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7278B1 - 측정부재 삽입 장치 및 삽입 방법 - Google Patents

측정부재 삽입 장치 및 삽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7278B1
KR102297278B1 KR1020200019213A KR20200019213A KR102297278B1 KR 102297278 B1 KR102297278 B1 KR 102297278B1 KR 1020200019213 A KR1020200019213 A KR 1020200019213A KR 20200019213 A KR20200019213 A KR 20200019213A KR 102297278 B1 KR102297278 B1 KR 102297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ing member
processed
image
unit
alig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9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4449A (ko
Inventor
박순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019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7278B1/ko
Publication of KR20210104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4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21B38/006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for measuring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0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e.g. thermocoup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정부재 삽입 장치 및 삽입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송 경로 상에 피처리물을 정렬시키는 과정; 상기 피처리물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 획득된 피처리물의 이미지로부터 측정부재의 삽입 위치를 도출하는 과정; 및 도출된 측정부재의 삽입 위치에 상기 측정부재를 삽입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피처리물에 열전대 등의 측정부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측정부재 삽입 장치 및 삽입 방법{Detector inser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측정부재 삽입 장치 및 삽입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처리물에 측정부재를 자동으로 설치할 수 있는 측정부재 삽입 장치 및 삽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열처리 제어 공정(Thermo-Mechanical Control Process; TMCP)은 가열 공정, 압연 공정 및 냉각 공정 등 세부 단위 공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열처리 제어 공정은 각 세부 단위 공정에서 강재의 온도를 정밀하게 제어하여, 강재의 결정조직을 미세화시켜 기계적인 성질을 개선함으로써 최종적으로 획득하고자 하는 강재의 물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처리 제어 공정을 적용한 강재인 TMCP 강재는 최종적으로 획득하고자 하는 물성, 예컨대 고강도 및 고인성을 갖게 된다. 이러한 TMCP 강재는 조선용 및 건축구조용 극후판재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열처리 제어 공정에서는 강재에 열전대를 삽입하여 각 세부 단위 공정에서 강재의 온도를 정밀하게 제어하고 있다. 이에 강재를 가열하기 이전, 드릴링(drilling) 가공을 통해 강재에 삽입홈을 형성하고, 강재를 가열한 다음, 삽입홈에 열전대를 삽입하고 있다. 그리고 열전대를 이용하여 강재의 온도를 측정하면서 압연 공정 및 냉각 공정 등을 수행하고 있다. 그런데 강재에 열전대를 삽입하는 과정은 수작업에 의존하여 수행되고 있기 때문에 작업 지연에 의해 강재의 온도가 저감되어 강재의 온도를 정확하게 제어하기 어렵고, 측정 결과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강재에 열전대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가열된 고온의 강재에 의해 화상 등의 안전사고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KR 1998-028764 U KR 10-1987823 A
본 발명은 피처리물에 측정부재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삽입하고, 측정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측정부재 삽입 장치 및 삽입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안전 사고의 발생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는 측정부재 삽입 장치 및 삽입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측정부재 삽입 장치는,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피처리물을 이송 경로 상에 정렬하기 위한 정렬부; 상기 피처리물에 측정부재를 삽입하도록, 상기 이송 경로의 외측에 구비되는 삽입부; 상기 피처리물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촬영부; 및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측정부재의 삽입 위치를 도출하고, 도출된 삽입 위치에 상기 측정부재를 삽입하도록 상기 삽입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렬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피처리물과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이송 경로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정렬부재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피처리물과 접촉 가능하고, 상기 이송 경로의 타측에 상기 제1정렬부재와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제2정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상기 이송 경로의 일측 또는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정렬부재와 상기 제2정렬부재 중 상기 삽입부와 동일한 쪽에 배치되는 어느 하나는 상기 피처리물의 이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촬영부는 상기 이송 경로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상기 삽입부가 배치되는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촬영부는 상기 피처리물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촬영기와, 상기 촬영기를 보호하기 위한 방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부는 상기 정렬부와 상기 삽입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명암을 분석하여 상기 측정부재를 삽입할 위치를 정하고, 정해진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측정부재의 삽입 위치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 경로의 주변에 설치된 정렬마크를 포함시켜 촬영하여 상기 피처리물의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상기 