램프부(2A)는 광섬유(1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전후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된다. 따라서, 광섬유(11)에 이완이 없는 상태에서 인장력을 일정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샤프트(7)가 더 회전하면, 제3 캠 기구(73)와 히터 장착대(31A)와의 사이가 비접촉으로 되고, 히터 장착대(31A, 31b)의 표면에 배치된 2개의 히터(3A, 3B)에 의해 슬리브(12)가 협지되고, 제2 가압 부재(42)에 의해 수백gf의 압압력으로 가압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캠샤프트(7)는 회전을 정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 있어서, 2개의 히터(3A, 3B)에 의해 슬리브(12)의 가열 수축 동작이 시작된다. 이윽고,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리브(12)의 수축이 완료된다. 이 때, 슬리브(12)가 수축하는 동시에, 슬리브(12)와 광섬유(11)는, 다른 쪽의 히터(3B) 측의 방향으로 수백gf의 힘으로 가압되면서 이동하지만, 한쪽의 클램프부(2A)가 전진 방향(도면 중의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광섬유(11)에 부가되는 인장력을 수십gf 정도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압압 상태로 슬리브(12)를 가열하는 시간은, 슬리브(12)의 종류마다 상이하다. 그러므로, 작업자는, 미리, 도시하지 않은 가열 제어 장치에 슬리브의 종류를 지정하여 둔다. 가열 제어 장치는, 지정되어 있는 슬리브 종류의 정보에 기초하여, 외기 온도나 배터리 전압에 의한 가열 시간의 연장/단축의 제어를 행함으로써, 최적인 온도(통상은 200∼240℃) 및 가열 시간에 슬리브(12)의 수축을 행한다. 이것은, 가열 제어의 전형적인 일례이다. 2개의 히터(3)에 의한 가열을 최적 시간에 행한 후, 히터(3)는 가열을 정지한다.
그리고,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샤프트(7)가 더 회전함으로써,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의 개폐 가동측이 제1 캠 기구(71)에 의해 열리고, 광섬유(11)가 파지 상태로부터 해방된다. 또한, 제3 캠 기구(73)에 의해, 한쪽의 히터(3A)가 장착된 히터 장착대(31A)가 가압하여 열림으로써, 슬리브(12)가 2개의 히터(3A, 3B)로부터 이격되어, 압압으로부터 해방된 상태로 된다.
그리고, 보강 가열 장치에 의한 슬리브의 가열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냉각 시간을 단축하는 것도 중요하다. 슬리브(12)와 히터(3)가 이격되는 것에 의해, 히터(3)의 여열(余熱)의 슬리브(12)에 대한 열전도가 차단되고, 또한 보강 가열 장치(1)의 내부에 차가운 냉기가 흘러드는 것에 의해, 가열되어 고온으로 된 슬리브(12)를 급속히 냉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소형의 팬 등을 구비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냉기를 효율적으로 도입함으로써, 냉각 시간의 새로운 단축도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가동측인 한쪽의 클램프부(2A)의 후퇴 가동 범위(K)를 확보함으로써, 광섬유(11)가 이완되어 세팅(파지)된 경우라도, 광섬유(11)에 인장력이 부가하여 이완을 없앨 수 있다. 이로써, 예를 들면, 슬리브(12)가 연직 아래쪽으로 어긋나거나 하지 않고, 슬리브(12)를 히터(3A)의 대략 중앙 부근에서 협지하여 효율적으로 가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한쪽의 클램프부(2A)의 전진 가동 범위(Z)를 확보함으로써, 광섬유(11)가 히터(3)보다 큰 압압을 받았다고 해도, 한쪽의 클램프부(2A)가 전진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과대한 인장력을 가하지 않고, 광섬유(11)를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2개의 히터(3A, 3B)로서는, 세라믹 히터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히터 회로가 매립된 것이라도 되고, 또는 필름 히터라도 되고, 또한 이들 히터 회로가 접착된 금속의 열전도판을 사용한 구성이라도 된다.
또한, 2개의 히터(3A, 3B)의 양쪽에 복수의 히터 회로가 설치된 구성이라도 되고, 또는 한쪽에만 설치된 구성이라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쪽의 히터(3A)만이 구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2개의 히터(3A, 3B)의 양쪽이 구동되는 구성이라도 된다.
또한, 히터 구동 방법이라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슬라이딩식의 구동부라도 되고, 도 4 등에 나타낸 예와 같은, 히터 부분으로부터 먼 위치에 지점을 배치한 회동(回動) 슬라이딩 방식이라도 된다.
또한, 한쪽의 히터(3A)를 가압하는 제2 가압 부재(42)로서는, 자석(자력 부재)에 의한 반발력 등을 이용한 것이라도 되고, 도 4 등에 나타낸 예와 같은 토션 코일 스프링 등을 사용한 것이라도 된다. 또한, 제2 가압 부재(42)로서 전자석을 사용한 경우에는, 그 전자(電磁) 코일에 인가하는 전류가 구동원으로 되고, 이 인가 전류에 따라 전자석에 의한 가압력을 제어하여, 한쪽의 히터(3A)를 가압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슬라이딩 가동 클램프부의 슬라이딩부로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도 6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의 클램프부(2A)만이 슬라이딩 가동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의 양쪽이 슬라이딩 가동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슬라이딩 가동 클램프부의 슬라이딩 기구로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6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고가의 베어링을 사용한 슬라이딩식 구동부라도 되고, 도 4 등에 나타낸 예와 같은, 클램프부로부터 먼 위치에 지점을 배치한 회동 슬라이딩 방식이라도 된다.
또한, 슬라이딩 가동 클램프부에, 광섬유(11)에 인장력이 부가하기 위한 힘을 가압하는 제1 가압 부재(41)로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도 6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자석(자력 부재)을 사용한 것이라도 되고, 압축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를 사용한 것이라도 된다.
또한,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의 개폐 가동부로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앞쪽 또는 뒤쪽의 한쪽만이 개폐되어도 되고, 전후 양측이 각각 개폐 가동으로 되어도 된다.
또한,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의 개폐 가동측에 광섬유(11)를 파지하는 힘을 가압하는 제5 가압 부재(45)(도 29 참조)로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자석(자력 부재)에 의한 반발력 등을 사용한 것이라도 되고, 도 4 등에 나타낸 예와 같은 토션 코일 스프링 등을 사용한 것이라도 된다.
또한, 각각의 캠 기구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캠샤프트(7) 상에 동축으로 복수의 캠 기구가 설치된 구성으로 해도 되거나, 또는 복수의 캠샤프트를 사용한 복수 축의 구성이라도 상관없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캠 기구 대신에, 예를 들면, 나사 기구(마이크로미터 포함함)에 의한 전후 구동 기구나, 전자석의 ON/OFF에 의한 자력 구동 기구, 레버와 솔레노이드에 의한 구동 기구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강 가열 장치의 동작의 다른 예)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일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예와 같이, 광섬유(11)의 이완에 의한 슬리브(12)의 연직 아래쪽으로의 하강을 방지하기 위해서, 2개의 히터 중 적어도 한쪽의 형상을, 도시한 예와 같은 단면(斷面) L자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한 예에서는, 2개의 히터(93A, 93B) 중, 고정측의 히터(93B)가 L자형으로 되어 있고, 도 12는 직경의 큰 슬리브(12)를 배치한 경우, 도 13은 직경이 작은 슬리브(12)를 배치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 경우, 히터가 대형화되므로 열용량이 증가하고, 승온 속도가 지연되거나, 또는 도 1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직경이 작은 슬리브(12)를 배치한 경우에는, 슬리브(12)의 위치가 내려가, 히터 중앙에서 가열할 수 없다는 디메리트도 있다. 그러나, 도 12 및 도 13에 예시하는 히터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도 4 및 도 6∼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보강 가열 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제1 캠 기구(71)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해져, 구조의 간략화를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슬리브(12)의 하강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로서는, 상기와 같은 히터를 L자형 형상으로 하는 것뿐아니라, 예를 들면, L자형의 금속판을 설치한 구성이라도 된다. 이와 같이, L자형으로 구성하는 것은 히터의 일부일 필요는 없고, 히터와는 독립된 부재라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광섬유(11)의 하강 방지 구조를 채용한 경우의 수순, 및 히터에 의한 강한 압압력을 감쇄·해방할 수 있는 작용에 대하여, 주로, 도 14∼도 17의 모식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도 4도 참조). 도 14∼도 17에 나타낸 보강 가열 장치는, 상기한 도 6∼도 11에 나타낸 보강 가열 장치에 대하여, 한쪽의 클램프부(2A)가 후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캠 기구[제2 캠 기구(72)]가 존재하지 않는 점과 이 캠 기구가 없기 때문에,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한쪽의 클램프부(2A)가 후퇴 방향의 스토퍼(51)에 접촉하고, 후퇴 가동 범위가 없는 점에서 상이한 것이다. 또한, 도시한 예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 상, 히터의 L자 형상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도 12 및 도 13을 참조).
먼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부가 슬리브(12)로 덮힌 광섬유(11)를,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 사이에 삽통시킨다.
이어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샤프트(7)의 회전이 개시되면,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의 개폐 가동측의 클램프부가 닫히고, 제1 캠 기구(71)와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가 비접촉의 상태로 되고, 이들 클램프부(2A, 2B)는, 수백gf 정도의 압압으로 광섬유(11)를 파지한다. 이 때, 상세한 도시는 하지 않지만, 슬리브(12)는 L자형으로 구성된 고정측의 히터(93B)에 의해 지지하고, 히터 표면에 있어서 대략 가열에 적정한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한편, 이 상태에 있어서는, 광섬유(11)에는 이완이 남아 있다.
이어서,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또한 캠샤프트(7)가 회전하면, 슬리브(12)는, 가열 전에 개폐 가동측의 히터(93A)에 의해 압압되고, 고정측 히터(93B) 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광섬유(11)도 이동한다. 또는, 히터(93A, 93B)에 의한 가열 개시 후에 슬리브(12)가 변형되고, 이에 따라 광섬유(11)도 이동한다.
상기 동작에 의해, 광섬유(11)의 이완이 제거되고, 광섬유(11)가 인장되는 형태로 한쪽의 클램프부(2A)가 전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그러면, 한쪽의 클램프부(2A)에는, 도면 중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진 가동 범위(Z)에 더하여 후퇴 가동 범위(K)가 확보된다. 이로써, 한쪽의 클램프부(2A)는, 광섬유(1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전후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되므로, 광섬유(11)에 이완이 없는 상태에서, 인장력을 일정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후의 수순에 대해서는, 상기한 도 6∼도 11을 사용한 설명의 경우 마찬가지이며, 히터(93A, 93B)의 가열에 의해 슬리브(12)의 수축 동작이 행해진다.
그리고,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리브(12)의 수축이 완료하고, 광섬유(11)는, 슬리브(12)의 수축과 함께, 고정측의 히터(93B) 측에 수백gf의 힘으로 가압되어 이동하지만, 한쪽의 클램프부(2A)가 전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광섬유(11)에 부가되는 인장력을 수십gf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 중 개폐 가동측의 클램프와 개폐 가동측인 히터(93A)의 구동, 해방 수순이나, 가열 후의 냉각 수순 등에 대해서는, 상기와 마찬가지이므로, 생략한다.
