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579B1 - 스위치 장치 및 전원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위치 장치 및 전원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8579B1
KR101588579B1 KR1020097013766A KR20097013766A KR101588579B1 KR 101588579 B1 KR101588579 B1 KR 101588579B1 KR 1020097013766 A KR1020097013766 A KR 1020097013766A KR 20097013766 A KR20097013766 A KR 20097013766A KR 101588579 B1 KR101588579 B1 KR 101588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power supply
radio wave
switch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3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4011A (ko
Inventor
타카히로 후쿠토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ublication of KR20090104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63/00Details of electrically-operated selector switches
    • H01H63/36Circuit arrangements for ensuring correct or desired operation and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selector switc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4Circuit arrangements for boards or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2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03Software-defined radio [SDR] systems, i.e. systems wherein components typically implemented in hardware, e.g. filters or modulators/demodulators, are implented using software, e.g. by involving an AD or DA conversion stage such that at least part of the signal processing is performed in the digital dom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3Battery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스위치 장치는, 기기와 전원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을 온/오프하는 제어 스위치, 제어 스위치를 구동하는 조건을 판단하는 조건 판정회로, 전파를 수신하는 전파 수신회로, 및 전파 수신회로에서 수신한 전파로부터 전력을 생성하는 전원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스위치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파를 송신하는 전파 송신장치를 공간에 배치함으로써, 특정한 공간 내에서만 전파 수신장치로 전파를 수신할 수 있게 한다. 스위치 장치는, 전파를 수신했을 때에 제어 스위치를 오프/온으로 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달리, 전파를 수신하고 있지 않는 때. 제어 스위치를 온/오프로 한다.
Figure R1020097013766
스위치 장치, 전원 제어 시스템, 제어 스위치, 조건 판정회로, 전파 수신회로, 전원회로

Description

스위치 장치 및 전원 제어 시스템{SWITCH DEVICE AND POWER SUPPLY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전원에 의한 전력의 공급을 전파를 사용하여 제어하는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위치 장치를 갖는 전원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기기(가전제품 및 완구 등)에서는, 사용하는 전력을 배터리 또는 상용 전원으로부터 공급받고 있고, 일반적으로, 이들 기기에는,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리모트콘트롤러에 의한 적외선 통신 또는 전파를 사용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기기에 접촉하지 않고, 기기에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것도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일본국 특개 2001-68273호 공보)에는, 무선신호에 의해 백열 전등의 점등 또는 소등 상태를 제어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일본국 특개 평6-237490호 공보)에는 전원 콘센트에 무선통신으로 온/오프하는 스위치를 설치하고, 무선신호에 의해 전원공급을 집중 관리하는 것이 기재되 어 있다.
전력을 동력으로 하는 기기의 대부분은, 이들 기기가 전원에 접속되어 있을 때, 상시 전력을 소비하고 있다. 또한, 스위치를 끄는 것을 잊는 것도 소비 전력을 증대시키는 요인의 한가지이다. 사용하고 있지 않는 때에 기기가 전력을 소비하고 있으면, 배터리를 동력으로 하는 기기에서는, 사용하고 싶을 때에 전력이 충분하지 않아 사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무선통신에 의해 전력의 제어를 행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지만, 이용자가 의도적으로 무선통신을 행할 때까지는 전력의 제어가 개시되지 않는다.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는 이용자가 스위치를 끄는 것을 잊는 것에 대응하고 있지 않다.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기기를 사용하지 않고 있을 때 기기에서의 전력의 소비를 없애는 것, 또는 이용자가 스위치를 끄는 것을 잊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전파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 다른 과제는 이 스위치 장치를 포함하는 전원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장치는,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전파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치로서, 전원과, 기기에 삽입되어 있는 구동회로 또는 제어회로 등의 회로의 전기적인 접속을 제어하는 스위치이다.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는, 기기와 전원과의 전기적인 접속을 온/오프하는 제어 스위치, 제어 스위치를 구동하는 조건을 판단하는 조건 판정회로, 전파를 수신하는 전파 수신회로, 및 전파 수신회로에서 수신한 전파로부터 전력을 생성하는 전원회로를 갖는다.
이때,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가 접속되는 기기의 회로에 특별한 제약은 없으며, 기기에 삽입되는 회로이면 된다. 예를 들면, LED 등의 소자 및 소자를 전원에 접속하기 위한 배선으로 이루어진 회로와 같은 단순한 회로,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회로, LED의 휘도를 조절하는 제어회로,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는 대규모 집적회로 등이다.
전파 수신회로는 안테나를 갖고, 안테나의 구조에 따라 특정한 대역의 전파를 수신한다. 조건 판정회로는, 전원회로에서 전원이 생성되고 있는지, 생성되고 있지 않은지를 판단하여, 그 판단에 근거하여 제어 스위치를 온/오프한다.
예를 들면, 특정한 대역의 전파를 수신했을 경우에 제어 스위치를 오프로 한다. 한편, 특정한 대역의 전파를 수신하지 않고 있을 경우에, 즉, 전원회로에서 전력이 생성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제어 스위치를 온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스위치 장치가 특정한 대역의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에어리어에서는, 기기에의 전원공급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는, 특정한 대역의 전파를 수신했을 경우에 제어 스위치를 온으로 한다. 한편, 특정한 대역의 전파를 수신하지 않고 있을 경우에, 즉, 전원회로에서 전력이 생성되지 않고 있을 때에는 제어 스위치를 오프로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스위치 장치가 특정한 대역의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에어리어에서는, 기기에의 전원공급을 자동적으로 개시시킬 수 있다.
