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8264B1 -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 사출성형용 시트 적층체 및 사출성형품 - Google Patents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 사출성형용 시트 적층체 및 사출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8264B1
KR101558264B1 KR1020140006560A KR20140006560A KR101558264B1 KR 101558264 B1 KR101558264 B1 KR 101558264B1 KR 1020140006560 A KR1020140006560 A KR 1020140006560A KR 20140006560 A KR20140006560 A KR 20140006560A KR 101558264 B1 KR101558264 B1 KR 101558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molding
layer
decorative sheet
resin
out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6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4457A (ko
Inventor
타다시 아카마츠
히로노리 나카시마
노리유키 호리우치
Original Assignee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94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4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2045/0079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applying a coating or cov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33/00Use of 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33/04Polymers of esters
    • B29K2033/12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e.g. PMMA, i.e. polymethylmethacry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22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33/00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B32B2333/04Polymers of esters
    • B32B2333/12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e.g. PMMA, i.e. polymethylmethacryl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과제] 이물 혼입의 우려가 적고, 충분한 흑색을 나타낼 수 있는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 사출성형용 시트 적층체 및 사출성형품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의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는 사출성형에 의해 성형되는 수지 성형품의 외면에 부착 설치되는 수지제의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로서, 수지 성형품에 접착되는 내층과, 이 내층의 외면측에 적층된 외층이 압출 성형법에 의해 일체로 적층된 다층 구조를 갖고, 상기 내층 또는 외층이 흑색계 색료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당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는 상기 흑색계 색료를 상기 내층 및 외층 모두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는 상기 내층 및 외층이 직접 적층된 2층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는 상기 외층의 외면에 적층되는 하드코트층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 사출성형용 시트 적층체 및 사출성형품{DECORATIVE SHEET FOR INJECTION MOLDING, SHEET LAMINATE FOR INJECTION MOLDING AND INJECTION-MOLDED ARTICLE}
본 발명은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 사출성형용 시트 적층체 및 사출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이나 건축물 등에 있어서의 내장품과 같이 높은 의장성이 요구되는 사출성형품에 있어서는, 수지제의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이하, 「장식 시트」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를 수지 성형품의 외면에 부착 설치한 것이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08-94074호 참조). 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는 외면에 인쇄층을 설치한 기재 시트와, 이 기재 시트의 외면측에 적층되는 수지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기재 시트와 수지 시트는 일반적으로는 접착제에 의해 첩착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장식 시트에서는, 기재 시트와 수지 시트를 첩착하기 전에, 기재 시트 또는 수지 시트에 이물이 부착되어 버리면, 이 이물이 양 시트의 사이에 혼입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이러한 이물의 존재는 장식 시트의 강도나 의장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차량 등에서의 내장품에서는, 외면이 소위 피아노 블랙톤의 칠흑성(漆黑性)을 나타내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지만, 종래의 사출성형품과 같이 기재 시트의 외면에 인쇄층으로서 흑색을 인쇄해도, 비교적 얇은 인쇄층만으로는 충분한 흑색을 나타낼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일본 특개 2008-94074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물 혼입의 우려가 적고, 충분한 흑색을 나타낼 수 있는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 사출성형용 시트 적층체 및 사출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행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는,
사출성형에 의해 성형되는 수지 성형품의 외면에 부착 설치되는 수지제의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로서,
수지 성형품에 접착되는 내층과, 이 내층의 외면측에 적층된 외층이 압출 성형법에 의해 일체로 적층된 다층 구조를 갖고,
상기 내층 또는 외층이 흑색계 색료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당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는 내층과 외층이 압출 성형법에 의해 일체로 적층되므로, 종래와 같이 시트끼리를 접착제로 첩착하는 것에 비해, 내층과 외층 사이에 이물이 혼입될 우려가 적다. 또한 당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는, 내층 또는 외층에 흑색계 색료를 함유시키기 위하여, 종래와 같이 인쇄면에 의해 의장성을 갖게 하는 것에 비해, 내층 또는 외층이 함유하는 흑색계 색료에 의해 충분한 흑색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흑색계 색료를 상기 내층 및 외층의 쌍방이 함유하면 좋다. 이것에 의해, 당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가 보다 충분한 흑색을 나타낼 수 있다.
당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에서는, 내층과 외층 사이에 중간층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내층 및 외층이 직접 적층된 2층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내층과 외층을 직접 적층함으로써, 다른 층을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 비용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당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는 외층의 외면에 적층되는 하드코트층을 더 구비하면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당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가 수지 성형품의 외면에 부착 설치된 후 등에서, 상기 외층의 외면이 상처받는 것을 하드코트층에 의해 적확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당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의 외면의 산술평균 거칠기(Ra)로서는 0.01㎛ 이상 0.3㎛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산술평균 거칠기(Ra)를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외면의 평활성이 우수하여, 소위 피아노 블랙톤의 칠흑성을 얻을 수 있다.
당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의 외면의 60° 광택도로서는 70 이상 90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60° 광택도를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광택성이 우수하고, 소위 피아노 블랙톤의 칠흑성을 얻을 수 있다.
흑색계 색료로서 흑색계 염료와 흑색계 안료 쌍방을 사용하면 좋다. 이것에 의해 보다 의장성이 높은 칠흑성을 얻을 수 있다.
외층의 주성분이 아크릴계 수지이면 좋다. 이것에 의해 당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의 내후성 및 내오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당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의 인장강도로서는 20M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사출성형시에 당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가 적확하게 변형되기 때문에, 당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를 수지 성형품의 외면에 적합하게 부착 설치할 수 있다.
내층의 주성분으로서 상기 수지 성형품의 주성분과 동종의 수지를 사용하면 좋다. 이것에 의해, 수지 성형품과 내층과의 접착성이 우수하고, 당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를 수지 성형품의 외면에 적합하게 부착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동종의 수지」란 구성하는 모노머가 동일한 화학종이며, 그 조성이 상이한 것이나 중합 형식이 상이한 것도 포함한다.
상기 내층의 선팽창계수(α1) 및 유리전이온도(Tg1)와, 상기 외층의 선팽창계수(α2) 및 유리전이온도(Tg2)와, 실온과의 관계로서, 하기 식 (1) 및 (2)의 값의 차가 4×10-3 이하이면 좋다.