촬영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획득된 이미지에 포함된 정렬마크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측정부재의 삽입 위치를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측정부재 삽입 방법은, 이송 경로 상에 피처리물을 정렬시키는 과정; 상기 피처리물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 획득된 피처리물의 이미지로부터 측정부재의 삽입 위치를 도출하는 과정; 및 도출된 측정부재의 삽입 위치에 상기 측정부재를 삽입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렬시키는 과정 이전에, 상기 피처리물의 적어도 일면에 상기 측정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홈을 형성하는 과정; 및 상기 피처리물을 가열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처리물을 정렬시키는 과정은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 피처리물의 일면을 상기 피처리물의 이송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피처리물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 상기 피처리물의 일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 경로의 주변에 정렬마크를 설치하는 과정 및 상기 정렬마크의 위치 정보를 마련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피처리물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정렬마크를 포함하는 피처리물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재의 삽입 위치를 도출하는 과정은, 상기 가열된 피처리물의 온도 구배에 의해 상기 획득된 피처리물의 이미지에 형성되는 명암을 분석하는 과정; 분석 결과 상대적으로 어두운 영역을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 위치로 정하는 과정; 및 정해진 위치를 상기 측정부재의 삽입 위치로 도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해진 위치를 상기 측정부재의 삽입 위치로 도출하는 과정은, 상기 정렬마크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도출된 측정부재의 삽입 위치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처리물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피처리물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촬영기의 위치 정보를 마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해진 위치를 상기 측정부재의 삽입 위치로 도출하는 과정은, 상기 촬영기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도출된 측정부재의 삽입 위치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처리물은 적열 상태의 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재는 열전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피처리물에 열전대 등의 측정부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처리물에 측정부재를 설치하는 과정에 발생할 수 있는 작업 지연으로 측정부재에 의한 측정 결과의 편차를 저감시켜, 피처리물의 온도를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제 조업 설비에서는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고, 시험 설비에서는 시험 품질을 확보하여 재시험율 감소를 통해 신제품 개발에 박차를 가할 수 있다. 또한, 고온의 피처리물에 의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억제 혹은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강재 처리 설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부재 삽입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측정부재 삽입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측정부재 삽입 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부재 삽입 장치를 이용하여 강재를 정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부재 삽입 장치를 이용하여 강재에서 측정부재의 삽입 위치를 분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부재 삽입 장치를 이용하여 강재에 측정부재를 삽입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조합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고,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정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크기가 부분적으로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측정부재 삽입 장치 및 삽입 방법은 피처리물의 특정 위치에 온도측정기 등과 같은 다양한 측정부재를 삽입 또는 설치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측정부재 삽입 장치 및 삽입 방법은 피처리물의 온도 구배를 이용하여 측정부재의 삽입 위치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위치에 측정부재를 삽입 또는 설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피처리물이 고온으로 가열된 강재이고, 측정부재는 열전대인 예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측정부재 삽입 장치 및 방법은 다양한 종류의 피처리물에 다양한 종류의 측정부재를 설치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강재 처리 설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강재 처리 설비는, 강재(S)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로(100)와, 가열로(100)에서 반출된 강재(S)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200)와, 강재(S)에 열전대 등의 측정부재(10)를 삽입하기 위한 측정부재 삽입장치(300)와, 측정부재(10)가 삽입된 강재(S)를 압연하기 위한 압연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강재 처리 설비는 강재(S)를 미리 설정된 크기 또는 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절단기(600)와, 강재(S)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기(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강재 처리 설비는 실제 조업에 사용되는 설비일 수도 있고, 실제 조업에 사용될 조업 데이터를 마련하기 위한 시험 설비일 수도 있다.