스위치 장치를 전술한 것과 같이 동작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전원 제어 시스템은, 기기에 삽입된 스위치 장치와, 특정한 대역의 전파를 송신하는 송신장치를 갖는다.
즉, 본 발명의 전원 제어 시스템은, 송신장치로부터 전파를 송신함으로써, 스위치 장치가 특정 대역의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공간을 규정한다. 이 규정된 공간 내에서는, 스위치 장치에 의해 기기에의 전원공급의 정지 또는 개시를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에는 센서를 설치할 수 있다. 그 경우에, 조건 판정회로는, 센서 회로의 출력 및 전원회로의 출력으로부터, 제어 스위치를 온/오프하는 조건을 판단한다. 센서로서는, 환경을 모니터하는 각종의 센서(광 센서, 열 센서, 습도 센서, 진동 센서, 가속도 센서, 가스 센서, 자계 센서, 회전 센서 등), 각종의 생체 센서(지문 센서, 정맥 센서, 망막 센서 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기기에 전력공급의 제어, 동작 상태의 제어 등를 행하는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는 제어 스위치를 생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판정 회로의 출력을 기기의 제어회로에 접속하여, 기기의 제어회로가 판정 회로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전력의 공급을 제어한다.
본 발명은, 전파에 의해 기기와 전원과의 전기적인 접속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이용자가 기기의 스위치를 끄는 것을 잊고 있어도, 자동적으로 기기에의 전력공급을 차단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기에의 전력공급을 자동적으로 차단시킴으로써, 기기에서의 전력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 및 전원 제어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원 제어 시스템을 실시한 완구 및 완구의 수납 박스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원 제어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어댑터의 블록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본 발명의 어댑터의 외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가 실장된 휴대전화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휴대전화에 실장되는 스위치 장치의 블록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및 실시예를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많은 다른 태양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취지 및 그 범위에서 일탈하지 않고 그 형태 및 상세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된다. 따라서, 실시형태 및 실시예의 기재 내용에 한정되어 본 발명이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형태 및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 한 전채 도면에 있어서 동일 부분 또는 동일 기능을 갖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 및 본 발명의 전원 제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스위치 장치(100)는, 전원(102)에서 공급되는 전력으로 동작하는 기기에 삽입되어 있다. 스위치 장치(100)는, 기기에 삽입되어 있는 회로(103)에 전원(102)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전원 제어 시스템은, 스위치 장치(100)와 함께, 스위치 장치(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파를 송신하는 전파 송신장치(104)를 갖는다.
전원(102)은, 상용 전원, 기기에 삽입되어 있는 전지(건전지, 2차전지 등) 등이다. 회로(103)에는 특별한 제약은 없으며, 이 회로(103)는 전원(102)과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동작하는 각종의 회로이다. 예를 들면, 이 회로(103)는 LED 및 LED에 접속된 배선으로 이루어진 단순한 회로,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회로, LED 등의 휘도를 조절하는 제어회로, 또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는 대규모 집적회로 등이다.
스위치 장치(100)는, 제어 스위치(111), 조건 판정회로(112), 전원회로(113), 안테나(114a)를 갖는 전파 수신회로(114), 보조 전원(115) 및 센서 회로(116)를 갖는다. 후술하는 것과 같이, 보조 전원(115) 및 센서 회로(116)는 필요에 따라 설치하면 된다.
제어 스위치(111)는, 전원(102)과 회로(103)의 전기적인 접속을 온/오프하는 스위치로서, 조건 판정회로(112)에 의해 제어된다. 조건 판정회로(112)에는 전원회로(113)의 출력 및 센서 회로(116)의 출력이 입력되어 있다.
전파 수신회로(114)는 안테나(114a)를 갖고, 전파 송신장치(104)에서 송신된 전파를 수신한다. 안테나(114a)는 전파 송신장치(104)에서 송신되는 대역의 전파를 수신하는데 적합한 구조이면 된다. 예를 들면, 안테나(114a)에는, 칩 안테나, 다이폴 안테나, 루프 안테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전원회로(113)는 정류회로 및 레귤레이터로 구성할 수 있다. 전파 수신장치(114)에서 수신한 전파신호를 정류회로에서 정류하고, 레귤레이터를 사용함으로써, 안정된 정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전력은, 센서 회로(116), 조건 판정회로(112) 및 제어 스위치(111)의 전력으로 사용된다. 또한, 생성된 전력이 보조 전원(115)의 충전 전력으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100)는 제어 스위치(111)를 구동하기 위해, 주전원(전원 102)을 사용하지 않고, 수신된 전파에서 생성한 전력을 사용한다. 따라서, 스위치 장치(100)를 기기에 설치하여도, 주전원에 의한 소비 전력을 증가시키는 일이 없다.
