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9262A -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조 받침목의 브래킷 - Google Patents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조 받침목의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9262A
KR20170139262A KR1020160071522A KR20160071522A KR20170139262A KR 20170139262 A KR20170139262 A KR 20170139262A KR 1020160071522 A KR1020160071522 A KR 1020160071522A KR 20160071522 A KR20160071522 A KR 20160071522A KR 20170139262 A KR20170139262 A KR 20170139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unit
support
hanger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1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0348B1 (ko
Inventor
손종락
김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우씨앤에스
김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우씨앤에스, 김연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우씨앤에스
Priority to KR1020160071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348B1/ko
Publication of KR20170139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9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1Corner fastening or connecting means for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non-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슬래브 또는 보 성형을 위해 가설되는 거푸집 자투리 부분에서의 미 마감부분을 부가적으로 처리시키게 하는 채움재의 정착구조인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조 받침목의 브래킷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브래킷은 기저면의 둘레에 인접 측과 결합을 위한 결속공들이 구비되는 테두리를 갖는 단위판재들을 연이어 가설되는 거푸집 자투리 부분에서의 미 마감부분을 부가적으로 처리시키게 하는 채움재의 정착구조인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조 받침목의 브래킷으로서, 단위판재의 테두리 외 측면과 맞대어지는 지지부와, 지지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이어 설치되어 보조 받침목을 떠받치는 받침부 및 결속공을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테두리의 내 측면에 맞대어지는 걸림면과 결속공의 삽입ㆍ이탈을 자유로이 이루기 위한 열호의 곡면부, 그리고 지지부에 구비시킨 결합공에서 용착되게 하는 결합돌기가 구비되는 걸이쇠를 포함하여서, 거푸집 단위판재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결속공에 걸이쇠를 이용하여 간편한 브래킷의 탈착과 구조적으로 안정되고 확고한 결합을 얻게 된다.

Description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조 받침목의 브래킷{Bracket of baseboard formwork for building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물의 슬래브 또는 보 성형을 위해 가설되는 거푸집 자투리 부분에서의 미 마감부분을 부가적으로 마무리시키게 하는 채움재의 정착구조인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조 받침목의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축조에서 콘크리트를 이용한 주조방식의 경우를 보면, 대략 건축물의 설계에 따라 단위판재들을 연이어 조립하여 이룬 거푸집을 가설하고, 이렇게 가설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충전한 후 일정시간 양생하여 소기의 건축물을 축조하게 된다.
그러한 거푸집의 단위판재들은 운반과 보관 그리고 작업성을 고려하여 일정 크기의 규격으로 제작되어 보급되고 있는데, 이 단위판재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고 장방형의 평판으로 이루는 기저면과 이 기저면의 둘레에 쐐기형의 걸쇠를 이용하여 인접 측과 연이어 결합을 이루게 하는 결속공들이 구비되는 테두리가 설치되어 이루고 있다.
이렇게 일정 규격의 단위판재들을 이용한 거푸집의 가설 시, 예를 들어 슬래브나 보 성형을 위해 수개 단위판재들이 연이어 이루는 거푸집의 마무리 부분에서 건축물 구조설계에 따라 단위판재의 너비보다 적은 자투리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자투리로 인한 거푸집의 미 마감부분은 부가적으로 설치되는 채움재를 이용하여 마무리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거푸집 자투리에서의 미 마감부분을 처리시키는 채움재는 거푸집 단위판재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결속공을 이용해 탈착식으로 설치되는 결합장치와, 이 결합장치에 떠받치는 보조 받침목(목심)으로 이루는 정착구조에 의해 설치된다.
