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0911A - 광섬유 융착 접속기 - Google Patents

광섬유 융착 접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0911A
KR20130140911A KR1020137031806A KR20137031806A KR20130140911A KR 20130140911 A KR20130140911 A KR 20130140911A KR 1020137031806 A KR1020137031806 A KR 1020137031806A KR 20137031806 A KR20137031806 A KR 20137031806A KR 20130140911 A KR20130140911 A KR 20130140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windbreak
opening
closing
cl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1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1503B1 (ko
Inventor
가쓰미 사사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078259A external-priority patent/JP5209126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206309A external-priority patent/JP5364832B1/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ublication of KR20130140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0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3Splicing machines, e.g. optical fibre fusion splic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융착 접속기는, 회전축을 가지고, 상기 회전축 주위로 회전하여 개폐 가능한 방풍 커버; 방풍 커버의 상기 회전축과 같은 축선 상에 방풍 커버와 연결 고정 또는 방풍 커버의 일부로서 형성된, 상기 회전축 주위에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삭재 권취부; 회전 풀리, 비회전 풀리, 또는 회전 기어인 제1 삭재 권괘부; 상기 삭재 권취부와 상기 제1 삭재 권괘부에 감겨 걸린 변형 가능한 삭재를 포함하여 폐루프를 구성하는 폐루프 부재; 및 상기 방풍 커버가 폐쇄된 것을 검지하고, 상기 방풍 커버를 폐쇄하는 동작을 행하여도 상기 방풍 커버가 폐쇄된 것을 상기 검지기가 검지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후의 융착 접속 동작으로 이행하지 않고 경고 표시를 행하도록 구성된 검지기를 포함하고, 구동 기구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삭재 권취부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삭재에 인장력을 부여하면, 상기 방풍 커버가 개방되고, 상기 삭재 권취부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삭재에 상기 인장력을 부여하면, 상기 방풍 커버가 폐쇄되며, 하기 (i) 내지 (iv)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시키는 것을 광섬유 융착 접속기. (i) 상기 폐루프 부재가, 상기 삭재의 양단을 연결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ii) 상기 삭재 중 적어도 일부가 탄성을 가진다. (iii) 상기 제1 삭재 권괘부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삭재를 탄성 부세(付勢)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iv) 상기 융착 접속기는, 상기 삭재가 감겨 걸리고, 상기 삭재를 탄성 부세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 삭재 권괘부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광섬유 융착 접속기 {OPTICAL FIBER FUSION SPLICER}
본 발명은 광섬유 융착(融着) 접속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광섬유끼리를 가열하여 융착 접속하는 가열 융착부를 덮는 개폐 가능한 방풍 커버를 가지는 광섬유 융착 접속기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2년 3월 29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2-78259호, 및 2012년 9월 19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2-206309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광섬유 융착 접속기로서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단심 광섬유(single optical fiber)를 한 쌍의 전극봉 사이에서 방전 가열함으로써 융착 접속하는 장치(단심기, fusion splicer for single fiber), 또는 다심 광섬유(테이프 섬유)끼리를 한 쌍의 전극봉 사이에서 방전 가열함으로써 일괄하여 융착 접속하는 장치(다심기, fusion splicer for multi fiber)가 제공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광섬유 융착 접속기(이하, 단지 융착 접속기라고도 함)로서는, 다음과 같은 기능, 구성을 가지는 장치가 널리 제공되고 있다(특허문헌 1).
(1) 광섬유를 2개의 조명 광원을 사용하여 2방향에서 광을 조사하고, 2개의 렌즈와 2개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2방향에서 광섬유를 2축으로 촬상(2축 관찰)한다.
(2) 한 쌍의 전극봉 사이에 배치되는 가열 융착부의 양측에 한 쌍의 V자 홈을 가진다. 이 한 쌍의 V자 홈은, 융착 접속되는 광섬유의 선단(先端)을 한 쌍의 전극봉 사이에 위치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V자 홈은, 가열 융착부를 통하여, 한 쌍의 전극봉이 배치되는 장치 본체 상면을 따르도록 설치되고, 또한 한 쌍의 전극봉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전후 방향)에 수직인 방향(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광섬유로서는 광섬유 심선(心線), 또는 광섬유 소선(素線) 등의 피복 광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많다. 광섬유(피복 광섬유) 선단의 피복이 제거된 광섬유 유리부는, V자 홈 위에 배치되고, 위쪽에서 광섬유 유리부를 V자 홈에 밀어붙이는 섬유 클램프 부재와 V자 홈 사이에 파지(把持)된다.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2개의 광섬유에 대응하여, V자 홈과 섬유 클램프 부재의 세트는 2세트 설치된다.
(3) 좌우의 광섬유의 피복 부분을 파지하기 위하여, 장치 본체의 좌우 방향으로 가동(可動)의 피복 클램프를 설치하거나, 또는 섬유 홀더를 좌우 방향으로 1개씩, 장치 본체의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배치한다.
(4) 전극봉 사이에 발생하는 방전은 바람에 민감하고, 약간의 바람을 받는 것에 의해서도 방전의 요동이 발생한다. 그래서 융착 접속기로서는, 전극봉, V자 홈, 섬유 클램프 부재, 및 피복 클램프, 또는 섬유 홀더를 덮는, 개폐 가능한 방풍 커버를 설치한 구성이 채용되고 있다. 방풍 커버는, 전극봉 등을 덮음으로써, 바람이 한 쌍의 전극봉 사이의 방전부에 도달하지 않는 밀폐 구조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융착 접속기에 있어서 광섬유를 장착하는 조작은 하기와 같다.
(a) 피복 클램프 방식: 커버를 닫아, 단심 광섬유를 피복 클램프로 끼워 파지한다. 대형의 피복 클램프는 다양한 피복 직경의 단심 광섬유를 파지할 수 있다.
또한, 피복 클램프는 장치(융착 접속기)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피복 클램프를 분실할 우려가 없다.
(b) 섬유 홀더 방식: 융착 접속기와는 별개의 섬유 홀더를 융착 접속기 위에 탑재한다. 섬유 홀더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pivotally attached)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덮개판 사이에, 광섬유를 끼워넣어 파지한다. 또한, 섬유 홀더는 광섬유를 파지한 상태로 융착 접속기에 탑재된다.
섬유 홀더는 피복 제거, 절단, 및 융착 각 공정에서 광섬유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그러나, 섬유 홀더 방식에서는, 피복 직경 또는 심선 수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섬유 홀더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167151호
종래의 융착 접속기의 방풍 커버는, 일반적으로 수동으로 개폐 조작을 할 수 있는 1개 또는 복수의 커버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융착 접속기를 사용하여 광섬유의 융착 접속 작업을 행하는 경우, 방풍 커버를 수동으로 개폐한다.
즉, 종래의 융착 접속기를 사용한 광섬유를 융착 접속하는 작업은, 먼저, 방풍 커버를 개방한 상태로 하여, 융착 접속기에 광섬유를 장착한다. 피복 클램프 방식의 융착 접속기의 경우에는, 피복 클램프에 광섬유를 끼워넣는다. 섬유 홀더 방식의 융착 접속기의 경우에는, 광섬유를 끼워넣은 섬유 홀더를 융착 접속기에 탑재한다.
융착 접속기에의 광섬유의 장착이 완료되었으면 방풍 커버를 닫고, 이어서, 융착 접속기의 접속 개시 스위치를 온(on)으로 하는 조작을 한다. 이로써, 광섬유를 소정의 위치에 전진시켜, 전극봉 사이에서의 방전에 의해, 좌우의 광섬유를 접합하고, 광섬유를 융착 접속한다. 전극봉 사이의 방전은 소정 시간 행해진 후, 자동으로 정지하고, 접속부의 검사를 행한다. 융착 접속의 완료 후, 방풍 커버를 열어 광섬유를 인출한다.
전술한 종래의 융착 접속기에서는, 융착 접속을 행하는 광섬유를 장착한 후, 방풍 커버를 수동으로 확실하게 폐쇄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하루에 수백 개의 광섬유의 융착 접속 작업을 행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융착 접속기에 있어서는, 광섬유의 융착 접속의 작업 시간의 단축, 작업성 향상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광섬유의 융착 접속의 작업 시간의 단축 및 작업성 향상을 실현할 수 있는 융착 접속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이하의 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른 광섬유 융착 접속기는, 회전축을 가지고, 상기 회전축 주위로 회전하여 개폐 가능한 방풍 커버; 방풍 커버의 상기 회전축과 같은 축선 상에 방풍 커버와 연결 고정 또는 방풍 커버의 일부로서 형성된, 상기 회전축 주위에서 정(正)방향 또는 역(逆)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삭재(索材, rope member) 권취부(winding section); 회전 풀리(pulley), 비회전 풀리, 또는 회전 기어인 제1 삭재 권괘부(卷掛部); 상기 삭재 권취부와 상기 제1 삭재 권괘부에 감겨 걸린 변형 가능한 삭재를 포함하여 폐루프(closed loop)를 구성하는 폐루프 부재; 및 상기 방풍 커버가 폐쇄된 것을 검지하고, 상기 방풍 커버를 폐쇄하는 동작을 행하여도 상기 방풍 커버가 폐쇄된 것을 상기 검지기가 검지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후의 융착 접속 동작으로 이행하지 않고 경고 표시를 행하도록 구성된 검지기를 포함하고, 구동 기구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삭재 권취부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삭재에 인장력(引張力)을 부여하면, 상기 방풍 커버가 열리고, 상기 삭재 권취부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삭재에 상기 인장력을 부여하면, 상기 방풍 커버가 닫히고, 하기 (i) 내지 (iv)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융착 접속기.
(i) 상기 폐루프 부재가, 상기 삭재의 양단을 연결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ii) 상기 삭재 중 적어도 일부가 탄성을 가진다.
(iii) 상기 제1 삭재 권괘부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삭재를 탄성 부세(付勢)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iv) 상기 융착 접속기는, 상기 삭재가 감겨 걸리고, 상기 삭재를 탄성 부세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 삭재 권괘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풍 커버를 폐쇄하는 동작을 행하여도 상기 방풍 커버가 폐쇄된 것을 상기 검지기가 검지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방풍 커버를 여는 동작과 상기 개방 동작 후에 행해지는 상기 방풍 커버를 폐쇄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커버 폐쇄 보조 동작을 1 사이클 이상 실행하고, 미리 설정된 횟수의 상기 커버 폐쇄 보조 동작의 완료 시 또는 완료 전에 상기 방풍 커버가 폐쇄된 것을 상기 검지기가 검지한 경우, 그 검지 후에 커버를 폐쇄하는 동작을 행하지 않고 융착 접속 동작이 가능한 상태가 되고, 미리 설정된 횟수의 상기 커버 폐쇄 보조 동작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도, 상기 방풍 커버가 폐쇄된 것을 상기 검지기가 검지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후의 융착 접속 동작으로 이행하지 않고 경고 표시를 행해도 된다.
상기 방풍 커버에서의 상기 삭재 권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를 압압(押壓)하여 상기 방풍 커버를 밀어 올리는 밀어올림 샤프트를 더 포함해도 된다.
상기 구동 기구가, 상기 구동력에 의해 상기 삭재에 인장력을 가하는 동시에 상기 밀어올림 샤프트를 밀어 올려도 된다.
상기 구동 기구의 상기 구동력에 의해 이동 또는 회전되는 동력 전달 부재; 상기 삭재 또는 회전 가능한 상기 제1 삭재 권괘부에 설치된 동력 받이 돌출부(power receiving protrusion); 및 상기 동력 전달 부재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동력 받이 돌출부를 압동(押動)하여 상기 삭재를 전송 이동하는 압동용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력 받이 돌출부 및 상기 압동용 돌출부 중 한쪽인 제1 부재가 1개 설치되고, 상기 동력 받이 돌출부 및 상기 압동용 돌출부 중 다른 쪽인 제2 부재가 서로 이격되어 2개 설치되고,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2개의 제2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2개의 제2 부재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2개의 제2 부재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방풍 커버를 개방하는 동작 또는 상기 방풍 커버를 폐쇄하는 동작 후에, 상기 구동 기구의 상기 구동력에 의해 상기 동력 전달 부재를 이동 또는 회전하여, 상기 제1 부재를, 상기 2개의 제2 부재의 양쪽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동력 전달 부재를 이동하지 않고, 방풍 커버가 수동으로 개폐 가능해도 된다.
상기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광섬유 융착 접속기에 의하면, 방풍 커버의 개폐 조작을 자동으로 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광섬유의 융착 접속의 작업 시간의 단축 및 작업성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광섬유 융착 접속기에 의하면, 전동 구동원의 구동력을 폐루프 부재를 통하여 방풍 커버에 전달하여 방풍 커버를 개폐하는 구성이므로, 방풍 커버에 대한 전동 구동원의 설치 위치의 자유도가 높고, 융착 접속기전체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광섬유 융착 접속기는, 하기 (i) 내지 (iv)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시킨다.
(i) 상기 폐루프 부재가, 상기 삭재의 양단을 연결하는 탄성 부재를 가진다.
(ii) 상기 삭재 중 적어도 일부가 탄성을 가진다.
(iii) 상기 제1 삭재 권괘부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삭재를 탄성 부세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iv) 상기 융착 접속기는, 상기 삭재가 감겨 걸리고, 상기 삭재를 탄성 부세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 삭재 권괘부를 더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해, 예를 들면, 방풍 커버를 폐쇄하는 동작 시의 이물질의 끼임, 방풍 커버 개방 동작 시의 방풍 커버에 장애물이 접촉되었을 때, 전동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삭재를 전송 이동(삭재에 장력을 작용시킴)하여 방풍 커버를 회전시키는 구동 기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융착 접속기는, 구동 기구의 구동에 의한 커버를 열거나 커버를 폐쇄하는 동작 중, 및 이들 동작을 행하고 있지 않을 때, 작업자가 손으로 직접 방풍 커버에 접촉하여 방풍 커버를 수동으로 개폐하는 조작을, 구동 기구를 파손시키지 않고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 융착 접속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며, 가열 융착부의 좌우 양측에 피복 클램프를 배치한 구성의 융착 접속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 융착 접속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며, 가열 융착부의 좌우 양측의 가동 스테이지 위에 섬유 홀더가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는 구성의 융착 접속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광섬유 융착 접속기를 나타낸 전체 측면도(우측면도)이며, 방풍 커버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광섬유 융착 접속기의 방풍 커버 부근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우측단면도)이며, 방풍 커버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광섬유 융착 접속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며, 방풍 커버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광섬유 융착 접속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며, 방풍 커버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광섬유 융착 접속기의 양측의 가동 스테이지 위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는 섬유 홀더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광섬유 융착 접속기의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커버 개폐 기구의 제1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방풍 커버가 폐쇄된 상태를 접속기 오른쪽 비스듬히 앞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방풍 커버가 폐쇄된 상태를 접속기 왼쪽 비스듬히 앞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방풍 커버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방풍 커버가 폐쇄된 상태를 접속기 앞쪽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의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방풍 커버가 폐쇄된 상태를 접속기 오른쪽에서 본 도면(우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의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8의 상태로부터 전동 구동원을 구동하여 행하는 커버 개방 동작에 의해 방풍 커버를 개방한 상태를 접속기 오른쪽 비스듬히 앞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의 접속기 외쪽 비스듬히 앞 아래쪽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의 접속기 위쪽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의 접속기 앞쪽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3의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의 접속기 오른쪽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우측면도)이다.
도 18a는, 도 1의 광섬유 융착 접속기의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에 대하여 방풍 커버가 폐쇄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1의 A-A선 단면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8b는, 도 1의 광섬유 융착 접속기의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에 대하여 방풍 커버가 폐쇄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1의 커버 개폐 기구 부근을 접속기 앞쪽에서 본 부분 정면도이다.
도 19a는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에 대하여, 도 18a 및 도 18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방풍 커버를 전동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여 반 개방한 상태로 했을 때의, 도 18a와 같은 시점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b는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에 대하여, 도 18a 및 도 18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방풍 커버를 전동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여 반 개방한 상태로 했을 때의, 도 18b와 같은 시점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a는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에 대하여, 도 19a 및 도 19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방풍 커버를 더욱 회전하여 완전 개방한 상태로 했을 때의, 도 18a와 같은 시점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b는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에 대하여, 도 19a 및 도 19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방풍 커버를 더욱 회전하여 완전 개방한 상태로 했을 때의, 도 18b와 같은 시점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a는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에 대하여, 도 20a 및 도 20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커버 개폐 기구의 압동용 돌출부를 전동 구동원의 구동에 의해 하강시켜, 폐루프 부재의 아래쪽 동력 받이 부재에 접근하여 배치했을 때의, 도 18a와 같은 시점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b는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에 대하여, 도 20a 및 도 20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커버 개폐 기구의 압동용 돌출부를 전동 구동원의 구동에 의해 하강시켜, 폐루프 부재의 아래쪽 동력 받이 부재에 접근하여 배치했을 때의, 도 18b와 같은 시점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a는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에 대하여, 도 21a 및 도 21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전동 구동원의 구동에 의해 방풍 커버를 회전하여 반 개방한 상태로 했을 때의, 도 18a와 같은 시점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b는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에 대하여, 도 21a 및 도 21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전동 구동원의 구동에 의해 방풍 커버를 회전하여 반 개방한 상태로 했을 때의, 도 18b와 같은 시점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a는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에 대하여, 도 22a 및 도 22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방풍 커버를 폐쇄하는 동작을 완료했을 때의, 도 18a와 같은 시점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b는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에 대하여, 도 22a 및 도 22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방풍 커버를 폐쇄하는 동작을 완료했을 때의, 도 18b와 같은 시점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a는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에 대하여, 도 18a 및 도 18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수동으로 방풍 커버를 개방했을 때의, 도 18a와 같은 시점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b는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에 대하여, 도 18a 및 도 18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수동으로 방풍 커버를 개방했을 때의, 도 18b와 같은 시점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a는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에 대하여, 도 21a 및 도 21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수동으로 방풍 커버를 폐쇄했을 때의, 도 18a와 같은 시점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b는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에 대하여, 도 21a 및 도 21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수동으로 방풍 커버를 폐쇄했을 때의, 도 18b와 같은 시점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a는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에 대하여, 도 18a 및 도 18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전동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방풍 커버를 개방하는 동작 중의 장해에 의해, 폐루프 부재의 탄성 부재가 길게 늘어났을 때의, 도 18a와 같은 시점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b는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에 대하여, 도 18a 및 도 18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전동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방풍 커버를 개방하는 동작 중의 장해에 의해, 폐루프 부재의 탄성 부재가 길게 늘어났을 때의, 도 18b와 같은 시점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a는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에 대하여, 도 21a 및 도 21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전동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방풍 커버를 폐쇄하는 동작 중의 장해에 의해, 폐루프 부재의 탄성 부재가 길게 늘어났을 때의, 도 18a와 같은 시점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b는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에 대하여, 도 21a 및 도 21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전동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방풍 커버를 폐쇄하는 동작 중의 장해에 의해, 폐루프 부재의 탄성 부재가 길게 늘어났을 때의, 도 18b와 같은 시점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 융착 접속기의 커버 개폐 기구의 제1 변형예(커버 개폐 기구의 제2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방풍 커버가 폐쇄된 상태를 융착 접속기 오른쪽 비스듬히 앞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방풍 커버가 폐쇄된 상태를 융착 접속기 왼쪽 비스듬히 앞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8의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방풍 커버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1은, 도 28의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방풍 커버가 폐쇄된 상태를 융착 접속기 앞쪽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32는, 도 28의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방풍 커버가 폐쇄된 상태를 융착 접속기 오른쪽에서 본 도면(우측면도)이다.
도 33은, 도 28의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를, 도 28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전동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개방했을 때의, 융착 접속기 오른쪽 비스듬히 앞 위쪽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4는, 도 28의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를, 도 28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전동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개방했을 때의, 융착 접속기 왼쪽 비스듬히 앞 아래쪽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5는, 도 28의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를, 도 28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전동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개방했을 때의, 융착 접속기 위쪽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6은, 도 28의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를, 도 28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전동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개방했을 때의, 융착 접속기 앞쪽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7은, 도 28의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를, 도 28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전동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개방했을 때의, 융착 접속기 오른쪽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우측면도)이다.
도 38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 융착 접속기의 커버 개폐 기구의 제2 변형예(커버 개폐 기구의 제3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방풍 커버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8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 융착 접속기의 커버 개폐 기구의 제2 변형예(커버 개폐 기구의 제3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방풍 커버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9는 본 발명 일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 융착 접속기의 2분할 방풍 커버와, 그 2분할 방풍 커버를 구성하는 앞 방풍 커버 및 뒤 방풍 커버 각각에 설치된 개폐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2분할 방풍 커버가 폐쇄된 상태를 융착 접속기 오른쪽 비스듬히 앞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0은, 도 39의 2분할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융착 접속기 왼쪽 비스듬히 앞 아래쪽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1은, 도 39의 2분할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42는. 도 39의 2분할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융착 접속기 앞쪽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3은, 도 39의 2분할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융착 접속기 오른쪽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우측면도)이다.
도 44는, 도 39의 2분할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에 대하여, 도 39 상태로부터 전동 구동원을 구동하여 행하는 커버 개방 동작에 의해 2분할 방풍 커버를 개방한 상태를 융착 접속기 오른쪽 비스듬히 앞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5는, 도 44의 2분할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를 융착 접속기 왼쪽 비스듬히 앞 아래쪽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6은, 도 44의 2분할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를 융착 접속기 위쪽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7은, 도 44의 2분할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를 융착 접속기 앞쪽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8은, 도 44의 2분할 방풍 커버 및 그 개폐 기구를 융착 접속기 오른쪽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우측면도)이다.
도 49는, 도 18a 및 도 18b의 커버 개폐 기구의 폐루프 부재와, 방풍 커버의 회전축 및 그 아래쪽의 풀리와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0은, 도 38a 및 도 38b에 나타낸 커버 개폐 기구의 변형예(커버 개폐 기구의 제4 예)에서의, 폐루프 부재와, 방풍 커버 회전축 및 그 아래쪽의 풀리와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1은, 도 38a 및 도 38b의 커버 개폐 기구의 변형예(커버 개폐 기구의 제5 예)에서의, 폐루프 부재와, 방풍 커버 회전축 및 그 아래쪽의 풀리와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2는 커버 개폐 기구의 제6 예에서의, 폐루프 부재와, 방풍 커버 회전축에 장착한 기어 및 그 아래쪽에 설치된 기어와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3은 커버 개폐 기구의 제7 예에서의, 폐루프 부재와, 방풍 커버 회전축 및 그 아래쪽의 풀리와 텐션 롤러(tension roller)와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4a는 커버 개폐 기구의 제8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방풍 커버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4b는 커버 개폐 기구의 제8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방풍 커버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 융착 접속기(이하, 단지 융착 접속기라고도 함)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도 6은 이 융착 접속기(20)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3∼도 6에 나타낸 융착 접속기(20)(도면 중 부호 20A를 부기함)는, 피복 클램프 방식의 융착 접속기이다. 도 2에 나타낸 융착 접속기(20)(도면 중 부호 20B를 부기함)는, 섬유 홀더 방식의 융착 접속기이다.
도 1 및 도 3∼도 6에 나타낸 융착 접속기(20A)는, 가동 스테이지(22)(후술) 위에 클램프 아래 부재(51)를 고정하여 장착한 피복 클램프(50)(후술)를 가진다.
도 2에 나타낸 융착 접속기(20B)는, 피복 클램프(섬유 홀더)가 가동 스테이지(22)(후술) 위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점에서 피복 클램프 방식의 융착 접속기(20A)와 다르고, 다른 구성은 융착 접속기(20A)와 공통된다.
도 1에 있어서, 이 융착 접속기(20A)에 의해 융착 접속하는 한 쌍의 광섬유(90) 중, 한쪽의 광섬유에 부호 91, 다른 쪽의 광섬유에 부호 92를 부기한다.
여기서 예시하는 광섬유(90)로서는, 광섬유 심선 또는 광섬유 소선 등에 포함되는 광섬유 유리부(90a)(베어 광섬유, bare optical fiber)의 외주에 합성 수지제의 피복재(90c)(코팅 피복)가 피착(被着), 일체화된 구성의 피복 광섬유를 사용한다.