α1*(Tg1-실온) ···(1)
α2*(Tg2-실온) ···(2)
이것에 의해 내층 및 외층을 공압출 성형한 경우의 내부응력을 저감하여 상기 실온에서의 컬의 발생을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출성형용 시트 적층체는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당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와, 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의 외층의 외면측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는 이형 시트를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당해 사출성형용 시트 적층체는 상기 이형 시트가 성형 금형의 형면과 대면하도록 배열 설치되고, 이 성형 금형에 용융 수지를 사출하고, 수지의 경화 후에 상기 이형 시트를 박리함으로써 외면에 당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가 부착 설치된 사출성형품을 얻을 수 있고, 이 사출성형품은 당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의 내부에 이물 혼입의 우려가 적어, 충분한 흑색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출성형품은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당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가 외면에 부착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당해 사출성형품은 당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의 내부에 이물 혼입의 우려가 적어, 충분한 흑색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색료」란 안료, 염료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안료」란 물, 용제, 기름 등의 매체 중에서 통상 불용의 입자 형상의 고체를 말한다. 「염료」란 매체 중에서 가용이거나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용인 착색료를 말한다. 「산술평균 거칠기(Ra)」란, JIS B 0601-2001에 준하여, 컷오프 λc 2.5mm, 평가 길이 12.5mm의 값이다. 「광택도」란 JIS Z8741에 준거한 값을 말한다. 「인장강도」는 JIS K 7162에 준거한 값을 말한다. 「유리전이온도」란 JIS K 7121-1987에 준한 값을 말한다. 「선팽창계수」란 JIS K 7197에 준한 값을 말한다.
본 발명의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 사출성형용 시트 적층체 및 사출성형품은 이물 혼입의 우려가 적고, 충분한 흑색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따른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와는 상이한 형태에 따른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따른 사출성형용 시트 적층체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따른 사출성형품을 도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적당히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
도 1의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는 내층(2)과 외층(3)을 가지고 있다.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는 사출성형에 의해 성형되는 수지 성형품의 외면에 부착 설치된다.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에서, 내층(2)과 외층(3)은 직접 적층되어 있다.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는 내층(2)과 외층(3)의 2층 구조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내층)
내층(2)은 수지 성형품에 접착된다. 내층(2)은 합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내층(2)의 주성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ABS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내층(2)의 주성분으로서는 수지 성형품의 주성분과 동종의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는, 내층(2)의 주성분이 수지 성형품의 주성분과 동종의 수지임으로써, 수지 성형품과 내층(2)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당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는,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수지 성형품의 외면에 적합하게 부착될 수 있다.
내층(2)의 평균 두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00㎛ 이상 800㎛ 이하로 할 수 있다.
내층(2)은 흑색계 색료, 그중에서도 흑색계 안료를 함유하고 있다. 상기 흑색계 안료로서는 무기계 흑색계 안료 및 유기계 흑색계 안료를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카본 블랙(퍼니스 블랙, 채널 블랙, 아세틸렌 블랙, 써멀 블랙, 램프 블랙 등), 그래파이트(흑연), 산화구리, 이산화망간, 아조계 안료(아조메틴아조블랙 등), 아닐린 블랙, 페릴렌 블랙, 시아닌 블랙, 복합 산화물계 흑색 색소, 티탄 블랙, 활성탄, 페라이트(비자성 페라이트, 자성 페라이트 등), 마그네타이트, 산화크롬, 산화철, 이황화몰리브덴, 크롬 착물 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내층(2)이 함유하는 흑색계 안료로서는 카본 블랙이 바람직하다. 당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는, 내층(2)에 함유되는 흑색계 안료로서 카본블랙을 사용함으로써, 후술하는 외층(3)에 함유되는 흑색계 색료와 함께 충분한 흑색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흑색계 안료의 평균 입자 직경은 100nm 이상 30㎛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흑색계 안료의 평균 입자 직경의 상한은 5㎛가 보다 바람직하고, 3㎛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흑색계 안료의 평균 입자 직경의 하한은 200nm가 보다 바람직하고, 300nm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흑색계 안료의 평균 입자 직경이 상기 하한보다 작으면, 응집 등에 의해 균일한 분산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흑색계 안료의 평균 입자 직경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분산 불량, 외관 불량 등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상기 흑색계 안료의 함유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내층(2)의 전체 형성 성분에 대하여, 0.1질량% 이상 1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흑색계 안료의 함유량의 상한은 0.8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0.5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흑색계 안료의 함유량의 하한은 0.1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0.2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흑색계 안료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보다 작으면, 원하는 흑색을 얻을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상기 흑색계 안료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안료의 분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내층(2)은 상기 흑색계 색료로서 흑색계 염료와 흑색계 안료 모두를 사용해도 된다. 내층(2)이 상기 흑색계 색료로서 흑색계 염료와 흑색계 안료 모두를 함유하는 경우, 상기 흑색계 염료로서는, 예를 들면, 아조 염료, 아크리딘 염료, 니트로소 염료, 니트로 염료, 스틸벤아조 염료, 케토이민 염료, 트리페닐메탄 염료, 크산텐 염료, 퀴놀린 염료, 메틴/폴리메틴 염료, 안트라퀴논 염료, 티아졸 염료, 인다민/인도페놀 염료, 아진 염료, 옥사진 염료, 티아진 염료, 황화 염료, 아미노케톤/옥시케톤 염료, 인디고이드 염료, 프탈로시아닌 염료, 페릴렌 염료, 페리논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염료는 단체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적, 녹, 황색 등의 염료를 조합하여 깊이가 있는 흑색을 발현해도 된다.
상기 흑색계 염료의 함유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내층(2)의 전체 형성 성분에 대하여, 0.5질량% 이상 2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흑색계 염료의 함유량의 상한은 1.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1.3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흑색계 염료의 함유량의 하한은 0.7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0.9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내층(2)이 상기 흑색계 염료를 함유하는 경우에, 이 흑색계 염료와 함께 사용되는 흑색계 안료로서는 카본 블랙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흑색계 염료와 함께 사용되는 흑색계 안료의 함유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내층(2)의 전체 형성 성분에 대하여, 0.001질량% 이상 0.2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흑색계 염료와 함께 사용되는 흑색계 안료의 함유량의 상한은 0.1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0.1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흑색계 염료와 함께 사용되는 흑색계 안료의 함유량의 하한은 0.00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0.01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내층(2)에 함유되는 상기 흑색계 염료 및 상기 흑색계 안료의 합계의 함유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내층(2)의 전체 형성 성분에 대하여, 0.7질량% 이상 2.001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내층(2)에 함유되는 상기 흑색계 염료 및 상기 흑색계 안료의 합계의 함유량의 상한은 1.6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1.4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내층(2)에 함유되는 상기 흑색계 염료 및 상기 흑색계 안료의 합계의 함유량의 하한은 0.8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1.0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내층(2)에 함유되는 상기 흑색계 염료 및 상기 흑색계 안료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후술하는 외층(3)에 함유되는 흑색계 색료와 함께, 은폐성을 향상시켜, 보다 깊은 칠흑성을 얻을 수 있다.
