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5532B1 -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축 지지 구조 - Google Patents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축 지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5532B1
KR101595532B1 KR1020090076086A KR20090076086A KR101595532B1 KR 101595532 B1 KR101595532 B1 KR 101595532B1 KR 1020090076086 A KR1020090076086 A KR 1020090076086A KR 20090076086 A KR20090076086 A KR 20090076086A KR 101595532 B1 KR101595532 B1 KR 101595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meter portion
spool
shaft
spool shaft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6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1989A (ko
Inventor
쇼지 나카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00021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에 있어서, 스풀축의 외주면과 내륜이 접촉되는 접촉 면적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또한 스풀이 고속 회전했을 때 스풀축의 진동을 방지한다. 스풀축(16)은, 축부(16c)와, 축부(16c)의 양단 외주부의 일부가 각각 축부(16c)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환형의 제1 대경부(大徑部)(16d)와, 제1 대경부(16d)와 간격을 두고 제1 대경부(16d)보다 외측에 배치되고, 스풀(4)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측의 축부(16c)의 일단 외주부의 일부가 축부(16c)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환형의 제2 대경부(16e)를 포함하고 있다.
듀얼 베어링 릴, 스풀축, 대경부, 내륜, 축부

Description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축 지지 구조{SPOOL SHAFT SUPPORT STRUCTURE FOR DUAL-BEARING REEL}
본 발명은, 스풀축 지지 구조, 특히,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이 고정되는 스풀축을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축 지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로 루어(lure) 피싱에 사용되는 베이트 릴이라는 듀얼 베어링 릴에서는, 캐스팅 거리를 늘리기 위해서, 스풀을 고속 회전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듀얼 베어링 릴에서는, 스풀을 고속 회전시키기 위해, 스풀축의 양 단부를 볼베어링 등의 베어링에 의해 지지할 때, 베어링의 내륜과 스풀축과의 접촉 마찰을 저감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여기서는, 스풀축의 외주면과 내륜이 접촉하는 접촉 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스풀축과 내륜과의 접촉 마찰을 저감시키고 있고, 이로써, 스풀축은 내륜에 대하여 미끄러지도록 상대 회전하므로, 스풀을 고속 회전시킬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2541679호
상기 종래의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에서는, 스풀축의 외주면과 내륜이 접촉하는 접촉 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캐스팅 시에 스풀을 고속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스풀에 있어서, 스풀을 보다 고속 회전시키기 위해 스풀축의 외주면과 내륜이 접촉하는 접촉 면적을 보다 감소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스풀축의 외주면과 내륜이 접촉하는 접촉 면적을 보다 감소시키면 스풀이 고속 회전했을 때 스풀축에 진동이 발생하여, 스풀의 부드러운 회전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에 있어서, 스풀축의 외주면과 내륜이 접촉하는 접촉 면적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또한 스풀이 고속 회전했을 때 스풀축의 진동을 방지하는 데 있다.
본원 발명 1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축 지지 구조는, 듀얼 베어링 릴의 권취용 스풀이 고정되는 스풀축을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축 지지 구조로서, 제1 대경부와, 제2 대경부와, 1개의 베어링부를 포함하고 있다. 제1 대경부는, 적어도 스풀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측의 스풀축의 일부가 축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제2 대경부는, 제1 대경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적어도 스풀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측의 스풀축의 일부가 축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1개의 베어링부는, 릴 본체에 외주부가 고정되고, 제1 대경부 및 제2 대경부가 내주부에 의해 지지된다.
