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9844B1 - 거푸집 보강재의 체결수단 - Google Patents

거푸집 보강재의 체결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9844B1
KR101139844B1 KR1020120005163A KR20120005163A KR101139844B1 KR 101139844 B1 KR101139844 B1 KR 101139844B1 KR 1020120005163 A KR1020120005163 A KR 1020120005163A KR 20120005163 A KR20120005163 A KR 20120005163A KR 101139844 B1 KR101139844 B1 KR 101139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astening
reinforcement
bracket
fasten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5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8211A (ko
Inventor
서갑수
Original Assignee
서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갑수 filed Critical 서갑수
Priority to KR1020120005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9844B1/ko
Publication of KR20120018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8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6Members, e.g. consoles, for attachment to the wall to support girders, beams, or the like carrying forms or moulds for floors, lintels, or transo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12Fastening strips or bars to sheets or plates, e.g. rubber strips, decorative strips for motor vehicles, by means of clips
    • F16B5/123Auxiliary fasteners specially designed for this purpose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의 패널과, 상기 패널의 후면을 지지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은, 상기 패널에 고정 설치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과 보강재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압착부재로 구성된 체결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재는, 상기 압착부재의 탈착을 통해 상기 패널의 후면에 밀착 고정되거나, 또는 상기 패널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패널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보강재의 길이방향에 대한 측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보강재의 타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보강재의 체결수단을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금속의 패널과 보강재가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폐기되는 거푸집 중, 적어도 보강재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보강재가 체결수단을 통해 패널과 체결됨으로써, 보강재의 재질이 금속에 제한되지 않으며, 강도에 따른 다양한 재질의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패널에 가해지는 용접 부위를 최소화하여 열응력에 의한 패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거푸집 보강재의 체결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Description

거푸집 보강재의 체결수단{The combination of reinforcement means for mold}
본 발명은 건축물의 골조를 이루는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거푸집을 구성하는 금속의 패널과 그 패널을 지지하는 보강재가 체결수단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회성으로 폐기되던 거푸집 중 적어도 보강재의 재사용이 가능하고, 또한 종래에 비해 용접 부위가 최소화되어 열에 의한 패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거푸집 보강재의 체결수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푸집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형태 및 건축물의 골격을 만들기 위해 일시적으로 설치하는 구조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의 패널(11)과 패널(11)의 후면을 지지하는 보강재(13)로 크게 구성되며, 이때, 보강재(13)는 용접(14)을 통해 패널(11)의 후면에 고정 설치된다.
이와 같은 거푸집(10)은 건축물의 골조는 물론, 외형에도 큰 영향을 미치며, 특히 근래에 들어 외형적으로 노출되는 외벽에 대해 독창적인 디자인 요소를 가미하여 건축물을 시공하고 있다.
이처럼 건축물의 디자인 요소가 가미된 건축물은 외관이 수려하여 심미감을 불러올 수는 있으나, 이에 사용된 거푸집(10)은 재사용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즉, 외벽(15)에 디자인(16)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거푸집(10)의 일면에 음각 내지는 양각의 디자인(16)을 형성시켜야 하는데, 이는 타 현장(타 건축물)에서 요구되는 디자인이 상이하거나, 또는 시공사가 다를 경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므로, 해당 현장(해당 건축물)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일회성 물품으로 분류되어 폐기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또한, 해당 현장의 시공이 완료된 후, 거푸집(10)을 폐기할 때, 디자인(12)이 형성된 패널(11)과, 그 패널(11)에 설치된 보강재(13)가 함께 폐기될 수밖에 없는데, 이는 패널(11)과 보강재(13)가 용접(14)을 통해 설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용접은 금속과 금속을 가열 융해하여 접합시켜서 일체로 만드는 작업으로 이는 영구적 체결방식이다. 즉, 패널(11)로부터 보강재(13)의 분리가 용이하지 못하며, 설령 용접(14)된 부위를 연삭기(grinder) 등과 같은 절단수단을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분리할 경우, 연삭기에 의한 마찰열에 의한 강도저하는 물론, 절단 과정에서 그 형태가 훼손되어 보강재(13)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보강재(13)는 용접을 통해서만 패널(11)에 설치가 가능하여, 보강재(13)의 재질이 패널(11)과 같은 금속제에 한정된다는 것이다. 즉, 용접의 설치방식으로 인해 금속제 이외에는 설치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패널(11)에 용접(14)을 통해 설치되는 보강재(13)는 그 고정부위가 넓어 패널(11)의 변형을 초래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은 건축물의 외벽(15)으로 노출되어 심미감을 반감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거푸집(10)은 재사용이 용이하지 못하여 패널(11)과 패널(11)에 용접된 보강재(13)가 함께 폐기될 수밖에 없으며, 이는 시공자로 하여금 경제적 부담이 유발시키며, 이러한 부담은 결국 소비자에게 전가되어 가정경제에 부담으로 다가올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의 패널과 보강재가 체결수단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체결됨으로써, 보강재의 분리가 용이하고, 분리된 보강재의 재사용이 가능한 거푸집 보강재의 체결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강재가 체결수단을 통해 패널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보강재의 재질이 금속에 제한되지 않으며, 강도에 따른 다양한 재질의 적용이 가능한 거푸집 보강재의 체결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패널에 가해지는 용접 부위를 최소화하여 열응력에 의한 패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거푸집 보강재의 체결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금속의 패널과, 상기 패널의 후면을 지지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은, 상기 패널에 고정 설치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과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부재로 구성된 체결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재는 상기 브래킷과 체결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체결부재의 탈착을 통해 상기 패널의 후면에 밀착 고정되거나, 또는 상기 패널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보강재의 체결수단을 개시한다.