가열로(100)는 내부에 주편 등과 같은 강재(S)를 가열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가열로(100)에는 강재(S)를 반입 또는 반출하기 위한 게이트(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게이트는 강재(S)를 가열하는 경우에는 가열로(100)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고, 강재(S)를 가열로(100) 내부로 반입하거나 가열로(100)에서 반출하는 경우에는 가열로(100) 내부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송부(200)는 가열로(100)에서 반출된 강재(S)를 압연기(400) 및 냉각기(500)를 거쳐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송부(200)는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지지프레임(210)과, 지지프레임(2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복수의 롤(220) 및 롤(22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미도시)을 포함하는 롤러 테이블일 수 있다. 이때, 롤러 테이블은 복수개가 일렬로 배치되어 강재(S)의 이송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송부(200)는 롤러 테이블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측정부재 삽입장치(300)는 가열로(100)와 압연기(400) 사이에 구비되고, 가열로(100)에서 반출된 고온의 강재(S)에 측정부재(10)를 자동으로 삽입할 수 있다. 이러한 측정부재 삽입장치(300)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압연기(400)는 이송부(200)에 의해 이송되는 강재(S)를 압하할 수 있다. 압연기(400)는 적어도 한 쌍의 압연롤(410, 420)을 포함할 수 있다. 압연롤(410, 420)은 이송부(200)를 구성하는 롤(220)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이송부(200)를 구성하는 복수의 롤러 테이블 사이에 구비되어, 이송부(200), 예컨대 롤러 테이블 상부를 따라 이송되는 강재(S)를 압하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압연기(400)가 한 쌍의 압연롤(410, 420)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여러 쌍의 압연롤(410, 42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냉각기(500)는 강재(S)의 이송 방향에 대해 압연기(400)의 전방에 구비되어, 강재(S)에 물 등과 같은 냉각매체를 분사할 수 있다. 이때, 냉각기(500)는 이송부(200)의 상부와 하부 중 적어도 한 군데에 설치되어, 강재(S)의 표면에 냉각매체를 분사할 수 있다. 한편, 압연기(400)를 통과한 강재(S)는 냉각기(500)에 도달하기 이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공냉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이에 압연기(400)와 냉각기(500)는 강재(S)를 공냉시킬 수 있을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절단기(600)는 강재(S)의 이송 경로에 설치되어, 냉각기(500)에서 냉각된 강재(S)를 미리 설정된 길이로 절단할 수 있다. 이때, 절단기(600)는 이송부(200)를 구성하는 롤러 테이블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절단기(600)에서 절단된 강재(S)는 이송부(200)에서 반출되어, 별도의 저장장소나 후속 공정을 위한 장소로 이송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부재 삽입 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부재 삽입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측정부재 삽입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측정부재 삽입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부재 삽입장치(300)는, 이송부(200)를 따라 이송되는 강재(S)를 이송부(200) 상에 정렬하기 위한 정렬부(310, 320)와, 강재(S)에 열전대 등과 같은 측정부재(10)를 삽입하도록, 이송부(200)의 외측에 구비되는 삽입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측정부재 삽입장치(300)는 강재(S)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촬영부(330) 및 획득된 강재(S)의 이미지로부터 강재(S)에서 측정부재(10)의 삽입 위치, 즉 삽입홈(G)의 위치를 도출하고, 도출된 삽입홈(G)의 위치에 측정부재(10)를 삽입하도록 삽입부(3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삽입부(340)는 물론, 강재 처리 설비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강재(S)의 이송 방향, 예컨대 이송부(200)가 연장되는 방향은 이송부(200)의 길이 방향이라 하고, 강재(S)의 이송 방향 또는 이송부(200)가 연장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은 이송부(200)의 폭방향이라 한다. 그리고 상하방향은 높이 방향이라 한다.
정렬부(310, 320)는 이송부(200)의 일측에 강재(S)와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정렬부재(310)와, 이송부(200)의 타측에 강재(S)와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정렬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정렬부재(310)와 제2정렬부재(320)는 이송부(200) 상부를 따라 이송되는 강재(S)와 접촉하여, 강재(S)를 미리 설정된 위치에 정렬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강재(S)는 다양한 형상으로 육면체로 형성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정렬부재(310)는 강재(S)와 접촉 가능한 제1가압 플레이트(319) 및 제1가압 플레이트(319)를 이송부(200)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구동기(316) 및 제1가압 플레이트(319)와 제1구동기(316)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기(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압 플레이트(319)는 가열로(100)에서 반출된 고온의 강재(S)와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고온에 견딜 수 있는 철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압 플레이트(319)는 이송부(20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구동기(316)는 이송부(200)의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제1가압 플레이트(319)와 연결되는 제1구동축(318)을 포함할 수 있고, 제1구동축(318)을 이송부(200)의 폭방향을 따라 이동, 예컨대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1구동기(316)는 제1구동축(318)을 직선 운동시킬 수 있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기(312)는 이송부(200)의 일측 지면에 설치되어, 제1구동기(316)를 상하방향, 즉 높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승강기(312)는 제1구동기(316)를 지지하기 위한 승강축(31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승강기(312)는 제1가압 플레이트(319)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승강축(314)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는 제1정렬부재(310)가 승강기(312)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가압 플레이트(319)의 높이 조절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별도의 지지프레임(미도시)을 이용하여 제1구동기(316)를 지면에 지지시킬 수도 있다.
