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3470B1 - 압연 장치 및 압연 감시 방법 - Google Patents

압연 장치 및 압연 감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3470B1
KR101603470B1 KR1020147029489A KR20147029489A KR101603470B1 KR 101603470 B1 KR101603470 B1 KR 101603470B1 KR 1020147029489 A KR1020147029489 A KR 1020147029489A KR 20147029489 A KR20147029489 A KR 20147029489A KR 101603470 B1 KR101603470 B1 KR 101603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image
steel plate
image pickup
stee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9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0090A (ko
Inventor
겐사쿠 이토
다케시 기노모토
겐지 오노
료오 이즈미
야스히로 다테이시
류이치 가노
Original Assignee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0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0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3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3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68Camber or steering control for strip, sheets or plates, e.g. preventing meand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51/00Measuring, gauging, indicating, counting, or mar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production or manipulation of material in accordance with subclasses B21B - B21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73/00Path parameters
    • B21B2273/04Lateral deviation, meandering, camber of product

Abstract

압연 스탠드에 물려 들어가는 강판의 거동 등의 압연 상황을 인식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압연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압연 장치를 제공한다. 압연 장치(10)는, 한 쌍의 압연 롤(12)을 구비한 복수의 압연 스탠드(11)와, 인접하는 압연 스탠드(11A, 11B) 사이에 배치되고, 압연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상기 압연 스탠드(11A)의 상류측으로부터 압연 스탠드(11B)의 한 쌍의 압연 롤(12B)에 물려 들어가는 강판(1)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15)을 구비하고, 촬상 수단(15)은 압연 스탠드(11B)의 압연 방향(Z) 상류측에 있어서 강판(1)의 통과 가능 영역(P)의 판 폭 방향 중앙 부분에, 하기 식(1)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배치된다.
Figure 112014100436698-pct00007

여기서, L은 압연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압연 스탠드(11B)와 촬상 수단(15)의 압연 방향 거리이고, α는 촬상 수단의 수평 시야각이고, Wmax는 강판(1)의 최대폭이다.

Description

압연 장치 및 압연 감시 방법 {ROLLING APPARATUS AND ROLLING MONITORING METHOD}
본 발명은, 압연되는 강판의 거동 등을 감시하여 안정된 압연을 실시하는 압연 장치 및 강판의 압연 감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쌍의 압연 롤을 구비한 압연 스탠드에 의해 강판을 압연하는 경우, 강판의 통과 위치가, 압연 롤의 폭 방향으로 변동되는「사행(蛇行)」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압연 스탠드의 입구측에는, 강판의 폭 방향 위치를 안내하는 사이드 가이드가 배치되어 있어, 강판이 크게 사행한 경우에는, 강판이 사이드 가이드에 접촉해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강판과 사이드 가이드가 접촉한 경우에는, 강판의 일부가 파편으로 되어 비산하고, 그 파편이 강판에 밀려들어가, 강판에 결함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상술한 파편이 압연 롤에 밀려들어가, 롤 표면에 흠집이 발생한 경우에는, 그 후 압연되는 강판에 대해 롤 흠집이 전사되어 버릴 우려가 있었다. 이 경우, 압연 롤을 교환할 필요가 있어, 압연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종래,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에 개시하는 바와 같이, 강판의 사행을 측정하여 제어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압연 스탠드의 폭 방향의 압연 하중차에 기초하여 사행을 검출하여, 롤 갭의 조정 등을 행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압연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압연 스탠드를 갖는 열연 강판의 마무리 압연기에 있어서, 압연 스탠드 사이를 통과하는 강판을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하여, 강판의 사행량을 측정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0-04261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41956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압연 롤의 폭 방향의 하중차에 기초하여 사행량을 계산하고 있으므로, 압연 롤 자체의 형상이나 판 자체의 폭 방향 두께 분포 등의 영향이 커, 사행량을 고정밀도로 검지할 수 없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있어서는, 압연 스탠드 사이를 통과하는 강판을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하고 있으므로, 압연 스탠드 사이에 있어서의 사행량을 측정할 수 있지만, 압연 스탠드에 물려 들어가는 위치에 있어서의 사행량을 측정할 수는 없었다.
또한, 압연 스탠드의 입구측에서는, 강판이 폭 방향으로 사행될 뿐만 아니라, 두께 방향으로도 변동되어, 강판이 변형되는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이러한 강판의 변형을 충분히 평가할 수 없었다. 이로 인해, 압연 스탠드에 설치된 사이드 가이드와 강판의 접촉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없어, 강판의 압연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상황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작업자가 압연 스탠드에 물려 들어가는 강판의 거동 등의 압연 상황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압연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압연 장치 및 강판의 압연 감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압연 장치는, 한 쌍의 압연 롤을 구비한 복수의 압연 스탠드와, 인접하는 상기 압연 스탠드 사이에 배치되고, 압연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상기 압연 스탠드의 압연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당해 압연 스탠드의 상기 한 쌍의 압연 롤에 물려 들어가는 강판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촬상 수단은, 상기 압연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압연 스탠드의 압연 방향 상류측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통과 가능 영역의 판 폭 방향 중앙 부분에, 하기 식(1)을 만족시키도록 배치된다.
Figure 112014100436698-pct00001
여기서, L은 상기 압연 스탠드와 상기 촬상 수단의 압연 방향 거리이고, α는 상기 촬상 수단의 수평 시야각이고, Wmax는 상기 강판의 최대폭이다.
