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5258B1 - 알곤가스 용접기의 조절기가 구비된 용접 와이어 공급기 - Google Patents

알곤가스 용접기의 조절기가 구비된 용접 와이어 공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5258B1
KR101685258B1 KR1020140151232A KR20140151232A KR101685258B1 KR 101685258 B1 KR101685258 B1 KR 101685258B1 KR 1020140151232 A KR1020140151232 A KR 1020140151232A KR 20140151232 A KR20140151232 A KR 20140151232A KR 101685258 B1 KR101685258 B1 KR 101685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elding
main body
handle
weld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1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1358A (ko
Inventor
김영민
정송균
Original Assignee
김영민
정송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민, 정송균 filed Critical 김영민
Priority to KR1020140151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258B1/ko
Publication of KR20160051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1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24Circuits or methods for feeding welding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95Monitoring or automatic control of welding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22Devices for guiding electrodes, e.g. guide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33Means for feeding electrodes, e.g. drums, rolls, motors
    • B23K9/1336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곤가스 용접기의 조절기가 구비된 용접 와이어 공급기 [TIG WELDING WIRE FEEDING WITH CONTROLLER]에 관한 것으로 보빈에 감긴 용접 와이어를 공급하는 모터와 공급롤러로 구성된 용접 와이어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접 와이어 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와이어를 용접 위치에 유도하는 직선형 유도관으로 된 공급기 본체와, 상기 본체의 유도관 선단부에 결합된 탄두형 헤드와, 본체를 안전하게 잡는 손잡이와, 본체의 유도관에 연결된 플렉시블(flexible)한 코일관으로 된 와이어의 안내관과, 상기 손잡이에 구비된 상기 와이어 공급장치의 제어용 조절기 및 조명램프로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의 손잡이를 잡고 헤드를 용접부위에 대향한 다음 조절기를 ON으로 하면, 상기 와이어 공급장치가 구동되어 보빈에 감긴 와이어가 자동 공급되는 동시 안내관에 의해 공급되는 와이어가 중간에서 늘어져 굽어지거나 휘는 일이 없이 본체의 유도관으로 용이하게 유도되어 용접부위에 정확하게 공급되고 손잡이에 구비된 조절기에 의해 와이어 공급장치의 공급속도를 원격(遠隔)에서 가감 조절할 수 있으며, 와이어를 손으로 쥐지 않으므로 화상을 입는 일이 없이 램프로 조명하면서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용접작업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알곤가스 용접기의 조절기가 구비된 용접 와이어 공급기{TIG WELDING WIRE FEEDING WITH CONTROLLER}
본 발명은 조절기가 구비된 용접 와이어 공급기에 관한 것으로 보빈에 감긴 용접 와이어를 공급하는 모터와 공급롤러로 구성된 용접 와이어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접 와이어 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와이어를 용접 위치에 유도하는 직선형 유도관으로 된 공급기 본체와, 상기 본체의 유도관 선단부에 결합된 탄두형 헤드와, 본체를 안전하게 잡는 손잡이와, 본체의 유도관에 연결된 플렉시블(flexible)한 코일관으로 된 와이어의 안내관과, 상기 손잡이에 구비된 상기 와이어 공급장치의 제어용 조절기 및 조명램프로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의 손잡이를 잡고 헤드를 용접부위에 대향한 다음 조절기를 ON으로 하면, 상기 와이어 공급장치가 구동되어 보빈에 감긴 와이어가 자동 공급되는 동시 안내관에 의해 공급되는 와이어가 중간에서 늘어져 굽어지거나 휘는 일이 없이 본체의 유도관으로 용이하게 유도되어 용접부위에 정확하게 공급되고 손잡이에 구비된 조절기에 의해 와이어 공급장치의 공급 속도를 원격(遠隔)에서 가감 조절할 수 있으며, 와이어를 손으로 쥐지 않으므로 화상을 입는 일이 없이 램프로 조명하면서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용접작업을 할 수 있다.
