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1079B1 - 고속 기동이 가능한 상태로 이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고속 기동이 가능한 상태로 이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1079B1
KR101581079B1 KR1020120064352A KR20120064352A KR101581079B1 KR 101581079 B1 KR101581079 B1 KR 101581079B1 KR 1020120064352 A KR1020120064352 A KR 1020120064352A KR 20120064352 A KR20120064352 A KR 20120064352A KR 101581079 B1 KR101581079 B1 KR 101581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switch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4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9589A (ko
Inventor
료따로 오꾸조노
겐지 하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39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9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80Details relating to power supplies, circuits boards, electrical connec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3/00Power drives for actions or mechanisms
    • B41J23/32Electromagnetic power drives, e.g. applied to key le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는 전원 스위치가 오프 조작되었을 때 좀 더 짧은 시간에 빠른 기동이 가능한 상태로 이행될 수 있다. 전원 스위치의 오프 조작이 검지되면, 제1 상태가 저장되고, 그 다음에 전원 스위치의 온 조작이 검지되면, 화상 형성 장치의 상태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1 상태로 복귀될 수 있는 제2 상태로 이행된다. 화상 형성 장치의 상태가 제2 상태로 이행될 때, 시간 계측이 개시된다. 전원 스위치의 온 조작이 제2 상태에서 검지되면, 시간 계측값이 취득된다. 화상 형성 장치는 시간 계측값에 따라 저장되어 있는 제1 상태로 복귀된다.

Description

고속 기동이 가능한 상태로 이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기억 매체{IMAGE FORMING APPARATUS THAT SHIFTS TO STATE WHERE QUICK ACTIVATION IS POSSIBLE,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기억 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 스위치가 오프 조작되었을 때, 장치의 고속 기동이 가능한 상태로 이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처리 장치는 다수의 기능을 구비하게 되었기 때문에 유저가 전원 스위치를 조작하고나서 실제로 조작할 수 있게 될 때까지의 시간이 길다고 말하는 문제를 겪게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저가 전원 스위치를 오프 조작했을 때에, 현재의 동작 상태와 동일한 동작 상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실행 중인 프로그램 등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서스펜드(suspend)"(서스펜드 모드)라고 불리는 기능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유저가 전원 스위치를 온 조작했을 때에, 직전의 종료 시점에서의 동작 상태에서 장치를 기동하는, 즉, 장치를 종료 시점 직전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레쥼(resume)"이라고 불리는 기능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상술한 서스펜드 기능에 따르면, 정상적인 동작 모드의 화상 형성 장치는 동작을 중지시키기 직전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화상 형성 장치의 각 부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서스펜드 모드로 이행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레쥼 기능에 따르면, 서스펜드 모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서스펜드 모드로 이행하기 직전의 상태에서 정상적인 동작 모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디지털 복합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는 고속 기동이 가능하게 되고, 신속하게 종료 직전의 동작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서스펜드 모드를 전원 스위치의 오프 조작시에 이용하면, 화상 형성 장치가 메모리 리크(memory leak), 부정 조작 처리 등에 기인해서 돌발적으로 정상 동작을 행할 수 없을 경우, 전원 스위치를 오프 조작해도 재기동 처리가 실행되지 않고 정상 동작 불능 상태로부터 복귀할 수 없게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불편함에 대처하기 위해, 전원 스위치의 오프 조작시에, 화상 형성 장치의 운영시스템(OS)을 한번 종료하고나서 재기동을 행한 후에, 서스펜드 모드에 들어간다고 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7-293806호 참조).
이러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OS의 재기동이 행해지기 때문에, 메모리는 깨끗한 상태로 되고, 예를 들면, 메모리 리크로 인한 정상 동작 불능 상태가 해소된 상태에서 서스펜드 모드로 이행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전원 스위치의 오프 조작시에, 화상 형성 장치가 OS의 종료를 실행하고나서 재기동을 행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전원 스위치를 오프할 때마다 종료 동작과 재기동 동작이 발생하게 되어, 서스펜드 모드로 이행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원 스위치가 오프 조작되었을 때에, 화상 형성 장치가 보다 짧은 시간에 고속 기동될 수 있는 상태로 이행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기억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에서는, 유저에 의해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온 조작 또는 오프 조작이 가능한 전원 스위치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되며, 이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 조작이 검지되면,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 조작이 검지되었을 때의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제1 상태를 저장하고, 그 다음에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온 조작이 검지되었을 때,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제1 상태로 복귀될 수 있는 제2 상태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태를 이행하는 이행 유닛, 상기 이행 유닛에 의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태가 상기 제2 상태로 이행되면 시간 계측을 개시하도록 구성된 타이머 유닛,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온 조작이 검지되면, 상기 타이머 유닛에 의해 계측된 시간 계측값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취득 유닛, 및 상기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된 시간 계측값에 따라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상기 제1 상태로 복귀시키는 기동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양상에서는, 유저에 의해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온 조작 또는 오프 조작이 가능한 전원 스위치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되며, 이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 조작이 검지되면, 현재의 타이머 값을 제1 타이머 값으로서 취득하도록 구성된 제1 타이머 값 취득 유닛, 상기 제1 타이머 값 취득 유닛에 의해 상기 제1 타이머 값이 취득되면,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 조작이 검지되었을 때의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제1 상태를 저장하고, 그 다음에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온 조작이 검지 되었을 때,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제1 상태로 복귀될 수 있는 제2 상태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태를 이행하는 이행 유닛,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온 조작이 검지되고나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태가 상기 제2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상태로 복귀했을 때에 현재의 타이머 값을 제2 타이머 값으로서 취득하도록 구성된 제2 타이머 값 취득 유닛, 및 상기 제1 타이머 값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된 상기 제1 타이머 값 및 상기 제2 타이머 값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된 상기 제2 타이머 값에 따라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재기동하도록 구성된 재기동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양상에서는, 유저에 의해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온 조작 또는 오프 조작이 가능한 전원 스위치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되며, 이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 조작이 검지되고나서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온 조작이 검지될 때까지 경과한 시간을 계측하도록 구성된 계측 유닛, 및 상기 계측 유닛에 의해 계측된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 이하일 때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재기동하도록 구성된 재기동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양상에서는, 유저에 의해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온 조작 또는 오프 조작이 가능한 전원 스위치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 조작이 검지되면,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 