상기 브래킷은, 상기 패널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보강재의 길이방향에 대한 측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체결부재와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래킷은, 상기 보강재의 양 측면을 각각 지지하도록 적어도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보강재의 길이방향에 대한 측면 이외의 다른면을 지지하거나, 혹은, 상기 측면을 더 포함하여 지지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체결부와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결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체결부재의 어느 하나의 면에 설치되어, 상기 보강재를 압박하여 상기 패널에 밀착 고정하기 위한 압착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착부재는, 상기 설치영역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핀;이 더 구비되며, 상기 고정핀은, 상기 체결부재와 압착부재를 관통하는 관통홀을 통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착부재는, 상기 보강재와 상기 체결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쇄기 및 탄성체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체는, 고무, 판 스프링, 및 코일 스프링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착부재는, 상기 체결부재의 외측에 설치되고, 단부가 상기 외측을 관통하여 상기 보강재를 압박하는 스크루 볼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착부재는, 상기 체결부재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힌지를 통한 회전에 의해 상기 보강재를 압박하거나, 또는 상기 압박을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체결부와 결착부가 서로 압입식 또는 슬라이드 결합되거나, 혹은 자웅의 결착수단;이 더 마련되어, 상기 결착수단을 통해 상기 브래킷과 체결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금속의 패널과, 상기 패널의 후면을 지지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은, 상기 패널에 고정 설치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과 보강재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압착부재로 구성된 체결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재는, 상기 압착부재의 탈착을 통해 상기 패널의 후면에 밀착 고정되거나, 또는 상기 패널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보강재의 체결수단을 개시한다.
상기 브래킷은, 상기 패널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보강재의 길이방향에 대한 측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보강재의 상기 측면 이외의 다른면을 지지하는 제3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래킷은, 상기 보강재의 양 측면을 각각 지지하도록 적어도 한 쌍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착부재는, 상기 보강재와 적어도 브래킷의 제3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보강재를 압박하는 쇄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착부재는, 상기 브래킷을 관통하여 상기 보강재를 압박하는 볼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금속의 패널과, 상기 패널의 후면을 지지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은, 상기 패널에 고정 설치되는 브래킷 및 상기 보강재와 힌지 결합되고, 상기 힌지를 통한 회전에 의해 상기 브래킷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체결부재로 구성된 체결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재는, 상기 체결부재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부재의 탈착을 통해 상기 패널의 후면에 밀착고정되거나, 또는 상기 패널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보강재의 체결수단을 개시한다.
상기 체결부재는, 힌지를 축으로 회전하는 링크(link)의 구조로서, 상기 보강재와 제1힌지를 통해 결합된 레버; 및 일단이 상기 레버의 양단 사이에서 제2힌지를 통해 결합되고, 타단에는 결착부가 마련되어 상기 브래킷과 체결되는 체결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래킷은, 상기 패널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보강재의 길이방향에 대한 측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에 마련되어 상기 결착부와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래킷은, 상기 보강재의 양측면을 각각 지지하도록 적어도 한 쌍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금속의 패널과 보강재가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폐기되는 거푸집 중, 적어도 보강재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보강재가 체결수단을 통해 패널과 체결됨으로써, 보강재의 재질이 금속에 제한되지 않으며, 강도에 따른 다양한 재질의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패널에 가해지는 용접 부위를 최소화하여 열응력에 의한 패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거푸집 보강재의 체결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거푸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보강재의 체결수단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수단에 대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수단에 대한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재에 대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11 내지 도 19는 도 11과 도 11의 보강재를 적용한 체결수단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측면도 및 정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보강재의 체결수단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1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수단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25과 도 2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보강재의 체결수단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보강재의 체결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보강재의 체결수단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100)은 디자인(111)이 형성된 금속의 패널(110)과, 패널(110)의 후면을 지지하는 보강재(120) 및 보강재(120)를 패널(110)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130)으로 크게 구성된다.
