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8188B1 - 지게차 슈 볼트구멍 면취장치 - Google Patents

지게차 슈 볼트구멍 면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8188B1
KR102508188B1 KR1020210048867A KR20210048867A KR102508188B1 KR 102508188 B1 KR102508188 B1 KR 102508188B1 KR 1020210048867 A KR1020210048867 A KR 1020210048867A KR 20210048867 A KR20210048867 A KR 20210048867A KR 102508188 B1 KR102508188 B1 KR 102508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forklift
flatness
unit
robot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2609A (ko
Inventor
김병진
Original Assignee
일신테크 주식회사
김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신테크 주식회사, 김병진 filed Critical 일신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8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8188B1/ko
Publication of KR20220142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8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8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12Trimming or finishing edges, e.g. deburring welded corners
    • B23C3/126Portable devices or machines for chamfering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00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3B5/16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bevelling, chamfering, or deburring the ends of bar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20/00Details of turning, boring or drilling processes
    • B23B2220/04Chamfer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20/00Details of milling processes
    • B23C2220/16Chamferring

Abstract

본발명은 지게차 슈 볼트구멍 면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게차의 무한궤도를 이루는 지게차 체인의 링크 위에 장착되는 슈(20)를 제작하되, 링크와 슈(20)는 볼트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슈(20)에 볼트가 결합되는 볼트구멍은 면취장치(600)에 의해 면취가공되는 것으로,
본발명은 지게차 슈 제작공정 중 냉각공정, 평탄도 검사공정을 지난 후, 면취장치로 면취가공을 정밀하게 하고, 품질이 우수하며, 불량률이 줄어드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게차 슈 볼트구멍 면취장치{Forklift shoe bolt hole chamfering device}
본 발명은 지게차 슈 볼트구멍 면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게차의 무한궤도를 이루는 지게차 체인의 링크위에 장착되는 지게차의 슈를 제작하되, 지게차 슈 제작공정 중 냉각공정, 평탄도 검사공정을 지난 후, 지게차 슈의 볼트가 결합되는 볼트구멍에 면취를 하는 지게차 슈 볼트구멍 면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삭 등의 가공에 의한 가공물은 수평이 맞아야 되는 제품이 많으며, 정형기를 통해 평탄도를 개선하여 수평이 되게 정형공정을 거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가공물의 평탄도를 계측하기 위한 종래기술들이 개발되어 왔고, 일례로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683711호에는 금속 박판을 수납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를 제1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직선이송기구와; 상기 직선이송기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트레이가 촬영위치에 도달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제1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출력하는 제1트레이 감지센서와; 상기 제1트레이 감지센서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직선이송기구에 배치되어 상기 트레이가 픽업위치에 도달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제2감지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제2트레이 감지센서와; 상기 제1트레이 감지센서와 상기 제2트레이 감지센서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직선이송기구에 배치되어 트리거 신호가 수신되면 이송되는 트레이에 수납된 금속 박판까지의 거리를 일정한 간격으로 측정하여 M×N개의 거리측정정보를 출력하는 3차원 라인 센서와; 상기 제2트레이 감지센서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직선이송기구에 배치되는 승강기구와; 상기 승강기구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직선이송기구에 배치되는 제2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픽킹로봇과; 상기 