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9742B1 - 파이프 용접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용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9742B1
KR101569742B1 KR1020140142792A KR20140142792A KR101569742B1 KR 101569742 B1 KR101569742 B1 KR 101569742B1 KR 1020140142792 A KR1020140142792 A KR 1020140142792A KR 20140142792 A KR20140142792 A KR 20140142792A KR 101569742 B1 KR101569742 B1 KR 101569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elding
support
horizontal member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2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영근
Original Assignee
하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영근 filed Critical 하영근
Priority to KR1020140142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97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11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03Coo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47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76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for working on or in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6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을 따라 설치되는 안내레일;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구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그의 상면에는 파이프가 얹히는 이송대차;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이루어지며, 승강가이드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진 수직프레임; 상기 승강가이드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대차의 이송 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형성되는 수평부재; 상기 수평부재의 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 내부에서 상기 파이프의 용접부위를 받쳐주는 받침롤러부; 그리고, 상기 승강가이드와는 별개로 구비되며, 상기 이송대차에 의해 이동되는 파이프의 외부에서 상기 파이프의 용접부위를 용접하는 메인용접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용접장치가 제공되며, 이를 통해 정확한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파이프 내부로 노출되는 용접 부위의 용접비드에 대한 균일한 형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이프 용접장치{welding device for a pipe}
본 발명은 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평판형의 판재를 절곡시켜 원통형의 파이프로 성형하는 과정에서 상기 판재의 양 끝단을 용접하기 위한 파이프 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부가 빈 상태의 파이프는 인발 혹은, 압출 방식을 이용하여 주로 성형되고 있다
그러나, 대형 직경을 갖는 파이프의 경우는 인발 혹은, 압출 방식을 이용하여 성형할 경우 그 장비가 매우 대형화되어야 함에 따른 제조 단가의 상승으로 인해 통상적으로는 평판의 판재를 휘어서 원통형으로 성형한 다음 해당 판재의 서로 맞닿는 두 끝단을 용접시킴으로써 제조하고 있다.
즉, 종래에는 상기 판재의 휨에 의해 형성된 파이프의 외부에서 상기 판재의 서로 맞닿는 두 끝단간 접촉 부위를 따라가면서 용접하여 단일의 대형 파이프가 성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 제10-0804590호에 기재된 바와 같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의 통상적인 용접 방식으로는 상기 판재의 두 끝단간 접촉 부위를 따라 용접을 수행하는 도중 상기 판재의 두 끝단간 틈새를 통해 파이프의 내부로 용접비드가 형성될 수밖에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용접비드의 경우는 용접 진행 속도나 상기 판재의 두 끝단간 이격 거리 등에 따라 노출량 및 크기가 달라짐으로써 최종 제조된 대형 파이프는 그의 내주면이 고르지 못하게 된 단점이 있었으며, 더욱이 용접 불량의 우려도 야기되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판재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성형하면서 수행되는 용접 작업시 해당 파이프의 축방향을 따라 정확한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파이프 내부로 노출되는 용접 부위의 용접비드에 대한 균일한 형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파이프 용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용접장치는 평판의 판재를 휘어서 두 끝단이 서로 맞닿거나 혹은, 인접되도록 하여 이루어진 파이프의 상기 두 끝단 간을 용접하는 장치로서, 지면을 따라 설치되는 안내레일;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구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그의 상면에는 상기 파이프가 얹히는 이송대차;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이루어지며, 승강가이드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진 수직프레임; 상기 승강가이드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대차의 이송 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형성되는 수평부재; 상기 수평부재의 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 내부에서 상기 파이프의 용접부위를 받쳐주는 받침롤러부; 그리고, 상기 승강가이드와는 별개로 구비되며, 상기 이송대차에 의해 이동되는 파이프의 외부에서 상기 파이프의 용접부위를 