패널(110)은 시공사의 요청 내지는 입주자의 요구 등에 의해 건축물의 외벽(190)에 특정한 디자인(D)을 형성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패널(110)은 해당 건축물에서 요구되는 디자인(D)을 적용한 것으로 타 건축물에서의 재사용이 용이하지 못함은 물론, 타 건축물의 외벽과 그 크기가 상이할 수 있으므로, 사실상 재사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패널(110)은 거푸집(100)의 철거와 함께 재활용품으로 분류되고 있다.
여기서 디자인(D)은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는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으로써, 일례로 시공사의 로고 내지는 건축물의 상호 또는 내지는 주소 등이 외벽(190)에 양각 및 음각의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보강재(120)는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 과정에서 발생하는 압력 및 콘크리트 자체 중량의 압박에 의해 패널(110)이 변형되거나, 또는 시공된 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패널(110)의 후면을 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보강재(120)는 패널(110)의 후면에 설치하되, 체결수단(130)을 통해 패널(110)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어, 추후, 타 건축물을 시공할 경우, 해당 건축물의 디자인이 적용된 패널(110)에 대해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보강재(120)는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하게는 패널(110)의 지지력이 향상되도록 도 11과 도 12과 같이 복수의 보강재(120)를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이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C" 또는 "H" 형태의 형강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체결수단(130)은 패널(110)과 용접을 통해 고정 설치되는 금속제인 브래킷(140) 및 브래킷(140)과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부재(150)로 구성되며, 이때, 보강재(120)는 브래킷(140)과 체결부재(150) 사이에 설치되어 체결부재(150)의 탈착을 통해, 패널(110)의 후면에 설치되거나, 또는 해체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브래킷(140)은 패널(110)에 용접을 통해 설치되나, 그 영역이 종래에 비해 최소화되어 용접 열 즉, 열응력에 의한 패널(11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보강재(120)는 용접을 통해 패널(110)의 후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보강재(120)의 길이방향으로 그 고정부위가 확장되고, 용접시에 발생하는 그 열기에 의한 변형을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패널(110)의 변형은 거푸집(100)의 퀄리티를 저하시키고, 나아가 건축물의 외관을 훼손하여 거부감마저 불러일으킬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정부위를 브래킷(140)에 한정하고, 용접 열에 의한 패널(110)의 변형을 방지하여 퀄리티를 향상시키고, 나아가 디자인 건축물의 시공은 물론, 건축물의 외관을 더욱 수려하게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종래에는 보강재(120)가 용접을 통해서는 패널(110)에 설치되었다. 이는 동일한 금속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는 작업으로써, 보강재(120)의 재질이 금속에 한정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보강재(120)가 비용접방식인 체결수단(130)을 통해 패널(110)에 설치됨으로, 패널(110)과 동일한 재질이 아닌, 강도에 따른 비철금속 및 나무 등과 같은 재질의 적용이 가능하여, 보강재(120)의 재질이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 따른, 브래킷(140)은 패널(110)과 용접되는 고정부(141)와, 보강재(120)의 적어도 일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143) 및 체결부재(15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145)로 구성되고, 각 부(141,143,145)는 복수의 굴곡면으로 이루어진 일체의 판재이며, 이 판재는 도시된 바와 같이 "ㄷ"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브래킷(140)의 형상은 "ㄷ"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3 내지 도 8 및 도 11 내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적용시킬 수 있다.
한편, 체결부(145)는 체결부재(150)와 체결되는 일면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적용이 가능하며, 도시된 일례와 같이 소정의 경사면(147)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이하 도면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의 적용이 가능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브래킷(140)은 적어도 한 쌍으로 구성되어 보강재(120)의 각 측면을 각각 지지하고, 보강재(120)에 형태 및 크기에 따라 보강재(120)의 측면에 밀착되거나, 또는 소정 이격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후술하기로 한다.
체결부재(150)는 판 형태로서, 단부가 소정 절곡 내지는 굴곡된 것으로, 보강재(120)의 다른면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151)와, 단부가 절곡되어 체결부(145)와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결착부(153)로 구성된다.
제2 지지부(151)는, 보강재(120)의 후면을 지지하는 체결부재(150)의 일면으로서, 보강재(120)를 압박하여 패널(110)에 밀착시키고, 보강재(120)가 패널(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패널(110)의 안정적 지지가 이루어지는 영역이다.
