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2510B1 - 용접 시스템 - Google Patents

용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2510B1
KR102222510B1 KR1020200104030A KR20200104030A KR102222510B1 KR 102222510 B1 KR102222510 B1 KR 102222510B1 KR 1020200104030 A KR1020200104030 A KR 1020200104030A KR 20200104030 A KR20200104030 A KR 20200104030A KR 102222510 B1 KR102222510 B1 KR 102222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frame
bar
welded
contac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운
Original Assignee
이상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운 filed Critical 이상운
Priority to KR1020200104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25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41Attachments between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and the carr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2Carriages forming part of a weld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61Welding t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용접물을 안정적으로 체결 또는 안착되도록 하여 용접 공정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용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피용접물을 체결하여 거치하는 거치부; 독자적으로 상기 피용접물을 상측에 안착시키거나, 상기 거치부에 의해 거치된 상기 피용접물을 용접 도중에 안착시키기 위한 선반부; 및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거나 상기 선반부에 안착된 상기 피용접물에 용접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용접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용접 시스템{WELDING SYSTEM}
본 발명은 용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용접물을 안정적으로 체결 또는 안착되도록 하여 용접 공정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용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석유자원의 효율적 사용 및 환경보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산업계 전반에서 에너지 효율성 향상에 대한 연구가 증대되고 있다. 자동차 산업에서의 차량 연비 향상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대표적 일예이다.
이에 따라, 차량의 연비 향상을 위한 엔진성능 향상 및 차량 경량화에 막대한 투자와 연구개발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용 소재의 트렌드인 경량화와 고기능화에 입각하여 고강도 부품에 관한 연구개발이 활발하다.
한편, 이러한 고강도 강판을 이용하여 부품을 제조할 경우, 강판의 탄성이 높기 때문에 용접시 제1 용접판과 제2 용접판 사이의 갭(Gap) 확보에 주의가 필요하다. 갭이 지나치게 많이 확보되면 접착력 저하를 가져오고, 반면에 갭이 전혀 없을 경우, 강판의 성격에 따라 용접가스의 배출 차단 등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종래의 용접 장치의 경우, 피용접물의 안정적인 체결이 이루어지지 아니함에 따라, 용접의 정확도가 저하되는 한편 피용접물의 이탈에 따라 작업자가 안전 사고를 당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19932호 한국등록특허 제10-1569742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피용접물을 안정적으로 체결 또는 안착되도록 하여 용접 공정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용접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시스템은, 피용접물을 체결하여 거치하는 거치부; 독자적으로 상기 피용접물을 상측에 안착시키거나, 상기 거치부에 의해 거치된 상기 피용접물을 용접 도중에 안착시키기 위한 선반부; 및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거나 상기 선반부에 안착된 상기 피용접물에 용접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용접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거치부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 프레임;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는 수평 프레임; 및 상기 수평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피용접물을 체결하는 체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 프레임은, 상기 수직 프레임이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 프레임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원형 배관 형태로 형성되는 수직 파이프; 상기 수직 파이프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수직 파이프와 수직이 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 바아; 및 상기 수직 파이프의 다른 일측에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가 회전시키면 상기 수직 파이프의 다른 일측을 관통하고 삽입되어 상기 수직 파이프의 내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수직 프레임을 체결하여 상기 수직 파이프를 상기 수직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제1 고정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 프레임은, 상기 수평 바아가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수평 바아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원형 배관 형태로 형성되는 수평 파이프; 상기 수평 파이프의 전단에 설치되며, 내측 공간에 상기 피용접물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부 및 하부가 전단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되어 "⊂" 형태로 형성되는 안착 절곡 프레임; 상기 수평 파이프의 후단에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가 회전시키면 상기 수평 파이프의 후단을 관통하고 삽입되어 상기 수평 파이프의 내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수평 바아를 체결하여 상기 수평 파이프를 상기 수평 바아에 고정시키는 제2 고정 레버; 및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가 회전시키면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상부를 관통하고 삽입되어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피용접물을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제3 고정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고정 레버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회전시켜 주기 위한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하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상부를 관통하고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고정 바아; 및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 바아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고정 바아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피용접물에 