(외층)
외층(3)은 내층(2)의 외면에 적층된다. 외층(3)은 합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외층(3)의 주성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아크릴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당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는 외층(3)의 주성분으로서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내후성 및 내오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로서는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및 이것들의 유도체 등의 아크릴계 단량체를 단량체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 아크릴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메타크릴산t-부틸시클로헥실, 메타크릴산메틸 등의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부틸, 아크릴산이소프로필, 아크릴산2-에틸헥실 등의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복수종의 아크릴계 단량체를 중합한 것을 들 수 있다. 이 아크릴계 수지에는 아크릴계 단량체와 다른 단량체 성분을 공중합 한 것도 포함된다. 이러한 공중합의 경우, 다른 단량체 성분의 함유율(공중합 비율)은 아크릴계 수지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에 대하여 6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50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40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단량체 성분으로서 메타크릴산메틸을 포함하는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수지가 메타크릴산메틸을 단량체 성분으로서 포함함으로써 얻어지는 아크릴계 수지의 상용성이 향상된다. 메타크릴산메틸을 단량체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중합체로서는 메타크릴산메틸의 단독 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과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메타크릴산메틸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크릴산메틸 이외의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류;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류, α-히드록시메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류; 스티렌; o-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2,4-디메틸스티렌, 에틸스티렌, p-tert-부틸스티렌 등의 알킬 치환 스티렌, α-메틸스티렌, α-메틸-p-메틸스티렌 등의 α-알킬 치환 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류;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불포화 니트릴류; N-페닐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등의 말레이미드류; 무수말레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무수물류;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다른 단량체로서는, 얻어지는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의 가요성 및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α-히드록시메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류, 스티렌, 알킬 치환 스티렌, α-알킬 치환 스티렌, 불포화 카르복실산류가 바람직하고, α-히드록시메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류, 스티렌, α-알킬 치환 스티렌, 불포화 카르복실산류가 보다 바람직하고, 그중에서도, α-히드록시메틸아크릴산메틸,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메타크릴산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른 단량체로서 α-히드록시메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류를 사용하고, 메타크릴산메틸과 공중합한 경우, 또한, 탈수반응을 행함으로써, 중합체 주쇄를 일부에 포함하는 락톤 환을 형성하기 때문에, 얻어지는 아크릴계 수지의 내열성이 특히 향상된다. 이들 단량체는 1종 단독으로 또는 복수종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메타크릴산메틸과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에 있어서, 다른 단량체 성분의 함유율은, 메타크릴산메틸에 대하여, 5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메타크릴산메틸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서는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류가 바람직하다. 다른 단량체로서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류를 사용함으로써 얻어지는 아크릴계 수지의 내열온도가 향상되고, 또한 성형 가공시의 유동성이 높아진다. 이러한 메타크릴산메틸과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류와의 공중합체에서,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류 단량체 성분의 함유율은, 내열성 향상의 관점에서, 전체 단량체 성분에 대하여, 0.1질량% 이상 15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0.2질량% 이상 14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질량% 이상 12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류로서는 아크릴산메틸 및 아크릴산에틸이, 메타크릴산메틸과 소량 공중합만으로도, 상기의 성형 가공시의 유동성의 개량 효과가 현저하게 얻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로서는 아이소택틱 폴리메타크릴산에스테르 또는 신디오택틱 폴리메타크릴산에스테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아크릴계 수지는 시판품을 그대로 사용해도 되고, 전구체가 되는 시판품으로부터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종래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캐스트 중합, 괴상 중합, 현탁 중합, 용액 중합, 유화 중합, 음이온 중합 등의 중합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현탁제나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는 괴상 중합이나 용액 중합이 바람직하고, 이것에 의해 미소 이물의 혼입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용액 중합의 경우에는, 톨루엔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괴상 중합의 경우에는, 가열에 의해 발생하는 유리 라디칼이나 전리성 방사선 조사에 의해 중합을 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중합반응에 사용되는 중합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등의 아조 화합물; 벤조일퍼옥시드, 라우로일퍼옥시드,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등의 유기 과산화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90℃ 이상의 온도조건하에서 중합을 행하는 경우, 용액 중합이 일반적으로 채용되지만, 유기용매에 가용인 중합개시제 중, 10시간 반감기 온도가 80℃ 이상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중합개시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1,1-비스(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시클로헥산퍼옥시드, 2,5-디메틸-2,5-디(벤조일퍼옥시)헥산, 1,1-아조비스(1-시클로헥산카르보니트릴), 2-(카르바모일 아조)이소부티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합반응에 대한 이들 중합개시제의 사용량으로서는, 중합에 사용되는 전체 단량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0.005∼5질량부가 바람직하다.
중합반응에서는, 분자량 조절제를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이 분자량 조절제는 라디칼 중합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채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부틸메르캅탄, 옥틸메르캅탄, 도데실메르캅탄, 티오글리콜산2-에틸헥실 등의 메르캅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분자량 조절제는 상기 아크릴계 수지의 분자량이 원하는 범위가 되는 것과 같은 농도 범위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수지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공 소63-1964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수지로서는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 및/또는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다른 1종류 이상의 단량체를 공중합함으로써, 3원 이상의 공중합체로 할 수도 있다.
상기 3원 이상의 공중합체에서,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 및/또는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공중합시키는 다른 단량체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o-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o-에틸스티렌, p-에틸스티렌 및 p-t-부틸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류;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등의 불포화 니트릴류; N-메틸말레이미드, N-에틸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등의 말레이미드류;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N-메틸아크릴아미드, 부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N-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등의 (메타)아크릴아미드류;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무수물류;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α-치환 아크릴산, α-치환 메타크릴산, 말레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류; (메타)아크릴산메틸, (메타)아크릴산에틸, (메타)아크릴산n-프로필, (메타)아크릴산n-부틸, (메타)아크릴산t-부틸, (메타)아크릴산n-헥실, (메타)아크릴산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산클로로메틸, (메타)아크릴산2-클로로에틸, (메타)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산3-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산 2,3,4,5,6-펜타히드록시헥실 및 (메타)아크릴산 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알킬에스테르류 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의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환산의 중량평균 분자량(Mw)은 1만 이상 40만 이하가 바람직하고, 4만 이상 30만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7만 이상 20만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의 Mw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얻어지는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의 강도가 향상됨과 아울러,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의 가공성 및 유동성이 향상된다. 또한 분자량 분포(Mw/Mn)는 1.8 이상 3.0 이하가 바람직하고, 1.8 이상 2.7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8 이상 2.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단량체 성분의 조성, 분자량 등이 상이한 2종 이상의 아크릴계 수지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중량평균 분자량은 그 평균값을 의미한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의 비카트 연화온도로서는 80℃ 이상 1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로서는 8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5℃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의 멜트 인덱스(ASTM D1238; I 조건)로서는 얻어지는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의 강도의 관점에서 15g/10분 이하가 바람직하고, 12g/10분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g/10분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가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를 단량체 성분으로서 포함하지 않는 아크릴계 수지(이하, 「아크릴계 수지(1)」라고도 적는다.)인 경우, 아크릴계 수지(1)에서의 아크릴계 단량체 성분의 함유율로서는 아크릴계 수지(1)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성분에 대하여, 4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아크릴계 수지(1)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메타크릴산t-부틸시클로헥실, 메타크릴산메틸 등의 메타크릴산에스테르;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부틸, 아크릴산이소프로필, 아크릴산2-에틸헥실 등의 아크릴산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량체를 중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1)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5만 이상 20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만 이상 15만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중량평균 분자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얻어지는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가 강도가 우수함과 아울러,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 성형시의 성형 가공성 및 유동성이 우수하다.
