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205U - 용접판재의 전도방지용 래싱 클램프장치 - Google Patents

용접판재의 전도방지용 래싱 클램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205U
KR20140002205U KR2020120009087U KR20120009087U KR20140002205U KR 20140002205 U KR20140002205 U KR 20140002205U KR 2020120009087 U KR2020120009087 U KR 2020120009087U KR 20120009087 U KR20120009087 U KR 20120009087U KR 20140002205 U KR20140002205 U KR 2014000220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coupled
welding
clamp device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90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호
박봉규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90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2205U/ko
Publication of KR201400022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20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Abstract

본 고안은 용접판재의 전도방지용 래싱 클램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봉 형상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 양측단에 각각 결합되는 다관절링크; "ㄷ"자 형상의 클립홈을 갖는 몸체 상면에 상기 다관절링크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클립부; 및 상기 클립부의 몸체 상면에서 "ㄷ"자 홈을 관통하도록 나선 결합되는 볼트고정수단;을 포함한다.
본 고안은 봉 형상의 지지대 양측단에 각각 다관절링크에 의해 연결되는 클립부를 형성하는 용접판재의 전도방지용 클램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현장여건 및 용접판재의 형상에 맞춘 다양한 포지션에서의 결합작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용접판재의 신속한 설치작업이 가능하고, 볼트고정수단을 이용한 신속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용접으로 인한 선체 데미지 및 작업공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공사기간을 단축시켜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접판재의 전도방지용 래싱 클램프장치{lashing clamp device for upsetting prevention of welding plates}
본 고안은 용접판재의 전도방지용 래싱 클램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봉 형상의 지지대 양측단에 각각 다관절링크에 의해 연결되는 클립부를 형성하는 용접판재의 전도방지용 클램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각종 금속판재와 형강류 등이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특히 선체의 격벽을 형성하는 플로워 등의 판재구조물은 무게 2톤 이상의 대형구조물이 대부분으로서, 용접작업도중 전도사고가 발생할 경우 작업자가 크게 다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플로워 등의 용접판재를 용접하기 위해서는 도 1, 2에서와 같은 전도방지를 위한 사전작업들을 수행하게 된다.
도 1, 2는 종래기술의 용접판재의 용접작업을 도시한 공정도로서, 핀지그(11)를 이용해 지상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베이스 판재(10) 위에 론지(20) 등의 형강류가 먼저 용접된다.
이후, 격벽을 형성하기 위한 용접판재(30)가 크레인(미도시)을 이용해 용접위치로 이동된다.
이때, 용접위치에는 용접판재(30) 두께만큼 이격되도록 한 쌍의 가이드피스(40) 선 용접작업에 의해 설치되고, 이격된 틈 사이에 용접판재(30)가 끼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피스(40)만으로는 무게 2톤 이상의 용접판재(30)의 하중을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에 버팀목 역할을 위한 래싱파이프(50)를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래싱파이프(50)의 일단부를 각각 베이스판재(10)측에 고정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며, 타단부는 용접판재(30) 측에 고정하게 된다.
상기 래싱파이프(50)이 설치된 후에 크레인을 제거하고, 용접작업을 통해 용접판재(30)가 베이스판재(10) 상에 조립되도록 한다.
