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6112B1 - 보빈 및 회전 전기 기기 - Google Patents

보빈 및 회전 전기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6112B1
KR101596112B1 KR1020140011174A KR20140011174A KR101596112B1 KR 101596112 B1 KR101596112 B1 KR 101596112B1 KR 1020140011174 A KR1020140011174 A KR 1020140011174A KR 20140011174 A KR20140011174 A KR 20140011174A KR 101596112 B1 KR101596112 B1 KR 101596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flange portion
concave portion
coil wire
iron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1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9208A (ko
Inventor
마나부 하라다
마사노부 가키하라
겐스케 나카조노
요우이치 사카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Publication of KR20140099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9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3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 H02K3/3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conductors or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 H02K3/345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conductors or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02K3/52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for generally annular cores with salient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회전 전기기기의 고정자 철심의 돌기부에 장착되고, 코일선이 감겨지는 보빈으로서, 역응력 발생부를 구비하되, 상기 역응력 발생부는 상기 역응력 발생부가 마련되는 부위에서 상기 코일선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과 역방향의 응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보빈 및 회전 전기 기기{BOBBIN AND ROTARY ELECTRIC MACHINE}
개시되는 실시형태는 보빈 및 이를 구비한 회전 전기기기에 관한 것이다.
회전 전기기기에 있어서, 전기자 코일과 전기자 코어를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한 보빈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1997-308142호
보빈에 코일선을 감았을 때에는 보빈에 그 코일선의 장력이 작용한다. 보빈은 이러한 장력에 의한 변형을 최대한 발생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보빈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코일선의 점적률(space factor)이 저하한다.
개시된 실시형태는 이것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고, 감긴 코일선의 장력에 의한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보빈 및 이를 구비한 회전 전기기기를 제공한다.
개시된 실시형태의 일측면에 의하면, 회전 전기기기의 고정자 철심의 돌기부에 장착되고, 코일선이 감겨지는 보빈으로서, 역응력 발생부를 구비하되, 상기 역응력 발생부는 상기 역응력 발생부가 마련되는 부위에서 상기 코일선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과 역방향의 응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이 제공된다.
개시된 실시형태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고정자 및 회전자와, 상술한 보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기기가 제공된다.
개시된 실시형태에 의하면, 보빈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일이 없이, 감긴 코일선의 장력에 의한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보빈을 구비한 회전 전기기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축선 방향을 따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본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주요부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4의 (a) 및 (b)는 일 실시형태의 보빈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형태의 보빈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의 (a) 및 (b)는 플랜지부의 장변측의 평판부와 단변측의 평판부의 양쪽에 역응력 발생부가 형성되는 변형예에 따른 보빈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동체부의 장변측의 측면에 역응력 발생부가 형성되는 변형예에 따른 보빈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의 (a) 및 (b)는 동체부의 장변측의 측면과 단변측의 측면의 양쪽에 역응력 발생부가 형성되는 변형예에 따른 보빈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9의 (a) 및 (b)는 제 1 플랜지부에 역응력 발생부가 형성되는 변형예에 따른 보빈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보빈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 1 플랜지부의 장변측의 평판부와 단변측의 평판부와의 양쪽에 역응력 발생부가 형성되는 변형예에 따른 보빈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의 (a) 내지 (c)는 오목부의 수 및 형상의 변형에 관한 변형예에 따른 보빈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주요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실시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회전 전기기기의 개략 구성>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이용하여, 일 실시형태에 따른 회전 전기기기(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전기기기(1)는 고정자(2)와 회전자(3)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 전기기기(1)는, 회전자(3)를 고정자(2)의 내측에 구비한 이너 로터(inner rotor)형의 모터이다. 또한, 회전 전기기기(1)는 모터가 아니라 발전기이어도 좋다. 고정자(2)는 회전자(3)에 대하여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프레임(4)의 내주면에 마련되어 있다.