조작이 검지되었을 때의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제1 상태를 저장하고, 그 다음에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온 조작이 검지되었을 때,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제1 상태로 복귀될 수 있는 제2 상태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태를 이행하는 스텝,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태가 상기 제2 상태로 이행되면, 시간 계측을 개시하는 스텝,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온 조작이 검지되면, 상기 계측된 시간 계측값을 취득하는 스텝, 및 상기 취득된 시간 계측값에 따라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상기 제1 상태로 복귀시키는 스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 양상에서는, 유저에 의해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온 조작 또는 오프 조작이 가능한 전원 스위치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 조작이 검지되면, 현재의 타이머 값을 제1 타이머 값으로서 취득하는 스텝, 상기 제1 타이머 값이 취득되면,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 조작이 검지되었을 때의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제1 상태를 저장하고, 그 다음에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온 조작이 검지되었을 때,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제1 상태로 복귀될 수 있는 제2 상태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태를 이행하는 스텝,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온 조작이 검지되고나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태가 상기 제2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상태로 복귀했을 때 현재의 타이머 값을 제2 타이머 값으로서 취득하는 스텝, 및 상기 제1 타이머 값 및 상기 제2 타이머 값에 따라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재기동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6 양상에서는, 유저에 의해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온 조작 또는 오프 조작이 가능한 전원 스위치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컴퓨터가 실행하게 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 매체가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 조작이 검지되면,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 조작이 검지되었을 때의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제1 상태를 저장하고, 그 다음에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온 조작이 검지되었을 때,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제1 상태로 복귀될 수 있는 제2 상태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태를 이행하는 스텝,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태가 상기 제2 상태로 이행되면, 시간 계측을 개시하는 스텝,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온 조작이 검지되면, 상기 계측된 시간 계측값을 취득하는 스텝, 및 상기 취득된 시간 계측값에 따라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상기 제1 상태로 복귀시키는 스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7 양상에서는, 유저에 의해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온 조작 또는 오프 조작이 가능한 전원 스위치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컴퓨터가 실행하게 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 매체가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 조작이 검지되면, 현재의 타이머 값을 제1 타이머 값으로서 취득하는 스텝, 상기 제1 타이머 값이 취득되면,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 조작이 검지되었을 때의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제1 상태를 저장하고, 그 다음에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온 조작이 검지되었을 때,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제1 상태로 복귀될 수 있는 제2 상태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태를 이행하는 스텝,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온 조작이 검지되고나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태가 상기 제2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상태로 복귀했을 때 현재의 타이머 값을 제2 타이머 값으로서 취득하는 스텝, 및 상기 제1 타이머 값 및 상기 제2 타이머 값에 따라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재기동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 스위치가 오프 조작되었을 때에, 화상 형성 장치가 보다 짧은 시간에 고속 기동될 수 있는 상태로 이행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기억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다음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MFP 컨트롤러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의 전원 컨트롤러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의 MFP 컨트롤러에 의해 실행되는 기동 제어 처리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원 컨트롤러 및 CPU 유닛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MFP 컨트롤러에 의해 실행되는 기동 제어 처리의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은 실시 형태들을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이하, "MFP(multifunction peripheral)"이라 칭함)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MFP(100)는 카피 기능, 프린터 기능, 스캐너 기능 등과 같은 복합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MFP 컨트롤러(12)는 MFP(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린터부(13)는 예를 들면, 전자 사진 방식에 의해 화상 처리를 행한다. 스캐너부(11)는 원고로부터 광학적으로 화상을 판독하여 판독된 화상을 디지털 화상으로 변환한다.
전원부(10)는 각각의 컨트롤러에 전원을 공급한다. 조작부(15)는 MFP(100)를 조작한다. 전원 스위치부(14)는 유저가 전원의 온/오프를 조작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MFP(100)의 전원상태를 제어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해, 카피 기능, 프린터 기능, 스캐너 기능 등을 갖는 MFP가 구성된다. 프린터부(13)의 기록 방식은 시트 형상의 기록 매체(예를 들면, 기록지)의 양면에 화상 처리를 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전자 사진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기록 방식, 예를 들면, 잉크제트 방식이나 열전사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도 2는 도 1에서의 MFP 컨트롤러(12)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한 구성 요소의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되어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원 컨트롤러(23)는 전원 스위치부(14)가 온 또는 오프 조작된 것을 CPU 유닛(27)에 인터럽트로서 통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전원 컨트롤러(23)는 MFP(100)의 동작 모드를 전력 절약화 모드로 이행시에 각 컨트롤러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동작과, 동작 모드가 전력 절약화 모드로부터 복귀시에 각 컨트롤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동작과 같은 제어 동작을 행한다.
리세트부(24)는 전원 컨트롤러(23)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CPU 유닛(27) 및 시스템 전체에 대하여 리세트를 발행하고, CPU 유닛(27)에 재기동 처리를 실행시키는 리세트 컨트롤러이다. FET(field effect transistor)(20)는 전원계 B(21)로의 전원 공급을 온 및 오프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CPU 유닛(27)은 MFP(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부(25)는 DDR SDRAM(double-data-rate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이다.
화상 처리부(28)는 스캐너부(11)로부터의 데이터를 압축하고, CPU 유닛(27)에 의해 처리된 화상 데이터를 프린터부(13)로 전달하는 것과 같은 처리를 행하는 컨트롤러이다. 기억 장치(26)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와 같은 외부 기억 장치이다.
다음으로, MFP 컨트롤러(12)의 전원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소비 전력이 정상 상태보다도 낮고, 기동 시간이 고속인 상태에 MFP(100)가 놓여지도록 메모리에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서스펜드 방식을 적용했을 경우를 나타냈지만, 하이버네이션(hibernation) 방식과 같은 다른 적절한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MFP(100)는 전원 스위치부(14)의 오프 조작이 검지 되면, 오프 조작이 검지되었을 때 MFP(100)의 제1 상태를 저장한다. 다음으로, MFP(100)는 전원 스위치(14)의 조작이 다음에 검지되었을 때 MFP(100)가 제1 상태로 복귀될 수 있는 제2 상태로 이행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 제1 상태는 정상 상태이고, 제2 상태는 서스펜드 상태이다. 또한, 서스펜드 상태에서의 MFP(100)의 소비 전력량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정상 상태에서의 MFP(100)의 소비 전력량보다 작다.