도 1 및 도 3∼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융착 접속기(20A)는, 외관 상자형의 장치 본체(21)와, 이 장치 본체(21) 상부에 내장되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가동 스테이지(22)를 가진다. 또한, 이 융착 접속기(20A)는, 장치 본체(21) 위에, 한 쌍의 전극봉(24), 각 가동 스테이지(22) 위에 하나씩 장착된 피복 클램프(50), 한 쌍의 홈 형성 기판(23), 및 방풍 커버(60)를 가진다.
융착 접속기(20A)는, 서로 대향하여 설치되는 첨예한 한 쌍의 전극봉(24)의 선단 사이의 방전에 의해, 광섬유(91, 92)의 선단끼리를 가열 융착할 수 있다.
도 3∼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전극봉(24)은, 서로 대향하는 선단 사이의 영역(공간)인 방전부(24a)를 통하여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가동 스테이지(22)는, 한 쌍의 전극봉(24)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한 쌍의 전극봉(24)의 양쪽의 선단을 포함하는 선분]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도 3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전극봉(24)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 및 한 쌍의 가동 스테이지(22)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은, 장치 상하 방향(도 1∼도 4에 있어서 상하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다.
그리고, "장치 상하 방향"은, 전극봉(24)이 배치되어 있는 상면(21a)을 위쪽, 그 상면(21a)과는 반대인 하면 측을 아래쪽으로 하는 장치 본체(21)의 상하 방향(도 1∼도 4에 있어서 상하 방향)에 일치하는 방향을 가리킨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융착 접속기(20)에 대하여, 한 쌍의 가동 스테이지(22)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도 1, 도 2의 좌우 방향, 도 3, 도 4의 지면(紙面) 안쪽 방향, 도 5, 도 6의 상하 방향)을 좌우 방향, 한 쌍의 전극봉(24)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도 1, 도 2의 지면 안쪽 방향, 도 3∼도 6의 좌우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서 설명한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융착 접속기(20)는, 장치 본체(21)에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 모니터 장치(31) 및 보강 슬리브(reinforcing sleeve) 가열기(32)를 가진다.
융착 접속기(20)에 대하여, 모니터 장치(31) 측(도 3, 도 4에 있어서 왼쪽)을 앞, 보강 슬리브 가열기(32) 측(도 3, 도 4에 있어서 오른쪽)을 뒤로서 설명한다. 도 5, 도 6에 있어서는, 왼쪽이 앞, 오른쪽이 뒤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도 1∼도 4, 도 7에 있어서 위쪽을 위, 아래쪽을 아래, 도 5, 도 6에 있어서 지면 바로 앞쪽을 위, 지면 안쪽을 아래로서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 장치(31)는 패널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장치 본체(21)의 상부 앞쪽에는, 모니터 장치(31)를 장치 본체(2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힌지 핀(hinge pin)(31b)이 장착되어 있다. 힌지 핀(31b)은, 구체적으로는, 장치 본체(21)의 전면(前面)(21b)[하우징(29)의 전면] 상부에서 융착 접속기의 앞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1c)에 지지되어 있다.
모니터 장치(31)는, 장치 본체(21)에 힌지 핀(31b)을 통하여 장착된 기단부(基端部)(31a)로부터 힌지 핀(31b)이 설치되는 쪽과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모니터 장치(31)는, 힌지 핀(31b)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의해, 융착 접속기 좌우방향에서의 힌지 핀(31b)의 축선 주위에 장치 본체(21)에 대한 방향을 변경 가능하다. 모니터 장치(31)는, 장치 본체(21)에 대한 회전 저항이, 작업자가 손으로 직접 접촉하여 장치 본체(21)에 대하여 수동으로 회전 가능, 또한 회전력을 부여하고 있지 않을 때는 장치 본체(21)에 대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한 정도의 강도(크기)로 조정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융착 접속기(20)의 장치 본체(21)에는, 방전부(24a)[또는 방전부(24a)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광섬유를 촬상하기 위한 카메라(71)가 내장되어 있다. 융착 접속기(20)는, 카메라(71)가 촬상한 화상을 모니터 장치(31)(도 3 참조)에 설치되는 표시면(31c)에 표시하게 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메라(71)는, 장치 본체(21) 내의 2곳에, 전후 방향으로 서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내장되어 있다. 2곳의 카메라(71) 중, 앞쪽에 위치하는 제1 카메라에 도면 중 부호 71a, 뒤쪽에 위치하는 제2 카메라에 도면 중 부호 71b를 부기한다.
또한, 각 카메라(71a, 71b)에는, 이들 방전부(24a) 측에 배치된 렌즈(73a, 73b)가 내장되어 있다. 각 카메라(71a, 71b)는 방전부(24a) 또는 방전부(24a)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광섬유(90)를, 장치 본체(21)에 설치된 렌즈(73a, 73b)를 통하여 촬상한다.
방풍 커버(60)의 안쪽에는, 방전부(24a) 및 방전부(24a)에 가까운 위치에 카메라(71)로 촬상할 때 광을 조사하기 위한, 촬상용 광원(72a, 72b)이 배치되어 있다.
이 융착 접속기(20)는, 광섬유(90)를 2개의 촬상용 광원(72a, 72b)으로 2방향에서 조사하고, 2개의 렌즈(73a, 73b)와 2개의 카메라(71a, 71b)로, 광섬유(90)를 2축으로 촬상하는 2축 관찰을 실현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융착 접속기(20)에 있어서, 방풍 커버(60)를 닫았을 때, 촬상용 광원(72a)과 제2 카메라(71b)가 방전부(24a)를 통하여 대향 배치되고, 촬상용 광원(72b)과 제1 카메라(71a)가 방전부(24a)를 통하여 대향 배치된다.
촬상용 광원(72a, 72b)으로서는, 예를 들면, 발광 다이오드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촬상용 광원(72a, 72b)은, 적어도, 카메라(71)로 광섬유를 촬상할 때 점등하면 된다. 그러므로, 촬상용 광원(72a, 72b)은, 예를 들면, 카메라(71)에 의한 광섬유의 촬상 때에만 점등하고, 촬상 시 이외에는 소등할 수도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 슬리브 가열기(32)는 장치 본체 상면(21a)의 전단부 위에 고정되어 있다.
보강 슬리브 가열기(32)는, 광섬유(91, 92)의 융착 접속 및 접속부 검사의 완료 후에, 광섬유(91, 92)끼리의 융착 접속부를, 가열하여 수축시킨 열수축성의 보강 슬리브로 덮음으로써, 광섬유(91, 92)끼리의 융착 접속부를 보강하는 장치이다.
작업자가 융착 접속기(20)를 사용하여 광섬유(90)끼리의 융착 접속 작업을 행할 때는, 융착 접속기(20)를, 그 전면 측(앞쪽)이 작업자 쪽이 되는 방향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니터 장치(31)는 장치 본체(21)의 전면(21b)을 따라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니터 장치(31)가 장치 본체(21)의 전면(21b)을 따라 배치되었을 때, 표시면(31c)과는 반대 측의 배면이 장치 본체 전면(21b)에 대면하여 배치된다. 모니터 장치(31)는 장치 본체(21)에 대하여 전면(21b)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작업자가 융착 접속기(20) 앞쪽에서 표시면(31c)을 눈으로 확인하는 것을 용이하게 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스테이지(22)는 피복 클램프(50)[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클램프 아래 부재(51)]를 장착하기 위한 클램프 장착 테이블로서 기능한다.
가동 스테이지(22)는, 장치 본체(21)의 하우징(29) 내에 내장된 도시 생략된 동력원(스테이지용 동력원)의 구동력에 의해, 장치 본체(21)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즉, 가동 스테이지(22)는, 스테이지용 동력원의 구동에 의해, 방전부(24a)를 향해 진퇴 이동한다.
그리고, 스테이지용 동력원으로서는, 전자력에 의해 구동하여 동력을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전동 모터, 전자석, 솔레노이드 등이 바람직하다.
피복 클램프(50)는, 가동 스테이지(22) 위에 고정된 판형의 클램프 아래(下) 부재(51)와, 이 클램프 아래 부재(5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클램프 아래 부재(51)의 상면(51a)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판형의 클램프 위(上) 부재(52)를 가진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프 위 부재(52)는, 클램프 아래 부재(51)의 장치 뒤쪽(융착 접속기 뒤쪽)의 단부(端部)에 설치된 중심축(pivot)(53)을 통하여 클램프 아래 부재(5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복 클램프(50)는, 클램프 아래 부재(51)와 클램프 위 부재(52) 사이에 광섬유(90)를 파지(把持) 고정 가능하다. 피복 클램프(50)는, 구체적으로는, 클램프 아래 부재(51)와 클램프 위 부재(52) 사이에, 광섬유(90)에서의 광섬유 유리부(90a)의 외주가 피복재(90c)에 의해 덮인 부분인 피복부(90d)를 파지 고정한다. 또한, 피복 클램프(50)는, 클램프 위 부재(52)의 클램프 아래 부재 상면(51a)에 대한 개폐에 의해, 광섬유(90)의 파지와 파지 해제를 전환 가능하다.
피복 클램프(50)는, 클램프 아래 부재(51)에 대하여 폐쇄된 클램프 위 부재(52)를 유지한 상태(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위 부재 유지부(도시 생략)를 가진다. 위 부재 유지부로서는, 클램프 아래 부재(51)에 내장된, 클램프 위 부재(52)의 금속부를 자기 흡착하는 영구 자석을 들 수 있다.
단, 위 부재 유지부로서는, 수동으로 클램프 위 부재(52)를 클램프 아래 부재(51)에 닫는 것만으로 클램프 위 부재(52)를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수동으로 유지를 해제할 수 있는 구성이 채용된다. 융착 접속기(20A)의 피복 클램프(50)를 사용하는 경우, 클램프 위 부재(52)의 클램프 아래 부재(51)에 대한 개폐를, 작업자가 직접 손가락으로 클램프 위 부재(52)를 조작하여 수동으로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위 부재 유지부로서는, 클램프 위 부재(52)의 금속부를 자기 흡착하는 영구 자석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수동으로 결합/해제 조작이 가능한 결합 클로우(engaging claw)를 이용해도 된다. 위 부재 유지부로서는, 융착 접속기의 피복 클램프에 대하여 종래 주지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광섬유(90)는, 피복 클램프(50)에 파지 고정됨으로써, 융착 접속기(20A)에 장착된다.
즉, 피복 클램프(50)는, 융착 접속기(20A)에 광섬유(90)를 장착하기 위한 섬유 장착부로서 기능한다.
융착 접속기(20A)를 사용하여 광섬유(91, 92)끼리를 융착 접속하는 작업에서는, 도 3의 가상선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풍 커버(60)를 개방한 상태에서, 피복 클램프(50)의 클램프 위 부재(52)를 수동으로 개폐 조작하여, 클램프 아래 부재(51)와 클램프 위 부재(52) 사이에 광섬유(90)[피복부(90d)]를 끼워넣는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복 클램프(50)에 파지 고정하는 광섬유(90)로서는, 미리 그 선단부의 피복재(90c)를 제거하여 광섬유 유리부(90a)가 노출된 것을 사용한다. 또한, 광섬유(90)는, 광섬유 유리부(90a)가 홈 형성 기판(23) 위에 형성된 위치결정 홈(23a) 위에 탑재되고, 또한 광섬유 유리부(90a)의 선단 측이 피복 클램프(50)로부터 방전부(24a) 측으로 돌출되도록, 피복 클램프(50)에 파지 고정된다.
광섬유(90)의 피복 클램프(50)[구체적으로는 클램프 아래 부재(51)]로부터 방전부(24a) 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이하, 돌출부(90b)라고도 한다.
도 1,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홈 형성 기판(23)은, 방전부(24a)와 그 좌우 양측의 가동 스테이지(22)와의 사이에 하나 씩(한 쌍)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홈 형성 기판(23)은, 피복 클램프(50)에 파지 고정하여 융착 접속기(20A)에 장착된 한 쌍의 광섬유(91, 92)의 선단[구체적으로는 광섬유 유리부(90a)의 선단]을, 위치결정 홈(23a)에 의해, 융착 접속기 좌우 방향의 동일 직선(가상 직선)에 고정밀도로 위치 맞춤하는 기능을 완수한다.
홈 형성 기판(23)의 위치결정 홈(23a)은, 장치 본체(21) 위에 고정하여 설치된 홈 형성 기판(23)의 상면(23b)(기판 상면)에, 융착 접속기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융착 접속기(20A)의 홈 형성 기판(23)의 위치결정 홈(23a)은 V자 홈이다. 단, 위치결정 홈(23a)으로서는, 광섬유(90)의 선단부에 노출시킨 광섬유 유리부(90a)를 고정밀도로 위치결정 가능하면 되고, V자 홈에 한정되지 않는다. 위치결정 홈(23a)으로서는, 예를 들면, 둥근 홈(단면 반원형의 홈), U자 홈, 사다리꼴 홈 등을 사용해도 된다.
그리고, 홈 형성 기판(23)의 재료로서, 방전 가열의 열에 견디기 위해 세라믹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광섬유의 축 정렬 기구(axial alignment mechanism)를 가지는 장치(융착 접속기)에 있어서는, 한 쌍의 홈 형성 기판(23)을 한 쌍의 광섬유 축 정렬 기구 위에 각각 고정한다. 한편, 광섬유의 축 정렬 기구를 가지지 않는 융착 접속기의 경우에는, 홈 형성 기판(23)을 장치 본체(21)의 상면(21a)에 직접 고정하여도 된다.
도 3∼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풍 커버(60)는, 장치 본체(21) 위에 지지된 회전축(61)을 통하여 장치 본체(21)에, 융착 접속기의 좌우 방향의 회전 축선을 기점(起点)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방풍 커버(60)는, 장치 본체(21)의 하우징(29) 내에 내장된 전동 구동원(9)(도 3 참조. 방풍 개폐용 동력원)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축(61)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장치 본체(21)에 대하여 개폐할 수 있다.
도시한 예의 전동 구동원(9)은, 구체적으로는 전동 모터이다.
또한, 도면 중, 융착 접속기 좌우 방향 오른쪽(융착 접속기 앞쪽에서 볼 때 오른쪽)의 회전축(61)에 부호 61a, 왼쪽의 회전축(61)에 부호 61b를 부기하고 있다.
도 4, 도 8∼도 2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풍 커버(60)는, 단면 U자형으로 융착 접속기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구조의 커버 본체(62)(도 8, 도 19a 등 참조)와, 그 길이 방향의 양단에 상기 커버 본체(62) 길이 방향으로 거의 수직으로 설치된 단판부(end plate portion)(63a, 63b)(도 9, 도 13 참조)를 가지고, 가늘고 긴 용기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단판부(63a, 63b)는 커버 본체(62) 안쪽의 홈 형의 공간의 연장 방향의 양단을 막도록 설치된다.
도 8, 도 9, 도 18a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풍 커버(60)의 커버 본체(62)는, 가늘고 긴 판형의 상판부(top plate portion)(64)와, 상판부(64)의 길이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서 리브형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측판부(side plate portion)(65a, 65b)를 가진다. 한 쌍의 측판부(65a, 65b)는, 상판부(64)의 폭 방향 양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측판부(65a, 65b)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도시한 예의 커버 본체(62)의 상판부(64)는, 긴 판형의 평판부(64a)와, 이 평판부(64a)의 폭 방향 양단으로부터 평판부(64a)에 대하여 경사지게 돌출된 경사판부(64b)를 가진다. 상판부(64)의 양측의 경사판부(64b)는, 평판부(64a)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서로의 이격 거리가 증대하는 쥘부채형으로, 평판부(64a)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각 경사판부(64b)는 평판부(64a)의 길이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된다. 또한, 커버 본체(62)의 한 쌍의 측판부(65a, 65b)는, 경사판부(64b)의 평판부(64a)와는 반대 측의 단부로부터 평판부(64a)에 대하여 수직의 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8, 도 9, 도 18a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본체(62)와 그 길이 방향 양측의 단판부(63a, 63b)로 에워싸인 안쪽 공간(66)[이하, 커버 안쪽 공간(66)이라고도 함]은, 커버 본체(62)에서의 상판부(64)와는 반대 측이, 커버 본체(62) 길이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서 개구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커버 본체(62)의 단면(斷面) 개구 측(도 8, 도 18a에 있어서 아래쪽)의 양단부(단면 양단부) 중 한쪽은, 회전축(61)을 통하여 장치 본체(21)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방풍 커버(60)는 장치 본체(2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또한, 방풍 커버(60)는, 그 길이 방향과 융착 접속기의 좌우 방향이 일치하도록 장치 본체(21) 위에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풍 커버(60)의 회전축(61)과, 한 쌍의 전극봉(24)과, 각 가동 스테이지(22) 위의 피복 클램프(50)와, 한 쌍의 홈 형성 기판(23)은, 융착 접속기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앞쪽의 힌지 핀(31b)과, 뒤쪽의 보강 슬리브 가열기(32)와의 사이에 설치된다. 또한, 가동 스테이지(22)도, 융착 접속기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힌지 핀(31b)과 보강 슬리브 가열기(32) 사이에 설치된다.
도 8, 도 9, 도 1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풍 커버(60)는, 장치 본체(21)에 대하여 폐쇄되었을 때, 커버 본체(62) 및 단판부(63a, 63b)의, 커버 안쪽 공간(66)의 개구부 측의 단부가 장치 본체 상면(21a)에 부딪친 상태로 접촉한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풍 커버(60)는, 장치 본체(21)에 대하여 폐쇄되었을 때, 그 안쪽에, 장치 본체(21) 위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전극봉(24)과, 각 가동 스테이지(22) 위의 한 쌍의 피복 클램프(50)와, 한 쌍의 홈 형성 기판(23)을 수용한다.
또한, 방풍 커버(60)를 장치 본체(21)에 대하여 폐쇄했을 때, 가동 스테이지(22)는, 그 위쪽 전체가 방풍 커버(60)에 의해 덮인다.
이 융착 접속기(20)를 사용한 광섬유(90)끼리의 융착 접속은, 방풍 커버(60)가 장치 본체(21)에 대하여 폐쇄된 상태로 행해진다.
장치 본체(21)에 대하여 폐쇄된 방풍 커버(60)는, 전극봉(24)과 전극봉(24) 사이의 방전부(24a)를 덮어, 방풍 커버(60)의 바깥쪽의 바람이 광섬유(90)끼리의 융착 접속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한다.
도 8, 도 9, 도 1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풍 커버(60)의 길이 방향 양측의 단판부(63a, 63b)에는, 커버 안쪽 공간(66)의 개구부 측의 단면(端面)으로부터 오목한 절결부(67)(섬유 삽입관통용 절결부)가 형성된다.
방풍 커버(60)는, 장치 본체(21)에 대하여 폐쇄되었을 때, 피복 클램프(50)에 파지 고정되어, 장치 본체 상면(21a)에 배치된 광섬유(90)의 일부를 섬유 삽입관통용 절결부(67)에 수용할 수 있다. 방풍 커버(60)는, 광섬유(90)의 일부를 섬유 삽입관통용 절결부(67)에 수용함으로써, 광섬유(90)를 단판부(63a, 63b)와 장치 본체 상면(21a) 사이에 강하게 끼워넣어 손상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도 4, 도 6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풍 커버(60)의 회전축(61a, 61b)은, 융착 접속기(20)의 전극봉(24), 피복 클램프(50), 홈 형성 기판(23)보다 융착 접속기의 앞쪽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61a, 61b)은 융착 접속기(20)의 가동 스테이지(22)보다 융착 접속기의 앞쪽에 설치되어 있다.
방풍 커버(60)를 장치 본체(21)에 대하여 폐쇄했을 때, 한 쌍의 측판부(65a, 65b)는, 전극봉(24), 피복 클램프(50), 홈 형성 기판(23), 가동 스테이지(22)(도시 생략)를 통하여 융착 접속기의 전후 방향 양측에 배치된다.
융착 접속기(20)는, 도시 생략한 전원 스위치를 온(on)에서 오프(off)로 했을 때, 가동 스테이지(22)가 방전부(24a)에 대한 전진 한계 위치보다 방전부(24a)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에 있는 섬유 장착 시의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방풍 커버(60)가 폐쇄된 상태(이하, 동작 대기 초기 상태라고도 함)가 된다. 동작 대기 초기 상태의 융착 접속기(20)는, 전원 스위치를 오프에서 온으로 함으로써, 가동 스테이지(22)가 섬유 장착 시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방풍 커버(60)가 개방되어 있는, 섬유 세트 대기 상태가 된다.
융착 접속기(20A)를 사용하여 광섬유(91, 92)끼리를 융착 접속하는 작업은, 먼저, 이미 기술한 섬유 세트 대기 상태에서, 피복 클램프(50)(도 1 참조)의 클램프 아래 부재(51)와 클램프 위 부재(52) 사이에 광섬유(91, 92)[피복부(90d)]를 파지 고정한다.
방전부(24a)의 좌우 양측의 피복 클램프(50)에 파지 고정할 때, 각각의 광섬유(91, 92)의 광섬유 유리부(90a)의 선단끼리가, 약간의 간극을 통하여 대향 배치되도록, 피복 클램프(50)로부터의 돌출부(90b)의 길이를 조정한다. 또한, 광섬유(91, 92)는, 돌출부(90b)의 길이 조정에 의해, 각 광섬유(90)의 광섬유 유리부(90a) 선단, 한 쌍의 전극봉(24)의 선단 사이를 연결하는 가상 직선을 통하여 좌우 양측에 배치되도록 조정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융착 접속기(20A)는 모니터 장치(31)의 표시면(31c) 측의 외주부에 설치된 커버 폐쇄 스위치(31d)를 가진다.
이 융착 접속기(20A)는, 피복 클램프(50)에의 광섬유(91, 92)의 파지 고정이 완료된 후, 커버 폐쇄 스위치(31d)가 조작됨으로써, 전동 구동원(9)(도 3, 도 8, 도 9 등 참조)을 구동하여, 개방 상태의 방풍 커버(60)를 장치 본체(21)에 대하여 폐쇄하는 커버 폐쇄 동작(방풍 커버 폐쇄 동작)이 행해진다. 그리고, 방풍 커버(60)가 장치 본체(21)에 대하여 폐쇄된 것을 커버 폐쇄 검지기(33)(도 6 참조)가 검지했을 때, 융착 접속 동작이 자동으로 개시된다.
그리고, 커버 폐쇄 스위치(31d)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모니터 장치(31)로서 터치 패널을 사용하고, 이 터치 패널에 표시한 표시 버튼으로 해도 된다.
또한, 융착 접속기에서의 커버 폐쇄 스위치(31d)의 설치 장소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예를 들면, 커버 폐쇄 스위치(31d)를 장치 본체(21)에 설치한 구성을 사용해도 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폐쇄 동작이 완료되면, 방풍 커버(60) 안쪽에 설치되는 섬유 클램프 부재(25)가, 홈 형성 기판(23)의 위치결정 홈(23a) 위에 배치되어 있는 광섬유(90)[광섬유 유리부(90a)]를 위치결정 홈(23a)의 홈 바닥을 향해 누른다. 이로써, 광섬유(90)의 광섬유 유리부(90a)가 위치결정 홈(23a)에 의해 고정밀도로 위치결정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섬유 클램프 부재(25)는, 방전부(24a)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홈 형성 기판(23)에 대응하도록, 방풍 커버(60)의 길이 방향으로 2곳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3, 도 4, 도 6 이외의 도면에 있어서는, 섬유 클램프 부재(25)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4에 예시한 섬유 클램프 부재(25)는, 위치결정 홈(23a)에 탑재된 광섬유(90)의 광섬유 유리부(90a)를 압압하는 압압편(押壓片)(25a)과, 이 압압편(25a)이 선단에 일체로 설치되는 샤프트부(25c)를 가진다. 샤프트부(25c)는, 압압편(25a)의 광섬유 유리부(90a)에 접촉하는 선단인 섬유 압압면(押壓面)(25b)과는 반대 측의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샤프트부(25c)의 압압편(25a)이 장착되는 쪽과 반대의 단부(후단부)는, 방풍 커버(60)의 상판부(64)[구체적으로는 평판부(64a)] 내면에 고정된 클램프 지지 부재(26a)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샤프트부(25c)는, 클램프 지지 부재(26a)로부터 방풍 커버(60)의 개구부 측을 향해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샤프트부(25c)는, 클램프 지지 부재(26a)에, 방풍 커버(60)의 개구부 측을 향해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가동 범위를 가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섬유 클램프 부재(25)는, 압압편(25a)과 클램프 지지 부재(26a)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26b)에 의해, 압압편(25a)을 클램프 지지 부재(26a)에 대하여 방풍 커버(60)의 개구부 측으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 부세한다. 도시한 예의 스프링(26b)은, 구체적으로는 코일 스프링이며, 섬유 클램프 부재(25)의 샤프트부(25c)가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융착 접속기(20A)는 가동 스테이지(22)를, 스테이지용 동력원의 구동에 의해 섬유 장착 시 위치로부터 방전부(24a)를 향해 진퇴 이동시킬 수 있다.