이 스풀축 지지 구조에서는, 스풀축의 제1 대경부 및 제2 대경부의 외주부가 1개의 같은 베어링부의 내주부에 지지되어 있고, 제1 대경부 및 제2 대경부는 적어도 스풀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측의 스풀축의 일부가 축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고,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종래와 같이 1개의 대경부를 형성한 것뿐인 경우에 비하여, 2개의 제1 대경부 및 제2 대경부를 간격을 두고 배치함으로써, 스풀축의 외주면과 베어링부의 내주면이 접촉하는 접촉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2개의 제1 대경부 및 제2 대경부를 배치함으로써, 스풀축을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으므로, 스풀이 고속 회전했을 때 스풀축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2개의 제1 대경부 및 제2 대경부를 형성함으로써, 1개의 대경부를 형성하여 스풀축을 축방향으로 좁은 폭으로 지지하는 경우에 비하여, 2개의 제1 대경부 및 제2 대경부에 의해 스풀축을 축방향으로 광폭으로(제1 대경부의 내측 단부로부터 제2 대경부의 외측 단부까지의 길이 폭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드래그가 작용했을 때 등 스풀축에 강한 부하가 생겼을 때라도, 스풀축이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제1 대경부 및 제2 대경부는, 적어도 스풀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측의 스풀축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풀이 고속 회전했을 때 스풀축이 비교적 진동되기 쉬운 스풀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측의 스풀축에 제1 대경부 및 제2 대경부를 형성함으로써, 스풀축의 진동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스풀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측의 스풀축에 배치되는 경우가 많은 피니언 기어의 내주부에 스풀축이 진동되어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스 풀의 회전 성능을 손상시키지 않게 된다.
본원 발명 2에 관한 스풀축 지지 구조는, 본원 발명 1의 스풀축 지지 구조에 있어서, 제1 대경부 및 제2 대경부는, 스풀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측의 스풀축의 일단 외주부에만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대경부 및 제2 대경부를 스풀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측의 스풀축의 2군데 형성함으로써, 스풀축의 가공 공정을 증가시키지 않고, 스풀축의 진동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원 발명 3에 관한 스풀축 지지 구조는, 본원 발명 1의 스풀축 지지 구조에 있어서, 제1 대경부 및 제2 대경부는, 스풀축의 양단 외주부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대경부 및 제2 대경부를 맞추어 4군데 형성함으로써, 스풀축의 회전 지지가 보다 확실하게 된다.
본원 발명 4에 관한 스풀축 지지 구조는, 본원 발명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스풀축 지지 구조에 있어서, 제1 대경부 및 제2 대경부는, 스풀축의 축방향 단면이 베어링의 내주부 측을 향해 대략 반원 형상으로 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대경부 및 제2 대경부의 선단부를 둥글게 하는 것에 의해, 스풀축의 외주면과 베어링부의 내주면이 접촉하는 접촉 면적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본원 발명 5에 관한 스풀축 지지 구조는, 본원 발명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스풀축 지지 구조에 있어서, 제1 대경부 및 제2 대경부는, 스풀축의 축방향 단면이 베어링의 내주부 측을 향해 대략 직사각형이 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대경부 및 제2 대경부의 가공이 용이하게 된다.
본원 발명 6에 관한 스풀축 지지 구조는, 본원 발명 5의 스풀축 지지 구조에 있어서, 제1 대경부 및 제2 대경부의 직사각형의 돌출부의 각부(角部)는, 스풀축의 축방향 단면이 완만하게 둥근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대경부 및 제2 대경부의 선단부를 둥글게 하는 것에 의해, 스풀축의 외주면과 베어링부의 내주면이 접촉하는 접촉 면적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본원 발명 7에 관한 스풀축 지지 구조는, 본원 발명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스풀축 지지 구조에 있어서, 제1 대경부 및 제2 대경부는, 축부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대경부 및 제2 대경부가 축부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으므로, 제1 대경부 및 제2 대경부가 축부로부터 이격된 베어링부의 내주측의 소정 위치로부터 어긋나지 않게 된다.
본원 발명 8에 관한 스풀축 지지 구조는, 본원 발명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스풀축 지지 구조에 있어서, 제1 대경부 및 제2 대경부는, 축부와 별개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링형의 별도의 부재인 제1 대경부 및 제2 대경부를 축부에 장착 고정함으로써, 제1 대경부 및 제2 대경부와 축부를 상이한 재질의 부재로 형성할 수 있다.