금속물체를 서로 접합하는 용접에는 용접봉, 또는 용접와이어가 사용된다.
길이가 일정하게 된 용접봉의 경우에는 용접하다 보면 길이가 짧아져서 자주 아크방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교체해야 하며 길게 용접하는 경우 용접 이음매가 자주 교환하는 관계로 비드가 일정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용접 작업 중 일정한 길이의 용접봉을 빈번하게 교체하는 일에 시간이 허비되어 작업능률이 그만큼 저하되기 때문에 스텐와이어, 철와이어 또는 알루미늄와이어 등 길이가 긴 용접 와이어를 보빈에 감아 두고 모터와 2개의 공급 롤러로 구성된 용접 와이어 공급장치에 의해 와이어를 연속적으로 지정속도로 밀어내어 공급하면서 용접하게 되어 있고 와이어의 공급 속도는 손잡이에 볼륨이 부착되어 가감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와이어 공급을 자동, 수동, 인칭으로 공급하며 램프까지 손잡이에서 작동하게 되어 있다
기타 다양한 용접 와이어 공급장치가 알려져 있으며, 본원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의 일부 문헌은 아래와 같다.
[문헌 1] 등록특허공보 10-0995373 (2010.11.09.공고)
[문헌 2] 등록특허공보 10-1230431 (2013.03.11.공고)
[문헌 3] 등록특허공보 10-0995373 (2013. 11. 19공고)
상기한 선행기술의 용접 와이어 공급장치는 보빈에 감긴 용접 와이어를 지정 속도로 연속하여 공급하기 때문에 일정한 길이의 용접봉을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작업능률이 보다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알곤 용접 시에는 와이어 공급기와 용접 토치를 연결하여 피 용접물체에 접촉하면서 용접하기 때문에 한손으로 용접이 가능하다.
그러나 와이어 공급장치와 용접기 간에 거리가 떨어지게 되면 공급되는 와이어의 자체 하중에 의해 하곡선으로 늘어지면서 와이어가 휘거나 꺾기어 제대로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접 와이어가 세선(細線)인 경우에는 용접선 자체의 탄력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용접선의 원격공급이 더욱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와이어 공급장치와 용접위치의 거리가 떨어지게 되면 용접 와이어 공급장치의 제어부를 직접 제어하는데 행동반경이 크게 되어 불편하고 능률적으로 작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 용접장소는 작업현장에 따라 다양하기 때문에 조명이 있는 장소라 해도 야간에 구조물에 의해 그늘 진 곳에서는 용접부위의 정확한 식별이 어려워서 용접작업이 그만큼 힘든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접 와이어 공급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용접 와이어를 손으로 직접 쥐지 않고 안전하게 용접부위에 유도할 수 있는, '조절기가 구비된 용접 와이어 공급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와이어 공급장치와, 와이어 공급기 사이가 일정한 거리 이상으로 격리되어 있어도 종래와 같이 와이어의 자중에 의해 와이어가 휘거나 꺾이는 일이 없이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조절기가 구비된 용접 와이어 공급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와이어 공급장치와 와이어 공급기 사이가 일정한 거리 이상으로 격리된 상태에서 와이어 공급장치의 제어부를 원격위치에서 제어할 수 있는. '조절기가 구비된 용접 와이어 공급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접부위가 어두워서 잘 보이지 않는 경우에도 국부적인 조명에 의해 용이하게 용접부위를 확인하면서 편리하게 용접할 수 있는, '조절기가 구비된 용접 와이어 공급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모터와 공급롤러로 구성되어 보빈에 감긴 용접 와이어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용접 와이어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접 와이어 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와이어를 용접 위치에 안전하고 정확하게 유도하는 직선형 유도관으로 된 공급기 본체와, 상기 본체의 유도관 선단부에 결합된 탄두형 헤드와, 본체를 안전하게 잡는 손잡이와, 본체의 유도관 후단부에서 상기 와이어 공급장치의 유출구까지 연결된 플랙시블(flexible)한 코일관으로 된 와이어의 안내관과, 상기 손잡이에 구비된 상기 와이어 공급장치의 제어용 조절기 및 국부적으로 용접부위를 조명하는 조명램프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본체의 유도관은 와이어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가진 직선형의 관상으로 되어 있고 유도관의 선단부에는 와이어 유출공이 형성된 탄투형의 헤드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상기 코일관으로 된 안내관은 용접 와이어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가진 플렉시블 하면서 탄성이 있어 직각으로 잘 꺾이지 않는 특성이 있다.