커버 폐쇄 동작의 완료 후, 가동 스테이지(22)를 섬유 장착 시 위치로부터 전진시킴으로써, 광섬유(90) 선단[광섬유 유리부(90a) 선단]은 소정 위치로 전진한다. 그리고, 융착 접속기(20A)는, 전극봉(24) 사이의 방전에 의해, 한 쌍의 광섬유를 방전하면서 접합하여, 융착 접속한다. 한 쌍의 전극봉(24) 사이의 방전은 소정 시간 행해진 후, 자동으로 정지한다. 융착 접속기(20A)는 한 쌍의 전극봉(24) 사이의 방전 정지 후, 접속부의 검사를 행한다. 융착 접속기(20A)는, 융착 접속의 완료 후, 전동 구동원(9)을 구동하여, 방풍 커버(60)를 여는 커버 개방 동작(방풍 커버 개방 동작)을 자동으로 행한다.
방풍 커버(60)는, 커버 폐쇄 스위치(31d)를 온으로 조작하고나서 이 커버 개방 동작의 실행까지의 동안, 폐쇄된 상태(폐쇄 상태)가 되어 있다.
그리고, 섬유 클램프 부재(25)가 광섬유 유리부(90a)를 위치결정 홈(23a)에 누르는 힘은, 가동 스테이지(22)의 전진에 따른 광섬유 유리부(90a)의 홈 형성 기판(23)에 대한 원활한 슬라이딩이 가능한 강도로 조정된다. 이로써, 융착 접속기(20)는, 가동 스테이지(22)를 전진시켰을 때, 광섬유 유리부(90a)가 가동 스테이지(22)와 일체로 전진한다.
커버 개방 동작이 완료되었으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한 쌍의 피복 클램프(50) 각각의 클램프 위 부재(52)를 열어 광섬유(91, 92)를 인출한다.
그리고, 융착 접속기(20A)에 있어서는, 접속부 검사의 완료 후, 가동 스테이지(22)는 섬유 장착 시 위치로 자동으로 복귀한다.
접속부 검사(접속부 검사 동작)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본체(21)에 내장된 카메라(71)에 의해 융착 접속부를 촬상하고, 촬상 화상을 화상 처리 장치로 해석하고, 접속된 광섬유(91, 92)의 접속 손실을 자동 계측하고, 접속 상태의 이상(異常)을 자동 판정한다. 계측 결과에 이상이 있으면, 융착 접속기는 알람을 작업자에게 발생하지만, 정상인 경우에는 알람은 발생하지 않고, 작업자가 검사 완료의 조작을 행하지 않고 다음 공정으로 자동 이행한다. 그러나, 작업자가 육안에 의한 접속부의 검사를 행하는 경우에는, 그 촬상한 화상을 모니터 장치(31)(도 3 참조)에 표시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모니터 장치(31)에 표시된 촬상 화상으로부터, 광섬유(91, 92)끼리의 융착 접속부 상태를 관찰한다. 접속부 검사 동작에서는, 카메라(71)가 촬상한 화상을 모니터 장치(31)에 이후의 조작[접속부 인장(引張) 검사 또는 광섬유의 융착 접속기로부터의 인출]이 행해질 때까지 모니터 장치(31)의 표시를 계속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섬유 홀더 방식의 융착 접속기(20B)에 있어서는, 광섬유(91, 92)를 파지 고정한 섬유 홀더(40)를 가동 스테이지(22) 위에 탑재한 후, 커버 폐쇄 스위치(31d)가 온으로 조작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섬유 홀더(40)는, 베이스판(41)과, 베이스판(4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덮개판(42)과의 사이에 광섬유(90)를 끼워넣어 파지 고정한다. 덮개판(42)은, 베이스판(41)의 그 두께 방향 한쪽 면인 베이스판 상면(41a)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다. 덮개판(42)은, 직사각형 판형의 베이스판(41)의 폭 방향 일단에, 베이스판(41)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 중심축(43)을 통하여 베이스판(4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섬유(90)는, 그 선단 측을 섬유 홀더(40)로부터 돌출시킨 돌출부(90e)를 확보하여 섬유 홀더(40)에 고정한다. 또한, 섬유 홀더(40)에 파지 고정된 광섬유(90)는, 그 돌출부(90e)의 선단부의 피복을 제거하여 광섬유 유리부(90a)(베어 광섬유)를 노출시켜 둔다.
섬유 홀더(40)는, 가동 스테이지(22)에 설치된 도시 생략한 홀더 위치결정부에 의해 가동 스테이지(22) 위의 소정 위치에 베이스판(41)을 위치결정하여 탑재함으로써, 가동 스테이지(22) 위에 설치된다. 섬유 홀더(40)는 가동 스테이지(22)에 대하여 승강함으로써 탈착할 수 있다.
광섬유(91, 92)는, 방전부(24a)의 좌우 양측의 가동 스테이지(22) 위에 각각 광섬유(90)를 파지 고정한 섬유 홀더(40)를 설치했을 때, 각 광섬유(90)의 광섬유 유리부(90a) 선단끼리가 약간의 간극을 통하여 대향 배치되도록 돌출부(90e)의 길이를 조정한다. 또한, 광섬유(91, 92)는, 돌출부(90e)의 길이 조정에 의해, 각 광섬유(90)의 광섬유 유리부(90a) 선단이, 한 쌍의 전극봉(24)의 선단 사이를 연결하는 가상 직선을 통하여 좌우 양측에 배치된다.
섬유 홀더(40)는, 광섬유(90)의 피복부(90d)를 베이스판(41)과 덮개판(42) 사이에 끼워넣어 파지 고정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섬유 홀더(40)의 베이스판(41)의 상면(41a)에는, 단심의 광섬유(90)[피복부(90d)]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섬유 수용 홈(41d)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의 섬유 홀더(40)는 섬유 수용 홈(41d)에 배치된 단심의 광섬유(90)를 베이스판(41)과 덮개판(42) 사이에 파지 고정한다.
도 2에 나타낸 융착 접속기(20B)를 사용한 광섬유(91, 92)끼리의 융착 접속은, 광섬유(90)를 파지 고정한 한 쌍의 섬유 홀더(40)를 각 가동 스테이지(22) 위에 설치하고, 광섬유(90) 선단부에 노출된 광섬유 유리부(90a)를 홈 형성 기판(23)의 위치결정 홈(23a) 위에 탑재한 후, 커버 폐쇄 스위치(31d)를 온으로 조작한다.
커버 폐쇄 스위치(31d)를 온 조작한 후의 융착 접속기(20)의 동작은, 피복 클램프 방식의 융착 접속기(20A)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융착 접속기(20)의 방풍 커버(60)를 전동 구동원(9)의 구동력에 의해 개폐하는 기구[커버 개폐 기구(1)]를 설명한다. 융착 접속기(20)로서는, 피복 클램프 방식, 섬유 홀더 방식 중 어느 방식이라도 된다.
도 8∼도 12, 도 18a, 도 18b는 방풍 커버(60)를 폐쇄한 상태(폐쇄 상태), 도 13∼도 17, 도 20a, 도 20b는 방풍 커버(60)를 개방한 상태(완전 개방 상태)를 나타낸다.
도 8, 도 18a, 도 18b, 도 20a, 도 20b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개폐 기구(1)(커버 개폐 기구의 제1 예)는, 전동 구동원(9)과, 전동 구동원(9)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되는 동력 전달 부재(7)와, 전동 구동원(9)의 구동력을 동력 전달 부재(7)에서 방풍 커버(60)로 전달하는 폐루프 부재(2)를 가진다.
도 8, 도 18a∼도 20b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루프 부재(2)는, 가요성의 삭재(3)의 양단에 각각 고정된 동력 받이 부재(4a, 4b)를, 인장 코일 스프링(6)의 양단에 연결하여 폐루프를 형성한다. 삭재(3)의 양단은, 동력 받이 부재(4a, 4b) 및 인장 코일 스프링(6)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삭재(3)(권장체, wound body)로서는, 예를 들면, 금속 와이어, 합성 섬유 및/또는 천연 섬유에 의해 구성된 실, 또는 끈 등의 선재(線材)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삭재(3)로서는, 선재로 한정되지 않고, 벨트 등의 스트립형(strip shaped)의 재료를 사용해도 된다.
그리고, 인장 코일 스프링(6)은, 폐루프 부재(2)의 둘레 길이(peripheral length)를 변경할 수 있도록[폐루프 부재(2)를 신축 가능하도록], 신축 가능한 탄성 부재(신축 부재)로서 기능한다. 탄성 부재로서는, 인장 코일 스프링(6)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고무제 부재 등의, 신축성이 우수한 부재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 도 18a∼도 20b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루프 부재(2)의 삭재(3)는, 방풍 커버(60)의 회전축(61a)과, 장치 본체(21)의 하우징(housing)(29) 내에서 회전축(61a)의 아래쪽에 지지된 풀리(5)(삭재 권괘부, 제1 권괘부, 권장체 권괘부)에 감아 걸어 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회전축(61a)은 삭재(3)를 권취하는 삭재 권취부(권장체 권취부)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삭재 권취부로서는, 회전축(61a)에 동축으로 고정한 풀리 등이어도 된다.
풀리(5)는, 장치 본체(21)의 하우징(29)에 대하여, 도시 생략한 지지 부재에 의해, 방풍 커버(60)의 회전축(61a)과 대략 평행한 회전 축선을 기점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 되어 있다.
폐루프 부재(2)는, 방풍 커버(60)의 회전축(61a)과 그 아래쪽에 설치되는 풀리(5)와의 사이에 연장되는 한 쌍의 부재 간 설치부(2A, 2b)를 가진다.
도 8, 도 18a∼도 20b 등에 있어서, 폐루프 부재(2)의 한 쌍의 부재 간 설치부(2A, 2b)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부재 간 설치부(2A, 2b) 중, 동력 받이 부재(4a, 4b) 및 인장 코일 스프링(6)이 배치되는 한쪽의 설치부를 결합 측 설치부(2A)라고 한다.
한 쌍의 부재 간 설치부(2A, 2b) 중 다른 쪽의 설치부인 비결합 측 설치부(2B)는, 그 전체가 삭재(3)에 의해 구성된다. 방풍 커버(60)의 회전축(61a) 및 풀리(5)에는 폐루프 부재(2) 중 삭재(3)만이 감겨 걸려있다. 또한, 삭재(3)의 양단은 결합 측 설치부(2A)에 배치된다.
삭재(3)는, 방풍 커버(60)의 회전축(61a) 외주에 감겨 걸린 부분의 일부가, 회전축(61a)에 고정되어 있다. 삭재(3)를 방풍 커버(60)의 회전축(61a)에 고정한 부분을, 이하, 삭재 고정부(60a)(도 49 참조)라고 한다. 도시한 예의 삭재 고정부(60a)는, 삭재(3)를 삭재 고정 부재(60b)를 사용하여 회전축(61a)에 고정한 부분이다. 단, 삭재 고정부(60a)로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용접 등에 의해, 삭재(3)를 삭재 고정 부재(60b)를 사용하여 회전축(61a)에 고정한 부분이라도 된다.
도 49는, 도 18a, 도 18b에 나타낸 상태(후술하는 커버 폐쇄 대기 상태)에서의 삭재 고정부(60a)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18a, 도 18b에 나타낸 상태에 있어서는, 도 4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삭재(3)의 삭재 고정부(60a)는, 삭재(3)에서의 방풍 커버(60)의 회전축(61a)의 외주에 감겨 걸린 부분의 결합 측 설치부(2A)의 단부를 구성한다.
도 8, 도 18a∼도 20b 등에 있어서, 방풍 커버(60)의 회전축(61a)은 방풍 커버(60)에 고정, 일체로 되어 있다. 회전축(61a)은 장치 본체(21)에 대하여 방풍 커버(60)와 일체로 회전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폐루프 부재(2)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61a)이 회전되면, 회전축(61a)에 일체로 방풍 커버(60)도 회전된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방풍 커버(60)의 한 쌍의 측판부(65a, 65b)는, 방풍 커버(60)를 장치 본체(21)에 폐쇄했을 때 융착 접속기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방풍 커버(60)를 장치 본체(21)에 폐쇄했을 때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측판부(65a, 65b) 중, 앞쪽의 측판부(65a)를, 이하, 앞 측판부, 뒤쪽의 측판부(65b)를, 이하, 뒤 측판부라고도 한다. 도 8, 도 9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61a, 61b)은, 구체적으로는, 앞 측판부(65a)의 상판부(64)가 설치되는 측과는 반대 측의 단부와 일체로 되어 있고, 융착 접속기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61a, 61b)은, 방풍 커버(60)의 앞 측판부(65a)의 길이 방향(융착 접속기 좌우 방향)의 양단부와 일체로 되어 있다. 방풍 커버(60)의 뒤 측판부(65a)의 상판부(64)와는 반대 측의 단(端)은, 회전축(61a, 61b)를 중심으로 하는 방풍 커버(60)의 회전에 의해 장치 본체 상면(21a)에 대하여 접촉하거나, 떨어지거나 한다.
도 8, 도 11, 도 18a, 도 18b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루프 부재(2)의 삭재(3)는, 방풍 커버(60)의 앞 측판부(65a)에 형성된 삭재 삽입관통 구멍(65c)을 통해 회전축(61a)에 감겨 걸려있다. 방풍 커버(60)의 삭재 삽입관통 구멍(65c)은, 앞 측판부(65a)에서의 회전축(61a)의 둘레 면에 가까운 위치에, 앞 측판부(65a)를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의 삭재 삽입관통 구멍(65c)은, 삭재(3)를 통과시키는 것 외에, 삭재(3)의 회전축(61a)에 대한 중심 축선 방향(융착 접속기 좌우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규제하는 역할도 완수한다. 단, 삭재 삽입관통 구멍(65c)의 형상 및 사이즈는 적절히 설계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회전축(61a)으로서, 그 둘레 면에 삭재(3)를 수용하는 홈(삭재 수용 홈)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채용한 경우에는, 삭재 수용 홈에 의해 회전축(61a) 축선 방향에서의 삭재(3)의 위치를 안정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삭재 삽입관통 구멍(65c)으로서는 융착 접속기 좌우 방향으로의 삭재(3)의 위치 어긋남을 규제하는 사이즈일 필요는 없다.
그리고, 동력 받이 부재(4a, 4b) 및 인장 코일 스프링(6)은, 커버 개폐 기구(1)의 구동 기구(1a)의 구동력, 또는 방풍 커버(60)의 수동 개폐 조작에 의해 폐루프 부재(2)가 회전되어도 비결합 측 설치부(2B)에 배치되는 경우는 없고, 항상, 결합 측 설치부(2A)에 배치된다.
도 9, 도 18a∼도 20b 등에 예시한 동력 전달 부재(7)는, 구체적으로는, 전동 모터(9)(전동 구동원)의 출력 축(9a)(도 18b, 도 19b 등 참조)에 고정되어 있는 기어(10)에 맞물린 랙 기어(rack gear)(7b)와, 이 랙 기어(7b)로부터 돌출되는 압동용 돌출부(11)를 가진다.
동력 전달 부재(7)는, 전동 모터(9)의 회전 구동에 의해 승강 가능하다. 동력 전달 부재(7)는, 장치 본체(21)의 하우징(29) 내에 고정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 배치된 가이드 샤프트(8)에 따라, 직선 이동에 의해 승강한다.
커버 개폐 기구(1)의 구동 기구(1a)는, 전동 모터(9)와, 상기 전동 모터(9)의 회전 구동에 의해 승강 이동되는 동력 전달 부재(7)와, 이 동력 전달 부재(7)로부터 돌출된 압동용 돌출부(11)(후술)를 가지고 있다.
전동 모터(9)의 출력축(9a)은 가이드 샤프트(guide shaft)(8)의 연장 방향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출력축(9a)에 고정되어 있는 기어(10)(피니언 기어, pinion gear)는, 동력 전달 부재(7)의 측면에 배치되는 가이드 샤프트(8)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여러 곳에 배열 형성된 톱니부(7a)에 맞물려 있다.
이하, 전동 모터(9)의 회전 구동[출력 축(9a)의 회전 구동]에 대하여, 동력 전달 부재(7)를 상승시키는 출력 축(9a)의 회전, 즉 도 18b, 도 19b에 있어서 왼쪽 주위의 회전을 정회전, 동력 전달 부재(7)를 하강시키는 출력 축(9a)의 회전, 즉 도 18b, 도 19b에 있어서 오른쪽 주위의 회전을 역회전으로서 설명한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동력 전달 부재(7)는, 가이드 샤프트(8)에 따라 직선 이동하도록 승강한다. 폐루프 부재(2)의 한 쌍의 부재 간 설치부(2A, 2b)는, 가이드 샤프트(8)에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전동 모터(9)의 회전 구동에 의한 동력 전달 부재(7)의 이동 방향은, 부재 간 설치부(2A, 2b)의 연장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도 9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력 전달 부재(7)의 랙 기어(7b)에 있어서는, 그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톱니부(7a)가, 전동 모터(9)(전동 구동원)의 출력 축(9a)에 고정되어 있는 기어(10)에 맞물려 있다.
동력 전달 부재(7)의 압동용 돌출부(11)는, 그 돌출단으로부터 랙 기어(7b)가 설치되는 쪽으로 오목한 절결(切缺) 오목부(11c)에, 인장 코일 스프링(6)(탄성 부재)의 그 축선 방향의 일부를 수용하여, 결합 측 설치부(2A)(도 18a 및 도 18b 등 참조)의 한 쌍의 동력 받이 부재(4a, 4b)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동력 전달 부재(7)의 연장 방향(아래 방향)으로 동력 전달 부재(7)가, 결합 측 설치부(2A)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압동용 돌출부(11)는, 절결 오목부(11c)의 안쪽에 배치하는 인장 코일 스프링(6)의 외주를 따라 이동한다. 또한, 압동용 돌출부(11)는, 삭재 또는 삭재 권괘부에 직접 고정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결합 측 설치부(2A)(도 18a 및 도 18b 등 참조)의 연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서의 동력 받이 부재(4a, 4b)의 사이즈가, 인장 코일 스프링(6)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도 18a∼도 2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동 모터(9)의 정회전 구동에 의해 동력 전달 부재(7)를 상승시킴으로써, 방풍 커버(60)가 열린다(커버 개방 동작). 커버 개방 동작이란, 전동 모터(9)의 정회전 구동에 의해 동력 전달 부재(7)를 상승시킴으로써, 인장 코일 스프링(6) 위쪽에 배치하는 동력 받이 부재(4a)(이하, 위쪽 받이 부재라고도 함)가 그 아래쪽으로부터 부딪친 상태로 접촉된 압동용 돌출부(11)에 의해 밀어 올려지고, 위쪽 받이 부재(4a)와 함께 결합 측 설치부(2A)가 위쪽으로 전송 이동하는 동작이다.
결합 측 설치부(2A)의 전송 이동에 의해, 인장 코일 스프링(6)을 통하여 삭재(3) 및 삭재 고정부(60a)(도 49 참조)에 주어지는 인장력이, 방풍 커버(60)를 개방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으로서, 회전축(61a)에 작용한다. 여기서, 방풍 커버(60)를 개방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삭재(3)에 가해지는 인장력의 방향을 정방향이라고 한다.
상기 인장력은, 폐루프 부재(2)에 있어서, 위쪽 받이 부재(4a)로부터, 인장 코일 스프링(6) 및 그 아래쪽의 동력 받이 부재(4b)(이하, 아래쪽 받이 부재라고도 함)를 통하여, 삭재 고정부(60a)에 전달된다. (이하, 위쪽 받이 부재(4a)로부터 삭재 고정부(60a)까지의 구간을 커버 개방 시 인장 구간이라고도 한다.) 회전축(61a)에는, 상기 전송 이동에 의해 커버 개방 시 인장 구간에 주어진 장력(인장력)이, 방풍 커버(60)를 개방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으로서 작용한다.
그 결과, 폐루프 부재(2) 전체의 회전에 따라, 삭재(3)가 고정되어 있는 회전축(61a)과 함께 방풍 커버(60)가 회전하고, 도 20a, 도 2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본체(21)에 대하여 방풍 커버(60)를 개방한 상태(개방 상태)로 한다.
도 18a∼도 20b에 있어서, 폐쇄 상태의 방풍 커버(60)는, 대략 135도 정도 회전되어 완전히 개방된다.
도 49에 있어서, 삭재 고정부(60a)는, 커버 개방 동작의 진행에 따른 방풍 커버(60)의 회전축(61a)의 회전에 의해, 결합 측 설치부(2A)가 설치되는 측과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고, 커버 개방 동작이 완료되었을 때는 비결합 측 설치부(2B)가 설치되는 측에 배치된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풍 커버(60)의 개구부 측에는 마그넷(magnet)(12a, 12b)이 장착되어 있다. 도 6, 도 13,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본체(21)의 상부에는, 철 등의 자성체에 의해 형성된 마그넷 캐치(magnet catch)(13a, 13b)가 장착되어 있다. 마그넷 캐치(13a, 13b)는, 방풍 커버(60)를 폐쇄 상태로 했을 때, 방풍 커버(60)의 마그넷(12a, 12b)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폐쇄 상태가 된 방풍 커버(60)는, 마그넷(12a, 12b)이 마그넷 캐치(13a, 13b)를 끌어당김으로써, 진동 등에 의해 뜻하지 않게 개방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18a∼도 2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개폐 기구(1)는, 커버 개방 동작에 있어서, 폐쇄 상태의 방풍 커버(60)를 그 아래쪽에서 위쪽을 향해 밀어 올리는 밀어올림 샤프트(14)를 가지고 있다.
밀어올림 사프트(14)는, 헤드부(14a)와, 이 헤드부(14a)로부터 연장되는 샤프트부(14b)를 가진다. 밀어올림 사프트(14)는, 하우징(29)에 고정되어 장치 본체(21) 상부에 내장되어 있는 상부 지지 부재(21d)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밀어올림 사프트(14)에 있어서, 샤프트부(14b)는, 상부 지지 부재(21d)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샤프트 수용 구멍(21e)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헤드부(14a)는 상부 지지 부재(21d) 위에 배치되어 있다.
밀어올림 사프트(14)의 샤프트부(14b)는, 상부 지지 부재(21d)의 샤프트 수용 구멍(21e) 내면에 의해, 장치 본체(21)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이 유지된다.
밀어올림 사프트(14)의 헤드부(14a)는, 샤프트부(14b)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사이즈가, 샤프트 수용 구멍(21e) 단면에 비해 크기 때문에, 샤프트 수용 구멍(21e)에 들어가지 않는다. 밀어올림 사프트(14)는, 헤드부(14a)가 상부 지지 부재(21d)에 그 위쪽으로부터 접촉하는 위치가, 상부 지지 부재(21d)에 대한 하강 한계 위치가 되어 있다.
도 18a, 도 1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어올림 사프트(14)의 샤프트부(14b)의 길이 방향의 치수는, 샤프트 수용 구멍(21e)의 축선 방향의 치수보다 크다.
따라서, 밀어올림 사프트(14)의 샤프트부(14b)는, 밀어올림 사프트(14)가 상부 지지 부재(21d)에 대한 하강 한계 위치에 있을 때, 샤프트 수용 구멍(21e)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된다.