그런데 이러한 채움재 정착구조에서의 결합장치가 구조적으로 견고하지 못하고 따라 정착이 불안정하며,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제품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결합장치는 대략 거푸집 테두리의 결속공과 쐐기형의 체결핀을 이용하여 결속되는 고정핀들이 구비되는 삽입프레임과 이 삽입프레임과 연장부들을 이용해 연이어지고 받침목이 탑재되는 고정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결합장치에서 거푸집 테두리의 결속공과 체결핀을 이용하여 결속되는 삽입프레임의 고정핀들이 구조적으로 견고하지 못한, 즉 고정핀들은 삽입프레임에서 소정의 프레스 가압공정을 통해 부분절취 된 후 절곡 성형되고 있는데, 이렇게 삽입프레임에 일체로 구성되는 고정핀들은 충격 등의 외력이 가해질 시 변형이 일어나거나 파손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보조 받침목의 결합장치가 구조적으로 불안정하여 채움재의 정착이 확고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을 뿐 아니라 재사용이 비교적 저조한 문제점도 따르고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25175호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브래킷의 걸이쇠를 별도로 제작하여 용착방식으로 부착되게 함으로서, 구조적으로 견고하고도 안정되고 확고하며, 부품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시킬 수 있는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조 받침목의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걸이쇠에 곡면을 구비함으로써, 브래킷의 설치 및 해체작업이 간편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조 받침목의 브래킷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브래킷이 단위판재와 수직 및 수평의 교차방향에서 작용하는 결속력으로 결합되게 함으로서, 보조 받침목을 안정되게 떠받치어 채움재의 설치가 보다 확고하게 정착될 수 있도록 한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조 받침목의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슬래브 또는 보 성형을 위해 가설되는 거푸집 자투리 부분에서의 미 마감부분을 부가적으로 처리시키게 하는 채움재의 정착구조인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조 받침목의 브래킷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브래킷은 기저면의 둘레에 인접 측과 결합을 위한 결속공들이 구비되는 테두리를 갖는 단위판재들을 연이어 가설되는 거푸집 자투리 부분에서의 미 마감부분을 부가적으로 처리시키게 하는 채움재의 정착구조인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조 받침목의 브래킷으로서, 단위판재의 테두리 외 측면과 맞대어지는 지지부와 지지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이어 설치되어 보조 받침목을 떠받치는 받침부 및 결속공을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테두리의 내 측면에 맞대어지는 걸림면과 결속공의 삽입ㆍ이탈을 자유로이 이루기 위한 열호의 곡면부, 그리고 지지부에 구비시킨 결합공에서 용착되게 하는 결합돌기가 구비되는 걸이쇠를 포함하여서, 거푸집 단위판재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결속공에 걸이쇠를 이용하여 간편한 브래킷의 탈착과 구조적으로 안정되고 확고한 결합을 얻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조 받침목의 브래킷에 의하면, 브래킷이 구조적으로 견고하고도 안정되어 부품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제품의 유지 관리가 우수하고 따라 재 사용율이 증가되어 제품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브래킷의 설치 및 해체작업이 간편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 받침목을 떠받치는 브래킷이 수직 및 수평에서의 교차방향으로 협력작용하는 결속력을 이용하여 단위판재와 안정되게 결합함으로써, 채움재의 정착이 확고하고 거푸집의 시공성을 보다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조 받침목의 브래킷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조 받침목의 브래킷이 거푸집의 단위판재와 결합되어 사용되는 모습을 보여 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조 받침목의 브래킷이 거푸집 단위판재 테두리의 결합공에 조립되는 과정을 보여 주는 설명도.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조 받침목의 브래킷 다른 실시 예를 보여 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의 브래킷이 거푸집 단위판재와 결합되어 사용되는 모습을 보여 주는 단면도.
다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겠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조 받침목의 브래킷에 대해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슬래브 또는 보 성형을 위해 가설되는 거푸집 자투리 부분에서의 미 마감부분을 부가적으로 마무리시키게 하는 채움재의 정착구조인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조 받침목의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이다.