또한, 외층(3)을 구성하는 아크릴계 수지로서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를 단량체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아크릴계 수지(이하, 「아크릴계 수지(2)」라고도 적는다.)와,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를 단량체 성분으로서 포함하지 않는 아크릴계 수지(1)를 병용하는 경우, 또 다른 아크릴계 수지를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다른 아크릴계 수지의 함유량은, 외층(3)을 구성하는 전체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20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10질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1)의 함유량은, 외층(3)을 구성하는 전체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0.1질량부 이상 50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0.1질량부 이상 40질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1질량부 이상 35질량부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수지(2)의 함유량은, 외층(3)을 구성하는 전체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50질량부 이상 99.9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60질량부 이상 99.9질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65질량부 이상 99.9질량부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외층(3)에 있어서의 아크릴계 수지의 함유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얻어지는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의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주쇄에 환 구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의 내열성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외층(3)은 주성분으로서 포함되는 상기 아크릴계 수지와 함께, 고무질 중합체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무질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부타디엔계 ABS 고무나, 아크릴계, 폴리올레핀계, 실리콘계, 불소 고무 등의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갖는 고무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고무로서는 아크릴계 단량체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혹은 아크릴계 단량체와 다른 단량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아크릴계 단량체로서는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n-부틸, 메타크릴산알릴,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i-프로필, 아크릴산n-부틸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2-메틸스티렌, 4-메틸스티렌, 2,4-디에틸스티렌, 4-부톡시스티렌, N,N-디메틸아미노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시안화비닐리덴 등의 α,β-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 화합물;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 화합물; 에틸비닐에테르, 세틸비닐에테르, 히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다른 단량체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고무는 가교제를 사용하여 가교되어 있어도 된다.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면, 유황; 2,4-디클로로벤조일퍼옥시드, 벤조일퍼옥시드, 디-tert-부틸퍼옥시디이소프로필벤젠 등의 유기 과산화물; 테트라메틸티우람모노술피드, 테트라메틸티우람디술피드 등의 유기 유황 화합물; p-퀴논디옥심, p,p'-디벤조일퀴논디옥심 등의 옥심 화합물; 헥사메틸렌디아민카르바메이트 등의 폴리아민 등을 들 수 있다. 가교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예를 들면, 디페닐구아디닌, 아연디메틸디티오카르바메이트, 2-메르캅토벤조티아졸, 디벤조티아질술피드 등의 가황촉진제를 사용해도 된다.
상기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 입자 직경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1㎛ 이상 0.6㎛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 입자 직경의 상한은 0.5㎛가 보다 바람직하고, 0.4㎛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 입자 직경의 하한은 0.2㎛가 보다 바람직하고, 0.3㎛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 입자 직경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의 투명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상기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 입자 직경이 상기 하한 미만이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의 가요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외층(3)에 있어서의 상기 고무질 중합체의 함유량으로서는 5질량% 이상 5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0질량% 이상 45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0질량% 이상 40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고무질 중합체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미만이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의 가요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상기 고무질 중합체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의 투명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고무질 중합체로서는 다층 구조를 갖는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이 다층 구조로서는, 예를 들면, 코어-셸 구조로 이루어지는 2층 구조나, 중심 경질층과 연질층과 최외 경질층으로 이루어지는 3층 구조나, 연질층과 최외 경질층 사이에 중간 경질층을 더 갖는 4층 구조 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2층 구조로서는, 예를 들면, 고무상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코어층과, 아크릴 수지계의 유리 형상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셸층으로 이루어지는 코어-셸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코어층에 사용되는 고무상 폴리머로서는 상온에서 고무상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부타디엔을 주성분으로 하는 고무상 중합체(예를 들면, 부타디엔 단독 중합체, 부타디엔-방향족 비닐 공중합체 등)나,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고무상 중합체(예를 들면, 부틸아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 등)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에 의해 강도와 생산성과 투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셸층에 사용되는 유리상 폴리머로서는, 상온에서 유리상인 아크릴계 폴리머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독 중합체, 메틸메타크릴레이트-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3층 이상의 다층 구조를 갖는 고무질 중합체로서는 고무상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연질층과, 유리상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경질층이 3층 이상 적층되어 구성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연질층에 사용되는 고무상 폴리머 및 경질층에 사용되는 유리상 폴리머는 상기 2층 구조의 고무 입자에서 설명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한, 내층(2) 및 외층(3)에는, 그 밖의 중합체를 혼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그 밖의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페닐렌술피드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수지; 폴리에스테르, 폴리술폰,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세탈 등의 열가소성 수지; 및 페놀 수지, 멜라민 수지, 실리콘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중합체는 단독 또는 복수종을 혼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외층(3)의 평균 두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40㎛ 이상 100㎛ 이하가 바람직하다. 외층(3)의 평균 두께의 상한은 90㎛가 보다 바람직하고, 80㎛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외층(3)의 평균 두께의 하한은 50㎛가 보다 바람직하고, 60㎛가 더욱 바람직하다. 외층(3)의 평균 두께가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의 박형화의 요청에 반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외층(3)의 평균 두께가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 외층(3)에 함유되는 흑색계 색료의 함유량이 저하되어 원하는 흑색을 얻지 못할 우려가 있고, 또한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의 경도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외층(3)은 흑색계 색료를 함유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외층(3)은 흑색계 염료와 흑색계 안료 모두를 함유하고 있다.
외층(3)이 함유하는 상기 흑색계 염료로서는, 예를 들면, 아조 염료, 아크리딘 염료, 니트로소 염료, 니트로 염료, 스틸벤 아조 염료, 케토이민 염료, 트리페닐메탄 염료, 크산텐 염료, 퀴놀린 염료, 메틴/폴리메틴 염료, 안트라퀴논 염료, 티아졸 염료, 인다민/인도페놀 염료, 아진 염료, 옥사진 염료, 티아진 염료, 황화 염료, 아미노케톤/옥시케톤 염료, 인디고이드 염료, 프탈로시아닌 염료, 페릴렌 염료, 페리논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염료는 단체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적, 녹, 황색 등의 염료를 조합하여 깊이가 있는 흑색을 발현시켜도 된다.