한편, 보강재(120)를 압박하여 패널(110)로의 밀착력을 향상하여 패널(110)의 안정적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강재(120)와 제2 지지부(151) 사이에 압착부재(160)가 더 설치된다.
압착부재(160)는 제2 지지부(151)와 일체 혹은 분리형으로 구비된 쇄기 형태로서, 분리형일 경우, 보강재(120)와 제2 지지부 사이에 압입형태로 설치된다.
결착부(153)는 체결부(145)와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영역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형태로 절곡된 영역이다.
따라서 체결부재(1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140)과 슬라이드 결합을 통해 체결되고, 체결시, 결착부(153)가 체결부(145)의 경사면(147)을 따라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하여, 경사면에 의해 적어도 일 방향 즉, 체결부재(150)가 자중에 의해 하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브래킷(140)과 체결되는 것이다. 여기서 경사면(147)은 체결부재(150)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체결수단(130)은 다양한 형태 및 체결방식의 변형이 가능하며, 이에 대한 일례는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수단에 대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각 도면을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수단(130)은 브래킷(140)과 체결부재(150)로 구성되고, 이는 도 2를 통해 미리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체결부(145)와 결착부(153)를 통해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며, 이는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 나타낸 체결수단(130)은 한 쌍의 브래킷(140)과, 보강재(120)의 각 측면과 후면을 감싸듯 지지하는 체결부재(150)로 구성된다.
브래킷(1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41)와 제1 지지부(143) 및 체결부(145)로 구성되며, 이때, 체결부(145)는 일면이 개방된 고리형태로 이루어진다.
체결부재(150)의 제2 지지부(151)는 "ㄷ"의 형태로서, 보강재(120)의 각 측면과 후면을 감싸듯 함께 지지하고, 결착부(15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하부로 연장되며, 그 연장된 영역은, 연장된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경사면(147)이 형성되어 체결부(145)와 슬라이드 결합된다. 이때, 경사면(147)은 체결부재(150)가 자중에 의해 하부로 이탈되든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재(120)와 체결부재(150) 사이에 압착부재(160)가 더 설치되는데, 이러한, 압착부재(160)는 복수로 구성되어 보강재(120)의 양측면과 후면을 함께 압박하여 패널(110)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보강재(120)와 체결수단(130) 사이의 유격을 최소화하여 패널(110)의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압착부재(160)는 쇄기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루 볼트가 적용될 수 있다.
스크루 볼트는 체결부재(150)의 각 측면과 후면에 형성된 관통홀(163)을 통해 보강재(120)를 압박하는 것으로, 이때, 관통홀(163)에는 스크루 볼트와의 체결을 위해 나사산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체결수단(130)은 브래킷(140)과 체결부재(150)의 암수 자웅 결합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수단(130)이 자웅의 결착수단(180)을 통한 간접에 의해 서도 결합될 수도 있다. 이에 따른 일례는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착수단은 체결수단의 간접적 결합을 이루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결착수단(180)은 자웅의 한 쌍이 스크루 통해 결합되는 체결구조로서, 결착볼트(181)와 결착너트(183)의 체결을 통해 체결수단(130)이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결착수단(180)의 일례인 도 5를 살펴보면,
결착너트(183)는 홀 형태의 체결부(145) 후면에 고정 혹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결착볼트(18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홀 형태의 결착부(153) 및 체결부(145)를 관통한 후, 결착너트(183)와 체결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결착수단(180)은 결착볼트(181)가 홀 형태의 결착부(153)와 체결부(145)를 관통한 후, 브래킷(140)에 설치된 결착너트(183)와 체결됨으로써, 체결수단(130)의 브래킷과 체결부재(150)를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결착볼트(18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볼트이거나, 혹은 별도의 공구 없이도 체결이 용이한 핸드볼트(hand drive bolt)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은 결착수단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결착볼트(181)는 일단이 홀 형태의 체결부(145)와 걸림 구조로 결합되는 고리형태이며, 그 타단은 체결부재(150)의 결착부(153)를 관통하고, 그 관통된 단부에는 스크루가 형성되어 결착너트(183)가 체결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결착수단(180)은 결착볼트(181)의 일단이 체결부(145)와 결합되고, 체결부재(150)가 결착부(153)를 통해 타단으로 결합된 후, 결착너트(183)를 채움으로써, 체결수단(130)의 브래킷(140)과 체결부재(150)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결착너트(183)는 통상의 너트이거나, 혹은 별도의 공구 없이도 체결이 용이한 핸드너트(hand drive nut)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착볼트(181)는 고리형태로 직접 제작하거나, 혹은 기성품인 기초앵커(concrete anchor) 중, L형, LA형, J형, 및 JA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7은 결착수단의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결착볼트(181)는 원 기둥의 형태로서, 브래킷(140) 어느 일면과 용접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며, 타단은 체결부재(150)의 결착부(153)를 관통하고, 그 관통된 단부에는 스크루가 