상기 안내관은 유도관의 내부에 깊게 삽입되고 유도관의 후단부 측에 상기 안내관을 고정하는 탄성질 패킹과 고정캡이 나사 결합되어 고정캡을 조이면 패킹이 안내관을 협착하여 유도관에서 안내관이 빠지거나 이탈되지 않게 되어 있다.
안내관의 일단부가 유도관의 내부 깊게 삽입하는 이유는 안내관의 탄성적 플렉시블한 기능이 유도관의 전단부에서 후단부에 이르기 까지 직선적으로 유지되어 유도관의 후단부에서 안내관이 꺾이지 않고 와이어를 용이하게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그래야만 와이어 공급장치에서 출발한 와이어가 안내관을 따라 유도관 내부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는 본체의 유도관을 원하는 방향으로 향하여 안전하게 잡기 위해 권총형 손잡이, 또는 직선형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다.
권총형 손잡이와 직선형 손잡이는 사용자의 취향과 용접작업장의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에는 상기 와이어 공급장치의 제어부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조절기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어기와 와이어 공급장치 사이에 무선방식으로 신호를 전달하여 제어할 수도 있고 간편하게 조절기의 도선이 와이어 공급장치의 제어부에 직접 연결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기는 저항 가변형으로 된 것을 이용할 수도 있고 또는 스피드 업-다운 스위치(speed up-down switch)로 된 것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손잡이의 전방에 구비된 램프는 스위치의 ON-OFF 조작에 의해 점멸되며 상기 조절기와 램프의 도선은 손잡이의 하단부를 통하여 상기 와이어 공급장치의 제어부에 연결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조절기가 구비된 와이어 공급기는 TIG 알곤가스에 의해 용접할 때 사용된다.
즉 본 발명의 와이어 공급기의 손잡이를 잡고 본체의 유도관 헤드를 용접할 위치로 대향한 다음 손잡이에 구비된 조절기 노브를 ON으로 접속하면 용접 와이어 공급장치의 제어부에 가동신호가 전달되어 용접 와이어 공급장치의 가동에 따라 2개의 롤러에 협지된 와이어는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지정된 일정한 속도로 유출구로 유출되어 공급된다.
상기 용접 와이어 공급장치의 유출구로 유출되는 와이어는 상기 유출구에 관접된 안내관의 통로를 따라 본체의 유도관의 후단부를 거쳐 유도관의 내부를 통과한 다음 선단부측 탄두형 헤드의 유출공으로 유출된다.
유출되는 와이어를 용접부위에 대면서 토치의 아크열에 의해 와이어를 용해하면서 용접부에 용접한다.
상기 와이어 안내관은 스텐, 철 또는 알루미늄선, 기타 재질로 된 용접와이어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두고 금속선이 일정한 내경의 코일상으로 감기어 이루어진 것으로 플렉시블(flexible)하면서 탄성이 있기 때문에 안내관이 외력에 의해 임시적으로 만곡되어도 외력이 없어지면 자기 탄성에 의해 곧바로 원상의 직선형으로 복귀되고 또 직각이나 예각으로 절곡되는 일이 없어 안내관 내부로 통과하는 와이어를 유도관으로 안전하게 안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안내관은 상기 와이어 공급장치의 와이어 유출구에서 본 발명의 유도관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용접 와이어 공급장치의 유출구와 본 발명의 유도관의 방향이 일치하지 않아도 유출구에서 유출되는 와이어가 안내관을 통하여 유도관으로 용이하게 안내된다.
