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9299B1 - 열처리된 성형재를 제조하는 설비 - Google Patents

열처리된 성형재를 제조하는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9299B1
KR101679299B1 KR1020150060682A KR20150060682A KR101679299B1 KR 101679299 B1 KR101679299 B1 KR 101679299B1 KR 1020150060682 A KR1020150060682 A KR 1020150060682A KR 20150060682 A KR20150060682 A KR 20150060682A KR 101679299 B1 KR101679299 B1 KR 101679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material
unit
rust
hot air
displa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0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8780A (ko
Inventor
윤춘호
박종배
이경우
Original Assignee
현대오토솔루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토솔루션(주) filed Critical 현대오토솔루션(주)
Priority to KR1020150060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9299B1/ko
Publication of KR20160128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8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18Hardening; Quenching with or without subsequent temp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1/00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by applying inhibitors to the surface in danger of corrosion or adding them to the corrosive ag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처리되는 성형재의 후처리를 위한 방청, 변위 검사, 및 교정과 각 공정들 사이의 성형재 이송을 자동화할 수 있는 열처리된 성형재의 방청과 변위 검사 및 교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열처리되는 성형재를 저온 열풍 템퍼링처리 하여 변형을 복원시켜 상기 공정들의 수행을 용이하게 하는 열처리된 성형재의 방청과 변위 검사 및 교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설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열처리된 성형재를 연속적으로 제조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성형재를 개별로 고정시켜 고압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이물질을 집진시키는 세척장치; 상기 세척장치로부터 이송되는 성형재를 방청유가 도포된 방청모포 상에 롤링시켜 상기 성형재의 외주면에 방청유를 도포하는 방청유도포장치; 상기 방청유도포장치로부터 이송되는 성형재를 개별로 고정시켜 성형재의 변위를 측정하여 양부를 선별하고 양호한 성형재를 이송시키는 제1 변위검사장치; 상기 제1 변위검사장치로부터 이송되는 성형재를 개별로 진직도를 측정하여 양부를 선별하고 부적합한 성형재를 이송시키는 제1 진직도검사장치; 상기 제1 진직도검사장치로부터 이송되는 성형재의 변위를 개별로 측정하는 제2 변위검사장치; 상기 제2 변위검사장치로부터 이송되는 성형재를 측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성형재를 개별로 교정하는 교정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처리된 성형재를 제조하는 설비 {Equipment for producing a heat-treated material}
본 발명은 열처리된 성형재를 제조하는 설비에 관한 것으로, 금속소재로 성형되어 열처리 가공되는 빔, 바 및 파이프 등과 같은 성형재의 방청과 길이 및 진직도 등의 변위 검사 및 교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열처리된 성형재를 제조하는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소재로 형성되는 빔, 바 및 파이프 등과 같은 성형재는 열처리 후 방청, 변위 검사 및 교정을 통해 제품으로 완성된다.
종래의 방청과정은 방청을 수행하기 전에 수작업으로 작업자가 에어건을 운용하여 성형제의 소입수 및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방청유가 도포된 모포에 성형재를 밀어 방청과정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길이 및 진직도 등의 변위 검사 과정은 작업자의 육안 또는 성형재들을 한 쪽으로 정렬시킨 다음 측정기구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수행되어 신뢰성이 저하되어 불량품이 납품되는 상황이 발생하곤 했다.
이와 함께 교정과정은 변위 검사 과정의 신뢰성 저하에 따른 휨량 판단에 어려움이 있으며, 숙련된 작업자들로 교정과정을 수행하더라도 정확한 교정이 힘들었을 뿐만 아니라 전수검사에 따른 인력의 낭비로 인해 제품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총체적인 문제점이 있어 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청, 변위 검사 및 교정과정을 최대한 자동화할 수 있으며, 검사 및 교정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설비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16875호 (2011.02.2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6123호 (2001.03.1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5825호 (2014.07.28)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11149호 (2006.02.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열처리되는 성형재의 후처리를 위한 방청, 변위 검사, 및 교정과 각 공정들 사이의 성형재 이송을 자동화할 수 있는 열처리된 성형재를 제조하는 설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열처리되는 성형재를 저온 열풍 템퍼링처리 하여 변형을 복원시켜 상기 공정들의 수행을 용이하게 하는 열처리된 성형재를 제조하는 설비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열처리된 성형재의 방청과 변위 검사 및 교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설비는, 열처리된 성형재를 연속적으로 제조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성형재를 개별로 고정시켜 고압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이물질을 집진시키는 세척장치; 상기 세척장치로부터 이송되는 성형재를 방청유가 도포된 방청모포 상에 롤링시켜 상기 성형재의 외주면에 방청유를 도포하는 방청유도포장치; 상기 방청유도포장치로부터 이송되는 성형재를 개별로 고정시켜 성형재의 변위를 측정하여 양부를 선별하고 양호한 성형재를 이송시키는 제1 변위검사장치; 상기 제1 변위검사장치로부터 이송되는 성형재를 개별로 진직도를 측정하여 양부를 선별하고 부적합한 성형재를 이송시키는 제1 진직도검사장치; 상기 제1 진직도검사장치로부터 이송되는 성형재의 변위를 개별로 측정하는 제2 변위검사장치; 상기 제2 변위검사장치로부터 이송되는 성형재를 측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성형재를 개별로 교정하는 