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9799B1 - 손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손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9799B1
KR101589799B1 KR1020137004001A KR20137004001A KR101589799B1 KR 101589799 B1 KR101589799 B1 KR 101589799B1 KR 1020137004001 A KR1020137004001 A KR 1020137004001A KR 20137004001 A KR20137004001 A KR 20137004001A KR 101589799 B1 KR101589799 B1 KR 101589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hand
nozzle
drying chamber
de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4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0248A (ko
Inventor
마나부 후카노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40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0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48Drying by means of hot 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상부 및 측부가 개구된 손 건조실을 갖는 상자체(1)와, 공기류를 발생하는 공기류 발생 장치와, 손 건조실에 마련되어 공기류 발생 장치의 공기류를 분출하는 노즐과, 손 건조실에 마련된 제 1의 센서(30b)와, 손 건조실에 마련되어 제 1의 센서(30b)보다 하방이면서 좌우 방향에서 제 1의 센서(30b)보다 외측에 마련된 제 2의 센서(31b)와, 제 1의 센서(30b) 또는 제 2의 센서(31b)의 신호에 의거하여 공기류 발생 장치를 운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손 건조 장치{HAND DRYER}
본 발명은, 세정 후의 젖은 손을 건조시키기 위한 손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손 건조 장치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6-62981호 공보에, 상자체의 정면 및 측면을 개구하여 삽통 자유롭게 마련된 손 삽입부와, 손 삽입부의 상하면부에 각각 마련된 취출 노즐과, 손 삽입부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취출 노즐에 고압 공기를 보내는 고압 공기 발생부와, 손 삽입부에 마련되어 손 삽입부에의 삽입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한 손 건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상세하게는, 그 손 삽입부는 하부 방향에 경사를 갖고서 개략 U자형상을 나타내고, 센서는 손 삽입부의 상하면부의 입구측에 마련된 입구 상하측 센서 및 손 삽입부의 상하면부의 속측에 마련된 속(奧) 상하측 센서로 구성되고, 속 상하측 센서를 연결한 위치까지 손이 삽입되면 손 검출 신호가 제어 회로에 보내져 고압 공기 발생부가 시동하고, 입구 상하측 센서의 손 검출이 없는 때 고압 공기 발생부가 정지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 6-62981호 공보(청구항 1, 단락 「0019」 및 「0022」 내지 「0023」, 도 1)
종래의 손 건조 장치에서는, 사용자는 젖은 손을 상자체의 정면의 개구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손 삽입부 내에 삽입시킨 후, 손을 상방으로 이동시켜서 취출 노즐로부터의 바람을 손에 맞히면서 정면의 개구로부터 손을 인발(引拔)하여 손을 건조시키고 있다. 그러나, 학교 등 아동 전용 이외의 일반적인 화장실 등에 설치되어 있는 손 건조 장치의 설치 높이는, 통상은 어른이 사용하기 쉽도록 어른의 신장에 대강 맞추어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아동 등 신장이 작은 사람이 손 건조 장치를 사용하려고 하여도 정면의 개구의 위치가 너무 높아, 정면의 개구로부터 손 삽입부의 속까지 손을 충분히 삽입할 수가 없었다. 그 때문에 속 상하측 센서에서 손이 검지되지 않기 때문에 고압 공기 발생부가 동작하지 않고, 어른과 마찬가지로 정면의 개구로부터 손을 삽입하여 손 건조 장치를 사용할 수가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신장이 작은 사람이 정면의 개구 대신에 측면의 개구로부터 손을 삽입하여 속 상하 센서에 손을 검지시키려고 하여도, 사용자로부터는 속 상하 센서가 직접 보이지 않기 때문에 손 삽입부의 어디를 겨누어서 삽입하면 좋은지 알 수가 없어서 손 삽입부 내에서 손을 여기저기 움직일 필요가 있고, 또한 속 상하 센서는 측면의 개구로부터도 떨어진 손 삽입부의 속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의식하여 손 삽입부의 속까지 삽입하지 않으면 손이 검지되지 않는 등, 단지 손을 삽입한 것만으로는 속 상하 센서로 손이 검지될 가능성이 매우 낮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속 상하 센서는 취출 노즐로부터 크게 떨어진 손 삽입부의 하방의 속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노즐로부터의 고속 공기를 손에 맞혀서 손을 건조시키기 위해서는, 가령 속 상하 센서에서 손이 검지되었다고 하여도 속 상하 센서로부터 노즐까지의 이동 거리가 크고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속 상하 센서를 찾기 위해 손 삽입부 내에서 손을 여기저기 움직이고 있는 중에 손 삽입부의 내벽면에 접촉하여 버려서, 모처럼 씻은 손이 더러워져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어른이나 아동 등 사용자의 신장에 대소가 있어도 사용하기에 편리한 손 건조 장치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손 건조 장치에서는, 상부 및 측부가 개구된 손 건조실을 갖는 상자체와, 상자체에 마련되어 공기류를 발생하는 공기류 발생 장치와, 손 건조실의 내벽면에 마련되어 공기류 발생 장치에서 발생한 공기류를 손 건조실에 분출하는 노즐과, 손 건조실의 내벽면에 마련된 제 1의 센서와, 손 건조실의 내벽면에 마련되어 제 1의 센서보다 하방이면서 좌우 방향에서 제 1의 센서보다 외측에 마련된 제 2의 센서와, 제 1의 센서 또는 제 2의 센서의 신호에 의거하여 손의 유무를 검지하고 공기류 발생 장치를 운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손 건조실의 측부의 개구로부터 손을 삽입하면 제 2의 센서에 의해 손이 용이하게 검지되고, 어른이나 아동 등 사용자의 신장에 대소가 있어도 사용하기에 편리한 손 건조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나타내는 손 건조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나타내는 손 건조 장치의 우측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나타내는 손 건조 장치에서, 도 2 중의 화살로 보는 A로부터의 손 건조실의 내벽면의 센서 및 노즐의 배치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나타내는 손 건조 장치에서, 도 2 중의 화살로 보는 B로부터의 손 삽입부의 내벽면의 센서 및 노즐의 배치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나타내는 손 건조 장치의 고압 공기류 발생 장치의 시동까지의 플로 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나타내는 손 건조 장치에서, 어른 등 아동보다 신장이 큰 사람이 상개구부로부터 손을 삽입한 때의 손 건조실을 정면에서 투시한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나타내는 손 건조 장치에서, 아동 등 어른보다 신장이 작은 사람이 측개구부로부터 손을 삽입한 때의 손 건조실을 정면에서 투시한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나타내는 손 건조 장치에서, 어른 등 아동보다 신장이 큰 사람이 측개구부로부터 손을 삽입한 때의 손 건조실을 정면에서 투시한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나타내는 손 건조 장치의 우측면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나타내는 손 건조 장치에서, 도 9중의 화살로 보는 C로부터의 손 건조실의 내벽면의 센서 및 노즐의 배치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나타내는 손 건조 장치에서, 도 9중의 화살로 보는 D로부터의 손 건조실의 내벽면의 센서 및 노즐의 배치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나타내는 손 건조 장치의 고압 공기류 발생 장치의 시동까지의 플로 차트.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나타내는 손 건조 장치에서, 어른 등 아동보다 신장이 큰 사람이 상개구부로부터 손을 삽입한 때의 손 건조실을 정면에서 투시한 설명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나타내는 손 건조 장치에서, 아동 등 어른보다 신장이 작은 사람이 측개구부로부터 손을 삽입한 때의 손 건조실을 정면에서 투시한 설명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나타내는 손 건조 장치의 고압 공기류 발생 장치의 시동까지의 플로 차트.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나타내는 손 건조 장치의 고압 공기류 발생 장치의 시동까지의 플로 차트.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나타내는 손 건조 장치의 우측면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나타내는 손 건조 장치에서, 도 17중의 화살로 보는 E로부터의 손 건조실의 내벽면의 센서 및 노즐의 배치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나타내는 손 건조 장치에서, 도 17중의 화살로 보는 F로부터의 손 건조실의 내벽면의 센서 및 노즐의 배치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부터 실시의 형태 5의 어느 하나에 나타내는 손 건조 장치의 다른 실시례를 도시하는 설명도.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나타내는 손 건조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손 건조 장치의 우측면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상자체(1)는 손 건조 장치의 외곽을 이루고, 상자체(1)에는 상부 및 측부가 개구하여 손을 자유롭게 삽발(揷拔)할 수 있고, 측면에서 보아 하방에 배면 방향에 경사를 갖고서 거의 U자형상의 공간의 손 건조실(2)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자체(1)에는 공기류를 발생시키는 공기류 발생 장치(3) 및 공기류 발생 장치(3)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4)이 마련되어, 손 건조실(2)에 마련된 제 1의 센서(수광측)(30b) 또는 제 2의 센서(수광측)(31b)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거하여 제어 수단(4)이 공기류 발생 장치(3)를 시동시키고, 발생시킨 공기류를 손 건조실(2)의 내벽면에 마련된 노즐(5)로부터 손 건조실(2)내로 분출시키고 있다. 손 건조실(2)의 저면에는 손 건조실(2) 내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구(6)가 마련되고, 배수구(6)에는 파이프형상의 배수로(7)의 일단이 부착되고, 배수로(7)의 타단(도시 생략)의 하방에는 배수로(7)를 통과하여 배수된 물을 모아 두는 탱크(8)가 착탈 자유롭게 상자체(1)에 부착되어 있다.
