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3887B1 - 관 제조를 위한 판재 반자동 용접장치 - Google Patents

관 제조를 위한 판재 반자동 용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3887B1
KR102223887B1 KR1020190119070A KR20190119070A KR102223887B1 KR 102223887 B1 KR102223887 B1 KR 102223887B1 KR 1020190119070 A KR1020190119070 A KR 1020190119070A KR 20190119070 A KR20190119070 A KR 20190119070A KR 102223887 B1 KR102223887 B1 KR 102223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torch
gear
horizontal beam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3887B9 (ko
Inventor
안기주
황윤길
양재형
Original Assignee
(주)유일
주식회사 티앤에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일, 주식회사 티앤에스테크 filed Critical (주)유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887B1/ko
Publication of KR102223887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887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76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for working on or in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11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47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95Monitoring or automatic control of welding parameters
    • B23K9/0956Monitoring or automatic control of welding parameters using sensing means, e.g. opt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 제조를 위한 판재 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관 형태로 굽혀져 마주하는 판재의 양단부를 용접하는 관을 제조하는 관 제조를 위한 판재 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관 제조를 위한 판재 반자동 용접장치는 수평빔에 대해 용접헤드부가 상하로 완충가능하고, 좌우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용접용토치가 상하방햐으로 미세위치조절 및 수평빔 길이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여 안정적이며, 정밀하게 용접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관 제조를 위한 판재 반자동 용접장치는 용접 수행 중 모니터링부를 통해 용접부위를 관찰하여 사용자가 용접 수행을 정지 속도 조절 또는 용접헤드부의 위치조절을 조작할 수 있어 정밀용접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관 제조를 위한 판재 반자동 용접장치{Semiautomatic welding device for manufacture of pipe}
본 발명은 관 제조를 위한 판재 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관 형태로 굽혀져 마주하는 판재의 양단부를 용접하는 관을 제조하는 관 제조를 위한 판재 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접기는 가스, 아크, 전기, 저항열, 마찰열 등의 열원을 이용하여 용접부위를 용융상태로 하여 접합하는 것들과, 가열된 부재 또는 상온 상태의 부재를 서로 접촉시키고 인가된 전압에 의해 부재에 압력을 가하여 상호 접합시키는 것들이 있다.
이러한 용접기들 중에서 불활성가스(일명 차폐가스, 아르곤가스)를 이용하는 티그용접기(Tungsten Inert Gas Welding; TIG)는 텅스텐 전극봉을 이용하며 철구조물, 선박, 자동차 등의 제작 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불활성가스가 저장되는 가스탱크와, 이 가스탱크의 출구측에 배치되어 가스를 일정압력으로 유출시키기 위한 레귤레이터와, 이 레귤레이터의 출구측과 가스호스(통상적으로 플렉시블 고무호스로 이루어짐)를 통해 연결되며 각종 전장품 및 가스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밸브 등이 배치되는 용접기 본체와, 이 용접기 본체측과 콘트롤 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솔레노이드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가 마련되어 가스를 공급받는 용접토치와, 용접기 본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모재와 연결되는 베이스 케이블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종래 티그 용접기에서는 베이스 케이블(+전극)을 용접대상물인 모재에 연결한 후 용접토치를 접촉(-전극)시키면 서로 다른 전기적 특성에 의해 아크를 발생시키면서 용접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용접이 시작되면, 용접토치 선단부에서 불활성가스(아르곤가스)가 분출되면서 펜스를 형성함으로써, 용접이 진행되는 부위와 외부공기와의 접촉을 막는다. 이에 따라 미려한 용접 비드를 얻을 수 있고 피복이 없기 때문에 뒷마무리가 간단하고 깨끗하게 된다.
이러한 티그 용접기에 사용되는 용접토치에는 내부에 가스공급로가 마련된 토치손잡이와, 이 토치손잡이의 헤드부에 결합되며 나사 결합방식으로 체결되며 중앙부위에 텅스텐 전극봉이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가스디퓨저와, 가스디퓨저의 선단부에 나사 체결되는 원통형 세라믹 캡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티그 용접기는 국내 공개특허 제10-2011-0121221호 등 다양하게 게시되어 있다. 하지만, 대부분 종래의 티그 자동 용접기는 용접헤드부가 원형권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원형관과 원형관을 용접하거나, 원형관과 플랜지를 용접하기 위해 구성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9742호에 판재를 원형 관 형상으로 구부려 판재의 마주하는 양단을 용접하여 원형관을 제조할 수 있는 용접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원형관 형태로 구부려지 판재의 내측으로 보호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접헤드부에 대한 구성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다.