교정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세척장치는 거치롤러와 구동롤러가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정렬부, 상기 정렬부의 일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승강에 따라 라인을 통해 이송되는 성형재를 상기 정렬부에 공급함과 동시에 배출 가능케 하는 제1 공급부, 상기 구동롤러의 작동에 따라 거치된 성형재가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부 및, 상기 정렬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집진부에 밀착되는 성형재에 고압공기를 집진부를 향해 분사하는 에어분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에어분사부는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노즐, 상기 노즐의 일측과 결합되어 성형재의 길이에 대응하여 노즐을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이동기, 상기 노즐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이동기에 결합된 노즐을 승강시켜 성형재의 높이에 대응되게 하는 수직이동기 및, 상기 수평이동기의 노즐의 에어분사 방향 측에 설치되어 성형제의 길이를 감지하는 길이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청유도포장치는 방청유가 도포된 방청모포와, 상기 방청모포의 상부에 설치되는 밸트, 상기 밸트의 내부에 다수개로 설치되어 밸트를 궤도운동 가능케 하여 상기 제1 공급부로부터 배출되는 성형재가 방청모포와 밸트 사이에서 이송되면서 방청유가 성형재의 외주면에 도포되게 하는 롤링시키는 회전롤러, 상기 밸트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성형재가 방청모포에 밀착되도록 방청모포와 대향되는 밸트 측을 탄성 가압하는 밸트가이드 및, 상기 밸트의 외주측에 다수개로 설치되어 승강에 따라 밸트의 장력을 제어하는 장력조절롤러를 포함하는 밸트유닛 및, 상기 밸트유닛의 상부와 결합되어 상기 밸트 유닛을 승강시키는 상하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변위검사장치는 상기 성형재가 거치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승강에 따라 이송되는 성형재를 상기 거치부에 공급함과 동시에 배출 가능케 하는 제2 공급부, 상기 거치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스토퍼, 상기 거치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성형재의 타측을 고정스토퍼 측으로 밀어 성형재의 일단을 고정스토퍼에 밀착 고정시킨 후 성형재의 길이를 측정하는 길이측정센서 및, 상기 길이측정센서와 연결되어 길이측정센서를 제어하며 상기 길이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변위검사장치와 제1 진직도검사장치 사이에는, 상기 제2 공급부로부터 배출되는 성형재를 이송시키는 이송체인, 상기 이송체인의 일측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 일측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이송체인으로부터 이송되는 성형재가 일측과 부딪히면 일측이 몸체부와 밀착되면서 타측을 회전시킬수 있도록 설치되는 힌지바 및, 상기 힌지바 일측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힌지바의 타측의 회전을 감지하는 도달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배출셋팅유닛, 상기 이송체인의 타측에 이송체인의 길이방향과 평행 설치되되 이송체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면이 십자형으로 형성되어 회전함에 따라 성형재를 배출시키는 배출바 및, 상기 배출바의 일측에 설치되어 도달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배출바를 축회전시키는 브레이크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송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진직도검사장치는 성형재가 안착되는 것으로, 한 쌍의 제1 드럼 및 상기 제1 드럼의 길이방향 맞은편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드럼을 포함하는 드럼부, 상기 제1 드럼 및 제2 드럼 각각과 축결합되어 회전구동력을 제공하여 드럼부를 회전시킴에 따라 성형재의 회전을 가능케 하는 드럼회전모터, 상기 제1 드럼과 제2 드럼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승강에 따라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성형재를 상기 드럼부에 공급함과 동시에 배출 가능케 하는 제3 공급부, 상기 드럼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미세전류가 공급되어 성형재와 접촉되어 성형재에 미세전류의 감지 유무에 따라 성형재의 진직도를 측정 가능케하는 강선 및, 상기 강선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강선을 승강시켜 성형재의 외경에 대응되게 강선의 위치를 조절하는 서버모터를 포함하는 측정부 및, 상기 제3 공급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부적합 성형재를 배출시키는 선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변위검사장치는 다수개의 자석이 설치되어 상기 선별부에서 배출된 성형재가 안착 고정되는 브라켓과,상기 브라켓의 하부에 설치되어 브라켓의 수직이동을 가능케 하는 수직실린더부와, 상기 수직실린더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실린더의 수평이동을 가능케 하는 수평실린더부를 포함하는 공급배출유닛, 상기 공급배출유닛의 일측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성형재를 교정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호 대향되게 구비되는 원뿔형상의 센터지그와, 일측의 센터지그와 축결합되어 일측의 센터지그를 회전시키는 지그회전서보모터 및, 상기 타측의 센터지그와 축결합되어 타측의 센터지그를 회전가능하게 수평이동시키는 지그회전실린더를 포함하는 셋팅부 및, 상기 셋팅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셋팅부의 작동에 따라 성형재의 진직도를 측정하는 마이크로메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교정장치는 상기 공급배출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성형재가 안착되는 블럭부 및, 상기 블럭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마이크로메타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성형재의 교정부분을 감지하여 교정을 수행하는 교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세척장치의 일측에는 상기 열처리된 성형재에 열풍을 공급하여 저온 탬퍼링을 수행한 다음 세척장치로 공급하는 템퍼링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템퍼링장치는 차폐 가능한 오프닝이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어 템퍼링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열풍이 유입되는 다수의 개구가 형성된 열풍실, 상기 열처리된 성형재가 적층된 파렛트가 열풍실을 통과하여 이송될 수 있게 설치되는 이송롤러부, 상기 열풍실의 상부에 구비되는 열풍유도가이드, 상기 열풍유도가이드의 내부에 설치되어 열풍을 제공하는 버너 및, 상기 버너의 상부에 설치되어 열풍이 상기 열풍유도가이드를 거쳐 열풍실의 개구들로 공급될 수 있도록 열풍을 순환시키는 