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4155B1 - 도파관 다이플렉서 - Google Patents

도파관 다이플렉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4155B1
KR101514155B1 KR1020130163120A KR20130163120A KR101514155B1 KR 101514155 B1 KR101514155 B1 KR 101514155B1 KR 1020130163120 A KR1020130163120 A KR 1020130163120A KR 20130163120 A KR20130163120 A KR 20130163120A KR 101514155 B1 KR101514155 B1 KR 101514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guide
junction
port
diplexer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3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학근
음정희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63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41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12Coupling devices having more than two ports
    • H01P5/16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 H01P5/18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consisting of two coupled guides, e.g. directional coup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13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12Coupling devices having more than two ports
    • H01P5/16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 H01P5/19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of the junction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12Coupling devices having more than two ports
    • H01P5/16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 H01P5/19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of the junction type
    • H01P5/20Magic-T junctions

Landscapes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도파관을 이용하여 X 밴드와 Ku 밴드 주파수의 전자기파를 분기하는 다이플렉서가 개시된다. 도파관을 이용한 다이플렉서는, 길이 방향으로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직육면체 형상을 길이 방향으로 중심이 일치하도록 나란히 결합시켜 일부에 스텝 구조를 포함한 구조를 가지는 중심 도파관과, 길이 방향으로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중심 도파관과 자계면 T-접합 구조를 가지도록 결합하는 접합부 도파관을 포함한다. 따라서, 저역 통과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고역 통과 필터의 자계면 측면에 접합부 도파관을 결합하여 X 밴드(7.25 내지 8.4 GHz)와 Ku 밴드(12.25 내지 14.5 GHz) 주파수의 전자기파를 분기할 수 있으며, X 밴드 주파수의 전자기파를 수직 및 수평 편파로 분기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파관 다이플렉서{WAVEGUIDE DIPLEXER}
본 발명은 전자기파 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파관을 이용하여 X 밴드와 Ku 밴드 주파수의 전자기파를 분기하는 다이플렉서에 관한 것이다.
위성통신과 군용 시스템의 등장으로 도파관 구조물의 이용은 계속 증가 추세이고, 적은 전송손실과 대전력 전송이 용이하여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물 중 도파관 다이플렉서(Waveguide Diplexers)는 하나의 안테나로 다중 대역의 송수신을 동시에 하고자 하는 시스템에서 안테나와 시스템 사이에서 다중 대역 각각의 주파수를 여과시키는 주요한 기능을 담당한다.
즉, 다이플렉서(Diplexers)는 하나의 안테나로 두 개의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는 통신시스템 장치 중의 하나로,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다이플렉서는 흔히 대전력 전송이 용이하고, 전송선 손실이 적은 도파관 형태를 주로 이용한다.
최근에 여러 대역의 송수신이 가능한 안테나의 개발로 인하여 대역을 분리시켜주는 다이플렉서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이 되고 있다. 또한, 현재 독립적으로 운용중인 X 밴드 및 Ku 밴드 2개의 시스템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단일화 시 시스템 설치 공간 및 운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다이플렉서 구조는 저역 통과 필터와 고역 통과 필터 및 이 둘을 연결하는 접합부 도파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파관 다이플렉서는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서 필터 자체의 통과 특성을 확보해야 하며, 원하지 않는 대역에서는 차단 특성이 우수하여야 한다.
또한 두 개의 대역이 인접하여 있으므로 상호간 높은 격리도를 요구한다. 도파관 다이플렉서는 두 개의 필터를 어떻게 접합부 도파관과 연결하느냐에 따라, 전계면 접합 다이플렉서와 자계면 접합 다이플렉서로 크게 나뉜다. 전계면 접합 다이플렉서는 도파관의 전계면 상에 직접 필터를 연결한 형태이고, 자계면 다이플렉서는 도파관의 자계면 상에 직접 필터를 연결한 것이다.
