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6362B1 - 관체 용접용 고정장치 및 관체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관체 용접용 고정장치 및 관체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6362B1
KR102436362B1 KR1020210188532A KR20210188532A KR102436362B1 KR 102436362 B1 KR102436362 B1 KR 102436362B1 KR 1020210188532 A KR1020210188532 A KR 1020210188532A KR 20210188532 A KR20210188532 A KR 20210188532A KR 102436362 B1 KR102436362 B1 KR 102436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bar
welding object
press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8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영
심상철
Original Assignee
박수영
심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영, 심상철 filed Critical 박수영
Priority to KR1020210188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3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23K37/0531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internal pipe alignment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체 용접용 고정장치 및 관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판상으로부터 관 형태로 말아져 일측에 용접공간이 형성되는 용접대상물에 대한 안정적인 고정을 통해 용접공간으로의 용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관체로의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관체 용접용 고정장치 및 관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관체 용접용 고정장치 및 관체 제조방법{FIXING APPARATUS FOR PIPE WELDING AND OF MANUFACTURE METHOD PIPE}
본 발명은 관체 용접용 고정장치 및 관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판상으로부터 관 형태로 말아져 일측에 용접공간이 형성되는 용접대상물에 대한 안정적인 고정을 통해 용접공간으로의 용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관체로의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관체 용접용 고정장치 및 관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체는 유체나 분체의 수송용뿐만 아니라 건축물이나 각종 기계기구의 구조용으로 널리 사용된다.
예를 들면, 관체는 자동차용 촉매 컨버터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관체는 판상으로부터 관 형태로 말아져 양단부가 대향되도록 제작된 용접대상물의 양단부가 용접에 의해 연결되면서 제조될 수 있다.
즉, 용접대상물은 양단부가 이격된 상태로부터 외력에 의해 접하면서 용접에 의해 연결되며 관체를 이룬다.
그러나, 종래에는 용접대상물에 대한 용접시, 용접대상물에 대한 고정이 쉽지 않은 것은 물론, 용접대상물의 양단부를 접하도록 하기 어렵기 때문에 용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23887호(2021.03.05.) '관 제조를 위한 판재 반자동 용접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판상으로부터 관 형태로 말아져 일측에 용접공간이 형성되는 용접대상물에 대한 안정적인 고정을 통해 용접공간으로의 용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관체로의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관체 용접용 고정장치 및 관체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판상으로부터 관 형태로 말아져 일측에 용접공간(A)이 형성되는 용접대상물(10)에 대한 용접공간(A)으로의 용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100)로서, 용접대상물(10)이 거치되는 거치부(110); 및 용접공간(A)을 이루는 양측이 접하도록 하거나 이웃하도록 하는 가압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체 용접용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거치부(110)는 지지바(112); 후단부가 지지바(112)에 고정되면서 외측으로 용접대상물(10)이 거치되는 거치바(113); 및 용접대상물(10)을 거치바(113)로 결속하는 결속수단(1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접대상물(10)은 용접공간(A)의 전,후단부에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좌우로 이격되는 제1,2탭(11,12)이 형성되며 거치바(113)의 외측으로 결합시, 전단부로부터 후단부 방향으로 결합되면서 용접공간(A)을 이루는 양측이 거치바(113)로 안착되고, 결속수단(115)은 거치바(113)의 상부 전,후방에 각각 좌우 대향되도록 배치되면서 사이로 인입되는 제1,2탭(11,12)이 걸림되도록 하는 제1,2걸림돌기(116,1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2걸림돌기(116,117)는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사이 폭이 넓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110)는 용접대상물(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거치바(113)의 상부로 결합되는 보강바(114)를 더 포함하며, 제1,2걸림돌기(116,117)는 보강바(114)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압부(120)는 거치바(113)의 상부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가압판(121); 각 가압판(121)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수단(122); 및 가압판(121)이 회동되도록 하는 가압수단(123)을 포함하며, 가압판(121)은 가압수단(123)의 구동에 따라 용접공간(A)을 중심으로 용접대상물(10)의 상부 양측을 가압하여 용접공간(A)을 이루는 양측이 접하도록 하거나 인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가압판(121)은 이웃하는 일측단부에 제1걸림돌기(116) 또는 제2걸림돌기(117)가 통과하는 한 쌍의 통공(121a)이 형성되고, 