순환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열처리된 성형재는 공급되는 성형재를 회전 가능하게 척킹하여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척킹부와,상기 척킹부의 상부측에 설치되며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레이저헤드가 설치되어 상기 척킹부에 의해 이송되는 성형재를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는 레이저부를 포함하는 절단장치를 거쳐 상기 세척장치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레이저부는 상기 레이저헤드가 구비되는 빔공급체, 상기 빔공급체와 결합되어 상기 빔공급체를 승강시키는 가이드조립체 및, 상기 가이드 조립체의 일측에 설치되되 회전하는 성형재의 표면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성형재와 접촉되게 설치되어 성형재의 표면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가이드조립체에 전달함에 따라 가이드조립체가 승강되어 레이저 빔의 초점과 소재 표면사이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접촉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종래에 비해 생산성의 향상을 구현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생산단가 인하 및 안전사고 방지 등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형재의 성능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장치의 구성요소들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청유도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변위검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의 구성요소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진직도검사장치를 측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진직도검사장치를 정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변위검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템퍼링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처리된 성형재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설비는, 열처리된 빔, 바 및 파이프 등과 같은 성형재를 연속적으로 제조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장비들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거시적으로 세척장치, 방청유도포장치, 제1 변위검사장치, 제1 진직도검사장치, 제2 변위검사장치 및, 교정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한 장치들 간의 성형재 이송은 종래에 제시된 컨베이어 밸트, 폭 방향으로 여러개의 바가 구비된 체인 등의 궤도운동을 하는 운반수단 및 성형재를 개별로 승강시킬 수 있는 수단들이 설치되는 라인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세척장치를 설명함에 앞서 상기 열처리된 성형재는 절단장치 및 열처리장치에 의해 절단된 후 열처리되어 세척장치로 공급될 수 있다.
상술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장치(700)는 성형재를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라인 상에 설치되어 각 라인에 공급되는 성형재를 절단하기 위해 각 라인을 이동하면서 성형재를 절단하거나, 각 라인 상에 설치되어 운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러한 상기 절단장치(700)는 척킹부(미도시)와 레이저부(7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척킹부는 일반적인 척(chuck)의 구조와 유사하게 이루어져 공급되는 성형재를 척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레이저부(710)는 척킹부의 상부측에 설치되며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레이저헤드(711)가 설치되어 상기 척킹부에 의해 이송되는 성형재를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게 된다. 상기 레이저부(710)는 성형재의 회전 시 성형재의 변형으로 휨부분이 발생되는 부분과 레이저 빔의 초점 간에 대응되지 못하는 상황을 타개하고자 기계적으로 레어저헤드(71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였다. 자세하게 상기 레이저부(710)는 레이저헤드(711)가 구비되는 빔공급체(712)와 가이드조립체(713) 및 접촉가이드(7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조립체(713)는 빔공급체(712)와 결합되어 상기 빔공급체(712)를 승강시키게 되며, 상기 접촉가이드(714)는 가이드조립체(713)의 일측에 설치되되 회전하는 성형재의 표면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성형재와 접촉되게 설치되어 성형재의 표면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가이드조립체(713)에 전달함에 따라 가이드조립체(713)가 승강되어 레이저 빔의 초점과 소재 표면사이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자세하게 상기 가이드조립체(713)는 이동블록(713a), 레이저가이드(713b), LM가이드(713c), 베어링(713d) 및 스프링(713e)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블록(713a)은 접촉가이드(714)가 고정되어 성형재 표면에 따라 움직이는 접촉가이드(714)의 변화와 동일하게 움직여 제리저 빔의 초점과 성형재 표면 간격을 동일하게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레이저가이드(713b)는 빔공급체(712)와 결합되어 이동블록(713a)의 내부에 슬라이딩되게 설치되며 양측에 LM가이드(713c)가 설치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베어링(713d)은 이동블록(713a)의 양측에 설치되되 LM가이드(713c)를 타고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713e)은 레이저가이드(713b)와 베어링(713d)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빔공급체(712), 접촉가이드(714), 레이저가이드(713b) 및 베어링(713d)의 하중이 소재에 전달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절단장치(700)는 충격예방감지센서(71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충격예방감지센서(715)는 가이드조립체(713)의 일측에 설치되어 성형재가 절단위치에 정위치되는 유무를 감지하여 성형재와 접촉가이드(714) 간의 미접촉으로 레이저헤드(711)가 과다 하강되어 충돌발생으로 레이저 빔 초점 이탈 및 설비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절단장치(700)는 충격예방감지센서(715)에 성형재의 위치 오류가 감지되면 레이저부(71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한 도면들과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장치(700)의 성형재 이송방향 일측에는 적재장치(8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적재장치(800)는 이송가이드부(810), 롤링감지센서(820) 및 슬라이딩부(8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가이드부(810)는 절단된 성형재가 이송되는 라인의 단부에서 성형재가 롤링할 수 있도록 하향 경사지는 빗면플레이트와, 상기 빗면플레이트의 단부에서 수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빗면플레이트의 폭방향으로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수직플레이트 및 상기 수직플레이트 각각의 단부에서 수평되게 형성되는 수평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딩부(830)는 수평플레이트의 수직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수평플레이트를 타고 슬라이딩되게 설치된다. 