고정자(2)는 적층 철심체(5)(고정자 철심에 상당)와, 적층 철심체(5)에 장착된 복수의 보빈(6)과, 보빈(6)에 감겨진 코일선(7)과, 적층 철심 링(20)을 가지고 있다. 보빈(6)은 적층 철심체(5)와 코일선(7)을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해 절연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이 복수의 보빈(6)의 반부하측(예컨대, 도 1에서 좌측)에는 기판(8)이 마련되어 있다. 이 기판(8)에 마련된 회로와 각 보빈(6)에 감겨진 코일선(7)이, 2개의 핀 단자(9)를 거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코일선(7)의 감김 시작단 및 감김 끝단의 단말(도시하지 않음)이 대응하는 핀 단자(9)에 감겨지고, 땜납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회전자(3)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영구 자석으로 구성되어 있고, 샤프트(10)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있다. 이 때, 프레임(4)의 부하측(도 1에서 우측)에 마련된 부하측 브래킷(11)에 부하측 베어링(12)의 외륜이 감합되고, 프레임(4)의 반부하측에 마련된 반부하측 브래킷(13)에 반부하측 베어링(14)의 외륜이 감합되어 있다. 샤프트(10)는 상기 부하측 베어링(12) 및 상기 반부하측 베어링(1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샤프트(10)의 반부하측 단부에는 인코더(15)가 마련되어 있다. 인코더(15)는 인코더 커버(16)에 의해 덮여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층 철심체(5)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방사상의 돌기부(18)(teeth)가 복수개(본 실시형태에서는 9개) 구비되어 있다. 돌기부(18)는 적층 철심체(5)의 축선 방향(도 1에서 좌우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돌기부(18)에 대하여, 코일선(7)이 감겨진 보빈(6)이,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장착된다. 이웃하는 2개의 돌기부(18)의 사이에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9개)의 오목부(19)(슬롯)가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의 오목부(19)의 각각은, 상기 복수의 돌기부(18) 각각에 장착한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9개)의 보빈(6)의 코일선(7)의 감김층이 서로 마주하는 측부(후술하는 보빈(6)의 동체부(21)의 측면(21L, 21R)에 대응하는 부위)(도 4의 (a) 및 (b) 참조)가 둘레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코일선(7)이 감긴 보빈(6)이 적층 철심체(5)에 장착된 후, 그것들이 링 형상의 적층 철심 링(20)의 내주에 고정하여 조립되어, 고정자(2)가 구축된다. 이렇게 구축된 고정자(2)는, 프레임(4)의 내주면에 장착된다. 그 후, 상기 적층 철심체(5)의 오목부(19)내에 수지가 압입됨으로써 보빈(6)이나 코일선(7) 등이 수지로 몰드된다.
<보빈의 상세 구성>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주요부인 보빈(6)에 대해서 도 4의 (a)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의 (a)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빈(6)은 중공부(25)를 구비하고 코일선(7)이 감기는 대략 사각 프레임 형상의 동체부(21)와, 중공부(25)인 개구의 양단측(도 4의 (a)에서 좌측과 우측) 단부 중 적어도 한쪽(본 실시형태에서는 양측)에 각각 마련된 플랜지부(22, 23)를 구비한다. 플랜지부(22, 23)는, 상세하게는, 제 1 플랜지부(23)와, 이 제 1 플랜지부(23)보다 외경 치수가 작은 제 2 플랜지부(22)를 포함한다. 제 1 플랜지부(23)에는 기판(8)(도 1 참조)을 탑재하는 수지제의 기판 탑재부(24)가 마련되어 있다.
동체부(21)는, 중공의 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중공부(25)에는 적층 철심체(5)의 돌기부(18)(도 3 참조)가 위치하고 있다. 동체부(21)는, 고정자(2)의 축선 방향(도 1에서 좌우 방향, 도 4의 (a) 및 (b)에서 상하 방향)을 따르는 양단측에서 마주하는, 도 4의 (b)에서 직사각형 형상의 짧은변(이하, 간단히 「단변」이라고 칭한다)에 대응하는 2개의 측면(21U, 21D)과, 상기 축선방향과 직교하는 방향(도 4의 (b)에서 좌우 방향)으로 마주하는, 직사각형의 긴변(이하, 간단히 「장변」이라고 칭한다)에 대응하는 2개의 측면(21L, 21R)을 가진다. 또한, 동체부(21)의 각 측면(21U, 21D, 21L, 21R)에 의해 형성되는 경계부는, 코일선(7)의 감김에 의해 작용하는 응력을 완화할 수 있도록 곡면 형상(원형 또는 꼭지를 제거한 형상) 등으로 형성해도 좋다.