제2정렬부재(320)는 지지대(321)와, 이송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대(321) 상부에 구비되는 이동블록(324)과, 강재(S)와 접촉 가능한 제2가압 플레이트(329)와, 제2가압 플레이트(329)를 이송부(200)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동블록(324)에 구비되는 제2구동기(326)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321)는 제1정렬부재(310)와 마주보도록 이송부(200)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대(321) 상부에는 이동블록(324)의 이송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이송부(20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32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동블록(324)은 가이드 레일(322) 상에 안착되어, 가이드 레일(32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이동블록(324)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구동기(326)는 이송부(200)의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제2가압 플레이트(329)와 연결되는 제2구동축(328)을 포함할 수 있고, 제2구동축(328)을 이송부(200)의 폭방향을 따라 이동, 예컨대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2구동기(326)는 제2구동축(328)을 직선 운동시킬 수 있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구동기(326)는 이동블록(324)의 상부에 안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은 상부에 제2구동기(326)를 지지할 수 있으며, 가이드 레일(322) 상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제2구동기(326)의 위치, 즉 제2구동축(328)에 연결된 제2가압 플레이트(329)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1구동기(316)와 제2구동기(326)는 제1구동축(318)과 제2구동축(328)을 각각 강재(S)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가압 플레이트(319)와 제2가압 플레이트(329)를 강재(S)에 접촉시킬 수 있다. 이에 제1가압 플레이트(319)와 제2가압 플레이트(329)와 접촉된 강재(S)는 이송부(20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이송부(200) 상에 정렬될 수 있다.
이렇게 강재(S)가 정렬되면, 삽입부(340)를 통해 열전대 등과 같은 측정부재(10)를 강재(S)에 형성된 삽입홈(G)에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삽입홈(G)은 강재(S)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는데, 제1가압 플레이트(319)와 제2가압 플레이트(329)가 접촉된 상태에서는 제1가압 플레이트(319)와 제2가압 플레이트(329)에 의해 삽입홈(G)이 가려져서 측정부재(10)를 삽입홈(G)에 삽입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제1가압 플레이트(319)와 제2가압 플레이트(329) 중 하나, 예컨대 제2가압 플레이트(329)를 강재(S)로부터 회피시켜 삽입홈(G)을 노출시킴으로써 측정부재(10)의 삽입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에 삽입부(340)가 배치된 이송부(200)의 타측에 배치된 제2정렬부재(320)에 이동블록(324)를 구비하여, 강재(S)를 정렬시킨 후 제2가압 플레이트(329)를 이송부(200)의 길이 방향, 즉 강재(S)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2가압 플레이트(329)를 강재(S)로부터 회피시킬 수 있다.
삽입부(340)는 이송부(200)의 외측, 예컨대 제2정렬부재(320)가 설치된 이송부(200)의 타측에 구비되어, 강재(S)에 측정부재(10)를 삽입할 수 있다. 삽입부(340)는 측정부재(10)를 파지하여 강재(S)에 형성된 삽입홈(G)에 자동으로 삽입할 수 있는 다관절 로봇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관절 로봇은 회전축, 암, 그리퍼 등을 포함하여, 비교적 좁은 공간에서 회전 운동, 직선 운동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강재(S)에 형성된 삽입홈(G)에 측정부재(10)를 삽입할 때보다 일정한 힘으로 삽입홈(G)에 측정부재(10)를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측정부재(10)의 삽입 깊이에 따른 온도 편차를 저감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는 삽입부(340)가 다관절 로봇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삽입부(34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측정부재(10)를 파지하여 강재(S)에 형성된 삽입홈(G)에 삽입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이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강재(S)는 가열로(100)에 800 내지 1000℃ 정도의 고온으로 가열되어, 이송부(200)를 따라 이송되는 동안 적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강재(S)에 형성된 삽입홈(G)의 위치를 쉽게 분석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촬영부(330)를 통해 강재(S)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제어부는 촬영부(330)에서 획득된 강재(S)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삽입홈(G)의 위치를 분석할 수 있다.
촬영부(330)는 삽입부(340)가 배치된 쪽, 예컨대 이송로(200)의 타측에 배치되어 강재(S)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촬영부(330)는 삽입부(340)나 제2정렬부재(320)에 설치될 수도 있고, 삽입부(340)나 제2정렬부재(320) 이외의 구조물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여기에서는 촬영부(330)가 제2정렬부재(320)에 설치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촬영부(330)는 제2정렬부재(320)의 지지대(321)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촬영부(330)는 카메라 등과 같은 촬영기(334)와, 촬영기(334)를 지지대(321) 상부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블록(33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촬영부(330)는 촬영기(334)가 고온의 강재(S)에 의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열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방열부재는 촬영기(334)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거나 촬영기(334)에 냉각가스 등을 분사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촬영부(330)의 지지블록(332)은 지지대(321) 상부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가이드 레일(322)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지지블록(332)을 가이드 레일(322)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경우, 지지블록(332) 및 촬영기(334)를 삽입부(340)의 운동 반경에서 회피시킴으로써 촬영기(334)나 지지블록(332)이 삽입부(340)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지지블록(332)은 제2정렬부재(320)의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이동시킬 수도 있고, 별도의 보조 구동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이동시킬 수도 있다.
