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5175B1 - 유체 분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체 분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5175B1
KR101565175B1 KR1020107000586A KR20107000586A KR101565175B1 KR 101565175 B1 KR101565175 B1 KR 101565175B1 KR 1020107000586 A KR1020107000586 A KR 1020107000586A KR 20107000586 A KR20107000586 A KR 20107000586A KR 101565175 B1 KR101565175 B1 KR 101565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pack
ink
accommodating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0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8096A (ko
Inventor
다츠로 오사와
히로유키 스기모토
에츠오 츠지
마사유키 호리카와
츠토무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38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8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B41J2/17509Whilst mounted 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41J2/17523Ink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3Out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9Cartridg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02Frame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k Jet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Abstract

프린터(10)는 인쇄 용지(900)에 대하여 잉크를 토출하는 인쇄 기구부(50)와, 인쇄 기구부(50)를 수용한 본체 케이싱(20)과, 분사용의 잉크를 수용한 잉크 팩(310)과, 회동축(350)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폐가능하게 본체 케이싱(20)에 피봇 장착되고, 잉크 팩(310)을 수용한 상부 케이싱(30)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유체 분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FLUID JE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본 발명은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 분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사용의 유체를 수용한 유체 수용 팩을 유체 분사 장치에 배치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유체 분사 장치의 대표적인 것으로서는, 예컨대 종이나 플라스틱 등의 박판형상의 기록 매체에 대하여 잉크 방울을 분사해서 문자나 도형을 기록하는 잉크젯식 프린터가 있다. 그 외에, 유체 분사 장치로서는,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디스플레이, 면 발광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등을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색재(色材)나 전극 등을 형성하는 액체상의 각종 재료를 화소 형성 영역이나 전극 형성 영역에 대하여 분사하는 것이 있다.
유체 분사 장치는, 유체를 분사 대상물에 분사하는 분사 헤드를 탑재한 캐리지를 구비하고, 캐리지 및 기록 매체의 적어도 한쪽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분사 대상물에 대하여 유체가 분사되는 위치를 조정한다. 유체 분사 장치에는, 분사용의 유체를 수용한 유체 수용 팩을 캐리지로부터 분리해서 배치한 방식[소위 오프 캐리지(off-carriage)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캐리지를 구동하는 부하의 경감을 도모한 것이 있다. 일본 공개 특허 제 2005-47258 호 공보에는, 잉크 팩을 수용한 잉크 카트리지를 프린터 본체에 삽입한 오프 캐리지 방식의 프린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유체 수용 팩의 대용량화에 대응가능한 구성에 대해서 충분히 고려되지 않고 있었다. 예를 들면, 대용량화한 유체 수용 팩을 배치하는 공간을 장치내에 확보하는 것의 곤란성이나, 유체 수용 팩의 증가된 무게가 인접하는 다른 팩을 눌러서 유체 누설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근거로 하여, 유체 수용 팩의 대용량화에 대응가능한 유체 분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서 행해진 것으로서, 이하의 형태 또는 적용예로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용예 1] 적용예 1의 유체 분사 장치는,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 분사 장치로서, 분사 대상물에 대하여 유체를 토출하는 유체 토출부와, 상기 유체 토출부를 수용한 본체 케이싱과, 분사용의 유체를 수용한 유체 수용 팩과,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폐가능하게 상기 본체 케이싱에 피봇 장착되고, 상기 유체 수용 팩을 수용한 수용 케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적용예 1의 유체 분사 장치에 의하면, 수용 케이스를 개폐함으로써, 수용 케이스에 의해 덮인 본체 케이싱의 내부에 대하여 접촉할 수 있으므로, 유체 수용 팩을 배치하는 위치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적용예 2] 적용예 1의 유체 분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 케이스는 상기 유체 토출부의 상방을 개폐가능하게 상기 본체 케이싱에 피봇 장착되어도 좋다. 적용예 2의 유체 분사 장치에 의하면, 본체 케이싱에 수용된 유체 토출부의 커버로서, 수용 케이스를 이용하는 동시에, 수용 케이스를 개폐함으로써, 본체 케이싱에 수용된 유체 토출부나 용지 반송부에 있어서의 유체의 토출 불량이나 분사 대상물의 걸림(jamming) 등에 대처하기 위한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적용예 3] 적용예 1 또는 적용예 2의 유체 분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 케이스에 수용된 유체 수용 팩으로부터 도출된 액체를 상기 본체 케이싱에 수용된 유체 분사부로 흘려보내는 유체 유로를 형성하는 공급 튜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공급 튜브는 상기 수용 케이스가 개폐하는데 추종해서 변형하는 만곡부를 갖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적용예 4] 적용예 1 내지 적용예 3중 어느 하나의 유체 분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체 수용 팩은 자루부를 갖는 복수의 유체 수용 팩이며, 상기 회동축은 상기 수용 케이스의 내측에서 상기 본체 케이싱측에 있는 내측 기준면을 대략 따르는 축이며, 상기 유체 분사 장치는, 상기 수용 케이스에 내장되고, 상기 수용 케이스의 상기 내측 기준면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판을 갖고, 상기 유체 수용 팩에 있어서의 자루부의 한쪽 측면이 상기 경사판에 접촉하는 상태로 상기 유체 수용 팩 각각을 각각 탑재한 복수의 홀더를 더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홀더는, 상기 경사판이 경사지는 쪽에서 이웃하는 다른쪽 홀더에 탑재된 상기 유체 수용 팩의 상방에, 한쪽 홀더의 상기 경사판이 덮인 상태로, 상기 수용 케이스의 상기 내측 기준면을 따라 어긋나서 병설된 것으로 할 수 있다. 적용예 4의 유체 분사 장치에 의하면, 유체 수용 팩 각각이 홀더의 경사판에 각각 탑재되기 때문에, 복수의 유체 수용 팩을 포개서 효율적으로 수용하면서, 유체 수용 팩의 무게가 인접하는 팩을 누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적용예 5] 적용예 4의 유체 분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상기 경사판은, 상기 수용 케이스의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에 걸쳐서 중력방향의 하방으로부터 상기 유체 수용 팩에 접촉하는 각도로, 상기 수용 케이스의 상기 내측 기준면에 대하여 경사져도 좋다. 적용예 3의 유체 분사 장치에 의하면, 수용 케이스의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에 걸쳐서, 유체 수용 팩이 하방으로부터 유지되기 때문에, 유체 수용 팩이 자중에 의해 인접하는 홀더에 과도하게 가압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적용예 6] 적용예 4 또는 적용예 5의 유체 분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더는 상기 수용 케이스의 상기 회동축의 축방향을 대략 따라서 병설되어도 좋다. 적용예 5의 유체 분사 장치에 의하면, 수용 케이스의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에 걸쳐서, 수용 케이스에 유지된 유체 수용 팩의 각각의 높이가 대략 동일하게 되기 때문에, 유체 수용 팩의 각각에 수용된 유체의 압력 수두를 대략 동일하게 맞출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체의 분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적용예 7] 적용예 4 내지 적용예 6중 어느 하나의 유체 분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 케이스의 상기 내측 기준면에 마련되고, 상기 병설된 복수의 홀더중 상기 경사판이 경사지는 쪽의 단부에 위치하는 홀더에 있어서의 상기 경사판의 하방을 향해서 세워진 홀더 보조 리브를 더 구비해도 좋다. 이에 의해, 경사판이 경사지는 방향의 힘에 대하여 홀더를 보강할 수 있다.