이후, 용접판재(30)의 조립작업이 완료되면, 도 2에서와 같이 래싱파이프(50) 및 가이드피스(40)를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래싱파이프(50)의 설치 및 해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이와 같은 래싱파이프(50)는 파이프 양단을 베이스판재(10) 측과 용접판재(30) 측에 각각 용접시켜 고정하는 것으로서, 용접열에 의한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고, 용접부위는 나중에 사상작업을 통해 매끄럽게 다듬어야 하는 후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봉 형상의 지지대 양측단에 각각 다관절링크에 의해 연결되는 클립부를 형성하는 용접판재의 전도방지용 클램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현장여건 및 용접판재의 형상에 맞춘 다양한 포지션에서의 결합작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용접판재의 신속한 설치작업이 가능하고, 볼트고정수단을 이용한 신속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용접으로 인한 선체 데미지 및 작업공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르면, 봉 형상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 양측단에 각각 결합되는 다관절링크; "ㄷ"자 형상의 클립홈을 갖는 몸체 상면에 상기 다관절링크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클립부; 및 상기 클립부의 몸체 상면에서 "ㄷ"자 홈을 관통하도록 나선 결합되는 볼트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판재의 전도방지용 래싱 클램프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관절링크는, 지지대 측에 결합되는 제1링크와, 클립부 측에 결합되는 제2링크, 및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하는 힌지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링크와 지지대 측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축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링크와 클립부 측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축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봉 형상의 지지대 양측단에 각각 다관절링크에 의해 연결되는 클립부를 형성하는 용접판재의 전도방지용 클램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현장여건 및 용접판재의 형상에 맞춘 다양한 포지션에서의 결합작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용접판재의 신속한 설치작업이 가능하고, 볼트고정수단을 이용한 신속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용접으로 인한 선체 데미지 및 작업공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공사기간을 단축시켜 공사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2는 종래기술의 용접판재의 용접작업을 도시한 공정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용접판재의 전도방지용 래싱 클램프장치를 설치한 상태의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용접판재의 전도방지용 래싱 클램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래싱 클램프장치의 클립부를 다양한 형태로 결합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대용 사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용접판재의 전도방지용 래싱 클램프장치를 설치한 상태의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용접판재의 전도방지용 래싱 클램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론지(20) 등과 같은 형강류가 바닥에 설치된 베이스 판재(10) 위에 용접판재(30)를 세워 격벽을 형성하여 선박용 블록을 조립한다.
이때, 상기 용접판재(30)는 크레인(미도시)을 이용해 용접위치로 이동되는데, 상기 용접위치에는 용접판재(30)의 하단부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미도시)이 미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다양한 형태가 이용될 수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 쌍의 가이드피스(40)로 이루어지는 고정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접판재(30)의 하부단이 고정수단에 의해 용접위치에 정렬되면, 용접판재(30)의 측면을 래싱 클램프장치(100)를 이용해 지지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용접판재(30)의 무게는 2톤 이상으로서, 전도 시에는 작업자가 큰 부상을 입게 된다. 따라서 래싱 클램프장치(100)를 설치하여 용접판재(30)의 하중을 지지함으로써 작업도중 용접판재(30)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본 고안에 따른 래싱 클램프장치(100)는 론지(20) 등의 수평날 부위에 볼트결합방식을 이용해 쉽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래싱 클램프장치(100)는 크게 지지대(110), 다관절링크(120), 클립부(130), 및 볼트고정수단(140)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지지대(110)에 대해 설명하면, 길게 연장된 봉 형상의 구조물로서, 파이프 등을 이용해 제작할 수 있고, 용접판재(30) 상단과 론지(20) 사이를 경사지게 지지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로 제작된다.
상기 지지대(110)의 양측단에는 각각 다관절링크(120)가 결합된다.
상기 다관절링크(120)는 지지대(110) 측에 결합되는 제1링크(121)와, 클립부(130) 측에 결합되는 제2링크(123), 및 상기 제1링크(121)와 제2링크(123)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하는 힌지결합부(125)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링크(121)와 지지대(110) 측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축 결합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제2링크(123)와 클립부(130) 측도 마찬가지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축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도 4를 보면, 제2링크(123)와 클립부(130) 측이 힌지축 결합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제2링크(123) 단부에는 회전축이 연장되고, 상기 회전축이 클립부(130)의 몸체 상면(131)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축 결합된다.
이때, 회전축이 몸체 상면(13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축 단부를 확장시켜 T자형 이탈방지턱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턱은 회전축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분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결합부(125)는 제1링크(121)와 제2링크(123)가 겹쳐진 상태에서 이를 동시 관통시켜 힌지축 결합하는 핀부재로서, 도 4에서와 같은 볼트 및 너트부재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클립부(130)는 서로 대면하는 몸체 상면(131)과 몸체 하면(133) 사이에 "ㄷ"자 형상의 클립홈을 갖는 일체형 구조물로 제작된다.