보조 전원(115)을 필요에 따라 설치하면 된다. 보조 전원(115)을 사용함으로써, 센서 회로(116), 조건 판정회로(112) 및 제어 스위치(111)의 전력 공급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전원회로(113)에서 전력을 생성할 수 없을 때라도, 보조 전원(115)에서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스위치 장치(100)를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보조 전원(115)은 전력공급이 차단된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력으로서, 기 기의 회로(103)에 공급할 수도 있다.
보조 전원(115)으로서, 예를 들면, 전원회로(113)에서 생성되는 전력으로 충전가능한 전기 이중층 콘덴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전원(115)으로 태양 전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조건 판정회로(112)는 전원회로(113)에서 생성된 전력으로 구동된다. 전원회로(113)의 출력 신호 및 센서 회로(116)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제어 스위치(111)의 온/오프가 제어된다.
조건 판정회로(112)는, 전원회로(113)에서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제어 스위치(111)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즉,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100)는, 전파 수신회로(114)에서 전파를 수신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조건으로, 제어 스위치(111)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제어 스위치(111)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조건 중 한가지로서, 전파 수신회로(114)가 전파 송신장치(104)로부터 송신되는 특정한 대역의 전파를 수신했을 경우에, 제어 스위치(111)를 오프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스위치 장치(100)의 전파 수신회로(114)가 전파 송신장치(104)로부터 송신되는 특정한 대역의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에어리어에서는, 기기의 회로(103)에의 전원공급을 자동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으므로, 기기에서의 전력소비를 없앨 수 있다.
또 다른 조건으로서, 전파 수신회로(114)가 전파 송신장치(104)로부터 송신되는 특정한 대역의 전파를 수신했을 경우에, 제어 스위치(111)를 온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스위치 장치(100)가 특정한 대역의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에어리어 에서는, 회로(103)에의 전원공급을 자동적으로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원(102)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기기에, 이용자가 수동으로 온/오프를 제어하는 수동 스위치(105)를 형성해도 된다. 도 1의 예에서는, 수동 스위치(105)가 전원(102)과 제어 스위치(111) 사이에 설치되어 있지만, 이 수동 스위치(105)를 제어 스위치(111)와 회로(103) 사이에 설치할 수도 있다.
전파를 수신했을 때 제어 스위치(111)를 오프로 하도록 제어하는 경우에는, 제어 스위치(111)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을 때, 항상 온 상태가 되도록 제어 스위치(111)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특정한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에어리어 내에서는, 제어 스위치(111)에 의해, 전원(102)으로부터 기기에의 전력의 공급을 자동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에어리어 외부에서는, 수동 스위치(105)에 의해 이용자가 기기에의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파를 수신했을 때 제어 스위치(111)를 온으로 하도록 제어하는 경우에는, 제어 스위치(111)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을 때에, 항상 오프 상태가 되도록 제어 스위치(111)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특정한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에어리어 내에서는, 이용자가 수동 스위치(105)에 의해, 전원(102)으로부터 기기에의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에어리어 외부에서는, 제어 스위치(111)에 의해 전원(102)으로부터 기기에의 전력의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사용자가 수동 스위치(105)를 이용자가 오프로 하는 것을 잊고 있어도, 전파의 수신의 유무에 의존하여, 기기에의 전력공급을 자 동적으로 차단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기기에의 전력공급을 자동적으로 차단시킴으로써, 기기에서의 전력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센서 회로(116)는 필요에 따라 설치하면 된다. 센서 회로(116)가 설치되면, 기기에의 전력공급을 제한하는 조건에, 전원회로(113)에 의한 전원 생성의 유무 이외에, 센서 회로(116)에 의한 검출 결과를 추가할 수 있다.
센서 회로(116)의 센서로서, 기기가 사용되는 환경을 검출하는 환경 센서, 이용자를 구별하는 생체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환경 센서로서, 예를 들면, 광 센서, 열 센서, 습도 센서, 진동 센서, 가속도 센서, 가스 센서, 자계 센서 또는 회전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생체 센서로서는, 지문 센서, 정맥 센서 또는 망막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회로(116)의 센서에 광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스위치 장치(100)가 특정 대역의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에어리어 내에서는, 2가지 조건이 충족될 때, 제어 스위치(111)를 자동적으로 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가지 조건은 전원회로(113)의 출력을 판단하여 전파를 수신하고 있는 것이고, 나머지 한가지 조건은 센서 회로(116)의 출력을 판단하여 주변이 어둡다고 하는 것이다. 이때, 센서 회로(116)의 센서는 1개 뿐만 아니라, 센서 회로(116)의 센서로서, 복수 종류의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전파 송신장치(104)는, 전파 수신회로(114)에서 수신가능한 특정한 대역의 전파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이다. 전파는 전파 송신장치(104)의 안테나(104a)에서 송신된다. 전파 송신장치(104)를 동작하는 전력은 상용 전원이라도 전지라도 된다. 또한, 전파 송신장치에도 전파 수신회로 및 전원회로를 설치함으로써, 수신한 전파에서 전력을 생성하여, 이 전력이 전파 송신장치(104)를 동작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수납 박스, 캐비넷, 쇼 케이스, 쇼 윈도우, 열차 및 항공기 등의 탈것, 회의실, 영화관, 미술관, 공공 스페이스 등에 전파 송신장치(104)를 설치함으로써, 특정 대역의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에어리어를 만든다. 이 결과,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100)를 이 에어리어 내에 배치함으로써, 기기의 온/오프를 전파의 수신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에어리어 센서로서 이 스위치 장치(100)를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는, 스위치 장치를 구비한 전원 제어 시스템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완구 및 완구의 수납 박스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전원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전원 제어 시스템은, 완구(200)와 완구를 수납하는 수납 박스(201)를 갖는다.
