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5591B1 - 약제 포장 장치 및 포장 유닛 교환용 대차 - Google Patents

약제 포장 장치 및 포장 유닛 교환용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5591B1
KR101595591B1 KR1020107029526A KR20107029526A KR101595591B1 KR 101595591 B1 KR101595591 B1 KR 101595591B1 KR 1020107029526 A KR1020107029526 A KR 1020107029526A KR 20107029526 A KR20107029526 A KR 20107029526A KR 101595591 B1 KR101595591 B1 KR 101595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ackaging
packaging unit
slide uni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9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6438A (ko
Inventor
이쯔오 야스나가
치세이 아사오까
노리후미 오이께
겐스께 가미니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10026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6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9/00Arrangements to enable machines to handle articles of different sizes, to produce packages of different sizes, to vary the contents of packages, to handle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material, or to give acces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purposes
    • B65B59/04Machines constructed with readily-detachable units or assemblies, e.g. to facilitate maintenan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07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wherein the storage and dispensing mechanism are configurable in relation to the physical or geometrical properties of the articles to be stored or dispens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2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perforating, scoring, slitting, or applying code or date marks on material prior to packaging
    • B65B61/025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perforating, scoring, slitting, or applying code or date marks on material prior to packaging for applying, e.g. printing, code or date marks on material prior to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6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a longitudinally-folded web, or in a web folded into a tube about th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placed upon 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포장부의 설정 조건의 변경에 기계적 미세 조정을 필요로 하는 경우나, 포장부가 고장난 경우에 신속하게 대응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수용 공간(5)을 갖는 장치 본체(3)와, 장치 본체(3)의 수용 공간(5)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드 유닛(8)과, 슬라이드 유닛(8)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고, 슬라이드 유닛(8)을 수용 공간(5) 내에 위치하는 포장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포장지(23)에 약제를 포장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포장 위치로부터 인출한 인출 위치로 이동시키고, 또한 장치 본체(3)로부터 인출한 교환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교환 가능해지는 포장 유닛(4)을 구비한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약제 포장 장치 및 포장 유닛 교환용 대차{MEDICINE PACKAGING DEVICE AND CART FOR CHANGING PACKAGING UNIT}
본 발명은, 약제 포장 장치 및 이 약제 포장 장치에 사용하는 포장 유닛 교환용 대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약제 포장 장치로서, 장치 본체와, 약제 수납 취출부와, 포장부를 구비하고, 포장부가 인쇄부, 밀봉부, 반송 컨베이어 등 많은 구동계로 이루어지고, 이들이 장치 본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구성의 것이 공지이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130307호 공보
그러나 상기 약제 포장 장치에서는, 포장부가 분포지의 종류의 변경 등에 의해 구동계의 설정 조건을 변경하는 경우, 소프트웨어로는 전부 대응할 수 없는 미묘한 기계적 조정이 필요한 경우가 있어, 선뜻 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또한, 포장부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그 수복에 시간을 필요로 하여, 그 동안, 분포 작업을 정지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포장부의 설정 조건의 변경에 기계적 미세 조정을 필요로 하는 경우나, 포장부가 고장난 경우에 신속하게 대응 가능한 약제 포장 장치 및 포장 유닛 교환용 대차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약제 포장 장치를, 수용 공간을 갖는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의 수용 공간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드 유닛과, 상기 슬라이드 유닛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고, 슬라이드 유닛을 수용 공간 내에 위치하는 포장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포장지에 약제를 포장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포장 위치로부터 인출한 인출 위치로 이동되는 포장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포장 유닛은 또한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한 교환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교환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장치 본체의 수용 공간으로부터 전방으로 슬라이드 유닛을 인출하여, 포장 유닛을 포장 위치로부터 교환 위치로 이동시킬 뿐인 간단한 구성으로, 포장 유닛의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포장 유닛은, 슬라이드 유닛에 대해 인출 위치와 교환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교환 위치에서 슬라이드 유닛에 대해 포장 유닛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포장 유닛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포장 유닛은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되므로, 인출 위치로부터 교환 위치로 이동시키는 데 그다지 힘을 필요로 하지 않아 쉽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유닛은, 절결부가 형성된 베어링부를 구비하고, 상기 포장 유닛은, 상기 교환 위치에서, 상기 절결부를 통해 베어링부에 삽입 가능한 폭 치수로 컷트되고, 삽입 후, 상기 교환 위치 이외의 위치로 회전됨으로써, 외주면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탈락 불능으로 되는 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베어링부와 축 부재로 이루어지는 매우 간단한 구성에 의해, 슬라이드 유닛에 대해 포장 유닛을 착탈할 수 있어, 포장 유닛의 교환 작업을 간단히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축 부재는, 상기 포장 유닛에 일체화되는 축부와, 축부에 대해 회전 가능한 빠짐 방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포장 유닛을, 인출 위치로부터 교환 위치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축부는 절결부를 통해 베어링부에 대해 착탈 가능해지는 한편, 상기 빠짐 방지부는, 베어링부에 보유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별도로 상기 빠짐 방지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절결부를 통해 베어링부에 대해 축 부재가 착탈 가능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포장 유닛을 교환 위치로 회전시켜, 부주의하게 탈락하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는 일이 없어져 안전성이 우수하다.
