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3333B1 - 정보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3333B1
KR102203333B1 KR1020170111563A KR20170111563A KR102203333B1 KR 102203333 B1 KR102203333 B1 KR 102203333B1 KR 1020170111563 A KR1020170111563 A KR 1020170111563A KR 20170111563 A KR20170111563 A KR 20170111563A KR 102203333 B1 KR102203333 B1 KR 102203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device
power saving
saving state
transition time
tran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8379A (ko
Inventor
타카아키 미야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28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H04N1/00896Control thereof using a low-power mode, e.g. standb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06F1/3221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of disk dr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06F1/322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of memory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8Power saving in hard disk driv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75Power saving in memory, e.g. RAM, cach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H04N1/00891Switching on or off, e.g. for saving power when not in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2Image hardcopy reproduc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Power Source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정보 처리장치(MFP)의 CPU는, MFP이 구비하고 있는 2차 기억장치의 장치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장치 정보에 근거하여, 2차 기억장치가, 전력 절약 상태로의 이행 횟수가 기억장치의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타입의 기억장치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CPU는, 2차 기억장치가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 위한 이행 조건으로서, 이행 횟수가 수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타입의 기억장치의 이행 시간을 이행 횟수가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타입의 기억장치의 이행 시간보다도 짧게 결정함으로써, 2차 기억장치가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 위한 이행 시간을 결정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본 발명은, 정보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보 처리장치에 탑재되는 기억장치의 전력 제어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프린터와 MFP(복합기) 등의 화상 형성장치는, 통상 동작시의 소비 전력이 증대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국제적인 규정, 즉 국제 에너지 스타 프로그램, 블루 엔젤, ErP 지령 Lot6 및 Lot26 등에서는, 화상 형성장치 등의 정보기기의 소비 전력을 일정값 미만으로 억제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화상 형성장치의 전력 절약화를 실현하기 위해, 예를 들면, 대기시에 장치 전체를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시키는 방법과, 대기시 이와의 기간중에서도 장치 내의 사용되지 않고 있는 디바이스를 개별적으로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시키는 방법이 있다. 후자의 방법에서는, 화상 형성장치 내에 포함된 디바이스 중에서 특히 소비 전력이 높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에 대해, 개별적으로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시키는 전력 제어를 행하는 것이 유효하다.
그러나, 전력 절약화를 위해 HDD를 빈번하게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시키면, HDD의 스핀 다운 및 스핀 업이 빈번하게 실행되고, 그것에 의해 HDD의 수명이 짧아질(HDD가 고장날 때까지의 잔여 기간이 짧아질)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일본국 특개 2009-70449호 공보에는, HDD의 수명이 짧아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화상 형성장치에 탑재된 HDD에의 전력의 공급 및 공급 정지의 횟수를, HDD의 외형 크기의 판별 결과에 근거하여 제어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최근에는, 화상 형성장치에 탑재하는 2차 기억장치로서, 전술한 바와 같은 HDD 대신에 SSD(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을 사용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화상 형성장치에 탑재된 HDD를 상정하지만, 화상 형성장치에 탑재된 SSD을 상정하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화상 형성장치(정보 처리장치)의 2차 기억장치로서 SSD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화상 형성장치의 전력 절약화를 위해 2차 기억장치의 전력 제어를 적절히 행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 처리장치에 2차 기억장치로서 탑재되는 기억장치의 타입에 따라, 정보 처리장치의 전력 절약화를 위한 전력 제어를 실행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정보 처리장치로서, 기억장치와, 상기 기억장치에 대한 최후의 액세스가 완료된 후, 상기 기억장치의 전력 상태를 기동 상태로부터 상기 기동 상태보다 적은 전력이 상기 기억장치에 공급되는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시킬 때까지의 기간인 이행 시간을 결정하는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결정되는 이행 시간은, 상기 기억장치가 불휘발성의 자기 기억장치인 경우보다 상기 기억장치가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장치인 경우에 더 짧은, 정보 처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르면, 정보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기억장치에 대한 최후의 액세스가 완료된 후, 상기 기억장치의 전력 상태를 기동 상태로부터 상기 기동 상태보다 적은 전력이 상기 기억장치에 공급되는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시킬 때까지의 기간인 이행 시간을 결정하는 결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되는 이행 시간은, 상기 기억장치가 불휘발성의 자기 기억장치인 경우보다 상기 기억장치가 불휘발성의 반도체 기억장치인 경우에 더 짧은, 정보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르면, 기억장치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각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기억매체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기억장치에 대한 최후의 액세스가 완료된 후, 상기 기억장치의 전력 상태를 기동 상태로부터 상기 기동 상태보다 적은 전력이 상기 기억장치에 공급되는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시킬 때까지의 기간인 이행 시간을 결정하는 결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되는 이행 시간은, 상기 기억장치가 불휘발성의 자기 기억장치인 경우보다 상기 기억장치가 불휘발성의 반도체 기억장치인 경우에 더 짧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 처리장치에 2차 기억장치로서 탑재되는 기억장치의 타입에 따라, 정보 처리장치의 전력 절약화를 구현하기 전력 제어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지는) 이하의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MFP의 구성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 위한 이행 조건을 결정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 위한 이행 시간을 결정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 위한 이행 시간을 결정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며, 이하의 실시예에 따라 서술되는 국면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에 대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것은 자명하다.
