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6822B1 - 연속 소둔설비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연속 소둔설비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6822B1
KR101586822B1 KR1020130163491A KR20130163491A KR101586822B1 KR 101586822 B1 KR101586822 B1 KR 101586822B1 KR 1020130163491 A KR1020130163491 A KR 1020130163491A KR 20130163491 A KR20130163491 A KR 20130163491A KR 101586822 B1 KR101586822 B1 KR 101586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foreign matter
rotating
foreign
rotating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3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5486A (ko
Inventor
신용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163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6822B1/ko
Publication of KR20150075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5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C21D9/562Deta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Abstract

연속 소둔설비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연속 소둔설비 및 그 제어방법은, 고정 롤; 상기 고정 롤에 의하여 상기 강판이 가이드되는 경로상에 위치하며, 상기 강판의 이송방향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 롤 중 적어도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접촉한 적어도 하나의 회전 롤에 부착된 상기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제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속 소둔설비 내의 회전 롤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속 소둔설비 및 그 제어방법{APPARATUS FOR CONTINUOUS ANNEALING FURNA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연속 소둔설비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속 소둔설비 내의 회전 롤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이물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강제품 중 강판을 생산하는 공정은 순차적으로 제선, 제강, 열간압연 및 냉간압연 후 소둔열처리(annealing)로 이루어진다. 냉간압연된 강판은 가공경화에 의하여 내부 조직이 변형되고, 따라서 상기 강판을 제품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열처리할 필요가 있다. 소둔열처리는 고온으로 강판을 가열하여 상기 강판의 내부 변형 조직을 연화시켜주는 것으로, 강판의 재결정 온도 이상인, 대략 800℃ 이상에서 강판을 일정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이다. 강판은 소둔열처리 조건에 따라 상기 강판의 항복강도, 경도, 연신율 등의 기계적 성질이 달라진다. 따라서, 상기 소둔열처리는 강판의 최종제품의 기계적 성질을 결정지을 수 있는 것으로, 철강제조 공정 중 중요한 공정 중 하나이다.
연속 소둔 공정이 진행되는 연속 소둔설비(continuous annealing furnace)의 각 구역은 가열 사이클(heating cycle)에 따라서 예열대(Pre Heating Section), 가열대(Heating Section), 균열대(Soaking Section), 서냉대(Slow Cooling Section), 급냉대(Rapid Cooling Section), 과시효대(Over Aging Section), 최종 냉각대(Final Cooling Section)로 동작하여 가열 및 냉각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본 발명은 연속 소둔설비 내의 회전 롤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이물제거장치가 마련된 연속 소둔설비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소둔설비는, 고정 롤; 상기 고정 롤에 의하여 상기 강판이 가이드되는 경로상에 위치하며, 상기 강판의 이송방향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 롤 중 적어도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접촉한 적어도 하나의 회전 롤에 부착된 상기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제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물제거장치는, 상기 접촉한 적어도 하나의 회전 롤의 표면에 접촉하는 나이프부와, 상기 나이프부와의 접촉에 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동 롤러에서 제거된 상기 이물질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물제거장치는, 상기 가이드부에서 낙하된 이물질을 수납하여, 기설정된 주기로 외부로 배출하는 이물질 수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물제거장치는, 일 방향에서 타 방향으로 형성된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이물제거장치에 낙하된 이물질은, 주입된 유체와 함께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이물질제거장치는,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 롤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강판은, 상기 고정 롤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롤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며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 롤의 반경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고정 롤의 반경과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소둔설비의 제어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회전 롤의 표면에 접촉되도록 이물제거장치가 이동되는 단계; 및 상기 접촉한 이물제거장치에 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 롤에서 제거된 이물질을, 기 설정된 주기에 기초해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하는 단계는, 상기 이물제거장치에 포함된 이물질 수납부에 쌓인 상기 이물질의 양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이물질의 양에 따라 상기 이물질 수납부에 유체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되는 단계는, 감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 롤에 부착된 이물질의 양과, 기 설정된 주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소둔설비 및 그 제어방법는, 연속 소둔설비 내의 회전 롤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소둔설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 연속 소둔설비 내의 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내지 도 5는 도 2 롤 내에서의 이물질 이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 롤 내에서 동작하는 이물제거장치의 이물질 제거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 롤 내에서 동작하는 이물제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 롤 내에서 제거된 이물질의 배출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2 롤 내에서 동작하는 이물제거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2 롤 내에서 동작하는 이물제거장치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소둔설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냉연강판 제조 공정에서 냉간압연기(Reverse Cold Mill, RCM)(11)에 의해 냉간압연된 강판(strip)은 되풀림장치(Pay Off Reel)(12)에 의해 되풀림된 후 용접기(welder)(13)에 의해 용접된다.
