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6236B1 - 편분파기 - Google Patents

편분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6236B1
KR101596236B1 KR1020147012892A KR20147012892A KR101596236B1 KR 101596236 B1 KR101596236 B1 KR 101596236B1 KR 1020147012892 A KR1020147012892 A KR 1020147012892A KR 20147012892 A KR20147012892 A KR 20147012892A KR 101596236 B1 KR101596236 B1 KR 101596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guide
wall surface
circular
wall
rectang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2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2916A (ko
Inventor
히로토 아도
스지 누이무라
토모히로 미즈노
히데노리 유카와
테스 오와다
타카아키 키마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72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2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12Hollow waveguides
    • H01P3/127Hollow waveguides with a circular, elliptic, or parabolic cross-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16Auxiliary devices for mode selection, e.g. mode suppression or mode promotion; for mode conversion
    • H01P1/161Auxiliary devices for mode selection, e.g. mode suppression or mode promotion; for mode conversion sustaining two independent orthogonal modes, e.g. orthomode transduc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13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 H01P1/2131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with combining or separating polaris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8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for linking dissimilar lines or devices
    • H01P5/082Transitions between hollow waveguides of different shape, e.g. between a rectangular and a circular waveguide

Landscapes

  • Waveguide Switches, Polarizers, And Phase Shifters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 Waveguide Connection Structure (AREA)
  • Waveguides (AREA)
  • Optical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원형 도파관의 축방향으로 배치되고, 원형 도파관의 내경보다도 짧은 길이의 짧은 변을 갖는 사각형 도파관과 원형 도파관을 접속하는 접속 도파관과, 이 접속 도파관과 원형 도파관에 걸쳐 형성되고, 사각형 도파관의 긴 변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원형 도파관 및 접속 도파관의 내부를 분할하는 평판형의 도체 벽과, 이 도체 벽의 한쪽의 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접속 도파관의 내벽에 형성되고, 사각형 도파관측을 향함에 따라, 도체 벽측으로 경사진 제1경사면과, 도체 벽의 다른쪽의 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접속 도파관의 내벽에 형성되고, 사각형 도파관측을 향함에 따라, 도체 벽측으로 경사진 제2경사면과, 원형 도파관에 형성되고, 원형 도파관이 전파하는 전자파 중에서, 도체 벽에 의해 편분파된 한쪽을 추출하는 결합 구멍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편분파기{POLARIZATION COUPLER}
본 발명은, 주로, VHF대, UHF대, 마이크로파대, 밀리미터파대 등, 직교한 편파를 분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편분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직교 편분파기에는, 직교한 편파를 전송하는 원형 주 도파관, 원형 주 도파관을 분기하기 위해 직경 방향으로 설치된 결합 구멍, 결합 구멍을 통해 원형 주 도파관의 직교 방향으로 직교 편파의 수직 성분 전자파를 추출하는 사각형 부 도파관, 원형 주 도파관의 공축(coaxial) 방향으로 직교 편파의 수평 성분 전자파를 추출하는 사각형 부 도파관, 그 공축 방향의 사각형 부 도파관과 원형 주 도파관의 정합을 취하기 위한 스텝 변환부, 원형 주 도파관의 결합 구멍에 대해, 공축 방향의 사각형 부 도파관측의 원형 주 도파관에 형성된 직교 편파의 수평 성분과 평행하게 설치된 셉텀(septum)판(단락판), 또는, 스텝 변환부에 형성된 직교 편파의 수평 성분과 평행하게 설치된 셉텀판(단락판)을 갖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3 참조).
특허문헌 1∼3에 기재된 직교 편분파기는, 원형 주 도파관을 전송하는 직교 편파는 셉텀판에 의해 공축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분파된다. 셉텀판과 평행한 편파 성분은, 셉텀판에 의해 반사되고, 결합 구멍을 통해 직교 분기된 사각형 부 도파관으로 추출된다. 또한, 셉텀판과 직교하는 수직 성분의 편파는, 셉텀판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스텝 변환부를 거쳐 공축의 사각형 부 도파관으로부터 추출된다. 이때, 스텝 변환부에서 원형 주 도파관의 모드로부터 사각형 부 도파관의 모드로 모드 변환이 행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직교 편분파기에 있어서는, 셉텀판과 직교하는 성분의 편파를 추출할 때, 전파의 일부는 셉텀판의 끝에서 반사를 일으키고, 반사된 전파의 일부가 반대측의 셉텀판의 끝에서 더 반사된다. 그리고, 어떤 주파수에 있어서 이 다중 반사한 파가 중첩되고 서로 강화되어, 셉텀판의 구간 내에 에너지를 가둬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결과적으로, 사각형 도파관으로부터 추출되는 전파에서는, 판공진(plate resonance)으로 불리는 주기적인 공진이 생긴다. 이 주기 및 판공진이 생기는 주파수는, 공축 방향에 있어서의 셉텀판의 길이에 의존하는 것이다. 따라서, 직교 편분파기에서는, 원하는 대역에서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추출하기 위해, 셉텀판의 길이를 정합하는 것이 불가결하다.
일본국 특개평 1-273401호 공보(전문, 도 1, 도 2) 일본국 특개평 6-140810호 공보(단락번호 0005, 도 5) 일본국 특개평 8-162804호 공보(단락번호 0002∼0004, 도 4)
그러나, 특허문헌 1∼3에 기재된 편분파기는, 원형 주 도파관과 접속되는 스텝 변환부가, 직경이 다른 도파관으로 되어, 원형 주 도파관에 대해 측벽에 단차가 생기기 때문에, 원형 주 도파관측 또는 스텝 변환부측의 어느 한쪽에밖에 셉텀판이 배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셉텀판의 길이를 조정하는 조정 마진이이 극단적으로 적어, 원하는 성능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된 편분파기에서는, 원형 주 도파관측에 셉텀판을 배치하고 있으므로, 원형 주 도파관측과 스텝 변환부의 단차 부분을 피하여, 셉텀판을 길게 하면, 셉텀판의 길이만큼 원형 주 도파관이 길어져 버려, 축방향으로 긴 대형의 구조가 되어 버린다.
특허문헌 3에 기재된 편분파기에서는, 원형 주 도파관과 접속되는 공축측 사각형 부 도파관의 사이를 연결하는 스텝 변환부측에 셉텀판을 배치하고 있으므로, 원형 주 도파관측과 스텝 변환부의 단차 부분을 피하여, 셉텀판을 길게 할 수 있는 범위가 스텝 변환부의 길이에 의존하여 버린다.
또한, 특허문헌 3에 기재된 편분파기에서는, 결합 구멍으로부터 떨어진 스텝 변환부에 셉텀판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셉텀판과 평행한 성분의 편파를 추출할 때에, 원형 주 도파관으로부터 결합 구멍을 통해 직접 직교측 사각형 부 도파관에 들어오는 전파와, 셉텀판에서 반사된 후, 결합 구멍을 통해 직교측 사각형 부 도파관에 들어오는 전파의 위상이 크게 달라져 버려, 넓은 대역에서 정합을 취하는 것이 곤란하다.
원형 주 도파관측과 스텝 변환부의 단차 부분에 걸친 셉텀판을 배치하기 위해서는, 편분파기를 제조함에 있어서 가공 작업이 증가한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이때, 가공 자체가 곤란하다고 하는 경우도 있다. 더구나, 원형 주 도파관측과 스텝 변환부의 단차 부분에 걸친 셉텀판을 배치하는 가공이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원형 주 도파관측 및 스텝 변환부의 단차 부분과 셉텀판이 밀착하지 않아 원하는 성능이 얻어지지 않거나, 또는, 반대로 여분의 도체가 남아 버려 원하는 성능이 얻어지지 않는다고 하는 과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축방향으로 짧고 소형인 구조이고, 가공이 용이한 동시에, 셉텀판의 길이에 대한 수용성이 높고, 직교한 2개의 편파 각각에서 양호한 특성을 실현할 수 있는 편분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의 발명에 관한 편분파기는, 원형 도파관과, 이 원형 도파관의 축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원형 도파관의 내경보다도 짧은 길이의 짧은 변을 갖는 사각형 도파관과, 이 사각형 도파관과 상기 원형 도파관을 접속하는 접속 도파관과, 이 접속 도파관과 상기 원형 도파관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 도파관의 긴 변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상기 원형 도파관 및 상기 접속 도파관의 내부를 분할하는 평판형의 도체 벽과, 이 도체 벽의 한쪽의 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 도파관의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 도파관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도체 벽측으로 경사진 제1경사면과, 상기 도체 벽의 다른쪽의 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 도파관의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 도파관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도체 벽측으로 경사진 제2경사면과, 상기 원형 도파관에 형성되고, 상기 원형 도파관이 전파하는 전자파 중에서, 상기 도체 벽에 의해 편분파된 한쪽을 추출하는 결합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 도파관은, 원호형의 제1벽면 및 이 제1벽면과 대향하는 원호형의 제2벽면과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2의 발명에 관한 편분파기는,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이, 계단형의 형상을 갖는 것인 청구항 1에 기재된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청구항 3의 발명에 관한 편분파기는, 상기 접속 도파관이, 상기 원형 도파관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호형의 제1벽면 및 이 제1벽면과 대향하고, 상기 원형 도파관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호형의 제2벽면과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으로 구성되는 것인 청구항 1에 기재된 것이다.