본원 발명 9에 관한 스풀축 지지 구조는, 본원 발명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스풀축 지지 구조에 있어서, 베어링부는, 릴 본체에 고정되는 외륜과, 제1 대경부 및 제2 대경부를 지지하는 내륜과, 외륜과 내륜 사이에 배치된 전동체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 베어링부는, 외륜과 내륜과 전동체를 가지는 볼베어링이므로, 스풀축의 회전 지지를 간소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에 있어서, 스풀축의 제1 대경부 및 제2 대경부의 외주부가 베어링부의 내주부에 지지되어 있고, 제1 대경부 및 제2 대경부는 스풀축의 일부가 축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고,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므로, 스풀축의 외주면과 베어링부의 내주면이 접촉하는 접촉 면적을 감소할 수 있고, 또한 스풀이 고속 회전했을 때 스풀축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채용한 듀얼 베어링 릴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우 프로필(low profile)의 듀얼 베어링 릴로서, 릴 본체(1)와, 릴 본체(1)의 측방에 배치된 스풀 회전용의 핸들(2)과, 핸들(2)의 릴 본체(1) 측에 배치된 드래그 조정용의 스타 드래그(3)를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1)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5)과, 프레임(5)의 양쪽에 장착된 제1 측커버(6) 및 제2 측커버(7)를 가지고 있다. 프레임(5)은,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쌍의 제1 측판(8) 및 제2 측판(9)을 가지고 있다.
프레임(5) 내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에 낚시줄을 권취하는 스풀(4)이 배치되어 있고, 스풀(4)의 내주부에는, 스풀축(16)이 관통하고,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스풀축(16)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도 2의 좌측)이 제1 측판(8)에 배치된 제1 베어링(30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도 2의 우측)이 제2 측판(9)을 관통하여 제2 측커버(7)에 배치된 제2 베어링(30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축(16)의 일단측(도 2의 좌측) 의 제1 단부(16a)는, 제1 측판(8)에 배치된 마찰 플레이트(40)에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타단측(도 2의 우측)의 제2 단부(16b)는, 제2 측커버(7)에 장착되는 캡부재(41)에 배치된 마찰 플레이트(40)와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단부(16a) 및 제2 단부(16b)는, 각각 축방향 외측을 향해 직경이 축소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 부분은 완만하게 둥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풀축(16)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측판(8)으로부터 제2 측판(9)을 관통하고, 제2 측커버(7)까지 봉형(棒形)으로 연장되는 원기둥형의 축부(16c)와, 축부(16c)의 양단 외주부의 일부가 각각 축부(16c)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환형의 제1 대경부(16d) 및 제3 대경부(16j)와, 제1 대경부(16d)와 간격을 두고 제1 대경부(16d)보다 외측에 배치되고, 스풀(4)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측(도 2의 우측)의 축부(16c)의 일단 외주부의 일부가 축부(16c)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환형의 제2 대경부(16e)를 구비하고 있다.
축부(16c)는, 제1 베어링(30a)에 지지되는 직경이 작은 제1 축부(16f)와, 제1 축부(16f)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고, 스풀(4)의 내주부에 고정되는 제2 축부 (16g)와, 제2 축부(16g)와 같은 직경 부분과 또한 소경 부분을 가지고 핸들(2)의 회전이 전달되는 피니언 기어(32)의 내주부에 고정되는 제3 축부(16h)와, 제3 축부(16h)의 소경 부분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제2 베어링(30b에 의해 지지되는 제4 축부(16i)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축부(16f) 및 제4 축부(16i)는, 대략 같은 직경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러므로, 제1 베어링(30a) 및 제2 베어링(30b)의 내경도 대략 같은 직경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축부(16f), 제2 축부(16g), 제3 축부(16h) 및 제4 축부(16i)는, 스테인레스 합금을 절삭 가공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대경부(16d)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4)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측(도 2의 우측)의 스풀축(16)의 일단의 제4 축부(16i) 외주부에 1군데 형성되어 있고, 제3 대경부(16j)는, 타단의 제1 축부(16f) 외주부에 1군데 형성되어 있고, 제2 대경부(16e)는, 스풀(4)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측(도 2의 우측)의 스풀축(16)의 일단의 제4 축부(16i) 외주부에 1군데 형성되어 있고, 제1 대경부(16d), 제2 대경부(16e) 및 제3 대경부(16j) 맞추어 3군데 설치되어 있다.