상기 롤링감지센서(820)는 빗면플레이트 상에 폭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절단된 성형재의 롤링을 감지하게 된다. 자세하게 상기 적재장치(800)는 적재공간을 자동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최초에는 슬라이딩부(830)와 수직플레이트 간의 간격을 좁게 셋팅하고 절단된 성형재가 적층될수록 슬라이딩부(830)와 롤링감지센서(820)가 상호 연계되어 슬라이딩부(830)가 후퇴하여 적재공간을 절단된 성형재의 이송량에 대응되게 확보하는 구성을 가지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열처리장치(미도시)는 절단장치에서 이송되는 성형재를 히팅하는 하는 장치로써 고주파 히팅 후 급냉시키는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절단장치(700)는 종래의 원형톱날에 의해 수행되었던 구조에서 발생되었던 원형톱날의 구매에 따른 비용, 성형재의 강도에 따라 원형톱날의 소모 증가 및 원형톱날에 의해 절단되는 성형재는 절단부에 면취공정을 거치게 됨으로써 불필요한 공정 수 증가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구현되었다. 이로 인해 원형톱날 등의 자재비가 감소되고 성형재의 강도 및 두께를 고려할 필요없이 절단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면취공정을 생략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이어서 상술된 도면들과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장치(100)는 열처리 후 이송되는 성형재를 개별로 고정시켜 고압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이물질을 집진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상기 세척장치(100)는 정렬부(120), 제1 공급부(110), 집진부(140) 및 에어분사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정렬부(120)는 거치롤러(121)와 구동롤러(122)가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공급부(110)는 정렬부(120)의 일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승강에 따라 상기 라인을 통해 이송되는 성형재를 상기 정렬부(120)에 공급함과 동시에 배출 가능케 한다. 상기 제1 공급부(110)의 구성은 열처리 후 이송되는 성형재가 하향경사지는 빗면을 통해 롤링하면서 순차적으로 대기하게 되는 복수개의 대기부(111)가 거치롤러(121)와 구동롤러(122) 간의 간격과 대응되게도록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각각의 대기부(111)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성형재의 이송방향으로 두개의 빗면을 이루는 두 개의 직각삼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승강부(112)가 승강됨에 따라 대기부(111)의 성형재를 순차적으로 거치시킴과 동시에, 거치된 성형재를 이송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대기부(111)와 동일 간격으로 배치되며 하향경사지는 빗면이 형성된 이송부(113)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집진부(140)는 구동롤러의 작동에 따라 거치된 성형재가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이물질을 집진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에어분사부(130)는 정렬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집진부에 밀착되는 성형재에 고압공기를 집진부를 향해 분사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에어분사부(130)는 노즐(133), 수평이동기(131), 수직이동기(132) 및 길이감지센서(1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노즐(133)은 콤프레서 등과 같은 고압공기를 제공하는 수단들과 연결되어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이동기(131)는 노즐(133)의 일측과 결합되어 성형재의 길이에 대응하여 노즐(133)을 수평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수직이동기(132)는 노즐(133)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이동기(131)에 결합된 노즐(133)을 승강시켜 성형재의 높이에 대응되게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길이감지센서(134)는 수평이동기(131)의 노즐(133) 에어분사 방향 측에 설치되어 성형제의 길이를 감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세척장치(100)는 성형재의 소입수 잔류 또는 이물질로 인한 녹 발생을 방지하여 성형재의 표면 품질확보와 방청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을 발생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방청유도포장치(200)는 세척장치(100)로부터 이송되는 성형재를 방청유가 도포된 방청모포 상에 롤링시켜 상기 성형재의 외주면에 방청유를 도포하는 장치이다.
상기한 도면들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청유도포장치(200)는 방청모포(210), 벨트유닛 및 상하조절부(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방청모포(210)는 성형재가 밀착되어 회전됨에 따라 방청유를 외주면에 도포시키기 위해 표면에 방청유가 도포된 섬유이다. 그리고 상기 밸트유닛은 벨트(230), 회전롤러(240), 밸트가이드(220) 및 장력조절롤러(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밸트(230)는 방청모포(210)의 상부에 설치되어 궤도운동을 하면서 성형재를 방청모포(210) 상에 밀착시켜 이송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롤러(240)는 밸트(230)의 내부에 다수개로 설치되어 밸트를 궤도운동 가능케 하여 상기 공급부로부터 배출되는 성형재가 방청모포와 밸트 사이에서 이송되면서 방청유가 성형재의 외주면에 도포되도록 롤링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밸트가이드(220)는 밸트(2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성형재가 방청모포(210)에 밀착되도록 방청모포(210)와 대향되는 밸트(230) 측을 탄성 가압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장력조절롤러(250)는 밸트(230)의 외주측에 다수개로 설치되어 승강에 따라 밸트(230)의 장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하조절부(260)는 밸트유닛의 상부와 결합되어 상기 밸트유닛을 승강시키게 된다.