제1실시형태
제1실시형태에서는, 정보 처리장치의 일례로서, 인쇄 기능, 복사 기능, 화상 송신 기능 및 화상 보존 기능 등의 다수의 기능을 갖는 화상 형성장치(화상 처리장치)인 복합기(MFP)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MFP 뿐만 아니라, 인쇄장치(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장치, PC 등의 정보 처리장치에도 마찬가지로 적용가능하다.
<MFP>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MFP(1)의 구성 예를 나타낸 블록도다. MFP(1)은, 스캐너부(2), 프린터부(3), 조작부(4), 절전 버튼(5), 인체감지 센서(6), 인증 입력부(7), 전원 제어부(8), 전원부(9), 및 콘트롤러부(10)를 구비한다. 스캐너부(2)는, 원고로부터 광학적으로 화상을 읽어내서 해당 판독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프린터부(3)는,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시트(기록지 등)에 화상을 인쇄한다.
콘트롤러부(10)는, CPU(11), RAM(12), 플래시 메모리(1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I/F)(14), 및 2차 기억장치(15)를 구비한다. CPU(11)은, MFP(1) 전체를 제어한다. RAM(12)은, CPU(11)의 워크 메모리로서 사용된다. 플래시 메모리(13)는, CPU(11)의 기동에 필요한 제어용 펌웨어가 격납된다. 네트워크 I/F(14)는, LAN 등의 네트워크(30)에 접속되는 통신 I/F다. CPU(11)은, 네트워크 I/F(14)를 거쳐, PC(40) 등의 외부장치와 통신가능하다. 2차 기억장치(15)는, 다양한 데이터가 격납되는 불휘발성의 기억장치다. 2차 기억장치(15)에는, CPU(11)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화상 데이터 등의 다양한 데이터가 격납된다.
조작부(4)는, 터치패널 기능을 갖는 표시부(LCD)와 조작 키로 구성되고, 유저의 조작을 접수하는 동시에,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절전 버튼(5)은, 조작부(4)의 근방에 배치되고, 절전 모드로부터 스탠바이 모드로의 복귀를 MFP(1)에게 지시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절전 버튼(5)은, 조작부(4)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지만, 그 경우, 절전 버튼(5)은 조작부(4)와는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조작부(4)에의 전력의 공급이 정지되어 있을 때에도 전력 공급을 받도록 구성된다. 인체감지 센서(6)는, 조작부(4)의 근방에 배치되고, MFP(1)에 접근한 유저를 검지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인체감지 센서(6)의 감도는 조작부(4)를 거쳐 단계적으로 설정가능하다. 인증 입력부(7)는, 유저의 인증에 사용되는 인증 정보의 입력을 유저로부터 접수한다.
전원 제어부(8)는, CPU(1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전원부(9)로부터 MFP(1) 내부에 포함된 각 디바이스(스캐너부(2), 프린터부(3), 조작부(4), 및 인증 입력부(7))에의 전력의 공급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전원 제어부(8)는, FET 스위치 또는 릴레이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 복수의 스위치 21 내지 24를 구비하고, CPU(1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각 스위치의 온 및 오프를 개별적으로 전환함으로써, 각 디바이스에의 전력의 공급을 제어한다.
MFP(1)은, 다음과 같은 전력 모드, 즉 MFP(1) 내부에 포함된 각 디바이스에 전력이 공급되는 스탠바이 모드와, MFP(1) 내부에 포함된 각 디바이스에의 전력의 공급이 정지되는 절전 모드를 갖는다. 스탠바이 모드에서는, 스캐너부(2), 프린터부(3), 조작부(4), 및 인증 입력부(7)에 전력이 공급된다. 절전 모드에서는, 스캐너부(2), 프린터부(3), 조작부(4), 및 인증 입력부(7)의 일부 또는 전체에의 전력의 공급이 정지됨으로써, MFP(1)의 전력 절약화를 구현한다.
