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2536B1 - 낙하물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낙하물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536B1
KR101552536B1 KR1020140014955A KR20140014955A KR101552536B1 KR 101552536 B1 KR101552536 B1 KR 101552536B1 KR 1020140014955 A KR1020140014955 A KR 1020140014955A KR 20140014955 A KR20140014955 A KR 20140014955A KR 101552536 B1 KR101552536 B1 KR 101552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 portion
vertical guide
preventing
vertical
distal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4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6738A (ko
Inventor
요시하루 우치하시
교이치 야마무라
Original Assignee
헤이와기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헤이와기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헤이와기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26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간단한 구성으로 작업성이 양호하고, 패널의 절첩과 돌출 작업을 실시 가능한 낙하물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측부재(14, 15)의 기단부를 가설 비계(11)의 수직 파이프(12)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고, 각각의 측부재(14, 15)를 기단 연결부재(16)와 선단 연결 부재(17)로 연결하여 형성한 프레임(13) 내에 패널(18)을 배치하여, 측부재(14, 15)의 기단부보다 아래쪽 위치에 수직 가이드 부재(33)를 배치하고, 측부재(14, 15)에 선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기단부가 수직 가이드 부재(33)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경사 부재(45)를 가지고, 수직 가이드 부재(33)에는, 경사 부재(45)의 기단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가이드홈(39)과, 상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불어올려짐 방지홈(44)이 형성되고, J자형으로 벤딩된 록킹 부재(47)를 구성하는 봉재의 장척측(48)을 수직 가이드 부재(33)의 하단부에 장착하고, 봉재의 단척측(51)의 선단부를 불어올려짐 방지홈(44)에 원터치로 착탈 가능하게 하였다.

Description

낙하물 방지 장치{FALLING OBJECT PROTECTIVE APPARATUS}
본 발명은, 가설(假設) 비계(飛階; scaffold)가 도로 등에 인접하고 있는 경우에, 예를 들면, 작업용의 재료나 공구 등이 직접 도로 상에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가설 비계로부터 도로 상으로 경사 상방향으로 돌출(張出; overhang)되어 가설되는 절첩(折疊) 가능한 낙하물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낙하물 방지 장치는, 범용성이 있는 클램프(clamp) 금속 부재, 파이프, 패널 등을 사용하여 조립하고 있었지만, 가설 비계로부터 돌출되어 가설(架設)되므로, 조립 작업이나 해체 작업에 위험을 수반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낙하물 방지 장치의 패널을, 도로 상으로 돌출된 자세로부터, 가설 비계에 따른 자세로 절첩할 수 있도록 한 절첩식 낙하물 방지 장치가 제안되어 있었다.
그러나, 낙하물 방지 장치의 구성에 따라서는, 패널의 절첩이나 돌출 작업을 행할 때마다, 가설 비계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어, 작업에 위험을 수반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절첩식 낙하물 방지 장치(이하, 단지 낙하물 방지 장치라고 함)가 제안되었다. 구체적으로는, 패널을 고정시키는 프레임의 기단부(基端部)를 가설 비계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장착하고, 이 기단부보다 아래쪽 위치의 가설 비계에 가이드부를 장착하고, 기단부가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경사 부재의 선단부를, 프레임의 앞쪽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것이다. 이로써, 작업자가, 프레임의 선단부를 로프 등으로 가설 비계 측으로 인장시키하거나, 또한 로프를 느슨하게 하거나 함으로써, 패널의 절첩과 돌출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2527089호 공보
상기한 낙하물 방지 장치의 사용(패널이 돌출된 상태)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패널이 바람을 받아(불어올려져) 상하로 움직일 우려가 있으므로, 볼트를 사용하여 경사 부재의 기단부를 가이드부에 고정하여, 패널이 상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므로, 작업자가, 패널의 절첩과 돌출 작업을 행할 때마다, 볼트의 착탈(着脫) 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어, 작업성이 나쁘다. 또한, 볼트의 착탈 작업이 필요하므로, 작업자가 잘못하여 볼트가 낙하될 염려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간단한 구성으로 작업성이 양호하고, 패널의 절첩과 돌출 작업을 실시 가능한 낙하물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에 관한 본 발명에 관한 낙하물 방지 장치는, 1 또는 복수 쌍의 측부재의 기단부를, 가설 비계의 수직 파이프에 장착 수단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고, 쌍으로 되는 상기 측부재의 기단부와 선단부를 기단(基端) 연결 부재와 선단 연결 부재로 각각 연결하여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 내에 패널을 배치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측부재의 기단부의 상기 수직 파이프로의 장착 위치보다 아래쪽 위치에, 상기 수직 파이프와는 간극을 두고 수직 가이드 부재를 배치하고, 상기 쌍으로 되는 측부재의 도중 위치에 선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기단부가 상기 수직 가이드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경사 부재를 가지는 낙하물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직 가이드 부재에는, 상기 경사 부재의 기단부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여, 상기 경사 부재의 기단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의 하단에 연속되고, 상기 경사 부재의 기단부를 배치했을 때 상기 경사 부재의 기단부의 상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불어올려짐(blowing-up) 방지홈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수직 가이드 부재의 하부에는 록킹 부재(locking member)가 장착되고, 또한 상기 록킹 부재는 J자형으로 벤딩된 봉재(棒材)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 가이드 부재의 하단부에 상기 봉재의 장척측(長尺側)을, 그 축심(軸心)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며, 그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봉재의 단척측(短尺側)의 선단부를 상기 불어올려짐 방지홈에 원터치로 착탈 가능하게 하고, 상기 봉재의 단척측의 선단부를 상기 불어올려짐 방지홈에 장착했을 때, 상기 경사 부재의 기단부가 상기 불어올려짐 방지홈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관한 낙하물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봉재의 장척측의 도중 위치에는, 상기 록킹 부재가 상기 수직 가이드 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때, 상기 록킹 부재가 상기 수직 가이드 부재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낙하물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부재의 도중 위치에는, 상기 경사 부재의 선단부를, 상기 