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4546B1 - 동작대기전원의 고속리셋기능을 갖는 전원장치 - Google Patents

동작대기전원의 고속리셋기능을 갖는 전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4546B1
KR100714546B1 KR1020050093172A KR20050093172A KR100714546B1 KR 100714546 B1 KR100714546 B1 KR 100714546B1 KR 1020050093172 A KR1020050093172 A KR 1020050093172A KR 20050093172 A KR20050093172 A KR 20050093172A KR 100714546 B1 KR100714546 B1 KR 100714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supply
diode
unit
standb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3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7967A (ko
Inventor
한정만
박태욱
정병옥
이동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3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4546B1/ko
Publication of KR20070037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7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4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4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6Means for providing current step on switching, e.g. with saturable reac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electronic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래치 오프 구조의 전원장치에서, 보호기능 동작 후 재기동을 위해, 전원이 물리적으로 차단시, 내부 회로에 신속한 리셋을 수행할 수 있는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원장치는, AC 전원을 평활하여 제1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제1 DC 전원을 제2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부하에 공급하는 주전원부와, 동작 초기에는 상기 AC 전원을 선택하고, 동작 초기 이후에는 상기 제1 DC 전원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전원 스위치부와, 상기 전원 스위치부로부터 선택된 상기 AC 전원 또는 상기 제1 DC전원에 의해서 구동되어 동작대기전원을 출력하는 동작대기 전원부와, 상기 동작대기전원을 입력받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주전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AC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제1 DC 전원이 동작대기전원부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고속리셋 스위치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래치오프 구조의 전원장치에서, 보호기능 동작 후 재기동을 위해 AC 전원이 물리적으로 차단되는 경우, 내부 회로의 전원을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내부 IC에 신속한 리셋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래치-오프 전원장치, 동작대기 전원, PWM제어, 리셋

Description

동작대기전원의 고속리셋기능을 갖는 전원장치{POWER SUPPLY APPARATUS WITH HIGH SPEED RESET OF STANDBY POWER}
도 1은 종래의 전원장치의 블럭도
도 2는 도 1의 전원장치에 대한 상세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장치의 블럭도
도 4는 도 3의 전원장치에 대한 상세 회로도
도 5a,5b 및 5c는 AC 전원 공급시 도 4의 회로에서 주요 전압의 파형도
도 6a,6b 및 6c는 AC 전원 차단시 도 4의 회로에서 주요 신호의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600 : 전원 스위치부 700 : 동작대기 전원부
800 : 고속리셋 스위치부 810 : AC전원 검출부
820 : 스위치부 U1 : PWM IC
Q1 : 제1 스위치소자 Q2 : 제2 스위치소자
C1 : 제1 캐패시터 C2 : 제2 캐패시터
D11 : 제1 다이오드 D21 : 제2 다이오드
D22 : 제3 다이오드 D23 : 제4 다이오드
본 발명은 게임기나 노트북 PC 등의 어댑터용 전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래치 오프(latch off) 구조의 전원장치에서, 동작이상에 따른 보호기능 수행 후, 재기동을 위해 물리적으로 AC 전원의 차단 시, 내부 IC(예, PWM IC)의 전원을 신속하게 차단하도록 구현함으로써, 내부 IC의 신속한 리셋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더욱 신속한 재기동을 수행할 수 있는 동작대기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장치는 과전압 또는 과전류 등과 같은 동작이상 발생 시 자동적으로 보호기능(protection)을 수행하는데, 이후, 보호기능을 수행하게 된 원인인 동작 이상이 제거된 경우, 자동적으로 보호기능을 해제하여 정상 동작하는 자동회복(auto recovery) 전원장치가 있고, 또는 자동적으로 보호기능을 해제하지 못하고 내부 IC를 리셋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서 AC 전원이 물리적으로 제거된 후, 다시 공급되는 수동적인 작업 과정을 필요로 하는 래치-오프(latch-off) 구조의 전원장치가 있다.