이와 같은 클립부(130)는 주물 제작이 가능하며, 몸체 상면(131)의 중앙에 다관절링크(120)의 제2링크(123)가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상기 제2링크(123)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볼트고정수단(140)이 나선 결합된다.
이때, 상기 볼트고정수단(140)은 몸체 상면(131)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ㄷ"자 홈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으로서, "ㄷ"자 홈 내에 삽입된 판재를 가압시켜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클립부(130)는 몸체 상면(131)의 양측 날개를 확장시켜 몸체 하면(133)보다 넓게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 확장된 양측 날개에 볼트고정수단(140)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립부(130)는 몸체 상면(131)과 몸체 하면(133)의 외측을 감싸서 구조강도를 보강하는 보강용 립(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용 립의 형상은 대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갖는 금속 테두리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전도방지용 래싱 클램프장치를 이용한 판재용접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핀지그(11)를 이용해 지상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베이스 판재(10) 위에 론지(20) 등의 형강류가 용접되고, 용접판재(30)가 크레인(미도시)을 이용해 용접위치로 이동되며, 용접위치에 미리 설치된 고정수단에 의해 용접판재(30)의 하부단이 정렬된다.
이후, 용접판재(30)의 측면을 래싱 클램프장치(100)를 이용해 지지되도록 하는데, 상기 래싱 클램프장치(100)는 지지대(110) 양측 단부에 다관절 운동이 가능한 클립부(130)를 각각 형성하는 것으로서, 일측단부의 클립부(130)를 먼저 용접판재(30) 측에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클립부(130)는 도 3에서와 같이 용접판재(30)의 상단을 고정할 수 있는데, 클립부(130)가 위에서 아래의 수직방향으로 용접판재(30)의 상단과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립부(130)는 다관절 링크(120)로 연결되어 있어,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키거나 비틀어서 결합 포지션을 변화시킬 수 있다. 즉, 클립부(130)를 상하 수직방향으로 회전시켜 결합시키거나, 좌우 수평방향으로 비틀어서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다관절 구조는 현장여건이나 용접판재(30)의 형상에 맞춘 다양한 형태의 결합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5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래싱 클램프장치의 클립부를 다양한 형태로 결합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대용 사진으로서, 도 5는 클립부를 용접판재의 수평면에 대해 위에서 아래방향을 향하도록 결합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6은 클립부를 용접판재의 수평면에 대해 아래에서 위방향을 향하도록 결합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7은 클립부를 용접판재에 형성된 수직면에 결합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8은 클립부를 용접판재의 경사면에 결합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도 5내지 도 8에서는 용접판재 상단에 형성된 관통홀 및 리브 구조를 이용해 래싱 클램프장치의 클립부(130)를 다양하게 결합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용접판재(30)의 상단 고정작업이 완료되고 나면, 지지대(110) 하부의 클립부(130)를 론지(20) 및 형강의 수평날에 결합한 후, 볼트고정수단(140)을 조여서 고정하게 된다.
상기 래싱 클램프장치(100)가 설치된 후에는 크레인을 제거하고, 용접작업을 통해 용접판재(30)가 베이스판재(10) 상에 조립되도록 한다.
이후, 용접판재(30)의 조립작업이 완료되면, 볼트고정수단(140)을 풀어서 래싱 클램프장치(100)를 제거하게 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봉 형상의 지지대 양측단에 각각 다관절링크에 의해 연결되는 클립부를 형성하는 용접판재의 전도방지용 클램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현장여건 및 용접판재의 형상에 맞춘 다양한 포지션에서의 결합작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용접판재의 신속한 설치작업이 가능하고, 볼트고정수단을 이용한 신속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용접으로 인한 선체 데미지 및 작업공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공사기간을 단축시켜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 베이스 판재
20: 론지
30: 용접판재
100: 래싱 클램프장치
110: 지지대
120: 다관절링크
121: 제1링크
123: 제2링크
125: 힌지결합부
130: 클립부
131: 몸체 상면
133: 몸체 하면
140: 볼트고정수단

Claims (4)

  1. 봉 형상의 지지대(110);
    상기 지지대(110) 양측단에 각각 결합되는 다관절링크(120);
    "ㄷ"자 형상의 클립홈을 갖는 몸체 상면(131)에 상기 다관절링크(12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클립부(130); 및
    상기 클립부(130)의 몸체 상면(131)에서 "ㄷ"자 홈을 관통하도록 나선 결합되는 볼트고정수단(14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판재의 전도방지용 래싱 클램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절링크(120)는, 지지대(110) 측에 결합되는 제1링크(121)와, 클립부(130) 측에 결합되는 제2링크(123), 및 상기 제1링크(121)와 제2링크(123)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하는 힌지결합부(1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판재의 전도방지용 래싱 클램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121)와 지지대(110) 측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판재의 전도방지용 래싱 클램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123)와 클립부(130) 측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판재의 전도방지용 래싱 클램프장치.