(그 외의 변형예)
이하, 본 실시형태의 그 외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도 4∼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술한 도 6 등에 나타내는 구성에 있어서, 2개의 히터(3A, 3B)에 의한 슬리브(12)에 대한 압압력은, 광섬유(11)를 융착한 접속부(11A)의 파단 확인 시험의 장력을 상회하는 압압력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광섬유의 융착 접속기 부의 파단 확인 시험의 강도는, 통상, 대략 200gf이며, 한편, 제2 가압 부재의 압압력은 대략 500gf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인장력을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슬리브(12)에 대한 압압력을, 광섬유(11)의 접속부(11A)의 파단 장력을 상회하는 압압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슬리브(12)를 충분한 힘으로 압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광섬유를 융착한 접속부의 파단 확인 시험이란, 광섬유 접속부의 파단 장력을 측정하는 방법이며, 통상, 프루프(proof) 시험력으로서 표현되고, 광섬유의 융착 접속기의 접속 성능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지표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프루프 시험력의 범위가 넓은 융착 접속기에 있어서도, 장력은 200∼250gf의 범위이다(인터넷 홈 페이지 http://www.fujikura.co.jp/products/tele/o_f_splicers/td70005.html, 또는 http://www.fujikura.co.jp/products/data/FSM―100―J. pdf, 등을 참조).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2개의 히터(3A, 3B)가, 슬리브(12)를 협지하여 대향하는 압압면이 대략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슬리브(12) 중에 삽통된 항장력체(13)의 중량을 이용하여 항상 항장력체(13)를 대략 하방향에 배치하는 것이, 슬리브(12)의 방향을, 예를 들면, 도 5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자세로 일정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으로부터,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대략 수직이란 수평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것을 말한다. 상기 대략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압압면은, 예를 들면, 수평면에 대하여 90°±10°의 각도로 교차하는 면이라도 된다. 상기 압압면은, 예를 들면, 수평면에 대하여 90°±30°의 각도로 교차하는 면으로 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클램프부의 후퇴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후퇴 스토퍼를 설치하고, 이 후퇴 스토퍼를 퇴피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후퇴 스토퍼로서는, 도 14∼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은, 후퇴 스토퍼(51)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4의 (a), (b)에 나타낸 히터 장착대(31B)는, 클램프부(2A)(고정측)의 후면에 대면하는 후벽부(31Bb)를 가진다. 후벽부(31Bb)는, 히터 장착대(31B)의 다른 부분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후퇴 스토퍼(51)는 후벽부(31Bb)의 전면(前面)에 설치되어 있다.
도 1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한쪽의 클램프부(2A)는, 광섬유(11)를 파지하기 전에, 제1 가압 부재(41)에 의해 히터(3)로부터 이격되어 후퇴 스토퍼(51)와 맞닿고, 전진 방향으로만 가동 범위를 확보한다.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로 광섬유(11)를 파지하고, 광섬유(11)에는 인장력이 부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광섬유(11)를 파지한 직후, 또는 히터(3)의 슬리브(12)에 대한 압압 구동 개시 시 또는 압압 구동 개시 전후에, 후퇴 스토퍼(51)를 퇴피시킨다. 후퇴 스토퍼(51)를 퇴피시키려면, 후벽부(31Bb)를 후퇴 방향[클램프부(2A)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이로써, 광섬유(11)에 상기 인장력을 부가한 상태에서, 한쪽의 클램프부(2A)의 전진 가동 범위에 더하여 후퇴 가동 범위를 확보한 후, 히터(3)로 슬리브(12)를 압압할 수 있다.
그리고, 후퇴 스토퍼를 퇴피 가능하게 하는 구조는 도시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후퇴 스토퍼(51)를 히터 장착대(31B)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구조를 채용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후퇴 스토퍼(51)를 분리함으로써 상기 퇴피가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클램프부(2A)의 전진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전진 스토퍼를 설치하고, 이 전진 스토퍼를 퇴피 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 도 14의 (a)에서는, 부호 "52"가 전진 스토퍼이다.
도 14의 (a), (c)에 나타낸 히터 장착대(31B)는, 클램프부(2A)(고정측)의 전면에 대면하는 장착대부(31Ba)에, 앞벽부(31Bc)를 가진다. 앞벽부(31Bc)는, 히터 장착대(31B)의 다른 부분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전진 스토퍼(52)는 앞벽부(31Bc)의 후면에 설치되어 있다.
먼저, 한쪽의 클램프부(2A)는, 광섬유(11)를 파지하기 전에, 제1 가압 부재(41)에 의해 히터(3)로부터 이격되어 후퇴 스토퍼와 맞닿은 상태로부터, 전진 스토퍼와 맞닿기까지 전진 이동시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로 광섬유(11)를 파지하고, 광섬유(11)에는 인장력이 부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광섬유(11)를 파지한 직후, 또는 히터(3)의 슬리브(12)에 대한 압압 구동 개시 시 또는 압압 구동 개시 전후에, 한쪽의 클램프부(2A)를 전진 스토퍼에 대한 맞닿은 상태로부터 개방하고, 또한 전진 스토퍼를 퇴피시킨다.
도시한 예에 있어서, 전진 스토퍼(52)를 퇴피시키려면, 앞벽부(31Bc)를 전진 방향[클램프부(2A)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이로써, 광섬유(11)에 상기 인장력을 부가한 상태에서, 한쪽의 클램프부(2A)의 후퇴 가동 범위에 더하여 전진 가동 범위를 확보한 후, 히터(3)로 슬리브(12)를 압압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전진 스토퍼로서는, 상기 동일한 제2 캠 기구(72)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후퇴 스토퍼로서는, 도 14∼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하우징(5)에 형성된 후퇴 스토퍼(51)를 사용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부호 "52"는 전진 스토퍼이다.
전진 스토퍼로서 캠 기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캠 기구를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전진 스토퍼를 퇴피시킬 수 있다. 또한, 전진 스토퍼(52)는, 히터 장착대(31B)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전진 스토퍼(52)를 분리함으로써, 상기 퇴피가 가능하다.
또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먼저, 한쪽의 클램프부(2A)가, 광섬유(11)를 파지하기 전에, 제1 가압 부재(41)에 의해 히터(3)로부터 이격되는 후퇴 방향의 가압력이 가해진 상태에 있어서, 한쪽의 클램프부(2A)를 전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탄성 부재 또는 자력 부재로 이루어지는 제3 가압 부재(도시하지 않음)나, 또는 한쪽의 클램프부(2A)를 전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 가압 부재에 의해, 한쪽의 클램프부(2A)의 가동 범위에서의 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정지한 상태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로 광섬유(11)를 파지하고, 광섬유(11)에는 인장력이 부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광섬유(11)를 파지한 직후, 또는 히터(3)의 슬리브(12)에 대한 압압 구동 개시 시 또는 압압 구동 개시 전후에, 제3 가압 부재에 의한 상기 한쪽의 클램프부의 전진 방향의 가압력을 약하게 하거나, 또는 상기 제1 가압 부재에 의한 후퇴 방향의 가압력을 강하게 하거나, 또는 상기 제3 가압 부재를 퇴피시킨다. 이로써,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가 광섬유(11)에 대하여 인장력을 부가한 상태에서, 한쪽의 클램프부(2A)의 후퇴 가동 범위(K)에 더하여 전진 가동 범위(Z)를 확보한 후, 히터(3)로 슬리브(12)를 압압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가압 부재(41)나, 도시하지 않은 제3 가압 부재에 의한 가압력의 강약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는, 각각의 가압 부재에 자력 부재를 사용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전자석에 인가하는 전류값을 조정하거나, 또는 영구 자석의 위치를 이동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가압 부재에 탄성 부재를 사용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탄성 부재인 스프링의 일단측을 이동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프링의 일단을 고정단(固定端)으로 하고, 타단을 상기 클램프부와 맞닿게 하여, 압축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클램프부를 가압하는 경우에, 상기 스프링의 일단을 타단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스프링을 압축하면, 상기 가압력을 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의 일단을 타단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압축을 완화하면, 가압력을 약하게 할 수 있다.
또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세한 도시하지 않지만, 먼저,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 모두가, 광섬유(1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전후로 가동으로 되어 있고, 한쪽의 클램프부(2A)가, 광섬유(11)를 파지하기 전에, 제1 가압 부재(41)에 의해 히터(3)로부터 이격되어 후퇴 스토퍼(도 14 등의 부호 "51"을 참조)와 맞닿고, 전진 방향으로만 가동 범위를 확보한 상태에 있어서, 또다른 쪽의 클램프부(2B)가, 광섬유(11)를 파지하기 전에, 히터(3) 측으로 전진하여 정지시킨 상태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로 광섬유(11)를 파지하고, 광섬유(11)에는 인장력이 부가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한다. 그 후, 다른 쪽의 클램프부(2B)가 히터(3) 측으로부터 이격되는 후퇴 방향으로 이동을 개시하고, 광섬유(11)를 통한 인장력에 의해 한쪽의 클램프부(2A)가 전진 방향으로 이동하고, 한쪽의 클램프부(2A)의 가동 범위에서의 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다른 쪽의 클램프부(2B)의 이동이 정지되는 것에 의해, 광섬유(11)에 인장력을 부가한 상태에서, 한쪽의 클램프부(2A)의 후퇴 가동 범위(K)에 더하여 전진 가동 범위(Z)를 확보한 후, 히터(3)로 슬리브(12)를 압압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먼저, 한쪽의 클램프부(2A)가, 광섬유(11)를 파지하기 전에, 제1 가압 부재(41)에 의해 히터(3)로부터 이격되어 후퇴 스토퍼(도 14 등의 부호 "51"을 참조)와 맞닿고, 전진 방향으로만 가동 범위를 확보한 상태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에 의해 광섬유(11)를 파지하고, 광섬유(11)에는 인장력이 부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제1 가압 부재(41)에 의한 광섬유(11)에 대한 인장력보다 큰 제2 가압 부재(42)에 의한 압압력에 의해, 히터(3)가 슬리브(12)의 압압을 개시한다. 그리고, 압압 개시 후의 슬리브(12)의 이동 또는 슬리브(12)의 형상 변형에 의해, 광섬유(11)가 압압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한쪽의 클램프(2A)가 광섬유(11)의 이동에 의한 인장력에 의해 전진 방향으로 끌여들여지고, 한쪽의 클램프부(2A)는 가동 범위에서의 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광섬유(11)에 제1 가압 부재(41)에 의한 인장력이 부가된 상태에서, 한쪽의 클램프부(2A)의 후퇴 가동 범위(K)에 더하여 전진 가동 범위(Z)를 확보한 후에, 히터(3)로 슬리브(12)를 가열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언급한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 34에 나타낸 보강 가열 장치는, 클램프부(2A)가 후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캠 기구[제2 캠 기구(72)]가 없는 점과, 클램프부(2A)의 개폐 가동측(2Ab)으로 돌출부(150)가 형성되어 있는 점과, 히터 장착대(31B)에 제어 벽부(151)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도 6∼도 11에 나타낸 보강 가열 장치와 상이하다.
개폐 가동측(2Ab)의 돌출부(150)는, 개폐 가동측(2Ab)의 후단부로부터 히터 장착대(31B) 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52)와, 연장부(152)의 선단부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끼워넣음 볼록부(153)를 가진다.
끼워넣음 볼록부(153)의 외면의 상면(153a)은, 후방(도면 중의 좌측)으로 갈수록 하강하는 경사면이다.
제어 벽부(151)는, 히터 장착대(31B)의 후단부에 세워 설치되고, 그 전면(151a)에는 끼워넣음 볼록부(153)를 인수(引受) 가능한 받이 오목부(155)가 형성되어 있다. 받이 오목부(155)의 내면의 상면(155a)은, 후방(도면 중의 좌측)으로 갈수록 하강하는 경사면이다.
제어 벽부(151)는, 초기 상태(도 34 참조)에 있어서는, 전면(151a)이 끼워넣음 볼록부(153)와 맞닿아, 클램프부(2A)의 후퇴를 규제하고 있다.
이 예의 보강 가열 장치는, 광섬유(11)에 인장력을 부여하는 가압 기구(41)(제1 가압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가압 기구(41)는, 전방 가압 기구(41A) 및 후방 가압 기구(41B)를 가진다.
전방 가압 기구(41A)는, 클램프부(2A)의 고정측(2Aa)의 전단면(前端面), 및 히터 장착대(31B)의 장착대부(31Ba)에 각각 설치된 가압 부재(41a, 41b)를 가진다.
가압 부재(41a, 41b)는, 영구 자석이나 전자석 등의 자력 부재로서, 서로 같은 자극(磁極)을 가진다. 도시한 예에서는, 가압 부재(41a, 41b)는 모두 N극이다.
후방 가압 기구(41B)는, 클램프부(2A)의 고정측(2Aa)의 후단면 및 히터 장착대(31B)의 후벽부(31Bb)에, 각각 설치된 가압 부재(41c, 41d)를 가진다.
가압 부재(41c, 41d)는, 서로 다른 자극을 가지는 자력 부재이다. 도시한 예에서는, 가압 부재(41c)는 N극이며, 가압 부재(41d)는 S극이다.