전원계 A(22)는 전원 컨트롤러(23), 리세트부(24), 메모리부(25) 및 CPU 유닛(27)의 일부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계 A(22)에 공급된 전원은 MFP(100) 전체의 전원 상태를 관리하고 MFP(100)의 동작 모드가 전력 절약화 모드로부터 복귀되는 것을 실현하기 위해서, 어느 전력 절약화 모드에서도 차단되지 않는다.
전원계 B(21)는 CPU 유닛(27), 화상 처리부(28), 기억 장치(26) 등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계 B(21)에 의한 전원의 차단 및 공급의 제어는 전원 컨트롤러(23)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신호를 통해서 FET(20)를 제어함으로써 실현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도 3은 도 2에서의 전원 컨트롤러(23)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원 상태 관리부(30)는 전원 스위치부(14)의 오프 조작을 검지하고, 인터럽트 신호(34)를 통해 CPU 유닛(27)에 전원 스위치부(14)의 상태를 통지한다.
인터럽트 신호(34)에 의해 전원 스위치부(14)의 상태가 통지되었을 때, CPU 유닛(27)은 MFP(100)의 소비 전력이 정상 상태보다도 낮고, 고속 기동이 수행될 수 있는 상태인 서스펜드 상태로 이행하기 위한 처리(이하, "서스펜드 상태 이행 처리"라고 칭함)를 실행한다.
서스펜드 상태 이행 처리 종료후, CPU 유닛(27)은 서스펜드 처리 종료 신호(36)에 의해, 전원 컨트롤러(23)에 서스펜드 상태 이행 처리가 종료한 것을 통지한다.
전원 상태 관리부(30)는 서스펜드 처리 종료 신호(36)가 수신되면, FET 제어 신호(35)를 통해서 FET(20)를 제어하여, 전원계 B(21)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한편, 전원 상태 관리부(30)는 전원 스위치부(14)의 온 조작을 검지한 경우에는 FET 제어 신호(35)를 통해 FET(20)를 제어하여, 전원계 B(21)로의 전원 공급을 개시한다.
타이머부(31)는 전원 스위치부(14)의 오프 조작후, 서스펜드 상태 이행 처리가 종료한 시점으로부터 시간 계측을 개시한다. OFF 시간 감시부(32)는 전원 스위치부(14)의 오프 상태의 기간을 측정하고, MFP(100)가 서스펜드 상태로부터 복귀되도록 전원 스위치부(14)를 온시킨 시점의 타이머부(31)의 타이머 값을 취득한다.
OFF 시간 감시부(32)는 취득한 타이머 값이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MFP(100)가 정상 동작을 수행할 수 없게 되었고, 유저가 MFP(100)를 재기동시키기 위해 전원 스위치부(14)를 조작했다고 판단한다.
다음으로, OFF 시간 감시부(32)는 리세트부(24)를 통해 CPU 유닛(27)을 포함하는 하드웨어에 시스템 리세트를 발행하여, CPU 유닛(27)이 재기동 처리로 이행되게 한다.
한편, 취득된 타이머 값이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OFF 시간 감시부(32)는 재기동 처리를 행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고, 전원 스위치부(14)가 온 조작된 것을 레쥼 신호(37)에 의해 CPU 유닛(27)에 통지한다.
레쥼 신호(37)를 수신시, CPU 유닛(27)은 MFP(100)가 서스펜드 상태로부터 복귀하게 하는 레쥼 처리를 실행하여, MFP(100)를 정상 상태로 복귀시킨다.
도 4는 도 1에서의 MFP 컨트롤러(12)에 의해 실행되는 기동 제어 처리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유저가 전원 스위치부(14)를 오프 조작한 것을 검지시, 전원 컨트롤러(23)는 인터럽트 신호(34)를 CPU 유닛(27)에 송신한다. CPU 유닛(27)은 인터럽트 신호(34)를 수신하고, 서스펜드 상태 이행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401). 이 스텝 S401은 이행 유닛의 동작에 대응한다.
서스펜드 상태로 이행된 후, CPU 유닛(27)은 서스펜드 처리 종료 신호(36)를 전원 컨트롤러(23)에 송신한다. 전원 컨트롤러(23)는 서스펜드 처리 종료 신호(36)가 수신되면, 전원계 B(21)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서스펜드 상태로 이행시키고, 이와 함께, 타이머부(31)가 시간 계측을 개시한다(스텝 S402). 이 스텝 S402은 타이머 유닛의 동작에 대응한다.
전원 스위치부(14)가 온 조작된 것을 검지시(스텝 S403에서의 예), 전원 컨트롤러(23)는 전원계 B(21)로의 전원 공급을 개시하고, 시간 계측값 t를 취득한다(스텝 S404). 이 스텝 S404은 취득 유닛의 동작에 대응한다.
다음으로, 전원 컨트롤러(23)가 시간 계측값 t가 미리 정해진 시간 T에 대응하는 값 T 이하인지를 판정한다(스텝 S405). 스텝 S405에서, 시간 계측값 t≤값 T라고 판정되면(스텝 S405에서의 예), 전원 컨트롤러(23)는 리세트부(24)를 통해 시스템 리세트를 발행하고, CPU 유닛(27)은 재기동 처리를 실행하고(스텝 S406), 본 처리를 종료한다. 재기동 처리 종료 후에, MFP(100)는 정상 상태로 복귀한다.
한편, 스텝 S405에서, 시간 계측값 t>값 T라고 판정되면(스텝 S405에서의 아니오), 전원 컨트롤러(23)는 레쥼 신호(37)를 CPU 유닛(27)에 송신하고, CPU 유닛(27)은 레쥼 처리를 실행하고(스텝 S407), 본 처리를 종료한다. 레쥼 처리 종료 후에, MFP(100)는 정상 상태로 복귀한다. 상술한 스텝 S405 내지 S407은 기동 제어 유닛의 동작에 대응한다.