상기 구성의 압연 장치는, 상기 한 쌍의 압연 롤에 물려 들어가는 강판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을 구비한다. 작업자는, 촬상 수단에 의해 취득된 영상으로부터 압연 스탠드에 물려 들어가는 위치에 있어서 강판이 사행하거나 변형되어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상으로부터 강판의 거동 등의 압연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작업자는, 인식한 강판의 압연 상황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압연 스탠드에 설치된 사이드 가이드와 강판의 접촉을 억제하는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상 수단을 상기 범위에 배치함으로써, 1대의 촬상 수단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압연 롤에 물려 들어가는 강판을 촬상할 수 있다. 이러한 압연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강판의 사행 제어 및 형상 제어를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어, 고품질의 압연 강판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상기 촬상 수단은, 상기 통과 가능 영역의 판 폭 방향 중심으로부터 판 폭 방향으로 0.5m의 범위 내에 배치되어도 된다. 촬상 수단을 상기 범위에 배치함으로써, 1대의 촬상 수단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압연 롤에 물려 들어가는 강판을 촬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작업자는 촬상 수단에 의해 취득된 영상으로부터 한 쌍의 압연 롤에 물려 들어가는 강판의 거동을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고, 강판의 거동을 직감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상 수단은, 상기 강판의 압연 방향에 대해 경사 각도 θ로 상기 한 쌍의 압연 롤에 물려 들어가는 상기 강판을 촬상하는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당해 경사 각도 θ는 20°이하여도 된다. 촬상 수단을 상기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압연 롤에 물려 들어가는 상기 강판을 촬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작업자는 촬상 수단에 의해 취득된 영상으로부터 한 쌍의 압연 롤에 물려 들어가는 강판의 거동을 고정밀도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상 수단의 수평 시야각 α는 50°이하여도 된다. 이러한 촬상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촬상한 영상의 왜곡이 적어져, 취득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압연 롤에 물려 들어가는 상기 강판의 거동을 고정밀도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강판 압연 감시 방법은, 한 쌍의 압연 롤을 구비한 복수의 압연 스탠드에 의해 압연되는 강판의 압연 상황을 감시하는 강판의 압연 감시 방법이며, 인접하는 상기 압연 스탠드 사이에 배치되고, 압연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상기 압연 스탠드의 압연 방향 상류측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통과 가능 영역의 판 폭 방향 중앙 부분에, 하기 식(1)을 만족시키도록 배치된 촬상 수단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압연 롤에 물려 들어가는 강판을 촬상하고,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해 취득된, 상기 한 쌍의 압연 롤에 물려 들어가는 상기 강판의 영상을 표시 장치에 표시시킨다.
Figure 112014100436698-pct00002
여기서, L은 상기 압연 스탠드와 상기 촬상 수단의 압연 방향 거리이고, α는 상기 촬상 수단의 수평 시야각이고, Wmax는 상기 강판의 최대폭이다.
이 구성의 강판의 압연 감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압연 롤에 물려 들어가는 상기 강판이 촬상된다. 작업자는, 촬상 수단에 의해 취득된 영상으로부터 강판의 압연 상황을 파악할 수 있고, 강판의 사행이나 변형에 따라서 압연 조건을 조정할 수 있어, 강판의 압연 작업을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연 감시 방법에서는, 강판의 영상을 화상 해석하고, 화상 해석에 의해 강판의 특정 압연 상황을 검지하는 검지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판정하였을 때, 경보를 발해도 된다. 촬영된 영상을 화상 해석하여 강판의 특정 압연 상황을 자동 검지 가능하게 함으로써, 작업자의 감시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압연 스탠드에 물려 들어가는 강판의 거동 등의 압연 상황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압연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압연 장치 및 강판의 압연 감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압연 장치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2는 동 실시 형태에 관한 압연 장치의 상면 설명도이다.
도 3은 동 실시 형태에 관한 압연 장치에 구비된 촬상 카메라 유닛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4는 동 실시 형태에 관한 압연 장치에 구비된 촬상 카메라 유닛에 의해 촬상되는 영상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5는 동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카메라 유닛에 의해 촬상된 영상을 사용하여 감시되는 강판의 거동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설명도로, 강판의 보텀부가 절곡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6은 동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카메라 유닛에 의해 촬상된 영상을 사용하여 감시되는 강판의 거동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설명도로, 강판이 사이드 가이드에 접촉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은 동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카메라 유닛에 의해 촬상된 영상을 사용하여 강판의 판 끝 형상이 감시되는 예를 도시하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 8은 동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카메라 유닛에 의해 촬상된 영상을 사용하여 강판의 천공 전조가 감시되는 예를 도시하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 9는 동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카메라 유닛에 의해 촬상된 영상을 사용하여 설비 문제에 의한 누수가 감시되는 예를 도시하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하는 상황을 나타내는 압연 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압연 장치 및 강판의 압연 감시 방법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인 압연 장치(10) 및 강판의 압연 감시 방법은, 강판(1)의 열간 압연 라인에 있어서의 마무리 압연 공정에서 사용되는 것이다.
이 압연 장치(10)는, 압연 방향(Z)으로 직렬로 배열된 복수의 압연 스탠드(11)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복수의 압연 스탠드(11) 중 인접하는 2개의 압연 스탠드(11A, 11B)를 도시하고 있다. 압연 스탠드[11(11A, 11B)]는 상하로 배치된 한 쌍의 압연 롤[12(12A, 12B)]을 구비하고 있고, 압연 스탠드[11(11A, 11B)]의 입구측에는, 통과하는 강판(1)의 폭 방향 위치를 안내하는 사이드 가이드[13(13A, 13B)]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2개의 압연 스탠드(11A, 11B)의 사이에는, 압연 방향(Z) 하류측에 위치하는 압연 스탠드(11B)를 촬상하는 촬상 수단으로서 촬상 카메라 유닛(15)이 배치되어 있다. 이 촬상 카메라 유닛(15)은, 상술한 압연 스탠드(11B)의 압연 방향(Z) 상류측에 위치하고 있어, 이 압연 스탠드(11B)의 한 쌍의 압연 롤(12B)에 물려 들어가는 강판(1)을 촬상한다.
여기서, 촬상 카메라 유닛(15)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연 스탠드(11B)의 압연 방향(Z) 상류측에 있어서 강판(1)이 통과하는 통과 가능 영역(P)의 판 폭 방향 중앙부 부분에 설치된다. 또한, 이 통과 가능 영역(P)의 판 폭 방향 중앙 부분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통과 가능 영역(P)의 판 폭 방향 중심 C로부터 판 폭 방향으로 0.5m의 범위로 해도 된다.
또한, 촬상 카메라 유닛(15)은 하기 식(1)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배치된다.
Figure 112014100436698-pct00003
여기서, L은 압연 스탠드(11B)[압연 롤(12B)의 롤 중심]와 촬상 카메라 유닛(15)의 압연 방향(Z) 거리이고, α는 촬상 카메라 유닛(15)의 수평 시야각이고, Wmax는 강판(1)의 최대폭이다.