가압 부재(41a, 41b) 사이의 척력(斥力)과 가압 부재(41c, 41d) 사이의 인력에 의해, 클램프부(2A)에는 후방으로의 힘이 가해져, 광섬유(11)에는 인장력이 부여된다.
받이 오목부(155) 및 전면(151a)을 가지는 제어 벽부(151)와 돌출부(150)는, 클램프부(2A)에 의한 광섬유(11)의 파지 동작에 기초하여, 가압 기구(41)에 의한 광섬유(11)의 인장(및 그 정지)을 제어하는 기구(인장 기구, 또는 인장 제어 기구)를 구성한다.
이 예의 보강 가열 장치는, 모터(6)가, 제1 캠 기구(71)에 의해, 클램프부(2A)를 제5 가압 부재(45)의 힘으로 제어하고, 클램프부(2A)의 동작에 의해, 상기 인장 기구가 제어된다.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샤프트(7)가 회전하면, 클램프부(2A)의 개폐 가동측(2Ab)이 고정측(2Aa)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클램프체(2b, 2b)가 광섬유(11)를 파지한다.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 가동측(2Ab)의 이동에 따라, 돌출부(150)가 하강하고, 끼워넣음 볼록부(153)가 받이 오목부(155)에 진입 가능한 위치에 도달하는 것에 의해, 클램프부(2A)는, 전진 가동 범위(Z)뿐아니라 후퇴 가동 범위(K)가 확보되어 전후(도면 중 좌우 방향)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되어, 가압 기구(41)에 의한 인장력이 광섬유(11)에 부가된다.
도 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캠 기구(73)의 변위에 따라, 히터 장착대(31A)가 히터 장착대(31B)에 가까워져, 히터(3A, 3B)에 의해 슬리브(12)가 협지되어, 슬리브(12)가 가열 수축된다.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리브(12)의 수축과 동시에, 슬리브(12)와 광섬유(11)는 히터(3B)를 향해 이동하지만, 클램프부(2A)가 전진 방향(도면 중의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므로, 광섬유(11)에 부가되는 인장력이 과대하게 이루어지는 경우는 없다.
도 3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또한 제3 캠 기구(73)에 의해 히터 장착대(31A)가 히터 장착대(31B)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슬리브(12)가 해방되고, 또한 제1 캠 기구(71)에 의해, 클램프부(2A)의 개폐 가동측(2Ab)이 고정측(2Aa)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광섬유(11)의 파지가 해제된다.
개폐 가동측(2Ab)의 이동에 따라 돌출부(150)가 상승하고, 끼워넣음 볼록부(153)는 제어 벽부(151)에 의해 후퇴가 규제된 위치로 되돌아온다.
이 때, 끼워넣음 볼록부(153)는, 상면(153a)이 받이 오목부(155)의 상면(155a)의 경사를 따라 상승하므로, 원활하게 받이 오목부(155)로부터 벗어난다.
그리고, 도 6∼도 11등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도 34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 가동측(2Ab)은, 광섬유(11)를 끼워넣는 클램프체(2b)를 고정측(2Aa)의 클램프체(2b)를 향해 가압하는 가압 부재(2a)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0에 나타낸 보강 가열 장치는, 제2 캠 기구(72)가 없는 점과, 가압 기구(141)(제1 가압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점과, 히터 장착대(31A)에, 히터 장착대(31B)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60)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도 6∼도 11에 나타낸 보강 가열 장치와 상이하다.
가압 기구(141)는, 광섬유(11)에 인장력을 부여하는 것이며, 전방 가압 기구(141A) 및 후방 가압 기구(141B)를 가진다.
전방 가압 기구(141A)는, 클램프부(2A)의 고정측(2Aa)의 전단면, 및 히터 장착대(31B)의 장착대부(31Ba)에 각각 설치된 가압 부재(141a, 141b)를 가진다.
가압 부재(141a, 141b)는, 영구 자석이나 전자석 등의 자력 부재로서, 서로 같은 자극을 가진다. 도시한 예에서는, 가압 부재(141a, 141b)는 N극이다.
후방 가압 기구(141B)는, 클램프부(2A)의 고정측(2Aa)의 후단면 및 히터 장착대(31B)의 후벽부(31Bb)에, 각각 설치된 가압 부재(141c, 141d)를 가진다.
가압 부재(141c, 141d)는, 서로 같은 자극을 가지는 자력 부재이다. 도시한 예에서는, 가압 부재(141c, 141d)는 N극이다.
도 40에 나타낸 초기 상태에서는, 클램프부(2A)는, 전진 가동 범위(Z) 및 후퇴 가동 범위(K)가 확보되어 전후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있지만, 가압 부재(141a, 141b) 사이의 척력과 가압 부재(141c, 141d) 사이의 척력에 의해, 클램프부(2A)는 그 위치에 머문다.
돌출부(160)의 선단부에는 가압 부재(161)가 설치되어 있다. 가압 부재(161)는, 가압 부재(141a)와 서로 같은 자극을 가지는 자력 부재이다. 도시한 예에서는, 가압 부재(161)는, 가압 부재(141a)와 동일하게 N극이다.
돌출부(160)는, 히터(3A)에 의한 광섬유(11)의 압압 동작에 기초하여, 가압 기구(41)에 의한 광섬유(11)의 인장의 증감을 제어하는 기구(인장 기구, 또는 인장 제어 기구)를 구성한다.
이 예의 보강 가열 장치는, 모터(6)가, 제3 캠 기구(73)에 의해, 히터(3A)를 제2 가압 부재(42)의 힘으로 제어하고, 히터(3A)의 동작에 의해, 상기 인장 기구가 제어된다.
도 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샤프트(7)가 회전함에 따라, 클램프부(2A)의 개폐 가동측(2Ab)이 고정측(2Aa)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개폐 가동측(2Ab)과 고정측(2Aa)이 광섬유(11)를 파지한다.
이 도면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히터 장착대(31A)는 히터 장착대(31B)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므로, 돌출부(160)의 가압 부재(161)는 클램프부(2A)의 가압 부재(141a)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다. 이 상태에서는, 광섬유(11)에 부가되는 인장력은 작다.
도 4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샤프트(7)의 회전에 의해 제3 캠 기구(73)가 변위되는 것에 따라, 히터 장착대(31A)가 히터 장착대(31B)에 가까와지면, 돌출부(160)의 가압 부재(161)가 클램프부(2A)의 가압 부재(141a)에 가까워진다.
가압 부재(161)는 가압 부재(141a)와 같은 자극을 가지므로, 가압 부재(141a)에는 후방(도면 중의 좌측)으로의 척력이 작용한다. 이로써, 광섬유(11)에 부여되는 인장력이 증대한다.
도 4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히터(3A, 3B)에 의해 슬리브(12)가 협지되고, 슬리브(12)가 가열 수축한다.
슬리브(12)의 수축과 동시에, 슬리브(12)와 광섬유(11)는 히터(3B)를 향해 이동하지만, 클램프부(2A)가 전진 방향(도면 중의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므로, 광섬유(11)에 부가되는 인장력이 과대하게 이루어지는 경우는 없다.
도 4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또한 제3 캠 기구(73)에 의해 히터 장착대(31A)가 히터 장착대(31B)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슬리브(12)가 해방되고, 또한 제1 캠 기구(71)에 의해, 클램프부(2A)의 개폐 가동측(2Ab)이 고정측(2Aa)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광섬유(11)의 파지가 해제된다.
(작용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1)에 의하면, 슬리브(12)를 2개의 히터(3A, 3B)로 협지하여 가열 수축 시킬 때, 광섬유(11)에 가해지는 과잉의 장력을 해방함으로써 광섬유(11)의 파단이나 장기 신뢰성의 저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장치가 대형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신뢰성이 높고, 단시간에 슬리브(12)를 가열 수축시킬 수 있는 동시에, 조작성이 우수한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1)를 실현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각각의 도면에서 나타낸 일례를 들어 설명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일부, 상기한 제1 실시형태와 같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는 동시에, 상기 언급한 공통의 구성, 예를 들면,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 2개의 히터(3A, 3B) 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도 6도 참조), 제1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광섬유(11)를 파지하는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2A, 2B]와, 광섬유(11)의 피복 제거 부분을 덮는 슬리브(12)를 압압하여 가열하는 2개의 히터(3)[3A, 3B]와, 슬리브(12)를 협지하여 대향 배치된 2개의 히터(3A, 3B) 중 적어도 1개 이상에, 모터(6)에 의한 제어에 따라, 슬리브(12)를 협지하여 탄성 부재 또는 자력 부재에 의해 압압력을 부가하는 제2 가압 부재(4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보강 가열 장치(1)에서는, 상기에 더하여, 모터(6)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1 캠 기구(71)를, 상기 제1 캠 기구(71)에 종동하여 변위하고, 상기 변위에 의해, 탄성 부재 또는 자력 부재로 이루어지는 제5 가압 부재(45)(도 29 참조)가,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가 광섬유(11)를 협지하여 파지하는 방향에서 가압하도록 동작시키는 제1 작동 부재(광섬유를 협지하도록 작용하는 기구)(81)와, 제1 캠 기구(71)과 동축의 캠샤프트(7) 상에 설치되고, 동일한 모터(6)의 제어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3 캠 기구(73)를, 상기 제3 캠 기구(73)에 종동하여 변위하고, 상기 변위에 의해, 제2 가압 부재(42)를, 2개의 히터(3A, 3B)가 슬리브(12)를 협지하여 압압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동작시키는 제3 작동 부재(슬리브를 협지하도록 작용하는 기구)(8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또한 클램프부(2) 중 적어도 한쪽을 광섬유(11)에 대하여 인장력을 부가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가압 부재(41)와, 제1 캠 기구(71)와 동축의 캠샤프트(7) 상에 설치되고, 모터(6)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2 캠 기구(72)를, 상기 제2 캠 기구(72)에 종동하여 변위하고, 상기 변위에 의해, 제1 가압 부재(71)를, 광섬유(11)에 대하여 인장력을 부가하도록 동작시키는 제2 작동 부재(82)를 구비한 예를 들고 있다. 그리고,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2 가압 부재(42)에 의한 슬리브(12)에 대한 압압력이, 제1 가압 부재(41)에 의한 광섬유(11)의 인장력보다 크게 설정되고, 제1 가압 부재(41)에 의해 광섬유(11)에 인장력을 부가한 상태에 있어서, 인장력을 부가하는 한쪽의 클램프부(2A)가, 광섬유(1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히터(3)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의 후퇴 가동 범위(K)가 확보되어 있는 동시에, 히터(3) 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전진 가동 범위(Z)가 확보되어 있고, 제2 가압 부재(42)에 의해 히터(3)로 슬리브(12)를 압압함으로써 부가되는 광섬유(11)에 대한 인장력을 감쇄하는 방향으로 클램프부(2A)가 이동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제1 작동 부재(81)나 제3 작동 부재(83) 외에, 후술하는 각각의 작동 부재(각 작용하는 기구)에 대하여, 레버형 부재로서 구성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제2 실시형태의 보강 가열 장치에 관하여, 주로, 전술한 제1 실시형태의 경우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캠샤프트 및 각 캠 기구)
본 실시형태의 보강 가열 장치(1)는, 모터(6)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캠샤프트(7)에, 각각 상세를 후술하는 각 캠 기구가 설치되고, 이들 각 캠 기구에 종동하여 변위하는 각각의 작동 부재에 의해,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의 개폐 가동측의 개폐 동작, 한쪽의 히터(3A)의 개폐 동작, 한쪽의 클램프부(2A)의 광섬유(11)의 길이 방향(인장력을 조정하는 방향)에서의 슬라이딩 이동, 커버부(10)의 개폐 동작의 각각의 동작이, 각각의 가압 부재에 의해 행해지도록 구동하는 점에서, 상기 제1 실시형태와는 상이하다.