CPU(11)은, 스탠바이 모드에 있어서, 유저에 의해 절전 버튼(5)이 눌러지면, MFP(1)을 절전 모드로 이행시킨다. 마찬가지로, CPU(11)은, 절전 모드에 있어서, 유저에 의해 절전 버튼(5)이 눌어지면, MFP(1)을 스탠바이 모드로 이행시킨다. 절전 버튼(5)은, 조작부(4)에의 전력의 공급이 정지되어 있을 때에도 절전 버튼(5)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절전 모드에 있어서도 전력 공급을 받는다. CPU(11)은, 스탠바이 모드에 있어서, 소정 길이의 시간 동안 아무런 잡이 실행되지 않으면, MFP(1)을 절전 모드로 자동적으로 이행시켜도 된다. 또한, 절전 모드에 있어서, 인체감지 센서(6)에 의해 유저가 검지된 경우에, CPU(11)는 MFP(1)을 스탠바이 모드로 이행시켜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2차 기억장치(15)는, (전원부(9)로부터의) 전력의 공급이 제한되지 않는 기동 상태와, (전원부(9)로부터의) 전력의 공급이 제한되는 전력 절약 상태를 갖는다. 전력 절약 상태에서는, 2차 기억장치(15)의 소비 전력이 기동 상태보다도 낮다. 이 때문에, 2차 기억장치(15)를 가능한 한 길게 전력 절약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2차 기억장치(15)가 탑재되는 장치(MFP(1))의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CPU(11)은, MFP(1)의 전력 모드와는 독립적으로 2차 기억장치(15)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즉, 2차 기억장치(15)는, MFP(1)의 전력 모드가 스탠바이 모드에 있을 때에도, CPU(1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개별적으로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MFP(1)에서는, 2차 기억장치(15)로서 HDD(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SSD(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이 사용된다. 2차 기억장치(15)는, 복수의 기억장치로 구성되어도 된다. 그 경우, 예를 들면, HDD 및 SSD가 2차 기억장치(15)로서 병용되어도 된다. 2차 기억장치(15)가 복수의 기억장치로 구성되는 경우, CPU(11)은, 기억장치의 상태를 개별적으로 제어한다.
2차 기억장치(15)로서 HDD가 사용되는 경우, HDD는, 기동 상태로부터 전력 절약 상태로의 이행시에 스핀 다운을 행하고,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기동 상태로의 이행시에 스핀 업을 행한다. 일반적으로, HDD의 스핀 다운 및 스핀 다운(OFF/ON 동작)은, HDD의 수명(즉, HDD가 고장날 때까지의 잔여 기간)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면, HDD는 약 30만회의 OFF/ON 동작의 실행후에 수명을 맞이한다. 이 때문에, HDD를 빈번하게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시키면, HDD가 고장날 때까지의 잔여 기간이 OFF/ON 동작의 실행에 기인해서 짧아진다. 이렇게, HDD은, 전력 절약 상태로의 이행 횟수가 기억장치의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타입의 기억장치이다.
한편, 2차 기억장치(15)로서 SSD가 사용되는 경우, 기동 상태로부터 전력 절약 상태로의 이행 동작 및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기동 상태로의 이행 동작(OFF/ON 동작)은, SSD의 수명(즉, SSD가 고장날 때까지의 잔여 기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 때문에, SSD를 빈번하게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시켰다고 하더라도, SSD가 고장날 때까지의 잔여 기간이 OFF/ON 동작의 실행에 기인해서 짧아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MFP(1)의 전력 절약화의 점에서는, SSD는 가능한 한 빈번하게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SSD는, 전력 절약 상태로의 이행 횟수가 기억장치의 수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타입의 기억장치다.
<2차 기억장치(15)의 전력 제어의 개요>
본 실시형태에 따른 MFP(1)은, 2차 기억장치(15)로서 HDD와 SSD의 어느 것이 탑재된 것에 무관하게 2차 기억장치(15)의 전력 제어를 보다 적절히 실행할 수 있도록, 2차 기억장치(15)를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 위한 이행 조건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CPU(11)은, MFP(1)이 구비하고 있는 2차 기억장치(15)의 장치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장치 정보에 근거하여, 2차 기억장치(15)가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 위한 이행 시간을 결정한다. 이 이행 시간은,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 위한 이행 조건에 해당하고, 예를 들면, 2차 기억장치(15)에의 최후의 액세스가 완료한 후 2차 기억장치(15)가 전력 절약 상태로의 이행을 개시할 때까지의 기간으로서 정해진다. CPU(11)은, 취득한 장치 정보에 근거하여, 기억장치를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 위한 이행 횟수가 수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타입의 기억장치의 이행 시간을, 이행 횟수가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타입의 기억장치의 이행 시간보다도 짧게 결정한다. 이에 따라, 2차 기억장치(15)로서 탑재된 기억장치의 타입에 따라, MFP(1)의 전력 절약화를 구현하기 위한 전력 제어를 2차 기억장치(15)에 대하여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CPU(11)에 의해 실행되는, 2차 기억장치(15)가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 위한 이행 조건을 결정하는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각 스텝의 처리는, CPU(11)가, 플래시 메모리(13), 2차 기억장치(15) 등에 격납된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이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MFP(1)이 전원 오프 상태로부터 기동하면, 스텝 S101에서, CPU(11)은, ATA 규격에 의해 정해진 코맨드인 IDENTIFY DEVICE 코맨드를, 2차 기억장치(15)에 대하여 발행한다. 그후, 스텝 S102에서, CPU(11)은, IDENTIFY DEVICE 코맨드에 대한 응답을 2차 기억장치(15)로부터 수신하고, 해당 응답으로부터 2차 기억장치(15)의 장치 정보를 취득한다. CPU(11)은, 예를 들면, 장치 정보로서 2차 기억장치(15)의 회전속도에 관한 회전속도 정보를 취득한다.