제1트레이 감지센서와 제2트레이 감지센서에 각각 연결되어 제1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트리거신호를 3차원 라인 센서로 전달하여 M×N개의 거리측정정보를 수신받아 M×N개의 거리측정정보 중 서로 거리편차가 미리 설정된 거리편차보다 크고 제2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승강기구가 트레이를 승강시키도록 제어한 후 승강기구에 의해 승강된 트레이 수납된 금속 박판을 픽업하여 제1방향과 직교되는 제2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픽킹로봇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M과 상기 N는 각각 2 이상의 자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박판의 평탄도 검사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226067호에는 다수매의 피넛형 플레이트를 적층하고, 이를 핀으로 연결하여 마스트 체인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
기 피넛형 플레이트의 제조과정이
(a) 탄소가 0.4 - 0.6중량% 함유된 중탄소강 또는 중탄소 합금강을 어닐링한 열간 압연스트립 또는 냉간압연스트립(strip)을 준비하는 단계 :
(b) 중앙 모서리부의 곡률반경(R)이 37 - 39mm가 되도록 상기 압연스트립을 피넛형으로 블랭킹(blanking)하고, 전단면(shearing area)이 90%이상이 되고 핀과의 공차가 0.15mm이내가 되도록 핀 연결구멍을 피어싱(piercing)하여 피넛형 플레이트를 형상화하는 단계 :
(c) 이렇게 형상화된 플레이트를 환원성 분위기에서 850 - 880℃에서 1시간 유지하고 급냉하여 담금질(quenching)한 후 300 - 500℃에서 1시간 유지하고 급냉하여 뜨임(tempering)하는 열처리 단계 :
(d) 열처리가 완료된 플레이트의 표면에 압축잔류응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직경 1-2mm의 강구(steel ball)를 사용하여 숏피닝(shot peening)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
상기 핀은 노멀라이징(normalizi ng)하거나 담금질후 뜨임한 중탄소 합금강을 사용하여 그 표면을 고주파표면경화법을 이용하여 표면경화처리한 것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지게차용 마스트 체인의 제조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면취작업시 전용기가 없어 시간이 오래걸리고 비용이 비싸며 불량이 많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게차 슈 제작공정 중 냉각공정, 평탄도 검사공정을 지난 후, 면취장치로 면취가공을 정밀하게 하고, 품질이 우수하며, 불량률이 줄어드는 지게차 슈 볼트구멍 면취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지게차 슈 볼트구멍 면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게차의 무한궤도를 이루는 지게차 체인의 링크 위에 장착되는 슈(20)를 제작하되, 링크와 슈(20)는 볼트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슈(20)에 볼트가 결합되는 볼트구멍은 면취장치(600)에 의해 면취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지게차 슈 제작공정 중 냉각공정, 평탄도 검사공정을 지난 후, 면취장치로 면취가공을 정밀하게 하고, 품질이 우수하며, 불량률이 줄어드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발명 지게차 슈의 냉각공정을 진행하는 냉각장치 상세도
도 2은 본발명의 지게차 슈의 평탄도 검사공정을 위한 검사장치 정면도
도 3은 본발명의 지게차 슈의 평탄도 검사공정을 위한 검사장치 평면도
도 4는 본발명의 지게차 슈의 평탄도 검사공정을 위한 검사장치 좌측면도
도 5는 본발명의 지게차 슈의 평탄도 검사공정을 위한 검사장치 우측면도
도 6은 본발명의 지게차 슈 평면도
도 7은 본발명의 지게차 슈 측면도
도 8은 본발명의 지게차 슈의 볼트구멍 면취장치 평면도
도 9는 본발명의 지게차 슈의 볼트구멍 면취장치 정면도
본발명은 지게차 슈 볼트구멍 면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게차의 무한궤도를 이루는 지게차 체인의 링크 위에 장착되는 슈(20)를 제작하되, 링크와 슈(20)는 볼트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슈(20)에 볼트가 결합되는 볼트구멍은 면취장치(600)에 의해 면취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면취장치(600)는 작업대(610)와,
상기 작업대(6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이송롤러부(620)와,
상기 이송롤러부(620) 상부 좌측에 결합되는 길이방향스토퍼(630)와,
상기 이송롤러부(620) 상부 전, 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폭방향스토퍼(640)와,
상기 작업대(6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롤러부(620) 하부에서 상, 하로 이동되는 전자석(650)과,
상기 작업대(610)의 상면에 설치되어 슈(20)를 가공하는 툴장치(7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대(610)의 상부에는 이송롤러부(620)에 의해 이동되는 슈(20)를 검사하는 비전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발명 지게차 슈의 냉각공정을 진행하는 냉각장치 상세도, 도 2은 본발명의 지게차 슈의 평탄도 검사공정을 위한 검사장치 정면도, 도 3은 본발명의 지게차 슈의 평탄도 검사공정을 위한 검사장치 평면도, 도 4는 본발명의 지게차 슈의 평탄도 검사공정을 위한 검사장치 좌측면도, 도 5는 본발명의 지게차 슈의 평탄도 검사공정을 위한 검사장치 우측면도, 도 6은 본발명의 지게차 슈 평면도, 도 7은 본발명의 지게차 슈 측면도, 도 8은 본발명의 지게차 슈의 볼트구멍 면취장치 평면도, 도 9는 본발명의 지게차 슈의 볼트구멍 면취장치 정면도이다.