용접하는 메인용접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부재는 그 내부를 따라 쉴드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관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재의 끝단에는 상기 수평부재 내부를 따라 공급되는 쉴드가스를 상기 파이프 내부의 용접부위로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분사공이 관통 형성된 분사노즐부가 구비되며, 상기 받침롤러부는 상기 분사노즐부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부에는 상기 파이프 내면의 용접부위로 고온 열기를 제공하는 가열토치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롤러부는 상기 파이프 내주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파이프의 이동에 의해 구름 동작되며, 내부는 빈 구조의 받침롤러와, 상기 수평부재의 끝단에 각각 고정되면서 상기 받침롤러의 양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지지브라켓과, 상기 각 지지브라켓을 관통하여 상기 받침롤러에 연결되면서 상기 받침롤러의 회전을 지지함과 더불어 내부로는 냉각유체의 공급 및 배출이 가능한 관로로 이루어진 지지축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롤러의 외주면은 상기 파이프의 내주면과 동일한 곡률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받침롤러의 외주면 중 상기 파이프의 용접부위를 받쳐주는 부위에는 성형홈이 요입 형성되어 상기 용접부위가 용접되면서 형성되는 용접비드가 상기 성형홈에 의해 일정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용접장치는 판재의 양 끝단 간에 대한 용접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이 용접 부위의 저면이 받침롤러에 의해 받쳐지면서 이 받침롤러에 형성된 수용홈에 의해 용접비드의 형상이 일정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됨에 따라 파이프 내부로 노출되는 용접 부위의 용접비드에 대한 균일한 형성이 가능하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용접장치는 용접이 진행되는 도중 파이프 내부의 용접 부위로는 수평부재의 내부 및 분사노즐부를 통해 쉴드가스가 공급되기 때문에 해당 용접 부위에 대한 산화 및 취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용접장치는 용접이 진행되는 도중 가열토치를 통해 파이프 내부에 형성된 용접비드로 고온의 열기가 제공되어 다져짐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해당 용접 부위에 대한 용접 강도의 향상을 이룰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용접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용접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용접장치 중 받침롤러부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열토치가 적용된 파이프 용접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열토치가 적용된 파이프 용접장치를 이용한 용접 진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파이프 용접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파이프 용접장치는 평판의 판재를 휘어서 두 끝단이 서로 맞닿거나 혹은, 인접되도록 하여 이루어진 파이프(10)의 상기 두 끝단 간을 용접하는 장치임을 그 예로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용접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용접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용접장치는 크게 안내레일(100)과, 이송대차(200)와, 수직프레임(300)과, 수평부재(400)와, 받침롤러부(500)와, 메인용접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통해 파이프(10)의 용접시 용접비드(11)가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정확한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또한 용접성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안내레일(100)은 이송대차(20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구성물이다.
이와 같은 안내레일(100)은 지면을 따라 설치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내레일(100)이 두 개로 제공되면서 용접 진행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설치됨을 제시한다.
다음으로, 상기 이송대차(200)는 작업 대상 파이프(10)가 얹히는 영역을 제공함과 더불어 상기 안내레일(100)의 지지를 받아 상기 파이프(10)를 용접 진행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이송대차(200)는 그의 저면 양 단에 롤러(210)가 각각 구비되면서 상기 두 안내레일(100)에 얹혀 구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이송대차(200)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한 구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안내레일(100)을 따라 균일한 속도로 이동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대차(200)의 상면은 상기 파이프(10)가 얹힌 상태로 유동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10)와 동일한 곡률의 안착홈(220)이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수직프레임(300)은 후술될 수평부재(400)의 설치를 위한 부위이다.
이와 같은 수직프레임(300)은 상기 안내레일(100)의 어느 한 측 끝단이 위치된 부위의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직프레임(300)에 승강가이드(310)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을 추가로 제시하며, 이때 상기 승강가이드(310)는 후술될 수평부재(400))의 승강을 위한 부위로 제공됨과 더불어 도시되지 않은 승강모터의 구동력을 제공받아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수평부재(400)는 후술될 받침롤러부(500)의 설치를 위한 부위이다.