촬상 카메라 유닛(15)의 수평 시야각 α는, 예를 들어 50°이하로 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촬상 카메라 유닛(15)의 수평 시야각 α는 50°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촬상 카메라 유닛(15)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강판(1)의 압연 방향(Z)에 대해 경사 각도 θ로, 한 쌍의 압연 롤(12B)에 물려 들어가는 강판(1)을 촬상하는 높이 위치에 배치된다. 경사 각도 θ는, 예를 들어 20°이하로 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강판(1)의 압연 방향(Z)은 수평 방향이다. 따라서, 촬상 카메라 유닛(15)의 강판(1)의 통과 위치로부터의 높이 H는, 하기 식(2)로 나타내어진다.
Figure 112014100436698-pct00004
또한, 촬상 카메라 유닛(15)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연 방향(Z)에 인접하는 2개의 압연 스탠드(11A, 11B)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압연 스탠드(11A, 11B) 사이의 거리를 L0, 압연 롤(12)의 직경을 R로 한다. 이때, 촬상 카메라 유닛(15)은, 압연 방향(Z) 상류측의 압연 스탠드(11A)로부터 압연 방향(Z) 하류측으로 2R 이격된 위치로부터 L0/2 이격된 위치까지의 사이에 배치해도 된다. 촬상 카메라 유닛(15)을 이러한 범위보다 압연 방향(Z) 상류측의 압연 스탠드(11A)에 근접시켜 배치하면, 압연 스탠드(11A)에 접촉하는 등 배치가 곤란하다. 또한, 촬상 카메라 유닛(15)을 이러한 범위보다 압연 방향(Z) 하류측의 압연 스탠드(11B)에 근접시켜 배치하면, 강판(1)이 한 쌍의 압연 롤(12B)에 물려 들어가는 부분을 촬상 범위 내에 포함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이상으로부터,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상 카메라 유닛(15)은 상기 범위에서 규정되는 설치 영역(S)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촬상 카메라 유닛(15)을 설치 영역(S) 내에 배치함으로써, 적어도 강판(1)이 한 쌍의 압연 롤(12B)에 물려 들어가는 부분이 촬상 범위 내에 포함되는 영상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카메라 유닛(15)을, 강판(1)의 물려 들어감 부분에 더하여 사이드 가이드(13B)를 포함하는 범위 m1이 영상에 포함되도록 배치하면 좋다. 이와 같이 배치된 촬상 카메라 유닛(15)에 의해 취득된 영상으로부터, 작업자는, 압연 장치(10)에 있어서의 압연시의 강판(1)의 거동이나 압연 장치(10)의 설비 문제 등, 다양한 압연 상황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촬상 카메라 유닛(15)은 압연 장치(10)에 적어도 하나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이때, 복수의 압연 스탠드(11) 중 압연 방향(Z) 최하류에 위치하는 압연 스탠드(11)의 한 쌍의 압연 롤(12)에 강판(1)이 물려 들어가는 부분을 촬상 가능한 위치에 촬상 카메라 유닛(15)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복수의 압연 스탠드(11) 사이에 각각 촬상 카메라 유닛(15)을 배치하면, 각 촬상 카메라 유닛(15)에 의해 촬상된 영상의 비교나 해석을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각 압연 스탠드(11)에서의 압연 상황이나 압연되는 강판(1)의 변화 등도 인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에 기초하여, 본 실시 형태인 압연 장치(10)에 구비된 촬상 카메라 유닛(15)에 대해 설명한다. 강판(1)을 압연하는 열간 압연 라인의 환경은, 분진, 증기 등이 많이 발생하고, 열부하도 크다. 따라서, 촬상 카메라 유닛(15)에는, 가혹한 환경하에 있어서도 작동할 수 있는 내구성이 요구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카메라 유닛(15)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부(20)와, 케이스 렌즈부(30)와, 카메라 본체(16)와, 케이스 본체부(20)에 대해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18)를 구비한다.
케이스 본체부(20)는, 카메라 본체(16)를 고정하는 고정부(21)와, 카메라 본체(16)의 전방에 배치된 카메라 창부(22)와, 카메라 본체(16)의 배선이 삽입 관통되는 삽입 관통 구멍(23)을 구비한다. 여기서, 고정부(21)는 카메라 본체(16)가 진동 등에 의해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카메라 본체(16)를 강고하게 고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 본체부(20)는, 내구성 향상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지고, 그 두께는 1㎝ 이상이다. 또한, 케이스 본체부(20)에 있어서, 삽입 관통 구멍(23)을 통과하는 케이블의 가열 방지를 위해, 하나의 개구를 에어 공급부(18) 또한 삽입 관통 구멍(23)으로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케이스 렌즈부(30)는, 케이스 본체부(2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플랜지부(31)와, 케이스 본체부(20)의 카메라 창부(22)에 연통되는 렌즈 구멍부(32)와, 이 렌즈 구멍부(32) 내에 배치된 렌즈(33)를 구비한다. 또한, 이 케이스 렌즈부(30)에 대해서도, 에어가 공급된다.
이 촬상 카메라 유닛(15)은, 카메라 본체(16)에 의해, 렌즈(33), 렌즈 구멍부(32) 및 카메라 창부(22)를 통해, 압연 스탠드(11B)에 물려 들어가는 강판(1)을 촬상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압연 장치(10)는, 압연 방향(Z) 상류측으로부터 압연 방향(Z) 하류측을 향해 강판(1)을 주행시켜, 복수의 압연 스탠드(11)에 있어서 강판(1)을 압연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압연 스탠드(11) 사이에 배치된 촬상 카메라 유닛(15)에 의해, 압연 방향(Z) 하류측의 압연 스탠드(11)의 한 쌍의 압연 롤(12B)에 물려 들어가는 강판(1)을 촬상한다. 촬상 카메라 유닛(15)에 의해 촬상된 영상은, 표시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표시된다. 작업자는, 표시 장치에 표시된 영상을 보면서 강판(1)의 거동을 감시한다.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의 일례를 도 4에 도시한다. 표시 장치에는, 예를 들어 도 4의 표시 영역(M) 내의 부분이 표시된다. 촬상 카메라 유닛(15)에 의해 촬상되는 영상에는, 주행하는 강판(1)이 통과하는 한 쌍의 압연 롤(12B)의 물려 들어감 부분과, 당해 한 쌍의 압연 롤(12B)에 물려 들어가는 강판(1)과, 강판(1)의 판 폭 방향 양측에 배치된 사이드 가이드(13B)가 표시된다. 즉, 촬상 카메라 유닛(15)은 한 쌍의 압연 롤(12B)에 물려 들어가는 강판(1)과 사이드 가이드(13B)의 위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영상을 촬상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작업자는, 이 촬상 카메라 유닛(15)에 의해 취득된 영상으로부터, 강판(1)의 사행, 변형을 파악하고, 상류측의 압연 스탠드(11A)의 레벨링 설정, 벤더의 설정, 사이드 가이드(13A, 13B)의 설정 등을 조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강판(1)의 마무리 압연이 실시된다.