도 18a, 도 18b는, 방풍 커버(60)가 폐쇄 상태, 또한 동력 전달 부재(7)의 압동용 돌출부(11)가 위쪽 받이 부재(4a)에 약간의 간극을 통하여 접근하여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커버 개폐 기구(1)는, 도 22a, 도 22b, 도 23a, 도 23b에 나타낸 커버 폐쇄 동작의 완료 후에, 도 18a, 도 18b에 나타낸 상태가 된다.
방풍 커버(60) 및 커버 개폐 기구(1)에 대하여, 도 18a, 도 18b에 나타낸 상태를, 이하, 커버 폐쇄 대기 상태라고도 한다.
방풍 커버(60) 및 커버 개폐 기구(1)는, 융착 접속기(20)의 전원 스위치를 온에서 오프로 하여 융착 접속기(20)를 동작 대기 초기 상태로 했을 때도 커버 폐쇄 대기 상태가 된다.
커버 개폐 기구(1)가 커버 폐쇄 대기 상태에 있을 때, 동력 전달 부재(7)는 하강 한계 위치에 있는 밀어올림 사프트(14)의 샤프트부(14b)의 하단보다 아래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있다.
도 18a∼도 2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개폐 기구(1)는, 커버 폐쇄 대기 상태에서 커버 개방 동작을 실행했을 때, 전동 구동원(9)의 구동력에 의해 상승하는 동력 전달 부재(7)가, 밀어올림 사프트(14)의 샤프트부(14b) 하단에 부딪친 상태로 접촉하여, 밀어올림 사프트(14)를 위쪽으로 밀어올린다. 그 결과, 방풍 커버(60)를 밀어올림 사프트(14)에 의해 밀어올려 개방한다(연다).
융착 접속기(20)는, 전동 모터(9)의 정회전 구동에 의해, 동력 전달 부재(7)의 상승에 따른 폐루프 부재(2)의 회전, 및 밀어올림 사프트(14)에 의한 방풍 커버(60)의 밀어올림, 양쪽을 실현하여, 폐쇄 상태의 방풍 커버(60)를 여는 커버 개방 동작을 행한다.
도 9, 도 18a, 도 18b, 도 19a, 도 1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력 전달 부재(7)에 의해 밀어 올려진 밀어올림 사프트(14)(구체적으로는 그 헤드부(14a)가 부딪친 상태로 접촉하는 샤프트 충돌부(15)가 방풍 커버(60)의 안쪽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샤프트 충돌부(15)는, 구체적으로는, 방풍 커버(60)의 상판부(64)[구체적으로는 평판부(64a)]에서 방풍 커버(60)의 개구부 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동력 전달 부재(7)에 의해 밀어 올려진 밀어올림 사프트(14)는, 그 상단의 헤드부(14a)를 샤프트 충돌부(15)에 부딪친 상태로 접촉하여 방풍 커버(60)를 밀어 올린다.
도 19a, 도 19b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어올림 사프트(14)에 의한 방풍 커버(60)의 밀어올림은, 방풍 커버(60)의 회전에 따라, 샤프트 충돌부(15)가, 밀어올림 사프트(14) 상단에 접촉하기 불가능한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종료한다.
동력 전달 부재(7)의 상승에 따른 폐루프 부재(2)의 회전은, 밀어올림 사프트(14)에 의한 방풍 커버(60)의 밀어올림과 병행하여 진행되고, 밀어올림 사프트(14)에 의한 밀어올림이 종료한 후에도 계속 진행된다. 커버 개방 동작에 있어서는, 밀어올림 사프트(14)에 의한 밀어올림이 종료한 후, 전동 모터(9)의 정회전 구동에 의해 방풍 커버(60)를 개방하는 동작(후술하는 커버 개방 구동 동작)이 완료할 때까지, 전동 구동원(9)의 구동력에 의해서만 방풍 커버(60)가 회전된다.
동력 전달 부재(7)가 밀어올린 밀어올림 사프트(14)에 의해 방풍 커버(60)를 밀어올리는 구성은, 폐쇄 상태의 방풍 커버(60)의 마그넷(12a, 12b)(도 15 등 참조)가 마그넷 캐치(13a, 13b)를 흡인하는 흡인력에 저항하여, 방풍 커버(60)를 확실하게 밀어올려 개방한다. 마그넷(12a, 12b)과 마그넷 캐치(13a, 13b)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흡인력은, 마그넷(12a, 12b)과 마그넷 캐치(13a, 13b) 사이의 거리가 증대하면 급속히 약해진다.
융착 접속기(20)는, 커버 개방 동작에 있어서, 밀어올림 사프트(14)가 폐쇄 상태의 방풍 커버(60)를 장치 본체(21)로부터 밀어올림으로써, 마그넷(12a, 12b)과 마그넷 캐치(13a, 13b) 사이의 거리를 증대시킨다.
커버 개방 동작에 있어서, 밀어올림 사프트(14)에 의한 방풍 커버(60)의 밀어올림이 완료됐을 때는, 폐쇄 상태의 방풍 커버(60)의 회전 개시 시에 비해, 방풍 커버(60)에 마그넷(12a, 12b)의 흡인력이 거의 또는 전혀 작용하지 않게 된다.
밀어올림 사프트(14)에 의한 방풍 커버(60)의 밀어올림 완료 후에는, 폐쇄 상태의 방풍 커버(60)의 회전 개시 시에 비해, 마그넷(12a, 12b)의 흡인력에 의한 방풍 커버(60)의 회전 저항(개방 방향으로의 회전 저항)이 저하된다. 따라서, 밀어올림 사프트(14)에 의한 방풍 커버(60)의 밀어올림이 완료된 후에는, 폐쇄 상태의 방풍 커버(60)의 회전 개시 시에 비해, 방풍 커버(60)를 개방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전동 구동원(9)의 구동력이 작아도 된다.
도 19a, 도 19b는, 방풍 커버(60)를 폐쇄 상태로부터 90도 회전시킨 상태(반 개방 상태)를 나타낸다.
전동 모터(9)의 정회전 구동에 의해 방풍 커버(60)를 개방하는 동작(이하, 커버 개방 구동 동작이라고도 함)은, 방풍 커버(60)를 폐쇄 상태로부터 90도가 넘는 각도까지 회전하여 완료된다. 이 융착 접속기(20)의 커버 개방 동작은, 커버 개방 구동 동작의 완료 후, 방풍 커버(60)가 그 자체 중량에 의해 더욱 개방되는 동작(자체 중량 개방 동작)을 포함한다.
융착 접속기(20)는, 커버 개방 구동 동작의 완료 후, 방풍 커버(60)가 그 자체 중량에 의해 더 열림으로써, 도 20a, 도 20b에 나타낸 완전 개방 상태에 도달한다. 이로써, 커버 개방 동작은 완료된다.
위쪽 받이 부재(4a)는, 커버 개방 구동 동작이 완료된 시점에서는, 동력 전달 부재(7)의 압동용 돌출부(11)와 접하고 있다.
도 20a, 도 2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쪽 받이 부재(4a)는, 커버 개방 구동 동작의 완료 후에, 방풍 커버(60)가 자체 중량 개방 동작에 의해 열림으로써 상승하여, 동력 전달 부재(7)의 압동용 돌출부(11)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된다. 그 결과, 커버 개방 동작이 완료됐을 때는, 압동용 돌출부(11)와 위쪽 받이 부재(4a)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확보된다.
도시한 예에 있어서, 방풍 커버(60)의 자체 중량 개방 동작에 의한 위쪽 받이 부재(4a)의 상승량은, 상하의 동력 받이 부재(4a, 4b) 사이의 이격 거리에 비해 현저하게 작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한 예의 압동용 돌출부(11)의, 상하의 동력 받이 부재(4a, 4b)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상하 방향)에서의 치수는, 동력 받이 부재(4a, 4b) 사이의 이격 거리에 비해 현저하게 작다.
융착 접속기(20)는, 커버 개방 동작이 완료되었으면, 다음에, 도 21a, 도 2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동 모터(9)를 역회전 구동하여 동력 전달 부재(7)를 하강시켜, 압동용 돌출부(11)를 아래쪽 받이 부재(4b)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는 동작을 행한다. 이 동작을, 이하, 커버 개방 후 돌출부 시프트 동작이라고도 한다.
커버 개방 후 돌출부 시프트 동작에 의해, 압동용 돌출부(11)는, 아래쪽 받이 부재(4b)에 가까운 위치에 아래쪽 받이 부재(4b)로부터 약간의 간극을 통하여 접근하여 배치된다.
커버 개방 동작 완료 후의 커버 개방 후 돌출부 시프트 동작에 의해 압동용 돌출부(11)를 이동하여 아래쪽 받이 부재(4b) 근방에 배치하는 것은, 그 후의 커버 폐쇄 동작에 의해 전동 구동원(9)의 구동을 개시하는 경우에, 더욱 신속하게 방풍 커버(60)의 회전을 개시하게 하는 점에서 유리하다.
방풍 커버(60) 및 커버 개폐 기구(1)는, 융착 접속기(20)가 섬유 세트 대기 상태에 있을 때, 도 21a, 도 21b에 나타낸 상태(이하, 커버 개방 대기 상태라고도 함)로 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 개폐 기구(1)의 밀어올림 사프트(14)는, 커버 개폐 기구(1)가 커버 개방 대기 상태로 되었을 때, 상부 지지 부재(21d)에 대한 하강 한계 위치에 배치된다.
도 21a, 도 21b에 나타낸 개방 상태의 방풍 커버(60)를 폐쇄 상태로 하는, 융착 접속기(20)의 커버 폐쇄 동작은 전동 모터(9)를 역회전 구동함으로써 실현된다.
이 커버 폐쇄 동작은, 도 21a, 도 21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전동 모터(9)의 역회전 구동에 의해 동력 전달 부재(7)를 하강시키고(도 22a, 도 22b 참조), 폐루프 부재(2)의 아래쪽 받이 부재(4b)를, 그 아래쪽 받이 부재(4b)에 그 위쪽으로부터 부딪친 상태로 접촉된 압동용 돌출부(11)에 의해 눌러 내린다. 이로써, 아래쪽 받이 부재(4b)로부터 인장 코일 스프링(6)을 통하여 삭재(3)에 작용하는 장력(인장력)에 의해, 방풍 커버(60)의 회전축(61a)을 회전시킨다. 그 결과, 개방 상태의 방풍 커버(60)는 폐쇄 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방풍 커버(60)를 폐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삭재(3)에 주어지는 인장력의 방향을 역방향이라고 한다.
전동 모터(9)의 역회전 구동에 의해 방풍 커버(60)를 폐쇄되는 동작(이하, 커버 폐쇄 구동 동작이라고도 함)은, 개방 상태의 방풍 커버(60)를, 예를 들면, 폐쇄 상태로부터 45도 이하의 각도 등, 방풍 커버(60)가 자체 중량에 의해 아래쪽으로 회전 가능한 각도가 되기까지 회전하여 완료된다.
융착 접속기(20)는, 커버 폐쇄 구동 동작의 완료 후, 방풍 커버(60)가 그 자체 중량에 의해 아래쪽으로 회전(자체 중량 폐쇄 동작)함으로써, 도 23a, 도 23b에 나타낸 폐쇄 상태에 이른다. 이로써, 커버 개방 동작은 완료된다. 이 융착 접속기(20)의 커버 폐쇄 동작은, 커버 폐쇄 구동 동작의 완료 후의 자체 중량 폐쇄 동작을 포함한다.
아래쪽 받이 부재(4b)는, 커버 폐쇄 구동 동작이 완료된 시점에서는, 동력 전달 부재(7)의 압동용 돌출부(11)로 접하고 있다.
도 23a, 도 2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쪽 받이 부재(4b)는, 커버 폐쇄 구동 동작의 완료 후에, 방풍 커버(60)가 자체 중량 폐쇄 동작에 의해 폐쇄됨으로써, 동력 전달 부재(7)의 압동용 돌출부(11)로부터 아래쪽에 이격된다. 그 결과, 커버 폐쇄 동작이 완료됐을 때는, 압동용 돌출부(11)과 아래쪽 받이 부재(4b)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확보된다.
융착 접속기(20)는, 커버 폐쇄 동작이 완료되었으면, 다음에, 전동 모터(9)의 정회전 구동에 의해 압동용 돌출부(11)를 위쪽 받이 부재(4a)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는 동작(이하, 커버 폐쇄 후 돌출부 시프트 동작이라고도 함)을 행한다. 그 결과, 커버 개폐 기구(1)는 도 18a, 도 18b에 나타낸 커버 폐쇄 대기 상태가 된다.
커버 폐쇄 후 돌출부 시프트 동작에 의해, 압동용 돌출부(11)는 위쪽 받이 부재(4a)에 가까운 위치에 위쪽 받이 부재(4a)로부터 약간의 간극을 통하여 접근하여 배치된다.
커버 폐쇄 동작 완료 후의 커버 폐쇄 후 돌출부 시프트 동작에 의해 압동용 돌출부(11)를 이동하여 위쪽 받이 부재(4a) 근방에 배치하는 것은, 그 후의 커버 개방 동작에 의해 전동 구동원(9)의 구동을 개시하는 경우에, 더 신속하게 방풍 커버(60)의 회전을 개시하게 하는 점에서 유리하다.
그리고, 전동 구동원으로서는, 전동 모터(9)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솔레노이드 등을 사용해도 된다.
솔레노이드의 경우, 커버 개폐 기구(1)의 구동 기구(1a)로서는, 외통(外筒) 부재에 돌출량 가변으로 내삽(內揷)된 플런저(plunger)의 이동에 따라, 동력 전달 부재(7)를 승강시키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수동 개폐 조작)
융착 접속기(20)는, 도 18a, 도 1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풍 커버(60)가 닫혀 있을 때에, 동력 전달 부재(7)를 변위시키지 않고,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방풍 커버(60)에 직접 접촉하여 방풍 커버(60)를 수동으로 개폐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융착 접속기(20)는, 도 21a, 도 2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풍 커버(60)가 열려 있을 때(완전 개방 상태가 되어 있을 때), 동력 전달 부재(7)를 변위시키지 않고,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방풍 커버(60)에 직접 접촉되어 방풍 커버(60)를 수동으로 개폐 조작할 수 있다.
융착 접속기(20)는, 도 18a, 도 18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의 방풍 커버(60)를 수동으로 열면, 방풍 커버(60) 및 그 회전축(61a)의 회전에 따른 폐루프 부재(2)의 회전에 의해, 폐루프 부재(2)의 상하의 동력 받이 부재(4a, 4b)가 상승하고, 도 24a, 도 24b에 나타낸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하의 동력 받이 부재(4a, 4b)는, 방풍 커버(60)가 장치 본체(21)에 대한 개방 한계 위치[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방풍 커버(60)가 장치 본체 상면(21a)에 부딪친 상태로 접촉하는 위치. 완전 개방일 때의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승한다. 도 24a, 도 2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풍 커버(60)가 장치 본체(21)에 대한 개방 한계 위치에 도달했을 때, 아래쪽 받이 부재(4b)는 압동용 돌출부(11)에 접촉하지 않고, 압동용 돌출부(11)로부터 아래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융착 접속기(20)는, 도 18a, 도 18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동력 전달 부재(7)를 변위시키지 않고, 수동으로 방풍 커버(60)를 완전 개방 상태까지 열 수가 있다.
또한, 융착 접속기(20)는, 도 24a, 도 24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수동으로 방풍 커버(60)를 닫으면, 도 18a, 도 18b에 나타낸 상태로 복귀한다. 아래쪽 받이 부재(4b)는, 도 24a, 도 24b에 나타낸 위치로부터 도 18a, 도 18b에 나타낸 위치로 하강한다.
따라서, 융착 접속기(20)는, 도 18a, 도 18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동력 전달 부재(7)를 변위시키지 않고 방풍 커버(60)를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다.
융착 접속기(20)는, 도 18a, 도 18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방풍 커버(60)를 수동으로 개폐하여도, 동력 전달 부재(7)가 변위되지 않기 때문에, 전동 모터(9)의 출력 축(9a)을 회전시키지 않아, 전동 구동원(9)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이 융착 접속기(20)는, 예를 들면, 전동 모터(9), 기어(10), 및 동력 전달 부재(7)로 구성되는 구동 기구(1a)를, 동력 전달 부재(7)의 무리한 이동에 의해 파손하지 않는다.
또한, 방풍 커버(60)를 수동으로 개폐하여도 동력 전달 부재(7)가 변위되지 않음으로써, 예를 들면, 방풍 커버(60)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전동 모터(9)로서 스테핑 모터를 사용했을 때, 방풍 커버(60)의 개폐 동작 제어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18a, 도 1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개폐 기구(1)가 커버 폐쇄 대기 상태에 있을 때의, 압동용 돌출부(11)와 아래쪽 받이 부재(4b) 사이의 이격 거리는, 방풍 커버(60)를 수동으로 완전 개방 상태까지 개방했을 때의 아래쪽 받이 부재(4b)의 이동 거리보다 크다. 따라서, 압동용 돌출부(11)와 아래쪽 받이 부재(4b) 사이에 확보되는 공간(4sb)을 가짐으로써, 방풍 커버(60)의 수동 개폐를 행한 경우에 아래쪽 받이 부재(4b)가 압동용 돌출부(11)에 접촉하지 않고 승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융착 접속기(20)에 있어서는, 도 21a, 도 21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의 방풍 커버(60)를 수동으로 닫으면, 방풍 커버(60) 및 그 회전축(61a)의 회전에 따른 폐루프 부재(2)의 회전에 의해, 폐루프 부재(2)의 상하의 동력 받이 부재(4a, 4b)가 하강하고, 도 25a, 도 25b에 나타낸 상태가 된다.
또한, 도 25a, 도 2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쪽 받이 부재(4b)는 압동용 돌출부(11)에 접촉하지 않고, 압동용 돌출부(11)로부터 위쪽으로 이격 거리를 확보한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융착 접속기(20)는, 도 21a, 도 21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동력 전달 부재(7)를 변위시키지 않고, 수동으로 방풍 커버(60)를 닫을 수 있다.
또한, 융착 접속기(20)는, 도 25a, 도 25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수동으로 방풍 커버(60)를 개방했을 때, 도 21a, 도 21b에 나타낸 상태로 복귀한다. 위쪽 받이 부재(4a)는 도 25a, 도 25b에 나타낸 위치로부터 도 21a, 도 21b에 나타낸 위치로 상승한다.
따라서, 융착 접속기(20)는 도 21a, 도 21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동력 전달 부재(7)를 변위시키지 않고 방풍 커버(60)를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다.
도 21a, 도 21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방풍 커버(60)를 수동으로 개폐하여도 동력 전달 부재(7)가 변위되지 않는 경우, 전동 모터(9)의 출력축(9a)을 회전시키지 않아, 전동 구동원(9)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이 융착 접속기(20)는, 예를 들면, 동력 전달 부재(7)의 무리한 이동에 의해, 폐루프 부재(2)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기구(1a)를 파손하지 않는다.
또한, 이 구성에 의해, 예를 들면, 방풍 커버(60)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전동 모터(9)로서 스테핑 모터를 사용했을 때, 방풍 커버(60)의 개폐 동작 제어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21a, 도 2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개폐 기구(1)가 커버 개방 대기 상태에 있을 때의, 압동용 돌출부(11)와 위쪽 받이 부재(4a) 사이의 이격 거리는, 완전 개방 상태의 방풍 커버(60)를 수동으로 폐쇄했을 때의 위쪽 받이 부재(4a)의 이동 거리보다 크다. 따라서, 압동용 돌출부(11)와 위쪽 받이 부재(4a) 사이에 확보되는 공간(4sa)을 가짐으로써, 방풍 커버(60)의 수동 개폐를 행한 경우에 위쪽 받이 부재(4a)가 압동용 돌출부(11)에 접촉하지 않고 승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방풍 커버의 개폐에 장해가 있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융착 접속기(20)는, 도 18a, 도 18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커버 개방 동작을 행할 때, 어떤 장해(예를 들면, 작업자가 손으로 방풍 커버를 가압하고 있는 경우 등)에 의해 방풍 커버(60)가 열리지 않는 경우, 도 26a, 도 2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장 코일 스프링(6)이 신장됨으로써, 전동 구동원(9)이 구동(이 실시형태에서는 전동 모터의 정회전 구동)을 계속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커버 개폐 기구(1)의 일례로서, 전동 모터(9)로서 스테핑 모터를 채용하고, 인장 코일 스프링(6)으로서, 스테핑 모터의 회전량이 커버 개방 구동 동작의 완료에 도달할 때까지 잡아늘일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이 융착 접속기(20)는, 스테핑 모터의 회전량이 커버 개방 구동 동작의 완료에 도달했을 때 스테핑 모터[전동 모터(9)]의 구동을 정지한다. 또한, 이 융착 접속기(20)는, 스테핑 모터의 회전량이 커버 개방 구동 동작의 완료에 도달하고나서 미리 설정한 소정 시간이 경과 후에, 전동 모터(9)를 구동하여 커버 개방 후 돌출부 시프트 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융착 접속기(20)로서는, 방풍 커버가 완전 개방 위치에 배치된 것을 검지하는 커버 개방 검지기(커버 개방 센서)를 설치하고, 이 커버 개방 검지기가 방풍 커버를 검지했을 때, 커버 개방 후 돌출부 시프트 동작을 개시하는 구성을 사용해도 된다.
융착 접속기(20)는, 도 18a, 도 18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커버 개방 동작을 행했을 때, 어떤 장해에 의해 방풍 커버(60)의 회전(개동)이 방해받은 후, 이 장해가 커버 개방 후 돌출부 시프트 동작의 개시 전에 제거되었을 경우에는, 방풍 커버(60)가, 인장 코일 스프링(6)의 탄성력에 의해, 커버 개방 구동 동작과 동등 또는 그 이상의 각도까지 회전되어, 최종적으로 완전 개방 상태로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융착 접속기(20)의 커버 개방 구동 동작의 개시로부터 커버 개방 후 돌출부 시프트 동작의 완료까지, 어떤 장해에 의해 방풍 커버(60)의 개동이 방해받고, 이 장해가 커버 개방 후 돌출부 시프트 동작의 완료 후에 제거되었을 경우에는, 방풍 커버(60)가 열리지 않고, 닫힌 상태가 된다.
인장 코일 스프링(6)으로서는, 구동 기구(1a)의 동력 전달 부재(7)의 압동용 돌출부(11)로부터 폐루프 부재(2)에 전달되는 구동력을 고려하여, 이 구동력에 의해 잡아늘일 수 있는 부재를 사용한다.
도 26a, 도 2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커버 개폐 기구(1)는, 이미 기술한 밀어올림 사프트(14)를 가지고 있다. 단,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의 융착 접속기로서는, 밀어올림 사프트(14)를 가지고 있지 않은 구성을 사용해도 된다.
밀어올림 사프트(14)를 가지는 구성은, 방풍 커버(60)의 마그넷(12a, 12b)(도 15 참조)이 장치 본체(21)의 마그넷 캐치(13a, 13b)를 흡인하는 흡인력을 강하게 설정[단, 작업자에 의한 방풍 커버(60)의 수동 개방이 가능한 범위]해도, 폐루프 부재(2)의 인장 코일 스프링(6)의 스프링 상수(常數)를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밀어올림 사프트(14)를 가지는 구성은, 폐쇄 상태의 방풍 커버(60)의 수동 개방(수동 개방 조작)을 쉽게 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마그넷(12a, 12b)이 장치 본체(21)의 마그넷 캐치(13a, 13b)를 흡인하는 흡인력을 강하게 설정함으로써, 어떤 원인에 의한 방풍 커버(60)의 뜻하지 않은 개방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커버 개폐 기구로서, 이미 기술한 커버 개폐 기구(1)로부터 밀어올림 사프트(14)를 생략한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밀어올림 사프트(14)를 가지고 있지 않은 커버 개폐 기구를 채용한 융착 접속기를, 이하, 밀어올림 없는 융착 접속기라고도 한다.