제1 대경부(16d) 및 제2 대경부(16e)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4)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측의 제4 축부(16i)보다 직경이 크게 일체로 성형된 환형부이다. 제1 대경부(16d)는, 내측(스풀(4)) 측에 배치되고, 제2 대경부(16e)는 제1 대경부(16d)의 외측(제1 측판(8)) 측 또는 제2 측커버(7) 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1 대경부(16d) 및 제2 대경부(16e)는, 스풀(4)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측의 제4 축부(16i)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제1 축부(16f), 제2 축부(16g), 제3 축부(16h) 및 제4 축부(16i)를 절삭 가공할 때 동시에 절삭 가공된다.
제1 대경부(16d) 및 제2 대경부(16e)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축(16)의 축방향 단면이 제2 베어링(30b)의 내주부 측을 향해 대략 직사각형이 되도록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1 대경부(16d) 및 제2 대경부(16e)의 직사각형의 돌출부의 각부는, 스풀축(16)의 축방향 단면이 돌출 방향 을 향해 완만하게 둥근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대경부(16d), 제2 대경부(16e) 및 제3 대경부(16j)는, 동일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즉 3개의 제1 대경부(16d), 제2 대경부(16e) 및 제3 대경부(16j)는, 모두 동일 형상이다.
제1 대경부(16d) 및 제2 대경부(16e)의 외경은,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축부(16g) 및 제3 축부(16h)의 외경과 대략 동일 또는 제2 축부(16g) 및 제3 축부(16h)의 외경 이하로 되어 있다. 여기서는, 제1 대경부(16d) 및 제2 대경부(16e)의 외경은, 제3 축부(16h)와 대략 같은 직경으로 되어 있고, 제1 축부(16f) 및 제4 축부(16i)의 외경의 110% 정도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제1 베어링(30a) 및 제2 베어링(30b)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측판(8) 및 제2 측커버(7)에 고정되는 외륜(30c)과, 제3 대경부(16j) 및 제1 대경부(16d), 제2 대경부(16e)를 지지하는 내륜(30d)과, 외륜(30c)와 내륜(30d) 사이에 배치된 강구(鋼球)(30e)를 가지는 볼베어링이다. 내륜(30d)은, 제1 대경부(16d) 및 제2 대경부(16e)가, 내륜(30d)의 중심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좌우 대칭인 위치에 배치되도록 장착된다. 제1 대경부(16d) 및 제2 대경부(16e)의 축방향 길이는, 각각 내륜(30d)의 축방향 길이의 20% 이하가 되도록 좁은 폭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대경부(16d) 및 제2 대경부(16e)의 축방향의 간격은, 내륜(30d)의 축방향 길이의 50% 이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측커버(7)의 측부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으로 돌출된 통형의 보스부(7a)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보스부(7a)는, 외주부에 형성된 수나사 부(7b)와, 내주부에 형성된 관통공(7c)과, 관통공(7c)의 내주부에 형성되고, 제2 베어링(30b)이 장착되는 장착 오목부(7d)와, 관통공(7c)의 내주부의 축방향 외측으로 장착 오목부(7d)보다 깊은 홈이 되도록 형성된 장착홈부(7e)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보스부(7a)에는, 스풀 4회전시의 저항력을 조절하기 위한 캐스팅 컨트롤 기구(20)의 캡부재(41)가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2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 4회전시의 저항력을 조절하기 위한 기구이며, 스풀축(16)의 양 단부에 접촉하도록 배치된 복수 개의 마찰 플레이트(40)와, 제2 측커버(7)의 보스부(7a)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마찰 플레이트(40)를 스풀축(16)의 양 단부에 압력접촉시킴으로써 마찰력을 조정하는 캡부재(41)와, 캡부재(41)와 제2 베어링(30b) 사이에 가압력을 가지고 보스부(7a)에 장착 고정되고, 제2 베어링(30b)의 보스부(7a)에 대한 이탈 방지 및 캡부재(41)의 회전 규제를 행하기 위한 스프링 부재(42)를 가지고 있다.
