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122B1 - 시멘트 분산제 및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모르타르·콘크리트 혼화제 - Google Patents

시멘트 분산제 및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모르타르·콘크리트 혼화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122B1
KR101572122B1 KR1020140026461A KR20140026461A KR101572122B1 KR 101572122 B1 KR101572122 B1 KR 101572122B1 KR 1020140026461 A KR1020140026461 A KR 1020140026461A KR 20140026461 A KR20140026461 A KR 20140026461A KR 101572122 B1 KR101572122 B1 KR 101572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arbon atoms
compound represented
alkyl group
hydrogen at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6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4747A (ko
Inventor
권오일
전재익
유찬용
김경환
전영주
Original Assignee
한국산노프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노프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산노프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6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122B1/ko
Priority to JP2016555704A priority patent/JP6367353B2/ja
Priority to EP15757918.6A priority patent/EP3115346A4/en
Priority to PCT/KR2015/001525 priority patent/WO2015133750A1/ko
Priority to US15/123,383 priority patent/US20170073268A1/en
Publication of KR20150104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4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1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32Polyethers, e.g. alkylphenol polyglycole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6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ethylenically unsaturated dicarboxylic acid polymers, e.g. maleic anhydride copolymers
    • C04B24/26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ethylenically unsaturated dicarboxylic acid polymers, e.g. maleic anhydride copolymers containing polyether side cha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41Polyacrylates; Polymethacrylates
    • C04B24/2647Polyacrylates; Polymethacrylates containing polyether side cha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88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three different monomers
    • C04B24/2694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three different monomers containing polyether side cha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4Portland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90/062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45Polymers chosen for their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 C04B2103/0059Graft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30Water reducers, plasticisers, air-entrainers, flow improvers
    • C04B2103/308Slump-loss prevent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40Surface-active agents, dispersants
    • C04B2103/408Dispers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Polye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카르본산계 시멘트 분산제 및 그 제조방법과 상기 폴리카르본산계 시멘트 분산제를 이용한 모르타르·콘크리트 혼화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카르본산계 시멘트 분산제 및 상기 폴리카르본산계 시멘트 분산제를 이용한 모르타르·콘크리트 혼화제는 시멘트 페이스트, 모르타르, 콘크리트 등 시멘트 조성물에 적용되며, 시멘트 분자 간의 분산 및 유지력을 높이며, 슬럼프 손실을 억제하여 우수한 유동성을 가지고, 콘크리트 믹싱 시간을 20% 이상 단축하는 등으로 작업성(workability)을 향상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를 이용한 모르타르·콘크리트 혼화제는 아주 좋은 콘크리트 상태 및 경시적으로 적절한 압축 강도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멘트 분산제 및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모르타르·콘크리트 혼화제{Cement dispersing agent,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mortar·concrete admixture using the cement dispersing agent}
본 발명은 시멘트 분산제 및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모르타르·콘크리트 혼화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카르본산계 시멘트 분산제 및 그 제조방법과 상기 폴리카르본산계 시멘트 분산제를 이용한 모르타르·콘크리트 혼화제에 관한 것이다.
시멘트 조성물은 강도 및 내구성이 뛰어난 시멘트 경화물을 제공할 수 있어 건축물의 구조체 및 외벽체에 널리 사용되어왔다. 상기 시멘트 조성물의 예는 시멘트에 물을 첨가하여 만들어지는 시멘트 페이스트, 시멘트에 물과 잔골재인 모래를 혼합하여 만들어지는 모르타르, 시멘트에 물과 잔골재인 모래, 굵은 골재인 자갈을 혼합하여 만들어지는 콘크리트를 포함하며, 상기 시멘트 조성물의 작업 효율 및 강도·내구성 등을 개선하기 위한 시멘트 분산제 및 혼화재료의 사용이 보편화되어 있다.
시멘트 분산제는 시멘트에 물을 섞어서 반죽할 때 시멘트 입자와 물 입자 간의 인력을 감소시켜 유동성을 높이고 수화(Hydration) 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첨가제이며, 모르타르·콘크리트의 혼화재료는 모르타르·콘크리트의 혼합 시 필요에 따라 모르타르·콘크리트의 성질을 개선하거나 향상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는 재료로서 혼화재와 혼화제로 구분된다.
혼화재는 혼화재료 중 사용량이 비교적 많아서(보통 시멘트 무게의 5% 이상) 그 자체의 부피가 모르타르·콘크리트의 배합 설계에 반영되는 것으로 플라이 애쉬(Fly-ash), 고로 슬래그, 실리카 흄(Silica fume) 등을 들 수 있다.
혼화제는 혼화재료 중 사용량이 비교적 적어서(보통 시멘트 무게의 1% 이하) 그 자체의 부피가 모르타르·콘크리트의 배합 설계에서 무시되며, 물리·화학적 작용에 의해 모르타르·콘크리트의 성질을 개선할 목적으로 주로 사용한다. 주요 혼화제로는 분산제(감수제), AE(Air-Entraining)제, AE 감수제, 유동화제, 수축저감제, 촉진제·지연제, 방청제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강도에 따라 콘크리트를 분류할 때 저강도 콘크리트(20MPa 이하), 보통 강도 콘크리트(20~40MPa), 고강도 콘크리트(40MPa 이상), 초고강도 콘크리트(90MPa 이상)로 분류할 수 있다. 현재에는 고층 건축물에 적용하기 위해 고강도, 초고강도 등 콘크리트의 요구 물성이 높아짐에 따라 여기에 사용되는 혼화제의 적용이 불가피하며, 고강도 시멘트의 개발, 고성능 혼화제의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고강도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혼화제에는 리그닌 혼화제, 폴리나프탈렌설포네이트계 혼화제, 폴리카르본산계 혼화제 등이 있으며, 이들 중 폴리카르본산계 혼화제의 사용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콘크리트 혼화제 중에서 특히 폴리카르본산계 혼화제는 다른 혼화제에 비해 뛰어난 분산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혼화제로 한국등록특허 제10-0924665호 및 제10-0760586호에 개시된 혼화제는 2종의 공중합체를 필수로 함유하는 혼화제로서 시멘트 조성물의 감수성, 유동성 및 슬럼프 유지성능이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리고 한국등록특허 제10-0855533호에 개시된 콘크리트 혼화제는 시멘트 조성물에서의 콘크리트 점도 감소, 슬럼프 유지력 개선 및 블리딩(bleeding) 억제와 같은 특성으로 시멘트 조성물의 시공성(workability)이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시간에 따른 유동성의 감소, 슬럼프 손실(slump loss)을 완전하게 해결하지 못하고 있어 이러한 점의 개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구조의 폴리카르본산계 시멘트 분산제 및 그 제조방법과 상기 폴리카르본산계 시멘트 분산제를 이용한 모르타르·콘크리트 혼화제를 발명하기에 이른다.
특허등록 760586호 "시멘트 혼화제" (2007. 9. 14. 등록) 특허등록 제822244호 "시멘트 혼화제, 시멘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및 시멘트 경화품의 제조방법"(2008. 4. 8. 등록) 특허등록 제855533호" 폴리카르복실산 콘크리트 혼화제" (2008. 8. 26. 등록) 특허등록 제924665호 "시멘트 혼합재" (2009. 10. 27. 등록)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시멘트 분자 간의 분산 및 유지력을 향상시키고 슬럼프 유지 성능을 향상시키며 콘크리트 믹싱 시간을 단축하는 폴리카르본산계 시멘트 분산제 및 그 제조방법과 상기 폴리카르본산계 시멘트 분산제를 이용한 모르타르·콘크리트 혼화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시멘트 분산제는, 하기 화학식(b)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c)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는 하기 화학식(a)로 표시되는 마크로모노머에, 하기 화학식(b)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d)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e)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반응시켜 얻는, 하기 화학식(f)로 표시되는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화학식(a)
Figure 112014021973113-pat00001
(R1~3는 수소원자, 또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1종 이상의 알킬기를 표시하고, R4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 X는 0~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이며, Y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켄, 페닐, 알킬기로 표현되고 m은 옥시 알킬렌기 및 알킬기의 평균 첨가 몰수를 표시하고 1~400의 수임).
화학식(b)
Figure 112014021973113-pat00002
(R1~3는 수소원자, 또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1종 이상의 알킬기를 표시하고, R4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 X는 0~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이며, m은 옥시 알킬렌기 및 알킬기의 평균 첨가 몰수를 표시하고 1~400의 수임.)