완구(200)에서는, 전원(102)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에 의해 LED(203)가 발광한다. 전원(102)은 완구(200)에 내장되어 있고, 예를 들면, 건전지 또는 2차전지를 완구용(200)으로 사용할 수 있다.
완구(200)에는, LED(203)과 전원(102)의 접속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장치(100)와, 수동 스위치(105)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 장치(100)의 구성 은, 도 1과 유사하며, 제어 스위치(111), 조건 판정회로(112), 전원회로(113), 안테나(114a)를 갖는 전파 수신회로(114), 보조 전원(115) 및 센서 회로(116)를 갖는다. 이때, 보조 전원(115) 및 센서 회로(116)는 필요에 따라 설치하면 된다.
수납 박스(201)에는 안테나(104a)를 갖는 전파 송신장치(104)가 삽입되어 있다. 도 2의 예에서는, 안테나(104a)에 루프 안테나를 사용하고, 안테나(104a)를 수납 박스(201)의 밑바닥에 설치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전파 송신장치(104)의 전력은 상용의 AC 전원 또는 전지에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파 송신장치(104)에 의해 수신한 전파에서 전력을 생성하고, 이 전력으로 전파 송신장치(104)를 동작시킬 수 있다.
종래에서는, 이용자가 수동 스위치(105)를 오프로 하지 않고 수납 박스(201)에 완구(200)를 수납하거나, 또는 수납 박스(201) 내부에서 수동 스위치(105)가 의도하지 않게 온이 되어 버리면, 전원(102)으로서 사용하고 있는 전지의 전력이 소비되어 버린다. 이 결과, 이용자가 수납 박스(201)에서 완구(200)를 꺼내 완구(200)를 갖고 놀려고 하여도, 완구(200)가 동작할 수 없는 일이 있다. 본 실시예의 전원 제어 시스템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전원 제어 시스템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스위치 장치(100)는, 특정한 전파를 수신하여, 전원회로(113)에서 전원을 생성했을 경우, 제어 스위치(111)를 오프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구나, 스위치 장치(100)는, 전파를 수신하지 않고 있을 때는 제어 스위치(111)를 항상 온으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어 스위치(111)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고 있을 때에 온이 되는 스위치이다.
또한, 전파 송신장치(104)에서 전파를 송신함으로써, 수납 박스(201) 내부에서, 스위치 장치(100)가 특정한 전파를 수신하여, 전원회로(113)에서 전원 전압을 생성할 수 있게 한다.
완구(200)를 수납 박스(201)에 수납하면, 스위치 장치(100)에서는, 전파 송신장치(104)에서 송신된 전파가 전파 수신회로(114)에 의해 검출된다. 조건 판정회로(112)는, 전원회로(113)에서의 전력이 공급됨으로써, 제어 스위치(111)를 오프 상태로 한다. 이 결과, 전원(102)으로부터 LED(203)에의 전력공급이 차단된다. 따라서, 수동 스위치(105)를 온 상태로 한 채 완구(200)를 수납 박스(201)에 수납하더라도, 완구(200)가 수납 박스(201)에 수납될 때 LED(203)에의 전력공급을 자동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수납 박스(201)에서 완구(200)가 꺼내지면, 스위치 장치(100)에서 전파 수신 범위 외부가 되어, 전원회로(113)가 전원 전압을 생성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어 스위치(111)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제어 스위치(111)가 온 상태가 된다. 제어 스위치(111)가 온 상태이기 때문에, 완구(200)는 수동 스위치(105)로 LED(203)를 점등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센서 회로(116)를 설치하여, 조도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회로(113)에 의해 전력이 생성되고, 또한 센서 회로(116)에서 검출된 조도를 기초로 수납 박스(201)의 내부가 어두워진 것을 검출했을 때에, 제어 스위치(111)를 오프로 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수납 박스(201)에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덮개를 설치한 경우와 같이, 내부를 어둡게 할 수 있게 수납 박스(201)를 구성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수납 박스(201)에 완구(200)를 수납하고, 수납 박스(201)가 닫힌 상태일 때, 완구(200)의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수납 박스(201)에 덮개 등이 없더라도, 야간이 되면, 완구(200)가 수납 박스(201) 내부에 있는 한 자동적으로 완구(200)의 전원을 끌 수 있다.