또한 와이어 공급장치와 본 발명의 와이어 공급기 사이에 일정한 거리 이상으로 격리되어 있어도 종래와 같은 와이어의 처짐으로 인한 절곡현상이 없이 원활하게 공급된다.
용접 작업 중 와이어의 공급 속도와 용접진행속도가 일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손잡이에 구비된 조절기의 노브를 엄지손가락으로 조절하여 상기 용접 와이어 공급장치의 제어부에 도선을 따라 제어신호를 원격으로 전달하여 와이어 공급 속도를 가감조절 한다.
용접부위가 그늘져서 잘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조명램프의 스위치를 ON으로 접속하여 램프의 조명으로 용접부를 확인하면서 용접한다.
용접이 종료되면 조절기를 OFF로 하여 원격위치에서 상기 용접 와이어 공급장치의 가동을 정지시킨다.
본 발명은 모터와 공급롤러로 구성된 용접 와이어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접 와이어 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와이어를 용접 위치에 안전하고 정확하게 유도하는 직선형 유도관으로 된 공급기 본체와, 상기 본체의 선단부에 결합된 탄두형 헤드와, 본체를 안전하게 잡는 손잡이와, 본체의 유도관 후단부에서 상기 와이어 공급장치의 유출구까지 연결된 플랙시블(flexible)한 코일관으로 된 와이어의 안내관과, 상기 손잡이에 구비된 상기 와이어 공급장치의 제어용 조절기 및 국부적으로 용접부위를 조명하는 조명램프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공급되는 용접 와이어를 손으로 직접 쥐지 않고 유도관을 통하여 장시간 안전하게 공급하면서 용접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공급장치와, 와이어 공급기 사이에 코일관으로 된 안내관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일정한 거리 이상으로 격리되어 있어도 와이어가 자중에 의해 휘거나 꺾이는 일이 없이 원활하게 와이어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체의 손잡이에 와이어 공급장치의 제어부를 원격위치에서 제어할 수 있는 조절기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용접 와어어 공급장치의 제어부를 직접 조절하던 불편이 해소되어 보다 편리하게 능률적으로 용접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 램프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용접부위가 어두워서 잘 보이지 않는 경우에도 국부적인 조명에 의해 용이하게 용접부위를 확인하면서 편리하게 용접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단면도
도3은 손잡이에 구비된 조절기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손잡이가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예시도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5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보빈(b)에 감긴 용접 와이어(w)를 공급하는 모터(m)와 공급롤러(r1)(r2) 및 제어부(c)로 구성된 용접 와이어 공급장치(M)에 있어서,
도1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접 와이어 공급장치(M)에서 공급되는 용접 와이어(w)를 용접 위치에 안전하고 정확하게 유도하는 직선형 유도관(1a)으로 된 공급기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유도관(1a) 선단부에 결합된 탄두형 헤드(1d)와, 본체(1)를 안전하게 잡는 손잡이(2)와, 본체(1)의 유도관(1a)에 연결된 플랙시블(flexible)한 코일관으로 된 와이어의 통로(3b)를 가진 안내관(3)과, 상기 손잡이(2)에 구비된 상기 용접 와이어 공급장치(M)의 제어부(c)를 원격에서 제어하는 조절기(4) 및 용접부위를 조명하는 조명램프(5)로 구성된다.
도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의 유도관(1a)은 용접 와이어(w)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1b)를 가진 직선형의 관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유도관(1)의 선단부에는 와이어 유출공(1h)이 형성된 탄투형의 헤드(1d)가 나사부(1s)에 의해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2)는 본체(1)의 유도관(1a)을 원하는 방향으로 향하여 안전하게 잡기 위해 권총형 손잡이(2a), 또는 직선형 손잡이(2b)가 구비되어 있다.