화학식(c)
Figure 112014021973113-pat00003
(Y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켄, 페닐, 알킬기로 표현됨.)
화학식(d)
Figure 112014021973113-pat00004
(R5~7은 수소원자 또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 내지 2~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렌, 알릴기이며, M은 수소원자, 1가 금속(알칼리 금속) 또는 2가 금속(알칼리 토금속) 내지 암모늄기 및 1급 아민화합물, 2급 아민화합물, 3급 아민화합물을 포함하는 것).
화학식(e)
Figure 112014021973113-pat00005
(R8~9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이며, M은 수소원자, 1가 금속(알칼리 금속), 2가 금속(알칼리 토금속) 내지 암모늄기 및 1급 아민화합물, 2급 아민화합물, 3급 아민화합물을 포함하는 것).
화학식(f)
Figure 112014021973113-pat00006
(R1~R3은 수소원자 또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1종 이상의 알킬기이며, R5~7은 수소원자 또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 내지 2~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렌, 알릴기이며, X는 0~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이며, Y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켄, 페닐, 알킬기이며, m, o, p, q, r은 평균 몰수를 나타내며, 이때 m은 1~400이며, o, p, r은 0~400이며, q는 0.1~400몰이고, M은 수소원자, 1가 금속(알칼리 금속), 2가 금속(알칼리 토금속) 내지 암모늄기 및 1급 아민화합물, 2급 아민화합물, 3급 아민화합물을 포함하는 것).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시멘트 분산제는 상기 화학식(a)로 표시되는 마크로모노머의 옥시알킬렌기 및 알킬기의 평균 첨가 몰수는 1 ~ 400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시멘트 분산제는 상기 화학식(f)로 표시되는 고분자 화합물의 평균 중량 분자량이 10,000 ~ 3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시멘트 분산제는 상기 화학식(a)로 표시되는 마크로모노머, 화학식(b)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d)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e)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혼합 비율은 몰비를 따르고 화학식(a)로 표시되는 마크로모노머와 화학식(b)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몰비의 합은 화학식(d)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e)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몰비의 합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시멘트 분산제는 상기 화학식(a)로 표시되는 마크로모노머 : 화학식(b)로 표시되는 화합물 : 화학식 (d)로 표시되는 화합물 : 화학식(e)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10~100 : 0~70 : 0~150 : 0~150의 몰수의 비율로 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시멘트 분산제를 이용한 모르타르콘크리트 혼화제는 상기 화학식(f)로 표시되는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시멘트 분산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시멘트 분산제의 제조방법은, 하기 화학식(b)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c)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a)로 표시되는 마크로모노머를 얻는 단계;
상기 화학식(a)로 표시되는 마크로모노머에 하기 화학식(b)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d)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e)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f)로 표시되는 고분자 화합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화학식(a)
Figure 112014021973113-pat00007
(R1~3는 수소원자, 또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1종 이상의 알킬기를 표시하고, R4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 X는 0~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이며, Y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켄, 페닐, 알킬기로 표현되고, m은 옥시 알킬렌기 및 알킬기의 평균 첨가 몰수를 표시하고 1~400의 수임).
화학식(b)
Figure 112014021973113-pat00008
(R1~3는 수소원자, 또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1종 이상의 알킬기를 표시하고, R4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 X는 0~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이며, m은 옥시 알킬렌기 및 알킬기의 평균 첨가 몰수를 표시하고 1~400의 수임.)
화학식(c)
Figure 112014021973113-pat00009
(Y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켄, 페닐, 알킬기로 표현됨).
화학식(d)
Figure 112014021973113-pat00010
(R5~7은 수소원자 또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 내지 2~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렌, 알릴기이며, M은 수소원자, 1가 금속(알칼리 금속) 또는 2가 금속(알칼리 토금속) 내지 암모늄기 및 1급 아민화합물, 2급 아민화합물, 3급 아민화합물을 포함하는 것).
화학식(e)
Figure 112014021973113-pat00011
(R8~9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이며, M은 수소원자, 1가 금속(알칼리 금속) 또는 2가 금속(알칼리 토금속) 내지 암모늄기 및 1급 아민화합물, 2급 아민화합물, 3급 아민화합물을 포함하는 것).
화학식(f)
Figure 112014021973113-pat00012
(R1~R3은 수소원자 또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1종 이상의 알킬기이며, R5~R7은 수소원자 또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 내지 2~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렌, 알릴기이며, X는 0~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이며, Y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켄, 페닐, 알킬기이며, m, o, p, q, r은 평균 몰수를 나타내며, 이때 m은 1~400이며, o, p, r은 0~400이며, q는 0.1~400몰이고, M은 수소원자, 1가 금속(알칼리 금속), 2가 금속(알칼리 토금속) 내지 암모늄기 및 1급 아민화합물, 2급 아민화합물, 3급 아민화합물을 포함하는 것).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시멘트 분산제의 제조방법은 상기 화학식(a)로 표시되는 마크로모노머의 옥시알킬렌기 및 알킬기의 평균 첨가 몰수는 1 ~ 400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시멘트 분산제의 제조방법은 상기 화학식(f)로 표시되는 고분자 화합물의 평균 중량 분자량이 10,000 ~ 3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시멘트 분산제의 제조방법은 상기 화학식(a)로 표시되는 마크로모노머, 화학식(b)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d)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e)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혼합 비율은 몰비를 따르고 화학식(a)로 표시되는 마크로모노머와 화학식(b)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몰비의 합은 화학식(d)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e)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몰비의 합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시멘트 분산제의 제조방법은 상기 화학식(a)로 표시되는 마크로모노머 : 화학식(b)로 표시되는 화합물 : 화학식 (d)로 표시되는 화합물 : 화학식(e)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10~100 : 0~70 : 0~150 : 0~150의 몰수의 비율로 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 및 이를 이용한 모르타르·콘크리트 혼화제는 시멘트 페이스트, 모르타르, 콘크리트 등 시멘트 조성물에 적용되고, 시멘트 분자 간의 분산 및 유지력을 높이며, 슬럼프 손실을 억제하여 우수한 유동성을 가지고, 콘크리트 믹싱 시간을 20% 이상 단축하는 등으로 작업성(workability)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를 이용한 모르타르·콘크리트 혼화제는 아주 좋은 콘크리트 상태 및 경시적으로 적절한 압축 강도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시멘트 분산제는, 하기 화학식(b)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c)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는 하기 화학식(a)로 표시되는 마크로모노머에, 하기 화학식(b)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d)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e)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반응시켜 얻는, 하기 화학식(f)로 표시되는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된다.
화학식(a)
Figure 112014021973113-pat00013
(R1~3는 수소원자, 또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1종 이상의 알킬기를 표시하고, R4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 X는 0~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이며, Y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켄, 페닐, 알킬기로 표현되고, m은 옥시 알킬렌기 및 알킬기의 평균 첨가 몰수를 표시하고 1~400의 수임).
화학식(a)로 표시되는 마크로모노머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며, 최종적으로 화학식(f)로 표시되는 고분자 화합물과 같은 구조로 진행되었을 때 Y와 말단에 있는 산성기(酸性基)의 영향에 따라 유지성능 강화 및 믹싱 시간이 단축된다.
상기 화학식(a)로 표시되는 마크로모노머는 화학식(b)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c)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반응을 통해 합성되며, 합성의 조절은 산 촉매 및 반응하는 몰수에 따라 결정된다. 이때 사용할 수 있는 산 촉매는 메탄설폰산(Methane sulfonic acid), 파라톨루엔설폰산(p-toluene sulfonic acid), 염산, 황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반응 온도와 시간은 50~200℃, 0.5~150시간이 바람직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70~130℃, 0.5~80시간 동안 진행하는 것이 좋다. 반응의 진행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산가를 측정하여 반응률을 아래와 같이 계산한 뒤 반응률 99% 이상이 될 때를 완료 시점으로 정하였다.
Figure 112014021973113-pat00014