스텝 S103에서, CPU(11)은, 스텝 S102에 있어서 취득한 장치 정보에 근거하여, 2차 기억장치(15)의 타입의 판별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CPU(11)은, 2차 기억장치(15)가, OFF/ON 동작의 실행 횟수(즉, 전력 절약 상태로의 이행 횟수)가 해당 기억장치의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타입의 기억장치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예를 들면, CPU(11)은, 장치 정보로서 취득한 회전속도 정보가 소정의 회전속도(예를 들면, 7200rpm, 5400rpm 등)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2차 기억장치(15)는 OFF/ON 동작의 실행 횟수가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기억장치(본 예에서는, HDD)라고 판별한다. 한편, CPU(11)은, 회전속도 정보가 회전하지 않는 미디어(즉, 디스크가 회전하지 않는 미디어)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2차 기억장치(15)는 OFF/ON 동작의 실행 횟수가 수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기억장치(본 예에서는 SSD)라고 판별한다.
이와 달리, 스텝 S102에서, CPU(11)은, 장치 정보로서 2차 기억장치(15)의 모델명을 취득해도 된다. 그 경우, 스텝 S103에서, CPU(11)은, 취득한 모델명을,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13)에 미리 격납된 리스트의 비교함으로써 2차 기억장치(15)의 타입을 결정해도 된다.
다음에, 스텝 S104에서, CPU(11)은, 스텝 S103에 있어서 행해진, 2차 기억장치(15)의 판별의 결과에 따라, 2차 기억장치(15)가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 위한 이행 조건을 결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CPU(11)은, 2차 기억장치(15)에의 최후의 액세스가 완료한 후 2차 기억장치(15)가 전력 절약 상태로의 이행을 개시할 때까지의 기간인 이행 시간을, 전력 절약 상태로의 이행 조건으로서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CPU(11)은, 2차 기억장치(15)가, OFF/ON 동작의 실행 횟수가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타입의 기억장치(HDD)인지, 또는 OFF/ON 동작의 실행 횟수가 수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타입의 기억장치(SSD)인지에 따라, 이행 시간을 다른 값으로 결정한다. 예를 들면, CPU(11)은, OFF/ON 동작의 실행 횟수(즉, 전력 절약 상태로의 이행 횟수)가 수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타입의 기억장치(SSD)에 대한 이행 시간을, 해당 OFF/ON 동작의 실행 횟수가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타입의 기억장치(HDD)에 대한 이행 시간보다도 짧게 결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CPU(11)은, 2차 기억장치(15)가 HDD인 경우에는, 수명이 지나치게 짧아지지 않는 빈도에서 2차 기억장치(15)를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시키는 전력 제어를 실행할 수 있도록,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 위한 이행 시간을 결정한다. 또한, CPU(11)은, 2차 기억장치(15)가 SSD인 경우에는, 가능한 한 빈번하게 2차 기억장치(15)를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시키는 전력 제어를 실행할 수 있도록, 전력 절약 상태로의 이행 시간을 결정한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 2차 기억장치(15)의 수명과 MFP(1)의 전력 절약화를 고려하여, 2차 기억장치(15)가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 위한 이행 시간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스텝 S105에서, CPU(11)은, MFP(1)에 탑재되어 있는 또 다른 2차 기억장치(15)가 존재하는지 아닌지 결정하고, 또 다른 2차 기억장치(15)가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CPU(11)는 처리를 스텝 S101로 되돌려, 다른 2차 기억장치(15)가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 위한 이행 조건(이행 시간)을 결정한다. 모든 2차 기억장치(15)에 대해서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 위한 이행 조건의 결정이 완료하면, CPU(11)은 처리를 종료한다. 그후, CPU(11)은, MFP(1)이 기동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한 처리에 의해 결정된 이행 조건(이행 시간)에 따라 2차 기억장치(15)의 전력 제어를 행함으로써, MFP(1)의 전력 절약화를 구현한다. 이러한 처리에 따르면, 2차 기억장치(15)로서 HDD와 SSD의 어느 것이 MFP(1)에 탑재되었는지에 무관하게, MFP(1)의 전력 절약화를 구현하기 위한 전력 제어를 2차 기억장치(15)에 대해 보다 적절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는데 필요한 이행 시간의 결정 예>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CPU(11)에 의해 실행되는, 2차 기억장치(15)가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 위한 이행 시간을 이행 조건으로서 결정하는 절차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각 스텝의 처리는, CPU(11)거, 플래시 메모리(13), 2차 기억장치(15) 등에 격납된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이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스텝 S201 및 스텝 S202는, 스텝 S101 및 스텝 S102와 같다. 스텝 S203에서, CPU(11)은, 스텝 S103과 마찬가지로, 취득한 장치 정보에 근거하여, 2차 기억장치(15)의 타입의 판별을 행함으로써, 2차 기억장치(15)가 HDD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CPU(11)은, 2차 기억장치(15)가 HDD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처리를 스텝 S204로 진행하여, 2차 기억장치(15)의 보호 시간을 600초로 결정한다. 이 보호 시간은, 2차 기억장치(15)를 빈번하게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시킨 결과로써(OFF/ON 동작을 빈번하게 실행시킨 결과로써) 2차 기억장치(15)의 수명이 짧아지는 상황으로부터 2차 기억장치(15)를 보호하기 위한 기간에 해당한다. CPU(11)은, HDD에의 최후의 액세스가 완료한 후 보호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2차 기억장치(15)가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지 않도록 2차 기억장치(15)를 제어한다. 따라서, 이 보호 시간은, 상기한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 위한 이행 시간에 해당한다.