제 1 플랜지부(23)는 상기 동체부(21)의 중공부(25)의 일단측(도 4의 (a)에서 우측, 도 5에서 오른쪽 후측)의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박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플랜지부(23)는 단변측의 평판부(23U, 23D)와, 장변측의 평판부(23L, 23R)를 가진다. 또한, 제 1 플랜지부(23)의 한쪽 단변측의 평판부(23U)의 이면측(도 4의 (a)에서 우측)에 상기 기판 탑재부(24)가 마련되어 있다. 기판 탑재부(24)에는 장변 방향 외측(도 4의 (b)에서 상측)으로 2개의 핀 단자(9)가 돌출되어 있다.
제 2 플랜지부(22)는 상기 동체부(21)의 중공부(25)의 타단측(도 4의 (a)에서 좌측)의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박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플랜지부(22)는 단변측의 2개의 평판부(22U, 22D)와, 장변측의 2개의 평판부(22L, 22R)를 가진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코일선(7)은 한쪽의 핀 단자(9)에 감긴 쪽을 시작단으로 해서 감기 시작하여, 동체부(21) 주위로 돌려 감는데, 이것을 소정 회수 반복하여 동체부(21)에 감겨진다. 그리고 나서, 다른쪽 핀 단자(9)에 코일선(7)의 끝단을 감고, 각 핀 단자(9)의 코일선(7)의 양단을 땜납 등에 의해 고정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일선(7)의 감김에 의해 보빈이 외측 또는 내측으로 변형하기 쉬운 부위에 역응력 발생부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2 플랜지부(22)의 평판부(22L, 22R)의 외주부에, 외측으로 개방하는 절결 형상의 오목부(22A)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2A)(장변 오목부)는 상기 장변측의 평판부(22L, 22R)의 둘레 방향을 따른 대략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22A)는 코일선(7)의 감김에 의해 동체부(21)에 작용하는 응력과는 역방향으로 응력이 발생하는 역응력 발생부로서 기능한다. 즉, 역응력 발생부는 역응력 발생부가 마련되는 부위에서 상기 코일선(7)이 감겨져서 발생하는 응력과 역방향으로 응력을 발생시킨다.
즉, 동체부(21)에 코일선(7)을 감으면, 동체부(21)의 각 측면(21U, 21D, 21L, 21R)에 의해 형성되는 경계부에 있어서, 도 4의 (b)에 화살표 "A", "B", "C", "D"로 나타내는 부분에, 상기 중공부(25) 안쪽 중심을 향하는 응력(하중)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동체부(21)의 경계부에 발생한 응력에 의해, 동체부(21)의 특히 장변측이 되는 측면(21L, 21R)이 외측을 향하여 팽창하는 방향으로 휘어져서(도 4의 (b)의 화살표 "D", "E" 참조), 동체부(21)가 전체로서 통형상으로 변형해 버릴 우려가 있다. 이러한 동체부(21)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동체부(21) 등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코일선(7)의 점적률이 저하해 버린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변측의 평판부(22L, 22R)에 오목부(22A)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동체부(21)에 감은 코일선(7)의 장력이 보빈(6)에 작용하여 상기 동체부(21)가 경계부에 발생한 안쪽 중심을 향하는 응력(하중)을 받았을 때, 동체부(21)의, 특히, 장변측이 되는 측면(21L, 21R)이 안쪽을 향하여 휘어지게 쉽게 한다. 즉, 오목부(22A)가 보빈(6)의 변형 방향과 역방향으로 변형하여, 보빈(6)의 변형을 상쇄할 수 있다. 이때, 장변측의 평판부(22L, 22R)가 다소 안쪽을 향하여 휘어진다고 해도, 중공부(25)에 적층 철심체(5)의 돌기부(18)를 위치시켰을 때는, 동체부(21)는 원래 형상으로 복귀하기 쉬워진다. 이 결과, 인접해서 배치된 보빈(6)과의 이간 거리는 일정 간격으로 유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보빈(6)의 제 2 플랜지부(22)의 둘레 방향의 일부(본 실시형태에서는 평판부(22L, 22R))에, 다른 부분과는 역방향으로 응력이 발생하는 역응력 발생부로서의 오목부(22A)가 마련된다. 이에 따라, 감은 코일선(7)의 장력이 보빈(6)에 작용했을 때에, 오목부(22A)가 보빈(6)의 변형 방향과 역방향으로 변형하여, 보빈(6)의 변형을 상쇄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코일선(7)의 장력에 의해 보빈(6)의 외측을 향하여 변형하는 부위의 제 2 플랜지부(22)에 오목부(22A)를 설치함으로써, 보빈(6)이 내측을 향하여 변형하기 쉽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보빈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일이 없이, 감은 코일선(7)의 장력에 의한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코일선(7)의 점적률을 향상시키면서 회전 전기기기(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보빈(6)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보빈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적층 철심체(5)로부터 보빈(6)이 탈락하는 것 등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내압 불량이나 작업 불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히, 장변측 평판부(22L, 22R)의 외주측에 오목부(22A)를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 2 