손 건조실(2)의 상부의 개구의 입가(口元)인 상개구부(2a)와 측부의 개구의 입가인 측개구부(2b)는 이어져 있고,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상개구부(2a)와 측개구부(2b)의 개구가 합쳐서 하나의 개구로서 간주되어, 사용자는 상개구부(2a)와 측개구부(2b)의 어디로부터도 손을 자유롭게 삽발할 수 있다. 또한, 손 건조실(2)의 상부가 개구하여 있는 형상에 관해서는, 상자체(1)의 윗면에 개구가 있어도, 상자체(1)의 정면에 개구가 있어도 좋다. 손 건조실(2)에는, 손 건조실(2)의 정면측의 내벽면을 구성하는 정면측 벽면(2c)과, 정면측 벽면(2c)에 대향하여 손 건조실(2)의 배면측의 내벽면을 구성하는 배면측 벽면(2d)이 있고, 항균제를 함침시킨 수지로 만들어져 있음과 함께, 그 표면에는 실리콘계 또는 불소계 등의 발수성 코팅이 시행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정면측 벽면(2c) 및 배면측 벽면(2d)이 오물 부착을 저감함과 함께,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고 있다.
상자체(1)의 정면에서 보아 좌우 방향에 대강 직선형상으로 늘어난 노즐(5)이, 손 건조실(2)의 상하 방향 중앙보다 상방에서, 가능한 한 상개구부(2a)의 가까이의 정면측 벽면(2c) 및 배면측 벽면(2d)에 각각 마련되어, 손 건조실(2)의 속측(奧側)을 향하여 공기를 분출하는 분출 각도로 되어 있다. 손 건조실(2)의 상하 방향 중앙보다 상방에서, 가능한 한 상개구부(2a)의 가까이에 노즐(5)을 마련함에 의해, 손 건조실(2)에서 노즐(5)로부터 하방의 범위는 손을 수용하는데 필요한 길이를 확보함과 함께, 손 건조실(2)에서 노즐(5)로부터 상방의 길이는 가능한 한 짧게 하여, 손 건조실(2)의 상하 방향 전체의 길이를 컴팩트하게 하여 가능한 한 손 건조 장치의 상하 방향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있다.
상자체(1)에는, 손 건조실(2)의 하방에 날개와 모터로 구성된 고압 블로어 등의 고압의 공기류를 발생시키는 공기류 발생 장치(3)가 마련되고, 공기류 발생 장치(3)는 배기 챔버(9) 내에 수용되어 있다. 배기 챔버(9)의 배기구(9a)에는 손 건조실(2)을 끼우고 정면측과 배면측에 각각 마련된 배기 덕트(10)가 접속되고, 배기 덕트(10)는 정면측 벽면(2c) 및 배면측 벽면(2d)에 마련된 노즐(5)과 연통하고 있다. 또한, 공기류 발생 장치(3)의 흡기구(도시 생략)는, 흡기 덕트(11)의 한쪽에 접속되고, 흡기 덕트(11)의 다른쪽은 상자체(1)의 저부에 하방으로 개구하여 흡기구(11a)를 형성하고 있다. 흡기구(11a)에는 공기를 청정(淸淨)하기 위한 필터(12)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흡기구(11a)로부터 흡기 덕트(11)를 통과하고, 공기류 발생 장치(3)를 통하고 배기 챔버(9)를 통과하고, 배기 덕트(10)를 통과하여 노즐(5)까지가 연통한 풍로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나타내는 손 건조 장치에서, 도 2 중의 화살로 보는 A로부터의 손 건조실의 내벽면의 센서 및 노즐의 배치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나타내는 손 건조 장치에서, 도 2 중의 화살로 보는 B로부터의 손 삽입부의 내벽면의 센서 및 노즐의 배치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면측 벽면(2c)에는, 손 건조실(2)의 상하 방향 중앙보다 상방에서 가능한 한 노즐(5)의 부근이면 노즐(5)보다 상개구부(2a)측의 위치에, 손의 유무를 검지하기 위한 제 1의 센서(30)의 발광측 소자인 제 1의 센서(발광측)(30a)가, 좌우 방향에 간격을 띄우고 노즐(5)의 좌우 방향의 양단보다도 중앙측에 위치하도록 3곳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정면측 벽면(2c)에는, 제 1의 센서(발광측)(30a) 및 노즐(5)보다 하방이며, 또한 좌우 방향에서 노즐(5)보다 외측의 위치에, 상하 방향에 간격을 두고 제 2의 센서(31)의 발광측 소자인 제 2의 센서(발광측)(31a)가 2개소씩 좌우 대칭으로 마련되어 있다. 또한 노즐(5)과 제 2의 센서(발광측)(31a)와 손 건조실(2)의 저면과의 상하 방향의 위치 관계로서는, 노즐(5)과 손 건조실(2)의 저면과의 사이의 상하 방향의 거리(L1)에 대해, 노즐(5)과 제 2의 센서(발광측)(31a)와의 상하 방향의 거리(L2)가, L2≒1/2×L1부터 L2>1/2×L1의 범위가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지만 제 2의 센서(발광측)(31a)를 좌우 1개씩 마련하는 경우에는, L2≒1/2×L1의 위치에 마련하면 좋다. 또한, 제 1의 센서(30) 및 제 2의 센서(31)의 각각의 소자수는 상술한 개수로 한정되는 일은 없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면측 벽면(2d)에도, 정면측 벽면(2c)과 같은 배치로, 제 1의 센서(30)의 수광측 소자인 제 1의 센서(수광측)(30b) 및 제 2의 센서(31)의 수광측 소자인 제 2의 센서(수광측)(31b)가 마련되어, 제 1의 센서(발광측)(30a) 및 제 2의 센서(발광측)(31a)와 각각 대향하고 있다. 제 1의 센서(발광측)(30a) 및 제 2의 센서(발광측)(31a)로부터 각각 발광 타이밍을 어긋내어 적외선이 발광되고, 제 1의 센서(수광측)(30b) 및 제 2의 센서(수광측)(31b)에서는 각각의 적외선을 수광하고 있다. 제 1의 센서(발광측)(30a)와 제 1의 센서(수광측)(30b)의 사이, 또는 제 2의 센서(발광측)(31a)와 제 2의 센서(수광측)(31b)의 사이에 손등의 건조 대상물이 있으면 발광된 적외선이 차단되기 때문에, 제 1의 센서(수광측)(30b) 또는 제 2의 센서(수광측)(31b)에서의 수광량이 변하고, 수광량에 응하여 신호가 출력된다. 제 1의 센서(수광측)(30b) 또는 제 2의 센서(수광측)(31b)로부터 출력된 출력 신호는 제어 수단(4)에 입력되고, 제어 수단(4)에서는 입력된 신호 레벨과 소정의 임계치를 비교하여 건조 대상물의 유무를 판단하고 있다.
다음에, 손 건조 장치가 동작한 때의 공기의 흐름에 관해 설명한다. 손 건조실(2)에 건조 대상물인 젖은 손이 삽입되면, 제 1의 센서(30) 또는 제 2의 센서(31)의 출력 신호에 의해 제어 수단(4)이 손등의 건조 대상물이 있는 것을 판단하여 공기류 발생 장치(3)를 시동시킨다. 흡기구(11a)로부터는 필터(12)에서 청정된 손 건조 장치의 밖의 공기가 흡입되고, 흡기 덕트(11)를 통과하여 공기류 발생 장치(3)의 흡입구(도시 생략)로부터 흡입된다. 흡입된 공기는 공기류 발생 장치(3)에서 고압화 되어 배기 챔버(9) 내에 배기되고, 배기 덕트(10)를 통과하여 각각의 노즐(5)에서 고속 공기로 변환되어 손 건조실(2)에 분출된다. 각각의 노즐(5)은 직선형상으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노즐(5)로부터 분출되는 고속 공기는 에어 커튼형상으로 분출되어, 손 건조실(2) 내에 삽입되어 있는 젖은 손바닥 및 등의 양면에 선형상으로 맞아서, 손의 표면에 부착하고 있는 물을 불어튀긴다.
그리고, 삽입되어 있는 손이 상개구부(2a)로부터 손 건조실(2)의 밖으로 인발됨으로써, 에어 커튼형상의 고속 공기가 손의 손목 부근부터 손끝을 향하여 물을 불어날리면서 이동하고, 손 전체에 부착하고 있는 물을 불려 날려서 손이 건조시켜진다. 손 건조실(2)로부터 손이 빠지면, 제 1의 센서(30) 및 제 2의 센서(31)의 출력 신호에 의해 제어 수단(4)이, 손이 없다고 판단하여 공기류 발생 장치(3)를 정지시킨다. 손 건조실(2)에 삽입된 젖은 손으로부터 불어날려진 물은 손 건조실(2)에 날려지고, 정면측 벽면(2c) 및 배면측 벽면(2d)에 닿아서 흘러내려, 손 건조실(2)의 저면에 마련된 배수구(6)로부터 배수로(7)를 통과하여 탱크(8)에 저장된다.
다음에, 제 1의 센서(30) 또는 제 2의 센서(31)의 신호에 의거하여 공기류 발생 장치(3)를 운전 제어시키는 제어 수단(4)의 제어 내용에 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나타내는 손 건조 장치의 공기류 발생 장치(3)의 시동까지의 플로 차트이다. 도 5에서, S1 내지 S11은 플로의 각 스텝을 나타낸다. 손 건조 장치의 전원(도시 생략)이 ON 되면 제어 수단(4)에 전기가 공급되고, 제 1의 센서(30) 및 제 2의 센서(31)가 동작하여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는 것을 기다리고 있는 대기 상태의 S1이 된다. S1에서는 제 2의 센서(31)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레벨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임계치 미만이면 S2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S6로 진행한다. S6에서는 제 1의 센서(30)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레벨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임계치 미만이면 S7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S1으로 되돌아온다.