일측단부의 상부 모서리부가 경사면(121b)을 이루면서 용접공간(A)에 대한 용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수단(122)은 가압판(121)의 하부에 위치되는 지지프레임(124); 및 일단부가 가압판(121)에 고정되고 양단부 사이가 지지프레임(123)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회동바(125a)와, 한 쌍의 회동바(125a)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바(124b)로 이루어지는 회동레버(125)를 포함하며, 가압수단(123)은 구동에 따라 회동레버(125)와 함께 가압판(121)이 회동되면서 용접대상물(10)이 가압되도록 하거나 가압해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압수단(123)은 연결바(125b)와 연결되는 로드(126a)를 포함하면서 지지프레임(124)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실린더(12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체 용접용 고정장치(100)를 이용한 관체 제조방법으로서, 용접대상물(10)을 준비하는 용접대상물 준비단계(S100); 용접대상물(10)을 거치바(113)로 거치하면서 제1,2탭(11,12)이 제1,걸림돌기(116,117)에 걸림되도록 하는 용접대상물 결속단계(S200); 용접공간(A)을 이루는 양측이 접하거나 인접하도록 하는 용접대상물 가압단계(S300); 용접공간(A)을 용접하는 용접대상물 용접단계(S400); 및 용접대상물(10)로부터 제1,2탭(11,12)을 절단하는 탭 절단단계(S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체 용접용 고정장치를 이용한 관체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판상으로부터 관 형태로 말아져 일측에 용접공간이 형성되는 용접대상물에 대한 고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 용접공간으로의 용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관체로의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체 용접용 고정장치에서 고정장치로 고정되는 용접대상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체 용접용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체 용접용 고정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체 용접용 고정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체 용접용 고정장치에서 용접대상물이 거치바로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용접대상물이 거치바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관체 용접용 고정장치에서 가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에서 가압수단의 구동에 의해 가압판이 상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관체 용접용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관체 용접용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관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도 10의 순서도에 따른 용접대상물의 변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관체 용접용 고정장치(이하 "고정장치"라 한다)(100)는 관 형태로 말아져 일측에 용접공간(A)이 형성되는 용접대상물(10)에 대한 용접공간(A)으로의 용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고정장치(100)로서, 용접대상물(10)이 거치되는 거치부(110) 및 용접공간(A)을 이루는 양측이 접하도록 하거나 이웃하도록 하는 가압부(120)를 포함한다.
고정장치(100)는 용접대상물(10)로부터 관체(20)로의 제조를 위해 용접공간(A)으로의 용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용접대상물(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으로부터 양단부가 대향되도록 관 형태로 말아지면서 일측에 내부와 연통되는 용접공간(A)이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용접대상물(1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110)로 거치되고 가압부(120)에 의해 용접공간(A)을 이루는 양측이 접하거나 인접한 상태에서 별도의 용접장치(200)에 의해 용접공간(A)에 대한 용접이 이루어진다.
용접대상물(10)은 가압부(120)에 의해 용접공간(A)을 이루는 양측이 좁아지면서 용접에 적합한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즉, 용접대상물(10)은 가압부(120)에 의해 용접공간(A)을 이루는 양측이 용접에 적합한 간격을 가질 수 있으며, 용접에 적합한 간격은 용접공간(A)을 이루는 양측이 접하거나 이웃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용접대상물(10)은 용접공간(A)이 용접장치(200)에 의해 용접 즉, 접합됨으로써 관체(20)를 이룰 수 있다.
용접장치(200)는 용접토치(210) 등이 용접대상물(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용접공간(A)에 대한 용접을 진행한다. 이와 같은 용접장치(2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된 일반적인 형태를 이루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용접대상물(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공간(A)의 전,후단부에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좌우로 이격되는 제1,2탭(11,12)이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용접대상물(10)은 용접공간(A)을 이루는 일측면 전,후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탭(11)이 형성되고 타측면 전,후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탭(12)이 형성되면서 양단부에 각각 용접공간(A)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는 제1,2탭(11,12)이 형성된다.
제1,2탭(11,12)은 용접대상물(10)에 대한 용접을 위해 용접공간(A)을 이루는 양측을 인접하도록 하거나 접하도록 함에 따라 함께 인접하거나 접하면서 용접이 이루어지는 시작 지점과 종료 지점을 이룬다.
제1,2탭(11,12)은 판상으로부터 용접대상물(10)에 일체로 형성되며 용접대상물(10)에 대한 용접이 완료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을 통해 용접대상물(10)로부터 제거된다.