측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낙하물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경사 부재의 선단부를 걸림 가능한 절결(切缺) 오목부가 형성된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에 슬라이딩 가능 또는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절결 오목부에 상기 경사 부재의 선단부를 배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경사 부재의 선단부가 상기 절결 오목부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걸어맞춤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낙하물 방지 장치는, 수직 가이드 부재에, 경사 부재의 기단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홈과, 이 가이드홈의 하단에 연속되고, 경사 부재의 기단부의 상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불어올려짐 방지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경사 부재의 기단부를 불어올려짐 방지홈에 배치함으로써, 바람에 의해 패널이 상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직 가이드 부재에는, J자형으로 벤딩된 봉재로 구성되는 록킹 부재가 장착되고, 단척측의 선단부를 불어올려짐 방지홈에 장착 가능하므로, 예를 들면, 패널을 때 절첩할 때, 경사 부재의 기단부가 잘못하여 불어올려짐 방지홈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패널의 절첩을 작업성이 양호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록킹 부재는, 장척측이 수직 가이드 부재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거나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므로, 단척측의 선단부를 불어올려짐 방지홈에 원터치로 착탈 가능하게 할 수 있어, 작업성이 양호하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작업성이 양호하고, 패널의 절첩과 돌출 작업을 실시 가능한 낙하물 방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봉재의 장척측의 도중 위치에, 록킹 부재가 수직 가이드 부재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간단한 구성으로, 록킹 부재를 수직 가이드 부재에 상시 장착시켜 둘 수가 있다. 이로써, 작업자가, 패널의 절첩과 돌출 작업을 행할 때, 종래와 같은 볼트의 착탈 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고, 또한 록킹 부재의 낙하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측부재의 도중 위치에, 경사 부재의 선단부를 측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예를 들면, 낙하물 방지 장치를 가설 현장까지 반송(搬送)할 때, 또한 가설 현장으로부터 반송할 때, 경사 부재를 측부재로부터 분리해 낸 상태로 반송할 수 있다. 이로써, 낙하물 방지 장치의 컴팩트화가 도모되어, 반송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수단이, 절결 오목부가 형성된 걸림부와, 걸림부에 슬라이딩 가능 또는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걸어맞춤부를 가지는 경우, 간단한 구성으로, 경사 부재와 측부재의 착탈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낙하물 방지 장치의 사용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2의 (A), (b)는 각각 동 낙하물 방지 장치의 프레임의 정면도, 평면도이다.
도 3은 동 낙하물 방지 장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측부재의 수직 파이프에 대한 장착 구조를 나타낸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4는 동 낙하물 방지 장치의 경사 부재의 수직 가이드 부재에 대한 장착 구조를 나타낸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5의 (A), (b)는 각각 동 낙하물 방지 장치의 수직 가이드 부재에 장착된 록킹 부재의 록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정면도이다.
도 6의 (A), (b)는 각각 동 낙하물 방지 장치의 수직 가이드 부재에 장착된 록킹 부재의 록 해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정면도이다.
도 7은 동 낙하물 방지 장치의 경사 부재의 측부재에 대한 장착 구조를 나타낸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낙하물 방지 장치의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동 낙하물 방지 장치의 프레임의 앞쪽의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10의 (A), (B)는 각각 동 낙하물 방지 장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측부재와 선단 연결 부재와의 연결 구조를 평면에서 본 경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1의 (A), (B)는 각각 동 낙하물 방지 장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측부재와 선단 연결 부재와의 연결 구조를 정면에서 본 경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2의 (A), (B)는 각각 동 낙하물 방지 장치의 경사 부재의 측부재에 대한 장착 구조를 측면에서 본 경우의 사용 상태의 설명도이다.
이어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에 제공한다.
도 1∼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낙하물 방지 장치(10)는, 가설 비계(11)로부터 도로 상으로 경사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가설되고, 작업용의 재료나 공구 등이 직접 도로 상에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절첩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낙하물 방지 장치(10)의 사용에 있어서는, 통상, 이 낙하물 방지 장치(10)를 복수 병렬시킨 상태로 가설한다.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낙하물 방지 장치(10)를 설치하는 가설 비계(11)는, 예를 들면, 빌딩 등의 건축물의 벽면을 개수할 때 구축되는 것이다. 이 가설 비계(11)는, 통상, 벽면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복수의 수직 파이프(12)를 소정 간격 두고 고정시키고, 이 수직 파이프(12)의 사이에 전용의 브래킷을 통하여 비계판(飛階板; scaffold plate)(도시하지 않음)을 장착함으로써 구축된다.
그리고, 가설 비계는, 수직 파이프를 사용하고 있으면,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설 비계(11)의 수직 파이프(12)에는, 도 1, 도 2의 (B),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낙하물 방지 장치(10)의 프레임(13)을 형성하는 쌍으로 되는 측부재(14, 15)의 기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프레임(13)은,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된 쌍으로 되는 측부재(14, 15)의 기단부를 기단 연결 부재(16)와, 쌍으로 되는 측부재(14, 15)의 선단부를 선단 연결 부재(17)에 의해, 각각 연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측부재는 1 또는 복수 쌍 사용할 수 있다.
이 측부재(14, 15), 기단 연결 부재(16), 및 선단 연결 부재(17)는, 각각 단면(斷面) C형의 강재(鋼材)로 구성되며, 또한 그 각각의 개구부가 프레임(13)의 내측을 향하고 있다. 이로써,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13)의 개구부에, 단면 파형(波型)의 패널(18)의 주위 에지부를 배치함으로써, 패널(18)을 프레임(13) 내에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13)의 하부에는, 1 또는 복수(여기서는 2개)의 원형강으로 이루어지는 진동 방지재(19, 20)가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한쪽의 진동 방지재(19)가 한쪽의 측부재(14)와 선단 연결 부재(17)의 사이에, 다른 쪽의 진동 방지재(20)가 기단 연결 부재(16)와 다른 쪽의 측부재(15)의 사이에, 각각 경사지게 가설되어 있다.