상기 빠짐 방지부는, 축부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측방, 계속해서 축부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굽힘판을 일체화하고, 상기 굽힘판의 하단부에, 상기 슬라이드 유닛으로부터 이탈시킨 포장 유닛을 적재하는 대차의 적재부에 접촉하여 회전을 저지함으로써, 상기 빠짐 방지부의 회전을 저지하여 베어링부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부를 일체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포장 유닛을 회전시켜, 스토퍼부에 접촉하는 적재부를 구비한 대차로 이동시킨 경우에만, 슬라이드 유닛으로부터 포장 유닛을 이탈시킬 수 있어, 안전면을 고려하면서, 교환 작업을 원활하게 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포장 유닛을 교환하는 일 없이 메인터넌스하는 경우에는, 인출 위치나 교환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작업을 행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또한, 상기 포장 유닛은, 장착 부재와, 포장지를 권회하여 이루어지고, 장착 부재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는 포장 롤과, 장착 부재에 설치되고, 포장 롤로부터 되감긴 포장지에 약제를 수용하고, 밀봉함으로써 포장하는 밀봉부를 구비한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하방측에 수용 공간을 갖는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의 수용 공간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드 유닛과, 상기 슬라이드 유닛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고, 슬라이드 유닛을 장치 본체의 후방측의 포장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포장지에 약제를 포장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장치 본체의 전방측의 인출 위치로 이동시키고, 또한 장치 본체로부터 전방으로 인출한 교환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교환 가능해지는 포장 유닛을 구비한 약제 포장 장치에 사용되는 포장 유닛 교환용 대차이며, 상기 장치 본체의 수용 공간을 구성하는 저면과 대략 동일 높이에 위치하는 적재면을 갖는 적재대를 구비하고, 상기 적재대는 장치 본체와의 위치 결정부와, 상기 위치 결정부에 의한 위치 결정 상태에서, 슬라이드 유닛을 인출 위치로 인출하고, 상기 인출 위치로부터 교환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포장 유닛이 적재되는 적재부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슬라이드 유닛은, 절결부가 형성된 베어링부를 구비하고, 상기 포장 유닛은, 상기 교환 위치에서, 상기 절결부를 통해 베어링부에 삽입 가능한 폭 치수로 컷트되고, 삽입 후, 상기 교환 위치 이외의 위치로 회전됨으로써, 외주면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탈락 불능으로 되는 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축 부재는, 상기 포장 유닛에 일체화되는 축부와, 축부에 대해 회전 가능한 빠짐 방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빠짐 방지부는, 축부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측방, 계속해서 축부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굽힘판을 일체화하고, 상기 굽힘판의 하단부에, 상기 슬라이드 유닛으로부터 이탈시킨 포장 유닛을 적재하는 적재대의 적재부에 접촉하여 회전을 저지함으로써, 상기 빠짐 방지부의 회전을 저지하여 베어링부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부를 일체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 포장부를 하나의 포장 유닛으로서 구성하고, 장치 본체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하였으므로, 포장 유닛을 각종 설정 조건마다 복수 준비해 두면, 설정 조건의 변경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포장 유닛에 이상이 발생해도, 예비 포장 유닛으로 교환하면 되므로 수복 작업이 신속해진다. 또한, 회전 기구와 대차를 이용함으로써, 중량물인 포장 유닛을, 안전하고 또한 확실하고 간단하게 교환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약제 포장 장치의 하방 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슬라이드 유닛 및 포장 유닛을 인출 위치로 인출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포장 유닛을 회전시킨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포장 유닛을 교환 위치로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대차에 적재한 상태를 도시하는 포장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6은 포장 유닛을 제거한 상태(슬라이드 유닛을 인출한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의 (a)는 슬라이드 유닛에 대한 포장 유닛의 위치 결정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b)는 슬라이드 유닛측에 형성한 결합 수용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c)는 포장 유닛측에 형성한 결합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위치 결정 기구에 의한 위치 결정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위치 결정 기구에 의한 위치 결정 해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슬라이드 유닛의 베어링부에 대한 포장 유닛의 축 부재의 각 축부 및 빠짐 방지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단, 이하의 설명에서는, 구성 요소의 종류, 조합, 형상, 상대 배치 등은,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그것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적절하게, 필요에 따라서 특정한 방향이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예를 들어,「상」,「하」,「일단부」,「타단부」,「전」,「후」 등)를 사용하지만, 그들 용어의 사용은 도면을 참조한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며, 그들 용어의 의미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1. 구성)
도 1 내지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약제 포장 장치(1) 및 대차(2)를 도시한다. 약제 포장 장치(1)는, 장치 본체(3)에 포장 유닛(4)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구성이다.