한편, 강재(S)를 촬영하는 경우, 강재(S)의 이미지에 정렬마크(미도시)가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강재(S)의 이미지로부터 삽입홈(G)의 위치 또는 측정부재(10)의 삽입 위치를 도출하는 경우, 삽입홈(G)의 위치 또는 측정부재(10)의 삽입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데 사용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정렬마크는 이송부(200)나 이송부(200) 주변에 설치되는 다른 구조물에 마련될 수 있으며, 촬영부(330)의 반대편, 예컨대 제1정렬부재(310)가 설치된 이송부(200)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는 촬영기(334)에서 촬영된 이미지 또는 이미지 정보를 전달받아, 강재(S)에 형성된 삽입홈(G)의 위치를 분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강재(S)는 가열로(100)에서 고온으로 가열되어 적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강재(S)에 형성된 삽입홈(G)은 빈 공간이기 때문에 강재(S)의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가지게 되며, 삽입홈(G)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온도가 증가하는 온도 구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촬영기(334)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에는 강재(S)에 형성되는 온도 구배에 의해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 즉 명암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강재(S)의 이미지에서 적열 상태로 온도가 높은 강재(S) 표면은 밝게 나타나고,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삽입홈(G)은 어둡게 나타나게 된다. 제어부는 강재(S)의 이미지로부터 명암을 분석하여, 강재(S)의 표면보다 어둡게 나타나는 부분의 위치를 측정부재(10)의 삽입 위치 또는 삽입홈(G)의 위치로 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강재(S)를 촬영한 당시, 촬영부(330) 또는 촬영기(334)의 위치 정보나 정렬마크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삽입홈(G)의 위치를 도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는 촬영부(3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또한 정렬마크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강재(S)를 촬영하도록 촬영부(3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위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해당 위치에서 강재(S)를 촬영하도록 촬영부(3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촬영부(330), 예컨대 촬영기(334)의 위치 정보 및 정렬마크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명암 분석을 통해 정해진 측정부재(10)의 삽입 위치로부터 측정부재(10)의 삽입 위치, 즉 삽입홈(G)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여 측정부재(10)의 삽입 위치를 도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나중에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측정부재(10)를 도출된 삽입홈(G)의 위치에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부(3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부재 삽입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부재 삽입 장치를 이용하여 강재를 정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부재 삽입 장치를 이용하여 강재에서 측정부재의 삽입 위치를 분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부재 삽입 장치를 이용하여 강재에 측정부재를 삽입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부재 삽입 방법은,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강재(S)를 정지시키는 과정과, 강재(S)를 이송 경로 상에 정렬시키는 과정과, 강재(S)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과,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측정부재(10)의 삽입 위치를 도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부재(10)의 삽입 위치가 도출되면, 도출된 위치에 측정부재를 삽입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강재(S)를 가열로(100)에 반입하기 이전에, 드릴링 가공을 통해 강재(S)에 측정부재(10)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홈(G)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삽입홈(G)은 강재(S)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강재(S)의 길이방향 및 두께방향으로 정중앙에 강재(S)의 폭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강재(S)에 삽입홈(G)을 형성한 다음, 강재(S)를 가열로(100)에 반입시켜 가열할 수 있다. 강재(S)는 용도에 따라 목표로 하는 온도, 예컨대 800 내지 1000℃ 정도의 고온으로 가열될 수 있다.
강재(S)가 목표로 하는 온도로 가열되면, 강재(S)를 가열로(100)에서 반출하여 이송부(200)를 통해 압연기(400)로 이송시킬 수 있다. 강재(S)를 압연기(400)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강재(S)에 형성된 삽입홈(G)에 측정부재(10)를 삽입할 수 있다.
강재(S)의 삽입홈(G)에 측정부재(10)를 삽입하기 위해, 강재(S)의 이송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도 5의 (a)에 도시된 것처럼 강재(S)는 이송부(200)의 롤러 테이블 상에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도 있고, 이송부(200)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강재(S)의 이송이 중단되면, 정렬부(310, 320)를 이용하여 강재(S)를 이송부(200) 상에 정렬시킬 수 있다. 제1정렬부재(310)의 승강기(312)를 구동시켜 제1구동기(316)와 제1가압 플레이트(319)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때, 제1구동기(316)와 제1가압 플레이트(319)가 강재(S)가 배치된 높이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승강기(312)를 구동시키는 과정은 생략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가압 플레이트(329)가 제1가압 플레이트(319)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제2정렬부재(320)의 이동블록(324)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제1가압 플레이트(319)와 제2가압 플레이트(329)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면, 제1구동기(316)와 제2구동기(326)를 작동시켜 제1가압 플레이트(319)와 제2가압 플레이트(329)를 강재(S)를 향해서 이동, 예컨대 전진시켜 강재(S)의 양쪽 측면에 접촉시킬 수 있다. 이때, 제1가압 플레이트(319)는 삽입홈(G)이 형성되지 않은 강재(S)의 일 측면에 접촉될 수 있고, 제2가압 플레이트(329)는 삽입홈(G)이 형성된 강재(S)의 타 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제1가압 플레이트(319)와 제2가압 플레이트(329)가 강재(S)에 접촉되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재(S)는 이송부(20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이송부(200) 상에서 정렬될 수 있다. 이때, 강재(S)는 삽입홈(G)이 형성된 일측면이 이송부(200)의 길이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 즉 폭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정렬될 수 있다.