[적용예 8] 적용예 4 내지 적용예 7중 어느 하나의 유체 분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 케이스의 내측 천장에 마련되고, 상기 병설된 복수의 홀더중 상기 경사판이 경사지는 쪽과는 반대의 단부에 위치하는 홀더에 탑재된 상기 유체 수용 팩의 상방을 따라서 현수된 단부 보조 리브를 더 구비해도 좋다. 이에 의해, 경사판이 경사지는 쪽과는 반대의 단부에 위치하는 홀더에 탑재된 유체 수용 팩이 과도하게 변형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적용예 9] 적용예 4 내지 적용예 8중 어느 하나의 유체 분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 케이스의 내측 천장에 마련되고, 상기 다른쪽 홀더에 탑재된 상기 유체 수용 팩의 상방중, 상기 한쪽 홀더와 상기 다른쪽 홀더 사이에 끼워진 부위를 따라 현수된 중간 보조 리브를 더 구비해도 좋다. 이에 의해, 인접하는 홀더의 경사판의 이면에서 지지되지 않는 유체 수용 팩의 상방이 과도하게 변형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적용예 10] 적용예 4 내지 적용예 9중 어느 하나의 유체 분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수용 케이스의 상기 내측 기준면에 고정되며, 상기 수용 케이스의 내측 천장에 마련되고, 상기 홀더에 있어서의 상기 경사판의 상단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더 구비해도 좋다. 이에 의해, 홀더가 과도하게 변형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적용예 11] 적용예 11의 제조 방법은,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 분사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분사용의 유체를 수용한 유체 수용 팩을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폐가능하게 본체 케이싱에 피봇 장착된 수용 케이스에 수용하는 팩 수용 공정과, 상기 유체 수용 팩을 수용한 수용 케이스를 밀봉 장착하는 케이스 밀봉 장착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적용예 11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본체 케이싱에 수용된 유체 토출부나 용지 반송부에 있어서의 유체의 토출 불량이나 분사 대상물의 걸림 등에 대처하기 위한 유지보수시에, 수용 케이스를 개폐하는 것 에 의해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유체 분사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적용예 12] 적용예 11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체 수용 팩은 편평한 자루부를 갖는 복수의 유체 수용 팩이며, 상기 회동축은 상기 수용 케이스의 내측에서 상기 본체 케이싱측에 있는 내측 기준면을 대략 따르는 축이며, 상기 팩 수용 공정은, 상기 수용 케이스의 상기 내측 기준면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판을 갖는 복수의 홀더에, 상기 유체 수용 팩의 한쪽 측면이 상기 경사판에 접촉하는 상태로, 상기 유체 수용 팩 각각을 각각 탑재하는 공정과, 상기 유체 수용 팩을 탑재한 복수의 홀더를, 상기 경사판이 경사지는 쪽에서 이웃하는 다른쪽 홀더에 탑재된 상기 유체 수용 팩의 상방에, 한쪽 홀더의 상기 경사판이 덮인 상태로, 상기 수용 케이스의 상기 내측 기준면을 따라 어긋나서 병설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적용예 12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복수의 유체 수용 팩을 포개서 효율적으로 수용하면서, 유체 수용 팩의 무게가 인접하는 팩을 누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적용예 13] 적용예 11 또는 적용예 12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팩 수용 공정은, 상기 수용 케이스에 수용된 유체 수용 팩으로부터 도출된 액체를 상기 본체 케이싱에 수용된 유체 분사부로 흘려보내는 유체 유로가 형성된 공급 튜브로서, 상기 수용 케이스가 개폐하는데 추종해서 변형하는 만곡부를 갖는 공급 튜브를 이용하여, 상기 유체 수용 팩을 유체 토출부에 연통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적용예 13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유체 수용 팩을 수용 케이스에 수용하는 작업과 동시에, 유체 수용 팩을 유체 토출부에 연통시키는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유체 분사 장치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작업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는, 유체 분사 장치나 그 제조 방법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유체 수용 팩을 수용하는 구조를 갖는 다른 형태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프린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2는 상부 케이싱을 폐쇄한 상태의 프린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상부 케이싱을 개방한 상태의 프린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상부 케이싱의 내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잉크 팩을 탑재한 홀더를 상부 케이싱의 내부에 고정하는 모양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6은 도 4의 A-A 단면에 있어서 잉크 팩을 잉크 공급부에 접속하기 이전의 모양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7은 도 4의 A-A 단면에 있어서 잉크 팩을 잉크 공급부에 접속한 모양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8은 프린터의 인쇄 기구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9는 프린터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10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부 케이싱의 내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1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부 케이싱을 폐쇄한 상태의 프린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2는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부 케이싱을 폐쇄한 상태의 프린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3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부 케이싱을 개방한 상태의 프린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4는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린터의 인쇄 기구부 주위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5a 및 도 15b는 공급 튜브의 단면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6a 및 도 16b는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지지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7a 내지 도 17c는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홀더와 하부 하우징의 접합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8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부 케이싱을 폐쇄한 상태의 프린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9는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부 케이싱을 폐쇄한 상태의 프린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0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린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21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린터(1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한층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유체 분사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체 분사 장치의 일 형태인 화상 기록 장치로 대표되는 잉크젯식 프린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A. 실시예:
도 1은 프린터(1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프린터(10)는 기록 매체인 인쇄 용지(900)에 대하여 잉크 방울을 분사해서 문자나 도형을 기록하는 잉크젯식 프린터이다. 프린터(10)는 인쇄 용지(900)에 대하여 잉크 방울을 토출하는 유체 토출부인 인쇄 기구부(50)를 수용하는 본체 케이싱(20)을 구비하며, 본체 케이싱(20)에는, 인쇄 기구부(50)에 공급되는 인쇄 용지(900)를 본체 케이싱(20)의 내부로 도입하는 급지(給紙) 트레이(12)와, 인쇄 기구부(50)로부터 배출된 인쇄 용지(900)를 본체 케이싱(20)의 외부로 도출하는 배지(排紙) 트레이(14)가 배치되어 있다. 인쇄 기구부(5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체 케이싱(20)에는, 프린터(10)의 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40)가 수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40)는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과,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등의 하드웨어를 구비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를 포함한다. 제어부(40)에는, 프린터(10)의 각종 기능을 실현시키는 소프트웨어가 인스톨되어 있다.