이로써, 프레임(13)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프레임(13) 내의 패널(18)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3)의 상부에는, 패널 가압 부재(21)가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패널 가압 부재(21)가, 쌍으로 되는 측부재(14, 15)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가로걸쳐져 있다.
이로써, 프레임(13) 내에 배치된 패널(18)이 고정되어, 위쪽으로 뛰쳐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측부재(14)[측부재(15)도 마찬가지]의 기부(基部)에는, 도 1, 도 2의 (B),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부재(14)를 수직 파이프(12)에 장착하거나 분리 가능하게 하는 장착 수단(22)이 설치되어 있다.
장착 수단(22)은, 도 1,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트(23)와 너트(24)(체결 수단)에 의해 측부재(14)의 기부에 장착 고정된 장착 금속 부재(25)와, 이 장착 금속 부재(25)의 상부에, 기부가 수평 핀(26)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갈고리형 금속 부재(27)를 가지고 있다.
이 갈고리형 금속 부재(27)는, 수직 파이프(12)의 주위에 설치된 평단면 ㄷ자형의 괘지(掛止) 금속 부재(28)에, 앞쪽이 위로부터 끼워넣어지는 삽입부(2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장착 금속 부재(25)의 하부에는, 장착 금속 부재(25)를 갈고리형 금속 부재(27)에 대하여 회동시킬 때, 수직 파이프(12)의 측면과 맞닿는 맞닿음부(30)가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갈고리형 금속 부재(27)의 삽입부(29)를, 괘지 금속 부재(28)에 끼워넣거나, 또는 괘지 금속 부재(28)로부터 빼냄으로써, 프레임(13)[측부재(14, 15)]를 수직 파이프(12)에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장착 수단은,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프레임(13)을 수직 파이프(12)에 장착하거나 분리해 낼 수 있는 구성이면, 예를 들면, 클램프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갈고리형 금속 부재(27)의 삽입부(29)를, 괘지 금속 부재(28)에 끼워넣은 후에는, 예를 들면, 가설 비계(11)에 있는 작업자가, 한쪽이 선단 연결 부재(17)의 로프 훅(31)에 장착되고, 다른 쪽이 가설 비계(11)에 묶여진 로프(32)를 사용함으로써, 프레임(13)을 가설 비계(11) 측으로부터 돌출시킬 수 있다. 이 때, 장착 금속 부재(25)의 맞닿음부(30)가, 수직 파이프(12)의 측면과 맞닿음으로써, 프레임(13)이 아래쪽으로 경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측부재(14)[측부재(15)도 마찬가지]의 기단부의 수직 파이프(12)에 대한 장착 위치보다 아래쪽 위치에는, 도 1, 도 4∼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 가이드 부재(33)가 배치되어 있다.
수직 가이드 부재(33)는, 수직 파이프(12)와는 간극을 두고 배치되고, 그 상부에 클램프(34)가, 그 하부에 수직 파이프(12)의 괘지 금속 부재(28)에 끼워넣는 쐐기 부재(35)가, 각각 설치되고, 수직 파이프(12)에 장착하거나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수직 가이드 부재의 수직 파이프에의 장착은, 상기한 바와 같이, 클램프와 쐐기 부재를 병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클램프만, 또는 복수의 쐐기 부재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수직 가이드 부재(33)에는, 단면 C형의 강재로 구성된 슬라이딩부(36)와, 이 슬라이딩부(36)의 하단부에 장착 고정된 정면 ㄷ자형의 고정부(37)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딩부(36)는, 그 개구부(38)를 가설 비계(11)와는 반대측[패널(18)의 돌출측]을 향한 상태로, 상기한 클램프(34)와 쐐기 부재(35)에 의해, 수직 파이프(12)에 장착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로써, 슬라이딩부(36)의 개구부(38)를 협지(sandwich)하여 폭 방향 양측에 가이드홈(39)이 형성된다.
또한, 고정부(37)도, 그 개구부(40)가 가설 비계(11)의 반대측을 향하도록, 슬라이딩부(36)에 장착되어 있다. 이 고정부(37)의 양 측벽(41)에는 L자형의 홈(42)이 형성되고, 이 L자형의 홈(42)의 수직부(43) 상단이 가이드홈(39)과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L자형의 홈(42)의 수직부(43)의 하단부에 연속하는 수평부[가설 비계(11)와는 반대측]가 불어올려짐 방지홈(44)으로 된다.
상기한 수직 가이드 부재(33)에는, 경사 부재(45)의 기단부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경사 부재(45)의 기단부에는, 가이드홈(39)과 L자형의 홈(42)을 따라 이동하는 걸어맞춤핀(46)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 있어서 부호 “45a”는 경사 부재(45)의 기단부에 설치되어 단판(端板)으로서, 이것에 걸어맞춤핀(46)이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걸어맞춤핀(46)은, 가이드홈(39)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되어, 경사 부재(45)의 기단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홈(39)을 따라 이동하는 걸어맞춤핀(46)이, L자형의 홈(42)의 수직부(43)로부터 수평부로 이동하고, 불어올려짐 방지홈(44)에 배치되었을 때는, 경사 부재(45)의 기단부가 상방향[가이드홈(39)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직 가이드 부재(33)의 하단부[불어올려짐 방지홈(44)보다 아래쪽의 고정부(37)]에는, 도 1, 도 4∼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킹 부재(47)가 설치되어 있다.
