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9314B1 - 2개의 캐스팅 롤을 구비한 스트립 주조기 - Google Patents

2개의 캐스팅 롤을 구비한 스트립 주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9314B1
KR100759314B1 KR1020027003824A KR20027003824A KR100759314B1 KR 100759314 B1 KR100759314 B1 KR 100759314B1 KR 1020027003824 A KR1020027003824 A KR 1020027003824A KR 20027003824 A KR20027003824 A KR 20027003824A KR 100759314 B1 KR100759314 B1 KR 100759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rrow side
casting machine
strip casting
narrow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3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3865A (ko
Inventor
하인리히 아. 마르티
자끄 바르베
Original Assignee
에스엠에스 데마그 악티엔게젤샤프트
메인 메니지먼트 인스프레이션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에스 데마그 악티엔게젤샤프트, 메인 메니지먼트 인스프레이션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에스엠에스 데마그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20063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3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9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9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22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formed by two casting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37Accessories therefor
    • B22D11/0648Casting surfaces
    • B22D11/066Side d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using magnetic f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7/00Treating the metal in the mould while it is molten or ductile ; Pressure or vacuum casting
    • B22D27/003Treating the metal in the mould while it is molten or ductile ; Pressure or vacuum casting by using inert g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Metal Rolling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행하게 배치되는 2개의 캐스팅 롤(2, 3), 2개의 협외측부(4) 그리고 상기 두 캐스팅 롤(2, 3)을 지지하기 위한 하나의 장치 테이블(5)을 포함하고 있는 스트립 주조기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협외측부(4)는 하나의 협외측부 교환장치를 이용하여 교환될 수 있다. 2개의 주조 작업 사이의 유휴시간을 단축하고, 협외측부를 보다 정밀하게 위치결정하며, 그리고 주조 개시 시까지 가열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캐스팅 롤 교환 시 캐스팅 롤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하고, 그리고 플랜트의 최적의 불활성화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협외측부 교환장치는 지지부재로서, 특히 협외측부(4)용 지지 아암(9)으로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 아암(9)과 협외측부(4)는 한 평면에서 대체로 평행하며, 그리고 협외측부(4)의 밀봉면에 대해 이격되어 프레싱 위치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그리고 그 반대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Figure 112002008527097-pct00001
스트립 주조기, 캐스팅 롤, 협외측부, 공작기계 테이블, 협외측부 교환장치, 지지 아암

Description

2개의 캐스팅 롤을 구비한 스트립 주조기{STRIP-CASTING MACHINE WITH TWO CASTING ROLLS}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 1 항의 전제부의 기재에 따르는 스트립 주조기에 관한 것이다.
2개의 롤 스트립 주조기를 이용하여, 액체 금속 용융물, 특히 강 용융물로부터 연속해서 스트립을 제조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때 액체 금속은 연속해서 2개의 구동되는 캐스팅 롤들에 의해 형성된 캐스팅 갭으로 공급된다. 캐스팅 갭의 상류 및 그 내부에서 액체 금속은 고화되며,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화된 스트립은 캐스팅 롤들에 의해 갭으로부터 배출된다. 상기 스트립은 계속해서 냉각, 재가열, 열간 혹은 냉간 압연, 프로파일 변형, 표면 경화, 트리밍 등과 같은 연속 혹은 비연속 조작으로 가공될 수 있다.