2차 기억장치(15)가 HDD인 경우에는, CPU(11)은, HDD의 보호 시간(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 위한 이행 시간)을, 전력 절약 상태로의 이행 횟수(OFF/ON 동작의 실행 횟수)와 HDD의 수명의 관계에 근거하여 미리 정해진 기간(본 예에서는 600초)으로 결정한다. 예를 들면, HDD의 수명으로서 5년 이상을 확보하기 위해, 보호 시간은, HDD의 5년간의 OFF/ON 동작 실행 횟수가 300,000회 이하로 되는 600초로 미리 정해진다. 이에 따라, 600초 당 1회의 빈도보다도 많은 빈도에서 HDD가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호 시간은 600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HDD의 외형 크기 또는 MFP(1)의 이용 태양을 고려하여 결정된 값으로 정해져도 된다.
CPU(11)은, 2차 기억장치(15)가 HDD가 아닌 것으로 판별된 경우(스텝 S203에서 NO) 또는 스텝 S204의 처리가 완료한 경우, 처리를 스텝 S205로 진행한다. 스텝 S205에서, CPU(11)는 2차 기억장치(15)가 SSD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CPU(11)은, 2차 기억장치(15)가 SSD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처리를 스텝 S206으로 진행하여, 2차 기억장치(15)가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 위한 이행 시간을 0초로 결정한다. 즉, CPU(11)은, SSD에의 최후의 액세스가 완료하면 즉시 SSD를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시키도록 이행 시간을 결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SSD의 경우에는, OFF/ON 동작의 실행 횟수가 수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본 예에서는,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 위한 이행 시간을 0초로 결정하여, SSD을 가능한 한 빈번하게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시킴으로써, MFP(1)의 소비 전력의 저감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CPU(11)은, 2차 기억장치(15)가 SSD가 아닌 것으로 판정된 경우(스텝 S205에서 NO) 또는 스텝 S206의 처리가 완료한 경우, 처리를 스텝 S207로 진행한다. 스텝 S207에서, CPU(11)은, 스텝 S105와 마찬가지로, MFP(1)에 탑재되어 있는 또 다른 2차 기억장치(15)가 존재하는지 아닌지 판정하여, MFP(1)에 탑재되어 있는 또 다른 2차 기억장치(15)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CPU(11)는 처리를 스텝 S201로 되돌려, 다른 2차 기억장치(15)에 대해서도 보호 시간 또는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 위한 이행 시간을 결정한다. 모든 2차 기억장치(15)에 대해 처리가 행해지면, CPU(11)은 처리를 종료한다.
상기한 처리에서는, HDD 및 SSD 각각에 대하여 보호 시간 및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 위한 이행 시간을 결정하고 있지만, 이 보호 시간 및 이행 시간을 구별하지 않아도 된다. 즉, HDD 및 SSD에 대하여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 위한 이행 시간을 결정해도 된다. 이에 따라, 보호 시간을 계측하기 위한 타이머 및 이행 시간을 계측하기 위한 타이머를 개별적으로 준비할 필요가 없어지고, HDD 과 SSD에 대해서 공통의 타이머를 사용하여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CPU(11)은, MFP(1)이 구비하고 있는 2차 기억장치(15)의 장치 정보에 근거하여, 2차 기억장치(15)가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 위한 이행 시간을 결정한다. CPU(11)은, 2차 기억장치(15)가, 전력 절약 상태로의 이행 횟수가 수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타입의 기억장치(SSD)인 경우, 2차 기억장치(15)가 해당 이행 횟수가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타입의 기억장치(HDD)인 경우보다도 이행 시간을 짧게 결정한다. 이에 따라, 2차 기억장치(15)로서 탑재된 기억장치의 타입(HDD 또는 SSD)에 따라, MFP(1)에서 전력 절약화를 구현하기 위한 전력 제어를 2차 기억장치(15)에 대하여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실시형태
제1실시형태의 도 3에 나타낸 예에서는, 2차 기억장치(15)가 SSD라고 판별된 경우에,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 위한 이행 시간이 0초로 결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SSD의 성능을 고려하여,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 위한 이행 시간을 결정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본 실시형태는 제1실시형태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해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여, CPU(11)에 의해 실행되는, 2차 기억장치(15)가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 위한 이행 시간을 이행 조건으로서 결정하는 절차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각 스텝의 처리는, CPU(11)가, 플래시 메모리(13) 또는 2차 기억장치(15) 등에 격납된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이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2차 기억장치(15)가 SSD인 경우에,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 위한 이행 시간을 0초로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SSD이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기동 상태로 복귀하는데 필요한 복귀 시간에 근거하여 이행 시간을 결정하는 점에서, 제1실시형태와 다르다. 즉, 도 4에서는, 도 3의 스텝 S206 대신에 스텝 S301의 처리가 행해진다.