강재(S)가 이송부(200) 상에서 정렬되면,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G)이 형성된 강재(S)의 타 측면에 접촉되어 있는 제2가압 플레이트(329)를 원래 위치로 이동, 예컨대 후진시켜 강재(S)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후,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블록(324)을 이송부(2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2가압 플레이트(329)를 강재(S)에 형성된 삽입홈(G)으로부터 회피시킬 수 있다. 이때, 촬영부(330)의 이동블록(324(332)이 이동블록(324)과 연결되어 있는 경우, 지지블록(332)은 이동블록(324)과 동시에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블록(324)이 이동하여 제2가압 플레이트(329)가 강재(S)에 형성된 삽입홈(G)에서 회피되면, 지지블록(332)에 설치된 촬영기(334)가 삽입홈(G)이 형성된 강재(S)의 일 측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반면, 촬영부(330)의 지지블록(332)이 이동블록(324)과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동블록(324)을 이동시킨 후 지지블록(332)을 이동시켜 촬영기(334)를 미리 설정된 위치, 예컨대 삽입홈(G)이 형성된 강재(S)의 일 측면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시키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촬영기(334)가 삽입홈(G)이 형성된 위치에 배치되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기(334)를 이용하여 강재(S)의 일측면을 촬영하여 강재(S)의 이미지 또는 이미지 정보를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촬영기(334)로 강재(S)를 촬영하기 이전에, 촬영기(334)의 촬영 범위 내에 정렬마크를 설치할 수 있다. 정렬마크는 강재(S)의 이미지에 포함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정렬마크의 위치 정보는 제어부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촬영기(334)의 동작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제어부에 의해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에는 촬영기(334)의 촬영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도 6의 (c)를 참조하면, 촬영기(334)를 통해 획득된 강재(S)의 이미지에는 명암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강재(S)는 가열로(100)에서 800 내지1000℃ 정도로 가열되어 적열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강재(S)의 이미지에서 강재(S) 표면은 밝게 나타나고, 삽입홈(G)은 강재(S)의 표면보다 온도가 낮기 때문에 비교적 어둡게 나타날 수 있다.
제어부는 촬영기(334)에서 전달된 강재(S)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삽입홈(G)의 위치를 도출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강재(S)의 이미지에 형성된 명암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 강재(S)의 이미지에서 상대적으로 어두운 영역, 예컨대 가장 어두운 영역을 삽입홈(G)이 형성된 영역으로 정할 수 있다. 강재(S)의 이미지는 밝은 영역과 가장 어두운 영역 그리고 그 사이에 형성되는 중간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는 명암 분석을 통해 가장 어두운 영역을 측정부재(10)의 삽입 위치, 즉 삽입홈(G)의 위치로 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삽입홈(G)으로 정해진 위치를 측정부재(10)의 삽입 위치로 도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강재(S)의 이미지를 획득한 위치, 즉 촬영기(334)의 촬영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도출된 측정부재(10)의 삽입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산출하여, 삽입홈(G)의 위치 또는 측정부재(10)의 삽입 위치를 도출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강재(S) 촬영 시 촬영기(334)의 위치 정보와 삽입홈(G)으로 정해진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촬영기(334)의 위치를 기준으로 삽입홈(G)으로 정해진 위치의 거리 및 방향을 산출하여, 삽입홈(G)의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 또는 측정부재(10)의 삽입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는 이미지에 포함된 정렬마크의 위치 정보와 삽입홈(G)으로 정해진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비교하고, 정렬마크의 위치로부터 삽입홈(G)으로 정해진 위치의 거리 및 방향을 산출하여, 삽입홈(G)의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 또는 측정부재(10)의 삽입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촬영기(334)가 제2정렬부재(320)에 설치된 예로 설명하였으나, 촬영기(334)는 삽입부(34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강재(S)를 촬영하는 과정은 삽입부(340)를 동작시켜 촬영기(334)를 삽입홈(G)이 형성된 강재(S)의 타 측면 전방에 위치시켜 강재(S)를 촬영함으로써 강재(S)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강재(S) 촬영 시 삽입부(340) 및 촬영기(334)의 위치를 기반으로 삽입홈(G)의 위치를 도출해낼 수 있다.