원형관 형태로 구부러진 판재의 마주하는 양측 단부를 안정적으로 용접하기 위하여, 원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판재를 지지하면서 용접을 수행할 수 있고, 용접부위 모니터링을 통해 미세한 위치조절 및 용접 진행여부조절이 가능하고 충격에 의한 상하 완충기능이 있는 용접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9742호 : 파이프 용접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원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판재를 지지하면서 용접을 수행할 수 있고, 용접용 토치의 미세한 위치조절 및 충격에 의한 상하 완충기능이 있는 관 제조를 위한 판재 반자동 용접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접부의 모니터링을 통행 미세한 위치조절 및 용접 진행여부 조절이 가능한 관 제조를 위한 판재 반자동 용접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 제조를 위한 판재 반자동 용접장치는 판재의 양측이 마주하여 상기 판재가 원통형상으로 유지하며 제조하려는 관체의 직경의 크기에 따라 상호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위치이동이 가능한 제1 및 제2의 받침롤러가 각각 장착된 한 쌍의 받침부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심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빔과; 수직빔에 장착되어 승강하는 승강슬라이더와; 상기 승강슬라이더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장착되어 상기 판재의 마주하는 양단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수평빔과; 상기 수평빔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수평빔의 이동방향으로 상기 판재의 마주하는 양측 단부를 용접하는 용접용 토치가 장착되는 용접헤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접헤드부는 상기 수평빔의 단부에 장착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해 상하로 이동가능하되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판재와 접촉 또는 판재 용접 중 이동시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탄성지지되는 상하유동프레임과, 상기 상하유동프레임에 장착된 제1구동모터의 구동축과 기어연결되어 상기 구동축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상하유동프레임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좌우이동프레임과, 상기 좌우이동프레임보다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상기 상하유동프레임의 양측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판재의 양측부를 지지하는 판재원통유지유닛과, 상기 좌우이동프레임의 일측에서 돌출된 지지프레임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하 미세 위치이동프레임을 포함하는 상하 미세위치조절부와, 상기 상하 미세위치이동프레임의 측부에 결합되며 상기 수평빔의 이동방향으로 회전가능한 회동축을 갖는 위버와, 상기 회동축과 결합되어 상기 수평빔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회동축과 함께 회동되며 용접용 토치를 파지하는 회동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관 제조를 위한 판재 반자동 용접장치는 상기 용접용 토치가 용접하는 용접부분을 촬영하는 모니터링부와, 상기 모니터링에 의해 촬영된 상기 용접부분 영상을 사용자가 확인 후 상기 용접헤드부이 용접 지속 및 정지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명령에 따라 상기 수평빔의 이동 및 상기 용접헤드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버는 상기 상하 미세위치이동프레임과 결합되며 내부공간을 갖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 내에 장착되며 제2구동축이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게 장착된 제2구동모터와, 상기 제2구동축의 단부에 장착된 제1베벨기어와, 상기 제1베벨기어와 치합하며 상기 회동축과 함께 회전되게 상기 회동축이 관통장착되는 제2베벨기어와, 상기 제2베벨기어와 마주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베벨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제1베벨기어의 회전을 지지하며 내측으로 상기 회동축이 회전가능하게 관통되는 보조베벨기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부재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용접용 토치가 관통장착되는 토치관통공과, 상기 위버에 마주하는 일측부에 상기 회동축의 단부가 연장방향으로 삽입장착되게 측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상기 토치관통공과 연통되는 회동축삽입공이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 중심측에 상방 및 일측방으로 개방되며 상기 토치관통공과 연통된 제1절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절제부를 관통하는 제1볼트에 의해 상기 토치관통공의 직경이 감소되어 상기 용접용 토치를 파지하며, 하부 일측 중심특에 하방 및 타측방으로 개방되며 상기 회동축삽입공과 상기 토치관통공과 연통되는 제2절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절제부를 관통하는 제2볼트에 의해 상기 회동축삽입공의 직경이 감소되어 상기 회동축에 고정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관 제조를 위한 판재 반자동 용접장치는 상기 수평빔의 타단부측 상단에 장착되어 용접 와이어가 권취되는 와이어 공급릴과, 상기 와이어 공급릴에 대해 상기 용접헤드부 측으로 이격되게 상기 수평빔의 상단에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 공급릴에 권취된 상기 용접와이어를 상기 용접헤드부 측으로 당겨 공급하는 와이어 피딩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 피딩기는 제3구동축이 상기 수평빔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게 장착된 제3구동모터와, 상기 제3구동축에 장착된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수평빔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각 일단에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는 제2기어와 제3기어가 각각 형성되며 각 상단으로 권취해제된 상기 용접와이어를 지지하는 제1 및 제2롤러와, 상기 제2기어와 상기 제3기어에 각각 대응되는 수직상방에서 상기 제2기어와 상기 제3기어에 치합되는 제4기어 및 제5기어가 각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의 각 수직상방에 위치되어 권취해제된 상기 용접와이어의 상부와 접하는 제3 및 제4롤러와,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의 상단으로 상기 용접와이어 투입 시 상기 제4기어가 상기 제2기어에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제3롤러가 상기 제1롤러에 대해 이격되게 상기 제3롤러를 지지하는 제1회동브라켓과,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의 상단으로 상기 용접와이어 투입 시 상기 제5기어가 상기 제3기어에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제4롤러가 상기 제2롤러에 대해 이격되게 상기 제4롤러를 지지하며 상기 제1회동브라켓과 마주하는 제2회동브라켓과, 상기 제3롤러와 상기 제4롤러가 상기 용접와이어와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어 회전시 상기 제1 및 제2롤러와 함께 상기 용접와이어를 상기 용접헤드부 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회동브라켓과 상기 제2회동브라켓을 수직하방으로 탄성가압하는 용접 와이어 밀착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관 제조를 위한 판재 반자동 용접장치는 수평빔에 대해 용접헤드부가 상하로 완충가능하고, 좌우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용접용 토치가 상하방향으로 미세 위치조절 및 수평빔 길이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여, 안정적이며 정밀하게 용접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관 제조를 위한 판재 반자동 용접장치는 용접 수행 중 모니터링부를 통해 용접부위를 관찰하여 사용자가 용접 수행을 정지 속도 조절 또는 용접헤드부의 위치조절을 조작할 수 있어 정밀용접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 제조를 위한 판재 반자동 용접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판재 반자동 용접장치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판재 반자동 용접장치의 용접헤드부를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용접헤드부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용접헤드부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용접헤드부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3의 용접헤드부를 저면측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3의 용접헤드부에 대한 정단면도이고,
도 9는 도 3의 용접해드부에 대한 일부분리사시도이고,
도 10는 도 1의 판재 반자동 용접장치의 용접와이어 공급부 측을 확대한 측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용접와이어 공급부를 확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12은 도 1의 판재 반자동 용접장치에 대한 블록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다른 회동부재에 대한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관 제조를 위한 판재 반자동 용접장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관 제조를 위한 판재 반자동 용접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 제조를 위한 판재 반자동 용접장치(10)는 판재(1)의 양측이 마주하여 상기 판재가 원통형상으로 유지되며 제조하려는 관체의 직경의 크기에 따라 상호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위치이동이 가능한 제1 및 제2의 받침롤러(21,23)가 각각 장착된 제1 및 제2받침부(15, 20)와;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중심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빔(31)과; 수직빔(31)에 장착되어 승강하는 승강슬라이더(35)와; 승강슬라이더(35)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장착되어 상기 판재의 마주하는 양단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수평빔(41)과; 수평빔(41)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수평빔(41)의 이동방향으로 판재의 마주하는 양측 단부를 용접하는 용접용 토치(56)가 장착되는 용접헤드부(50)와, 수평빔(41)의 타단부측 상단에 장착되어 용접 와이어(6)가 권취되는 와이어 공급릴(120)과, 와이어 공급릴(120)에 대해 용접헤드부(50) 측으로 이격되게 수평빔(41)의 상단에 장착되어 와이어 공급릴(120)에 권취된 용접와이어(6)를 용접헤드부(50) 측으로 당겨 공급하는 와이어 피딩기(124)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 제조를 위한 판재 반자동 용접장치(10)는 용접용 토치(56)가 용접하는 용접 부분을 촬영하는 모니터링부(180)와, 모니터링부(180)에 의해 촬영된 용접부분(a) 영상을 사용자가 확인 후 용접헤드부(50)의 용접 수행 지속 및 정지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185)와, 조작부의 명령에 따라 수평빔(41)의 이동 및 용접헤드부(5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90)를 구비한다.