외층(3)이 함유하는 상기 흑색계 염료의 함유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외층(3)의 전체 형성 성분에 대하여, 0.5질량% 이상 2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흑색계 염료의 함유량의 상한은 1.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1.3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흑색계 염료의 함유량의 하한은 0.7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0.9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외층(3)이 함유하는 상기 흑색계 안료로서는 카본 블랙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흑색계 안료의 함유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외층(3)의 전체 형성 성분에 대하여, 0.001질량% 이상 0.2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흑색계 안료의 함유량의 상한은 0.1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0.1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흑색계 안료의 함유량의 하한은 0.00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0.01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외층(3)에 함유되는 상기 흑색계 염료 및 상기 흑색계 안료의 합계의 함유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외층(3)의 전체 형성 성분에 대하여, 0.7질량% 이상 2.001질량%가 바람직하다. 외층(3)에 함유되는 상기 흑색계 염료 및 상기 흑색계 안료의 합계의 함유량의 상한은 1.6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1.3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외층(3)에 함유되는 상기 흑색계 염료 및 상기 흑색계 안료의 합계의 함유량의 하한은 0.8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1.0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외층(3)에 함유되는 상기 흑색계 염료 및 상기 흑색계 안료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내층(2)에 함유되는 흑색계 색료와 함께, 은폐성을 향상시켜, 보다 깊은 칠흑성을 얻을 수 있다.
외층(3)의 외면의 산술평균 거칠기(Ra)로서는 0.01㎛ 이상 0.3㎛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외층(3)의 외면의 산술평균 거칠기(Ra)의 상한은 0.2가 보다 바람직하고, 0.1이 더욱 바람직하다. 외층(3)의 외면의 산술평균 거칠기(Ra)가 상기 범위임으로써, 외면의 평활성이 우수하여, 소위 피아노 블랙톤의 칠흑성을 얻을 수 있다.
외층(3)의 외면의 60° 광택도로서는 70 이상 90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외층(3)의 60° 광택도의 하한은 73이 보다 바람직하고, 75가 더욱 바람직하다. 외층(3)의 외면의 60° 광택도가 상기 범위임으로써, 광택성이 우수하여, 소위 피아노 블랙톤의 칠흑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외층(3)의 외면의 20° 광택도로서는 65 이상 85 이하가 바람직하다. 외층(3)의 외면의 20° 광택도의 하한은 70이 보다 바람직하고, 75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외층(3)의 외면의 85° 광택도로서는 90 이상 110 이하가 바람직하다. 외층(3)의 외면의 85° 광택도의 하한은 95가 보다 바람직하고, 100이 더욱 바람직하다. 외층(3)의 외면의 20° 광택도 및 85° 광택도가 상기 범위임으로써, 광택성이 더욱 우수하여, 피아노 블랙톤의 칠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내층(2)의 선팽창계수(α1) 및 유리전이온도(Tg1)와, 외층(3)의 선팽창계수(α2) 및 유리전이온도(Tg2)와, 실온과의 관계로서, 하기 식 (1) 및 (2)의 값의 차가 4×10-3 이하가 바람직하고, 2×10-3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10-3이 더욱 바람직하다.
α1*(Tg1-실온) ···(1)
α2*(Tg2-실온) ···(2)
내층(2)의 선팽창계수(α1) 및 유리전이온도(Tg1)와, 외층(3)의 선팽창계수(α2) 및 유리전이온도(Tg2)와, 실온과의 관계가 상기 범위를 충족시킴으로써, 내층(2) 및 외층(3)을 공압출 성형한 경우의 내부응력을 저감하여 상기 실온에서의 컬의 발생을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의 인장강도로서는 20MPa 이상이 바람직하고, 30MPa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40MPa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의 인장강도의 상한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50MPa로 할 수 있다. 당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의 인장강도가 상기 범위임으로써, 사출성형시에 당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가 적확하게 변형되기 때문에, 당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를 수지 성형품의 외면에 적합하게 부착 설치할 수 있다.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의 명도(L*)로서는 30 이하가 바람직하고, 2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의 명도가 상기 범위임으로써, 피아노 블랙톤의 칠흑성을 적합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명도(L*)」는 JIS-Z8729에 준거한 값이다. 또한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의 명도(L*)는 당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를 외층측에서 측정한 값을 말한다.
<제조방법>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는 압출성형법에 의해 내층(2) 및 외층(3)이 일체로 적층된다.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는, 예를 들면, 한 쌍의 압출기를 갖는 공압출기(도시 생략)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내층(2)의 형성 재료가 일방의 압출기에 투입되고, 외층(3)의 형성 재료가 타방의 압출기에 투입된다. 다음에 내층(2)의 형성 재료 및 외층(3)의 형성 재료는 분배 블록에 공급되고, 원하는 두께가 되도록 분배된다. 그리고, 내층(2)의 형성 재료 및 외층(3)의 형성 재료는 원하는 두께로 분배된 후, 멀티매니폴드 다이 내에서 적층되고, 멀티매니폴드 다이의 선단으로부터 필름 형상으로 압출된다. 또한, 한 쌍의 압출기 및 멀티매니폴드 다이의 온도 설정은 사용되는 수지의 융점 등을 고려하여 적당하게 선택된다.
<이점>
당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는 내층(2)과 외층(3)이 압출 성형법에 의해 일체로 적층되므로, 종래와 같이 시트끼리를 접착제로 첩착하는 것에 비해, 내층(2)과 외층(3) 사이에 이물이 혼입될 우려가 적다. 또한 당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는, 내층(2) 또는 외층(3)에 흑색계 색료를 함유시키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인쇄면에 의해 의장성을 갖게 하는 것에 비해, 내층(2) 또는 외층(3)이 함유하는 흑색계 색료에 의해 충분한 흑색을 나타낼 수 있다.
당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는 흑색계 색료를 내층(2) 및 외층(3) 모두가 함유하므로, 보다 충분한 흑색을 나타낼 수 있다.
당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는 내층(2) 및 외층(3)이 직접 적층된 2층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내층(2)과 외층(3) 사이에 다른 층을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 비용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당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는, 흑색계 색료로서, 흑색계 염료와 흑색계 안료 모두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보다 의장성이 높은 칠흑성을 나타낼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
도 2의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1)는 내층(12)과, 외층(3)과, 하드코트층(13)을 가지고 있다.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1)는 사출성형에 의해 성형되는 수지 성형품의 외면에 부착 설치된다.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에 있어서, 내층(12)과 외층(3)은 직접 적층되어 있다. 또한 외층(3)에 대해서는, 도 1의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내층)
내층(12)은 수지 성형품에 접착된다. 내층(12)은 합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내층(12)의 주성분 및 평균 두께로서는 도 1의 내층(2)과 동일하다. 내층(12)은 흑색계 색료를 함유하지 않는 투명층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하드코트층)
하드코트층(13)의 형성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트리아진환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프레폴리머와 유기 미립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 트리아진환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프레폴리머로서는 아미노트리아진 화합물, 파라포름알데히드 및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로부터 1공정으로 합성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 미립자로서는 유화 중합법에 의해 합성되는 미립자를 들 수 있다. 상기 트리아진환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프레폴리머의 평균 분자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00 이상 20000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평균 분자량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점도가 높아져 도공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높아진다. 반대로, 상기 평균 분자량이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 충분한 경도가 얻어지지 못할 우려가 높아진다.