여기에서, SSD는,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기동 상태로 복귀할 때는, HDD와 달리, 스핀 업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복귀 시간이 HDD보다는 짧기는 하지만, 10ms 내지 100ms 오더에서 복귀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제1실시형태와 같이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 위한 이행 시간을 0초로 결정한 경우, SSD에 대한 액세스 속도가 저하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SSD에 대한 액세스(라이트 액세스 또는 리드 액세스)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행해지는 경우, 각각의 액세스에 대하여 10ms 내지 100ms의 처리 지연(오버헤드)이 발생하여, 액세스 속도의 실질적인 저하를 일으킨다. 따라서, SSD에 대하여,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 위한 이행 시간을 매우 짧은 시간(예를 들면, 0초)으로 결정하면, MFP(1)의 전력 절약화를 실현할 수 있더라도, 고속의 액세스 속도 등의 SSD의 성능을 충분하게 살릴 수 없을 수 있다.
이것을 해소하기 위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텝 S301에서, CPU(11)은, SSD가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기동 상태로 복귀하는데 필요한 기간인 복귀 시간에 근거하여,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 위한 이행 시간을 결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CPU(11)은,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 위한 이행 시간을, 1보다 큰 소정의 비율(예를 들면, 50배)을 복귀 시간에 승산해서 얻어지는 기간으로 결정한다(즉, 이행 시간을 복귀 시간의 50배로 결정한다). 여기에서, SSD의 복귀 시간이 100ms이고, 이행 시간을 200ms로 결정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201ms에 1회의 빈도로 SSD에 대한 액세스가 일어나면, 액세스마다 100ms의 처리 지연이 발생하고, 이 처리 지연은 비교적 큰 영향을 미친다. 마찬가지로, SSD의 복귀 시간이 100ms이고, 이행 시간을 5000ms로 결정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5001ms에 1회 SSD에 대한 액세스가 일어나면, 액세스마다 100ms의 처리 지연이 발생하지만, 이 처리 지연의 영향은 상대적으로 작다.
이 때문에, CPU(11)은, SSD가 너무 빈번하게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지 않도록, SSD가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복귀하는데 필요한 복귀 시간에 근거하여, 예를 들면, 복귀 시간의 50배로 이행 시간을 결정하고 있다. 이때, SSD가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 위한 이행 시간은, SSD가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복귀하는데 필요한 복귀 시간의 50배 이외의 기간이 되도록 결정하거나, SSD가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복귀하는데 필요한 복귀 시간에 반드시 의존해서 결정할 필요는 없이 MFP(1)의 이용 태양에 근거하여 결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CPU(11)는, MFP(1)에 있어서 동작하고 있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디스크 캐시로부터의 SSD에 대한 액세스들 사이의 시간 간격에 근거하여, SSD가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 위한 이행 시간을 결정해도 된다. MFP(1)에 있어서 동작하고 있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디스크 캐시로부터 SSD에 대한 액세스가 5초에 1회 행해지는 경우에, 예를 들면, 이행 시간을 2초로 결정해도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MFP(1)에 있어서, 2차 기억장치(15)에 대한 액세스는 일반적으로 오퍼레이팅 시스템 내의 디스크 캐시를 거쳐 행해진다. 이 경우, 2차 기억장치(15)(SSD)에 대한 액세스, 구체적으로는 어느 정도의 사이즈의 리드 액세스 또는 라이트 액세스는 수초에 한번의 빈도로 행해진다. 예를 들면, 라이트 액세스의 경우, 디스크 캐시로부터 2차 기억장치(15)에 대한 액세스는, 1초간에 복수회 ATA 코맨드의 세트의 발행에 의해 행해진다. 이 ATA 코맨드의 세트의 발행은, 유저의 지정에 의존하지만, 5초 내지 30초의 간격으로 행해진다. 이 때문에, 디스크 캐시로부터 2차 기억장치(15)(SSD)에 대해 액세스가 행해질 때마다 2차 기억장치(15)를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시키지 않고, 액세스들 사이의 기간 중에 2차 기억장치(15)가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도록 이행 시간을 결정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SSD의 성능을 살리면서, MFP(1)의 전력 절약화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2차 기억장치(15)가 SSD인 경우에, SSD를 너무 빈번하게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시킴으로써 SSD의 성능을 충분히 살릴 수 없게 되는 상황을 방지하도록,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 위한 이행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즉, SSD가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복귀하는데 필요한 복귀 시간에 기인한 액세스 성능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2차 기억장치(15)로서 탑재된 기억장치의 타입(HDD 또는 SSD)에 따라, 2차 기억장치(15)의 전력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기타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로서 더 상세히 언급해도 된다)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예를 들어, 1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거나 및/또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1개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나,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1개 이상의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 처리장치(MPU) 또는 기타 회로를 구비하고, 별개의 컴퓨터들의 네트워크 또는 별개의 컴퓨터 프로세서들을 구비해도 된다.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은, 예를 들어, 기억매체의 네트워크로부터 컴퓨터로 주어져도 된다. 기록매체는, 예를 들면, 1개 이상의 하드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 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 등), 플래시 메모리소자, 메모리 카드 등을 구비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행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는 가장 넓게 해석되어 모든 변형, 동등물 구조 및 기능을 포괄하여야 한다.