[1-1. 장치 본체(3)]
장치 본체(3)의 하방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5)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면의 2개소에, 후방측으로부터 전방면측의 개구(도시하지 않은 도어에 의해 폐쇄됨)를 향해 연장되는 슬라이드대(6) 및 슬라이드 레일(7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측면에도 슬라이드 레일(7b)이 설치되어 있다. 장치 본체(3)의 저판(9)의 전방 단부면에는,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위치 조정 구멍(10) 및 위치 결정 구멍(1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구멍(10, 11)은, 장치 본체(3)에 대해 후술하는 대차(2)를 위치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슬라이드대(6)와 슬라이드 레일(7a)의 상방에는, 슬라이드 유닛(8)(도 6 참조)이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유닛(8)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 플레이트(12)와, 그 전방면 측부 테두리부의 절반으로부터 기립 설치시킨 정면 패널(13a)과, 이 정면 패널(13a)에 연속되고 바닥 플레이트(12)의 측부 테두리부로부터 기립 설치시킨 측면 패널(13b)을 구비한다. 슬라이드 유닛(8)은, 바닥 플레이트(12)를 슬라이드 레일(7a)로 가이드하는 동시에, 측면 패널(13b)을 슬라이드 레일(7b)로 가이드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닥 플레이트(12)의 하면 양측부에는, 전후 2개소씩, 장치 본체(3)의 수용 공간(5)의 저면을 구름 이동하는 롤러(12a)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롤러(12a)는, 슬라이드 레일(7a, 7b)의 보조로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바닥 플레이트(12)의 전방 단부면의 일단부측에는 포장 유닛(4)용 지지부(14)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14)는, 도 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 플레이트(12)의 전방 단부면에 고정된 크랭크 형상의 지지판(15)과, 이 지지판(15)의 전방으로 돌출된 단부면에 고정된 결합 수용부(16)로 구성되어 있다. 결합 수용부(16)에는, 직사각형 구멍(17)이 형성되고, 거기에는 후술하는 결합 갈고리부(45)가 결합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정면 패널(13)의 전방면에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부(18), 커넥터 수용부(19), 베어링부(20) 등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18)에는, 각종 버튼(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고, 이들을 조작함으로써, 구동 모터(15)(도 5 참조), 열밀봉부(25) 등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커넥터 수용부(19)에는, 포장 유닛(4)측의 커넥터(43)가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포장 유닛(4)측에 전력을 공급하여, 신호를 송수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베어링부(20)는, 전방면측 중앙부에서 분리되는 절결부(21)가 형성된 단면 대략 C자형의 것으로, 상하 2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베어링부(20)는, 후술하는 포장 유닛(4)의 축 부재(3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1-2. 포장 유닛(4)]
포장 유닛(4)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L자형의 장착 부재(22)에, 포장지(23)와, 이 포장지(23)에 소정의 인쇄를 실시하는 인쇄부(24)와, 포장지(23)를 부분적으로 가열하여 주머니 형상으로 하고, 약제 수용 후에 포장하는 열밀봉부(25)와, 주머니 형상으로 된 포장지(23)에 약제를 공급하는 호퍼(26)와, 약제가 포장된 포장지(23)를 경사 상방으로 반송하는 컨베이어(27)를 구비한 구성이다.
포장지(23)는, 둘로 접어 롤에 권회된 상태에서, 장착 부재(22)의 제1 플레이트(28)로부터 돌출시킨 회전축(29)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된다. 인쇄부(24)는 포장지(23)에 인접하여 제1 플레이트(28)에 장착되어 있다. 인쇄부(24)는 되감은 잉크 리본을 가열한 헤더에 의해 포장지(23)에 압박하여, 도시하지 않은 호스트 컴퓨터 등으로부터 입력된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여, 포장지(23)에 소정의 인쇄를 행한다. 열밀봉부(25)는, 장착 부재(22)의 제2 플레이트(30)에 장착되고, 가이드 롤러(31)에 의해 제1 플레이트(28)를 따르는 반송 경로로부터, 제2 플레이트(30)를 따르는 경사 하방을 향하는 반송 경로로 방향 변환되어 포장지(23)를 소정 간격으로 밀봉하고, 약제가 수용된 후, 남은 개구 부분을 밀봉하여 포장한다. 호퍼(26)는, 도시하지 않은 약제 피더 등으로부터 불출된 약제를 회수하여, 삼각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대략 V자형으로 확대되고, 그 하류측에서 열밀봉부(25)에 의해 밀봉됨으로써 주머니 형상으로 된 포장지(23)로 공급한다. 컨베이어(27)는, 약제가 포장된 포장지(23)를 경사 상방의 사용자가 취출하기 쉬운 위치까지 반송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장착 부재(22)의 제2 플레이트(30)의 측부 테두리에는, 장치 본체(3)에 설치한 베어링부(2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는 축 부재(32)가 설치되고, 그 근방에는 구동 모터가 설치되어, 복수의 기어를 통해 열밀봉부(25)가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부호 33은, 구동 모터 등으로의 전력의 공급이나 신호의 전송에 사용되는 코드를 정리한 전선 다발(電線束)이며, 후술하는 커넥터(43)에 접속되어 있다.
축 부재(32)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30)에 고정되는 대직경부(34)와, 상단부측에 형성되는 제1 축부(35) 및 빠짐 방지부(36)와, 하단부측에 형성되는 제2 축부(37)로 이루어진다. 빠짐 방지부(36)는 제1 축부(35)의 상단부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굽힘판(38)이 일체화되어 있다.