이 듀얼 베어링 릴에서는, 스풀축(16)의 제1 대경부(16d) 및 제2 대경부(16e)의 외주부가 제2 베어링(30b)의 내주부에 지지되어 있다. 제1 대경부(16d) 및 제2 대경부(16e)는, 스풀(4)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측의 제4 축부(16i)의 일부가 축부(16c)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고,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2개의 제1 대경부(16d) 및 제2 대경부(16e)를 간격을 두고 배치함으로써, 스풀축(16)의 외주면과 제2 베어링(30b)의 내주면이 접촉하는 접촉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2개의 제1 대경부(16d) 및 제2 대경부(16e)를 형성함으로써, 1개의 대경부를 형성하여 스풀축(16)을 축방향으로 좁은 폭으로 지지하는 경 우에 비하여, 2개의 제1 대경부(16d) 및 제2 대경부(16e)에 의해 스풀축(16)을 축방향으로 광폭으로(제1 대경부의(16d) 내측(도 3의 좌측) 단부로부터 제2 대경부(16e)의 외측(도 3의 우측) 단부까지의 길이의 폭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드래그가 작용할 때 등 스풀축(16)에 강한 부하가 생겼을 때라도, 스풀축(16)이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2개의 제1 대경부(16d) 및 제2 대경부(16e)를 배치함으로써, 스풀축(16)을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으므로, 스풀(4)이 고속 회전했을 때 스풀축(16)의 진동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스풀(4)의 중심으로부터 근접한 측의 제1 축부(16f)에 제1 대경부(16d)만을 형성하고, 스풀(4)이 고속 회전할 때 스풀축(16)이 비교적 진동되기 쉬운 스풀(4)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측의 제4 축부(16i)에 제1 대경부(16d) 및 제2 대경부(16e)를 형성함으로써, 스풀축(16)의 가공 공정을 증가시키지 않고, 스풀축(16)의 진동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스풀(4)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측의 스풀축(16)에 배치된 피니언 기어(32)의 내주부에 스풀축(16)이 진동되어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스풀(4)의 회전 성능을 손상시키지 않게 된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로서, 로우 프로필의 듀얼 베어링 릴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환형의 듀얼 베어링 릴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대경부(16d) 및 제2 대경부(16e)는, 스풀축(16)의 축방향 단면이 제2 베어링(30b)의 내주부 측을 향해 대략 직사각형이 되도록 직 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었지만,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축(16)의 축방향 단면이 제2 베어링(30b)의 내주부 측을 향해 대략 반원 형상으로 되도록 제1 대경부(16d) 및 제2 대경부(16e)를 형성해도 된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대경부(16d) 및 제2 대경부(16e)는, 제4 축부(16i)보다 직경이 크게 일체로 성형되어 있었지만, 제1 대경부(16d) 및 제2 대경부(16e)를 제4 축부(16i)와 별개로 형성해도 된다.