지게차의 무한궤도를 이루는 지게차 체인의 링크위에 장착되는 지게차의 슈를 제작하되, 지게차의 슈 제작공정 중 냉각공정에서 냉각장치(200)에 의해 지게차의 슈(20)가 평탄도 변형을 최소화하여 변형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냉각장치(200)는 물탱크(210)와, 상기 물탱크(210)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부냉각부(220)와, 상기 하부냉각부(220)의 상부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상부냉각부(230)로 이루어진다.
상가 상, 하부냉각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롤러(240)가 설치되고, 상기 롤러에 의해 상, 하부냉각부 사이에는 지게차의 슈가 우측에서 좌측으로 투입되어 이동된다.
상기 롤러와 이웃하는 롤러 사이에는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250)이 설치된다.
상기 상, 하부냉각부(220, 230)에는 각각 유량조절부(500)가 설치된다.
상기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의 온도는 35~45℃이고, 수압은 65~85마력으로 분사된다.
상기 유량조절부(500)는 냉각장치(200)의 상, 하부냉각부의 지게차의 슈(20)가 투입되는 입구부에 설치된다.
즉, 상기 유량조절부는 상, 하부냉각부에서 각각 우측 첫 번째 분사노즐에서 다섯 번째 노즐까지의 분사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다.
고온 상태의 지게차 슈가 냉각장치로 투입되면, 상기 냉각장치의 제어부가 고온 상태의 지게차 슈의 평탄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유량조절부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리고 유량조절부가 지게차의 슈가 지나갈 시 휨이 발생한 부분에 고압으로 물을 분사하여 휨이 발생한 부분의 평탄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상, 하부냉각부의 유량조절부가 설치된 부위를 지나갈 시, 지게차의 슈가 평탄도가 균일하게 되며 일정 온도 이하로 식혀지게 된다.
그 외 부분은 단순이 지게차의 슈의 냉각하는 역할을 한다.
분사된 물은 하부로 이동하여 물탱크에 저장되고, 물탱크에 저장된 물은 다시 공급라인에 의해 냉각장치로 이송된다.
한편, 지게차의 슈를 냉각한 뒤, 지게차 슈는 평탄도 검사장치에 의해 평탄도 검사를 진행한다.
본발명 지게차의 슈 평탄도 검사장치는 지게차의 무한궤도를 이루는 지게차 체인의 링크위에 장착되는 슈(20)를 제작하는 지게차의 슈 평탄도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슈 평탄도 검사장치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 상부에서 이송되는 체인과, 상기 체인의 상부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센서로 이루어져서 상기 슈(20)의 평탄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센서는 슈(20)가 이송되는 롤러컨베이어(60) 상부에 이격되어 로봇팔 광센서유닛이 설치되어 하부에서 이송되는 슈(20)의 평탄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로봇팔 광센서유닛은 적외선을 평탄도측정에 사용하는 적외선 센서이다.
또한, 상기 테이블(50)의 입구에는 송풍기(70)가 설치되어 측정전 슈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본발명의 지게차 슈의 평탄도 검사장치가 설치되는 작업 공정에서의 작업물은 지게차에 사용되는 슈의 수평을 검사하는 것으로, 곧 포크레인의 무한궤도를 이루는 지게차 체인의 링크위에 장착되는 개별부품인 슈의 평탄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평탄도측정은 적외선을 사용하는 관용의 로봇팔 광센서유닛을 이용하는 것으로, 적외선발광부에서 가공물표면에 발광하고 가공물표면에서 반사되는 레이저를 수광하여 걸리는 시간을 제어부에서 판단하여 거리를 산정하고 이의 거리의 편차에 의해 SHOE의 수평 즉, 평탄도를 검사한다. 곧 걸리는 시간이 오래걸리면 센서에서 가공물표면까지의 거리가 먼 것으로, 가공물의 표면의 높이가 낮은 것이며, 걸리는 시간이 짧으면 반대의 경우가 된다.
상기 평탄도측정유닛에 사용되는 적외선 센서모듈은 가공물이 이송되는 롤러컨베이어 상부에 이격되어 상하좌우로 자유롭게 움직이게 관용의 다관절 로봇팔 광센서유닛이 설치된다. 광센서에 의한 평탄도 검사방법은 적외선센서가 로봇팔에 설치되어 적외선센서에서 나온 빛이 제품에 반사되는 것을 계산하여 제어부가 연산부에 의해 연산하여 평탄도를 계산하고 판단하는 것이다.