또한 대체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2개의 캐스팅 롤들을 구비한 스트립 주조기의 경우 롤 측부의 협외측부(狹外側部; narrow side member)를 이용하여 캐스팅 갭을 형성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때 상기 협외측부는 하나의 프레싱 장치에 의해 두 캐스팅 롤들의 롤 배럴의 단면에 대해 유연성 있게 위치 조정된다. 캐스팅 롤들과 협외측부용 두 프레싱 장치들은 하나의 장치 테이블 상에 지지되어 있다. 스트립, 특히 강 스트립을 주조할 시에 협외측부는 캐스팅 롤들에 대한 마찰에 의해서 뿐 아니라, 하부에서는 고화된 스트립과의 마찰에 의해 연삭성 마모로 마모되며, 그리고 주조 작업 사이에 교환되어야 한다. 교환 시에 협외측부는, 이 협외측부가 롤 배럴에 인접하는 주조 위치로부터 대체로 수평으로, 프레싱 장치를 이용하여 롤 배럴로부터 제거되어 프레싱 위치로 이동되며, 이어서 협외측부 교환장치, 예컨대 각각의 기계 측면에 있어서 주조 플랫폼 상에 배치되어 있는 로봇을 이용하여 프레싱 위치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제거된다(일본 공보 JP-5-32 95 83 A 참조). 그런 다음 상기 협외측부는 캐리지 상에 놓여지며, 그리고 협외측부 수리 작업장으로 옮겨진다. 수리된 협외측부는 예열되고, 로봇으로 들어올려져 상부로부터 프레싱 위치로 옮겨지며, 그리고 기계에 고정된다. 만약 상기와 같은 로봇이 주조기 양측에서 장치 테이블과 근접하여 배치된다면, 상기 로봇은 스트립 주조기에 대한 접근성을 차단하게 된다. 만약 로봇이 장치 테이블로부터 2 - 3 m 떨어져 배치된다면, 로봇은 그에 상응하게 크기 및 부피가 커지고, 협외측부를 프레싱 위치로 삽입하기 위한 정밀도를 잃게 된다. 또한 협외측부를 장치 테이블 상에 설치하기 전에 예컨대 히터, 냉각장치, 전선, 압력매체 등과 같은 모든 공급 라인들을 연결하여야 한다. 로봇 팔 등을 이용한 협외측부의 설치 및 제거는 프레싱 위치에 있는 협외측부에 대한 로봇팔의 장해 없는 접근성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자유로운 접근성은, 주조기의 커버링 및 산화되는 것으로부터의 강 스트립 및 주조된 스트립을 보호하기 위한 불활성 가스 분위기의 형성을 어렵게 한다.
2개의 캐스팅 롤들을 구비한 스트립 주조기는 500 - 1500 mm의 캐스팅 롤 직경을 가지고 제조되어 왔다. 800 mm 이상의 캐스팅 롤 직경을 가지는 스트립 주조기의 경우 상기 협외측부들은 또한 캐스팅 롤들의 단면과 미끄럼 접촉하고 있는 자신들의 밀봉면과 함께 그에 상응하게 크기가 커지게 된다. 그리고 협외측부 혹은 협외측판을 기밀방식으로 캐스팅 롤들에 밀착하는 프레싱 장치들은 더욱 높은 요건에 맞게 설계되어야 한다. 800 mm 이상의 캐스팅 롤 직경과 결부되는 상기의 모든 요건들은 협외측부의 정밀하면서도 신속한 교환을 어렵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단점들을 극복하고, 그리고 특히 협외측부의 교환을 개선하며, 그럼으로써 2개의 주조 작업 사이의 재정비 시간을 단축하는 스트립 주조기를 제공하는 것에 기초한다. 이때 상기 협외측부는 보다 정밀하게 위치 결정될 수 있어야 하며, 주조 개시 시까지 가열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협외측부는 교환 작업 동안 상기 타입의 협외측부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의 모든 공급 라인들 및 검출 라인들과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기본적인 제 2 의 목적은, 특히 캐스팅 롤 교환을 위한 캐스팅 롤들에 대한 접근성의 개선이며, 그리고 주조기의 주입부분 및 스트립 배출부분에 대한 산소 접근으로부터의 보호이다(불활성화). 또한 800 mm보다 큰 롤 직경과 그에 상응한 협외측판의 크기 증가와 결부되는 문제도 해결되어야 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제 1 항의 모든 특징들에 의해 해결된다.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협외측판의 이동은 하부 방향으로, 수직으로 혹은 경사져서 직선적으로 또는 곡선을 따라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지지 아암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지지 아암은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피봇되거나 혹은 커브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기계의 하부에서 협외측부가 지지 아암에서 새로운 협외측부와 교환되며, 그리고 동일한 경로로 다시금 프레싱 위치로 변위되어질 수 있다. 