형성되어 결착너트(183)가 체결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결착수단(180)은 결착볼트(181)의 일단이 브래킷(140)에 고정 설치되고, 체결부재(150)가 결착부(153)를 통해 타단으로 결합된 후, 결착너트(183)를 채움으로써, 체결수단(130)의 브래킷(140)과 체결부재(150)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보강재(120)의 측면 이외의 다른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151)에 압착부재(160)를 더 설치하여 보강재(120)가 패널(110)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며, 이때, 압착부재(160)는 고무, 판 스프링 및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압착부재(160)는 탄성체에 한정되지 않음이 바람직하며, 매우 바람직하게는 작업환경, 선호도 및 작업능률에 따라 탄성체, 또는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한 쇄기형태의 압착부재(160)가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 내지 도 7을 통해 도시된 보강재는 패널(110)의 후면을 지지하되, 수직 또는 수평의 단일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지지력이 향상되도록 수직 및 수평의 보강재(120)를 함께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수단에 대한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110)의 후면을 지지하는 보강재(120)가 수평과 수직으로 직교하게 설치될 경우 체결수단(130)을 결합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것이다.
체결수단(130)은 패널(110)에 고정 설치되는 브래킷(140)과, 보강재(120)를 사이에 두고 브래킷(140)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재(150)로 구성된다.
브래킷(140)은 고정부(141)를 통해 수평대(121)와 나란하게 설치되어, 수평대(121)의 일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143)와, 제1 지지부(143)로부터 소정 돌출되어 수직대(123)의 일면을 지지하는 돌출부(149) 및 돌출부(149)의 일면을 관통하는 돌출공(149-1)으로 구성되고, 그 전체적인 형태는 도시된 바와 같이 “ㅜ” 형태이다.
한편, 외부로 노출된 제1 지지부(143)에는 체결부재(150)와의 탈착을 위한 체결부(145)가 적어도 한 쌍으로 마련되며, 이때, 체결부(145)는 소정 돌출된 돌기의 형태로서 존재한다.
또한, 돌기 형태인 체결부(145)는 결착부(153)와의 양호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결착부(153)와 체결되는 일면으로부터 소정의 경사면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래킷(140)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재(150)는 보강재(120)의 측면이외의 다른면을 감싸듯 지지하는 제2 지지부(151)와, 체결부(145)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착부(153) 및 보강재(120)의 측면이외의 다른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151) 일면을 관통하는 결착홀(155)이 형성되며, 그 전체적인 형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굴곡으로 이루어진 “
Figure 112012016970358-pat00001
” 의 형태이다.
한편, 브래킷(140)과 체결부재(150) 사이에서 보강재(120)를 압박하여 패널(110)에 대한 지지력 향상시키고, 체결수단(130)의 체결력을 보강하는 압착부재(160)가 더 설치된다.
여기서, 압착부재(160)는 토글앵커(toggle anchor)의 형태로서, 돌출공(149-1)과 결합되는 고정핀(161)과, 결착홀(155)을 관통 후, 단부에 마련된 스크루와 체결되는 조임나사(16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압착부재(160)를 체결수단(130)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는 보강재(120)로 하여금 패널(110)의 안정적인 지지와, 패널(110)을 지지하는 보강재(120)가 체결수단(13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패널(110)의 후면을 지지하는 보강재(120)가 복수로 구성되어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는 도 9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재에 대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한 쌍의 보강재(120)가 연결부재(125)를 통해 일체로 구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며, 이는,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9a는 한 쌍의 보강재(120)가 수평 즉, 보강재(120)의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설치되는 연결부재(125)를 통해 일체화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연결부재(125)는 한 쌍의 보강재(120)를 연결하여 일체화시키기 위한 것이나, 이는, 후술되는 도 11 내지 도 13과 같이 소정의 이격부(127)가 형성되도록 하여, 체결부재(150)를 이격부(127)에 설치하여 브래킷(140)과 탈착 되도록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9b는 도 9a와 동일한 구성으로, 보강재(120)의 개수를 2개에서 4개로 확장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도 10은 연결부재(125)의 일례로서, 보강재 사이에서 연결부재(125)가 사선으로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a는 한 쌍의 보강재(120) 사이에 사선의 연결부재(125)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것이며, 도 10b은 4개의 보강재 사이에 사선의 연결부재(125)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 내지 도 19는 도 9와 도 10의 보강재를 적용한 체결수단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와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9와 도 10을 통해 설명한 보강재(120)가 적용된 것으로, 이는 도 6과 동일한 방식으로 결합되어, 보강재(120)가 체결수단(130)과 결착수단(180)을 통해 패널(110)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12는 체결부재(150)가 이격부(127)에 설치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지시선을 따라 브래킷(140)과 결합하되, 이때, 체결부재(150)는 결착수단(180)을 통해 브래킷(140)과 결합된다.