청구항 4의 발명에 관한 편분파기는, 상기 접속 도파관이, 상기 원형 도파관과 접속하는 부분에서는, 상기 원형 도파관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호형의 제1벽면 및 이 제1벽면과 대향하고, 상기 원형 도파관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호형의 제2벽면과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원형 도파관측으로부터 상기 사각형 도파관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제1벽면 및 상기 제2벽면의 직경이 커져 가는 것인 청구항 1에 기재된 것이다.
청구항 5의 발명에 관한 편분파기는, 상기 사각형 도파관의 긴 변이 상기 원형 도파관의 내경보다도 짧은 것인 청구항 1에 기재된 것이다.
청구항 6의 발명에 관한 편분파기는, 상기 도체 벽이, 상기 접속 도파관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면 및 상기 다른쪽의 면이 사다리꼴 형상의 형상을 갖는 것인 청구항 1에 기재된 것이다.
청구항 7의 발명에 관한 편분파기는, 상기 접속 도파관이, 상기 원형 도파관과 접속하는 부분에서는, 원호형의 제1벽면 및 이 제1벽면과 대향하는 원호형의 제2벽면과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원형 도파관측으로부터 상기 사각형 도파관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제1벽면 및 상기 제2벽면의 거리가 좁아져 가는 것인 청구항 5에 기재된 것이다.
청구항 8의 발명에 관한 편분파기는, 상기 접속 도파관이, 상기 원형 도파관과 접속하는 부분에서는, 원호형의 제1벽면 및 이 제1벽면과 대향하는 원호형의 제2벽면과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원형 도파관측으로부터 상기 사각형 도파관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제1벽면 및 상기 제2벽면의 거리가 좁아져 가는 것인 청구항 6에 기재된 것이다.
청구항 9의 발명에 관한 편분파기는, 상기 접속 도파관이, 상기 원형 도파관과 접속하는 부분에서는, 상기 원형 도파관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호형의 제1벽면 및 이 제1벽면과 대향하고, 상기 원형 도파관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호형의 제2벽면과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원형 도파관측으로부터 상기 사각형 도파관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제1벽면 및 상기 제2벽면의 거리가 좁아져 가는 것인 청구항 5에 기재된 것이다.
청구항 10의 발명에 관한 편분파기는, 상기 접속 도파관이, 상기 원형 도파관과 접속하는 부분에서는, 상기 원형 도파관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호형의 제1벽면 및 이 제1벽면과 대향하고, 상기 원형 도파관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호형의 제2벽면과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원형 도파관측으로부터 상기 사각형 도파관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제1벽면 및 상기 제2벽면의 거리가 좁아져 가는 것인 청구항 6에 기재된 것이다.
청구항 11의 발명에 관한 편분파기는, 상기 접속 도파관이, 상기 원형 도파관과 접속하는 부분에서는, 상기 원형 도파관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호형의 제1벽면 및 이 제1벽면과 대향하고, 상기 원형 도파관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호형의 제2벽면과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원형 도파관측으로부터 상기 사각형 도파관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제1벽면 및 상기 제2벽면의 거리가 좁아져 가는 동시에, 상기 제1벽면 및 상기 제2벽면의 직경이 커져 가는 것인 청구항 5에 기재된 것이다.
청구항 12의 발명에 관한 편분파기는, 상기 접속 도파관이, 상기 원형 도파관과 접속하는 부분에서는, 상기 원형 도파관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호형의 제1벽면 및 이 제1벽면과 대향하고, 상기 원형 도파관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호형의 제2벽면과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원형 도파관측으로부터 상기 사각형 도파관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제1벽면 및 상기 제2벽면의 거리가 좁아져 가는 동시에, 상기 제1벽면 및 상기 제2벽면의 직경이 커져 가는 것인 청구항 6에 기재된 것이다.
청구항 13의 발명에 관한 편분파기는, 상기 도체 벽이, 상기 제1벽면과 상기 제2벽면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 도파관의 내부를 분할하는 것인 청구항 1에 기재된 것이다.
청구항 14의 발명에 관한 편분파기는, 상기 도체 벽이, 상기 제1벽면과 상기 제2벽면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 도파관의 내부를 분할하는 것인 청구항 3에 기재된 것이다.
청구항 15의 발명에 관한 편분파기는, 상기 도체 벽이, 상기 제1벽면과 상기 제2벽면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 도파관의 내부를 분할하는 것인 청구항 4에 기재된 것이다.
청구항 16의 발명에 관한 편분파기는, 상기 도체 벽이, 상기 제1벽면과 상기 제2벽면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 도파관의 내부를 분할하는 것인 청구항 7에 기재된 것이다.
청구항 17의 발명에 관한 편분파기는, 상기 도체 벽이, 상기 제1벽면과 상기 제2벽면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 도파관의 내부를 분할하는 것인 청구항 8에 기재된 것이다.
청구항 18의 발명에 관한 편분파기는, 상기 도체 벽이, 상기 제1벽면과 상기 제2벽면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 도파관의 내부를 분할하는 것인 청구항 9에 기재된 것이다.
청구항 19의 발명에 관한 편분파기는, 상기 도체 벽이, 상기 제1벽면과 상기 제2벽면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 도파관의 내부를 분할하는 것인 청구항 10에 기재된 것이다.
청구항 20의 발명에 관한 편분파기는, 상기 도체 벽이, 상기 제1벽면과 상기 제2벽면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 도파관의 내부를 분할하는 것인 청구항 11에 기재된 것이다.
청구항 21의 발명에 관한 편분파기는, 상기 도체 벽이, 상기 제1벽면과 상기 제2벽면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 도파관의 내부를 분할하는 것인 청구항 12에 기재된 것이다.
삭제
청구항 22의 발명에 관한 편분파기는, 상기 도체 벽이, 상기 원형 도파관 및 상기 사각형 도파관과 일체인 청구항 1에 기재된 것이다.
청구항 23의 발명에 관한 편분파기는, 상기 사각형 도파관은, 그것의 긴 변이 상기 원형 도파관의 내경보다도 긴 것이고, 상기 접속 도파관은, 상기 원형 도파관측으로부터 상기 사각형 도파관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제1벽면 및 상기 제2벽면의 거리가 넓어져 가는 것인 청구항 1에 기재된 것이다.