프레싱 위치(프레싱을 위한 설정위치)는 스트립 주조를 실시하기 위해 주조 위치로 프레싱 장치를 사용하여 협외측부를 캐스팅 롤 배럴의 단면에 밀착시키기 이전의 시점에 있어서의 대기 상태의 설정위치를 말하며, 주조 위치와 교환 위치 사이의 모든 플레이트 위치를 포함하고 있다. 한 실시예에 따라서 지지 아암(지지 부재)의 제1 이동 단계에 있어서 협외측부는 대체로 수평으로 그리고 캐스팅 롤의 종축 방향으로 장치 테이블로부터 먼 쪽으로 변위될 수 있다. 협외측부의 변위는, 캐스팅 롤의 하부의 일정 높이에 위치한 수평의 이동 경로 상에서 이루어지며, 그런 다음 지지 아암(지지 부재)의 제2 이동 단계에서는 지지 아암은 협외측부와 함께 대체로 캐스팅 롤의 단면에 대해 평행하게 하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동 경로는 협외측부를 협외측부 교환 스테이션으로 반송할 수 있으며, 상기 협외측부 교환 스테이션은 벽에 의해 주조 플랫폼과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협외측부 교환 스테이션의 분리는 사고 위험을 배제한 상태에서 소제, 유지보수, 교환, 세팅, 협외측부의 예열 등과 같은 작업을 순차적으로 깨끗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스트립 폭에 비례하여 스트립 주조기를 폭이 좁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추가의 실시예에 따라 캐스팅 롤의 베어링 저널들 내지 베어링 위치들 사이에서 하부 방향으로 협외측부를 변위시킬 수 있다. 상기 협외측부는 프레싱 장치를 이용하여 혹은 이용하지 않으면서, 롤 배럴의 단면과 장치 테이블 사이에서 하부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택적으로 캐스팅 롤들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이동된다.
만약 프레싱 및 위치결정 장치가 프레싱 위치에서 장치 테이블 상에 배치되어 있으면서, 협외측부와 연결 및 분리될 수 있다면, 주조기는 특히 폭을 좁게 구성할 수 있다.
협외측부의 교환 시에 프레싱 및 위치결정 장치가 협외측부와 함께 강하 가능한지 혹은 프레싱 장치가 장치 테이블 상에 유지되는지의 여부와는 무관하게, 프레싱 위치와 주조 위치 사이에서의 협외측부의 이동이 압력 매체 및 피스톤 실린더 유닛을 이용하여 혹은 전기기계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협외측부가 프레싱 위치 혹은 주조 위치로 옮겨진 후, 원하는 경우, 지지 아암은 협외측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지지 아암은 또한 주조위치에서도 협외측부와 연결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만약 협외측부가 프레싱 장치와 함께 하부 방향으로 변위된다면, 다시 말해 프레싱 장치가 함께 이동된다면, 장치 테이블 내에 프레싱력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프레싱 장치는 프레싱 위치에서 장치 테이블에 대한 센터링-지지면을 필요로 하게 된다.
협외측부 교환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수직 지지부와 하나의 수평 지지부를 구비한 하나의 지지 아암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 지지부는 대개 하나의 스트로크 장치와 연결되어 있다.
협외측부를 위한 상이한 공급 매체(히터, 경우에 따라 냉각 매체, 전기적 전류, 압력 매체 등)가 변위되는 동안에도 연결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평 이동 경로에 협외측부로의 공급 매체의 라인용으로 하나의 매체 드래그 체인을 제공하는 점이 제안된다.
회전하는 캐스팅 롤들과 고정된 협외측부들 간의 밀봉을 개선하기 위해, 협외측부에는 갭 밀봉용으로 전자기장 생성을 위한 전자기성 코일이 제공될 수 있다.
협외측부에 대한 교환 시간의 추가적 단축은, 캐스팅 롤의 양측에 2개의 협외측부 교환장치들이 배치되어 있어, 마모된 협외측부가 하나의 교환장치로부터 제거 가능하며, 그리고 새로운 협외측부가 다른 하나의 교환장치에 의해 공급 가능할 때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에 따라 추가적으로 설명된다.