후술에서는 수평빔(50)의 길이방향 일단부를 향하는 측을 전방, 수평빔(50)의 길이방향 타단부를 향하는 측을 후방으로 표기한다.
베이스플레이트(30) 일측에는 제어부(190)가 장착되며, 제어부(190)는 승강슬라이더(36)에 장착되어 승강슬라이더(36)와 함께 승강하는 승강구동모터(36)와, 승강슬라이더(35)에 장착되어 수평빔(41)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구동모터(38)와, 후술되는 용접헤드부(50)에 장착된 모터들과 연결된다.
제1 및 제2받침부(15,20)는 수평빔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받침 프레임(24)과, 받침프레임(24)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외주면 양측에 상호 반대방향의 나사선이 형성된 제1볼스크류(27)와, 제1볼스크류의 일측과 타측이 관통장착되어 제1볼스크류(27) 회전방향에 따라 상호 인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및 제2곡률조정슬라이더(25,26)와, 제1곡률조정슬라이더(25)와 제2곡률조정슬라이더(26)의 각 상단에 장착되어 굽혀진 판재(1)를 지지하는 제1받침롤러(21)와 제2의 받침롤러(23)를 각각 구비한다.
그리고, 제1받침부(15)는 판재(1)가 원형상의 곡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받침롤러(21,23)에 각각 연결되어 제1 및 제2받침롤러(21,23)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시키는 한 쌍의 받침롤러구동모터(28,29)를 더 구비한다.
한 쌍의 받침롤러구동모터(28,29)는 제1 및 제2받침롤러구동모터(28,29)로 구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다르게, 제1 및 제2받침롤러구동모터(28,29)는 제2받침부(20)에도 마련되어 제2받침부(20)의 제1받침롤러(21)와 제2의 받침롤러(23)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제1모터구동축(미도시)를 포함하는 제1받침롤러구동모터(28)는 제1모터 구동축이 받침프레임(24)의 길이방향에 나란하되 받침프레임(24)의 중심측을 향하도록, 제1곡률조정슬라이더(25)를 관통한 제1받침롤러(21)의 회전축과 기어연결되며, 제어부(190)와 연결된다. 그리고, 제2모터구동축(미도시)를 포함하는 제2받침롤러구동모터(29)는 장착된 제2모터구동축이 받침프레임(24)의 길이방향에 나란하되 받침프레임(24)의 중심측을 향해 제1모터구동축과 마주하도록, 제2곡률조정슬라이더(26)를 관통한 제2받침롤러(23)의 회전축과 기어 연결된다.
제1 및 제2모터구동축에는 웜(미도시)이 각각 장착되고 제1 및 제2받침롤러 회전축에는 웜휠(미도시)이 장착된는 것이 바람직하나, 제1 및 제2받침롤러 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으면 기어 연결구조는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및 제2모터구동축은 상호 마주하도록 설치되어 상호 반대방향으로 설치되어 제1 및 제2받침롤러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용접헤드부(50)는 수평빔(50)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고정프레임(51)과, 고정프레임(51)에 대해 상하로 이동가능하되 제1탄성부재(66)에 의해 상기 판재와 접촉 또는 판재 용접 중 이동시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탄성지지되는 상하유동프레임(61)과, 상하유동프레임(61)에 장착되며 제어부(190)와 연결된 제1구동모터(68)의 제1구동축(69)과 기어연결되어 제1구동축(69) 회전방향에 따라 상하유동프레임(61)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좌우이동프레임(71)과, 상기 좌우이동프레임(71)보다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상기 상하유동프레임(61)의 양측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판재의 양측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판재 원통유지유닛(81)과, 상기 좌우이동프레임(71)의 일측에서 돌출된 지지프레임(91)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하 미세 위치이동프레임(93)을 포함하는 상하 미세 위치조절부(90)와, 상기 상하미세 위치조절부(90)의 측부에 결합되며 상기 수평빔의 이동방향으로 회전가능한 회동축(104)을 갖는 위버(100)와, 상기 회동축과 결합되어 상기 수평빔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회동축과 함께 회동되며 용접용 토치를 파지하는 회동부재(111)를 구비한다.
고정프레임(51)은 수평빔(41)의 일단 하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되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폭으로 나란하게 돌출된 한 쌍의 수직플레이트(52,53)와, 전방 측의 한 쌍의 수직플레이트(52,53) 양측 단부를 연결할 수 있도록 수평빔(4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55)을 갖는 플레이트 연결하우징(54)을 구비한다.
상하유동프레임(61)은 도 6을 참고하면, 상하방향으로 길이연장된 직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유동프레임 본체부(62)와, 고정프레임(51)과 마주하는 유동프레임 본체부(62)의 하부 일측에 돌출형성되어 플레이트 연결하우징(54)의 내부공간(55)으로 삽입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65)이 형성된 승강결합부(64)를 구비한다.
유동프레임 본체부(62)는 하방으로 개방되며 전방측 하부가 개방된 내부공간(63)을 갖는다. 유동프레임 본체부(62)의 내부공간(63)에는 제1구동축(69)의 연장방향 하방을 향하도록 제1구동모터(68)가 수용된다. 그리고, 제1구동축(69)의 하단부에는 제1평기어(67)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하유동프레임(61)은 요동프레임 본체부(62)의 개방된 전방측 하부에는 하단에 제1평기어(67)와 맞물려 회전가능한 제2평기어(76)와 제3평기어(77)가 장착되며 전방을 향하는 측면에 수평빔(4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좌우이동가이드레일(78)이 장착된 좌우이동가이드플레이트(70)를 구비한다.
한편, 용접헤드부(50)는 고정프레임(51)의 내부공간(55)으로 수용된 승강결합부(64)의 관통공(65)을 관통하여 상단과 하단이 플레이트 연결하우징(54)의 상단과 하단에 고정되는 탄성지지축(80)을 더 구비한다. 제1탄성부재(66)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코일 스프링으로서 내측으로 탄성지지축(80)이 관통되어 유동프레임본체부(62)를 하방으로 탄성 지지한다.
좌우이동프레임(71)은 수평빔(41)의 폭 방향으로 길이연장되며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갖는 직사각기둥 형상으로, 후방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내부공간(72)이 형성된다.