굽힘판(38)은, 빠짐 방지부(36)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고, 축 부재(32)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고, 하부에는 스토퍼부(39)가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부(39)는, 후술하는 적재대(48)의 제1 적재부(50)의 상방 근방에 위치하는 수평부와, 그 테두리부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제1 적재부(50)의 측면에 접촉하는 수직부로 이루어진다. 스토퍼부(39)에는, 수평부로부터 수직부에 걸쳐 릴리프 구멍(40)이 형성되어 있다. 릴리프 구멍(40)을 통해 제2 축부(37)의 하단부면을 제1 적재부(50)에 적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굽힘판(38)에는, 중간부에 장착편(41)이 설치되어, 일단부를 제2 플레이트(30)에 건 스프링(42)의 타단부가 걸려 있다.
제1 축부(35), 빠짐 방지부(36) 및 제2 축부(37)는, 제2 플레이트(30)와 평행하게 양측이 컷트됨으로써 컷트면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컷트면에 의해, 제1 축부(35), 빠짐 방지부(36) 및 제2 축부(37)는 절결부(21)에 정면측으로부터 삽입 관통 가능해진다. 단, 제1 축부(35) 및 제2 축부(37)를, 절결부(21)를 통해 베어링부(20)에 착탈할 수 있는 것은 다음 2개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로 한정된다. 즉, 첫 번째로, 장치 본체(3)에 대해 포장 유닛(4)을 약 90°회전시켜 교환 위치에 위치시킨 경우이다. 두 번째로, 교환 위치에서, 포장 유닛(4)을 대차(2)에 적재함으로써, 굽힘판(38)이 스프링(42)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제1 적재부(50)에 의해 위치 규제된 경우이다. 굽힘판(38)이 위치 규제됨으로써, 이것에 일체화된 빠짐 방지부(36)의 컷트면의 위치가 제1 축부(35) 및 제2 축부(37)의 컷트면과 일치한다. 이 결과, 베어링 부재에 대해 축 부재(32)를 착탈 가능해진다. 또한, 교환 위치 이외이면, 제1 축부(35) 및 제2 축부(37)의 외주면이 베어링부(20)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가이드된다[도 11의 (a) 참조]. 또한, 교환 위치라도, 굽힘판(38)이 위치 규제되어 있지 않으면, 빠짐 방지부(36)의 외주면이 베어링부(20)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가이드되어, 베어링부(20)로부터 탈락 불능으로 된다[도 11의 (b) 참조].
또한, 제2 플레이트(30)에는, 상기 축 부재(32)와는 반대측의 측면에 커넥터(43)가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43)에는, 구동 모터 등에 접속되는 전선 다발(33)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커넥터(43)를 커넥터 수용부(19)에 접속함으로써, 전력의 공급 및 신호의 송수신을 1개소에서 통합하여 중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2 플레이트(30)의 하단부에는, 상기 슬라이드 유닛(8)에 설치한 결합 수용부(16)의 직사각형 구멍(17)에 결합 분리되는 결합 갈고리부(45)를 구비한 결합 부재(46)가 설치되어 있다. 결합 갈고리부(45)는, 레버(47)를 회전시킴으로써 출몰(出沒)되어, 직사각형 구멍(17)에 결합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포장 유닛(4)은, 슬라이드 유닛(8)에 대해 베어링부(20)에 축 부재(32)가 지지될 뿐만 아니라, 결합 수용부(16)의 직사각형 구멍(17)에 결합 부재(46)의 결합 갈고리부(45)가 결합된다. 즉, 2개소에서 위치 결정된다.
[1-3. 대차(2)]
포장 유닛(4)은, 도 1에 도시하는 대차(2)를 이용하여 교환된다. 대차(2)는 하면의 4코너에 설치한 캐스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적재대(48)와, 이 적재대(48)의 제1 측부 테두리부(48a)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고,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역 U자형의 손잡이(49)를 구비한다.
적재대(48)는 금속제의 평판이며, 그 상면에는 수지 재료로 형성된 제1 적재부(50), 제2 적재부(51) 및 제3 적재부(52)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제1 적재부(50)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 형상이고, 중앙부에 오목부(50a)가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49)와는 반대측의 제2 측부 테두리부(48b)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적재부(50)에는 포장 유닛(4)의 축 부재(32)가 적재된다. 상세하게는, 제1 적재부(50)의 오목부(50a)에, 제2 축부(37)의 하단부가 위치하여, 그 위치 어긋남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제2 적재부(51)는 제2 측부 테두리부(48b)를 따라 연장되는 평탄부(51a)와, 제3 적재부(52)측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낮아지는 경사부(51b)로 구성되어 있다. 제3 적재부(52)도, 제2 적재부(51)와 동일한 구성으로, 평탄부(52a)와 경사부(52b)로 구성되고, 경사부(52b)는 제2 측부 테두리부(48b)측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제2 적재부(51)와 제3 적재부(52)에는 적재대(48)에 대해 회전시키면서 이송되는 포장 유닛(4)이 경사부(51b, 52b)를 통해 원활하게 평탄부(51a, 52a)에 적재되게 된다.