삽입홈(G)의 위치, 즉 측정부재(10)의 삽입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가 도출되면, 제어부는 산출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삽입부(340)를 동작시켜 강재(S)에 형성된 삽입홈(G)에 측정부재(10)를 삽입할 수 있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삽입부(340)를 동작시키기 이전에 촬영부(330)를 촬영 위치, 즉 삽입홈(G)이 형성된 위치에서 회피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삽입부(340)를 동작시켜 측정부재(10)를 삽입홈(G)에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제1가압 플레이트(319)는 삽입홈(G)에 측정부재(10)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강재(S)가 움직이지 않게 강재(S)의 일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전대 등과 같은 측정부재(10)를 고온의 강재(S)에 삽입하는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정확한 위치에 측정부재(10)를 신속하게 삽입할 수 있다. 이에 수작업에 의한 작업 지연으로 강재(S)의 온도가 저감하는 것을 억제하여, 온도 측정 결과의 편차를 저감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강재(S)의 온도를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고온의 강재(S)에 의해 부상을 입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측정부재(10)가 삽입홈(G)에 삽입되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340)와 제1가압 플레이트(319)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고, 이송부(200)를 통해 강재(S)를 압연기(400)로 이송할 수 있다.
그리고 강재(S)를 압연기(400)에서 압연한 다음, 압연된 강재(S1)를 공냉 및 수냉시킨 후 목표로 하는 크기로 절단하여 별도의 저장장소 등으로 반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가열로 200: 이송부
300: 측정부재 삽입장치 310: 제1정렬부재
320: 제2정렬부재 330: 촬영부
340: 삽입부 400: 압연기
500: 냉각기 600: 절단기

Claims (17)

  1.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피처리물을 이송 경로 상에 정렬하기 위한 정렬부;
    상기 피처리물에 측정부재를 삽입하도록, 상기 이송 경로의 외측에 구비되는 삽입부;
    상기 피처리물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촬영부; 및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측정부재의 삽입 위치를 도출하고, 도출된 삽입 위치에 상기 측정부재를 삽입하도록 상기 삽입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렬부는,
    상기 피처리물과 접촉 가능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피처리물이 이송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이송 경로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정렬부재 및
    상기 피처리물과 접촉 가능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피처리물이 이송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 경로의 타측에 상기 제1정렬부재와 마주보며 배치되는 제2정렬부재를 포함하는 측정부재 삽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이송 경로의 일측 또는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정렬부재와 상기 제2정렬부재 중 상기 삽입부와 마주보는 쪽에 배치되는 어느 하나는 적어도 일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측정부재 삽입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이송 경로의 일측 또는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정렬부재와 상기 제2정렬부재 중 상기 삽입부와 동일한 쪽에 배치되는 어느 하나는 상기 피처리물의 이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측정부재 삽입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이송 경로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상기 삽입부가 배치되는 쪽에 배치되는 측정부재 삽입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피처리물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촬영기와, 상기 촬영기를 보호하기 위한 방열부재를 포함하는 측정부재 삽입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정렬부와 상기 삽입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측정부재 삽입 장치.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명암을 분석하여 상기 측정부재를 삽입할 위치를 정하고, 정해진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측정부재의 삽입 위치를 도출할 수 있는 측정부재 삽입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 경로의 주변에 설치된 정렬마크를 포함시켜 촬영하여 상기 피처리물의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상기 촬영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획득된 이미지에 포함된 정렬마크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측정부재의 삽입 위치를 도출할 수 있는 측정부재 삽입 장치.