다음으로, 강판은 전해청정설비(Electrolytic Cleaning Line, ECL)(14)를 거쳐 오염물질이 제거된 후, 연속 소둔설비(Continuous Annealing Line, CAL)(16)의 입측 ELT(Entry Looping Tower, 15)에서 용접 시간 확보를 위해 잠시 대기한다. 즉, 강판은 연속 소둔설비(16) 입측에서 강판을 용접하는 동안 ELT(15) 내에 일정 기간 머무른다. ELT(15) 내 상부 캐리지(carrage)는 상하로 이동하면서 ELT(15) 내 강판 저장량을 조정하여 연속 소둔설비(16) 입측으로 강판을 공급한다.
강판은 연속 소둔설비(16)를 통과하면서 연속 소둔공정을 거치게 된다.
연속 소둔설비(16)의 소둔로는 예열대(Pre Heating Section, PHS)(21), 가열대(Heating Section, HS)(22), 균열대(Soaking Section, SS)(23) 등을 포함하는 가열 구역과, 서냉대(Slow Cooling Section, SCS)(24), 급냉대(Rapid Cooling Section, RCS)(25), 과시효대(Over Aging Section, OAS)(26), 최종 냉각대(Final Cooling Section, FCS)(27) 등을 포함하는 냉각 구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열대(21)는 소둔로의 입측으로 입력되는 강판을 가열대(22)에서 연료 연소로 발생하는 배가스를 이용하여 예열하고, 가열대(22)는 예열대(21)를 통과한 강판을 연료 연소를 통해 직접 가열하여 승온시킨다.
가열대(22)를 통과한 강판은 이후 균열대(23)에서 일정한 온도로 균열 처리되고, 서냉대(24)를 통과하면서 분위기 가스의 순환 냉각을 통해 서냉된다.
또한, 서냉대(24)를 통과한 강판은 급냉대(25)에서 주 가스젯, 쿨링롤, 보조가스젯 등에 의해 급냉되고, 과시효대(26)에서 과시효 처리되어 최종 냉각대(27)에서 최종 냉각된다.
한편, 연속 소둔설비(16)를 통과한 후의 강판은 권취기(Tension Reel, TR)(20)에서의 권취시간 확보를 위해 DLT(Delivery Looping Tower, 17)에 소정 시간 머무른다.
다음으로, 강판은 조질압연기(skin pass mill, SPM)(18)를 통해 조질압연되고, 절단기(19)를 통해 용접부위가 다시 절단된 후 권취기(20)에서 제품 별로 권취된다.
도 2는 도 1 연속 소둔설비 내의 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소둔설비(16)는, 고정 롤(FR)과, 적어도 하나의 회전 롤(R1 내지 R3)과, 이물제거장치(6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롤(FR)은, 연속 소둔설비(16) 내에서 이송되는 강판(30)을 가이드하는 롤일 수 있다. 고정 롤(FR)은, 연속 소둔설비(16) 내에서 복수 개가 상호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호 이격된 복수의 고정 롤(FR)에서 이송되는 강판(30)은, 특정 고정 롤(FR)에서는 그 고정 롤(FR)의 하측에 위치하고 다른 고정 롤(FR)에서는 그 고정 롤(FR)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교번적으로 고정 롤(FR)의 상측과 하측 사이에서 이동되며 강판(30)에 대한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고정 롤(FR)은,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설치된 지점에서 회전하지 않고 강판(30)을 가이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회전 롤(R1 내지 R3)은, 고정 롤(FR)의 외주측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 롤(FR)의 외주측에 위치한 회전 롤(R1 내지 R3)의 적어도 일 부분은, 고정 롤(FR)의 반경과 겹쳐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롤(R1 내지 R3)의 적어도 일 부분이, 고정 롤(FR)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고정 롤(FR)의 표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회전 롤(R1 내지 R3) 및/또는 고정 롤(FR)의 일부는, 이송되는 강판(30)에 접촉되며 강판(30)에 이송력을 제공할 수 있다.