청구항 24의 발명에 관한 편분파기는, 상기 사각형 도파관은, 그것의 긴 변이 상기 원형 도파관의 내경보다도 긴 것이고, 상기 접속 도파관은, 상기 원형 도파관과 접속하는 부분에서는, 상기 제1벽면 및 상기 제2벽면이 상기 원형 도파관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호형이고, 상기 원형 도파관측으로부터 상기 사각형 도파관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제1벽면 및 상기 제2벽면의 거리가 넓어져 가는 것인 청구항 1에 기재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에 따르면, 원하는 전기 성능을 얻기 위한 도체 벽(셉텀판) 조정이나 가공성의 용이성이 담보되고, 셉텀판을 설치하는 것이 제조상 용이하고 또한, 셉텀판의 길이를 조정가능한 범위가 커져 광대역화 등 전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원형 도파관과 접속 도파관의 접속 부분의 관 내부에 단차가 생기기 어려운 편분파기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의 효과 이외에, 접속 도파관의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의 경사면 형상이 계단형이므로, 보다 가공하기 쉬운 편분파기를 얻을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의 효과 이외에, 원형 도파관과 접속 도파관의 접속 부분의 관 내부에 단차가 생기지 않는 편분파기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의 효과 이외에, 원형 도파관과 접속 도파관의 접속 부분의 관 내부에 단차가 생기지 않고, 사각형 도파관의 단면 형상과도 친화성이 높은 접속 도파관을 갖는 편분파기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의 효과 이외에, 원형 도파관의 내경보다도 짧은 긴 변의 길이를 갖는 사각형 도파관의 단면 형상과도 친화성이 높은 접속 도파관을 갖는 편분파기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의 효과 이외에, 원형 도파관과 접속 도파관의 접속 부분에 있어서 도체 벽에 큰 단차가 없는 편분파기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의 효과 이외에, 원형 도파관과 접속 도파관의 접속 부분의 관 내부에 단차가 생기지 않는 편분파기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8에 관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의 효과 이외에, 원형 도파관과 접속 도파관의 접속 부분의 관 내부에 단차가 생기지 않는 편분파기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9에 관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의 효과 이외에, 원형 도파관의 내경보다도 짧은 긴 변의 길이를 갖는 사각형 도파관과 친화성이 높은 접속 도파관을 갖는 편분파기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0에 관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의 효과 이외에, 원형 도파관의 내경보다도 짧은 긴 변의 길이를 갖는 사각형 도파관과 친화성이 높은 접속 도파관을 갖는 편분파기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1에 관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의 효과 이외에, 원형 도파관의 내경보다도 짧은 긴 변의 길이를 갖는 사각형 도파관의 단면 형상과도 친화성이 높은 접속 도파관을 갖는 편분파기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2에 관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의 효과 이외에, 원형 도파관의 내경보다도 짧은 긴 변의 길이를 갖는 사각형 도파관의 단면 형상과도 친화성이 높은 접속 도파관을 갖는 편분파기를 얻을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청구항 13에 관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의 효과 이외에, 도체 벽을 접속 도파관과 원형 도파관에 걸쳐, 보다 형성하기 쉬운 편분파기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4에 관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의 효과 이외에, 도체 벽이 단차형의 외형을 갖는 평판이 아니라, 사각 형상의 형상을 갖는 편분파기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5에 관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의 효과 이외에, 도체 벽이 단차형의 외형을 갖는 평판이 아니라, 사각형 형상 및 사다리꼴 형상을 조합한 형상을 갖는 편분파기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편분파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편분파기의 투시 사시도(입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편분파기의 투시 측면도 및 측방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편분파기의 투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편분파기의 투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편분파기의 투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편분파기의 투시 측면도 및 측방도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편분파기의 투시 사시도(입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편분파기의 투시 측면도 및 측방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편분파기의 투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편분파기 투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편분파기의 투시 측면도 및 측방도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첨부의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삭제
실시형태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대해 도 1∼도 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편분파기의 평면도, 도 1b는 편분파기의 평면도(도체 벽(셉텀판)을 점선으로 표시), 도 1c는 도 1a에 기재된 일점쇄선 AA에 따른 편분파기의 단면도이고, 도 1에 있어서의 2점쇄선 BB은 원형 도파관과 접속 도파관의 기능의 경계선을 나타내고 있다. 도 3a는 편분파기에 투시 측면도(도체 벽(셉텀판)을 점선으로 표시), 도 3b는 도 3a에 기재된 화살표 B에서 본 편분파기의 측방도이다. 도면 중,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고 그것들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a는 편분파기의 투시 평면도(결합 구멍 및 사각형 부 도파관을 생략하고 있다), 도 5b 및 도 5e는 도 5a에 기재된 일점쇄선 AA에 따른 편분파기의 단면도, 도 5c 및 도 5f는 도 5a에 기재된 일점쇄선 BB에 따른 편분파기의 단면도, 도 5d 및 도 5g는 도 5a에 기재된 일점쇄선 CC에 따른 편분파기의 단면도, 도 6a는 편분파기의 투시 평면도(결합 구멍 및 사각형 부 도파관을 생략하고 있다), 도 6b 및도 6e는 도 6a에 기재된 일점쇄선 AA에 따른 편분파기의 단면도, 도 6c 및 도 6f는 도 6a에 기재된 일점쇄선 BB에 따른 편분파기의 단면도, 도 6d 및 도 6g는 도 6a에 기재된 일점쇄선 CC에 따른 편분파기의 단면도, 도 7a는 편분파기의 투시 측면도(도체 벽(셉텀판)을 점선으로 표시), 도 7b는 도 7a에 기재된 화살표 B에서 본 편분파기의 측방도, 도 7c는 도 7a에 기재된 점선 AA에 따른 편분파기의 단면도이다. 도면 중,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고 그것들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도 7에 있어서, 1은 원형 도파관(원형 주 도파관), 2는 원형 도파관(1)이 연장되는 축방향(공축 방향)에 배치되고, 원형 도파관(1)의 내경보다도 짧은 길이의 짧은 변을 갖는 사각형 도파관(직사각형 도파관, 사각형 주 도파관, 직사각형 주 도파관, 공축측 직사각형 부 도파관), 3은 사각형 도파관(2)과 원형 도파관(1)을 접속하는 접속 도파관, 4는 접속 도파관(3)과 원형 도파관(1)에 걸쳐 형성되고, 사각형 도파관(2)의 긴 변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원형 도파관(1) 및 접속 도파관(3)의 내부를 분할하는 평판형의 도체 벽(셉텀판, 단락판), 3a는 도체 벽(셉텀판)(4)의 한쪽의 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접속 도파관(3)의 내벽에 형성되고, 사각형 도파관(2)측을 향함에 따라, 도체 벽(4)측으로 경사진 제1경사면, 3b는 도체 벽(셉텀판)(4)의 다른쪽의 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접속 도파관(3)의 내벽에 형성되고, 사각형 도파관(2)측을 향함에 따라, 도체 벽(4)측으로 경사진 제2경사면이다. 도면 중,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고 그것들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도 1∼도 3, 도 5, 도 7에 있어서, 원형 도파관(1)은, 대략 완전한 원의 것으로, 원주에 걸쳐 내경이 일정하고, 사각형 도파관(2)의 긴 변의 길이가 원형 도파관(1)의 내경과 대략 동일 또는 원형 도파관(1)의 내경보다도 긴 것을 도시하고 있다(접속 도파관(3)에 있어서는, 제1경사면(3a), 제2경사면(3b) 이외의 부분의 내경에 해당한다. 환언하면, 후술하는 제1벽면(3c)과 제2벽면(3d)에 의한 직경에 해당한다). 이것은, 원형 도파관(1)의 내경을 a로 하고, 사각형 도파관(2)의 긴 변의 길이를 b로 했을 때, b=a+α가 된다. 여기에서, α은, 원형 도파관(1)(접속 도파관(3))과 사각형 도파관(2)의 접속에 지장이 없을 정도의 것이면 된다. 물론, 도 4에 기재된 것과 같이, 원형 도파관(1)은, 대략 완전한 원의 것으로, 원주에 걸쳐 내경이 일정하고, 사각형 도파관(2)의 긴 변의 길이가 원형 도파관(1)의 내경과 대략 동일 또는 원형 도파관(1)의 내경보다도 짧은 것이어도 된다(접속 도파관(3)에 있어서는, 제1경사면(3a), 제2경사면(3b) 이외의 부분의 내경에 해당한다. 환언하면, 후술하는 제1벽면(3c)과 제2벽면(3d)에 의한 직경에 해당한다). 즉, 원형 도파관(1)의 내경을 a로 하고, 사각형 도파관(2)의 긴 변의 길이를 b로 했을 때, b+α=a가 된다. α는 전술한 것과 같은 정의이다. 단, α가 허용범위를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 6에 기재된 것과 같이, 접속 도파관(3)에 있어서 후술하는 제1벽면(3c)과 제2벽면(3d)의 부분을 경사형으로 하면 된다. 도 6에서는, 접속 도파관(3)에 있어서 후술하는 제1벽면(3c)과 제2벽면(3d)에 의한 직경 중, 사각형 도파관(2)과 접하는 부분 또는 그 근방의 직경은, 사각형 도파관(2)의 긴 변의 길이보다도 짧은 것을 도시하고 있는데, 반대이어도 되지만, 그 차이는 전술한 α의 범위일 필요가 있다. 원형 도파관(1)이 타원인 경우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도면 중,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고 그것들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도 1∼도 7에 있어서, 5는 원형 도파관(1)에 형성되고, 원형 도파관(1)이 전파하는 전자파 중에서, 도체 벽(4)에 의해 편분파된 한쪽을 추출하기 위해, 원형 도파관(1)을 분기하여, 원형 도파관(1)의 직경 방향으로 설치된 결합 구멍이다. 결합 구멍(5)은 도체 벽(4)의 한쪽 또는 다른쪽의 면의 일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6은 결합 구멍(5)을 통해 원형 주 도파관의 직교 방향으로 전자파를 추출하는 사각형 부 도파관(직사각형 부 도파관, 직교측 직사각형 부 도파관), 3c는 접속 도파관(3)을 구성하는 원호형의 제1벽면, 3d는 접속 도파관(3)을 구성하고, 제1벽면(3c)과 대향하는 원호형의 제2벽면이다. 제1벽면(3c)과 제2벽면(3d)은, 각각, 원호의 중심점측을 향해 서로 마주 본 상태에서 대향하고 있다. 이때, 접속 도파관(3)은 제1벽면(3c) 및 제1벽면(3c)과 대향하는 원호형의 제2벽면(3d)과 제1경사면(3a) 및 제2경사면(3b)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도체 벽(4)은 제1벽면(3c)과 제2벽면(3d)으로 형성되고, 접속 도파관(3)의 내부를 분할하는 것이다. 도체 벽(4), 제1벽면(3c), 제2벽면(3d)에 의해, 접속 도파관(3)은 H자형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 더구나, 제1경사면(3a) 및 제2경사면(3b)을 더하면, 접속 도파관(3)은 Θ와 같은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면 중,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고 그것들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이외의 도면에 있어서는, 구조나 위치 관계(특히, 실시형태 1에 관한 편분파기의 도파관 구조의 내벽 구조)의 이해하기 쉬움을 우선하여, 원형 도파관(1), 사각형 도파관(2), 접속 도파관(3), 사각형 부 도파관(6)의 도체 두께를 선분으로 표기하고 있다.