도 1은 스트립 주조기의 개략적 정면도;
도 2는 부분적으로 도시된 스트립 주조기의 한 실시예에 대한 수직 단면도;
도 3은 부분적으로 도시된 스트립 주조기의 추가의 실시예에 대한 수직 단면도;
도 4는 스트립 주조기의 상단부에 대한 부분 단면 측면도;
도 5는 도 4의 절결선 V-V를 따른 절결 단면도;
도 6은 협외측부에 대한 정면도, 그리고
도 7은 협외측부에 대한 추가의 실시예에 대한 수평 단면도이다.
도 1에는 대체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캐스팅 롤(2, 3), 협외측부(4) 그리고 장치 테이블(5)로 구성된 스트립 주조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두 캐스팅 롤(2, 3)은 장치 테이블(5)의 롤 지지부(6, 7)에 의해 지지된다. 화살표(12, 15) 및 화살표(13, 14)는 협외측부(4)를 교환하기 위한 2개의 상이한 배출 경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일점쇄선으로는 하나의 지지부재(9)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지지부재(9)는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지지 아암으로서 명명된다. 원리적으로는, 지지 아암으로서 예컨대 크랭크 드라이브, 관절형 요소들로 이루어진 시스템, 슬라이드 가이드 등과 같은 임의의 타입의 설계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지지 아암은 협외측부(4)를 피봇축(11)을 중심으로 곡선(화살표 12)을 따라 하부 방향으로 변위시킬 수 있다. 원한다면, 곡선의 이동(화살표 12)에 수평의 이동(화살표 15)이 연속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화살표(13)는 곡선에 대한 변형으로서 협외측부(4)가 하나의 지지 아암(본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수직으로 하부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방법을 표시하고 있다. 화살표(14)는 수직 이동에 이어지는, 장치 테이블(5)로부터의 협외측부(4)의 수평의 변위를 도시하고 있다. 화살표(14, 15)는 캐스팅 롤(2, 3)의 종축(16, 17)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도시하고 있다. 화살표(14')는 제 2 협외측부 교환장치를 이용하여 새로운 협외측부를 공급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하부 방향으로 협외측부(4)를 변위시킬 시에, 이 협외측부는 롤 지지부(6, 7) 또는 베어링 저널들 사이에서 이동하게 된다.
도 2 내에 있어서는 부분적으로 도시된 캐스팅 롤이 22로 지정되어 있고, 그리고 프레싱 위치의 협외측부는 24로 지정되어 있다. 상기 협외측부(24)는 지지 아암(29)의 형태인 협외측부 교환장치 상에 배치되어 있다. 협외측부(24)가 프레싱 위치에 있을 때 롤(22)의 단면상의 밀봉면(25)과 협외측부(24) 사이에는 일정 갭(26)이 존재한다. 상기 갭(26)은 협외측부(24)를 프레싱 위치로부터 주조위치로 압착함으로써 폐쇄된다. 상기의 압착을 위해 센터링 장치(28)와 피스톤-실린더 장치(30)를 구비한 프레싱 장치(27)가 제공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싱 장치(27)는 장치 테이블(21) 상에 장착되며, 그리고 피스톤 실린더 유닛(30)의 형태의 스트로크 장치는 프레싱 위치에서 협외측부(24)에 연결 및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싱 장치(27)의 피스톤 실린더 유닛(30)은 협외측부(24)를 프레싱 위치로부터 제어 방식으로 캐스팅 롤(22)의 단면(밀봉면;25)에 밀착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주조 위치로 그리고 다시금 프레싱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에는 협외측부(24) 뿐 아니라 프레싱 장치(27)도 지지 아암(29) 상에 배치되어 있다. 전체 유닛, 즉 협외측부(24), 프레싱 장치(27) 및 지지 아암(29)으로 구성된 유닛은 함께 하부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상기 협외측부(24)는 도 3에 있어서 프레싱 위치에 위치해 있다. 스트로크 장치(30)를 통해서 상기 협외측부가 주조 위치로 옮겨질 수 있다. 다시 말해 갭을 밀봉하는 방식으로 캐스팅 롤(22)에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닛은 장치 테이블(21)에서 중심 결정될 수 있으며, 그리고 압착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장치 테이블(21) 또는 지지부재(33)는 스트로크 장치(30)의 프레싱력을 흡수할 수 있다.