S2에서는 내장한 타이머(도시 생략)를 리셋시키고, 그 후 S3로 진행한다. S3에서는 S2에서 리셋한 타이머(도시 생략)를 스타트시키고, 그 후 S4로 진행한다. S4에서는 S3에서 스타트시킨 타이머(도시 생략)가 소정 시간(t2)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t2=0.5초로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타이머(도시 생략)가 0.5초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0.5초 경과하고 있으면 S5로 진행하고, 0.5초 경과하지 않았으면 S4로 되돌아온다. S7에서는 내장한 타이머(도시 생략)를 리셋시키고, 그 후 S8으로 진행한다. S8에서는 S7에서 리셋한 타이머(도시 생략)를 스타트시키고, 그 후 S9으로 진행한다. S9에서는 S8에서 스타트시킨 타이머(도시 생략)가 소정 시간(t1)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t1=1.0초로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타이머(도시 생략)가 1.0초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1.0초 경과하고 있으면 S5로 진행하고, 1.0초 경과하지 않았으면 S9으로 되돌아온다.
S5에서는 제 2의 센서(31)의 출력 신호의 레벨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손 임계치 미만이면 S11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S10으로 진행한다. S10에서는 제 1의 센서(30)의 출력 신호의 레벨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임계치 미만이면 S11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S1으로 되돌아온다. S11에서는 공기류 발생 장치(3)를 시동시킨다.
또한, 일단, 공기류 발생 장치(3)를 시동시키면, 제 1의 센서(30) 또는 제 2의 센서(31)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서도 출력 신호의 레벨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면 공기류 발생 장치(3)의 운전을 계속시키고, 제 1의 센서(30) 및 제 2의 센서(31)의 어느 것도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 아닌 경우에 공기류 발생 장치(3)를 정지시킨다.
다음에 구체적으로 젖은 손이 삽입된 경우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나타내는 손 건조 장치에서, 어른 등 아동보다 신장이 큰 사람이 상개구부(2a)로부터 손을 삽입한 때의 손 건조실(2)을 정면에서 투시한 설명도이다. 사용자가 손세정 후에 손 건조 장치의 정면에 서사, 손바닥을 편 상태에서 양손을 상개구부(2a)로부터 손 건조실(2)내에 하방향으로 삽입하기 시작하면, 손끝 부근에 의해 제 1의 센서(30)가 차단되기 때문에 제 1의 센서(30)의 출력 신호의 레벨이 내려가 S6부터 S8으로 진행하고 S9까지 진행한다. S9에서 시간을 1.0초 경과시키고 있기 때문에, 그 사이에 하방으로 계속 삽입된 양손은, 젖어 있는 손끝부터 손목까지가 손 건조실(2)내에 충분히 들어간 상태로 되어 있고, 팔 부근에 의해 제 1의 센서(30)가 차단된 제 1의 센서(30)의 출력 신호는 내려간 채로 S10부터 S11으로 진행하여, 공기류 발생 장치(3)가 시동하고 노즐(5)로부터 고속 공기는 분출된다.
노즐(5)로부터 고속 공기가 분출되면 사용자는 손바닥을 편 채로 양손을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이동에 의해 손목 부근의 손바닥과 손등에 고속 공기가 닿기 시작하고, 상개구부(2a)로부터 양손을 인발함으로써, 손목부터 손끝까지 손 전체에 부착하고 있는 물이 불려 날려서 손이 건조된다. 상개구부(2a)로부터 양손이 완전히 인발되면, 제 1의 센서(30) 및 제 2의 센서(31)의 어느쪽도 손으로 차단되지 않기 때문에 어느쪽의 출력 신호의 레벨도 임계치 미만이 아니며, 공기류 발생 장치(3)가 정지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나타내는 손 건조 장치에서, 아동 등 어른보다 신장이 작은 사람이 측개구부(2b)로부터 손을 삽입한 때의 손 건조실(2)을 정면에서 투시한 설명도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세정 후, 손 건조 장치의 정면에 서서, 양팔을 대충 수평으로 하여 손바닥을 편 상태에서 양손을 측개구부(2b)로부터 손 건조실(2)내에 좌우 방향으로 삽입하기 시작하면, 손끝 부근에 의해 제 2의 센서(31)가 차단되기 때문에 제 2의 센서(31)의 출력 신호의 레벨이 내려가 S1부터 S2로 진행하고 S4까지 진행한다. S4에서 시간을 0.5초 경과시키고 있기 때문에, 그 사이에 계속 삽입된 양손은, 젖어 있는 손끝부터 손목까지가 손 건조실(2)내에 충분히 들어간 상태로 되어 있고, 팔 부근에 의해 제 2의 센서(31)가 차단된 제 2의 센서(31)의 출력 신호는 내려간 채로 S5부터 S11으로 진행하고, 공기류 발생 장치(3)가 시동하고 노즐(5)로부터 고속 공기는 분출된다.
고속 공기가 분출되면, 사용자는 상개구부(2a)로부터 밖으로 인발하여 손 전체를 건조시킨다. 또한, 특히 신장의 작은 사람에게서는, 측개구부(2b)로부터 양손을 삽입 후, 팔 전체를 그대로 하고 손바닥과 손등만을 상방으로 이동시켜서 양팔을 팔(八)의 문자와 같이 하여, 건조 후에 측개구부(2b)로부터 인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나타내는 손 건조 장치에서, 어른 등 아동보다 신장이 큰 사람의 다른 사용 방법을 도시하고, 측개구부(2b)로부터 손을 삽입할 때의 손 건조실(2)을 정면에서 투시한 설명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양팔을 하방향으로 뻗고 손바닥을 편 상태에서, 좌우의 측개구부(2b)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손을 손 건조실(2)내에 삽입하기 시작하면, 손바닥 및 손등의 측단 부근에 의해 제 2의 센서(31)가 차단되기 때문에 제 2의 센서(31)의 출력 신호의 레벨이 내려가 S1부터 S2로 진행하고 S4까지 진행한다. S4에서 시간을 0.5초 경과시키고 있기 때문에, 그 사이에 계속 삽입된 양손은, 젖어 있는 손끝부터 손목까지가 손 건조실(2)내에 충분히 들어간 상태로 되어 있고, 팔 부근에 의해 제 1의 센서(30)가 차단된 제 1의 센서(30)의 출력 신호는 내려가 있기 때문에 S10부터 S11으로 진행하고, 공기류 발생 장치(3)가 시동하고 노즐(5)로부터 고속 공기는 분출되고, 사용자는 상개구부(2a)로부터 밖으로 인발하여 손 전체를 건조시킨다.
이상의 구성의 손 건조 장치에 의하면, 제 1의 센서(30)와 제 1의 센서(30)보다 하방이며, 또한 좌우 방향에서 제 1의 센서(30)보다 외측에 제 2의 센서(31)를 마련하였기 때문에, 어른의 신장에 대강 맞춘 높이에 손 건조 장치가 설치되어 있어도, 어른 등 아동보다 신장이 큰 사람은 상개구부(2a)로부터 손을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음과 함께, 제 1의 센서(30)가 제 2의 센서(31)보다 상방에 있고 상개구부(2a)에 가깝기 때문에, 제 1의 센서(30)를 시인(視認)할 수가 있어서 제 1의 센서(30)를 겨누어서 손을 삽입하여 확실하게 센서를 손으로 차단하여 검지시킬 수가 있어서, 사용하기 편리하다.
또한, 상개구부(2a)가 너무 높기 때문에 상개구부(2a)로부터 손을 손 건조실(2)의 속까지 삽입할 수가 없는 아동 등 어른에 비교하여 신장이 작은 사람이라도,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개구부(2b)로부터 손을 삽입하면, 좌우 방향에서 제 1의 센서(30)보다 외측에 제 2의 센서(31)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측개구부(2b)의 가까이에 제 2의 센서(31)가 있고, 사용자가 측개구부(2b)로부터 제 2의 센서(31)를 시인하기 쉬워서 제 2의 센서(31)를 겨누어서 손을 삽입하여 센서를 손으로 차단하여 검지시키기 쉽다. 또한 보이지 않는 센서를 찾아서 손 건조실(2)의 속에서 손을 여기저기 움직일 필요도 없어지고, 잘못하여 손 건조실(2)의 내벽면에 접촉하여 버려 모처럼 씻은 손이 더러워져 버리는 일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측개구부(2b)의 가까이에는 제 2의 센서(31)가 있기 때문에, 의식하여 손 건조실(2)의 속까지 삽입하지 않아도, 보통으로 손을 삽입하면 제 2의 센서(31)에 의해 손이 검지되기 쉬워, 사용하기 편리하다. 또한, 측개구부(2b)로부터 손을 삽입하는 경우, 측개구부(2b)로부터 삽입된 손은, 특별하게 의식하지 않고서 삽입되면 측개구부(2b)의 상하 방향 중앙 부근부터 삽입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제 1의 센서(30)보다 제 2의 센서(31)의 쪽이 하방에 마련되어 측개구부(2b)의 상하 방향 중앙에 가깝기 때문에, 제 2의 센서(31)에 의해 측개구부(2b)로부터 삽입되는 손이 검지되기 쉬워, 사용하기 편리하다.