밀착되어 상기 피용접물을 체결하는 밀착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 프레임은, 사용자가 상기 제3 고정 레버를 회전시킴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피용접물과 밀착되어 상기 피용접물을 체결하는 밀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밀착부는,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 상부 후단에 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밀착편이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밀착편이 하강함에 따라 전단이 하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에 안착된 상기 피용접물의 상측과 밀착되어 상기 피용접물을 체결하는 제1 밀착 플레이트;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 하부 후단에 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밀착 플레이트가 회동함에 따라 전단이 상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에 안착된 상기 피용접물의 하측과 밀착되어 상기 제1 밀착 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피용접물을 체결하는 제2 밀착 플레이트; 제1 바아와 제2 바아가 접철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밀착 플레이트의 전단과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 하부 전단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 링크; 및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을 따라 안착되며, 일단이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 상부 전단을 통해 하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제1 밀착 플레이트의 전단에 체결되며, 다른 일단이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 하부를 통해 상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제1 바아와 상기 제2 바아의 연결 설치 부위에 체결되며, 상기 제1 밀착 플레이트의 전단이 하측으로 회동함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1 바아와 상기 제2 바아가 기립 되어 상기 제2 밀착 플레이트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바아와 상기 제2 바아의 연결 설치 부위를 잡아 당겨 주는 구동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밀착부는,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밀착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밀착 플레이트가 회동함에 따라 전진되어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에 안착된 상기 피용접물의 단부와 밀착되어 상기 피용접물을 체결하는 제3 밀착 플레이트; "(" 형태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1 밀착 플레이트의 후단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제3 밀착 플레이트의 후단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밀착 플레이트가 회동됨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3 밀착 플레이트를 전진시켜 주는 제1 곡선형 지지 바아; 및 "(" 형태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하부가 상기 제2 밀착 플레이트의 후단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제3 밀착 플레이트의 후단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밀착 플레이트가 회동됨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3 밀착 플레이트를 전진시켜 주는 제2 곡선형 지지 바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은, 내측 후단 상부 및 하부에 상기 제1 곡선형 지지 바아 및 상기 제2 곡선형 지지 바아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 바아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피용접물을 안정적으로 체결 또는 안착되도록 하여 용접 공정을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용접 공정 도중에 피가공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작업자가 안전사고를 당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거치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체결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체결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구동 와이어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제3 밀착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시스템(10)은, 거치부(100), 선반부(200) 및 용접부(300)를 포함한다.
거치부(100)는, 피용접물(P)을 체결하여 거치한다.
선반부(200)는, 독자적으로 피용접물(P)을 상측에 안착시키거나, 거치부(100)에 의해 거치된 피용접물(P)을 용접 도중에 안착시킨다.
용접부(300)는, 거치부(100)에 거치되거나 선반부(200)에 안착된 피용접물(P)에 용접 공정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시스템(10)은, 피용접물(P)을 안정적으로 체결 또는 안착되도록 하여 용접 공정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용접 공정 도중에 피용접물(P)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가 안전사고를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거치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거치부(100)는, 수직 프레임(110), 수평 프레임(120) 및 체결 프레임(130)을 포함한다.
수직 프레임(110)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에 수평 프레임(120)이 연결 설치된다.
수평 프레임(120)은,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수직 프레임(110)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며, 체결 프레임(130)이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수평 프레임(120)은, 수직 파이프(121), 수평 바아(122) 및 제1 고정 레버(12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 파이프(121)는, 수직 프레임(110)이 내측에 삽입되어 수직 프레임(11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원형 배관 형태로 형성되며, 제1 고정 레버(123)에 의해 수직 프레임(110)에 체결된다.
수평 바아(122)는, 수직 파이프(121)의 일측으로부터 수직 파이프(121)와 수직이 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고정 레버(123)는, 수직 파이프(121)의 다른 일측에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가 회전시키면 수직 파이프(121)의 다른 일측을 관통하고 삽입되어 수직 파이프(121)의 내측에 안착되어 있는 수직 프레임(110)을 체결하여 수직 파이프(121)를 수직 프레임(110)에 고정시킨다.
체결 프레임(130)은, 수평 프레임(120)에 연결 설치되며, 피용접물(P)을 체결한다.
일 실시예에서, 체결 프레임(130)은, 수평 파이프(131), 안착 절곡 프레임(132), 제2 고정 레버(133) 및 제3 고정 레버(134)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 파이프(131)는, 수평 바아(122)가 내측에 삽입되어 수평 바아(122)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원형 배관 형태로 형성되며, 제3 고정 레버(134)에 의해 수평 바아(122)에 체결된다.