그리고 화학식(a)로 표시되는 마크로모노머에서 옥시 알킬렌기 및 알킬기를 표현하는 m의 수가 400 이상이 될 경우 합성 시 측쇄(side chain)가 너무 길어져 높은 점성으로 인해 합성에 어려움이 있으며, 최종 구조인 화학식(f)의 성능 역시 떨어져 m은 1~400이 바람직하다.
<화학식(b)>
Figure 112014021973113-pat00015
(R1~3는 수소원자, 또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1종 이상의 알킬기를 표시하고, R4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 X는 0~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이며, m은 옥시 알킬렌기 및 알킬기의 평균 첨가 몰수를 표시하고 1~400의 수임).
화학식(a)로 표시되는 마크로모노머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합물, 화학식(b)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m의 평균 첨가 몰수로 분자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화학식(c)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보여 지는 개환 반응의 첨가물로 산무수물과의 반응을 통해 측쇄에 산성기를 가지게 한다. 그리고 화학식(f)로 표시되는 고분자 화합물을 제조할 때 화학식(a)로 표시되는 마크로모노머와 동시에 사용될 수 있으며, 혼용하여 사용할 경우 단독으로 사용 할 때에 비해 콘크리트 혼화제의 성능이 우수하다.
<화학식(c)>
Figure 112014021973113-pat00016
(Y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켄, 페닐, 알킬기로 표현됨).
Y는 maleic산 무수물(acid anhydride), succinic산 무수물, 1,8-Naphthalic 산 무수물, 4-methylphthalic산 무수물, phthalic산 무수물, (2-Dodecen-1-yl)succinic산 무수물, Isatoic산 무수물, Itaconic산 무수물, trans-1,2-Cyclohexanedicarboxylic산 무수물, 2,3-Dimethylmaleic산 무수물, Homophthalic산 무수물, Hexahydro-4-methylphthalic산 무수물, 3,3-Tetramethyleneglutaric산 무수물, Phenylsuccinic산 무수물, Methylsuccinic산 무수물, 2,2-Dimethylglutaric산 무수물, 3,4-Pyridinedicarboxylic산 무수물, Bromomaleic산 무수물, 4-Methylphthalic 산 무수물, 2-Octen-1-ylsuccinic산 무수물, N-Methylisatoic산 무수물, 4-Amino-1,8-naphthalic산 무수물, 4-Bromo-1,8-naphthalic산 무수물, 4-Amino-1,8-naphthalic산 무수물, Tetrachlorophthalic산 무수물, 3-Hydroxyphthalic산 무수물, 2,3-Dichloromaleic산 무수물, 5-Bromoisatoic산 무수물, 3,6-Dichlorophthalic산 무수물 등이다.
화학식(c)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산무수물(酸無水物)들로 개환 반응을 통한 불포화 (폴리)옥시 알킬렌 에테르와 결합 반응에 적용되며, 말단기에 산성기를 치환하여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다.
<화학식(d)>
Figure 112014021973113-pat00017
(R5~7은 수소원자 또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 내지 2~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렌, 알릴기이며, M은 수소원자, 1가 금속(알칼리 금속) 또는 2가 금속(알칼리 토금속) 내지 암모늄기 및 1급 아민화합물, 2급 아민화합물, 3급 아민화합물을 포함하는 것).
<화학식(e)>
Figure 112014021973113-pat00018
(R8~9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이며, M은 수소원자, 1가 금속(알칼리 금속), 2가 금속(알칼리 토금속) 내지 암모늄기 및 1급 아민화합물, 2급 아민화합물, 3급 아민화합물을 포함하는 것).
화학식(f)로 표시되는 고분자 화합물을 구성하는 화학식(d)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e)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경우 각각 단독 또는 2종이 동시에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중합 시 분자량은 평균 몰비에 따라 중합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20~200, 0.5~150시간에 걸쳐 반응이 진행되며 50~130, 0.5~80시간에 걸쳐 반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반응의 중합은 중합 조절제로 평균 분자량을 조절할 수 있다.
<화학식(f)>
Figure 112014021973113-pat00019
(R1~R3은 수소원자 또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1종 이상의 알킬기이며, R5~7은 수소원자 또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 내지 2~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렌, 알릴기이며, X는 0~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이며, Y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켄, 페닐, 알킬기이며, m, o, p, q, r은 평균 몰수를 나타내며, 이때 m은 1~400이며, o, p, r은 0~400이며, q는 0.1~400몰이고, M은 수소원자, 1가 금속(알칼리 금속), 2가 금속(알칼리 토금속) 내지 암모늄기 및 1급 아민화합물, 2급 아민화합물, 3급 아민화합물을 포함하는 것).