이에 따라, 용접대상물(10)은 관체(20)를 이룰 수 있다.
이는, 용접대상물로의 용접시, 용접이 이루어지는 시작 지점과 종료 지점에서 용접 불량 등이 발생되면서 관체에 대한 불량률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용접이 이루어지는 시작 지점과 종료 지점에서 용접 불량 등이 발생되더라도 제1,2탭(11,12)을 절단함으로써 관체(20)에 대한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거치부(11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11), 지지판(111)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바(112) 및 후단부가 지지바(112)에 고정되면서 용접공간(A)이 상방향을 향하도록 용접대상물(10)이 거치되는 거치바(113)를 포함한다.
지지판(111)은 사각으로 이루어지며, 지지바(112)는 하부가 지지판(111)의 상부면 중앙부를 중심으로 후방에 고정 설치된다.
거치바(113)는 후단부가 지지바(112)의 전면 상측에 고정되고 전단부가 지지판(111)과 이격되면서 길이방향으로의 용접대상물(10)의 결합이나 분리가 가능하다.
용접대상물(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바(113)로의 결합시, 상부 즉, 용접공간(A)을 이루는 양측이 거치바(113)의 상부로 안착된다.
용접대상물(10)은 직경이 거치바(113)보다 크게 형성되면서 거치바(113)의 전단부로부터 후단부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거치바(113)는 상부면이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곡면을 이루면서 수평으로 결합되는 용접대상물(10)의 상부가 접하며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지지부(110)는 용접대상물(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거치바(113)의 상부로 결합되는 보강바(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바(114)는 상부가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곡면을 이루면서 관 형태를 이루는 용접대상물(10)이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한다.
보강바(114)는 열에 강한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용접대상물(10)에 대한 용접시, 변형 등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보강바(114)는 거치바(113)보다 녹는 온도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거치바(11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보강바(114)의 하부가 인입되는 홈부(112a)가 전단부로부터 후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보강바(114)는 볼트 등에 의해 거치바(113)의 상부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110)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대상물(10)을 거치바(113)로 결속하는 결속수단(115)을 더 포함한다.
결속수단(115)은 거치바(113)의 상부면 전,후방에 각각 좌우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제1,2걸림돌기(116,117)를 포함한다.
즉, 제1걸림돌기(116)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거치바(113)의 상부면 일측 전,후방에 설치되고, 제2걸림돌기(117)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거치바(113)의 상부면 타측 전,후방에 설치된다.
용접대상물(10)은 거치바(113)로 결합시,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공간(A)을 이루는 일측이 한 쌍의 제1걸림돌기(116) 사이에 배치되고 타측이 한 쌍의 제2걸림돌기(117) 사이에 배치되면서 제1,2탭(11,12)이 각각 대응되는 제1,2걸림돌기(116,117)로 걸림된다.
용접대상물(10)은 전,후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1,2탭(11,12)이 제1,2걸림돌기(116,117)의 사이로 인입되면서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 및 좌우 방향으로의 회동이 방지되면서 결속된다.
제1,2탭(11,12) 간의 사이 간격이 제1,2걸림돌기(116,117)의 사이 간격보다 길게 벌어진 경우, 제1,2탭(11,12)은 용접대상물(10)의 양측을 내측 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1,2걸림돌기(116,117) 사이로 인입 가능하고, 용접대상물(10)로의 가압을 해제함에 따라 배향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1,2걸림돌기(116,117)로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접대상물(10)은 제1,2탭(11,12) 간이 제1,2걸림돌기(116,117)의 사이 간격보다 길게 벌어진 경우에도 양측을 가압함에 따라 수축되며 제1,2걸림돌기(116,117) 사이로 인입 가능하고 가압을 해제함에 따라 이완되면서 제1,2탭(11,12)이 제1,2걸림돌기(116,117)로 밀착되며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1,2걸림돌기(116,117)는 하부가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거치바(114)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1,걸림돌기(116,117)는 체결구를 조임 또는 풀림함에 따라 대향되는 방향 또는 배향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사이 폭이 조절될 수 있다.
제1,2걸림돌기(116,117)는 거치바(113)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되, '
Figure 112021150839676-pat00001
'와 같이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사이 폭이 넓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2탭(11,12)의 크기 변화 등에 쉽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용접대상물(10)은 제1,2탭(11,12)의 좌우 폭이 커지는 경우, 제1,2탭(11,12)이 제1,2걸림돌기(116,117)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이동되면서 거치바(113)로 결속될 수 있다.