적재대(48)의 제2 측부 테두리부(48b)의 측면에는, 장치 본체(3)의 슬라이드 유닛(8)의 바닥 플레이트(12)에 형성된 위치 조정 구멍(10)에 결합되는 위치 조정 편(53)과, 마찬가지로 바닥 플레이트(12)에 형성된 위치 결정 구멍(11)에 결합되는 위치 결정 핀(54)이 설치되어 있다. 위치 조정 편(53)은, 폭이 넓고, 선단 부분이 선단을 향해 서서히 폭 치수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위치 조정 구멍(10)에의 삽입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위치 조정 편(53)은, 위치 조정 구멍(10)에 대해 다소의 덜걱거림을 갖고 결합된다. 한편, 위치 결정 핀(54)은, 선단이 뾰족하고, 위치 조정 편(53)에 비해 돌출 치수가 작다. 위치 결정 핀(54)은, 위치 조정 편(53)을 위치 조정 구멍(10)에 삽입하여, 어느 정도 위치 결정된 시점에서, 위치 결정 구멍(11)에 삽입된다. 그리고 위치 결정 핀(54)이 위치 결정 구멍(11)에 결합됨으로써, 장치 본체(3)에 대해 대차(2)를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적재대(48)에는, 조작 레버(55)에 의해 회전하는, 제1 고정 레버(56)와, 제2 고정 레버(57)가 설치되어 있다. 각 레버(56, 57)는 축부(58)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조작 레버(55)는 제1 측부 테두리부(48a)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축부(58)의 일단부에 고정되고, 발에 의해 밟을 수 있는 한 쌍의 페달(55a, 55b)로 구성되어 있다. 한쪽 페달(55a)을 밟으면, 축부(58)가 [조작 레버(55)측으로부터 보아] 우회전, 다른 쪽 페달(55b)을 밟으면, [조작 레버(55)측으로부터 보아] 좌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제1 고정 레버(56)는, 적재대(48)의 중앙부, 정확하게는 제2 적재부(51)와 제3 적재부(52) 사이에 형성된 직사각 형상의 개구(48c)를 통해 출몰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 고정 레버(57)는, 제2 측부 테두리부(48b)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축부(58)의 타단부에 고정되고, 제1 고정 레버(56)가 상방으로 돌출될 때에는 수평 위치에 위치하고, 제1 고정 레버(56)가 수평 위치에 위치할 때는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2. 동작)
다음에, 상기 구성을 구비한 약제 포장 장치(1)에 있어서의 포장 유닛(4)의 교환 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2-1. 포장 유닛 제거 수순)
우선,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차(2)를 장치 본체(3)의 전방면측에 세트한다. 이때, 대차(2)의 위치 조정 편(53)을 장치 본체(3)의 위치 조정 구멍(10)에 삽입하여, 장치 본체(3)에 대한 대차(2)의 대략의 위치 정렬을 행한다. 그리고 대차(2)를 장치 본체(3)에 더 근접시켜, 대차(2)의 위치 결정 핀(54)을 장치 본체(3)의 위치 결정 구멍(11)에 삽입하고, 소정의 결합 상태를 얻음으로써 장치 본체(3)에 대해 대차(2)를 정확하게 위치 결정한다.
여기서, 조작 레버(55)를 조작하여[페달(55a)을 밟아], 제1 고정 레버(56) 및 제2 고정 레버(57)를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제1 고정 레버(56)가 장치 본체(3)의 하면의 걸림 수용부(예를 들어, 단차부나 걸림편 등)에 걸려, 손잡이(49)를 잡아 당겨도 장치 본체(3)로부터 대차(2)는 이동 불능으로 된다. 또한, 제2 고정 레버(57)는 대차(2)의 상면으로부터는 돌출되지 않는 퇴피 위치로 이동한다.
계속해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3)로부터 포장 유닛(4)이 적재된 슬라이드 유닛(8)을 전방으로 인출한다. 슬라이드 유닛(8)이 완전히 인출되면, 포장 유닛(4)의 축 부재(32)가 제1 적재부(50)에 적재된다. 즉, 제2 축부(37)의 하면이, 대차(2)의 제1 적재부(50)의 오목부(50a)에 위치 결정된다.
따라서 레버(47)를 잡아 당겨, 결합 수용부(16)의 직사각형 구멍(17)으로부터 결합 갈고리부(45)를 이탈시킴으로써 결합 상태를 해제하여, 슬라이드 유닛(8)에 대해 포장 유닛(4)을 회전 가능한 상태로 한다. 그리고 제1 적재부(50)에 적재된 축 부재(32)를 중심으로 하여,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유닛(8)에 대해 포장 유닛(4)을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포장 유닛(4)은 베이스(22)의 저면이 제2 적재부(51)의 경사면(51b)과 제3 적재부(52)의 경사면(52b)에 의해 서서히 가이드되면서, 최종적으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각 적재부(51, 52)의 평탄면(51a, 52a)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굽힘판(38)은 그 스토퍼부(39)의 수직부가 제1 적재부(50)의 측면에 접촉함으로써 회전이 저지된다. 이 결과, 빠짐 방지부(36)의 컷트면의 위치가, 도 11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축부(35) 및 제2 축부(37)의 컷트면의 위치와 합치하여, 베어링부(20)에 대한 축 부재(32)의 착탈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포장 유닛(4)은 베어링부(20)에 지지된 축 부재(32)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장치 본체(3)로부터 대차(2)로 이송할 수 있다. 포장 유닛(4)의 회전시에는, 축 부재(32)가 대차(2)의 제1 적재부(50)에 지지되었을 뿐이므로, 그 중량의 크기에 관계없이 그다지 힘이 필요하지 않아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다.