상기 아미노트리아진 화합물은 트리아진환의 3개의 탄소 원자 각각에 아미노기가 결합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아미노트리아진 또는 그 유도체를 의미한다. 상기 아미노트리아진으로서는, 예를 들면, 멜라민을 들 수 있다. 상기 아미노트리아진 유도체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구아나민, 아세토구아나민, 시클로헥산카르보구아나민, 시클로헥센카르보구아나민, 노르보르난카르보구아나민, 노르보르넨카르보구아나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에는, 필요에 따라, 적어도 1개의 히드록실기를 갖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 예를 들면,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알코올, 에틸렌글리콜알릴에테르, 글리세린(모노, 디)알릴에테르, N-메틸올(메타)아크릴아미드 등 혹은 이것들의 혼합물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트리아진환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프레폴리머의 합성은 아미노트리아진 화합물에 대한 포름알데히드의 부가반응에 의한 메틸올기의 생성 및 메틸올기와 히드록실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히드록실기와의 축합 반응에 의해 진행되거나, 혹은 히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와 포름알데히드로부터 포름알데히드헤미아세탈이 생성되고, 이 포름알데히드헤미아세탈과 아미노트리아진 화합물이 축합하여 진행된다. 축합 반응의 진행 정도는 이들 축합 반응에 의해 이탈되는 수분량에 의해 판단할 수 있고, 이 수분량을 경시적으로 파악하고, 소정의 단계에서 수분 유출을 막음으로써 이것들의 축합 반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미립자로서는, 예를 들면, 유화 중합법에 의해 합성된 스티렌계 수지, 스티렌-아크릴계 공중합 수지, 아크릴계 수지 등의 유기 미립자를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미립자는 유화 중합법에 의해 합성됨으로써, 가교제를 첨가함과 아울러 1차입자 직경의 편차를 억제하여, 면 내에서의 굴곡성의 균일화를 촉진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미립자의 평균 1차입자 직경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80nm 이상 500nm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미립자의 평균 1차입자 직경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헤이즈가 상승하여 시인성이 저하될 우려가 높아진다. 반대로, 상기 유기 미립자의 평균 1차입자 직경이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 유기 미립자의 합성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높아진다. 또한, 평균 1차입자 직경이란 응집을 일으키지 않은 단일 입자의 직경을 의미하며, 구 형상의 것에 대해서는 그 직경을, 구 형상 이외의 것에 대해서는 장축 직경과 단축 직경의 산술평균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전자현미경에 의해 측정되는 값을 말한다.
상기 트리아진환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프레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유기 미립자의 첨가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중량부 이상 50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10중량부 이상 30중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첨가량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충분히 경도를 향상시킬 수 없을 우려가 높아진다. 반대로, 상기 첨가량이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 굴곡성이 저하될 우려가 높아진다.
또한 하드코트층(13)의 형성 재료로서는 상기 트리아진환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프레폴리머에 잔존하는 미반응의 수산기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반응시켜 이루어지는 우레탄화 트리아진환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프레폴리머와 유기 미립자를 포함하는 조성물도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유기 미립자로서는 유화 중합법에 의해 합성되는 스티렌계 수지, 스티렌-아크릴계 공중합 수지, 아크릴계 수지 등의 유기 미립자를 들 수 있다. 또한, 이 유기 미립자의 평균 1차입자 직경 및 상기 트리아진환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프레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유기 미립자의 첨가량은 상기와 같다. 상기 우레탄화 트리아진환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프레폴리머는 우레탄화함으로써 굴곡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지방족, 지환식, 방향족, 방향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및 이것들의 변성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TMDI),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LDI)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환식 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HMDI),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 1,4-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CHDI), 수소 첨가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HXDI), 수소 첨가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HTDI)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TDI), 4,4'(또는 2,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MDI),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NDI),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XDI), 톨리딘디이소시아네이트(TODI), p-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PPDI)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향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α,α,α',α'-테트라메틸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TMXDI)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방족, 지환식, 방향족 또는 방향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변성물로서는 상기 화합물의 이소시아네이트기의 일부 또는 전부가 카르보디이미드기, 우레트디온기, 우레트이민기, 뷰렛기, 이소시아누레이트기 등으로 변성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일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 병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의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유기 주석계 우레탄화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유기 주석계 우레탄화 촉매로서는 우레탄화 반응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디부틸주석디아세테이트, 디부틸주석디말레이트, 스테아르산주석, 옥틸산주석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주석계 우레탄화 촉매의 사용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005중량% 이상 3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주석계 우레탄화 촉매의 사용량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우레탄 반응시의 발열에 의해 반응 제어가 곤란하게 될 우려가 높아진다. 반대로, 상기 유기 주석계 우레탄화 촉매의 사용량이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 우레탄 반응이 충분히 진행되지 않을 우려가 높아진다.
하드코트층(13)은 반응성 화합물로서 다작용 중합성 모노머를 사용하여, 혼합 또는 중합하는 것을 거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작용 중합성 모노머는 (메타)아크릴로일기, 비닐기, 알릴기를 분자 중에 적어도 2개 이상 갖는 것이다. 상기 다작용 중합성 모노머로서는 그중에서도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다작용 중합성 모노머는 라디칼 반응성이 대단히 높고, 속경성과 고경도의 점에서 우위성이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다작용 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다작용(메타)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하드코트층(13)의 평균 두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 이상 20㎛ 이하가 바람직하다. 하드코트층(13)의 평균 두께의 상한은 15㎛가 보다 바람직하고, 10㎛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하드코트층(13)의 평균 두께의 하한은 3㎛가 보다 바람직하고, 5㎛가 더욱 바람직하다. 하드코트층(13)의 평균 두께가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박형화의 요구에 반함과 아울러, 유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하드코트층(13)의 평균 두께가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 원하는 경도를 얻지 못할 우려가 있다.
또한, 하드코트층(13)의 외면의 산술평균 거칠기(Ra) 및 하드코트층(13)의 외면의 60° 광택도, 20° 광택도 및 85° 광택도로서는 도 1의 외층(3)의 외면의 값과 동일하다.
또한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1)의 인장강도 및 명도(L*)로서는 도 1의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와 동일하다.
<제조방법>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1)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일반적으로는 (a) 내층(12) 및 외층(3)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형성하는 공정과, (b) 이 적층체의 외층(3)의 외면에 하드코트층(13)을 형성하는 공정을 가지고 있다. 상기 (a)로서는 도 1의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와 동일한 제조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b)로서는 하드코트층(13)의 형성 재료를 외층(3)의 외면에 도포하고, 건조, 경화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하드코트층(13)의 형성 재료를 외층(3)의 외면에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그라비아 코팅법, 바 코팅법, 나이프 코팅법, 롤 코팅법, 블레이드 코팅법, 다이 코팅법 등의 공지의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외층(3)의 외면에 도포된 하드코트층(13)의 형성 재료를 경화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자외선, 전자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자외선에 의해 경화하는 경우, 하드코트층(13)의 형성 재료 중에는 광중합개시제가 함유된다.