좌우이동프레임(71)은 내부공간(72) 하부에 수평빔(41)의 폭 방향으로 길이연장되며 후방을 향하는 측부에 제2평기어(76)와 제3평기어(77)와 맞물리는 래크기어(75)가 형성된 래크바(74)가 수용장착되며, 내부공간(72) 상부에는 래크바(74)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좌우이동가이드레일(78)의 홈에 안착되어 죄우이동프레임(71)과 함께 좌우이동가이드레일(78)에 대해 수평빔(41) 폭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레일안착바(79)가 장착된다.
한 쌍의 판재지지유닛(81)은 좌우이동가이드플레이트(70)의 길이방향 일단 또는 타단에 수평빔(41)의 길이방향에 나란하게 연장되며 전방을 향하는 일측의 상부가 하부보다 돌출되게 단턱지게 형성된 고정플레이트(82)와, 고정플레이트(82)의 일측 하부(82a)에 대해 돌출된 고정플레이트(82)의 일측 상부(82b)에 수직하방으로 관통되어 고정플레이트(82)의 일측 하부(82a)와 마주하는 회동위치고정볼트(84)와, 고정플레이트(82)의 일측 상부(82b)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된 회동위치고정볼트(84)가 삽입결합되는 결합홈(미도시) 상단측에 형성되며 고정플레이트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되게 연장된 회동플레이트(86)와, 회동플레이트(86)의 전단측 하단에 판재(1)의 일측 또는 타측에 접촉되어 원통상태가 유지되게 판재(1)의 일측 또는 타측을 하방으로 가압하되 수평빔(41)이 수직빔(31)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시 판재(1)에 접촉되어 구름운동가능한 구형상의 마찰감소볼(89)을 구비하는 판재가압부재(88)를 각각 구비한다.
회동위치고정볼트(84)는 고정플레이트(82)의 상단에 대해 상방에 위치하는 조임핸들부(84a)와, 조임핸들부(84)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고정플레이트(82)를 관통하되 고정플레이트(82)에 대해 조임핸들부(84)와 함께 회전가능하며 고정플레이트(82)에 대해 돌출된 하부가 회동플레이트(86)의 결합홈에 나사결합되어 회동플레이트(86)를 회동시키거나 회동을 제한하는 나사결합부(미도시)를 구비한다.
한 쌍의 판재지지유닛(81)의 각 회동플레이트(86)는 원통형상으로 구부러진 판재(1)의 직경에 따라 전방측 각 단부가 상호 멀어지거나 좁혀지도록, 사용자가 조임핸들부(84) 수동조작에 의해 회동될 수 있다.
상하 미세 위치조절부(90)는 수동조작되는 것으로서, 지지프레임(91)과, 상하 미세위치이동프레임(93)과, 상하조절스크류볼트(95)를 구비한다.
지지프레임(91)은 좌우이동프레임(71)의 길이방향 일측에 장착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되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갖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좌우이동프레임(71)의 길이방향 타측에서 일측 방향으로 인입되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양측이 폐쇄된 더브테일홈(92)이 형성된다.
상하 미세 위치이동프레임(93)은 상하로 연장된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더브테일홈(92)에 마주하는 측에 위치되며 더브테일홈(92)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더브테일돌기(미도시)가 형성된다.
상하조절스크류볼트(95)는 지지프레임(91)의 상단에서 더브테일홈(92)으로 연장되어 상하미세 위치이동프레임(93)의 더브테일돌기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며 하단이 지지프레임(91)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하미세위치이동프레임(93)을 승강시키는 스크류부(96)와, 지지프레임(91)의 상단으로 관통연장된 스크류부(96)와 연결되어 지지프레임(91)의 상방에서 스크류부(96)의 회전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상하위치조절핸들부(97)를 구비한다.
위버(100)는 상하 미세위치이동프레임(93)의 전방 측부에 결합되며 내부공간을 갖는 제1하우징(101)과, 상기 제1하우징(101) 내에 장착되며 제2구동축(103)이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게 장착되며 제어부(190)와 연결된 제2구동모터(102)와, 상기 제2구동축의 단부에 장착된 제1베벨기어(106)와, 제1베벨기어(106)와 치합하며 회동축(104)과 함께 회전되게 회동축(104)이 관통장착되는 제2베벨기어(108)와, 제2베벨기어(108)와 마주하는 위치에서 제1베벨기어(106)와 치합되어 제1베벨기어(106)의 회전을 지지하며 내측으로 회동축(104)이 회전가능하게 관통되는 보조베벨기어(110)를 구비한다.
제2구동축(103)은 도 8을 참고하면, 제2구동모터(102)의 제2회전축(102a)와 감속기(105)에 의해 기어연결된 것이 적용되고 있으나, 도시된 바와 다르게 감속기(105)와, 제2회전축(102a) 없이 제2구동모터(102)에 직접 연결된 것일 수도 있다.
회동축(104)은 수평빔(41)의 폭 방향으로 길이연장되어 제1하우징(101)에 대해 돌출형성되어 회동부재(111)와 결합된다.
회동부재(111)는 도 9를 참고하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용접용 토치(56)가 관통장착되는 토치관통공(112)과, 상기 위버에 마주하는 일측부에 상기 회동축의 단부가 연장방향으로 삽입장착되게 측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상기 토치관통공과 연통되는 회동축삽입공(113)이 형성된다.
그리고, 회동부재(111)는 상부의 전방을 향하는 일측에 상방, 전방 및 일측방으로 개방되며 토치관통공(112)과 연통된 제1절제부(114)가 형성되어 제1절제부(114)를 관통하는 제1볼트(121)에 의해 토치관통공(112)의 직경이 감소되어 용접용 토치(56)를 파지하며, 하부의 후방을 향하는 일측에 하방,후방 및 타측방으로 개방되며 회동축삽입공(113)과 토치관통공(112)과 연통되는 제2절제부(117)가 형성되어, 제2절제부(117)를 관통하는 제2볼트(123)에 의해 회동축삽입공(113)의 직경이 감소되어 회동축(104)에 고정된다.
도 9를 참고하면, 제1절제부(114)는 전방 측 상단 일측에서 하방으로 일정한 폭으로 인입형성되되 후방측이 토치관통공(112)과 연통되고 전방측이 개방되게 인입형성되는 제1수직홀(115)과, 회동축삽입공(113)이 형성된 일측부에 대한 타측부에 회동축(104) 방향으로 인입되고 인입된 단부는 토치관통공(112)과 제1수직홀(115)의 하단과 연통되며 전방측이 개방되는 제1수평홀(116)이 형성된다.