도1에는 권총형 손잡이(2a)가 표시되어 있고 도4에는 본체(1)의 유도관(1a)에 직선형 손잡이(2b)가 표시되어 있다. 두 종류의 손잡이의 기능은 차이가 없다.
도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안내관(3)의 일단부를 상기 본체(1)의 유도관(1a)의 내부로 깊게 삽입되어 있고 유도관(1a)의 후단부에 안내관(3)을 고정하는 탄성질 패킹(1f)과 고정캡(1n)이 나사 결합되어 있다.
고정캡(1n)을 느슨하게 하면 안내관(3)이 빠질 수 있어 본체(1)에서 안내관(3)의 분리가 가능하며, 또한 고정캡(1n)을 강하게 조이면 탄성질 패킹(1f)이 압착되면서 패킹공이 협착되어 안내관(3)이 유도관(1a)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용접 작업 중 상기 유도관(1a)에서 안내관(3)이 빠지거나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와이어 안내관(3)은 철선, 또는 알루미늄선, 기타 재질로 된 용접 와이어(w)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3b)를 두고 금속선이 일정한 내경의 코일상으로 감기어 이루어진 것으로 플렉시블 하면서 탄성이 있어 안내관(3) 자체에 외력이 가해지면 임시적으로 만곡되어도 외력이 없게 되면 자기 탄성에 의해 곧바로 원상의 직선형으로 복귀된다.
또한 안내관은 직각이나 예각으로 절곡되는 일이 없어 안내관(3)의 내부 통로(3b)를 통과하는 와이어(w)가 세선(細線)인 경우에도 용이하게 유도관(1a)으로 안내하게 된다.
도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의 유도관(1a)의 통로(1b) 내부 깊게 상기 안내관(3)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이유는 안내관(3)의 탄성적 플렉시블한 기능이 본체(1)의 유도관(1a) 선단내부로 부터 후단부에 이르기 까지 연속되게 유지함으로서 유도관(1a)의 후단부에서 안내관(3)이 꺾이지 않고 안내관(3)의 통로(3b)가 유도관(1a)의 내부로 이어져서 와이어(w)를 용이하게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5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안내관(3)의 일 단부는 상기 용접 와이어 공급장치(M)의 와이어 유출구(u)에 관접되고 상기 안내관(3)의 타 단부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본체(1)의 유도관(1a)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용접 와이어 공급장치(M)의 유출구(u)와 본 발명의 유도관(1a)의 방향이 일치하지 않아도 상관없이 상기 유출구(u)에서 유출되는 와이어(w)가 안내관(3)을 통하여 본체(1)의 유도관(1a)으로 용이하게 안내된다.
또한 용접 와이어 공급장치(M)와 본 발명의 와이어 공급기(F) 사이에 일정한 거리 이상으로 격리되어 있어도 종래와 같은 와이어의 처짐으로 인한 절곡현상이 없기 때문에 안내관(3)에 의해 원활하게 공급된다.
또한 도1 및 도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2a)에는 상기 용접와이어 공급장치(M)의 제어부(c)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조절기(4)가 장착되어 있고 손잡이(2a)의 앞쪽 면에는 조명램프(5) 및 전원 스위치(5w)가 배치되어 있다.
도3에 표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a)에 구비된 조절기(4)는 저항 가변형 조절기이며, 조절기의 노브(4b)가 손잡이의 외부 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엄지손으로 노브(4b)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4에는 직선형 손잡이(2b)에 스피드 업-다운 스위치(4s)가 표시되어 있으나 조절기 및 조절 스위치는 도면에 표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조절장치를 선택적으로 손잡이에 적용할 수 있다.
도1 및 도2에 표시된 바와 같이 또한 손잡이(2)의 전방에 구비된 램프(5)는 스위치(5w)의 ON-OFF 조작에 의해 점멸되어 용접부위의 조명이 가능하다.