촬상 카메라 유닛(15)에 의해 취득된 영상으로부터, 작업자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강판(1)의 거동을 파악할 수 있다.
[이용예 1]
열간 압연 라인을 주행하는 강판(1)이 사행하면, 강판(1)의 보텀부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강판(1)이 판 폭 방향의 일단부가 사이드 가이드(13B)에 접촉하여 절곡되고, 국소적으로 겹치면서 압연 롤(12B)에 물려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이 현상을 씹힘이라 한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면, 압연 롤(12B)에 흠집이 생기므로 롤 교체가 필요해져, 조업이 휴지된다.
종래, 사이드 가이드(13B)로부터 한 쌍의 압연 롤(12B)이 대향하고 있는 강판(1)의 물려 들어감 부분 내에 있어서의 강판(1)의 주행 상태는, 직접 감시할 수 있는 수단이 없었기 때문에 파악할 수 없었다. 이로 인해, 종래는, 예를 들어 루퍼에 설치된 로드셀에 대한 판 폭 방향의 하중차나, 압연 스탠드(11B)에 설치된 로드셀에 대한 판 폭 방향의 하중차에 기초하여, 강판(1)이 사행하고 있지 않은지 판단되고 있었다. 혹은, 주행하는 강판(1)을 측방 혹은 상방으로부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한 영상에 기초하여, 강판(1)이 사행하고 있지 않은지 판단되고 있었다.
그러나, 루퍼의 로드셀 하중차로부터 강판(1)의 사행의 절대량은 취득할 수 없다. 또한, 강판(1)의 미단부가 통과하는 경우 등, 강판(1)이 루퍼로부터 이격된 경우에는, 당해 로드셀의 하중차를 취득할 수 없으므로, 강판(1)의 사행을 판정할 수 없다. 한편, 압연 스탠드(11B)의 로드셀의 하중차를 사용한 경우에는, 그 하중차가 강판(1)의 사행과 웨지(판 폭 방향의 판 두께차) 중 어느 것에 기인하는 것인지를 구분할 수 없다.
또한, 강판(1)을 측방 또는 상방으로부터 촬상한 영상을 사용한 경우, 강판(1)을 상방으로부터 촬상 가능한 범위는, 예를 들어 도 2의 범위 m0과 같이 인접하는 압연 스탠드(11A, 11B) 사이를 주행하는 강판(1)을 촬상하는 범위이다. 강판(1)을 측방으로부터 촬상하는 경우도, 압연 롤(12B)의 강판(1)의 물려 들어감 부분을 촬상 가능한 위치에 촬상 수단을 배치하는 것은 곤란하므로, 취득되는 영상은 압연 스탠드(11A, 11B) 사이를 주행하는 강판(1)을 촬상한 영상으로 된다. 이로 인해, 강판(1)이 한 쌍의 압연 롤(12B)에 물려 들어가는 물려 들어감 부분은 영상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들 영상으로부터 한 쌍의 압연 롤(12B)에 물려 들어가는 강판(1)의 거동이 추정되고, 추정에 기초하여 강판(1)이 사행하고 있는지 판단된다. 그러나, 추정된 강판(1)의 거동과 실제의 강판(1)의 거동은 오차도 있고, 강판(1)의 사행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압연 장치(10)와 같이 촬상 카메라 유닛(15)을 배치함으로써, 한 쌍의 압연 롤(12B)에 물려 들어가는 강판(1)을 촬상할 수 있다. 따라서, 촬상된 영상에는 실제로 강판(1)이 한 쌍의 압연 롤(12B)에 물려 들어가는 부분이 포함되어 있고, 작업자는 영상에 기초하여 그 강판(1)의 거동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강판(1)이 사이드 가이드(13B)의 설치 위치에 진입하여, 판 폭 방향의 일단부가 사이드 가이드(13B)에 접촉하여 좌굴되고, 절곡되면서 한 쌍의 압연 롤(12B)에 물려 들어가는 거동을 확인할 수도 있다. 이러한 거동은, 사이드 가이드(13B)에 대해 압연 방향(Z) 상류측의 범위를 촬상한 영상으로부터는 추정 곤란한 거동이다.
[이용예 2]
열간 압연 라인을 주행하는 강판(1)이 사행하면, 강판(1)의 톱부, 미들부 및 보텀부 중 어느 부위에 있어서도,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강판(1)이 판 폭 방향의 일단부가 사이드 가이드(13B)에 접촉하는 경우가 있다. 강판(1)과 사이드 가이드(13B)가 접촉하면 강판(1)의 파편이 비산한다. 비산한 파편이 강판(1)과 함께 한 쌍의 압연 롤(12B)에 의해 압연되면, 강판(1)에 비산 흠집이 발생해 버린다.
종래, 강판(1)과 사이드 가이드(13B)의 접촉은, 주행하는 강판(1)을 측방 혹은 상방으로부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한 영상에 기초하여 판단되고 있었다. 그러나, 촬상 수단은, 인접하는 압연 스탠드(11A, 11B) 사이이며 사이드 가이드(13B)에 대해 압연 방향(Z) 상류측에밖에 배치할 수 없다. 이로 인해, 강판(1)이 사이드 가이드(13B)의 사이를 통과하는 부분은 영상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들 영상으로부터 사이드 가이드(13B)에 대한 강판(1)의 거동이 추정되고, 추정에 기초하여 강판(1)이 사이드 가이드(13B)에 접촉하는 정도가 판단된다. 그러나, 추정된 강판(1)의 거동과 실제의 강판(1)의 거동은 오차도 있고, 사이드 가이드(13B)에 대한 강판(1)의 접촉 정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압연 장치(10)와 같이 촬상 카메라 유닛(15)을 배치함으로써, 사이드 가이드(13B)의 사이를 통과하는 강판(1)을 촬상할 수 있다. 따라서, 촬상된 영상에는 실제로 강판(1)이 사이드 가이드(13B)의 사이를 통과하는 부분이 포함되어 있고, 작업자는 영상에 기초하여 그 강판(1)의 거동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강판(1)이 사이드 가이드(13B)의 설치 위치에 진입하였을 때, 판 폭 방향의 일단부가 사이드 가이드(13B)에 접촉하여 파판이 불꽃을 수반하여 비산하는 모습을 선명하게 시인할 수 있다. 이러한 거동은, 사이드 가이드(13B)에 대해 압연 방향(Z) 상류측의 범위를 촬상한 영상으로부터는 추정 곤란한 거동이다.