회전 롤(R1 내지 R3)은, 회전할 수 있다. 회전 롤(R1 내지 R3)의 회전 방향은, 강판(30)이 이송되는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롤(R1 내지 R3)은 계방향으로 회전하며, 강판(30)이 이송되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회전 롤(R1 내지 R3)은, 복수 개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회전 롤(R1 내지 R3) 고정 롤(FR)의 외주측에 일정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복수 개의 회전 롤(R1 내지 R3)은, 제1 내지 3 회전 롤(R1 내지 R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회전 롤(R1)을 중심으로 제2,3 회전 롤(R2, R3)이 배치될 수 있다.
이물제거장치(60)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롤(R1 내지 R3) 중 적어도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회전 롤(R1 내지 R3)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물질은, 공정의 진행 중에 연속 소둔설비(16) 내에 낙하된 물질일 수 있다. 이물질은, 철분을 포함하고 있는 물질일 수 있다. 연속 소둔설비(16) 내에 낙하되어 있던 이물질은, 이송되는 강판(30) 및/또는 회전 롤(R1 내지 R3)에 부착될 수 있다. 회전 롤(R1 내지 R3)에 이물질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 회전 롤(R1 내지 R3)의 회전에 의하여, 강판(30)에 주기적으로 흠집이 발생하는 덴트(dent)성 결함이 생길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함은 연속 소둔설비(16) 내부에서 발생하므로, 한번 결함이 발생하면 이를 발견하고 조치하기 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제거장치(60)는, 회전 롤(R1 내지 R3)에 부착된 이물질을 주기적 및/또는 필요시 자동적으로 제거함으로서 공정이 완료된 강판(30)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다.
이물제거장치(60)는, 조작자의 조작 및/또는 제어장치에 의한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는 카메라 등의 센서를 통해 회전 롤(R1 내지 R3) 및/또는 강판(30)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 이물질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제어장치는 이물제거장치(60)를 동작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물제거장치(60)는, 롤 접촉부(40)와 이물질 수납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롤 접촉부(40)는, 실질적으로 회전 롤(R1 내지 R3)에 접촉하는 부분일 수 있다. 롤 접촉부(40)는, 회전하는 회전 롤(R1 내지 R3)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하여, 회전 롤(R1 내지 R3)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롤 접촉부(40)는, 나이프부(42)와, 가이드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나이프부(42)는, 회전 롤(R1 내지 R3)의 표면에 접촉할 수 있다. 나이프부(42)는, 상대적으로 날카로운 모서리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이프부(42)는, 가이드부(44)의 두 면이 만나며 형성된 모서리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가이드부(44)는, 회전 롤(R1 내지 R3)에 접촉한 나이프부(42)에 의하여 제거된 이물질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즉, 회전 롤(R1 내지 R3)에서 제거된 이물질이 이물질 수납부(50)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물질 수납부(50)는, 롤 접촉부(40)에 의하여 제거된 이물질이 수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이물질 수납부(50)에 모여진 이물질은, 일정한 양 이상 쌓이거나 일정한 주기가 도래되면 외부로 제거될 수 있다.
이물질 수납부(50)는, 고정 롤(FR)의 지지대를 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물질 수납부(50)는, 고정 롤(FR)의 축(axle)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3은 내지 도 5는 도 2 롤 내에서의 이물질 이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60)는, 강판(30)에 흠집을 낼 수 있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물질(70)은, 공정의 진행에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물질(70)은, 이송되는 강판(30)에 부착되어 이동될 수 있다. 이물질(70)은, 연속 소둔설비(16) 내부에 낙하한 철조각 등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판(30)에 부착되어 이동하던 이물질(70)은, 제1 회전 롤(R1)에 부착될 수 있다. 이물질이 제1 회전 롤(R1)에 부착되면, 제1 회전 롤(R1)이 회전함에 따라서 주기적으로 강판(30)에 흠집을 남길 수 있다. 이와 같은 규칙적인 흠은, 완성된 강판(30)의 상품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물제거장치(60)는, 일정한 주기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 시간동안 장치를 가동시킨 이후에는 자동적으로 이물제거장치(60)가 동작하도록 하도록 할 수 있다.