이러한 종래 래치-오프 구조의 전원장치중 하나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전원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전원장치는, AC 전원을 입력받아 EMI를 감쇠시키는 EMI 필터부(10)와, EMI 필터부(10)로 부터 입력받은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정류시키는 정류부(20)와, 동작대기 전원을 공급받아 PWM방식으로 전원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30)와, 제어부(30)에 사용자에 의한 동작 선택을 알리는 동작스위치부(40)와, 상기 제어부(30)의 PWM 방식의 전원 제어에 따라, 상기 정류부(20)로 부터의 DC 전원을 사전에 설정된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주전원을 공급하는 주전원부(50)와, 상기 AC 전원 또는 상기 정류부(20)로부터 DC 전원을 선택하는 전원스위치부(60)와, 상기 전원 스위치부(60)에 의해 선택된 AC 전원 또는 DC전원을 공급받아, 이 전원을 사전에 설정된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30)에 동작대기 전원으로 공급하는 동작대기 전원부(70)를 포함한다.
상기 정류부(20)는 정류된 전압을 평활하기 위해 출력측에 용량 값이 큰 평활 캐패시터를 포함하는데, 이와 같은 큰 용량의 커패시터는, AC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이전에 충전된 전압을 일정한 시간 동안 서서히 방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원 스위치부(60)는 동작 초기에는 AC 전원을 선택하고, 동작 초기 이후에는 DC 전원을 선택하여 동작대기전원부에 제공하여 동작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동작대기 전원부(70)는 동작 초기에는 상기 AC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동작 초기 이후에는 상기 정류부(20)에 의해 상기 DC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도 2는 도 1에 대한 상세한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원스위치부(60)는 AC 전원 또는 DC 전원을 정류하는 제1 다이오드, 제2 다이오드 및 제3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정류부(20)로부터 입력받은 DC 전원을 유기하는 1차 코일(L1)과 2차 코일(L2)를 포함한다. 동작대기전원부(70)는 정류된 전원을 충전하는 제1 캐패시터와 충전된 전압을 공급받는 PWM IC(U1)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전원장치는 초기 물리적으로 AC 전원이 입력되면 이 AC 전원은 전원스위치부(60)의 제1 다이오드(D11)에 의해 정류되어 동작대기 전원부(70)의 제1 캐패시터에 충전된다. 제1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은 내부 IC 인 PWM IC (U1)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PWM IC(U1)는 PWM 동작을 시작하여 정류부를 통해 전원스위치부(60)의 1차 코일(L1)에 입력된 DC 전원을 2차 코일(L2)로 유기시킨다. 유기된 DC 전원은 제2 다이오드(D12)에 의해 1차 정류되고, 제1 다이오드와 역방향으로 연결된 제3 다이오드(D13)에 의해 2차 정류되어 제1 캐패시터에 충전된다. 상기 제1 캐패시터에 유기된 DC 전원은 PWM IC(U1)에 동작전원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원장치는, 동작대기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동작대기 전원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전원 온/오프 선택과 같은 사용자의 동작 선택을 감지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전력만 소비함으로써 전력낭비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전원장치에서 과전압이나 과전류와 같은 예기치 않은 동작상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재기동을 위해서 내부 IC를 리셋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리셋 방법 중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사용자에 의한 AC 전원 차단 후, 다시 AC 전원을 공 급하여 내부 IC를 리셋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전원장치의 리셋방법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서 AC 전원이 물리적으로 차단되면, 전원스위치부(60)의 제 1다이오드(D11)에 정류되는 AC 전원이 차단되어 동작대기 전원부(70)의 제1 캐패시터(C1)에 충전되는 AC 전원이 차단된다. 한편 정류부의 큰 용량값을 갖는 평활 캐패시터에 충전된 DC 전원은 방전이 될 때까지 전원스위치부(60)의 제1 코일(L1)과 제2 코일(L2)로 유기된 후 제2 다이오드(D12) 및 제3 다이오드(D13)로 입력되어 정류된 뒤 동작대기 전원부(70)의 제1 캐패시터(C1)에 충전되어 PWM IC(U1)의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이후 평활 캐패시터에 충전된 DC 전원이 방전되면 동작대기 전원부(70)의 PWM IC(U1)의 동작전원이 차단되어 리셋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전원장치에서의 리셋 방법은 보호기능 수행 후, 재기동을 위해 AC 전원을 물리적으로 차단시킨 후 에도, 상기 평활 캐패시터의 충전전압이 모두 방전되기 전에는 AC 전원을 재연결하여도 내부 IC의 리셋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정류부(20)의 상기 평활 캐패시터에 충전된 높은 전압이 모두 방전된 후에 내부 IC를 리셋시킬 수 있어 결국 보호기능 동작 후, 물리적으로 AC 전원을 