또한, 이 강판(1)의 불꽃의 발생은, 촬상 카메라 유닛(15)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화상 해석하여 자동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촬영된 영상에서는, 강판(1)의 통과 가능 영역 이외의 부분은 온도가 낮기 때문에 흑색으로 표시된다. 이로 인해, 불꽃이 발생하면 그 흑색 부분에 불꽃이 적색의 스폿으로서 나타난다. 이 적색의 스폿을 화상 해석하여 검출함으로써, 불꽃의 발생을 자동 인식할 수 있다. 즉, 영상 중의 적색의 스폿이 강판(1)의 불꽃 발생을 검지하기 위한 검지 조건으로 된다.
촬상 카메라 유닛(15)에 의해 촬상된 영상의 화상 해석은, 예를 들어 영상을 해석하여 강판(1)의 압연 상황을 감시하는 감시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행해진다. 감시 장치에 의해 감시되는 강판(1)의 압연 상황에는, 압연 장치(10)에 있어서의 압연시의 강판(1)의 거동이나 압연 장치(10)의 설비 문제 등, 다양한 상황이 포함된다. 감시 장치는,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고, 컴퓨터가 구비하는 CPU가 화상 해석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컴퓨터는 감시 장치로서 기능한다. 화상 해석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구비하는 기억 장치에 저장되어 있어도 되고,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자기 디스크나 광 디스크 등의 기억 매체에 기억되어 있어도 된다.
감시 장치는, 예를 들어 촬상 카메라 유닛(15)에 의해 촬상된 영상을 해석하고, 영상 중의 적색의 스폿 발생을 검출하였을 때, 작업자에 대해 경보를 발한다. 경보는, 예를 들어 표시 장치에 경보 내용을 표시시켜 통지해도 되고, 스피커 등의 음성 출력 장치(도시하지 않음) 등을 사용하여 음성으로 통지해도 된다. 작업자는, 감시 장치로부터의 경고를 받고, 강판(1)의 압연 장치(10)에 있어서의 압연 상황을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서 설정 등을 조정해도 된다. 이와 같이, 촬영된 영상을 화상 해석하여 강판(1)의 특정 거동, 예를 들어 강판(1)의 불꽃 발생을 자동 검지 가능하게 함으로써, 작업자의 감시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이용예 3]
통상, 강판(1)의 톱부 혹은 보텀부의 판 끝 형상에 이상이 있으면, 판 끝 형상에 이상이 있는 부위의 압연 스탠드(11)에의 통판이 불안정해진다. 판 끝 형상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피쉬 테일, 설형, 부분 첨예 등의 형상에 따라서 적절한 레벨링 조작이나 벤더 조작이 필요해진다. 이로 인해, 강판(1)의 판 끝 형상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 강판(1)의 판 끝 형상은, 주행하는 강판(1)을 측방 또는 상방으로부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한 영상에 기초하여 판단되고 있었다. 그러나, 강판(1)은 고속으로 주행하고 있으므로,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영상을 육안으로 보고 주행하는 강판(1)의 판 끝 형상을 인식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압연 장치(10)와 같이 촬상 카메라 유닛(15)을 배치함으로써, 강판(1)의 판 끝 형상을 인식하기 쉬운 영상을 촬상할 수 있다. 즉, 촬상 카메라 유닛(15)은 강판(1)의 압연 방향(Z)에 대해 경사 각도 θ로, 한 쌍의 압연 롤(12B)에 물려 들어가는 강판(1)을 촬상하는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경사 각도 θ는 20°이하이다. 예를 들어, 경사 각도 θ가 20°인 경우, 촬상 카메라 유닛(15)에 의해 촬상된 영상에서의 강판(1)의 통판 속도는, 실제의 강판(1)의 통판 속도의 약 0.34배(즉, sin20°배)로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강판(1)을 비스듬히 상방으로부터 촬상한 영상을 감시하는 작업자에게는, 강판(1)은 실제의 강판(1)의 통판 속도보다 느리게 주행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므로, 강판(1)의 판 끝 형상을 인식하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판 끝 형상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되어, 강판(1)의 톱부 및 보텀부에 있어서의 레벨링 조작이나 벤더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용예 4]
통판 중의 강판(1)에 구멍이 뚫리면, 불완전 마무리 등의 중대한 문제로 이어진다. 이러한 문제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강판(1)의 구멍이 뚫릴 것 같은 부분 혹은 구멍이 뚫린 부분을 조기에 검출 가능하게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강판(1)의 구멍이 뚫린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온도가 낮다. 이로 인해, 이들의 색은 다르다. 종래는, 이 색의 차이를 이용하여, 주행하는 강판(1)을 측방 혹은 상방으로부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한 영상에 기초하여 강판(1)의 천공 부분이 판단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판단에 기초하여 강판(1)에 구멍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이미 수복 곤란한 경우가 많았다.
한편, 실시 형태에 관한 압연 장치(10)와 같이 촬상 카메라 유닛(15)을 배치함으로써, 한 쌍의 압연 롤(12B)에 물려 들어가는 강판(1)을 촬상할 수 있다. 본원 발명자들은, 촬상 카메라 유닛(15)에 의해 촬상된 영상으로부터,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강판(1)에 구멍이 뚫리기 전에, 강판(1)이 한 쌍의 압연 롤(12B)에 물려 들어가는 부분으로부터 물이 분출되고 있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지식으로부터, 작업자는, 강판(1)이 한 쌍의 압연 롤(12B)에 물려 들어가는 부분 부근을 주시하여 영상을 감시함으로써, 강판(1)에 구멍이 뚫리는 전조를 검지할 수 있다. 강판(1)이 한 쌍의 압연 롤(12B)에 물려 들어가는 부분으로부터 물이 분출될 징후를 알게 된 작업자는, 조기에 레벨링 조작이나 벤더 조작을 행함으로써 강판(1)의 천공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강판(1)의 천공에 의한 물의 분출의 발생은, 촬상 카메라 유닛(15)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화상 해석하여 자동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판(1)의 구멍이 뚫린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온도가 낮다. 따라서, 촬상 카메라 유닛(15)에 의해 촬상된 영상을 화상 해석하여, 적색의 강판(1)에 있어서 흑색화된 부분을 영상으로부터 특정함으로써, 강판(1)의 천공 부분을 자동 인식할 수 있다. 영상의 화상 해석은, 상술한 감시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행할 수 있다.