도 1∼도 5를 사용해서 실시형태 1에 관한 편분파기를 설명한다. 도 1∼3에는, 원형 도파관(1)은, 공축 방향으로 타원형을 분할한 것과 같은 쌍곡선형의 외형을 갖는 면을 갖는 제1경사면(3a) 및 제2경사면(3b)을 갖는 접속 도파관(3)과 접속되어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제1경사면(3a) 및 제2경사면(3b)은, 직선 형상의 경사(테이퍼)를 갖는 면이지만, 테이퍼(경사)는 직선 형상이 아니더라도, 코사인이나 사인의 삼각함수 등에 의해 정의되는 곡선 형상이어도 된다. 접속 도파관(3)은, 사각형 도파관(2)과 접속되어 있다. 또한, 원형 도파관(1)은 직교 방향으로 결합 구멍(5)이 설치되고, 결합 구멍(5)은 사각형 부 도파관(6)과 접속된다.
도체 벽(4)은, 원형 도파관(1)으로부터 접속 도파관(3)에 걸쳐 도파관(실시형태 1에 관한 편분파기의 도파관 구조)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때, 도 1∼도 3으로부터, 결합 구멍(5)은 도체 벽(4)의 한쪽(다른쪽)의 면의 일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기재된 사각형 부 도파관(6)의 개구로부터 도체 벽(4)의 일부가 보인다. 마찬가지로, 도 3b에 기재된 사각형 도파관(2)의 개구로부터, 사각형 도파관(2)의 긴 변이 연장되는 방향으로서, 사각형 도파관(2)의 짧은 변이 연장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도체벽(4)이 보인다.
다음에, 도 4 및 도 5(도 1(b))를 사용하여, 접속 도파관(3)의 제1경사면(3a) 및 제2경사면(3b)을 연결하는 측벽인 제1벽면(3c) 및 제2벽면(3d)에 관해 설명을 행한다. 이때, 도 4에 기재된 편분파기는, 원형 도파관(1)의 내경(a)이 사각형 도파관(2)의 긴 변의 길이(b)보다도 긴 것을 나타내고 있고, 도 5에 기재된 편분파기는, 원형 도파관(1)의 내경(a)이 사각형 도파관(2)의 긴 변의 길이(b)보다도 짧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우선, 도 1b, 도 4, 도 5a로부터 도체 벽(4)은, 한쪽의 면 및 다른쪽의 면이 사각 형상의 형상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실시형태 1에 관한 편분파기의 도파관 구조에 있어서는, 도체 벽(4)이 단차형의 외형을 갖는 평판이 아닌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제1벽면(3c) 및 제2벽면(3d)의 구조·형상이 기여하고 있다. 도 4 및 도 5a와 도 5b∼도 5d로부터, 접속 도파관(3)은, 도 5b에 나타낸 원(원형 도파관(1))의 상하를 평행한 선으로 잘라낸 타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원형 도파관(1)과 동일한 직경인 상태에서, 상하의 평행선의 간격을 변화시켜 가는 것인 것을 알 수 있다(도 5c, 도 5d).
즉, 도 4 및 도 5a 및 도 5b∼도 5d로부터, 접속 도파관(3)은, 원형 도파관(1)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호형의 제1벽면(3c) 및 제1벽면(3c)과 대향하고, 원형 도파관(1)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호형의 제2벽면(3d)과 제1경사면(3a) 및 제2경사면(3b)으로 구성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벽면(3c) 및 제2벽면(3d)의 대향하는 원호의 중심에 걸치는(원호의 중심을 연결시키는) 것과 같은 형태로, 도체 벽(4)을 접속 도파관(3)과 원형 도파관(1)에 걸쳐 형성함으로써, 도체 벽(4)이 단차형의 외형을 갖는 평판이 아니라, 사각 형상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도 5b∼도 5d에는, 제1벽면(3c) 및 제2벽면(3d)이, 공축 방향에 걸쳐 동일한 형상인 것을 기재하였지만, 공축 방향에 걸쳐 동일한 형상이 아니어도, 접속 도파관(3)과 원형 도파관(1)에 걸쳐 형성하여도, 도체 벽(4)이 단차형의 외형을 갖는 평판이 아니고, 사각 형상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할 수 있는 경우를 도 4 및 도 5a 및 도 5e∼도 5g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5e∼도 5g에는, 접속 도파관(3)은, 원형 도파관(1)과 접속하는 부분에서는, 원형 도파관(1)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호형의 제1벽면(3c) 및 제1벽면(3c)과 대향하고, 원형 도파관(1)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호형의 제2벽면(3d)과 제1경사면(3a) 및 제2경사면(3b)으로 구성되고, 원형 도파관(1)측으로부터 사각형 도파관(2)측을 향함에 따라, 제1벽면(3c) 및 제2벽면(3d)의 원호의 직경이 커져 가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도, 제1벽면(3c) 및 제2벽면(3d)의 대향하는 원호의 중심 사이의 거리가, 도 5b∼도 5d에 기재된 제1벽면(3c) 및 제2벽면(3d)과 마찬가지로, 일정하게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지금까지는, 도체 벽(4)이 사각 형상의 형상을 갖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원형 도파관(1)과 접속 도파관(3)의 접속 부분으로서, 도체 벽(4)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큰 단차가 생기지 않으면, 실시형태 1에 관한 편분파기는 실시가능하다. 즉, 사각형 도파관(2)의 긴 변이 원형 도파관(1)의 내경보다도 짧은 것인 경우도, 실시형태 1에 관한 편분파기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대해, 도 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을 사용하여 설명하는 것은, 도체 벽(4)이, 원형 도파관(1)에 있어서 한쪽의 면 및 다른쪽의 면이 사각형의 형상을 갖고, 접속 도파관(3)에 있어서 한쪽의 면 및 다른쪽의 면이 사다리꼴 형상의 형상을 갖는 것이다.
도 6a∼도 6g는, 전술한 도 5a∼도 5g에 각각 대응한다. 이때, 도 6에 기재된 편분파기는, 원형 도파관(1)의 내경(a)이 사각형 도파관(2)의 긴 변의 길이(b)보다도 긴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6a 및 도 6b∼도 6d로부터, 접속 도파관(3)은, 도 6b에 나타낸 원(원형 도파관(1))의 상하를 평행한 선으로 잘라낸 타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원형 도파관(1)의 접속 부분에서는, 원형 도파관(1)과 동일한 직경에서, 상하의 평행선의 간격을 변화시켜 가는 동시에, 제1벽면(3c) 및 제2벽면(3d)이 근접하여 가는 것인 것을 알 수 있다(도 6c, 도 6d). 따라서, 접속 도파관(3)은, 원형 도파관(1)과 접속하는 부분에서는, 원호형의 제1벽면(3c) 및 제1벽면(3c)과 대향하는 원호형의 제2벽면(3d)과 제1경사면(3a) 및 제2경사면(3b)으로 구성되고, 원형 도파관(1)측으로부터 사각형 도파관(2)측을 향함에 따라, 제1벽면(3c) 및 제2벽면(3d)의 거리가 좁아져 가기 때문에(도 6c, 도 6d), 결과적으로, 도체 벽(4)이 접속 도파관(3)에 있어서, 한쪽의 면 및 다른쪽의 면이 사다리꼴 형상의 형상으로 된다.
