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414Y1 - 불량스트립회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불량스트립회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414Y1
KR200306414Y1 KR2019980014685U KR19980014685U KR200306414Y1 KR 200306414 Y1 KR200306414 Y1 KR 200306414Y1 KR 2019980014685 U KR2019980014685 U KR 2019980014685U KR 19980014685 U KR19980014685 U KR 19980014685U KR 200306414 Y1 KR200306414 Y1 KR 2003064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rolls
yard
upper port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46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4328U (ko
Inventor
방영동
김상호
백승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99800146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414Y1/ko
Publication of KR200000043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3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4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4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15/0007Cutting or shearing the product

Abstract

본 고안은 불량스트립 회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열간압연 시에 발생하는 불량 스트립의 처리를 자동화하여 작업자의 안전과 생상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불량스트립 회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구동수단을 구비한 다수의 롤과, 상기 로드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롤의 상부를 이동하는 불량 스트립을 야드부로 밀어내는 푸쉬바로 이루어져 상기 야드부의 상부에서 상기 불량 스트립을 절단하는 불량스트립 회수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야드부의 상부에 다수의 구동롤 및 아이들롤을 설치하여 상기 스트립을 이송하는 제 1이송부와, 상기 제 1이송부에서 이송되어온 스트립의 상부에서 대차가 수평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대차의 양측단에 형성된 한쌍의 플래이트 사이에는 래크기어 및 슬라이딩축이 가교되되, 상기 래크기어 및 슬라이딩축에 장착된 슬라이딩부재가 수평이송가능한 절단부와, 상기 절단부에서 절단된 스트립을 이송가능한 프래임이 마주하여 설치되며, 상기 프래임의 높이를 조정할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스트립을 트럭의 상부로 이송하는 제 2이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불량스트립 회수처리 장치
본 고안은 불량스트립 회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열간압연 시에 발생하는 불량 스트립의 처리를 자동화하여 작업자의 안전과 생상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불량스트립 회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불량재를 회수하기 위한 작업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불량 스트립의 상부로 작업자가 올라가 스트립(1)을 절단한 후, 크레인(3)을 이용하여 절단된 스트립(1)을 이송하고 있다. 스트립(1)의 불량이 발생했을 때에는 롤러테이블에서 푸쉬바(8)로 밀어내어 야드부(6)로 스트립(1)을 이송하는데, 야드부(6)에는 다수의 프레임(9)이 설치된다. 이후에 냉각수(4)로 고열의 핫스트립 불량재를 냉각시킨다. 이후에 산소 절단기(2)로 규격에 맞게 절단후 천정기중기(3)를 이용하여 작업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나 종래에는 스트립(1)을 냉각수로 냉각시켜 사람이 직접 스트립(1)위에 올라가 산소절단기(2)로 절단하여야 한다. 이때 스트립(1)이 냉각 되지 않은 상태에서 스트립(1) 위에 올라가 절단작업을 할 경우 작업자가 화상을 입을 위험이 있다. 또한 스트립(1)의 온도가 높기 때문에 냉각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열간압연 시에 발생하는 불량 스트립의 처리를 자동화하여 작업자의 안전과 생상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불량스트립 회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에 불량재를 회수하기 위한 작업상황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불량스트립 회수처리 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불량스트립 회수처리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제 1이송부가 야드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제 2이송수단을 이용하여 절단된 스트립을 트럭의 상부로 이송하는 상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 1이송부 11: 아이들 롤(idle roll)
12: 구동롤 14,38: 실린더
20: 절단부 22: 대차
23: 구동축 27: 래크
27a: 피니온기어 26: 슬라이딩축
28: 토오치 30: 제 2이송부
31: 프레임 38: 실린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불량스트립 회수처리 장치이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불량스트립 회수처리 장치의 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크게 구분하여 제 1이송부(10), 제 1이송부(10)에 의하여 이송되어온 스트립을 절단하는 절단부(20), 절단부(20)에서 절단된 스트립을 이송하기 위한 제 2이송부(30)로 이루어져 있다.
도 4는 제 1이송부가 야드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제 1이송부(10)에는 마주하는 한쌍의 롤이 설치되는데, 한쌍의 롤 중 일개의 롤은 아이들롤(11)이고, 또 다른 롤은 구동롤(12)이다. 구동롤(12)에는 구동수단(13)이 장착되어 있으며, 마주하는 구동롤(12)과 아이들롤(11)의 측단에는 실린더(14)가 설치되어 있으며, 실린더(14)의 구동에 의하여 구동롤(12)과 아이들롤(11)사이의 거리가 조정된다. 실린더(14)는 일반적인 실린더(14)의 구조와는 달리 실린더(14)의 중심에 에어 인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양측단에 배기라인이 형성된다.