플랜지부(22)의 장변측 평판부(22L, 22R)가 오목부(22A)에 의해 부분적으로 얇아지므로(폭이 좁아짐), 용이하게 역응력 발생부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오목부(22A)를 외주측에 형성하는 것에 의해, 보빈(6)의 외부를 향하는 변형의 역방향으로 구부림 응력을 발생하기 쉽게 할 수 있고, 보빈(6)의 외부를 향하는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체부(21)가 사각 프레임 형상(도 4의 (b)에서와 같이 정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인 경우, 장변 또는 단변에 대응하는 부위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부는, 해당 부위에 있어서 변형이 가장 커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히, 오목부(22A)를 장변측 평판부(22L, 22R)의 길이 방향을 따른 중앙부에 마련하고 있다. 이렇게, 변형되기 가장 쉬운 위치에 오목부(22A)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보빈(6)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히, 제 1 플랜지부(23)보다 외경 치수가 작고 제 1 플랜지부(23)보다 강성이 작은 제 2 플랜지부(22)에 오목부(22A)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보빈(6)의 변형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변형예>
개시된 실시형태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취지 및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 그러한 변형예를 순서대로 설명한다.
(1) 장변측의 평판부와 단변측의 평판부의 양쪽에 역응력 발생부를 형성하는 경우
본 변형예에서는, 도 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빈(6)의 제 2 플랜지부(22)에 있어서,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상기 장변측의 평판부(22L, 22R)의 오목부(22A)에 더하여, 상기 단변측의 평판부(22U, 22D)에 있어서도, 측면(21U, 21D)의 근방(즉, 내주측)에 오목부(22B)(역응력 발생부에 상당)가 마련된다. 또한, 오목부(22B)(단변 오목부)는, 본 변형예에서는, 도 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변측 평판부(22U, 22D)의 다른 부위보다 얇게 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관통 구멍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평판부(22L, 22R)의 오목부(22A)와 동일한 절결 형상으로 해도 좋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전술한 거동에 근거하여, 감은 코일선(7)의 장력에 의해 외측을 향해 변형하기 쉬운 부위인 상기 장변측의 평판부(22L, 22R)에 오목부(22A)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상기 부위를 보빈(6)의 내측을 향해서 변형하기 쉽게 한다. 또한, 이것에 더하여, 상기 단변측의 평판부(22U, 22D)에 오목부(22B)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장변측의 평판부(22L, 22R)를 보빈의 내측을 향해서 변형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플랜지부(22)의 장변측과 단변측에서 변형의 상쇄 효과를 높이고, 또한, 보빈을 두께를 두껍게 하는 일이 없이 확실하게 보빈(6)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2) 동체부의 측면에 역응력 발생부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실시형태 및 변형예 (1)에서는, 보빈(6)의 제 2 플랜지부(22)에 역응력 발생부로서의 오목부(22A) 및/또는 오목부(22B)가 형성되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변형예에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빈(6)의 동체부(21) 중, 상기 장변측의 측면(21L, 21R)에 역응력 발생부로서 오목부(21A)(도 7에서는 측면(21R)쪽만 도시)(장변 오목부)가 마련된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상기와 동일하게, 감겨진 코일선(7)의 장력에 의해 외측을 향해서 변형하기 쉬운 부위인 장변측의 측면(21L, 22R)에 오목부(21A)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부위를 보빈(6)의 내측을 향해서 변형하기 쉽게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보빈(6)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일이 없이, 감은 코일선(7)의 장력에 의한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3) 동체부의 장변측의 측면과 단변측의 측면의 양쪽에 역응력 발생부를 형성하는 경우