상기 광중합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페논, 벤질, 미힐러케톤, 2-클로로티옥산톤, 2,4-디에틸티옥산톤,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벤질디메틸케탈,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히드록시클로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파논-1,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메틸-1-프로판-1-온, 비스(시클로펜타디에닐)-비스(2,6-디플루오로-3-(필-1-일)-페닐)티타늄,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타논-1,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화합물은 각 단체로 사용해도 되고, 복수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자외선 조사 장치로서는 고압 수은등이나 메탈할라이드 램프 등 알려진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자외선 조사 에너지로서는 100∼2000mJ/cm2가 바람직하고, 300∼700mJ/cm2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자외선 조사는 질소 가스 분위기하에서 행함으로써 내찰상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선 조사 장치로서는 종래 알려진 경화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전자선 조사선량으로서는 10kGy∼200kGy가 바람직하고, 30kGy∼100kGy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점>
당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1)는 외층(3)의 외면에 적층되는 하드코트층(13)을 더 구비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당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1)가 수지 성형품의 외면에 부착 설치된 후 등에 있어서, 상기 외층(3)의 외면이 상처 나는 것을 하드코트층(13)에 의해 적확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사출성형용 시트 적층체>
도 3의 사출성형용 시트 적층체(21)는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와 이형 시트(22)를 가지고 있다.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는 내층(2)과, 외층(3)을 가지고 있다. 내층(2) 및 외층(3)에 대해서는, 도 1의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이형 시트)
이형 시트(22)는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의 외층(3)의 외면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다. 이형 시트(22)는 기재 필름을 가지고 있다. 이 기재 필름은 내열성, 제조에 충분한 기계적 강도, 내용제성 등을 갖는 여러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기재 필름을 형성하는 주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나일론6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염화비닐 등의 비닐계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셀로판,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등의 합성 수지를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내열성, 기계적 강도의 점에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 필름은 연신 필름, 미연신 필름의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강도를 향상시키는 점에서, 1축방향 또는 2축방향으로 연신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기재 필름은 단층체이어도 다층체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기재 필름에는, 필요에 따라 충전제, 가소제, 착색제, 대전방지제 등의 첨가제가 첨가되어도 된다.
상기 기재 필름의 평균 두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0㎛ 이상 1mm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 필름의 평균 두께의 상한은 800㎛가 보다 바람직하고, 500㎛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기재 필름의 평균 두께의 하한은 60㎛가 보다 바람직하고, 100㎛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 필름의 평균 두께가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이형 시트(22)의 가요성이 부족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상기 기재 필름의 평균 두께가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 이형 시트(22)의 강도가 부족할 우려가 있다.
또한 이형 시트(22)는 상기 기재 필름의 내면측(외층(3)과의 적층면측)에 이형층이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이 이형층은, 이형 시트(22)와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와의 박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기재 필름과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와의 박리성이 높은 경우에는 설치할 필요는 없다. 상기 이형층의 형성 재료로서는 실리콘, 멜라민, 불소화 중합체, 합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합성 수지로서는 멜라민계 수지, 요소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페놀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아미노알키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이형층은 이 이형층의 형성 재료를 기재 필름 위에 그라비아 코팅법, 롤 코팅법, 콤마 코팅법, 립 코팅법 등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도포하고, 건조,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형층의 형성 시에는 적층면에 코로나 처리나 접착용이 처리를 시행해도 된다.
상기 이형층에는 가교제가 함유되어도 된다. 상기 이형층에 함유되는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폭시계 가교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메틸올계 가교제, 킬레이트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멜라민계 가교제, 다가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교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이형층의 주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0.5질량부 이상 20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특히 2질량부 이상 10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다. 가교제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안정한 고분자량체를 얻을 수 있다.
유기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헥산, 헵탄, 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알코올, 메틸에틸케톤, 2-펜타논, 이소포론 등의 케톤,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메톡시프로필 등의 에스테르, 에틸셀로솔브 등의 셀로솔브계 용제, 메톡시프로판올, 에톡시프로판올, 메톡시부탄올 등의 글리콜계 용제를 들 수 있다. 이들 유기 용제는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형층에는, 필요에 따라, 충전제, 연화제, 산화방지제, 자외선흡수제, 점착부여제, 대전방지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이형층의 평균 두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 이상 50㎛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이형층의 평균 두께의 상한은 45㎛가 보다 바람직하고, 30㎛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형층의 평균 두께의 하한은 15㎛가 보다 바람직하고, 20㎛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이형층의 평균 두께가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박형화의 요청에 반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상기 이형층의 평균 두께가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 이탈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점>
당해 사출성형용 시트 적층체(21)는 당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와, 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의 외층(3)의 외면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는 이형 시트(22)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형 시트(22)가 성형 금형의 형면과 대면하도록 배열 설치하고, 이 성형 금형에 용융 수지를 사출하고, 수지의 경화 후에 이형 시트(22)를 박리함으로써 외면에 당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가 부착 설치된 사출성형품을 얻을 수 있고, 이 사출성형품은 당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의 내부에 이물 혼입의 우려가 적어, 충분한 흑색을 나타낼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사출성형품>
도 4의 사출성형품(31)은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와, 수지 성형품(32)을 가지고 있다. 사출성형품(31)은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가 수지 성형품(32)의 외면에 부착 설치되어 있다.
(수지 성형품)
수지 성형품(32)의 형성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ABS 수지, 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제조방법>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를 수지 성형품(32)에 부착 설치하는 방법으로서는 인서트 성형이나 인 몰드 성형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를 수지 성형품(32)에 부착 설치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a)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를 사출성형 금형 내에 배열 설치하는 공정과, (b) 진공성형을 시행하여 금형 내면에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를 밀착시키는 공정과, (c) 이 금형 내에 수지 성형품(32)의 형성 재료를 사출성형하는 공정을 가지고 있다.
<이점>
당해 사출성형품(31)은 당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가 외면에 부착 설치되어 있으므로, 당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1)의 내부에 이물 혼입의 우려가 적어, 충분한 흑색을 나타낼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또한, 본 발명의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 사출성형용 시트 적층체 및 사출성형품은 상기 태양 이외에, 여러 변경, 개량을 행한 태양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각 실시형태의 구성은 적당히 조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당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는 흑색계 색료가 내층에만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흑색계 색료가 내층에만 함유되는 경우의 흑색계 색료로서는 외층에만 흑색계 색료가 함유되는 경우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가 하드코트층을 갖는 경우, 이 하드코트층의 외면에 이형 시트가 적층되어도 된다.