거푸집의 단위판재(10)는 평판형으로 이루는 기저면(12)의 둘레에 테두레(14)을 구비하고, 이 테두리(14)에 인접 측과 결합을 위한 결속공들(16)이 구비되어 있다. 이때 단위판재(10)는 일정크기의 규격으로 제작되어 보급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의 단위판재들(10)을 연이어 가설되는 거푸집 자투리 부분에서의 미 마감부분 처리를 위해 부가적으로 설치되는 채움재(20) 정착구조인 보조받침목(30)의 브래킷 구조 혁신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브래킷(50)은 대략 지지부(52)와 받침부(54), 그리고 걸이쇠(56)로 구성된다. 이때 지지부(52)와 받침부(54)는 적당한 강도가 유지되는 금속판재를 이용하여 소정의 프레스 가압공정으로 제조될 것이다.
먼저, 브래킷(50)의 지지부(52)는 단위판재(10)의 테두리(14) 외 측면과 수직방향에서 맞대어 설치된다.
또 받침부(54)는 지지부(52)의 하단으로부터 연이어 "ㄷ"자 또는 "ㄴ"자 형으로 설치되어 보조 받침목(30)을 떠받치게 될 것이다.
또한 걸이쇠(56)는 단위판재(10) 테두리(14)의 결속공(16)을 통하여 삽입되어 테두리(14)의 내 측면에 맞대어지는 턱 걸림 받침면(56a)과, 결속공(16)의 삽입ㆍ이탈을 자유로이 이루기 위한 열호의 곡면부(56b), 그리고 지지부(52)에 구비시킨 결합공(52a)에서 용착되게 하는 결합돌기(56c)가 구비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 브래킷(50)은 거푸집 단위판재(10)의 테두리(14)에 구비되는 결속공(16)에 걸이쇠(56)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탈착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브래킷(50) 받침부(54)의 일 측 양단에 단위판재(10)의 테두리(14) 하단 내측으로 연장 설치되어 걸이쇠(56)와는 교차방향에서 브래킷(50)을 협력하여 결속시키게 하는 받침턱(54a)을 더 포함하고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 브래킷(50)이 단위판재(10)에 결합되는 과정을 보이고 있다. 먼저 단위판재(10)의 결속공(16)에 브래킷(50)의 걸이쇠(56) 상단을 엇비스듬하게 삽입한 상태에서 턱 걸림 받침면(56a) 하단이 기점으로 이룬 곡면부(56b)을 이용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어 기저면(52)이 단위판재(10)의 테두리(14) 외측 면에 접촉하면 결합작업이 완료된다.
그리고 브래킷(50)이 걸이쇠(56)를 이용해 단위판재(10)에 결합이 완료되면 받침면(56a)과 걸이쇠(56) 각기가 수평 및 수직 2방의 교차방향에서 협력하여 안정되고 견고하게 결합을 이루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조 받침목의 브래킷 다른 실시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브래킷(50)의 걸이쇠(56)가 상기 실시 예와는 상반되는 역방향으로, 즉 상하가 뒤바뀌어 설치되는 경우를 보이고 있다.
또 상기에서의 역으로 설치되는 걸이쇠(56)는 걸이공(56d)을 구비하고, 이 걸이공(56d)을 이용하여 단위판재(10) 테두리(14)의 내면에서 가로설치되는 빗장(56e)으로 걸이쇠(56)가 결속되게 하고 있다.