이하에, 도 4의 파단도, 및 도 23의 정면도 및 도 24의 (a), (b)∼도 28의 (a), (b)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의 보강 가열 장치가 채용하는 각 캠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캠샤프트(7)에는 4 종류 7개소의 캠 기구가 탑재되어 있고, 도면 중 좌측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한 예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보조 이동 레버를 가지고 있지 않고, 구동 토크의 반전 기구는 구비되어 있지 않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1) 제4 캠 기구(74)[커버부(10)의 개폐]
(2) 제1 캠 기구(71)[한쪽의 클램프부(2A)의 개폐]
(3) 제2 캠 기구(72)[한쪽의 클램프부(2A)의 인장력 부가용의 후퇴 스토퍼]
(4) 제3 캠 기구(73)[한쪽의 히터(3A)의 개폐]
(5) 제3 캠 기구(73)[한쪽의 히터(3A)의 개폐]
(6) 제1 캠 기구(71)[다른 쪽의 클램프부(2B)의 개폐]
(7) 제4 캠 기구(74)[커버부(10)의 개폐]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보강 가열 장치(1)의 캠샤프트(7)에 설치되는 각 캠 기구는, 도시한 예와 같은 회전캠형의 것에는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캠샤프트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접촉면이 변화하는, 이른바 나선형상의 것도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설명하는 캠 기구는, 도시한 예와 같은 것에는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캠샤프트 상에 회전 레버형 부재가 설치된 구성의 것도 포함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캠샤프트(7) 및 각 캠 기구가, 구동원인 모터(6)로부터의 회전이 기어 기구(61)를 통하여 전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2개의 히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개의 히터(3A, 3B)에 관한 것이며,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한쪽만을 개폐 가동으로서 모터(6)로 구동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이들 2개의 히터(3A, 3B) 중, 어느 한쪽을 가동으로서 구동하고, 다른 쪽을 고정으로 하여 구성하면, 히터의 가동 기구나, 히터를 압압하는 탄성 부재 또는 자력 부재를, 어느 한쪽의 히터측에만 설치하는 것으로 되므로,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도 4는 파단도이므로, 도 6 등에 나타내는 다른 쪽의 히터(3B)(고정측)는 표시되어 있지 않고, 개폐 가동측인 한쪽의 히터(3A)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2개의 히터(3A, 3B)의 위치 관계는, 도 4 중에서의 안쪽과 바로 앞쪽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채용하면 된다.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
도 29 및 도 30은, 도 4에 나타낸 보강 가열 장치(1)의 한쪽의 클램프부(2A)와, 그 주변 기구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부분 파단도이다.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클램프부(2A)는, 개폐 가동측이 제1 작동 부재(81)에 장착되고, 또한 개폐 고정측이 클램프 장착대로서 기능하는 제2 작동 부재(82)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1 작동 부재(81)는, 회동 지점(81a)을 중심으로 하여 한쪽의 클램프부(2A)의 개폐 동작을 행한다. 제1 작동 부재(81)는, 제1 캠 기구(71)에 의해 구동되고, 또한 토션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제5 가압 부재(45)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한쪽의 클램프부(2A)의 개폐 동작을 행한다.
또한, 한쪽의 클램프부(2A)에는, 광섬유(11)를 직접 파지하기 위한 클램프체(2b) 즉 파지용 고무가 형성되어 있고, 도 29에 있어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다른 쪽의 클램프부(2B)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되어 있다.
또한,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는, 슬라이딩 지점(82a)을 중심으로 하여 광섬유(11)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를, 광섬유(11)에 대하여 인장력을 부가하도록 후퇴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압축 코일 스프링(탄성 부재)으로 이루어지는 제1 가압 부재(41)가, 제2 작동 부재(82)[및 제1 작동 부재(81)]를 가압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작동 부재(81)에는,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에 의해 광섬유(11)를 파지할 때,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의 후퇴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후퇴 스토퍼(51)가 설치되어 있다. 이 후퇴 스토퍼(51)는,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의 개폐 동작에 의해 광섬유(11)를 파지할 때는, 캠샤프트(7)에 설치된 제2 캠 기구(72)와 맞닿음으로써,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의 후퇴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그리고, 광섬유(11)를 파지한 후, 제2 캠 기구(72)와 후퇴 스토퍼(51)와의 맞닿은 상태가 풀려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를, 후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해방함으로써, 광섬유(11)에 대하여 제1 가압 부재(41)에 의한 인장력을 부가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각 부의 그 외의 구성 및 동작 형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8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3 작동 부재(83)가, 개폐 가동인 한쌍의 히터(3A)가 설치되는 히터 장착대로서 기능하고, 회전 지점(83a)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6 등을 사용하여 설명한 히터 장착대는 슬라이딩 가동 방식이지만, 히터(3)가 슬리브(12)를 압압하는 첫째의 작용점, 히터(3A)(히터 장착대)가 구동체(제3 캠 기구)를 누르는 2번째의 작용점, 제2 가압 부재(42)가 히터(3A)(히터 장착대)를 누르는 역점(力点)의 각각의 밸런스가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므로, 슬라이딩 가동 방식에서는, 히터 장착대가 경사진 방향(비틀림)으로 힘이 기능하기 쉽고, 히터 가동 기구에는, 비틀림에 강한 슬라이딩 가이드 기구, 또는 리니어 베어링과 같은 부재를 설치하지 않으면, 히터 장착대의 움직임이 원활하게 되지 않으므로, 이와 같은 기구, 부재를 사용한 경우에는, 보강 가열 장치를 대형화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한쪽의 히터(3A)가 설치되는 제3 작동 부재(83)를, 회전 지점(83a)을 중심으로 회동 작동하는 레버형 부재로 구성함으로써, 장치 전체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도 4나, 후술하는 도 24의 (a), (b)∼도 28의 (a), (b) 등에 나타낸 예와 같이, 각각의 작동 부재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광섬유(11), 슬리브(12) 및 각 캠 기구[캠샤프트(7)]의 회전축과 병행인 각각의 회전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 운동하는 레버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고, 상기 효과가 얻어지기 용이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도 24의 (a), (b)∼도 28의 (a), (b)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는, 제1, 3, 4의 작동 부재(81, 83, 84)가, 제1, 3, 4의 캠 기구(71, 73, 74)의 회전축과 병행인 각각의 회전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 운동하는 레버형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예와 같이, 캠샤프트(7)가, 장치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각각의 회전 지점과, 장치 상부에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 2개의 히터(3A, 3B) 및 커버부(10)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장치 전체를 더욱 소형화할 수 있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한쪽의 히터(3A)를 압압하기 위한 제2 가압 부재(42)를, 도 18 중에 나타내는 히터 장착대인 제3 작동 부재(83)의 회전 지점(83a)에 설치한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제3 작동 부재(83)는, 탄성 부재 또는 자력 부재로 이루어지는 제2 가압 부재(42)에 의해 압압되지만, 제3 작동 부재(83)의 위치에 따라서 압압력의 변동이 적은 상태를 얻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가동 스트로크와 비교하여 전체 길이가 긴 압축 코일 스프링이 필요로 한다. 그러나, 전체 길이가 긴 압축 코일 스프링을 사용한 경우, 장치 전체가 대형화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제2 가압 부재(42)를 회전 지점(83a)에 설치하고, 이 회전 지점(83a)을 중심으로 한 회동 작동을 이용함으로써, 넓은 가동 범위에 있어서, 일정한 압압력을 얻는 것이 가능해져, 보강 가열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2개의 히터부(3A, 3B)를 가압하는 제2 가압 부재(42),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에서의 광섬유(11)의 파지 기구, 및 커버부(10)의 가압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고, 상기 각각의 회전 지점과 코일 스프링을 동축으로 배치하는 것이, 보강 가열 장치를 더 소형화할 수 있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한쪽의 클램프부(2A)의 구동에 대해서도, 상기한 한쪽의 히터(3A)의 경우와 동일한 기구로 할 수 있다. 즉,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모터(6)에 의한 캠샤프트(7)의 회전 구동에 따른 제1 캠 기구(71)에 의해, 제1 작동 부재(81)를 통하여, 탄성 부재 또는 자력 부재로 이루어지는 제5 가압 부재(45)(도 29 참조)가,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가 광섬유(11)를 협지하여 파지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동작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의 개폐 가동측을, 동력원인 모터(6)를 사용하여 가동으로 함으로써,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1) 종래, 작업자가 수동으로 행하고 있었던 클램프부의 개폐 동작이 자동으로 되므로, 보강 가열 장치를 사용한 슬리브(12)의 가열 수축 작업의 고속화가 가능하게 된다.
(2) 클램프부를 작업자의 손가락 등으로 조작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클램프부를 사람의 손가락으로 개폐하는 데 적합한 형상으로 설계할 필요가 없다. 종래에는, 예를 들면, 광섬유의 길이 방향에서 좌우에 배치된 각각의 클램프부에는, 손가락을 걸기 쉽게 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돌기가 형성되는 동시에, 그 근방에는 손가락이 들어갈 스페이스가 형성되므로, 클램프가 대형화되는 동시에 복잡한 형상으로 되어 있었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의 파지 개폐 동작을 자동화함으로써, 각각의 클램프부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3) 보강 가열 장치를 사용하여 작업을 행하기 위해서는, 광섬유를 세팅하고나서 클램프부를 닫아 광섬유에 텐션을 걸어 전진 가동 범위와 후퇴 가동 범위를 확보하고, 히터를 압압하여 열수축시키는 순서로 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익숙도가 낮은 작업자에게는, 조작 미스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한쪽의 히터(3A)의 압압 동작, 및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의 파지 개폐 동작을 자동화함으로써, 조작 미스의 방지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동축의 캠샤프트(7) 상에 설치되어 회전 구동되는 각 캠 기구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나 2 이상, 구체적으로는 제1 캠 기구(71)와 제3 캠 기구(73)를, 구동 토크를 필요로 하는 플러스 구동과, 토크를 받는 마이너스 구동을 조합시켜 감쇄하는 타이밍으로 설정함으로써, 모터(6)에 의한 회전 구동력을 저감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한쪽의 히터(3A)를 압압하는 압압력으로서는 수백gf,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의 개폐 가동측을 구동하여 광섬유(11)를 파지하는 데도 수백gf의 압압력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이들의 구동·압압 타이밍의 피크(압압력의 피크)가 중복되는 경우에는, 다음 식{히터: 500gf+한쪽의 클램프부250gf+다른 쪽의 클램프부250gf=1000gf}으로 표현되는 바와 같은 압축 코일 스프링의 힘이 작용하고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각각의 회전 지점을 중심으로 한 회동 운동에 의해 각각의 작동 부재를 구동하는 경우, 필요 구동력은 더 커진다. 또한, 예를 들면, 각각의 회전 지점으로부터 각각의 가압 부재를 이루는 압축 코일 스프링까지의 거리가, 회전 지점으로부터 각 캠 기구까지의 2배의 거리인 경우에는,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각 캠 기구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의 2배의 힘이 필요해진다. 그 결과, 캠샤프트가 구동하는 힘의 합계는 2000gf까지 높아져, 구동 기구가 대형화되는 문제가 있다.
도 19, 도 20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의 개폐 가동측을 파지 구동하는 제1 캠 기구(71)와, 한쪽의 히터(3A)를 구동하는 제3 캠 기구(73)의 동작 타이밍을 나타내고, 플러스 구동과 마이너스 구동을 상쇄시키는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그래프)이다. 도 19 및 도 20 중에 있어서, 가로축은 각 캠 기구의 각도, 세로축은 각 캠 기구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각각의 가압 부재(압축 코일 스프링) 방향으로의 압출량이다. 즉, 도 19 및 도 20 중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각각의 회전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각각의 작동 부재가 회동 운동을 행하는 경우의 예를 그래프화하고 있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프부를 구동하는 제1 캠 기구의 회전이 0∼90°의 범위에 있어서는, 캠 기구의 압출량은 감소하고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은, 클램프부가 폐쇄하여 파지 동작을 행하고 있는 과정을 나타낸다. 이 구간에 있어서는, 캠 기구에 구동력은 필요하지 않고, 오히려,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가압 부재가 캠 기구의 회전을 보조한다. 이 경우, 압축 코일 스프링이 캠 기구의 회전을 돕는 힘은, 클램프력·250gf의 2배(지렛대의 원리)의 500gf이다.
클램프부가 폐쇄하여 광섬유를 파지하면 다음에 한쪽의 히터가 폐쇄된다. 도 19의 그래프 중에 있어서, 한쪽의 히터를 구동하는 제2 캠 기구의 회전이 90∼180°의 구간이, 그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그 후, 제2의 180°의 위치에서 제2 캠 기구가 정지하고, 슬리브에 대하여 2개의 히터에 의한 가열이 개시된다. 슬리브의 수축이 완료되면, 가열이 정지한다.