(d) 제1 대경부(16d) 및 제2 대경부(16e)나, 제1 베어링(30a) 및 제2 베어링(30b)의 치수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e)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대경부(16d) 및 제2 대경부(16e)는, 스풀축(16)의 제1 축부(16f) 및 제4 축부(16i) 중 스풀(4)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측의 제4 축부(16i) 외주부에 2군데 형성되어 있었지만,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대경부(16d) 및 제2 대경부(16e)를, 스풀축(16)의 양단의 제1 축부(16f) 및 제4 축부(16i) 외주부에 2군데씩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여기서는, 제1 대경부(16d) 및 제2 대경부(16e)를 맞추어 4군데 형성함으로써, 스풀축(16)의 회전 지지를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듀얼 베어링 릴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듀얼 베어링 릴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지지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스풀 지지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의 도 4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의 도 2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릴 본체
2: 핸들
3: 스타 드래그
4: 스풀
5: 프레임
6: 제1측커버
7: 제2측커버
7a: 보스부
7b: 수나사부
7c: 관통공
7d: 장착 오목부
7e: 장착홈부
8: 제1 측판
9: 제2 측판
16: 스풀축
16a: 제1 단부
16b: 제2 단부
16c: 축부
16d: 제1 대경부
16e: 제2 대경부
16f: 제1 축부
16g: 제2 축부
16h: 제3 축부
16i: 제4 축부
16j: 제3 대경부
30a: 제1 베어링
30b: 제2 베어링
30c: 외륜
30d: 내륜
30e: 강구

Claims (9)

  1. 듀얼 베어링 릴의 와이어 권취용 스풀이 고정되는 스풀축을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축 지지 구조로서,
    적어도 상기 스풀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측의 상기 스풀축의 일부가 축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제1 대경부(大徑部)와,
    상기 제1 대경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적어도 상기 스풀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측의 상기 스풀축의 일부가 상기 축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제2 대경부와,
    상기 릴 본체에 외주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1 대경부 및 상기 제2 대경부가 내주부에 의해 지지되는 1개의 베어링부
    를 포함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축 지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경부 및 상기 제2 대경부는, 상기 스풀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측의 상기 스풀축의 일단(一端) 외주부에만 형성되어 있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축 지지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경부 및 상기 제2 대경부는 상기 스풀축의 양단(兩端) 외주부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축 지지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경부 및 상기 제2 대경부는, 상기 스풀축의 축방향 단면이 상기 베어링의 내주부 측을 향해 대략 반원 형상으로 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축 지지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경부 및 상기 제2 대경부는, 상기 스풀축의 축방향 단면이 상기 베어링의 내주부 측을 향해 대략 직사각형이 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축 지지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경부 및 상기 제2 대경부의 직사각형의 돌출부의 각부(角部)는, 상기 스풀축의 축방향 단면이 완만하게 둥근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축 지지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경부 및 상기 제2 대경부는 상기 축부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축 지지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경부 및 상기 제2 대경부는 상기 축부와 별개로 형성되어 있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축 지지 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릴 본체에 고정되는 외륜과, 상기 제1 대경부 및 상기 제2 대경부를 지지하는 내륜과, 상기 외륜과 상기 내륜 사이에 배치된 전동체를 포함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축 지지 구조.
KR1020090076086A 2008-08-18 2009-08-18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축 지지 구조 KR1015955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09443A JP5205176B2 (ja) 2008-08-18 2008-08-18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軸支持構造
JPJP-P-2008-209443 2008-08-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989A KR20100021989A (ko) 2010-02-26
KR101595532B1 true KR101595532B1 (ko) 2016-02-17

Family

ID=41680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6086A KR101595532B1 (ko) 2008-08-18 2009-08-18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축 지지 구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006957B2 (ko)
JP (1) JP5205176B2 (ko)
KR (1) KR101595532B1 (ko)
CN (1) CN101653109B (ko)
MY (1) MY147221A (ko)
SG (1) SG159449A1 (ko)