본체 케이싱(20)의 상면에는, 각종 색상의 액체 잉크를 각각 수용한 복수의 잉크 팩(310)을 수용하는 수용 케이스인 상부 케이싱(30)이 배치되어 있다. 상부 케이싱(30)은 회동축(350)을 중심으로 하여 개폐가능하게 본체 케이싱(20)에 피봇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잉크 팩(310)은 가요성 시트에 의해 대략 타원 단면을 갖는 대략 장방형의 편평한 자루부로서 형성되고, 그 단변측의 한쪽에는, 잉크를 도출가능한 팩 포트(pack port; 60)가 마련되어 있다. 팩 포트(6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잉크 팩(310)은 그 장변측의 한쪽을 들어올려서 비스듬하게 서로 겹치는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검정, 청록(cyan), 자홍(magenta), 노랑의 4색의 잉크마다 4개의 잉크 팩(310)이 상부 케이싱(30)에 수용되어 있다. 다른 실시형태로서, 이들 4색에 부가하여, 연청록(light cyan), 연자홍(light magenta)을 부가한 합계 6색의 잉크로 인쇄를 실행하는 프린터에서는, 연청록, 연자홍을 부가한 합계 6색의 잉크마다 6개의 잉크 팩(310)을 상부 케이싱(30)에 수용할 수 있다.
인쇄 기구부(50)에 대한 잉크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상부 케이싱(30)에는, 잉크를 도출가능하게 잉크 팩(310)에 접속된 잉크 공급부(330)가 배치되어 있다. 잉크 공급부(330)에는, 잉크 팩(310)으로부터 잉크 공급부(330)로 도출된 잉크를 인쇄 기구부(50)로 흘려보내는 액체 유로를 형성하는 공급 튜브(340)가 접속되어 있다. 공급 튜브(340)는 기체 투과성을 갖는 재료, 예컨대 올레핀계나 스티렌계 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로 제작할 수 있다.
도 2는 상부 케이싱(30)을 폐쇄한 상태의 프린터(1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상부 케이싱(30)을 개방한 상태의 프린터(1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상부 케이싱(30)의 내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상부 케이싱(30)은, 상부 케이싱(30)의 내측 바닥면을 구성하는 하부 하우징(360)과, 상부 케이싱(30)의 내측 천장을 구성하는 상부 하우징(370)을 구비한다. 하부 하우징(360)에는, 하부 하우징(360)에 의해 구성된 내측 바닥면의 일부인 복수의 홀더 가이드(362)가 회동축(350)에 대략 평행하고 서로 대략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케이싱(30)을 개방하는 것에 의해, 본체 케이싱(20)에 수용된 인쇄 기구부(50)의 상방이 개방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케이싱(30)에는, 잉크 팩(310)을 탑재한 복수의 홀더(380)가 내장되어 있다. 홀더(380)는 홀더 가이드(362)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판(381)을 갖는다. 홀더(380)의 경사판(381)의 상면에는, 잉크 팩(310)의 편평한 자루부의 한쪽 측면이 접촉하는 상태로, 잉크 팩(310)이 탑재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잉크 팩(310)은 홀더(380)의 경사판(381)과 접촉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양면 테이프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홀더(380)에 있어서의 경사판(381)의 하방부에는, 홀더 가이드(362)에 삽입가능한 베이스부(382)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382)가 홀더 가이드(362)에 삽입된 후, 홀더(380)는 체결 부재인 고정 나사(388, 389)에 의해 하부 하우징(360)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복수의 홀더(380)는 경사판(381)이 경사지는 쪽에서 이웃하는 다른쪽 홀더(380)에 탑재된 잉크 팩(310)의 상방에, 한쪽 홀더(380)의 경사판(381)이 겹치는 상태로, 하부 하우징(360)의 내측 바닥면을 따라 어긋나서 병설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더(380)의 경사판(381)은 상부 케이싱(30)의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에 걸쳐서 중력방향의 하방으로부터 잉크 팩(310)에 접촉하는 경사각(θh)으로, 하부 하우징(360)의 홀더 가이드(362)에 대하여 경사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케이싱(30)이 회동축(350)을 중심으로 개폐가능한 가동각(θc)이 약 45°인 것에 대하여, 홀더 가이드(362)에 대한 경사판(381)의 경사각(θh)은 약 40°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더(380)에 있어서의 경사판(381)의 이면에는, 인접하는 홀더(380)에 탑재된 잉크 팩(310)을 따르는 판형상의 이면 보조 리브(384)가 현수되어 있다. 하부 하우징(360)의 내측 바닥면에는, 병설된 복수의 홀더(380)중 경사판(381)이 경사지는 쪽의 단부에 위치하는 홀더(380)에 있어서의 경사판(381)의 하방을 향해서 세워진 판형상의 홀더 보조 리브(364)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홀더 보조 리브(364)의 상부는 홀더(380)의 경사판(381)의 이면에 접촉한다. 상부 하우징(370)의 내측 천장에는, 병설된 복수의 홀더(380)중 경사판(381)이 경사지는 쪽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위치하는 홀더(380)에 탑재된 잉크 팩(310)의 상방을 따르는 판형상의 단부 보조 리브(374)가 현수되어 있다. 상부 하우징(370)의 내측 천장에는, 홀더(380)에 탑재된 잉크 팩(310)의 상방중, 2개의 홀(380) 사이에 끼워진 부위를 따라서 판형상의 중간 보조 리브(376)가 현수되어 있다. 상부 하우징(370)의 내측 천장에는, 홀더(380)에 있어서의 경사판(381)의 상단부(383)에 결합하는 결합부(373)가 배치되어 있다.
또,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케이싱(30)의 하부 하우징(360)은 잉크 팩(310)이 설치되는 부분이 하방으로 돌출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잉크 팩(310)의 설치를 위한 상부 케이싱(30) 내부의 공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프린터(10)는 잉크를 수용한 용기가 캐리지로부터 분리되어 배치된 이른바 오프 캐리지 방식의 프린터이기 때문에, 잉크 수용 용기가 캐리지상에 배치된 이른바 온 캐리지(on-carriage) 방식의 프린터와 비교하여, 인쇄 기구부(50)의 높이를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의 프린터(10)에서는, 하부 하우징(360)의 일부를 인쇄 기구부(50)에 간섭시키는 일없이 하방으로 돌출시키는 것이 비교적 용이하게 실현가능하다. 따라서, 예컨대 상부 케이싱(30)에 해당하는 부분에 스캐너 기구를 구비한 기존의 온 캐리지 방식의 프린터용의 케이싱을, 하부 하우징(360)의 형상 변경과 같은 약간의 변경을 실행하는 것만으로, 본 실시예의 프린터(10)의 케이싱으로서 유용한 것이 가능하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 공급부(330)에는, 잉크 팩(310)의 팩 포트(60)와의 접속부의 상방을 덮는 가드 플레이트(332)가 배치되어 있다. 가드 플레이트(332)에는, 홀더(380)를 하부 하우징(360)에 고정하는 고정 나사(388)를 체결하는 공구를 삽입가능한 개구부(333)가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잉크 팩(310)을 탑재한 홀더(380)를 상부 케이싱(30)의 내부에 고정하는 모양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홀더(380)에는, 잉크 팩(310)의 팩 포트(60)에 인접하는 위치에, 고정 나사(388)에 관통해서 결합하는 관통 구멍(386)이 형성되고, 잉크 팩(310)의 팩 포트(60)와는 반대측에 인접하는 위치에, 고정 나사(389)에 관통해서 결합하는 관통 구멍(387)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케이싱(30)의 하부 하우징(360)에는, 잉크 팩(310)을 탑재한 홀더(380)를 고정하는 고정 위치에 있어서, 홀더(380)의 관통 구멍(386)을 관통한 고정 나사(388)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 구멍(368)과, 홀더(380)의 관통 구멍(387)을 관통한 고정 나사(389)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 구멍(369)이 형성되어 있다.