KR2020120009087U 2012-10-10 2012-10-10 용접판재의 전도방지용 래싱 클램프장치 KR2014000220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087U KR20140002205U (ko) 2012-10-10 2012-10-10 용접판재의 전도방지용 래싱 클램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087U KR20140002205U (ko) 2012-10-10 2012-10-10 용접판재의 전도방지용 래싱 클램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205U true KR20140002205U (ko) 2014-04-18

Family

ID=52442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9087U KR20140002205U (ko) 2012-10-10 2012-10-10 용접판재의 전도방지용 래싱 클램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2205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66677A (zh) * 2019-08-27 2019-11-19 江门市南洋船舶工程有限公司 一种舱口围斜撑结构及其使用方法
US10890947B2 (en) 2018-12-24 2021-01-12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210070092A (ko) 2019-12-04 2021-06-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클램프 장치
KR102568526B1 (ko) * 2022-06-22 2023-08-22 주식회사 연아다옴 길이가변브레이스를 이용한 구조물 지지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90947B2 (en) 2018-12-24 2021-01-12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10466677A (zh) * 2019-08-27 2019-11-19 江门市南洋船舶工程有限公司 一种舱口围斜撑结构及其使用方法
KR20210070092A (ko) 2019-12-04 2021-06-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클램프 장치
KR102568526B1 (ko) * 2022-06-22 2023-08-22 주식회사 연아다옴 길이가변브레이스를 이용한 구조물 지지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20381C2 (ru) Способ и сварочный стапель для сварки листовых конструкций
KR20140002205U (ko) 용접판재의 전도방지용 래싱 클램프장치
JP2009052302A (ja) 鉄骨小梁の剛接構造
JP6461634B2 (ja) 煙突構築用ユニット及び煙突構築工法
KR101375346B1 (ko) 철근 커플링용 철근 서포트 지그
JP2019157531A (ja) 支持フレームおよび荷受けステージの設置方法
JP6649917B2 (ja) 仮設桟橋下部工の補強方法
JP7017080B2 (ja) 補強治具
JP4058383B2 (ja) 足場/養生ユニット及びその使用方法
KR200467776Y1 (ko) 선박 블록의 전도 방지용 고정 지그
KR200452023Y1 (ko) 비계용 클램프어셈블리
JP6730831B2 (ja) 建築用パネル引き込み具
KR101139843B1 (ko) 거푸집 보강재의 체결수단
KR101632352B1 (ko) 교량용 안전망 고정 장치
KR200342272Y1 (ko) 비계용 클램프어셈블리
JP2023027953A (ja) ブレース上部取付金具
KR101139844B1 (ko) 거푸집 보강재의 체결수단
JP2020023871A (ja) 足場の支持装置並びに支持装置
JP2020182615A (ja) 親綱用仮設支柱
JP6713436B2 (ja) 仮設桟橋用機械式クランプ装置
JP5812554B1 (ja) 親綱係留用支柱の取付金具及び取付構造
KR101144609B1 (ko) 거푸집 보강재의 체결수단
KR100547010B1 (ko) 클립을 이용한 빔 구조체의 결합 및 분해방법
JP6027508B2 (ja) 吊り足場の吊下げ構造
JP2001107567A (ja) 建物用コンクリートパネル及びその敷き込み方法並びに吊り上げ用アンカー金具及び吊り上げ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