상기 구조는 단독 또는 3종 이상의 고분자 중합체로써 화학식(a)로 표시되는 마크로모노머, 화학식(b)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d)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e)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화학반응을 통해 이루어진 화합물이다. 각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혼합 비율은 몰비를 따르고 화학식(a)로 표시되는 마크로모노머와 화학식(b)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몰비의 합은 화학식(d)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e)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몰비의 합보다 작거나 같으며, 화학식(f)로 표시되는 고분자 화합물은 반드시 화학식(a)로 표시되는 마크로모노머를 포함하고 화학식(b)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화학식(d)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e)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각각 단독 또는 둘이 동시에 사용될 수 있으며, 화학식(d)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e)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중합은 평균 몰수의 비율로 조절하며 화학식(a)로 표시되는 마크로모노머 : 화학식(b)로 표시되는 화합물 : 화학식(d)로 표시되는 화합물 : 화학식(e)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0.1~400 : 0~400 : 0~400 : 0~400의 비율에 따라 중합이 가능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화학식(a)로 표시되는 마크로모노머 : 화학식(b)로 표시되는 화합물 : 화학식 (d)로 표시되는 화합물 : 화학식(e)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10~100 : 0~70 : 0~150 : 0~150의 비율로 중합하는 것이 좋다. 화학식(d)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e)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비율이 너무 낮으면 분산 성능이 저하되고, 너무 크면 높은 점도로 인해 유지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중합 결과물은 30~150℃, 0.5~150시간 동안 반응하여 얻을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50~130℃, 0.5~80시간에서 우수한 성능의 고분자 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반응 시간이 너무 짧거나 길어지게 되면, 중합도가 떨어지게 되어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중합 시 온도가 일정 온도에 도달하지 못하거나 넘게 되면, 중합이 진행되지 않거나 오히려 사슬이 끊어질 수도 있게 된다.
상기 단량체 성분의 중합 시에는 연쇄 이동제와 중합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연쇄 이동제는 임의의 적절한 물질을 사용가능하며, 구체적으로는 티오글리세롤, 머캅토에탄올, 2-머캅토프로피온산, 3-머캅토프로피온산, 티오말산 등의 티올계 연쇄 이동제를 사용할 수 있다. 중합 개시제로는 과황산암모늄, 과황산나트륨, 과황산칼륨 등의 과황산염과, 과산화수소수, 벤조일퍼옥사이드 등의 퍼옥사이드 계열의 중합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된 화학식(f)로 표시되는 고분자 화합물은 측쇄의 말단기에 산성 작용기를 가지고 있어 콘크리트 배합 시 시멘트와 물과의 반응을 측쇄에 의한 입체적인 반발과 소정의 정전기적 반발력으로 인해 유지 성능을 월등히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측쇄 말단의 산성 작용기에서 유도된 음이온들로 인해 초기 믹싱 시간(mixing time)을 줄일 수 있으며, 일정 시간 경과 후 탈 에스테르화 반응(de-esterfication)을 통해 유지성능을 향상시킨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시멘트 분산제는 단독으로 모르타르·콘크리트 혼화제로 제조되거나, 작업 성능이나 동결융해 저항 성능을 향상시키는 AE제·AE감수제, 감수 효과를 이용하여 유동성을 개선시키는 유동화제, 건조 시에 발생하는 수축을 저감시키는 수축저감제, 응결·경화시간을 조절하는 촉진제·지연제, 염화물에 의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방청제, 시멘트와 골재의 분리를 막는 분리저감제, 방수성을 높이는 방수제, 기포를 발생시켜 경량화를 기하는 기포제·발포제, 점성·응집작용을 향상시키는 증점제 등의 혼화제 중 적어도 하나와 혼합되어 모르타르·콘크리트 혼화제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비교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화학식(a)로 표시되는 마크로모노머의 제조]
<실시예 1 (SuH의 제조)>
유리 반응기에 온도계, 교반기, 환류용 냉각기를 설치한 뒤 메타 아릴 (폴리)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화합물 3,120g(EO 몰수 : 60)을 넣고 60℃로 가열하면서 화합물 안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진공 회수하여 완전히 제거한다. 그 뒤 석신산 무수물 62.44g과 p-톨루엔술폰산 15.91g을 넣는다. 투입이 완료되면, 온도를 승온하여 약 90℃의 온도로 가열한다. 약 22시간 가열한 뒤 산가가 22.723㎖/g(반응률 : 99.4%)으로 나와 반응을 종료하였다.
<실시예 2 (PhH의 제조)>
유리 반응기에 온도계, 교반기, 환류용 냉각기를 설치한 뒤 메타 아릴 (폴리)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화합물 3,120g(EO 몰수 : 60)을 넣고 60℃로 가열하면서 화합물 안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진공 회수하여 완전히 제거한다. 그 뒤 프탈산 무수물(Phthalic anhydride) 173g과 p-톨루엔술폰산 3g을 넣는다. 투입이 완료되면, 온도를 승온하여 약 90℃의 온도로 가열한다. 약 66시간 가열한 뒤 산가가 22.94㎖/g(반응률 : 99.3%)으로 나와 반응을 종료하였다.
<실시예 3(MalH의 제조)>
유리 반응기에 온도계, 교반기, 환류용 냉각기를 설치한 뒤 메타 아릴 (폴리)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화합물 3,120g(EO 몰수 : 60)을 넣고 60℃로 가열하면서 화합물 안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진공 회수하여 완전히 제거한다. 그 뒤 말레산 무수물(Maleic anhydride) 114.73g과 p-톨루엔술폰산 16.2g을 넣는다. 투입이 완료되면, 온도를 승온하여 약 90℃의 온도로 가열한다. 약 3시간 가열한 뒤 산가가 23.2㎖/g(반응률 : 99.8%)으로 나와 반응을 종료하였다.