감시 장치는, 예를 들어 촬상 카메라 유닛(15)에 의해 촬상된 영상을 해석하여, 영상 중의 강판(1) 부분으로부터 흑색화 영역을 특정한다. 그리고, 감시 장치는, 단위 면적당 흑색화 영역의 면적을 산출한다. 단위 면적당 흑색화 영역의 면적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였을 때, 감시 장치는 강판(1)으로부터의 물의 분출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하여, 작업자에 대해 경보를 발한다. 즉, 영상 중의 흑색 영역의 비율이 강판(1)의 천공을 검지하기 위한 검지 조건으로 된다. 이와 같이, 촬영된 영상을 화상 해석하여 강판(1)의 압연 상황, 예를 들어 강판(1)의 천공에 의한 물의 분출을 자동 검지 가능하게 함으로써, 작업자의 감시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이용예 5]
압연 장치(10)에서는, 장치 내 배관의 고장 등의 설비 문제에 의해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누설된 물이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강판(1) 상에 뿌려지면, 강판(1)의 온도가 국소적으로 저하되어 중대한 문제를 일으킨다. 이러한 문제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누수 등의 설비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는, 설비 문제에 의한 누수는, 주행하는 강판(1)을 측방 혹은 상방으로부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한 영상으로부터 인식할 수 있는 강판(1) 상의 물의 유무에 기초하여 판단되고 있었다. 여기서, 설비 문제에 의한 누수가 발생하였을 때, 강판(1) 상에 누설된 물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루퍼(17)의 위치를 분수령으로 하여 압연 스탠드(11B)측으로 흐른다. 그러나, 촬상 수단은, 인접하는 압연 스탠드(11A, 11B) 사이이며, 사이드 가이드(13B)에 대해 압연 방향(Z) 상류측에밖에 배치할 수 없다. 이로 인해, 대량의 누수가 발생하지 않는 한, 강판(1) 상에 누설된 물이 영상에 나타나는 일은 없어, 설비 문제에 의한 누수를 조기에 발견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한편, 실시 형태에 관한 압연 장치(10)와 같이 촬상 카메라 유닛(15)을 배치함으로써, 한 쌍의 압연 롤(12B)에 물려 들어가는 강판(1)을 촬상할 수 있다. 따라서, 촬상된 영상으로부터는,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설비 문제에 의해 강판(1) 상에 누설된 물이, 강판(1)이 한 쌍의 압연 롤(12B)에 물려 들어가는 부분으로 흐르는 모습을 인식할 수 있다. 작업자는, 영상을 감시시에, 강판(1)이 한 쌍의 압연 롤(12B)에 물려 들어가는 부분 부근의 강판(1) 상에 물이 있는지를 주시함으로써, 설비 문제에 의한 누수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설비 문제에 의한 누수의 발생은, 촬상 카메라 유닛(15)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화상 해석하여 자동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비 문제에 의해 강판(1) 상에 물이 누설되면, 강판(1)의 물에 젖은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온도가 낮아져, 영상 중에 흑색 영역으로서 나타난다. 따라서, 촬상 카메라 유닛(15)에 의해 촬상된 영상을 화상 해석하여, 적색의 강판(1)에 있어서 흑색화된 부분을 영상으로부터 특정함으로써, 강판(1)의 누수를 자동 인식할 수 있다. 영상의 화상 해석은, 상술한 감시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행할 수 있다.
감시 장치는, 상기 이용예 4와 마찬가지로, 영상을 해석하여, 영상 중의 강판(1) 부분으로부터 흑색화 영역을 특정한다. 그리고, 감시 장치는, 단위 면적당 흑색화 영역의 면적을 산출하고, 당해 면적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였을 때, 감시 장치는 강판(1)의 누수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하여, 작업자에 대해 경보를 발한다. 즉, 영상 중의 흑색 영역의 비율이 강판(1)에의 누수를 검지하기 위한 검지 조건으로 된다. 이와 같이, 촬영된 영상을 화상 해석하여 강판(1)의 압연 상황, 예를 들어 강판(1)의 누수를 자동 검지 가능하게 함으로써, 작업자의 감시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이상,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압연 장치(10)의 구성 및 강판의 압연 감시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압연 스탠드(10)는, 압연 방향(Z) 하류측의 압연 스탠드(11B)의 한 쌍의 압연 롤(12B)에 물려 들어가는 강판(1)을 촬상하는 촬상 카메라 유닛(15)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한 쌍의 압연 롤(12B)에 물려 들어가는 강판(1)의 영상을 취득할 수 있다. 작업자는, 당해 영상에 기초하여, 한 쌍의 압연 롤(12B)에 물려 들어가는 강판(1)의 거동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작업자는, 이 강판(1)의 거동을 고려하여, 상류측의 압연 스탠드(11A)의 레벨링 설정 등을 조정함으로써, 사이드 가이드(13B)와 강판(1)이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강판(1)의 압연을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카메라 유닛(15)은, 압연 스탠드(11B)의 압연 방향(Z) 상류측에 있어서 강판(1)의 통과 가능 영역(P)의 판 폭 방향 중앙 부분에, 상기 식(1)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배치된다. 이에 의해, 1대의 촬상 카메라 유닛(15)에 의해,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한 쌍의 압연 롤(12B)에 물려 들어가는 강판(1)의 영상을 취득할 수 있다. 작업자는, 당해 영상에 기초하여, 강판(1)의 거동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촬상 카메라 유닛(15)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과 가능 영역(P)의 판 폭 방향 중심 C로부터 판 폭 방향으로 0.5m의 범위 내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촬상 카메라 유닛(15)에 의해 강판(1)의 거동을 직감적으로 파악 가능한 영상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촬상 카메라 유닛(15)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강판(1)의 압연 방향(Z)에 대해 경사 각도 θ로, 한 쌍의 압연 롤(12B)에 물려 들어가는 강판(1)을 촬상하는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당해 경사 각도 θ는 20°이하이다. 