상술한 미리 정해진 시간 T는 MFP(100)가 서스펜드 상태로부터 정상 상태로 복귀되게 하였을 때에, MFP(100)가 정상 동작 상태에서 동작할 수 있게 되는 시간이다.
소정 시간에 대응하는 값 T는 MFP(100)의 하드웨어 구성 및 소프트웨어 구성과 같은 다양한 조건에 따라 장치마다 상이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실험에 의해, MFP(100)가 정상 동작 상태에서 동작할 수 있게 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미리 결정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에 대응하는 값 T는 실험적으로 결정된 시간을 이용하여 설정된다.
도 4에 나타낸 기동 제어 처리에 따르면, 취득된 시간 계측값 t에 따라 MFP(100)를 재기동시키거나 저장된 정상 상태로 복귀시킨다. 구체적으로, 시간 계측값 t이 미리 정해진 시간에 대응하는 값 T 이하일 때에, MFP(100)는 재기동되고 저장된 정상 상태로 복귀되게 된다.
그 결과, 전원 스위치부(14)가 오프 조작되었을 때, MFP(100)는 항상 재기동 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짧은 시간에 고속 기동이 가능한 상태로 이행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 도 3에서 나타낸 전원 컨트롤러(23)에, 타이머부(31) 및 OFF 시간 감시부(32)와 같은 전용 지능형 하드웨어를 장착할 필요가 있다. 이하에 설명하는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하드웨어 대신에, 소프트웨어를 이용함으로써 제1 실시 형태에 의해 제공된 것과 동등한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와는 전원 컨트롤러(23), 전원계 A(22) 및 CPU 유닛(27)에 각각 대응하는 전원 컨트롤러(23'), 전원계 A(22') 및 CPU 유닛(27')의 구성이 구별되기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할 것이며,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MFP)(100)의 전원 컨트롤러(23') 및 CPU 유닛(27')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에서 도 3과 다른 점은 도 3에서의 타이머부(31) 및 OFF 시간 감시부(32)가 제외되어 있고, 전원 컨트롤러(23')는 전원 상태 관리부(30)만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또한, 리세트부(24)는 CPU 유닛(27')과만 정보를 교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CPU 유닛(27')은 CPU(42), 백업 전지(43), 스위치(44) 및 RTC(39)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원 상태 관리부(30)는 전원 스위치부(14)의 오프 조작을 검지하고, 인터럽트 신호(34)에 의해 CPU(42)에 전원 스위치부(14)의 상태를 통지한다.
인터럽트 신호(34)에 의해 전원 스위치부(14)의 상태가 통지될 때, CPU(42)는 소비 전력이 정상 상태보다도 낮고, 고속 기동이 수행될 수 있는 상태인 서스펜드 상태로의 이행 처리(서스펜드 상태 이행 처리)를 실행한다.
서스펜드 상태 이행 처리가 종료된 후, CPU(42)는 서스펜드 처리 종료 신호(36)에 의해 전원 컨트롤러(23')에 서스펜드 상태 이행 처리가 종료한 것을 통지한다.
전원 상태 관리부(30)는 서스펜드 처리 종료 신호(36)가 통지되면, FET 제어 신호(35)를 통해서 FET(20)를 제어하여, 전원계 B(21)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전원계 A(22')로의 전원 공급을 계속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서스펜드 방식을 채용하고 있으며, 메모리부(25)가 전원계 A(22')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메모리부(25)가 전력 절약화 상태에서 값을 유지하면서 대기 상태에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실시 형태는 CPU(42)의 동작의 최종 상태가 메모리부(25)에 저장되며, 레쥼 처리 동안 CPU(42)가 최종 상태로 복귀되게 함으로써 MFP(100)가 고속으로 기동할 수 있게 하는 서스펜드 기술을 이용한다.
또한, RTC(39)는 리얼 타임 클럭이라고 불리는 캘린더 IC이며, 이는 현재의 캘린더 정보, 즉 연, 월, 일, 시, 분, 초, 요일의 정보를 레지스터에 갖는다. 이 IC는 통전되어 있는 동안 캘린더 정보를 갱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RTC(39)는 시계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CPU 유닛(27')에 실장된다.
따라서, 전원계 B(21)로의 전원 공급의 차단, 즉 CPU 유닛(27')의 주변 또는 RTC(39)의 전압 강하를 스위치(44)가 검지하면, RTC(39)에 공급된 전압을 백업 전지(43)로부터 공급된 전압으로 전환할 수 있다. 즉, 전원계 B(21)로의 전원이 차단되었을 경우에도, RTC(39)는 캘린더 정보를 계속해서 갱신할 수 있다.
서스펜드 상태에서, 전원 스위치부(14)의 온 조작을 검지한 경우에, 전원 상태 관리부(30)는 FET 제어 신호(35)를 통해 FET(20)를 제어하여, 전원계 B(21)로의 전원 공급을 개시한다. 이와 동시에, 레쥼 신호(37)가 수신된 CPU 유닛(27')은 MFP(100)를 서스펜드 상태로부터 복귀시키기 위한 레쥼 처리를 실행하여, MFP(100)를 정상 상태로 복귀시킨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MFP 컨트롤러(12)에 의해 실행되는 기동 제어 처리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유저가 전원 스위치부(14)를 오프 조작한 것을 검지하면, 전원 컨트롤러(23')는 인터럽트 신호(34)를 CPU(42)에 송신한다. CPU(42)는 인터럽트 신호(34)를 수신하고, 현재 시각 t1을 RTC(39)로부터 취득한다(스텝 S601). 이 현재 시각 t1은 임시적으로 변수로서 메모리부(25)에 기억된다. 이 스텝 S601은 전원 스위치부(14)의 오프 조작이 검지되면, 현재의 타이머 값을 제1 타이머 값(t1)으로서 취득하는 제1 타이머 값 취득 유닛의 동작에 대응한다.