록킹 부재(47)는, J자형으로 벤딩된 단면이 원형인 봉재로 구성되고, 이 봉재의 장척측(48)이 고정부(37)의 관통공(49)에 삽통되어 있다. 또한, 봉재의 장척측(48)의 도중[고정부(37)의 대향하는 측벽(41)의 사이] 위치에는, 봉재의 축심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부(5)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록킹 부재(47)는, 봉재의 장척측(48)이, 그 축심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고, 또한 그 축심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부(37)에 설치된다. 또한, 록킹 부재(47)는, 돌기부(50)에 의해, 봉재의 장척측(48)이 고정부(37)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때, 록킹 부재(47)가 고정부(37)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록킹 부재(47)는, 도 5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재의 장척측(48)을 고정부(37)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이나 회동시킴으로써, 봉재의 단척측(51)의 선단부를 고정부(37)의 불어올려짐 방지홈(44)에 장착할 수 있다. 이로써, 록킹 부재(47)는, 번거로운 작업을 행하지 않고, 봉재의 단척측(51)의 선단부를 불어올려짐 방지홈(44)에 원터치로 착탈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록킹 부재(47)에 의해, 걸어맞춤핀(46)의 불어올려짐 방지홈(44)으로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걸어맞춤핀(46)은 가이드홈(39)과 L자형의 홈(42)의 수직부(43)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걸어맞춤핀(46)이 불어올려짐 방지홈(44)에 배치되었을 때는, 도 6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재의 단척측(51)의 선단부를 자유 상태로 하면 되지만, 봉재의 단척측(51)의 선단부를 L자형의 홈(42)의 수직부(43)의 하단부 위치에 장착할 수도 있다. 이로써, 걸어맞춤핀(46)이 L자형의 홈(42)의 수직부(43)로 이동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경사 부재(45)의 선단부는, 도 1,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부재(14)[측부재(15)도 마찬가지]의 도중 위치(선단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측부재(14)의 앞쪽 하부에는, 경사 부재(45)의 선단부에 설치된 걸림 로드(52)를, 측부재(14)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수단(53)이 설치되어 있다.
연결 수단(53)은, 경사 부재(45)의 걸림 로드(52)가 걸리는 절결 오목부(54)가 형성된 걸림부(55)를 가지고 있다. 또한, 연결 수단(53)은, 걸림부(55)의 앞쪽에 장착된 볼트(56)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절결 오목부(54)에 걸림 로드(52)를 배치한 상태(도 7의 실선 상태)에서는, 걸림 로드(52)가 절결 오목부(54)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L자형의 커버부(걸어맞춤부의 일례)(57)를 가진다.
그리고, 낙하물 방지 장치는,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낙하물 방지 장치를 구성하는 각 부분을, 예를 들면, 이하의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낙하물 방지 장치(10)에 사용한 부재와 동일 부재에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한다.
먼저, 도 8, 도 9를 참조하면서, 상기한 낙하물 방지 장치(10)에 사용 가능한 프레임(60)에 대하여 설명한다.
프레임(60)은,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된 쌍으로 되는 측부재(61, 62)의 기단부를 기단 연결 부재(16)에 의해, 쌍으로 되는 측부재(61, 62)의 선단부를 선단 연결 부재(63)에 의해, 각각 연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측부재(61, 62), 기단 연결 부재(16), 및 선단 연결 부재(63)는, 각각 단면 C형의 강재로 구성되며, 또한 그 각각의 개구부가 프레임(60)의 내측을 향하고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60)의 하부에는, 1개(복수 개이라도 됨)의 각(角)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진동 방지재(64)가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진동 방지재(64)가, 쌍으로 되는 측부재(61, 62)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가로걸쳐져 있다.
한편, 프레임(60)의 상부에는, 1개(복수 개이라도 됨)의 각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가로 가재(架材)(65)가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로 가재(65)가, 상기한 진동 방지재(64)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쌍으로 되는 측부재(61, 62)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가로걸쳐져 있다.
그리고, 진동 방지재(64)와 가로 가재(65)는, 각 파이프 이외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가로 가재(65)와 한쪽의 측부재(61)의 사이에는, 복수(여기서는 2개)의 원형강으로 이루어지는 패널 가압 부재(66, 67)가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패널 가압 부재(66, 67)가, 가로 가재(65)의 길이 방향 한쪽(도 8에서는 좌측)을 기점(起点)으로 하여, 측부재(61)의 앞쪽과 기측(基側)에, 각각 경사지게 가설되어 있다.
또한, 가로 가재(65)와 다른 쪽의 측부재(62)의 사이에도, 복수(여기서는 2개)의 원형강으로 이루어지는 패널 가압 부재(68, 69)가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패널 가압 부재(68, 69)가, 가로 가재(65)의 길이 방향 다른 쪽(도 8에서는 우측)을 기점으로 하여, 측부재(62)의 앞쪽과 기측에, 각각 경사지게 가설되어 있다.
그리고, 패널 가압 부재는, 가로 가재와 측부재의 사이를 가설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또한 가로 가재와 선단 연결 부재 및 기단 연결 부재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사이에, 1 또는 복수 가설할 수도 있다.
이로써, 프레임(6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프레임(60) 내에 배치한 패널[도 2의 (A) 참조]을 지지할 수 있고, 또한 프레임(60) 내에 배치된 패널이 프레임(60)에 고정되어, 위쪽으로 뛰쳐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각각의 측부재(61, 62)에 대한 진동 방지재(64)와 가로 가재(65)의 장착, 및 각각의 측부재(61, 62)에 대한 패널 가압 부재(66∼69)의 장착은, 각각 그라비티(gravity) 록핀을 사용하여 행하고 있다. 이로써, 예를 들면, 볼트와 너트를 사용한 경우와 같이, 볼트와 너트의 착탈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작업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이어서, 쌍으로 되는 측부재(61, 62)의 선단부와 선단 연결 부재(63)의 연결 구조에 대하여, 도 8∼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한 낙하물 방지 장치(10)의 쌍으로 되는 측부재(14, 15)의 선단부와 선단 연결 부재(17)와의 연결은, 볼트와 너트에 의해 행하고 있다.
도 8∼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 연결 부재(63)의 길이 방향 한쪽 측단부(도 8에서는 좌측)에는, 선단 연결 부재(63)를 측부재(61)의 선단부에 연결하기 위한 진퇴(進退) 수단(70)이, 선단 연결 부재(63)의 길이 방향 다른 쪽 측단부(도 8에서는 우측)에는, 선단 연결 부재(63)를 측부재(62)의 선단부에 연결하기 위한 진퇴 수단(71)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 9,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퇴 수단(70)[진퇴 수단(71)도 마찬가지]은, 선단 연결 부재(63)의 두께 방향 양측에 장착되어 고정되고, 측부재(61)의 선단부를 두께 방향 양측으로부터 협지하는 제어판(72, 73)을 가지고 있다.