제거하는 래치 오프 구조의 전원장치에서 종래 리셋방법은 리셋을 수행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동작대기 전원을 이용하는 전원장치에서, 보호기능 수행 후 재기동을 위해 AC 전원이 물리적으로 제거되는 경우, 내부 IC의 전원을 신속하게 차단시켜 해당 IC를 신속히 리셋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더욱 신속한 재기동을 수행할 수 있는 전원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AC 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여 제1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제1 DC 전원을 사전에 설정된 제2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부하에 공급하는 주전원부와, 동작 초기에는 상기 AC 전원을 선택하고, 동작 초기 이후에는 상기 제1 DC 전원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전원 스위치부와, 상기 전원 스위치부로부터 선택된 상기 AC 전원 또는 상기 제1 DC전원에 의해서 구동되어 동작대기전원을 출력하는 동작대기 전원부와, 상기 동작대기전원을 입력받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주전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AC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제1 DC 전원이 동작대기전원부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여 동작대기전원이 상기 제어부를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고속리셋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속리셋 스위치부는 상기 AC 전원을 정류하는 제1 다이오드와, 상기 제1 다이오드에 의해 정류된 전압을 충전하여 상기 AC 전원의 차단여부를 검출하는 제1 캐패시터와, 상기 AC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전원스위치부에 제1 DC 전원 차단신호를 출력하는 제1 스위치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스위치 소자는 상기 제1 캐패시터의 전압단에 직렬 연결된 저항을 통해 검출전압을 공급받는 베이스와, 접지에 연결된 에미터와, 상기 전원 스위치부에 제1 DC전원 차단신호를 출력하는 컬렉터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 스위치부는 상기 AC 전원을 정류하여 상기 동작대기 전원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제2 다이오드와, 상기 제1 DC 전원을 정류하는 제3 다이오드와, 상기 고속리셋스위치부의 제1 DC전원 차단신호에 따라 상기 제3 다이오드에 의해 공급되는 제1 DC 전원을 차단하는 제2 스위치 소자와, 상기 제2 스위치 소자를 통한 전원을 입력받고 상기 제2 다이오드의 캐소드에 캐소드가 연결되어 상기 동작대기 전원부에 제1 DC 전원을 공급하는 제4 다이오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스위치 소자는 상기 제1 스위치소자의 컬렉터에 직렬 연결된 저항을 통해 상기 제1 DC전원 차단신호를 공급받는 베이스와, 상기 제3 다이오드에 연결되어 상기 제3 다이오드에 의해 정류된 전원을 공급받는 에미터와, 상기 제1 스위치소자의 제1 DC 전원 차단신호가 없을 시 상기 제3 다이오드로부터 공급된 제1 DC 전원을 제4 다이오드에 공급하고, 제1 DC 전원 차단신호가 있을 시 제4 다이오드에 제1 DC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는 컬렉터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 다.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원장치는, AC 전원을 입력받아 EMI를 감쇠시키는 EMI 필터부(100)와, 제어부(300)에 사용자의 동작 선택을 알리는 동작스위치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장치는, AC 전원을 입력받아 정류 및 평활하여 제1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정류부(200)와, 제1 DC전원을 공급받아 사전에 설정된 제2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주전원을 공급하는 주전원부(500)와, 동작대기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사용자의 동작 선택에 따라 상기 주전원부의 동작을 PWM방식으로 제어하는 제어부(300)와, 상기 AC 전원 또는 상기 제1 DC 전원을 선택하여 공급하고, 상기 AC 전원의 차단 시 제1 DC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는 전원 스위치부(600)와, 상기 전원 스위치부(600)에 의해 선택된 AC 전원 또는 제1 DC전원을 공급받고, 사전에 설정된 DC 전원인 동작 대기전원을 공급하는 동작대기 전원부(700)와, 상기 전원 스위치부(600)로 입력되는 상기 AC 전원의 차단에 따라, 상기 동작대기 전원부(700)로 공급되는 상기 DC 전원을 차단하도록 차단 신호를 출력하는 고속리셋 스위치부(800)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 스위치부(600)는, 최초 동작시 AC 전원을 선택하여 상기 동작대기 전원부에 공급하고, 최초 동작 이후에 제1 DC 전원을 선택하여 상기 동작대기 전원 부에 공급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전원장치에 대한 상세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고속리셋 스위치부(800)는, 상기 전원 스위치부로 입력되는 AC 전원을 검출하는 AC전원 검출부(810)와, 상기 AC전원 검출부(810)에 의해 검출된 전압 크기에 따라 상기 전원 스위치부(600)에 제1 DC 전원 차단을 위한 스위치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부(820)를 포함한다.