밀어올림 없는 융착 접속기의 폐루프 부재(2)의 인장 코일 스프링(6)으로서는, 커버 개방 구동 동작 시에 마그넷(12a, 12b)의 흡인력에 지지 않는 크기의 스프링 상수를 가지는 부재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인장 코일 스프링(6)의 탄성력에 비해, 밀어올림 없는 융착 접속기의 마그넷(12a, 12b)의 흡인력이 매우 강하면, 커버 개방 구동 동작을 방해하는 장애가 된다. 그러므로, 밀어올림 없는 융착 접속기의 폐루프 부재(2)의 인장 코일 스프링(6)으로서는, 커버 개방 구동 동작 시에 마그넷(12a, 12b)의 흡인력에 의해 크게 잡아 늘여지지 않고, 폐쇄 상태의 방풍 커버(60)의 회전을 실현할 수 있는 강도의 탄성력을 발휘하는 부재가 바람직하다.
융착 접속기에서의, 폐쇄 상태의 방풍 커버(60)의 수동 개방은, 마그넷(12a, 12b)의 흡인력 및 인장 코일 스프링(6)의 탄성, 양쪽에 저항하여 행한다. 이것은, 밀어올림 없는 융착 접속기, 및 밀어올림 사프트(14)를 가지는 융착 접속기(20)의 양쪽에 공통된다.
밀어올림 없는 융착 접속기는, 마그넷(12a, 12b)의 흡인력을 강하게 한 경우에, 그에 따라 인장 코일 스프링(6)도 스프링 상수가 더 큰 부재를 채용하면, 폐쇄 상태의 방풍 커버(60)의 수동 개방에 강한 힘을 필요로 한다.
반면, 밀어올림 사프트(14)를 가지는 커버 개폐 기구(1)를 채용한 융착 접속기(20)는,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커버 개방 구동 동작 시에, 구동 기구(1a)의 동력 전달 부재(7)가 밀어올린 밀어올림 사프트(14)가 방풍 커버(60)를 밀어올려 장치 본체(21)로부터 상승시키는 구성이다. 이 융착 접속기(20)에 있어서는, 구동 기구(1a)에 의한 폐루프 부재(2)의 회전 구동에 따른 방풍 커버(60)의 개방 방향으로의 회전에 있어서, 마그넷(12a, 12b)의 흡인력의 영향은 거의 또는 전혀 없다.
그러므로, 이 융착 접속기(20)는, 마그넷(12a, 12b)의 흡인력을 강하게 설정(단, 작업자에 의한 방풍 커버(60)의 수동 개방이 가능한 범위)해도, 폐루프 부재(2)의 인장 코일 스프링(6)의 스프링 상수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이 융착 접속기(20)는, 밀어올림 없는 융착 접속기에 비해, 폐쇄 상태의 방풍 커버(60)의 수동 개방을 작은 힘으로 쉽게 행할 수 있다.
구동 기구(1a)의 동력 전달 부재(7)에 밀어올려진 밀어올림 사프트(14)가, 방풍 커버(60)를 밀어올려 장치 본체(21)로부터 상승시킴으로써, 마그넷(12a, 12b)의 마그넷 캐치(13a, 13b)에 대한 착자(着磁) 해제를 행하는 경우, 밀어올림 사프트(14)를 가지고 있지 않은 커버 개폐 기구를 채용한 구성에 비해, 전동 구동원(9)의 구동력을 방풍 커버(60)의 회전에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8a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융착 접속기(20)의 방풍 커버(60)의 샤프트 충돌부(15)는, 방풍 커버(60)의 회전축(61a)으로부터 회전축(61a)의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밀어올림 사프트(14)에 의한 샤프트 충돌부(15)의 밀어올리는 힘은, 폐루프 부재(2)로부터 방풍 커버(60)의 회전축(61a)에 전달되는 경우에 비해, 방풍 커버(60)를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융착 접속기(20)에 있어서는, 전동 구동원(9)으로서 출력이 작은 소형의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전동 구동원(9)의 소형화는, 장치 본체(21), 접속기 전체의 소형화에도 유효하다.
또한, 융착 접속기(20)의 커버 개폐 기구(1)는, 전동 구동원(9)의 구동력을 폐루프 부재(2)를 통하여 방풍 커버(60)에 전달하여 방풍 커버(60)를 개폐하는 구성이므로, 방풍 커버(60)에 대한 전동 구동원(9)의 설치 위치의 자유도가 높고, 융착 접속기 전체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커버 개폐 기구(1)는, 예를 들면, 전동 구동원의 구동력을 복수의 기어에만 따라서 방풍 커버(60)에 전달하는 기어 방식의 기구에 비해, 융착 접속기에서의 설치 스페이스의 축소가 용이하다. 그러므로, 융착 접속기(20)는, 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커버 개폐 기구(1)는, 예를 들면, 전술한 기어 방식의 기구에 비해, 부품 수를 적게 억제하는 것이 용이하며, 또한, 기어 방식에 비해 조립도 용이하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융착 접속기(20)는, 방풍 커버(60)가 장치 본체(21)에 대하여 폐쇄된 것을 검지하는 커버 폐쇄 검지기(33)(커버 폐쇄 센서)를 가진다. 커버 폐쇄 검지기(33)를 가짐으로써, 커버 폐쇄 스위치(31d)(도 3 참조)를 온 조작하고, 방풍 커버(60)가 장치 본체(21)에 대하여 폐쇄된 것을 커버 폐쇄 검지기(33)가 검지했을 때, 커버 폐쇄 검지기(33)로부터 얻어지는 검지 신호를 트리거로서 융착 접속 동작을 자동으로 개시한다.
이 융착 접속기(20)는, 그 전체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가진다. 제어 장치를 가짐으로써, 제어 장치가 커버 폐쇄 검지기(33)로부터 검지 신호를 취득했을 때, 제어 장치의 제어에 의해, 융착 접속 동작으로 이행한다.
커버 폐쇄 검지기(33)로서는, 융착 접속기에 대하여, 방풍 커버가 폐쇄 상태로 된 것을 검지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주지의 검지기를 이용하면 된다.
여기서는 커버 폐쇄 검지기(33)로서, 방풍 커버(60)에 장착된 자성체[예를 들면, 마그넷(12a, 12b)]를 검지하는 자기 센서를 사용하고 있다. 이 자기 센서는, 방풍 커버(60)가 폐쇄된 것을 비접촉으로 검지하고(검지 상태가 됨), 방풍 커버(60)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방향으로 변위되어 있어, 방풍 커버(60)가 폐쇄된 상태로 되어 있지 않을 때는 방풍 커버(60)에 장착된 자성체를 검지하지 않는 무(無)검지 상태가 된다.
커버 폐쇄 검지기(33)로서는, 전술한 자기 센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커버 폐쇄 검지기(33)로서는, 예를 들면, 포토 센서 등의 비접촉 센서, 또는 방풍 커버의 근접 및 이격에 의해 방풍 커버의 개폐를 검지하는 터치 센서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커버 폐쇄 검지기(33)로서는, 방풍 커버의 회전축의 연장선상 또는 회전축의 주위에 형성된 부분(검지용 회전부)의 회전 각도를 계측하는 인코더 또는 각도 센서 등을 사용해도 된다. 인코더, 각도 센서 등의 회전 각도 계측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방풍 커버가 폐쇄 위치에 배치된 것을 검지하는 것 외에, 방풍 커버가 완전 개방 위치에 배치된 것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방풍 커버가 상기 완전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 있는 것을 검지할 수도 있다.
도 21a, 도 21b에 나타낸 개방 상태(완전 개방 상태)의 방풍 커버(60)를 폐쇄하는 커버 폐쇄 동작에서는,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전동 모터(9)를 역회전 구동하여 동력 전달 부재(7)를 하강시키고, 압동용 돌출부(11)에 의해 아래쪽 받이 부재(4b)를 눌러 내린다. 아래쪽 받이 부재(4b)를 눌러 내림으로써, 아래쪽 받이 부재(4b)로부터 인장 코일 스프링(6)을 통하여 삭재(3)에 작용시킨 인장력에 의해, 방풍 커버(60)를 그 회전축(61a)과 함께 폐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커버 폐쇄 동작에서는, 예를 들면, 이물질이 끼어 있는 경우, 또는 작업자가 손으로 방풍 커버(60)를 누르고 있는 경우 등, 어떤 장해에 의해, 개방 상태로부터 회전한 방풍 커버(60)가, 커버 폐쇄 구동 동작이 완료되는 위치에 도달하지 않은 때, 도 27a, 도 2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장 코일 스프링(6)이 늘어남으로써, 전동 구동원(9)이 구동(이 실시형태에서는 전동 모터의 역회전 구동)을 계속한다. 동력 전달 부재(7)의 압동용 돌출부(11) 및 아래쪽 받이 부재(4b)는, 인장 코일 스프링(6)을 길게 늘이면서 하강한다. 따라서, 전동 구동원(9)에 과대한 부하가 걸리지 않고, 또한, 커버 개폐 기구(1)의 구동 기구(1a)의 파손도 방지할 수 있다.
인장 코일 스프링(6)은, 전동 모터(9)(여기서는 스테핑 모터)의 회전량이 커버 개방 구동 동작의 완료에 도달할 때까지 길게 늘어날 수 있다.
커버 폐쇄 구동 동작에 의한 방풍 커버(60)의 회전(폐쇄 동작)이 어떤 장해에 의해 방해받은 후, 이 장해가 커버 폐쇄 후 돌출부 시프트 동작의 개시 전에 제거되었을 때, 방풍 커버(60)가, 인장 코일 스프링(6)의 탄성력에 의해, 완전 개방 위치로부터 커버 폐쇄 구동 동작과 동등 또는 그 이상의 각도까지 회전되어, 최종적으로 방풍 커버(60)가 폐쇄 상태가 된다.
또한, 예를 들면, 방풍 커버(60)의 커버 폐쇄 구동 동작의 개시로부터 커버 폐쇄 후 돌출부 시프트 동작의 완료까지, 어떤 장해에 의해 방풍 커버(60)의 폐쇄 동작이 방해받고, 이 장해가 커버 폐쇄 후 돌출부 시프트 동작의 완료 후에 제거되었을 경우에는, 방풍 커버(60)는 닫히지 않고, 열린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융착 접속기(20)는, 도 21a, 도 21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커버 폐쇄 동작의 개시 후, 전동 모터(9)(여기서는 스테핑 모터)의 회전량이 커버 개방 구동 동작의 완료에 도달해도, 방풍 커버(60)가 폐쇄 상태로 된 것(폐쇄 위치에 배치된 것)이 커버 폐쇄 검지기(33)에 검지되지 않은 때는, 그 후의 융착 접속 동작은 개시되지 않는다.
전동 모터(9)(스테핑 모터)의 회전량이 커버 개방 구동 동작의 완료에 도달해도, 커버 폐쇄 검지기(33)에 방풍 커버(60)가 폐쇄 상태로 된 것이 검지되지 않은 때는, 이상(폐쇄 동작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하여 융착 접속 동작은 개시되지 않는다.
또한, 융착 접속기(20)는, 폐쇄 동작 이상의 발생을 검지했을 때, 전동 구동원(9)을 구동하여, 커버 개방 동작과, 커버 개방 동작의 후에 행해지는 커버 폐쇄 동작으로 구성되는 커버 폐쇄 보조 동작을 1 사이클 이상 자동으로 실행하는, 커버 폐쇄 반복 동작을 행한다.
커버 폐쇄 반복 동작은, 커버 폐쇄 검지기(33)에 의해 방풍 커버(60)가 폐쇄 위치로 된 것이 커버 폐쇄 검지기(33)에 검지되면 종료된다. 그 경우, 커버 폐쇄 반복 동작의 종료 후, 커버 폐쇄 보조 동작이 행해지지 않고, 융착 접속 동작이 행해진다.
커버 폐쇄 반복 동작은, 커버 폐쇄 보조 동작의 완료 시에, 방풍 커버(60)가 폐쇄 위치로 된 것이 커버 폐쇄 검지기(33)에 검지되지 않으면, 커버 폐쇄 보조 동작을 1 사이클, 추가 실행한다.
융착 접속기(20)는, 커버 폐쇄 보조 동작을 미리 설정한 상한 횟수까지 실행해도, 방풍 커버(60)가 폐쇄된 것이 커버 폐쇄 검지기(33)에 검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융착 접속 동작을 개시하지 않는다. 또한, 이 경우, 융착 접속기(20)는, 경고 통지 정보로서, 예를 들면, 모니터 장치(31)(도 3 참조)로부터 경고 표시를 표시한다(출력하는). 이때 모니터 장치(31)는, 경고 통지 정보를 출력하는 통지 정보 출력부로서 기능한다.
방풍 커버(60)를 수동으로 닫았을 때의 이물질의 끼임은, 이물질의 사이즈 등에 따라서는, 작업자에게 있어 인식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커버 폐쇄 보조 동작을 미리 설정한 상한 횟수까지 실행해도 방풍 커버(60)를 커버 폐쇄 검지기(33)가 검지하지 않은 경우에 통지 정보 출력부가 경고 통지 정보를 출력하는 구성은, 융착 접속기를 사용하는 작업자가 방풍 커버(60)의 개폐 상황을 파악하는 데 유효하다.
경고 통지 정보를 출력하는 통지 정보 출력부로서는, 모니터 장치(31)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지 정보 출력부로서는, 예를 들면, 폐쇄 동작 이상의 발생을 검지했을 때 점등되는 램프, 경고 통지 정보로서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을 사용해도 된다.
그리고, 융착 접속기는, 방풍 커버(60)가 폐쇄된 것을 커버 폐쇄 검지기(33)가 검지했을 때, 이것을 통지하는 커버 폐쇄 완료 통지부를 가지는 구성을 사용해도 된다.
방풍 커버(60)가 폐쇄된 것을 커버 폐쇄 검지기(33)가 검지했을 때 커버 폐쇄 완료 통지부로부터 통지 정보(커버 폐쇄 통지 정보)를 출력하는 구성은, 융착 접속기를 사용하는 작업자가 방풍 커버(60)의 개폐 상황을 파악하는 데 유효하다.
(커버 개폐 기구의 제1 변형예)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의 융착 접속기의 커버 개폐 기구의 제1 변형예(커버 개폐 기구의 제2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 28∼도 37 중, 도 1∼도 27b를 참조하여 설명한 융착 접속기(20)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공통의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도 28∼도 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개폐 기구의 제1 변형예에 있어서는, 도 1∼도 27b를 참조하여 설명한 융착 접속기(20)에 설치되는 커버 개폐 기구(1) 대신에 커버 개폐 기구(21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커버 개폐 기구(210)에 있어서는, 이미 기술한 커버 개폐 기구(1)의 폐루프 부재(2) 대신에, 삭재(3)의 양단을, 하나의 동력 받이 부재(4)와, 2개의 인장 코일 스프링(6a, 6b)을 통하여 연결하여 폐루프 형태로 한 폐루프 부재(220)가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이 커버 개폐 기구(210)에 있어서는, 이미 기술한 커버 개폐 기구(1)의 동력 전달 부재(7) 대신에, 랙 기어(7b)의 서로 이격된 2곳에 압동용 돌출부(11a, 11b)가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구성의 동력 전달 부재(217)(도 29 참조)가 사용된다.
이미 기술한 커버 개폐 기구(1)의 동력 전달 부재(7)는, 압동용 돌출부(11)를 하나만 가진다. 이에 대해, 커버 개폐 기구(210)의 동력 전달 부재(217)는 압동용 돌출부를 2개 가지고 있다.
커버 개폐 기구(210)의 구동 기구(211)는, 이미 기술한 커버 개폐 기구(1)의 구동 기구(1a)과 비교하여, 2개의 압동용 돌출부(11a, 11b)를 가지는 동력 전달 부재(217)를 채용한 점만이 상이하다. 커버 개폐 기구(210)의 동력 전달 부재(217) 이외의 구성은 기술의 커버 개폐 기구(1)와 동일하다.
도 28, 도 32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루프 부재(220)의 2개의 인장 코일 스프링(6a, 6b)은, 이들 축선 방향 한쪽의 단부가 동력 받이 부재(4)에 연결되어 있고, 동력 받이 부재(4)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삭재(3)의 양단에는, 각각의 인장 코일 스프링(6a, 6b)의 동력 받이 부재(4)와는 반대 측의 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즉, 폐루프 부재(220)는, 이미 기술한 커버 개폐 기구(1)의 폐루프 부재(2)의 삭재(3)의 양단 사이에, 2개의 동력 받이 부재(4a, 4b) 및 하나의 인장 코일 스프링(6) 대신에, 하나의 동력 받이 부재(4)와 2개의 인장 코일 스프링(6a, 6b)이 설치되어 있다.
커버 개폐 기구(210)가 설치되어 있는 융착 접속기는, 도시 생략한 전원 스위치를 온 상태로부터 오프로 했을 때, 방전부(24a)의 좌우 양측의 가동 스테이지(22)가 섬유 장착 시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도 28∼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풍 커버(60)가 폐쇄된 상태(동작 대기 초기 상태)가 된다. 동작 대기 초기 상태의 융착 접속기는, 오프 상태로 되어 있던 전원 스위치를 온으로 함으로써, 각 가동 스테이지(22)가 섬유 장착 시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도 33∼도 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풍 커버(60)가 개방된다(섬유 세트 대기 상태).
융착 접속기가 동작 대기 초기 상태에 있을 때의 방풍 커버(60) 및 커버 개폐 기구(210) 상태, 즉 도 28∼도 32에 나타낸 방풍 커버(60) 및 커버 개폐 기구(210) 상태를, 이하, 커버 개방 대기 상태라고도 한다. 또한, 융착 접속기가 섬유 세트 대기 상태에 있을 때의 방풍 커버(60) 및 커버 개폐 기구(210) 상태, 즉 도 33∼도 37에 나타낸 방풍 커버(60) 및 커버 개폐 기구(210) 상태를, 이하, 커버 폐쇄 대기 상태라고도 한다.
도 28, 도 32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루프 부재(220)는, 방풍 커버(60)의 회전축(61a)과 그 아래쪽의 풀리(5)와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부재 간 설치부(221, 222)를 가진다. 동력 받이 부재(4)와 2개의 인장 코일 스프링(6a, 6b)은 한 쌍의 부재 간 설치부(221, 222)의 다른 한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하, 동력 받이 부재(4) 및 인장 코일 스프링(6a, 6b)이 배치되어 있는 부재 간 설치부(221)를 결합 측 설치부, 다른 쪽의 부재 간 설치부(222)를 비결합 측 설치부라고도 한다.
그리고, 동력 받이 부재(4) 및 인장 코일 스프링(6a, 6b)은, 커버 개폐 기구(210)의 구동 기구(211)의 구동력, 또는 방풍 커버(60)의 수동 개폐 조작에 의해 폐루프 부재(220)가 회전되어도 비결합 측 설치부(222)에 배치되지 않고, 항상, 결합 측 설치부(221)에 배치된다.
도 28, 도 32에 있어서, 방풍 커버(60)의 회전축(61a) 및 풀리(5)에 대한 삭재(3)의 배치는 도 18a와 같다.
비결합 측 설치부(222)는 그 전체가 삭재(3)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점, 방풍 커버(60)의 회전축(61a) 및 풀리(5)에는 폐루프 부재(220) 중 삭재(3)만이 감겨 걸려있는 점, 삭재(3)의 양단은 결합 측 설치부(221)에 위치하는 점은, 도 18a와 같다.
또한,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도 18a의 경우, 도 4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삭재(3)의 삭재 고정부(60a)는, 삭재(3)에서의 방풍 커버(60)의 회전축(61a) 외주에 감겨 걸린 부분의 결합 측 설치부(2A) 측의 단부를 구성한다. 커버 폐쇄 대기 상태(도 28∼도 32)에 있어서, 폐루프 부재(220)는, 그 삭재(3)에서의 방풍 커버(60)의 회전축(61a) 외주에 감겨 걸린 부분의 결합 측 설치부(221) 측의 단부에, 삭재(3)를 회전축(61a)에 고정한 삭재 고정부(도시 생략)를 가진다. 회전축(61a)과 삭재(3)의 회전축(61a)에 감아 건 부분과의 관계는, 도 49를 참조하여 설명한 회전축(61a)과 삭재(3)의 회전축(61a)에 감아 건 부분과의 관계와 같다.
도 28, 도 29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력 전달 부재(217)의 2개의 압동용 돌출부(11a, 11b)는, 이미 기술한 커버 개폐 기구(1)의 동력 전달 부재(7)의 압동용 돌출부(11)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8, 도 32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력 전달 부재(217)의 2개의 압동용 돌출부(11a, 11b)는, 동력 받이 부재(4)를 통하여 그 상하에 배치된 인장 코일 스프링(6a, 6b)에 대응하여, 랙 기어(7b)의 상하 2곳에 설치되어 있다.
도 28, 도 32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폐쇄 대기 상태에 있어서, 동력 전달 부재(217)의 2개의 압동용 돌출부(11a, 11b)는, 절결 오목부(11c)에 인장 코일 스프링(6a, 6b)(탄성 부재)의 그 축선 방향의 일부를 수용하여, 폐루프 부재(220)의 동력 받이 부재(4)의 상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폐루프 부재(220)의 동력 받이 부재(4)의 위쪽의 인장 코일 스프링(6a)(이하, 위쪽 인장 코일 스프링이라고도 함)은, 그 축선 방향의 일부가, 동력 전달 부재(217)의 위쪽의 압동용 돌출부(11a)(이하, 위쪽 압동용 돌출부라고도 함)의 절결 오목부(11c) 안쪽에 수용되어 있다. 폐루프 부재(220)의 동력 받이 부재(4)의 아래쪽의 인장 코일 스프링(6b)(이하, 아래쪽 인장 코일 스프링이라고도 함)은, 그 축선 방향의 일부가 동력 전달 부재(217)의 아래쪽의 압동용 돌출부(11b)(이하, 아래쪽 압동용 돌출부라고도 함)의 절결 오목부(11c) 안쪽에 수용되어 있다.
동력 전달 부재(217)의 상하의 압동용 돌출부(11a, 11b)는, 동력 전달 부재(217)를 결합 측 설치부(221)의 연장 방향으로 결합 측 설치부(221)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키면, 절결 오목부(11c) 안쪽의 인장 코일 스프링(6a, 6b)의 외주를 따라 이동한다.
도 32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폐쇄 대기 상태의 커버 개폐 기구(210)는, 동력 전달 부재(217)의 아래쪽 압동용 돌출부(11b)가, 폐루프 부재(220)의 동력 받이 부재(4)에 대하여 그 아래쪽에 약간의 간극을 통하여 접근하여 배치되고, 동력 전달 부재(217)의 위쪽 압동용 돌출부(11b)가 위쪽 인장 코일 스프링(6a)의 상단부를 수용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때, 폐루프 부재(220)의 동력 받이 부재(4)는, 동력 전달 부재(217)의 상하의 압동용 돌출부(11a, 11b) 사이에 위치한다. 동력 전달 부재(217)의 상하의 압동용 돌출부(11a, 11b)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상하 방향)에서의 동력 받이 부재(4)의 치수는, 압동용 돌출부(11a, 11b)의 이격 거리에 비해 현저하게 작다. 도 32 등에 나타내는 커버 폐쇄 대기 상태에 있어서는, 동력 전달 부재(217)의 아래쪽 압동용 돌출부(11b)는, 폐루프 부재(220)의 동력 받이 부재(4)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위쪽 압동용 돌출부(11a)에 비해 현저하게 짧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커버 개폐 기구(210) 및 방풍 커버(60)는, 도 32 등에 나타내는 커버 폐쇄 대기 상태로부터, 전동 모터(9)의 정회전 구동에 의해, 방풍 커버(60)를 여는 커버 개방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이 커버 개방 동작은, 전동 구동원(9)의 구동력에 의해 폐쇄 상태의 방풍 커버(60)를 개방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커버 개방 구동 동작을 행한 후, 방풍 커버(60)의 자체 중량 개방 동작에 의해, 방풍 커버(60)는 도 33∼도 37에 나타낸 완전 개방 상태가 된다.
커버 개방 구동 동작에서는, 폐쇄 상태의 방풍 커버(60)를, 자체 중량에 의해 개방 동작이 가능한 위치까지 회전시킨다.