이와 같은 수평부재(400)는 그 일단이 상기 승강가이드(310)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가이드(310)에 의해 승강됨과 더불어 그 타단은 상기 이송대차(200)의 이송 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한 수평부재(400)는 두 안내레일(100) 사이의 중앙측 부위에 위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평부재(400)가 그 내부를 따라 쉴드가스(shielding gas)를 공급하기 위한 관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재(400)의 끝단에는 상기 수평부재(400) 내부를 따라 공급되는 쉴드가스를 상기 파이프(10) 내부의 용접부위로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분사공(411)이 관통 형성된 분사노즐부(410)가 구비됨을 제시한다.
즉, 스테인레스 강이나 티타늄 혹은, 알루미늄 등을 소재로 한 강관의 경우 용접시 공기중의 산소, 질소, 수소 등과 반응하여 산화 및 취화되는 현상이 발생됨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평부재(400)를 통해 파이프(10) 내의 용접부위로 쉴드가스가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용접시 발생되는 용접부위의 산화 및 취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받침롤러부(500)는 파이프(10)의 내부에서 상기 파이프(10)의 용접부위를 받쳐주도록 한 구성이다.
즉, 파이프(10)의 외부로부터 용접이 진행될 때 상기 파이프(10)의 내부로는 용접비드(11)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용접비드(11)는 용접의 속도나 인접 거리에 따라 불규칙적인 돌출 높이 및 돌출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는 것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받침롤러부(500)의 제공을 통해 상기 파이프(10) 내부에 형성되는 용접비드(11)의 돌출 높이 및 돌출 폭이 항상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받침롤러부(500)는 상기 수평부재(400)의 끝단에 형성된 분사노즐부(410)의 상면에 구비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롤러부(500)가 받침롤러(510)와 두 지지브라켓(520) 및 지지축(531,532)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받침롤러(510)는 상기 파이프(10) 내주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파이프(10)의 이동에 의해 구름 동작되는 롤러로 형성된다. 즉, 상기 받침롤러(510)가 단순히 파이프(10)의 내주면 용접부위를 받쳐주는 구조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상기 용접부위에 접촉된 상태로 파이프(10)의 이동에 의해 구를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용접비드(11)가 모든 부위에서 규칙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한 받침롤러(510)의 외주면은 상기 파이프(10)의 내주면과 동일한 곡률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파이프(10)의 받침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받침롤러(510)의 외주면 중 상기 파이프(10)의 용접부위를 받쳐주는 부위에는 성형홈(511)을 요입 형성하여 상기 파이프(10) 내부로 형성되는 용접비드(11)가 상기 성형홈(511)에 의해 설정된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두 지지브라켓(520)은 상기 수평부재(400)의 끝단에 형성된 분사노즐부(410)의 상면 양측에 각각 고정된 상태로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형성되며, 이때 상기 받침롤러(510)는 그의 양 측 벽면이 상기 두 지지브라켓(520)에 각각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축(531,532)은 두 개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기 각 지지브라켓(520)을 관통하여 상기 받침롤러(510)의 양 측 벽면에 각각 하나씩 연결되면서 상기 받침롤러(510)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받침롤러(510)의 양 측 벽면 중앙측에는 베어링(512)이 각각 구비됨으로써 상기 두 지지축(531,532)의 지지를 받아 상기 받침롤러(510)가 안정적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받침롤러(510)가 그 내부가 빈 구조를 이루는 통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상기 두 지지축(531,532)은 그 내부를 냉각유체가 유동되도록 이루어진 관로로 형성되고, 상기 두 지지축(531,532) 중 어느 한 지지축(531)에는 냉각유체를 공급함과 더불어 다른 한 지지축(532)으로는 상기 받침롤러(510) 내부를 유동한 냉각유체가 배출되도록 이루어짐을 추가로 제시한다.