잉크 팩(310)을 탑재한 홀더(380)를 상부 케이싱(30)의 내부에 고정할 때에는, 우선 잉크 팩(310)을 탑재한 홀더(380)의 베이스부(382)를 하부 하우징(360)의 홀더 가이드(362)의 상부로부터 끼워맞춘다. 그 후, 홀더 가이드(362)를 따라 홀더(380)를 공급 바늘(320)로 슬라이딩시켜서, 잉크 팩(310)의 팩 포트(60)에 공급 바늘(320)을 삽입한다. 그 후, 홀더(380)를 고정 나사(388, 389)로 하부 하우징(360)에 체결한다.
도 6은 도 4의 A-A 단면에 있어서 잉크 팩(310)을 잉크 공급부(330)에 접속하기 이전의 모양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4의 A-A 단면에 있어서 잉크 팩(310)을 잉크 공급부(330)에 접속한 모양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잉크 공급부(330)에는, 공급 튜브(340)에 연통하는 중공 유로(322)가 형성된 공급 바늘(320)이 배치되어 있다. 공급 바늘(320)의 일단부는 테이퍼형상의 첨단(尖端; 324)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공급 바늘(320)의 첨단(324)에는, 중공 유로(322)에 연통하는 공급 홈(326)이 형성되어 있다. 공급 바늘(320)의 공급 홈(326)은 공급 바늘(320)의 첨단(324)으로부터 공급 바늘(320)의 축심을 대략 따르는 측벽(321)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급 바늘(320)의 공급 홈(326)은 공급 바늘(320)의 축심을 대략 따르는 종단면(326a)과, 공급 바늘(320)의 축심에 교차하는 횡단면(326b)에 의해 구획된다. 공급 바늘(320)의 공급 홈(326)은, 본 실시예에서는, 공급 바늘(320)의 축심을 교점으로 하는 십자형상[「+(플러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급 바늘(320)은 금형을 이용하여 잉크 공급부(330)와 함께 일체 성형된 수지제 부품이다.
잉크 팩(310)에 배치된 팩 포트(60)에는, 잉크 팩(310)의 내부에 연통하는 공급구(612)가 형성된 공급구부(610)가 배치되어 있다. 공급구(612)의 입구에는, 공급구(612)에 삽입된 공급 바늘(320)과 기밀한 관통 구멍(642)을 갖는 통형상의 패킹(640)이 배치되어 있다. 공급구(612)에 배치된 패킹(640)은 공급구부(610)에 끼워맞춰진 캡(620)에 의해 공급구(612)에 압입되어 있다.
공급구(612)의 내부에는, 패킹(640)에 밀착하는 밀봉면(634)을 갖는 밸브 본체(630)가 수용되어 있다. 공급구(612)에 수용된 밸브 본체(630)는 탄성 부재인 코일 스프링(650)에 의해 공급구(612)의 내부로부터 패킹(640)을 향해서 가압되어, 패킹(640)의 관통 구멍(642)을 밀봉한다. 밸브 본체(630)에는, 공급구(612)의 중심축을 대략 따라서 공급구(612)의 내면에 접촉하는 복수의 가이드(638)가 배치되고, 이들 복수의 가이드(638)의 각 사이에는, 공급구(612)의 내면과 이격하는 이격면(636)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 본체(630)에 있어서 패킹(640)에 접촉하는 쪽에는, 공급 바늘(320)의 첨단(324)과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면(632)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킹(640)의 관통 구멍(642)에 공급 바늘(320)이 삽입되면, 공급 바늘(320)의 첨단(324)이 밸브 본체(630)의 끼워맞춤면(632)에 끼워맞춰진 상태로, 밸브 본체(630)는 공급구(612)에 있어서의 잉크 팩(310)측으로 압입된다. 그 때, 공급 바늘(320)의 공급 홈(326)은 밸브 본체(630)의 끼워맞춤면(632)을 넘어서 첨단(324)으로부터 측벽(321)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급구(612)와 연통한다. 이에 의해, 잉크 팩(310)의 내부는 밸브 본체(630)의 이격면(636)과, 공급 바늘(320)의 공급 홈(326)을 통해서, 공급 바늘(320)의 중공 유로(322)에 연통한다.
도 8은 프린터(10)의 인쇄 기구부(50)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인쇄 기구부(50)는 인쇄 용지(900)에 대한 잉크 방울의 분사가 실시되는 인쇄 영역에 배치된 장방형의 플래튼(platen; 530)을 구비한다. 플래튼(530)상에는, 인쇄 용지(900)가 용지 이송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급송된다. 인쇄 기구부(50)는 공급 튜브(340)에 접속되고 분사 헤드(810)를 탑재한 캐리지(80)를 구비한다. 캐리지(80)는 가이드 로드(520)를 따라 플래튼(53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캐리지 구동부인 캐리지 모터(510)에 의해 타이밍 벨트(512)를 거쳐서 구동된다. 이에 의해, 캐리지(80)는 플래튼(530) 위를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한다. 본체 케이싱(20)의 내부에 있어서, 플래튼(530)이 배치된 인쇄 영역으로부터 일단측으로 벗어난 비인쇄 영역에는, 캐리지(80)를 대기시키는 홈 포지션(home position)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홈 포지션에는, 캐리지(80)를 유지보수하는 유지보수 기구부(70)가 배치되어 있다.
도 9는 프린터(10)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프린터(10)에 잉크 팩(310)을 탑재할 때에는, 우선 잉크가 충전된 잉크 팩(310)을 홀더(380)의 경사판(381)에 탑재한다(단계 S110). 그 후, 잉크 팩(310)을 탑재한 홀더(380)를 하부 하우징(360)의 홀더 가이드(362)에 삽입한 후, 홀더(380)를 고정 나사(388, 389)에 의해 하부 하우징(360)에 고정하여, 복수의 홀더(380)를 하부 하우징(360)에 병설한다(단계 S120).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홀더(380)를 하부 하우징(360)에 병설하는 공정에 있어서(단계 S120), 잉크 팩(310)의 팩 포트(60)를 공급 바늘(320)에 접속하여, 잉크 팩(310)의 내부를 유체 토출부인 인쇄 기구부(50)의 분사 헤드(810)에 연통시킨다. 그 후, 복수의 홀더(380)를 병설한 하부 하우징(360)에 상부 하우징(370)을 밀봉 장착함으로써, 상부 케이싱(30)의 내부에 복수의 잉크 팩(310)을 수용한다(단계 S130).
이상 설명한 실시예의 프린터(10)에 의하면, 상부 케이싱(30)을 개폐함으로써, 상부 케이싱(30)에 의해 덮인 본체 케이싱(20)의 부분에 대하여 접촉할 수 있으므로, 잉크 팩(310)을 배치하는 위치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 케이싱(30)은 인쇄 기구부(50)의 상방을 개폐가능하게 본체 케이싱(20)에 피봇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잉크 팩(310)을 수용하는 상부 케이싱(30)을 인쇄 기구부(50)의 커버로서 이용하는 동시에, 상부 케이싱(30)을 개폐함으로써, 본체 케이싱(20)에 수용된 인쇄 기구부(50)를 용이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다.