커버 개방 구동 동작은, 전동 모터(9)의 정회전 구동에 의해 동력 전달 부재(217)를 상승시켜, 동력 전달 부재(217)의 아래쪽 압동용 돌출부(11b)에 의해 폐루프 부재(220)의 동력 받이 부재(4)를 밀어올리고, 폐쇄 상태의 방풍 커버(60)를 그 회전축(61a)과 함께 개방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실현된다.
동력 전달 부재(217)의 아래쪽 압동용 돌출부(11b)가 폐루프 부재(220)의 동력 받이 부재(4)를 밀어올리면, 이에 따라, 방풍 커버(60)의 회전축(61a)에, 동력 받이 부재(4)로부터 폐루프 부재(220)의 아래쪽 인장 코일 스프링(6b)을 통하여 인장력이 작용하고, 방풍 커버(60)의 회전축(61a)과 방풍 커버(60)가 회전된다.
또한, 커버 개폐 기구(210)는, 이미 기술한 커버 개폐 기구(1)와 마찬가지로, 밀어올림 사프트(14)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커버 개폐 기구(210)는, 동력 전달 부재(217)가 밀어올린 밀어올림 사프트(14)에 의해 폐쇄 상태의 방풍 커버(60)를 밀어올려 개방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커버 개방 구동 동작에 있어서, 어떤 장해에 의해, 방풍 커버(60)의 개방 방향으로의 회전을 방해받은 경우에는, 동력 전달 부재(217)의 상승에 따라, 폐루프 부재(220)의 아래쪽 인장 코일 스프링(6b)이 길게 늘어난다.
아래쪽 인장 코일 스프링(6b)은, 전동 모터(9)(여기서는 스테핑 모터)의 회전량이 커버 개방 구동 동작의 완료에 도달할 때까지 늘어날 수 있다. 따라서, 이 커버 개폐 기구(210)는, 전동 모터(9)를 과대한 부하에 의해 파손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어떤 장해에 의해 커버 개방 구동 동작이 방해받았던 후, 이 장해가 제거됨으로써, 아래쪽 인장 코일 스프링(6b)의 탄성력에 의해, 방풍 커버(60)가 폐쇄 위치로부터 커버 개방 구동 동작과 동등 또는 그 이상의 각도까지 회전되어, 최종적으로 방풍 커버(60)는 개방 상태(완전 개방 상태)가 된다.
커버 개폐 기구(210)의 동력 전달 부재(217)는, 커버 개방 동작이 완료된 시점에서, 도 37의 가상선으로 나타낸 위치에 배치된다. 도 37의 가상선으로 나타낸 배치 위치에 있는 동력 전달 부재(217)는, 아래쪽 압동용 돌출부(11b)가 동력 받이 부재(4)의 아래쪽에 약간의 간극을 통하여 접근하여 배치되고, 위쪽 압동용 돌출부(11a)는, 동력 받이 부재(4)로부터 그 위쪽으로, 아래쪽 압동용 돌출부(11b)와 동력 받이 부재(4)와의 이격 거리에 비해, 동력 받이 부재(4)와의 이격 거리 쪽이 현저하게 큰 이격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된 상태가 되어 있다.
커버 개폐 기구(210)는, 커버 개방 동작의 완료 후, 전동 모터(9)를 역회전 구동하여 동력 전달 부재(217)를 하강시켜, 동력 전달 부재(217)를 도 37의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에 배치하는, 커버 개방 후 돌출부 시프트 동작을 행한다. 그 결과, 방풍 커버(60) 및 커버 개폐 기구(210)는, 도 37의 실선으로 나타낸 커버 개방 대기 상태가 된다.
커버 개방 후 돌출부 시프트 동작에 의해, 동력 전달 부재(217)는, 위쪽 압동용 돌출부(11a)가 동력 받이 부재(4)의 위쪽에 약간의 간극을 통하여 접근하여 배치된다. 또한, 아래쪽 압동용 돌출부(11b)는, 동력 받이 부재(4)로부터 그 아래쪽으로, 위쪽 압동용 돌출부(11a)와 동력 받이 부재(4)와의 이격 거리에 비해 현저하게 큰 동력 받이 부재(4)와의 이격 거리로, 동력 받이 부재(4)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로써, 아래쪽 압동용 돌출부(11b)와 동력 받이 부재(4) 사이에는, 개방 상태의 방풍 커버(60)를 수동으로 닫을 때에 상승하는 동력 받이 부재(4)의 이동량(상승량)보다 큰 이격 거리가 확보된다.
여기서, 아래쪽 압동용 돌출부(11b)와 동력 받이 부재(4)와의 사이에 확보되는 공간(11sb)을 가짐으로써, 방풍 커버(60)의 수동 개폐를 행한 경우에 동력 받이 부재(4)가 아래쪽 압동용 돌출부(11b)에 접촉하지 않고 승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커버 개폐 기구(210)를 설치한 융착 접속기는, 도 37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동력 전달 부재(217)를 변위시키지 않고 방풍 커버(60)를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결합 측 설치부(221)의 연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서의 동력 받이 부재(4)의 사이즈는, 인장 코일 스프링(6a, 6b)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커버 개폐 기구(210)는, 전동 모터(9)의 정회전 구동에 의해 동력 전달 부재(217)를 상승시킴으로써, 아래쪽 압동용 돌출부(11b)를 폐루프 부재(220)의 동력 받이 부재(4)에 그 아래쪽으로부터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개폐 기구(210)는, 동력 받이 부재(4)에 결합된 아래쪽 압동용 돌출부(11b)에 의해, 동력 전달 부재(217)의 상승에 따라, 동력 받이 부재(4)를 밀어올린다.
또한, 커버 개폐 기구(210)는, 도 33∼도 37에 나타낸 커버 개방 대기 상태로부터, 전동 모터(9)의 역회전 구동에 의해 동력 전달 부재(217)를 하강시킴으로써, 위쪽 압동용 돌출부(11a)를 폐루프 부재(220)의 동력 받이 부재(4)에 그 위쪽으로부터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커버 개폐 기구(210)는, 그 동력 받이 부재(4)에 결합된 위쪽 압동용 돌출부(11a)에 의해, 동력 전달 부재(217)의 하강에 따라, 동력 받이 부재(4)를 눌러 내린다.
커버 개폐 기구(210) 및 방풍 커버(60)는, 도 33∼도 37에 나타낸 커버 개방 대기 상태로부터, 전동 모터(9)의 역회전 구동에 의해, 방풍 커버(60)를 닫는 커버 폐쇄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이 커버 폐쇄 동작이란, 전동 구동원(9)의 구동력에 의해 개방 상태의 방풍 커버(60)를 폐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커버 폐쇄 구동 동작을 행한 후, 방풍 커버(60)의 자체 중량에 의한 폐쇄 동작에 의해, 방풍 커버(60)가 도 28∼도 32에 나타낸 폐쇄 상태가 되는 동작이다.
커버 폐쇄 구동 동작에서는, 개방 상태의 방풍 커버(60)를 자체 중량 폐쇄 동작 가능한 위치까지 회전시킨다.
커버 폐쇄 구동 동작은, 전동 모터(9)의 역회전 구동에 의해 동력 전달 부재(217)를 하강시켜, 동력 전달 부재(217)의 위쪽 압동용 돌출부(11a)에 의해 폐루프 부재(220)의 동력 받이 부재(4)를 눌러 내리고, 폐쇄 상태의 방풍 커버(60)를 그 회전축(61a)과 함께 폐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실현된다.
동력 전달 부재(217)의 위쪽 압동용 돌출부(11a)가 폐루프 부재(220)의 동력 받이 부재(4)를 눌러 내리면, 이에 따라, 방풍 커버(60)의 회전축(61a)에, 동력 받이 부재(4)로부터 폐루프 부재(220)의 위쪽 인장 코일 스프링(6a)을 통하여 작용하는 인장력이 작용하고, 방풍 커버(60)의 회전축(61a)과 방풍 커버(60)가 회전된다.
커버 폐쇄 구동 동작에 있어서, 이물질의 끼임 등의, 어떤 장해에 의해, 방풍 커버(60)의 폐쇄 방향으로의 회전을 방해받은 경우에는, 동력 전달 부재(217)의 하강에 따라, 폐루프 부재(220)의 위쪽 인장 코일 스프링(6a)이 길게 늘어난다.
위쪽 인장 코일 스프링(6a)은, 전동 모터(9)(여기서는 스테핑 모터)의 회전량이 커버 폐쇄 구동 동작의 완료에 도달할 때까지 늘어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개폐 기구(210)는, 전동 모터(9)를 과대한 부하에 의해 파손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어떤 장해에 의해 커버 폐쇄 구동 동작이 방해받은 후, 이 장해가 제거됨으로써, 위쪽 인장 코일 스프링(6a)의 탄성력에 의해, 방풍 커버(60)는 완전 개방 위치로부터 커버 폐쇄 구동 동작과 동등 또는 그 이상의 각도까지 회전되어, 최종적으로 방풍 커버(60)는 폐쇄 상태가 된다.
또한, 커버 개폐 기구(210)를 설치한 융착 접속기는, 이물질의 끼임 등의, 어떤 장해에 의해, 방풍 커버(60)가 폐쇄 상태되지 않는[도 6의 커버 폐쇄 검지기(33)가 무검지 상태로부터 검지 상태로 전환되지 않는) 경우에, 이미 기술한 커버 폐쇄 반복 동작을 자동으로 실행한다.
동력 전달 부재(217)는, 커버 폐쇄 동작이 완료된 시점에서, 도 32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위치에 배치된다. 도 32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배치 위치에 있는 동력 전달 부재(217)는, 위쪽 압동용 돌출부(11a)가 동력 받이 부재(4)의 위쪽에 약간의 간극을 통하여 접근하여 배치된다. 또한, 아래쪽 압동용 돌출부(11b)는, 동력 받이 부재(4)로부터 그 아래쪽으로, 위쪽 압동용 돌출부(11a)와 동력 받이 부재(4)와의 이격 거리에 비해 현저하게 큰 동력 받이 부재(4)와의 이격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커버 개폐 기구(210)는, 커버 폐쇄 동작의 완료 후, 전동 모터(9)를 정회전 구동하여 동력 전달 부재(217)를 상승시켜, 동력 전달 부재(217)를 도 32에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에 배치하는, 커버 개방 후 돌출부 시프트 동작을 행한다. 그 결과, 방풍 커버(60) 및 커버 개폐 기구(210)는, 도 32에 실선으로 나타낸 커버 폐쇄 대기 상태가 된다.
커버 폐쇄 후 돌출부 시프트 동작에 의해, 동력 전달 부재(217)는, 아래쪽 압동용 돌출부(11b)가 동력 받이 부재(4)의 아래쪽에 약간의 간극을 통하여 접근하여 배치된다. 또한, 위쪽 압동용 돌출부(11a)는, 동력 받이 부재(4)로부터 그 위쪽에, 아래쪽 압동용 돌출부(11b)와 동력 받이 부재(4)와의 이격 거리에 비해 현저하게 큰 동력 받이 부재(4)와의 이격 거리로 동력 받이 부재(4)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로써, 위쪽 압동용 돌출부(11a)와 동력 받이 부재(4) 사이에는, 폐쇄 상태의 방풍 커버(60)를 수동으로 개방했을 때 상승하는 동력 받이 부재(4)의 이동량(상승량)보다 큰 이격 거리가 확보된다.
여기서, 위쪽 압동용 돌출부(11a)와 동력 받이 부재(4)와의 사이에 확보되는 공간(11sa)을 가짐으로써, 방풍 커버(60)의 수동 개폐를 행한 경우에 동력 받이 부재(4)가 위쪽 압동용 돌출부(11a)에 접촉하지 않고 승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커버 개폐 기구(210)를 설치한 융착 접속기는, 도 32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동력 전달 부재(217)를 변위시키지 않고 방풍 커버(60)를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다.
(커버 개폐 기구의 제2 변형예)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융착 접속기의 커버 개폐 기구의 제2 변형예(제3 예)를 도 38a 및 도 38b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 38a 및 도 38b에 있어서, 도 1∼도 37과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공통의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도 38a, 도 3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변형예에 있어서는, 도 1∼도 27b를 참조하여 설명한 융착 접속기(20)에 설치되는 커버 개폐 기구(1) 대신에 커버 개폐 기구(31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커버 개폐 기구(310)에 있어서는, 이미 기술한 커버 개폐 기구(1)의 폐루프 부재(2) 대신에, 2개의 삭재(3a, 3b)(권장체)를, 인장 코일 스프링(6c, 6d)를 통하여 연결하여 폐루프 상태로 한 구성의 폐루프 부재(320)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 커버 개폐 기구(310)는, 그 구동 기구로서, 제1 변형예의 커버 개폐 기구(210)의 구동 기구(211)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도 38a 및 도 38b에 있어서는, 커버 개폐 기구(310)의 일부인 밀어올림 사프트(14)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커버 개폐 기구(310)에서의 밀어올림 사프트(14)의 구성, 커버 개폐 기구(310)의 구동 기구(211)의 구동에 의한 동작은, 제1 변형예의 커버 개폐 기구(210)에서의 밀어올림 사프트(14)의 구성, 구동 기구(211)의 구동에 의한 동작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커버 개폐 기구(310)는, 밀어올림 사프트(14)를 생략한 구성을 사용해도 된다.
도 38a 및 도 3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루프 부재(320)에 있어서는, 방풍 커버(60)의 회전축(61a)에 감겨 걸린 제1 삭재(3a)의 양단과, 풀리(5)에 감겨 걸린 제2 삭재(3b)의 양단을, 인장 코일 스프링(6c, 6d)를 통하여 연결하여 폐루프 형태를 구성하고 있다.
제1 삭재(3a)는, 그 길이 방향의 일부가, 방풍 커버(60)의 회전축(61a)에 감겨 걸려 있다. 또한, 제1 삭재(3a)는, 방풍 커버(60)의 회전축(61a)에 감겨 걸린 부분의 일부가, 삭재 고정부(60a)에 의해 회전축(61a)에 고정되어 있다.
제2 삭재(3b)는, 그 길이 방향의 일부가, 풀리(5)에 감겨 걸려있다.
폐루프 부재(320)는, 방풍 커버(60)의 회전축(61a)과 그 아래쪽의 풀리(5)와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부재 간 설치부(321, 322)를 가진다.
폐루프 부재(320)의 2개의 인장 코일 스프링(6c, 6d)은, 한 쌍의 부재 간 설치부(321, 322)에 하나씩 설치되어 있다.
도 38a는, 방풍 커버(60)를 장치 본체(21)에 대하여 폐쇄한 상태, 도 38b는 방풍 커버(60)를 장치 본체(21)에 대하여 개방한 상태(완전 개방 상태)를 나타낸다.
도 38a에 나타낸 폐쇄 상태의 방풍 커버(60)는, 전동 구동원(9)의 구동력에 의해 폐루프 부재(320)를 도 38a에 있어서 좌측 주위로 회전시킴으로써 장치 본체(21)에 대하여 여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폐루프 부재(320)는, 한 쌍의 부재 간 설치부(321, 322) 중 한쪽(부호 321의 부재 간 설치부)을 상승, 다른 쪽(부호 322의 부재 간 설치부)을 하강시키도록 회전시킨다.
이하, 폐루프 부재(320)의 한 쌍의 부재 간 설치부(321, 322) 중, 도 38a에 나타낸 폐쇄 상태의 방풍 커버(60)를 개방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상승하는 측의 부재 간 설치부(321)를 제1 설치부, 하강하는 측의 부재 간 설치부(322)를 제2 설치 부라고도 한다.
그리고, 폐쇄 상태의 방풍 커버(60)를 개방 상태로 할 경우에, 폐루프 부재의 한 쌍의 부재 간 설치부의 한쪽이 상승하고 다른 쪽이 하강하는 관계는, 이미 기술한 커버 개폐 기구(1, 210)의 폐루프 부재(2, 220)와 같다.
이 점, 이미 기술한 커버 개폐 기구(1, 210)의 폐루프 부재(2, 220)에서의 결합 측 설치부(2A, 221)는 제1 설치부, 비결합 측 설치부(2B, 222)는 제2 설치부에 상당한다.
도 38a 및 도 3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루프 부재(320)의 한 쌍의 인장 코일 스프링(6c, 6d)에 대하여, 이하, 제1 설치부(321)에 배치되어 있는 인장 코일 스프링(6c)을 제1 인장 코일 스프링, 제2 설치부(322)에 배치되어 있는 인장 코일 스프링(6d)을 제2 인장 코일 스프링이라고도 한다.
폐루프 부재(320)의 2개의 인장 코일 스프링(6c, 6d)은, 각각, 그 축선 방향 일단부(一端部)가 제1 삭재(3a)의 단부에 연결되고, 축선 방향 타단부(他端部)가 제2 삭재(3b)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제1, 제2 삭재(3a, 3b)에는, 방풍 커버(60)의 개폐에 따른 폐루프 부재(320)의 회전량에 감안하여, 제1 인장 코일 스프링(6c)이 항상 제1 설치부(321)에 위치하고, 제2 인장 코일 스프링(6d)이 항상 제2 설치부(322)에 위치하도록, 충분한 길이가 확보되어 있다.
따라서, 방풍 커버(60)의 개폐에 따른 폐루프 부재(320)의 회전에 의해, 제1 인장 코일 스프링(6c)이 회전축(61a) 외주에 올라앉는 것(제1 인장 코일 스프링(6c)과 회전축(61a) 외주가 중첩되는 것), 및 제2 인장 코일 스프링(6d)이 풀리(5) 외주에 올라앉는 것(제2 인장 코일 스프링(6d)과 풀리(5) 외주가 중첩되는 것)은 생기지 않는다.
커버 개폐 기구(310)가 설치되어 있는 융착 접속기는, 도시 생략한 전원 스위치를 온에서 오프로 했을 때, 도 3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풍 커버(60)가 닫히고, 또한 한 쌍의 가동 스테이지(22)(도 1 등)가 각각 섬유 장착 시 위치에 배치된 동작 대기 초기 상태가 된다. 동작 대기 초기 상태의 융착 접속기는, 오프로 되어 있던 전원 스위치를 온으로 함으로써, 도 3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풍 커버(60)가 개방되고, 또한 각 가동 스테이지(22)가 섬유 장착 시 위치에 배치된 상태(섬유 세트 대기 상태)가 된다.
융착 접속기가 동작 대기 초기 상태에 있을 때의 방풍 커버(60) 및 커버 개폐 기구(310) 상태, 즉 도 38a에 나타낸 상태를, 이하, 커버 폐쇄 대기 상태라고도 한다. 또한, 융착 접속기가 섬유 세트 대기 상태에 있을 때의 방풍 커버(60) 및 커버 개폐 기구(310) 상태, 즉 도 38b에 나타낸 상태를, 이하, 커버 폐쇄 대기 상태라고도 한다.
도 38a 및 도 3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커버 개폐 기구(310)는, 풀리(5)로부터 돌출되는 동력 받이 돌출부(4c)(동력 받이 부재)를 포함한다.
이 동력 받이 돌출부(4c)는, 풀리(5)와 일체로 되어 있고, 풀리(5)와 함께 일체로 회전한다. 동력 받이 돌출부(4c)가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풀리(5)를, 이하, 돌출부 부가 풀리(5A)라고도 한다.
그리고, 동력 받이 돌출부(4c)는, 폐루프 부재(320)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풀리(5)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제2 삭재(3b)가 감겨 걸려있는 영역을 피한 곳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커버 개폐 기구(310)에 있어서, 돌출부 부가 풀리(5A)의 동력 받이 돌출부(4c)는, 동력 전달 부재(217)의 상하의 압동용 돌출부(11a, 11b)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3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개폐 기구(310)는, 커버 폐쇄 대기 상태에 있을 때, 동력 전달 부재(217)의 아래쪽 압동용 돌출부(11b)가, 동력 받이 돌출부(4c)에 대하여 그 아래쪽에 약간의 간극을 통하여 접근하여 배치된 상태가 된다. 동력 전달 부재(217)의 위쪽 압동용 돌출부(11a)는, 아래쪽 압동용 돌출부(11b)와 동력 받이 돌출부(4c) 사이의 거리에 비해 현저하게 큰 거리를 가지도록, 동력 받이 돌출부(4c)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동력 전달 부재(217)의 상하의 압동용 돌출부(11a, 11b)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상하 방향)에서의 동력 받이 돌출부(4c)[상하의 압동용 돌출부(11a, 11b)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의 치수는, 상하의 압동용 돌출부(11a, 11b)의 이격 거리에 비해 현저하게 작다.
커버 개폐 기구(310) 및 방풍 커버(60)는, 도 38a 등에 나타낸 커버 폐쇄 대기 상태로부터, 전동 모터(9)의 정회전 구동에 의해, 방풍 커버(60)를 여는 커버 개방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이 커버 개방 동작은, 전동 구동원(9)의 구동력에 의해 폐쇄 상태의 방풍 커버(60)를 개방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커버 개방 구동 동작을 행한 후, 방풍 커버(60)의 자체 중량에 의한 개방 동작에 의해, 방풍 커버(60)가 도 38b에 나타낸 완전 개방 상태로 된다.
커버 개방 구동 동작에서는, 폐쇄 상태의 방풍 커버(60)를 자체 중량 개방 동작 가능한 위치까지 회전시킨다.
커버 개방 구동 동작은, 전동 모터(9)의 정회전 구동에 의해 동력 전달 부재(217)를 상승시켜, 동력 전달 부재(217)의 아래쪽 압동용 돌출부(11b)에 의해 돌출부 부가 풀리(5A)의 동력 받이 돌출부(4c)를 밀어올리고, 폐쇄 상태의 방풍 커버(60)를 그 회전축(61a)과 함께 개방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실현된다.
동력 전달 부재(217)의 아래쪽 압동용 돌출부(11b)가 돌출부 부가 풀리(5A)의 동력 받이 돌출부(4c)를 밀어올리면, 이에 따라, 방풍 커버(60)의 회전축(61a)에, 동력 받이 돌출부(4c)로부터 폐루프 부재(320)의 제2 인장 코일 스프링(6d)을 통하여 부여되는 인장력이, 회전축(61a)의 회전력으로서 작용한다. 그 결과, 동력 전달 부재(217)의 아래쪽 압동용 돌출부(11b)가 돌출부 부가 풀리(5A)의 동력 받이 돌출부(4c)를 밀어올리면, 이에 따라, 회전축(61a)을 방풍 커버(60)와 함께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커버 개방 구동 동작에 있어서, 어떤 장해에 의해, 방풍 커버(60)의 개방 방향으로의 회전을 방해받은 경우에는, 동력 전달 부재(217)의 상승에 따라, 폐루프 부재(320)의 제2 인장 코일 스프링(6d)이 길게 늘어난다.
제2 인장 코일 스프링(6d)은, 전동 모터(9)(여기서는 스테핑 모터)의 회전량이 커버 개방 구동 동작의 완료에 도달할 때까지 길게 늘어날 수 있다. 따라서, 이 커버 개폐 기구(310)는, 전동 모터(9)를 과대한 부하에 의해 파손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어떤 장해에 의해 커버 개방 구동 동작이 방해받은 후, 이 장해가 제거됨으로써, 제2 인장 코일 스프링(6d)의 탄성력에 의해, 방풍 커버(60)는, 폐쇄 위치로부터 커버 개방 구동 동작과 동등 또는 그 이상의 각도까지 회전되어, 최종적으로 방풍 커버(60)는 개방 상태(완전 개방 상태)가 된다.
커버 개폐 기구(310)의 동력 전달 부재(217)는, 커버 개방 동작이 완료된 시점에서, 도 38b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위치에 배치된다. 도 38b의 가상선으로 나타낸 배치 위치에 있는 동력 전달 부재(217)는, 아래쪽 압동용 돌출부(11b)가 동력 받이 돌출부(4c)의 아래쪽에 약간의 간극을 통하여 접근하여 배치되어 있다. 위쪽 압동용 돌출부(11a)는, 아래쪽 압동용 돌출부(11b)와 동력 받이 돌출부(4c) 사이의 거리에 비해 현저하게 큰 거리를 가지도록, 동력 받이 돌출부(4c)로부터 그 위쪽에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커버 개폐 기구(310)는, 커버 개방 동작의 완료 후, 전동 모터(9)를 역회전 구동하여 동력 전달 부재(217)를 하강시켜, 동력 전달 부재(217)를 도 38b의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에 배치하는, 커버 개방 후 돌출부 시프트 동작을 행한다. 그 결과, 방풍 커버(60) 및 커버 개폐 기구(310)는, 도 38b의 실선으로 나타낸 커버 개방 대기 상태가 된다.