본 변형예에서는, 도 8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빈(6)의 동체부(21)에 있어서, 상기 변형예 (2)와 마찬가지로 상기 장변측의 측면(21L, 22R)의 오목부(21A)에 더하여, 상기 단변측의 측면(21U, 21D)에 있어서도, 역응력 발생부로서의 오목부(21B)(단변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다. 오목부(21B)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변측의 평판부(21U, 21D)의 다른 부분보다 얇게 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관통 구멍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평판부(22L, 22R)의 오목부(22A)와 동일한 절결 형상으로 해도 좋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감겨진 코일선(7)의 장력에 의해 외측을 향해 변형하기 쉬운 부위인 상기 장변측의 측면(21L, 21R)에 오목부(21A)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부위를 보빈(6)의 내측을 향해서 변형하기 쉽게 한다. 또한 이것에 더하여, 상기 단변측의 측면(21U, 21D)에 오목부(21B)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장변측의 평판부(21L, 22R)를 보빈의 내측으로 변형하기 쉽게 한다. 이에 따라, 동체부(21)의 장변측과 단변측에서 변형의 상쇄 효과를 높이고, 보빈(6)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일이 없이 보다 확실하게 보빈(6)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4) 제 1 플랜지부에 역응력 발생부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보빈(6)의 제 2 플랜지부(22)에 역응력 발생부로서의 오목부(22A)가 형성되었지만, 이 대신에, 예를 들면, 도 9의 (a)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빈(6)의 제 1 플랜지부(23)(본 변형예에서는 상세하게는 장변측의 평판부(23L, 23R))의 외주부에, 역응력 발생부로서, 외측으로 개방하는 오목부(23A)(장변 오목부)를 마련해도 좋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감겨진 코일선(7)의 장력에 의해 외측을 향해서 변형하기 쉬운 부위인 제 1 플랜지부(23)의 장변측의 평판부(23L, 23R)에 오목부(23A)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상기 부위를 보빈(6)의 내측을 향해서 변형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보빈(6)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일이 없이, 감은 코일선(7)의 장력에 의한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5) 제 1 플랜지부의 장변측의 평판부와 단변측의 평판부의 양쪽에 역응력 발생부를 형성하는 경우
즉, 본 변형예에서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빈(6)의 제 1 플랜지부(23)에 있어서, 상기 변형예 (4)와 마찬가지로 마련된 상기 장변측의 평판부(23L, 23R)의 오목부(23A)에 더하여, 상기 단변측의 평판부(23U, 23D)에 있어서도, 역응력 발생부로서의 오목부(23B)(단변 오목부)가 마련된다. 또한, 오목부(23B)는, 본 변형예에서는, 단변측의 평판부(23U, 23D)의 다른 부위보다도 얇게 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관통 구멍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오목부(22A)와 마찬가지의 절결 형상으로 해도 좋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상기 변형예 (4)와 마찬가지로, 감겨진 코일선(7)의 장력에 의해 외측을 향해서 변형하기 쉬운 부위인 상기 장변측의 평판부(23L, 23R)에 오목부(23A)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부위를 보빈(6)의 내측을 향해서 변형하기 쉽게 한다. 또한 이것에 더하여, 상기 단변측 평판부(23U, 23D)에 오목부(23B)를 형성함으로써, 장변측의 평판부(23L, 23R)를 보빈의 내측으로 변형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플랜지부(23)의 장변측과 단변측에서 변형의 상쇄 효과를 높이고, 보빈(6)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일이 없이 보다 확실하게 보빈(6)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6) 오목부의 수 및 형상에 대한 변형예
상기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 (1) 내지 (5)에서는, 측면(21L, 21R, 21U, 21D), 평판부(22L, 22R, 22U, 22D), 평판부(23L, 23R, 23U, 23D)에 있어서, 중앙부의 1 곳에 직사각형의 오목부(21A, 21B, 22A, 22B, 23A, 23B)가 형성되어 있었지만, 각 오목부의 수나 형상 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12의 (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보빈(6)의 제 2 플랜지부(22)의 장변측의 평판부(22L, 22R)에 있어서, 길이 방향을 따른 중앙 부분 한 곳이 아니라 두 곳에 오목부(22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22A)의 형상에 있어서도, 도 1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삼각 형상으로 하거나, 도 12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호 형상으로 해도 좋다. 또한, 이들의 수 및 형상 뿐만 아니라, 크기나 위치에 있어서도 보빈(6)의 형상이나 크기, 코일선(7)의 굵기나 감기수 등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이상에서 이미 기술한 것 이외에도, 상기 실시형태나 각 변형예에 의한 수법을 적절히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그 밖에, 일일이 예시하지 않았지만, 본 실시형태는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 있어서, 여러가지 변경이 더하여져서 실시되는 것이다.