제어판(72, 73)에는 각각, 측부재(6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공(長孔)(74, 75)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각 장공(74, 75)에는 볼트(76)가 삽통(揷通)되고, 이 볼트(76)가 너트(77)에 의해, 측부재(61)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로써, 장공(74, 75)의 길이만큼, 선단 연결 부재(63)를 측부재(61, 62)에 대하여 진퇴시킬 수 있다.
또한, 도 9∼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퇴 수단(70)[진퇴 수단(71)도 마찬가지]은, 측면에서 볼 때 ㄷ자형으로 되어, 한쪽의 측부재(61)를, 제어판(72, 73)을 통하여 두께 방향 양측으로부터 간극을 두고 협지하는 고정부(78)를 가지고 있다.
고정부(78)의 개구측 선단부는, 상기한 볼트(76)와 너트(77)에 의해, 측부재(61)의 선단부에, 평면에서 볼 때 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고정되어 있다[도 10의 (A), (B) 참조].
그리고, 도 9∼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퇴 수단(70)[진퇴 수단(71)도 마찬가지]은, 선단 연결 부재(63)의 길이 방향 한쪽 단부의 전면(前面)에 설치되고, 고정부(76)의 회동을 제어하는 조작 수단(79)을 가지고 있다.
조작 수단(79)은, 고정부(78)[선단 연결 부재(63)]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고정 로드(80)를 가지고 있다.
도 10의 (A), (B), 도 11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로드(80)는, 체결 수단(81)에 의해 선단 연결 부재(63)의 전면에 장착 고정된 가이드부(82)에, 선단 연결 부재(63)의 전면과는 간격을 가진 상태로, 선단 연결 부재(63)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 로드(80)는, 고정부(78)의 기단부 내면으로 돌출 상태로 장착 고정된 걸림부(83)의 걸어맞춤공(84)에, 삽통 가능한 길이를 가지고 있다.
또한, 도 9∼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로드(80)의 길이 방향 도중 위치(여기서는, 중앙부)에는, 작업자가 고정 로드(80)의 이동 조작을 행하기 위한 레버(85)가, 고정 로드(80)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장착되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레버(85)는, 고정 로드(80)를 지지하는 가이드부(82)의 지지부(86, 87)에 의해, 그 이동 범위가 제한되고, 또한 가이드부(82)의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88)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프레임(60)에 대한 패널의 장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 프레임(60)에 대한 패널의 장착 및 분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패널을 프레임(90)에 장착할 때는, 먼저, 도 10의 (A)의 상태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진퇴 수단(70)의 고정부(78)의 걸림부(83)가, 한쪽의 측부재(61)의 측방에 위치하기까지, 고정구(78)를, 볼트(76)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게 한다[진퇴 수단(71)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선단 연결 부재(63)를, 쌍으로 되는 측부재(61, 62)의 선단으로부터 간극을 두고 위치시켜 둔다.
이로써, 쌍으로 되는 측부재(61, 62)로부터 선단 연결 부재(63)를 분리해내지 않고, 단면 C형의 강재로 구성된 측부재(61, 62), 기단 연결 부재(16), 및 선단 연결 부재(63)의 일부[선단 연결 부재(63)와 쌍으로 되는 측부재(61, 62)의 선단과의 사이]에, 패널을 삽입 가능한 간극을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60) 내에 패널을 배치한 후에는, 선단 연결 부재(63)를, 각각의 제어판(72, 73)에 형성된 장공(74, 75)을 따라, 도 10의 (A)에 나타낸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쌍으로 되는 측부재(61, 62)의 선단에 접촉시킨다.
이로써, 패널의 주위 에지부는, 측부재(61, 62), 기단 연결 부재(16), 및 선단 연결 부재(63)의 개구부 내에 배치된다.
다음에, 진퇴 수단(70)의 고정부(78)의 걸림부(83)가,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측부재(61)의 전방에 위치하기까지, 고정부(78)를, 도 10의 (A)의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볼트(76)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시킨다[진퇴 수단(71)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가이드부(82)의 한쪽의 지지부(86)와 돌출부(88)의 사이에 위치하는 레버(85)를, 선단 연결 부재(63)의 전방으로 일으키고, 그대로의 상태로 고정 로드(80)를 측부재(61) 측으로 이동시키고, 고정 로드(80)의 앞쪽을 고정부(78)의 걸림부(83)에 삽통한다.
그리고, 고정 로드(80)를 걸림부(83)에 삽통한 후에는, 도 9, 도 10의 (B),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85)를 아래쪽으로 넘어뜨린다. 이 때, 레버(85)는, 가이드부(82)의 다른 쪽의 지지부(87)와 돌출부(88)의 사이에 위치하므로, 레버(85)의 동작, 즉 고정 로드(80)의 동작이 제한되어, 고정 로드(80)가 걸림부(83)에 삽통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고정부(78)가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선단 연결 부재(63)의 이동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60) 내에 패널을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패널을 프레임(60)으로부터 분리해 냈을 때는, 상기와 반대의 수순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먼저, 가이드부(82)의 다른 쪽의 지지부(87)와 돌출부(88)의 사이에 위치하는 레버(85)를, 선단 연결 부재(63)의 전방으로 일으키고, 그대로의 상태로 고정 로드(80)를 측부재(62) 측으로 이동시키고, 고정 로드(80)의 앞쪽을 고정부(78)의 걸림부(83)로부터 빼낸다.