또한, 잉크 팩(310) 각각이 홀더(380)의 경사판(381)에 각각 탑재되기 때문에, 복수의 잉크 팩(310)을 포개서 효율적으로 수용하면서, 잉크 팩(310)의 무게가 인접하는 잉크 팩(310)을 누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케이싱(30)의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에 걸쳐서, 잉크 팩(310)이 하방으로부터 유지되기 때문에, 잉크 팩(310)이 자중에 의해 인접하는 홀더(380)에 과도하게 가압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하우징(360)에 홀더 보조 리브(364)를 세우는 것에 의해, 경사판(381)이 경사지는 방향의 힘에 대하여 홀더(380)를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하우징(370)에 단부 보조 리브(374)를 현수하는 것에 의해, 경사판(381)이 경사지는 쪽과는 반대의 단부에 위치하는 홀더(380)에 탑재된 잉크 팩(310)이 과도하게 변형하여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하우징(370)에 중간 보조 리브(376)를 현수하는 것에 의해, 인접하는 홀더의 경사판(381)의 이면에서 지지되지 않는 잉크 팩(310)의 상방이 과도하게 변형하여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홀더(380)에 있어서의 경사판(381)의 상단부(383)가 상부 하우징(370)에 마련된 결합부(373)에 결합하기 때문에, 홀더(380)가 과도하게 변형하여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B. 다른 실시형태: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부 케이싱(30)을 본체 케이싱(20)에 피봇 장착하는 것이 아니라, 상부 케이싱(30)을 본체 케이싱(20)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 상부 케이싱(30)에 잉크 팩(310)을 보다 안정한 상태로 수용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하우징(360)에 홀더(380)를 배치하는 방향을,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축(350)의 축방향을 대략 따라서 홀더(380)를 배치해도 좋다. 도 10의 형태에 의하면, 상부 케이싱(30)의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에 걸쳐서, 상부 케이싱(30)에 유지된 잉크 팩(310)의 각각의 높이가 대략 동일하게 되기 때문에, 잉크 팩(310)의 각각에 수용된 잉크의 압력 수두를 대략 동일하게 맞출 수 있다. 이에 의해, 분사 헤드(810)로부터 분사되는 잉크의 분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판(381)이 경사지는 방향을 회동축(350)을 향해서 홀더(380)를 배치해도 좋다. 도 11의 형태에 의하면,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판(381)이 경사지는 방향을 회동축(350)과는 반대측을 향해서 홀더(380)를 배치하는 것보다도, 상부 케이싱(30)의 개방 상태로 한 경우에 있어서 잉크 팩(310)을 홀더(380)의 경사판(381)에 보다 안정한 상태로 탑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체 분사 장치가 대상으로 하는 유체로서는, 상술한 잉크 등의 액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금속 페이스트, 분체, 액정 등 각종의 유체를 대상으로 하는 취지이다. 유체 분사 장치의 대표예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화상 기록용의 잉크젯식 기록 헤드를 구비한 잉크젯식 기록 장치가 있지만, 본 발명은 잉크젯식 기록 장치에 한하지 않고, 프린터 등의 화상 기록 장치나,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칼라 필터의 제조에 이용되는 색재 분사 장치,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디스플레이, 면 발광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등의 전극 형성에 이용되는 전극재 분사 장치, 바이오칩 제조에 이용되는 생체 유기물을 포함하는 액체를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 정밀 피펫(pipette)으로서의 시료 분사 장치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2는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부 케이싱(30)을 폐쇄한 상태의 프린터(1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13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부 케이싱(30)을 개방한 상태의 프린터(1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단면과는 반대측에서 본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4는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린터(10)의 인쇄 기구부(50) 주위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급 튜브(340)는 잉크 공급부(330)와 인쇄 기구부(50)의 캐리지(80)를 접속하여, 잉크 팩(310)내의 잉크를 캐리지(80)에 공급한다. 공급 튜브(340)는 잉크 공급부(330)로부터 회동축(350) 방향으로 대략 수평[상부 케이싱(30) 폐쇄시]으로 신장하는 부분[이하, 「제 1 수평부(H1)」라고 칭함]과, 제 1 수평부(H1)보다 하방의 대략 수평면내에 위치하고 회동축(350)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신장하는 부분[이하, 「제 2 수평부(H2)」라고 칭함]과, 회동축(350)에 대략 평행한 부분[이하, 「제 3 수평부(H3)」라고 칭함]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구성을 갖고 있다.
도 15a 및 도 15b는 공급 튜브(340)의 단면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5a에는, 제 2 수평부(H2)에 있어서의 공급 튜브(340)의 잉크 유통 방향에 수직한 단면(도 14의 S1-S1 단면)을 도시하고, 도 15b에는, 제 3 수평부(H3)에 있어서의 공급 튜브(340)의 잉크 유통 방향에 수직한 단면(도 14의 S2-S2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급 튜브(340)에는, 4개의 잉크 팩(310)에 대응한 4개의 중공형상의 잉크 유로(342)가 마련되어 있다. 또, 도 1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수평부(H2)에 있어서는, 공급 튜브(340)의 잉크 유통 방향 주위의 방향은 4개 잉크 유로(342)가 대략 수평으로 나란한 것과 같은 방향(이하, 「횡배치」라고도 칭함)으로 되어 있다. 제 1 수평부(H1)에 있어서의 공급 튜브(340)의 방향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도 1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3 수평부(H3)에 있어서는, 공급 튜브(340)의 잉크 유통 방향 주위의 방향은 4개의 잉크 유로(342)가 대략 수직으로 나란한 것과 같은 방향(이하, 「종배치」라고도 칭함)으로 되어 있다.
공급 튜브(340)의 제 1 수평부(H1)와 제 2 수평부(H2) 사이[회동축(350) 부근]에는, 연직의 반원호를 따라 만곡한 부분[이하, 「제 1 만곡부(R1)」라고 칭함]이 마련되어 있다. 제 1 수평부(H1) 및 제 2 수평부(H2)는 모두 횡배치이며, 제 1 만곡부(R1)는 비틀림을 갖고 있지 않다. 또한, 제 2 수평부(H2)와 제 3 수평부(H3) 사이에는, 수평의 반원호를 따라 만곡한 부분[이하, 「제 2 만곡부(R2)」라고 칭함]이 마련되어 있다. 제 2 수평부(H2)는 횡배치인 한편, 제 3 수평부(H3)는 종배치이기 때문에, 제 2 만곡부(R2)는 약 90°의 비틀림을 갖고 있다. 또한, 제 3 수평부(H3)와 캐리지(80) 사이에는, 수평의 반원호를 따라 만곡한 부분[이하, 「제 3 만곡부(R3)」라고 칭함]이 마련되어 있다.
공급 튜브(340)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케이싱(30)을 개방하는 동작에 대하여, 회동축(350) 부근에 마련된 제 1 만곡부(R1)의 변형에 의해 추종한다. 그 때문에, 잉크 공급부(330)와 인쇄 기구부(50) 사이를 비교적 긴 공급 튜브(340)로 접속하는 프린터(10)에 있어서도, 공급 튜브(340)의 존재가 상부 케이싱(30)의 개폐에 지장을 미치는 것이 억제된다.