즉, 도 6a와 도 6b∼도 6d로부터, 접속 도파관(3)은, 원형 도파관(1)과 접속하는 부분에서는, 원형 도파관(1)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호형의 제1벽면(3c) 및 제1벽면(3c)과 대향하고, 원형 도파관(1)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호형의 제2벽면(3d)과 제1경사면(3a) 및 제2경사면(3b)으로 구성되고, 원형 도파관(1)측으로부터 사각형 도파관(2)측을 향함에 따라, 제1벽면(3c) 및 제2벽면(3d)의 거리가 좁아져 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벽면(3c) 및 제2벽면(3d)의 대향하는 원호의 중심에 걸치는(원호의 중심을 연결하는) 것과 같은 형태로, 도체 벽(4)을 접속 도파관(3)과 원형 도파관(1)에 걸쳐 형성함으로써, 도체 벽(4)이 단차형의 외형을 갖는 평판이 아니라, 사각형 형상 및 사다리꼴 형상을 조합한 형상을 갖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때, 도시는 생략하지만, 편분파기에 있어서, 원형 도파관(1)의 내경(a)이 사각형 도파관(2)의 긴 변의 길이(b)보다도 짧은, 즉, b=a+α이고, 전술한 α가 허용범위를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접속 도파관(3)이, 원형 도파관(1)과 접속하는 부분에서는, 원형 도파관(1)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호형의 제1벽면(3c) 및 제1벽면(3c)과 대향하고, 원형 도파관(1)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호형의 제2벽면(3d)과 제1경사면(3a) 및 제2경사면(3b)으로 구성되고, 원형 도파관(1)측으로부터 사각형 도파관(2)측을 향함에 따라, 제1벽면(3c) 및 제2벽면(3d)의 거리가 넓어져 가는 것으로 하면 된다. 이 경우, 접속 도파관(3)에 있어서 제1벽면(3c)과 제2벽면(3d)에 의한 직경 중, 사각형 도파관(2)과 접하는 부분 또는 그 근방의 직경은, 사각형 도파관(2)의 긴 변의 길이보다도 길어도 짧아도 되지만, 그 차이는 전술한 α의 범위일 필요가 있다.
도 6b∼도 6d에는, 제1벽면(3c) 및 제2벽면(3d)이, 공축 방향에 걸쳐 동일한 형상인 것을 기재하였지만, 공축 방향에 걸쳐 동일한 형상이 아니어도, 접속 도파관(3)과 원형 도파관(1)에 걸쳐 형성해도, 도체 벽(4)이 단차형의 외형을 갖는 평판이 아니라, 사각형 형상 및 사다리꼴 형상을 조합한 형상을 갖는 것으로 할 수 있는 경우를 도 6a와 도 6e∼도 6g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6e∼도 6g에는, 접속 도파관(3)이, 원형 도파관(1)과 접속하는 부분에서는, 원형 도파관(1)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호형의 제1벽면(3c) 및 제1벽면(3c)과 대향하고, 원형 도파관(1)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호형의 제2벽면(3d)과 제1경사면(3a) 및 제2경사면(3b)으로 구성되고, 원형 도파관(1)측으로부터 사각형 도파관(2)측을 향함에 따라, 제1벽면(3c) 및 제2벽면(3d)의 거리가 좁아져 가는 동시에, 제1벽면(3c) 및 제2벽면(3d)의 원호의 직경이 커져 가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도, 제1벽면(3c) 및 제2벽면(3d)의 대향하는 원호의 중심 사이의 거리에 있어서의 축소율이, 도 6b∼도 6d에 기재된 제1벽면(3c) 및 제2벽면(3d) 와 동일하게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이때, 도시는 생략하지만, 편분파기에 있어서, 원형 도파관(1)의 내경(a)이 사각형 도파관(2)의 긴 변의 길이(b)보다도 짧다, 즉, b=a+α이며, 전술한 α이 허용범위를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접속 도파관(3)이, 원형 도파관(1)과 접속하는 부분에서는, 원형 도파관(1)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호형의 제1벽면(3c) 및 제1벽면(3c)과 대향하고, 원형 도파관(1)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호형의 제2벽면(3d)과 제1경사면(3a) 및 제2경사면(3b)으로 구성되고, 원형 도파관(1)측으로부터 사각형 도파관(2)측을 향함에 따라, 제1벽면(3c) 및 제2벽면(3d)의 거리가 넓어져 가는 동시에, 제1벽면(3c) 및 제2벽면(3d)의 원호의 직경이 커져 가는 것으로 하면 된다. 이 경우, 접속 도파관(3)에 있어서 제1벽면(3c)과 제2벽면(3d)에 의한 직경 중, 사각형 도파관(2)과 접하는 부분 또는 그 근방의 직경은, 사각형 도파관(2)의 긴 변의 길이보다도 길어도 짧아도 되지만, 그 차이는 전술한 α의 범위일 필요가 있다.
다음에, 실시형태 1에 관한 편분파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실시형태 1에 관한 편분파기는, 직교한 편파를 전송가능한 원형 주 도파관(1)과 직경 방향으로 결합 구멍(5)을 통해 접속된 사각형 부 도파관(6)과, 원형 주 도파관(1)과 공축 방향으로 접속 도파관(3)을 통해 접속된 사각형 도파관(2)으로 구성되어 있다. 접속 도파관(3)은, 원형 도파관(1)의 상하를 평행한 직선으로 잘라낸 타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의 높이가 테이퍼 형상으로 변화하고, 원형 도파관(1)과 접속 도파관(3)에 걸친 영역에서 배치된 도체 벽(셉텀판)(4)을 구비하고 있다.
원형 도파관(1)은 직교한 편파를 전송하고, 접속 도파관(3)을 통해 사각형 도파관(2)에, 혹은 결합 구멍(5)을 통해 사각형 부 도파관(6)에 전파(전자파)를 전송한다. 또한, 사각형 도파관(2)으로부터의 전파는 원형 도파관(1) 끝으로 출력된다. 사각형 부 도파관(6)으로부터의 전파는 원형 도파관(1) 끝으로 출력된다. 접속 도파관(3)은 원형 도파관(1)과 사각형 도파관(2)의 정합을 행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부터, 예를 들면, 도 7과 같이(사각형 도파관(2)은 접속되어 있지 않다), 접속 도파관(3)을 전술한 타원형으로 함으로써, 외형이 원형으로 되는 범위에서는, 도파관의 폭(또는 직경)이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원형 도파관(1)과 접속 도파관(3)에 걸쳐 얇은 판형의 셉텀판(도체 벽)(4)을 용이하게 배치 또는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외형이 원형으로 되는 범위에서는, 도파관의 폭(또는 직경)의 변화가 적으므로, 원형 도파관(1)과 접속 도파관(3)에 걸쳐 얇은 판형의 셉텀판(도체 벽)(4)을 용이하게 배치 또는 가공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대해 도 8∼도 1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9a는 편분파기의 투시 측면도(도체 벽(셉텀판)을 점선으로 표시), 도 9b는 도 9a에 기재된 화살표 B에서 본 편분파기의 측방도, 도 11a는 편분파기의 투시 평면도(결합 구멍 및 사각형 부 도파관을 생략하고 있다), 도 11b는 편분파기의 투시 평면도(결합 구멍 및 사각형 부 도파관을 생략하고 있다), 도 12a는 편분파기의 투시 측면도(도체 벽(셉텀판)을 점선으로 표시), 도 12b는 도 12a에 기재된 화살표 B에서 본 편분파기의 측방도, 도 12c는 도 12a에 기재된 점선 AA에 따른 편분파기의 단면도이다. 도면 중,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고 그것들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도 12를 사용해서 실시형태 2에 관한 편분파기를 설명한다. 실시형태 2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1과 다른 점(제1경사면(3a), 제2경사면(3b))에 관해 설명하지만, 공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형태 2에 관한 편분파기는, 실시형태 1에 관한 편분파기에 있어서, 직선 형상의 경사(테이퍼)나, 코사인이나 사인의 삼각함수 에 의해 정의되는 곡선 형상의 경사를 갖는 면이었던 제1경사면(3a) 및 제2경사면(3b)이, 계단형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제1경사면(3a) 및 제2경사면(3b)의 계단형의 경사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제1경사면(3a) 및 제2경사면(3b)의 경사면을 모의(simulate)한 것으로 되어 있다. 즉, 제1경사면(3a) 및 제2경사면(3b)에 의한 계단 부분의 1계단 1계단을 직선 또는 곡선으로 연결하면 개략의 형상이,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제1경사면(3a) 및 제2경사면(3b)에 근사한 것으로 된다.
도 8∼도 10은, 실시형태 1에 관한 편분파기의 설명에 사용한 도 2∼4에, 각각 대응한다. 도 8∼도 10에는, 원형 도파관(1)은, 공축 방향으로 타원형을 분할한 것과 같은 쌍곡선형의 외형을 갖는 면의 쌍곡선 부분을 피라미드형의 단차를 갖는 제1경사면(3a) 및 제2경사면(3b)을 갖는 접속 도파관(3)과 접속되어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제1경사면(3a) 및 제2경사면(3b)은, 직선 형상의 경사(테이퍼)를 갖는 면이나, 코사인이나 사인의 삼각함수 등에 의해 정의되는 곡선 형상을 모의한 계단형의 형상을 갖고 있어, 가공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이때, 계단형의 형상은 상기한 것과 같이 직선 형상의 경사나 삼각함수 등에 의해 정의되는 곡선 형상을 모의해도 되고, 1/4 파장 정합기와 같은 임피던스 정합기에 의한 계단 형상을 이루어도 상관없다. 이때, 1/4 파장이란 편분파기(도파관)의 사용 주파수(파장)에 대한 것인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11a 및 도 11b는, 실시형태 1에 관한 편분파기의 설명에 사용한 도 5a 및 도 6a에, 각각 대응한다. 도 11로부터, 실시형태 2에 관한 편분파기에 있어서도, 도체 벽(4)의 형상이 사각 형상의 형상을 갖는 것과, 도체 벽(4)의 형상이 사각형 형상 및 사다리꼴 형상의 형상을 갖는 것의 양쪽이 허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시형태 2에 관한 편분파기는, 직교한 편파를 전송가능한 원형 주 도파관(1)과 직경 방향으로 결합 구멍을 통해 접속된 사각형 부 도파관(6)과, 원형 도파관(1)과 축방향으로 접속 도파관(3)을 통해 접속된 사각형 도파관(2)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은, 실시형태 1에 관한 편분파기와 동일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실시형태 2와 실시형태 1의 차이점은, 실시형태 2에 관한 편분파기가, 접속 도파관(3)의 상하를 평행한 직선으로 잘라낸 타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의 높이가 스텝형(계단형)으로 변화하는 것이다.