즉, 상기 받침롤러(510)가 수냉식으로 냉각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용접 도중 상기 용접비드(11)가 빠르게 냉각될 수 있도록 하여 용접 강도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메인용접부(600)는 이송대차(200)에 의해 이동되는 파이프(10)의 외부에서 상기 파이프(10)의 용접부위를 용접하는 용접기기이다.
이러한 메인용접부(600)는 수평부재(400) 및 승강가이드(310)와는 별개로 구비되면서 자체적인 수직 및 수평 동작이 가능한 메니플레이터(manipulator)형 구조의 용접기임을 그 예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첨부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노즐부(410)에 상기 파이프(10) 내면의 용접부위로 고온 열기를 제공하는 가열토치(420)가 더 구비됨을 추가로 제시한다.
즉, 파이프(10) 외부에서 상기 파이프(10)의 용접부위에 대한 용접이 진행될 때 상기 파이프(10) 내부의 용접비드(11)가 형성되는 부위에서는 비록 받침롤러부(500)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상기 용접비드(11)의 형상이 일정하게 형성되지 못할 우려가 존재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열토치(420)를 통해 해당 용접부위로 고온의 열기가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용접비드(11)를 상기 고온의 열기로 다져 더욱 균일한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가열토치(420)는 상기 수평부재(400)의 내부를 따라 설치되는 가스 관로를 통해 공급받은 가스로 화염을 발생시켜 상기 용접부위에 고온 열기가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수평부재(400)의 내부에 상기 가열토치(420)로 고온 열기를 공급하는 열기 공급관(421)을 더 구비하여 상기 열기 공급관(421)을 통해 공급되는 열기가 상기 가열토치(420)를 통해 용접비드(11)로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가열토치(420)는 메인용접부(600)에 의한 용접부위의 용접이 진행되기 전에 해당 용접부위를 예열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용접장치를 이용하여 파이프(10)로 형성된 판재의 양 끝단을 용접하는 과정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평판의 판재를 휘어서 두 끝단이 서로 맞닿거나 혹은, 인접되도록 한다.
이로써, 해당 판재는 대략 원통형의 관체로 이루어진 파이프(10)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만들어진 파이프(10)를 이송대차(200)의 상면에 얹는다. 이때, 상기 파이프(10)의 용접하고자 하는 부위인 판재의 양 끝단이 마주보는 부위는 해당 파이프(10) 중 중앙측의 최상단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후, 해당 이송대차(200)를 이송시켜 상기 파이프(10)의 일측 끝단 내부로 수평부재(400)의 분사노즐부(410)가 위치되도록 하며, 계속해서 승강가이드(310)를 상하 이동시켜 상기 분사노즐부(410)의 끝단에 설치된 받침롤러부(500)가 상기 파이프(10)의 일측 끝단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한다.
이의 상태에서 메인용접부(600)로의 전원 공급을 통해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0)의 일측 끝단부터 용접을 수행하며, 이와 동시에 이송대차(200)의 이동을 제어하여 일정한 속도로 용접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용접이 수행될 경우 파이프(10) 내부로는 용접비드(11)가 형성되면서 돌출되는데, 이의 과정에서 상기 용접비드(11)는 해당 용접부위를 받치면서 구름 동작하는 받침롤러(510)의 수용홈(511)에 의해 일정한 형상(수용홈이 이루는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유도된다.
따라서, 상기 용접비드(11)는 상기 파이프(10) 내부의 전 부위에 걸쳐 모두 일정한 형상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파이프(10)의 용접 부위에 대한 용접이 진행되는 도중에는 수평부재(400) 내부를 따라 쉴드가스가 공급됨과 더불어 이렇게 공급되는 쉴드가스는 분사노즐부(410)에 형성된 각 분사공(411)을 통해 상기 용접 부위로 공급되며, 이로써 상기 용접 부위가 주변의 환경(산소 등)에 노출됨에 따라 야기되는 산화 및 취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파이프(10)의 용접 부위에 대한 용접이 진행되는 도중에는 가열토치(420)를 통해 고온의 열기가 추가로 제공되며, 이로써 상기 파이프(10) 내부로 형성된 용접비드(11)는 상기 고온의 열기에 의해 재차적으로 가열되면서 다져짐이 이루어지게 되어 해당 용접비드의 형상을 더욱 고르게 함과 더불어 그의 용접강도를 더욱 우수하게 만들게 된다.