그리고, 도 10의 (A),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85)를 아래쪽으로 넘어뜨린다. 이 때, 레버(85)는, 가이드부(82)의 한쪽의 지지부(86)와 돌출부(88)의 사이에 위치하므로, 레버(85)의 동작, 즉 고정 로드(80)의 동작이 제한되어, 고정 로드(80)가 고정부(78)의 걸림부(83)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진퇴 수단(70)의 고정부(78)의 걸림부(83)가, 도 1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측부재(61)의 측방에 위치하기까지, 고정부(78)를 회동시킨다[진퇴 수단(71)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선단 연결 부재(63)를, 각각의 제어판(72, 73)에 형성된 장공(74, 75)을 따라 이동시키고, 도 1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쌍으로 되는 측부재(61, 62)의 선단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이로써, 측부재(61, 62), 기단 연결 부재(16), 및 선단 연결 부재(63)의 일부[선단 연결 부재(63)와 쌍으로 되는 측부재(61, 62)의 선단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이 간극을 통하여, 패널을 프레임(6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한 경사 부재(45)의 측부재(61, 62)에 대한 장착 구조에 대하여, 도 9, 도 12의 (A), (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경사 부재(45)의 선단부는, 측부재(61)[측부재(62)도 마찬가지]의 도중 위치(앞쪽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측부재(61)의 앞쪽 하부에는, 경사 부재(45)의 선단부에 설치된 걸림 로드(52)를, 측부재(61)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수단(89)이 설치되어 있다.
연결 수단(89)은, 단면 U자 형상으로 된 걸림부(90)를 가지고 있다.
이 걸림부(90)에는, 경사 부재(45)의 걸림 로드(52)를 걸림 가능한 절결 오목부(91)가 형성되고, 그 개구부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측부재(61)의 앞쪽 하부에 체결 수단(92)을 사용하여 장착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연결 수단(89)은, 걸림부(90) 내를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부(걸어맞춤부의 일례)(93)를 가지고 있다.
이 슬라이딩부(93)의 위쪽에는 장공(94)이 형성되고, 이 장공(94)에 삽통된 볼트(95)가 너트(96)에 의해, 걸림부(9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로써, 슬라이딩부(93)를 걸림부(90)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93)의 아래쪽에는 절결(97)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97)은, 슬라이딩부(93)의 측방[가설 비계(11) 측]을 향해 개구되고, 슬라이딩부(93)가 측부재(61)의 선단측으로 이동[도 12의 (A) 참조]한 경우에는, 절결 오목부(91)가 개구 상태로 되고, 슬라이딩부(93)의 대략 전체가 걸림부(90)로 중첩되는 위치[도 12의 (B) 참조]로 이동한 경우에는, 절결 오목부(91)가, 그 최심부(最深部)(98)를 제외하고 막힌 상태로 된다.
이로써, 사용에 있어서는, 도 1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93)를 측부재(61)의 선단측으로 이동시키고, 경사 부재(45)의 선단부에 설치된 걸림 로드(52)를, 절결 오목부(91)에 배치한다. 그리고, 도 1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93)를 걸림부(90) 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절결 오목부(91)가, 그 최심부(98)를 제외하고 막힌 상태로 되므로, 걸림 로드(52)가 절결 오목부(91)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낙하물 방지 장치의 패널이, 가설 비계(11)로부터 도로 상으로 경사 상방향으로 돌출된 상태에서는, 슬라이딩부(93)가 가설 비계(11) 측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 슬라이딩부(93)이 걸림부(90)의 절결 오목부(91)를 상시 폐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에 나타낸 프레임(60)에 대한 로프의 장착은, 로프 훅(31)을 사용하여 행하면 되지만, 고정부(78)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훅(99)을 사용하여 행할 수도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낙하물 방지 장치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도 1∼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가설 장소에, 낙하물 방지 장치(10)의 구성 부품, 즉 패널(18)이 장착 고정된 프레임(13), 수직 가이드 부재(33), 및 경사 부재(45) 등을 준비한다.
그리고, 패널(18)이 장착 고정된 프레임(13)은, 미리 조립 후, 가설 장소로 반송 가능하지만, 프레임(13)을 형성하는 측부재(14, 15), 기단 연결 부재(16), 및 선단 연결 부재(17) 등과 패널(18)을, 가설 장소로 반송한 후, 가설 장소에서 조립할 수도 있다[도 2의 (A), (B) 참조].
다음에 경사 부재(45)의 선단부에 설치된 걸림 로드(52)를, 측부재(14)의 앞쪽 하부에 설치된 연결 수단(53)에 장착한다(도 7 참조). 또한, 이 때, 프레임(13)의 선단 연결 부재(17)의 로프 훅(31)에 로프(32)를 장착시켜 둔다(도 1 참조).
그리고, 쌍으로 되는 측부재(14, 15)의 기부에 설치된 갈고리형 금속 부재(27)의 삽입부(29)를, 괘지 금속 부재(28)에 끼워넣고, 프레임(13)[측부재(14, 15)]를 수직 파이프(12)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한다(도 3 참조).
또한, 수직 가이드 부재(33)에 설치된 쐐기 부재(35)를, 괘지 금속 부재(28)에 끼워넣고, 클램프(34)를 수직 파이프(12)에 장착함으로써, 수직 가이드 부재(33)를 수직 파이프(12)에 장착한다(도 4 참조).
그리고, 이 때, 낙하물 방지 장치(10)의 패널(18)이 절첩된 상태(도 1의 2점 쇄선 상태)로 되도록, 로프(32)를 가설 비계(11) 측으로 인장(引張)시켜, 가설 비계(11)에 묶어 둔다.
따라서, 수직 가이드 부재(33)에 대하여는, 경사 부재(45)의 기단부에 설치된 걸어맞춤핀(46)이 불어올려짐 방지홈(44)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록킹 부재(47)를 사용하고, 봉재의 장척측(48)을 슬라이딩 이동이나 회동시켜, 봉재의 단척측(51)의 선단부를 고정부(37)의 불어올려짐 방지홈(44)에 장착하여 둔다[도 5의 (A), (B) 참조].
이로써, 낙하물 방지 장치(10)를 가설 비계(11)에 장착할 수 있다.
이 낙하물 방지 장치(10)의 패널(18)의 돌출 작업은, 이하의 수순으로 행한다.
먼저, 수직 가이드 부재(33)에 대하여, 록킹 부재(47)를 사용하고, 봉재의 장척측(48)을 슬라이딩 이동이나 회동시켜, 봉재의 단척측(51)의 선단부를 고정부(37)의 불어올려짐 방지홈(44)으로부터 떼어낸다[도 6의 (A), (B) 참조].