절단부(20)는 상술한 이송부에서 이송되어온 불량스트립을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레일(21), 대차(22), 구동축(23), 래크(27) 피니언기어(27a), 슬라이딩축(26), 토오치(28), 플레이트(22a,22b)로 구성되어 있다. 레일(21)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마주하여 설치되는데, 레일(21)의 상부에는 구동축(23)이 안착되어 슬라이딩된다. 구동축은 상술한 대차(22)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단부에는 바퀴(24)가 장착된다.
구동축(23)의 일측에는 워엄휠 및 워엄기어(25)가 설치되어 있으며, 워엄기어에는 구동수단이 설치된다. 구동축(23)에 장착된 바퀴(24)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아이들링하는 바퀴(24a)가 장착된다.
래크(27)는 상술한 플레이트(22a,22b)사이에 가교되어 설치되며, 래크(27)에는 피니온기어(27a)가 맞물려 있다.
래크(27)와 일정거리 이격된 플래이트(22a,22b)상에는 슬라이딩 축(26)이 가교되어 있다. 또한 래크(27)에 장착됨과 동시에 슬라이딩축(26)에 장착되는 슬라이딩 부재(29)는 상술한 피니온 기어(27a)가 구동됨에 따라, 슬라이딩 축(26) 및 래크 기어(27)상에서 수평이송된다. 한편, 슬라이딩부재(29)의 단부에는 토오치(28)가 설치되는데, 토오치에는 금속절단을 위한 가스가 공급된다. 대차(22)의 상부에는 조작판넬(29a)이 설치되어 있다.
도 5는 제 2이송부를 이용하여 절단된 스트립(1)을 트럭의 상부로 이송하는 상황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 2이송부(30)는 상술한 절단부(20)에서 절단된 스트립을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 2이송부(30)에는 마주하는 두 개의 프레임(31)이 있으며, 프레임(31)은 베이스(32)상의 안내홈(33)에 장착되어 유동할 수 있다. 프레임(31)의 상부에는 롤(34)이 다수 설치된다. 각각의 프레임(31)은 축(35)에 연결되어 있으며, 축(35)의 일측 단부에는 감속기(36)가 부설된 구동수단(37)이 설치되어 구동수단을 움직임에 따라 각각의 프레임(31)을 움직일 수 있다. 한편, 프레임(31)의 하부에는 실린더(38)가 수직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실린더(38)에 의하여 프레임(31)이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동 및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열간압연을 실시하는 도중에 스트립에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불량이 발생하는 이유는 기계적, 전기적, 소재상의 이유로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불량재가 발생된 스트립은 롤러 테이블 옆면에 설치된 푸쉬바(8)을 이용하여 야드부(6)로 밀어낸다.
야드부(6)의 스트립(1)은 제 1이송부(1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데, 제 1이송부(10)의 구동롤(12)을 구동하여 스트립(1)을 이송하게 된다. 이때, 아이들롤(11)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또한 실린더(14)를 구동하여 스트립(1)의 크기에 따라서 구동롤(12)과 아이들롤(11)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제 1이송부(10)에서 이송 되어온 스트립은 절단부(20)의 상부로 이송된다. 대차(22)의 구동축(23)구동에 의하여 대차(22)의 측면에 설치된 바퀴(24,24a)를 구동하여 대차(22)를 작업위치로 이송시킨다. 바퀴(24,24a)는 레일(21)의 상부에서 이송되어진다. 작업위치에서 산소토오치(28)에 절단가스를 공급함과 동시에 점화한수, 피니온기어(27a)를 구동한다. 피니온기어(27a)가 구동됨에 따라 슬라이딩부재(29)가 슬라이딩축(26)에 장착된 상태로 수평이동하게 된다. 이때, 스트립은 산소 토오치(28)의 이동경로를 따라 절단된다.
절단부(20)에서 절단된 스트립은 제 2이송부(30)의 상부로 이송되어진후, 트럭에 실리게 된다. 제 2이송부(30)의 프레임(31)하부에 설치된 실린더(38)를 구동하여 프레임(31)의 높이가 트럭의 상차위치와 동일하게 조정된다. 이후에 구동수단(37)을 구동하여 감속기(36)를 회전시키게 되면, 각각의 프레임(34)의 위치를 움직일 수 있다. 이후에 롤(34)을 구동하게 되면, 롤(34)의 회전에 의하여 스트립이 이송되어 트럭의 상부로 이송된다.