전파 송신장치(104)의 기동은, 수납 박스(201)의 덮개가 닫힌 것에 연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납 박스(201)에 덮개가 없는 경우에는, 수납 박스(201)가 놓여져 있는 방의 실내의 조명 장치의 점등/소등에 전파 송신장치(104)의 기동을 연동할 수도 있다. 조명 장치가 꺼졌을 때에, 전파 송신장치(104)기 전파를 송신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완구(200) 및 수납 박스(201)를 예로 들어 전원 제어 시스템을 설명했지만, 본 실시예의 전원 제어 시스템은, 전력으로 동작하는 기기 및 기기를 수납하는 케이스 또는 수납 스페이스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를 갖는 전원용 어댑터, 및 전기제품 양판점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 스페이스 등의 공간에 본 발명의 전원 제어 시스템을 적용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전원 제어 시스템으로서, 디스플레이 공간에 설치된 상용 전원용의 플러그 소켓에 스위치 장치를 갖는 어댑터를 접속하고, 디스플레이 스페이스 내에 전파 송신장치를 배치함으로써 구성된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어댑터의 블록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어댑터 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어댑터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용 전원용 플러그 소켓에 삽입되는 플러그(302)와, 기기의 플러그를 삽입하기 위한 플러그 소켓(303)을 갖는다. 스위치 장치(300)는, 어댑터의 샤시에 내장되어 있다. 스위치 장치(300)는, 전파의 수신을 하는 것에 의해, 플러그(302)와 플러그 소켓(303)의 전기적인 접속을 제어한다.
스위치 장치(300)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 스위치(311), 조건 판정회로(312), 전원회로(313), 안테나(314a)를 갖는 전파 수신회로(314), 및 센서 회로(316)를 갖는다. 더구나, 스위치 장치(300)는 조건 판정회로(312)에 접속되는 모드 선택 스위치(305)를 갖는다. 모드 선택 스위치(305)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이다. 이때, 모드 선택 스위치(305)는 수동이 아니라,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모드 선택 스위치(305)는, 스위치 장치(300)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로서, 전원회로(313)에서 전력이 생성되고 있을 때에, 제어 스위치(311)를 온/오프로 전환한다. 조건 판정회로(312)는, 모드 선택 스위치(305)가 온일 때에는, 제어 스위치(311)를 온으로 한다. 조건 판정회로(312)는 모드 선택 스위치(305)가 오프일 때에는 제어 스위치(311)를 오프로 한다.
도 3의 스위치 장치(300)는, 모드 선택 스위치(305) 이외에는,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은, 도 1의 스위치 장치(100)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센서 회로(316)는 필요에 따라 설치하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센서 회로(316)에 광 센서(316a)를 사용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어 댑터의 윗면에 광 센서(316a)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스페이스나 점포의 내부 등의 특정한 공간에, 전파 수신회로(314)가 수신가능한 특정 대역의 전파를 송신하는 전파 송신장치를 배치한다. 더구나, 이 공간에 설치된 상용 전원용의 플러그 소켓에,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어댑터를 삽입함으로써, 전원 제어 시스템을 구축한다. 어댑터에 기기의 플러그를 삽입함으로써, 어댑터에 내장된 스위치 장치(300)가 이 기기의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어댑터에 접속된 기기의 전원을 자동적으로 오프로 하고 싶은 경우에는, 모드 선택 스위치(305)를 오프로 설정한다. 어댑터의 전파 수신회로(314)에서 특정 대역의 전파를 수신했을 경우, 조건 판정회로(312)는 제어 스위치(311)를 오프로 한다.
또한, 센서 회로(316)를 사용한 경우에는, 제어 스위치(311)를 오프로 하는 조건으로, 센서 회로(316)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 센서(316a)를 사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스페이스의 밝기를 검출할 수 있다. 조건 판정회로(312)가 센서 회로(316)에서의 출력 신호에 의해 점포 내의 조도가 어둡다고 판단하고, 또한 전원회로(313)의 출력에 근거하여 전파를 수신하고 있다고 판단했을 때, 제어 스위치(311)를 오프로 한다.
어댑터에 접속된 기기의 전원을 자동적으로 온으로 하고 싶은 경우에는, 모드 선택 스위치(305)를 온으로 설정한다. 어댑터의 전파 수신회로(314)에서 특정 대역의 전파를 수신했을 경우, 조건 판정회로(312)가 제어 스위치(311)를 온으로 한다.
또한, 센서 회로(316)를 사용한 경우에는, 제어 스위치(311)를 온으로 하는 조건으로, 센서 회로(316)에서의 출력 신호를 가할 수 있다. 광 센서(316a)를 사용함으로써, 기기가 놓인 공간의 밝기를 조건으로 추가할 수 있다. 조건 판정회로(312)가 센서 회로(316)에서의 출력 신호에 근거하여 공간이 밝다고 판단하고, 또한 전원회로(313)의 출력에 근거하여 전파를 수신하고 있다고 판단했을 때, 제어 스위치(311)를 온으로 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어댑터의 모드 선택 스위치(305)를 사용하여 어댑터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고, 또한 광 센서(316a)를 갖는 센서 회로(316)를 사용함으로써, 점포의 영업 시간이 되면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고, 영업 시간 외에서는, 기기에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정한 공간 내에서 공간이 밝은 상태일 때 전원 제어 시스템이 기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전기제품 양판점 등에서는 손님이 기기를 시험 사용하기 위한 공간(디스플레이 스페이스)에, 본 발명의 전원 제어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영업 시간 내에서만 시험 사용의 기기의 전원이 온으로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 3]
열차, 버스, 항공기 등의 탈것을 이용할 때에는, 페이스메이커 등의 인명에 영향을 미치는 전파를 발생하는 기기의 이용이 제한된다. 휴대전화의 경우에는, 매너 모드로 설정하거나, 전원을 오프로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회의나 영 화 감상, 미술 감상시 등에서는, 메너로서, 휴대전화의 수신 모드를 매너 모드로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를 휴대전화에 실장함으로써, 탈것이나 공공시설 등 특정한 공간에서, 휴대전화를 자동적으로 매너 모드로 설정하는 전원 제어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를 실장한 휴대전화의 분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휴대전화는, 본체(A)(401), 본체(B)(402), 샤시(403), 조작 키(404), 음성입력부(405), 음성출력부(406), 회로기판(407), 표시 패널(A)(408), 표시 패널(B)(409), 경첩(410), 투광성 재료부(411)를 갖는다.