상기 AC전원 검출부(810)는, 상기 AC 전원을 정류하는 제1 다이오드(D11)와, 상기 제1 다이오드(D11)에 의해 정류된 전압을 충전하여 상기 AC 전원의 차단 여부를 검출하는 제1 캐패시터(C1)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부(820)는, 상기 AC전원 검출부(810)의 제1 캐패시터(C1)에 의한 검출 전압에 따라 스위칭 동작하는 제1 스위치소자(Q1)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스위치소자(Q1)는, 상기 제1 캐패시터(C1)의 전압단에 연결된 베이스와, 접지에 연결된 에미터와, 상기 전원 스위치부(600)에 제1 DC전원 차단 신호를 출력하는 컬렉터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원 스위치부(600)는, 상기 AC 전원을 정류하는 제2 다이오드(D21)와, 상기 제1 DC 전원을 정류하는 제3, 제4 다이오드(D22,D23) 및 상기 제1 DC 전원의 공급 및 차단기능을 갖는 제2 스위치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스위치소자(Q2)는, 상기 제1 DC 전원 차단 신호를 입력받는 베이스와, 상기 제1 DC 전원을 공급받는 에미터와, 상기 제1 DC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수행하는 컬렉터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동작대기 전원부(700)는, 상기 전원 스위치부(600)의 제2 다이오드(D21)에 의해 정류된 전압 또는 상기 제4 다이오드(D23)를 통한 전압을 충전하는 제2 캐패시터(C2)와, 상기 제2 캐패시터(C2)의 충전전압을 동작전압으로 공급받아, 동작대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PWM IC(U1)을 포함한다.
도 5a,5b 및 5c는 AC 전원 공급시 도 4의 회로에서 주요 전압의 파형도로서, 도 5a는 AC 전원 공급시 AC 전원 및 도 4의 A지점 전압을 보이고 있고, 도 5b는 AC 전원 공급시 AC 전원 및 도 4의 B지점 전압을 보이고 있으며, 도 5c는 AC 전원 공급시 AC 전원 및 도 4의 C지점 전압을 보이고 있다.
도 6a,6b 및 6c는 AC 전원 차단시 도 4의 회로에서 주요 신호의 파형도로서, 도 6a는 AC 전원 차단시 AC 전원 및 도 4의 A지점 전압을 보이고 있고, 도 6b는 AC 전원 차단시 AC 전원 및 도 4의 B지점 전압을 보이고 있으며, 도 6c는 AC 전원 차단시 AC 전원 및 도 4의 C지점 전압을 보이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원장치는, AC 전원 공급시 동작 과정과, AC 전원 차단시 동작 과정을 각각 설명한다.