즉, 촬상 카메라 유닛(15)은 강판(1)의 통과 위치로부터의 높이 H가 상기 식(2)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배치된다. 이에 의해, 촬상 카메라 유닛(15)에 의해 한 쌍의 압연 롤(12B)에 물려 들어가는 강판(1)을 확실하게 촬상할 수 있어, 강판(1)의 거동을 고정밀도로 파악 가능한 영상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압연 방향(Z) 하류측의 압연 스탠드(11B)의 상방에 장해물이 있었던 경우라도, 이 장해물에 차단되는 일 없이, 촬상 카메라 유닛(15)은 한 쌍의 압연 롤(12B)에 물려 들어가는 강판(1)을 촬상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카메라 유닛(15)의 수평 시야각 α는 50°이하이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평 시야각 α는 50°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촬상된 영상의 변형이 적어, 한 쌍의 압연 롤(12B)에 물려 들어가는 강판(1)의 거동을 고정밀도로 파악 가능한 영상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촬상 카메라 유닛(15)은 케이스 본체부(20)와, 케이스 렌즈부(30)와, 카메라 본체(16)와, 케이스 본체부(20)에 대해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18)를 구비한다. 케이스 본체부(20)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지고, 그 두께는 1㎝ 이상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열부하 등에 의해 카메라 본체(16)가 조기에 열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강판(1)의 열간 압연 라인의 마무리 압연기의 압연 스탠드(11) 사이에 항상 설치할 수 있어, 작업자는 압연 중의 강판(1)의 거동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케이스 렌즈부(30)는 케이스 본체부(20)에 대해 착탈 가능하다. 따라서, 렌즈(33)가 오염된 경우에는 케이스 렌즈부(30)만을 교환하면 되어, 메인터넌스성이 대폭 향상된다. 또한, 케이스 본체부(20) 및 케이스 렌즈부(30)는 에어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카메라 본체(16)나 렌즈(33)가 열부하, 분진, 증기 등에 의해 조기에 열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 형태인 압연 장치 및 강판의 압연 감시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촬상 카메라 유닛의 구조는, 본 실시 형태에서 예시한 것에 한정되는 일 없이, 다른 구성의 촬상 카메라 유닛이어도 된다. 단, 강판의 열간 압연 라인의 마무리 압연기 등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열부하, 분진, 증기 등에 대해 내구성을 갖는 구조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압연 스탠드의 구조나 사이드 가이드의 구조에 대해서도, 본 실시 형태에 예시한 것에 한정되는 일 없이, 다른 구조의 압연 스탠드 및 사이드 가이드여도 된다.
1 : 강판
10 : 압연 장치
11 : 압연 스탠드
12 : 압연 롤
15 : 촬상 카메라 유닛(촬상 수단)

Claims (8)

  1. 한 쌍의 압연 롤을 구비한 복수의 압연 스탠드와,
    인접하는 상기 압연 스탠드 사이에 배치되고, 압연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상기 압연 스탠드의 상류측으로부터 당해 압연 스탠드의 상기 한 쌍의 압연 롤에 물려 들어가는 강판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촬상 수단은, 상기 압연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압연 스탠드의 압연 방향 상류측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통과 가능 영역의 판 폭 방향 중앙 부분에, 하기 식(1)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배치되는, 압연 장치.
    Figure 112014100436698-pct00005

    여기서, L은, 상기 압연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압연 스탠드와 상기 촬상 수단의 압연 방향 거리이고, α는 상기 촬상 수단의 수평 시야각이고, Wmax는 상기 강판의 최대폭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은, 상기 통과 가능 영역의 판 폭 방향 중심으로부터 상기 판 폭 방향으로 0.5m의 범위 내에 배치되는, 압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은, 상기 강판의 압연 방향에 대해 경사 각도 θ로 상기 한 쌍의 압연 롤에 물려 들어가는 상기 강판을 촬상하는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당해 경사 각도 θ는 20°이하인, 압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의 수평 시야각 α는 50°이하인, 압연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의 수평 시야각 α는 50° 이하인, 압연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의 수평 시야각 α는 50° 이하인, 압연 장치.
  7. 한 쌍의 압연 롤을 구비한 복수의 압연 스탠드에 의해 압연되는 강판의 압연 상황을 감시하는 압연 감시 방법이며,
    인접하는 상기 압연 스탠드 사이에 배치되고, 압연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상기 압연 스탠드의 압연 방향 상류측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통과 가능 영역의 판 폭 방향 중앙 부분에, 하기 식(1)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배치된 촬상 수단에 의해, 상기 압연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압연 스탠드의 상기 한 쌍의 압연 롤에 물려 들어가는 강판을 촬상하고,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하여 취득된, 상기 한 쌍의 압연 롤에 물려 들어가는 강판의 영상을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압연 감시 방법.
    Figure 112014100542753-pct00018

    여기서, L은 상기 압연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압연 스탠드와 상기 촬상 수단의 압연 방향 거리이고, α는 상기 촬상 수단의 수평 시야각이고, Wmax는 상기 강판의 최대폭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영상을 화상 해석하고,
    상기 화상 해석에 의해 상기 강판의 특정 압연 상황을 검지하는 검지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판정하였을 때, 경보를 발하는, 압연 감시 방법.