또한 손 건조 장치의 사용의 초보자가 손 건조실(2)중의 손이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공기류 발생 장치(3)의 시동을 기다리는 경우에는, 언제 시동하는지 라는 불안이 있고 시동한 때에 놀라서 손을 인발하여 버리는 일도 있지만, 측개구부(2b)로부터 손 건조실(2)의 속까지 손을 넣지 않아도, 측개구부(2b)의 가까이의 제 2의 센서(31)의 위치까지 손을 넣어서 공기류 발생 장치(3)가 시동할 때까지 기다리고 나서 측개구부(2b)로부터 손 건조실(2)내에 손을 삽입할 수도 있어서, 초보자라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의 센서(30)는 제 2의 센서(31)보다도 노즐(5)에 가까운 위치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어른 등 아동보다 신장이 큰 사람이 상개구부(2a)로부터 손을 삽입하여 건조시키는 경우에, 노즐(5)의 가까이에 손이 있을 때는 제 1의 센서(30)에 의해 손을 검지하고 공기류 발생 장치(3)의 운전을 계속시켜서 손을 건조시킬 수 있음과 함께, 노즐(5)의 가까이에 손이 없어진 경우에는 제 1의 센서(30)에 의해 공기류 발생 장치(3)를 곧바로 정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노즐(5)의 가까이에 손이 있는데도 공기류 발생 장치(3)를 정지시켜 버리는 일도 없고, 또한 이미 노즐(5)의 가까이에 손이 없어졌는데도 공기류 발생 장치(3)가 동작하여 있는것 같은 불필요한 운전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동 등 신장이 작은 사람이 측개구부(2b)로부터 손을 삽입한 경우에도, 노즐(5)로부터의 고속 공기를 손에 맞혀 건조시키고 있을 때 팔도 상방으로 이동하여 있어서 제 2의 센서(31)가 팔을 검지하지 않으면 마찬가지 효과가 있다.
또한, 제 2의 센서(31)는 노즐(5)보다 하방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아동 등 신장이 작은 사람이 측개구부(2b)로부터 손을 삽입시켜서 손을 건조시키는 경우, 젖은 손이 반드시 노즐(5)보다 하방이 되기 때문에, 노즐(5)로부터 분출되는 고속 공기보다 상방의 외측에 젖은 손(손목부터 손끝까지의 범위)이 비어져 나오지 않거나, 또는 비어져 나오는 량이 저감되기 때문에, 노즐(5)로부터 분출되는 고속 공기보다 상방으로 비어져 나온 젖은 손의 물이 고속 공기에 의해 손 건조실(2)의 밖으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 또는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 2의 센서(31)는 좌우 방향에서 노즐(5)보다 외측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아동 등 신장이 작은 사람이 측개구부(2b)로부터 손을 삽입하여 사용하는 경우, 손끝 부근을 제 2의 센서(31)의 위치까지 삽입하여 공기류 발생 장치(3)를 시동시키면 노즐(5)로부터의 고속 공기가 손에 맞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손 건조 장치의 사용의 초보자라도 노즐(5)로부터의 고속 공기가 손에 맞지 않는 위치에서 확실하게 공기류 발생 장치(3)를 시동시키고 나서 손 건조실(2)내에 손을 삽입할 수도 있어서, 손 건조실(2)중의 손이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갑자기 고속 공기가 손에 맞아 놀라 버리는 일도 없이, 안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인간의 손바닥의 크기는, 손목부터 손끝까지의 길이에 대해, 그 직각 방향인 손의 폭은 대강 1/2배의 길이이다. 노즐(5)과 손 건조실(2)의 저면과의 상하 방향의 거리(L1)는 표준적인 어른의 손목부터 손끝까지 수용할 수 있는 길이가 불가결하지만, 필요 이상으로 크게 하는 것은 손 건조 장치의 사이즈가 커져서 설치성이 저하되어 버리기 때문에, 거리(L1)는 표준적인 어른의 손의 손목부터 손끝까지의 치수에 대강 맞추어져 있다. 제 2의 센서(31)는, 노즐(5)과 손 건조실(2)의 저면과중간 위치에서 하방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노즐(5)과 제 2의 센서(31)와의 거리(L2)는 손의 폭 이상이 되고, 도 7과 같은 사용 방법으로 표준적인 어른의 손이 팔을 대강 수평으로 한 상태에서 측개구부(2b)로부터 삽입되어도 제 2의 센서(31)로 손이 검지된 채로 노즐(5)로부터의 고속 공기가 직접 손에 맞는 일이 없고, 더구나 팔을 수평 방향으로 하여 측개구부(2b)로부터 삽입하는 것은 사용상에 있어서도 대부분 아동 등 신장이 작은 사람이고, 손의 폭도 작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그 때문에, 도 7과 같은 사용 방법으로 어른이나 아동 등의 손이 천천히 삽입된 경우나 도중에 일단 멈추어진 경우 등, 삽입 스피드 등의 영향에 의해 타이머가 t2=0.5초 이상 경과하여 삽입 도중에 노즐(5)로부터 고속 공기가 분출되어 버려도, 노즐(5)로부터의 고속 공기가 직접 손에 맞지 않고, 노즐(5)의 고속 공기보다 상방의 외측에 젖은 손이 비어져 나와 있지 않기 때문에, 삽입 도중에 손의 물이 손 건조 장치의 밖으로 비산하여 버리는 일이 없다. 또한, 노즐(5)에 가장 가까운 제 2의 센서(31)에서는 L2≒1/2L1이기 때문에, 제 2의 센서(31)가 필요 이상으로 노즐(5)로부터 하방으로 떨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측개구부(2b)로부터 손을 삽입하여 공기류 발생 장치(3)가 시동한 후, 건조시키기 위해 노즐(5)의 위치까지 손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거리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고, 사용하기도 편리하다.
또한, 제 1의 센서(30) 또는 제 2의 센서(31)에 의해 손을 검지한 경우, 소정 시간이 경과하고 나서 공기류 발생 장치(3)를 시동시키기 때문에, 상개구부(2a)나 측개구부(2b)로부터 다양한 각도로 손이 삽입되어 제 1의 센서(30) 또는 제 2의 센서(31)에서 손이 검지되어도, 그대로 보통으로 손이 계속 삽입되는 도중에서 정지되지 않는 한, 통상 젖어 있는 부분인 손목부터 손끝까지의 범위가 손 건조실(2)내에 충분히 들어가고 나서 노즐(5)로부터 고속 공기가 분출된다. 그 때문에, 노즐(5)로부터의 고속 공기보다 상방의 외측에 젖어 있는 부분(손목부터 손끝까지의 범위)가 비어져 나오지 않기 때문에, 젖은 손으로부터 손 건조실(2)의 밖으로 물방울이 날려서 사용자의 얼굴 등에 비산하는 일이 없다. 또한, 삽입 스피드가 매우 느린 사람에서 완전히 손목까지 들어가지 않아도, 소정 시간 경과 후에는 손의 대부분은 손 건조실 내에 들어가 있기 때문에, 비산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의 센서(30)에 의해 손을 검지하고 나서 공기류 발생 장치(3)를 시동시키기 까지의 소정 시간(t1)보다, 제 2의 센서(31)에 의해 손을 검지하고 나서 공기류 발생 장치(3)를 시동시키기 까지의 소정 시간(t2)의 쪽이 짧고 반분 정도의 시간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어른 등 아동보다 신장이 있는 사람이 도 6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개구부(2a) 또는 측개구부(2b)로부터 손을 삽입하여 사용한 때, 상개구부(2a) 또는 측개구부(2b)로부터 손 건조실(2)내에 충분히 손이 들어가기 까지 필요한 삽입 방향의 이동 거리(손끝부터 손목까지의 길이 또는 손의 폭의 길이)의 비가 t2와 t1의 비에 맞추어져 있어서, 상개구부(2a) 또는 측개구부(2b)의 어느쪽에서 삽입되어도, 손 건조실(2)내에 충분히 손이 들어가고 나서 공기류 발생 장치(3)를 시동시킬 수 있음과 함께, 손 건조실(2)내에 손이 들어가고 나서 공기류 발생 장치(3)가 시동하기 까지의 대기 시간도 길어지지 않아 사용하기 편리하다. 또한, 아동 등 어른보다 신장이 작은 사람이 도 7과 같이 측개구부(2b)로부터 손을 삽입하여 사용한 경우, 필요한 삽입 거리는 손끝부터 손목까지의 길이가 필요하지만, 신장이 작은 사람은 손도 작게 어른의 손의 폭과 동일한 정도이므로, 아동 등 어른보다 신장이 작은 사람에게도 충분히 손목까지 들어가고 나서 시동시킬 수 있음과 함께 시동하기까지의 대기 시간이 길지 않아 사용하기 편리하다.
또한, 제 1의 센서(30) 또는 제 2의 센서(31)에 의해 손을 검지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때에, 제 1의 센서(30) 또는 제 2의 센서(31)에 의해 손을 검지하고 있는 경우, 공기류 발생 장치(3)를 시동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제 1의 센서(30) 또는 제 2의 센서(31)에 의해 손을 검지한 후에 손 건조실(2)로부터 곧바로 손이 빠져 버려도 공기류 발생 장치(3)를 시동시키는 일이 없고, 확실하게 손 건조실(2)내에 손이 있는 경우에 공기류 발생 장치(3)를 시동시킬 수 있고, 불필요한 운전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2.