그러나 도파관 다이플렉서의 구조를 보다 간소화하고, 수직 및 수평편파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직교모드 변환기의 특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X 밴드와 Ku 밴드 주파수의 전자기파를 효과적으로 분기하는 다이플렉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파관을 이용한 다이플렉서는, 길이 방향으로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직육면체 형상을 길이 방향으로 중심이 일치하도록 나란히 결합시켜 일부에 스텝 구조를 포함한 구조를 가지는 중심 도파관과, 길이 방향으로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중심 도파관과 자계면 T-접합 구조를 가지도록 결합하는 접합부 도파관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중심 도파관은, 양 끝의 단면의 통공 넓이가 다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스텝 구조의 길이는, X 밴드 중심 주파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중심 도파관에 형성된 상기 통공의 단면은, 정사각형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중심 도파관의 양 끝은, 제1 포트 및 제2 포트로 구분되며, 제1 포트에 X 밴드 및 Ku 밴드 주파수의 전자기파가 입력되고, 제 2 포트로 Ku 밴드 주파수의 전자기파가 출력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접합부 도파관은, 중심 도파관의 스텝 구조에 결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접합부 도파관은, 중심 도파관과 결합하는 부분에 리지(ridge)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접합부 도파관은, 제1 접합부 도파관과 제2 접합부 도파관으로 구분되며, 제1 접합부 도파관과 제2 접합부 도파관은 중심 도파관의 서로 다른 면에 결합하여 중심 도파관을 기준으로 수직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접합부 도파관의 개구부가 제3 포트로, 상기 제2 접합부 도파관의 개구부가 제4 포트로 구분되고, 제3 포트에서 X 밴드 주파수의 수직 편파가 출력되고, 제4 포트에서 X 밴드 주파수의 수평 편파가 출력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다이플렉서는, 위성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도파관을 이용한 다이플렉서는 저역 통과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고역 통과 필터의 자계면 측면에 접합부 도파관을 결합하여 X 밴드(7.25 내지 8.4 GHz)와 Ku 밴드(12.25 내지 14.5 GHz) 주파수의 전자기파를 분기할 수 있다.
또한, 고역 통과 필터로 기능하는 중심 도파관에 제1 접합부 도파관과 제2 접합부 도파관이 직교 모드 변환기 구조를 가지도록 결합하여 제4 포트를 추가함으로써 X 밴드 주파수의 전자기파를 수직 및 수평 편파로 분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파관을 이용한 다이플렉서는 X/Ku 밴드 이중 편파 이중 대역 위성통신 시스템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심 도파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파관을 이용한 다이플렉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심 도파관과 접합부 도파관 사이의 접합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파관을 이용한 다이플렉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심 도파관과 접합부 도파관 사이의 접합 부분의 폭의 변화에 따른 반사손실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심 도파관과 접합부 도파관 사이의 접합 부분의 높이의 변화에 따른 반사손실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심 도파관과 접합부 도파관 사이의 접합 부분의 길이의 변화에 따른 반사손실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심 도파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이플렉서에서 고역 통과 필터 기능을 수행할 중심 도파관(100)의 구조를 설명한다.
다이플렉서에서 수직 및 수평 편파 모두 사용하기 위해 고역 통과 필터로 기능하는 중심 도파관(100)은 단면을 정사각형으로 설계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중심 도파관(100)은 길이 방향으로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직육면체 형상을 길이 방향으로 중심이 일치하도록 나란히 결합시켜 일부에 스텝 구조(110)를 포함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길이 방향은 z축 방향을 의미한다.
스텝 구조(110)는 단면의 넓이가 다른 직육면체 형상을 나란히 결합함으로써 생성되며, 스텝 구조(110)로 인하여 중심 도파관(100)의 통공에 불연속적인 구조를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중심 도파관(100)은 양 끝의 단면의 통공 넓이가 다르다.
또한 스텝 구조(110)를 이용하여 중심 도파관(100)의 길이를 조절하여 고역 통과 필터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각 스텝 구조(110)의 길이(a)는 X 밴드 중심 주파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각 스텝 구조(110)의 길이(a)는 X 밴드 중심 주파수에 따른 파장의 1/4인 9.4mm로 결정될 수 있다.