제1,2걸림돌기(116,117)는 거치바(113)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나 도 2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바(113)의 상부에 보강바(114)가 설치되는 경우, 보강바(114)에 설치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가압부(120)는 도 2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바(113)의 상부 양측에 배치되면서 용접대상물(10)의 상부 양측을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판(121), 가압판(121)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수단(122) 및 가압판(121)이 회전되도록 하는 가압수단(123)을 포함한다.
한 쌍의 가압판(121)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바(113)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면서 가압수단(123)의 구동에 따라 이웃하는 일측단부가 용접대상물(10)의 상부 양측을 가압한다.
가압판(121)은 일측단부에 제1걸림돌기(116) 또는 제2걸림돌기(117)가 통과하는 한 쌍의 통공(121a)이 형성된다.
통공(121a)은 가압판(121)의 일측단부로부터 타측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가압판(121)에 대한 회동시, 가압판(121)이 제1걸림돌기(116)나 제2걸림돌기(117)에 의한 회전 방해없이 용접대상물(10)의 상부 양측에 대한 가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 쌍의 가압판(12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단부의 상부 모서리부가 경사면(121b)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압판(121)의 사이를 진행하는 용접토치(210)에 대한 이동 및 용접대상물(10)로의 용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지지수단(122)은 가압판(121)의 타측단부의 하부에 위치되는 지지프레임(124), 일단부가 가압판(121)에 고정되고 양단부 사이가 지지프레임(123)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회동바(125a)와 한 쌍의 회동바(125a)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바(124b)를 포함하는 회동레버(125)를 포함한다.
지지프레임(124)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24a) 및 지지판(111)으로부터 상판(124a)을 지지하는 한 쌍의 측판(124b)을 포함할 수 있다.
회동바(125a)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 같은 형태를 이루면서 일단부가 가압판(121)의 하부에 고정되고 양단부 사이 중앙부가 힌지결합에 의해 상판(123a)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회동레버(125)는 한 쌍의 회전바(125a)가 연결바(125b)에 의해 연결되면서 'ㄷ'자 형태를 이룬다.
가압수단(123)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2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린더(126)는 연결바(125b)에 연결되는 로드(126a)를 포함하면서 지지프레임(124)에 지지된다.
실린더(126)는 상판(124a)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구동에 따라 일정부분 회동되며 회동레버(125)가 중앙부를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실린더(126)는 정방향 구동에 따라 회동레버(125)와 함께 가압판(121)이 하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용접대상물(10)의 상부를 가압하여 용접공간(A)의 양측이 접하도록 하거나 인접하도록 한다. 용접장치(200)는 용접공간(A)의 양측이 접하거나 인접한 상태에서 용접대상물(10)의 전단부로부터 후단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용접공간(A)의 양측을 용접한다.
실린더(126)는 용접장치(20)에서의 용접이 완료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방향 구동에 따라 가압판(121)이 상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용접대상물(10)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여 거치바(113)로부터 용접대상물(10)에 대한 분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거치바(113)로부터 용접이 완료된 용접대상물(10)이 분리되면, 다른 용접대상물이 거치바(113)로 거치되고 실린더(126) 및 용접장치(200)가 상기의 구동을 반복하면서 용접대상물(10)에 대한 용접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관체(2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이 완료된 용접대상물(10)로부터 제1,2탭(11,12)이 절단됨으로써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고정장치(100)를 이용한 관체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관체 제조방법은 용접대상물(10)을 준비하는 용접대상물 준비단계(S100), 용접대상물(10)을 거치바(113)로 거치하면서 제1,2탭(11,12)이 제1,걸림돌기(116,117)에 걸림되도록 하는 용접대상물 결속단계(S200), 용접공간(A)을 이루는 양측이 접하거나 인접하도록 하는 용접대상물 가압단계(S300), 용접공간(A)에 대한 용접이 이루어지는 용접대상물 용접단계(S400) 및 용접대상물(10)로부터 제1,2탭(11,12)을 절단하는 탭 절단단계(S600)를 포함한다.
용접대상물 준비단계(S100)에서는 판상으로부터 양단부가 대향되도록 관 형태로 말아져 일측에 내부와 연통되는 용접공간(A)이 형성되는 용접대상물(10)을 준비한다.