도 9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손 건조 장치의 우측면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나타내는 손 건조 장치에서, 도 9중의 화살로 보는 C로부터의 손 건조실의 내벽면의 센서 및 노즐의 배치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나타내는 손 건조 장치에서, 도 9중의 화살로 보는 D로부터의 손 건조실의 내벽면의 센서 및 노즐의 배치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또한 정면측 벽면(2c)에는, 제 3의 센서(32)의 발광측 소자인 제 3의 센서(발광측)(32a)가, 좌우 방향에서 노즐(5)의 좌우 방향의 양단 및 제 2의 센서(발광측)(31a)보다도 중앙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좌우 방향에 간격을 띠우고 3개소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노즐(5)과 제 2의 센서(발광측)(31a)와 제 3의 센서(발광측)(32a)와의 상하 방향의 위치 관계로서는, 노즐(5)과 제 3의 센서(발광측)(32a)와의 사이의 상하 방향의 거리(L3)에 대해, 노즐(5)과 제 2의 센서(발광측)(31a)와의 상하 방향의 거리(L4)가, L4≒1/2×L3부터 L4>1/2×L3의 범위가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지만 제 2의 센서(발광측)(31a)를 좌우 1개씩 마련하는 경우에는, L4≒1/2×L3의 위치에 마련하면 좋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면측 벽면(2d)에도 정면측 벽면(2c)과 같은 배치로, 제 3의 센서(32)의 수광측 소자인 제 3의 센서(수광측)(32b)가 마련되어, 각각 제 3의 센서(발광측)(32a)와 대향하고 있다. 제 3의 센서(발광측)(32a)는 제 1의 센서(발광측)(30a) 및 제 2의 센서(발광측)(31a)와 발광 타이밍을 어긋내어 적외선을 발광하고, 제 3의 센서(수광측)(32b)에서 수광하고, 제 1의 센서(30) 및 제 2의 센서(31)와 마찬가지로 제 3의 센서(수광측)(32b)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신호가 제어 수단(4)에 입력되고, 제어 수단(4)에서는 입력된 신호 레벨과 소정의 임계치를 비교하여 건조 대상물의 유무를 판단하고 있다. 또한, 제 1의 센서(30) 및 제 2의 센서(31) 및 제 3의 센서(32)의 각각의 소자수는 상술한 개수로 한정되는 일은 없다.
다음에, 제 1의 센서(30) 또는 제 2의 센서(31) 또는 제 3의 센서(32)의 신호에 의거하여 공기류 발생 장치(3)를 운전 제어시키는 제어 수단(4)의 제어 내용에 관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나타내는 손 건조 장치의 공기류 발생 장치(3)의 시동까지의 플로 차트이다. 도 12에서, S21 내지 S29는 플로의 각 스텝을 나타낸다. 손 건조 장치의 전원(도시 생략)이 ON 되면 제어 수단(4)에 전기가 공급되고, 제 1의 센서(30) 및 제 2의 센서(31) 및 제 3의 센서(32)가 동작하여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는 것을 기다리고 있는 대기 상태의 S21이 된다. S21에서는 제 3의 센서(32)의 출력 신호의 레벨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임계치 미만이면 S29에 진행하여 공기류 발생 장치(3)를 시동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S22로 진행한다. S22에서는 제 2의 센서(31)의 출력 신호의 레벨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임계치 미만이면 S23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S21으로 되돌아온다.
S23에서는 내장한 타이머(도시 생략)를 리셋시키고, 그 후 S24로 진행한다. S24에서는 S23에서 리셋한 타이머(도시 생략)를 스타트시키고, 그 후 S25로 진행한다. S25에서는 제 3의 센서(32)의 출력 신호의 레벨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임계치 미만이면 S29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S26으로 진행한다. S26에서는 S24에서 스타트시킨 타이머(도시 생략)가 소정 시간(t3)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t3=0.5초로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타이머(도시 생략)가 0.5초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0.5초 경과하고 있으면 S27로 진행하고, 0.5초 경과하지 않았으면 S25로 되돌아온다. S27에서는 제 2의 센서(31)의 출력 신호의 레벨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임계치 미만이면 S29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S28로 진행한다. S28에서는 제 3의 센서(32)의 출력 신호의 레벨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임계치 미만이면 S29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S21으로 되돌아온다.
또한, 일단, 공기류 발생 장치(3)를 시동시키면, 제 1의 센서(30) 또는 제 2의 센서(31) 또는 제 3의 센서(32)의 적어도 하나라도 출력 신호의 레벨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면 공기류 발생 장치(3)의 운전을 계속시키고, 제 1의 센서(30) 및 제 2의 센서(31) 및 제 3의 센서(32)의 전부가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 아닌 경우에 공기류 발생 장치(3)를 정지시킨다.
다음에 구체적으로 젖은 손이 삽입된 경우로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나타내는 손 건조 장치에서, 어른 등 아동보다 신장이 큰 사람이 상개구부(2a)로부터 손을 삽입한 때의 손 건조실(2)을 정면에서 투시한 설명도이다. 사용자가 손바닥을 편 상태에서 양손을 상개구부(2a)로부터 손 건조실(2)내에 하방향으로 삽입하기 시작하면, 제 1의 센서(30)가 손끝 부근에서 차단되고 손이 검지되지만 S21 및 S22의 판단에는 관계가 없고, 또한 제 2의 센서(31)에 의해서도 손을 검지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S21 및 S22 이외로의 스텝으로는 진행되지 않고, 공기류 발생 장치(3)를 정지한 채의 상태이다. 그대로 손이 계속 삽입되어 제 3의 센서(32)가 손의 손끝 부근에서 차단되고 손을 검지하면, S21부터 S29로 진행하여 공기류 발생 장치(3)가 시동하고 노즐(5)로부터 고속 공기가 분출되고, 사용자는 상개구부(2a)로부터 밖으로 인발하여 손 전체를 건조시킨다. 상개구부(2a)로부터 양손이 완전히 인발되면, 공기류 발생 장치(3)가 정지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나타내는 손 건조 장치에서, 아동 등 어른보다 신장이 작은 사람이 측개구부(2b)로부터 손을 삽입한 때의 손 건조실(2)을 정면에서 투시한 설명도이다. 사용자가 손바닥을 편 상태에서 양손을 측개구부(2b)로부터 손 건조실(2)내에 횡방향(좌우 방향)으로 삽입하면, 제 2의 센서(31)가 손의 손끝 부근에서 차단되어 손이 검지되고 S22부터 S23, S24로 진행하여 타이머가 스타트한다. 삽입되어 있는 양손은 그대로 횡방향으로 계속 삽입되여, 제 3의 센서(32)가 손의 측면 부근 등으로 차단되어 손이 검지되면, S25로부터 S29으로 진행하여 공기류 발생 장치(3)가 시동하고 노즐(5)로부터 고속 공기는 분출된다.
또한, S25에서 제 3의 센서(32)에 의해 손이 검지되지 않아도, 삽입된 손이 도중에 멈추어지는 일 없게 보통으로 그대로 삽입되고 있으면, S26에서 타이머의 시간이 0.5초 경과하고 있는 사이에, 젖어 있는 손끝부터 손목까지가 손 건조실(2)내에 충분히 들어간 상태가 되고, S26에서 0.5초 경과한 때에 팔 부근에서 제 2의 센서(31)가 차단되어 손이 검지되어 있기 때문에, S27으로부터 S29으로 진행하여 공기류 발생 장치(3)가 시동하고 노즐(5)로부터 고속 공기는 분출된다. 또한, 팔이 상방으로 이동하여서 양팔이 역팔(逆八) 문자와 같은 상태여서 제 2의 센서(31)로 팔 부근이 검지되어 있지 않아도, 제 3의 센서(32)로 손이 검지되면 S28부터 S29로 진행하여, 공기류 발생 장치(3)가 시동하고 노즐(5)로부터 고속 공기는 분출된다. S27 또는 S28에서 제 2의 센서(31) 또는 제 3의 센서(32)에 의해 손이 검지되어 있으면, S29로 진행하여 공기류 발생 장치(3)가 시동하고 노즐(5)로부터 고속 공기는 분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개구부(2a)로부터 밖으로 인발하여 손 전체를 건조시킨다.
또한, 그 밖의 구성이나 동작에 관해서는 실시의 형태 1과 동일 또는 동등하고, 도면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구성의 손 건조 장치에 의하면, 노즐(5)보다 하방에서 제 2의 센서(31)보다 좌우 방향 중앙측에 제 3의 센서(32)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상개구부(2a) 또는 측개구부(2b)로부터 손이 삽입되어도, 제 1의 센서(30)나 제 2의 센서(31)보다 제 3의 센서(32)의 쪽이 손 건조실(2)의 속(奧)에서 손을 검지할 수 있고, 보다 확실하게 손 건조실(2)내에 손이 들어가고 나서 공기류 발생 장치(3)를 시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 3의 센서(32)가 제 2의 센서(31)보다도 하방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제 3의 센서(32)에 의해 상개구부(2a)로부터 삽입된 손을 손 건조실(2)의 하방의 속까지 들어간 상태에서 검지할 수 있다. 또한, 특별하게 의식하지 않고서 측개구부(2b)로부터 삽입된 손의 위치는 제 3의 센서(32)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측개구부(2b)의 상하 방향 중앙 부근이므로, 제 2의 센서(31)에 의해 측개구부(2b)로부터 삽입된 손이 검지되기 쉬워, 사용하기 편리하다.
또한, 노즐(5)과 제 3의 센서(32)와의 상하 방향의 거리(L3)는 표준적인 어른의 손목부터 손끝까지 수용할 수 있는 길이가 불가결하지만, 필요 이상으로 크게 하는 것은 손 건조 장치의 사이즈를 크게 하여 설치성이 저하되어 버리기 때문에, 거리(L3)는 표준적인 어른의 손의 손목부터 손끝까지의 치수에 대강 맞추고 있다. 또한, 실시의 형태 1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인간의 손바닥의 크기는, 손목부터 손끝까지의 길이에 대해 손의 폭은 대강 1/2배의 길이이다.
그 때문에, 제 2의 센서(31)는, 노즐(5)과 제 3의 센서(32)와의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 하방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노즐(5)과 제 2의 센서(31)와의 거리(L4)는 손의 폭 이상이고, 실시의 형태 1과 마찬가지로, 도 7에 도시하는 사용 방법으로 어른이나 아동의 손이 측개구부(2b)로부터 천천히 삽입되는 등 삽입 도중에 노즐(5)로부터 고속 공기가 분출되어 버려도, 노즐(5)로부터의 고속 공기가 직접 손에 맞지 않고 노즐(5)의 고속 공기보다 상방의 외측에 젖은 손이 비어져 나오지 않기 때문에, 손의 물이 손 건조 장치의 밖으로 비산하여 버리는 일이 없다. 또한 제 2의 센서(31)가 필요 이상으로 노즐(5)로부터 하방으로 떨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건조시키기 위해 노즐(5)의 위치까지 손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거리를 최소한으로 할 수도 있어서, 사용하기 편리하다.