당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는 내층과 외층 사이, 또는 외층과 하드코트층 사이 등에 다른 층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한 당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는 수지 성형품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내층의 내면측에 접착층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 사출성형용 시트 적층체 및 사출성형품은 이물 혼입의 우려가 적어, 충분한 흑색을 나타낼 수 있어, pc, 휴대전화, 가전제품, 화장품 용기, 잡화품, 자동차용 내장 부재 등의 표면을 장식하기 위하여 적합하게 사용된다.
1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
2 내층
3 외층
11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
12 내층
13 하드코트층
21 사출성형용 시트 적층체
22 이형 시트
31 사출성형품
32 수지 성형품

Claims (13)

  1. 사출성형에 의해 성형되는 수지 성형품의 외면에 부착 설치되는 수지제의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로서,
    수지 성형품에 접착되는 내층과, 이 내층의 외면측에 적층된 외층이 압출 성형법에 의해 일체로 적층된 다층 구조를 갖고,
    상기 내층이 흑색계 색료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외층이 흑색계 염료 및 흑색계 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외층에 포함되는 흑색계 염료의 함유량이 0.5질량% 이상 2질량% 이하, 흑색계 안료의 함유량이 0.001질량% 이상 0.1질량% 이하이며,
    외면의 60° 광택도가, 70 이상 9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 및 외층이 직접 적층된 2층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의 외면에 적층되는 하드코트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외면의 산술평균 거칠기(Ra)가 0.01㎛ 이상 0.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의 구성 수지가 아크릴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인장강도가 20M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의 구성 수지가 상기 수지 성형품의 구성 수지와 동종의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의 선팽창계수(α1) 및 유리전이온도(Tg1)와, 상기 외층의 선팽창계수(α2) 및 유리전이온도(Tg2)와, 실온과의 관계로서, 하기 식 (1) 및 (2)의 값의 차가 4×10-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
    α1*(Tg1-실온) ···(1)
    α2*(Tg2-실온) ···(2)
  9. 제 1 항에 기재된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와,
    이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의 외층의 외면측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는 이형 시트를 구비하는 사출성형용 시트 적층체.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가 외면에 부착 설치된 사출성형품.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40006560A 2013-01-21 2014-01-20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 사출성형용 시트 적층체 및 사출성형품 KR1015582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08497 2013-01-21
JP2013008497A JP6059026B2 (ja) 2013-01-21 2013-01-21 射出成型用加飾シート、射出成型用シート積層体及び射出成型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4457A KR20140094457A (ko) 2014-07-30
KR101558264B1 true KR101558264B1 (ko) 2015-10-07

Family

ID=51183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6560A KR101558264B1 (ko) 2013-01-21 2014-01-20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 사출성형용 시트 적층체 및 사출성형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059026B2 (ko)
KR (1) KR101558264B1 (ko)
CN (1) CN1039350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6149B1 (ko) 2013-07-15 2017-10-17 (주)엘지하우시스 성형성이 우수한 고광택 인테리어용 장식필름
JP6356006B2 (ja) * 2014-08-05 2018-07-11 旭化成株式会社 メタクリル系樹脂組成物製成形品
JP6756136B2 (ja) * 2016-03-31 2020-09-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加飾シート及び加飾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6772859B2 (ja) * 2016-03-31 2020-10-2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及び該化粧シートを備える化粧部材
US10851216B2 (en) 2016-06-14 2020-12-01 Kuraray Co., Ltd. Black film
JP6629152B2 (ja) * 2016-08-17 2020-01-15 株式会社ミマキエンジニアリング 造形装置及び造形方法
JP6880647B2 (ja) * 2016-10-20 2021-06-02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アクリル系樹脂組成物、アクリル系フィルム、加飾フィルム及び加飾成型体
JP7306869B2 (ja) * 2018-05-22 2023-07-11 旭化成株式会社 二色射出成形体
JP7306868B2 (ja) * 2018-05-22 2023-07-11 旭化成株式会社 二色射出成形体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4587B2 (ja) * 1997-03-14 2006-01-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製外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90109135A (ko) * 2007-02-15 2009-10-19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적층 필름 및 성형체
JP2008279732A (ja) * 2007-05-14 2008-11-20 King Jim Co Ltd 合成樹脂二層シート
JP2010076126A (ja) * 2008-09-24 2010-04-08 Dic Corp 熱成形用加飾シート、及びインサート成形体
JP2010162808A (ja) * 2009-01-19 2010-07-29 Toppan Cosmo Inc 射出成形用化粧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物の製造方法
JP5715901B2 (ja) * 2011-07-28 2015-05-13 テクノポリマー株式会社 黒色加飾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35093B (zh) 2016-02-17
CN103935093A (zh) 2014-07-23
JP2014138985A (ja) 2014-07-31
JP6059026B2 (ja) 2017-01-11
KR20140094457A (ko) 201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8264B1 (ko) 사출성형용 장식 시트, 사출성형용 시트 적층체 및 사출성형품
JP6015877B1 (ja) 加飾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加飾成型体
JP3666279B2 (ja) 熱可塑性樹脂の射出成形体表面被覆用積層シート及び該積層シートの利用
JP6724722B2 (ja) 加飾シート用保護フィルム、および保護フィルム付加飾シート
JP5228448B2 (ja) 加飾シート、加飾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加飾樹脂成形品
TW201309491A (zh) 熱轉印用薄膜、裝飾成形品及其製造方法
JP2010082871A (ja) 加飾シート、加飾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加飾樹脂成形品
WO2018155548A1 (ja) 樹脂組成物及び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10082870A (ja) 加飾シート、加飾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加飾樹脂成形品
JP2009248363A (ja) 艶消し積層フィルム
JP2019116614A (ja) 熱硬化性ハードコート剤、積層フィルム、及び加飾成型体
JP6880647B2 (ja) アクリル系樹脂組成物、アクリル系フィルム、加飾フィルム及び加飾成型体
JP5012433B2 (ja) 加飾シート、加飾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加飾樹脂成形品
JP2018051918A (ja) 転写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ハードコート積層体、及びハードコート積層体の製造方法
JP7404656B2 (ja) 硬化性樹脂組成物、樹脂硬化物、積層フィルム、転写フィルム及び積層体
JP2017177647A (ja) 転写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基材フィルム付ハードコート層積層体、及びハードコート層積層体の製造方法
JP2688129B2 (ja) 射出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被覆用シート
JP2017177741A (ja) 転写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加飾部材
JP5012434B2 (ja) 加飾シート、加飾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加飾樹脂成形品
JP2017177613A (ja) 転写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基材フィルム付ハードコート層積層体、及びハードコート層積層体の製造方法
JP6582833B2 (ja) 転写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ハードコート層積層体
JP2019064027A (ja) 三次元成形フィルム及び樹脂成形品
JP6026159B2 (ja) インサートフィルム及びインサート成形品
JP5830901B2 (ja) 三次元成形用加飾シート、該加飾シートの製造方法、加飾樹脂成形品及び加飾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5310896B2 (ja) 加飾シート、加飾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加飾樹脂成形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