또, 공급 튜브(340)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음매(410)를 갖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공급 튜브(340)의 이음매(410)로부터 인쇄 기구부(50)측의 부분은 비교적 유연성이 높은 재료(예컨대, 폴리에틸렌계 엘라스토머)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렇게 하면, 공급 튜브(340)의 제 1 만곡부(R1) 등의 비직선형상 부분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동시에, 제 1 만곡부(R1)에 양호한 가요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공급 튜브(340)의 이음매(410)로부터 잉크 공급부(330)측의 부분은 비교적 유연성이 낮은 재료(예컨대, 폴리프로필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공급 튜브(340)는 제 2 만곡부(R2)를 사이에 둔 2개의 위치에 배치된 지지부(420 및 43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지지부(420 및 430)는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프린터(10)의 본체 케이싱(20)에 고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공급 튜브(340)는 지지부(420 및 430)를 거쳐서 프린터(10) 본체에 지지된다.
도 16a 및 도 16b는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지지부(420)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6a에는, 지지부(420)의 상측 평면을 도시하고, 도 16b에는, 지지부(420)의 잉크 유통 방향에 수직한 단면(도 16a의 S3-S3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부(420)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장변 부재(422)와, 장변 부재(422)의 단면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 단변 부재(424)와, 단변 부재(424)의 단면 상단으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수평방향으로 돌출한 들뜸 방지부(426)를 갖고 있다. 들뜸 방지부(426)는 도 1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개의 단변 부재(424)당 2개 마련되어 있고, 잉크 유통 방향을 따르는 위치는, 2개의 단변 부재(424)에 마련된 들뜸 방지부(426)가 동일한 위치가 되지 않도록 서로 엇갈리게 설정되어 있다. 장변 부재(422)와 단변 부재(424)와 들뜸 방지부(426)는 공급 튜브(340)를 수납하는 대략 장방형 단면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고 있어, 공급 튜브(340)는 해당 공간에 수납된다. 이 때, 들뜸 방지부(426)는 공급 튜브(340)의 들뜸·빠짐을 방지한다.
또한, 지지부(420)는 단변 부재(424)의 상기 공간측에 인접한 위치 결정 부재(428)를 갖는다. 도 16a 및 도 16b의 예에서는, 위치 결정 부재(428)는 3세트 마련되어 있고, 각 세트의 위치 결정 부재(428)는 공급 튜브(34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위치 결정 부재(428)는 2개의 단변 부재(424) 사이의 내측 치수를 작게 한다. 위치 결정 부재(428)에 의해, 공급 튜브(340)는 장변방향으로 가압되어, 공급 튜브(340)의 잉크 유통 방향을 따르는 이동은 억제된다. 따라서, 공급 튜브(340)가 프린터(10)의 다른 부분에 간섭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급 튜브(340)의 잉크 유로(342)의 단면은 원형이 아니라, 잉크 유로(342)가 병렬방향(도 15a의 좌우방향)으로 긴 타원형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예컨대 제 1 만곡부(R1)나 제 2 만곡부(R2)(도 14 참조)에 있어서 공급 튜브(340)를 만곡시키기 쉽게 하기 때문에, 공급 튜브(340)의 단면을 타원이 결합된 형상으로 하여, 공급 튜브(340)의 높이를 작게 억제하기 위해서이다. 여기에서, 도 1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부(420)의 위치 결정 부재(428)가 마련된 위치에 있어서는, 공급 튜브(340)가 양측의 위치 결정 부재(428)로부터 가압되기 때문에, 잉크 유로(342)의 단면이 원형에 가까워져서, 잉크 유로(342)의 단면적이 증가한다. 따라서, 지지부(420)의 위치 결정 부재(428)에 의해, 공급 튜브(340)내의 유로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지지부(430)(도 14 참조)의 구성은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한 지지부(420)의 구성과 동일하지만, 지지부(420)에 의해 공급 튜브(340)의 이동은 억제가능하기 때문에, 지지부(430)는 위치 결정 부재(428)를 갖지 않아도 좋다. 또한, 지지부(430)의 배치되는 방향은 공급 튜브(340)의 방향에 맞추어서 지지부(420)를 대략 90° 회전시킨 방향이 된다.
또, 지지부(420 및 430)는 비틀림을 갖기 때문에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쉬운 제 2 만곡부(R2)를 사이에 둔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공급 튜브(340)를 안정적으로 지지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7a 내지 도 17c는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홀더(380)와 하부 하우징(360)의 접합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7a에는 홀더(380)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7b에는 하부 하우징(360)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7c에는 홀더(380)와 하부 하우징(360)의 끼워맞춤 부분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더(380)는 2개의 접합부(395)를 갖고 있다. 한편, 도 1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360)은 각각의 홀더(380)가 설치되어야 할 위치에 2개의 접합부(365)를 갖고 있다. 홀더(380)는, 홀더(380)의 접합부(395)와 하부 하우징(360)의 접합부(365)가 끼워맞춰지도록, 횡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하부 하우징(360)에 설치된다. 도 17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더(380)가 하부 하우징(360)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홀더(380)의 접합부(395)의 L자부(396)와 하부 하우징(360)의 접합부(365)의 L자부(366)가 끼워맞춰져 있다. 이러한 끼워맞춤에 의해, 홀더(380)와 하부 하우징(360)의 상대 이동이 억제된다. 그 때문에, 예컨대 프린터(10)에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에도 홀더(380)가 하부 하우징(36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온습도 환경의 변화 등의 영향에 의한 홀더(380)나 하부 하우징(360)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8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부 케이싱(30)을 폐쇄한 상태의 프린터(1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8에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잉크 팩(310)의 설치 태양이 도 2에 도시한 실시예와 상이하다. 즉, 도 2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잉크 팩(310)이 상부 케이싱(30)에 마련된 홀더(380)에 고정되어서 설치되는 태양을 채용하고 있지만, 도 18에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홀더(380)는 마련되지 않고, 잉크 팩(310)이 단일체로서 상부 케이싱(30)내에 설치되는 태양을 채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부 케이싱(30)내로의 잉크 팩(310)의 설치에는 반드시 홀더(380)를 사용할 필요는 없고, 잉크 팩(310)을 상부 케이싱(30)내에 직접 탑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9는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부 케이싱(30)을 폐쇄한 상태의 프린터(1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9에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잉크 팩의 형상이나 설치 태양이 도 2인 도시한 실시예와 상이하다. 즉, 도 19에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상자형 형상의 잉크 팩(310a)이 채용되고 있고, 또한 잉크 팩(310a)은 도 18에 도시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상부 케이싱(30)내에 직접 탑재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잉크 팩의 형상은 가요성 시트에 의해 형성된 자루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상자형 형상과 같은 다른 형상을 채용가능하다.