TW (1) TWI4651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56740B2 (ja) * 2011-11-08 2016-07-27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リール本体、釣り用リール及び釣り用リールのリール本体製造方法
JP5805516B2 (ja) * 2011-12-21 2015-11-0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517466B2 (ja) * 2012-12-28 2019-05-2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198538B2 (ja) * 2013-09-13 2017-09-2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376739B2 (ja) * 2013-09-30 2018-08-22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のスプールユニット
JP6923313B2 (ja) * 2016-12-09 2021-08-18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JP6979789B2 (ja) * 2017-05-18 2021-12-1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KR102127297B1 (ko) * 2017-08-10 2020-06-26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팜측 제1 사이드커버용 출몰식 락레버를 구비한 낚시 릴
JP7049795B2 (ja) * 2017-09-29 2022-04-07 株式会社シマノ 魚釣用リール
JP7064323B2 (ja) * 2017-12-06 2022-05-10 株式会社シマノ 魚釣用リールの軸受保持構造および魚釣用リール
JP6941558B2 (ja) * 2017-12-27 2021-09-2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941560B2 (ja) * 2017-12-28 2021-09-29 株式会社シマノ 軸受収容構造および両軸受リール
JP7140722B2 (ja) * 2019-07-17 2022-09-21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9164A (ja) 2000-04-17 2001-10-30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軸
JP2004286110A (ja) 2003-03-20 2004-10-14 Nissan Diesel Motor Co Ltd 変速機の入力軸の支持構造
JP2005046119A (ja) 2003-07-31 2005-02-24 Daiwa Seiko Inc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6079A (en) * 1986-05-22 1988-05-24 Newell Carl W Spool for fishing reel
JP2541679Y2 (ja) * 1991-07-02 1997-07-16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軸支構造
JP3585373B2 (ja) * 1997-12-10 2004-11-04 株式会社シマノ 部品組立体
JP4362203B2 (ja) * 2000-04-17 2009-11-11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部品の製造方法
JP3961757B2 (ja) * 2000-09-29 2007-08-22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部品支持構造
US6679634B2 (en) * 2000-12-14 2004-01-20 Ronald L. Plesh, Sr. Low maintenance easily changeable bearing
JP2003319742A (ja) * 2002-05-07 2003-11-11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回転支持構造
JP2004141103A (ja) * 2002-10-25 2004-05-20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
CN2844512Y (zh) * 2005-07-15 2006-12-06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减小压缩机旋转轴与主轴承摩擦的结构
JP5270441B2 (ja) * 2009-04-28 2013-08-2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9164A (ja) 2000-04-17 2001-10-30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軸
JP2004286110A (ja) 2003-03-20 2004-10-14 Nissan Diesel Motor Co Ltd 変速機の入力軸の支持構造
JP2005046119A (ja) 2003-07-31 2005-02-24 Daiwa Seiko Inc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53109A (zh) 2010-02-24
KR20100021989A (ko) 2010-02-26
SG159449A1 (en) 2010-03-30
JP2010041977A (ja) 2010-02-25
MY147221A (en) 2012-11-14
JP5205176B2 (ja) 2013-06-05
US20100038464A1 (en) 2010-02-18
TWI465193B (zh) 2014-12-21
TW201016133A (en) 2010-05-01
US8006957B2 (en) 2011-08-30
CN101653109B (zh) 2013-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5532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축 지지 구조
KR101292699B1 (ko) 듀얼 베어링 릴
US7108214B2 (en) Drag control member attachment structure
JP6376740B2 (ja) 両軸受リール
JP2007189982A (ja) 釣り用リールのギア部品装着構造
US10477851B2 (en) Dual-bearing reel
KR20110006600A (ko) 듀얼 베어링 릴의 사운드 발생 장치
US20160174537A1 (en) Dual-bearing reel
JP2010104322A (ja) 魚釣用リール
CN113115750A (zh) 垂钓用绕线轮
US9642347B2 (en) Line roller
US11582960B2 (en) Dual-bearing reel
CN112005979B (zh) 钓鱼用绕线轮
JP6235446B2 (ja) 魚釣用リール
JP6640552B2 (ja) 両軸受リール
US20200205386A1 (en) Spinning reel
JP7100979B2 (ja) 両軸受リール
JP2023060526A (ja) 両軸受リール
JP2022045271A (ja) 釣り用リールの支持構造
JP2021073873A (ja) 釣り用リールの滑り軸受及びそれを備えたハンドルノブ支持構造
JP2004024120A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軸支持構造
JP2007209217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9118335A5 (ko)
JP2019088250A (ja) 釣り用リールのローラクラッチ
JP2016059284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