상이한 롤 배럴 폭을 가진 여러가지 캐스팅 롤(22)이 협외측부와 프레싱 장치(27) 사이에 삽입 가능한 중간편(32)에 의해 허용될 수 있다. 하나의 변경으로서, 상이한 폭의 스트립 형태를 수용하기 위해 지지 아암(29)이 캐스팅 롤(22)의 축방향으로 변위되거나 혹은 위치 조정될 수 있다.
도 2와 도 3은, 협외측부(24)가 도 2에서는 프레싱 장치(27)를 이용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그리고 도 3에서는 상기 프레싱 장치(27)를 이용하여 캐스팅 롤(22)의 롤 배럴의 단면과 장치 테이블(21) 사이에서 하부 방향으로 그리고 다시금 상부 방향으로 화살표(20)에 따라 변위될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와 도 5에는 주조기의 양측에 각각 2개의 협외측부 교환장치들(40, 40'; 41, 41')를 구비한 스트립 주조기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협외측부는 42, 42'로 표시되어 있다. 지지 아암(43)은 하나의 수직 지지부와 하나의 수평 지지부(44)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지지부들은 일정 각도로 서로 부착되어 있다. 상기 수평 지지부(44)는 한 단부에 있어서는 스트로크 장치(45)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스트로크 장치는 상기 지지 아암(43)과 협외측부(42)를 프레싱 위치로부터 수직으로 하부 방향으로 변위시킬 수 있다. 수평 지지부(44)를 구비한 지지 아암(43)은 스트로크 장치(45)와 함께 수평 이동 경로(46)를 따라 화살표(47)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수직 및 수평 변위 동안 협외측부(42)용 모든 공급 라인들이 간섭 없이 이송될 수 있도록, 이동 경로(46)에는 공급 라인을 위한 하나의 드레그 체인(48)이 제공되어 있다. 도 4에 있어서는 좌측에 일점쇄선으로 이동 경로(46) 상에서 수평 변위 동안의 협외측부가 42"로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협외측부(42")는 캐스팅 롤(39)의 베어링 저널 하부의 일정 높이(49)에서 변위된다. 이 수평 변위에 의해 협외측부는 밀봉 상태에서 불활성 가스로 충전되어 있는 불활성 공간(50)으로부터 나와서 밀폐 가능한 개구부(51)를 통과하여 마찬가지로 불활성 가스로 충전된 로크 챔버(52) 내로 옮겨질 수 있다.
협외측부(42)를 신속하게 교환하도록, 캐스팅 롤(39)의 좌측에 있는 협외측부 교환장치(40')를 이용하여 마모된 협외측부(42)는 주조기로부터 제거되며, 그리고 새로운 협외측부가 캐스팅 롤(39)의 우측에 있는 협외측부 교환장치(40)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캐스팅 롤 양측의 협외측부 교환장치(41', 41)를 동시에 이용하여 협외측부(42')를 협외측부(42)로 교환할 수 있다. 교환과정이 종료되고, 불활성 공간(50)의 개구부(51)가 다시 폐쇄되면, 로크 챔버(52, 52')는 우측 상의 화살표(54)로 도시한 바와 같이 불활성 공간(50)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그리고 협외측부(42)는 이동 경로(46)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운반 장치(55)에 전달되고 그리고 협외측부용 지지공간(도시되지 않음)으로 옮겨질 수 있게 된다. 로크 챔버(52, 52')의 이동 대신에 또한 협외측부 교환장치(40, 41) 자체가 수평 변위에 의해 로크 챔버(52, 52')로부터 떨어져 이동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원하는 경우에는 협외측부가 지지공간에 직접적으로 공급되어질 수 있다.
도 6에는 전자기 코일(61, 61')을 구비한 하나의 협외측부(60)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코일(61, 61')은 주조 금속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주조위치에서의 협외측부(60)와 두 캐스팅 롤의 배럴의 단면 사이의 밀봉면을 밀봉할 수 있는 전자기장을 생성한다. 갭 밀봉용 전자기장은 선행기술에서 공지되어 있으며, 그러므로 더 이상의 설명이 필요 없다.