중심 도파관(100)의 양 끝을 제1 포트 및 제2 포트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포트의 단면이 제2 포트의 단면보다 넓을 수 있다. 제1 포트에 X 밴드 및 Ku 밴드 주파수의 전자기파가 입력되고, 제 2 포트로 Ku 밴드 주파수의 전자기파가 출력될 수 있다. 즉, 제1 포트는 입력 포트이고, 제2 포트는 출력 포트일 수 있다.
따라서, 고역 통과 필터로 기능하는 중심 도파관(100)은 입력받은 X 밴드 및 Ku 밴드 주파수의 전자기파 중에서 고주파수에 해당하는 Ku 밴드 주파수의 전자기파만을 통과시켜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중심 도파관(100)은 단면을 정사각형으로 설계하여 Ku 밴드 주파수의 수직 및 수평 편파 모두를 제2 포트로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파관을 이용한 다이플렉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심 도파관과 접합부 도파관 사이의 접합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파관을 이용한 다이플렉서는 저역 통과 필터를 별도로 적용하지 않고, 중심 도파관(100)의 자계면에 접합부 도파관(200)을 접합시켜 임피던스 매칭에 기반한 제3 포트를 추가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접합부 도파관(200)은 길이 방향으로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중심 도파관(100)과 자계면 T-접합 구조를 가지도록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길이 방향은 x축 방향을 의미한다. 예컨대, 접합부 도파관(200)은 중심 도파관(100)의 스텝 구조(110)에 결합할 수 있다.
제3 포트가 추가된 구조를 가진 다이플렉서에서, 제1 포트에 X 밴드 및 Ku 밴드 주파수의 전자기파가 입력되면, 제2 포트로 Ku 밴드 주파수의 전자기파가 출력되고, 제3 포트로 X 밴드 주파수의 수직 편파만이 출력될 수 있다. 즉, 제2 포트에서는 Ku 밴드 주파수의 수직 및 수평편파가 모두 출력되는데 반하여, 제3 포트에서는 X 밴드 주파수의 수직 편파만이 출력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접합부 도파관(200)은 X 밴드 주파수의 대역폭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접합 부분에 리지(ridge) 구조(210)를 포함할 수 있다. 리지 구조(210)는 접합부 도파관(200)을 구성하는 통공의 내부로 돌출된 부분을 의미한다.
고역 통과 필터로 기능하는 중심 도파관(100)에 자계면 T-접합 구조를 가지도록 결합하는 접합부 도파관(200)에 따른 제3 포트의 추가로, X밴드(7.25 내지 8.4 GHz) 주파수의 반사손실을 15 dB 이하로 줄이고, Ku 밴드(12.25 내지 14.5 GHz) 주파수의 반사손실을 20dB이하로 줄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파관을 이용한 다이플렉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파관을 이용한 다이플렉서는 저역 통과 필터를 별도로 적용하지 않고, 중심 도파관(100)의 자계면에 제1 접합부 도파관(200)과 제2 접합부 도파관(300)을 접합시켜 임피던스 매칭에 기반한 제3 포트와 제4 포트를 추가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접합부 도파관은 제1 접합부 도파관(200)과 제2 접합부 도파관(300)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1 접합부 도파관(200)과 제2 접합부 도파관(300)은 중심 도파관(100)의 서로 다른 면에 결합하여 중심 도파관(100)을 기준으로 수직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중심 도파관(100)의 통공과 제1 접합부 도파관(200) 및 제2 접합부 도파관(300)의 통공이 서로 연결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즉, 중심 도파관(100)과 제1 접합부 도파관(200)은 자계면 T-접합 구조로 결합되고, 또한, 중심 도파관(100)과 제2 접합부 도파관(300)은 자계면 T-접합 구조로 결합할 수 있다. 다만, 제1 접합부 도파관(200)과 제2 접합부 도파관(300)은 중심 도파관(100)의 서로 다른 면의 스텝 구조(110)에 결합할 수 있으며, 결합으로 인하여 제1 접합부 도파관(200)과 제2 접합부 도파관(300)은 수직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 접합부 도파관(200)은 x축 방향을 향하고, 제2 접합부 도파관(300)은 y축 방향을 향할 수 있다.