[화학식(f)로 표시되는 고분자 화합물의 제조]
<실시예 4>
유리 반응기에 온도계, 교반기, 환류용 냉각기, 적하 깔때기를 설치한 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합물 720g과 이온교환수 50g를 넣고 65℃로 가열하였다.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했을 때, 3-머캅토프로피온산 4.84g과 아크릴산 64.8g, 과유산나트륨 6.04g을 3~3.5시간 동안 적하 첨가하였다. 그리고 나서 3시간 동안 숙성 후 반응을 종결하고, 얻어진 반응 혼합물을 50℃ 이하로 냉각하여 중량 평균 분자량이 35,412인 공중합체 수용액을 얻었다.
<실시예 5>
유리 반응기에 온도계, 교반기, 환류용 냉각기, 적하 깔때기를 설치한 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합물 360g과 메타 아릴 (폴리)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화합물 270g에 이온교환수 50g을 넣고 65℃로 가열하였다.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했을 때, 3-머캅토프로피온산 4.84g와 아크릴산 64.8g, 과유산나트륨 6.04g을 3~3.5시간 동안 적하 첨가하였다. 그리고 나서 3시간 동안 숙성 후 반응을 종결하고, 얻어진 반응 혼합물을 50℃ 이하로 냉각하여 중량 평균 분자량이 38,193인 공중합체 수용액을 얻었다.
<실시예 6>
유리 반응기에 온도계, 교반기, 환류용 냉각기, 적하 깔때기를 설치한 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합물 144g과 메타 아릴 (폴리)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화합물 432g에 이온교환수 50g을 넣고 65℃로 가열하였다.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했을 때, 3-머캅토프로피온산 4.84g와 아크릴산 64.8g, 과유산나트륨 6.04g을 3~3.5시간 동안 적하 첨가하였다. 그리고 나서 3시간 동안 숙성 후 반응을 종결하고, 얻어진 반응 혼합물을 50℃ 이하로 냉각하여 중량 평균 분자량이 41,856인 공중합체 수용액을 얻었다.
<비교예 1>
유리 반응기에 온도계, 교반기, 환류용 냉각기, 적하 깔때기를 설치한 뒤, 메타 아릴 (폴리)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화합물 210g과 말레산 17.05g, 이온 교환수 100g을 넣고, 65℃로 가열하였다. 이어서 반응용기에 과산화수소수 9.8부를 넣는다. 그리고 아크릴산 9g와 L-아스코르브산 0.635g와 이온 교환수 6.03g을 각각 3시간, 3.5시간 동안 적가하였다. 적가 완료 후 상기 반응물을 65℃에서 1시간 동안 유지하고, 반응이 종료되면 NaOH 수용액을 이용하여 pH 7로 조정하여 공중합체 수용액을 얻었다.
<비교예 2>
유리 반응기에 온도계, 교반기, 환류용 냉각기, 적하 깔때기를 설치한 뒤, 메타 아릴 (폴리)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화합물 210g과 말레산 21.35g, 이온 교환수 142g을 넣고, 65℃로 가열하였다. 이어서 반응용기에 과산화수소 수용액 4.39g을 넣는다. 그리고 2-Hydroxyethyl acrylate 5.9g과 L-아스코르브산 0.284g과 이온 교환수 5.4g를 각각 3시간, 3.5시간 동안 적가하였다. 적가 완료 후 상기 반응물을 65℃에서 1시간 동안 유지하고, 반응이 종료되면 상온까지 냉각 후 NaOH 수용액을 이용하여 pH 7로 조정하여 공중합체 수용액을 얻었다.
<비교예 3>
유리 반응기에 온도계, 교반기, 환류용 냉각기, 적하 깔때기를 설치한 뒤, 메타 아릴 (폴리)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화합물 43.37g과 이온 교환수 25.48g을 넣고, 60℃로 가열하였다. 이어서 반응용기에 과산화수소 2% 수용액 3.0g을 넣는다. 그리고 아크릴산 1.92g을 1.5시간에 걸쳐 적하하며, 적하가 종료 됨에 따라 다시 아크릴산 4.08g을 1.5시간에 걸쳐 적하한다. 처음 아크릴산을 적하하는것과 동시에 3-머캅토 프포피온산 0.14g과 , L-아스코르빈산 0.08g, 이온 교환수 15.94g으로 이루어진 수용액을 3.5시간에 걸쳐 적하한다. 적하가 완됴되면, 상기 60℃에서 1시간 동안 유지한 후, 냉각하여 중합반응을 종료하였다. 그 후, NaOH 수용액을 이용하여 pH 7로 조정하여 공중합체 수용액을 얻었다.
<실시예 7 내지 12>
실시예 1 내지 3에서 합성되어진 단량체를 사용하고 실시예 4~6에서 합성되는 단량체의 비율을 조절하여 실시예 7~12를 진행하였다. 이때 만들어진 공중합체의 결과는 표1에 제시하였다.
구분 단량체 약어 모노머 모노머 : 단량체 첨가 몰비 결과
점도(cps), 25℃ specificgravity pH
실시예 4 SuH-100 AA 4:1 420 1.102 1.89
실시예 5 SuH-50 AA 4:1 432 1.1 2.18
실시예 6 SuH-20 AA 4:1 450 1.098 2.4
실시예 7 PhH-100 AA 4:1 340 1.102 1.88
실시예 8 PhH-50 AA 4:1 370 1.1 2.14
실시예 9 PhH-20 AA 4:1 405 1.102 2.42
실시예 10 MalH-100 AA 4:1 960 1.102 1.7
실시예 11 MalH-50 AA 4:1 1096 1.104 1.8
실시예 12 MalH-20 AA 4:1 1382 1.096 1.96
[화학식 약어] AA : Acrylic acid
[SuH-100 : SuH 단량체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를 말하며 50, 20은 SuH의 비율을 말한다. 나머지 비율은 메타 아릴(폴리)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단량체를 사용하여 총 100%가 되도록 사용하였다. PhH 및 MalH 역시 상기 방법과 동일한 비율로 중합에 사용되었다.]
<실시예 13 내지 16>
실시예 1 내지 3에서 합성된 단량체의 비율을 고정하고 모노머의 종류와 비율을 달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절차에 따라 중합을 진행하였으며, 이때 만들어진 고분자 화합물은 표2에 나타내었다.
구분 단량체 약어 모노머 모노머 : 단량체 첨가 몰비 결과
유효성분(%) 점도(cps)25℃ specific gravity pH
실시예 13 SuH-100 AA, MAA 3.5 : 0.5 50.5 340 1.104 1.98
실시예 14 SuH-100 AA, HEA 3.5 : 0.5 50.5 370 1.102 1.99
실시예 15 PhH-100 AA, MA 3.5 : 0.5 50.5 210 1.104 1.8
실시예 16 PhH-100 AA, MAA 3.5 : 0.5 50.5 230 1.096 1.96
비교예 1 VPEG AA, MA 1.99 : 1.43 50.5 172 1.106 6.58
비교예 2 VPEG MA, HEA 1.44 : 0.58 50.5 117 1.112 6.75