회로기판(407)에는, 전원의 공급과 수신 모드의 전환 등을 제어하는 제어회로(412)와, 스위치 장치(400)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스위치 장치(400)는, 칩 형태로서, 회로기판(407)에 부품으로서 설치하기 쉬운 형태로 되어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스위치 장치(400)의 블록 회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위치 장치(400)는 조건 판정회로(422), 전원회로(423), 안테나(424a)를 갖는 전파 수신회로(424), 보조 전원(425) 및 센서 회로(426)를 갖는다.
도 6의 스위치 장치(4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은, 도 1의 스위치 장치(100)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의 스위치 장치(100)와 다른 점은, 조건 판정회로(422)의 출력이 휴대전화의 제어회로(412)에 접속되어 있는 점이다.
휴대전화를 강제적으로 매너 모드로 설정하고 싶은 공간에 전파 수신회로(424)에서 수신할 수 있는 특정 대역의 전파를 송신하는 전파 송신장치를 배치함 으로써, 휴대전화의 전원 제어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차나, 버스, 항공기, 열차 등의 탈것, 병원, 미술관, 영화관 등의 공공 시설, 및 회의실과 같은 휴대전화의 착신음을 울리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공간에, 전파 송신장치를 설치한다.
휴대전화의 전파 수신회로(424)에서 특정 대역의 전파를 수신하면, 전원회로(423)에서 전력이 생성된다. 조건 판정회로(422)에서, 전원회로(423)에서 전력이 생성되어 있는 것이 검출되면, 조건 판정회로(4222)가 휴대전화를 매너 모드로 이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휴대전화의 제어회로(412)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특정한 공간 내에서, 휴대전화를 강제적으로 매너 모드에 이행시킬 수 있다. 이때, 매너 모드로 이행시키는 대신에, 휴대전화의 전원이 끊어지도록 제어해도 된다.
전파 수신회로(424)에서 특정 대역의 전파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원회로(423)에서 전력이 생성되지 않는다. 조건 판정회로(422)가 전원회로(423)에서 전력이 생성되지 않고 있는 것을 검출하면, 조건 판정회로(422)는 매너 모드를 해제하거나 또는 전원을 온으로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달리, 전력이 조건 판정회로(422)에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조건 판정회로(422)에서 신호를 출력시키지 않을 때에는, 제어회로(412)가 휴대전화의 수신 모드 및 전력을 제어한다.
센서 회로(426)에 가속도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운행하고 있는 탈것 내에 휴대전화가 있는 것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가속도 센서가 일정 기간 가속도를 검출할 경우, 조건 판정회로(422)에서, 운행하고 있는 탈것 내에 휴대전화가 놓여 있다고 판정한다. 이 경우, 조건 판정회로(422)에서는, 전파를 수신하고 있는지 아닌지, 및 가속도 센서에서 가속도를 일정 기간 검출되는지 아닌가를 판정한다. 전파를 수신하고, 또한 센서 회로(426)에서 가속도가 검출되었을 경우, 휴대전화를 매너 모드로 하거나, 또는 전원을 오프하기 위한 신호를, 조건 판정회로(422)에서 제어회로(412)에 출력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전화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전파를 발생하는 각종의 전자기기,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 휴대 게임기, 휴대형의 음악 재생기, 화상 재생기 등에, 본 실시예의 스위치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스위치 장치를 적용함으로써, 특정한 공간 내에서는, 각종의 전자기기의 전원을 자동적으로 오프하여, 전원이 온이 되지 않도록 한다. 그 공간의 밖에서는, 이용자가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기기의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전자기기의 전파에 의해 페이스메이커나 비행기의 전자기기 등 인명에 영향을 주는 전자기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출원은 2006년 12월 27일자 일본국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 2006-353281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때 이 출원의 전체 내용은 참조용으로 본 출원에 포함된다.