이상에서와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 단위판재 12: 기저면
14: 테두리 16: 결속공
20: 채움재 30: 보조 받침목
50: 브래킷 52: 지지부 52a: 결합공
54: 받침부 54a: 받침턱
56: 걸이쇠 56a: 결합공
56b: 곡면부 56c: 결합돌기
56d: 걸이공 56e: 빗장

Claims (4)

  1. 기저면의 둘레에 인접 측과 결합을 위한 결속공들이 구비되는 테두리를 갖는 단위판재들을 연이어 가설되는 거푸집 자투리 부분에서의 미 마감부분을 부가적으로 마무리시키게 하는 채움재의 정착구조인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조 받침목의 브래킷으로서,
    상기 단위판재의 테두리 외 측면과 맞대어지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이어 설치되어 상기 보조 받침목을 떠받치는 받침부; 및
    상기 결속공을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테두리의 내 측면에 맞대어지는 턱 걸림 받침면과, 상기 결속공의 삽입ㆍ이탈을 자유로이 이루기 위한 열호의 곡면부, 그리고 상기 지지부에 구비시킨 결합공에서 용착되게 하는 결합돌기가 구비되는 걸이쇠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거푸집 단위판재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결속공에 상기 걸이쇠를 이용하여 상기 브래킷을 탈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조 받침목의 브래킷.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받침부의 일 측 양단에 상기 단위판재의 테두리 하단 내측으로 연장 설치되어 상기 걸이쇠와는 교차방향에서 상기 브래킷을 협력하여 결속시키게 하는 받침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조 받침목의 브래킷.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이쇠가 상기 지지부에서 역으로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조 받침목의 브래킷.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역으로 설치되는 걸이쇠에 걸이공을 구비하고, 이 걸이공을 이용하여 상기 단위판재 테두리의 내면에서 가로설치되는 빗장으로 상기 걸이쇠가 결속되게 한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조 받침목의 브래킷.
KR1020160071522A 2016-06-09 2016-06-09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조 받침목의 브래킷 KR101830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522A KR101830348B1 (ko) 2016-06-09 2016-06-09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조 받침목의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522A KR101830348B1 (ko) 2016-06-09 2016-06-09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조 받침목의 브래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262A true KR20170139262A (ko) 2017-12-19
KR101830348B1 KR101830348B1 (ko) 2018-02-21

Family

ID=60924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1522A KR101830348B1 (ko) 2016-06-09 2016-06-09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조 받침목의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03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42514A (zh) * 2019-12-17 2020-04-21 葛全伟 一种装配式工程用建筑模板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108Y1 (ko) * 2007-03-30 2008-01-24 길기만 거푸집 연결용 앵커 받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42514A (zh) * 2019-12-17 2020-04-21 葛全伟 一种装配式工程用建筑模板
CN111042514B (zh) * 2019-12-17 2021-08-06 葛全伟 一种装配式工程用建筑模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0348B1 (ko)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2076B1 (ko) 플랫타이 및 이 플랫타이와 비금속제 거푸집틀을 이용한 거푸집 설치방법
WO2009064157A2 (en) Improvements to formwork panel and accessory
KR20180047905A (ko) 건축용 거푸집 고정구 및 그 고정구의 제작방법
KR101889644B1 (ko) 보 바닥 형성용 거푸집 패널
KR101830348B1 (ko)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조 받침목의 브래킷
KR101824861B1 (ko) 결합구조가 향상된 거푸집
KR101891322B1 (ko) 포밍관을 이용한 조립식 거푸집
KR101641052B1 (ko) 원터치 분리형 무지보 장선
JP6009411B2 (ja) 目地材の施工方法および目地材支持構造
KR101284190B1 (ko) 거푸집판 체결장치
KR101846143B1 (ko) 거푸집 연결장치
KR20110117563A (ko) 판넬결합용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판넬의 결합방법
KR101139014B1 (ko) 가변형 기둥폼
KR101747002B1 (ko) 철근 콘크리트 기둥과 합성보를 이용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80052268A (ko)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형성 방법
KR20180025641A (ko) 거푸집 철근지지체
KR101870436B1 (ko) 보관 및 운반 효율성을 향상시킨 알폼용 거푸집의 조립식 패널 및 그 조립식 패널을 이용한 알폼용 거푸집 조립방법
KR20100067735A (ko) 메탈패널 연결구조
KR200386804Y1 (ko) 거푸집
KR101831427B1 (ko) 거푸집 탈형용 철근 캡
KR102004130B1 (ko) 보시공용 보브라켓
JP2018003333A (ja) 型枠装置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構築方法
KR20110006970U (ko) 목판과 스틸판으로 이루어진 거푸집
KR101553364B1 (ko) 셀 타입 몰드 스틸폼
KR102471704B1 (ko) 보 거푸집용 측판 받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