여기서, 결착수단(180)은 결착볼트(181)와 결착너트(183)의 구성으로, 이때, 결착볼트(181)는 U볼트인 것이 바람직하며, 결착볼트(181)는 도시된 바와 설치되어 홀 형태의 체결부(145)와, 결착부(153)를 관통하는 단부에 결착너트(183)가 채워짐으로써, 체결수단(130)이 서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결착볼트(181)가 설치되는 브래킷(140)의 체결부(145)는 홀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의 형태로 마련되어, 결착볼트(181)가 체결부(145)에 걸림구조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4는 체결수단(130)이 슬라이드 결합을 통해 체결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45)와 결착부(153)가 서로 대응하는 걸림구조로 이루어져 지시선을 따라 슬라이드 결합되며, 결합 시, 보강재(120)를 압박하여 패널(110)에 밀착시키기 위한 압착부재(160)가 더 마련된다.
이러한 압착부재(160)는 힌지(170)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는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5는 도 14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5는 패널(110)에 설치된 브래킷(140)에 보강재(120)를 사이에 두고 슬라이드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15a,b'는 그에 대한 측면도이고, 15a,b"는 평면도이다.
이에 따른 도 15a를 살펴보면, 힌지(170)를 축으로 회전하는 압착부재(160)가 개방된 상태로 브래킷(140)과 슬라이드 결합되며, 이때, 압착부재(1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재(120)와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일면이 만곡하게 형성되어 개방된 상태로 브래킷(140)과 슬라이드 결합시킨다.
그리고, 체결부재(150)가 브래킷(140)과 슬라이드 결합된 이후에는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압착부재(160)를 도 16b와 같이 압착부재(160)를 폐쇄하여, 체결수단(130)의 결합은 물론, 보강재(120)가 패널(110)에 밀착하여 패널(110)의 후면을 지지하도록 한다.
즉, 압착부재(160)가 힌지(170)를 통해 회전하되, 일면이 만곡된 압착부재(160)의 회전 즉, 개방 또는 폐쇄에 따라 브래킷(140)으로부터 체결부재(150)의 분리 혹은 탈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한편, 압착부재(16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150)와 일체로 형성된 탄성체일 수 있으며, 이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6은 압착부재(160)의 도 5 내지 도 7을 통해 설명한 고무, 판 스프링 및 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도 17에 도시된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140)에 체결부재(150)가 슬라이드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압착부재(16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쇄기형태일 수 있으며, 이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7의 압착부재(160)는 도 2와 도 3을 통해 설명한 쇄기형태로서, 체결부재(150)와 보강재(120) 사이에 설치하되, 설치된 압착부재(160)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고정핀(161)으로 고정되며, 이때, 고정핀(161)은 도 19a,b와 같이 체결부재(150)와 압착부재(160)를 관통하는 관통홀(163)을 통해 설치되는 것이다. 즉, 압착부재(160)의 설치 및 해체를 통해서만 체결수단(130)이 탈착되고, 그로 인해 보강재(120)가 패널(110)로부터 탈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체결수단(130)은 도 2 내지 도 8 및 도 10 내지 도 17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는 체결수단(13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 20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0의 체결수단(1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110)에 용접을 통해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브래킷(140)과, 브래킷(140)과 보강재(120)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보강재(120)를 압박하는 압착부재(160)로 구성되며, 이때, 한 쌍의 브래킷(140)은 서로 대칭의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브래킷(140)은 용접을 통해 패널(110)에 설치하되, 보강재(120) 측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143)와, 상기 측면 이외의 다른면을 지지하기 위한 제3 지지부(191)가 일체로 형성되고, 각 지지부(143,191)는 보강재(120)와 밀착, 또는 소정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그 형성은 복수의 굴곡으로 이루어진 "
Figure 112012016970358-pat00002
"의 형태이다.