제2절제부(117)는 후방 측 하단 타측에서 상방으로 일정한 폭으로 인입형성되되 전방측이 토치관통공(112)과 연통되고 후방측이 개방되게 인입형성되는 제2수직홀(118)과, 회동축삽입공(113)이 형성된 일측에서 회동축삽입공(113) 보다 후방측 위치에서 회동축(104)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인입되어 전방을 향하는 일측이 회동축삽입공(113)과 연통되고 인입된 단부는 토치관통공(112)과 제2수직홀(118)의 상단과 연통되며 후방 측이 개방되는 제2수평홀(119)이 형성된다.
와이어 피딩기(140)는 피딩지지브라켓(141)과, 제3구동모터(143)과, 제1기어(145)와, 제1 및 제2롤러(146,148)와, 제3 및 제4롤러(151,153)와, 제1회동브라켓(156)과, 제2회동브라켓(158)과, 용접 와이어 밀착부(160)를 구비한다.
피딩지지브라켓(141)은 수평빔(41)의 상단에 대해 돌출되게 상방으로 연장되며 수평빔(4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판 형상으로 형성된 판 본체부(141a)와, 상부의 수평빔(41)의 길이방향 양측에 후술되는 제1 및 제2회동브라켓(156,158)이 회동가능하게 결힙될 수 있게 판 본체부(141a)에 대해 나란하게 돌출 형성된 제1 및 제2돌출부(155,142)가 마주하게 형성된다.
제1돌출부(155)는 수평빔(41) 길이방향으로 용접와이어(3)가 관통연장되는 되는 제1와이어연장부(155b)와, 제1와이어연장부(155b)의 상단에서 판본체부(41a)에 나란하게 상방으로 연장되어 제1회동브라켓(156)이 힌지결합되는 제1브라켓힌지결합부(155a)를 구비한다. 제1돌출부(142)는 수평빔(41) 길이방향으로 용접와이어(3)가 관통연장되는 되는 제2와이어연장부(142b)와, 제1와이어연장부(142b)의 상단에서 판본체부(41a)에 나란하게 상방으로 연장되어 제2회동브라켓(158)이 힌지결합되는 제2브라켓힌지결합부(142b)를 구비한다.
제3구동모터(143)는 피딩지지브라켓(141)의 일측면에 장착되며 제3구동축(144)이 수평빔(41)의 폭 방향으로 관통연장되게 장착되며 제어부(190)와 연결된다. 제어부(190)는 용접 수행 속도와 용접와이어 인출속도가 동일하게 수평구동모터(38)에 의한 수평빔(41)의 이동속도에 비례하여 제3구동모터(143)의 제3구동축(144)이 회전되게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기어(145)는 피딩지지브라켓(141)을 관통한 제3구동축(141)에 장착된다.
제1 및 제2롤러(146,148)은 제1기어(145)를 사이에 두고 수평빔(41)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각 일단에 제1기어(145)와 맞물리는 제2기어(147)와 제3기어(149)가 일체로 회전되게 각각 일단에 장착되며 각 상단으로 권취해제된 용접와이어(3)를 지지할 수 있도록 피딩지지브라켓(141)에 장착된다.
제3 및 제4롤러(151,153)는 제2기어(147)와 제3기어(149)에 각각 대응되는 수직상방에서 제2기어(147)와 제3기어(149)에 치합되는 제4기어(152) 및 제5기어(154)가 일체로 회전되게 각각 일단에 장착되며 제1롤러(146)와 제2롤러(148)의 각 수직상방에 위치되어 권취 해제된 용접와이어(3)의 상부와 접한다.
제1회동브라켓(156)은 하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157)이 형성되며 제4기어(152)가 결합된 제3롤러(151)가 제1회동브라켓(156)의 내부공간(157)으로 수용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절곡부(141a)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회동브라켓(158)은 하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159)이 형성되며 제4기어(154)가 결합된 제4롤러(153)가 제2회동브라켓(158)의 내부공간(159)으로 수용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절곡부(141b)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도 9와 도10을 참고하면, 제1회동브라켓(156)은 제1롤러(146)와 제2롤러(148)의 상단으로 용접와이어(3) 투입 시 제4기어(154)가 제2기어(147)에 맞물린 상태에서 제3롤러(151)가 제1롤러(146)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되게 제3롤러(151)를 지지한다. 그리고, 제2회동브라켓(158)은 제1롤러(146)와 제2롤러(148)의 상단으로 용접와이어(3) 투입 시 제5기어(154)가 제3기어(149)에 맞물린 상태에서 제4롤러(153)가 제2롤러(148)에 대해 이격되게 제4롤러(153)를 지지하며, 제1회동브라켓(156)과 마주한다.
용접 와이어 밀착부(160)는 제3롤러(151)와 제4롤러(153)가 용접와이어(3)와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어 회전시 제1 및 제2롤러(146,148)와 함께 용접와이어(3)를 용접헤드부(50) 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제1회동브라켓(156)과 제2회동브라켓(158)을 수직하방으로 탄성가압한다.
용접와이어 밀착부(160)는 제1기어(145)의 수직상방에 위치되게 피딩지지브라켓(141)의 타측면에서 상방이 개방된 수용홈(162)을 갖도록 'U'자 형상으로 돌출형성되는 힌지결합턱(161)과, 제1 및 제2회동브라켓(156,158)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부가 힌지결합턱(161)의 수용홈(162)에 수용되어 수평빔(41)의 폭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본체(163)와, 회동본체(163)의 상부가 하방에서 상방으로 결합되게 상방으로 인입되되 회동본체(163)의 상부 직경보다 큰 내격을 갖는 인입홈(166)이 형성되는 파지부(165)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부에 제 및 제2회동브라켓(156,158)과 접촉가능하게 외경이 확장된 플랜지(167)가 형성되고 내부에 회동본체(163)가 관통연장가능하게 회동본체(163) 보다 큰 내경을 갖는 중공(미도시)이 형성된 브라켓 가압부재(166)와, 브라켓 가압부재(166)의 중공에 수용되며 내측으로 회동본체(163)가 관통되어 브라켓가압부재(166)의 내경이 축소된 하단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제2탄성부재(169)를 구비한다.