1 : 회전 전기기기 2 : 고정자
3 : 회전자 5 : 적층 철심체(고정자 철심)
6 : 보빈 7 : 코일선(권선)
18 : 돌기부 21 : 동체부
21A : 오목부(역응력 발생부) 21B : 오목부(역응력 발생부)
22 : 제 2 플랜지부 22A : 오목부(역응력 발생부)
22B : 오목부(역응력 발생부) 23 : 제 1 플랜지부
23A : 오목부(역응력 발생부) 23B : 오목부(역응력 발생부)
25 : 중공부

Claims (10)

  1. 회전 전기기기의 고정자 철심의 돌기부에 장착되고, 코일선이 감겨지는 보빈에 있어서,
    상기 코일선이 감겨지는 사각 프레임 형상의 동체부와,
    상기 동체부의 개구측 양단부의 적어도 한쪽에 마련된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부 중, 상기 회전 전기기기의 상기 고정자 철심의 축방향을 각각 따라서 마련되며 또한 서로 상기 고정자 철심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마주하는 2개의 장변에 대응하는 2개의 부위의, 상기 보빈의 둘레 방향에서의 중앙부의 외주측에,
    상기 플랜지부의 폭 치수를 부분적으로 협폭으로 함으로써, 상기 동체부에의 상기 코일선의 권회시에 상기 2개의 부위를 상기 보빈의 내측으로 변형하기 쉽게 하기 위한, 외연으로 개방되는 절결 형상의 2개의 제 1 오목부를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 중, 상기 장변에 직교하여 마련되는 단면에 대응하는 부위의 내주측에, 제 2 오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부 중, 상기 회전 전기기기의 상기 고정자 철심의 축방향을 각각 따라서 마련되며 또한 서로 상기 고정자 철심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마주하는 2개의 장변에 대응하는 부위의 외주측, 또는 상기 장변에 직교하여 마련되는 단변에 대응하는 부위의 내주측에, 제 3 오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동체부의 개구측 일단부에 마련된 제 1 플랜지부와,
    상기 동체부의 개구측 타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 1 플랜지부보다 외경 치수가 작은 제 2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오목부 또는 상기 제 2 오목부는 상기 제 2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
  5. 고정자 및 회전자와,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보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기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40011174A 2013-01-31 2014-01-29 보빈 및 회전 전기 기기 KR1015961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16687 2013-01-31
JP2013016687A JP5678968B2 (ja) 2013-01-31 2013-01-31 ボビン及び回転電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208A KR20140099208A (ko) 2014-08-11
KR101596112B1 true KR101596112B1 (ko) 2016-02-19

Family

ID=49918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1174A KR101596112B1 (ko) 2013-01-31 2014-01-29 보빈 및 회전 전기 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461514B2 (ko)
EP (1) EP2763290A2 (ko)
JP (1) JP5678968B2 (ko)
KR (1) KR101596112B1 (ko)
CN (1) CN103972999A (ko)
BR (1) BR102014002352A2 (ko)
IN (1) IN2014CH0041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24078B2 (ja) * 2014-02-13 2018-11-14 山洋電気株式会社 ステータ、ステータの製造方法、およびモータ
JP6513219B2 (ja) * 2015-12-08 2019-05-15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の電機子
DE102017206597A1 (de) 2017-04-19 2018-10-25 Continental Automotive Gmbh Polzahnmodul für eine elektrische Maschine, Aktivteil mit einem Polzahnmodul und elektrische Maschine
JP6694500B1 (ja) 2018-12-25 2020-05-13 山洋電気株式会社 電機子のボビン構造
KR102413154B1 (ko) * 2020-06-26 2022-06-27 주식회사 코아오토모티브 스테이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1590A (ja) 2000-09-21 2002-04-05 Mitsubishi Electric Corp 絶縁部材及び電動機固定子及び電動機固定子の組立方法