먼저, AC 전원 공급시, 본 발명의 전원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원장치에서, AC 전원이 전원 스위치부(600)에 입력되어(도 5 a의 V1 참조), 내부 제2 다이오드(D21)를 통해 선택되어 상기 동작대기 전원부(700)로 공급된다. 이때, 공급되는 AC 전원은 상기 동작대기 전원부(700)의 제2 캐패시터(C2)에 충전되고(도 5 a의 2 참조), 상기 제2 캐패시터(C2)에 충전된 전압은 상기 동작대기 전원부(700)의 PWM IC(U1)에 동작전압으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동작대기 전원부(700)의 PWM IC(U1)은 동작 초기에는 AC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이와 같은 동작 초기 후, 상기 동작대기 전원부(700)는 상기 전원 스위치부(600)에 의해 선택된 제1 DC 전원에 의해 동작하는데, DC 전원 선택 과정을 간단히 설명한다.
예를 들어, 전원 플러그 등을 통한 AC 전원은, 본 발명의 전원장치에 포함된 정류부(200)에서 정류되고, 상기 정류부(200)의 출력측에 형성된 평활 캐패시터에 의해 평활되어 제1 DC 전원으로 변환된다.
이러한 제1 DC 전원은, 본 발명의 전원 스위치부(600)에 포함된 트랜스포머의 1차 코일(L1)에서 2차 코일(L2)로 유기된 후, 제3다이오드(D22)를 통한다(도 5 c의 V2 참조). 상기 제3 다이오드(D22)를 통한 제1 DC 전원은 제2 스위치소자(Q2)를 통한 후, 제4 다이오드(D23)를 통해 선택되어 상기 동작대기 전원부(700)로 공급된다.
이때, 공급되는 DC 전원은, 상기 동작대기 전원부(700)의 제2 캐패시터(C2)에 충전되고, 이 충전된 전압은 PWM IC(U1)에 동작 전원으로 공급된다.
이러한 동작과정에서, 상기 AC전원이 공급되는 동안에 상기 전원 스위치부(600)의 제2 스위치소자(Q2)가 턴온되어, 상기 DC 전원을 상기 동작대기 전원부(700)로 계속 공급하는데, 이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고속리셋 스위치부(800)에 포함된 AC전원 검출부(810)의 제1 다이오드(D11)를 통해 AC 전원이 제1 캐패시터(C1)에 충전되어(도 5 b의 V2 참조), 상기 제1 캐패시터(C1)에 충전된 전압에 의해 상기 고속리셋 스위치부(800)에 포함된 스위치부(820)의 제1 스위치소자(Q1)가 스위칭 온(ON)되며 제1 스위치 소자(Q1)에 의해 연속적으로 상기 전원스위치부(600)의 제2 스위치 소자(Q2)가 스위칭 온(ON) 된다.
이와 같은 동작과정을 통해서, 상기 동작대기 전원부(700)에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이에 따라 상기 동작대기 전원부(700)가 정상적으로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에, 과전압 또는 과전류 등의 전원 이상 발생시에 보호기능이 수행되며, 본 발명의 전원장치에서, 상기한 보호기능이 동작 된 후 동작이상 원인이 제거되면 재기동을 위하여 상기 동작대기 전원부 (700)의 PWM IC(U1)가 리셋되어야 하며, 이러한 리셋과정으로, AC 전원을 물리적으로 제거하였다가 다시 연결하여야 한다.
이때, AC 전원을 물리적으로 제거시, 본 발명의 전원장치에서는, 상기 동작대기 전원부(700)의 PWM IC(U1)의 동작전원을 즉시 차단시켜 신속한 리셋을 수행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전원장치에서, 상기 동작대기 전원부(700)의 리셋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에 의해서 AC 전원이 물리적으로 차단되면(도 6 b의 V1 참조), 본 발명의 고속리셋 스위치부(800)의 AC전원 검출부(810)의 제1 다이오드(D11)를 통해 검출되는 전압이 없다. 즉, AC 전원이 차단되었으므로 상기 제1 다이오드(D11)에서 정류되는 전압은 없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다이오드(D11)를 통한 전압을 충전하는 제1 캐패시터(C1)에서는, 기 충전되었던 전압이 즉시 방전된다(도 6 b의 V2 참조).