본 고안에 의하여 사상압연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량 스트립을 자동으로 절단한 후, 트럭에 상차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휴지시간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인력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구동수단을 구비한 다수의 롤과, 상기 롤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롤의 상부를 이동하는 불량 스트립을 야드부로 밀어내는 푸쉬바로 이루어져 상기 야드부의 상부에서 상기 불량 스트립을 절단하는 불량스트립 회수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야드부(6)의 상부에 상기 스트립(1)을 이송하는 다수의 구동롤(12) 및 아이들롤(11)을 설치된 제 1이송부(10)와,
    상기 제 1이송부(10)에서 이송되어온 스트립(1)의 상부에 수평이송 가능하게 설치된 대차(22), 상기 대차(22)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구동축(23), 상기 대차(22)의 양측단에 형성된 한쌍의 플레이트(22a,22b) 사이에 가교되도록 설치된 래크(27) 및 슬라이딩축(26), 상기 래크(27) 및 슬라이딩축(26)에 수평이송 가능하게 장착된 슬라이딩부재(29)로 구성된 절단부와,
    상기 절단부(20)에서 절단된 스트립(1)을 이송 가능하도록 마주보며 설치되며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프레임(31)과, 상기 프레임(31)의 상부에 설치된 다수의 롤(34)고, 상기 프레임(31)에 연결된 축(35)과, 상기 축(35)을 통해 프레임(31)을 움직이는 구동수단(37)으로 구성된 제 2이송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스트립 회수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20)의 대차(22) 일측에 워엄휠 및 워엄기어(25)가 설치되고, 상기 대차(22)의 하부에 레일(21)이 설치되며, 상기 래크(27)에 장착된 피니언기어(27a)가 구동됨에 따라 산소토오치(28)를 가지는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수평이송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스트립 회수처리 장치.
KR2019980014685U 1998-08-04 1998-08-04 불량스트립회수처리장치 KR2003064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685U KR200306414Y1 (ko) 1998-08-04 1998-08-04 불량스트립회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685U KR200306414Y1 (ko) 1998-08-04 1998-08-04 불량스트립회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328U KR20000004328U (ko) 2000-03-06
KR200306414Y1 true KR200306414Y1 (ko) 2003-12-31

Family

ID=49402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4685U KR200306414Y1 (ko) 1998-08-04 1998-08-04 불량스트립회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41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679B1 (ko) * 2002-10-17 2009-01-13 주식회사 포스코 갭 보정핀 회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295B1 (ko) * 2001-09-07 2007-10-25 주식회사 포스코 변형 슬래브의 가열로 역장입을 위한 절단장치 및 그장치를 이용한 역장입 방법
KR100825304B1 (ko) * 2001-11-21 2008-04-28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압연기
KR100683611B1 (ko) * 2005-12-07 2007-02-20 주식회사 포스코 오작재 처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679B1 (ko) * 2002-10-17 2009-01-13 주식회사 포스코 갭 보정핀 회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328U (ko) 200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6414Y1 (ko) 불량스트립회수처리장치
WO2024040974A1 (zh) 多辊矫直机及高强钢板带热处理生产系统
JP2003171127A (ja) 板状ガラス成形装置及び板状ガラスの成形方法
JP3067733B2 (ja) 溶接装置
US3254455A (en) Rail saw
CN109604848B (zh) 一种电阻焊与氩弧保护焊的复合焊机
KR20020001290A (ko) 박판제조시의 시트샘플 이송장치
JP3327825B2 (ja) シートバー接合機
KR100400863B1 (ko) 회전롤자동연삭장치
KR20020055722A (ko) 소둔로 내부의 서포트롤 교환장치
KR20040050107A (ko) 소결기의 소결대차 자동 교체장치
KR200187168Y1 (ko) 열간압연 플레이트의 이물질 제거 및 윤활장치
KR102606840B1 (ko) 용접용 세라믹 백킹재 부착장치 및 세라믹 백킹재
CN215942390U (zh) 一种钢铝复合轨贫铬层自动清除设备
CN211052809U (zh) 一种钢板数控等离子火焰切割机
JP3256136B2 (ja) 走間加工台車を設置した鋼材搬送テーブルのロール復帰方法とその装置
KR200308404Y1 (ko) 열연 코일 정정라인의 코일 불량부 처리 및 샘플링 장치
KR100823623B1 (ko) 상하 클램프와 이송대차를 이용한 웰더 전극교환 장치
KR102220154B1 (ko) 런 아웃 테이블용 에지 마스크 구동 장치
JPH01118328A (ja) ワーク搬送装置
JPH07100716A (ja) 鋼板端面加工設備
US6763878B1 (en) Strip-casting machine with two casting rolls
RU2133287C1 (ru) Полуавтоматическая линия для плазменного поверхностного упрочнения колесных пар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транспорта
JPS61182876A (ja) 研削装置を有するレーザー溶接装置
JPH0653294B2 (ja) テンシヨンレベラのロ−ル組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