이어서 상기한 도면들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변위검사장치(300)는 방청유도포장치(200)로부터 이송되는 성형재를 개별로 고정시켜 성형재의 변위를 측정하여 양부를 선별하고 양호한 성형재를 이송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상기 제1 변위검사장치(300)는 거치부(310), 제2 공급부(미도시), 고정스토퍼(미도시), 길이측정센서(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거치부(310)는 세척장치(100)의 정렬부(120)와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성형재가 거치되며, 상기 제2 공급부는 제1 공급부(110)와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거치부(310)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승강에 따라 이송되는 성형재를 상기 거치부(310)에 공급함과 동시에 배출 가능케 한다. 이와 함께 상기 고정스토퍼는 거치부(310) 길이방향의 일측 단부<세척장치(100)의 에어분사부(130)와 유사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길이측정센서는 거치부(310) 길이방향의 타측 단부<세척장치(100)의 집진부(140)와 유사한 위치>에 설치되어 성형재의 타측을 고정스토퍼 측으로 밀어 성형재의 일단을 고정스토퍼에 밀착 고정시킨 후 성형재의 길이를 측정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어부는 길이측정센서와 연결되어 길이측정센서를 제어하며 상기 길이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표시하게 되며 그 위치는 제1 변위검사장치(300)의 구성들과 간섭되지 않는 장소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한 도면들과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진직도검사장치(500)는 제1 변위검사장치(300)로부터 이송되는 성형재를 개별로 진직도를 측정하여 양부를 선별하고 부적합한 성형재를 이송시키는 장치이다.
여기에서 상기한 도면들과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변위검사장치(300)와 제1 진직도검사장치(500) 사이에는 이송장치(400)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이송장치(400)는 이송체인(410), 배출셋팅유닛(420), 배출바(430) 및 브레이크모터(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체인(410) 은 제2 공급부로부터 배출되는 성형재를 궤도운동하게 됨에 따라 이송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셋팅유닛(420)은 몸체부(421), 힌지바(422) 및 도달감지센서(4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421)는 이송체인(410)의 일측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바(422)는 몸체부(421)의 상부 일측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이송체인(410)으로부터 이송되는 성형재가 일측과 부딪히면 일측이 몸체부(421)와 밀착되면서 타측을 회전시킬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와 함께 상기 도달감지센서(423)는 힌지바(422) 일측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힌지바(422)의 타측의 회전을 감지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배출바(430)는 이송체인(410)의 타측에 이송체인(410)의 길이방향과 평행 설치되되 이송체인(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면이 십자형으로 형성되어 회전함에 따라 성형재를 배출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모터(440)는 배출바(430)의 일측에 설치되어 도달감지센서(423)의 신호에 따라 상기 배출바를 축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연계되는 상기 제1 진직도검사장치(500)는 드럼부(510), 드럼회전모터(520), 제3 공급부(540) 및 측정부(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드럼부(510)는 성형재가 안착되는 것으로, 한 쌍의 제1 드럼(511) 및 상기 제1 드럼(511)의 길이방향 맞은편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드럼(5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드럼회전모터(520)는 제1 드럼(512) 및 제2 드럼(512) 각각과 축결합되어 회전구동력을 제공하여 드럼부(510)를 회전시킴에 따라 성형재의 회전을 가능케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제3 공급부(540)는 제1 공급부(110)의 구성과 유사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1 드럼(511)과 제2 드럼(512)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승강에 따라 이송장치(400)에 의해 이송되는 성형재를 상기 드럼부에 공급함과 동시에 배출 가능케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측정부(530)는 강선(531) 및 서보모터(5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강선(531)은 드럼부(410)의 상부에 구비되며 미세전류가 공급되어 성형재와 접촉되어 성형재에 미세전류의 감지 유무에 따라 성형재의 진직도를 측정 가능케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서보모터(532)는 강선(531)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강선(531)을 승강시켜 성형재의 외경에 대응되게 강선(532)의 위치를 조절하는 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선별부(550)는 제3 공급부(54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측정부(530)에서 측정된 부적합 성형재를 배출시키게 된다. 첨언하면 상기 드럼부(510)와 강선(531)이 서로 단락된 회로의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성형재가 투입되어 드럼부(510)에 의해 회전되면 허용공차를 벗어난 성형재는 강선(531)에 접촉되면서 미세전류가 흘러 선별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한 도면들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변위검사장치(600)는 제1 진직도검사장치(500)로부터 이송되는 성형재의 변위를 개별로 측정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상기 제2 변위검사장치(600)는 공급배출유닛(610), 셋팅부(620) 및 마이크로메타(6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공급배출유닛(610)은 브라켓(611), 수직실린더부(612) 및 수평실린더부(6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라켓(611)은 다수개의 자석이 설치되어 상기 선별부(550)에서 배출된 성형재가 안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실린더부(612)는 브라켓(611)의 하부에 설치되어 브라켓의 수직이동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수평실린더부(613)는 수직실린더부(612)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실린더(612)의 수평이동을 가능케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셋팅부(420)는 공급배출유닛(4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성형재를 교정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것으로, 센터지그(621), 지그회선서보모터(622) 및 지그회전실린더(6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센터지그(621)는 상호 대향되게 구비되며 그 형상은 원뿔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그회전서보모터(622)는 일측의 센터지그(621)와 축결합되어 일측의 센터지그(621)를 회전시키며, 상기 지그회전실린더(623)는 타측의 센터지그(621)와 축결합되어 타측의 센터지그(621)를 회전 가능하게 수평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메타(630)는 셋팅부(6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셋팅부(620)의 작동에 따라 성형재의 진직도를 측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한 도면들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정장치(1000)는 제2 변위검사장치(600)의 공급배출유닛(610)으로부터 이송되는 성형재를 측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성형재를 개별로 교정하는 것으로, 블럭부(1100) 및 교정부(1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블럭부(1100)는 공급배출유닛(610)에 의해 이송되는 성형재가 안착되며, 상기 교정부(1200)는 블럭부(1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마이크로메타(630)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성형재의 교정부분을 감지하여 교정을 수행하게 된다. 