그리고, 도 19의 그래프에서의 180∼360°의 범위에서는, 한쪽의 히터 및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의 개폐 가동측이 일제히 해방 동작을 행하지만, 이 때, 캠샤프트에는 2000gf의 구동력을 필요로 한다.
또한, 보강 가열 장치에 있어서는, 구동 기구에 대한 부담 경감을 고려하여, 천천히 한 동작으로 열리게 되지만, 이 동작이 너무 늦으면, 보강 가열 장치로부터 슬리브(광섬유)를 인출할 수 없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도 20의 그래프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과대한 구동력을 저감하기 위해, 히터의 구동력을 반전시킨 구성의 타이밍(구동력)을 나타낸 것이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9에 있어서 문제로 되어 있었던 180∼360°의 범위의 부분에서는, 한쪽의 히터(3A)[제3 캠 기구(73)]와,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의 개폐 가동측의 합계 구동력이 서로 지워져, 적어도 이론적으로는 토크가 필요하지 않게 되어 있다(실제로는, 각 부재 사이의 마찰 등에 의해, 구동 토크는 제로는 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기구의 구동 토크를 일부 반전시켜 서로 지워, 상쇄시키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구동 토크를 저감하여 구동 기구를 소형화할 수 있으므로, 보강 가열 장치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1이나 도 22에 나타낸 예와 같이, 구동 토크의 반전을 위해, 보조 가동 레버를 사용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각각의 작동 부재가 회전 지점을 중심으로 한 회동 운동을 행하는 경우의 예이지만, 이에는 한정되지 않고, 슬라이딩 구동 방식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이하, 도 21에 나타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1) 히터 장착대인 제3 작동 부재(83)과 보조 이동 레버(83C)와의 사이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83D)이 압축된 상태에서는 끼워넣어져 있다. 이 압축 코일 스프링(83D)은, 제3 작동 부재(83)와 보조 이동 레버(83C)를 갈라 놓으려고 하는 힘을 발휘하지만, 접촉부(83b)의 부분이 스토퍼의 역할을 완수하여, 접촉에 의해 설정 거리 이상은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2) 즉, 제3 작동 부재(83)와 보조 이동 레버(83C)는 연동하여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3) 그리고, 도시한 예에 있어서는, 압축 코일 스프링(83D)과 보조 압축 코일 스프링(83E)의 2개의 스프링이 있지만, 보조 압축 코일 스프링(83E)의 스프링력은, 압축 코일 스프링(83D)과 비교하여 충분히 약하고, 보조 이동 레버(83C)를 제3 캠 기구(73)에 가압할만큼의 역할을 가진다.
(4) 제3 캠 기구(73)에 의해 보조 이동 레버(83C)가 구동되면, 히터 장착대인 제3 작동 부재(83)도 연동하여 구동된다.
(5) 한편, 2개의 히터(3A, 3B)가 슬리브(12)에 접촉된 후에는, 제3 작동 부재(83)는 그 이상 이동할 수 없다. 그 결과, 제3 작동 부재(83)가 압축 코일 스프링(83D)을 줄이는 작용을 발현(發現)하고, 이 때의 스프링의 힘이, 슬리브(12)에 대한 압압력을 발생시킨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한쪽의 히터(3A)를 폐쇄하는 동작을 행할 때는, 압압하기 위한 구동 토크가 필요해지고, 한쪽의 히터(3A)를 열 때는, 구동 토크가 불필요해지므로(해방되므로),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와는 반대의 구동 토크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각 캠 기구를 구비하는 구성에 있어서, 각 캠 기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구체적으로는, 제1 캠 기구(71) 및 제3 캠 기구(73)에 있어서, 각각, 제1 작동 부재(81) 및 제3 작동 부재(83)에 대하여, 도 21의 모식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을 적용할 수도 있다. 즉, 제1 작동 부재(81) 및 제3 작동 부재(83)는 캠샤프트(7)를 협지하여 반대측에 보조 가동 부재(도 21 중의 부호 "83C" 참조)를 배치하고, 각각의 작동 부재와 보조 가동 부재를 탄성 부재 또는 자력 부재로 연결하고, 각각의 작동 부재 대신에 보조 가동 부재를 각 캠 기구에 의해 종동하여 변위시킴으로써, 각 캠 기구의 회전 구동 토크를 플러스 구동으로부터 마이너스 구동으로 반전시킴으로써, 제1 캠 기구(71)와 제3 캠 기구(73)와의 사이에서 플러스 구동과 마이너스 구동을 조합시키고, 감쇄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로써, 모터(6)의 구동력을 크게 할 필요가 없고, 또한 장치 전체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도 22에 나타낸 예와 같이, 각 코일 스프링로서 인장 코일 스프링(83F, 83G)를 사용한 경우라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보강 가열 장치의 한층 더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실시형태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개폐 가동측인 한쪽의 히터(3A)의 구동에 캠 기구를 사용하고, 도 4나 도 6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캠 기구(73)에 의해 구동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회전 지점과 한쪽의 히터(3A)와의 사이의 위치에 제3 캠 기구(73)를 배치함으로써, 장치 전체를 더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한 한쪽의 히터(3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의 개폐 가동측을, 회전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6 등을 사용하여 설명한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는 슬라이딩 가동 방식이지만, 클램프부(2)가 광섬유(11)를 누르는 1째의 작용점, 클램프부(2)가 구동체(제1 캠 기구(71)를 누르는 2번째의 작용점, 제5 가압 부재(도 29 중의 부호 "45"를 참조)가 클램프부를 누르는 역점의 각각의 밸런스가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므로, 클램프 장착대는 경사진(비틀림) 방향으로 힘이 기능하기 쉽고, 클램프부 가동 기구에는 비틀림에 강한 슬라이딩 가이드 기능, 또는 리니어 베어링과 같은 부재를 설치하지 않으면, 장착대의 움직임이 원활하지 않게 되므로, 이와 같은 기구, 부재를 사용한 경우에는, 보강 가열 장치를 대형화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의 개폐 가동측을, 회전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 운동하는 레버형 부재로 구성함으로써, 장치 전체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실시형태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의 개폐 가동측의 구동에 캠 기구를 사용하고, 도 4나 도 29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캠 기구(71)에 의해 구동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회전 지점과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와의 사이의 위치에 제1 캠 기구(71)를 배치함으로써, 장치 전체를 더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로 광섬유(11)를 파지하기 위한 제5 가압 부재(45)를, 클램프 장착대인 제1 작동 부재(81)의 회전 지점(81a)에 설치한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나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의 개폐 가동측이 장착되는 제1 작동 부재(클램프 장착대)(81)는, 탄성 부재 또는 자력 부재로 이루어지는 제5 가압 부재(45)에 의해 압압되지만, 클램프 장착대인 제1 작동 부재(81)의 위치에 따라서 압압력의 변동이 적은 상태를 얻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가동 스트로크와 비교하여 전체 길이가 긴 압축 코일 스프링이 필요로 한다. 그러나, 전체 길이가 긴 압축 코일 스프링을 사용한 경우, 장치 전체가 대형화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제5 가압 부재(45)를 회전 지점(81a)에 설치하고, 이 회전 지점(81a)을 중심으로 한 회동 작동을 이용함으로써, 넓은 가동 범위에 있어서, 일정한 압압력을 얻는 것이 가능해지고, 보강 가열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의 개폐 가동측과, 한쪽의 히터(3A)를, 동일한 구동원인 모터(6)로 구동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쪽의 히터(3A)와 공통의 구동원인 모터(6)를 이용하여 개폐 가동측의 각각의 클램프부를 작동시킴으로써, 장치로서 탑재하는 구동원이 1개만으로 되므로, 보강 가열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캠 기구∼제3 캠 기구(71, 72, 73)가 동일한 구동원인 모터(6)에 의해 구동되는 것에 의해, 한쪽의 클램프부(2A)를, 광섬유(11)에 대하여 인장력을 부가하도록 동작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낸 예와 같이,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의 개폐 가동측과, 한쪽의 히터(3A)를, 동축으로 공통의 캠샤프트(7) 상에 설치되는 각 캠 기구에 의해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도시한 예와 같이, 1개의 캠샤프트(7) 상에,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의 개폐 가동측 작동용인 제1 캠 기구(71)와, 한쪽의 히터(3A)의 작동용인 제3 캠 기구(73)를, 각각 2개소에 배치함으로써,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1) 1개의 캠샤프트로 모든 가동체를 구동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구동 유닛 내에 배치하는 구동용 부재, 또는 각 유닛의 구동용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용 부재가 불필요해진다. 이로써, 보강 가열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2) 각각의 캠 기구의 위상이 어긋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클램프부 개폐의 순서를, 불과 1부재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보강 가열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쪽의 클램프부(2A)의 전진 스토퍼 또는 후퇴 스토퍼를, 구동원인 모터(6)에 의해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 중 적어도 한쪽을 광섬유(11)의 길이 방향에서 가동으로 하고, 후퇴 스토퍼인 제2 캠 기구(72)를, 캠샤프트(7)를 통하여 모터(6)로 구동함으로써,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1) 전진 스토퍼 또는 후퇴 스토퍼의 퇴피를 작업자의 손가락으로 조작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사람의 손가락으로 개폐하는 데 적합한 형상으로 설계할 필요가 없다. 즉, 퇴피 기구를 장치의 표면에 노출할 필요가 없이 내부에 수납할 수 있으므로, 보강 가열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2) 보강 가열 장치를 사용하여 작업을 행하기 위해서는, 광섬유를 세팅하고나서 클램프부를 닫아 광섬유에 텐션을 걸쳐 전진 가동 범위와 후퇴 가동 범위를 확보하고, 히터를 압압하여 열수축시키는 순서로 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익숙도가 낮은 작업자에게는, 조작 미스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전진 스토퍼 또는 후퇴 스토퍼의 퇴피 동작을 자동화함으로써, 조작 미스의 방지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의 개폐 가동측과 한쪽의 히터(3A)에 더하여, 상기한 후퇴 스토퍼인 제2 캠 기구(72) 또는 도시하지 않은 전진 스토퍼를, 동일한 구동원인 모터(6)로 가동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의 개폐 가동측이나 한쪽의 히터(3A)와 공통의 구동원인 모터(6)를 이용하여 각 스토퍼를 작동시킴으로써, 장치로서 탑재하는 구동원이 1개만으로 되므로, 보강 가열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예와 같이,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의 개폐 가동측과 한쪽의 히터(3A)와, 각 스토퍼를, 동축으로 공통의 캠샤프트(7) 상에 설치되는 각 캠 기구에 의해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1개의 캠샤프트(7) 상에,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의 개폐 가동측 작동용인 제1 캠 기구(71)와, 한쪽의 히터(3A)의 작동용인 제3 캠 기구(73)를, 각각 2개소에 배치하고, 또한 후퇴 스토퍼인 제2 캠 기구(72)를 배치함으로써,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1) 1개의 캠샤프트로 모든 가동체를 구동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구동 유닛 내에 배치하는 구동용 부재, 또는 각 유닛의 구동용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용 부재가 불필요해진다. 이로써, 보강 가열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2) 각각의 캠 기구의 위상을 어긋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클램프부 개폐의 순서를, 불과 1부재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보강 가열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보강 가열 장치에 의하면, 상기 보강 가열 장치에 적정화된 캠샤프트(7)를 1개만 설계하는 것만으로 되므로, 보강 가열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강 가열 장치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부(10)와, 탄성 부재 또는 자력 부재에 의해 커버부(10)를 닫는 힘을 부가하는 제6 가압 부재(46)와, 제1 캠 기구∼제3 캠 기구(71∼73)와 동축의 캠샤프트(7) 상에 설치되거나, 또는 캠샤프트(7)에 평행한 다른 캠샤프트(도시하지 않음) 상에 배치된 제4 캠 기구(74)와, 제4 캠 기구(74)의 변위에 의해, 제6 가압 부재(46)의 가압력이 커버부(10)를 닫도록 작용하게 하는 기구로서 제4 작동 부재(84)를 구비하는 구성도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동일한 모터(6)가, 제1 캠 기구∼제4 캠 기구(71∼74)에 의해, 한 쌍의 클램프부(2A, 2B), 히터(3), 및 커버부(10)에 전술한 각각의 가압 부재를 작용하게 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4 캠 기구(74)를, 제4 작동 부재(84)에 대하여, 예를 들면, 스프링이나 고무, 스펀지 등의 탄성 부재나, 영구 자석, 전자석 등의 자력 부재를 통하여 변위시킴으로써, 커버부(10)의 개폐 동작을 행하는 구성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1) 보강 가열 장치를 일정 시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라도, 커버부가 폐쇄됨으로써, 빗물 등이 장치 내부에 침입하지 않는다.