또한, 제 2의 센서(31) 또는 제 3의 센서(32)에 의해 손을 검지한 경우, 공기류 발생 장치(3)를 시동시키기 때문에, 상개구부(2a)로부터 손이 삽입된 때, 삽입 도중에서 제 1의 센서(30)에 의해 손끝 등 손이 검지되어도 공기류 발생 장치(3)는 시동되지 않고, 노즐(5)보다 하방의 손 건조실(2) 속에 마련된 제 3의 센서(32)에 의해 손이 검지된 때에 시동되기 때문에, 손끝 등이 제 3의 센서(32)의 위치까지 확실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시동된다. 그 때문에, 천천히 삽입된 경우나 도중에 일단 멈추어지고 그리고 나서 삽입된 경우 등의 삽입 스피드 등에 관계없이, 노즐(5)로부터 분출되는 고속 공기보다 상방의 외측에는 손이 젖어 있는 부분(손목부터 손끝까지의 범위)이 확실하게 비어져 나오지 않기 때문에, 젖은 손으로부터 손 건조실(2)의 밖으로 물이 날려서 사용자의 얼굴 등에 비산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아동 등 신장이 작은 사람에 의해 측개구부(2b)로부터 손이 삽입되어도, 손 건조실(2)의 속의 저부 근처에 있는 제 3의 센서(32)에 의해 손이 검지되지 않아도 측개구부(2b)에 가까운 제 2의 센서(31)에서 손이 검지되기 쉬워, 사용하기 편리하다.
또한, 제 2의 센서(31)에 의해 손을 검지한 경우, 또는 제 3의 센서(32)에 의해 손을 검지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공기류 발생 장치(3)를 시동시키기 때문에, 측개구부(2b)로부터 손이 삽입되는 사용 방법에 있어서, 손 건조 장치의 사용에 익숙해지고, 소정 시간(t3)=0.5초가 길게 느껴지는 경우에도 제 3의 센서(32)에 의해 손이 검지되면 타이머가 0.5초 경과하지 않아도 공기류 발생 장치(3)가 시동하기 때문에 사용하기 편리하다.
또한, 소정 시간이 경과한 때에 제 2의 센서(31) 또는 제 3의 센서(32)에 의해 손을 검지하고 있는 경우에 공기류 발생 장치(3)를 시동시키기 때문에, 확실하게 손 건조실(2)내에 손이 있는 경우에 공기류 발생 장치(3)를 시동시킬 수 있고, 손이 빠져 있는데도 시동하여 버리는 것 같은 불필요한 운전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3.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나타내는 손 건조 장치는, 실시의 형태 1에 대해, 제 1의 센서(30) 또는 제 2의 센서(31)의 신호에 의거하여 공기류 발생 장치(3)를 운전 제어시키는 제어 수단(4)의 제어 내용이 다르고, 그 밖의 구성이나 동작에 관해서는 실시의 형태 1과 동일 또는 동등하여 그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나타내는 손 건조 장치의 공기류 발생 장치(3)의 시동까지의 플로 차트이다. 도 15에서, S41 내지 S47은 플로의 각 스텝을 나타낸다. 손 건조 장치의 전원(도시 생략)이 ON 되면 제어 수단(4)에 전기가 공급되고, 제 1의 센서(30) 및 제 2의 센서(31)가 동작하여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는 것을 기다리고 있는 대기 상태의 S41이 된다. S41에서는 제 2의 센서(31)의 출력 신호의 레벨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임계치 미만이면 S42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S41으로 되돌아온다. S42에서는 내장한 타이머(도시 생략)를 리셋시키고, 그 후 S43로 진행한다. S43에서는 S42에서 리셋한 타이머(도시 생략)를 스타트시키고, 그 후 S44로 진행한다.
S44에서는 S42에서 스타트시킨 타이머(도시 생략)가 소정 시간(t4)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t4=0.5초로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타이머(도시 생략)가 0.5초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0.5초 경과하고 있으면 S45로 진행하고, 0.5초 경과하지 않았으면 S44로 되돌아온다. S45에서는 제 2의 센서(31)의 출력 신호의 레벨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임계치 미만이면 S47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S46로 진행한다. S46에서는 제 1의 센서(30)의 출력 신호의 레벨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임계치 미만이면 S47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S41로 되돌아온다. S47에서는 공기류 발생 장치(3)를 시동시킨다. 또한, 일단, 공기류 발생 장치(3)를 시동시키면, 제 1의 센서(30) 또는 제 2의 센서(31)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서도 출력 신호의 레벨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면 공기류 발생 장치(3)의 운전을 계속시키고, 제 1의 센서(30) 및 제 2의 센서(31)의 어느것도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 아닌 경우에 공기류 발생 장치(3)를 정지시킨다.
어른 등 아동보다 신장이 큰 사람은 상개구부(2a)로부터 손을 삽입하지 않고,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개구부(2b)로부터 손을 삽입하여 손 건조 장치를 사용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양팔을 하방향으로 뻗어내려 손바닥을 편 상태에서, 좌우의 측개구부(2b)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손을 손 건조실(2)내에 삽입하기 시작하면, 손바닥 및 손등의 측단(側端) 부근에 의해 제 2의 센서(31)가 차단되기 때문에 제 2의 센서(31)의 출력 신호의 레벨이 내려가 S41부터 S42로 진행하고 S43까지 진행한다. S44에서 시간을 0.5초 경과시키고 있기 때문에, 그 사이에 계속 삽입된 양손은, 젖어 있는 손끝부터 손목까지가 손 건조실(2)내에 충분히 들어가고 팔이 상개구부(2a)로부터 나와, 제 2의 센서(31)보다 손 건조실(2)내에 손이 들어가 있는 상태이므로, 제 2의 센서(31)는 손으로 차단되지 않게 팔 부근에 의해 제 1의 센서(30)가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제 1의 센서(30)의 출력 신호는 내려가 S45부터 S46로 진행하고, 공기류 발생 장치(3)가 시동하고 노즐(5)로부터 고속 공기는 분출된다. 또한, S44의 타이머가 0.5초 경과 후에 손의 삽입 스피드가 느린 등에 의해 제 1의 센서(30)가 차단될 때까지 이동되지 않아도, 제 2의 센서(31)가 손을 검출하고 있으면 S45부터 S47으로 진행하여, 공기류 발생 장치(3)가 시동한다. 공기류 발생 장치(3)가 시동하면 사용자는 상개구부(2a)로부터 밖으로 인발하여 손 전체를 건조시킨다. 또한, 아동 등 어른보다 신장이 작은 사람은 실시의 형태 1과 마찬가지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개구부(2b)로부터 손을 삽입하여 사용한다.
이상의 구성의 손 건조 장치에 의하면, 제 1의 센서(30) 및 제 2의 센서(31)에 의해 손을 검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 2의 센서(31)에 의해 손을 검지한 경우에 공기류 발생 장치(3)를 시동시키기 때문에, 제 1의 센서(30)보다 먼저 제 2의 센서(31)에 의해 손을 검지한 경우가 아니면 공기류 발생 장치(3)가 시동하지 않고, 손 건조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측개구부(2b)로부터 손을 삽입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상개구부(2a)로부터 손을 삽입하는 경우에는, 삽입 스피드나 삽입되는 손이 표준적인 어른의 사람보다도 극단적으로 큰 경우 등, 사용자의 불규칙함에 따라서는 손목 부근까지 손 건조실(2)내에 충분히 들어가지 않고서 공기류 발생 장치(3)가 시동하고 노즐(5)로부터 고속 공기가 분출되어 버리는 케이스가 있다.
삽입 도중에서 노즐(5)로부터 고속 공기가 분출되어 버리면, 삽입에 의해 노즐(5)로부터 분출되는 고속 공기의 에어 커튼의 면에 수직으로 손을 밀어넣어 가는 상태가 되고, 손의 밀어넣는 동작에 의해 에어 커튼의 외측으로 비어져 나온 손에 부착하여 있는 물이, 에어 커튼의 힘으로 손 건조 장치의 밖으로 비산하여 버리게 된다. 특히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에서 에어 커튼의 면의 수직 방향으로 물이 비산하기 쉽기 때문에, 상개구부(2a)로부터 손을 삽입한 경우에는 상개구부(2a)의 개구 방향에 있는 사용자의 팔이나 소매나 얼굴에 물이 비산하여 버린다. 그러나, 반드시 측개구부(2b)로부터 손을 삽입하지 않으면 공기류 발생 장치(3)를 시동시키지 않도록 제한하면, 사용자의 불규칙함이 있어도 반드시 에어 커튼의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손이 삽입되기 때문에, 삽입 도중에 노즐(5)로부터 고속 공기가 분출되어도 사용자를 향하여 물방울이 비산한 일은 거의 없고,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의 센서(31)에 의해 손을 검지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한 때에 제 1의 센서(30) 또는 제 2의 센서(31)에 의해 손을 검지하고 있는 경우에 공기류 발생 장치(3)를 시동시키기 때문에, 확실하게 손 건조실(2)내에 손이 있는 경우에 공기류 발생 장치(3)를 시동시킬 수가 있어서, 손이 빠져 있는데도 시동하여 버리는 것 같은 불필요한 운전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4.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나타내는 손 건조 장치는, 실시의 형태 2에 대해, 제 1의 센서(30) 또는 제 2의 센서(31) 또는 제 3의 센서(32)의 신호에 의거하여 공기류 발생 장치(3)를 운전 제어시키는 제어 수단(4)의 제어 내용이 다르고, 그 밖의 구성이나 동작에 관해서는 실시의 형태 2와 동일 또는 동등하여 그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나타내는 손 건조 장치의 공기류 발생 장치(3)의 시동까지의 플로 차트이다. 도 16에서, S61 내지 S67은 플로의 각 스텝을 나타낸다. 손 건조 장치의 전원(도시 생략)이 ON 되면 제어 수단(4)에 전기가 공급되고, 제 1의 센서(30) 및 제 2의 센서(31) 및 제 3의 센서(32)가 동작하여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는 것을 기다리고 있는 대기 상태의 S61이 된다. S61에서는 제 2의 센서(31)의 출력 신호의 레벨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임계치 미만이면 S62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S61으로 되돌아온다. S62에서는 내장한 타이머(도시 생략)를 리셋시키고, 그 후 S63로 진행한다. S63에서는 S62에서 리셋한 타이머(도시 생략)를 스타트시키고, 그 후 S64로 진행한다.