그 후, 조작 레버(55)를 조작하여, 제1 고정 레버(56)를 장치 본체(3)의 저면에 형성된 걸림편으로부터 이탈시키고, 제2 고정 레버(57)를 적재대(48)의 상면으로부터 돌출시켜, 적재된 포장 유닛(4), 즉 제2 플레이트(29)의 하면에 형성된 결합 수용부(도시하지 않음)에 결합시킨다. 또한, 커넥터 수용부(19)로부터 커넥터(43)를 이탈시킨다. 포장 유닛(4)에의 전력 공급, 신호의 송수신은, 이 커넥터(43)와 커넥터 수용부(19)의 접속 부분에 집약되어 있다. 이로 인해, 커넥터(43)의 이탈 작업만으로 모든 배선을 절단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그리고 손잡이(49)를 잡고 대차(2)를 잡아 당겨, 위치 조정 편(53)을 위치 조정 구멍(10)으로부터, 위치 결정 핀(54)을 위치 결정 핀(54)으로부터 각각 이탈시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재된 포장 유닛(4)을 반송한다. 이 경우, 적재대(48) 상의 포장 유닛(4)은 제2 고정 레버(57)에 의해 위치 결정되어 있으므로, 반송 중에 위치 어긋남되는 일이 없어 안심이다.
[2-2. 포장 유닛(4)의 장착 수순]
포장 유닛(4)의 장착은, 전술한 제거의 경우와 반대의 수순으로 행한다.
즉, 새롭게 교환할 포장 유닛(4)은 미리 다른 대차(2)에 적재되어 있으므로, 이 대차(2)를 이동시켜, 위치 조정 편(53) 및 위치 결정 핀(54)을 이용하여 장치 본체(3)에 대해 위치 결정한다. 이때, 슬라이드 유닛(8)을 인출 위치로 인출해 둔다(또는, 제거 수순에서 이미 인출 위치에 위치하고 있음). 이에 의해, 포장 유닛(4)의 축 부재(32)가 슬라이드 유닛(8)의 베어링부(20)에 보유 지지된다. 그리고 페달(55b)을 밟아 제1 고정 레버(56)를 상방 위치로 회전시켜, 포장 유닛(4)과의 결합을 해제하는 동시에, 제2 고정 레버(57)를 하방 위치로 회전시켜 장치 본체(3)에 대해 대차(2)를 위치 결정한다. 계속해서, 베어링부(20)에 지지된 축 부재(32)를 중심으로 하여 포장 유닛(4)을 회전시킨다. 포장 유닛(4)의 열밀봉부(25) 등이 전방을 향한 상태까지 회전하면, 결합 수용부(16)의 직사각형 구멍(17)에 결합 부재(46)의 결합 갈고리부(45)가 결합된다. 이에 의해, 포장 유닛(4)은 슬라이드 유닛(8)에 일체화된다. 따라서, 포장 유닛(4)을 슬라이드 유닛(8)과 함께 슬라이드시켜 인출 위치로부터 포장 위치로 이동시킨다. 포장 위치에서는, 슬라이드 유닛(8)을 도시하지 않은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해 위치 결정해 두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항의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 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 유닛(8)은, 장치 본체(3)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도록 구성하였지만, 설치 장소 등을 고려하여,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포장 유닛(4)은 슬라이드 유닛(8)에 대해 인출 위치로부터 교환 위치로 회전시키도록 구성하였지만, 대차(2)를 향해 더 슬라이드시킴으로써 교환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베어링부(20)에는, 절결부(21)를 형성하도록 하였지만, 단순한 통 형상으로 하여, 축 부재(32)의 제1 축부(35) 혹은 제2 축부(37)를 대직경부(34)에 대해 신축 가능한 구성으로 해도 좋고, 또한 베어링부(20)는 한 쌍의 반원통부를 힌지 등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 개폐식으로 해도 상관없다.