Claims (13)

  1. 정보 처리장치로서,
    기억장치와,
    상기 기억장치에 대한 최후의 액세스가 완료된 후, 상기 기억장치의 전력 상태를 기동 상태로부터 상기 기동 상태보다 적은 전력이 상기 기억장치에 공급되는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시킬 때까지의 기간인 이행 시간을 결정하는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결정되는 이행 시간은, 상기 기억장치가 불휘발성의 자기 기억장치인 경우보다 상기 기억장치가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장치인 경우에 더 짧은, 정보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자기 기억장치에 대한 이행 시간을, 상기 기억장치가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는 횟수인 이행 횟수와 상기 기억장치의 수명과의 관계에 근거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의 길이로 결정하고,
    상기 반도체 기억장치에 대한 이행 시간을 0으로 결정하는 정보 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반도체 기억장치에 대한 이행 시간을, 상기 반도체 기억장치가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상기 기동 상태로 복귀하는데 필요로 하는 기간인 복귀 시간에 근거하여 결정하는 정보 처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반도체 기억장치에 대한 이행 시간을, 1보다 큰 소정의 비율을 상기 복귀 시간에 승산해서 얻어지는 기간으로 결정하는 정보 처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반도체 기억장치에 대한 이행 시간을, 상기 정보 처리장치에서 동작하고 있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디스크 캐시로부터 상기 기억장치에 대한 액세스들 사이의 시간 간격에 근거하여 결정하는 정보 처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장치에 관한 장치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취득 수단은, 상기 기억장치에 소정의 코맨드를 송신하고, 상기 기억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응답으로부터 상기 장치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처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정보는, 상기 기억장치의 디스크의 회전속도를 나타내는 회전속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기억장치가, 상기 자기 기억장치인지, 또는 상기 반도체 기억장치인지를, 상기 회전속도 정보에 근거하여 판별하는 정보 처리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회전속도 정보가 소정의 회전속도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 기억장치가 상기 자기 기억장치라고 판별하고,
    상기 회전속도 정보가, 디스크가 회전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 기억장치가 상기 반도체 기억장치라고 판별하는 정보 처리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정보는, 상기 기억장치의 모델명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기억장치가, 상기 자기 기억장치인지, 또는 상기 반도체 기억장치인지를, 상기 모델명에 근거하여 판별하는 정보 처리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기억장치는 HDD이고,
    상기 반도체 기억장치는 SSD인 정보 처리장치.
  11. 기억장치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기억장치에 대한 최후의 액세스가 완료된 후, 상기 기억장치의 전력 상태를 기동 상태로부터 상기 기동 상태보다 적은 전력이 상기 기억장치에 공급되는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시킬 때까지의 기간인 이행 시간을 결정하는 결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되는 이행 시간은, 상기 기억장치가 불휘발성의 자기 기억장치인 경우보다 상기 기억장치가 불휘발성의 반도체 기억장치인 경우에 더 짧은, 정보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2. 기억장치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각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기억매체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기억장치에 대한 최후의 액세스가 완료된 후, 상기 기억장치의 전력 상태를 기동 상태로부터 상기 기동 상태보다 적은 전력이 상기 기억장치에 공급되는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시킬 때까지의 기간인 이행 시간을 결정하는 결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되는 이행 시간은, 상기 기억장치가 불휘발성의 자기 기억장치인 경우보다 상기 기억장치가 불휘발성의 반도체 기억장치인 경우에 더 짧은, 컴퓨터 프로그램.