이에 따라, 상기 AC전원 검출부(810)에서 AC전원을 검출하지 못하므로, 검출전압이 없게 되어, 본 발명의 고속리셋 스위치부(800)의 스위치부(820)에 포함된 제1 스위칭 소자(Q1)는 턴 오프 되면서 상기 전원 스위치부(600)의 제2 스위치 소자(Q2)에 차단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1 DC전원의 공급라인상에 존재하는 제2 스위칭 소자(Q2)은 제1 스위치 소자의 신호를 받아 턴오프되므로, 상기 제1 DC 전원 은 상기 제2 스위칭소자(Q2)에 의해 차단된다.
이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AC전원 검출부(810)의 제1 캐패시터(C1)에 충전되어있던 전압이 방전되면서, 이 전압은 상기 고속리셋 스위치부(800)의 제1 스위치소자(Q1)가 동작전압 이하로 방전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치소자(Q1)는 스위칭 오프되고, 상기 제1 스위치소자(Q1)의 스위칭 오프에 따라 상기 전원 스위치부(600)에 제1 DC 전원을 공급하던 상기 제2 스위치소자(Q2)도 스위칭 오프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스위치소자(Q2)가 오프(OFF) 되면, 상기 동작대기 전원부(700)에 공급되던 제1 DC 전원이 차단되어, 결국, 상기 전원 스위치부(600)에 의한 전원공급이 모두 차단된다(도 6 a의 V2 참조).
상기 전원 스위치부(600)에 의해 공급되는 DC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동작대기 전원부(700)의 제1 캐패시터(C2)의 충전전압도 즉시 방전되어, 상기 제1 캐패시터(C2)의 충전전압을 동작전압으로 공급받는 PWM IC(U1)는 리세트 된다(도 6 c의 V2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원장치에서, AC 차단시 상기 정류부(200)의 평활 캐패시터에서 DC 전원이 일정시간 공급되어도, 본 발명의 고속리셋 스위치부(800)에 의해 상기 DC 전원을 즉시 차단시켜 동작대기 전원부를 즉시 리셋시킨다. 즉, 본 발명의 전원장치에 의하면, 신속한 리셋 및 재기동이 가능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의 다양한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 동작 이상에 따라 보호기능 수행후, 재기동을 위해서 AC 전원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경우, 이러한 AC 전원의 제거를 검출하여, 리셋되어야 하는 내부 회로의 전원을 즉시 차단하여, 내부의 IC의 신속한 리셋이 가능하게 하여 동작대기 전원을 신속하게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AC 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여 제1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정류부;
    상기 제1 DC 전원을 사전에 설정된 제2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부하에 공급하는 주전원부;
    동작 초기에는 상기 AC 전원을 선택하고, 동작 초기 이후에는 상기 제1 DC 전원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전원 스위치부;
    상기 전원 스위치부로부터 선택된 상기 AC 전원 또는 상기 제1 DC전원에 의해서 구동되어 동작대기전원을 출력하는 동작대기 전원부;
    상기 동작대기전원을 입력받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상기 주전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AC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제1 DC 전원이 상기 동작대기전원부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여 동작대기전원이 상기 제어부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고속리셋 스위치부
    를 포함하여 동작이상 발생시 보호기능을 수행한 후 신속한 재기동을 하기 위한 동작대기전원의 고속리셋기능을 갖는 전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리셋 스위치부는
    상기 AC 전원을 정류하는 제1 다이오드;
    상기 제1 다이오드에 의해 정류된 전압을 충전하여 상기 AC 전원의 차단여부 를 검출하는 제1 캐패시터; 및
    상기 AC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전원스위치부에 제1 DC 전원 차단신호를 출력하는 제1 스위치소자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대기전원의 고속리셋기능을 갖는 전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 소자는
    상기 제1 캐패시터의 전압단에 직렬 연결된 저항을 통해 검출전압을 공급받는 베이스와, 접지에 연결된 에미터와, 상기 전원 스위치부에 제1 DC전원 차단신호를 출력하는 컬렉터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대기전원의 고속리셋기능을 갖는 전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스위치부는
    상기 AC 전원을 정류하여 상기 동작대기 전원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제2 다이오드;
    상기 제1 DC 전원을 정류하는 제3 다이오드;
    상기 고속리셋스위치부의 제1 DC전원 차단신호에 따라 상기 제3 다이오드에 의해 공급되는 제1 DC 전원을 차단하는 제2 스위치 소자; 및
    상기 제2 스위치 소자를 통한 전원을 입력받고 상기 제2 다이오드의 캐소드에 캐소드가 연결되어 상기 동작대기 전원부에 제1 DC 전원을 공급하는 제4 다이오 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대기전원의 고속리셋기능을 갖는 전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 소자는
    상기 제1 스위치소자의 컬렉터에 직렬 연결된 저항을 통해 상기 제1 DC전원 차단신호를 공급받는 베이스와, 상기 제3 다이오드에 연결되어 상기 제3 다이오드에 의해 정류된 전원을 공급받는 에미터와, 상기 제1 스위치소자의 제1 DC 전원 차단신호가 없을 시 상기 제3 다이오드로부터 공급된 제1 DC 전원을 제4 다이오드에 공급하고, 제1 DC 전원 차단신호가 있을 시 제4 다이오드에 제1 DC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는 컬렉터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대기전원의 고속리셋기능을 갖는 전원장치.