또한, 브래킷(140)과 보강재(120) 사이의 공간에 끼움설치되는 압착부재(1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쇄기 형태로서, 브래킷(140)의 제3 지지부(191)와 보강재(120) 사이의 공간에 끼움 설치되어 보강재(120)의 앞면을 압박함으로써, 패널(110)에 밀착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압착부재(160)는 도 20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21과 같이 대칭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각 보강재(120)와 브래킷(140)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에 끼움 설치됨으로써 각 보강재(120)의 측면과 측면 이외의 다른면(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측면과 직교하는 보강재의 앞면)을 함께 지지할 수 있는 "ㄴ" 또는 도 22와 같은 "ㄷ"의 형태일 수 있으며, 이는 보강재(120)와 브래킷(140)의 이격 상태 및 작업의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쇄기 형태의 압착부재(160)는 상기 보강재(120)와 적어도 제3 지지부(191) 사이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압착부재(160)는 쇄기형태가 아닌 도 23과 도 24와 같이 볼트의 형태일 수 있으며, 볼트일 경우, 브래킷(140)의 제1 지지부(143)와 제3 지지부(191)에 구비된 각 체결부(145)를 통해 보강재(120)를 압박하는 것이다. 즉, 볼트는 브래킷(140)을 관통하여 보강재(120)를 압박한다.
한편, 도 20 내지 도 24를 통해 설명한 체결수단(130)으로부터 보강재(120)의 체결상태를 해제하여 패널(110)로부터 분리할 경우에는 보강재(120)를 상부 또는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분리해야한다. 이는 브래킷(140)의 보강재(120)의 측면과 상기 측면과 직교하는 앞면을 함께 지지하고 있으므로, 상/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분리되어야 한다.
한편, 체결수단(130)은 도 2 내지 도 8 및 도 10 내지 도 24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는 체결수단(13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 25와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5와 도 2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수단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수단(130)은 패널(110)에 용접을 통해 고정 설치되는 브래킷(140)과, 보강재(120)에 고정 설치되어 브래킷(140)과 후크 형태로 결합되는 체결부재(150)로 구성된다.
브래킷(1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의 형태로서, 패널(110)과 용접되는 고정부(141)와, 보강재(120)의 일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143) 및 체결부재(150)와 결합되는 홀 형태의 체결부(145)로 구성된다.
체결부재(1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재(120)와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구성된 평판의 플레이트(175)와, 플레이트(175)와 제1힌지(171) 결합되는 레버(157), 및 레버(157)의 양단 사이 어느 일면에 제2힌지(173)를 통해 결합되는 체결로드(159)로 구성되며, 체결로드(159)의 단부에는 후크(hook)형태의 결착부(153)가 마련된다.
한편, 체결수단(130)은, 레버(157)의 이동을 제한하여 브래킷(140)과 체결부재(150)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고정핀(161)이 더 설치된다. 이러한 고정핀(161)은 도 26c과 같이 플레이트(175)와 레버(157)의 일면이 관통된 관통홀(163)을 통해 설치되며, 이는 도 2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6은 도 25에 대한 결합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6a는 브래킷(140)이 설치된 패널(110)에 보강재(120)를 설치하기 위한 상태로서, 체결부재(150)가 설치된 보강재(120)를 지시된 "a"방향으로 밀착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이후, 도 26b와 같이 보강재(120)를 패널(110)에 밀착시키고, 레버(157)를 지시된 "b"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레버(157)의 회전에 따라 도 26c와 같이 체결로드(159)와 그 단부에 마련된 결착부(153)가 "c"방향으로 이동되어 체결부(145)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브래킷(140)과 체결부재(150)의 결합이 완료된 후에는,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관통홀(163)에 고정핀(161)을 더 설치하여, 레버(157)는 물론, 레버(157)와 제2힌지(173) 결합된 체결로드(159)의 이동을 제한하여 체결부재(150)의 결합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거푸집 110 : 패널
111 : 디자인 120 : 보강재
121 : 수평대 123 : 수직대
125 : 연결부재 127 : 이격부
130 : 체결수단 140 : 브래킷
141 : 고정부 143 : 제1 지지부
145 : 체결부 147 : 경사면
149 : 돌출부 149-1 : 돌출공
150 : 체결부재 151 : 제2 지지부
153 : 결착부 155 : 결착홀
157 : 레버 159 : 체결로드
160 : 압착부재 161 : 고정핀
163 : 관통홀 165 : 조임나사
170 : 힌지 171 : 제1힌지
173 : 제2힌지 175 : 플레이트
180 : 결착수단 181 : 결착볼트
183 : 결착너트 190 : 외벽
191 : 제3 지지부

Claims (4)

  1. 금속의 패널과, 상기 패널의 후면을 지지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거푸집에 체결수단이 마련되며,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패널에 고정 설치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과 보강재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압착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보강재는, 상기 압착부재의 탈착을 통해 상기 패널의 후면에 밀착 고정되거나, 또는 상기 패널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패널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보강재의 길이방향에 대한 측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측면 이외의 다른면을 지지하기 위한 제3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보강재의 체결수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보강재의 양 측면을 각각 지지하도록 적어도 한 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보강재의 체결수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재는,
    상기 보강재와 적어도 브래킷의 제3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보강재를 압박하는 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보강재의 체결수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재는,
    상기 브래킷을 관통하여 상기 보강재를 압박하는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보강재의 체결수단.