(2) 보강 가열 장치를 일정 시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라도, 커버부가 폐쇄함으로써, 쓰레기나 분진(粉塵) 등이 장치 내부에 침입하지 않는다.
(3) 가열 개시와 동시에 커버부가 폐쇄함으로써, 잘못하여, 내부의 히터에 작업자의 손가락이 접촉하여 상처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의 커버부(10)는, 가열 중에 슬리브(12)의 수축 진행 상태를 육안 관찰에 의해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술한 각각의 작동 부재의 회전 지점 축은, 캠샤프트(7)의 경우와 상이하고, 모든 작동 부재로 공통(동축)일 필요는 없다. 또한, 모든 작동 부재를, 회전 지점을 중심으로 한 회동 운동으로 할 필요는 없고, 적절히, 선택하여 작용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또한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 전술한 한쪽의 히터(3A), 후퇴 스토퍼 또는 전진 스토퍼, 커버부(10) 등을, 모터(6)를 공통의 구동원으로 하여, 1개의 캠샤프트(7)에 구비되는 각 캠 기구에 의해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공통의 구동원인 모터(6)에 의해,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를, 광섬유(11)를 파지하도록 동작시키는 동시에, 한쪽의 클램프부(2A)를 광섬유(11)에 대하여 인장력을 부가하도록 동작시키고, 또한 한쪽의 히터(3A)를, 슬리브(12)를 협지하여 압압하도록 동작시키고, 또한 커버부(10)의 개폐 동작을 행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1개의 모터(6)로 모든 기능을 다함으로써, 보강 가열 장치 전체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각 기구를 1개의 캠샤프트(7)로 구동함으로써, 각각의 구동 기구 내에 배치하는 구동용 부재나, 각 기구의 구동용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용 부재가 불필요해지므로, 장치 전체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28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캠 기구(73)의 근방에는, 캠샤프트(7)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반원판(91A)과 포토 센서(91B)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는, 모든 작동 부재를, 각각의 회전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운동하는 레버형의 부재로 구성하고 있다. 또한, 커버부(10)의 개폐에 사용하는 탄성 부재(46)나,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의 개폐에 사용하는 제5 가압 부재(45)(도 29 참조)로서 토션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는 동시에, 한쪽의 히터(3A)의 개폐에 사용하는 제2 가압 부재(42)에는 더블 토션 스프링을 사용하고, 또한 한쪽의 클램프부(2A)의 광섬유(11)의 길이 방향에서 인장력을 부가하는 제1 가압 부재(41)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도 23은, 본 실시형태의 보강 가열 장치(1)의 정면도이며, 이 도 23 중에 나타내는 단면 지시선 A―A∼E―E는, 각각, 도 24의 (a), (b)∼도 28의 (a), (b)에 나타낸 단면도의 파단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24∼도 28에 있어서는, 이하의 각 부분의 위치에 있어서 각각의 동작을 행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1) A―A[도 24의 (a), (b)]: 한쪽의 히터(3A)를 제3 캠 기구(73)로 개폐할 때의 동작.
(2) B―B[도 25의 (a), (b)]: 한쪽의 클램프부(2A)를 제1 캠 기구(71)로 개폐할 때의 동작. 한쪽의 클램프부(2A)는, 광섬유(11)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구성이므로, 도 25의 (a), (b) 중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는, 회전 지점(81a)의 위치가 높아져 있다.
(3) C―CP[도 26의 (a), (b)]: 다른 쪽의 클램프부(2B)를 제1 캠 기구(71)로 개폐할 때의 동작.
(4) D―D[도 27의 (a), (b)]: 커버부(10)를 제4 캠 기구(74)로 개폐할 때의 동작.
(5) E―E[도 28의 (a), (b)]: 한쪽의 히터(3A)를 제3 캠 기구(73)로 개폐할 때의 동작. 도 28의 (a), (b) 중에 있어서는, 제3 캠 기구(73)의 바로 앞쪽에, 캠샤프트(7)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반원판(91A) 및 포토 센서(91B)가 배치되어 있다.
도 24의 (a), (b)∼도 28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샤프트(7)에 설치되는 각 캠 기구에 의해 각각의 작동 부재가 구동되는 것에 의해,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의 개폐 가동측, 한쪽의 히터(3A), 커버부(10) 등이, 각각, 소정 타이밍에서 구동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외의 변형예)
이하, 본 실시형태의 그 외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술한 도 4 등에 나타내는 구성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 중 적어도 한쪽의 전진 가동 범위(Z)(도 6 참조) 또는 후퇴 가동 범위(K)(도 6 참조)를 제한하기 위한, 전진 스토퍼 또는, 후퇴 스토퍼로 이루어지는 위치 제한 부재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위치 제한 부재는, 예를 들면, 고정측의 클램프부의 전진 가동 범위 또는 후퇴 가동 범위를 제한한다. 이 위치 제한 부재는, 광섬유(11)에 부가하는 인장력을 적정한 범위로 하는 기능을 가진다.
그리고, 제1 캠 기구∼제3 캠 기구(71∼73)와 동일한 캠샤프트(7) 상에 배치되거나, 또는 캠샤프트(7)에 평행한 다른 캠샤프트(도시하지 않음) 상에 배치된, 모터(6)의 제어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5 캠 기구(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제5 캠 기구의 변위가, 상기한 전진 스토퍼 또는, 후퇴 스토퍼로 이루어지는 위치 제한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동일한 모터(6)가, 제1 캠 기구∼제3 캠 기구(71∼73) 및 제5 캠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클램프부(2A, 2B)(인장하도록 작용하게 하는 기구도 포함함), 히터(3), 및 상기한 위치 제한 부재를 작용하게 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는, 제1 캠 기구 및 제3 캠 기구(71, 73)와 동일한 캠샤프트(7) 상에 배치되거나, 또는 캠샤프트(7)에 평행한 다른 캠샤프트 상에 배치된 제2 캠 기구와, 상기 제2 캠 기구의 변위가, 상기한 전진 스토퍼 또는, 후퇴 스토퍼로 이루어지는 위치 제한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기구를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제2 캠 기구는, 예를 들면, 모터(6)의 제어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동일한 모터(6)가, 제1 캠 기구(71), 제3 캠 기구(73), 및 제2 캠 기구에 의해, 클램프부(2A, 2B)와, 히터(3)의 이동을, 제5 및 제2 가압 부재에 의해 제어하고, 또한 동일한 모터가, 제2 캠 기구에 의해, 인장 기구(광섬유에 인장력을 부가하는 기구)의 이동을, 상기한 위치 제한 부재로 제어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또한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 중 적어도 한쪽의 전진 가동 범위(Z) 또는 후퇴 가동 범위(K)를 제한하거나 하기 위한 제1 가압 부재(41), 또는 상기 제1 가압 부재와는 반대 방향의 인장력을 부가하는 제3 가압 부재(도시하지 않음)와, 제1 캠 기구∼제3 캠 기구(71∼73)와 동일한 캠샤프트(7) 상에 배치되거나, 또는 캠샤프트(7)에 평행한 다른 캠샤프트(도시하지 않음) 상에 배치된, 모터(6)의 제어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6 캠 기구(도시하지 않음)와, 이 제6 캠 기구의 변위가, 제1 가압 부재(41), 또는 제3 가압 부재의 가압력을 강하게 하거나, 또는 약하게 하도록 제어하는 기구(가압력 제어 기구)를 구비하고, 동일한 모터(6)가, 제1 캠 기구∼제3 캠 기구(71∼73) 및 제6 캠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클램프부(2A, 2B)(인장하는 기구도 포함함), 히터(3), 제1 또는 제3 가압 부재(41, 43)를 제어하는 기구(가압력 제어 기구)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광섬유(11)에 인장력을 부가하는 제1 가압 부재(41) 또는 제3 가압 부재(도시하지 않음)와, 전술한 제2 캠 기구(도시하지 않음)와, 전술한 제6 캠 기구(도시하지 않음)와, 제2 캠 기구의 변위가 제1 가압 부재(41)의 장력에 의한 광섬유(11)의 장력을 제어하는 기구와, 제6 캠 기구의 변위가, 상기 제1 가압 부재, 또는 상기 제3 가압 부재의 가압력을 강하게 하도록 제어하는 가압력 제어 기구, 또는 약하게 하도록 제어하는 가압력 제어 기구를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동일한 모터(6)가, 상기 제1 캠 기구∼제3 캠 기구 및 상기 제6 캠 기구에 의해, 상기 클램프부, 상기 인장 기구, 상기 히터, 및 상기 가압력 제어 기구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5에 나타낸 보강 가열 장치는, 제6 캠 기구(76)가 설치되어 있는 점과, 가압 기구(41)(제1 가압 부재) 및 가압 기구(43)(제3 가압 부재)를 가지는 점과, 가동 후벽부(131)를 가지는 점에서, 도 6∼도 11에 나타낸 보강 가열 장치와 상이하다.
제6 캠 기구(76)는,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캠샤프트(7)에 수직인 면에 대하여 기울어 형성되어 있다. 제6 캠 기구(76)는, 예를 들면, 캠샤프트(7)에 수직인 면에 대하여 0°을 넘어 90°미만의 각도로 경사져 있다.
가동 후벽부(131)는, 클램프부(2A)(고정측)의 후면에 대면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전후 방향(도면 중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가동 후벽부(131)는, 슬라이딩 기구(21) 등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
가동 후벽부(131)의 상면(131a)에는, 제6 캠 기구(76)의 하부(76a)가 삽입되는 오목부(131b)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가동 후벽부(131)는, 제6 캠 기구(76)의 하부(76a)의 전후 방향(도면 중 좌우 방향)의 위치에 따른 위치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제6 캠 기구(76)의 하부(76a)가 클램프부(2A)에 가까운 경우에는 가동 후벽부(131)도 클램프부(2A)에 근접하고(도 45 참조), 제6 캠 기구(76)의 하부(76a)가 클램프부(2A)로부터 먼 경우에는 가동 후벽부(131)도 클램프부(2A)로부터 크게 이격되어 위치한다(도 46 참조).
가압 기구(43)(제3 가압 부재)는, 클램프부(2A)의 고정측(2Aa)의 후단면, 및 가동 후벽부(131)의 전면에 각각 설치된 가압 부재(43a, 43b)를 가진다.
가압 부재(43a, 43b)는, 영구 자석이나 전자석 등의 자력 부재로서, 서로 같은 자극을 가진다. 도시한 예에서는, 가압 부재(43a, 43b)는 모두 S극이다.
가압 기구(43)는, 가압 부재(43a, 43b) 사이의 척력에 의해 클램프부(2A)를 가압하여, 광섬유(11)에 부가되는 인장력을 조정한다.
가압 기구(41)(제1 가압 부재)는, 클램프부(2A)의 고정측(2Aa)의 전단면, 및 히터 장착대(31B)에 각각 설치된 가압 부재(41a, 41b)를 가진다. 가압 부재(41a, 41b)는, 서로 같은 자극을 가진다. 도시한 예의 가압 부재(41a, 41b)는 모두 N극이다.
도 45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클램프부(2A, 2B) 및 히터(3A, 3B)는, 제1 캠 기구(71)와 제3 캠 기구(73)에 의해, 각각 가압하여 열리고 있다.
제6 캠 기구(76)는, 가동 후벽부(131)에 가까워질수록 클램프부(2A)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진 자세이므로, 하부(76a)는 클램프부(2A)에 가까운 위치에 있다. 그러므로, 가동 후벽부(131)는 클램프부(2A)에 근접한 위치에 있다.