용접대상물 결속단계(S200)에서는 용접공간(A)이 상방향을 향하도록 용접대상물(10)을 거치바(113)의 외측으로 결합시키는 한편, 결속수단(115)에 의해 용접대상물(10)이 거치바(113)로 결속되도록 한다.
용접대상물(10)은 제1,2탭(11,12)이 제1,2걸림돌기(116,117) 사이로 결합 및 걸림되면서 거치바(113)로 결속된다.
용접대상물(10)은 양측을 내측 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제1,2탭(11,12)이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1,2걸림돌기(116,117) 사이로 인입되는 한편, 가압을 해제함에 따라 제1,2탭(11,12)이 제1,2걸림돌기(116,117)로 밀착되면서 거치바(113)로 결속될 수 있다.
용접대상물 가압단계(S300)에서는 가압수단(123)의 구동에 의해 가압판(121)이 용접대상물(10)의 상부 양측을 가압하여 용접공간(A)을 이루는 양측이 접하거나 인접하도록 한다.
용접대상물 용접단계(S400)는 별도의 용접장치(200)를 이용하여 용접공간(A)의 양측이 용접되며 접합되도록 한다.
이때, 관체 제조방법은 거치부(113)로부터 용접대상물(10)을 인출하는 용접대상물 인출단계(S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용접대상물 인출단계(S500)에서는 용접이 완료된 용접대상물(10)을 거치바(113)로부터 인출한다.
탭 절단단계(S600)는 용접대상물 인출단계(S500)에서 인출된 용접대상물(10)의 양단부에 형성된 제1,2탭(11,120)을 절단한다.
탭 절단단계(S600)에서는 용접공간(A)으로 용접된 용접 부위에 대한 연마 등을 함께 진행할 수 있다.
또는, 관체 제조방법은 탭 절단단계(S600) 후에는 용접공간(A)으로 용접된 부위에 대한 연마 등을 진행하는 관체 다듬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체 제조방법은 관체(20)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관체 용접용 고정장치 및 관체 제조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용접대상물 11 : 제1탭
12 : 제2탭 20 : 관체
100 : 고정장치 110 : 거치부
111 : 지지판 112 : 지지바
113 : 거치바 114 : 보강바
115 : 결속수단 116 : 제1걸림돌기
117 : 제2걸림돌기 120 : 가압부
121 : 가압판 122 : 지지수단
123 : 가압수단 124 : 지지프레임
125 : 회동레버

Claims (10)

  1. 판상으로부터 관 형태로 말아져 일측에 용접공간(A)이 형성되는 용접대상물(10)에 대한 용접공간(A)으로의 용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100)로서,
    용접대상물(10)이 거치되는 거치부(110); 및 용접공간(A)을 이루는 양측이 접하도록 하거나 이웃하도록 하는 가압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110)는, 지지바(112); 후단부가 지지바(112)에 고정되면서 외측으로 용접대상물(10)이 거치되는 거치바(113); 용접대상물(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거치바(113)의 상부로 결합되는 보강바(114); 및 용접대상물(10)을 거치바(113)로 결속하는 결속수단(115)을 포함하며,
    상기 용접대상물(10)은 용접공간(A)의 전,후단부에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좌우로 이격되는 제1,2탭(11,12)이 형성되며 거치바(113)의 외측으로 결합시, 전단부로부터 후단부 방향으로 결합되면서 용접공간(A)을 이루는 양측이 거치바(113)로 안착되고,
    상기 결속수단(115)은 거치바(113)의 상부 전,후방에 각각 좌우 대향되도록 배치되면서 사이로 인입되는 제1,2탭(11,12)이 걸림되도록 하는 제1,2걸림돌기(116,117)를 포함하며,
    상기 제1,2걸림돌기(116,117)는 보강바(114)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1,2걸림돌기(116,117)는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사이 폭이 넓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120)는, 거치바(113)의 상부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가압판(121); 각 가압판(121)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수단(122); 및 가압판(121)이 회동되도록 하는 가압수단(123)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판(121)은 가압수단(123)의 구동에 따라 용접공간(A)을 중심으로 용접대상물(10)의 상부 양측을 가압하여 용접공간(A)을 이루는 양측이 접하도록 하거나 인접하도록 하며,
    한 쌍의 가압판(121)은 이웃하는 일측단부에 제1걸림돌기(116) 또는 제2걸림돌기(117)가 통과하는 한 쌍의 통공(121a)이 형성되고, 일측단부의 상부 모서리부가 경사면(121b)을 이루면서 용접공간(A)에 대한 용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지지수단(122)은, 가압판(121)의 하부에 위치되는 지지프레임(124); 및
    일단부가 가압판(121)에 고정되고 양단부 사이가 지지프레임(123)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회동바(125a)와, 한 쌍의 회동바(125a)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바(124b)로 이루어지는 회동레버(125)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수단(123)은 구동에 따라 회동레버(125)와 함께 가압판(121)이 회동되면서 용접대상물(10)이 가압되도록 하거나 가압해제되도록 하며,