KR1020120005163A 2012-01-17 2012-01-17 거푸집 보강재의 체결수단 KR101139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163A KR101139844B1 (ko) 2012-01-17 2012-01-17 거푸집 보강재의 체결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163A KR101139844B1 (ko) 2012-01-17 2012-01-17 거푸집 보강재의 체결수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5025A Division KR101139843B1 (ko) 2010-03-22 2010-04-15 거푸집 보강재의 체결수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211A KR20120018211A (ko) 2012-02-29
KR101139844B1 true KR101139844B1 (ko) 2012-04-30

Family

ID=45839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5163A KR101139844B1 (ko) 2012-01-17 2012-01-17 거푸집 보강재의 체결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98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648B1 (ko) 2019-08-19 2020-02-19 주식회사 삼도가설 보강프레임이 장착된 거푸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817B1 (ko) * 2015-12-01 2016-07-26 (주)제드윈 시공이 용이한 커튼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4868A (ja) 2001-08-24 2003-03-05 Hyakunen Jutaku Shijo:Kk 型枠組み立て方法及び該方法に使用する組立金具
JP2004132160A (ja) 2002-10-11 2004-04-30 Takao Sugimoto 取り付け補助具
KR100877582B1 (ko) 2008-09-19 2009-01-07 (주)명인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거푸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4868A (ja) 2001-08-24 2003-03-05 Hyakunen Jutaku Shijo:Kk 型枠組み立て方法及び該方法に使用する組立金具
JP2004132160A (ja) 2002-10-11 2004-04-30 Takao Sugimoto 取り付け補助具
KR100877582B1 (ko) 2008-09-19 2009-01-07 (주)명인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거푸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648B1 (ko) 2019-08-19 2020-02-19 주식회사 삼도가설 보강프레임이 장착된 거푸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211A (ko) 2012-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9560B1 (ko) 콘크리트 거푸집용 거푸집 패널
KR101139843B1 (ko) 거푸집 보강재의 체결수단
KR102095491B1 (ko) 보 데크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탈형 보 시공용 거푸집
KR101139844B1 (ko) 거푸집 보강재의 체결수단
CN110409795A (zh) 一种铝模板结构
KR101144609B1 (ko) 거푸집 보강재의 체결수단
KR101920836B1 (ko) 콘크리트 건축물 시공을 위한 걸쇠식 유볼트형 자재 결속구
KR101309004B1 (ko) 일시적인 힌지구조 이후의 강결을 이용한 모서리부의 부모멘트 경감구조의 라멘교량 및 그 시공방법
JP5828421B1 (ja) プレキャスト工法における型枠支持具および梁施工方法
KR101375346B1 (ko) 철근 커플링용 철근 서포트 지그
KR20140002205U (ko) 용접판재의 전도방지용 래싱 클램프장치
KR101891322B1 (ko) 포밍관을 이용한 조립식 거푸집
JP2011132710A (ja) Pc型枠用の連結具
KR101492818B1 (ko) 원형 강제 외부 거푸집 조립장치
KR20110114121A (ko) 기둥판넬 및 이를 이용한 기둥거푸집
KR100739932B1 (ko) 기둥과 보의 결합 구조물
KR101309005B1 (ko) 절곡 연결판에 의한 일시적인 힌지구조 이후의 강결을 이용한 모서리부의 부모멘트 경감구조의 라멘교량 및 그 시공방법
TWM336307U (en) Handrail preset structure for scaffolds
JP2017008625A (ja) 型枠支持具および型枠支持具を用いたスラブ施工方法
KR100950258B1 (ko)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체결구조
JP5812554B1 (ja) 親綱係留用支柱の取付金具及び取付構造
JP2020020102A (ja) 角締金具
KR200488485Y1 (ko) 데크플레이트 상부에 스페이서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구
JP5992213B2 (ja) プレキャスト型枠、プレキャスト型枠取付構造及びプレキャスト型枠取付方法
KR20170139262A (ko)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조 받침목의 브래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