JP2011103712A (ja) 2009-11-10 2011-05-26 Mitsuba Corp 回転電機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39097A (en) * 1965-08-10 1967-08-29 Eastman Mfg Co Inc Bobbin and pole construction
JPH08182265A (ja) * 1994-12-22 1996-07-12 Yaskawa Electric Corp 回転電機の電機子
JPH09308142A (ja) 1996-05-20 1997-11-28 Yaskawa Electric Corp 回転電機
JP2000316246A (ja) * 1999-04-28 2000-11-14 Aisin Seiki Co Ltd コア絶縁部材およびそれを備えたモータ
JP4691275B2 (ja) 2001-06-28 2011-06-01 澤藤電機株式会社 スタータの巻線構造
JP4683410B2 (ja) 2005-03-30 2011-05-18 阪神エレクトリック株式会社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4655764B2 (ja) * 2005-06-06 2011-03-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回転電機
JP2010057211A (ja) * 2008-08-26 2010-03-11 Nippon Densan Corp モータ
JP5444770B2 (ja) * 2009-03-09 2014-03-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絶縁ボビン、回転電機のステータ、および回転電機のステータの製造方法
JP2010246269A (ja) * 2009-04-06 2010-10-28 Toyota Motor Corp インシュレータおよび回転電機
EP2544339B1 (en) * 2010-03-04 2018-05-30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tator and method for producing stator
JP5533285B2 (ja) 2010-06-04 2014-06-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絶縁部材、ステータの製造方法
JP5733050B2 (ja) * 2011-06-24 2015-06-1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回転電機のステータおよび回転電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1590A (ja) 2000-09-21 2002-04-05 Mitsubishi Electric Corp 絶縁部材及び電動機固定子及び電動機固定子の組立方法
JP2011103712A (ja) 2009-11-10 2011-05-26 Mitsuba Corp 回転電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63290A2 (en) 2014-08-06
KR20140099208A (ko) 2014-08-11
JP5678968B2 (ja) 2015-03-04
JP2014150611A (ja) 2014-08-21
CN103972999A (zh) 2014-08-06
US20140210303A1 (en) 2014-07-31
IN2014CH00418A (ko) 2015-04-24
US9461514B2 (en) 2016-10-04
BR102014002352A2 (pt) 2015-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6112B1 (ko) 보빈 및 회전 전기 기기
JP5497532B2 (ja) 電動機のステータの製造方法
JP5353874B2 (ja) 回転電機の固定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21678A (ko) 회전 전동기의 전기자, 회전 전동기 및 그 제조 방법
JP6054754B2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
JP2007129835A (ja) モータ
JP5178935B1 (ja) 回転電機
WO2016132494A1 (ja) 回転電機及び回転電機用インシュレータ
JP4502041B2 (ja) 回転電機の固定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893947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および送風機
JP5517316B2 (ja) 回転電機、回転電機のボビン及びボビンの製造方法
JP7258625B2 (ja) モータ用ステータ
JP2018078749A (ja) 磁極、磁極を配置した固定子、固定子を備えた回転電機および固定子の製造方法
JP6566882B2 (ja) 固定子およびその固定子を備えた回転電機
JP6710180B2 (ja) モータ
JP2006325318A (ja) 整流子、モータ、及びモータの製造方法
JP6652308B2 (ja) 電機子、回転電機および電機子の製造方法
JP2020127362A (ja) モータ
JP4372130B2 (ja) モータ
JP6739497B2 (ja) 回転電機の電機子
JP5852513B2 (ja) モータ
JP2020162300A (ja) 回転電機
JP6062335B2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
JP2017127103A (ja) 電動機用ステータ
JP2005051998A (ja) コンデンサ電動機の固定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