  9. 이송 경로 상에 피처리물을 정렬시키는 과정;
    상기 피처리물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
    획득된 피처리물의 이미지로부터 측정부재의 삽입 위치를 도출하는 과정; 및
    도출된 측정부재의 삽입 위치에 상기 측정부재를 삽입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피처리물을 정렬시키는 과정은,
    상기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피처리물의 이송을 중단시키는 과정;
    상기 이송 경로의 양쪽에 각각 배치되는 정렬 부재의 일부를 이동시켜 상기 피처리물의 양쪽 측면에 접촉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측정부재 삽입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정렬시키는 과정 이전에,
    상기 피처리물의 적어도 일면에 상기 측정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홈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피처리물을 가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측정부재 삽입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물을 정렬시키는 과정은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 피처리물의 일면을 상기 피처리물의 이송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피처리물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 상기 피처리물의 일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측정부재 삽입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이송 경로의 주변에 정렬마크를 설치하는 과정 및
    상기 정렬마크의 위치 정보를 마련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피처리물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정렬마크를 포함하는 피처리물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측정부재 삽입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재의 삽입 위치를 도출하는 과정은,
    상기 가열된 피처리물의 온도 구배에 의해 상기 획득된 피처리물의 이미지에 형성되는 명암을 분석하는 과정;
    분석 결과 상대적으로 어두운 영역을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 위치로 정하는 과정; 및
    정해진 위치를 상기 측정부재의 삽입 위치로 도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측정부재 삽입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정해진 위치를 상기 측정부재의 삽입 위치로 도출하는 과정은,
    상기 정렬마크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도출된 측정부재의 삽입 위치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측정부재 삽입 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물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피처리물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촬영기의 위치 정보를 마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측정부재 삽입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정해진 위치를 상기 측정부재의 삽입 위치로 도출하는 과정은,
    상기 촬영기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도출된 측정부재의 삽입 위치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측정부재 삽입 방법.
  17.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물은 적열 상태의 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재는 열전대를 포함하는 측정부재 삽입 방법.
KR1020200019213A 2020-02-17 2020-02-17 측정부재 삽입 장치 및 삽입 방법 KR102297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213A KR102297278B1 (ko) 2020-02-17 2020-02-17 측정부재 삽입 장치 및 삽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213A KR102297278B1 (ko) 2020-02-17 2020-02-17 측정부재 삽입 장치 및 삽입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449A KR20210104449A (ko) 2021-08-25
KR102297278B1 true KR102297278B1 (ko) 2021-09-02

Family

ID=77495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213A KR102297278B1 (ko) 2020-02-17 2020-02-17 측정부재 삽입 장치 및 삽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727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0059B1 (ko) * 2017-12-13 2019-08-12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 디스케일러 장치 및 디스케일링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4626A (ja) * 1991-12-11 1993-06-29 Kawasaki Steel Corp 熱電対を用いた温度測定方法
JP3330718B2 (ja) * 1994-02-25 2002-09-30 東芝機械株式会社 インサート挿入装置
KR200227176Y1 (ko) 1996-11-25 2001-10-25 이구택 열전대삽입장치
WO2013161780A1 (ja) * 2012-04-24 2013-10-31 新日鐵住金株式会社 圧延装置および圧延監視方法
KR101987823B1 (ko) 2017-06-22 2019-06-13 아엠아이테크 주식회사 양팔 로봇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0059B1 (ko) * 2017-12-13 2019-08-12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 디스케일러 장치 및 디스케일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449A (ko) 202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541058A (ja) 少なくとも1つの押圧要素が2つ以上の異なる圧力レベルを加えるのに適している締圧装置を使用して、薄い金属シートを溶加材料なしで突合せ溶接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2297278B1 (ko) 측정부재 삽입 장치 및 삽입 방법
KR102336586B1 (ko) Lm가이드레일 가공방법 및 가공 자동화장치
JPH04274814A (ja) 熱間連続圧延ラインにおける冷却時間待ち圧延材の待機装置
KR100246055B1 (ko) 열간 압연공정의 사이드가이드 제어 장치
CN111715703B (zh) 一种粗轧轧制过程中的带钢翘头平整装置及方法
WO2024040682A1 (zh) 多辊矫直机及高强钢板带热处理生产系统
KR200306414Y1 (ko) 불량스트립회수처리장치
KR20180082263A (ko) 핫포밍 프레스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745674B2 (ja) 薄板溶接の歪み防止方法及びその装置
RU271924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боковых уплотняющих пластин
JP2002532836A (ja) 加熱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950008876Y1 (ko) 열연 런 아웃 테이블용 냉각수 엣지 마스크 장치
JP7519540B2 (ja) 金属プレートのセンタリング装置
KR101129941B1 (ko) 형강재의 형상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JP6892273B2 (ja) ポストアニーラ装置
KR20140081530A (ko) 주편 스카핑 장치
CN112912214B (zh) 开闭用装置
JP5434031B2 (ja) 厚板圧延方法、及び圧延装置
KR102508188B1 (ko) 지게차 슈 볼트구멍 면취장치
KR102440768B1 (ko) 후강판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0759314B1 (ko) 2개의 캐스팅 롤을 구비한 스트립 주조기
KR200308404Y1 (ko) 열연 코일 정정라인의 코일 불량부 처리 및 샘플링 장치
JP4124550B2 (ja) 形鋼圧延設備における中間ガイド装置
KR20240029867A (ko) 냉각대 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