상기 평탄도 측정유닛 일측에는 길이측정유닛이 같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롤러컨베이어는 테이블위에 설치되며, 상기 테이블의 입구에는 송풍기가 설치되어 측정전 가공물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롤러컨베이어는 체인에 의해 구동된다.
제어부는 평탄도 오차가 일정범위를 초과할 경우 평탄도검사에 부착되어 있는 OP BOX 에서 알람이 울려 초과범위의 위치를 알아서 다시 재검사를 실시한다.
평탄도검사 측정유닛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적외선 센서는 적외선 센서로 평탄도를 측정하는 로봇팔 광센서유닛이 설치되어 좌측과 중앙 높이 차이, 중앙과 우측높이 차이를 계산한다.
가이드바(90)는 도 1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컨베이어의 측면 전,후방으로 각각 설치되는 전,후방 가이드바(90)로서, 작업물이 안착되면 작업물이 옆으로 흔들리지 않게 올라와서 가이드하고, 계측이 끝나면 내려온다.
곧, 가이드바(90) 외주연에 리니어부시(LM BUSH)(100)가 설치되며,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전동실린더(80)는 도 1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바(90) 사이 즉, 프레임(FRAME)의 센터에 부착이 되어 프레임센터에 가공해놓은 슬로트홀(SLOT HOLE) 사이로 리니어부시(LM BUSH), 가이드바 등의 부품이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전동실린더에 의해 상, 하로 움직이게 된다.
한편, 본발명의 지게차 링크와 지게차 상부 본체를 결합하는 SHOE 제작 공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m의 금속 소재를 지게차를 이용해 소재 적치대에 올린다.
소재적치대에 올려진 10m의 소재는 CONVEYOR을 통해 절단프레스 금형으로 이동을 한다.
절단프레스 금형으로 옮겨진 소재는 최소500~최대900mm의 길이로 절단을 한다.
절단이 된 소재는 열처리로로 이동이 된다. 이때가 1차 고주파 열처리이다. 여기에서 1차 고주파 열처리의 온도는 약 60 ~ 880℃이다. 최적온도는 870℃이다. 시간은 12 ~ 20분이며 15분이 최적이다.
상기 1차 고주파 열처리가 끝난 소재는 열간프레스( HOT PRESS) 금형으로 CONVEYOR를 통해 이동이 되고 HOT PRESS 금형에 의해 양쪽으로 두 개씩 구멍을 뚫고 중앙에 장공을 두 개 뚫게 된다. 이 때 CENTER의 2개의 SLOT HOLE 중 한 개는 길고 한 개는 짧다. 이 때 구멍을 뚫을때는 끝에 관용의 스토퍼(STOPPER) 장치가 있어서 이 STOPPER 장치에 SHOE가 오게 되면 STOPPER장치에 부착된 센서가 작동해 PRESS가 작동하여 구멍을 뚫는다.
HOT PRESS 금형의 공정이 끝나면 STOPPER 장치가 OPEN이 되고 CONVEYOR를 통해 관용의 LEVELAR MACHINE으로 이동을 한다.
LEVERLAR MACHINE에서 SHOE의 레벨링을 보고 QUENCHING PRESS로 이동해 SHOE를 냉각을 시킨다.
위 공정이 완료가 되면 평탄도 검사장치로 이동을 하게 되는데 여기서 전공정들이 모두 완벽하게 되었는 가를 검사한다. 여기서 평탄도 검사를 할 때 측정범위는 0~0.5㎛/m사이이고 이 범위내에서 SHOE 제품의 합격여부가 결정이 된다.
평탄도 검사가 완료되고 평탄도가 설정치 이내이면 면취장치에서 4개의 볼트구멍을 모따기를 한다.
이후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을 하여 2차고주파열처리공정으로 이동을 하는데 여기서 열처리 온도는 약 1300℃이다. 2차 고주파 열처리로 이동시 AUTOLOADER로 SHOE를 들어서 CONVEYOR에 올려서 이동. 그리고 SHOE는 총 3줄로 쌓아서 열처리로로 이동이 된다.
위 공정이 완료가 되면 관용의 적재 ROBOT가 움직여서 적재한다. 본발명은 상기 적재로봇에 로봇팔을 장착하고, 상기 로봇팔에 광센서유닛을 설치하여, 상기 적재로봇이 적재기능 및 평탄도검사기능을 겸용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적재로봇은 평탄도검사기능을 먼저 수행하고 부적하다고 제어부에서 판단하면, 적재로봇은 반제품을 모따기를 위한 면취장치로 이동시키지 않고 불량으로 간주하고 별도장소로 이동하여 관리하게 된다.