다음으로, CPU 유닛(27')은 서스펜드 상태 이행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602). 서스펜드 상태로 이행된 후, CPU 유닛(27')은 서스펜드 처리 종료 신호(36)를 전원 컨트롤러(23')에 송신한다. 전원 컨트롤러(23')는 서스펜드 처리 종료 신호(36)를 수신하면, 전원계 B(21)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서스펜드 상태로 이행하고, 이와 함께, CPU(42)는 스위치(44)에 의해 백업 전지(43)로부터 RTC(39)로의 전원 공급이 개시되게 한다. 또한, 메모리부(25)는 저전력 상태에서 메모리 값(현재 시각 t1을 포함한다)을 계속해서 기억한다. 상술한 스텝 S602는 현재 시각 t1이 취득되면, 오프 조작이 검지되었을 때 화상 형성 장치의 제1 상태를 기억하고, 그 다음에 전원 스위치(14)의 온 조작이 검지되었을 때 화상 형성 장치가 제1 상태로 복귀가능한 제2 상태로 화상 형성 장치의 상태를 이행하는 이행 유닛의 동작에 대응한다. 제1 상태는 정상 상태에 대응하고, 제2 상태는 서스펜드 상태에 대응한다. 따라서, 제2 상태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소비 전력량은 제1 상태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소비 전력량보다 작다.
전원 스위치부(14)가 온 조작된 것을 검지하면(스텝 S603에서의 예), 전원 컨트롤러(23')는 전원계 B(21)로의 전원 공급을 개시한다(스텝 S604). 또한, 이 때, 전원 컨트롤러(23')는 레쥼 신호(37)를 CPU 유닛(27')에 송신하고, CPU 유닛(27')은 레쥼 처리를 실행하고(스텝 S605), 이로써 MFP(100)는 서스펜드 상태로부터 정상 상태로 복귀되게 된다. 복귀가 완료되면, CPU(42)가 스텝 S602에서의 서스펜드 상태 이행 처리의 실행 전의 상태와 거의 동일한 상태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메모리부(25)에 기억된 현재 시각 t1을 참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CPU(42)는 MFP(100)가 서스펜드 상태로부터 복귀된 직후에 RTC(39)로부터 현재 시각 t2를 취득한다(스텝 S606). 스텝 S606은 전원 스위치의 온 조작이 검지되어, 화상 형성 장치가 제2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 복귀했을 때에 현재의 타이머 값을 제2 타이머 값으로서 취득하는 제2 타이머 값 취득 유닛의 동작에 대응한다.
다음으로, CPU(42)는 서스펜드 상태 처리 실행 전에 취득된 현재 시각 t1과 현재 시각 t2간의 차인, 시간 계측값(t2-t1)을 산출한다(이 동작은 계측 유닛의 동작에 대응한다). 이 시간 계측값(t2-t1)로 표시된 시간은 제1 타이머 값(t1)으로부터 제2 타이머 값(t2)까지 경과한 시간으로서 정의할 수 있다.
RTC(39)는 백업 전지(43)를 이용하여 항상 계속해서 동작하며, 연, 월, 일, 시, 분, 초로서 시간을 취득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 계측값(t2-t1)으로 표시된 시간은 MFP(100)가 서스펜드 상태로 이행하는데 필요한 시간(서스펜드 상태 이행 시간) + 서스펜드 상태의 시간 + MFP(100)가 정상 상태로 복귀하는데 필요한 시간(레쥼 복귀 시간)의 합으로서 취득된다.
다음으로, (t2-t1)≤T'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607). 여기서, T'은 미리 정해진 시간에 대응하는 값을 나타내며, 그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t2-t1)>T'라고 판정되면(스텝 S607에서의 아니오), 본 처리는 즉시 종료된다. 본 처리를 종료한 후에는, 정상 상태가 계속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타이머 값(t1)으로부터 제2 타이머 값(t2)까지 경과한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계측값(t2-t1)이 값 T'보다 클 경우에는, MFP(100)는 재기동되지 않고, 이로써 제1 상태가 계속된다.
한편, (t2-t1)≤T'라고 판정되면(스텝 S607에서의 예), CPU(42)는 MFP(100)의 종료 처리를 행하고, 리세트부(24)에 리세트 신호(41)를 송신함으로써 재기동 처리를 실행하고(스텝 S608), 본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608은 제1 타이머 값(t1)과 제2 타이머 값(t2)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를 재기동하는 재기동 유닛의 동작에 대응한다.
다음으로,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에 대응하는 상술한 값 T'에 대해서 설명한다. 소정 시간은 MFP(100)가 서스펜드 상태로부터 정상 상태로 복귀되었을 때, MFP(100)가 정상 동작 상태에서 동작할 수 있게 되는 시간이다.
제2 실시 형태에서, 시간 측정 계측값(t2-t1)으로 나타낸 시간은 서스펜드 상태 이행 시간 + 레쥼 복귀 시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소정 시간에 대응하는 값 T'로서, 서스펜드 상태 이행 시간 + 레쥼 복귀 시간의 합계를 일부로서 포함하는 시간에 대응하는 고정치를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서스펜드 상태 이행 시간 + 레쥼 복귀 시간의 합계가 충분히 T'보다 작을 경우에는, 이들의 합계는 물론 무시할 수도 있다.
소정 시간에 대응하는 값 T'은 MFP(100)의 하드웨어 구성 및 소프트웨어 구성과 같은 다양한 조건에 따라 장치마다 상이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실험에 의해, MFP(100)가 정상 동작 상태에서 동작할 수 있게 되는 시간을 미리 결정해 놓고, 이미 결정해 놓은 시간을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에 대응하는 값 T'가 설정된다.
도 6에 나타낸 기동 제어 처리에 따르면, MFP(100)는 취득된 시간 계측값 t'에 따라 재기동시키거나 저장되어 있는 정상 상태로 복귀시킨다. 구체적으로, 시간 계측값이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에 대응하는 값 T' 이하일 때, MFP(100)는 재기동시키거나 저장되어 있는 정상 상태로 복귀시킨다.
그 결과, 전원 스위치부(14)의 오프 조작이 행해졌을 때, MFP(100)는 항상 재기동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짧은 시간에 고속 기동이 가능한 상태로 이행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텝 S608에서 차단 동작에서 재기동 동작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시스템의 관점에서 건전한 재기동 방법을 행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에서, 서스펜드 방식을 이용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기 때문에, 메모리부(25)는 전원계 A(22')에 포함되고,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방법이 그대로 하이버네이션 방식에 적용될 수 있다.