도 7에는 협외측부(70)의 내부에 있어서 하나의 전기 히터(71)를 구비한 협외측부(7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히터(71)는 협외측부(70)를 이동시킬 시에 협외측부 지지공간 또는 협외측부 예열위치와 주조위치 사이에서 협외측부가 가열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조치는 2개의 주조 작업 사이이 유휴시간을 단축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상기 히터는 협외측부(70) 자체 내에 배치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상기 히터는 예컨대 협외측부(70)에 고정된 추가장치(72)(일점쇄선 도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Claims (26)

  1. 스트립 주조기로서, 평행하게 배치되는 2개의 캐스팅 롤(2, 3, 22, 39), 2개의 협외측부(4, 24, 42, 42', 60, 70) 그리고 상기 두 캐스팅 롤(2, 3, 22, 39)을 지지하기 위한 장치 테이블(5, 21)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두 협외측부(4, 24, 42, 42', 60, 70)가 캐스팅 롤(2, 3, 22, 39)의 단면에 대해 위치 조정될 수 있으며, 개별의 협외측부 교환장치를 이용하여 교환될 수 있는 스트립 주조기에 있어서,
    상기 협외측부 교환장치는 협외측부(4, 24, 42)용 지지부재(9, 29, 43)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9, 29, 43)는 협외측부(4, 24, 42)와 함께 프레싱 위치로부터 벗어나 하부 방향으로 그리고 반대로 상부 방향으로 위치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주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가 지지 아암(9, 29, 43)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주조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9, 29, 43)가 상기 협외측부(4, 24, 42)와 함께 상기 캐스팅 롤(2, 3, 22, 39)의 단면으로부터 이격된 평면에서 위치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주조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9, 29, 43)는 상기 협외측부(4, 24, 42)와 함께 상기 캐스팅 롤(2, 3, 22, 39)의 단면에 대해 평행한 평면에서 위치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주조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9, 29, 43)는 상기 지지부재의 제1 이동 단계에서 상기 협외측부(4, 24, 42)를 상기 캐스팅 롤(2, 3, 22, 39)에 대해 평행하게 그리고 상기 캐스팅 롤의 단면으로부터 먼 쪽으로 변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주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9, 29, 43)는 상기 지지부재의 제2 이동 단계에서 협외측부(4, 24, 42)를 수직으로(13, 20) 변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주조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9, 29, 43)는 상기 지지부재의 제2 이동 단계에서 상기 협외측부(4, 24, 42)를 피봇축(11)을 중심으로 혹은 곡선을 따라 변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주조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9, 29, 43)가 상기 협외측부(4, 24, 42)를 수평으로(14, 14') 변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주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협외측부(4, 24, 42)의 수평 변위(14, 14')는 수평 이동 경로(46) 상에서 제공되며, 상기 수평 이동 경로(46)는 상기 캐스팅 롤(2, 3, 22, 39)의 베어링 위치 하부의 일정 높이(49)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주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이동 경로(46)가 상기 협외측부(42)를 협외측부 교환 스테이션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주조기.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협외측부(4, 24, 42)는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이동되는 상기 캐스팅 롤(2, 3, 22, 39)의 베어링 저널들 사이에서 하부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주조기.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협외측부(24)는 피스톤 실린더 유닛(30)을 구비한 프레싱 장치(27)에 의해 프레싱 위치와 주조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주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싱 장치(27)가 상기 장치 테이블(21) 상에 배치되어 있으면서, 프레싱 위치에서 상기 협외측부(24)와 연결 및 분리될 수 있는 것(도 2)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주조기.
  14. 제 2 항에 있어서, 주조 위치에서 상기 협외측부(24, 42)는 상기 지지 아암(29, 43)과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주조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협외측부(24)가 상기 프레싱 장치(27)와 함께 하부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것(도 3)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주조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싱 장치(27)가 상기 협외측부(24)의 프레싱 위치에서 상기 장치 테이블(21)에 중심 결정되며, 그리고 상기 협외측부(24)를 위치 조정하는 동안 상기 장치 테이블(21)은 프레싱력을 지지하는 것(도 3)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주조기.