KR1020147029489A 2012-04-24 2013-04-23 압연 장치 및 압연 감시 방법 KR1016034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99124 2012-04-24
JP2012099124 2012-04-24
PCT/JP2013/061822 WO2013161780A1 (ja) 2012-04-24 2013-04-23 圧延装置および圧延監視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090A KR20140140090A (ko) 2014-12-08
KR101603470B1 true KR101603470B1 (ko) 2016-03-14

Family

ID=49483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9489A KR101603470B1 (ko) 2012-04-24 2013-04-23 압연 장치 및 압연 감시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669438B2 (ko)
EP (1) EP2842648B1 (ko)
JP (1) JP5429433B1 (ko)
KR (1) KR101603470B1 (ko)
CN (1) CN104254409B (ko)
BR (1) BR112014026216B1 (ko)
ES (1) ES2688920T3 (ko)
IN (1) IN2014DN08533A (ko)
TW (1) TWI478778B (ko)
WO (1) WO20131617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10316A1 (de) * 2014-02-21 2015-08-26 Primetals Technologies Germany GmbH Einfache Vorsteuerung einer Keilanstellung eines Vorgerüsts
TWI566849B (zh) * 2016-02-15 2017-01-21 中國鋼鐵股份有限公司 遮邊器控制設備及其板材偏移量測系統
JP6428669B2 (ja) * 2016-02-15 2018-11-28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ポーリングリールの速度制御装置
TWI574754B (zh) * 2016-04-22 2017-03-21 中國鋼鐵股份有限公司 軋輥機台監控方法
TWI615211B (zh) * 2016-10-06 2018-02-21 中國鋼鐵股份有限公司 以影像分析軋機變形之方法
US11423525B2 (en) * 2017-11-22 2022-08-23 Toshiba Mitsubishi-Electric Industrial Systems Corporation Industrial plant data reproduction device
JP6863532B1 (ja) * 2019-06-20 2021-04-2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熱間圧延鋼帯の蛇行制御方法、蛇行制御装置及び熱間圧延設備
JP6801833B1 (ja) * 2019-07-22 2020-12-1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熱間圧延鋼帯の蛇行制御方法、蛇行制御装置及び熱間圧延設備
CN112823941B (zh) * 2019-11-21 2022-02-22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基于火花识别的热轧卷取侧导板控制方法
KR102297278B1 (ko) * 2020-02-17 2021-09-02 주식회사 포스코 측정부재 삽입 장치 및 삽입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1956A (ja) 2002-10-28 2004-05-20 Sumitomo Metal Ind Ltd 板材の蛇行測定方法及び蛇行測定装置並びにこの蛇行測定方法を用いた板材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36910A (ja) * 1987-03-26 1988-10-03 Mitsubishi Heavy Ind Ltd 圧延材の蛇行量検出方法
JP3554128B2 (ja) * 1997-01-21 2004-08-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記録情報表示システム及び記録情報表示方法
JP3812157B2 (ja) 1998-07-23 2006-08-23 三菱電機株式会社 圧延機の安定化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DE102005051053A1 (de) * 2005-10-25 2007-04-26 Sms Demag Ag Verfahren zur Bandkantenerfassung
CN100460099C (zh) * 2006-12-08 2009-02-11 广州珠江钢铁有限责任公司 一种薄规格热轧钢板的轧制操作方法
EP2014380A1 (fr) * 2007-06-11 2009-01-14 ArcelorMittal France Procédé de laminage d'une bande métallique avec régulation de sa position latérale d'une bande et laminoir adapté
TW201010805A (en) * 2008-09-15 2010-03-16 China Steel Corp Monitoring method for monitoring bending of steel belt and progress deviation in hot rolling process and its monitoring device
CN201524702U (zh) * 2009-03-31 2010-07-14 王晓军 压延铝带板型板面的在线检控系统
CN101543844B (zh) * 2009-04-30 2010-10-20 中色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金属及合金板带热轧机在线测量厚度与控制的方法
JP5414628B2 (ja) * 2010-06-09 2014-02-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圧延プラントの監視装置,圧延プラントの監視システムおよび圧延プラントの監視方法
CN102319743B (zh) * 2011-05-24 2013-07-10 重庆大学 带钢跑偏与漂浮量激光扫描检测方法及纠偏系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1956A (ja) 2002-10-28 2004-05-20 Sumitomo Metal Ind Ltd 板材の蛇行測定方法及び蛇行測定装置並びにこの蛇行測定方法を用いた板材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50223A (zh) 2013-12-16
JP5429433B1 (ja) 2014-02-26
KR20140140090A (ko) 2014-12-08
BR112014026216A2 (pt) 2017-06-27
EP2842648A4 (en) 2015-12-16
TWI478778B (zh) 2015-04-01
US20150082848A1 (en) 2015-03-26
CN104254409A (zh) 2014-12-31
CN104254409B (zh) 2015-10-14
JPWO2013161780A1 (ja) 2015-12-24
EP2842648B1 (en) 2018-08-15
EP2842648A1 (en) 2015-03-04
WO2013161780A1 (ja) 2013-10-31
US9669438B2 (en) 2017-06-06
BR112014026216B1 (pt) 2021-09-08
ES2688920T3 (es) 2018-11-07
IN2014DN08533A (ko) 2015-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3470B1 (ko) 압연 장치 및 압연 감시 방법
JP7183632B2 (ja) 連続鋳造装置および連続鋳造方法
JP6808888B1 (ja) 不良判断装置および不良判断方法
JP4956673B2 (ja) エンドレス熱間圧延工程における鋼板の接合部の検出装置及び方法
US110558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meandering amount of strip,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bnormal meandering of strip
JP6828730B2 (ja) 圧延材の反り量測定方法及び反り量測定装置
JP5859845B2 (ja) 通板異常検出装置
JP2013180322A (ja) 熱間圧延設備
JP7111142B2 (ja) 圧延材の入射角検出方法及び装置
KR101290424B1 (ko) 열화상을 이용한 압연소재의 변형량측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2139446A (ja) 表面欠陥検出方法及び装置
JPH1137737A (ja) 鋼板の反り検出装置
KR20130120335A (ko) 캠버 측정장치
JP5037220B2 (ja) 熱間仕上圧延機のスタンド間残留破断片検知方法
KR20010054958A (ko) 씨씨디 촬상장치를 이용한 조압연공정의 소재 상향 휨온라인 검출장치 및 그 검출방법
EP4321835A1 (en) Apparatus for detecting positions of seam portion and heated portion in welded steel pipe, equipment for manufacturing welded steel pipe, method for detecting positions of seam portion and heated portion in welded steel pipe, method for manufacturing welded steel pipe, and method for managing quality of welded steel pipe
KR101091312B1 (ko) 강판의 선,후단부 절단형상 검사장치 및 방법
KR102004841B1 (ko) 가열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JP2021179414A (ja) 熱間圧延鋼帯の蛇行量測定装置及び熱間圧延鋼帯の蛇行量測定方法
JP5359388B2 (ja) 板破断判定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熱間仕上圧延における圧延方法および装置
KR20030054551A (ko) 씨씨디 카메라를 이용한 열강판 선후단 형상 측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