그리고, 작업자는, 가설 비계(11)에 묶은 로프(32)를 풀어, 낙하물 방지 장치(10)의 패널(18)이 돌출된 상태(도 1의 실선 상태)로 되기까지 로프(32)를 느슨하게 한다.
이 때, 쌍으로 되는 측부재(14, 15)의 기부에 설치된 장착 금속 부재(25)는, 수평 핀(26)에 의해 갈고리형 금속 부재(27)에 대하여 회동하지만, 장착 금속 부재(25)의 맞닿음부(30)가 수직 파이프(12)의 측면과 맞닿음으로써, 장착 금속 부재(25)의 회동이 제한된다(도 3 참조).
또한, 수직 가이드부(33)에 대하여는, 경사 부재(45)의 걸어맞춤핀(46)이, 가이드홈(39)을 따라 하강한 후, L자형의 홈(42)의 수직부(43)로부터 수평부로 이동하여, 불어올려짐 방지홈(44)에 배치된다[도 6의 (A), (B) 참조].
이 상태에서, 로프(32)를 가설 비계(11)에 재차 묶는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낙하물 방지 장치(10)의 패널(18)이, 가설 비계(11)로부터 도로 상으로 경사 상방향으로 돌출된 상태에서는, 경사 부재(45)의 걸어맞춤핀(46)이, 가설 비계(11)와는 반대측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 록킹 부재(47)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도 6의 (A), (B) 참조]. 그러나, 봉재의 단척측(51)의 선단부를 L자형의 홈(42)의 수직부(43)의 하단부 위치에 장착함으로써, 걸어맞춤핀(46)이 L자형의 홈(42)의 수직부(43)로 이동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상태에서는, 경사 부재(45)의 걸림 로드(52)도, 가설 비계(11)와는 반대측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걸림 로드(52)는, L자형의 커버부(57)의 코너부 내측에 위치하므로, 커버부(57)가 걸림부(55)의 절결 오목부(54)를 상시 폐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패널(18)이 바람을 받았다고(불어올려졌다고) 해도, 패널(18)의 상하 이동을 억제하거나,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낙하물 방지 장치(10)의 패널(18)의 절첩 작업은, 이하의 수순으로 행한다.
먼저, 작업자는, 가설 비계(11)에 묶은 로프(32)를 풀어, 가설 비계(11) 측으로 인장시킨다.
이 때, 경사 부재(45)의 걸어맞춤핀(46)을, 불어올려짐 방지홈(44)으로부터 L자형의 홈(42)의 수직부(43)로 이동시킨 후, 록킹 부재(47)를 사용하여, 봉재의 장척측(48)을 슬라이딩 이동이나 회동시켜, 봉재의 단척측(51)의 선단부를 불어올려짐 방지홈(44)에 장착한다(도 5의 (A), (B) 참조].
그리고, 작업자는, 낙하물 방지 장치(10)의 패널(18)이 절첩된 상태(도 1의 2점 쇄선 상태)로 되기까지, 로프(32)를 가설 비계(11) 측으로 인장시키고, 이 상태에서, 로프(32)를 가설 비계(11)에 재차 묶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낙하물 방지 장치(10)의 절첩 작업이 종료한 후에는, 낙하물 방지 장치(10)를 해체한다.
이상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낙하물 방지 장치(10)를 사용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작업성이 양호하게, 패널(18)의 절첩과 돌출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어떤 상기한 실시형태에 기재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사항의 범위 내에서 생각되는 그 외의 실시형태나 변형예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한 각각의 실시형태나 변형예의 일부 또는 전부를 조합시켜 본 발명의 낙하물 방지 장치를 구성하는 경우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프레임을 형성하는 측부재에 대한 경사 부재의 장착을, 연결 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예를 들면, 경사 부재를 측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하지 않고,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한, 수직 가이드 부재에 설치한 가이드홈은,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직사형의 관통공으로 할 수도 있다.
10: 낙하물 방지 장치, 11: 가설 비계, 12: 수직 파이프, 13: 프레임, 14, 15: 측부재, 16: 기단 연결 부재, 17: 선단 연결 부재, 18: 패널, 19, 20: 진동 방지재, 21: 패널 가압 부재, 22: 장착 수단, 23: 볼트, 24: 너트, 25: 장착 금속 부재, 26: 수평 핀, 27: 갈고리형 금속 부재, 28: 괘지 금속 부재, 29: 삽입부, 30: 맞닿음부, 31: 로프 훅크, 32: 로프, 33: 수직 가이드 부재, 34: 클램프, 35: 부재, 36: 슬라이딩부, 37: 고정부, 38: 개구부, 39: 가이드홈, 40: 개구부, 41: 측벽, 42: L자형의 홈, 43: 수직부, 44: 불어올려짐 방지홈, 45: 경사 부재, 45a: 단판, 46: 걸어맞춤핀, 47: 록킹 부재, 48: 장척측, 49: 관통공, 50: 돌기부, 51: 단척측, 52: 걸림 로드, 53: 연결 수단, 54: 절결 오목부, 55: 걸림부, 56: 볼트, 57: 커버부(걸어맞춤부의 일례), 60: 프레임, 61, 62: 측부재, 63: 선단 연결 부재, 64: 진동 방지재, 65: 가로 가재, 66∼69: 패널 가압 부재, 70, 71: 진퇴 수단, 72, 73: 제어판, 74, 75: 장공, 76: 볼트, 77: 너트, 78: 고정부, 79: 조작 수단, 80: 고정 로드, 81: 체결 수단, 82: 가이드부, 83: 걸림부, 84: 걸어맞춤공, 85: 레버, 86, 87: 지지부, 88: 돌출부, 89: 연결 수단, 90: 걸림부, 91: 절결 오목부, 92: 체결 수단, 93: 슬라이딩부(걸어맞춤부), 94: 장공, 95: 볼트, 96: 너트, 97: 절결, 98: 최심부, 99: 훅

Claims (5)

1 또는 복수 쌍의 측부재의 기단부(基端部)를, 가설(假設) 비계(飛階; scaffold)의 수직 파이프에 장착 수단을 통하여 회동(回動) 가능하게 장착하고, 쌍으로 되는 상기 측부재의 기단부와 선단부를 기단 연결 부재와 선단 연결 부재로 각각 연결하여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 내에 패널을 배치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측부재의 기단부의 상기 수직 파이프로의 장착 위치보다 아래쪽 위치에, 상기 수직 파이프와는 간극을 두고 수직 가이드 부재를 배치하고, 상기 쌍으로 되는 측부재의 도중 위치에 선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기단부가 상기 수직 가이드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경사 부재를 가지는 낙하물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직 가이드 부재에는, 상기 경사 부재의 기단부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여, 상기 경사 부재의 기단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의 