  1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협외측부(24)가 상기 캐스팅 롤의 단면과 상기 장치 테이블(21) 사이에서 하부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것(도 2, 도 3)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주조기.
  1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43)는 하나의 수직 지지부와 하나의 수평 지지부(44)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수평 지지부(44)는 스트로크 장치(45)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주조기.
  19.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이동 경로(46)에는 상기 협외측부의 공급 라인을 위한 하나의 케이블 드래그 체인(48)이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주조기.
  2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협외측부(60)에는 갭 밀봉을 위한 전자기장을 생성하는 전자기 코일(61, 61')이 제공되어 있는 것(도 6)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주조기.
  21.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팅 롤(22)의 상이한 롤 배럴 폭이 상기 협외측부(24)와 상기 프레싱 장치(27) 사이에 삽입 가능한 중간편(32)에 의해 보정 가능한 것(도 3)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주조기.
  2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팅 롤(2, 3, 22, 39)의 양 측에 2개의 협외측부 교환장치(40, 41)가 배치되어 있으며, 마모된 상기 협외측부(4, 24, 42)가 하나의 교환장치에 의해 제거될 수 있으며(화살표 14) 그리고 새로운 협외측부가 다른 하나의 교환장치에 의해 공급될 수 있는(화살표 14')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주조기.
  2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협외측부(42, 42')는 상기 지지부재(43)를 이용하여 프레싱 위치로부터 밀폐 가능한 개구부(51)를 통과하여 불활성 가스로 충전된 공간(50)으로부터 배출되어, 로크 챔버(52, 52') 내로 옮겨질 수 있는 것(도 4, 도 5)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주조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협외측부(42)는 협외측부 교환장치(40, 41)와 상기 로크 챔버(52, 52') 사이의 상대 운동에 의해 상기 로크 챔버(52, 52')로부터 배출되고, 하나의 운반 장치(55)를 이용하여 협외측부 지지공간으로 공급되거나 혹은 이 협외측부 지지공간으로부터 복귀될 수 있는 것(도 4, 도 5)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주조기.
  2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협외측부(70)에는 하나의 히터(71)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히터(71)의 공급라인(73)은 변위되는 동안 가열매체와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도 7)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주조기.
  26. 제 12 항에 있어서, 지지부재, 즉 지지 아암(9) 혹은 상기 프레싱 장치(27)는 냉각제, 전기 혹은 유압 에너지 혹은 예컨대 불활성 가스와 같은 기타 매체의 연결 및 분리 가능한 공급장치를 수용하거나 혹은 협외측부용 측정/제어 라인들을 수용하는 용도로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주조기.
KR1020027003824A 1999-09-24 2000-09-19 2개의 캐스팅 롤을 구비한 스트립 주조기 KR1007593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01749/99A CH691573A5 (de) 1999-09-24 1999-09-24 Bandgiessmaschine mit zwei Giessrollen.
CH1749/99 1999-09-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3865A KR20020063865A (ko) 2002-08-05
KR100759314B1 true KR100759314B1 (ko) 2007-09-17

Family

ID=4217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3824A KR100759314B1 (ko) 1999-09-24 2000-09-19 2개의 캐스팅 롤을 구비한 스트립 주조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763878B1 (ko)
EP (2) EP1086764A1 (ko)
KR (1) KR100759314B1 (ko)
CN (1) CN1200787C (ko)
AT (1) ATE243585T1 (ko)
AU (1) AU7658000A (ko)
CH (1) CH691573A5 (ko)
DE (1) DE50002671D1 (ko)
EA (1) EA003384B1 (ko)
ES (1) ES2202175T3 (ko)
WO (1) WO20010231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021505A1 (it) * 2002-07-10 2004-01-12 Danieli Off Mecc Dispositivo di supporto di rulli per colata continua di nastro metallic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6447A (ja) 1985-01-31 1986-08-0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ロ−ル式連続鋳造設備における鋳造開始方法およびサイドシ−ル加熱装置
JPH05329583A (ja) * 1992-02-12 1993-12-14 Mitsubishi Heavy Ind Ltd 双ドラム式連続鋳造装置のサイド堰交換装置
DE19617420C1 (de) * 1996-05-01 1997-10-02 Max Planck Inst Eisenforschung Zweiwalzen-Stranggießvorrichtung und Verfahren zu ihrem Betrieb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5235A (ja) * 1984-01-06 1985-07-31 Kaou Kueekaa Kk 鋳型用過酸化水素組成物
FR2654658B3 (fr) * 1989-11-23 1991-10-11 Siderurgie Fse Inst Rech Dispositif de coulee continue de produits minces de metal entre deux cylindres paralleles et rotatifs.