자세하게 상기 교정부(1200)는 유압서보모터(미도시), 프레스(미도시), 제어부(미도시) 및 배출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레스는 유압서보모터의 구동에 따라 성형재의 교정부분을 가압하여 교정시키게 되는 것으로 성형재와의 접촉면을 기준점으로 교정량 만큼 하강하여 교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프레스는 성형재와 접촉하여 가압하는 교정툴이 구비되는데 상기 교정툴은 높이방향 중간부에 부도체를 형성하여 교정툴의 상부와 하부를상호 단락시켜 교정 시 프레스의 작동에 의해 교정툴이 성형재와 접촉하면 미세전류를 감지할 수 있게 하고, 미세전류가 감지된 높이를 기준점으로 지정하여 교정량만큼 재하강함으로써 성형재의 교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마이크로메터(630)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교정량을 설정하여 상기 유압서보모터에 교정량을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는 교정이 완료된 성형재를 상기 블럭부에서 배출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교정툴을 접촉식 방식은 성형재를 지지하는 블록부(1100)와 교정툴의 마모와 상관없이 교정툴의 접촉면을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되어 교정툴을 재셋팅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교정툴과 블록부(1100)의 마모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발생시키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교정장치(1000)의 일측에는 제2 진직도검사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진직도검사장치는 교정장치로(1000)부터 이송되는 성형재의 진직도를 측정한 다음 부적합한 성형재를 교정장치로 이송시키게 되며 그 구조는 제1 진직도검사장치(500)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한 도면들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장치의 일측에는 템퍼링장치(9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템퍼링장치는 열처리된 성형재에 열풍을 공급하여 설정된 온도로 탬퍼링을 수행한 다음 세척장치로 공급하는 것으로, 케이싱(970), 이송롤러부(910), 열풍실(920), 열풍유도가이드(960), 버너(940) 및 순환팬(9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싱(970)은 성형재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차폐 가능한 오프닝이 형성되며 내부에 열풍실(92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열풍실(920)은 성형재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오프닝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970)의 내부에서 템퍼링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열풍이 유입되는 다수의 개구가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이송롤러부(910)는 열처리된 성형재가 적층된 파렛트가 열풍실을 통과하여 이송될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열풍유도가이드(960)는 열풍실(92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버너(940)는 열풍유도가이드(960)의 내부에 설치되어 열풍을 제공하고, 상기 순환팬(950)은 버너(940)의 상부에 설치되어 열풍이 상기 열풍유도가이드(960)를 거쳐 열풍실(920)의 개구들로 공급될 수 있도록 열풍을 순환시키된다.
이러한 상기 템퍼링장치(900)는 성형재의 경량화와 이에 따라 경도를 최대화시키기 위해 열처리 후 성형재의 취성이 강해지므로 템퍼링을 수행하여 연신율을 확보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템퍼링장치(900)는 파이프로 형성되는 성형재를 처리할 시 그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으며 상기 열풍실의 온도를 섭씨 160도 내지 200도 사이로 설정하여 열풍을 성형재에 균일하게 공급하기 위해 상기와 같은 구조로 구현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은 열처리되는 성형재의 후처리를 위한 방청, 변위 검사, 및 교정과 각 공정들 사이의 성형재 이송을 자동화할 수 있는 열처리된 성형재의 방청과 변위 검사 및 교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열처리되는 성형재를 저온 열풍 템퍼링처리 하여 변형을 복원시켜 상기 공정들의 수행을 용이하게 하는 열처리된 성형재의 방청과 변위 검사 및 교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설비를 제공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다양한 변형 예들을 포함하도록 작성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세척장치
200: 방청유도포장치
300: 제1 변위검사장치
400: 이송장치
500: 제1 진직도검사장치
600: 제2 변위검사장치
700: 절단장치
800: 적재장치
900: 템퍼링장치
1000: 교정장치

Claims (15)

  1. 열처리된 성형재를 연속적으로 제조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성형재를 개별로 고정시켜 고압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이물질을 집진시키는 세척장치;
    상기 세척장치로부터 이송되는 성형재를 방청유가 도포된 방청모포 상에 롤링시켜 상기 성형재의 외주면에 방청유를 도포하는 방청유도포장치;
    상기 방청유도포장치로부터 이송되는 성형재를 고정시켜 성형재의 변위를 측정하여 양부를 선별하고 양호한 성형재를 이송시키는 제1 변위검사장치;
    상기 제1 변위검사장치로부터 이송되는 성형재의 진직도를 측정하여 양부를 선별하고 부적합한 성형재를 이송시키는 제1 진직도검사장치;
    상기 제1 진직도검사장치로부터 이송되는 성형재의 변위를 개별로 측정하는 제2 변위검사장치;
    상기 제2 변위검사장치로부터 이송되는 성형재를 측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성형재를 개별로 교정하는 교정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된 성형재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장치는,
    거치롤러와 구동롤러가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정렬부,
    상기 정렬부의 일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승강에 따라 라인을 통해 이송되는 성형재를 상기 정렬부에 공급함과 동시에 배출 가능케 하는 제1 공급부,
    상기 구동롤러의 작동에 따라 거치된 성형재가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부 및,
    상기 정렬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집진부에 밀착되는 성형재에 고압공기를 집진부를 향해 분사하는 에어분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된 성형재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설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분사부는,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노즐,
    상기 노즐의 일측과 결합되어 성형재의 길이에 대응하여 노즐을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이동기,
    상기 노즐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이동기에 결합된 노즐을 승강시켜 성형재의 높이에 대응되게 하는 수직이동기 및,
    상기 수평이동기의 노즐의 에어분사 방향 측에 설치되어 성형제의 길이를 감지하는 길이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된 성형재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설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청유도포장치는,
    방청유가 도포된 방청모포와,
    상기 방청모포의 상부에 설치되는 밸트, 상기 밸트의 내부에 다수개로 설치되어 밸트를 궤도운동 가능케 하여 상기 제1 공급부로부터 배출되는 성형재가 방청모포와 밸트 사이에서 이송되면서 방청유가 성형재의 외주면에 도포되게 하는 롤링시키는 회전롤러, 상기 밸트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성형재가 방청모포에 밀착되도록 방청모포와 대향되는 밸트 측을 탄성 가압하는 밸트가이드 및, 상기 밸트의 외주측에 다수개로 설치되어 승강에 따라 밸트의 장력을 제어하는 장력조절롤러를 포함하는 밸트유닛 및,