비교예 3 VPEG AA 3.5 : 0.5 50.5 470 1.102 3.51
[화학식 약어] AA : Acrylic acid MAA : Methacrylic acid MA : Maleic acid HEA : 2-hydroxyethylacrylate
[평균 중량 분자량 측정]
실시예 4 내지 16, 비교예 1 내지 3에서 중합된 시료의 평균 중량 분자량을 측정하여 아래 표3에 나타내었다.
GPC를 이용한 분자량 측정
구분 분자량 구분 분자량 구분 분자량
실시예 4 35126 실시예 10 332122 실시예 16 35378
실시예 5 38193 실시예 11 249745 비교예 1 29821
실시예 6 41856 실시예 12 153407 비교예 2 28989
실시예 7 23240 실시예 13 34124 비교예 3 35216
실시예 8 26713 실시예 14 37046
실시예 9 33802 실시예 15 33907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 분자량 측정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장치 : WATERS Corp.의 제품 GPC
2) 검출기 : 시차분광법 (RI) 검출기(Ditector 2414) (WATERS Corp.의 제품)
3) 용리액 : 종류 : 탈이온수(HPLC 용), 유속 : 0.8㎖/min
4) 컬럼 종류 : WATERS Corp.의 제품, ultrahydrogel (6 X 40mm)
5) 컬럼 온도 : 25℃
6) 표준 샘플 : Poly ethylene glycol 최대피크(peak-top) 분자량(Mp) 1670, 5000, 25300, 440000, 78300,152000, 326000, 55800의 검량선 작성 후 사용
[콘크리트 혼화제의 제조]
실시예 4 내지 16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만들어진 공중합체 수용액을 이용하여 제조한다.
1) 실시예 4 내지 16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만들어진 수용액의 유효성분을 측정한다.
2) 상기 공중합체 수용액의 유효성분을 20%로 맞춘 뒤, 전체 중량의 0.1% 정도의 다른 혼화제를 투입한다(이때 투입 할 다른 혼화제가 없을 경우 상기 공중합체 수용액만으로도 성능 발현이 가능함).
[유효성분의 측정방법]
1) 측정하고자 하는 고분자의 질량을 측정한다.
2) 상기 측정된 고분자를 105℃로 설정되어 있는 건조기에 넣고 3시간 건조시킨다.
3) 3시간 경과 후, 고분자 시료를 건조기에서 꺼낸 뒤 상온의 데시게이터(desicator)에서 20분간 냉각한다.
4) 상기 항이 종료되면 고분자 시료의 질량을 측정한다.
5) 1항에서 4항까지 3회 실행하여 3개의 시편을 제조한다.
6) 유효성분은 아래의 식에 따라 계산한다.
Figure 112014021973113-pat00020
7) 계산된 시편 3개의 평균치를 고분자의 유효성분으로 결정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토대로 한 본 발명의 혼화제를 콘크리트 테스트에 적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콘크리트 테스트]
1) 슬럼프 시험 : KS F 2402
2) 공기량 측정 : KS F 2409
3) 콘크리트 제형화는 하기 조성으로 수행함.
- 물 : 165kg
- 시멘트(일반 포틀랜드 시멘트) : 423kg
- 플라이애쉬(Fly-ash) : 47kg
- 골재 1 (종류: 세척사 ) : 760kg
- 골재 2(종류: 25mm 쇄석) : 946kg
4) 수행 방법 : 상기 언급된 배합에서 조제된 콘크리트는 충분히 섞어 준 다음 초기 유동값과 60분 후의 유동값, 그리고 각각의 공기량을 측정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시험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슬럼프 테스트(KS F 2402)]
1) 슬럼프 콘의 속을 젖은 걸레로 닦아 수밀한 평판 위에 놓는다.
2) 시료를 슬럼프 콘 부피의 약 1/3(깊이 약 7㎝)되게 넣고 다짐봉으로 전체 면에 걸쳐 25번 고르게 다진다.
3) 시료를 슬럼프 콘 부피의 2/3(깊이 약 16㎝)까지 넣고 다짐봉으로 25번 다진다. 이때, 다짐봉이 콘크리트 속으로 들어가는 깊이는 약 9㎝로 한다.
4) 마지막으로 슬럼프 콘에 시료를 넘칠 정도로 넣고 다짐봉으로 25번 고르게 다진다.
5) 시료의 표면을 슬럼프 콘의 윗면에 맞추어 평평하게 한다.
6) 슬럼프 콘을 위로 가만히 빼어 올린다.
7) 콘크리트가 내려앉은 길이를 5㎜의 정밀도로 측정한다.
[공기량 테스트(KS F 2409)]
1) 시료를 거의 같은 높이의 3층으로 나누어 다지고 각층은 10회씩 균등하게 다지고, 용기의 옆면을 5회 정도 나무망치로 두드린다.
2) 다음에 자로 여분의 시료를 사용하여 평탄하게 한다. 용기의 플랜지 윗부분과 덮개의 플랜지 아랫부분을 완전히 닦은 후 덮개의 안팎을 통기할 수 있도록 가만히 덮개를 용기에 부착시키고 공기가 새지 않도록 꽉 죄고 공기 실내의 기압을 초기 압력에 일치시킨다.
3) 약 5초 후 작동판을 충분하게 연다. 콘크리트 각 부분에 압력이 구석구석 잘 채워지도록 용기의 옆면을 나무망치로 두드린다. 다시 작동판을 충분하게 열고 바늘이 안정될 때부터 압력계의 공기량의 눈금을 소수점 이하 1자리까지 읽는다.
[압축 강도 테스트]
상기 언급된 콘크리트 배합을 토대로 하여 진행하였으며, 압축강도 시험용 공시체(供試體)는 다음과 같이 제작한다.
1) 공시체의 수는 3개 이상으로 한다.
2) 몰드는 내부면에 콘크리트를 치기 전에 광유를 바른다.
3) 콘크리트를 몰드에 채울 때 다짐봉을 이용하여 3개 층으로 나누어 채우고 각층을 25회씩 다진다.
4) 몰드는 콘크리트를 치어 부은 후 24~48시간에 제거하고, 그 후 온도 18~24℃의 습윤 상태에서 강도 시험을 행할 때까지 양생한다.
[표 4] : 혼화제 첨가량 및 경시적 유동값, 공기량, 압축강도 변화
Figure 112014021973113-pat00021
※ 상기 표에서 콘크리트 상태는 스쿠프로 혼합하는 경우의 느낌을 표시하며, 가볍고 부드러운 느낌의 좋은 상태에 따라 아주 좋음 : ◎, 좋음 : ○, 보통 : ◇, 좋지 않음 : ×로 표시하였음.
[믹싱 시간 테스트(mixing time test)]
레미콘 공장에서 일반적으로 믹싱 시간을 40~60초 간 하는 것을 고려하여 30, 60, 90초로 선정하여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이때 콘크리트의 배합과 초기 유동값 측정은 상기한 테스트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실시예 4 및 실시예 9의 혼화제를 첨가한 경우, 30초의 믹싱 시간으로도 콘크리트 상태가 아주 좋아 콘크리트 믹싱 시간을 20% 이상 단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5] : 믹싱시간에 따른 경시적 유동값
Figure 112014021973113-pat00022
※ 상기 표에서 콘크리트 상태는 스쿠프로 혼합하는 경우의 느낌을 표시하며, 가볍고 부드러운 느낌의 좋은 상태에 따라 아주 좋음 : ◎, 좋음 : ○, 보통 : ◇, 좋지 않음 : ×로 표시하였음.