DE69126229T2 (de) * 1990-04-04 1997-12-1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Bandgiessen
GB9015090D0 (en) * 1990-07-09 1990-08-29 British Telecomm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halide glass articles
DE4307850C1 (de) * 1993-03-12 1994-06-09 Usinor Sacilor Puteaux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eitenabdichtung beim endabmessungsnahen Bandgießen
DE69428123T2 (de) * 1994-05-25 2002-03-21 Hitachi Metals Ltd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Raffinieren einer Metallschmelze
US6152210A (en) * 1994-10-14 2000-11-28 Ishikawajima-Harima Heavy Industries Company Limited Metal casting
IT1284214B1 (it) * 1996-07-16 1998-05-14 Acciai Speciali Terni Spa Metodo di colata continua di prodotti metallici sottili ed apparecchiatura idonea alla sua esecuzione
KR100333070B1 (ko) * 1997-12-20 2002-10-18 주식회사 포스코 쌍롤식박판주조장치에서의에지댐위치제어방법
AUPP406798A0 (en) * 1998-06-12 1998-07-02 Bhp Steel (Jla) Pty Limited Strip cast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6447A (ja) 1985-01-31 1986-08-0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ロ−ル式連続鋳造設備における鋳造開始方法およびサイドシ−ル加熱装置
JPH05329583A (ja) * 1992-02-12 1993-12-14 Mitsubishi Heavy Ind Ltd 双ドラム式連続鋳造装置のサイド堰交換装置
DE19617420C1 (de) * 1996-05-01 1997-10-02 Max Planck Inst Eisenforschung Zweiwalzen-Stranggießvorrichtung und Verfahren zu ihrem Betrie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00787C (zh) 2005-05-11
KR20020063865A (ko) 2002-08-05
CN1376096A (zh) 2002-10-23
EP1214164B1 (de) 2003-06-25
EP1214164A1 (de) 2002-06-19
CH691573A5 (de) 2001-08-31
US6763878B1 (en) 2004-07-20
DE50002671D1 (de) 2003-07-31
EA003384B1 (ru) 2003-04-24
EA200200400A1 (ru) 2002-10-31
WO2001023119A1 (de) 2001-04-05
EP1086764A1 (de) 2001-03-28
ES2202175T3 (es) 2004-04-01
AU7658000A (en) 2001-04-30
ATE243585T1 (de) 2003-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0519B1 (ko) 금속스트립의 주조장치 및 주조방법
JP5331194B2 (ja) 鋳造ロールの迅速セットアップ及び交換のためのストリップ鋳造装置
EP0947261B1 (en) Metal strip casting apparatus and method
US7913744B1 (en) Strip-casting machine for producing a metal strip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6453986B1 (en) Metal delivery system for continuous caster
US8499820B2 (en) Strip casting apparatus with independent delivery nozzle and side dam actuators
KR100759314B1 (ko) 2개의 캐스팅 롤을 구비한 스트립 주조기
US6397924B1 (en) Strip casting apparatus
CN115815746A (zh) 一种吊挂式自反馈温控堆焊设备与工艺方法
US6164366A (en) Strip casting apparatus
CN218946601U (zh) 一种吊挂式自反馈温控堆焊设备
AU763528B2 (en) Strip casting apparatus
AU637548B2 (en) Strip casting
US20140262122A1 (en) Strip casting apparatus with improved side dam force control
AU8424498A (en) Strip cas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