안착 절곡 프레임(132)은, 수평 파이프(131)의 전단에 설치되며, 내측 공간에 피용접물(P)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부 및 하부가 전단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되어 "⊂" 형태로 형성된다.
제2 고정 레버(133)는, 수평 파이프(131)의 후단에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가 회전시키면 수평 파이프(131)의 후단을 관통하고 삽입되어 수평 파이프(131)의 내측에 안착되어 있는 수평 바아(122)를 체결하여 수평 파이프(131)를 수평 바아(122)에 고정시킨다.
제3 고정 레버(134)는, 안착 절곡 프레임(132)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가 회전시키면 안착 절곡 프레임(132)의 상부를 관통하고 삽입되어 안착 절곡 프레임(132)의 내측에 안착되어 있는 피용접물(P)을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도 3을 참조하면, 제3 고정 레버(134)는, 손잡이(1341), 고정 바아(1342) 및 밀착편(1343)을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1341)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되어 고정 바아(1342)를 회전시켜 준다.
고정 바아(1342)는, 손잡이(1341)의 하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안착 절곡 프레임(132)의 상부를 관통하고 안착 절곡 프레임(132)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손잡이(1341)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되면서 안착 절곡 프레임(132)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밀착편(1343)를 하강시켜 준다.
밀착편(1343)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고정 바아(1342)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며, 고정 바아(1342)가 하강함에 따라 안착 절곡 프레임(132)의 내측에 안착되어 있는 피용접물(P)에 밀착되어 피용접물(P)을 체결한다.
도 4는 도 2의 체결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 프레임(130a)은, 수평 파이프(131), 안착 절곡 프레임(132), 제2 고정 레버(133), 제3 고정 레버(134) 및 밀착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평 파이프(131), 안착 절곡 프레임(132), 제2 고정 레버(133) 및 제3 고정 레버(134)는, 도 4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밀착부(400)는, 사용자가 제3 고정 레버(134)를 회전시킴에 따라 구동되어 안착 절곡 프레임(132)의 내측에 안착되어 있는 피용접물(P)과 밀착되어 피용접물(P)을 체결한다.
일 실시예에서, 밀착부(400)는, 제1 밀착 플레이트(410), 제2 밀착 플레이트(420), 지지 링크(430) 및 구동 와이어(440)를 포함한다.
제1 밀착 플레이트(410)는, 안착 절곡 프레임(132)의 내측 상부 후단에 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밀착편(1343)가 상측에 안착되며, 밀착편(1343)가 하강함에 따라 전단이 하측으로 회동되어 안착 절곡 프레임(132)의 내측에 안착된 피용접물(P)의 상측과 밀착되어 피용접물(P)을 체결한다.
제2 밀착 플레이트(420)는, 안착 절곡 프레임(132)의 내측 하부 후단에 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밀착 플레이트(410)가 회동함에 따라 전단이 상측으로 회동되어 안착 절곡 프레임(132)의 내측에 안착된 피용접물(P)의 하측과 밀착되어 제1 밀착 플레이트(410)와 함께 피용접물(P)을 체결한다.
지지 링크(430)는, 제1 바아(431)와 제2 바아(432)가 접철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2 밀착 플레이트(420)의 전단과 안착 절곡 프레임(132)의 내측 하부 전단 사이를 지지한다.
구동 와이어(440)는, 안착 절곡 프레임(132)의 내측을 따라 안착되며, 일단(440a)이 안착 절곡 프레임(132)의 내측 상부 전단을 통해 하측으로 노출되어 제1 밀착 플레이트(410)의 전단에 체결되며, 다른 일단(440b)이 안착 절곡 프레임(132)의 내측 하부를 통해 상측으로 노출되어 제1 바아(431)와 제2 바아(432)의 연결 설치 부위(433)에 체결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밀착 플레이트(410)의 전단이 하측으로 회동함에 따라 이동되어 제1 바아(431)와 제2 바아(432)가 기립 되어 제2 밀착 플레이트(42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제1 바아(431)와 제2 바아(432)의 연결 설치 부위(433)를 잡아 당겨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밀착부(400)는, 제3 밀착 플레이트(450), 제1 곡선형 지지 바아(460) 및 제2 곡선형 지지 바아(4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밀착 플레이트(450)는, 안착 절곡 프레임(132)의 내측 후단에 설치되며, 제1 밀착 플레이트(410) 및 제2 밀착 플레이트(420)가 회동함에 따라 제1 곡선형 지지 바아(460) 및 제2 곡선형 지지 바아(470)에 의해 전진되어 안착 절곡 프레임(132)의 내측에 안착된 피용접물(P)의 단부와 밀착되어 피용접물(P)을 체결한다.