Claims (11)

  1. 하기 화학식(b)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c)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는 하기 화학식(a)로 표시되는 마크로모노머에, 하기 화학식(b)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d)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e)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반응시켜 얻는, 하기 화학식(f)로 표시되는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분산제.

    화학식(a)
    Figure 112015073213635-pat00035

    (R1~3는 수소원자, 또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1종 이상의 알킬기를 표시하고, R4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 X는 0~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이며, Y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켄, 페닐, 알킬기로 표현되고, m은 옥시 알킬렌기 및 알킬기의 평균 첨가 몰수를 표시하고 1~400의 수임).

    화학식(b)
    Figure 112015073213635-pat00036

    (R1~3는 수소원자, 또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1종 이상의 알킬기를 표시하고, R4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 X는 0~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이며, m은 옥시 알킬렌기 및 알킬기의 평균 첨가 몰수를 표시하고 1~400의 수임.)

    화학식(c)
    Figure 112015073213635-pat00037

    (Y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켄, 페닐, 알킬기로 표현됨).

    화학식(d)
    Figure 112015073213635-pat00038

    (R5~7은 수소원자 또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 내지 2~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렌, 알릴기이며, M은 수소원자, 1가 금속(알칼리 금속) 또는 2가 금속(알칼리 토금속) 내지 암모늄기 및 1급 아민화합물, 2급 아민화합물, 3급 아민화합물을 포함하는 것).

    화학식(e)
    Figure 112015073213635-pat00039

    (R8~9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이며, M은 수소원자, 1가 금속(알칼리 금속) 또는 2가 금속(알칼리 토금속) 내지 암모늄기 및 1급 아민화합물, 2급 아민화합물, 3급 아민화합물을 포함하는 것).

    화학식(f)
    Figure 112015073213635-pat00040

    (R1~R3은 수소원자 또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1종 이상의 알킬기이며, R5~7은 수소원자 또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 내지 2~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렌, 알릴기이며, X는 0~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이며, Y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켄, 페닐, 알킬기이며, m, o, p, q, r은 평균 몰수를 나타내며, 이때 m은 1~400이며, o, p, r은 0~400이며 q는 0.1~400몰이고, M은 수소원자, 1가 금속(알칼리 금속), 2가 금속(알칼리 토금속) 내지 암모늄기 및 1급 아민화합물, 2급 아민화합물, 3급 아민화합물을 포함하는 것).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a)로 표시되는 마크로모노머의 옥시알킬렌기 및 알킬기의 평균 첨가 몰수는 1 ~ 4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분산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f)로 표시되는 고분자 화합물의 평균 중량 분자량이 10,000 ~ 3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분산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a)로 표시되는 마크로모노머, 화학식(b)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d)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e)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혼합 비율은 몰비를 따르고 화학식(a)로 표시되는 마크로모노머와 화학식(b)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몰비의 합은 화학식(d)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e)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몰비의 합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분산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a)로 표시되는 마크로모노머 : 화학식(b)로 표시되는 화합물 : 화학식 (d)로 표시되는 화합물 : 화학식(e)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10~100 : 0~70 : 0~150 : 0~150의 몰수의 비율로 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분산제.
  6. 제1항의 화학식(f)로 표시되는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시멘트 분산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르타르·콘크리트 혼화제.
  7. 하기 화학식(b)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c)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a)로 표시되는 마크로모노머를 얻는 단계;
    상기 화학식(a)로 표시되는 마크로모노머에 하기 화학식(b)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d)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e)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f)로 표시되는 고분자 화합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분산제의 제조방법.
    화학식(a)
    Figure 112015073213635-pat00041

    (R1~3는 수소원자, 또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1종 이상의 알킬기를 표시하고, R4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 X는 0~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이며, Y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켄, 페닐, 알킬기로 표현되고, m은 옥시 알킬렌기 및 알킬기의 평균 첨가 몰수를 표시하고 1~400의 수임).

    화학식(b)
    Figure 112015073213635-pat00042

    (R1~3는 수소원자, 또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1종 이상의 알킬기를 표시하고, R4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 X는 0~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이며, m은 옥시 알킬렌기 및 알킬기의 평균 첨가 몰수를 표시하고 1~400의 수임).

    화학식(c)
    Figure 112015073213635-pat00043

    (Y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켄, 페닐, 알킬기로 표현됨).

    화학식(d)
    Figure 112015073213635-pat00044

    (R5~7은 수소원자 또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 내지 2~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렌, 알릴기이며, M은 수소원자, 1가 금속(알칼리 금속) 또는 2가 금속(알칼리 토금속) 내지 암모늄기 및 1급 아민화합물, 2급 아민화합물, 3급 아민화합물을 포함하는 것).

    화학식(e)
    Figure 112015073213635-pat00045

    (R8~9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이며, M은 수소원자, 1가 금속(알칼리 금속) 또는 2가 금속(알칼리 토금속) 내지 암모늄기 및 1급 아민화합물, 2급 아민화합물, 3급 아민화합물을 포함하는 것).

    화학식(f)
    Figure 112015073213635-pat00046

    (R1~R3은 수소원자 또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1종 이상의 알킬기이며, R5~7은 수소원자 또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 내지 2~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렌, 알릴기이며, X는 0~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이며, Y는 1~3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켄, 페닐, 알킬기이며, m, o, p, q, r은 평균 몰수를 나타내며, 이때 m은 1~400이며, o, p, r은 0~400이며, q는 0.1~400몰이고, M은 수소원자, 1가 금속(알칼리 금속), 2가 금속(알칼리 토금속) 내지 암모늄기 및 1급 아민화합물, 2급 아민화합물, 3급 아민화합물을 포함하는 것).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a)로 표시되는 마크로모노머의 옥시알킬렌기 및 알킬기의 평균 첨가 몰수는 1 ~ 4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분산제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f)로 표시되는 고분자 화합물의 평균 중량 분자량이 10,000 ~ 3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분산제의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a)로 표시되는 마크로모노머, 화학식(b)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d)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e)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혼합 비율은 몰비를 따르고 화학식(a)로 표시되는 마크로모노머와 화학식(b)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몰비의 합은 화학식(d)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e)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몰비의 합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분산제의 제조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a)로 표시되는 마크로모노머 : 화학식(b)로 표시되는 화합물 : 화학식 (d)로 표시되는 화합물 : 화학식(e)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10~100 : 0~70 : 0~150 : 0~150의 몰수의 비율로 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분산제의 제조방법.
KR1020140026461A 2014-03-06 2014-03-06 시멘트 분산제 및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모르타르·콘크리트 혼화제 KR101572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461A KR101572122B1 (ko) 2014-03-06 2014-03-06 시멘트 분산제 및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모르타르·콘크리트 혼화제
JP2016555704A JP6367353B2 (ja) 2014-03-06 2015-02-16 セメント分散剤及び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利用したモルタル・コンクリート混和剤
EP15757918.6A EP3115346A4 (en) 2014-03-06 2015-02-16 Cement dispersant,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mortar·concrete admixture using same
PCT/KR2015/001525 WO2015133750A1 (ko) 2014-03-06 2015-02-16 시멘트 분산제 및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모르타르·콘크리트 혼화제
US15/123,383 US20170073268A1 (en) 2014-03-06 2015-02-16 Cement dispersant,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mortar-concrete admixture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461A KR101572122B1 (ko) 2014-03-06 2014-03-06 시멘트 분산제 및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모르타르·콘크리트 혼화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747A KR20150104747A (ko) 2015-09-16
KR101572122B1 true KR101572122B1 (ko) 2015-11-26