그리고, 전술된 각 과정에 의해 파이프(10)의 용접 부위에 대한 용접이 완료되면 메인용접부(600)의 동작이 중지됨과 더불어 승강가이드(310)의 하향 이동에 의해 받침롤러부(500)가 상기 파이프(10)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며, 이후 이송대차(200)의 이동 제어를 통해 해당 파이프(10)를 배출함으로써 모든 작업이 완료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용접장치는 판재의 양 끝단 간에 대한 용접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이 용접 부위의 저면이 받침롤러(510)에 의해 받쳐지면서 이 받침롤러(510)에 형성된 수용홈(511)에 의해 용접비드(11)의 형상이 일정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됨에 따라 파이프(10) 내부로 노출되는 용접 부위의 용접비드(11)에 대한 균일한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용접장치는 용접이 진행되는 도중 파이프(10) 내부의 용접 부위로는 수평부재(400)의 내부 및 분사노즐부(410)를 통해 쉴드가스가 공급되기 때문에 해당 용접 부위에 대한 산화 및 취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용접장치는 용접이 진행되는 도중 가열토치(420)를 통해 파이프(10) 내부에 형성된 용접비드(11)로 고온의 열기가 제공되면서 다져짐이 이루어지게 되어 해당 용접비드(11)의 형상을 더욱 고르게 함과 더불어 용접 강도의 향상을 이룰 수 있게 된다.
10. 파이프 11. 용접비드
100. 안내레일 200. 이송대차
210. 롤러 220. 안착홈
300. 수직프레임 310. 승강가이드
400. 수평부재 410. 분사노즐부
411. 분사공 420. 가열토치
421. 열기 공급관 500. 받침롤러부
510. 받침롤러 511. 성형홈
512. 베어링 520. 지지브라켓
531,532. 지지축 600. 메인용접부

Claims (5)

  1. 평판의 판재를 휘어서 두 끝단이 서로 맞닿거나 혹은, 인접되도록 하여 이루어진 파이프의 상기 두 끝단 간을 용접하는 장치로서,
    지면을 따라 설치되는 안내레일;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구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그의 상면에는 상기 파이프가 얹히는 이송대차;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이루어지며, 승강가이드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진 수직프레임;
    상기 승강가이드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대차의 이송 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형성되는 수평부재;
    상기 수평부재의 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 내부에서 상기 파이프의 용접부위를 받쳐주는 받침롤러부; 그리고,
    상기 승강가이드와는 별개로 구비되며, 상기 이송대차에 의해 이동되는 파이프의 외부에서 상기 파이프의 용접부위를 용접하는 메인용접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롤러부는
    상기 파이프 내주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파이프의 이동에 의해 구름 동작되며, 내부는 빈 구조의 받침롤러와,
    상기 수평부재의 끝단에 각각 고정되면서 상기 받침롤러의 양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지지브라켓과,
    상기 각 지지브라켓을 관통하여 상기 받침롤러에 연결되면서 상기 받침롤러의 회전을 지지함과 더불어 내부로는 냉각유체의 공급 및 배출이 가능한 관로로 이루어진 지지축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용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는 그 내부를 따라 쉴드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관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재의 끝단에는 상기 수평부재 내부를 따라 공급되는 쉴드가스를 상기 파이프 내부의 용접부위로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분사공이 관통 형성된 분사노즐부가 구비되며,
    상기 받침롤러부는 상기 분사노즐부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용접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부에는 상기 파이프 내면의 용접부위로 고온 열기를 제공하는 가열토치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용접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롤러의 외주면은 상기 파이프의 내주면과 동일한 곡률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받침롤러의 외주면 중 상기 파이프의 용접부위를 받쳐주는 부위에는 성형홈이 요입 형성되어 상기 용접부위가 용접되면서 형성되는 용접비드가 상기 성형홈에 의해 일정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용접장치.