모니터링부(180)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용접헤드부(50) 또는 판재(1)의 상방에서 수평빔(41) 이동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갠트리 크레인 형태의 별도 이동부재에 용접용 토치의 용접부분(A)을 향하도록 장착되는 카메라(181)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자동용접장치(10)는 모니터링부에 의해 촬영된 용접부분(A) 영상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부(180)에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87)를 더 구비하고, 조작부(185)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87)를 통해 용접부분 확인 후 용접헤드부(50)의 용접 수행 지속 및 정지를 조작할 수 있는 다수의 버튼이나 조이스틱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조작부(185)는 시작버튼, 정지버튼이 마련되며, 용접용 토치(56)의 위치를 직접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이동조작부와, 수직이동조작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버튼은는 위빙폭과, 위빙 속도 설정값, 위빙 작동상태 표시를 위한 다수의 위빙표시부와, 위빙폭, 위빙속도 및 위빙 구동 및 정지 설정을위한 다수의 위빙셋팅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7)와 조작부(185)는 베이스플레이트(187)에 장착된 제어부(190)에 포함될 수도 있으며, 제어부(1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무선통신수단(미도시)을 통해 원거리에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위빙상태와 용접조건을 디지털로 표시하는 다수의 디지털 표시부와 위빙상태 및 용접조건 설정값을 조작할 수 있는 별도의 다수의 버튼을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자동용접장치(10)의 용접용 토치(56)는 용접와이어가 공급되는 TIG(Tungsten Inert Gas welding) 용접용 토치가 적용되나, 용가재가 전극봉 역할을 하는 가스 메탈 아크 용접(Gas Metal Arc Weld)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CO2 용접용 토치 또는 MIG 용접용 토치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용접용 토치(56)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아르곤 등과 같은 불활성가스를 함께 공급할 수 있는 구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접용 토치(56)는 상부에 와이어 피딩기(140) 로부터 공급된 와이어를 용접부분(A) 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용접와이어 안내유닛이 장착된다.
용접와이어 안내유닛은 용접용 토치(56)의 관통되는 토치파지공(202)이 형성되며 토치파지공(202)에 전방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관통되는 상하관통공(204)이 형성되는 토치결합브라켓(201)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하관통공(204)에 관통장착되는 수직연장바(208)와, 수직연장바(208)의 하단에 길이연장된 일측부가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부가 용접용 토치(56) 하단측으로 절곡되며 내측으로 용접 와이어(3)가 관통연장되는 와이어 공급관(210)을 구비한다.
토치결합브라켓(201)은 토치파지공(202)과 상하관통공(204)이 연통되게 토치파지공(202)과 상하관통공(204) 사이의 내측이 상하로 관통형성되며, 용접와이어 안내유닛(200)은 토치파지공(202)과 상하관통공(204) 사이의 토치결합브라켓(201) 일측부를 관통하여 타측부에 나사결합되어 토치파지공(202)과 상하관통공(204)의 내경을 감소시켜 토치결합브라켓(201)과 수직연장바(208)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볼트(206)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 제조를 위한 판재 반자동 용접장치(10)는 수평빔(41)에 대해 용접헤드부(50)가 상하로 완충가능하고, 좌우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용접용 토치(56)가 상하방햐으로 미세위치조절 및 수평빔 길이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여 안정적이며, 정밀하게 용접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 제조를 위한 판재 반자동 용접장치(10)는 용접 수행 중 모니터링부(180)를 통해 용접부위를 관찰하여 사용자가 용접 수행을 정지 속도 조절 또는 용접헤드부(50)의 위치조절을 조작할 수 있어 정밀용접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11에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동부재(311)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관 제조를 위한 판재 반자동 용접장치는 회동부재(311)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판재 반자동 용접장치의 구조와 동일하다.
회동부재(311)는 도 13을 참고하면, 메인회동결합부(312)와, 커버부(317)와, 조임볼트(320)를 구비한다.
메인회동결합부(31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 중심으로 회동축(104)이 결합되게 인입된 축 결합홈(313)이 형성되며 타면에 일측방향으로 인입되어 용접용 토치(56)의 일측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직경방향으로 연장된 제1토치수용부(314)가 형성된다.
커버부(317)는 메인회동결합부(312)와 결합가능하게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면에 제1토치수용부(314)와 형합되어 용접용토치(56)의 타측부가 수용되는 제2토치수용부(318)가 직경선상으로 형성된다.
메인회동결합부(312)는 제1토치수용부(314)의 폭이 조절되어 제1 및 제2토치수용부(314,318)를 관통하여 거치되는 용접용 토치(56)를 고정 및 고정해제할 수 있도록 제1토치수용부(314)의 일측이 가장자리에서 중심측까지 회동축(104) 관통 방향으로 관통형성되게 절제된 제3절제부(315)가 형성된 'C' 형상의 고리형태로 형성된다.
조임볼트(320)는 메인회동결합부(312)의 폭 방향으로 제3절제부(315)를 관통하게 메인회동결합부(312)에 나사결합되어 나사결합된 방향에 따라 절제부(315)의 폭을 좁혀 제1토치수용부(314)와 제2토치수용부(318)가 형성하는 공간을 좁혀 용접용 토치(56)를 파지하거나 용접용 토치(100)를 파지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및 제2토치수용부(314,318)은 조임볼트(320)를 통해 절제부(315)의 폭을 좁혀 용접용 토치(56)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제3절제부(315)에 인접한 각 일측이 타측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인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 제조를 위한 판재 반자동 용접장치는 수평빔에 대해 용접헤드부가 상하로 완충가능하고, 좌우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용접용토치가 상하방햐으로 미세위치조절 및 수평빔 길이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여 안정적이며, 정밀하게 용접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 제조를 위한 판재 반자동 용접장치는 용접 수행 중 모니터링부를 통해 용접부위를 관찰하여 사용자가 용접 수행을 정지 속도 조절 또는 용접헤드부의 위치조절을 조작할 수 있어 정밀용접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관 제조를 위한 판재 반자동 용접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환 보호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판재 10 : 관 제조를 위한 판재 반자동 용접장이
20 : 받침부 30 : 베이스플레이트
31 : 수직빔 35 : 승강슬라이더
41 : 수평빔 50 : 용접헤드부
51 : 고정프레임 56 : 용접용 토치
61 : 상하유동프레임 71 : 좌우이동프레임
81 : 판재원통유지유닛 90 : 상하미세위치조절부
101 : 위버 111 : 회동부재
120 : 와이어 공급릴 140 : 와이어 피딩기
180 : 모니터링부 190 : 제어부

Claims (6)