  13. 삭제
KR1020170111563A 2016-09-08 2017-09-01 정보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 KR1022033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75881A JP6768425B2 (ja) 2016-09-08 2016-09-08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JP-P-2016-175881 2016-09-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379A KR20180028379A (ko) 2018-03-16
KR102203333B1 true KR102203333B1 (ko) 2021-01-15

Family

ID=59366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563A KR102203333B1 (ko) 2016-09-08 2017-09-01 정보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53455B2 (ko)
EP (1) EP3293610B1 (ko)
JP (1) JP6768425B2 (ko)
KR (1) KR102203333B1 (ko)
CN (1) CN1078095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45818B2 (ja) * 2017-08-09 2022-04-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210220064A1 (en) * 2018-05-18 2021-07-22 Corindus, Inc. Remote communications and control system for robotic interventional procedures
CN117459370B (zh) * 2023-12-26 2024-03-15 深圳鼎信通达股份有限公司 单机双主控板主备竞争方法、系统、通信网关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76650A1 (en) * 2008-05-02 2009-11-05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110066802A1 (en) * 2009-09-16 2011-03-17 Hitachi, Ltd. Dynamic page reallocation storage system management
US20150033057A1 (en) * 2013-07-29 2015-01-29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Power conservation based on caching
US20160156798A1 (en) * 2014-11-27 2016-06-0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7463A (ja) * 1996-02-29 1997-09-09 Toshiba Corp ハードディスク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US7007141B2 (en) * 2001-01-30 2006-02-28 Data Domain, Inc. Archival data storage system and method
US7797556B2 (en) * 2006-02-27 2010-09-14 Kyocera Mita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allowing setting item to be changed in power-saving mode
JP2008134830A (ja) * 2006-11-28 2008-06-12 Hitachi Ltd 節電機能と診断機能の両方を備えたストレージシステム
JP2009070449A (ja) 2007-09-11 2009-04-02 Fuji Xerox Co Ltd 固定磁気ディスク装置における制御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9271637A (ja) * 2008-05-01 2009-11-19 Hitachi Ltd ストレージ装置及びそのドライブ起動方法
JP2010198303A (ja) 2009-02-25 2010-09-09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635092B2 (ja) * 2009-03-04 2011-02-16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および記憶装置制御方法
US8356139B2 (en) * 2009-03-24 2013-01-15 Hitachi, Ltd. Storage system for maintaining hard disk reliability
WO2010137180A1 (en) * 2009-05-25 2010-12-02 Hitachi,Ltd. Storage system and its power control method
US20110047316A1 (en) * 2009-08-19 2011-02-24 Dell Products L.P. Solid state memory device power optimization
JP2011095916A (ja) * 2009-10-28 2011-05-12 Canon Inc 電子機器
JP5209591B2 (ja) * 2009-11-16 2013-06-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省電力機能を有するストレージシステム
JP5676902B2 (ja) 2010-03-25 2015-02-2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US8327177B2 (en) * 2010-05-17 2012-12-04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information handling system storage device power consumption management
US8677162B2 (en) * 2010-12-07 2014-03-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liability-aware disk power management
JP5838606B2 (ja) * 2011-06-23 2016-01-06 株式会社リコー 給電制御システムおよび給電制御方法、ならびに、画像形成装置
EP2574948B1 (en) * 2011-09-09 2017-08-30 GS Yuasa International Ltd. Electric storage device monitor
JP2014010655A (ja) 2012-06-29 2014-01-20 Fujitsu Ltd 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4211849A (ja) * 2013-04-22 2014-11-13 富士通株式会社 ストレージ制御装置、ストレージ装置、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5064860A (ja) * 2013-08-27 2015-04-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9483107B2 (en) * 2014-10-13 2016-11-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daptive idle timeout for storage devices
JP6464874B2 (ja) * 2015-03-27 2019-02-06 富士通株式会社 ストレージ制御装置,ストレージ装置およびストレージ制御プログラム
US10073625B2 (en) * 2016-01-06 2018-09-11 HGST Netherlands B.V. Variable-RPM hard disk drive control
JP6703790B2 (ja) * 2016-08-05 2020-06-0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808507B2 (ja) * 2017-01-25 2021-01-0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76650A1 (en) * 2008-05-02 2009-11-05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110066802A1 (en) * 2009-09-16 2011-03-17 Hitachi, Ltd. Dynamic page reallocation storage system management
US20150033057A1 (en) * 2013-07-29 2015-01-29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Power conservation based on caching
US20160156798A1 (en) * 2014-11-27 2016-06-0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809552A (zh) 2018-03-16
EP3293610B1 (en) 2022-04-06
JP6768425B2 (ja) 2020-10-14
JP2018042146A (ja) 2018-03-15
US20180069980A1 (en) 2018-03-08
KR20180028379A (ko) 2018-03-16
EP3293610A1 (en) 2018-03-14
US11153455B2 (en) 2021-10-19
CN107809552B (zh) 202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8872B1 (ko) 기억장치 시스템, 그 제어 방법, 정보처리장치 및 기억매체
US995892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KR102408604B1 (ko) 화상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JP5780769B2 (ja) データ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KR102203333B1 (ko) 정보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
US1064254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hat controls shifting between power states in accordance with remaining storage capacity and control method thereof
RU2573233C2 (ru)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для устройства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и носитель информации
US906594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01534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US1058207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JP6338645B2 (ja) 印刷装置及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JP2014116905A (ja) 画像処理装置、機器制御方法、及び機器制御プログラム
US1152049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20026468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20177302A (ja)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