하이버네이션 방식에서, 메모리부(25)는 전원계 B(21)에 포함되도록 구성된다. 서스펜드 방식에서, 메모리부(25)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상태에서 전원계 B(21)에 전원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하이버네이션 방식에서는 전원계 B(21)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기 전에 메모리부(25)에 기억된 메모리 값을 기억 장치(26)에 데이터로서 전송한다.
레쥼 처리를 행하기 위해, 기억 장치(26)로부터 메모리부(25)로 데이터가 전송됨으로써, 메모리부(25)에 전원을 계속해서 공급하지 않더라도, 결과적으로 메모리부(25)에 메모리 값이 계속해서 기억되어 있는 것과 같은 상태로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서스펜드 방식에 기억 장치(26)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처리를 부가함으로써, 기억 장치(26)로의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시간만큼 지연된 서스펜드 방식에 의한 동작과 동등한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즉, 현재 시각 t1은 기억 장치(26)에 기억되기 때문에, 제2 실시 형태를 하이버네이션 방식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통상적인 CPU 유닛은 RTC를 포함하고, 전술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통상적인 CPU 유닛의 비용에 새로운 하드웨어에 필요한 비용을 추가하지 않고도 구현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만약 RTC(39)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것과 같이 소규모인 CPU 유닛(27')에 의해 제2 실시 형태를 구현한다고 가정하면, RTC(39)에 필요한 백업 전지(43)는 고가이기 때문에, 이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그 방법은 전원계 A(22')에 의해 구동되는 회로내에 시간을 측정할 수 있고 CPU(42)로부터 액세스가능한 하드웨어 타이머가 제공되고, 도 6에 나타난 기동 제어 처리가 MFP(100)에 적용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 의해, 타이머부의 비용의 증가만으로 제2 실시 형태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상은 메모리 장치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술한 실시 형태(들)의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또는 CPU 또는 MPU와 같은 장치)의 컴퓨터, 및 그 스텝들이 예를 들면, 메모리 장치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술한 실시 형태(들)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메모리 장치로서 기능하는 다양한 타입의 기록 매체(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된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다음 청구범위는 모든 변형, 등가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대한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은 2011년 6월 16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1-134302호, 2012년 1월 30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2-016616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은 참조로서 결합된다.

Claims (29)

  1. 화상 형성 장치로서,
    사용자에 의해 온 조작 또는 오프 조작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된 전원 스위치;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 조작이 검지될 때 획득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 유닛;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 조작이 검지되면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전력 절약화 상태로 이행시키도록 구성된 이행 유닛으로서, 상기 전력 절약화 상태에서의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저장 유닛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력 절약화 상태로부터 복귀할 수 있는 것인, 상기 이행 유닛;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 조작이 검지되는 경우에 시간 계측을 개시하도록 구성된 타이머 유닛; 및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 조작이 검지된 후 미리 정해진 기간 내에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온 조작이 검지되는 경우에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재기동하도록 구성된 기동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 제어 유닛은,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 조작의 검지부터 상기 미리 정해진 기간 후에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온 조작이 검지되는 경우에 상기 저장 유닛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상기 전력 절약화 상태로부터 복귀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절약화 상태에서의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소비 전력량은 상기 오프 조작의 검지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태인 정상 상태에서의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소비 전력량보다 적은, 화상 형성 장치.
  4. 화상 형성 장치로서,
    사용자에 의해 온 조작 또는 오프 조작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된 전원 스위치;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 조작이 검지되면 현재의 타이머 값을 제1 타이머 값으로서 취득하도록 구성된 제1 타이머 값 취득 유닛;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 조작이 검지될 때 획득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 유닛;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 조작이 검지되면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전력 절약화 상태로 이행시키도록 구성된 이행 유닛으로서, 상기 전력 절약화 상태에서의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저장 유닛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력 절약화 상태로부터 복귀할 수 있는 것인, 상기 이행 유닛;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온 조작이 검지되면 현재의 타이머 값을 제2 타이머 값으로서 취득하도록 구성된 제2 타이머 값 취득 유닛; 및
    상기 제1 타이머 값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된 상기 제1 타이머 값으로부터 상기 제2 타이머 값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된 상기 제2 타이머 값까지 경과된 기간이 미리 정해진 기간 이하일 때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재기동하도록 구성된 기동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타이머 값으로부터 상기 제2 타이머 값까지 경과된 기간이 상기 미리 정해진 기간보다 길 때에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재기동하지 않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절약화 상태에서의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소비 전력량은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 조작의 검지 전의 정상 상태에서의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소비 전력량보다 적은, 화상 형성 장치.