도 20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린터(1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0에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잉크 팩(310)의 설치 태양이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와 상이하다. 즉, 도 20에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잉크 팩(310)은 상부 케이싱(30)의 내부에 수납되지 않고, 프린터(10)의 외부에 배치된다. 도 20에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잉크 팩(310)의 팩 포트(60)는 상부 케이싱(30)에 마련된 구멍(32)을 거쳐서 잉크 공급부(330)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잉크 팩(310)은 반드시 상부 케이싱(30)의 내부에 수납될 필요는 없고, 프린터(10)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도 21은 변형예에 있어서의 프린터(1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1에 도시한 변형예에서는, 잉크의 공급 태양이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와 상이하다. 즉, 도 21에 도시한 변형예에서는, 잉크 공급부(330)에 잉크 팩(310)의 팩 포트(60)(도 6 참조)가 접속되고, 팩 포트(60)와 잉크를 수용한 잉크 탱크(990) 사이에 튜브(980)가 설치되어 있다. 잉크 탱크(990)내의 잉크는 튜브(980), 팩 포트(60), 잉크 공급부(330)를 거쳐서 인쇄 기구부(50)에 공급된다. 도 21에 도시한 변형예는, 예컨대 잉크 팩(310)내의 잉크를 다 사용한 후에, 잉크 팩(310)의 팩 포트(60)만을 남기고 잉크 팩(310)을 제거하여, 튜브(980) 및 잉크 탱크(990)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Claims (13)

  1.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 분사 장치에 있어서,
    분사 대상물에 대하여 유체를 토출하는 유체 토출부와,
    상기 유체 토출부의 상기 유체의 토출이 실시되는 영역에 플래튼을 구비하는 본체 케이싱과,
    분사용 유체를 수용한 유체 수용 팩과,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폐가능하게 상기 본체 케이싱에 피봇 장착되고, 분사용의 유체를 수용한 상기 유체 수용 팩을 수용가능한 수용 케이스와,
    상기 유체 수용 팩과 접속가능하며, 상기 유체 수용 팩의 공급구에 삽입되는 방향이 상기 회동축을 따르는 방향이 되도록 상기 수용 케이스에 배치된 공급 바늘을 구비하는
    유체 분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케이스는 상기 플래튼의 상방을 개폐가능하게 상기 본체 케이싱에 피봇 장착된
    유체 분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바늘은 상기 유체 수용 팩과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유체 수용 팩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유체 분사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유체의 토출이 실시되는 영역의 외측 영역을 거쳐 상기 유체 토출부에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 튜브를 구비하는
    유체 분사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바늘을 갖는 유체 공급부가, 상기 수용 케이스에 수용된 상태의 상기 유체 수용 팩과 상기 회동축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유체 분사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케이스는 상기 유체 수용 팩의 길이 방향이 상기 회동축을 따르는 방향이 되도록 상기 유체 수용 팩을 수용하는
    유체 분사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은 상기 분사 대상물이 급송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유체의 토출이 실시되는 영역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는
    유체 분사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바늘이 상기 분사 대상물이 급송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는
    유체 분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급 바늘은 복수의 상기 유체 수용 팩이 상기 복수의 공급 바늘에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유체 수용 팩 중 적어도 일부끼리 중력 방향에 있어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는
    유체 분사 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수용 팩은 자루부를 갖는 복수의 유체 수용 팩이며,
    상기 회동축은 상기 수용 케이스의 내측에서 상기 본체 케이싱측에 있는 내측 기준면을 따르는 축이며,
    상기 유체 분사 장치는, 상기 수용 케이스에 내장되고, 상기 수용 케이스의 상기 내측 기준면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판을 갖고, 상기 유체 수용 팩에 있어서의 상기 자루부의 한쪽 측면이 상기 경사판에 접촉하는 상태로, 상기 유체 수용 팩 각각을 각각 탑재한 복수의 홀더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홀더는, 상기 경사판이 경사지는 쪽에서 이웃하는 다른쪽 홀더에 탑재된 상기 유체 수용 팩의 상방에, 한쪽 홀더의 상기 경사판이 덮인 상태로, 상기 수용 케이스의 상기 내측 기준면을 따라 어긋나서 병설된
    유체 분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상기 경사판은, 상기 수용 케이스의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에 걸쳐서 중력방향의 하방으로부터 상기 유체 수용 팩에 접촉하는 각도로, 상기 수용 케이스의 상기 내측 기준면에 대하여 경사진
    유체 분사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더는 상기 수용 케이스의 상기 회동축의 축방향을 따라서 병설된
    유체 분사 장치.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수용 팩으로부터 상기 유체 토출부에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 튜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공급 튜브는 상기 수용 케이스가 개폐하는데 추종해서 변형하는 만곡부를 갖는
    유체 분사 장치.
KR1020107000586A 2007-06-20 2008-06-19 유체 분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5651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62211 2007-06-20
JPJP-P-2007-162211 2007-06-20
JP2007189062A JP4766011B2 (ja) 2007-06-20 2007-07-20 流体噴射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7-189062 2007-07-2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0190A Division KR101657924B1 (ko) 2007-06-20 2008-06-19 유체 분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096A KR20100038096A (ko) 2010-04-12
KR101565175B1 true KR101565175B1 (ko) 2015-11-02

Family

ID=4013604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0586A KR101565175B1 (ko) 2007-06-20 2008-06-19 유체 분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157030190A KR101657924B1 (ko) 2007-06-20 2008-06-19 유체 분사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0190A KR101657924B1 (ko) 2007-06-20 2008-06-19 유체 분사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8075108B2 (ko)
EP (1) EP2163390B1 (ko)
JP (1) JP4766011B2 (ko)
KR (2) KR101565175B1 (ko)
CN (4) CN102350878B (ko)
AT (1) ATE550190T1 (ko)
TW (3) TWI423890B (ko)
WO (1) WO20081562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56202A1 (ja) 2007-06-20 2008-12-24 Seiko Epson Corporation 流体噴射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959268B2 (en) * 2007-06-20 2011-06-14 Seiko Epson Corporation Installing fluid container in fluid ejection device
JP4766011B2 (ja) 2007-06-20 2011-09-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流体噴射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8156203A1 (ja) * 2007-06-20 2008-12-24 Seiko Epson Corporation 流体噴射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182116B2 (en) * 2009-06-10 2015-11-10 Andrew Murray Efficient solid fuel burning appliance
EP4124856A1 (en) 2010-03-09 2023-02-01 ANDE Corporation Biochip with valve
JP5182392B2 (ja) 2011-03-31 2013-04-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記録装置
JP5382044B2 (ja) 2011-03-31 2014-01-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記録装置
US9310304B2 (en) 2011-05-12 2016-04-12 Netbio,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rapid multiplex amplification of STR loci
US8845092B2 (en) 2011-10-31 2014-09-3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with recording-medium conveying mechanism
US8767065B2 (en) 2011-10-31 2014-07-0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having liquid supply system
EP2599635B1 (en) 2011-11-30 2014-11-05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Liquid ejecting device
JP6171313B2 (ja) * 2011-12-08 2017-08-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
US9315031B2 (en) * 2012-01-30 2016-04-19 Seiko Epson Corporatio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JP6161869B2 (ja) * 2012-03-05 2017-07-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