  1. 판재의 양측이 마주하여 원통형상으로 상기 판재를 유지시키며 제조하려는 관체의 직경의 크기에 따라 상호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위치이동이 가능한 제1 및 제2의 받침롤러가 각각 장착된 한 쌍의 받침부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심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빔과; 수직빔에 장착되어 승강하는 승강슬라이더와; 상기 승강슬라이더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장착되어 상기 판재의 마주하는 양단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수평빔과; 상기 수평빔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수평빔의 이동방향으로 상기 판재의 마주하는 양측 단부를 용접하는 용접용 토치가 장착되는 용접헤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접헤드부는
    상기 수평빔의 단부에 장착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해 상하로 이동가능하되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판재와 접촉 또는 판재 용접 중 이동시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탄성지지되는 상하유동프레임과,
    상기 상하유동프레임에 장착된 제1구동모터의 제1구동축과 기어연결되어 상기 구동축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상하유동프레임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좌우이동프레임과,
    상기 좌우이동프레임보다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상기 상하유동프레임의 양측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판재의 양측부를 지지하는 판재원통유지유닛과,
    상기 좌우이동프레임의 일측에서 돌출된 지지프레임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하 미세 위치이동프레임을 포함하는 상하 미세 위치조절부와,
    상기 상하 미세 위치이동프레임의 측부에 결합되며 상기 수평빔의 이동방향으로 회전가능한 회동축을 갖는 위버와,
    상기 회동축과 결합되어 상기 수평빔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회동축과 함께 회동되며 용접용 토치를 파지하는 회동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위버는 상기 상하 미세위치이동프레임과 결합되며 내부공간을 갖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 내에 장착되며 제2구동축이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게 장착된 제2구동모터와, 상기 제2구동축의 단부에 장착된 제1베벨기어와, 상기 제1베벨기어와 치합하며 상기 회동축과 함께 회전되게 상기 회동축이 관통장착되는 제2베벨기어와, 상기 제2베벨기어와 마주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베벨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제1베벨기어의 회전을 지지하며 내측으로 상기 회동축이 회전가능하게 관통되는 보조베벨기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체 형성을 위한 판재 반자동 용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용 토치가 용접하는 용접 부분을 촬영하는 모니터링부와,
    상기 모니터링부에 의해 촬영된 상기 용접부분 영상을 사용자가 확인 후 상기 용접헤드부의 용접 수행 지속 및 정지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명령에 따라 상기 수평빔의 이동 및 상기 용접헤드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체 형성을 위한 판재 반자동 용접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용접용 토치가 관통장착되는 토치관통공과, 상기 위버에 마주하는 일측부에 상기 회동축의 단부가 연장방향으로 삽입장착되게 측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상기 토치관통공과 연통되는 회동축삽입공이 형성되고,
    상부의 상기 수평빔에 멀어지는 방향 측에 상방 및 상기 수평빔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개방되며 상기 토치관통공과 연통된 제1절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절제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1볼트에 의해 상기 토치관통공의 직경이 감소되어 상기 용접용 토치를 파지하며,
    하부의 상기 수평빔에 인접하는 방향 측에 하방 및 상기 수평빔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개방되며 상기 회동축삽입공과 상기 토치관통공과 연통되는 제2절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절제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2볼트에 의해 상기 회동축삽입공의 직경이 감소되어 상기 회동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체 형성을 위한 판재 반자동 용접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빔의 타단부측 상단에 장착되어 용접 와이어가 권취되는 와이어 공급릴과,
    상기 와이어 공급릴에 대해 상기 용접헤드부 측으로 이격되게 상기 수평빔의 상단에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 공급릴에 권취된 상기 용접와이어를 상기 용접헤드부 측으로 당겨 공급하는 와이어 피딩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 피딩기는
    제3구동축이 상기 수평빔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게 장착된 제3구동모터와,
    상기 제3구동축에 장착된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수평빔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각 일단에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는 제2기어와 제3기어가 각각 형성되며 각 상단으로 권취해제된 상기 용접와이어를 지지하는 제1 및 제2롤러와,
    상기 제2기어와 상기 제3기어에 각각 대응되는 수직상방에서 상기 제2기어와 상기 제3기어에 치합되는 제4기어 및 제5기어가 각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의 각 수직상방에 위치되어 권취해제된 상기 용접와이어의 상부와 접하는 제3 및 제4롤러와,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의 상단으로 상기 용접와이어 투입 시 상기 제4기어가 상기 제2기어에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제3롤러가 상기 제1롤러에 대해 이격되게 상기 제3롤러를 지지하는 제1회동브라켓과,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의 상단으로 상기 용접와이어 투입 시 상기 제5기어가 상기 제3기어에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제4롤러가 상기 제2롤러에 대해 이격되게 상기 제4롤러를 지지하며 상기 제1회동브라켓과 마주하는 제2회동브라켓과,
    상기 제3롤러와 상기 제4롤러가 상기 용접와이어와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어 회전시 상기 제1 및 제2롤러와 함께 상기 용접와이어를 상기 용접헤드부 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회동브라켓과 상기 제2회동브라켓을 수직하방으로 탄성가압하는 용접 와이어 밀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체 형성을 위한 반자동 용접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 중심으로 상기 회동축이 결합되며 타면에 일측방향으로 인입되어 상기 용접용 토치의 일측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직경방향으로 연장된 제1토치수용부가 형성된 메인회동결합부와,
    상기 메인회동결합부와 결합가능하게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면에 상기 제1토치수용부와 형합되어 상기 용접용 토치의 타측부가 수용되는 제2토치수용부가 직경선상에 형성되는 커버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회동결합부는
    상기 제1토치수용부의 폭이 조절되어 상기 제1 및 제2토치수용부를 관통하는상기 용접용 토치를 고정 및 고정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토치수용부의 일측이 가장자리에서 중심측까지 상기 회동축 관통 방향으로 관통형성되게 절제된 절제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메인회동결합부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절제부를 관통하게 상기 메인회동결합부에 나사결합되어 나사결합된 방향에 따라 상기 절제부의 폭을 좁혀 상기 제1 및 제2토치수용부가 형성하는 공간을 좁혀 상기 용접용 토치를 파지하거나 파지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임볼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체 형성을 위한 판재 반자동 용접장치.