커버 개방 후 돌출부 시프트 동작에 의해, 동력 전달 부재(217)는, 위쪽 압동용 돌출부(11a)가 동력 받이 돌출부(4c)의 위쪽에 약간의 간극을 통하여 접근하여 배치된다. 또한, 아래쪽 압동용 돌출부(11b)는, 동력 받이 돌출부(4c)로부터 그 아래쪽으로, 위쪽 압동용 돌출부(11a)와 동력 받이 돌출부(4c)와의 이격 거리에 비해 현저하게 큰 동력 받이 돌출부(4c)와의 이격 거리로 동력 받이 돌출부(4c)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로써, 아래쪽 압동용 돌출부(11b)와 동력 받이 돌출부(4c) 사이에는, 개방 상태의 방풍 커버(60)를 수동으로 닫을 때에 상승하는 동력 받이 돌출부(4c)의 이동량(상승량)보다 큰 이격 거리가 확보된다.
여기서, 아래쪽 압동용 돌출부(11b)와 동력 받이 돌출부(4c) 사이에 확보되는 공간(11sb)을 가짐으로써, 방풍 커버(60)의 수동 개폐를 행한 경우에 동력 받이 돌출부(4c)가 아래쪽 압동용 돌출부(11b)에 접촉하지 않고 승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커버 개폐 기구(310)를 설치한 융착 접속기는, 도 38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동력 전달 부재(217)를 변위시키지 않고 방풍 커버(60)를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결합 측 설치부(221)의 연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서의 동력 받이 돌출부(4c)의 사이즈는, 인장 코일 스프링(6c, 6d)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커버 개폐 기구(310)는, 전동 모터(9)의 정회전 구동에 의해 동력 전달 부재(217)를 상승시킴으로써, 아래쪽 압동용 돌출부(11b)를 돌출부 부가 풀리(5A)의 동력 받이 돌출부(4c)에 그 아래쪽으로부터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커버 개폐 기구(310)는, 동력 받이 돌출부(4c)를, 동력 받이 돌출부(4c)에 결합시킨 아래쪽 압동용 돌출부(11b)에 의해, 동력 전달 부재(217)의 상승에 따라 밀어올릴 수 있다.
또한, 커버 개폐 기구(310)는, 도 38b에 나타낸 커버 개방 대기 상태로부터, 전동 모터(9)의 역회전 구동에 의해 동력 전달 부재(217)를 하강시킴으로써, 위쪽 압동용 돌출부(11a)를 돌출부 부가 풀리(5A)의 동력 받이 돌출부(4c)에 그 위쪽으로부터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커버 개폐 기구(310)는, 동력 받이 돌출부(4c)를, 동력 받이 돌출부(4c)에 결합시킨 위쪽 압동용 돌출부(11a)에 의해, 동력 전달 부재(217)의 하강에 따라 눌러 내릴 수 있다.
커버 개폐 기구(310) 및 방풍 커버(60)는, 도 38b에 나타낸 커버 개방 대기 상태로부터, 전동 모터(9)의 역회전 구동에 의해, 방풍 커버(60)를 닫는 커버 폐쇄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이 커버 폐쇄 동작은, 전동 구동원(9)의 구동력에 의해 개방 상태의 방풍 커버(60)를 폐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커버 폐쇄 구동 동작을 행한 후, 방풍 커버(60)의 자체 중량 폐쇄 동작에 의해, 방풍 커버(60)를 도 38a에 나타낸 폐쇄 상태로 하는 동작이다.
커버 폐쇄 구동 동작에서는, 개방 상태의 방풍 커버(60)를 자체 중량에 의해 폐쇄 동작이 가능한 위치까지 회전시킨다.
커버 폐쇄 구동 동작은, 전동 모터(9)의 역회전 구동에 의해 동력 전달 부재(217)를 하강시켜, 동력 전달 부재(217)의 위쪽 압동용 돌출부(11a)에 의해 돌출부 부가 풀리(5A)의 동력 받이 돌출부(4c)를 눌러 내리고, 폐쇄 상태의 방풍 커버(60)를 방풍 커버(60)의 회전축(61a)과 함께 폐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실현된다.
동력 전달 부재(217)의 위쪽 압동용 돌출부(11a)가 돌출부 부가 풀리(5A)의 동력 받이 돌출부(4c)를 눌러 내리면, 이에 따라, 방풍 커버(60)의 회전축(61a)이, 동력 받이 돌출부(4c)로부터 폐루프 부재(320)의 제1 인장 코일 스프링(6c)을 통하여 작용하는 인장력이 작용하고, 방풍 커버(60)의 회전축(61a)과 방풍 커버(60)가 회전된다.
커버 폐쇄 구동 동작에 있어서, 이물질의 끼임 등의, 어떤 장해에 의해, 방풍 커버(60)의 폐쇄 방향으로의 회전을 방해받은 경우에는, 동력 전달 부재(217)의 하강에 따라, 폐루프 부재(320)의 제1 인장 코일 스프링(6c)이 길게 늘어난다.
제1 인장 코일 스프링(6c)은, 전동 모터(9)(여기서는 스테핑 모터)의 회전량이 커버 폐쇄 구동 동작이 완료될 때까지 길게 늘어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개폐 기구(310)는, 전동 모터(9)를 과대한 부하에 의해 파손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어떤 장해에 의해 커버 폐쇄 구동 동작이 방해받은 후, 이 장해가 제거됨으로써, 제1 인장 코일 스프링(6c)의 탄성력에 의해, 방풍 커버(60)가 완전 개방 위치로부터 커버 폐쇄 구동 동작과 동등 또는 그 이상의 각도까지 회전되어, 최종적으로 방풍 커버(60)는 폐쇄 상태가 된다.
또한, 커버 개폐 기구(310)를 설치한 융착 접속기는, 이물질의 끼임 등의, 어떤 장해에 의해, 방풍 커버(60)가 폐쇄 상태가 되지 않는[도 6의 커버 폐쇄 검지기(33)이 무검지 상태로부터 검지 상태로 전환되지 않는] 경우에, 이미 기술한 커버 폐쇄 반복 동작을 자동으로 실행한다.
동력 전달 부재(217)는, 커버 폐쇄 동작이 완료된 시점에서, 도 38a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위치에 배치된다. 도 38a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배치 위치에 있는 동력 전달 부재(217)는, 위쪽 압동용 돌출부(11a)가 동력 받이 돌출부(4c)의 위쪽에 약간의 간극을 통하여 접근하여 배치되어 있다. 아래쪽 압동용 돌출부(11b)는, 위쪽 압동용 돌출부(11a)와 동력 받이 돌출부(4c) 사이의 거리에 비해 현저하게 큰 거리로, 동력 받이 돌출부(4c)로부터 그 아래쪽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커버 개폐 기구(310)는, 커버 폐쇄 동작의 완료 후, 전동 모터(9)를 정회전 구동하여 동력 전달 부재(217)를 상승시켜, 동력 전달 부재(217)를 도 38a의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에 배치하는, 커버 개방 후 돌출부 시프트 동작을 행한다. 그 결과, 방풍 커버(60) 및 커버 개폐 기구(310)는, 도 38a의 실선으로 나타낸 커버 폐쇄 대기 상태가 된다.
커버 폐쇄 후 돌출부 시프트 동작에 의해, 동력 전달 부재(217)는, 아래쪽 압동용 돌출부(11b)가 동력 받이 돌출부(4c)의 아래쪽에 약간의 간극을 통하여 접근하여 배치된다. 또한, 위쪽 압동용 돌출부(11a)는, 동력 받이 돌출부(4c)로부터 그 위쪽에, 아래쪽 압동용 돌출부(11b)와 동력 받이 돌출부(4c)와의 이격 거리에 비해 현저하게 큰 동력 받이 돌출부(4c)와의 이격 거리로 동력 받이 돌출부(4c)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로써, 위쪽 압동용 돌출부(11a)와 동력 받이 돌출부(4c) 사이에는, 폐쇄 상태의 방풍 커버(60)를 수동으로 개방했을 때 상승하는 동력 받이 돌출부(4c)의 이동량(상승량)보다 큰 이격 거리가 확보된다.
여기서, 위쪽 압동용 돌출부(11a)와 동력 받이 돌출부(4c)와의 사이에 확보되는 공간(11sa)을 가짐으로써, 방풍 커버(60)의 수동 개폐를 행한 경우에 동력 받이 돌출부(4c)가 위쪽 압동용 돌출부(11a)에 접촉하지 않고 승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커버 개폐 기구(310)를 설치한 융착 접속기는, 도 38a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동력 전달 부재(217)를 변위시키지 않고 방풍 커버(60)를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다.
그런데, 커버 개폐 기구(310)의 폐루프 부재(320)는, 어느 정도의 장력이 작용한 상태로 방풍 커버(60)의 회전축(61a)과 풀리(5)와의 사이에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다.
폐루프 부재(320)의 제2 삭재(3b)는, 예를 들면, 전동 구동원(9)의 구동력에 의해 폐쇄 상태의 방풍 커버(60)를 여는 경우에는, 제2 삭재(3b)에 작용하는 장력에 의해 풀리(5)에 밀어붙여진다. 그러므로, 전동 구동원(9)의 구동력에 의한 동력 전달 부재(217)의 아래쪽 압동용 돌출부(11b)의 상승에 따른 제2 삭재(3b)의 이동에 따라, 풀리(5)는 제2 삭재(3b)에 대하여 미끄러지지 않고 회전된다.
그러나, 제2 삭재(3b)에 작용하는 장력이 저하되면, 풀리(5)가 제2 삭재(3b)에 대하여 미끄러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풀리(5)의 제2 삭재(3b)에 대한 미끄러짐 방지하는 대책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50∼도 52에 나타낸 구성을 들 수 있다.
도 50∼도 53은 모두 커버 개폐 기구(310)의 변형예이다.
그리고, 도 50, 도 51에 있어서는, 구동 기구(211)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후술하는 도 52, 도 53에 있어서도, 구동 기구(211)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50에 예시한 커버 개폐 기구(310a)(커버 개폐 기구의 제4 예)는, 커버 개폐 기구(310)에 대하여, 풀리(5)를 장치 본체(21)(도 3 참조)의 하우징(29)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며, 또한, 이 풀리(5)를 아래쪽으로 탄성 부세하는 풀리 부세부(311)(도시한 예에서는 코일 스프링)가 추가된다. 이 구성에서는, 풀리 부세부(311)가 풀리(5)를 아래쪽으로 탄성 부세함[풀리(5)에 탄성 복원력이 아래쪽으로 작용함]으로써, 제2 삭재(3b)를 포함하는 폐루프 부재(320) 전체의 장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그리고, 풀리(5)는, 장치 본체(21)의 하우징(29)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변위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그 외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도 된다.
도 51에 예시한 커버 개폐 기구(310b)(커버 개폐 기구의 제5 예)는, 커버 개폐 기구(310)에 대하여, 제2 삭재(3b)의 풀리(5)에 감겨 걸린 부분의 일부를, 삭재 고정 부재(5b)에 의해 풀리(5)에 고정한 삭재 고정부(5a)를 가진다. 삭재 고정부(5a)는, 제2 삭재(3b)의 풀리(5)에 감겨 걸린 부분 중, 제2 삭재(3b)의 길이 방향에서의 일부의 부분이 풀리(5)에 고정된다. 제2 삭재(3b)의 풀리(5)에 감겨 걸린 부분의 대부분은, 풀리(5)에 고정되어 있지 않다.
또한, 풀리(5)는, 회전 가능한 삭재 권괘부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면, 도 52에 나타낸 커버 개폐 기구(310C)(커버 개폐 기구의 제6 예)는, 커버 개폐 기구(310)의 변형예이며, 삭재 권괘용 부재(권장체 권괘용 부재)로서 풀리(5) 대신에 기어(312)를 채용하고, 방풍 커버(60)의 회전축(61a)에 동축으로 기어(313)를 일체화하고 있다. 그리고, 이 커버 개폐 기구(310C)에서는, 폐루프 부재(320)의 삭재(3a, 3b)는, 예를 들면, 체인, 톱니형 벨트(toothed belt) 등, 기어(312, 313)에 대하여 서로 맞물릴 수 있 부재이면 되고, 기어(312, 313)에 감겨 걸린다. 이 구성에서는, 기어(312, 313)와 삭재(3a, 3b)가 맞물림으로써, 기어(312, 313)의 회전과 삭재(3a, 3b)의 이동(회전)이 확실하게 연동한다.
도 53에 나타낸 커버 개폐 기구(310D)(커버 개폐 기구의 제7 예)는, 커버 개폐 기구(310)에 대하여, 무단(無端)의 삭재(3)에 의해 구성된 폐루프 부재(330)를 채용하고 있다.
또한, 이 커버 개폐 기구(310D)는, 인장 코일 스프링(6a, 6b) 대신에, 스프링(331)(부세 부재)의 탄성 부세력(탄성 복원력)에 의해, 폐루프 부재(330)의 한 쌍의 부재 간 설치부의 한쪽을 부재 간 설치부의 다른 쪽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인장, 폐루프 부재(330)에 장력을 부여하는 텐션 롤러(332)(제2 삭재 권괘부)가 설치된다. 스프링(331)은, 폐루프 부재(330)에 장력을 부여하는 부세 부재로서 기능한다. 이 커버 개폐 기구(310D)에 있어서, 풀리(5)와 회전축(61a) 사이의 거리는 변동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 53에서는, 텐션 롤러(332)는 삭재의 연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지만, 삭재를 탄성 부세할 수 있으면 다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도 된다.
커버 개폐 기구로서는, 도 50∼도 53에 예시한 커버 개폐 기구(310A∼310D)에 대하여, 풀리(5)에 설치된 동력 받이 돌출부(4c)를 생략하고, 폐루프 부재의 한 쌍의 부재 간 설치부 중 한쪽을, 부재 간 설치부의 연장 방향의 서로 이격된 곳에 동력 받이 돌출부(4a, 4b)를 돌출 설치하여 결합 측 설치부로 하고, 부재 간 설치부의 다른 쪽을 비결합 측 설치부로 하고, 도 18a, 도 18b 등에 예시한 구동 기구(1a)를 적용한 구성을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 결합 측 설치부의 동력 받이 돌출부(4a, 4b) 사이에, 구동 기구(1a)의 압동용 돌출부(11)가 배치된다.
또한, 커버 개폐 기구로서는, 도 50∼도 53에 예시한 커버 개폐 기구(310A∼310D)에 대하여, 풀리(5)에 설치된 동력 받이 돌출부(4c)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폐루프 부재의 한 쌍의 부재 간 설치부 중 한쪽을 부재 간 설치부의 연장 방향의 1곳에 동력 받이 돌출부(4)를 돌출되도록 설치하여 결합 측 설치부로 하고, 부재 간 설치부의 다른 쪽을 비결합 측 설치부로 하고, 도 28 등에 예시한 구동 기구(211)를 적용한 구성을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 결합 측 설치부의 동력 받이 돌출부(4)를, 구동 기구(211)의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압동용 돌출부(11a, 11b) 사이에 배치한다.
커버 개폐 기구로서는, 도 38a 및 도 38b의 제3 예의 커버 개폐 기구(310)에 대하여, 동력 전달 부재(217)를 사용한 구동 기구(211) 대신에, 도 54a 및 도 54b에 나타낸 구동 기구(340)를 채용한 구성의 커버 개폐 기구(310E)(커버 개폐 기구의 제8 예)를 사용해도 된다.
도 54a 및 도 54b에 나타낸 커버 개폐 기구(310E)의 구동 기구(340)는, 동력 전달 부재(341)(이하, 회전 부재라고도 함)를 가진다. 동력 전달 부재(341)는, 회전축을 가지고, 전동 구동원(9)(도시한 예에서는 전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풀리(5)와 동력 전달 부재(341)가 같은 회전축으로 회전 구동된다. 이 회전 부재(341)에서의 서로 이격된 2곳에는, 회전 부재(341)의 회전 주위 방향을 따라 압동용 돌출부(11a, 11b)가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압동용 돌출부(11a, 11b)는, 회전 부재(341)의 풀리가 설치되는 측의 측면에 있어서, 회전 부재(341)의 회전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회전 부재(341)의 회전축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동력 받이 돌출부(4c)가, 풀리(5)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2곳의 압동용 돌출부(11a, 11b)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동력 받이 돌출부(4c)는, 상기 2곳의 압동용 돌출부(11a, 11b) 사이에, 2곳의 압동용 돌출부(11a, 11b)가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공간을 확보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시한 예의 회전 부재(341)는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 회전 부재(341)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커버 개폐 기구(310E)의 압동용 돌출부(11a, 11b)는, 도 54a 및 도 54b에 나타낸 예에서는 핀형(도시한 예)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 압동용 돌출부(11a, 11b)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54a 및 도 54b에서는, 커버 개폐 기구(310E)로서, 전동 구동원(9)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 이동되는 동력 전달 부재(217) 및 밀어올림 사프트(14)를 생략한 구성을 예시하였다. 단, 커버 개폐 기구(310E)로서는, 제3 예의 커버 개폐 기구(310)와 마찬가지로, 전동 구동원(9)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되는 동력 전달 부재(217)와 이 동력 전달 부재(217)의 상승에 의해 상승되는 밀어올림 사프트(14)를 구비하는 구성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커버 개폐 기구로서는, 도 54a 및 도 54b에 나타낸 커버 개폐 기구(310E)에 대하여, 회전 부재(341)를 풀리(5)와 동축인 것에는 한정되지 않고, 회전 부재(341)의 회전 중심을 풀리(5)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어긋나게 설치해도 된다.
커버 개폐 기구로서는, 예를 들면, 제4 예∼제7 예의 커버 개폐 기구(310A∼310D)에 대하여, 동력 전달 부재로서 도 54a 및 도 54b에 예시한 압동용 돌출부(11a, 11b)가 부가된 회전 부재를 사용한 구성을 사용해도 된다.
제3 예, 제8 예의 커버 개폐 기구(310, 310E)는, 서로 이격된 2곳의 압동용 돌출부(11a, 11b) 사이에, 풀리(5)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는 동력 받이 돌출부(4c)가 배치되어 있다.
커버 개폐 기구로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커버 개폐 기구(310, 310E)에 대하여, 동력 전달 부재(217, 341)의 1곳으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된 압동용 돌출부(11)를, 풀리(5)의 둘레 방향의 서로 이격된 2곳에 설치된 동력 받이 돌출부의 사이에, 2곳에서 돌출된 동력 받이 돌출부가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공간을 확보하여 배치해도 된다.
동력 전달 부재의 1곳으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된 압동용 돌출부를, 폐루프 부재의 삭재를 감아 건 풀리(5)의 둘레 방향의 서로 이격된 2곳에 설치된 동력 받이 돌출부 사이에, 2곳에 돌출 설치된 동력 받이 돌출부 사이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공간을 확보하여 배치한 구성은, 제4 예∼제7 예의 커버 개폐 기구(310A∼310D)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1 예, 제2 예의 커버 개폐 기구(1, 210)에 있어서는, 삭재 권괘부로서, 회전 가능한 풀리(5) 대신에, 예를 들면, 비회전 풀리 등의, 폐루프 부재의 삭재의 전송 이동을 안내하는 삭재 안내 부재(권장체 안내 부재)로서 기능하는 삭재 권괘부(권장체 권괘부)를 사용해도 된다.
(2분할 방풍 커버를 채용한 태양)
도 39∼도 48은, 장치 본체(21) 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앞 방풍 커버(68)와, 장치 본체(21) 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앞 방풍 커버(68)의 뒤쪽에 설치된 뒤 방풍 커버(69)로 구성된, 방풍 커버(60A)(분할형 방풍 커버)를 사용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39∼도 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 방풍 커버(68)는, 회전축(68a, 68b)에 의해, 장치 본체(21)에 융착 접속기 좌우 방향의 회전 축선을 기점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장치 본체(21) 상면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뒤 방풍 커버(69)는, 융착 접속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앞 방풍 커버(68)의 회전축(68a, 68b)에 비해 뒤쪽으로 어긋난 위치에 설치된 회전축(69a, 69b)에 의해, 장치 본체(21)에 융착 접속기 좌우 방향의 회전 축선을 기점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장치 본체(21) 상면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방풍 커버(68, 69)는, 각각 장치 본체(21)에 대하여 닫음으로써, 서로 합쳐져, 장치 본체(21) 위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전극봉(24)(도 6 참조)과, 각 가동 스테이지(22) 위의 피복 클램프(50)와, 한 쌍의 홈 형성 기판(23)을 수용하는 방풍 커버(60A)를 구성한다.
또한, 방풍 커버(60A)는, 앞뒤의 방풍 커버(68, 69)를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개방할 수 있다. 방풍 커버(60A)는, 앞뒤의 방풍 커버(68, 69)의 장치 본체(21)에 대한 개폐에 의해 개폐 가능하다.
앞 방풍 커버(68) 및 뒤 방풍 커버(69)는, 방풍 커버(60A)를 구성하는 커버 부재로서 기능한다.
이 점, 도 8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풍 커버(60)는, 방풍 커버(60) 자체가 커버 부재에 상당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앞 방풍 커버(68) 및 뒤 방풍 커버(69)도,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의 융착 접속기의 방풍 커버에 상당한다.
도 39, 도 40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예에 있어서는, 앞뒤 한 쌍의 방풍 커버(68, 69) 각각에 대응하도록, 2개의 커버 개폐 기구(16a, 16b)를 설치한 구성을 예시한다.
2개의 커버 개폐 기구(16a, 16b)는, 한 쌍의 방풍 커버(68, 69)에 대하여 1개씩 설치되어 있다. 이하, 앞 방풍 커버(68)를 개폐하는 커버 개폐 기구(16a)를 전 커버 개폐 기구, 뒤 방풍 커버(68)를 개폐하는 커버 개폐 기구(16b)를 후 커버 개폐 기구라고도 한다.
도시한 예의 커버 개폐 기구(16a, 16b)는, 도 18a∼도 27b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커버 개폐 기구(1)를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커버 개폐 기구(16a, 16b)의 구체적 구성, 동작 등의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도시한 예의 전 커버 개폐 기구(16a) 및 후 커버 개폐 기구(16b)는 서로 같은 구성이며, 도 44, 도 4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방 상태(완전 개방 상태)로 한 방풍 커버(68, 69) 사이의 영역의 평면에서 볼 때 중앙에 위치하는 가상 중심축(O)을 중심으로 축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커버 개폐 기구(16a, 16b)로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의 융착 접속기의 커버 개폐 기구로서 채용 가능한 구조이면 되고, 이미 기술한 커버 개폐 기구(1)에 한정되지 않는다. 커버 개폐 기구(16a, 16b)로서는, 예를 들면, 도 18a∼도 27b의 변형예의 커버 개폐 기구를 사용해도 된다.
도 39, 도 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 커버 개폐 기구(16a)의 폐루프 부재(2)의 삭재(3)는, 앞 방풍 커버(68)의 회전축(68a)에 감겨 걸려있다. 이 삭재(3)는, 회전축(68a)에 감겨 걸린 부분의 일부가 회전축(68a)에 고정되어 있다.
도 4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 커버 개폐 기구(16b)의 폐루프 부재(2)의 삭재(3)는, 뒤 방풍 커버(69)의 회전축(69b)에 감겨 걸려 있다. 이 삭재(3)는, 회전축(69b)에 감겨 걸린 부분의 일부가 회전축(69b)에 고정되어 있다. 앞 방풍 커버(68)의 회전축(68a) 및 뒤 방풍 커버(69)의 회전축(69b)은 삭재 권취부(권장체 권취부)로서 기능한다.
각 방풍 커버(68, 69)에는 삭재 삽입관통 구멍(65c)이 형성되어 있다. 앞 방풍 커버(68)를 개폐하는 커버 개폐 기구(16a)의 삭재(3)는, 앞 방풍 커버(68)의 삭재 삽입관통 구멍(65c)에 꿰어져 있다. 뒤 방풍 커버(69)를 개폐하는 커버 개폐 기구(16b)의 삭재(3)는, 뒤 방풍 커버(69)의 삭재 삽입관통 구멍(65c)에 꿰어져 있다.