    상기 밸트유닛의 상부와 결합되어 상기 밸트 유닛을 승강시키는 상하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된 성형재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설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위검사장치는,
    상기 성형재가 거치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승강에 따라 이송되는 성형재를 상기 거치부에 공급함과 동시에 배출 가능케 하는 제2 공급부,
    상기 거치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스토퍼,
    상기 거치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성형재의 타측을 고정스토퍼 측으로 밀어 성형재의 일단을 고정스토퍼에 밀착 고정시킨 후 성형재의 길이를 측정하는 길이측정센서 및,
    상기 길이측정센서와 연결되어 길이측정센서를 제어하며 상기 길이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된 성형재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설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위검사장치와 제1 진직도검사장치 사이에는,
    상기 제2 공급부로부터 배출되는 성형재를 이송시키는 이송체인,
    상기 이송체인의 일측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 일측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이송체인으로부터 이송되는 성형재가 일측과 부딪히면 일측이 몸체부와 밀착되면서 타측을 회전시킬수 있도록 설치되는 힌지바 및, 상기 힌지바 일측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힌지바의 타측의 회전을 감지하는 도달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배출셋팅유닛,
    상기 이송체인의 타측에 이송체인의 길이방향과 평행 설치되되 이송체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면이 십자형으로 형성되어 회전함에 따라 성형재를 배출시키는 배출바 및,
    상기 배출바의 일측에 설치되어 도달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배출바를 축회전시키는 브레이크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송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된 성형재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설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직도검사장치는,
    성형재가 안착되는 것으로, 한 쌍의 제1 드럼 및 상기 제1 드럼의 길이방향 맞은편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드럼을 포함하는 드럼부,
    상기 제1 드럼 및 제2 드럼 각각과 축결합되어 회전구동력을 제공하여 드럼부를 회전시킴에 따라 성형재의 회전을 가능케 하는 드럼회전모터,
    상기 제1 드럼과 제2 드럼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승강에 따라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성형재를 상기 드럼부에 공급함과 동시에 배출 가능케 하는 제3 공급부,
    상기 드럼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미세전류가 공급되어 성형재와 접촉되어 성형재에 미세전류의 감지 유무에 따라 성형재의 진직도를 측정 가능케하는 강선 및, 상기 강선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강선을 승강시켜 성형재의 외경에 대응되게 강선의 위치를 조절하는 서보모터를 포함하는 측정부 및,
    상기 제3 공급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부적합 성형재를 배출시키는 선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된 성형재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설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위검사장치는,
    다수개의 자석이 설치되어 상기 선별부에서 배출된 성형재가 안착 고정되는 브라켓과,상기 브라켓의 하부에 설치되어 브라켓의 수직이동을 가능케 하는 수직실린더부와, 상기 수직실린더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실린더의 수평이동을 가능케 하는 수평실린더부를 포함하는 공급배출유닛,
    상기 공급배출유닛의 일측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성형재를 교정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호 대향되게 구비되는 원뿔형상의 센터지그와, 일측의 센터지그와 축결합되어 일측의 센터지그를 회전시키는 지그회전서보모터 및, 상기 타측의 센터지그와 축결합되어 타측의 센터지그를 회전가능하게 수평이동시키는 지그회전실린더를 포함하는 셋팅부 및,
    상기 셋팅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셋팅부의 작동에 따라 성형재의 진직도를 측정하는 마이크로메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된 성형재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설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장치는,
    상기 공급배출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성형재가 안착되는 블럭부 및,
    상기 블럭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마이크로메타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성형재의 교정부분을 감지하여 교정을 수행하는 교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된 성형재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설비.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장치의 일측에는,
    열처리된 성형재에 열풍을 공급하여 탬퍼링을 수행한 다음 세척장치로 공급하는 템퍼링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된 성형재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설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템퍼링장치는,
    차폐 가능한 오프닝이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어 템퍼링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열풍이 유입되는 다수의 개구가 형성된 열풍실,
    상기 열처리된 성형재가 적층된 파렛트가 열풍실을 통과하여 이송될 수 있게 설치되는 이송롤러부,
    상기 열풍실의 상부에 구비되는 열풍유도가이드,
    상기 열풍유도가이드의 내부에 설치되어 열풍을 제공하는 버너 및,
    상기 버너의 상부에 설치되어 열풍이 상기 열풍유도가이드를 거쳐 열풍실의 개구들로 공급될 수 있도록 열풍을 순환시키는 순환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된 성형재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설비.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된 성형재는,
    공급되는 성형재를 회전 가능하게 척킹하여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척킹부와,상기 척킹부의 상부측에 설치되며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레이저헤드가 설치되어 상기 척킹부에 의해 이송되는 성형재를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는 레이저부를 포함하는 절단장치를 거쳐 상기 세척장치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된 성형재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설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부는,
    상기 레이저헤드가 구비되는 빔공급체,
    상기 빔공급체와 결합되어 상기 빔공급체를 승강시키는 가이드조립체 및,
    상기 가이드 조립체의 일측에 설치되되 회전하는 성형재의 표면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성형재와 접촉되게 설치되어 성형재의 표면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가이드조립체에 전달함에 따라 가이드조립체가 승강되어 레이저 빔의 초점과 소재 표면사이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접촉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된 성형재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설비.