또한, 대차(2)는 자석(전자석을 포함함)에 의해 장치 본체(3)에 위치 결정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1 : 약제 포장 장치
2 : 대차
3 : 장치 본체
4 : 포장 유닛
5 : 수용 공간
6 : 슬라이드대
7 : 슬라이드 레일
8 : 슬라이드 유닛
9 : 저판
10 : 위치 조정 구멍
11 : 위치 결정 구멍
12 : 바닥 플레이트
13 : 정면 패널
14 : 지지부
15 : 지지판
16 : 결합 수용부
17 : 직사각형 구멍
18 : 조작부
19 : 커넥터 수용부
20 : 베어링부
21 : 절결부
22 : 장착 부재
23 : 포장지
24 : 인쇄부
25 : 열밀봉부
26 : 호퍼
27 : 컨베이어
28 : 제1 플레이트
29 : 회전축
30 : 제2 플레이트
31 : 가이드 롤러
32 : 축 부재
33 : 전선속
34 : 대직경부
35 : 제1 축부
36 : 빠짐 방지부
37 : 제2 축부
38 : 굽힘판
39 : 스토퍼부
40 : 릴리프 구멍
41 : 장착편
42 : 스프링
43 : 커넥터
45 : 결합 갈고리부
46 : 결합 부재
47 : 레버
48 : 적재대
48a : 제1 측부 테두리부
48b : 제2 측부 테두리부
48c : 개구
49 : 손잡이
50 : 제1 적재부
50a : 오목부
51 : 제2 적재부
51a : 평탄부
51b : 경사부
52 : 제3 적재부
52a : 평탄부
52b : 경사부
53 : 위치 조정 편
54 : 위치 결정 핀
55 : 조작 레버
55a, 55b : 페달
56 : 제1 고정 레버
57 : 제2 고정 레버
58 : 축부

Claims (8)

  1. 하방측에 수용 공간을 갖는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의 수용 공간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드 유닛과, 상기 슬라이드 유닛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고, 슬라이드 유닛을 장치 본체의 후방측의 포장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포장지에 약제를 포장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장치 본체의 전방측의 인출 위치로 이동시키고, 또한 장치 본체로부터 전방으로 인출한 교환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교환 가능해지는 포장 유닛을 구비한 약제 포장 장치에 사용되는 포장 유닛 교환용 대차이며, 적재대를 구비하고, 상기 적재대는, 장치 본체와의 위치 결정부와, 상기 위치 결정부에 의한 위치 결정 상태에서, 슬라이드 유닛을 인출 위치로 인출하고, 상기 인출 위치로부터 교환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포장 유닛이 적재되는 적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유닛 교환용 대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유닛은, 절결부가 형성된 베어링부를 구비하고, 상기 포장 유닛은, 상기 교환 위치에서, 상기 절결부를 통해 베어링부에 삽입 가능한 폭 치수로 컷트되고, 삽입 후, 상기 교환 위치 이외의 위치로 회전됨으로써, 외주면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탈락 불능으로 되는 축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유닛 교환용 대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 부재는, 상기 포장 유닛에 일체화되는 축부와, 축부에 대해 회전 가능한 빠짐 방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포장 유닛을, 인출 위치로부터 교환 위치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축부는 절결부를 통해 베어링부에 대해 착탈 가능해지는 한편, 상기 빠짐 방지부는, 베어링부에 보유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별도로 상기 빠짐 방지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절결부를 통해 베어링부에 대해 축 부재가 착탈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유닛 교환용 대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빠짐 방지부는, 축부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측방, 계속해서 축부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굽힘판을 일체화하고, 상기 굽힘판의 하단부에, 상기 슬라이드 유닛으로부터 이탈시킨 포장 유닛을 적재하는 대차의 적재부에 접촉하여 회전을 저지함으로써, 상기 빠짐 방지부의 회전을 저지하여 베어링부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부를 일체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유닛 교환용 대차.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유닛은, 장착 부재와, 포장지를 권회하여 이루어지고, 장착 부재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는 포장 롤과, 장착 부재에 설치되고, 포장 롤로부터 되감긴 포장지에 약제를 수용하고, 밀봉함으로써 포장하는 밀봉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유닛 교환용 대차.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07029526A 2008-06-30 2009-06-25 약제 포장 장치 및 포장 유닛 교환용 대차 KR1015955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70884A JP5332346B2 (ja) 2008-06-30 2008-06-30 薬剤包装装置及び包装ユニット交換用台車
JPJP-P-2008-170884 2008-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438A KR20110026438A (ko) 2011-03-15
KR101595591B1 true KR101595591B1 (ko) 2016-02-18

Family

ID=41465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9526A KR101595591B1 (ko) 2008-06-30 2009-06-25 약제 포장 장치 및 포장 유닛 교환용 대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57135B2 (ko)
EP (1) EP2305566B1 (ko)
JP (1) JP5332346B2 (ko)
KR (1) KR101595591B1 (ko)
CN (1) CN102076568B (ko)
WO (1) WO20100017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32346B2 (ja) * 2008-06-30 2013-11-06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包装装置及び包装ユニット交換用台車
JP5528409B2 (ja) * 2011-10-17 2014-06-25 株式会社フジキカイ 製袋充填機におけるシール装置
JP2013230842A (ja) * 2012-04-27 2013-11-14 Ishida Co Ltd 製袋包装機
US9150119B2 (en) 2013-03-15 2015-10-06 Aesynt Incorporated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anticipating and delivering medications from a central pharmacy to a patient using a track based transport system