또한, 도 44, 도 4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 방풍 커버(68)는, 그 안쪽에, 전 커버 개폐 기구(16a)의 밀어올림 사프트(14) 상단[헤드부(14a)]이 부딪친 상태로 접촉하는 샤프트 충돌부(15a)를 가지고 있다. 뒤 방풍 커버(69)는, 그 안쪽에, 후 커버 개폐 기구(16b)의 밀어올림 사프트(14) 상단[헤드부(14a)]이 부딪친 상태로 접촉하는 샤프트 충돌부(15b)를 가지고 있다.
도 44, 도 4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뒤의 방풍 커버(68, 69)는, 닫아 합쳤을 때, 방풍 커버(68, 69) 중 한쪽에 설치된 마그넷(112a, 112b)이, 방풍 커버(68, 69) 중 다른 쪽에 설치된 마그넷 캐치(113a, 113b)를 자기 흡인하는 흡인력에 의해, 닫아 합친 상태가 용이하게는 해제되지 않는다.
도시한 예의 방풍 커버(60A)에 있어서, 마그넷(112a, 112b)는 뒤 방풍 커버(69), 마그넷 캐치(113a, 113b)는 앞 방풍 커버(68)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마그넷(112a, 112b) 및 마그넷 캐치(113a, 113b)는, 앞뒤의 방풍 커버(68, 69)에 있어서, 닫아 합쳤을 때에 서로 접합되는 면(합침 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커버 개폐 기구(16a, 16b)가 밀어올림 사프트(14)에 의해 방풍 커버(68, 69)를 밀어올리는 힘은, 앞뒤의 방풍 커버(68, 69)에, 방풍 커버(68, 69)를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으로서 작용한다. 그러므로, 서로 닫아 합친 상태의 방풍 커버(68, 69)를 개방하는 동작은, 커버 개폐 기구(16a, 16b)의 구동에 의해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바람직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개변(改變)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융착 접속기에서의 섬유 세트 대기 상태로부터의 커버 폐쇄 동작의 실행은, 커버 폐쇄 스위치(31d)(도 3 참조)의 온 조작에 한정되지 않는다. 융착 접속기로서는, 예를 들면, 좌우 양측의 피복 클램프(50)로의 광섬유(91, 92)의 파지 고정의 완료, 또는 좌우 양측의 가동 스테이지(22) 위로의 섬유 홀더(40)의 설치 완료를 센서에 의해 검지했을 때, 자동으로 커버 폐쇄 동작을 실행하고, 그 완료 후, 자동으로 융착 접속 동작을 개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피복 클램프 방식의 융착 접속기(20A)로서는, 좌우 양측의 피복 클램프(50)의 클램프 아래 부재(51) 위로의 광섬유(91, 92)의 설치를 센서가 검지한 것, 또는 좌우 양측의 피복 클램프(50) 부근에 설치한 센서가 좌우 동시에 작업자의 손가락을 검지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자동으로 커버 폐쇄 동작을 실행하고, 그 완료 후, 자동으로 융착 접속 동작을 개시하는 구성을 사용해도 된다.
그리고, 융착 접속기로서는, 커버 폐쇄 동작의 개시를 위한 동작 개시 명령으로서 기능하는 트리거 신호가 무엇인지에 의하지 않고, 폐쇄 동작 이상(異常)의 발생을 검지했을 때는, 융착 접속 동작을 개시하지 않는 구성으로 한다.
폐루프 부재로서는, 폐루프 부재를 구성하는 삭재의 그 연장 방향의 일부 또는 전체가 신축 가능한 탄성재인 구성을 사용해도 된다. 즉, 삭재 중 적어도 일부가 탄성을 가져도 된다. 이 탄성재 부분을 가지는 삭재를 채용한 폐루프 부재로서는, 그 일부에 인장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를 통하여 배치한 구성 이외에, 탄성 부재를 통하지 않는 구성을 사용해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커버 개방 후 돌출부 시프트 동작으로서, 커버 개방 동작의 완료 후에, 전동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압동용 돌출부를 이동하여, 동력 받이 돌출부 및 압동용 돌출부 중 한쪽을, 2곳의 다른 쪽 중, 커버 개방 동작에 의해 상기 한쪽이 맞닿은 하나로부터 이격시키고, 2곳의 다른 쪽 중 다른 것의 근방에 약간의 간극을 통하여 접근하여 배치하는 구성을 예시하였다. 단, 커버 개방 후 돌출부 시프트 동작은, 커버 개방 동작 완료 후의 압동용 돌출부의 이동에 의해, 동력 받이 돌출부 및 압동용 돌출부 중 한쪽을, 2곳의 다른 쪽 사이에서 2곳의 다른 쪽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하면 된다. 커버 개방 후 돌출부 시프트 동작은, 반드시, 동력 받이 돌출부 및 압동용 돌출부 중 한쪽을, 2곳의 다른 쪽 중, 커버 개방 동작에 의해 상기 한쪽이 접촉하지 않는 다른 것의 근방에 배치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커버 폐쇄 후 돌출부 시프트 동작으로서, 커버 폐쇄 동작의 완료 후에, 전동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압동용 돌출부를 이동할 때, 동력 받이 부재(동력 받이 돌출부) 및 압동용 돌출부 중, 1개 설치되는 부재를 제1 부재, 이격되어 2곳에 설치되는 부재를 제2 부재라고 한 경우, 커버 개방 동작에 의해 부딪친 상태로 접촉된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한쪽을 이격시키고,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다른 쪽이 약간의 간극을 통하여 접근하여 배치하는 구성을 예시하였다. 즉,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커버 개폐 기구에 있어서, 동력 받이 부재 및 압동용 돌출부 중, 한쪽인 제1 부재가 1개 설치되고, 다른 쪽인 제2 부재가 서로 이격되어 2개 설치되고,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2개의 제2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2개의 제2 부재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2개의 제2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단, 커버 폐쇄 후 돌출부 시프트 동작은, 커버 폐쇄 동작 완료 후의 압동용 돌출부의 이동에 의해, 제1 부재를 2곳의 제2 부재 각각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하면 된다. 따라서, 커버 폐쇄 후 돌출부 시프트 동작은, 반드시, 제1 부재를 제2 부재의 다른 쪽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8a, 도 18b 등에 나타내는 커버 개폐 기구(1)에서는, 커버 개방 후 돌출부 시프트 동작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는 2곳의 동력 받이 부재(4) 중, 위쪽 동력 받이 부재(4a)가 하나의 부재(제1 동력 받이 돌출부), 아래쪽 동력 받이 부재(4b)가 다른 부재(제2 동력 받이 돌출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 커버 개폐 기구(1)에서는, 커버 폐쇄 후 돌출부 시프트 동작에 있어서, 아래쪽 동력 받이 부재(4b)(제2 동력 받이 돌출부)가 하나의 부재, 위쪽 동력 받이 부재(4a)(제1 동력 받이 돌출부)가 다른 부재로서 기능한다.
커버 개폐 기구로서는, 동력 전달 부재의 1곳에 돌출 설치한 압동용 돌출부를, 폐루프 부재의 연장 방향의 서로 이격된 2곳 또는 폐루프 부재의 삭재를 감아 건 풀리(5)의 회전 둘레 방향의 서로 이격된 2곳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된 동력 받이 돌출부의 사이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공간을 확보하여 배치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커버 개폐 기구에서는, 2곳의 동력 받이 돌출부 중, 커버 개방 동작에 의해, 압동용 돌출부에 의해 압동되는 동력 받이 돌출부가 하나의 부재(제1 동력 받이 돌출부), 압동용 돌출부에 의해 압동되지 않는 동력 받이 돌출부가 다른 부재(제2 동력 받이 돌출부)로서 기능한다. 커버 개방 후 돌출부 시프트 동작에서는, 전동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동력 전달 부재를 이동하여, 압동용 돌출부를 2곳의 동력 받이 돌출부 사이에 의해 각 동력 받이 돌출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예를 들면, 제2 동력 받이 돌출부에 가까운 위치에 약간의 간극을 통하여 접근하여 배치)한다. 또한, 이 구성의 커버 개폐 기구에서는, 2곳의 동력 받이 돌출부 중, 커버 폐쇄 동작에 의해, 압동용 돌출부에 의해 압동되는 제2 동력 받이 돌출부가 하나의 부재, 압동용 돌출부에 의해 압동되지 않는 제1 동력 받이 돌출부가 다른 부재로서 기능한다.
커버 폐쇄 후 돌출부 시프트 동작에서는, 전동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동력 전달 부재를 이동하여, 압동용 돌출부를 2곳의 동력 받이 돌출부의 사이에 의해 각 동력 받이 돌출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예를 들면, 제1 동력 받이 돌출부에 가까운 위치에 약간의 간극을 통하여 접근하여 배치)한다.
도 28 등에 나타낸 커버 개폐 기구(210) 및 도 38a 및 도 38b에 나타낸 커버 개폐 기구(310)에서는, 커버 개방 후 돌출부 시프트 동작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는 2곳의 압동용 돌출부(11a, 11b) 중, 아래쪽 압동용 돌출부(11b)가 하나의 부재(제1압동용 돌출부), 위쪽 압동용 돌출부(11a)가 다른 부재(제2 압동용 돌출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 커버 개폐 기구(210, 310)에서는, 커버 폐쇄 후 돌출부 시프트 동작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는 2곳의 압동용 돌출부(11a, 11b) 중, 위쪽 압동용 돌출부(11a)(제2 압동용 돌출부)가 하나의 부재, 아래쪽 압동용 돌출부(11b)(제1 압동용 돌출부)가 다른 부재로서 기능한다.
커버 개폐 기구로서는, 폐루프 부재 또는 폐루프 부재의 삭재를 감아 건 풀리(5)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된 동력 받이 돌출부를, 동력 전달 부재의 서로 이격된 2곳에 설치된 압동용 돌출부 사이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공간을 확보하여 배치해도 된다. 폐루프 부재의 삭재를 감아 건 풀리(5)에 돌출된 동력 받이 돌출부를, 동력 전달 부재의 서로 이격된 2곳에 돌출된 압동용 돌출부 사이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공간을 확보하여 배치한 구성의 커버 개폐 기구로서는, 예를 들면, 이미 기술한 제8 예의 커버 개폐 기구(310E)(도 54a 및 도 54b) 등을 들 수 있다.
이 커버 개폐 기구에서는, 2곳의 압동용 돌출부 중, 커버 개방 동작에 의해, 동력 받이 돌출부를 압동하는 압동용 돌출부가 하나의 부재(제1 압동용 돌출부), 동력 받이 돌출부를 압동하지 않는 압동용 돌출부가 다른 부재(제2 압동용 돌출부)로서 기능한다. 커버 개방 후 돌출부 시프트 동작에서는, 전동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동력 전달 부재를 이동하여, 2곳의 압동용 돌출부를, 2곳의 압동용 돌출부 사이에 위치하는 동력 받이 돌출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예를 들면, 제2 압동용 돌출부를 동력 받이 돌출부의 근방에 약간의 간극을 통하여 접근하여 배치)한다. 또한, 이 구성의 커버 개폐 기구에서는, 2곳의 압동용 돌출부 중, 커버 폐쇄 동작에 의해, 동력 받이 돌출부를 압동하는 제2 압동용 돌출부가 하나의 부재, 동력 받이 돌출부를 압동하지 않는 제1 압동용 돌출부가 다른 부재로서 기능한다. 커버 폐쇄 후 돌출부 시프트 동작에서는, 전동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동력 전달 부재를 이동하여, 2곳의 압동용 돌출부를 동력 받이 돌출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예를 들면, 제1 압동용 돌출부를 동력 받이 돌출부의 근방에 약간의 간극을 통하여 접근하여 배치)한다.
광섬유 융착 접속기의 커버 개방 동작으로서는, 자체 중량 개방 동작을 포함하지 않고, 그 전부를 전동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행하는 구성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커버 폐쇄 동작으로서는, 자체 중량 폐쇄 동작을 포함하지 않고, 그 전부를 전동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행하는 구성을 사용해도 된다.
커버 개방 동작 전부를 전동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행하는 광섬유 융착 접속기에서는, 커버 개방 동작의 후에, 전동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동력 전달 부재를 이동 또는 회전하여, 동력 받이 돌출부 및 압동용 돌출부 중 한쪽 부를, 2곳의 다른쪽 부 사이에서 2곳의 다른 쪽 부의 양쪽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하는 구성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커버 폐쇄 동작 전부를 전동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행하는 광섬유 융착 접속기에서는, 커버 폐쇄 동작 후에, 전동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동력 전달 부재를 이동 또는 회전하여, 동력 받이 돌출부 및 압동용 돌출부 중 한쪽 부를, 2곳의 다른 쪽 부의 사이에서 2곳의 다르 쪽 부의 양쪽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하는 구성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1a: 구동 기구, 2: 폐루프 부재, 3, 3a, 3b: 삭재, 4, 4a, 4b: 동력 받이 돌출부(동력 받이 부재), 5: 삭재 권괘부, 풀리, 9: 전동 구동원(방풍 개폐용 동력원), 11, 11a, 11b: 압동용 돌출부, 14: 밀어올림 사프트, 20, 20a, 20b: 융착 접속기, 21: 장치 본체, 23: 홈 형성 기판, 23a: 위치결정 홈, 24: 전극봉, 21: 장치 본체, 21a: (장치 본체의) 상면, 22: 가동 스테이지, 클램프 장착 테이블, 홀더 탑재부, 33: 커버 폐쇄 검지기(커버 폐쇄 센서), 40: 섬유 홀더, 50: 피복 클램프, 60, 60a: 방풍 커버, 61: 회전축, 61a: 회전축, 삭재 권취부, 61b: 회전축, 68: 방풍 커버(앞 방풍 커버), 68a, 68b: 회전축, 69: 방풍 커버(뒤 방풍 커버), 69a, 69b): 회전축, 220: 폐루프 부재, 211: 구동 기구, 312: 삭재 권괘부, 회전 기어, 320: 폐루프 부재, 330: 폐루프 부재, 340: 구동 기구.

Claims (6)

  1. 회전축을 가지고, 상기 회전축 주위로 회전하여 개폐 가능한 방풍 커버;
    상기 방풍 커버의 상기 회전축과 같은 축선 상에 상기 방풍 커버와 연결 고정 또는 상기 방풍 커버의 일부로서 형성된, 상기 회전축 주위에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삭재(索材) 권취부;
    회전 풀리, 비회전 풀리, 또는 회전 기어인 제1 삭재 권괘부(卷掛部);
    상기 삭재 권취부와 상기 제1 삭재 권괘부에 감겨 걸린 변형 가능한 삭재를 포함하여 폐루프를 구성하는 폐루프 부재; 및
    상기 방풍 커버가 폐쇄된 것을 검지하고, 상기 방풍 커버를 폐쇄하는 동작을 행하여도 상기 방풍 커버가 폐쇄된 것을 상기 검지기가 검지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후의 융착 접속 동작으로 이행하지 않고 경고 표시를 행하도록 구성된 검지기
    를 포함하고,
    구동 기구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삭재 권취부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삭재에 인장력을 부여하면, 상기 방풍 커버가 열리고, 상기 삭재 권취부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삭재에 상기 인장력을 부여하면, 상기 방풍 커버가 닫히고,
    하기 (i) 내지 (iv)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시키는 광섬유 융착 접속기.
    (i) 상기 폐루프 부재가, 상기 삭재의 양단을 연결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ii) 상기 삭재 중 적어도 일부가 탄성을 가진다.
    (iii) 상기 제1 삭재 권괘부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삭재를 탄성 부세(付勢)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iv) 상기 융착 접속기는, 상기 삭재가 감겨 걸리고, 상기 삭재를 탄성 부세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 삭재 권괘부를 더 포함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풍 커버를 폐쇄하는 동작을 행하여도 상기 방풍 커버가 폐쇄된 것을 상기 검지기가 검지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방풍 커버를 개방하는 동작과 상기 개방 동작 후에 행해지는 상기 방풍 커버를 폐쇄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커버 폐쇄 보조 동작을 1 사이클 이상 실행하고,
    미리 설정된 횟수의 상기 커버 폐쇄 보조 동작의 완료 시 또는 완료 전에 상기 방풍 커버가 폐쇄된 것을 상기 검지기가 검지한 경우, 그 검지 후에 커버를 폐쇄하는 동작을 행하지 않고 융착 접속 동작이 가능한 상태가 되고,
    미리 설정된 횟수의 상기 커버 폐쇄 보조 동작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도, 상기 방풍 커버가 폐쇄된 것을 상기 검지기가 검지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후의 융착 접속 동작으로 이행하지 않고 경고 표시를 행하는, 광섬유 융착 접속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풍 커버에서의 상기 삭재 권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를 압압(押壓)하여 상기 방풍 커버를 밀어올리는 밀어올림 사프트를 더 포함하는 광섬유 융착 접속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가, 상기 구동력에 의해 상기 삭재에 인장력을 부여하는 동시에 상기 밀어올림 사프트를 밀어올리는, 광섬유 융착 접속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의 상기 구동력에 의해 이동 또는 회전되는 동력 전달 부재;
    상기 삭재 또는 회전 가능한 상기 제1 삭재 권괘부에 설치된 동력 받이 돌출부; 및
    상기 동력 전달 부재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동력 받이 돌출부를 압동(押動)하여 상기 삭재를 전송 이동하는 압동용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력 받이 돌출부 및 상기 압동용 돌출부 중 한쪽인 제1 부재가 1개 설치되고,
    상기 동력 받이 돌출부 및 상기 압동용 돌출부 중 다른 쪽인 제2 부재가 서로 이격되어 2개 설치되고,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2개의 제2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2개의 제2 부재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2개의 제2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광섬유 융착 접속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풍 커버를 개방하는 동작 또는 상기 방풍 커버를 폐쇄하는 동작 후에, 상기 구동 기구의 상기 구동력에 의해 상기 동력 전달 부재를 이동 또는 회전하여, 상기 제1 부재를, 상기 2개의 제2 부재의 양쪽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동력 전달 부재를 이동하지 않고, 상기 방풍 커버가 수동으로 개폐 가능한, 광섬유 융착 접속기.
KR1020137031806A 2012-03-29 2013-02-13 광섬유 융착 접속기 KR1014715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78259 2012-03-29
JP2012078259A JP5209126B1 (ja) 2012-03-29 2012-03-29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
JP2012206309A JP5364832B1 (ja) 2012-09-19 2012-09-19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
JPJP-P-2012-206309 2012-09-19
PCT/JP2013/053318 WO2013145904A1 (ja) 2012-03-29 2013-02-13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0911A true KR20130140911A (ko) 2013-12-24
KR101471503B1 KR101471503B1 (ko) 2014-12-10

Family

ID=49259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1806A KR101471503B1 (ko) 2012-03-29 2013-02-13 광섬유 융착 접속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27914B2 (ko)
EP (1) EP2700989B1 (ko)
KR (1) KR101471503B1 (ko)
CN (2) CN103364876B (ko)
WO (1) WO20131459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7420A1 (ko) * 2016-11-22 2018-05-31 주식회사 토르그룹 광섬유 융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45904A1 (ja) * 2012-03-29 2013-10-03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
USD746885S1 (en) * 2013-10-30 2016-01-05 Sei Optifrontier Co., Ltd. Optical fiber fusion splicer
JP5705365B1 (ja) * 2014-11-10 2015-04-22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把持装置
US9541710B2 (en) 2015-01-30 2017-01-10 Fujikura Ltd. Optical fiber holding device
JP6554734B2 (ja) * 2015-03-10 2019-08-07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ファイバの融着接続方法および融着接続装置
JP2016167012A (ja) * 2015-03-10 2016-09-15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ファイバの融着接続方法および融着接続装置
CN105629385A (zh) * 2016-04-09 2016-06-01 南京吉隆光纤通信股份有限公司 光纤端面透镜机
CN105739018B (zh) * 2016-04-22 2019-04-05 一诺仪器(中国)有限公司 光纤熔接机的防风盖组件
WO2020041101A1 (en) * 2018-08-23 2020-02-27 Afl Telecommunications Llc Optical fiber mass splice methods and assemblies
CN109828334B (zh) * 2019-04-15 2023-09-22 南京邮电大学 一种全自动化熔接机
CN110113103A (zh) * 2019-05-08 2019-08-09 吉林工程技术师范学院 一种提升主干光纤通信网络可靠性的装置及方法
WO2020246530A1 (ja) * 2019-06-05 2020-12-10 住友電工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融着接続システム、サーバ、融着接続機、情報端末、及びプロジェクト管理方法
CN112748494B (zh) * 2019-10-24 2023-03-24 株式会社藤仓 熔接机
CN112711096A (zh) * 2019-10-24 2021-04-27 株式会社藤仓 熔接机
WO2021079950A1 (en) * 2019-10-24 2021-04-29 Fujikura Ltd. Fusion splice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5167B2 (ja) * 1994-03-29 1998-09-1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の融着接続機
JP3065271B2 (ja) * 1997-04-10 2000-07-1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融着接続装置
JP3761192B2 (ja) 1998-07-14 2006-03-2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クランプ機構
JP3384984B2 (ja) * 1999-08-31 2003-03-1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
JP2003167151A (ja) 2001-12-03 2003-06-13 Sumiden Asahi Industries Ltd 光ファイバの融着接続機
JP4263509B2 (ja) 2003-03-14 2009-05-13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把持装置及び光ファイバ突合わせ装置、並びに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
US7070342B2 (en) * 2003-03-24 2006-07-04 Aurora Instruments, Inc. Low profile system for joining optical fiber waveguides
JP3949646B2 (ja) * 2003-12-01 2007-07-2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
CN1325948C (zh) * 2004-01-23 2007-07-11 株式会社藤仓 光纤熔接器及用于其高压部分的封盖装置
JP4382694B2 (ja) 2005-04-13 2009-12-16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
KR20070020705A (ko) * 2005-08-16 2007-02-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의 도어 닫음장치
DE102006057541A1 (de) * 2006-12-06 2008-06-19 CCS Technology, Inc., Wilmington Vorrichtung zum Spleißen von Lichtwellenleitern
JP4259586B2 (ja) * 2007-03-16 2009-04-3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
JP5117292B2 (ja) 2008-06-16 2013-01-1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融着接続方法および融着接続機
JP2011090039A (ja) * 2009-10-20 2011-05-0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融着接続機
KR20110005712U (ko) * 2009-12-02 2011-06-10 이승연 자동 제어가 가능한 좌변기
WO2013145904A1 (ja) 2012-03-29 2013-10-03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7420A1 (ko) * 2016-11-22 2018-05-31 주식회사 토르그룹 광섬유 융착기
US11002910B2 (en) 2016-11-22 2021-05-11 Soltech Infonet Co., Ltd. Fibre optic fusion splic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45904A1 (ja) 2013-10-03
EP2700989A4 (en) 2014-11-19
US20140075999A1 (en) 2014-03-20
US9027914B2 (en) 2015-05-12
CN203241567U (zh) 2013-10-16
CN103364876A (zh) 2013-10-23
KR101471503B1 (ko) 2014-12-10
CN103364876B (zh) 2015-08-12
EP2700989B1 (en) 2017-01-18
EP2700989A1 (en) 2014-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40911A (ko) 광섬유 융착 접속기
US9033325B2 (en) Optical fiber fusion splicer
KR101523035B1 (ko) 광섬유 융착 접속기
EP3012673B1 (en) Optical fiber fusion splicer and optical fiber fusion splicing apparatus provided with same
JP5512786B1 (ja)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
WO2014157255A1 (ja) 光ファイバ接続部補強加熱装置
EP2657736A1 (en) Heating device for optical-fiber reinforcement, and optical-fiber fusion splicing device
JP2016167013A (ja) 光ファイバの融着接続方法および融着接続装置
JP5364832B1 (ja)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
JP5629813B2 (ja)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
CN112748494B (zh) 熔接机
JP2005164792A (ja)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
US20240142703A1 (en) Fusion splicer
JP2013205841A (ja)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
CN112711096A (zh) 熔接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