  7. 화상 형성 장치로서,
    사용자에 의해 온 조작 또는 오프 조작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된 전원 스위치;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 조작의 검지 후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온 조작의 검지 전까지 경과된 시간을 계측하도록 구성된 계측 유닛; 및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온 조작이 검지되고 상기 계측 유닛에 의해 계측된 상기 시간이 미리 정해진 기간 이하인 경우에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재기동하고,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온 조작이 검지되고 상기 계측 유닛에 의해 계측된 상기 시간이 상기 미리 정해진 기간보다 긴 경우에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 조작이 검지될 때 획득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전원 온 상태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된 재기동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사용자에 의해 온 조작 또는 오프 조작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된 전원 스위치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 조작이 검지될 때 획득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 조작이 검지되면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전력 절약화 상태로 이행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전력 절약화 상태에서의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력 절약화 상태로부터 복귀할 수 있는 것인, 상기 이행시키는 단계;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 조작이 검지되는 경우에 시간 계측을 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 조작이 검지된 후 미리 정해진 기간 내에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온 조작이 검지되는 경우에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재기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9. 사용자에 의해 온 조작 또는 오프 조작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된 전원 스위치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 조작이 검지되면 현재의 타이머 값을 제1 타이머 값으로서 취득하는 단계;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 조작이 검지될 때 획득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 조작이 검지되면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전력 절약화 상태로 이행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전력 절약화 상태에서의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력 절약화 상태로부터 복귀할 수 있는 것인, 상기 이행시키는 단계;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온 조작이 검지되면 현재의 타이머 값을 제2 타이머 값으로서 취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타이머 값으로부터 상기 제2 타이머 값까지 경과된 기간이 미리 정해진 기간 이하일 때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재기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10. 사용자에 의해 온 조작 또는 오프 조작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된 전원 스위치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컴퓨터가 실행하게 하는 컴퓨터 실행가능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 조작이 검지될 때 획득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 조작이 검지되면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전력 절약화 상태로 이행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전력 절약화 상태에서의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력 절약화 상태로부터 복귀할 수 있는 것인, 상기 이행시키는 단계;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 조작이 검지되는 경우에 시간 계측을 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 조작이 검지된 후 미리 정해진 기간 내에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온 조작이 검지되는 경우에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재기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
  11. 사용자에 의해 온 조작 또는 오프 조작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된 전원 스위치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컴퓨터가 실행하게 하는 컴퓨터 실행가능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 조작이 검지되면 현재의 타이머 값을 제1 타이머 값으로서 취득하는 단계;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 조작이 검지될 때 획득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 조작이 검지되면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전력 절약화 상태로 이행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전력 절약화 상태에서의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력 절약화 상태로부터 복귀할 수 있는 것인, 상기 이행시키는 단계;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온 조작이 검지되면 현재의 타이머 값을 제2 타이머 값으로서 취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타이머 값으로부터 상기 제2 타이머 값까지 경과된 기간이 미리 정해진 기간 이하일 때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재기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재기동 유닛은 리세트 커맨드를 발행함으로써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재기동하도록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재기동 유닛은,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온 조작이 검지되고 상기 계측 유닛에 의해 계측된 상기 시간이 상기 미리 정해진 기간보다 긴 경우에,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재기동하지 않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 조작이 검지될 때 획득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기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 유닛; 및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 조작이 검지되는 경우에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전력 절약화 상태로 이행시키도록 구성된 이행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절약화 상태에서의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저장 유닛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력 절약화 상태로부터 복귀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온 조작이 검지되고 상기 계측 유닛에 의해 계측된 상기 시간이 상기 미리 정해진 기간보다 긴 경우에,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상기 전력 절약화 상태로부터 복귀시키도록 구성된 복귀 유닛을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사용자에 의해 온 조작 또는 오프 조작으로 작동하는 전원 스위치를 구비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 조작이 검지되면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를 전력 절약화 상태로 이행시키도록 구성된 이행 유닛; 및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온 조작이 검지되면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를 상기 전력 절약화 상태로부터 복귀시키도록 구성된 복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귀 유닛은,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오프 조작이 검지된 후 미리 정해진 기간 내에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온 조작이 검지되는 경우에,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를 상기 전력 절약화 상태로부터 복귀시킨 후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를 재기동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처리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유닛은,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를 상기 전력 절약화 상태로부터 복귀시킬 때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에 리세트를 발행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를 재기동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처리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유닛은,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를 상기 전력 절약화 상태로부터 복귀시킬 때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를 종료(shut down)한 후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를 재기동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처리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스위치가 오프 상태인 기간을 나타내는 전원 스위치 오프 기간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시간 취득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귀 유닛은, 상기 시간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된 상기 전원 스위치 오프 기간이 상기 미리 정해진 기간보다 짧은 경우에,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를 상기 전력 절약화 상태로부터 복귀시킨 후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를 재기동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처리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현재 시간의 정보를 갖는 타이머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시간 취득 유닛은,
    상기 전원 스위치가 오프 조작되면, 상기 타이머 유닛으로부터의 정보를 제1 타이머 값으로서 취득하고,
    상기 전원 스위치가 온 조작되면, 상기 타이머 유닛으로부터의 정보를 제2 타이머 값으로서 취득하고,
    상기 제1 타이머 값과 상기 제2 타이머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 스위치 오프 기간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처리 장치.
  21. 제16항에 있어서,
    현재 시간의 정보를 갖는 타이머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타이머 유닛으로의 전압은 상기 전력 절약화 상태에서 전지에 의해 공급되는, 데이터 처리 장치.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절약화 상태로 이행하기 전의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 유닛으로의 전력은 상기 전력 절약화 상태에서 공급되는, 데이터 처리 장치.
  23.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사용자에 의해 온 조작 또는 오프 조작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된 전원 스위치;
    상기 전원 스위치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오프 조작되도록 작동되는 경우에,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를 전력 절약화 상태로 이행시키도록 구성된 전력 제어 유닛; 및
    상기 전원 스위치가 오프 조작된 후 상기 전원 스위치가 미리 정해진 기간 내에 온 조작되는 경우에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를 상기 전력 절약화 상태로부터 복귀시킨 후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를 재기동하고, 상기 전원 스위치가 오프 조작된 후 상기 미리 정해진 기간 후에 상기 전원 스위치가 온 조작되는 경우에 상기 전력 절약화 상태로 이행하기 전의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를 상기 전력 절약화 상태로부터 복귀시키도록 구성된 기동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 제어 유닛은,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를 상기 전력 절약화 상태로부터 복귀시킬 때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에 리세트를 발행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를 재기동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처리 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 제어 유닛은,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를 상기 전력 절약화 상태로부터 복귀시킬 때 상기 데이터 종료 장치를 종료한 후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를 재기동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처리 장치.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스위치가 오프 상태인 기간을 나타내는 전원 스위치 오프 기간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시간 취득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동 제어 유닛은, 상기 시간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된 상기 전원 스위치 오프 기간이 상기 미리 정해진 기간보다 짧은 경우에,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를 상기 전력 절약화 상태로부터 복귀시킨 후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를 재기동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처리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현재 시간의 정보를 갖는 타이머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시간 취득 유닛은,
    상기 전원 스위치가 오프 조작되면, 상기 타이머 유닛으로부터의 정보를 제1 타이머 값으로서 취득하고,
    상기 전원 스위치가 온 조작되면, 상기 타이머 유닛으로부터의 정보를 제2 타이머 값으로서 취득하고,
    상기 제1 타이머 값과 상기 제2 타이머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 스위치 오프 기간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처리 장치.
  28. 제23항에 있어서,
    현재 시간의 정보를 갖는 타이머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타이머 유닛으로의 전압은 상기 전력 절약화 상태에서 전지에 의해 공급되는, 데이터 처리 장치.