KR1020190119070A 2019-08-29 2019-09-26 관 제조를 위한 판재 반자동 용접장치 KR1022238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06857 2019-08-29
KR1020190106857 2019-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3887B1 true KR102223887B1 (ko) 2021-03-05
KR102223887B9 KR102223887B9 (ko) 2022-05-10

Family

ID=75164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9070A KR102223887B1 (ko) 2019-08-29 2019-09-26 관 제조를 위한 판재 반자동 용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887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24230A (zh) * 2021-08-30 2021-10-22 江苏浩特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焊接机轨迹可调式工业机器人
CN113927223A (zh) * 2021-10-14 2022-01-14 广东斯丹诺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铝厢车侧板自动焊接龙门
KR102357199B1 (ko) * 2021-08-04 2022-02-08 베스트에프에이 주식회사 반응기의 하프코일 용접장치
CN114083129A (zh) * 2021-12-17 2022-02-25 吴小燕 一种三维视觉跟踪焊接机器人及其控制方法
CN114888414A (zh) * 2022-05-26 2022-08-12 徐州工业锅炉有限公司 一种高安全性环保全自动焊接装置
KR102436362B1 (ko) 2021-12-27 2022-08-24 박수영 관체 용접용 고정장치 및 관체 제조방법
CN116727916A (zh) * 2023-08-15 2023-09-12 衡水金湖交通发展集团有限公司 一种移动式桥梁护栏焊接设备和焊接方法
CN117484005A (zh) * 2024-01-03 2024-02-02 济南显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内窥镜构件的焊接装置
CN117754197A (zh) * 2024-02-22 2024-03-26 山东胜越石化工程建设有限公司 一种压力容器焊接装置
CN117961399A (zh) * 2024-03-29 2024-05-03 常州市华瑞焊割机械有限公司 一种焊枪管调整机构及具有该机构的焊枪
CN118046150A (zh) * 2024-04-11 2024-05-17 潍坊鸿洋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排气管制作加工焊接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5690A (ko) * 2003-12-11 2004-08-30 (주)태신 지 엔 더블류 와이어 피더
KR20130130311A (ko) * 2012-05-22 2013-12-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용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569742B1 (ko) 2014-10-21 2015-11-17 하영근 파이프 용접장치
KR20190004190A (ko) * 2017-07-03 2019-01-11 주식회사대불용접산업 오버레이 용접기법을 적용한 대구경 원형관 티그 용접장치
KR20190018955A (ko) * 2017-08-16 2019-02-26 대화정공 주식회사 토치 이동형 플랜지 자동 용접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5690A (ko) * 2003-12-11 2004-08-30 (주)태신 지 엔 더블류 와이어 피더
KR20130130311A (ko) * 2012-05-22 2013-12-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용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569742B1 (ko) 2014-10-21 2015-11-17 하영근 파이프 용접장치
KR20190004190A (ko) * 2017-07-03 2019-01-11 주식회사대불용접산업 오버레이 용접기법을 적용한 대구경 원형관 티그 용접장치
KR20190018955A (ko) * 2017-08-16 2019-02-26 대화정공 주식회사 토치 이동형 플랜지 자동 용접장치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7199B1 (ko) * 2021-08-04 2022-02-08 베스트에프에이 주식회사 반응기의 하프코일 용접장치
CN113524230A (zh) * 2021-08-30 2021-10-22 江苏浩特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焊接机轨迹可调式工业机器人
CN113927223B (zh) * 2021-10-14 2023-11-21 广东斯丹诺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铝厢车侧板自动焊接龙门
CN113927223A (zh) * 2021-10-14 2022-01-14 广东斯丹诺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铝厢车侧板自动焊接龙门
CN114083129A (zh) * 2021-12-17 2022-02-25 吴小燕 一种三维视觉跟踪焊接机器人及其控制方法
KR102436362B1 (ko) 2021-12-27 2022-08-24 박수영 관체 용접용 고정장치 및 관체 제조방법
CN114888414A (zh) * 2022-05-26 2022-08-12 徐州工业锅炉有限公司 一种高安全性环保全自动焊接装置
CN116727916B (zh) * 2023-08-15 2024-02-02 衡水金湖交通发展集团有限公司 一种移动式桥梁护栏焊接设备和焊接方法
CN116727916A (zh) * 2023-08-15 2023-09-12 衡水金湖交通发展集团有限公司 一种移动式桥梁护栏焊接设备和焊接方法
CN117484005A (zh) * 2024-01-03 2024-02-02 济南显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内窥镜构件的焊接装置
CN117484005B (zh) * 2024-01-03 2024-04-12 济南显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内窥镜构件的焊接装置
CN117754197A (zh) * 2024-02-22 2024-03-26 山东胜越石化工程建设有限公司 一种压力容器焊接装置
CN117754197B (zh) * 2024-02-22 2024-04-16 山东胜越石化工程建设有限公司 一种压力容器焊接装置
CN117961399A (zh) * 2024-03-29 2024-05-03 常州市华瑞焊割机械有限公司 一种焊枪管调整机构及具有该机构的焊枪
CN117961399B (zh) * 2024-03-29 2024-06-04 常州市华瑞焊割机械有限公司 一种焊枪管调整机构及具有该机构的焊枪
CN118046150A (zh) * 2024-04-11 2024-05-17 潍坊鸿洋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排气管制作加工焊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3887B9 (ko) 202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3887B1 (ko) 관 제조를 위한 판재 반자동 용접장치
US8026456B2 (en) TIG welding system and method
EP2478987B1 (en) Wire electrode drive pressure adjustment system and method
JPH09271986A (ja) 高速回転アーク自動溶接装置
JP6307552B2 (ja) 水平型自動溶接装置
KR20130110183A (ko) 플라즈마 및 산소 연료 절단기용 베벨 헤드 장치
US20140042127A1 (en) Electrical Discharge Machine
KR101385297B1 (ko) 원형 용접 케리지
US20060157461A1 (en) Welding wire spool and drive cartridge
KR101614257B1 (ko) 파이프 맞대기 서브머지드 아크용접장치
KR102234022B1 (ko) 관 제조를 위한 용접관리시스템
US2778099A (en) Method of welding and apparatus therefor
KR19990003465U (ko) 원통형부재의 표면 자동육성장치
KR101094312B1 (ko) 레일 주행방식의 자동 용접장치
KR20100050223A (ko) 가스텡스텐아크 용접용 와이어 자동공급장치
KR101685258B1 (ko) 알곤가스 용접기의 조절기가 구비된 용접 와이어 공급기
JP2001129666A (ja) 補修用溶接装置
KR101542424B1 (ko) 휴대용 용접 와이어송급기
CN214024212U (zh) 一种直缝焊接装置
CN220161585U (zh) 一种电焊装置
KR101867685B1 (ko) 용접용 토치
JPH0560669U (ja) 多関節ロボットのワイヤ送給装置
KR100995373B1 (ko) 아크용접기용 콘트롤유닛
CN215747295U (zh) 一种多功能组合焊接装置
JP6349569B2 (ja) セルフシールドアーク溶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