US9511945B2 (en) 2012-10-12 2016-12-06 Aesynt Incorporated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porting medications from a central pharmacy to a patient in a healthcare facility
JP6574330B2 (ja) * 2015-03-19 2019-09-11 株式会社イシダ 製袋包装機
ES2824528T3 (es) * 2017-12-21 2021-05-12 Multivac Haggenmueller Kg Carro de almacenamiento para cubiertas de protección
DE102018218410A1 (de) * 2018-10-26 2020-04-30 Multivac Sepp Haggenmüller Se & Co. Kg Verfahren und werkzeugwagen zum transferieren einer werkzeugkomponent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4656A (ja) * 2003-03-24 2004-10-14 Yuyama Manufacturing Co Ltd 薬剤包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2869B2 (ja) * 1995-08-23 2003-05-06 三洋電機株式会社 固形製剤包装装置
JPH09123805A (ja) * 1995-10-31 1997-05-13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着脱式ヒンジ機構
US5940953A (en) 1997-09-03 1999-08-24 Brown Machine Llc. Cart and method for changing tooling in a thermoformer machine
US6751926B1 (en) * 1999-05-11 2004-06-22 Andrew Cooper Packaging filler product and machine for producing same
WO2001034090A1 (en) * 1999-11-09 2001-05-17 Sanyo Electric Co., Ltd. Solid drug filling device
TW527302B (en) * 2001-04-19 2003-04-11 Yuyama Mfg Co Ltd Medicine feed apparatus
TWI225836B (en) * 2002-02-20 2005-01-01 Sanyo Electric Co Medicine supply apparatus
KR100998105B1 (ko) * 2002-02-20 2010-12-02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약제 공급 장치
JP4421920B2 (ja) * 2003-09-26 2010-02-24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品払出装置
EP1598275A1 (en) * 2004-05-19 2005-11-23 CFS Palazzolo S.p.A. Device for handling of tools readily detachable in a machine, especially a packaging machine, and method
KR101183013B1 (ko) 2004-10-08 2012-09-18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불출 장치
US7220222B2 (en) * 2005-01-19 2007-05-22 Multi-Shifter Inc. Cart for die transportation
ITBO20060244A1 (it) * 2006-04-05 2007-10-06 Ima Spa Sistema e metodo per trasferire e movimentare elementi di una macchina automatica confezionatrice.
KR100817769B1 (ko) * 2007-01-05 2008-03-31 (주)제이브이엠 분리가능한 셔터 조립체를 구비한 약제 자동 포장기
JP4782170B2 (ja) * 2007-06-21 2011-09-28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充填装置
JP2009023731A (ja) * 2007-06-21 2009-02-05 Yuyama Manufacturing Co Ltd 錠剤充填装置
DE102008019628A1 (de) * 2008-04-18 2009-11-05 Multivac Sepp Haggenmüller Gmbh & Co. Kg Verpackungsmaschine
JP5332346B2 (ja) * 2008-06-30 2013-11-06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包装装置及び包装ユニット交換用台車
EP2319768B1 (en) * 2008-07-24 2016-05-04 Yuyama Mfg. Co., Ltd. Sealing device and pharmaceutical packaging apparatus
CN101712384A (zh) * 2008-09-30 2010-05-26 三洋电机株式会社 药品包装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4656A (ja) * 2003-03-24 2004-10-14 Yuyama Manufacturing Co Ltd 薬剤包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05566A4 (en) 2011-07-06
EP2305566A1 (en) 2011-04-06
CN102076568B (zh) 2014-01-29
US8857135B2 (en) 2014-10-14
CN102076568A (zh) 2011-05-25
EP2305566B1 (en) 2014-01-22
US20110107591A1 (en) 2011-05-12
KR20110026438A (ko) 2011-03-15
WO2010001799A1 (ja) 2010-01-07
JP2010006449A (ja) 2010-01-14
JP5332346B2 (ja) 201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5591B1 (ko) 약제 포장 장치 및 포장 유닛 교환용 대차
KR101183013B1 (ko) 약제 불출 장치
US9917409B2 (en) Method for producing a crimp connection
US20150115093A1 (en) Component supply device and component mounting device
JP5826919B2 (ja) 部品供給装置及び部品実装装置
DE4008541C1 (ko)
CN110709233B (zh) 垫料转换系统和扇状折叠库存材料供应推车
JP6574330B2 (ja) 製袋包装機
TWI571214B (zh) 拉鏈的開具安裝裝置
JP2008133061A (ja) 用紙供給装置
JP4142344B2 (ja) 部品収容用キャリアテープの被覆材熱圧着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テーピング装置
EP3809809B1 (en) Exchange device
CN204173197U (zh) 捆扎装置
JP4093434B2 (ja) 調剤用薬剤払出装置
US20240017943A1 (en) Sheet feed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locking device
JP2010047300A (ja) 給油装置
JP5100262B2 (ja) 収納テープ同士の連結装置及び作業台車
US20180325642A1 (en) Storage receptacle for straws for packaging animal semen and processing installation comprising such a receptacle
KR101407668B1 (ko) 정제 포장장치
JP2010173651A (ja) 係止片取付機
CN101367297A (zh) 走纸装置
JP2002002606A (ja) フィルムロール支持装置を備えた包装機
JPH01180375A (ja) 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