  29.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절약화 상태로 이행하기 전의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기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유닛으로의 전력은 상기 전력 절약화 상태에서 공급되는, 데이터 처리 장치.
KR1020120064352A 2011-06-16 2012-06-15 고속 기동이 가능한 상태로 이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기억 매체 KR1015810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34302 2011-06-16
JP2011134302 2011-06-16
JPJP-P-2012-016616 2012-01-30
JP2012016616A JP5865096B2 (ja) 2011-06-16 2012-01-30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9589A KR20120139589A (ko) 2012-12-27
KR101581079B1 true KR101581079B1 (ko) 2015-12-30

Family

ID=46513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4352A KR101581079B1 (ko) 2011-06-16 2012-06-15 고속 기동이 가능한 상태로 이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9639045B2 (ko)
EP (1) EP2535772B1 (ko)
JP (1) JP5865096B2 (ko)
KR (1) KR101581079B1 (ko)
CN (1) CN102833445B (ko)
BR (1) BR102012014069B1 (ko)
MY (1) MY159855A (ko)
RU (1) RU2556436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03244B2 (ja) * 2011-06-16 2017-09-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865096B2 (ja) 2011-06-16 2016-02-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906866B2 (ja) * 2012-03-22 2016-04-2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JP6061495B2 (ja) * 2012-05-21 2017-01-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53433B2 (ja) * 2014-02-07 2017-12-27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装置
JP6280397B2 (ja) * 2014-03-04 2018-02-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US9826485B2 (en) * 2015-11-20 2017-11-21 Symbol Technologies, Llc Power source hot swap mode
JP6737013B2 (ja) 2016-07-05 2020-08-0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起動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665735B2 (ja) * 2016-08-31 2020-03-1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737085B2 (ja) 2016-09-06 2020-08-0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045818B2 (ja) 2017-08-09 2022-04-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TWI667569B (zh) 2018-07-20 2019-08-01 技嘉科技股份有限公司 電腦喚醒方法及電腦節電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65806A1 (en) 2008-12-26 2010-07-01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11098561A (ja) 2009-10-05 2011-05-19 Seiko Epson Corp 画像処理装置用コントローラー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6665A (ja) * 1995-10-18 1997-05-02 Canon Inc ファクシミリ装置
US5819013A (en) * 1995-10-18 1998-10-06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a printer controlling recording in accordance with a bilateral record correction valve
US5884122A (en) * 1996-07-10 1999-03-16 Minolta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US5860016A (en) * 1996-09-30 1999-01-12 Cirrus Logic, Inc. Arrangement,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remapping of frame buffers when switching operating modes
JP3484951B2 (ja) * 1996-11-28 2004-01-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JP2000322160A (ja) * 1999-05-10 2000-11-24 Denso Corp データ処理装置
DE10127423B4 (de) * 2001-06-06 2005-10-06 Infineon Technologies Ag Elektronische Schaltung mit Energiesteuerung
JP4296870B2 (ja) * 2003-07-18 2009-07-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KR20050050222A (ko) 2003-11-25 2005-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관리 기능을 갖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장치
JP4419663B2 (ja) * 2004-04-22 2010-02-2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
JP4715255B2 (ja) 2005-03-18 2011-07-0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714546B1 (ko) 2005-10-04 2007-05-07 삼성전기주식회사 동작대기전원의 고속리셋기능을 갖는 전원장치
JP4526499B2 (ja) * 2006-03-08 2010-08-18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起動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245562A (ja) * 2006-03-16 2007-09-27 Seiko Epson Corp 液体噴射装置及び液体噴射装置のクリーニング方法
JP4918350B2 (ja) 2006-03-29 2012-04-18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電源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867475B2 (ja) * 2006-05-31 2012-02-0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101131606A (zh) * 2006-08-23 2008-02-27 乐金电子(昆山)电脑有限公司 掌上电脑的待机时间保证方法
JP4930051B2 (ja) * 2006-12-28 2012-05-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ステータスモニタプログラム
JP5058669B2 (ja) * 2007-05-08 2012-10-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RU69691U1 (ru) * 2007-06-22 2007-12-2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Россий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космического приборостроения" Моб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JP5207792B2 (ja) * 2008-02-19 2013-06-1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5328445B2 (ja) * 2008-05-02 2013-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5216540B2 (ja) * 2008-11-11 2013-06-1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473321B2 (ja) * 2008-12-27 2014-04-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2012213133A (ja) * 2011-03-18 2012-11-0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省エネ制御方法及び省エネ制御プログラム
JP5865096B2 (ja) 2011-06-16 2016-02-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65806A1 (en) 2008-12-26 2010-07-01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11098561A (ja) 2009-10-05 2011-05-19 Seiko Epson Corp 画像処理装置用コントローラ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320402A1 (en) 2012-12-20
JP2013020606A (ja) 2013-01-31
CN102833445B (zh) 2016-06-01
KR20120139589A (ko) 2012-12-27
EP2535772B1 (en) 2018-08-08
JP5865096B2 (ja) 2016-02-17
EP2535772A2 (en) 2012-12-19
US9639045B2 (en) 2017-05-02
MY159855A (en) 2017-02-15
BR102012014069A2 (pt) 2013-11-05
CN102833445A (zh) 2012-12-19
BR102012014069B1 (pt) 2020-12-01
US20170176920A1 (en) 2017-06-22
EP2535772A3 (en) 2017-05-24
RU2012122549A (ru) 2013-12-10
RU2556436C2 (ru) 2015-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1079B1 (ko) 고속 기동이 가능한 상태로 이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기억 매체
CN109391744B (zh) 图像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和存储介质
CN102673125B (zh) 图像形成装置及图像形成装置的控制方法
JP2009132050A (ja) 画像形成装置と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2018118443A (ja) 記憶装置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電源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680732B1 (ko)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JP5676902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US1001534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1215796A (ja)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102203333B1 (ko) 정보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
JP6665735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526111B2 (ja) 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8228269A (ja) 複合機及び複合機の制御方法
JP2006092474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省電力制御方法
JP6338645B2 (ja) 印刷装置及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JP6250091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H07121259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2009031470A (ja) 画像形成装置
JP2015222935A (ja) 電気機器、電源供給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