본발명에서 평탄도 검사단계에서 평탄도 오차가 설정치 이상이 되면 불량으로 간주하고, 피드백 제어를 하게 되며, 대표적으로 프레스의 압력을 조정한다.
평탄도 오차가 커지면 압력을 줄인다. 마찬가지로 평탄도 오차가 발생하면 프레스 가압시간도 조정하게 된다. 오차가 발생하면 먼저 프레스 압력을 낮추는 등 조절하나 오차가 커지면 압력을 줄이면서 동시에 시간은 길게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차가 더욱 커지면 1차열처리 온도를 낮추고 가열시간은 길게 하는 방법을 병행하여 조절한다.
본발명은 지게차 슈 볼트구멍 면취장치(600)에 관한 것으로, 지게차의 무한궤도를 이루는 지게차 체인의 링크 위에 장착되는 슈(20)를 제작하되, 링크와 슈(20)는 볼트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슈(20)에 볼트가 결합되는 볼트구멍은 면취장치(600)에 의해 면취가공되는 것이다.
상기 면취장치(600)는 작업대(610)와, 상기 작업대(6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이송롤러부(620)와, 상기 이송롤러부(620) 상부 좌측에 결합되는 길이방향스토퍼(630)와, 상기 이송롤러부(620) 상부 전, 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폭방향스토퍼(640)와, 상기 작업대(6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롤러부(620) 하부에서 상, 하로 이동되는 전자석(650)과, 상기 작업대(610)의 상면에 설치되어 슈(20)를 가공하는 툴장치(7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작업대(610)의 상부에는 이송롤러부(620)에 의해 이동되는 슈(20)를 검사하는 비전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비전카메라는 로봇팔에 의해 작동된다.
상기 작업대의 상면에는 이송롤러부가 우측에서 좌측으로 설치되고, 상기 지게차의 슈도 우측에서 좌측으로 투입된다.
상기 길이방향스토퍼는 좌, 우로 이동되는 이동되며, 이송롤러부로 슈가 투입되면 슈의 길이에 맞게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이송롤러부의 중심에 지게차 슈가 위치되게 한다.
상기 지게차의 슈가 길이방향스토퍼에 의해 먹추게 되면 이송롤러부도 작동을 멈추게 된다.
상기 이송롤러부의 전, 후방에 설치된 폭방향스토퍼가 전, 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지게차의 슈가 센터에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작업대에 설치된 전자석이 상부로 이동하여 이송롤러부의 롤러와 롤러 사이를 관통한다. 그리고 상기 전자석은 이송롤러부의 상부에 위치한 지게차의 슈에 자석 결합된다.
상기 작업대의 상부에 설치된 로봇팔에 의해 비전카메라로 지게차의 슈를 촬영한다. 촬영한 데이터는 제어부로 전달되고, 제어부는 툴장치로 신호를 보내어 지게차의 슈의 볼트가 결합되는 볼트구멍에 면취공정을 진행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지게차 슈 제작공정 중 냉각공정, 평탄도 검사공정을 지난 후, 면취장치로 면취가공을 정밀하게 하고, 품질이 우수하며, 불량률이 줄어드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 : 체인 20 : 슈
30 : 광센서 40 : 테이블
50 : 테이블 60 : 롤러컨베이어
70 : 송풍기 80 : 전동실린더
90 : 가이드바 100 : 부시
200 : 냉각장치 210 : 물탱크
220, 230 : 상, 하부냉각부
240 : 롤러 250 : 분사노즐
300 : 광센서 유닛 400 : 길이측정유닛
500 : 유량조절부 600 : 면취장치
610 : 작업대 620 : 이송롤러부
630 : 길이방향스토퍼 640 : 폭방향스토퍼
650 : 전자석 700 : 툴장치

Claims (3)

  1. 지게차의 무한궤도를 이루는 지게차 체인의 링크 위에 장착되는 슈(20)를 제작하되, 링크와 슈(20)는 볼트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슈(20)에 볼트가 결합되는 볼트구멍은 면취장치(600)에 의해 면취가공되는 지게차 슈 볼트구멍 면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슈(20)는 평탄도 검사장치에 의해 평탄도 검사를 진행하는 것으로, 상기 평탄도 검사장치는 테이블(50)과, 상기 테이블(50) 상부에서 이송되는 체인과, 상기 체인의 상부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센서로 이루어져서, 상기 슈(20)의 평탄도를 측정하는 것이며, 상기 센서는 슈(20)가 이송되는 롤러컨베이어(60) 상부에 이격되어 로봇팔 광센서유닛(300)이 설치되어 하부에서 이송되는 슈(20)의 평탄도를 측정하며, 로봇팔 광센서유닛(300)은 적외선을 평탄도측정에 사용하는 적외선 센서이며, 상기 테이블(50)의 입구에는 송풍기(70)가 설치되어 측정전 슈(20)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며,