또한, 제1 접합부 도파관(200)과 제2 접합부 도파관(300)이 중심 도파관(100)과 결합하는 각각의 접합 부분은 리지 구조(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합부 도파관(200)의 개구부가 제3 포트로, 제2 접합부 도파관(300)의 개구부가 제4 포트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3 포트에서 X 밴드 주파수의 수직 편파 전자기파가 출력되고, 제4 포트에서 X 밴드 주파수의 수평 편파 전자기파가 출력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3 포트와 제4 포트가 추가된 구조를 가진 다이플렉서에서, 제1 포트에 X 밴드 및 Ku 밴드 주파수의 전자기파가 입력되면, 제2 포트로 Ku 밴드 주파수의 전자기파가 출력되고, 제3 포트로 X 밴드 주파수의 수직 편파만이 출력되며, 제4 포트로 X 밴드 주파수의 수평 편파만 출력될 수 있다.
즉, 제3 포트에서는 수평 편파의 전계 성분과 전파 진행 방향 성분이 같은 방향이므로 고차 모드가 생성되어 수평 편파의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다. 또한, 제4 포트에서는 수직 편파의 전계 성분과 전파 진행 방향 성분이 같은 방향이므로 고차 모드가 생성되어 수직 편파의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다.
도 4에서 중심 도파관(100)과 접합부 도파관 사이의 접합 부분의 파라미터들을 표시하였다. 즉, 접합 부분은 폭(W), 높이(H) 및 길이(L)로 크기가 표시될 수 있으며, 이는 다이플렉서에서 다이플렉서의 성능을 좌우하는 중요한 파라미터이다. 이러한 파라미터들의 변화에 따른 다이플렉서의 성능 변화를 후술하는 도 5 내지 도 7의 그래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서 각각의 포트에 표시된 서로 직교하는 화살표는 편파를 나타낸다. 즉, 수직 방향의 실선 화살표는 수직 편파를 나타내고, 수평 ?향의 점선 화살표는 수평 편파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심 도파관과 접합부 도파관 사이의 접합 부분의 폭의 변화에 따른 반사손실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심 도파관과 접합부 도파관 사이의 접합 부분의 높이의 변화에 따른 반사손실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심 도파관과 접합부 도파관 사이의 접합 부분의 길이의 변화에 따른 반사손실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접합 부분의 폭(W) 변화에 따른 도 4에 따른 다이플렉서의 반사손실 특성의 변화를 설명한다.
도 5는 H = 8 mm, L = 10 mm로 고정하고 W 값을 16.7 내지 19.7 mm까지 1 mm 단위로 변화시켰을 때 반사손실을 나타낸다. 폭(W)이 커질수록 X 밴드 주파수의 공진들이 7.9 GHz 부근으로 이동함을 알 수 있고, 대역폭이 점차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폭(W)이 18.7 mm 일 때, X 밴드 주파수의 대역폭이 가장 넓은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접합 부분의 높이(H) 변화에 따른 도 4에 따른 다이플렉서의 반사손실 특성 변화를 설명한다.
도 6은 W = 18.7 mm, L = 10 mm 로 고정하고 H 값을 6 내지 9 mm까지 1 mm단위로 변화시켰을 때 반사손실을 나타낸다. 높이(H)가 작아질수록 공진이 7.9 GHz 부근으로 이동함을 알 수 있고, 반사손실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높이(H)가 8 mm 일 때, X 밴드 주파수의 대역폭이 가장 넓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접합 부분의 길이(L) 변화에 따른 도 4에 따른 다이플렉서의 반사손실 특성 변화를 설명한다.
도 7은 W = 18.7 mm, H = 8 mm로 고정하고 L 값을 8 내지 11 mm까지 1 mm단위로 변화시켰을 때 반사손실을 나타낸다. 길이(L)이 길어질수록 X 밴드 주파수의 반사손실에 큰 변화는 없지만, Ku 밴드 주파수의 반사손실은 점차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또한, 길이(L)가 10 mm 일 때, X밴드 주파수에서 17 dB 이하의 반사손실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파관을 이용한 다이플렉서는 저역 통과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고역 통과 필터의 자계면 측면에 접합부 도파관을 결합하여 X 밴드(7.25 내지 8.4 GHz)와 Ku 밴드(12.25 내지 14.5 GHz) 주파수의 전자기파를 분기할 수 있다.