실시형태 1 및 2.
실시형태 1 및 2에 관한 편분파기에 있어서, 원형 도파관(1) 및 접속 도파관(3)은, 절삭가공이나 다이캐스트 주조 등의 일반적인 가공방법으로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체 벽(4)도, 원형 도파관(1) 및 접속 도파관(3)과 함께, 절삭가공이나 다이캐스트 주조 등의 일반적인 가공방법으로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속 도파관(3)과 사각형 도파관(2)의 접속은, 일반적인 도파관 접속수법을 사용하면 된다.
원형 도파관(1) 및 접속 도파관(3)이 일체인 경우에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접속 도파관(3)이 원형 도파관(1)의 사각형 도파관(2)과 접속되는 쪽의 단부에 설치된 테이퍼 변환부로 해석할 수 있고, 도체 벽(셉텀판)(4)은, 원형 도파관(1)과 원형 도파관(1)의 테이퍼 변환부에 걸친 영역에 배치된다. 실시형태 2에 있어서는, 접속 도파관(3)이 원형 도파관(1)의 사각형 도파관(2)과 접속되는 쪽의 단부에 설치된 스텝 변환부로 해석할 수 있고, 도체 벽(셉텀판)(4)은, 원형 도파관(1)과 원형 도파관(1)의 스텝 변환부에 걸린 영역에 배치된다.
실시형태 1 및 2에 있어서는, 원형 도파관(1)은, 대략 완전한 원의 것으로, 원주에 걸쳐 내경이 일정하고, 사각형 도파관(2)의 긴 변의 길이가 원형 도파관(1)의 내경과 대략 같은 것(상기한 α의 범위 내의 직경의 차이) 또는, 사각형 도파관(2)의 긴 변의 길이가 원형 도파관(1)의 내경보다도 짧은 것(전술한 α을 초과하는 직경의 차이)을 설명하였지만, 원형 도파관(1)이 타원인 경우에는, 내경 중, 긴 쪽에 사각형 도파관(2)의 긴 변을 맞추고, 짧은 쪽에 사각형 도파관(2)의 긴 변을 맞추고, 원형 도파관(1)과 사각형 도파관(2)을 접속하면(물론, 접속 도파관(3)을 통해 접속하면), 실시형태 1 및 2에 관한 편분파기를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원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편분파기의 도체 벽(셉텀판)(4)의 구조를 재현할 수 있으므로, 실시형태 1 및 2에 관한 편분파기를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 관한 발명의 취지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있다는 것은 명확하다.
즉, 본원(실시형태 1 및 2)에 관한 편분파기는, 원형 도파관(1)과, 이 원형 도파관(1)의 한쪽의 개구와 연통하는(접속된, 또는, 일체의) 접속 도파관(3)(원형 도파관(1)과 일체의 경우에는, 전술한 것과 같이, 원형 도파관(1)의 테이퍼 변환부 또는 원형 도파관(1)의 스텝 변환부가 된다)과, 이 접속 도파관(3)과 원형 도파관(1)에 걸쳐 형성되고, 원형 도파관(1) 및 접속 도파관(3)의 내부를 분할하는 평판형의 도체 벽(4)과, 이 도체 벽(4)의 한쪽의 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접속 도파관(3)의 내벽에 형성되고, 원형 도파관(1)과 반대측을 향함에 따라, 도체 벽(4)측으로 경사진 제1경사면(3a)과, 도체 벽(4)의 다른쪽의 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접속 도파관(3)의 내벽에 형성되고, 원형 도파관(1)과 반대측을 향함에 따라, 도체 벽(4)측으로 경사진 제2경사면(3b)과, 원형 도파관(1)에 형성되고, 원형 도파관(1)이 전파하는 전자파 중에서, 도체 벽(4)에 의해 편분파된 한쪽을 추출하는 결합 구멍(5)을 구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접속 도파관(3)에 있어서 원형 도파관(1)과의 연통하고 있는 부분의 형상(단면)은, 원형 도파관(1)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것(원, 또는, 타원)이다. 또한, 접속 도파관(3)에 있어서 사각형 도파관(2)과 접속 가능한 측의 형상(단면)은, 타원, 혹은, 사각형이고 모서리 부분(네 귀퉁이)이 원호형의 것으로 된다. 이때, 도체 벽(4)은, 접속 도파관(3)(원형 도파관(1))에 접속될 수 있는 사각형 도파관(2)의 긴 변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다. 원형 도파관(1)의 테이퍼 변환부 또는 원형 도파관(1)의 스텝 변환부는, 원형 도파관(1)에 있어서 원형 도파관(1)에 접속될 수 있는 사각형 도파관(2)측에 형 되는 것이다.
이때, 본원 발명은 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어서, 각 실시형태의 자유로운 조합, 혹은 각 실시형태의 임의의 구성요소의 변형, 혹은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임의의 구성요소의 생략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편분파기는, 원형 도파관의 축방향으로 배치되고, 원형 도파관의 내경보다도 짧은 길이의 짧은 변을 갖는 사각형 도파관과 원형 도파관을 접속하는 접속 도파관과, 이 접속 도파관과 원형 도파관에 걸쳐 형성되고, 사각형 도파관의 긴 변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원형 도파관 및 접속 도파관의 내부를 분할하는 평판형의 도체 벽과, 이 도체 벽의 한쪽의 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접속 도파관의 내벽에 형성되고, 사각형 도파관측을 향함에 따라, 도체 벽측으로 경사진 제1경사면과, 도체 벽의 다른쪽의 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접속 도파관의 내벽에 형성되고, 사각형 도파관측을 향함에 따라, 도체 벽측으로 경사진 제2경사면과, 원형 도파관에 형성되고, 원형 도파관이 전파하는 전자파 중에서, 도체 벽에 의해 편분파된 한쪽을 추출하는 결합 구멍을 구비하고, 도체 벽(셉텀판)을 설치하는 것이 제조상 용이하고 또한, 셉텀판의 길이를 조정가능한 범위가 커져 광대역화 등 전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직교한 편파를 분리하는 편분파기에 사용하는데도 적합하다.
1 원형 도파관(원형 주 도파관), 2 사각형 도파관(직사각형 도파관, 사각형 주 도파관, 직사각형 주 도파관, 공축측 직사각형 부 도파관), 3 접속 도파관, 3a 제1경사면, 3b 제2경사면, 3c 제1벽면, 3d 제2벽면, 4 도체 벽(셉텀판, 단락판), 5 결합 구멍, 6 사각형 부 도파관(직사각형 부 도파관, 직교측 직사각형 부 도파관).

Claims (27)

  1. 원형 도파관과, 이 원형 도파관의 축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원형 도파관의 내경보다도 짧은 길이의 짧은 변을 갖는 사각형 도파관과, 이 사각형 도파관과 상기 원형 도파관을 접속하는 접속 도파관과, 이 접속 도파관과 상기 원형 도파관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 도파관의 긴 변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상기 원형 도파관 및 상기 접속 도파관의 내부를 분할하는 평판형의 도체 벽과, 이 도체 벽의 한쪽의 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 도파관의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 도파관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도체 벽측으로 경사진 제1경사면과, 상기 도체 벽의 다른쪽의 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 도파관의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 도파관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도체 벽측으로 경사진 제2경사면과, 상기 원형 도파관에 형성되고, 상기 원형 도파관이 전파하는 전자파 중에서, 상기 도체 벽에 의해 편분파된 한쪽을 추출하는 결합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 도파관은, 원호형의 제1벽면 및 이 제1벽면과 대향하는 원호형의 제2벽면과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은, 계단형의 형상을 갖는 것인 편분파기.