KR1020050093172A 2005-10-04 2005-10-04 동작대기전원의 고속리셋기능을 갖는 전원장치 KR100714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172A KR100714546B1 (ko) 2005-10-04 2005-10-04 동작대기전원의 고속리셋기능을 갖는 전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172A KR100714546B1 (ko) 2005-10-04 2005-10-04 동작대기전원의 고속리셋기능을 갖는 전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967A KR20070037967A (ko) 2007-04-09
KR100714546B1 true KR100714546B1 (ko) 2007-05-07

Family

ID=38159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3172A KR100714546B1 (ko) 2005-10-04 2005-10-04 동작대기전원의 고속리셋기능을 갖는 전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45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215B1 (ko) 2008-09-08 2014-03-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전장기기 제어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451B1 (ko) * 2007-04-24 2008-07-04 삼성전기주식회사 보호회로를 구비한 전원장치
JP5865096B2 (ja) 2011-06-16 2016-02-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484A (ja) * 1995-06-14 1997-01-10 Canon Inc 電源制御装置
KR970076186A (ko) * 1996-05-07 1997-12-12 김광호 단순한 전원 제어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
KR20000001662U (ko) * 1998-06-30 2000-01-25 윤종용 리셋회로 로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484A (ja) * 1995-06-14 1997-01-10 Canon Inc 電源制御装置
KR970076186A (ko) * 1996-05-07 1997-12-12 김광호 단순한 전원 제어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
KR20000001662U (ko) * 1998-06-30 2000-01-25 윤종용 리셋회로 로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215B1 (ko) 2008-09-08 2014-03-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전장기기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967A (ko) 2007-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8902B1 (en) Device for controlling power distribution to subsystems
US8054600B2 (en)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US6947296B2 (e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JP6777078B2 (ja) 放電装置、電源装置および放電方法
CN104022489B (zh) 具有自动重启和软启动功能的电源短路保护系统及方法
JP2006060891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06204028A (ja) 直流電源装置
KR100714546B1 (ko) 동작대기전원의 고속리셋기능을 갖는 전원장치
JPH07123711A (ja) スイッチング電源の過負荷・短絡保護回路
JP2007129875A (ja) 突入電流防止回路
JP2006238602A (ja) 倍圧整流と全波整流の切換え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KR20190054708A (ko) 대기 전력을 줄이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0369834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P0650294B1 (en) Switch mode power supply circuit
US10686366B2 (en) Flyback power converter having overly high voltage protection and primary side controller circuit thereof
KR930004365Y1 (ko) 시스템 보호펄스 발생장치
CN111900783B (zh) 过功率保护电路、充电器及过功率保护方法
JPH11196529A (ja) 電源装置
JP2712369B2 (ja) 直流電源装置
JP4311831B2 (ja) フライバック型スイッチング電源
CN108988698B (zh) 同步电机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KR100850309B1 (ko) 스위칭 전원장치
JP7252072B2 (ja) 電源装置
JPH0622543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3336086B2 (ja) インバータの入力欠相保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