WO2013165353A1 (en) * 2012-04-30 2013-11-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iquid supply
US9162468B2 (en) 2012-04-30 2015-10-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iquid supply
JP6003359B2 (ja) 2012-07-31 2016-10-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
US9004655B2 (en) 2012-07-31 2015-04-1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Liquid ejecting apparatus
JP6205697B2 (ja) 2012-09-28 2017-10-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
JP6111748B2 (ja) * 2013-03-07 2017-04-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収容容器、液体供給装置、及び液体噴射装置
JP5692265B2 (ja) * 2013-03-07 2015-04-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液体供給装置及び液体収容体
JP6330275B2 (ja) 2013-08-29 2018-05-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2015054457A (ja) * 2013-09-12 2015-03-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
JP6492393B2 (ja) * 2013-10-23 2019-04-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システム
EP3069882B1 (en) * 2013-11-15 2020-01-15 Seiko Epson Corporation Recording device
JP5492345B1 (ja) * 2013-12-13 2014-05-14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6303520B2 (ja) * 2014-01-16 2018-04-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システムならびに収容ユニット
CN104842647B (zh) * 2014-02-13 2017-05-10 精工爱普生株式会社 记录装置
JP2015174305A (ja) * 2014-03-14 2015-10-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供給装置
JP6454970B2 (ja) * 2014-03-14 2019-01-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供給装置
US9931853B2 (en) 2015-10-02 2018-04-03 Oce-Technologies B.V. Ink storage apparatus for a printing system
JP6090611B2 (ja) * 2015-12-25 2017-03-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流路部材及び液体噴射ヘッド及び液体噴射装置
CN108773190B (zh) * 2018-06-11 2020-03-17 安徽天斯努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云打印机用墨囊连续供给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38405A1 (en) * 2000-04-11 2001-11-08 Taku Ishizawa Ink cartridge for record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0083B2 (ja) 1984-07-09 1996-06-26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エツト記録装置
JPH03184873A (ja) 1989-12-15 1991-08-12 Canon Inc 記録装置
JP4193719B2 (ja) 2003-03-05 2008-12-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液体噴射装置及び液体収容ケース
US5710585A (en) * 1995-05-04 1998-01-20 Calcomp Inc. Ink source for an ink delivery system
JPH10217499A (ja) * 1997-02-10 1998-08-18 Seiko Epson Corp インク供給容器
US6082854A (en) * 1998-03-16 2000-07-04 Hewlett-Packard Company Modular ink-jet hard copy apparatus and methodology
US6264318B1 (en) 1999-02-10 2001-07-24 Fuji Xerox Co., Ltd. Ink-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 storing device
JP2000229421A (ja) * 1999-02-10 2000-08-22 Fuji Xerox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6622999B1 (en) * 1999-05-25 2003-09-23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Printed media binder
JP4282043B2 (ja) * 1999-12-06 2009-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液体供給通路、記録液体収納容器、およびこれらを備える記録液体供給装置、並びにその表面改質方法
US6908182B2 (en) 2000-01-31 2005-06-21 Seiko Epson Corporation Ink cartridge and ink jet printer
US6302535B1 (en) 2000-04-19 2001-10-16 Hewlett-Packard Company Ink container configured to establish reliable electrical connection with a receiving station
ATE461049T1 (de) 2000-10-20 2010-04-15 Seiko Epson Corp Tintenpatrone für tintenstrahlaufzeichnungsvorrichtung
DE60125251T3 (de) 2000-10-20 2011-05-19 Seiko Epson Corp. Tintenstrahlaufzeichnungsvorrichtung und Tintenpatrone
CN1286649C (zh) 2000-12-26 2006-11-29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喷墨式记录装置以及其中的墨水类型信息设置方法和墨盒
JP3823729B2 (ja) 2001-01-09 2006-09-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および同装置におけるインク種情報の設定方法
JP2003053984A (ja) * 2001-08-09 2003-02-26 Canon Inc 液体収納容器およびこれに収納する液体収納袋
US6863219B1 (en) 2001-08-17 2005-03-08 Alien Technology Corporatio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forming electronic assemblies
JP2003170611A (ja) 2001-12-04 2003-06-17 Canon Inc プリンタおよび電子機器
US7226153B2 (en) 2002-03-28 2007-06-05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
JP2004155036A (ja) * 2002-11-06 2004-06-03 Seiko Epson Corp 液体収容袋、液体収容袋のカートリッジおよび液体噴射装置
JP2004306340A (ja) * 2003-04-03 2004-11-04 Sony Corp 液体吐出装置
JP4655503B2 (ja) 2003-07-16 2011-03-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
US7290869B2 (en) 2003-07-25 2007-11-06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container
MXPA04012988A (es) 2003-12-22 2005-10-18 Seiko Epson Corp Aparato para montar/desmontar un cartucho de tinta, aparato de registro, aparato para expulsion de liquidos y contenedor de liquidos.
JP2005297286A (ja) 2004-04-08 2005-10-27 Seiko Epson Corp 液体収容体収納容器及び液体噴射装置
JP2006192664A (ja) 2005-01-12 2006-07-27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JP2006305941A (ja) * 2005-04-28 2006-11-09 Seiko Epson Corp 液体供給回収装置
JP2007136748A (ja) 2005-11-15 2007-06-07 Seiko Epson Corp 液体噴射装置
JP4766011B2 (ja) 2007-06-20 2011-09-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流体噴射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8156202A1 (ja) 2007-06-20 2008-12-24 Seiko Epson Corporation 流体噴射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38405A1 (en) * 2000-04-11 2001-11-08 Taku Ishizawa Ink cartridge for record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52664B (ko) 2011-11-21
US8235508B2 (en) 2012-08-07
KR20100038096A (ko) 2010-04-12
TW200924989A (en) 2009-06-16
CN102350878B (zh) 2015-09-02
TW200904651A (en) 2009-02-01
US20120044306A1 (en) 2012-02-23
EP2163390A4 (en) 2010-06-30
TWI423890B (zh) 2014-01-21
KR20150124455A (ko) 2015-11-05
TW201103765A (en) 2011-02-01
US8075108B2 (en) 2011-12-13
CN102350878A (zh) 2012-02-15
EP2163390B1 (en) 2012-03-21
US20120044305A1 (en) 2012-02-23
CN101687419B (zh) 2012-05-09
CN101687419A (zh) 2010-03-31
CN102152645A (zh) 2011-08-17
JP4766011B2 (ja) 2011-09-07
CN101687417B (zh) 2012-02-15
US8240820B2 (en) 2012-08-14
EP2163390A1 (en) 2010-03-17
CN102152645B (zh) 2013-12-04
CN101687417A (zh) 2010-03-31
KR101657924B1 (ko) 2016-09-19
JP2009023232A (ja) 2009-02-05
US20080316284A1 (en) 2008-12-25
TWI337944B (ko) 2011-03-01
WO2008156204A1 (ja) 2008-12-24
ATE550190T1 (de) 2012-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175B1 (ko) 유체 분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6128167B2 (ja) 流体噴射装置
US7959268B2 (en) Installing fluid container in fluid ejection device
US8864290B2 (en) Installing fluid container in fluid ejection device
JP2009023233A (ja) 流体の流路の形成
JP2009001011A (ja) 流体噴射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136929B2 (en) Installing fluid container in fluid ej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