가동 후벽부(131)가 클램프부(2A)에 가까우므로, 가압 부재(43a, 43b) 사이의 척력에 의해, 클램프부(2A)에는, 히터 장착대(31B)에 가까워지는 방향(도면 중 우측)의 힘이 작용한다.
클램프부(2A)에는, 가압 부재(41a, 41b) 사이의 척력에 의해, 히터 장착대(31B)로부터 이격되는 방향(도면 중 좌측)의 힘도 작용한다.
도 4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샤프트(7)가 회전함에 따라 제1 캠 기구(71)가 변위되고, 클램프부(2A)의 개폐 가동측(2Ab)이 고정측(2Aa)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개폐 가동측(2Ab)과 고정측(2Aa)이 광섬유(11)를 파지한다.
또한, 제3 캠 기구(73)가 변위됨 따라, 히터 장착대(31A)가 히터 장착대(31B)에 가까워져, 히터(3A, 3B)에 의해 슬리브(12)가 협지되고, 슬리브(12)가 가열 수축한다.
이 때, 제6 캠 기구(76)는, 가동 후벽부(131)에 가까워질수록 클램프부(2A)로부터 이격되도록 경사진 자세로 되므로, 가동 후벽부(131)는 클램프부(2A)보다 크게 이격된 위치로 이동한다.
이로써, 가압 부재(43a, 43b)에 의한 척력이 약해지는 한편, 가압 부재(41a, 41b)에 의한 척력에 큰 변화는 없기 때문에, 클램프부(2A)에 의해 광섬유(11)에 부여되는 인장력은 증대한다.
도 4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샤프트(7)가 더 회전하면, 제3 캠 기구(73)에 의해 히터 장착대(31A)가 히터 장착대(31B)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슬리브(12)가 해방되고, 또한 제1 캠 기구(71)에 의해, 클램프부(2A)의 개폐 가동측(2Ab)이 고정측(2Aa)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광섬유(11)의 파지가 해제된다.
제1 가압 부재(41)는, 예를 들면,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 중 적어도 한쪽의 고정측(또는 개폐 가동측)의 클램프부의 전진 가동 범위(Z) 또는 후퇴 가동 범위(K)를 제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제2 캠 기구는, 예를 들면, 제1 캠 기구 및 제3 캠 기구(71, 73)와 동일한 캠샤프트(7) 상에 배치되거나, 또는 캠샤프트(7)에 평행한 다른 캠샤프트(도시하지 않음) 상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2 캠 기구는, 모터(6)의 제어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동일한 모터(6)가, 제1 캠 기구 및 제3 캠 기구(71, 73), 및 제2 캠 기구에 의해, 클램프부(2A, 2B), 히터(3)의 이동을, 제5 및 제2 가압 부재에 의해 제어하고, 또한 동일한 모터(6)가, 제2 캠 기구에 의해, 인장 기구(광섬유에 인장력을 부가하는 기구)의 이동을, 제1 가압 부재 또는 제3 가압 부재로 제어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광섬유(11)에 부가하는 인장력을 조정하기 위한 각각의 가압 부재를 이동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소형의 구성으로, 적절히 인장력을 적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또한 상기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 중 적어도 한쪽의 전진 가동 범위 또는 후퇴 가동 범위를 제한하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상기 어느 구성을 채용한 경우라도, 보강 가열 장치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는 효과가 현저하게 얻어진다.
(작용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관한 제2 실시형태의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에 의하면, 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2A, 2B), 한쪽의 히터(3A), 커버부(10) 등을, 동일한 구동원인 모터(6)를 사용하여, 동축에서 설치된 각 캠 기구에 의해 구동하는 구성이므로, 보강 가열 장치 전체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한 제1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슬리브(12)를 2개의 히터(3A, 3B)로 협지하여 가열 수축시킬 때, 광섬유(11)에 가해지는 과잉의 장력을 해방함으로써 광섬유(11)의 파단이나 장기 신뢰성의 저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장치가 대형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신뢰성이 높고, 단시간에 슬리브(12)를 가열 수축시킬 수 있는 동시에, 조작성이 우수한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1)를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각종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5 가압 부재(45)는 한 쌍의 클램프부(2A, 2B)의 양쪽에 사용되고 있지만, 클램프부(2A, 2B)의 한쪽(즉 편측)에만 제5 가압 부재(45)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히터(3)[3A, 3B]가 사용되고 있지만, 히터의 수는 3개 이상이라도 된다.
A…융착 접속기(광섬유의 융착 접속기), 1…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 2[2A, 2B]…클램프부(좌우 한 쌍의 클램프부), 2A…한쪽의 클램프부, 2B…다른 쪽의 클램프부, 3[3A, 3B]…히터(2개의 히터), 3A…한쪽의 히터, 3B…다른 쪽의 히터, 41…제1 가압 부재, 42…제2 가압 부재, 45…제5 가압 부재, 46…제6 가압 부재, 6…모터(구동원), 7…캠샤프트, 71…제1 캠 기구, 72…제2 캠 기구, 73…제3 캠 기구, 74…제4 캠 기구, 81…제1 작동 부재, 82…제2 작동 부재, 83…제3 작동 부재, 84…제4 작동 부재, 81a, 83a…회전 지점, 82a…슬라이딩 지점, 10…커버부, 11…광섬유, 12[12a, 12b]…슬리브, 13…항장력체, Z…전진 가동 범위, K…후퇴 가동 범위

Claims (15)

  1. 융착 접속부가 슬리브로 덮힌 광섬유의, 상기 슬리브로부터 노출된 피복부의 한쪽 및 다른 쪽을 파지(把持)하는 한 쌍의 클램프부;
    상기 슬리브를 협지(sandwich)하여 대향 배치된 적어도 2개 이상의 히터;
    상기 한 쌍의 클램프부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광섬유에 대하여 인장력(引張力)을 부가하도록 가압하는 제1 가압 부재; 및
    상기 슬리브를 협지하여 대향 배치된 상기 히터 중 적어도 1개 이상에, 구동원에 의한 제어에 따라, 상기 슬리브를 협지하여 압압력(押壓力)을 부가하는 제2 가압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압 부재에 의한 상기 슬리브에 대한 압압력은, 상기 제1 가압 부재에 의한 상기 광섬유에 대한 인장력보다 크게 설정되고,
    상기 한쪽의 클램프부를 상기 제1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하면서 상기 한쪽의 클램프부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한 상태에서 상기 광섬유를 상기 한쪽의 클램프부로 파지한 후, 상기 한쪽의 클램프부의 상기 이동 제한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광섬유에 인장력을 부가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클램프부가, 상기 광섬유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히터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의 후퇴 가동(可動) 범위가 확보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히터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전진 가동 범위가 확보되고, 이로써, 상기 제2 가압 부재에 의해 상기 히터로 상기 슬리브를 압압함으로써 부가되는 상기 광섬유에 대한 인장력을 감쇄(減殺)하는 방향으로 상기 한쪽의 클램프부가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슬리브를 협지하여 대향 배치된 한쪽이 가동으로 되고, 다른 쪽이 고정으로 되어 있는,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에 의한 상기 슬리브에 대한 압압력은, 상기 광섬유의 융착 접속부의 파단(破斷) 확인 시험의 장력을 상회하는 압압력인,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를 협지하여 대향하는 상기 히터의 압압면(押壓面)이 수직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슬리브 중에 삽통(揷通)된 항장력체(抗張力體)의 중량을 이용하여 항상 상기 항장력체를 하방향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슬리브의 방향을 일정화시키는,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가열이 종료된 후, 상기 히터를 즉시 상기 슬리브로부터 이격시켜 상기 슬리브에 대한 열전도를 차단하고, 상기 슬리브의 주위에 외기를 도입하여 상기 슬리브를 급냉하는,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클램프부는, 상기 광섬유를 파지하기 전에, 상기 제1 가압 부재에 의해 상기 히터로부터 이격되어 후퇴 스토퍼와 맞닿고, 전진 방향으로만 가동 범위를 확보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클램프부로 상기 광섬유를 파지하고, 상기 광섬유로는 상기 인장력이 부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를 파지한 직후, 또는 상기 히터의 상기 슬리브에 대한 압압 구동 개시 시 또는 압압 구동 개시 전후에, 상기 후퇴 스토퍼를 퇴피시킴으로써, 상기 광섬유에 상기 인장력을 부가한 상태에서, 상기 한쪽의 클램프부의 후퇴 가동 범위에 더하여 전진 가동 범위를 확보한 후, 상기 히터로 상기 슬리브를 압압하는,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클램프부는, 상기 광섬유를 파지하기 전에, 상기 제1 가압 부재에 의해 상기 히터로부터 이격되어 후퇴 스토퍼와 맞닿은 상태로부터, 전진 스토퍼와 맞닿기까지 전진 이동시켜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클램프부로 상기 광섬유를 파지하고, 상기 광섬유로는 상기 인장력이 부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를 파지한 직후, 또는 상기 히터의 상기 슬리브에 대한 압압 구동 개시 시 또는 압압 구동 개시 전후에, 상기 한쪽의 클램프부를 상기 전진 스토퍼에 대한 맞닿은 상태로부터 개방하고, 또한 상기 전진 스토퍼를 퇴피시킴으로써, 상기 광섬유에 상기 인장력을 부가한 상태에서, 상기 한쪽의 클램프부의 후퇴 가동 범위에 더하여 전진 가동 범위를 확보한 후, 상기 히터로 상기 슬리브를 압압하는,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클램프부는, 상기 광섬유를 파지하기 전에, 상기 제1 가압 부재에 의해 상기 히터로부터 이격되는 후퇴 방향의 가압력이 부가된 상태에서, 또한 상기 한쪽의 클램프부를 전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탄성 부재 또는 자력(磁力) 부재로 이루어지는 제3 가압 부재에 의해, 상기 한쪽의 클램프부의 가동 범위에서의 단부(端部)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정지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클램프부로 상기 광섬유를 파지하고, 상기 광섬유로는 상기 인장력이 부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를 파지한 직후, 또는 상기 히터의 상기 슬리브에 대한 압압 구동 개시 시 또는 압압 구동 개시 전후에, 제3 가압 부재에 의한 상기 한쪽의 클램프부의 전진 방향의 가압력을 약하게 하거나, 또는 상기 제1 가압 부재에 의한 후퇴 방향의 가압력을 강하게 하거나, 또는 상기 제3 가압 부재를 퇴피시킴으로써, 상기 한 쌍의 클램프부가 상기 광섬유에 대하여 인장력을 부가한 상태에서, 상기 한쪽의 클램프부의 후퇴 가동 범위에 더하여 전진 가동 범위를 확보한 후, 상기 히터로 상기 슬리브를 압압하는,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
  9. 융착 접속부가 슬리브로 덮힌 광섬유의, 상기 슬리브로부터 노출된 피복부의 한쪽 및 다른 쪽을 파지하는 한 쌍의 클램프부;
    상기 슬리브를 협지하여 대향 배치된 적어도 2개 이상의 히터;
    상기 한 쌍의 클램프부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광섬유에 대하여 인장력을 부가하도록 가압하는 제1 가압 부재; 및
    상기 슬리브를 협지하여 대향 배치된 상기 히터 중 적어도 1개 이상에, 구동원에 의한 제어에 따라, 상기 슬리브를 협지하여 압압력을 부가하는 제2 가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압 부재에 의한 상기 슬리브에 대한 압압력은, 상기 제1 가압 부재에 의한 상기 광섬유에 대한 인장력보다 크게 설정되고,
    상기 한 쌍의 클램프부가 모두, 상기 광섬유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전후로 가동으로 되어 있고,
    상기 한쪽의 클램프부가, 상기 광섬유를 파지하기 전에, 상기 제1 가압 부재에 의해 상기 히터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또한 상기 다른 쪽의 클램프부가, 상기 광섬유를 파지하기 전에, 상기 히터측으로 전진하여 정지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클램프부로 상기 광섬유를 파지한 후, 상기 다른 쪽의 클램프부가 상기 히터측으로부터 이격되는 후퇴 방향으로 이동을 개시하고, 상기 광섬유를 통한 인장력에 의해 상기 한쪽의 클램프부가 전진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한쪽의 클램프부의 가동 범위에서의 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다른 쪽의 클램프부의 이동이 정지되는 것에 의해,
    상기 광섬유에 인장력을 부가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클램프부가, 상기 광섬유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히터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의 후퇴 가동 범위가 확보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히터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전진 가동 범위가 확보되고, 이로써, 상기 제2 가압 부재에 의해 상기 히터로 상기 슬리브를 압압함으로써 부가되는 상기 광섬유에 대한 인장력을 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한쪽의 클램프부가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
  10. 융착 접속부가 슬리브로 덮힌 광섬유의, 상기 슬리브로부터 노출된 피복부의 한쪽 및 다른 쪽을 파지하는 한 쌍의 클램프부;
    상기 슬리브를 협지하여 대향 배치된 적어도 2개 이상의 히터;
    상기 한 쌍의 클램프부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광섬유에 대하여 인장력을 부가하도록 가압하는 제1 가압 부재; 및
    상기 슬리브를 협지하여 대향 배치된 상기 히터 중 적어도 1개 이상에, 구동원에 의한 제어에 따라, 상기 슬리브를 협지하여 압압력을 부가하는 제2 가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압 부재에 의한 상기 슬리브에 대한 압압력은, 상기 제1 가압 부재에 의한 상기 광섬유에 대한 인장력보다 크게 설정되고,