(참조부호의 설명)
100: 스위치 장치, 102: 전원, 103: 기기에 삽입되어 있는 회로, 104: 전파 송신장치, 104a: 안테나, 105: 수동 스위치, 111: 제어 스위치, 112: 조건 판정회로, 114: 전파 수신회로, 114a: 안테나, 115: 보조 전원, 116: 센서 회로, 200: 완구, 201: 수납 박스, 300: 스위치 장치, 302: 플러그, 303: 플러그 소켓, 305: 모드 선택 스위치, 311: 제어 스위치, 312: 조건 판정회로, 314: 전파 수신회로, 314a: 안테나, 316: 센서 회로, 316a: 광 센서, 400: 스위치 장치, 401: 본체(A), 402: 본체(B), 403: 샤시, 404: 조작 키, 405: 음성 입력부, 406: 음성 출력부, 407: 회로기판, 408: 표시 패널(A), 409: 표시 패널(B), 410: 경첩, 411: 투광성 재료부, 412: 제어회로, 422: 조건 판정회로, 424: 전파 수신회로, 424a: 안테나, 425: 보조 전원, 426: 센서 회로

Claims (17)

  1. 회로를 갖는 기기에 삽입되는 스위치 장치로서,
    전파를 수신하는 전파 수신회로와,
    상기 전파 수신회로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전파로부터 전력을 생성하는 전원회로와,
    센서 회로와,
    상기 전원회로에서의 상기 전력의 생성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따른 출력 신호와 상기 센서 회로의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판정회로와,
    상기 판정회로의 상기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회로와 전원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을 온/오프하는 스위치와,
    상기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전원회로에 의해 충전되는 보조 전원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회로의 출력은 상기 판정회로에 기능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전원회로 또는 상기 보조 전원이 상기 센서 회로, 상기 판정회로, 및 상기 스위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스위치 장치와,
    상기 스위치 장치를 거쳐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회로를 갖는 전자기기로서,
    상기 스위치 장치가,
    전파를 수신하는 전파 수신회로와,
    상기 전파 수신회로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전파로부터 전력을 생성하는 전원회로와,
    센서 회로와,
    상기 전원회로에서의 상기 전력의 생성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따른 출력 신호와 상기 센서 회로의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판정회로와,
    상기 판정회로의 상기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회로와 상기 전원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을 제어하는 스위치와,
    상기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전원회로에 의해 충전되는 보조 전원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회로의 출력은 상기 판정회로에 기능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판정회로가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상기 전원회로 또는 상기 보조 전원이 상기 센서 회로, 상기 판정회로, 및 상기 스위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자기기.
  5. 삭제
  6. 삭제
  7. 회로를 갖는 기기에 삽입되는 스위치 장치와,
    전파를 송신하는 전파 송신장치를 갖는 전원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스위치 장치가,
    상기 전파를 수신하는 전파 수신회로와,
    상기 전파 수신회로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전파로부터 전력을 생성하는 전원회로와,
    센서 회로와,
    상기 전원회로에서의 상기 전력의 생성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따른 출력 신호와 상기 센서 회로의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판정회로와,
    상기 판정회로의 상기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회로와 전원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을 온/오프하는 스위치와,
    상기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전원회로에 의해 충전되는 보조 전원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회로의 출력은 상기 판정회로에 기능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전원회로 또는 상기 보조 전원이 상기 센서 회로, 상기 판정회로, 및 상기 스위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제어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097013766A 2006-12-27 2007-12-17 스위치 장치 및 전원 제어 시스템 KR1015885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353281 2006-12-27
JP2006353281 2006-12-27
PCT/JP2007/074615 WO2008078665A1 (en) 2006-12-27 2007-12-17 Switch device and power supply control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011A KR20090104011A (ko) 2009-10-05
KR101588579B1 true KR101588579B1 (ko) 2016-01-26

Family

ID=39562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3766A KR101588579B1 (ko) 2006-12-27 2007-12-17 스위치 장치 및 전원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5) US7939972B2 (ko)
EP (1) EP2067373B1 (ko)
JP (1) JP5160213B2 (ko)
KR (1) KR101588579B1 (ko)
WO (1) WO20080786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00355B2 (ja) 2006-12-22 2012-12-1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温度制御装置
JP5312810B2 (ja) * 2007-01-19 2013-10-0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充電装置
JP2009087928A (ja) * 2007-09-13 2009-04-23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
EP2222018A1 (en) * 2009-02-24 2010-08-25 Alcatel Lucent A method of centralized ethernet network shutdown
US9601947B2 (en) * 2012-05-18 2017-03-21 Everett Ogden Seismically responsive utilities control system with occupancy activation mechanism
JP6215129B2 (ja) * 2014-04-25 2017-10-18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20160138301A1 (en) * 2014-11-14 2016-05-19 The Boeing Company Self-contained electronic stowage bin system
KR101660693B1 (ko) 2014-11-26 2016-09-28 (주) 오토이노텍 전원제어장치
CN105490394B (zh) * 2015-12-16 2017-10-27 浙江大学 基于声波的无线能量与信息传送装置
CN105526965A (zh) * 2015-12-28 2016-04-27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二十六研究所 一种低功耗馆藏文物保存环境监测节点
CN108155688B (zh) * 2017-12-26 2021-04-20 中国航发四川燃气涡轮研究院 一种双电源便携式点焊装置