Family

ID=54055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461A KR101572122B1 (ko) 2014-03-06 2014-03-06 시멘트 분산제 및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모르타르·콘크리트 혼화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70073268A1 (ko)
EP (1) EP3115346A4 (ko)
JP (1) JP6367353B2 (ko)
KR (1) KR101572122B1 (ko)
WO (1) WO20151337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403B1 (ko) 2019-05-27 2019-10-07 박재영 감수능력이 극대화된 포러스형 이온교환수지의 제조방법, 그 방법에 의한 이온교환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레미콘용 감수제
CN111825367B (zh) * 2020-06-24 2022-01-11 中建西部建设建材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超高性能混凝土的降粘剂及其制备方法
CN114702259B (zh) * 2022-05-18 2023-01-31 山东众森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解决超细粉在混凝土中应用问题的液体粉磨调节剂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80899A1 (en) 2005-06-14 2006-12-14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Method of making a gypsum slurry with modifiers and dispersants
KR100924665B1 (ko) 2003-11-05 2009-11-03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쇼쿠바이 시멘트 혼합재
US20120172468A1 (en) 2010-12-30 2012-07-05 Blackburn David R Effective use of melamine sulfonate condensate dispersants in wallboard containing foa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9212A (en) * 1992-12-08 1998-04-14 Skw Trostberg Aktiengesellschaft Water-soluble graft polymers
JPH1179817A (ja) * 1997-09-01 1999-03-23 Nippon Shokubai Co Ltd セメント組成物
DE19926611A1 (de) * 1999-06-11 2000-12-14 Sueddeutsche Kalkstickstoff Copolymere auf Basis von ungesättigten Mono- oder Dicarbonsäure-Derivaten und Oxyalkylenglykol-Alkenylether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JP3725414B2 (ja) * 2000-10-06 2005-12-14 竹本油脂株式会社 水硬性セメント組成物用空気量安定化剤及び水硬性セメント組成物
JP2003073158A (ja) * 2001-09-04 2003-03-12 Nippon Shokubai Co Ltd セメント硬化物の製造方法
KR100524383B1 (ko) * 2002-07-22 2005-11-01 한국산노프코 주식회사 시멘트 및 콘크리트 혼화제(분산제)
EP1601627B1 (en) * 2003-03-05 2012-10-17 Nippon Shokubai Co., Ltd. Cement admixture, cement composition and method for laying work the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cement hardened product
US20040211342A1 (en) * 2003-04-25 2004-10-28 Mbt Holding Ag Rheology stabilizer for cementitious compositions
JP4666344B2 (ja) * 2003-11-05 2011-04-06 株式会社日本触媒 セメント混和剤
DE102004005434A1 (de) * 2004-02-04 2005-08-25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Copolymere auf Basis von ungesättigten Mono- oder Dicarbonsäure-Derivaten und Oxyalkylenglykol-Alkenylether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KR100655561B1 (ko) * 2004-04-23 2006-12-08 한국산노프코 주식회사 시멘트 혼화제
US20080017078A1 (en) * 2005-06-14 2008-01-24 Manfred Bichler Liquid admixture composition
US20060281885A1 (en) * 2005-06-14 2006-12-14 Manfred Bichler Polyether-containing copolymer
CN102596847B (zh) * 2009-09-02 2015-04-01 巴斯夫聚合建材有限公司 制剂及其用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665B1 (ko) 2003-11-05 2009-11-03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쇼쿠바이 시멘트 혼합재
US20060280899A1 (en) 2005-06-14 2006-12-14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Method of making a gypsum slurry with modifiers and dispersants
US20120172468A1 (en) 2010-12-30 2012-07-05 Blackburn David R Effective use of melamine sulfonate condensate dispersants in wallboard containing fo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747A (ko) 2015-09-16
JP2017508708A (ja) 2017-03-30
EP3115346A1 (en) 2017-01-11
US20170073268A1 (en) 2017-03-16
JP6367353B2 (ja) 2018-08-01
WO2015133750A1 (ko) 2015-09-11
EP3115346A4 (en) 2017-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9998B2 (en) Concrete or cement dispersant and method of use
US10035729B2 (en) Inorganic binder composition comprising a copolymer
JP6240074B2 (ja) 遅延アルカリ加水分解性を有する櫛型ポリマー
JP4993149B2 (ja) 共重合体及び該共重合体からなるセメント分散剤
WO2006011182A1 (ja) セメント分散剤および該分散剤を含むコンクリート組成物
KR101572122B1 (ko) 시멘트 분산제 및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모르타르·콘크리트 혼화제
JP5887094B2 (ja) 水硬性組成物用混和剤
KR100904607B1 (ko) 시멘트 혼화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조성물
KR101003695B1 (ko) 시멘트 혼화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조성물
JP5936504B2 (ja) ポリカルボン酸系共重合体及びその用途
JP6875443B2 (ja) 無機バインダー組成物のレオロジー制御用の櫛型ポリマーの使用
JP6955967B2 (ja) 高炉スラグ含有セメントスラリー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ソイルセメントスラリーの調製方法
JP4832872B2 (ja) 石膏スラリー
JP2014125509A (ja) 共重合体およびその用途
KR101617416B1 (ko) 폴리카르본산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의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KR101733616B1 (ko) 하이브리드 고분자 중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시멘트 유동화제 및 모르타르·콘크리트 혼화제
KR101717180B1 (ko) 폴리카르본산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48255B1 (ko) 시멘트 혼화제용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 혼화제
KR20200102740A (ko) 시멘트 혼화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56318B1 (ko) 분산제 제조용 단량체,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6055304B2 (ja) 共重合体及びその用途
KR20170077525A (ko) 시멘트 조성물 첨가제로 사용되는 폴리카르본산계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KR20180076005A (ko) 시멘트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JP2013082559A (ja) 水硬性組成物用混和剤
KR20070019522A (ko) 시멘트 분산제 및 이 분산제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