KR1020140142792A 2014-10-21 2014-10-21 파이프 용접장치 KR101569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792A KR101569742B1 (ko) 2014-10-21 2014-10-21 파이프 용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792A KR101569742B1 (ko) 2014-10-21 2014-10-21 파이프 용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9742B1 true KR101569742B1 (ko) 2015-11-17

Family

ID=54786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2792A KR101569742B1 (ko) 2014-10-21 2014-10-21 파이프 용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974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867B1 (ko) * 2018-04-09 2019-08-20 (주)와우메탈 관부의 플라즈마 내면 용접 장치
KR102222510B1 (ko) 2020-08-19 2021-03-02 이상운 용접 시스템
KR102223887B1 (ko) 2019-08-29 2021-03-05 (주)유일 관 제조를 위한 판재 반자동 용접장치
KR20210026979A (ko) 2019-08-29 2021-03-10 (주)유일 관 제조를 위한 용접관리시스템
KR102241657B1 (ko) * 2020-10-13 2021-04-19 주식회사 현대알비 파이프 용접 와이어 커팅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867B1 (ko) * 2018-04-09 2019-08-20 (주)와우메탈 관부의 플라즈마 내면 용접 장치
WO2019198874A1 (ko) * 2018-04-09 2019-10-17 (주)와우메탈 관부의 프라즈마 내면 용접 장치
KR102223887B1 (ko) 2019-08-29 2021-03-05 (주)유일 관 제조를 위한 판재 반자동 용접장치
KR20210026979A (ko) 2019-08-29 2021-03-10 (주)유일 관 제조를 위한 용접관리시스템
KR102222510B1 (ko) 2020-08-19 2021-03-02 이상운 용접 시스템
KR102241657B1 (ko) * 2020-10-13 2021-04-19 주식회사 현대알비 파이프 용접 와이어 커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9742B1 (ko) 파이프 용접장치
US10239143B2 (en) Slab scarf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5431238A (zh) 用于管的内部的除垢设备以及除垢工艺
KR20110002086U (ko) 소구경 강관 또는 주철관 내면 도장장치
WO2016002421A1 (ja) 熱処理システムおよび熱処理方法
KR101151639B1 (ko) 용접변형방지 고정장치
JP2015160677A (ja) 鋼管の搬送方法および搬送装置
KR101561692B1 (ko) 플랜지용 플라즈마 절단 장치
KR101072522B1 (ko) 롤 교체장치
KR101679299B1 (ko) 열처리된 성형재를 제조하는 설비
KR101246317B1 (ko) 가열로
KR20100026976A (ko) 프레스 경화 공정용 가열로장치
KR102075319B1 (ko) 자동용접단계 및 플라즈마 구멍형성단계를 포함하는 인발 파이프의 포인팅부 형성방법 및 그 장치
CN204975746U (zh) 短直管与法兰调速定面滚动半自动焊接流水线
CN114195366A (zh) 一种石英管扩制的生产装置及方法
JP5765684B2 (ja) 熱処理方法
KR101435068B1 (ko) 가열로용 소재 이송장치
CN204975752U (zh) 短直管与法兰调速定面滚动手工焊接流水线
CN204975784U (zh) 小口径直管与套管手工焊接流水线
CN204975748U (zh) 短直管与套管调速定位滚动手工焊接流水线
CN204934869U (zh) 翅片管的激光焊接系统
KR101741674B1 (ko) 자동 용접 장치
CN204975749U (zh) 直管与套管调速定位滚动手工焊接流水线
CN204975742U (zh) 直管与法兰半自动焊接流水线
KR102573155B1 (ko) 소재 가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