S64에서는 S62에서 스타트시킨 타이머(도시 생략)가 소정 시간(t5)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t5=0.5초로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타이머(도시 생략)가 0.5초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0.5초 경과하고 있으면 S65로 진행하고, 0.5초 경과하지 않았으면 S64로 되돌아온다. S65에서는 제 2의 센서(31)의 출력 신호의 레벨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임계치 미만이면 S67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S66로 진행한다. S66에서는 제 3의 센서(32)의 출력 신호의 레벨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임계치 미만이면 S67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S61으로 되돌아온다. S67에서는 공기류 발생 장치(3)를 시동시킨다. 또한, 일단, 공기류 발생 장치(3)를 시동시키면, 제 1의 센서(30) 또는 제 2의 센서(31) 또는 제 3의 센서(32)의 적어도 어느 하나라도 출력 신호의 레벨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면 공기류 발생 장치(3)의 운전을 계속시키고, 제 1의 센서(30) 및 제 2의 센서(31) 및 제 3의 센서(32)의 전부가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 아닌 경우에 공기류 발생 장치(3)를 정지시킨다.
이상의 구성의 손 건조 장치에 의하면, 제 1의 센서(30) 및 제 2의 센서(31) 및 제 3의 센서(32)에 의해 손을 검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 2의 센서(31)에 의해 손을 검지한 경우에 공기류 발생 장치(3)를 시동시키기 때문에, 실시의 형태 2와 같은 효과가 있다.
또한, 제 2의 센서(31)에 의해 손을 검지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한 때에 제 2의 센서(31) 또는 제 3의 센서(32)에 의해 손을 검지하고 있는 경우, 또는 제 2의 센서(31)에 의해 손을 검지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한 때에 제 1의 센서(30)에 의해 손을 검지하고 있고, 그 후 제 1의 센서(30)에 의해 손을 검지한 채로 제 3의 센서(32)에 의해 손을 검지한 경우에 공기류 발생 장치(3)를 시동시키기 때문에, 노즐(5)보다도 하방의 손 건조실(2)의 속에 손이 확실하게 들어가 있는 때에 공기류 발생 장치(3)를 시동시킬 수 있고, 노즐(5)로부터의 고속 공기보다 상방의 외측에 비어져 나온 손의 젖은 부분이 없기 때문에, 사용자에게로의 물방울 비산을 더욱 확실하게 저감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5.
도 17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의 형태 5에서의 손 건조 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나타내는 손 건조 장치에서, 도 17중의 화살로 보는 E로부터의 손 건조실의 내벽면의 센서 및 노즐의 배치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나타내는 손 건조 장치에서, 도 17중의 화살로 보는 F로부터의 손 건조실의 내벽면의 센서 및 노즐의 배치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면측 벽면(2c)에는 제 2의 센서(발광측)(31a)보다도 좌우 방향에서 중앙측에서, 제 2의 센서(발광측)(31a)의 부근의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대강 직선형상으로, 상하 방향에서 노즐(5)과 제 3의 센서(발광측)(32a)와의 사이에 제 2의 노즐(40)이 좌우 대칭으로 1개씩 마련되어, 배기 덕트(10)와 연통하고 있다. 또한,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면측 벽면(2d)에도 마찬가지의 배치로 제 2의 노즐(40)이 마련되어, 배기 덕트(10)와 연통하고 있다. 공기류 발생 장치(3)가 시동하면, 노즐(5)과 함께 제 2의 노즐(40)로부터도 손 건조실(2)을 향하여 고속 공기가 분출된다.
또한, 그 밖의 구성이나 동작에 관해서는 실시의 형태 2와 동일 또는 동등하고, 도면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구성의 손 건조 장치에 의하면, 손 건조실(2)의 내벽면에 마련됨과 함께, 노즐(5)보다 하방에서 제 2의 센서(31)보다 좌우 방향 중앙측에 마련되어, 공기류 발생 장치(3)에서 발생한 공기류를 손 건조실(2)에 분출한 제 2의 노즐(40)을 구비하였기 때문에, 아동 등 어른에 비교하여 신장이 작은 사람이 측개구부(2b)로부터 손을 삽입하여 사용한 경우, 공기류 발생 장치(3)가 시동하고 나서 건조시키기 위해 노즐(5)의 위치까지 손을 상방으로 이동시키지 않아도 그대로 측개구부(2b)로부터 인발할 뿐으로 제 2의 노즐(40)로 손을 건조시킬 수가 있어서, 더욱 사용하기 편리하다.
또한, 어른 등 아동에 비하여 신장이 큰 사람이 상개구부(2a)로부터 손을 삽입하여 사용하는 경우, 제 2의 노즐(40)로부터 분출되는 고속 공기의 에어 커튼에 의해 손 건조실(2) 내에서 측개구부(2b)를 향하여 날아가는 물이 있어도 제 2의 노즐(40)로부터 고속 공기의 에어 커튼으로 차단되기 때문에 측개구부(2b)로부터 손 건조 장치의 밖으로 물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부터 실시의 형태 5의 어느 하나에 나타내는 손 건조 장치의 다른 실시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실시의 형태 1부터 실시의 형태 5에서는, 제 1의 센서(30) 및 제 2의 센서(31) 및 제 3의 센서(32)는 모두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를 한 쌍으로 마련하고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의 센서(30) 및 제 2의 센서(31) 및 제 3의 센서(32)의 적외선의 발광을 서로 타이밍을 어긋내어 행하고, 그 제 1의 센서(30) 및 제 2의 센서(31) 및 제 3의 센서(32)의 모든 적외선을 수광하는 공용의 센서(수광측)(41)를 마련하면, 센서 배치를 간소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지만,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를 정면측 벽면(2c) 또는 배면측 벽면(2d)의 어느 한쪽만에 배치하여 손으로부터의 반사로 손을 검지하도록 하면, 한쪽만에 센서를 집약할 수 있기 때문에, 손 건조 장치의 구성을 더욱 간소화할 수 있다.
1 : 상자체
2 : 손 건조실
2a : 상개구부
2b : 측개구부
2c : 정면측 벽면
2d : 배면측 벽면
3 : 공기류 발생 장치
4 : 제어 수단
5 : 노즐
6 : 배수구
7 : 배수로
8 : 탱크
9 : 배기 챔버
9a : 배기구
10 : 배기 덕트
11 : 흡기 덕트
11a : 흡기구
12 : 필터
30 : 제 1의 센서
30a : 제 1의 센서(발광측)
30b : 제 1의 센서(수광측)
31 : 제 2의 센서
31a : 제 2의 센서(발광측)
31b : 제 2의 센서(수광측)
32 : 제 3의 센서
32a : 제 3의 센서(발광측)
32b : 제 3의 센서(수광측)
40 : 제 2의 노즐
41 : 센서(수광측)

Claims (20)

  1. 상부 및 측부가 개구된 손 건조실을 갖는 상자체와,
    상기 상자체에 마련되어 공기류를 발생하는 공기류 발생 장치와,
    상기 손 건조실의 내벽면에 마련되어 상기 공기류 발생 장치에서 발생한 공기류를 상기 손 건조실에 분출하는 노즐과,
    상기 손 건조실의 내벽면에 마련된 제 1의 센서와,
    상기 손 건조실의 내벽면에 마련되어 상기 제 1의 센서보다 하방에 마련된 제 2의 센서와,
    상기 제 1의 센서 또는 상기 제 2의 센서의 신호에 의거하여 손의 유무를 검지하고 상기 공기류 발생 장치를 운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손 건조실에서, 상기 상부의 개구의 입가인 상개구부와, 상기 측부의 개구의 입가인 측개구부는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2의 센서는, 상기 내벽면의 좌우 방향에서 상기 제 1의 센서보다 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측개구부측의 위치에 마련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 1의 센서 및 상기 제 2의 센서에 의해 손을 검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 2의 센서에 의해 손을 검지한 경우, 상기 공기류 발생 장치를 시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건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센서는 상기 제 2의 센서보다 상기 노즐에 가까운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건조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센서는, 상기 노즐보다 하방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건조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센서는, 좌우 방향에서 상기 노즐보다 외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건조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센서는, 상기 노즐과 상기 손 건조실의 저면과의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 하방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건조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센서는, 상기 노즐과 상기 손 건조실의 저면과의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 하방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건조 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 1의 센서 또는 상기 제 2의 센서에 의해 손을 검지한 경우, 소정 시간이 경과하고 나서 상기 공기류 발생 장치를 시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건조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제 1 센서에 의해 손을 검지하고 나서 상기 공기류 발생 장치를 시동시키기 까지의 소정 시간보다,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제 2의 센서에 의해 손을 검지하고 나서 상기 공기류 발생 장치를 시동시키기 까지의 소정 시간의 쪽이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건조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소정 시간이 경과한 때에 상기 제 1의 센서 또는 상기 제 2의 센서에 의해 손을 검지하고 있는 경우, 상기 공기류 발생 장치를 시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건조 장치.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손 건조실의 내벽면에 마련되어 상기 노즐보다 하방에서 상기 제 2의 센서보다 좌우 방향 중앙측에 마련된 제 3의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건조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의 센서는 상기 제 2의 센서보다도 하방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건조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센서는, 상기 노즐과 상기 제 3의 센서와의 사이의 중간 위치부터 하방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건조 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 2의 센서 또는 상기 제 3의 센서에 의해 손을 검지한 경우, 상기 공기류 발생 장치를 시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건조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 2의 센서에 의해 손을 검지한 경우, 또는 상기 제 3의 센서에 의해 손을 검지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공기류 발생 장치를 시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건조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소정 시간이 경과한 때에 상기 제 2의 센서 또는 상기 제 3의 센서에 의해 손을 검지하고 있는 경우, 상기 공기류 발생 장치를 시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건조 장치.