CN108321709B (zh) * 2018-01-09 2022-05-13 国网山东省电力公司滨州供电公司 一种封闭式高压开关柜柜内观测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93374A1 (en) * 2003-10-31 2005-05-05 Timothy Connors Controlling power supplied to a circuit using an externally applied magnetic field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3155A (ja) 1983-09-01 1985-03-26 バクスター、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自動復膜潅流装置
JP2720352B2 (ja) 1989-08-21 1998-03-04 王子製紙株式会社 マルチング用ボード
US5300875A (en) 1992-06-08 1994-04-05 Micron Technology, Inc. Passive (non-contact) recharging of secondary battery cell(s) powering RFID transponder tags
JPH06237490A (ja) 1993-02-10 1994-08-23 Sanyo Silicon Denshi Kk 電源コンセント装置
JP3536352B2 (ja) * 1994-05-31 2004-06-07 ソニー株式会社 電源装置
JP3080028B2 (ja) 1997-02-28 2000-08-21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2000196715A (ja) * 1998-12-25 2000-07-14 Nec Corp 携帯電話端末装置および方法
JP2001068273A (ja) 1999-08-31 2001-03-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装置
GB9920615D0 (en) 1999-09-02 1999-11-03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Battery economising in a communications system
US6967974B1 (en) * 1999-09-30 2005-11-22 Andrzej Partyka Transmission of urgent messages in telemetry system
JP3298629B2 (ja) * 1999-10-21 2002-07-02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装置およびデータ通信方法
US7369635B2 (en) * 2000-01-21 2008-05-06 Medtronic Minimed, Inc. Rapid discrimination preamble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JP2001218280A (ja) 2000-02-02 2001-08-10 Sony Corp 電子機器の電源装置
JP2002044882A (ja) * 2000-07-27 2002-02-08 Funai Electric Co Ltd コンセント装置、及び、電源管理システム
JP2002112349A (ja) * 2000-10-03 2002-04-12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携帯端末
JP2002186021A (ja) * 2000-12-08 2002-06-28 Nec Corp 電源制御機能付き携帯電話機とその制御方法
JP3080028U (ja) * 2001-03-05 2001-09-14 リーベックス株式会社 非常照明燈
JP2003032746A (ja) * 2001-07-16 2003-01-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ナーモード付き携帯型情報端末装置
JP2003087399A (ja) * 2001-09-10 2003-03-20 Toshiba Electronic Systems Co Ltd 無線送受信装置及び無線送受信システム
US20040098068A1 (en) 2002-06-28 2004-05-20 Rafael Carbunaru Chair pad charging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a battery-powered microstimulator
JP2004356937A (ja) * 2003-05-29 2004-12-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無線リモコンシステム
US7737658B2 (en) 2003-10-27 2010-06-15 Sony Corporation Battery packs having a charging mode and a discharging mode
CN100438271C (zh) * 2004-01-30 2008-11-26 株式会社瑞萨科技 半导体集成电路器件和使用它的非接触式ic卡以及便携式信息终端
JP4611093B2 (ja) 2004-05-12 2011-01-12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電波発電回路
JP2006025069A (ja) * 2004-07-07 2006-01-26 Hitachi Ltd 機器制御装置及び電気機器
JP2006067365A (ja) * 2004-08-27 2006-03-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通信制限システム、通信制限方法、移動体通信端末、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6094395A (ja) * 2004-09-27 2006-04-06 Aruze Corp 携帯電話端末
JP2006229654A (ja) * 2005-02-18 2006-08-31 Nec Saitama Ltd 携帯型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93374A1 (en) * 2003-10-31 2005-05-05 Timothy Connors Controlling power supplied to a circuit using an externally applied magnetic fiel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160213B2 (ja) 2013-03-13
EP2067373B1 (en) 2017-11-22
US9847199B2 (en) 2017-12-19
EP2067373A4 (en) 2013-10-23
US7939972B2 (en) 2011-05-10
WO2008078665A1 (en) 2008-07-03
US9984844B2 (en) 2018-05-29
JP2008182685A (ja) 2008-08-07
US20150189597A1 (en) 2015-07-02
US20110210623A1 (en) 2011-09-01
US20160358734A1 (en) 2016-12-08
US20120146428A1 (en) 2012-06-14
US20080157606A1 (en) 2008-07-03
US8125107B2 (en) 2012-02-28
US9100195B2 (en) 2015-08-04
KR20090104011A (ko) 2009-10-05
EP2067373A1 (en) 200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8579B1 (ko) 스위치 장치 및 전원 제어 시스템
US8003886B1 (en) Light switch assembly
US8947043B2 (en) Light with integrated inductive charger base station
US7273983B1 (en) Light switch assembly
US20240053145A1 (en) Device for emitt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and/or sound waves
US20120106141A1 (en) Graphic light module for use with portable device
CN104424082B (zh) 信息处理的方法及电子设备
JP2000137551A (ja) 端末装置
JPH0514978A (ja) リモコン装置
US20070049241A1 (en) Remote controller device having a multi-function module that facilitates location of a wireless user-operated module
CN115476759A (zh) 一种通过无线网络控制的氛围灯系统
JP6969804B2 (ja) スマート表示マット
US20040204196A1 (en) Cellular telephone lighting system and method
AU2019100181A4 (en) An electronic apparatus for remotely controlling wall switches.
CN211902654U (zh) 一种应急无线充电台灯
CN218661576U (zh) 一种通过无线网络控制的氛围灯系统
CN216852456U (zh) 照明系统
US11067268B1 (e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battery powered nightlight within a lighted mirror
CN106094413A (zh) 一种便携式多功能投影装置
KR10101136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3777905A (zh) 一种电子时钟
CA3226461A1 (en) Outdoor speaker system
CN204989889U (zh) 一种汽车后备箱遥控开启控制器
CN111200301A (zh) 能分离的充电板
JPH10304577A (ja) 電池パ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1226

Effective date: 201509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