KR1020150060682A 2015-04-29 2015-04-29 열처리된 성형재를 제조하는 설비 KR101679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682A KR101679299B1 (ko) 2015-04-29 2015-04-29 열처리된 성형재를 제조하는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682A KR101679299B1 (ko) 2015-04-29 2015-04-29 열처리된 성형재를 제조하는 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780A KR20160128780A (ko) 2016-11-08
KR101679299B1 true KR101679299B1 (ko) 2016-11-24

Family

ID=57528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0682A KR101679299B1 (ko) 2015-04-29 2015-04-29 열처리된 성형재를 제조하는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92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9217A (ko) * 2018-10-05 2020-04-16 대보산업(주) 고속 진동형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한 라운드바의 레이저 표면처리방법 및 표면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791B1 (ko) * 2018-12-20 2020-03-30 (주)비전테크놀러지 차량용 스털링 앵글센서의 실드코어 및 그 제조방법
CN116900141B (zh) * 2023-09-08 2023-11-14 潍柴新能源商用车有限公司 一种驾驶室车门冲压成型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2145A (ja) 2004-03-19 2005-09-29 Hoko Sangyo Kk 長尺パイプ内の粉塵除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6123Y1 (ko) 2000-09-07 2001-03-15 김성철 파이프 진원 및 진직도 교정기
KR20060011149A (ko) 2004-07-29 2006-02-03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한임팩트 빔
KR101016875B1 (ko) 2006-06-23 2011-02-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밀폐형 방청유 도포장치
KR101425825B1 (ko) 2014-03-10 2014-08-05 (주)아산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2145A (ja) 2004-03-19 2005-09-29 Hoko Sangyo Kk 長尺パイプ内の粉塵除去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9217A (ko) * 2018-10-05 2020-04-16 대보산업(주) 고속 진동형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한 라운드바의 레이저 표면처리방법 및 표면처리장치
KR102104874B1 (ko) 2018-10-05 2020-04-27 대보산업(주) 고속 진동형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한 라운드바의 레이저 표면처리방법 및 표면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780A (ko) 201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9299B1 (ko) 열처리된 성형재를 제조하는 설비
CN111054783B (zh) 一种有色金属板料矫平自动生产线及矫平方法
JP2019508257A (ja) ワークピースのスケール除去の為の装置及び方法
KR100665898B1 (ko) 금속파이프 이송장치
CN110607431B (zh) 一种用于轮毂轴承淬火回火的自动线设备
US11267029B2 (en) Method for straightening of radial run-out faults or linearity faults on elongate workpieces, and measuring device, straightening machine, and straightening system thereof
US1036524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outer joint member of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and ultrasonic flaw detection-inspection method for a welded portion
CN105431238A (zh) 用于管的内部的除垢设备以及除垢工艺
KR101288430B1 (ko) 파이프 심 밀링장치
KR101569742B1 (ko) 파이프 용접장치
KR102098806B1 (ko) 냉연강판 도금품질 테스트장치
US10494287B2 (en) Device for manufacturing hollow glass articles
KR101749733B1 (ko) 파이프 자동 용접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0640399A (zh) 一种用于制备冷轧薄壁套筒的生产工艺
KR20100121271A (ko) 버핑 시스템
KR101760725B1 (ko) 선 그루빙 처리 및 아연 도금 처리가 가능한 소방 배관 제조 설비
CN113984883A (zh) 一种环形件全自动荧光磁粉探伤机
KR101632500B1 (ko) 시임 용접기
JP5765684B2 (ja) 熱処理方法
KR100842888B1 (ko) 다이오드 레이저를 이용한 스풀 열처리기 및 열처리방법
KR101817312B1 (ko) 강판의 열처리방법
KR101586822B1 (ko) 연속 소둔설비 및 그 제어방법
KR101805806B1 (ko) 아웃풋 플랜지의 최적 경화를 위한 자동 고주파 열처리 장치
KR20160046937A (ko) 시임 용접기
KR101670851B1 (ko) 플레이트의 평탄도 측정 및 보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