  16. 삭제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 2의 센서에 의해 손을 검지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한 때에 상기 제 1의 센서 또는 상기 제 2의 센서에 의해 손을 검지하고 있는 경우, 상기 공기류 발생 장치를 시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건조 장치.
  18.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 1의 센서 및 상기 제 2의 센서 및 상기 제 3의 센서에 의해 손을 검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 2의 센서에 의해 손을 검지한 경우, 상기 공기류 발생 장치를 시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건조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 2의 센서에 의해 손을 검지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한 때에 상기 제 2의 센서 또는 상기 제 3의 센서에 의해 손을 검지하고 있는 경우, 또는 상기 제 2의 센서에 의해 손을 검지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한 때에 상기 제 1의 센서에 의해 손을 검지하고 있고, 그 후 상기 제 1의 센서에 의해 손을 검지한 채로 상기 제 3의 센서에 의해 손을 검지한 경우, 상기 공기류 발생 장치를 시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건조 장치.
  2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손 건조실의 내벽면에 마련됨과 함께, 상기 노즐보다 하방에서 상기 제 2의 센서보다 좌우 방향 중앙측에 마련되어, 상기 공기류 발생 장치에서 발생한 공기류를 상기 손 건조실에 분출하는 제 2의 노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건조 장치.
KR1020137004001A 2010-08-18 2011-01-24 손 건조 장치 KR1015897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83027 2010-08-18
JP2010183027 2010-08-18
PCT/JP2011/051235 WO2012023294A1 (ja) 2010-08-18 2011-01-24 手乾燥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4249A Division KR101658329B1 (ko) 2010-08-18 2011-01-24 손 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248A KR20130040248A (ko) 2013-04-23
KR101589799B1 true KR101589799B1 (ko) 2016-01-28

Family

ID=4560496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4249A KR101658329B1 (ko) 2010-08-18 2011-01-24 손 건조 장치
KR1020137004001A KR101589799B1 (ko) 2010-08-18 2011-01-24 손 건조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4249A KR101658329B1 (ko) 2010-08-18 2011-01-24 손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282856B2 (ko)
JP (1) JP5528558B2 (ko)
KR (2) KR101658329B1 (ko)
CN (1) CN203182818U (ko)
GB (4) GB2538647B (ko)
WO (1) WO20120232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67736B2 (en) * 2011-04-18 2016-02-23 Bradley Fixtures Corporation Hand dryer with point of ingress dependent air delay and filter sensor
CA2873015C (en) 2012-03-21 2018-11-13 Bradley Fixtures Corporation Basin and hand drying system
US10100501B2 (en) 2012-08-24 2018-10-16 Bradley Fixtures Corporation Multi-purpose hand washing station
CN107007186B (zh) * 2013-02-13 2020-11-03 福优斯2013有限公司 干手器
US10694905B2 (en) * 2015-07-14 2020-06-3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and dryer device
JP6422601B2 (ja) * 2016-01-27 2018-11-14 三菱電機株式会社 手乾燥装置
CN105807166A (zh) * 2016-05-06 2016-07-27 温州帝仕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干手器测试装置
ES1159061Y (es) 2016-05-09 2016-09-09 Ffuuss 2013 S L Secamanos que comprende un volumen de deteccion
US10041236B2 (en) 2016-06-08 2018-08-07 Bradley Corporation Multi-function fixture for a lavatory system
US9856635B1 (en) 2016-06-29 2018-01-02 Hokwang Industries Co., Ltd. Faucet structure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DE102016112127B3 (de) * 2016-07-01 2017-12-28 Hokwang Industries Co., Ltd. Wasserhahn-Aufbau und Verfahren zur Montage desselben
WO2018037556A1 (ja) * 2016-08-26 2018-03-01 三菱電機株式会社 手乾燥装置および衛生管理システム
WO2018037554A1 (ja) * 2016-08-26 2018-03-01 三菱電機株式会社 手乾燥装置
JP6848400B2 (ja) * 2016-12-02 2021-03-24 三菱電機株式会社 手乾燥装置
WO2019102582A1 (ja) * 2017-11-24 2019-05-31 三菱電機株式会社 手乾燥装置
CN109984935A (zh) * 2017-12-29 2019-07-09 珠海永宝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感应控制方法及其装置、按摩装置
CN108121089B (zh) * 2018-02-02 2023-12-08 何礼明 一种清洗干燥机
EP3626108B1 (en) * 2018-09-19 2021-03-03 LG Electronics Inc. -1- Dryer stand
WO2020096588A1 (en) * 2018-11-07 2020-05-14 Mila International Inc. Hand dryer
US10880009B2 (en) * 2019-05-24 2020-12-29 Sonos, Inc. Control signal repeater system
CN113598639B (zh) * 2020-04-16 2022-08-16 汤钰婷 双泵式干手机
ES2935140A1 (es) * 2021-10-20 2023-03-01 Mediclinics S A Aparato secador de manos
KR102421998B1 (ko) * 2022-03-21 2022-07-19 주식회사 캠프런 자동 살균건조 수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4213A (ja) 1999-10-05 2001-04-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手乾燥装置
JP2006081925A (ja) 2005-11-11 2006-03-30 Toto Ltd 手乾燥装置
JP2008110240A (ja) 2008-01-25 2008-05-15 Mitsubishi Electric Corp 手乾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1337A (en) * 1988-02-19 1991-07-16 Sloan Valve Company Automatic hand dryer
JP3094687B2 (ja) 1992-02-12 2000-10-03 三菱電機株式会社 手乾燥装置
JP2718331B2 (ja) * 1992-08-25 1998-02-25 三菱電機株式会社 手乾燥装置
JP2720722B2 (ja) 1992-08-25 1998-03-04 三菱電機株式会社 手乾燥装置
JP2765389B2 (ja) 1992-08-25 1998-06-11 三菱電機株式会社 手乾燥装置
JP2783078B2 (ja) * 1992-08-25 1998-08-06 三菱電機株式会社 手乾燥装置
CA2104514C (en) * 1992-08-25 1998-08-25 Toshio Tatsutani Hand dryer
JP2000300461A (ja) * 1999-04-20 2000-10-31 Gunma Koike:Kk 洗浄装置
WO2007013142A1 (ja) * 2005-07-26 2007-02-0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手乾燥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4213A (ja) 1999-10-05 2001-04-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手乾燥装置
JP2006081925A (ja) 2005-11-11 2006-03-30 Toto Ltd 手乾燥装置
JP2008110240A (ja) 2008-01-25 2008-05-15 Mitsubishi Electric Corp 手乾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536995B (en) 2017-01-25
GB2502852A (en) 2013-12-11
GB201612749D0 (en) 2016-09-07
US20160143491A1 (en) 2016-05-26
US20130139400A1 (en) 2013-06-06
CN203182818U (zh) 2013-09-11
GB201302585D0 (en) 2013-04-03
GB2538647B (en) 2017-05-17
US9282856B2 (en) 2016-03-15
WO2012023294A1 (ja) 2012-02-23
GB201611863D0 (en) 2016-08-24
KR20130040248A (ko) 2013-04-23
GB2536995A (en) 2016-10-05
KR20150140416A (ko) 2015-12-15
JPWO2012023294A1 (ja) 2013-10-28
GB201600377D0 (en) 2016-02-24
JP5528558B2 (ja) 2014-06-25
GB2502852B (en) 2016-11-02
GB2538647A (en) 2016-11-23
US10085601B2 (en) 2018-10-02
KR101658329B1 (ko) 2016-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9799B1 (ko) 손 건조 장치
KR101445471B1 (ko) 손 건조 장치
JP4591265B2 (ja) 水石けん吐出装置
JPH0956640A (ja) 手乾燥装置
JPWO2016163041A1 (ja) ハンドドライヤー
JP7138794B2 (ja) 手乾燥装置、手乾燥装置付き洗面台および手乾燥装置の制御方法
JP7166451B2 (ja) 手乾燥装置
JP5398917B2 (ja) 手乾燥装置
AU2015401986A1 (en) Hand dryer device
JP5370309B2 (ja) 手乾燥装置
WO2022113292A1 (ja) 手乾燥装置
JP2006167077A (ja) 手乾燥装置
JP2014064820A (ja) 手乾燥装置
JP2005185646A (ja) 手乾燥装置
KR200419923Y1 (ko) 저소음 핸드 드라이어
JP2004187950A (ja) 手乾燥装置
JPH10172A (ja) 手乾燥装置
JP6227115B2 (ja) 手乾燥装置
JP6072589B2 (ja) 手乾燥装置
JP5585287B2 (ja) 手乾燥装置
TW201912091A (zh) 烘手裝置
JPH114784A (ja) 手乾燥装置
JP2005185645A (ja) 手乾燥装置
JP2010279458A (ja) 手乾燥装置
JP2014036884A (ja) 手乾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