  2. 원형 도파관과, 이 원형 도파관의 축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원형 도파관의 내경보다도 짧은 길이의 짧은 변을 갖는 사각형 도파관과, 이 사각형 도파관과 상기 원형 도파관을 접속하는 접속 도파관과, 이 접속 도파관과 상기 원형 도파관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 도파관의 긴 변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상기 원형 도파관 및 상기 접속 도파관의 내부를 분할하는 평판형의 도체 벽과, 이 도체 벽의 한쪽의 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 도파관의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 도파관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도체 벽측으로 경사진 제1경사면과, 상기 도체 벽의 다른쪽의 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 도파관의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 도파관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도체 벽측으로 경사진 제2경사면과, 상기 원형 도파관에 형성되고, 상기 원형 도파관이 전파하는 전자파 중에서, 상기 도체 벽에 의해 편분파된 한쪽을 추출하는 결합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 도파관은, 원호형의 제1벽면 및 이 제1벽면과 대향하는 원호형의 제2벽면과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접속 도파관은, 상기 원형 도파관과 접속하는 부분에서는, 상기 원형 도파관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호형의 제1벽면 및 이 제1벽면과 대향하고, 상기 원형 도파관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호형의 제2벽면과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원형 도파관측으로부터 상기 사각형 도파관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제1벽면 및 상기 제2벽면의 직경이 커져 가는 것인 편분파기.
  3. 원형 도파관과, 이 원형 도파관의 축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원형 도파관의 내경보다도 짧은 길이의 짧은 변을 갖는 사각형 도파관과, 이 사각형 도파관과 상기 원형 도파관을 접속하는 접속 도파관과, 이 접속 도파관과 상기 원형 도파관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 도파관의 긴 변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상기 원형 도파관 및 상기 접속 도파관의 내부를 분할하는 평판형의 도체 벽과, 이 도체 벽의 한쪽의 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 도파관의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 도파관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도체 벽측으로 경사진 제1경사면과, 상기 도체 벽의 다른쪽의 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 도파관의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 도파관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도체 벽측으로 경사진 제2경사면과, 상기 원형 도파관에 형성되고, 상기 원형 도파관이 전파하는 전자파 중에서, 상기 도체 벽에 의해 편분파된 한쪽을 추출하는 결합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 도파관은, 원호형의 제1벽면 및 이 제1벽면과 대향하는 원호형의 제2벽면과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도체 벽은, 상기 접속 도파관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면 및 상기 다른쪽의 면이 사다리꼴 형상의 형상을 갖는 것인 편분파기.
  4. 원형 도파관과, 이 원형 도파관의 축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원형 도파관의 내경보다도 짧은 길이의 짧은 변을 갖는 사각형 도파관과, 이 사각형 도파관과 상기 원형 도파관을 접속하는 접속 도파관과, 이 접속 도파관과 상기 원형 도파관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 도파관의 긴 변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상기 원형 도파관 및 상기 접속 도파관의 내부를 분할하는 평판형의 도체 벽과, 이 도체 벽의 한쪽의 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 도파관의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 도파관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도체 벽측으로 경사진 제1경사면과, 상기 도체 벽의 다른쪽의 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 도파관의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 도파관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도체 벽측으로 경사진 제2경사면과, 상기 원형 도파관에 형성되고, 상기 원형 도파관이 전파하는 전자파 중에서, 상기 도체 벽에 의해 편분파된 한쪽을 추출하는 결합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 도파관은, 원호형의 제1벽면 및 이 제1벽면과 대향하는 원호형의 제2벽면과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사각형 도파관은, 그것의 긴 변이 상기 원형 도파관의 내경보다도 짧고,
    상기 접속 도파관은, 상기 원형 도파관과 접속하는 부분에서는, 원호형의 제1벽면 및 이 제1벽면과 대향하는 원호형의 제2벽면과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원형 도파관측으로부터 상기 사각형 도파관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제1벽면 및 상기 제2벽면의 거리가 좁아져 가는 것인 편분파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도파관은, 상기 원형 도파관과 접속하는 부분에서는, 원호형의 제1벽면 및 이 제1벽면과 대향하는 원호형의 제2벽면과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원형 도파관측으로부터 상기 사각형 도파관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제1벽면 및 상기 제2벽면의 거리가 좁아져 가는 것인 편분파기.
  6. 원형 도파관과, 이 원형 도파관의 축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원형 도파관의 내경보다도 짧은 길이의 짧은 변을 갖는 사각형 도파관과, 이 사각형 도파관과 상기 원형 도파관을 접속하는 접속 도파관과, 이 접속 도파관과 상기 원형 도파관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 도파관의 긴 변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상기 원형 도파관 및 상기 접속 도파관의 내부를 분할하는 평판형의 도체 벽과, 이 도체 벽의 한쪽의 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 도파관의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 도파관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도체 벽측으로 경사진 제1경사면과, 상기 도체 벽의 다른쪽의 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 도파관의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 도파관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도체 벽측으로 경사진 제2경사면과, 상기 원형 도파관에 형성되고, 상기 원형 도파관이 전파하는 전자파 중에서, 상기 도체 벽에 의해 편분파된 한쪽을 추출하는 결합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 도파관은, 원호형의 제1벽면 및 이 제1벽면과 대향하는 원호형의 제2벽면과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사각형 도파관은, 그것의 긴 변이 상기 원형 도파관의 내경보다도 짧고,
    상기 접속 도파관은, 상기 원형 도파관과 접속하는 부분에서는, 상기 원형 도파관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호형의 제1벽면 및 이 제1벽면과 대향하고, 상기 원형 도파관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호형의 제2벽면과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원형 도파관측으로부터 상기 사각형 도파관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제1벽면 및 상기 제2벽면의 거리가 좁아져 가는 것인 편분파기.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도파관은, 상기 원형 도파관과 접속하는 부분에서는, 상기 원형 도파관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호형의 제1벽면 및 이 제1벽면과 대향하고, 상기 원형 도파관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호형의 제2벽면과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원형 도파관측으로부터 상기 사각형 도파관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제1벽면 및 상기 제2벽면의 거리가 좁아져 가는 것인 편분파기.
  8. 원형 도파관과, 이 원형 도파관의 축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원형 도파관의 내경보다도 짧은 길이의 짧은 변을 갖는 사각형 도파관과, 이 사각형 도파관과 상기 원형 도파관을 접속하는 접속 도파관과, 이 접속 도파관과 상기 원형 도파관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 도파관의 긴 변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상기 원형 도파관 및 상기 접속 도파관의 내부를 분할하는 평판형의 도체 벽과, 이 도체 벽의 한쪽의 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 도파관의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 도파관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도체 벽측으로 경사진 제1경사면과, 상기 도체 벽의 다른쪽의 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 도파관의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 도파관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도체 벽측으로 경사진 제2경사면과, 상기 원형 도파관에 형성되고, 상기 원형 도파관이 전파하는 전자파 중에서, 상기 도체 벽에 의해 편분파된 한쪽을 추출하는 결합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 도파관은, 원호형의 제1벽면 및 이 제1벽면과 대향하는 원호형의 제2벽면과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사각형 도파관은, 그것의 긴 변이 상기 원형 도파관의 내경보다도 짧고,
    상기 접속 도파관은, 상기 원형 도파관과 접속하는 부분에서는, 상기 원형 도파관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호형의 제1벽면 및 이 제1벽면과 대향하고, 상기 원형 도파관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호형의 제2벽면과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원형 도파관측으로부터 상기 사각형 도파관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제1벽면 및 상기 제2벽면의 거리가 좁아져 가는 동시에, 상기 제1벽면 및 상기 제2벽면의 직경이 커져 가는 것인 편분파기.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도파관은, 상기 원형 도파관과 접속하는 부분에서는, 상기 원형 도파관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호형의 제1벽면 및 이 제1벽면과 대향하고, 상기 원형 도파관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호형의 제2벽면과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원형 도파관측으로부터 상기 사각형 도파관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제1벽면 및 상기 제2벽면의 거리가 좁아져 가는 동시에, 상기 제1벽면 및 상기 제2벽면의 직경이 커져 가는 것인 편분파기.
  10. 원형 도파관과, 이 원형 도파관의 축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원형 도파관의 내경보다도 짧은 길이의 짧은 변을 갖는 사각형 도파관과, 이 사각형 도파관과 상기 원형 도파관을 접속하는 접속 도파관과, 이 접속 도파관과 상기 원형 도파관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 도파관의 긴 변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상기 원형 도파관 및 상기 접속 도파관의 내부를 분할하는 평판형의 도체 벽과, 이 도체 벽의 한쪽의 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 도파관의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 도파관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도체 벽측으로 경사진 제1경사면과, 상기 도체 벽의 다른쪽의 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 도파관의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 도파관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도체 벽측으로 경사진 제2경사면과, 상기 원형 도파관에 형성되고, 상기 원형 도파관이 전파하는 전자파 중에서, 상기 도체 벽에 의해 편분파된 한쪽을 추출하는 결합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 도파관은, 원호형의 제1벽면 및 이 제1벽면과 대향하는 원호형의 제2벽면과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도체 벽은, 상기 원형 도파관 및 상기 사각형 도파관과 일체인 편분파기.