도5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기(4) 및 램프의 도선(d)은 안내관(3)을 따라 상기 용접 와이어 공급장치(M)의 제어부(c)에 연결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6은 TIG 용접 토치이다. S1은 ON-OFF 스위치, S2인칭스위치 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조절기가 구비된 와이어 공급기(F)는 TIG 알곤가스에 의해 용접할 때 사용된다.
도5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와이어 공급기(F)의 본체(1)에 구비된 손잡이(2)를 잡고 본체(1)의 유도관 헤드(1d)를 용접할 위치로 대향한 다음 손잡이(2)에 구비된 조절기(4)의 노브(4b)를 ON으로 접속하면 도선(d)을 통하여 용접 와이어 공급장치(M)의 제어부(b)에 가동신호가 전달되어 용접 와이어 공급장치(M)의 모터(m)가 구동되고 모터(m)에 의해 가동되는 2개의 롤러(r1)(r2)에 협지된 와이어(w)는 지정된 일정한 속도로 유출구(u)로 밀어내게 된다.
상기 용접 와이어 공급장치(M)의 유출구(u)로 유출되는 와이어(w)는 상기 유출구(u)에 관접된 안내관(3)의 통로(3b)를 따라 본체(1)의 유도관(1a)의, 후단부를 거쳐 상기 유도관(1a)의 내부를 통과한 다음 선단부측 탄두형의 헤드(1d)의 유출공(1h)으로 유출된다.
유출되는 와이어를 용접부위에 대면서 토치의 아크열에 의해 와이어를 용해하면서 용접부에 용접한다.
용접부위가 그늘져서 잘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조명램프(5)의 스위치(5w)를 ON으로 접속하여 램프(5)의 조명으로 용접부를 확인하면서 용접하다.
용접 작업 중 와이어의 공급 속도와 용접진행속도가 일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손잡이(2)에 구비된 조절기(4)의 노브(4b)를 엄지손가락으로 조절하여 상기 용접 와이어 공급장치(M)의 제어부(c)에 도선(d)을 따라 제어신호를 원격으로 송출하여 와이어 공급 속도를 가감조절 한다.
이때 도4에 표시된 스피드 업-다운 스위치(4s)를 조작해도 결과는 동일하다.
용접이 종료되면 조절기(4)의 노브(4b)를 OFF로 하여 원격위치에서 상기 용접 와이어 공급장치(M)의 가동을 정지시킨다.
상기 용접 와이어 공급장치(M)에서 본 발명의 와이어 공급기(F)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본체(1)의 유도관(1a) 후단부에 체결된 캡을 풀어 안내관(3)을 본체(1)와 분리하면 된다.
1 : 본체 1a : 유도관 1b : 통로 1d : 헤드 1f : 패킹 1n : 고정캡
1h : 유출공 1s : 나사부 2 : 손잡이 2a : 권총형 손잡이
2b : 직선형 손잡이 3 : 안내관, 3b : 통로 4 : 조절기
4b : 조절 노브, 4s : 업-다운 스위치 5 : 램프 5w : 램프 스위치
6 : 토치
M : 용접와이어 공급장치 F : 와이어 공급기 c : 제어부 d : 도선
m : 모터 r1,r2 : 공급롤러 u : 유출구 w : 용접 와이어

Claims (6)

  1. 보빈에 감긴 용접와이어를 공급하는 모터와 공급롤러로 구성된 용접와 이어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접와이어 공급장치(M)에서 유출되는 와이어(w)를 유도하는 안내관(3)이 본체(1)의 유도관(1a)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유도관(1a)의 후단부에 고정캡(1n)과 패킹(1f)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용접와이어 공급장치(M)의 제어부(c)와 신호를 전달하는 도선(d)이 연결된 노브(4b)로 조절되는 가변형 조절기(4) 및 스피드 업-다운 스위치(s2)가 상기 본체(1)의 손잡이(2)에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곤 가스 용접기의 조절기가 구비된 용접와이어 공급기.