    상기 가압수단(123)은 연결바(125b)와 연결되는 로드(126a)를 포함하면서 지지프레임(124)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실린더(12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체 용접용 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의 관체 용접용 고정장치(100)를 이용한 관체 제조방법으로서,
    용접대상물(10)을 준비하는 용접대상물 준비단계(S100);
    용접대상물(10)을 거치바(113)로 거치하면서 제1,2탭(11,12)이 제1,걸림돌기(116,117)에 걸림되도록 하는 용접대상물 결속단계(S200);
    용접공간(A)을 이루는 양측이 접하거나 인접하도록 하는 용접대상물 가압단계(S300);
    용접공간(A)을 용접하는 용접대상물 용접단계(S400); 및
    용접대상물(10)로부터 제1,2탭(11,12)을 절단하는 탭 절단단계(S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체 용접용 고정장치를 이용한 관체 제조방법.
KR1020210188532A 2021-12-27 2021-12-27 관체 용접용 고정장치 및 관체 제조방법 KR102436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532A KR102436362B1 (ko) 2021-12-27 2021-12-27 관체 용접용 고정장치 및 관체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532A KR102436362B1 (ko) 2021-12-27 2021-12-27 관체 용접용 고정장치 및 관체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6362B1 true KR102436362B1 (ko) 2022-08-24

Family

ID=83111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8532A KR102436362B1 (ko) 2021-12-27 2021-12-27 관체 용접용 고정장치 및 관체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63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5696B1 (ko) * 2023-04-25 2024-05-14 윤문주 머플러 밸브용 케이스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1517A (ja) * 2002-12-06 2004-07-02 Honda Motor Co Ltd 円筒体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治具
KR20130082252A (ko) * 2012-01-11 2013-07-19 (주)태광테크 센터설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파이프 접합설비
KR102223887B1 (ko) 2019-08-29 2021-03-05 (주)유일 관 제조를 위한 판재 반자동 용접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1517A (ja) * 2002-12-06 2004-07-02 Honda Motor Co Ltd 円筒体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治具
KR20130082252A (ko) * 2012-01-11 2013-07-19 (주)태광테크 센터설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파이프 접합설비
KR102223887B1 (ko) 2019-08-29 2021-03-05 (주)유일 관 제조를 위한 판재 반자동 용접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5696B1 (ko) * 2023-04-25 2024-05-14 윤문주 머플러 밸브용 케이스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6362B1 (ko) 관체 용접용 고정장치 및 관체 제조방법
KR20010032169A (ko) 돌출 용접된 패널 스페이서 및 그 제조 방법
JP2005066669A (ja) 摩擦攪拌接合方法
JP3581131B2 (ja) レーザー溶接システム
US7293375B2 (en) Crawler frame for construction machine
JP3718596B2 (ja) 振動溶着装置
JP3836090B2 (ja) ロケットタンクシリンダ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2001232484A (ja) 摩擦攪拌接合方法
JP5459339B2 (ja) 接合方法
JP5050675B2 (ja) 接合方法
JP3451211B2 (ja) 中空材の製造方法
JP2001302172A (ja) ブロックの吊り方法および吊り込み用治具
JPH07276058A (ja) ディスクホィールリムのアプセットバット溶接方法
GB2585385A (en) Welding machine
CN218311750U (zh) 焊接工装
CN210703364U (zh) 一种踏板勾子用焊接模具
JP4176219B2 (ja) 摩擦攪拌接合方法と摩擦攪拌接合用キャリヤ
JP3400744B2 (ja) 中空材の製造方法
JP3193538B2 (ja) 補強材の製造方法
JP3625725B2 (ja) 摩擦攪拌接合用押し出し形材
JPS6239901Y2 (ko)
JP3080086U (ja) 構造用鋼材
JP5338955B2 (ja) 接合方法
JP6672242B2 (ja) 板材溶接方法および板材溶接装置
JPS61103607A (ja) 圧延材の接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