    상기 평탄도측정은 적외선을 사용하는 로봇팔 광센서유닛을 이용하는 것으로, 적외선발광부에서 가공물표면에 발광하고 가공물표면에서 반사되는 레이저를 수광하여 걸리는 시간을 제어부에서 판단하여 거리를 산정하고 이의 거리의 편차에 의해 SHOE의 수평 즉, 평탄도를 검사하고, 평탄도측정유닛에 사용되는 적외선 센서모듈은 가공물이 이송되는 롤러컨베이어 상부에 이격되어 상하좌우로 자유롭게 움직이게 다관절 로봇팔 광센서유닛(300)이 설치되며, 광센서에 의한 평탄도 검사방법은 적외선센서가 로봇팔에 설치되어 적외선센서에서 나온 빛이 제품에 반사되는 것을 계산하여 제어부가 연산부에 의해 연산하여 평탄도를 계산하고 판단하며, 상기 평탄도측정유닛 일측에는 길이측정유닛(400)이 같이 설치되고, 롤러컨베이어(60)는 체인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며,
    제어부는 평탄도 오차가 일정범위를 초과할 경우 평탄도검사에 부착되어 있는 OP BOX 에서 알람이 울려 초과범위의 위치를 알아서 다시 재검사를 실시하고, 적외선 센서는 적외선 센서로 평탄도를 측정하는 로봇팔 광센서유닛이 설치되어 좌측과 중앙 높이 차이, 중앙과 우측높이 차이를 계산하며, 가이드바(90)는 롤러컨베이어(60)의 측면 전,후방으로 각각 설치되는 전,후방 가이드바(90)로서, 작업물이 안착되면 작업물이 옆으로 흔들리지 않게 올라와서 가이드하고, 계측이 끝나면 내려오는 것이며,
    상기 가이드바(90) 외주연에 리니어부시(LM BUSH)(100)가 설치되며,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전동실린더(80)는 가이드바(90) 사이 즉, 프레임(FRAME)의 센터에 부착이 되어 프레임센터에 가공해놓은 슬로트홀(SLOT HOLE) 사이로 리니어부시(LM BUSH), 가이드바(90) 부품이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전동실린더(80)에 의해 상, 하로 움직이게 되는 것이며,
    상기 면취장치(600)는 작업대(610)와, 상기 작업대(6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이송롤러부(620)와, 상기 이송롤러부(620) 상부 좌측에 결합되는 길이방향스토퍼(630)와, 상기 이송롤러부(620) 상부 전, 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폭방향스토퍼(640)와, 상기 작업대(6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롤러부(620) 하부에서 상, 하로 이동되는 전자석(650)과, 상기 작업대(610)의 상면에 설치되어 슈(20)를 가공하는 툴장치(700)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작업대(610)의 상부에는 이송롤러부(620)에 의해 이동되는 슈(20)를 검사하는 비전카메라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비전카메라는 로봇팔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작업대(610)의 상면에는 이송롤러부(620)가 우측에서 좌측으로 설치되고, 상기 지게차의 슈(20)도 우측에서 좌측으로 투입되는 것이며,
    상기 길이방향스토퍼(630)는 좌, 우로 이동되며, 이송롤러부(620)로 슈(20)가 투입되면 슈(20)의 길이에 맞게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이송롤러부(620)의 중심에 지게차 슈가 위치되게 되고, 상기 지게차의 슈(20)가 길이방향스토퍼(630)에 의해 멈추게 되면 이송롤러부(620)도 작동을 멈추게 되고, 상기 이송롤러부의 전, 후방에 설치된 폭방향스토퍼(640)가 전, 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지게차의 슈(20)가 센터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작업대(610)에 설치된 전자석(650)이 상부로 이동하여 이송롤러부(620)의 롤러와 롤러 사이를 관통하고, 상기 전자석(650)은 이송롤러부(620)의 상부에 위치한 지게차의 슈(20)에 자석 결합되고, 상기 작업대(610)의 상부에 설치된 로봇팔에 의해 비전카메라로 지게차의 슈(20)를 촬영하며, 촬영한 데이터는 제어부로 전달되고, 제어부는 툴장치로 신호를 보내어 지게차의 슈(20)의 볼트가 결합되는 볼트구멍에 면취공정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슈 볼트구멍 면취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10048867A 2021-04-15 2021-04-15 지게차 슈 볼트구멍 면취장치 KR102508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867A KR102508188B1 (ko) 2021-04-15 2021-04-15 지게차 슈 볼트구멍 면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867A KR102508188B1 (ko) 2021-04-15 2021-04-15 지게차 슈 볼트구멍 면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609A KR20220142609A (ko) 2022-10-24