  2. 본체의 손잡이(2)는 권총형 손잡이(2a), 또는 직선형 손잡이(2b)의 어느 하나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곤가스 용접기의 조절기가 구비된 용접와이어 공급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40151232A 2014-11-03 2014-11-03 알곤가스 용접기의 조절기가 구비된 용접 와이어 공급기 KR101685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1232A KR101685258B1 (ko) 2014-11-03 2014-11-03 알곤가스 용접기의 조절기가 구비된 용접 와이어 공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1232A KR101685258B1 (ko) 2014-11-03 2014-11-03 알곤가스 용접기의 조절기가 구비된 용접 와이어 공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358A KR20160051358A (ko) 2016-05-11
KR101685258B1 true KR101685258B1 (ko) 2016-12-09

Family

ID=56026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1232A KR101685258B1 (ko) 2014-11-03 2014-11-03 알곤가스 용접기의 조절기가 구비된 용접 와이어 공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52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7799A (ko) * 2021-01-26 2022-08-02 주식회사 오엔 용접 보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08202A (zh) * 2020-08-26 2020-12-01 代能武 一种手工钨极氩弧焊细丝辅助送丝装置
KR102585774B1 (ko) * 2023-05-11 2023-10-06 ㈜케이엠에프 탄산가스 용접토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638Y1 (ko) * 2007-07-02 2009-03-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휴대용 용접와이어 송급장치
KR200461162Y1 (ko) * 2011-12-21 2012-06-26 백교현 조명수단을 갖는 용접토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1783U (ko) * 1986-02-13 1987-08-20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638Y1 (ko) * 2007-07-02 2009-03-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휴대용 용접와이어 송급장치
KR200461162Y1 (ko) * 2011-12-21 2012-06-26 백교현 조명수단을 갖는 용접토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7799A (ko) * 2021-01-26 2022-08-02 주식회사 오엔 용접 보조장치
KR102469324B1 (ko) * 2021-01-26 2022-11-21 주식회사 오엔 용접 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358A (ko)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1752B2 (en) Wire feed speed adjustable welding torch
US7244908B2 (en) Wire feed speed and current adjustable welding torch with remote selection of parameters
US8026456B2 (en) TIG welding system and method
US4206862A (en) Welding filler wire feed apparatus
US7335854B2 (en) Method and system of determining wire feed speed
KR101685258B1 (ko) 알곤가스 용접기의 조절기가 구비된 용접 와이어 공급기
KR102223887B1 (ko) 관 제조를 위한 판재 반자동 용접장치
US3940586A (en) Electric arc welding
EP2377638A2 (en) Torch feed roll adjustment lever
JP2007537876A (ja) 駆動ユニットとワイヤ緩衝保管部を含む溶接トーチ
CA2862654C (en) Welding wire feeders with a wire guide having elongated guide surfaces spaced from one another
CA2877760C (en) Methods and systems for feeding filler material to a welding operation
US9919373B2 (en) Soldering wire dispenser apparatus
US11123814B2 (en) Battery powered compact wire feeder
CN112533722B (zh) 焊接电力供应器和用于焊接电力供应器的用户界面
KR20160017470A (ko) 센서가 부착된 휴대용 용접봉 건
US6172334B1 (en) Tool kit for shielded metal-arc welding
US5155332A (en) Manual welding wire feeder
KR20240071934A (ko) 알곤가스 용접기의 조절기가 구비된 용접 와이어 공급기
KR200443638Y1 (ko) 휴대용 용접와이어 송급장치
US20100270269A1 (en) Welding apparatus and method of welding
US20030034337A1 (en) Guide device for electric arc torch welding
CN210731316U (zh) 管板自动焊接机头
JP2001129666A (ja) 補修用溶接装置
KR101867685B1 (ko) 용접용 토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