제1 곡선형 지지 바아(460)는, "(" 형태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부가 제1 밀착 플레이트(410)의 후단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제3 밀착 플레이트(450)의 후단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밀착 플레이트(410)가 회동됨에 따라 이동되어 제3 밀착 플레이트(450)를 전진시켜 준다.
제2 곡선형 지지 바아(470)는, "(" 형태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하부가 제2 밀착 플레이트(420)의 후단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제3 밀착 플레이트(450)의 후단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2 밀착 플레이트(420)가 회동됨에 따라 이동되어 제3 밀착 플레이트(450)를 전진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안착 절곡 프레임(13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후단 상부 및 하부에 제1 곡선형 지지 바아(460) 및 제2 곡선형 지지 바아(470)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 바아(B1, B2)가 지지 구조(H1, H2)에 의해 지지되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 프레임(130a)은, 안착 절곡 프레임(132)의 내측 공간에 안착되어 있는 피용접물(P)을 여러 방향으로부터 구동되는 각 밀착 플레이트(410, 420, 450)를 이용하여 체결시킴으로써, 용정 공정 도중에 피용접물(P)이 움직이거나 이탈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용접 시스템
100: 거치부
200: 선반부
300: 용접부
400: 밀착부

Claims (2)

  1. 피용접물을 체결하여 거치하는 거치부;
    독자적으로 상기 피용접물을 상측에 안착시키거나, 상기 거치부에 의해 거치된 상기 피용접물을 용접 도중에 안착시키기 위한 선반부; 및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거나 상기 선반부에 안착된 상기 피용접물에 용접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용접부;를 포함하되,
    상기 거치부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 프레임;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는 수평 프레임; 및 상기 수평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피용접물을 체결하는 체결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 프레임은, 상기 수직 프레임이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 프레임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원형 배관 형태로 형성되는 수직 파이프; 상기 수직 파이프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수직 파이프와 수직이 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 바아; 및 상기 수직 파이프의 다른 일측에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가 회전시키면 상기 수직 파이프의 다른 일측을 관통하고 삽입되어 상기 수직 파이프의 내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수직 프레임을 체결하여 상기 수직 파이프를 상기 수직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제1 고정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 프레임은, 상기 수평 바아가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수평 바아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원형 배관 형태로 형성되는 수평 파이프; 상기 수평 파이프의 전단에 설치되며, 내측 공간에 상기 피용접물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부 및 하부가 전단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되어 "⊂" 형태로 형성되는 안착 절곡 프레임; 상기 수평 파이프의 후단에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가 회전시키면 상기 수평 파이프의 후단을 관통하고 삽입되어 상기 수평 파이프의 내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수평 바아를 체결하여 상기 수평 파이프를 상기 수평 바아에 고정시키는 제2 고정 레버; 및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가 회전시키면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상부를 관통하고 삽입되어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피용접물을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제3 고정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3 고정 레버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회전시켜 주기 위한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하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상부를 관통하고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고정 바아; 및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 바아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고정 바아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피용접물에 밀착되어 상기 피용접물을 체결하는 밀착편;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 프레임은, 사용자가 상기 제3 고정 레버를 회전시킴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피용접물과 밀착되어 상기 피용접물을 체결하는 밀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밀착부는,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 상부 후단에 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밀착편이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밀착편이 하강함에 따라 전단이 하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에 안착된 상기 피용접물의 상측과 밀착되어 상기 피용접물을 체결하는 제1 밀착 플레이트;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 하부 후단에 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밀착 플레이트가 회동함에 따라 전단이 상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에 안착된 상기 피용접물의 하측과 밀착되어 상기 제1 밀착 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피용접물을 체결하는 제2 밀착 플레이트; 제1 바아와 제2 바아가 접철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밀착 플레이트의 전단과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 하부 전단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 링크; 및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을 따라 안착되며, 일단이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 상부 전단을 통해 하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제1 밀착 플레이트의 전단에 체결되며, 다른 일단이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 하부를 통해 상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제1 바아와 상기 제2 바아의 연결 설치 부위에 체결되며, 상기 제1 밀착 플레이트의 전단이 하측으로 회동함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1 바아와 상기 제2 바아가 기립 되어 상기 제2 밀착 플레이트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바아와 상기 제2 바아의 연결 설치 부위를 잡아 당겨 주는 구동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밀착부는,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밀착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밀착 플레이트가 회동함에 따라 전진되어 상기 안착 절곡 프레임의 내측에 안착된 상기 피용접물의 단부와 밀착되어 상기 피용접물을 체결하는 제3 밀착 플레이트; "(" 형태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1 밀착 플레이트의 후단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제3 밀착 플레이트의 후단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밀착 플레이트가 회동됨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3 밀착 플레이트를 전진시켜 주는 제1 곡선형 지지 바아; 및 "(" 형태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하부가 상기 제2 밀착 플레이트의 후단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제3 밀착 플레이트의 후단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밀착 플레이트가 회동됨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3 밀착 플레이트를 전진시켜 주는 제2 곡선형 지지 바아;를 더 포함하는, 용접 시스템.