하단에 연속되고, 상기 경사 부재의 기단부를 배치했을 때 상기 경사 부재의 기단부의 상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불어올려짐(blowing-up) 방지홈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수직 가이드 부재의 하부에는 록킹 부재(locking member)가 장착되고, 또한 상기 록킹 부재는 J자형으로 벤딩된 봉재(棒材)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 가이드 부재의 하단부에 상기 봉재의 장척측(長尺側)을, 그 축심(軸心)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며, 그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봉재의 단척측(短尺側)의 선단부를 상기 불어올려짐 방지홈에 원터치로 착탈(着脫) 가능하게 하고, 상기 봉재의 단척측의 선단부를 상기 불어올려짐 방지홈에 장착했을 때, 상기 경사 부재의 기단부가 상기 불어올려짐 방지홈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물 방지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재의 장척측의 도중 위치에는, 상기 록킹 부재가 상기 수직 가이드 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때, 상기 록킹 부재가 상기 수직 가이드 부재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낙하물 방지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재의 도중 위치에는, 상기 경사 부재의 선단부를, 상기 측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낙하물 방지 장치.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재의 도중 위치에는, 상기 경사 부재의 선단부를, 상기 측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낙하물 방지 장치.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경사 부재의 선단부를 걸림 가능한 절결(切缺) 오목부가 형성된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거나 또는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절결 오목부에 상기 경사 부재의 선단부를 배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경사 부재의 선단부가 상기 절결 오목부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걸어맞춤부를 가지는, 낙하물 방지 장치.
KR1020140014955A 2013-09-03 2014-02-10 낙하물 방지 장치 KR1015525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82301A JP6074341B2 (ja) 2013-09-03 2013-09-03 朝顔装置
JPJP-P-2013-182301 2013-09-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738A KR20150026738A (ko) 2015-03-11
KR101552536B1 true KR101552536B1 (ko) 2015-09-11

Family

ID=52698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4955A KR101552536B1 (ko) 2013-09-03 2014-02-10 낙하물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074341B2 (ko)
KR (1) KR1015525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99539B1 (ja) * 2016-05-13 2016-09-28 東阪工業株式会社 仮設用朝顔装置
JP6961196B2 (ja) * 2016-11-04 2021-11-05 有限会社北松工業 朝顔ユニット
JP6314279B1 (ja) * 2017-03-29 2018-04-18 東阪工業株式会社 仮設用朝顔装置
JP6360983B1 (ja) * 2018-03-13 2018-07-18 東阪工業株式会社 仮設足場用朝顔装置
JP6713599B1 (ja) * 2019-07-29 2020-06-24 東阪工業株式会社 くさび緊結式足場用朝顔装置およびくさび緊結式足場用朝顔装置システム
JP7321106B2 (ja) * 2020-01-07 2023-08-04 株式会社Ihiインフラシステム 足場用パイプ連結具及びこれを用いた足場
JP7175065B1 (ja) * 2022-08-24 2022-11-18 三栄工業株式会社 仮設足場用朝顔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7089Y2 (ja) * 1993-12-30 1997-02-26 アルインコ株式会社 折畳式朝顔装置
US5351784A (en) * 1994-03-24 1994-10-04 Sung Te Fu Protective device for a scaffold
JPH11343742A (ja) * 1998-05-30 1999-12-14 Isao Maekawa 防護装置
JP2012117340A (ja) * 2010-12-03 2012-06-21 Asahi Riirakku Kk 仮設用朝顔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048670A (ja) 2015-03-16
KR20150026738A (ko) 2015-03-11
JP6074341B2 (ja) 2017-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2536B1 (ko) 낙하물 방지 장치
JP2016056639A (ja) 壁つなぎ取付構造
JP2012215033A (ja) 先行手摺
JP5456544B2 (ja) 安全柵取付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安全柵並びに安全柵取付方法
JP2013194461A (ja) 足場構築体の強化装置
KR20140002205U (ko) 용접판재의 전도방지용 래싱 클램프장치
JP6080788B2 (ja) ブラケット足場用踏板
JP3076202U (ja) 折版構造屋根用の親綱張設用支柱取付具
JP5501873B2 (ja) ボード取付金物及びボード取付金物設置方法
JP4732098B2 (ja) 仮設足場用幅木
JP5559102B2 (ja) 軸組材の接合装置
PH12016000211A1 (en) Hanging type vibration isolator
JP2006293423A (ja) 自動販売機の筐体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2008274571A (ja) 折版屋根材の固定金具
JP7391284B1 (ja) 足場板の固定具及びこれを用いるエレベータの作業用かご装置
JP2006052584A (ja) 溝蓋止金具
JP5498093B2 (ja) 足場板用巾木
JP4851793B2 (ja) 安全レール装置
JP2006193891A (ja) 外壁パネル吊り下げ搬送構造
JP2019214901A (ja) 安全柵、シート構造体、および、シート構造体の取付方法
JP3753679B2 (ja) 天井据付機器用支持具
JP6527382B2 (ja) クロージャ支持部材
JP2004052493A (ja) つま先板の取付装置
JP2011011902A (ja) エレベータのかご室手摺装置
JP2005163350A (ja) 橋梁施工時における軌条受け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