    상기 한쪽의 클램프부가, 상기 광섬유를 파지하기 전에, 상기 제1 가압 부재에 의해 상기 히터로부터 이격되고, 또한 상기 한 쌍의 클램프부로 상기 광섬유를 파지하고, 상기 광섬유로는 인장력이 부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압 부재에 의한 압압력에 의해, 상기 히터가 상기 슬리브를 압압하고, 압압 개시 후의 상기 슬리브의 이동 또는 상기 슬리브의 형상 변형에 의해, 상기 광섬유가 압압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한쪽의 클램프부가 상기 광섬유의 이동에 의한 인장력에 의해 전진 방향으로 끌여들여지고, 상기 한쪽의 클램프부는 가동 범위에서의 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광섬유에 인장력을 부가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클램프부가, 상기 광섬유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히터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의 후퇴 가동 범위가 확보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히터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전진 가동 범위가 확보되고, 이로써, 상기 제2 가압 부재에 의해 상기 히터로 상기 슬리브를 압압함으로써 부가되는 상기 광섬유에 대한 인장력을 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한쪽의 클램프부가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클램프부가 모두, 상기 광섬유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전후로 가동으로 되어 있는,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슬리브를 협지하여 대향 배치된 한쪽이 가동으로 되고, 다른 쪽의 측이 고정으로 되어 있는,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
  13.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에 의한 상기 슬리브에 대한 압압력은, 상기 광섬유의 융착 접속부의 파단 확인 시험의 장력을 상회하는 압압력인,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
  14.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를 협지하여 대향하는 상기 히터의 압압면이 수직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슬리브 중에 삽통된 항장력체의 중량을 이용하여 항상 상기 항장력체를 하방향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슬리브의 방향을 일정화시키는,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
  15.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가열이 종료된 후, 상기 히터를 즉시 상기 슬리브로부터 이격시켜 상기 슬리브에 대한 열전도를 차단하고, 상기 슬리브의 주위에 외기를 도입하여 상기 슬리브를 급냉하는,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
KR1020157001608A 2013-03-25 2014-03-25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 KR1016037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63014 2013-03-25
JPJP-P-2013-063014 2013-03-25
PCT/JP2014/058371 WO2014157255A1 (ja) 2013-03-25 2014-03-25 光ファイバ接続部補強加熱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893A KR20150018893A (ko) 2015-02-24
KR101603746B1 true KR101603746B1 (ko) 2016-03-15

Family

ID=5162422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1608A KR101603746B1 (ko) 2013-03-25 2014-03-25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
KR1020157007905A KR101692882B1 (ko) 2013-03-25 2014-03-25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7905A KR101692882B1 (ko) 2013-03-25 2014-03-25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4) US9274281B2 (ko)
EP (2) EP2884318B1 (ko)
JP (2) JP5702507B2 (ko)
KR (2) KR101603746B1 (ko)
CN (2) CN104718477B (ko)
WO (2) WO20141572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746B1 (ko) 2013-03-25 2016-03-15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
US10663666B2 (en) * 2013-12-05 2020-05-26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Flexible, low profile kink resistant fiber optic splice tension sleeve
JP5705365B1 (ja) * 2014-11-10 2015-04-22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把持装置
US9541710B2 (en) 2015-01-30 2017-01-10 Fujikura Ltd. Optical fiber holding device
USD825630S1 (en) * 2016-03-30 2018-08-14 Inno Instrument (China) .Inc Optical fiber fusion splicer
JP6628247B2 (ja) * 2016-05-19 2020-01-08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ファイバ融着接続部の補強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融着接続機
JP6154973B1 (ja) * 2017-02-24 2017-06-28 株式会社フジクラ 被覆除去装置
CN107045159A (zh) * 2017-06-08 2017-08-15 诺仪器(中国)有限公司 光纤熔接机用新型高效加热槽及光纤熔接机
WO2019067850A1 (en) * 2017-09-29 2019-04-04 Commscope Technologies Llc CONDUCTIVE HEATING ASSEMBLY FOR QUICKLY PROCESSING CONNECTORS FOR OPTICAL FIBERS; AND METHODS
CN107966119B (zh) * 2017-11-29 2019-11-12 江苏锡沂高新区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环绕式电缆损伤检测装置
CN109031528A (zh) * 2018-08-02 2018-12-18 北京信维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光纤熔接机多合一夹具
KR20210069638A (ko) * 2018-10-02 2021-06-11 스미토모 덴코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광파이버 융착 접속부의 보강 장치 및 그를 구비한 융착 접속기
US10641960B1 (en) * 2018-10-04 2020-05-0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a fiber optic splice
JPWO2020158240A1 (ja) * 2019-01-30 2021-12-02 住友電工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補強用スリーブ加熱装置及び融着接続機
KR20220016894A (ko) * 2019-06-05 2022-02-10 스미토모 덴코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융착 접속 시스템, 서버, 융착 접속기, 정보 단말, 및 프로젝트 관리 방법
US11327231B2 (en) * 2019-12-05 2022-05-10 Commscope Technologies Llc Flexible splice protector assembly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US20230341625A1 (en) * 2020-03-24 2023-10-26 Fujikura Ltd. Jig for fusion splicer and heating method
JP2022110946A (ja) * 2021-01-19 2022-07-2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補強スリーブ及び光ファイバ接続部の補強構造
KR102558712B1 (ko) * 2022-11-25 2023-07-26 유씨엘스위프트(주) 광섬유 슬리브 가열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2317A (ja) 2002-07-09 2004-02-12 Fujikura Ltd 熱収縮スリーブの加熱器
JP2005321644A (ja) 2004-05-10 2005-11-17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の補強スリーブ加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58405A (ja) 1985-12-28 1987-07-14 小橋工業株式会社 ロ−タリ農作業機
JPS62158405U (ko) * 1986-03-28 1987-10-08
JPH0423211Y2 (ko) * 1987-06-04 1992-05-29
JPH02193105A (ja) * 1989-01-23 1990-07-30 Fujikura Ltd 光ファイバ接続部補強器
JPH03293594A (ja) 1990-04-11 1991-12-25 Hitachi Ltd 自動遠隔操作補助装置
JPH04165375A (ja) 1990-10-29 1992-06-11 Kyocera Corp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3337874B2 (ja) * 1995-07-06 2002-10-2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加熱補強装置
JPH10332979A (ja) * 1997-05-30 1998-12-18 Fujikura Ltd 光ファイバ接続部補強用熱収縮スリーブの加熱装置及び加熱方法
JP3245850B2 (ja) * 1997-08-25 2002-01-1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心線の被覆除去装置
JP2000321462A (ja) * 1999-05-11 2000-11-24 Fujikura Ltd 線材補強用スリーブの加熱方法
JP3293594B2 (ja) 1999-06-29 2002-06-1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融着接続部の保護部材加熱装置及び加熱方法
JP2004325623A (ja) * 2003-04-23 2004-11-18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融着接続部補強装置及び融着接続部補強方法
JP4165375B2 (ja) 2003-11-13 2008-10-1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補強部材の加熱処理装置及び加熱処理方法並びに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
US7212718B2 (en) 2003-11-12 2007-05-01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heat-treatment of optical fiber reinforcing member and optical fiber fusion splicing apparatus
KR100859070B1 (ko) 2005-06-09 2008-09-17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가열 보강 처리 장치,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융착 접속기,및 융착 접속 방법
AU2006235914B8 (en) * 2005-06-09 2009-01-22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Splice protection heater, fusion splicer including the splice protection heater, and fusion splicing method
JP4161984B2 (ja) * 2005-06-09 2008-10-0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の加熱補強処理装置及び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並びに融着接続方法
JP2007310080A (ja) * 2006-05-17 2007-11-29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補強処理装置及び補強処理方法
JP5276483B2 (ja) * 2009-03-11 2013-08-2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接続部の補強方法及び補強構造
JP5053318B2 (ja) 2009-03-13 2012-10-1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熱収縮性補強スリーブの加熱装置及び融着接続機
AU2010230040A1 (en) 2009-03-26 2011-09-29 Nestec S.A. A jaw support for a pouch filler
JP5224385B2 (ja) 2009-04-10 2013-07-0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補強部材の加熱処理装置及び加熱処理方法
JP5309403B2 (ja) * 2010-12-24 2013-10-09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ファイバ補強用加熱器及び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
CN202548383U (zh) * 2012-05-12 2012-11-21 刘荣伟 热熔型光纤活动连接器
KR101603746B1 (ko) * 2013-03-25 2016-03-15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2317A (ja) 2002-07-09 2004-02-12 Fujikura Ltd 熱収縮スリーブの加熱器
JP2005321644A (ja) 2004-05-10 2005-11-17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の補強スリーブ加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57255A1 (ja) 2014-10-02
US20150198765A1 (en) 2015-07-16
US20160131840A1 (en) 2016-05-12
US9448362B2 (en) 2016-09-20
KR20150018893A (ko) 2015-02-24
CN104718477B (zh) 2018-10-26
CN104718477A (zh) 2015-06-17
EP2884318A1 (en) 2015-06-17
JPWO2014157255A1 (ja) 2017-02-16
US9274281B2 (en) 2016-03-01
CN104428705A (zh) 2015-03-18
WO2014157254A1 (ja) 2014-10-02
KR101692882B1 (ko) 2017-01-04
EP2866066A4 (en) 2016-03-23
JP5702507B2 (ja) 2015-04-15
US9429708B2 (en) 2016-08-30
US9465167B2 (en) 2016-10-11
JP5663702B1 (ja) 2015-02-04
US20160202416A1 (en) 2016-07-14
JPWO2014157254A1 (ja) 2017-02-16
EP2884318B1 (en) 2017-05-31
EP2866066A1 (en) 2015-04-29
US20150185419A1 (en) 2015-07-02
KR20150046314A (ko) 2015-04-29
EP2866066B1 (en) 2017-11-22
EP2884318A4 (en) 2016-04-20
CN104428705B (zh) 2016-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3746B1 (ko) 광섬유 접속부 보강 가열 장치
EP2241914B1 (en) Optical fiber cable holder, fusion splicer including the holder, and fusion splicing method using the holder
CN102713710A (zh) 光连接器、光连接器的组装方法、熔敷连接部的加强方法、销夹紧件、带盖光连接器、光连接器用盖、光连接器的组装工具以及光连接器组装套件
JP6667310B2 (ja) 補強スリーブの加熱装置および融着接続機
EP2657736A1 (en) Heating device for optical-fiber reinforcement, and optical-fiber fusion splicing device
KR20130140911A (ko) 광섬유 융착 접속기
JP2016167013A (ja) 光ファイバの融着接続方法および融着接続装置
WO2000065388A1 (en) Optical fiber splicing apparatus
EP3837574B1 (en) Fusion splicer
JP4752730B2 (ja) 光ファイバの加熱補強処理装置及び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
JP3337874B2 (ja) 光ファイバ加熱補強装置
CN216411636U (zh) 熔接机
KR20220060554A (ko) 융착 접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