  2. 삭제
KR1020200104030A 2020-08-19 2020-08-19 용접 시스템 KR102222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030A KR102222510B1 (ko) 2020-08-19 2020-08-19 용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030A KR102222510B1 (ko) 2020-08-19 2020-08-19 용접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2510B1 true KR102222510B1 (ko) 2021-03-02

Family

ID=75169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030A KR102222510B1 (ko) 2020-08-19 2020-08-19 용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25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65519B1 (ja) 2023-04-18 2023-10-19 高明 籔本 作業用治具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1478A (ko) * 2011-01-11 2012-07-19 김영주 용접용 지그장치
KR20120081476A (ko) * 2011-01-11 2012-07-19 김영주 용접용 지그장치
KR101319932B1 (ko) 2013-04-01 2013-10-18 (주)대성사 볼트 용접장치
KR101569742B1 (ko) 2014-10-21 2015-11-17 하영근 파이프 용접장치
KR101703523B1 (ko) * 2015-11-05 2017-02-07 김원현 이음관 고정용 지그
KR20190002302U (ko) * 2018-03-07 2019-09-1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다목적 용접테이블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1478A (ko) * 2011-01-11 2012-07-19 김영주 용접용 지그장치
KR20120081476A (ko) * 2011-01-11 2012-07-19 김영주 용접용 지그장치
KR101319932B1 (ko) 2013-04-01 2013-10-18 (주)대성사 볼트 용접장치
KR101569742B1 (ko) 2014-10-21 2015-11-17 하영근 파이프 용접장치
KR101703523B1 (ko) * 2015-11-05 2017-02-07 김원현 이음관 고정용 지그
KR20190002302U (ko) * 2018-03-07 2019-09-1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다목적 용접테이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65519B1 (ja) 2023-04-18 2023-10-19 高明 籔本 作業用治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3416B2 (en) Vehicle front portion structure
KR102222510B1 (ko) 용접 시스템
US20100327628A1 (en) Lower-body structure for automobile
JP6118123B2 (ja) 車両のフレーム構造
US20170259719A1 (en) Seat for a vehicle
JP2017136972A (ja) 車両の下部車体構造
CN104781134A (zh) 转向柱支撑构造用支架以及转向柱的支撑构造
JP4640418B2 (ja) リーフスプリングの支持構造
JP6090185B2 (ja) 車両用補機の取付構造
JP6896958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支持構造
EP3023322A1 (en) Fender panel support structure for vehicle
JP4882435B2 (ja) 自動車の下部車体構造
US11091059B2 (en) Seat rail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CN104477302A (zh) 一种摩托车车架结构
JPH11229565A (ja) 折板支持具
CN103770862B (zh) 车辆座垫安装板
JP6837724B2 (ja) 車両構造
US20230311730A1 (en) Cushion frame
JP2021167159A (ja) 車両搭載品の支持構造
JP6919435B2 (ja) 乗物用シート
CN206719038U (zh) 汽车后座椅安装支架总成
JP2008201246A (ja) 車両用ドア
JP6497905B2 (ja) 車両用シートの位置決め構造
JP6838529B2 (ja) 車両側部構造
JP2017144746A (ja) 燃料電池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