이물제거장치(60)는, 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물질의 부착이 감지되면, 제어장치가 이물제거장치(60)를 동작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6은 도 2 롤 내에서 동작하는 이물제거장치의 이물질 제거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제거장치(60)는, 회전 롤(R1 내지 R3)로 접근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회전 롤(R1)에 접촉하여, 제1 회전 롤(R1)에 부착되어 있던 이물질(70)을 제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거된 이물질(70)은, 가이드부(44)를 따라 이동된 후 이물질 수납부(50)에 쌓일 수 있다.
도 7은 도 2 롤 내에서 동작하는 이물제거장치의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제거장치(60)는, 회전하고 있는 제1 회전 롤(R1)의 외주면에 접촉할 수 있다.
제어장치는, 롤 접촉부(4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일정한 주기 및/또는 센싱값에 기초해 롤 접촉부(40)를 이동시켜 나이프부(42)가 제1 회전 롤(R1)의 외주에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나이프부(42)에 접촉된 이물질은, 제1 회전 롤(R1)로부터 제거되어 가이드부(44)를 따라 이동한 후 낙하될 수 있다.
도 8은 도 2 롤 내에서 제거된 이물질의 배출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제거장치(60)는, 회전 롤(R1 내지 R3)에서 제거된 이물질을 장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거된 이물질은, 이물질 수납부(50)에 쌓일 수 있다. 이물질 수납부(50)에 일정 정도 이물질이 쌓이면, 쌓여진 이물질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물질 수납부(50)에 유체를 흘려 쌓여있는 이물질이, 유체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물질 수납부(50)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물질 수납부(50)의 일 끝단측 바닥면은 제1 높이이며, 타 끝단측 바닥면은 제2 높이일 수 있다. 제2 높이는 제1 높이보다 큰 값일 수 있다. 경사면이 존재함으로 인하여, 유체에 의해 쌓여있는 이물질이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또한, 경사면이 존재함으로 인하여, 이물질 수납부(50)로 떨어진 이물질이 자연스럽게 외부로 배출될 수도 있다.
도 9는 도 2 롤 내에서 동작하는 이물제거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제거장치(60)는, 제1 내지 3 방향(D1 내지 D3)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는, 감지된 오염도에 기초하여 이물제거장치(60)를 제1 내지 3 방향(D1 내지 D3)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제어장치는, 일정한 주기에 기초하여 제1 내지 3 방향(D1 내지 D3)으로 순차적으로 이물제거장치(6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물제거장치(60)는,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 이상의 이물제거장치(60)가 마련되어 필요에 따라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0은 도 2 롤 내에서 동작하는 이물제거장치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소둔설비의 제어장치는, 이물질 제거 주기를 감지하는 단계(S10)를 진행할 수 있다.
이물질 제거 주기는, 기 설정되어 있는 주기일 수 있다. 즉, 장치의 생산시 및/또는 장치의 조작자에 의하여 일정한 주기로 이물질(70)을 제거하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물질 제거 주기는, 부착된 이물질(70)의 양에 의하여 결정된 주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착된 이물질(70)이 많은 경우에는 주기가 짧아지고, 부착된 이물질(70)이 적은 경우에는 주기가 길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물질 제거 주기가 도래(S20)하면, 나이프부(42)가 동작하는 단계(S30)가 진행될 수 있다. 즉, 제어장치가, 회전 롤(R1 내지 R3)에 접촉되도록 나이프부(42)를 시동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물질(70)의 수납량을 감지하는 단계(S40)가 진행될 수 있다.
이물질(70)의 수납량은, 카메라를 포함하는 각종 센서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다.
이물질(70)의 수납량이 설정량 이상이면(S50), 수납된 이물질을 배출하는 단계(S60)가 진행될 수 있다.