또한, X 밴드 주파수의 전자기파를 수직 및 수평 편파로 분기할 수 있다. 즉, 고역 통과 필터로 기능하는 중심 도파관(100)에 제1 접합부 도파관(200)과 제2 접합부 도파관(300)이 직교 모드 변환기 구조를 가지도록 결합하여 제4 포트를 추가함으로써 X 밴드 주파수의 전자기파를 수직 및 수평 편파로 분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파관을 이용한 다이플렉서는 X/Ku 밴드 이중 편파 이중 대역 위성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중심 도파관 110: 스텝 구조
200: 제1 접합부 도파관 210: 리지 구조
300: 제2 접합부 도파관

Claims (10)

  1. 길이 방향으로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직육면체 형상을 길이 방향으로 중심이 일치하도록 나란히 결합시켜 일부에 스텝 구조를 포함한 구조를 가지는 중심 도파관; 및
    길이 방향으로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중심 도파관과 자계면 T-접합 구조를 가지도록 결합하는 접합부 도파관;
    을 포함하며,
    상기 접합부 도파관은, 상기 중심 도파관과 결합하는 부분에 리지(ridge)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파관을 이용한 다이플렉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심 도파관은,
    양 끝의 단면의 통공 넓이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파관을 이용한 다이플렉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텝 구조의 길이는,
    X 밴드 중심 주파수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파관을 이용한 다이플렉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심 도파관에 형성된 상기 통공의 단면은,
    정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파관을 이용한 다이플렉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심 도파관의 양 끝은,
    제1 포트 및 제2 포트로 구분되며,
    상기 제1 포트에 X 밴드 및 Ku 밴드 주파수의 전자기파가 입력되고, 상기 제 2 포트로 상기 Ku 밴드 주파수의 전자기파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파관을 이용한 다이플렉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 도파관은,
    상기 중심 도파관의 스텝 구조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파관을 이용한 다이플렉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 도파관은,
    제1 접합부 도파관과 제2 접합부 도파관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 접합부 도파관과 상기 제2 접합부 도파관은 상기 중심 도파관의 서로 다른 면에 결합하여 상기 중심 도파관을 기준으로 수직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파관을 이용한 다이플렉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 도파관의 개구부가 제3 포트로, 상기 제2 접합부 도파관의 개구부가 제4 포트로 구분되고,
    상기 제3 포트에서 X 밴드 주파수의 수직 편파가 출력되고, 상기 제4 포트에서 X 밴드 주파수의 수평 편파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파관을 이용한 다이플렉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이플렉서는,
    위성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파관을 이용한 다이플렉서.
KR1020130163120A 2013-12-24 2013-12-24 도파관 다이플렉서 KR101514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120A KR101514155B1 (ko) 2013-12-24 2013-12-24 도파관 다이플렉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120A KR101514155B1 (ko) 2013-12-24 2013-12-24 도파관 다이플렉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4155B1 true KR101514155B1 (ko) 2015-04-21

Family

ID=53053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3120A KR101514155B1 (ko) 2013-12-24 2013-12-24 도파관 다이플렉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415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39332A (zh) * 2018-05-07 2018-09-14 成都银赫科技有限公司 一种紧凑型矩形波导四工器
CN109088139A (zh) * 2018-09-27 2018-12-25 郑州美赫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紧凑型矩形波导四工器
CN109755705A (zh) * 2019-03-21 2019-05-14 四川安迪科技实业有限公司 一种双工器、地面站室外单元及射频前端收发模块
FR3090219A1 (fr) * 2018-12-18 2020-06-19 Thales Combineur hybride e/h ultracompact notamment pour antenne mfb monoreflecteur
WO2022171270A1 (en) * 2021-02-09 2022-08-18 Lisa Dräxlmaier GmbH Four-port diplexer device