KR102508188B1 true KR102508188B1 (ko) 2023-03-09

Family

ID=83805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867A KR102508188B1 (ko) 2021-04-15 2021-04-15 지게차 슈 볼트구멍 면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81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870Y1 (ko) 2002-09-23 2003-01-06 김태영 렌치볼트용 홀 절삭공구
JP2003136382A (ja) * 2001-11-06 2003-05-14 Nippon Koshuha Steel Co Ltd 棒材端面部の面取り装置
CN201604014U (zh) 2009-12-04 2010-10-13 山东伊莱特重工有限公司 大型环件螺栓孔倒角工装
KR101672041B1 (ko) * 2016-08-28 2016-11-03 (주) 신흥이엔지 가공부품의 가공홀 이동식 면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8708B1 (ko) * 2015-10-22 2017-09-14 거산산업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단자부 면취장치
KR102116380B1 (ko) * 2018-04-30 2020-05-28 (주)에이원엔지니어링 멀티홀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6382A (ja) * 2001-11-06 2003-05-14 Nippon Koshuha Steel Co Ltd 棒材端面部の面取り装置
KR200299870Y1 (ko) 2002-09-23 2003-01-06 김태영 렌치볼트용 홀 절삭공구
CN201604014U (zh) 2009-12-04 2010-10-13 山东伊莱特重工有限公司 大型环件螺栓孔倒角工装
KR101672041B1 (ko) * 2016-08-28 2016-11-03 (주) 신흥이엔지 가공부품의 가공홀 이동식 면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609A (ko) 202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80243B (zh) 玻璃基底雷射切割裝置及其玻璃基底破裂檢測方法
JP3789047B2 (ja) 矯正装置,測定装置及び測定方法
US20090159579A1 (en) Butt Welding System of Steel Plate and Butt Welding Method of Steel Plate
KR102034964B1 (ko) 평탄도 검사공정에 의한 지게차의 슈 제작방법
CA2670656C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ufacturing an axle
KR102034965B1 (ko) 지게차의 슈 평탄도 검사장치
CN110793477B (zh) 一种车厢底架三维检测系统、在线调矫系统及方法
KR102508188B1 (ko) 지게차 슈 볼트구멍 면취장치
CN112453073B (zh) 一种板坯垛板台自动下板坯控制方法
KR102535357B1 (ko) 로봇팔 광센서유닛에 의한 지게차의 슈 평탄도 검사방법
KR102594098B1 (ko) 냉각장치에 의한 지게차 슈 냉각방법
JP5769593B2 (ja) 炉内搬送装置及び加熱炉
JP2813528B2 (ja) 鋼板矯正装置
KR101679299B1 (ko) 열처리된 성형재를 제조하는 설비
KR101337563B1 (ko) 감지유닛을 이용하여 매니퓰레이터의 위치를 조절하는 이송장치
KR20110000410A (ko) 스트립 코일용 이송 장치
KR102202313B1 (ko) 소재 분리 이송 기능을 갖는 자동 적재 공정장치
KR101703111B1 (ko) 레이저 삭마 자동화 시스템
KR101883381B1 (ko) 감지 장치 및 절단 장치
CN218566435U (zh) 一种钢坯定尺复验机构
CN217191007U (zh) 铝板平面度快速检测装置
WO2021054157A1 (ja) 基板冷却ユニット、基板処理装置、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7246713B (zh) 保压设备和保压方法
KR100923791B1 (ko) 보급 코일 센터링 불량 자동 측정 및 보정장치
KR102422694B1 (ko) 단관용 정렬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