수납된 이물질의 배출은, 이물질 수납부(50)로 유체를 주입하는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물질 수납부(50)로 주입된 유체는, 경사부(52)를 따라 이동되며 쌓여있던 이물질(70)과 함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40 : 롤 접촉부 50 : 이물질 수납부
60 : 이물제거장치

Claims (10)

  1. 고정 롤;
    상기 고정 롤에 의하여 강판이 가이드되는 경로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강판의 이송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 롤과, 상기 제1 회전 롤의 중심으로 양 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2 회전 롤 및 제3 회전 롤을 포함하는 회전 롤;
    상기 제1 회전 롤에 접촉하여, 상기 제1 회전 롤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제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롤은 상기 고정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 롤의 일부는 상시 고정롤의 표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강판과 접촉하며,
    상기 이물질제거장치는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제1 회전 롤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회전 롤에 접촉하고,
    상기 이물질제거장치는 롤 접촉부와 이물질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 접촉부는 두 면이 만나는 모서리로 형성되어 상기 제1 회전 롤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이동하는 나이프부와, 상기 두 면으로 이루어져 제거된 이물질을 상기 이물질 수납부 까지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수납부는 상기 고정 롤의 축(axle)인 연속 소둔설비.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제거장치는,
    상기 가이드부에서 낙하된 이물질을 수납하여, 기설정된 주기로 외부로 배출하는 이물질 수납부를 더 포함하는 연속 소둔설비.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수납부는
    일 방향에서 타 방향으로 형성된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이물제거장치에 낙하된 이물질은, 주입된 유체와 함께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기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소둔설비.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30163491A 2013-12-26 2013-12-26 연속 소둔설비 및 그 제어방법 KR101586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491A KR101586822B1 (ko) 2013-12-26 2013-12-26 연속 소둔설비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491A KR101586822B1 (ko) 2013-12-26 2013-12-26 연속 소둔설비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486A KR20150075486A (ko) 2015-07-06
KR101586822B1 true KR101586822B1 (ko) 2016-02-02

Family

ID=53788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3491A KR101586822B1 (ko) 2013-12-26 2013-12-26 연속 소둔설비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68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50657B (zh) * 2016-08-29 2018-06-22 首钢京唐钢铁联合有限责任公司 一种应用在连续立式退火炉中的防瓢曲报警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486A (ko) 2015-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6205B1 (en) Method for surface processing of a continuously cast steel product and device therefor
CN109719048B (zh) 一种银亮钢棒自动探伤智能下料系统
TWI625172B (zh) 複合式冷軋線
KR101586822B1 (ko) 연속 소둔설비 및 그 제어방법
KR101679299B1 (ko) 열처리된 성형재를 제조하는 설비
JP4585465B2 (ja) 鋼材の圧延設備
CN115956009A (zh) 钢片的加工方法
JP3075385B2 (ja) 熱間圧延材の表面傷除去方法
KR101036318B1 (ko) 권취코일 형상복원 방법
KR102284887B1 (ko) 가이드 레일의 최종 형상 근접 열간 압연
KR101819288B1 (ko) 처리수 제거장치
KR20140081216A (ko) 스킨패스 밀 유닛
CN109719597B (zh) 金属带的带式磨削装置以及金属带的带式磨削方法
CN109848805B (zh) 金属带的连续磨削方法以及金属带的连续磨削生产线
KR20110103459A (ko) 스테인레스 강 스트립을 풀림 및 스케일 제거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KR20130023677A (ko) 연원료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42162B1 (ko) 롤 이물질제거장치
KR101290366B1 (ko) 열연강판 표면 냉각수 제거 장치
KR101171503B1 (ko) 불량소재 처리장치 및 방법
KR101988286B1 (ko) 소재 표면흠 제거 장치 및 이를 갖는 소재 제조 설비
KR20090011645A (ko) 압연소재의 이물질 제거장치
US3454268A (en) Direct heat-treating apparatus for hot-rolled wire rods
KR100752922B1 (ko) 미니밀 열연 압연코일의 말단부 불량 교정장치
KR100904127B1 (ko) 코일걸림으로 인한 열연공정 중단 시 코일제거 방법 및이에 사용되는 코일절단장치
JP5673370B2 (ja) 熱延鋼板の冷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