  11. 원형 도파관과, 이 원형 도파관의 축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원형 도파관의 내경보다도 짧은 길이의 짧은 변을 갖는 사각형 도파관과, 이 사각형 도파관과 상기 원형 도파관을 접속하는 접속 도파관과, 이 접속 도파관과 상기 원형 도파관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 도파관의 긴 변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상기 원형 도파관 및 상기 접속 도파관의 내부를 분할하는 평판형의 도체 벽과, 이 도체 벽의 한쪽의 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 도파관의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 도파관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도체 벽측으로 경사진 제1경사면과, 상기 도체 벽의 다른쪽의 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 도파관의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 도파관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도체 벽측으로 경사진 제2경사면과, 상기 원형 도파관에 형성되고, 상기 원형 도파관이 전파하는 전자파 중에서, 상기 도체 벽에 의해 편분파된 한쪽을 추출하는 결합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 도파관은, 원호형의 제1벽면 및 이 제1벽면과 대향하는 원호형의 제2벽면과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사각형 도파관은, 그것의 긴 변이 상기 원형 도파관의 내경보다도 긴 것이고, 상기 접속 도파관은, 상기 원형 도파관측으로부터 상기 사각형 도파관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제1벽면 및 상기 제2벽면의 거리가 넓어져 가는 것인 편분파기.
  12. 원형 도파관과, 이 원형 도파관의 축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원형 도파관의 내경보다도 짧은 길이의 짧은 변을 갖는 사각형 도파관과, 이 사각형 도파관과 상기 원형 도파관을 접속하는 접속 도파관과, 이 접속 도파관과 상기 원형 도파관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 도파관의 긴 변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상기 원형 도파관 및 상기 접속 도파관의 내부를 분할하는 평판형의 도체 벽과, 이 도체 벽의 한쪽의 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 도파관의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 도파관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도체 벽측으로 경사진 제1경사면과, 상기 도체 벽의 다른쪽의 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 도파관의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 도파관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도체 벽측으로 경사진 제2경사면과, 상기 원형 도파관에 형성되고, 상기 원형 도파관이 전파하는 전자파 중에서, 상기 도체 벽에 의해 편분파된 한쪽을 추출하는 결합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 도파관은, 원호형의 제1벽면 및 이 제1벽면과 대향하는 원호형의 제2벽면과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사각형 도파관은, 그것의 긴 변이 상기 원형 도파관의 내경보다도 긴 것이고, 상기 접속 도파관은, 상기 원형 도파관과 접속하는 부분에서는, 상기 제1벽면 및 상기 제2벽면이 상기 원형 도파관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호형이고, 상기 원형 도파관측으로부터 상기 사각형 도파관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제1벽면 및 상기 제2벽면의 거리가 넓어져 가는 것인 편분파기.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KR1020147012892A 2011-11-17 2012-11-16 편분파기 KR1015962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51663 2011-11-17
JP2011251663A JP5477362B2 (ja) 2011-11-17 2011-11-17 偏分波器
PCT/JP2012/079807 WO2013073674A1 (ja) 2011-11-17 2012-11-16 偏分波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916A KR20140072916A (ko) 2014-06-13
KR101596236B1 true KR101596236B1 (ko) 2016-02-22

Family

ID=48429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2892A KR101596236B1 (ko) 2011-11-17 2012-11-16 편분파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00861B2 (ko)
EP (1) EP2782186A4 (ko)
JP (1) JP5477362B2 (ko)
KR (1) KR101596236B1 (ko)
CN (1) CN103999284B (ko)
WO (1) WO20130736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00689B2 (ja) * 2011-11-17 2015-10-28 三菱電機株式会社 偏分波器
KR101514155B1 (ko) * 2013-12-24 2015-04-21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도파관 다이플렉서
US9640847B2 (en) 2015-05-27 2017-05-02 Viasat, Inc. Partial dielectric loaded septum polarizer
US9859597B2 (en) 2015-05-27 2018-01-02 Viasat, Inc. Partial dielectric loaded septum polarizer
US10020554B2 (en) 2015-08-14 2018-07-10 Viasat, Inc. Waveguide device with septum features
US10096876B2 (en) 2015-11-13 2018-10-09 Viasat, Inc. Waveguide device with sidewall features
CN107952582A (zh) * 2017-03-20 2018-04-24 陈萍 一种石墨多级阶梯状除铁器
RU2691673C1 (ru) * 2018-06-29 2019-06-17 Публич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Радиофизика" Волноводный поляризационный селектор
CN112510337B (zh) * 2020-11-27 2022-02-01 江苏亨通太赫兹技术有限公司 基于模式合成的交叉耦合器及构建方法、阻抗匹配结构
WO2022201457A1 (ja) * 2021-03-25 2022-09-29 三菱電機株式会社 偏分波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18447A (en) * 1956-10-31 1959-08-19 Bendix Aviat Corp Microwave antenna feed for circular polarization
JPS5690601A (en) * 1979-12-24 1981-07-22 Fujitsu Ltd Polarization coupler
JPS6427301A (en) * 1987-07-23 1989-0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High frequency polarizer
JPH01138801A (ja) * 1987-11-26 1989-05-31 Toshiba Corp 偏分波器
JPH01273401A (ja) 1988-04-26 1989-11-01 Nec Corp 分波器
JPH03253101A (ja) 1990-03-02 1991-11-12 Nippon Hoso Kyokai <Nhk> 偏分波器
JPH06140810A (ja) 1992-10-22 1994-05-20 Nec Corp 直交偏分波器
US5392008A (en) * 1993-04-22 1995-02-21 Hughes Aircraft Company Orthomode transducer with side-port window
JPH0722803A (ja) * 1993-06-30 1995-01-24 Mitsubishi Electric Corp 偏分波器
JPH0758502A (ja) * 1993-08-19 1995-03-03 Nec Eng Ltd 分波器
KR0167048B1 (en) * 1993-10-29 1999-03-30 Dai Ichi Kogyo Seiyaku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JP3185008B2 (ja) 1994-12-09 2001-07-09 日本電気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直交偏分波器
JP3341101B2 (ja) * 1995-07-28 2002-11-05 日本電気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アンテナ気密構造
DE19643896A1 (de) * 1995-10-31 1997-05-07 Nec Corp Mikrowellen-Trennweiche
JPH09186506A (ja) * 1995-10-31 1997-07-15 Nec Eng Ltd 分波器
CN201327867Y (zh) * 2008-12-03 2009-10-14 中国航天科技集团公司第五研究院第五〇四研究所 一种宽带正交模耦合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97908A1 (en) 2014-07-17
WO2013073674A1 (ja) 2013-05-23
JP5477362B2 (ja) 2014-04-23
KR20140072916A (ko) 2014-06-13
JP2013110456A (ja) 2013-06-06
EP2782186A1 (en) 2014-09-24
CN103999284A (zh) 2014-08-20
US9000861B2 (en) 2015-04-07
EP2782186A4 (en) 2015-06-24
CN103999284B (zh) 201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6236B1 (ko) 편분파기
US11031692B1 (en) System including antenna and ultra-wideband ortho-mode transducer with ridge
CN1251353C (zh) 具有一个导电层的天线和包含该天线的双频带发送器
US10218076B1 (en) Hexagonal waveguide based circularly polarized horn antennas
US10205213B2 (en) Antenna formed from plates and methods useful in conjunction therewith
JP5985113B2 (ja) 円偏波発生器
US20200303823A1 (en) Antenna device and array antenna device
JP2013066003A (ja) 誘電体導波管スロットアンテナおよびそれを用いたアレイアンテナ
JP2010087651A (ja) 導波管・ストリップ線路変換器
JP6408798B2 (ja) 同軸フィードでのrf接続のための方法
JP6031999B2 (ja) 偏波分離回路
JP6559385B2 (ja) 偏波分離回路
RU2668340C1 (ru) Двойной волноводный тройник
US6624715B2 (en) Ultrawide-band linear-circular polarization converter
JP2011199353A (ja) H面t分岐導波管
Vincenti Gatti et al. Single‐ridge waveguide T‐junctions for compact multilayer beam forming networks
CN114050392A (zh) 功率合成器、高频模块和雷达物位计
JP4201742B2 (ja) マイクロ波受信用コンバータ
JP2015207863A (ja) 偏分波器
JPS625524B2 (ko)
RU201664U1 (ru) Узконаправленная волноводная антенна
US11114735B2 (en) Coaxial to waveguide transducer including an L shape waveguide having an obliquely arranged conductor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JP6355525B2 (ja) 偏波分離回路
JP6778431B2 (ja) 導波管マイクロストリップ線路変換器
JP5361534B2 (ja) アンテナ給電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