CN115101906A (zh) * 2022-08-29 2022-09-23 四川太赫兹通信有限公司 一种太赫兹双工器、收发器及制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154B1 (ko) * 2007-02-27 2008-03-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도파관 구조를 가지는 위성통신 다중대역 안테나의 급전장치
JP2008182621A (ja) * 2007-01-26 2008-08-07 Japan Radio Co Ltd 導波管ハイパスフィルタ
KR20100063698A (ko) * 2007-09-07 2010-06-11 탈레스 Rf 주파수 원격통신 안테나들을 위한 omt 타입 브로드밴드 멀티밴드 송신-수신 커플러-분리기
JP2013110456A (ja) * 2011-11-17 2013-06-06 Mitsubishi Electric Corp 偏分波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2621A (ja) * 2007-01-26 2008-08-07 Japan Radio Co Ltd 導波管ハイパスフィルタ
KR100815154B1 (ko) * 2007-02-27 2008-03-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도파관 구조를 가지는 위성통신 다중대역 안테나의 급전장치
KR20100063698A (ko) * 2007-09-07 2010-06-11 탈레스 Rf 주파수 원격통신 안테나들을 위한 omt 타입 브로드밴드 멀티밴드 송신-수신 커플러-분리기
JP2013110456A (ja) * 2011-11-17 2013-06-06 Mitsubishi Electric Corp 偏分波器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39332A (zh) * 2018-05-07 2018-09-14 成都银赫科技有限公司 一种紧凑型矩形波导四工器
CN109088139A (zh) * 2018-09-27 2018-12-25 郑州美赫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紧凑型矩形波导四工器
FR3090219A1 (fr) * 2018-12-18 2020-06-19 Thales Combineur hybride e/h ultracompact notamment pour antenne mfb monoreflecteur
WO2020126477A1 (fr) * 2018-12-18 2020-06-25 Thales Combineur hybride e/h ultracompact notamment pour antenne mfb mono-reflecteur.
CN109755705A (zh) * 2019-03-21 2019-05-14 四川安迪科技实业有限公司 一种双工器、地面站室外单元及射频前端收发模块
CN109755705B (zh) * 2019-03-21 2023-12-19 四川安迪科技实业有限公司 一种双工器、地面站室外单元及射频前端收发模块
WO2022171270A1 (en) * 2021-02-09 2022-08-18 Lisa Dräxlmaier GmbH Four-port diplexer device
CN115101906A (zh) * 2022-08-29 2022-09-23 四川太赫兹通信有限公司 一种太赫兹双工器、收发器及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4155B1 (ko) 도파관 다이플렉서
US6661309B2 (en) Multiple-channel feed network
JP5678314B2 (ja) アンテナにおいて円偏光を生成するための小型励起組立品、及びそのような小型励起組立品の製造方法
US8941549B2 (en) Compact four-way transducer for dual polarization communications systems
US9059682B2 (en) Orthomode junction assembly with associated filters for use in an antenna feed system
US10484039B2 (en) Multiplexer, radio frequency front-end circuit, and communication device
US10297920B2 (en) Compact dual circular polarization multi-band waveguide feed network
US8766851B2 (en) Butler matrix and multi-port amplifier having the same
KR100644536B1 (ko) 송수신 필터장치 및 통신장치
US6313714B1 (en) Waveguide coupler
CN105226386A (zh) 移动终端的圆极化天线结构及移动终端
US20100007432A1 (en) Orthomode junction assembly with associated filters for use in an antenna feed system
US20050200430A1 (en) Waveguide branching filter/polarizer
CN116111312A (zh) 基于主副不同脊波导宽带双定向耦合器及矢量网络分析仪
KR100541068B1 (ko) 유전체필터를 갖춘 중계기
US20150137907A1 (en) Directional coupler having high isolation
WO2014132657A1 (ja) 有極型帯域通過フィルタ
US10374275B2 (en) Pluggable receiver splitter for two-transmitter two-receiver microwave digital radios
US20200280115A1 (en) Integrated filter system and antenna system
US20180248240A1 (en) Compact antenna feeder with dual polarization
JP2008079085A (ja) 伝送線路導波管変換器
US20160197390A1 (en) Nonreversible circuit device
JP6278907B2 (ja) 偏波分離回路
JP6910513B2 (ja) アンテナ給電回路
CN110800159B (zh) 一种馈电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